KR20190017435A -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435A
KR20190017435A KR1020170102286A KR20170102286A KR20190017435A KR 20190017435 A KR20190017435 A KR 20190017435A KR 1020170102286 A KR1020170102286 A KR 1020170102286A KR 20170102286 A KR20170102286 A KR 20170102286A KR 20190017435 A KR20190017435 A KR 20190017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inspector
signal
uni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4239B1 (ko
Inventor
신윤성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70102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239B1/ko
Publication of KR20190017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0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vable or portable, e.g. handheld or mounted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thereof
    • A61B6/589Setting distance between source unit and pati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선 촬영을 수행하는 검사자의 피폭선량을 줄일 수 있는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방사선을 방출할 수 있는 방사선 방출부 및 상기 방사선 방출부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방사선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방사선 방출부의 방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공되는 방출 신호에 따라 상기 방사선의 방출 시점이 제어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은 검사자의 피폭선량을 줄여 검사자의 안전성이 향상되고, 경우에 따라 방사선 방출시점이 조절되어 다양한 검사환경 및 조건에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MOBILE RADIOGRAPHY APPARATUS}
본 발명은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엑스선(X-Ray)을 기반으로 피검사체의 검사를 수행하는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사선 촬영장치는 피검사체를 향해 방사선을 조사하여, 피검사체의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장치는 다양한 산업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그 중 의료목적으로 사용되는 방사선 촬영장치는 인체 내부 구조물의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의료목적의 방사선 촬영장치에 대한 종래 기술은 이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20597호(엑스선 촬영장치, 2010.11.16.)"에 의해 공개되어 있다. 상기 공개발명은 병원에 설치되어 환자의 진료 또는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방사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사선 촬영장치의 구동에서는 환자가 방사선 소스에 마주하도록 위치한다. 그리고 검사자는 방사선 소스와 차단된 별도의 회피공간에 입장하여, 방사선 소스와 연결된 컨트롤러를 기반으로 환자의 방사선 촬영을 진행한다.
다만,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는 협소한 공간에서 환자에 대한 방사선 촬영을 진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의 구동에서는 검사자가 방사선 소스에 이웃한 상태로 환자의 방사선 촬영을 진행하게 된다. 이에,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의 구동에서는 검사자의 피폭선량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20597호(방사선 촬영장치, 2010.11.16.)
본 발명의 목적은 방사선 촬영을 수행하는 검사자의 피폭선량을 줄일 수 있는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는 이동 가능한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에 있어서, 방사선을 방출할 수 있는 방사선 방출부 및 상기 방사선 방출부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방사선을 수광하는 수광부 및 상기 방사선 방출부의 방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공되는 방출 신호에 따라 상기 방사선의 방출 시점이 제어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1 신호가 제공될 때에 상기 방사선이 상기 방사선 방출부로부터 즉시 방출되도록 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2 신호가 제공될 때에 상기 제2 신호의 발생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지연시간 이후 상기 방사선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검사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방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컨트롤러로 마련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검사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입력부와, 상기 검사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2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어부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는 상기 검사자의 검사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 발생 이후 상기 센서부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검사 위치로부터의 상기 검사자의 이탈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방사선 방출 시점을 지연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사자가 상기 검사 위치를 이탈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방사선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가 제공될 때에 상기 방사선의 방출 시점을 지연시켜 검사자가 상기 방사선 방출부 인근으로부터 회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의 제공시점으로부터 4~6초 이후에 상기 방사선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검사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지연시간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2 신호의 발생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검사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지연시간을 변경할 수 있는 시간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지연시간이 감소 또는 증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는 검사자의 피폭선량을 줄여 검사자의 안전성이 향상되고, 경우에 따라 방사선 방출시점이 조절되어 다양한 검사환경 및 조건에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의 제1 자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의 제2 자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100, 이하, 촬영장치라 칭한다.)는 이송 가능하게 마련되어, 검사 목적에 따라 다양한 검사 환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촬영장치(100)는 병원 내에 마련된 방사선실 이외에도 협소한 공간, 예컨대 진료차량 및 병실 등과 같은 다양한 환경으로 이송되어 엑스선과 같은 방사선을 기반으로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촬영장치(100)는 촬영유닛(110), 입력유닛(130) 및 제어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촬영유닛(110)은 피검사체를 향해 방사선을 방출하여, 피검사체의 관련정보가 획득되도록 한다. 이러한 촬영유닛(110)은 이송부(111), 지지부(112), 방사선 방출부(113) 및 수광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111)는 촬영유닛(110)의 구성요소를 지지하며, 검사자에 의해 이송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부(111)는 복수 개의 롤러(미도시)에 의해 구름 지지될 수 있으며, 방사선 촬영에서는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112)는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방사선 방출부(113) 및 수광부(114)가 이송부(111)에 연결되도록 한다. 예컨대, 지지부(112)는 막대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중심영역이 이송부(111)의 일 측벽에 승강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지지부(112)는 피검사체의 촬영부위에 따라 방사선 방출부(113)와 수광부(114)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2)는 이송부(111)에 대하여 축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지지부(112)는 피검사체의 촬영부위에 따라 설정된 각도로 방사선 방출부(113)와 수광부(114)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방사선 방출부(113)는 지지부(112)의 일단에 배치되고 수광부(114)는 방사선 방출부(113)에 마주하도록 지지부(112)의 타단에 배치된다. 여기서, 피검사체는 방사선 방출부(113)와 수광부(114)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방사선 방출부(113)와 수광부(114)의 간격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12)의 타단에 연결된 방사선 방출부(113)는 지지부(112)를 따라 선형 이송 가능하게 마련되어, 방사선 방출부(113)와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촬영유닛(110)은 방사선 방출부(113)와 수광부(114)의 간격 조절에 따라 방사선의 조사범위 및 산란범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방사선 방출부(113)와 수광부(114)가 지지부(112)에 의해 단일의 구조물로 마련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 방사선 방출부(113)와 수광부(114)는 각각 분리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입력유닛(130)은 컨트롤러(131)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31)는 기계식 또는 전자식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러(131)는 검사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촬영유닛(110)의 동작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컨대, 컨트롤러(131)는 검사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촬영유닛(110)의 자세와 관련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유닛(150)은 컨트롤러(131)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지지부(112)의 높이와 회전각도, 및 방사선 방출부(113)와 수광부(114)의 간격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31)는 검사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방사선 방출시점과 관련된 방출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컨트롤러(131)에는 제1 입력부(131a) 및 제2 입력부(131b)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입력부(131a)는 제1 방출신호를 발생시키고, 제2 입력부(131b)는 제2 방출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입력유닛(130)은 제어유닛(150)에 연동되어, 컨트롤러(131)로부터 발생된 관련 신호가 제어유닛(150)으로 제공되도록 한다. 여기서, 컨트롤러(131)는 촬영유닛(110) 자체에 마련되거나, 촬영유닛(110)과 분리된 구성으로 마련되어 관련 신호가 유선을 통해 제어유닛(150)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131)와 제어유닛(150)은 무선으로 연동될 수 있으나, 방사선 노출 환경에서의 컨트롤러(131)와 제어유닛(150)의 연동은 유선 방식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제어유닛(150)은 촬영유닛(110) 또는 입력유닛(130)에 마련될 수 있는 제어부(151)를 포함한다. 제어부(151)는 입력유닛(130)으로부터 제공되는 관련 신호를 기반으로 촬영유닛(110)이 제어되도록 한다.
먼저, 제어부(151)는 컨트롤러(131)로부터 동작 신호가 제공될 때에 동작 신호에 따라 지지부(112)의 높이와 회전각도, 및 방사선 방출부(113)와 수광부(114)의 간격이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31)로부터 방출 신호가 제공될 때에 제어부(151)는 방출 신호에 따라 방사선 방출부(113)로부터의 방사선 방출 시점이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컨트롤러(131)로부터 제1 방출신호가 제공된다면, 제어유닛(150)은 방사선 방출부(113)를 제어하여, 방사선 방출부(113)로부터의 방사선 방출이 즉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31)로부터 제2 방출신호가 제공된다면, 제어유닛(150)은 방사선 방출부(113)를 제어하여, 방사선 방출부(113)로부터의 방사능 방출이 기설정된 시간 이후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31)로부터 제2 방출신호가 제공될 때에 제어유닛(150)은 검사자의 입력 시점으로부터 4~6초 이후에 방사선 방출부(113)로부터 방사선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검사자는 컨트롤러(131) 입력 이후에 기설정된 시간동안 검사 위치로부터 이탈할 수 있게 된다. 즉, 촬영장치(100)는 방사선 방출시점이 지연되도록 할 수 있어, 검사자가 검사 위치로부터 이탈한 이후에 방사선 방출부(113)로부터 방사선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사자는 반복된 방사선 검사에서도 피폭으로부터의 안전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즉, 병원 내에 마련된 방사선실에서 검사를 진행할 경우에, 검사자는 방사선 방출부(113)와 차단된 별도의 회피공간에 입장하여 방사선 방출부(113)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검사자는 방사선 방출에 따른 피폭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다.
다만,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100)는 별도의 회피공간이 마련되지 않은 다양한 환경으로 이동되며 검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자는 방사선 피폭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그러나 촬영장치(100)의 경우에는 방사선 방출 시점이 지연 가능하여, 검사자가 컨트롤러(131) 입력 이후 검사 위치로부터 회피할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이에, 검사자는 반복된 검사에서도 피폭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서는 별도의 회피공간이 마련되지 않은 검사 위치에서 촬영장치가 구동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일 뿐, 검사 위치를 한정하지 않으며 별도의 회피공간이 마련된 환경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술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100)는 검사자에 의해 피검사체(이하, 환자라 칭한다.)가 위치한 검사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S100). 여기서, 검사 위치는 진료차량 및 병실 등과 같이 협소한 환경일 수 있다.
이후, 검사자는 촬영장치(100)를 고정시키고, 환자에 대한 방사선 검사를 수행한다. 이때, 검사자는 환자의 검사 부위에 따라 컨트롤러(131)를 조작하여 지지부(112)의 자세가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S200).
예를 들어, 환자의 흉부를 검사할 경우에는 지지부(112)의 높이를 환자의 흉부 위치에 대응되는 높이로 조절하고, 방사선 방출부(113) 및 수광부(114)의 대향 방향이 평면에 평행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도 4참조). 이때, 환자는 방사선 방출부(113) 및 수광부(114)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검사자는 방사선 방출부(113)와 수광부(114)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여, 방사선의 조사범위와 산란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팔을 검사할 경우에는 지지부(112)의 높이를 환자의 팔 위치에 대응되는 높이로 조절하고, 방사선 방출부(113) 및 수광부(114)의 대향 방향이 평면에 교차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도 5참조). 이때, 환자는 방사선 방출부(113) 및 수광부(114) 사이로 팔을 위치시키고, 검사자는 방사선 방출부(113)와 수광부(114)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여, 방사선의 조사범위와 산란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후, 검사자는 컨트롤러(131)를 조작하여 방사선 방출부(113)로부터 방사선이 방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검사자는 검사환경 및 상황에 따라 제1 입력부(131a) 또는 제2 입력부(131b)를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S300).
예를 들어, 검사자가 제1 입력부(131a)를 조작할 경우에 컨트롤러(131)는 제1 방출신호를 발생시키고, 제어유닛(150)은 제1 방출신호에 따라 방사선 방출부(113)로부터 방사선이 즉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S310).
또한, 검사자가 제2 입력부(131b)를 조작할 경우에 컨트롤러(131)는 제2 방출신호를 발생시키고, 제어유닛(150)은 제2 방출신호에 따라 방사선 방출부(113)로부터의 방사선 방출이 기설정된 시간이 이후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S320).
예컨대, 제어유닛(150)은 검사자의 제2 입력부(131b) 입력시점으로부터 4~6초 이후에 방사선 방출부(113)로부터 방사선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검사자는 제2 입력부(131b)의 입력시점과 방사선 방출 시점 사이에 검사 위치로부터 안전한 위치로 회피하여, 방사선 피폭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200)는 입력유닛(130)이 검사자의 검사 위치를 센싱하도록 설정된 센서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132)는 촬영유닛(110) 또는 촬영장치(100)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센서부(132)는 검사자의 위치 신호를 제어유닛(150)으로부터 제공하여, 방사선 방출부(113)부터의 방사선 방출 시점이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100)는 검사자의 제2 입력부(131b) 입력시점으로부터 대략 4~6초가 경과한 이후에 방사선이 방출되도록 한다. 다만, 상황에 따라 검사자가 검사 위치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회피하지 않을 경우 검사자는 방사선 피폭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그러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영유닛(110)은 제어유닛(150)이 센서부(132)로부터 제공되는 검사자의 위치 신호에 따라 방사선 방출 시점을 보다 지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유닛(150)은 검사자가 제2 입력부(131b)를 조작하더라도 검사자가 검사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는 방사선 방출부(113)로부터의 방사선 방출이 정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유닛(150)은 검사자가 검사 위치로부터 이탈할 경우 센서부(132)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검사자의 이탈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예컨대 4~6초가 경과한 이후에 방사선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영유닛(110)은 검사자의 제2 입력부(131b) 조작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방사선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영유닛(110)은 검사자의 제2 입력부(131b) 조작 이후에, 검사자의 검사 위치 이탈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방사선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31)는 검사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지연시간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서는 검사자의 이탈 시점으로부터 4~6초가 경과한 이후에 방사선 방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검사자는 컨트롤러(131)를 조작하여 지연시간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31)가 기계식으로 마련될 경우에는 검사자가 제2 입력부(131b)의 조작 이전 또는 이후에 스위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는 시간 제어부(131c)를 조작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1)는 컨트롤러(131)에서 발생된 시간제어신호에 따라 지연시간이 감소 또는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31)가 전자식으로 마련될 경우에는 검사자가 제2 입력부(131b)의 조작 이전 또는 이후에 컨트롤러(131) 상에 출력되는 시간 제어부(131c)를 조작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1)는 컨트롤러(131)에서 발생된 시간제어신호에 따라 지연시간이 감소 또는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는 검사자의 피폭선량을 줄여 검사자의 안전성이 향상되고, 경우에 따라 방사선 방출시점이 조절되어 다양한 검사환경 및 조건에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
110 : 촬영유닛
120 : 입력유닛
130 : 제어유닛

Claims (10)

  1. 이동 가능한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에 있어서,
    방사선을 방출할 수 있는 방사선 방출부;
    상기 방사선 방출부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방사선을 수광하는 수광부;
    상기 방사선 방출부의 방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공되는 방출 신호에 따라 상기 방사선의 방출 시점이 제어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1 신호가 제공될 때에 상기 방사선이 상기 방사선 방출부로부터 즉시 방출되도록 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2 신호가 제공될 때에 상기 제2 신호의 발생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지연시간 이후 상기 방사선이 방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검사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방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컨트롤러로 마련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검사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입력부와, 상기 검사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2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어부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자의 검사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 발생 이후 상기 센서부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검사 위치로부터의 상기 검사자의 이탈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방사선 방출 시점을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사자가 상기 검사 위치를 이탈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방사선이 방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가 제공될 때에 상기 방사선의 방출 시점을 지연시켜 검사자가 상기 방사선 방출부 인근으로부터 회피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의 제공시점으로부터 4~6초 이후에 상기 방사선이 방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검사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지연시간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2 신호의 발생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검사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지연시간을 변경할 수 있는 시간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지연시간이 감소 또는 증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
KR1020170102286A 2017-08-11 2017-08-11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 KR101984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286A KR101984239B1 (ko) 2017-08-11 2017-08-11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286A KR101984239B1 (ko) 2017-08-11 2017-08-11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435A true KR20190017435A (ko) 2019-02-20
KR101984239B1 KR101984239B1 (ko) 2019-05-30

Family

ID=65562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286A KR101984239B1 (ko) 2017-08-11 2017-08-11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23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1926A (en) * 1990-03-26 1992-02-25 Horton Jerry L Head activated fluoroscopic control
KR20010094613A (ko) * 2000-03-31 2001-11-01 이중구 카메라의 셀프 타이머 촬영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5065940A (ja) * 2003-08-22 2005-03-17 Shimadzu Corp X線装置
JP2005160768A (ja) * 2003-12-03 2005-06-23 Toshiba Corp 作業者確認システム
KR20100120597A (ko) 2009-05-06 2010-11-16 주식회사바텍 엑스선 촬영 시스템
KR20160004621A (ko) * 2014-07-03 2016-01-1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이동식 방사선 진단기용 안전거리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1926A (en) * 1990-03-26 1992-02-25 Horton Jerry L Head activated fluoroscopic control
KR20010094613A (ko) * 2000-03-31 2001-11-01 이중구 카메라의 셀프 타이머 촬영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5065940A (ja) * 2003-08-22 2005-03-17 Shimadzu Corp X線装置
JP2005160768A (ja) * 2003-12-03 2005-06-23 Toshiba Corp 作業者確認システム
KR20100120597A (ko) 2009-05-06 2010-11-16 주식회사바텍 엑스선 촬영 시스템
KR20160004621A (ko) * 2014-07-03 2016-01-1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이동식 방사선 진단기용 안전거리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239B1 (ko) 2019-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4338B2 (ja) 放射線治療装置制御装置および放射線照射方法
JP5549595B2 (ja) 放射線撮影装置
JP6109650B2 (ja) X線診断装置、被曝管理装置、散乱線線量分布形成方法、および散乱線線量分布形成プログラム
JP2018121745A (ja) X線撮影装置
JP2007195612A (ja) X線撮像装置
JP5575557B2 (ja) 干渉判定装置
KR101984239B1 (ko) 모바일 방사선 촬영장치
JP2017127388A (ja) X線診断装置及びx線検出器
WO2015190102A1 (ja) ビーム照射対象確認装置
KR102572436B1 (ko) 동물진단 오퍼레이터를 위한 엑스레이 촬영장치의 가이드 램프 시스템
JP2011188972A (ja) 放射線撮影装置
KR102502082B1 (ko) 동물진단용 엑스레이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0131270A (ja) 治療用放射線照射装置動作制御装置および治療用放射線照射装置動作制御方法
JP5708827B2 (ja) 放射線撮影装置
WO2020054211A1 (ja) X線画像撮影装置
WO2016016979A1 (ja) X線透視撮影装置
US11090510B2 (en) Method for tracking tumor location and radiotherapy apparatus
KR20080050930A (ko) 복수 개의 x선 검출센서들을 구비하는 x선 촬영장치
KR102537577B1 (ko) 동물진단 오퍼레이터를 위한 엑스레이 촬영장치
JP2016158633A (ja) 放射線撮影装置
JP7146707B2 (ja) 放射線撮影装置
JP7189108B2 (ja) 放射線撮影装置
KR20150039506A (ko) 엑스선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JP7412952B2 (ja) 医用画像診断装置
KR20240067789A (ko) 동물진단 오퍼레이터를 위한 엑스레이 촬영장치의 가이드 램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