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5534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5534A
KR20190015534A KR1020197000372A KR20197000372A KR20190015534A KR 20190015534 A KR20190015534 A KR 20190015534A KR 1020197000372 A KR1020197000372 A KR 1020197000372A KR 20197000372 A KR20197000372 A KR 20197000372A KR 20190015534 A KR20190015534 A KR 20190015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ack side
absorbent main
skin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7077B1 (ko
Inventor
히로토모 무카이
다카히토 나가이
구니요시 가와바타
나오타카 미무라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5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5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 A61F13/49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the diaper having an outer chassis forming the diaper and an independent absorbent structure attached to the chassis
    • A61F13/49061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the diaper having an outer chassis forming the diaper and an independent absorbent structure attached to the chassis the diaper having one or two waist members forming the diaper waist region and an independent absorbent structure attached to the one or two waist members forming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942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not being integral with the top- or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상호 교차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는 흡수성 본체; 상기 흡수성 본체의 한쪽 측의 단부에 배치된 배측 부재; 및 상기 흡수성 본체의 다른쪽 측의 단부에 배치된 등측 부재를 포함하고 상하 방향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양 측단부에 한쌍의 방누벽을 가지고, 상기 한쌍의 방누벽은, 각각, 복수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피부측부와, 상기 피부측부의 비피부측에 배치된 비피부측부를 가지고, 상기 한쌍의 방누벽은, 각각, 상기 피부측부와 상기 비피부측부의 상호 대향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접합된 접합부와, 상기 상하 방향에서 상기 접합부 위에 제공되고, 상기 상호 대향하는 면이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부를 가지며, 상기 접합부는, 상기 폭 방향에서, 상기 방누벽의 선단보다 내측에 제공되고, 상기 상하 방향에서, 상기 각각의 접합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측 부재 또는 상기 등측 부재와 겹치는 것인 흡수성 물품.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팬츠형 기저귀와 같은 일회용 기저귀가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흡수 코어(12)를 포함하는 본체(흡수성 본체)의 폭 방향의 양측에 방누 커프(방누벽)(40A)가 형성된 일회용 기저귀(1)가 개시되어 있다. 이 일회용 기저귀(1)의 방누 커프(40A)를 기립한 상태가 되게 함으로써 배설물의 누설을 방지하고 있다.
특허문헌 1: JP 2005-218876A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일회용 기저귀(1)로서는, 흡수 코어(12)가 배설물을 흡수할 경우, 본체가 무겁게 되어, 본체가 아래로 축 처지게 된다. 따라서, 방누 커프(40A)와 착용자의 신체 사이에 간극이 생겨, 다리 개구부(9)를 통해 배설물이 밖으로 새어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하고, 방누벽의 부분끼리를 접합함으로써 방누벽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평면형 부분의 유지를 쉽게 하여,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의 신체 사이의 간극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배설물이 외부로 새어 버리는 우려를 경감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측면은, 상호 교차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는 흡수성 본체; 상기 흡수성 본체의 한쪽 측의 단부에 배치된 배측 부재; 및 상기 흡수성 본체의 다른쪽 측의 단부에 배치된 등측 부재를 포함하고 상하 방향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양 측단부에 한쌍의 방누벽을 가지고, 상기 한쌍의 방누벽은, 각각, 복수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피부측부와, 상기 피부측부의 비피부측에 배치된 비피부측부를 가지고, 상기 한쌍의 방누벽은, 각각, 상기 피부측부와 상기 비피부측부의 상호 대향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접합된 접합부와, 상기 상하 방향에서 상기 접합부 위에 제공되고, 상기 상호 대향하는 면이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부를 가지며, 상기 접합부는, 상기 폭 방향에서, 상기 방누벽의 선단보다 내측에 제공되고, 상기 상하 방향에서, 상기 각각의 접합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측 부재 또는 상기 등측 부재와 겹치는 것인 흡수성 물품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수성 본체가 배설물을 흡수하여 무겁게 된 경우에도,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하고, 방누벽의 부분끼리를 접합함으로써 방누벽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평면형 부분의 유지를 쉽게 하여,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의 신체 사이의 간극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배설물이 외부로 새어 버리는 우려를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기저귀(1)를 배측에서 본 개략 정면도이다.
도 2는, 기저귀(1)의 전개 및 신장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X-X를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2의 A-A를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2의 B-B를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2의 C-C를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방누벽(50)을 전개 및 신장 상태로 한 흡수성 본체(10)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c의 영역 D를 예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7a는, 배설 전의 기저귀(1)의 착용 상태를 예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7b는, 배설 후의 기저귀(1)의 착용 상태를 예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8a는, 배설 전의 기저귀(100)(비교예)의 착용 상태를 예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8b는, 배설 후의 기저귀(100)(비교예)의 착용 상태를 예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9a는, 착용 상태의 기저귀(1)의 폭 방향으로 본 배측 중앙 단면의 일부를 예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9b는, 착용 상태의 기저귀(1)의 폭 방향으로 본 등측 중앙 단면의 일부를 예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의 기저귀(2)의 전개 및 신장 상태의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분명해진다.
상호 교차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는 흡수성 본체; 상기 흡수성 본체의 한쪽 측의 단부에 배치된 배측 부재; 및 상기 흡수성 본체의 다른쪽 측의 단부에 배치된 등측 부재를 포함하고 상하 방향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양 측단부에 한쌍의 방누벽을 가지고, 상기 한쌍의 방누벽은, 각각, 복수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피부측부와, 상기 피부측부의 비피부측에 배치된 비피부측부를 가지고, 상기 한쌍의 방누벽은, 각각, 상기 피부측부와 상기 비피부측부의 상호 대향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접합된 접합부와, 상기 상하 방향에서 상기 접합부 위에 제공되고, 상기 상호 대향하는 면이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부를 가지며, 상기 접합부는, 상기 폭 방향에서, 상기 방누벽의 선단보다 내측에 제공되고, 상기 상하 방향에서, 상기 각각의 접합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측 부재 또는 상기 등측 부재와 겹치는 것인 흡수성 물품을 개시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흡수성 물품의 상하 방향에서, 각각의 방누벽이 배측 부재 또는 등측 부재와 적어도 일부가 겹치기 때문에, 흡수성 본체가 배설물을 흡수하여 무겁게 된 경우에도,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하고, 방누벽의 부분끼리를 접합함으로써 방누벽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평면형 부분의 유지를 쉽게 하여,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의 신체 사이의 간극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배설물이 외부로 새어 버리는 우려를 경감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상기 상하 방향에서, 상기 각각의 접합부가 상기 배측 부재 및 등측 부재 둘 다와 적어도 일부가 겹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흡수성 본체가 무겁게 된 경우에도,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방누벽의 평면형 부분의 유지를 쉽게 하여,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의 신체 사이의 간극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배설물이 외부로 새어 버리는 우려를 경감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상기 상하 방향에서, 상기 등측 부재가 상기 배측 부재보다 길고, 상기 각각의 접합부에 대하여, 상기 접합부와 상기 등측 부재가 겹치는 영역이 상기 접합부와 상기 배측 부재가 겹치는 영역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둔부를 덮을 필요가 있는 등측 부재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배측 부재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할 때, 상하 방향에서, 접합부와 배측 부재가 겹치는 영역이 접합부와 등측 부재가 겹치는 영역보다 길게 하는 것으로, 흡수성 본체가 무겁게 된 경우에도,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방누벽의 평면형 부분의 유지를 쉽게 하여,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의 신체 사이의 간극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배설물이 외부로 새어 버리는 우려를 경감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한쪽 측의 단부에는, 상기 흡수성 본체와 상기 배측 부재가 서로 접착된 배측 접착 영역이 제공되고,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다른쪽 측의 단부에는, 상기 흡수성 본체와 상기 등측 부재가 서로 접착된 등측 접착 영역이 제공되며, 상기 배측 부재의 하단이 상기 배측 접착 영역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거나, 또는 상기 등측 부재의 하단이 상기 등측 접착 영역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배측 부재의 하단부 또는 등측 부재의 하단부가 흡수성 본체에 접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을 착용하고, 그 후 의복을 착용하면, 배측 부재의 하단부 또는 등측 부재의 하단부가 의복과 접촉하여 위쪽으로 되접어지게 된다. 흡수성 물품이 의복을 따라 착용되고, 흡수성 본체의 중량이 배설물 흡수로 인하여 증가하는 경우에도, 배측 부재 또는 등측 부재가 접힌 부분으로 인해, 흡수성 물품이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우려가 경감되어,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방누벽의 평면형 부분을 보다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상기 상하 방향에서, 상기 배측 접착 영역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배측 부재의 하단까지의 영역에는, 배측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상기 상하 방향에서, 상기 등측 접착 영역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등측 부재의 하단까지의 영역에는, 등측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접히는 배측 부재의 하단부 또는 접히는 등측 부재의 하단부가, 배측 탄성 부재 또는 등측 탄성 부재로 인해 수축될 우려를 경감하여, 배측 부재 및 등측 부재가 접힌 부분으로 인해 흡수성 물품이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우려를 보다 경감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상기 흡수성 본체는, 상기 배측 부재 및 상기 등측 부재의 피부측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한쪽 측의 단부에는, 상기 흡수성 본체와 상기 배측 부재가 서로 접착된 배측 접착 영역이 제공되고,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다른쪽 측의 단부에는, 상기 흡수성 본체와 상기 등측 부재가 서로 접착된 등측 접착 영역이 제공되며, 상기 폭 방향에서, 상기 배측 접착 영역이 상기 흡수성 본체의 양 측단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거나, 또는 상기 등측 접착 영역이 상기 흡수성 본체의 양 측단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흡수성 본체의 측단부가 배측 부재 또는 등측 부재에 접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다리 개구에서의 착용자의 다리의 가동 범위를 넓은 범위에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상기 한쪽 측의 각각의 상기 비접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측 부재에 제공되고,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배측 탄성 부재 중 가장 아래쪽의 배측 탄성 부재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있거나, 또는 상기 다른쪽 측의 상기 비접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등측 부재에 제공되고,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등측 탄성 부재 중 가장 아래쪽의 등측 탄성 부재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방누벽의 부분끼리를 접합함으로써 각각의 방누벽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평면형 부분이 배측 탄성 부재 또는 등측 탄성 부재로 인해 수축될 우려를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상태를 보다 유지하기 쉽게 하여, 흡수성 물품과 착용자의 신체 사이의 간극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상기 흡수성 본체는, 상기 한쪽 측 및 상기 다른쪽 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상기 흡수성 본체의 하부보다 강성이 높은 고강성 영역을 갖고 있고, 상기 상하 방향에서, 상기 접합부 각각의 적어도 한 측의 단부가 상기 고강성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상하 방향에서, 흡수성 본체의 고강성 영역과 각각의 접합부의 단부가 서로 겹치는 것으로 인해, 배측 부재 또는 등측 부재의 탄성 부재에 의해 유발되는 신장/수축을 억제할 수 있고,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하고, 방누벽의 부분끼리를 접합함으로써 각각의 방누벽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평면형 부분의 유지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
[기저귀(1)의 기본 구성]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이하, "기저귀(1)"라고도 부른다)의 기본적인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기저귀(1)를 배측에서 본 개략 정면도이다. 도 2는, 기저귀(1)의 전개 및 신장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X-X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 도 2에 있어서의 "신장 상태"란, 제품(기저귀(1))을 주름이 없게 신장시킨 상태, 구체적으로는, 기저귀(1)의 구성 부재(예를 들어, 후술하는 백 시트(14))의 치수가 그 부재 자체의 치수와 일치하거나 그것에 가까워지도록 기저귀(1)가 신장한 상태를 말한다. 또한, 도 3에서는 편의상 두께 방향의 축척을 바꾸었다.
이 기저귀(1)는, 도 1의 팬츠형 상태에 있어서, 상호 직교하는 세방향으로서 상하 방향, 폭 방향 및 전후 방향을 갖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 팬츠형 상태에서 전후 방향의 전측 및 후측을, 각각 "배측" 및 "등측"이라고도 한다.
또한, 도 2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는, 기저귀(1)는, 상호 직교하는 세방향으로서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 전개 상태에서 길이 방향의 "한쪽 측" 및 "다른쪽 측"을, 각각 "배측" 및 "등측"이라고도 한다. 또, 전개 상태의 폭 방향은, 팬츠형 상태의 폭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또한, 전개 상태의 길이 방향은, 팬츠형 상태의 상하 방향을 따르는 방향이다. 또한, 도 3 및 도 4a∼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두께 방향"이라고 하며,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측을 "피부측"이라고 하고, 그 반대측을 "비피부측"이라고 한다.
또한, 기저귀(1)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배측 부재(3), 등측 부재(4) 및 흡수성 본체(10)를 갖는다. 배측 부재(3)는 착용자의 배측을 덮는 부재이고, 등측 부재(4)는 착용자의 등측을 덮는 부재이며, 흡수성 본체(10)는, 착용자의 가랑이에 배치되어 배설물을 흡수하는 부재이다. 도 2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배측 부재(3)와 등측 부재(4)는,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며, 흡수성 본체(10)가 배측 부재(3)와 등측 부재(4) 사이의 간극에 걸쳐 있다.
기저귀(1)가 도 2의 전개 상태에 있을 때, 흡수성 본체(10)는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상하 방향)의 소정 위치(CL10)의 절곡 위치에서 접히며, 접힌 상태에서 상호 대향하는 배측 부재(3)와 등측 부재(4)는 측단부(3es) 및 측단부(4es)에서 용착 등에 의해 접합되고, 이로써, 배측 부재(3) 및 등측 부재(4)가 서로 연결되어 환상을 형성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츠형의 기저귀(1)에 허리 개구(BH) 및 한쌍의 다리 개구(LH)가 형성된다.
이 때, 흡수성 본체(10)의 한쪽 측(배측)의 단부, 구체적으로는 도 2에 있어서의 점 a, b, c, 및 d에 의해 둘러싸인 직사각형 영역에, 배측 부재(3)가 비피부측으로부터 중첩되고, 배측 부재(3)가 배측 접착 영역(3B)에서 접착에 의해 거기에 고정되어 있다. 배측 접착 영역(3B)은, 거기에 도포된 핫멜트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에 의해 고정된 영역이다. 이 때, 길이 방향에 있어서, 배측 부재(3)의 하단(3eb)은, 배측 접착 영역(3B)의 다른쪽 측에 위치하고 있고, 폭 방향에 있어서, 배측 접착 영역(3B)은, 흡수성 본체(10)의 측단(10e)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팬츠형 상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서, 하단(3ed)이 배측 접착 영역(3B)의 하단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있고, 점 a, b, c, 및 d에 의해 둘러싸인 직사각형 영역 내에서, 배측 접착 영역(3B)의 하단과 배측 부재(3)의 하단(3eb) 사이의 영역(3F)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고, 이로써 배측 부재(3)와 흡수성 본체(10)가 서로 접착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형성된다. 또한, 점 a, b, c, 및 d에 의해 둘러싸인 직사각형 영역 내에서, 배측 접착 영역(3B)의 각각의 측단과 흡수성 본체(10)의 측단(10e) 사이의 영역(3G)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고, 이로써 배측 부재(3)와 흡수성 본체(10)가 접착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흡수성 본체(10)의 다른쪽 측(등측)의 단부, 구체적으로는 도 2에 있어서의 점 e, f, g, 및 h에 의해 둘러싸인 직사각형 영역에, 등측 부재(4)가 비피부측으로부터 중첩되고, 등측 부재(4)가 등측 접착 영역(4B)에서 접착에 의해 거기에 고정되어 있다. 등측 접착 영역(4B)은, 도포되는 핫멜트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에 의해 고정되는 영역이다. 이 때, 길이 방향에 있어서, 등측 부재의 하단(4eb)은 등측 접착 영역(4B)의 한쪽 측에 위치하고 있고, 폭 방향에 있어서, 등측 접착 영역(4B)은, 흡수성 본체(10)의 측단(10e)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팬츠형 상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서, 하단(4ed)이 등측 접착 영역(4B)의 하단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있고, 점 e, f, g, 및 h에서 둘러싸인 직사각형 영역 내에, 등측 접착 영역(4B)의 하단과 등측 부재(4)의 하단(4eb) 사이의 영역(4F)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고, 이로써 등측 부재(4)와 흡수성 본체(10)가 서로 접착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형성된다. 또한, 점 e, f, g, 및 h에 의해 둘러싸인 직사각형 영역 내에, 등측 접착 영역(4B)의 각각의 측단과 흡수성 본체(10)의 측단(10e) 사이의 영역(4G)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고, 이로써 등측 부재(4)와 흡수성 본체(10)가 서로 접착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형성된다.
또한, 점 a, b, c, 및 d에 의해 둘러싸인 직사각형 영역 내에, 배측 접착 영역(3B)의 하단과 배측 부재(3)의 하단(3eb) 사이의 영역(3F)에는, 탄성 부재(35a)가 배치되어 있지 않고, 점 e, f, g, 및 h에 의해 둘러싸인 직사각형 영역 내에, 등측 접착 영역(4B)의 하단과 등측 부재(4)의 하단(4eb) 사이의 영역(4F)에는, 탄성 부재(45a, 45lg)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즉, 탄성 부재(35a)는, 영역(3F)보다 상측(한쪽 측)에 배치되어 있고, 탄성 부재(45a, 45lg)는, 영역(4F)보다 상측(다른쪽 측)에 배치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10)는, 뇨 등의 배설물을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의 형성을 하여, 그 길이 방향이 기저귀(1)의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폭 방향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10)는, 액체 흡수성의 흡수성 코어(11)와, 흡수성 코어(11)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코어랩 시트(12)를 갖는다. 또한, 흡수성 본체(10)의 폭 방향의 양측에는, 방누벽(50)이 각각 제공된다. 방누벽(50)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흡수성 코어(11)는, 소정 형상으로 성형된 펄프 섬유와 같은 액체 흡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고흡수성 폴리머(소위 SAP) 등이 이들 섬유와 혼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11)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모래시계 형상이다. 코어 랩 시트(12)는, 흡수성 코어(11)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액 투과성의 시트 부재 이며, 티슈 페이퍼, 부직포 등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톱 시트(13)는, 흡수성 코어(11)의 두께 방향으로 피부측 면에 배치되어, 기저귀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액 투과성의 시트 부재이다. 톱 시트(13)는, 예를 들어, 에어쓰루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등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백 시트(14)는, 흡수성 코어(11)의 두께 방향에서 비피부측에 배치되어, 기저귀(1)의 외층의 일부를 구성하는 액 불투과성의 시트 부재이다. 백 시트(14)는, 예를 들어 수지 필름 등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또한, 톱 시트(13)와 백 시트(14)는, 흡수성 코어(11)로부터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돌출한 부분에서 접착, 용착 등에 의해서 서로 접합되고, 이에 따라, 톱 시트(13)와 백 시트(14) 사이에 흡수성 코어(11)가 유지된다.
배측 부재(3)에서, 착용자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피부측 시트(31)와, 착용자의 비피부측에 위치하는 비피부측 시트(32)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어 있다. 피부측 시트(31)와 비피부측 시트(3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이며,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이들은 유연한 시트 부재이며, 예를 들어 부직포 등에 의해 형성된다.
탄성 스트링 등인 복수의 배측 탄성 부재(35a)가, 배측 부재(3)의 피부측 시트(31)와 비피부측 시트(32) 사이에, 소정의 신장 배율로 폭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삽입되고 접합되어 있다. 이 배측 탄성 부재(35a)에 의해서, 기저귀(1)의 배측 부재(3)에 폭 방향의 신축성이 부여된다.
등측 부재(4)에서는, 착용자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피부측 시트(41)와, 착용자의 비피부측에 위치하는 비피부측 부재(42)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어 있다. 피부측 시트(41)와 비피부측 시트(4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이며, 각각 길이 방향으로 중앙부(CL10 측)가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협폭이 된 협폭부(40c)를 갖고 있다. 또한, 이들은 각각 유연한 시트 부재이며, 예를 들어 부직포 등에 의해 형성된다.
탄성 스트링 등인 복수의 등측 탄성 부재(45a)가 소정의 신장 배율로 폭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등측 부재(4)의 피부측 시트(41)와 비피부측 시트(42) 사이에 삽입되고 접합되어 있다. 이 등측 탄성 부재(45a)에 의해서, 기저귀(1)의 등측 부재(4)에 폭 방향의 신축성이 부여된다.
또한, 등측 부재(4)에는, 등측 탄성 부재(45a)와 유사하게, 피부측 시트(41)와 비피부측 시트(42) 사이에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등측 다리 탄성 부재(45lg)가 제공된다. 등측 다리 탄성 부재(45lg)는, 등측 부재(4)의 길이 방향으로 내측 영역(흡수성 코어(11)의 길이 방향의 중앙을 향한 위치)으로부터 연장되어 협폭부(4c)를 따라 만곡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등측 다리 탄성 부재(45lg)는 각각 폭 방향에 대하여 중앙부에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부(45lgs)와, 이 직선부(45lgs)의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비스듬히 상측으로 만곡한 만곡부(45lgc)를 갖는다(도 2).
[방누벽(50)]
다음으로, 방누벽(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방누벽(50)은, 흡수성 본체(10)의 폭 방향 양측의 각각에서,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기저귀(1)의 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배치되고, 기저귀(1)의 착용 시에는, 방누벽(50)이 흡수성 본체(10)의 측단부로부터 기립하여, 배설물이 기저귀(1)의 외측으로 누출하는 것을 억제한다. 도 4a는, 도 2의 A-A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2의 B-B를 따른 단면도이며, 도 4c는, 도 2의 C-C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방누벽(50)이 전개 및 신장 상태로 있는 흡수성 본체(10)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c의 영역 D를 예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또, 도 4a∼도 4c 및 도 6에서는 편의상 두께 방향의 축척을 바꾸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누벽(50)은 각각, 시트 부재(50s)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선(f1∼f3)에서 폭 방향으로 접음으로써 형성된다. 방누벽(50)을 형성하는 시트 부재(50s)는, 예를 들어 부직포와 같은, 유연성을 갖는 시트 부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방누벽(50)에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탄성 스트링 등인 복수의 방누벽 탄성 부재(55)가 소정의 신장 배율로 신장된 상태로 방누벽(50)에 접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방누벽 탄성 부재(551∼555)가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들 방누벽 탄성 부재(55)에 의해 방누벽(50)에 길이 방향에 따른 신축성이 부여되어, 기저귀(1) 착용 시에 방누벽(50)을 기립시킨다. 방누벽 탄성 부재(55)의 수 및 배치는 도 5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기저귀(1)의 사용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되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 각각의 방누벽(50)(시트 부재(50s))의 폭 방향의 내측 단부(50ei)는, 두께 방향에서 코어 랩 시트(12)로 피복된 흡수성 코어(11)와 백 시트(14) 사이에 접착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방누벽(50)(시트 부재(50s))의 폭 방향의 외측 단부(50eo)는 흡수성 본체(10)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이 상태에서, 외측 단부(50eo)가 절곡선(f1)을 기점으로 하여 폭 방향의 내측에 절곡되고, 방누벽 탄성 부재(551∼555)를 사이에 둔 상태로 시트 부재(50s)의 부분끼리가 두께 방향으로 상호 접합된다. 이 때, 방누벽 탄성 부재(55) 중, 폭 방향에서 가장 외측인 방누벽 탄성 부재(551)는, 폭 방향에서 절곡선(f1)의 위치와 일치한다.
계속해서, 시트 부재(50s)가 절곡선(f2)를 기점으로 하여 두께 방향의 비피부측에 또한 폭 방향의 내측으로 절곡된다. 폭 방향에서의 절곡선(f2)의 위치는, 폭 방향에서의 방누벽 탄성 부재(554)의 위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계속해서, 시트 부재(50s)는 절곡선(f3)을 기점으로 하여 두께 방향으로 피부측에 또한 폭 방향으로 내측으로 절곡된다. 이에 따라, 도 4a∼도 4c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S자형으로 절곡되어지는 방누벽(50)이 형성된다. 또, 도 6의 경우, 절곡선(f3)의 위치가 방누벽(50)을 기립시킬 때의 기부(50rp)가 된다.
시트 부재(50s)가 폭 방향으로 한쪽 측에서 다른쪽 측으로 접힐 때, 두께 방향으로 가장 피부측이 되도록 방누벽(50)의 피부측부(51)가 형성되어 있다. 피부측부(51)에는, 절곡선(f1)과 절곡선(f2) 사이에 방누벽 탄성 부재(551∼554)가 제공된다. 또한, 두께 방향으로 피부측부(51)의 비피부측에는 비피부측부(52)가 형성된다. 비피부측부(52)에는, 절곡선(f2)와 절곡선(f3) 사이에 방누벽 탄성 부재(554, 555)가 제공된다. 또, 방누벽 탄성 부재(554)는 폭 방향으로 절곡선(f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며, 이로써 피부측부(51) 및 비피부측부(52) 둘 다에 제공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방누벽(50)에는, 피부측부(51)와 비피부측부(52)의 상호 대향하는 면끼리의 일부가 접합되어, 핀치 접합부(61)가 형성된다. 이하, 방누벽(50)에 있어서, 핀치 접합부(61)를 포함하고, 핀치 접합부(61)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 폭 방향으로 내측인 영역을 또한 접힘부(53)라 부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부측부(51)(비피부측부(52))의 폭 방향으로 내측인 영역에, 도 6의 아래쪽으로 비스듬한 사선부로 표시되는 핀치 접합부(61)가 제공되고, 이 영역에 또한 접힘부(53)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핀치 접합부(61)는 핫멜트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수단 또는 엠보스 가공과 같은 압착 수단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핀치 접합부(61)는, 폭 방향에서, 방누벽(50)의 선단보다 내측(폭 방향의 중앙을 향해)에 제공되어 있고, 핀치 접합부(61)가 제공되지 않은 방누벽(50)의 선단부(폭 방향의 외측)에는, 피부측부(51)와 비피부측부(52)가 서로 접합되어 있지 않다. 이하, 피부측부(51) 중, 피부측부(51)와 비피부측부(52)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피부측 단독부(54)라고도 부른다.
핀치 접합부(61)의 길이 방향으로 외측인 영역에는, 핀치 접합부(61)가 제공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방누벽(50) 중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핀치 접합부(61)의 한쪽 측의 영역 및 다른쪽 측의 영역에는, 방누벽(50)(시트 부재(50s))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면이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부(62)가 제공된다. 이 비접합부(62)에서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누벽(50)의 피부측부(51)와 비피부측부(52)가 접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접힘부(53)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폭 방향으로의 피부측부(51)의 전체 영역이 피부측 단독부(54)가 된다.
또한, 방누벽(50)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 각각에는, 엔드 접합부(63)가 제공된다. 각각의 엔드 접합부(63)에서는, 방누벽(50)의 피부측부(51)와 비피부측부(52)가 서로 접합되고, 비피부측부(52)와 톱 시트(13)가 서로 접합된다(도 4a 등). 이에 따라, 방누벽(50)의 길이 방향으로 단부에 있어서, 피부측부(51) 및 비피부측부(52)가 톱 시트(13)에 고정된다.
핀치 접합부(61)의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등측 부재(4)와 겹치고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치 접합부(61)의 다른쪽 측의 단부는, 등측 부재(4)의 하단(4eb)보다 다른쪽 측(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 핀치 접합부(61)는, 등측 다리 탄성 부재(45lg)(직선부(45lgs))와 교차하고 있고, 또한 등측 다리 탄성 부재(45lg)와도 상하 방향에서 겹치고 있다.
이러한 방누벽(50)을 이용함으로써 가랑이부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a는, 배설 전의 기저귀(1)의 착용 상태를 예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7b는, 배설 후의 기저귀(1)의 착용 상태를 예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1)의 착용 시에, 방누벽(50) 중, 피부측에 배치된 부분인 피부측부(51)가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한다. 구체적으로, 피부측부(51)의 전체가 착용자의 신체에 대하여 면접촉하도록 배치된다. 핀치 접합부(61)는, 피부측부(51)와 비피부측부(52)가 중첩되어 접합되어 있는 것에 의해 더 높은 강성을 갖는다. 이러한 이유로, 방누벽 탄성 부재(554, 555)에 의한 수축력이 작용하면, 피부측부(51)는 평면 형상을 유지한 채로, 착용자의 신체에 확실히 밀어 부쳐진다. 방누벽 탄성 부재(555)가 수축함으로 인해, 비피부측부(52)와 피부측부(51)가 동시에 착용자의 피부측에 밀어 올려지기 때문에, 접힘부(53)가 평면 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면접촉)하기 쉽게 된다. 한편, 피부측부(51) 중 피부측 단독부(54)는, 접힘부(53)보다 강성이 작아서, 자유롭게 변형하기 더 쉽다. 이러한 이유로, 피부측 단독부(54)에 배치된 방누벽 탄성 부재(551∼553)에 의해 발생된 수축력이 피부측 단독부(54)에 작용하면, 피부측 단독부(54)는 착용자의 신체 형상의 요철에 따른 곡면을 형성하면서 착용자의 피부측에 밀어 부쳐진다. 이에 따라, 방누벽(50)의 피부측부(51)의 전체를 착용자의 신체의 면에 딱 밀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의 유효성]
우선, 비교예로서 종래의 방누벽(150)을 갖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00)(이하, "기저귀(100)"이라고도 부른다)를 착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8a는, 배설 전의 기저귀(100)(비교예)의 착용 상태를 예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8b는, 배설 후의 기저귀(100)(비교예)의 착용 상태를 예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이 비교예의 기저귀(100)의 기본 구조는,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의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하지만, 기저귀(100)의 방누벽의 핀치 접합부(161)가 배측 부재(3)와도 등측 부재(4)와도 상하 방향(길이 방향)에 있어서, 겹치고 있지 않은 점이 다르다. 흡수성 본체(110)(흡수성 코어(11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에 한쌍의 방누벽(150)이 제공되고, 각각의 방누벽(150)에는, 탄성 스트링 등인 복수의 탄성 부재(155)(도 8a에서의 탄성 부재(1551∼1555))가 제공되어, 탄성 부재(155)에 의해 발생하는 수축력으로 인해, 방누벽(150)이 상측으로 기립한다. 기저귀(100)를 착용할 때,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방누벽(150)의 피부측부(151)가 탄성 부재(1551∼1555)로 인해 평면 형상을 형성하고, 피부측 단독부(154)가 착용자의 신체에 따른 곡면을 형성하면서 착용자의 피부측에 밀어 부쳐진다.
이 상태로 배설이 행해지면, 흡수성 코어(111)가 뇨 등을 흡수하여 무겁게 되어, 방누벽 탄성 부재(155)가 아래쪽으로 인장되고 신장한다. 이에 따라, 평면형으로 접촉하고 있었던 피부측부(151)와 착용자의 피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 버린다. 구체적으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측부(151) 중, 방누벽(1552, 1553, 1554)이, 흡수성 코어(111)의 중량으로 인해 하측으로 신장하여, 방누벽(1552, 1553, 1554)이 제공된 부분과 착용자의 피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배설 전의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하고 있었던 면 형상에 변형이 일어나, 가랑이부에 간극이 생겨, 배설물이 외부로 누출하여 버릴 위험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는, 방누벽(50)에 제공된 피부측부(51)와 비피부측부(52)의 폭 방향의 내측의 측부의 대향면이 서로 접합된 핀치 접합부(61)를 가지고, 핀치 접합부(61)보다 상측에 비접합부(62)를 갖고 있으며, 상하 방향에서, 핀치 접합부(61)의 일부가 등측 부재(4)와 겹치고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치 접합부(61)의 다른쪽 측의 단부는, 등측 부재(4)와 겹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핀치 접합부(61)와 등측 부재(4)가 겹치는 부분에서는, 등측 부재(4)가 방누벽(50)의 피부측부(51)와 비피부측부(52)를 피부측으로 밀어 부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피부측부(51)의 평면 형상을 유지하기 쉽게 된다. 즉, 종래의 기저귀(100)(도 8a 및 도 8b)는, 핀치 접합부(61)와 등측 부재(4)(또는 배측 부재(3))가 중첩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방누벽(150)의 피부측부(151)를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시킨 평면 형상을 방누벽 탄성 부재(155)에 의해서만 유지되었지만,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탄성 부재(55)뿐만 아니라 등측 부재(4)에 의해서도, 피부와 접촉하는 피부측부(51)의 평면 형상이 유지된다(도 7b). 등측 부재(4)의 탄성 부재(45a, 45lg)의 수축으로 인해, 피부측부(51) 및 비피부측부(61)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10)가 피부측으로 보다 압박된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45a, 45lg)를 갖는 등측 부재(4)로 인해, 비피부측으로부터 등측 부재(4)에 의해 겹쳐지는 비피부측부(52)가 피부측부(51)를 피부측으로 압박하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피부측부(51)의 평면 형상을 유지하기 쉽게 된다. 그 결과, 기저귀(1)와 착용자의 신체 사이에 간극이 쉽게 형성되지 않아, 배설물이 외부로 새어 버리는 우려를 경감할 수 있다.
또, 기저귀(1)의 상하 방향에서, 핀치 접합부(61)의 일부가 등측 부재(4)와 겹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하 방향에서, 핀치 접합부(61)와 배측 부재(3)가 겹치고 있더라도 좋다. 핀치 접합부(61)와 배측 부재(3)가 겹치는 경우에도, 등측 부재(4)와 마찬가지로, 방누벽(50)(피부측부(51))의 평면 형상 부분을 유지하기 쉽게 되어, 기저귀(1)와 착용자의 신체 사이의 간극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핀치 접합부(61)의 한쪽 측의 단부 및 다른쪽 측의 단부가 배측 부재(3) 및 등측 부재(4)와 각각 겹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핀치 접합부(61)와 겹치는 등측 부재(3) 또는 배측 부재(4)가, 방누벽(50)의 피부측부(51)및 비피부측부(52)를 보다 피부측으로 밀어 부칠 수 있기 때문에, 방누벽(50)(피부측부(51))의 평면형 부분을 보다 유지하기 쉽게 된다.
핀치 접합부(61)의 한쪽 측의 단부 및 다른쪽 측의 단부가 배측 부재(3) 및 등측 부재(4)와 각각 겹치는 경우, 상하 방향(길이 방향)에 있어서, 핀치 접합부(61)와 등측 부재(4)가 겹치는 영역의 길이가 핀치 접합부(61)와 배측 부재(3)가 겹치는 영역의 길이보다 긴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통상, 기저귀(1)와 같은 일회용 기저귀에서, 둔부를 덮을 필요가 있는 등측 부재(4)가 배측 부재(3)보다 상하 방향으로 더 길다. 이러한 이유로, 핀치 접합부(61)와 등측 부재(4)가 겹치는 영역이 핀치 접합부(61)와 배측 부재(3)가 겹치는 영역의 길이보다 상하 방향으로 더 길게 한다면, 방누벽(50)(피부측부(51))의 평면형 부분을 보다 유지하기 쉽게 하여, 기저귀(1)와 착용자의 신체 사이의 간극의 형성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서, 흡수성 본체(10)는 배측 부재(3) 및 등측 부재(4)의 피부측에 제공되고, 흡수성 본체(10)의 한쪽 측의 단부(점 a, b, c, 및 d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흡수성 본체(10)와 배측 부재(3)가 서로 접착되는 배측 접착 영역(3B)이 제공되며, 흡수성 본체(10)의 다른쪽 측의 단부(점 e, f, g, 및 h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흡수성 본체(10)와 등측 부재(4)를 서로 접착되는 등측 접착 영역(4B)이 제공된다. 또한, 배측 부재(3)의 하단(3eb)은 배측 접착 영역(3B)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있고, 등측 부재(4)의 하단(4eb)은 등측 접착 영역(4B)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 a, b, c, 및 d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중, 배측 부재(3)의 하단(3eb)과 배측 접착 영역(3B) 사이의 영역(3F)에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고, 이 영역에서 배측 부재(3)와 흡수성 본체(10)가 서로 접착되지 않으며, 점 e, f, g, 및 h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서, 등측 부재(4)의 하단(4eb)과 등측 접착 영역(4B) 사이의 영역(4F)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고, 이 영역에서는 등측 부재(4)와 흡수성 본체(10)가 서로 접착되지 않는다.
도 9a는, 착용 상태의 기저귀(1)의 폭 방향으로 본 배측 중앙 단면의 일부를 예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9b는, 착용 상태의 기저귀(1)의 폭 방향으로 본 등측 중앙 단면의 일부를 예시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기저귀(1)를 착용한 후 의복을 착용할 경우, 의복과 접촉하는 배측 부재(3)의 영역(3F) 부분이 상측으로 접히는 경우가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복과 접촉하는 등측 부재(4)의 영역(4F) 부분이 상측으로 접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배측 부재(3)(등측 부재(4)) 중 흡수성 본체(10)에 접착되지 않은 영역(3F)(영역(4F))이 상측으로 접히고, 착용자의 복부(등부분)와 의복 사이에 끼워진 경우, 영역(3F)(영역(4F)) 부분이 흡수성 본체(10)와 배측 부재(3)(등측 부재(4))에 접착한 경우에 비해, 접힌 부분(영역 (3F) 또는 (4F))이 의복에 걸리기 더 쉽기 때문에, 흡수성 본체(10)가 무거워지는 경우에도, 영역(3F)(영역(4F)) 부분이 흡수성 본체(10)와 배측 부재(3)(등측 부재(4))에 접착하는 경우보다, 기저귀(1)가 아래쪽으로 처질 가능성이 적고, 방누벽(50)의 평면형 부분과 착용자의 신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우려를 보다 경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배측 부재(3)의 하단(3eb)이 배측 접착 영역(3B)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등측 부재(4)의 하단(4eb)이 등측 접착 영역(4B)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것은 둘 중 어느 하나에만 적용되어도 좋다. 단지, 배측 부재(3)의 하단(3eb)이 배측 접착 영역(3B)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등측 부재(4)의 하단(4eb)이 등측 접착 영역(4B)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구성에 따라, 기저귀(1)가 아래쪽으로 처지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에서, 배측 접착 영역(3B)의 하단으로부터 배측 부재(3)의 하단(3eb)까지 연장되는 영역(3F)에는, 탄성 부재(35a)가 배치되어 있지 않고, 등측 접착 영역(4B)의 하단으로부터 등측 부재(4)의 하단(4eb)까지 연장되는 영역(4F)에는, 탄성 부재(45a, 45lg)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기저귀를 착용할 때, 의복에 의해서 접히는 영역(3F)의 배측 부재(3) 및 영역(4F)의 등측 부재(4)가, 탄성 부재(35a, 45a, 45lg)에 의해서 폭 방향으로 수축되어 버리는 우려를 경감할 수 있으므로, 기저귀(1)가 아래쪽으로 아래로 처질 우려를 보다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에 있어서는, 폭 방향에서, 배측 접착 영역(3B)은 흡수성 본체(10)의 양 측단(10e)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등측 접착 영역(4B)은 흡수성 본체(10)의 양 측단(10e)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흡수성 본체(10)와 배측 부재(3)(등측 부재(4))가 서로 접착되는 영역의 폭 방향 크기를 더 줄일 수 있고, 다리 개구(LH)에서의 착용자의 다리의 가동 범위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측 부재(3)(등측 부재(4))와 흡수성 본체(10)의 접착 영역의 폭 방향 크기가 클수록, 흡수성 본체(10)가 배측 부재(3)(등측 부재(4))에 의해 보다 강고히 지지될 수 있지만, 다리 개구(LH)가 좁게 되어, 착용자가 다리를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줄어들 우려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기저귀(1)에 있어서는, 폭 방향에서, 배측 접착 영역(3B)(등측 접착 영역(4B))을, 흡수성 본체(10)의 양 측단(10e)보다 내측에 제공함으로써, 배설물을 흡수함으로 인해 무거워지는 흡수성 본체(10)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한편, 또한, 다리 개구(LH)의 크기를 증가시키며, 착용자의 다리의 가동 범위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폭 방향에서, 배측 접착 영역(3B)이 흡수성 본체(10)의 양 측단(10e)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등측 접착 영역(4B)이 흡수성 본체(10)의 양 측단(10e)보다 내측에 위치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폭 방향에서, 배측 접착 영역(3B)만이 양 측단(10e)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구성도 가능하고, 등측 접착 영역(4B)만이 양 측단(10e)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배측 접착 영역(3B) 및 등측 접착 영역(4B) 둘 다가 흡수성 본체(10)의 양 측단(10e)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착용자의 다리 둘레의 가동 범위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기저귀(2)의 기본 구성]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2)의 구성에 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의 기저귀(2)의 전개 및 신장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0에서, 제1 실시형태의 기저귀(1)의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2)는, 기저귀(1)과 유사하게, 배측 부재(3), 등측 부재(4), 및 흡수성 본체(10)를 갖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이다. 흡수성 본체(10)의 한쪽 측(배측)의 단부(점 a, b, c, 및 d에 의해 둘러싸인 직사각형 영역)는 비피부측으로부터 배측 부재(3)에 의해 겹치고, 배측 접착 영역(도시되지 않음)에서 거기에 접착 고정되며, 다른쪽 측(등측)의 단부(점 e, f, g, 및 h에 의해 둘러싸인 직사각형 영역)은, 비피부측으로부터 등측 부재(4)에 의해 겹치고, 등측 접착 영역(도시되지 않음)에서 거기에 접착 고정된다.
흡수성 본체(10)의 한쪽 측의 단부(점 a, b, c, 및 d에 의해 둘러싸인 직사각형 영역)에는, 흡수성 본체(10)가 두께 방향으로 압착됨으로써, 흡수성 본체(10)의 하부(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보다 강성이 높아진 고강성 영역(3E)이 형성된다. 고강성 영역(3E)은, 탄성 부재(35a)의 수축으로 인해 흡수성 본체(10)의 한쪽 측의 단부가 폭 방향의 내측으로 수축될 우려를 경감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흡수성 본체(10)의 다른쪽 측의 단부(점 e, f, g, 및 h에 의해 둘러싸인 직사각형 영역)에는, 흡수성 본체(10)를 두께 방향으로 압착함으로써, 흡수성 본체(10)의 하부(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보다 강성이 큰 고강성 영역(4E)이 형성된다. 고강성 영역(4E)은, 탄성 부재(45a)의 수축으로 인해 흡수성 본체(10)의 다른쪽 측의 단부가 폭 방향으로 내측으로 줄어들 우려를 경감하고 있다.
기저귀(2)가, 도 10에 도시되는 전개 상태인 경우,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상하 방향)으로 소정 위치(CL10)의 절곡 위치에서 흡수성 본체(10)가 절곡되고, 상호 대향하는 배측 부재(3) 및 등측 부재(4)는, 측단부(3es) 및 측단부(4es)에서 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허리 개구(BH)(도시되지 않음), 및 한쌍의 다리 개구(LH)(도시되지 않음)가 팬츠형 상태의 기저귀(2)에 형성된다.
배측 부재(3)의,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피부측 시트(31)와 비피부측 시트(32)는 두께 방향으로 겹치고, 피부측 시트(31)와 비피부측 시트(32) 사이에, 탄성 스트링 등인 탄성 부재(35a)가 삽입되고 접합된다.
등측 부재(4)는, 두께 방향으로 겹치는 피부측 시트(41)와 비피부측 시트(42)를 가지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각각, 길이 방향으로 중앙부(CL10 측)가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협폭부(4C)를 갖는다. 탄성 스트링 등인 탄성 부재(45a)는, 피부측 시트(41)와 비피부측 시트 사이에 삽입되고 접합된다. 탄성 부재(45a)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등측 다리 탄성 부재(45lgc)가, 등측 부재(4)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내측의 영역(흡수성 코어(11)의 길이 방향의 중앙을 향하는 위치)으로부터 협폭부(4c)를 따라 연장되고, 폭 방향의 외측으로 향하여 비스듬히 상측으로 만곡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기저귀(2)에 있어서는, 등측 다리 탄성 부재(45lg)는, 기저귀(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부(45lgs)를 갖고 있지 않다.
흡수성 본체(10)는, 흡수성 코어(11), 코어 랩 시트(12), 톱 시트(13), 백 시트(14)를 포함하고, 한쌍의 방누벽(50)이 제공된다. 기저귀(2)의 흡수성 코어(11)는, 평면에서 보아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고, SAP 등이 혼입된 펄프 섬유 등의 액체 흡수성 섬유로 형성된다.
방누벽(50)은, 기저귀(1)과 유사하게,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고, 기저귀(2)의 착용 시에는 흡수성 본체의 측단부로부터 기립하여, 배설물이 기저귀(2)의 외측으로 누출하는 것을 억제한다. 방누벽(50)은 각각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방누벽 탄성 부재(55)를 갖고 있고, 기저귀(2)의 착용 시에 방누벽을 기립시킨다. 또한, 시트 부재(방누벽(50))의 접힘에 의해, 피부측부(도시되지 않음) 및 비피부측부(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되고, 피부측부와 비피부측부의 상호 대향하는 면끼리의 일부가 접합됨으로써 핀치 접합부(61)가 제공되고, 피부측부와 비피부측부의 상호 대향하는 면이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부(62)가 제공된다.
기저귀(2)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서, 핀치 접합부(61)보다 상측(배측 및 등측)에 비접합부(62)가 제공되고, 핀치 접합부(61)의 일부가 등측 부재(4)와 겹치고 있다.
이 때, 다른쪽 측(등측)의 각각의 비접합부(62)의 일부는, 등측 부재(4)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45a) 중, 가장 아래의 탄성 부재(45a)보다 하측(길이 방향의 중앙을 향해)에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치 접합부(61)는 탄성 부재(45a)와 겹치지 않고, 기저귀(1)에서와 같이 등측 다리 탄성 부재(45lg)는 직선부(45lgs)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핀치 접합부(61)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와 겹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등측의 핀치 접합부(61)의 일부가, 탄성 부재로 인해 폭 방향으로 수축할 우려를 경감하여,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방누벽(50)의 평면형 부분을 보다 유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기저귀(2)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에서, 핀치 접합부(61)의 등측의 단부가 고강성 영역(4E)의 일부와 겹치고 있다. 구체적으로, 고강성 영역(4E)의 일부의 양측에 핀치 접합부(61)의 일부가 제공된다. 고강성 영역(4E)은, 압착에 의해서 높은 강성을 가지며, 따라서, 압착되지 않는 영역(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보다 변형하기 어려운 영역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하 방향에서, 강성이 높은 고강성 영역(4E)의 일부와 겹치는 핀치 접합부(61)의 부분이, 고강성 영역(4E)으로 인해, 변형하기 어려운 상태가 되기 때문에, 탄성 부재(45a, 45lg)로 인한 폭 방향으로의 수축에 의해 유발되는 방누벽(50)의 피부측부(51)의 평면형 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여,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시키는 평면 상태를 유지하기 보다 쉽게 될 수 있다.
또, 기저귀(2)에 있어서는, 배측 부재(3)와 등측 부재(4) 둘 다에 고강성 영역(3E, 4E)이 제공되지만, 고강성 영역(3E)만, 또는 고강성 영역(4E)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상하 방향에서, 핀치 접합부(61)의 일부가 고강성 영역(3E) 및 고강성 영역(4E)과 겹쳐도 좋고, 또는 핀치 접합부(61)의 일부가 어느 한 쪽의 고강성 영역과 겹쳐도 좋다. 또, 고강성 영역을 배측 부재(3) 및 등측 부재(4) 둘 다에 제공함으로써, 방누벽(50)의 평면형 부분이 변형되는 우려를 보다 경감시킬 수 있고, 핀치 접합부(61)의 일부가 고강성 영역(3E, 4E)의 양방과 겹친다면, 방누벽(50)의 평면형 부분을 더욱 더 쉽게 유지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하였다. 상기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고, 변경 및/또는 개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하기 변형도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허리 탄성 부재 및 방누벽 탄성 부재로서, 탄성 스트링을 사용하는 예에 관해서 설명되어 있지만, 이들 탄성 부재는 소위 탄성 스트링과 같은 선형 탄성 부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소정의 폭을 갖는 평면형(띠 형상의) 탄성 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방누벽 및 백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 부재를, 신축성을 갖는 시트 부재(예를 들어, 신축성 부직포)로 하여, 탄성 스트링 등의 탄성 부재를 별도로 제공할 필요가 없는 구성도 가능하다.
1, 2 기저귀(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 배측 부재
3es 측단부
3eb 하단
31 피부측 시트
32 비피부측 시트
3B 배측 접착 영역
3E 고강성 영역
3F 영역
4 등측 부재
4es 측단부
4eb 하단
4c 협폭부
41 피부측 시트
42 비피부측 시트
4B 등측 접착 영역
4E 고강성 영역
4F 영역
10 흡수성 본체
10e 측단
11 흡수성 코어
12 코어 랩 시트
13 톱 시트
14 백 시트
35a 배측 탄성 부재
45b 등측 탄성 부재
45lg 등측 다리 탄성 부재
45lgs 직선부
45lgc 만곡부
50 방누벽
50s 시트 부재
50ei 내측 단부
50eo 외측 단부
50rp 기부
51 피부측부
52 비피부측부
53 접힘부
54 피부측 단독부
55 방누벽 탄성 부재
551∼555 방누벽 탄성 부재
61 핀치 접합부(접합부)
62 비접합부
63 엔드 접합부
100 기저귀(비교예)
110 흡수성 본체
111 흡수성 코어
150 방누벽
155 탄성 부재
1551∼1555 탄성 부재
f1, f2, f3 절곡선
BH 허리 개구
LH 다리 개구
CL10 중앙 위치

Claims (8)

  1. 상호 교차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는 흡수성 본체;
    상기 흡수성 본체의 한쪽 측의 단부에 배치된 배측 부재; 및
    상기 흡수성 본체의 다른쪽 측의 단부에 배치된 등측 부재
    를 포함하고 상하 방향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양 측단부에 한쌍의 방누벽을 가지고,
    상기 한쌍의 방누벽은, 각각, 복수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피부측부와, 상기 피부측부의 비피부측에 배치된 비피부측부를 가지고,
    상기 한쌍의 방누벽은, 각각, 상기 피부측부와 상기 비피부측부의 상호 대향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접합된 접합부와, 상기 상하 방향에서 상기 접합부 위에 제공되고, 상기 상호 대향하는 면이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부를 가지며,
    상기 접합부는, 상기 폭 방향에서, 상기 방누벽의 선단보다 내측에 제공되고,
    상기 상하 방향에서, 상기 각각의 접합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측 부재 또는 상기 등측 부재와 겹치는 것인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방향에서, 상기 각각의 접합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측 부재 및 상기 등측 부재 둘 다와 겹치는 것인 흡수성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방향에서,
    상기 등측 부재가 상기 배측 부재보다 길고,
    각각의 접합부에 대해, 상기 접합부와 상기 등측 부재가 겹치는 영역이 상기 접합부와 상기 배측 부재가 겹치는 영역보다 긴 것인 흡수성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한쪽 측의 단부에는, 상기 흡수성 본체와 상기 배측 부재가 서로 접착된 배측 접착 영역이 제공되고,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다른쪽 측의 단부에는, 상기 흡수성 본체와 상기 등측 부재가 서로 접착된 등측 접착 영역이 제공되며,
    상기 배측 부재의 하단이 상기 배측 접착 영역보다 아래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등측 부재의 하단이 상기 등측 접착 영역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방향에서, 상기 배측 접착 영역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배측 부재의 하단까지 연장되는 영역에는, 배측 탄성 부재가 배치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상하 방향에서, 상기 등측 접착 영역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등측 부재의 하단까지 연장되는 영역에는, 등측 탄성 부재가 배치되지 않는 것인 흡수성 물품.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상기 배측 부재 및 상기 등측 부재의 피부측에 제공되고,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한쪽 측의 단부에는, 상기 흡수성 본체와 상기 배측 부재가 서로 접착된 배측 접착 영역이 제공되고,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다른쪽 측의 단부에는, 상기 흡수성 본체와 상기 등측 부재가 서로 접착된 등측 접착 영역이 제공되며,
    상기 폭 방향에서, 상기 배측 접착 영역이, 상기 흡수성 본체의 양 측단보다 내측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등측 접착 영역이, 상기 흡수성 본체의 양 측단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측의 각각의 비접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측 부재에 제공되고,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배측 탄성 부재 중 가장 아래의 배측 탄성 부재보다 아래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다른쪽 측의 각각의 비접합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등측 부재에 제공되고,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등측 탄성 부재 중 가장 아래의 등측 탄성 부재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상기 한쪽 측 및 상기 다른쪽 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흡수성 본체의 하부보다 강성이 높은 고강성 영역을 가지고,
    상기 상하 방향에서, 상기 각각의 접합부의 적어도 한쪽 측의 단부가 상기 고강성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는 것인 흡수성 물품.
KR1020197000372A 2016-06-06 2017-05-18 흡수성 물품 KR102407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12631A JP6232471B1 (ja) 2016-06-06 2016-06-06 吸収性物品
JPJP-P-2016-112631 2016-06-06
PCT/JP2017/018629 WO2017212886A1 (ja) 2016-06-06 2017-05-18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534A true KR20190015534A (ko) 2019-02-13
KR102407077B1 KR102407077B1 (ko) 2022-06-08

Family

ID=60321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372A KR102407077B1 (ko) 2016-06-06 2017-05-18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925778B2 (ko)
EP (1) EP3449883B1 (ko)
JP (1) JP6232471B1 (ko)
KR (1) KR102407077B1 (ko)
CN (1) CN109310542B (ko)
AU (1) AU2017278725B2 (ko)
BR (1) BR112018074759B1 (ko)
RU (1) RU2730717C2 (ko)
SA (1) SA518400585B1 (ko)
TW (1) TWI737721B (ko)
WO (1) WO20172128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2866A (ko) * 2019-02-28 2021-10-12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흡수 용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51625B2 (ja) * 2016-08-29 2020-09-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WO2018042875A1 (ja) * 2016-08-29 2018-03-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7080050B2 (ja) * 2017-12-28 2022-06-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7080052B2 (ja) * 2017-12-28 2022-06-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7179458B2 (ja) * 2017-12-28 2022-11-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064876B2 (ja) * 2017-12-28 2022-05-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178172B2 (ja) * 2017-12-28 2022-11-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179457B2 (ja) * 2017-12-28 2022-11-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080051B2 (ja) * 2017-12-28 2022-06-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USD938019S1 (en) * 2019-03-27 2021-12-07 Timothy Camerl Surgical infant diap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8876A (ja) 2005-03-09 2005-08-18 Uni Charm Corp 防漏カフを有する使い捨ておむつ
KR20100112595A (ko) * 2007-12-28 2010-10-19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JP2011229866A (ja) * 2010-04-30 2011-11-17 Daio Paper Corp 紙おむつ
JP2012176227A (ja) * 2011-01-31 2012-09-13 Unicharm Corp 使い捨て着用物品
US20130324957A1 (en) * 2012-05-18 2013-12-05 Paul Hartmann Ag Incontinence article in pant form
WO2015059602A1 (en) * 2013-10-24 2015-04-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bsorbent assembly with integral containment flap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3994B1 (fr) * 1991-11-22 1999-03-05 Peaudouce Article d'hygiene absorbant jetable tel que couche-culotte, a effet de barriere laterale ameliore
DE9321560U1 (de) * 1992-12-02 1999-09-30 Kimberly Clark Co Saugfähiger Artikel
CA2090797A1 (en) * 1992-12-02 1994-06-03 Mary Anne Bruemmer Absorbent article having dual barrier means
JP4219069B2 (ja) * 1999-11-10 2009-02-0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040122410A1 (en) * 2000-02-01 2004-06-24 Kao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having upstanding walls for improving leakage prevention
US7727214B2 (en) * 2000-11-29 2010-06-01 Daio Paper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with spaced elastic leg openings for improved appearance
JP3734808B2 (ja) * 2003-06-23 2006-01-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US20050107763A1 (en) 2003-11-19 2005-05-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pull-on garment
JP4693530B2 (ja) * 2005-07-12 2011-06-01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US9700465B2 (en) * 2009-06-02 2017-07-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elastically contractible cuffs for better containment of liquid exudates
JP5270292B2 (ja) * 2008-10-17 2013-08-21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JP5575419B2 (ja) * 2009-03-27 2014-08-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おむつ
US8771250B2 (en) * 2009-10-29 2014-07-08 Sca Hygiene Products Ab Inverse standing gathers for an absorbent article
JP5346276B2 (ja) * 2009-12-28 2013-11-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JP5462047B2 (ja) * 2010-03-29 2014-04-0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2003184A1 (en) * 2010-06-29 2012-0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n improved leg cuff
JP2013123554A (ja) * 2011-12-15 2013-06-24 Unicharm Corp 吸収性物品
JP5988620B2 (ja) * 2012-03-06 2016-09-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DE102012208393A1 (de) * 2012-05-18 2013-11-21 Paul Hartmann Ag Inkontinenzartikel in Höschenform
JP6211777B2 (ja) * 2013-03-18 2017-10-11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WO2014150638A1 (en) * 2013-03-22 2014-09-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EP3270845B1 (en) * 2015-03-18 2019-06-1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leg cuffs
US10716716B2 (en) * 2015-03-18 2020-07-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leg cuffs
US10398608B2 (en) * 2015-06-30 2019-09-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hassis design for absorbent article
JP5948516B1 (ja) * 2016-01-29 2016-07-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8876A (ja) 2005-03-09 2005-08-18 Uni Charm Corp 防漏カフを有する使い捨ておむつ
KR20100112595A (ko) * 2007-12-28 2010-10-19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JP2011229866A (ja) * 2010-04-30 2011-11-17 Daio Paper Corp 紙おむつ
JP2012176227A (ja) * 2011-01-31 2012-09-13 Unicharm Corp 使い捨て着用物品
US20130324957A1 (en) * 2012-05-18 2013-12-05 Paul Hartmann Ag Incontinence article in pant form
WO2015059602A1 (en) * 2013-10-24 2015-04-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bsorbent assembly with integral containment flap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2866A (ko) * 2019-02-28 2021-10-12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흡수 용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A518400585B1 (ar) 2021-09-08
RU2018143675A3 (ko) 2020-07-10
AU2017278725A1 (en) 2018-12-13
EP3449883A4 (en) 2019-05-08
US10925778B2 (en) 2021-02-23
RU2018143675A (ru) 2020-07-10
JP2017217136A (ja) 2017-12-14
BR112018074759A2 (pt) 2019-03-06
TW201742608A (zh) 2017-12-16
US20190254884A1 (en) 2019-08-22
RU2730717C2 (ru) 2020-08-25
JP6232471B1 (ja) 2017-11-15
EP3449883A1 (en) 2019-03-06
EP3449883B1 (en) 2020-06-03
AU2017278725B2 (en) 2021-11-11
CN109310542B (zh) 2021-06-11
TWI737721B (zh) 2021-09-01
KR102407077B1 (ko) 2022-06-08
CN109310542A (zh) 2019-02-05
WO2017212886A1 (ja) 2017-12-14
BR112018074759B1 (pt)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5534A (ko) 흡수성 물품
JP6054699B2 (ja) 吸収性物品
KR101947337B1 (ko) 흡수성 물품
JP5577085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5243638B1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1910783B1 (ko) 흡수성 물품
JP7002202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KR20180124944A (ko) 흡수성 물품
JP2017205157A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WO2013180260A1 (ja) 使い捨ておむつ
WO2017199932A1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WO2017199300A1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及び、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装着方法
TW201713294A (zh) 用後即棄式穿著用物品
JP6510329B2 (ja) ショーツ型ナプキン
JP6608725B2 (ja) 吸収性物品
CN112399841B (zh) 吸收性物品
JP6118748B2 (ja) 使い捨ておむつ
CN111526846B (zh) 内裤型吸收性物品
JP3210985U (ja) 使い捨て着用物品
WO2020138058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及び、吸収パッド取り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