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112A - 하중 검지 센서 유닛 - Google Patents

하중 검지 센서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112A
KR20190016112A KR1020197001207A KR20197001207A KR20190016112A KR 20190016112 A KR20190016112 A KR 20190016112A KR 1020197001207 A KR1020197001207 A KR 1020197001207A KR 20197001207 A KR20197001207 A KR 20197001207A KR 20190016112 A KR20190016112 A KR 20190016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edestal
hook
detection sensor
load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7558B1 (ko
Inventor
시게루 나카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ublication of KR20190016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94Upholstery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6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operation by a part of the human body other than the hand, e.g. by fo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05/00General mechanical or structural details
    • B60N2205/20Measures for elimination or compensation of play or backl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5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pressure on seat

Abstract

하중 검지 센서 유닛(1)은, 시트 쿠션(SC) 아래에 배치되는 하중 검지 센서 유닛(1)으로서, 하중을 검지하는 하중 검지 센서(5)와, 하중 검지 센서(5)가 탑재되는 탑재면(21S)을 가지고, 프레임의 개구에 배열되어 건너지르는 복수의 스프링인 S 스프링(100) 중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스프링 부위의 사이에 배치되는 받침대(2)와, 상기 스프링 부위와 받침대(2)와의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3)를 구비한다. 받침대(2)는, 서로 대향하는 스프링 부위의 각각에 걸려 고정되는 한 쌍의 훅부(22)를 가지고, 상기 훅부(22)는, 적어도 스프링 부위에서의 상부(100C) 및 서로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외측부(100B)를 덮도록 연장된다. 완충 부재(3)는, 받침대(2)의 경도보다 작은 경도를 가지고, 훅부(22)와 스프링 부위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하중 검지 센서 유닛
본 발명은, 하중(荷重; load) 검지 센서 유닛에 관한 것이며, 착석(着座) 등에 의한 하중을 검지하는 경우에 바람직한 것이다.
차량에서의 안전 시스템의 하나로서, 승차 시에 시트 벨트가 비착용인 것을 경고하는 알람 시스템이 실용화되어 있다. 이 알람 시스템에서는, 운전자의 착석이 감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시트 벨트의 착용이 비감지로 되는 경우에, 경고가 발해진다. 이 운전자의 착석을 감지하는 장치로서, 착석에 의한 하중을 검지하는 하중 검지 센서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하중 검지 센서로서, 프레임의 개구에 배열되어 건너지르는 복수의 스프링 상에 배치되는 시트 쿠션의 아래쪽에 배치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하기 특허문헌 1 참조). 하기 특허문헌 1의 하중 검지 센서는 받침대(pedestal)에 탑재되고, 받침대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스프링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받침대에는 한 쌍의 훅부(hook member)가 형성되어 있고, 한쪽의 훅부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스프링의 한쪽에 장착되고, 다른 쪽의 훅부는 2개의 스프링의 다른 쪽에 장착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1―105278호 공보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의 받침대가 금속 등의 비교적 하드한 부재로 된 경우, 받침대와 스프링과의 접촉에 기인하여 이상음(異音)이 쉽게 생기게 된다. 그 한편, 상기 특허문헌 1의 받침대가 수지 등의 비교적 유연한 부재로 된 경우, 지속적인 압력에 의해 받침대에 크리프(creep) 변형이 생기고, 그 크리프 변형에 의해 스프링과 훅부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쉽게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스프링과 훅부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에 기인하여 하중 검지 센서가 온(on)으로 될 때의 하중량이 변화하여, 적절히 하중을 검출할 수 없게 되는 것이 염려된다. 특히, 고온 환경 하에서는 크리프 변형이 생길 경향이 높으므로, 스프링과 훅부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에 기인하여 보다 적절하게 하중을 검출할 수 없게 되는 것이 염려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음의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적절히 하중을 검지할 수 있는 하중 검지 센서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중 검지 센서 유닛은, 시트 쿠션 아래에 배치되는 하중 검지 센서 유닛으로서, 하중을 검지하는 하중 검지 센서와, 상기 하중 검지 센서가 탑재되는 탑재부를 가지고, 프레임의 개구에 배열되어 건너지르는 복수의 스프링 중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스프링 부위에 장착되는 받침대와, 상기 스프링 부위와 상기 받침대와의 사이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서로 대향하는 스프링 부위의 각각에 걸려 고정되는 한 쌍의 훅부를 가지고, 상기 훅부는, 적어도 상기 스프링 부위에 있어서 상부 및 서로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외측부를 덮도록 연장되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받침대의 경도(硬度)보다 작은 경도를 가지고, 상기 훅부와 상기 스프링 부위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하중 검지 센서 유닛에서는, 받침대의 경도보다 작은 경도를 가지는 완충 부재가, 받침대의 훅부와 스프링 부위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받침대와 스프링과의 충돌이 완화되어, 상기 받침대와 스프링과의 접촉에 기인하여 이상음이 쉽게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받침대는 완충 부재의 경도보다 커서, 크리프 변형이 쉽게 생기지 않게 되므로, 그 크리프 변형에 기인하여, 받침대의 훅부에 의해 스프링 부위에 있어서 상부 및 외측부가 덮혀져 있는 스프링 부위와 훅부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도 쉽게 생기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 부위와 훅부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에 기인하여 하중 검지 센서가 온(on)으로 될 때의 하중량의 변화가 억제되어, 하중 검지 센서에 대하여 적절히 하중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이상음의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적절히 하중을 검지할 수 있는 하중 검지 센서 유닛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훅부는, 상기 스프링 부위의 외측부로부터 내측부를 향해 상기 완충 부재를 가압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한 경우, 훅부의 가압에 의해 그 훅부가 완충 부재를 통하여 스프링 부위에 정치(定置)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프링이 건너지르는 방향 및 그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스프링 부위와 훅부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규제된다. 따라서, 하중 검지 센서가 온(on)으로 될 때의 하중량이 변화되는 것을 더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훅부가 상기 완충 부재를 가압하고 있는 부위는, 상기 스프링 부위의 최하위보다 아래쪽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한 경우, 훅부가 완충 부재를 통하여 스프링 부위를 에워싸도록 정치할 수 있으므로, 스프링 부위와 훅부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더욱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스프링 부위에 끼워넣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스프링 부위와 훅부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 자체가 스프링 부위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어, 상기 완충 부재 및 훅부의 양쪽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받침대를 스프링에 정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훅부가 걸려 고정되는 상기 스프링 부위로부터 상기 스프링의 한쪽의 단부(端部) 측을 향해 가장 가까운 제1 굴곡부와, 상기 스프링 부위로부터 상기 스프링의 다른 쪽의 단부 측을 향해 가장 가까운 제2 굴곡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에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한 경우, 훅부가 걸려 고정되는 스프링 부위로부터 제1 굴곡부와 제2 굴곡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에까지 걸쳐 스프링이 완충 부재로 덮힌다. 그러므로, 스프링과 완충 부재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더 한층 억제할 수 있어, 상기 완충 부재 및 훅부의 양쪽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받침대를 스프링에 정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훅부는, 상기 스프링 부위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측의 내측부도 덮도록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한 경우, 훅부에 의해 스프링의 양 측부가 덮히므로, 그 스프링이 건너지르는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스프링 부위와 훅부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규제된다. 따라서, 하중 검지 센서가 온(on)으로 될 때의 하중량이 변화되는 것을 더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재부의 상기 탑재면은, 상기 스프링 부위의 최하위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한 경우, 탑재면이 스프링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그 스프링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것에 받침대가 방해받지 않고, 또한 스프링 상에 탑재되는 시트 쿠션에 받침대의 탑재면이 가까우므로, 적절히 하중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재부의 상기 탑재면은, 상기 스프링 부위의 최상위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탑재면과 상기 훅부는, 스프링의 최상위보다 위쪽에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탑재면이 스프링 부위의 최상위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고, 탑재면과 훅부는, 스프링의 최상위보다 위쪽에서 연결되어 있는 것에 의해, 받침대에서의 스프링 부위의 위쪽 영역과 하중 검지 센서가 배치되는 영역과의 단차(段差)를 저감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받침대의 단차에 의한 하중 검지 센서의 배치 상의 제약이 완화되어, 서로 대향하는 스프링 부위의 사이의 거리가 짧은 경우라도, 하중 검지 센서가 비교적 큰 경우라도, 하중 검지 센서를 안정된 상태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재면은, 상기 훅부 중 상기 스프링 부위의 상부를 덮고 있는 부분의 최상위와 같은 높이 또는 그 최상위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탑재면이 스프링을 덮는 훅부의 최상위 이상에 위치하고 있는 것에 의해, 상기 탑재면 중 스프링 부위의 위쪽 영역에 의해 하중 검지 센서가 배치되는 영역이 방해로 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그러므로, 더 한층 하중 검지 센서의 배치 상의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받침대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하여 상기 받침대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 클릭(claw)을 가지고, 상기 걸림 클릭은, 상기 서로 대향하는 스프링 부위의 내측부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스프링 부위의 내측부보다 내측에 걸림 클릭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걸림 클릭에 의한 하중 검지 센서의 배치 상의 제약이 완화되어, 서로 대향하는 스프링 부위의 사이의 거리가 짧은 경우라도, 하중 검지 센서가 비교적 큰 경우라도, 하중 검지 센서를 안정된 상태로 배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상음의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적절히 하중을 검지할 수 있는 하중 검지 센서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중 검지 센서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2는 하중 검지 센서 유닛이 S 스프링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3은 하중 검지 센서의 분해도이다.
도 4는 하중 검지 센서의 온 상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중 검지 센서 유닛을 도 2와 같은 시점(視点)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중 검지 센서 유닛의 받침대의 탑재면이 훅부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를 도 2와 같은 시점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3 실시형태의 하중 검지 센서 유닛을 도 2와 같은 시점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S 스프링의 상부를 평면에서 본 경우에 서로 대향하는 2개의 S 스프링에서의 스프링 부위의 사이에 배치되는 받침대의 모양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S 스프링의 상부를 평면에서 본 경우에 1개의 S 스프링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스프링 부위의 사이에 배치되는 받침대의 모양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낸 받침대의 완충 부재가, S 스프링에서의 훅부의 걸어 고정되는 부위 이외의 부위에까지 연장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낸 받침대의 완충 부재가, S 스프링에서의 훅부의 걸어 고정되는 부위 이외의 부위에까지 연장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하중 검지 센서 유닛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도면의 스케일과, 이하의 설명에 기재된 스케일이 상이한 경우가 있다.
(1) 제1 실시형태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하중 검지 센서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2는 하중 검지 센서 유닛이 좌석 장치의 S 스프링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좌석 장치의 좌우 방향을 따른 면에서의 하중 검지 센서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중 검지 센서 유닛(1)은, 받침대(2), 완충 부재(3), 상부 케이스(4) 및 하중 검지 센서(5)를 주된 구성으로서 구비한다.
받침대(2)는, 하중 검지 센서(5)가 탑재되는 탑재부(21)와, 상기 탑재부(21)에 연결되는 한 쌍의 훅부(22)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탑재부(21) 및 한 쌍의 훅부(22)는 금속판을 성형함으로써 일체로 되어 있고, 상기 일체로 된 받침대(2)의 판두께는, 예를 들면, 0.8㎜로 된다.
탑재부(21)는, 차량의 좌석 장치에 있어서의 좌석 프레임의 개구에 배열되어 건너지르는 복수의 S 스프링(100)(도 2) 중 서로 대향하는 2개의 S 스프링(100)의 사이에 배치 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된다. 그리고, S 스프링(100)은, S형으로 사행(蛇行)하는 스프링이다.
이 탑재부(21)에서는 시트 쿠션(SC)(도 2)에 대향하는 측의 면이 탑재면(21S)으로 되고, 상기 탑재면(21S) 상에는 하중 검지 센서(5)에 있어서 스위치(SW)가 설치되는 메인 블록(50m)이 배치된다. 또한, 탑재부(21)에는, 탑재면(21S)으로부터 그 탑재면(21S)은 반대측의 면에까지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공(20H)(도 1)이 형성된다. 또한, 탑재부(21)에는, 탑재면(21S)으로부터 그 탑재면(21S)은 반대측의 면에까지 관통하는 개구로서, 복수의 걸림 클릭 삽통구(揷通口)(23)(도 1) 및 케이스 고정용 개구(24)(도 1)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훅부(22)는, 탑재부(21)를 협지(sandwich)하여 서로 대향하는 탑재부(21)의 측면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훅부(22)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S 스프링(100)의 일부인 스프링 부위에 각각 걸려 고정된다.
또한, 한 쌍의 훅부(22)는 서로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고, 내측 벽부(22A), 외측 벽부(22B), 상벽부(22C) 및 암부(arm member)(22D)를 가지고 있다. 내측 벽부(22A), 외측 벽부(22B) 및 상벽부(22C)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에는, S 스프링(100)의 일부인 스프링 부위가 배치된다. 이 스프링 부위와, 내측 벽부(22A), 외측 벽부(22B) 및 상벽부(22C)와의 사이에는 완충 부재(3)가 배치된다. 훅부(22)는, 내측 벽부(22A), 외측 벽부(22B) 및 상벽부(22C)에 의해 완충 부재(3)를 통하여 스프링 부위를 걸어 고정하여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내측 벽부(22A)는, 탑재부(21)의 탑재면(21S) 측에 있어서 그 탑재면(21S)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탑재부(2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내측 벽부(22A)는, 내측 벽부(22A), 외측 벽부(22B) 및 상벽부(22C)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에 스프링 부위가 배치되는 경우, 그 스프링 부위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측의 내측부(100A)를 덮도록 연장된다. 이 경우, 내측 벽부(22A)는, 스프링 부위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3)의 내측의 일부와 접촉한다.
외측 벽부(22B)는, 탑재부(21)의 탑재면(21S) 측에 있어서 그 탑재면(21S)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선단을 향할수록 탑재부(21)에 가까워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이 외측 벽부(22B)는, 내측 벽부(22A), 외측 벽부(22B) 및 상벽부(22C)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에 스프링 부위가 배치되는 경우, 그 스프링 부위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외측부(100B)를 덮도록 연장된다. 이 경우, 외측 벽부(22B)는, 스프링 부위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3)의 외측의 일부와 접촉하고, 그 스프링 부위의 외측부(100B)로부터 내측부(100A)를 향해 완충 부재(3)를 가압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훅부(22)의 외측 벽부(22B)가 완충 부재(3)를 가압하는 가압 부위(22PT)는, 받침대(2) 측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되어 있다. 이 가압 부위(22PT)는, 내측 벽부(22A), 외측 벽부(22B) 및 상벽부(22C)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에 배치되는 스프링 부위의 최하위 P1보다 아래쪽으로 되어 있다.
상벽부(22C)는, 탑재부(21)의 탑재면(21S)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그 탑재면(21S)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 상벽부(22C)는, 내측 벽부(22A), 외측 벽부(22B) 및 상벽부(22C)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에 스프링 부위가 배치되는 경우, 그 스프링 부위에서의 상부(100C)를 덮도록 연장되고, 상기 스프링 부위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3)의 상측의 일부와 접촉한다.
이와 같이, 훅부(22)의 내측 벽부(22A), 외측 벽부(22B) 및 상벽부(22C)는 S 스프링(100)의 스프링 부위를 덮도록 연장되고, 상기 스프링 부위를 상측 및 양측의 3방향으로부터 완충 부재(3)를 통하여 에워싸도록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암부(22D)는, 탑재부(21)의 측부와 내측 벽부(22A)의 하부를 연결하는 밴드형의 부분이며, 내측 벽부(22A), 외측 벽부(22B) 및 상벽부(22C)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에 배치되는 스프링 부위와 받침대(2)의 탑재부(21)를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킨다.
이와 같은 한 쌍의 훅부(22)가 2개의 S 스프링(100)의 스프링 부위에 완충 부재(3)를 통하여 걸려 고정된 경우, 받침대(2)의 탑재면(21S)은, 그 스프링 부위의 최하위 P1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경우, 받침대(2)의 탑재면(21S)은, 훅부(22) 중 스프링 부위의 상부를 덮고 있는 외측 벽부(22B)의 최상위 P2보다 아래쪽이며, 스프링 부위의 최상위 P3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완충 부재(3)는, 받침대(2)와 S 스프링(100)과의 접촉을 완화시키는 부재이다. 이 완충 부재(3)는, 받침대(2)의 훅부(22)에서의 내측 벽부(22A), 외측 벽부(22B) 및 상벽부(22C)와, 상기의 내측 벽부(22A), 외측 벽부(22B) 및 상벽부(22C)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에 배치되는 S 스프링(100)의 스프링 부위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완충 부재(3)는, 완충 본체(31)와, 받침대(2)의 탑재부(21)에 설치되는 걸림 클릭 삽통구(23)를 통하여 탑재부(21)에 걸어 고정 가능걸림 클릭(32)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걸림 클릭 삽통구(23)는, 받침대(2)에 형성되는 개구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완충 본체(31) 및 걸림 클릭(32)은 수지 성형에 의해 일체로 되어 있다.
완충 본체(31)의 하측 벽에는, S 스프링(100)의 상부측으로부터 S 스프링(100)의 일부에 씌우도록 끼워넣어져 끼워맞춤 가능한 스프링 홈(3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 홈(31A)의 내주면(內周面)에는, 상기 스프링 홈(31A)에 끼워맞추어지는 S 스프링(100)을 가압하여 홈 내에 고정되게 하는 한 쌍의 스토퍼 편(31P)(도 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완충 본체(31)의 외부 측의 측벽에는, 받침대(2)의 외측 벽부(22B)에 형성되는 개구(22O)에 넣어 가압 부위(22PT)를 고정되게 하는 고정편(31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완충 본체(31)의 내부측의 측벽에는, 그 측벽으로부터 탑재면(21S)을 따라 연장된 후에 탑재면(21S) 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걸림 클릭(32)이 형성되어 있고, 탑재면(21S)의 역면(逆面)으로부터 걸림 클릭 삽통구(23)를 통하여 탑재부(21)에 걸어 고정 가능하게 된다.
완충 본체(31)의 스프링 홈(31A)에 스프링 부위가 끼워맞추어지고, 탑재부(21)의 걸림 클릭 삽통구(23)에 걸림 클릭(32)이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는, 받침대(2)와 S 스프링(100)이 완충 부재(3)에 의해 일정한 위치 관계로 고정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완충 본체(31)의 고정편(31B)에 훅부(22)의 가압 부위(22PT)의 일부가 넣어진 경우, 완충 본체(31)의 스프링 홈(31A)에 끼워맞추어지는 스프링 부위와 완충 본체(31)가 훅부(22)에 의해 3방향으로부터 에워싸도록 고정된다. 그러므로, 받침대(2)와 S 스프링(100)이 더 한층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은 완충 부재(3)는, 받침대(2)의 경도보다 작은 경도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완충 부재(3)의 재료로서,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 합성 수지(ABS), 폴리아미드(PA),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세탈(POM) 등의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받침대(2)의 재료로서, 스프링 강(鋼), 스테인레스재 등의 금속이나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이미드(PI),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수지를 들 수 있다. 받침대(2)의 재료로서, 큰 경도를 가지므로,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 부재(3)의 록웰(Rockwell) 경도는 HRR30∼HRR120 정도이며, 받침대(2)의 록웰 경도는 HRB80∼HRC68 정도이다. 그리고, 완충 부재(3)의 록웰 경도가 HRR30∼HRR120의 범위에 있는 경우, 받침대(2)와 S 스프링(100)과의 접촉에 의한 이상음을 더욱 경감할 수 있고, 또한 하중에 의한 완충재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대(2)의 록웰 경도가 HRB80∼HRC68의 범위에 있는 경우, 받침대(2)는, S 스프링(100)보다 유연하면서, 충분한 내구성(耐久性)을 가지므로, 바람직하다.
상부 케이스(4)는, 탑재부(21)의 탑재면(21S)에 탑재되는 메인 블록(50m)을 덮어 메인 블록(50m)의 스위치(SW) 등을 보호하는 부재이다. 또한, 상부 케이스(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쿠션(SC)에 압압(押壓)됨으로써 하중 검지 센서(5)의 스위치(SW)를 압압하는 압압 부재이기도 하다.
이 상부 케이스(4)는, 정상벽(45) 및 프레임벽(48)을 구비한다. 정상벽(45)은 대략 원형으로 되는 판형의 부재이다. 또한, 상부 케이스(4)의 프레임벽(48)은 복수 개로 분할되어, 정상벽(45)의 외주형(外周狀)으로 접속되어 있다. 복수 개로 분할되어 있는 프레임벽(48)의 각각의 사이에 있어서, 훅편(hook piece)(47)이 정상벽(45)에 접속되어 있다. 각각의 훅편(47)은, 받침대(2)의 탑재부(21)에서의 케이스 고정용 개구(24)에 끼워넣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훅편(47)이 케이스 고정용 개구(24)에 끼워넣어짐으로써, 받침대(2)와 상부 케이스(4)와의 탑재면(21S) 방향에서의 상대적인 이동이 규제된다.
상부 케이스(4)의 정상벽(45)에는, 받침대(2)의 탑재부(21)에 대향하는 측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압압부(押壓部)(4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압압부(46)의 선단은 평면 형상으로 된다. 그리고, 압압부(46)의 선단은 볼록형의 곡면 형상으로 되어도 된다.
또한, 상부 케이스(4)의 정상벽(45)에는, 압압부(46)가 설치되는 측과 같은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리브(rib)(49)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리브(49)는, 받침대(2)의 탑재부(21)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공(20H)과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받침대(2)의 탑재부(21)에 탑재되는 하중 검지 센서(5)를 상부 케이스(4)가 덮어 각각의 케이스 고정용 개구(24)에 각각의 훅편(47)이 끼워넣어진 상태에서는, 각 리브(49)는 대응하는 관통공(20H)에 삽입된다. 이로써, 하중 검지 센서(5)의 시트면 전체가 탑재부(21)에 접착되어 있지 않아도, 상기 하중 검지 센서(5)의 스위치(SW)와 상부 케이스(4)의 압압부(46)와의 탑재면(21S) 방향에서의 상대적인 이동이 규제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경우, 탑재부(21)에 탑재되는 하중 검지 센서(5)를 상부 케이스(4)가 덮어 각 케이스 고정용 개구(24)에 대응하는 훅편(47)이 끼워넣어진 상태에서는, 압압부(46)의 선단은 하중 검지 센서(5)와 접촉하고 있지만,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4)는, 시트 쿠션(SC)보다 경질(硬質)인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케이스(4)의 일부인 압압부(46)도 시트 쿠션(SC)보다 경질인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시트 쿠션(SC)은 발포된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므로, 이와 같은 상부 케이스(4)의 재료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이미드(PI),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수지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하중 검지 센서 유닛(1)이 한 쌍의 S 스프링(1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부 케이스(4)의 정상벽(45)에서의 상면(45S)은, 시트 쿠션(SC)의 하면과 소정 거리를 두고 대향한다. 이 상면(45S)은 평면형으로 된다. 상면(45S)은 시트 쿠션(SC)으로부터의 압압을 받는 수압면(受壓面)이며, 상기 상면(45S)의 면적은 압압부(46)에서의 하중 검지 센서(5)의 스위치(SW)와 접촉하는 부분의 면적보다 크게 되어 있다.
하중 검지 센서(5)는, 스위치(SW)를 가지고,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스위치 시트(50)와, 금속판(60)과, 스위치 시트(50)와 금속판(60)을 접착하는 접착층(70)을 구비한다. 접착층(70)에 의해, 스위치 시트(50)와 금속판(60)은, 접합되어 있다.
스위치 시트(50)는, 시트형(sheet type)의 멤브레인(membrane) 스위치로 되고, 대략 직사각형의 메인 블록(50m)과, 메인 블록(50m)에 접속되고 메인 블록(50m)보다 폭이 좁은 테일 블록(50t)을 구비한다. 메인 블록(50m)에는 스위치(SW)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테일 블록(50t)에는 폭이 넓은 블레이드부(blade portion)(50f)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메인 블록(50m)의 각각의 정상점(頂点) 부근에는, 관통공(50H)이 형성되어 있다.
금속판(6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층(70)에 의해 스위치 시트(50)에서의 한쪽 면에 접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 시트(50)의 일부인 메인 블록(50m) 중, 좌석 장치의 시트 쿠션(SC) 측으로 되는 면인 쿠션 측면(50mcs)에 금속판(60)이 접착된다. 그리고, 쿠션 측면(50mcs)에는, 상기 쿠션 측면(50mcs)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스위치 시트(50)의 스위치(SW)와 중첩되는 영역이 포함된다.
접착층(70)은, 스위치 시트(50)와 금속판(60)을 접합하는 층형(層形)의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착층(70)은, 금속판(60)과 동등한 크기로 된다. 이 접착층(70)의 재료로서는, 스위치 시트(50)와 금속판(60)을 접합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재료라도 되지만,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나 광경화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접착층(70)으로서는, PET나 부직포(不織布; non-woven fabric) 등의 기재(基材)의 양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라도 된다. 여기서, 접착층(70)의 유리 전이점(轉移点) Tg로서는,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점 Tg가, 85℃ 이상이므로, 더운 날씨의 자동차의 차내와 같이 고온으로 되는 환경에 있어서도, 쉽게 유동(流動)하지 않으므로, 접착층(70)의 유동에 의한 착석의 오검지를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하중 검지 센서(5)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하중 검지 센서(5)의 분해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시트(50)는, 제1 전극 시트(56)와 스페이서(58)와 제2 전극 시트(57)를 구비한다. 제1 전극 시트(56)는, 제1 절연 시트(56s)와, 제1 전극(56e)와, 제1 단자(56c)를 주된 구성으로서 가진다.
제1 절연 시트(56s)는, 가요성을 가지는 수지제의 절연 시트로 이루어진다. 이 제1 절연 시트(56s)는, 스위치 시트(50)의 메인 블록(50m)과 같은 형상의 메인 블록(56m)과, 메인 블록(56m)에 접속되고 스위치 시트(50)의 테일 블록(50t)과 대략 같은 형상의 테일 블록(56t)으로 이루어진다. 테일 블록(56t)의 형상은, 메인 블록(56m)과는 반대측의 선단 부위가 테일 블록(56t)의 다른 부위보다 좁은 폭으로 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스위치 시트(50)의 테일 블록(50t)의 형상과 다르다. 또한, 메인 블록(56m)에는, 스위치 시트(50)의 관통공(50H)과 마찬가지의 위치에 관통공(56H)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 절연 시트(56s)의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PI) 또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등의 수지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제1 절연 시트(56s)에서의 메인 블록(56m) 중, 스페이서(58)와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이, 스위치 시트(50)에서의 메인 블록(50m)의 받침대 대향면(50mps)으로 된다(도 2).
제1 전극(56e)은, 메인 블록(56m)의 대략 중앙에서의 한쪽 면 상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전극(56e)은, 도체(導體)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대략 원형의 금속 인쇄층으로 된다. 제1 단자(56c)는, 도체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대략 사각형의 금속층으로 된다. 제1 단자(56c)는, 테일 블록(56t)의 상기 선단 부위에서의 제1 전극(56e)이 설치되어 있는 측의 면 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전극(56e)과 제1 단자(56c)는 제1 배선(56w)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전극 시트(57)은, 제2 절연 시트(57s)와, 제2 전극(57e)와, 제2 단자(57c)를 주된 구성으로서 가진다.
제2 절연 시트(57s)는, 제1 전극 시트(56)보다 시트 쿠션(SC) 측에 배치되고(도 2), 제1 절연 시트(56s)와 마찬가지로 수지제의 절연 시트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2 절연 시트(57s)는, 제1 절연 시트(56s)의 메인 블록(56m)과 같은 형상의 메인 블록(57m)과, 메인 블록(57m)에 접속되고 제1 절연 시트(56s)의 테일 블록(56t)과 선단 부위 이외의 형상이 같은 형상의 테일 블록(57t)으로 이루어진다. 테일 블록(57t)의 선단 부위는 테일 블록(57t)의 다른 부위보다 좁은 폭으로 되어 있고, 제1 절연 시트(56s)와 제2 절연 시트(57s)를 중첩시켰을 때, 제1 절연 시트(56s)의 테일 블록(56t)에서의 선단 부위와 제2 절연 시트(57s)의 테일 블록(57t)에서의 선단 부위가 서로 중첩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메인 블록(57m)에는, 제1 절연 시트(56s)와 마찬가지로 하여, 스위치 시트(50)의 관통공(50H)과 마찬가지의 위치에 관통공(57H)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절연 시트(57s)의 재료로서는, 제1 절연 시트(56s)와 마찬가지로, PET, PI 또는 PEN 등의 수지를 들 수 있고, 제2 절연 시트(57s)의 재료는, 제1 절연 시트(56s)의 재료와 같아도, 상이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전극(57e)은, 제1 전극(56e)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고, 제2 절연 시트(57s)의 메인 블록(57m)의 대략 중앙에서의 한쪽 면 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전극(57e)이 설치되는 위치는, 제1 전극 시트(56)와 제2 전극 시트(57)를 중첩시켰을 때 제1 전극(56e)과 중첩되는 위치로 된다. 제2 단자(57c)는, 제1 단자(56c)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고, 테일 블록(57t)의 상기 선단 부위에서의 제2 전극(57e)이 설치되어 있는 측의 면 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절연 시트(56s)와 제2 절연 시트(57s)를 중첩시킬 때, 각각의 절연 시트의 선단 부위가 서로 중첩되지 않으므로, 제1 단자(56c) 및 제2 단자(57c)는, 제1 절연 시트(56s)와 제2 절연 시트(57s)와의 사이에 위치하지 않고 노출된다. 또한, 제2 전극(57e)과 제2 단자(57c)는 제2 배선(57w)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스페이서(58)는, 제1 전극 시트(56) 및 제2 전극 시트(57)의 사이에 배치되고, 가요성을 가지는 수지제의 절연 시트로 이루어진다. 이 스페이서(58)는, 메인 블록(58m)과, 메인 블록(58m)에 접속되는 테일 블록(58t)으로 이루어진다. 메인 블록(58m)은, 외형이 제1 절연 시트(56s), 제2 절연 시트(57s)의 메인 블록(56m, 57 m)의 외형과 마찬가지로 된다. 또한, 메인 블록(58m)에는, 중앙에 개구(58c)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제1 절연 시트(56s), 제2 절연 시트(57s)와 마찬가지로 하여, 스위치 시트(50)의 관통공(50H)과 마찬가지의 위치에 관통공(58H)이 형성되어 있다. 테일 블록(58t)은, 제1 절연 시트(56s), 제2 절연 시트(57s)의 테일 블록(56t, 57t)에서의 폭이 좁은 선단 부위를 제외한 형상으로 된다.
개구(58c)는, 대략 원형의 형상이며, 제1 전극(56e) 및 제2 전극(57e)의 직경보다 직경이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58c)는, 스페이서(58)를 제1 전극 시트(56) 및 제2 전극 시트(57)와 중첩시켜, 스페이서(58)를 평면에서 보는 경우에, 개구(58c)가 제1 전극(56e) 및 제2 전극(57e) 주위 에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58)에는, 개구(58c) 내의 공간과 스위치 시트(50)의 외부의 공간을 접속하는 슬릿(slit)(58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58b)은, 제1 전극 시트(56), 스페이서(58), 제2 전극 시트(57)를 각각 중첩시켰을 때, 에어 벤트로 된다. 그리고, 스페이서(58)를 제1 전극 시트(56) 및 제2 전극 시트(57)와 중첩시키고, 스페이서(58)를 평면에서 보는 경우에, 개구(58c)가 제1 전극(56e) 및 제2 전극(57e) 주위 에지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스페이서(58)의 재료로서는, 제1 절연 시트(56s) 및 제2 절연 시트(57s)와 마찬가지로, PET, PI 또는 PEN 등의 수지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58)의 재료는, 제1 절연 시트(56s) 또는 제2 절연 시트(57s)의 재료와 같아도, 상이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스페이서(58)의 양면에는, 제1 전극 시트(56) 및 제2 전극 시트(57)와 접착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이들 제1 전극 시트(56)와 스페이서(58)와 제2 전극 시트(57)가 상기 순서로 접착된 상태에서, 제1 전극 시트(56)의 제1 전극(56e), 제1 배선(56w), 및 제2 전극 시트(57)의 제2 전극(57e), 제2 배선(57w)은, 제1 절연 시트(56s)와 제2 절연 시트(57s)와의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1 전극(56e)과 제2 전극(57e)이 개구(58c)를 통하여 대향하여 스위치(SW)를 구성한다. 또한, 제1 전극 시트(56)와 스페이서(58)와 제2 전극 시트(57)가 중첩된 상태에서, 각각의 관통공(56H, 57H, 58H)이 서로 중첩되고, 스위치 시트(50)의 관통공(50H)으로 된다.
또한, 스위치 시트(50)의 제1 단자(56c) 및 제2 단자(57c)에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에 접속되는 신호 케이블(19)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1 단자(56c) 및 제2 단자(57c)와 각각의 신호 케이블(19)은 도전성(導電性) 페이스트나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신호 케이블(19)이 접속된 제1 단자(56c) 및 제2 단자(57c)를 포함하는 스위치 시트(50)의 테일 블록(50t)의 단부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 봉지(封止; seal) 수지(18)에 의해 덮혀져 있다. 이 단자 봉지 수지(18)는, 예를 들면, 핫멜트나 광경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각각의 신호 케이블(19)이 각각의 제1 단자(56c) 및 제2 단자(57c)로부터 벗겨지는 것이 억제되고, 또한 제1 단자(56c) 및 제2 단자(57c)가 도전성의 먼지 등에 의해 단락(短絡)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금속판(60)은, 스위치 시트(50)에 비하면 쉽게 휘지 않을 정도의 가요성을 가지는 금속의 판재로 이루어진다. 금속판(60)의 재료로서는,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인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구리나 스테인레스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금속판(60)은, 스위치 시트(50)의 메인 블록(50m)과 대략 같은 형상으로 된다.
이 금속판(60)에는, 스위치 시트(50)의 관통공(50H)과 마찬가지의 위치에 관통공(60H)이 형성되어 있고, 스위치 시트(50)와 금속판(60)을 중첩시켰을 때, 스위치 시트(50)의 관통공(50H)과 금속판(60)의 관통공(60H)이 서로 중첩된다. 또한, 스위치 시트(50)와 금속판(60)을 중첩시켰을 때, 금속판(60)은, 접착층(70)을 통하여 스위치 시트(50)의 스위치(SW)를 덮도록 하여 쿠션 측면(50mcs)에 접착된다.
이상의 구성의 하중 검지 센서(5)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2)의 탑재부(21)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SW)를 가지는 스위치 시트(50)의 메인 블록(50m)이 받침대(2)의 탑재부(21) 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스위치 시트(50)의 테일 블록(50t), 단자 봉지 수지(18), 한 쌍의 신호 케이블(19)은, 받침대(2)로부터 도출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받침대(2)에 탑재되는 하중 검지 센서(5)를 상부 케이스(4)가 덮어 각각의 케이스 고정용 개구(24)에 각각의 훅편(47)이 끼워넣어진 상태에서는, 압압부(46)는, 선단이 하중 검지 센서(5)의 금속판(60)에서의 스위치(SW)와 중첩되는 위치에 접촉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각 리브(49)는, 대응하는 금속판(60)의 관통공(60H), 스위치 시트(50)의 관통공(50H) 및 받침대(2)의 관통공(20H)을 삽통(揷通)한다. 따라서, 받침대(2)와 제1 절연 시트(56s)가 접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도, 상기 하중 검지 센서(5)의 스위치(SW)와 상부 케이스(4)의 압압부(46)와의 상대적인 이동이 규제된다. 즉, 리브(49)는, 받침대 대향면(50mps)의 방향에서의 스위치 시트(50)와 받침대(2)와의 상대적인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 부재로 이해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하중 검지 센서 유닛(1)에 의한 착석의 검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하중 검지 센서(5)의 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좌석 장치에 운전자가 착석하면, 시트 쿠션(SC)의 하면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시트 쿠션(SC)의 하면은, 상부 케이스(4)의 상면(45S)에 접촉하여, 상면(45S)을 압압한다. 그리고, 또한 시트 쿠션(SC)의 하면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압부(46)의 선단이 금속판(60)을 압압하고, 금속판(60)의 휨에 의해, 제2 절연 시트(57s)의 메인 블록(57m)도 휜다. 이 때, 제1 절연 시트(56s)의 메인 블록(56m)의 받침대 대향면(50mps)은 받침대(2)에 접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적어도 스위치(SW)의 주변 부분은 금속판(60)의 휨 측으로 추종하도록 변형된다. 그 결과, 제2 전극(57e)은 제1 전극(56e)에 접촉하여, 하중 검지 센서(5)의 스위치(SW)는 온(on) 상태로 된다. 그리고, 신호 케이블(19)에 접속되는 도시하지 않은 차량용 제어 유닛에 의해 착석이 검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하중 검지 센서 유닛(1)에서는, 하중 검지 센서(5)의 받침대(2)가, 서로 대향하는 스프링 부위의 각각에 걸려 고정되는 한 쌍의 훅부(22)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훅부(22)는, 각각, 스프링 부위에서의 상부(100C) 및 그 스프링 부위에서의 받침대(2)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부(100B)를 덮도록 연장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부위와 훅부(22)와의 사이에는 완충 부재(3)가 배치되어 있다. 이 완충 부재(3)는, 받침대(2)의 경도보다 작은 경도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하중 검지 센서 유닛(1)에서는, 받침대(2)의 경도보다 작은 경도를 가지는 완충 부재(3)가, 받침대(2)의 훅부(22)와 스프링 부위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받침대(2)와 스프링과의 충돌이 완화되어, 받침대(2)와 S 스프링(100)과의 접촉에 기인하여 이상음이 쉽게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받침대(2)는 완충 부재(3)의 경도보다 크므로, 크리프 변형이 쉽게 생기지 않게 되어 있고, 그 받침대(2)의 훅부(22)에 의해 스프링 부위에서의 상부(100C) 및 외측부(100B)가 덮혀져 있으므로, 스프링 부위와 훅부(22)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크리프 변형에 의해 쉽게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스프링 부위와 훅부(22)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에 기인하여 하중 검지 센서(5)의 스위치(SW)가 온(on)으로 될 때의 하중량의 변화가 억제되어, 하중 검지 센서(5)에 대하여 적절히 하중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의 하중 검지 센서 유닛(1)은, 이상음의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적절히 하중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훅부(22)는, 스프링 부위에서의 받침대 측에 위치하는 내측부(100A)도 덮도록 연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훅부(22)에 의해 S 스프링(100)의 양 측부가 덮히므로, 그 S 스프링(100)이 건너지르는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스프링 부위와 훅부(22)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규제된다. 따라서, 하중 검지 센서(5)의 스위치(SW)가 온(on)으로 될 때의 하중량의 변화를 더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훅부(22)는, 스프링 부위의 외측부(100B)로부터 내측부(100A)를 향해 완충 부재(3)를 가압하고 있다. 그러므로, 훅부(22)의 가압에 의해 그 훅부(22)가 완충 부재(3)를 통하여 스프링 부위에 정치한다. 따라서, S 스프링(100)이 건너지르는 방향 및 그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스프링 부위와 훅부(22)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규제되어, 하중 검지 센서(5)의 스위치(SW)가 온(on)으로 될 때의 하중량의 변화를 더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훅부(22)가 완충 부재(3)를 가압하고 있는 가압 부위(22PT)는, 스프링 부위의 최하위 P1보다 아래쪽이다. 그러므로, 훅부(22)가 완충 부재(3)를 통하여 스프링 부위를 에워싸도록 정치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 부위와 훅부(22)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더욱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완충 부재(3)는 스프링 부위에 끼워넣어져 있다. 그러므로, 스프링 부위와 훅부(22)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3) 자체가 스프링 부위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어, 상기 완충 부재(3) 및 훅부(22)의 양쪽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받침대(2)를 S 스프링(100)에 정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받침대(2)에서의 탑재부(21)의 탑재면(21S)은, 스프링 부위의 최하위 P1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써, 탑재부(21)의 탑재면(21S)이 S 스프링(100)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그 S 스프링(100)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것에 받침대(2)가 방해받지 않고, 또한 S 스프링(100) 상에 탑재되는 시트 쿠션(SC)에 받침대(2)의 탑재면(21S)이 가까우므로, 적절히 하중을 검지할 수 있다.
(2)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거나 또는 동등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특히 설명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중 검지 센서 유닛을 도 2와 같은 시점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중 검지 센서 유닛은,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완충 부재(3)의 걸림 클릭(32) 대신에, 상기 걸림 클릭(32)과 다른 구조의 걸림 클릭(132)을 채용하고 있는 점에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상위(相違)하다.
상기 제1 실시형태의 걸림 클릭(32)은, 완충 본체(31)의 내부측의 측벽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탑재면(21S)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 후에 탑재면(21S) 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는 S 스프링(100)의 내측부(100A)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의 걸림 클릭(132)은 완충 본체(31) 상벽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는 S 스프링(100)의 내측부(100A)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걸림 클릭(132)에 의해, 탑재면(21S)의 역면(逆面)으로부터 걸림 클릭 삽통구(23)를 통하여 탑재부(21)에 완충 본체(31)가 걸려 고정된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중 검지 센서 유닛에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같이 S 스프링(100)의 내측부(100A)보다 내측에 걸림 클릭(32)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걸림 클릭(132)에 의한 하중 검지 센서(5)의 배치 상의 제약이 완화된다. 따라서, 서로 대향하는 스프링 부위의 사이의 거리가 짧은 경우라도, 하중 검지 센서(5)가 비교적 큰 경우라도, 하중 검지 센서(5)를 안정된 상태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중 검지 센서 유닛은,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한 쌍의 훅부(22)를 가지는 받침대(2) 대신에, 상기 한 쌍의 훅부(22)와 다른 구조의 한 쌍의 훅부(122)를 가지는 받침대(120)를 채용하고 있는 점에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상위하다.
이 한 쌍의 훅부(122)는 서로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1 실시형태와는 상위한 내측 벽부(122A)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외측 벽부(22B) 및 상벽부(22C)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암부(22D)는 생략되어 있다.
상기 제1 실시형태의 내측 벽부(22A)는 탑재부(21)의 탑재면(21S)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었던 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의 내측 벽부(122A)는 탑재면(21S)에 대하여 경사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 내측 벽부(122A)에 의해, 훅부(122)의 외측 벽부(22B)의 최상위 P2보다 탑재면(21S)이 낮게 위치된다.
그리고, 이 탑재면(21S)은,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훅부(122)에 의해 에워싸인 스프링 부위의 최하위 P1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탑재면(21S)은, 스프링 부위의 최상위 P3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그 스프링 부위의 최상위 P3보다 위쪽에서, 스프링 부위의 내측부(100A)를 덮고 있지 않은 훅부(122)와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받침대(2)에서의 스프링 부위의 위쪽 영역과 하중 검지 센서(5)가 배치되는 영역과의 단차 SP(도 2)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대(2)의 단차 SP에 의한 하중 검지 센서(5)의 배치 상의 제약이 완화되고, 서로 대향하는 스프링 부위의 사이의 거리가 짧은 경우라도, 하중 검지 센서(5)가 비교적 큰 경우라도, 하중 검지 센서(5)를 안정된 상태로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훅부(122)를 가지는 받침대(120) 대신에, 도 6에 나타낸 훅부(222)를 가지는 받침대(220)가 채용되어도 된다. 이 훅부(222)는, 스프링 부위의 내측부(100A)를 가리지 않고 외측부(100B) 및 상부(100C)를 덮고 있다. 또한, 훅부(222)의 내측 벽부(222A)는, 스프링 부위의 상부(100C)를 덮는 외측 벽부(22B)의 최상위 P2보다 위쪽에 탑재면(21S)이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스프링 부위의 위쪽 영역에 의해 하중 검지 센서(5)를 배치되는 영역이 방해로 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어, 더 한층 하중 검지 센서(5)의 배치 상의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다.
(3) 제3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거나 또는 동등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특별히 설명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중 검지 센서 유닛을 도 2와 같은 시점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중 검지 센서 유닛은, 상기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훅부(122)를 가지는 받침대(120) 대신에, 그 훅부(122)와 다른 구조의 훅부(322)를 가지는 받침대(320)를 채용하고 있는 점에서, 상기 제2 실시형태와 상위하다.
이 훅부(322)는, 스프링 부위의 내측부(100A)를 가리지 않고 외측부(100B) 및 상부(100C)를 덮고 있다. 또한, 이 훅부(322)에서는, 탑재면(21S)에 대하여 경사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었던 상기 제2 실시형태의 내측 벽부(122A)가 생략되어 있고, 상기 탑재면(21S)은, 훅부(322) 중 스프링 부위의 상부(100C)를 덮고 있는 부분의 최상위 P2와 같은 높이로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하중 검지 센서 유닛에서는, 탑재면(21S)에 대하여 경사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었던 상기 제2 실시형태의 내측 벽부(122A)가 생략되어 있고, 그만큼 하중 검지 센서(5)와 훅부(322)를 근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서로 대향하는 스프링 부위의 사이의 거리가 짧은 경우라도, 하중 검지 센서(5)를 안정된 상태로 배치할 수 있다.
(3)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하중 검지 센서 유닛에 대하여 상기 실시형태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50)의 개구(151)에 배열되어 건너지르는 복수의 S 스프링(100) 중 서로 대향하는 2개의 S 스프링(100)에서의 스프링 부위의 사이에 받침대(2)가 배치되었다. 그러나,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50)의 개구(151)에 배열되어 건너지르는 복수의 S 스프링(100) 중 1개의 S 스프링(100)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스프링 부위의 사이에 배치되어도 된다. 그리고, 1개의 S 스프링(100) 중 서로 대향하는 스프링 부위는, S 스프링(100) 중 굴곡되어 있는 부분에서 가장 곡률이 큰 굴곡 위치 P로부터 한쪽 측으로 연장되는 스프링 부위(101)와 다른 쪽 측으로 연장되는 스프링 부위(102)이다.
또한, 상기 제2 실시형태의 받침대(120), 상기 제3 실시형태의 받침대(320)에 대하여도, 서로 대향하는 2개의 S 스프링(100)에서의 스프링 부위의 사이에 배치되었지만, 1개의 S 스프링(100)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스프링 부위의 사이에 배치되어도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스프링 부위의 사이의 거리가 짧은 경우라도, 하중 검지 센서(5)를 안정된 상태로 배치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의 받침대(2)에 비해, 상기 제2 실시형태의 받침대(120) 또는 상기 제3 실시형태의 받침대(320)가 유용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좌석 프레임의 개구에 배열되어 건너지르는 스프링으로서, S형으로 사행하는 S 스프링(100)이 채용되었다. 그러나, S 스프링(100) 대신에, 예를 들면, 직사각형 파형으로 사행하는 스프링이 채용되어도 된다. 그리고, 좌석 프레임의 개구에 배열되어 건너지르는 복수의 스프링이면, 상기 스프링의 형상은 각종 형상을 적용할 수 있지만, 사행하는 등 하여 굴곡 부위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S 스프링(100)의 직선 부위에 훅부(22)가 걸려 고정되고, 상기 직선 부위에만 완충 부재(3)가 끼워넣어져 있었다. 그러나, 훅부(22)가 걸려 고정되는 부위는 S 스프링(100)의 직선 부위가 아니라도 된다. 단, 훅부(22)가 걸려 고정되는 부위가 S 스프링(100)의 직선 부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완충 부재(3)는, 훅부(22)가 걸려 고정되는 스프링 부위 이외의 부위까지 연장되어도 된다. 여기서, 훅부가 걸려 고정되는 스프링 부위 이외의 부위까지 연장되어 있는 완충 부재(3)를 도 10 및 도 11에 예시한다. 도 10에 나타낸 완충 부재(3)는, 훅부(22)가 걸려 고정되는 스프링 부위로부터 스프링(100)의 한쪽의 단부 측을 향해 가장 가까운 제1 굴곡부(FP1)에까지 연장되고, 또한 상기 스프링 부위로부터 스프링(100)의 다른 쪽의 단부 측을 향해 가장 가까운 제2 굴곡부(FP2)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완충 부재(3)도 도 10에 나타낸 완충 부재(3)와 마찬가지로, 훅부(22)가 걸려 고정되는 스프링 부위로부터 제1 굴곡부(FP1)에까지 연장되고, 또한 상기 스프링 부위로부터 제2 굴곡부(FP2)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완충 부재(3)의 스프링 홈(31A)에는, 훅부(22)가 걸려 고정되는 스프링 부위로부터 제1 굴곡부(FP1) 및 제2 굴곡부(FP2)에까지 걸쳐 스프링(100)이 끼워넣어진다. 이와 같이, 완충 부재(3)가 연장되어 있는 경우, 훅부(22)가 걸려 고정되는 스프링 부위로부터 제1 굴곡부(FP1) 및 제2 굴곡부(FP2)에까지 걸쳐 스프링이 완충 부재(3)로 덮힌다. 그러므로, 스프링(100)과 완충 부재(3)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더 한층 억제할 수 있어, 상기 완충 부재(3) 및 훅부(22)의 양쪽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받침대(2)를 스프링에 정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완충 부재(3)는, 훅부(22)가 걸려 고정되는 스프링 부위로부터 제1 굴곡부(FP1)과, 상기 스프링 부위로부터 제2 굴곡부(FP2)와의 양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완충 부재(3)는, 훅부(22)가 걸려 고정되는 스프링 부위로부터 제1 굴곡부(FP1)에까지 연장되고, 상기 스프링 부위로부터 제2 굴곡부(FP2)측은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S 스프링(100)에서의 훅부(22)의 걸어 고정되는 부위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완충 부재(3)는, 훅부(22)가 걸려 고정되는 스프링 부위로부터 제2 굴곡부(FP2)에까지 연장되고, 상기 스프링 부위로부터 제1 굴곡부(FP1)측은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S 스프링(100)에서의 훅부(22)의 걸려 고정되는 부위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완충 부재(3)는, 훅부(22)가 걸려 고정되는 스프링 부위로부터 제1 굴곡부(FP1)을 넘어 스프링(100)의 한쪽 측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스프링(100)과 완충 부재(3)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완충 부재(3)가, 제1 굴곡부(FP1)에 있어서 가장 곡률이 큰 굴곡 위치(F1)까지, 또는 상기 굴곡 위치(F1)를 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완충 부재(3)가 제1 굴곡부(FP1)에까지 연장되어 있으면, 상기 제1 굴곡부(FP1)의 굴곡 위치(F1)에 도달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마찬가지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완충 부재(3)는, 훅부(22)가 걸려 고정되는 스프링 부위로부터 제2 굴곡부(FP2)를 넘어스프링(100)의 다른 쪽 측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스프링(100)과 완충 부재(3)와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완충 부재(3)가, 제2 굴곡부(FP2)에 있어서 가장 곡률이 큰 굴곡 위치(F2)까지, 또는 상기 굴곡 위치(F2)를 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완충 부재(3)가 제2 굴곡부(FP2)에까지 연장되어 있으면, 상기 제2 굴곡부(FP2)의 굴곡 위치(F2)에 도달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SW)를 포함하고 그 스위치(SW)보다 넓은 메인 블록(50m)이 받침대(2) 또는 (120)의 탑재면(21S) 상에 배치되었다. 그러나, 메인 블록(50m)과 테일 블록(50t)의 일부가 탑재면(21S) 상에 배치되어도 되고, 스위치 시트(50) 전체가 탑재면(21S)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요컨대, 하중 검지 센서(5) 중 적어도 스위치(SW)를 가지는 부분이 탑재면(21S) 상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른바 멤브레인 스위치의 하중 검지 센서(5)가 적용되었다. 즉, 하중 검지 센서(5)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절연 시트(56s, 57 s)와, 절연 시트(56s, 57s)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58)를 구비한다. 또한, 하중 검지 센서(5)는, 스페이서(58)의 개구(58c)를 통하여 거리를 두고 대향된 한 쌍의 절연 시트(56s, 57s)의 대향면 상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전극(56e, 57e)과, 절연 시트(57s) 중 전극(57e)이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 상에 설치되는 금속판(60)을 구비한다.
그러나, 하중을 검지하는 것인 한 상기 실시형태의 하중 검지 센서(5)의 구성 이외의 구성의 하중 검지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연 시트(56s) 대신에, 가요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기판이 채용되어도 된다. 또한, 절연 시트(57s)가 생략되고, 금속판(60)이 절연 시트(57s)와 전극(57e)을 겸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스페이서(58) 대신에, 개구(58c)가 생략된 가요성을 가지는 시트형의 스페이서가 채용되고, 압압력(押壓力; pressing force)에 따라 스페이서가 휘어져 그 스페이서를 협지하여 대향하는 전극(56e, 57e)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게 됨으로써 변화하는 정전(靜電) 용량에 기초하여 하중을 검지하는 정전(靜電) 용량식(capacitive type)의 하중 검지 센서가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케이스(4)가 설치되지만, 상기 상부 케이스(4)가 생략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한 하중 검지 센서 유닛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는, 상기한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나타낸 내용 이외에, 적절히, 본원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조합시키고, 생략, 변경, 주지(周知) 기술의 부가 등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트 쿠션 아래에 배치되고 프레임의 개구에 배열되어 건너지르는 복수의 스프링에 장착되고, 검지 대상물(對象物)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검지하는 한 이용 가능성이 있다. 즉,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의 프레임의 개구에 배열되어 건너지르는 복수의 스프링에 하중 검지 센서 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하중 검지 센서 유닛에 의해 운전자의 착석에 기인하는 압력을 검지하였으나,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가 채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간호용 베드의 시트 쿠션의 아래쪽의 프레임의 개구에 배열되어 건너지르는 복수의 스프링에 하중 검지 센서 유닛을 장착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라도 하중 검지 센서 유닛을 사용하여, 간호용 베드에 운전자가 존재하고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시트 쿠션으로서, 탄성 부재를 시트 쿠션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탄성 부재로서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고 검출 대상물로부터의 하중을 하중 검지 센서 유닛에 전달하는 한, 어떠한 재료를 사용해도 되지만, 탄성 부재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 실리콘, 에틸렌 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1: 하중 검지 센서 유닛
2, 120, 220, 320: 받침대
3, 130: 완충 부재
4: 상부 케이스
5: 하중 검지 센서
21: 탑재부
21S: 탑재면
22, 122, 222, 322: 훅부
31: 완충 본체
32, 132: 걸림 클릭
SC: 시트 쿠션
SW: 스위치

Claims (10)

  1. 시트 쿠션 아래에 배치되는 하중(荷重) 검지 센서 유닛으로서,
    하중을 검지하는 하중 검지 센서;
    상기 하중 검지 센서가 탑재되는 탑재부를 구비하고, 프레임의 개구에 배열되어 건너지르는 복수의 스프링 중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스프링 부위에 장착되는 받침대(pedestal); 및
    상기 스프링 부위와 상기 받침대 사이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서로 대향하는 스프링 부위의 각각에 걸려 고정되는 한 쌍의 훅부(hook member)를 구비하고,
    상기 훅부는, 적어도 상기 스프링 부위에 있어서 상부 및 서로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외측부를 덮도록 연장되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받침대의 경도(硬度)보다 작은 경도를 가지고, 상기 훅부와 상기 스프링 부위 사이에 배치되는,
    하중 검지 센서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는, 상기 스프링 부위의 외측부로부터 내측부를 향해 상기 완충 부재를 가압하고 있는, 하중 검지 센서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가 상기 완충 부재를 가압하고 있는 부위는, 상기 스프링 부위의 최하위보다 아래쪽인, 하중 검지 센서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스프링 부위에 끼워넣어져 있는, 하중 검지 센서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훅부가 걸려 고정되는 상기 스프링 부위로부터 상기 스프링의 한쪽의 단부(端部) 측을 향해 가장 가까운 제1 굴곡부와, 상기 스프링 부위로부터 상기 스프링의 다른 쪽의 단부 측을 향해 가장 가까운 제2 굴곡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에까지 연장되어 있는, 하중 검지 센서 유닛.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는, 상기 스프링 부위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측의 내측부도 덮도록 연장되어 있는, 하중 검지 센서 유닛.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의 탑재면은, 상기 스프링 부위의 최하위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는, 하중 검지 센서 유닛.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의 탑재면은, 상기 스프링 부위의 최상위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스프링 부위의 최상위보다 위쪽에서 상기 훅부와 연결되어 있는, 하중 검지 센서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면은, 상기 훅부 중 상기 스프링 부위의 상부를 덮고 있는 부분의 최상위와 같은 높이 또는 그 최상위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는, 하중 검지 센서 유닛.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받침대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하여 상기 받침대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 클릭(claw)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 클릭은, 상기 서로 대향하는 스프링 부위의 내측부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하중 검지 센서 유닛.
KR1020197001207A 2016-07-26 2016-11-04 하중 검지 센서 유닛 KR102157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46663 2016-07-26
JP2016146663 2016-07-26
PCT/JP2016/082853 WO2018020697A1 (ja) 2016-07-26 2016-11-04 荷重検知センサ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112A true KR20190016112A (ko) 2019-02-15
KR102157558B1 KR102157558B1 (ko) 2020-09-18

Family

ID=61016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207A KR102157558B1 (ko) 2016-07-26 2016-11-04 하중 검지 센서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492314B1 (ko)
JP (1) JP6666998B2 (ko)
KR (1) KR102157558B1 (ko)
CN (1) CN107650740B (ko)
WO (1) WO201802069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5278A (ja) 2009-11-20 2011-06-02 Aisin Seiki Co Ltd 着座検知装置
JP2015009751A (ja) * 2013-07-02 2015-01-19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CN204821443U (zh) * 2015-06-28 2015-12-02 吉林省方舟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压力弹簧式汽车座椅占位压力传感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30240A1 (de) * 1972-06-21 1974-01-17 Volkswagenwerk Ag Sitz, insbesondere fuer ein kraftfahrzeug, mit einem kontaktgeber
EP1593547B1 (en) * 2004-05-06 2009-09-02 Fico Cables, Lda Suspension mat with plastic links
KR101430196B1 (ko) * 2008-08-18 2014-08-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승객식별장치
LU91997B1 (en) * 2012-05-10 2013-11-11 Iee Sarl Seat suspension mat, especially for vehicle seat
JP6070268B2 (ja) * 2013-02-27 2017-02-0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樹脂部材
CN204845843U (zh) * 2015-06-28 2015-12-09 吉林省方舟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压簧式汽车座椅占位压力传感器
CN206446462U (zh) * 2016-07-26 2017-08-29 株式会社藤仓 载荷检测传感器单元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5278A (ja) 2009-11-20 2011-06-02 Aisin Seiki Co Ltd 着座検知装置
JP2015009751A (ja) * 2013-07-02 2015-01-19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CN204821443U (zh) * 2015-06-28 2015-12-02 吉林省方舟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压力弹簧式汽车座椅占位压力传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92314A1 (en) 2019-06-05
CN107650740A (zh) 2018-02-02
EP3492314B1 (en) 2022-03-23
KR102157558B1 (ko) 2020-09-18
EP3492314A4 (en) 2020-03-25
CN107650740B (zh) 2019-12-13
JP6666998B2 (ja) 2020-03-18
JPWO2018020697A1 (ja) 2019-04-04
WO2018020697A1 (ja)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83126B2 (ja) 荷重検知センサユニット
JP6596162B2 (ja) 荷重検知センサユニット
JP6557402B2 (ja) 荷重検知センサユニット
CN108068662B (zh) 载荷检测传感器以及载荷检测传感器单元
WO2018159704A1 (ja) 荷重検知センサ
JP6522461B2 (ja) 荷重検知装置
KR102157558B1 (ko) 하중 검지 센서 유닛
JP2017223538A (ja) 荷重検知センサユニット
WO2018124197A1 (ja) 荷重検知センサユニット
JP6751539B2 (ja) 荷重検知センサ、荷重検知センサユニット
JP2018016154A (ja) 荷重検知センサユニット
JP6684696B2 (ja) 荷重検知センサ及び荷重検知センサユニット
JP6652881B2 (ja) 荷重検知センサユニット
CN206446462U (zh) 载荷检测传感器单元
JP6533007B2 (ja) 荷重検知センサユニット
JP6596150B2 (ja) 荷重検知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シート装置
JP2019033063A (ja) 荷重検知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