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5176A -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5176A
KR20190015176A KR1020187021464A KR20187021464A KR20190015176A KR 20190015176 A KR20190015176 A KR 20190015176A KR 1020187021464 A KR1020187021464 A KR 1020187021464A KR 20187021464 A KR20187021464 A KR 20187021464A KR 20190015176 A KR20190015176 A KR 20190015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lm
cutting
strip
starting point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1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6035B1 (ko
Inventor
히로키 모리
타쿠야 시오지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5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Glass cutting tables; Apparatus for transporting or handling sheet glass during the cutting or break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띠형상 유리 필름(3)을 평평하게 놓고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폭 방향으로 절단할 때에, 반송 경로의 제 1 구간(S1)에 있어서 폭 방향을 따라 상면(3a)측에 절단 기점(4)을 형성하는 절단 기점 형성 공정(P4)과, 반송 경로의 제 2 구간(S2)에 있어서 절단 기점(4)의 형성부(3f)를 상면(3a)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시키고, 띠형상 유리 필름(3)을 스냅핑하여 절단하는 스냅핑 절단 공정(P5)을 실행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 2 구간(S2) 내에 반송 경로를 도중에서 방향 전환시킨 방향 전환부(25)를 설치하고, 절단 기점(4)의 형성부(3f)가 방향 전환부(25)를 통과하는 것에 따라서 절단 기점(4)의 형성부(3f)를 만곡시키도록 했다.

Description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띠형상 유리 필름을 평평하게 놓은 자세에서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상기 띠형상 유리 필름을 폭 방향으로 절단하는 공정을 포함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히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형 PC 등의 모바일 단말은 박형, 경량인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들 단말에 장착되는 유리 기판에 있어서도 박판화에 대한 요청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 현재 상황이다. 이러한 현재 상황 하, 필름형상으로까지 박판화(예를 들면, 두께가 300㎛ 이하)된 유리 기판인 유리 필름이 개발, 제조되기에 이르러 있다.
유리 필름의 제조 공정에는 이것의 시초가 되는 띠형상 유리 필름을 롤형상으로 권취하여 유리롤을 제작하는 공정이나, 띠형상 유리 필름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유리 필름을 잘라내는 공정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이들 공정에서는 모두 띠형상 유리 필름을 폭 방향으로 절단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지만, 이러한 절단에 이용되는 방법의 일례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동 방법은, 유리롤을 제작함에 있어 권취되는 띠형상 유리 필름의 후방측 단부(최후로 권취되는 부위)를 형성하도록 띠형상 유리 필름을 폭 방향으로 절단하는 방법이다. 동 방법에서는, 평평하게 놓은 자세에서 길이 방향으로 반송되는 띠형상 유리 필름에 대해 폭 방향을 따라 상면측에 절단의 기점이 되는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한 후, 스크라이브 라인의 형성부를 상면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시키고, 띠형상 유리 필름을 스냅핑하여 절단한다.
또한, 동 방법에 있어서는 스크라이브 라인의 형성부를 만곡시키기 위해 이하와 같은 기구가 채용되고 있다. 이 기구는 띠형상 유리 필름의 반송 경로의 상류 측 및 하류측에 각각 띠형상 유리 필름을 표리 양측에서 협지하는 절단 전 롤러쌍 및 절단 후 롤러쌍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반송 경로 중, 양 롤러쌍의 상호간에 위치하는 개소에 상기 개소를 통과하는 띠형상 유리 필름의 부위를 하방으로부터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한 절단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동 기구에 의해 띠형상 유리 필름의 절단을 실행할 때에는 하류측의 절단 후 롤러쌍의 회전 주속도를 상류측의 절단 전 롤러쌍의 회전 주속도보다 감속시킴으로써 양 롤러쌍의 상호간을 통과 중인 띠형상 유리 필름의 부위에 휨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휜 부위를 절단 롤러가 들어올림으로써 절단 롤러 위를 통과하는 부위를 상면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시킨다. 이것에 의해, 띠형상 유리 필름의 반송에 따라 양 롤러쌍의 상호간을 스크라이브 라인의 형성부가 통과하면 상기 형성부는 절단 롤러 상에서 상면측이 볼록하게 만곡하여 띠형상 유리 필름이 스냅핑된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방법은 띠형상 유리 필름에 대한 스크라이브 라인의 형성과, 띠형상 유리 필름의 스냅핑을 반복하여 실행함으로써, 상술과 같이 유리롤을 제작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띠형상 유리 필름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유리 필름을 잘라내는 경우라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본 특허 공개 2010-132347호 공보
그러나, 띠형상 유리 필름을 폭 방향으로 절단할 때에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한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해결해야 할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즉, 동 방법에서는 띠형상 유리 필름을 절단할 때마다, 절단 후 롤러쌍의 회전 주속도를 감속시키는 것, 및 양 롤러쌍의 상호간을 통과 중인 띠형상 유리 필름의 부위를 절단 롤러에 의해 들어 올리는 것이 필수로 된다. 그 때문에, 이들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구가 당연히 필요하게 되어 설비 비용이나 설비의 운용 비용이 부당하게 늘어나 버려, 결과적으로 유리 필름의 제조 비용을 고등시켜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동 방법에서는 양 롤러쌍에 의해 띠형상 유리 필름을 표리 양측에서 협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것에 기인하여 표리면에 손상이 발생되어, 이 띠형상 유리 필름으로부터 제조되는 유리 필름의 품질이 저하되어 버리는 문제도 있었다.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은 띠형상 유리 필름을 평평하게 놓은 자세에서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상기 띠형상 유리 필름을 폭 방향으로 절단하는 공정을 포함한 제조 방법에 의해 유리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 그 제조 비용을 저감시키고 또한 품질도 향상시키는 것을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은, 띠형상 유리 필름을 반송 경로를 따라 평평하게 놓고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띠형상 유리 필름을 폭 방향으로 절단할 때에, 반송 경로의 제 1 구간에 있어서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을 따라 한쪽면측에 절단 기점을 형성하는 절단 기점 형성 공정과, 반송 경로의 제 2 구간에 있어서 절단 기점의 형성부를 한쪽면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시키고, 띠형상 유리 필름을 스냅핑하여 절단하는 스냅핑 절단 공정을 실행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 2 구간 내에 반송 경로를 도중에서 방향 전환시킨 방향 전환부를 설치하고, 절단 기점의 형성부가 방향 전환부를 통과하는 것에 따라서 절단 기점의 형성부를 만곡시키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이 방법에서는, 제 2 구간 내에 설치된 방향 전환부에 있어서 띠형상 유리 필름의 반송 경로를 도중에서 방향 전환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구간에서 형성된 후, 제 2 구간까지 이동해 온 절단 기점의 형성부가 방향 전환부를 통과하는 것에 따라서 상기 형성부가 반송 경로의 방향 전환에 따라 한쪽면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된다. 그리고, 절단 기점의 형성부의 만곡에 의해 상기 형성부에 굽힘 응력이 작용하여 절단 기점을 기점으로 띠형상 유리 필름이 스냅핑되어 폭 방향으로 절단된다. 이와 같이, 본 방법에서는 절단 기점의 형성부를 만곡시키는 기능을 반송 경로 자체가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형성부를 만곡시키기 위한 기구나 상기 기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유리 필름을 제조함에 있어 설비 비용이나 설비의 운용 비용이 부당하게 늘어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 필름의 제조 비용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방법에서는 방향 전환부를 포함하여 띠형상 유리 필름을 평평하게 놓고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한다. 이것에 의해, 띠형상 유리 필름의 상면에 대하여 대략 접촉하지 않고 상기 띠형상 유리 필름을 반송하면서 폭 방향으로 절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상면에 있어서의 손상의 발생이 가급적 억제되어, 이 띠형상 유리 필름으로부터 제조되는 유리 필름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방법에서는 절단 기점을 띠형상 유리 필름의 상면측에 형성함과 아울러, 절단 기점의 형성부가 방향 전환부를 통과하는 것에 따라서 절단 기점의 형성부를 상면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띠형상 유리 필름은 평평하게 놓고 반송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띠형상 유리 필름에는 자체 중량에 의해 상면측으로부터 하면측을 향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있다. 이것 때문에, 절단 기점을 상면측에 형성함과 아울러 절단 기점의 형성부에 방향 전환부를 통과시키는 것에 따라서 상면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시킨 경우에는 하기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이 경우에는 상면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절단 기점의 형성부가 만곡했을 때에 상기 형성부의 상류측으로 이어진 띠형상 유리 필름의 부위와 하류측으로 이어진 띠형상 유리 필름의 부위가 함께 자체 중량에 의해 하방으로 휘기 쉽다. 그 결과, 절단 기점의 형성부를 원활하게 만곡시킬 수 있어 굽힘 응력을 적절하게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띠형상 유리 필름에 절단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회피하는데 유리해진다.
상기의 방법에서는 방향 전환부가 반송 경로를 상향 구배로 하는 상향 구배 경로와, 상향 구배 경로의 하류측으로 이어지고 또한 반송 경로를 하향 구배로 하는 하향 구배 경로의 양 경로의 접속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방향 전환부까지 이동해 온 절단 기점의 형성부는 상향 구배 경로를 통과한 후, 즉시 하향 구배 경로로 진입해 가게 된다. 이 때문에, 방향 전환부의 통과에 따라서 절단 기점의 형성부를 상면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시킬 때에, 그 곡선의 곡률을 크게 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스냅핑에 충분한 크기의 굽힘 응력을 절단 기점의 형성부에 작용시키기 쉬워지고, 띠형상 유리 필름에 있어서의 절단 불량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는 반송 경로 중, 제 1 구간과 제 2 구간 사이에 위치하는 구간에 있어서 절단 기점의 형성부를 평탄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구간에서 절단 기점을 형성한 후 절단 기점의 형성부가 제 2 구간 내의 방향 전환부에 진입하기 전에 만곡에 의한 굽힘 응력을 상기 형성부에 부당하게 작용시켜 버리는 사태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반송 경로 상의 의도하지 않은 위치에서 띠형상 유리 필름이 절단되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는 절단 기점 형성 공정과 스냅핑 절단 공정을 반복하여 실행함으로써, 띠형상 유리 필름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유리 필름을 잘라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절단 기점의 형성부를 만곡시키는 기능을 반송 경로 자체가 보유하고, 상기 형성부를 만곡시키기 위한 기구나, 상기 기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띠형상 유리 필름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유리 필름을 잘라내는 경우라도 저비용으로 다수매의 유리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방법에서는 유리 필름을 반송하는 제 1 반송 장치와, 제 1 반송 장치로부터 반출된 유리 필름을 이승(移乘)시키는 제 2 반송 장치를 설치하고, 제 1 반송 장치에 의한 유리 필름의 이송 속도와 비교해서, 제 2 반송 장치에 의한 유리 필름의 이송 속도를 고속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띠형상 유리 필름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잘라낸 유리 필름 중, 유리 필름의 반송 경로 상에서 인접하는 2장의 유리 필름에 대해서, 반송 경로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유리 필름의 반송 방향 후방측의 단부와 상류측에 위치하는 유리 필름의 반송 방향 전방측의 단부가 부당하게 접촉되어 버리는 것을 회피하기 쉬워진다. 이것은 제 1 반송 장치에 비해 제 2 반송 장치에 의한 유리 필름의 이송 속도가 고속이기 때문에, 하류측에 위치하는 유리 필름이 제 1 반송 장치로부터 제 2 반송 장치로 이승할 때에 상류측에 위치하는 유리 필름과의 간격을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단부끼리의 부당한 접촉을 회피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접촉에 기인하여 유리 필름에 손상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기 어려워져 유리 필름의 품질의 저하를 방지하기 쉬워진다.
상기 방법에서는 제 1 반송 장치의 반송면에 대하여 제 2 반송 장치의 반송면을 하방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제 2 반송 장치의 반송면을 향해서 띠형상 유리 필름으로부터 잘라낸 각 유리 필름에 대응하는 보호 시트를 공급하고, 제 1 반송 장치로부터 반출된 유리 필름을 제 2 반송 장치가 반송 중인 보호 시트 상에 낙하시킴으로써, 유리 필름을 제 2 반송 장치에 이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필름은 표리면에 있어서의 손상의 발생 등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시트와 서로 겹치게 한 상태에서 취급하는 것이 통례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방법과 같이 제 1 반송 장치로부터 반출된 유리 필름을 제 2 반송 장치가 반송 중인 보호 시트 상에 낙하시키도록 하면, 이것에 따라 유리 필름이 보호 시트와 겹쳐져서 유리 필름을 상처의 발생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방법에 의하면 유리 필름을 하류 공정을 향해서 반송하면서, 보호 시트와 서로 겹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리 필름과 보호 시트를 서로 겹치게 하는 공정을 별도로 독립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유리 필름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방법에서는 띠형상 유리 필름을 롤형상으로 권취하여 유리롤을 제작할 때에 권취하는 띠형상 유리 필름의 후방측 단부를, 절단 기점 형성 공정과 스냅핑 절단 공정의 실행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반송 경로의 제 1 구간에서 띠형상 유리 필름에 절단 기점을 형성해 두면, 그 후 반송 경로 자체가 띠형상 유리 필름을 스냅핑하여 절단한다. 이 때문에, 소망의 길이의 띠형상 유리 필름을 유리롤로서 권취한 시점에서 띠형상 유리 필름에 절단 기점을 형성하면, 권취되는 띠형상 유리 필름의 후방측 단부를 형성할 수 있어 유리롤을 완성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방법에서는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 양단부 중, 한쪽 단부에만 절단 기점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 양단부 중 어느 것이나 절단 기점을 형성한 경우에는, 한쪽 단부에 형성된 절단 기점으로부터 다른 단부측을 향해 진전하는 절단부와, 다른쪽 단부에 형성된 절단 기점으로부터 한쪽 단부측을 향해 진전하는 절단부가, 폭 방향 중앙부에서 잘 합류하지 않고, 양 절단부가 띠형상 유리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어긋난 상태로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띠형상 유리 필름의 절단 단부(양 절단부의 진전에 의해 형성된 단부)의 형상이 악화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폭 방향 양단부 중, 한쪽 단부에만 절단 기점을 형성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우려를 적확하게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절단 기점을 형성한 부위에 있어서는 비형성의 부위보다 필연적으로 크랙이 발생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폭 방향 중앙부가 아닌 폭 방향 단부에 절단 기점을 형성해 두면, 중앙부에 크랙이 잔존하기 어려워져서 유리 필름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해진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띠형상 유리 필름을 평평하게 놓은 자세에서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상기 띠형상 유리 필름을 폭 방향으로 절단하는 공정을 포함한 제조 방법으로 유리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 그 제조 비용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을 도 1과 도 2의 2개의 도면으로 분할하여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는 각각 동 방법에 있어서의 일부의 공정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 II는 화살표 II보다 하류측의 공정은 도 2에 나타내고, 도 1에서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도 2에 나타내는 화살표 I은 화살표 I보다 상류측의 공정은 도 1에 나타내고, 도 2에서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은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용융 유리(1)로부터 띠형상 유리 필름(2)을 성형하는 성형 공정(P1)과, 성형 후에 연직 하방으로 반송되는 띠형상 유리 필름(2)의 반송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반송 방향 전환 공정(P2)과, 반송 방향을 전환시킨 띠형상 유리 필름(2)으로부터 불필요한 비유효부(2a)를 레이저 할단법에 의해 절단 제거하는 절단 제거 공정(P3)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은, 비유효부(2a)가 제거된 띠형상 유리 필름(3)을 평평하게 놓고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반송 경로의 제 1 구간(S1)에 있어서 폭 방향을 따라 상면(3a)측에 절단 기점(4)(도 5 참조)을 형성하는 절단 기점 형성 공정(P4)과, 반송 경로의 제 2 구간(S2)에 있어서 절단 기점(4)의 형성부(3f)(도 5 참조)를 상면(3a)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시키고, 띠형상 유리 필름(3)을 스냅핑하여 절단하는 스냅핑 절단 공정(P5)과, 스냅핑에 따라 띠형상 유리 필름(3)으로부터 잘라낸 유리 필름(5)을 시트롤(6)로부터 풀린 보호 시트(6aa)와 겹쳐서 적층하는 적층 공정(P6)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성형 공정(P1)의 실행에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된 성형체(7)를 사용한다. 성형체(7)는 용융 유리(1)를 유입시키는 최상부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홈(7a)과, 오버플로우 홈(7a)으로부터 양측방으로 넘쳐 나온 용융 유리(1)를 각각 유하시키기 위한 한 쌍의 측면부(7b, 7b)와, 양 측면부(7b, 7b)의 각각을 따라 유하한 용융 유리(1)를 융합 일체화시키기 위한 하단부(7c)를 갖는다. 성형체(7)는 상기 성형체(7)의 하단부(7c)에서 융합 일체화된 용융 유리(1)로부터 유리 리본(8)을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성형한 유리 리본(8)은 상하 복수단에 배치된 도시 생략의 롤러쌍에 의해 표리 양측으로부터 끼워진 상태에서 하방으로 인장하면서 서랭한 후, 실온 부근까지 온도를 저하시킴으로써 띠형상 유리 필름(2)으로 한다.
띠형상 유리 필름(2)은 가요성을 부여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로 성형하고, 예를 들면 300㎛ 이하의 두께로 성형한다. 이 띠형상 유리 필름(2)에는 폭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여 후에 제품으로 되는 유효부(2b)와, 유효부(2b)에 대하여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여 후에 제거의 대상이 되는 한 쌍의 비유효부(2a, 2a)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양 비유효부(2a, 2a)의 각각에는 다른 부위와 비교해서 두께가 큰 에지부가 포함되어 있다.
반송 방향 전환 공정(P2)의 실행에는 원호형상의 궤적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롤러(9a)로 이루어지는 롤러군(9)을 사용한다. 롤러군(9)은 띠형상 유리 필름(2)을 한쪽면측으로부터 지지한 상태 하, 상기 띠형상 유리 필름(2)을 원호형상의 궤적을 따라 만곡시키면서 통과시킨다. 이것에 의해, 연직 하방으로 반송되면서 롤러 군(9)에 반입된 띠형상 유리 필름(2)의 반송 방향을 전환시키고, 상기 띠형상 유리 필름(2)을 수평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반출한다.
반송 방향을 전환시킨 띠형상 유리 필름(2)은 롤러군(9)으로부터 벨트 컨베이어(10)로 이승시킨다. 이 벨트 컨베이어(10) 상에서는 띠형상 유리 필름(2)의 유효부(2b)를 향해 아래쪽에서 도시 생략의 가스(예를 들면, 공기 등)를 분사하고, 유효부(2b)를 부상시킨 상태 하, 띠형상 유리 필름(2)을 반송 경로의 하류측으로 반송한다. 벨트 컨베이어(10)로부터 반출한 띠형상 유리 필름(2)은 벨트 컨베이어(11)에 이승시킨다. 벨트 컨베이어(11)의 하방에는 띠형상 보호 시트(12a)가 롤형상으로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시트롤(12)이 배치되어 있다. 이 시트롤(12)로부터 띠형상 보호 시트(12a)를 순차적으로 풀어 벨트 컨베이어(11)의 반송면(11a)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이 반송면(11a)은 띠형상 보호 시트(12a)를 흡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반송면(11a)에는 도시 생략의 흡인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흡인 구멍을 통해 띠형상 보호 시트(12a)에 부압을 발생시켜 흡착한다. 그리고, 반송면(11a)은 벨트 컨베이어(11)의 선회 동작에 따라 흡착한 띠형상 보호 시트(12a)를 띠형상 유리 필름(2)의 반송 경로의 하류측으로 보낸다. 이것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11)에 이승시킨 띠형상 유리 필름(2)을 띠형상 보호 시트(12a)를 개재해서 반송면(11a)에 의해 지지한 상태에서 반송 경로의 하류측으로 반송한다.
절단 제거 공정(P3)은 벨트 컨베이어(11) 위를 반송되는 띠형상 유리 필름(2)에 대하여 실행한다. 절단 제거 공정(P3)의 실행에는 레이저 할단법의 실행이 가능한 레이저 절단기(13)를 이용한다. 레이저 절단기(13)는 반송 경로의 상방에서 정점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자신의 하방을 통과하는 띠형상 유리 필름(2)에 대해 레이저(14)의 조사 및 냉매(15)(예를 들면, 미스트형상의 물 등)의 분사가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레이저 절단기(13)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형상 유리 필름(2)의 유효부(2b)와 비유효부(2a)의 경계가 되는 절단 예정선(16)을 따라 레이저(14)에 의해 가열한 국소 가열부(14a)와, 냉매(15)에 의해 냉각한 국소 냉각부(15a)를 인접시킨 상태로 형성되어 간다. 이들 양 부(14a, 15a)의 온도차에 기인하여 발생되는 열응력에 의해 띠형상 유리 필름(2)을 연속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하여 띠형상 유리 필름(2)으로부터 비유효부(2a)를 점차 제거해 나간다. 절단 제거 공정(P3)의 실행 후에는 유효부(2b)만으로 이루어지는 띠형상 유리 필름(3)이 얻어진다. 이 띠형상 유리 필름(3)의 폭 방향 양단부(3b, 3b)는 레이저 할단법에 의해 형성된 할단 단부가 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레이저 할단법을 이용하여 절단 제거 공정(P3)을 실행하고 있지만, 이 밖에 레이저 용단법을 이용하여 절단 제거 공정(P3)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형상 유리 필름(2)으로부터 제거한 비유효부(2a)는 벨트 컨베이어(11)로부터 벨트 컨베이어(17)에 이승시킴과 아울러, 띠형상 유리 필름(3)(유효부(2b))의 반송 경로로부터 하방으로 이탈시켜 폐기한다. 한편, 띠형상 유리 필름(3)은 벨트 컨베이어(11)로부터 판형상체(18)로 이승시킨 후, 또한 판형상체(18)로부터 벨트 컨베이어(19)로 이승시켜 반송 경로의 하류측으로 반송해 간다. 여기서, 벨트 컨베이어(11)의 반송면(11a)에 대한 띠형상 보호 시트(12a)의 공급과 마찬가지로 해서, 판형상체(18)의 반송면(18a)에 대해서는 시트롤(20)로부터 풀린 띠형상 보호 시트(20a)를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판형상체(18)의 반송면(18a)을 통과한 띠형상 보호 시트(20a)는 판형상체(18)로부터 벨트 컨베이어(19)로 이승시켜 상기 벨트 컨베이어(19)의 반송면(19a)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판형상체(18) 및 벨트 컨베이어(19) 상에서는 각각 띠형상 보호 시트(20a)를 개재해서 반송면(18a) 및 반송면(19a)에 의해 띠형상 유리 필름(3)을 지지한 상태에서 반송 경로의 하류측으로 반송한다. 또한, 벨트 컨베이어(11)의 반송면(11a)과 마찬가지의 기구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19)의 반송면(19a)은 띠형상 보호 시트(20a)를 흡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19)로부터 반출한 띠형상 유리 필름(3)은 반송면(21a)이 수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있는 판형상체(21)에 이승시킨다. 반송면(21a)은 반송 경로의 하류측을 향해 점차 올라간 경사 평면으로 되어 있으며, 이 반송면(21a)에 의해 판형상체(21) 상에 있어서의 띠형상 유리 필름(3)의 반송 경로가 상향 구배 경로로 되어 있다. 판형상체(21)의 반송면(21a)에 대해서는 벨트 컨베이어(19)의 반송면(19a)을 통과한 띠형상 보호 시트(20a)를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또한, 띠형상 보호 시트(20a)는 벨트 컨베이어(19)와 판형상체(21)의 상호간에 배치한 텐셔너 롤러(22)를 통해서 벨트 컨베이어(19)로부터 판형상체(21)로 이승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판형상체(21) 상에 있어서는 띠형상 보호 시트(20a)를 통해서 반송면(21a)에서 띠형상 유리 필름(3)을 지지한 상태로 반송 경로(상향 구배 경로)의 하류측으로 반송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 기점 형성 공정(P4)은 판형상체(21) 위를 반송되는 띠형상 유리 필름(3)에 대하여 실행한다. 절단 기점 형성 공정(P4)의 실행에는 띠형상 유리 필름(3)을 상처내어 절단 기점(4)을 형성하는 상처 발생 수단으로서, 숫돌(23)(예를 들면, 다이아몬드 숫돌 등)을 사용한다. 숫돌(23)은 가동시에는 궤적(23a)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비가동시에는 반송 경로의 상방에서 대기시켜 두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숫돌(23)은 궤적(23a)을 따라 띠형상 유리 필름(3)의 상면(3a) 위를 폭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띠형상 유리 필름(3)의 폭 방향 양단부(3b, 3b) 중, 한쪽 단부(3b)에만 절단 기점(4)을 형성한다. 또한, 숫돌(23)은 띠형상 유리 필름(3)의 상면(3a) 위를 비회전의 상태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숫돌(23)을 이용하여 띠형상 유리 필름(3)에 형성한 손상을 절단 기점(4)으로 하고 있지만, 이 밖에 스크라이브 휠을 이용하여 띠형상 유리 필름(3)의 폭 방향으로 형성한 스크라이브 라인을 절단 기점(4)으로 해도 좋다. 또한, CO2 레이저 등의 레이저를 이용하여 띠형상 유리 필름(3)의 폭 방향으로 형성한 스크라이브 라인을 절단 기점(4)으로 해도 좋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체(21)의 반송면(21a)을 통과한 띠형상 보호 시트(20a)는 판형상체(21)보다 반송 경로의 하류측에 배치한 롤러(24)에 감아 걸고 있다. 띠형상 보호 시트(20a) 중, 판형상체(21)와 롤러(24) 사이에 브릿징된 부위(20aa)(이하, 브릿지부(20aa)라고 표기)는 반송 경로의 하류측을 향해 점차 하방으로 이행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 브릿지부(20aa)는 띠형상 유리 필름(3)으로부터 잘라낸 유리 필름(5)을 반송하는 제 1 반송 장치로서 기능함과 아울러 브릿지부(20aa)의 경사에 의해 상기 브릿지부(20aa)에 의한 반송 경로가 하향 구배 경로로 되어 있다. 이 하향 구배 경로는 상술한 상향 구배 경로의 하류측으로 이어져 있고, 상향 구배 경로와 하향 구배 경로의 양 경로의 접속부는 반송 경로를 도중에서 방향 전환시킨 방향 전환부(25)가 된다. 또한, 방향 전환부(25)는 반송 경로의 제 2 구간(S2) 내에 위치시키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냅핑 절단 공정(P5)은 띠형상 유리 필름(3)에 있어서의 절단 기점(4)의 형성부(3f)가 방향 전환부(25)를 통과하는 것에 따라서 상기 형성부(3f)를 만곡시킴으로써 실행한다. 스냅핑 절단 공정(P5)에서는 방향 전환부(25)를 통과하는 띠형상 유리 필름(3)의 자체 중량을 이용하여 절단 기점(4)의 형성부(3f)를 만곡시킨다. 이것에 의해, 곡선에 따라 발생된 굽힘 응력을 형성부(3f)에 작용시켜 절단 기점(4)을 기점으로 해서 절단부를 폭방향으로 진전시킴으로써, 띠형상 유리 필름(3)을 폭 방향으로 절단한다. 이것에 따라서, 띠형상 유리 필름(3)으로부터 유리 필름(5)을 잘라낸다. 또한, 스냅핑 절단 공정(P5)과 상술한 절단 기점 형성 공정(P4)은 복수회에 걸쳐 반복하여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띠형상 유리 필름(3)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복수장의 유리 필름(5)을 잘라낸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공정(P6)은 브릿지부(20aa)로부터 반출한 유리 필름(5)을 제 2 반송 장치로서의 벨트 컨베이어(26)로 이승시킬 때에 유리 필름(5)을 벨트 컨베이어(26)가 반송 중인 보호 시트(6aa) 상에 낙하시킴으로써 실행한다. 또한, 적층 공정(P6)은 띠형상 유리 필름(3)으로부터 잘라낸 유리 필름(5)의 한 장 한 장에 대하여 실행한다. 보호 시트(6aa)는 유리 필름(5)에 대하여 1사이즈 큰 크기를 가져 유리 필름(5)의 하면(5b) 전체를 덮는 것이 가능하다. 벨트 컨베이어(26)의 반송면(26a)은 브릿지부(20aa)(브릿지부(20aa)에 있어서의 반송면)보다 하방에 위치함과 아울러, 반송 경로의 하류측을 향해 점차 올라간 구배면으로 되어 있다. 벨트 컨베이어(26)에 의한 유리 필름(5)(보호 시트(6aa)와 적층 완료의 유리 필름(5))의 이송 속도(V1)는 브릿지부(20aa)에 의한 유리 필름(5)의 이송 속도(V2)보다 고속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이송 속도(V1)는 이송 속도(V2)를 기준으로 해서 2%~20% 증가의 속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트 컨베이어(26)의 반송면(26a)에 대한 보호 시트(6aa)의 공급은 판형상체(21)의 하방에 배치한 시트롤(6)로부터 행한다. 상세하게는, 시트롤(6)로부터 푼 띠형상 보호 시트(6a)를 한 쌍의 롤러(27, 27)에 표리 양측으로부터 협지시킨 상태 하에 양 롤러(27, 27)의 회전에 따라 띠형상 보호 시트(6a)를 벨트 컨베이어(26)의 반송면(26a)을 향해 송출해 간다. 그리고, 송출한 부위의 길이가 소망 길이로 된 시점에서 띠형상 보호 시트(6a)를 절단기(28)(예를 들면, 커터 등)에 의해 폭 방향으로 절단하여 보호 시트(6aa)를 잘라낸다.
여기서, 상술한 절단 기점 형성 공정(P4), 스냅핑 절단 공정(P5) 및 적층 공정(P6)은 서로 연동시켜 실행하고 있다. 이들 공정의 연동에 대해서 도 5~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절단 기점 형성 공정(P4)의 실행에 의해 숫돌(23)로 띠형상 유리 필름(3)에 절단 기점(4)을 형성한다. 이 때, 후에 실행할 적층 공정(P6)의 준비를 위해, 한 쌍의 롤러(27, 27)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26)의 반송면(26a)을 향한 띠형상 보호 시트(6a)의 송출을 이미 개시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 기점(4)의 형성 후에는 절단 기점(4)의 형성부(3f)를 판형상체(21) 상에서 평탄하게 유지한 상태 하, 제 1 구간(S1)과 제 2 구간(S2) 사이에 위치하는 구간을 이동시켜 방향 전환부(25)로 접근시켜 간다. 절단 기점(4)의 형성부(3f)를 방향 전환부(25)까지 도달시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형상 유리 필름(3)을 스냅핑하여 스냅핑 절단 공정(P5)을 실행하고, 띠형상 유리 필름(3)으로부터 유리 필름(5)을 잘라낸다. 그 후, 미리 한 쌍의 롤러(27, 27)에 송출시킨 띠형상 보호 시트(6a)를 절단하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잘라낸 보호 시트(6aa)와 유리 필름(5)을 겹치도록 적층 공정(P6)을 실행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 시트(6aa)와 적층시킨 유리 필름(5)은 벨트 컨베이어(26)로부터 벨트 컨베이어(29)로 이승시킨 후, 또한 반송 경로의 하류 측으로 반송하고, 최종적으로는 보호 시트(6aa)와 유리 필름(5)을 교대로 적층하여 보관한다. 또한, 벨트 컨베이어(29)의 반송면(29a)의 높이 위치는 상술한 벨트 컨베이어(19)의 반송면(19a)과 동일한 높이 위치로 되어 있다. 즉, 절단 기점 형성 공정(P4)의 실행 전에 띠형상 유리 필름(3)을 반송하는 높이 위치와, 적층 공정(P6)의 실행 후에 유리 필름(5)의 반송을 행하는 높이 위치가 변위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상에 의해,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이 완료된다.
이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한 주된 작용·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절단 기점(4)의 형성부(3f)가 방향 전환부(25)를 통과하는 것에 따라서 상기 형성부(3f)가 반송 경로의 방향 전환에 따라 상면(3a)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한다. 이것에 의해, 띠형상 유리 필름(3)을 스냅핑하여 폭 방향으로 절단한다. 이와 같이, 절단 기점(4)의 형성부(3f)를 만곡시키는 기능을 반송 경로 자체가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형성부(3f)를 만곡시키기 위한 기구나, 상기 기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유리 필름(5)을 제조함에 있어 설비 비용이나 시설의 운용 비용이 부당하게 늘어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 필름(5)의 제조 비용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동 방법에서는 절단 기점(4)의 형성시를 제외하고, 평평하게 놓고 반송되는 띠형상 유리 필름(3)의 상면(3a)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상면(3a)에 있어서의 손상의 발생이 가급적 억제되어 띠형상 유리 필름(3)으로부터 제조되는 유리 필름(5)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이미 설명 완료된 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실시형태의 설명에서 참조하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고, 제 1 실시형태와의 상위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상위하고 있는 점은 방향 전환부(25)의 구성이 다르게 되어 있는 점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브릿지부(20aa)가 수평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브릿지부(20aa)에 의한 반송 경로가 상향 구배 경로의 하류측으로 이어진 수평 경로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향 전환부(25)가 상향 구배 경로와 수평 경로의 접속부로 되어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상위하고 있는 점은 방향 전환부(25)의 구성이 다르게 되어 있는 점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형상체(21)의 반송면(21a)이 수평면으로 되어 있고, 판형상체(21) 상에 있어서의 띠형상 유리 필름(3)의 반송 경로가 하향 구배 경로의 상류측으로 이어진 수평 경로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향 전환부(25)가 수평 경로와 하향 구배 경로의 접속부로 되어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상위하고 있는 점은 띠형상 유리 필름(3)과 띠형상 보호 시트(6a)를 겹친 상태에서, 이것들을 롤형상으로 권취하여 유리롤(30)을 제작할 때에 절단 기점 형성 공정(P4)과 스냅핑 절단 공정(P5)을 실행하고 있는 점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절단 기점 형성 공정(P4)과 스냅핑 절단 공정(P5)을 각각 1회만 실행하여 롤형상으로 권취되는 띠형상 유리 필름(3)의 후방측 단부(3c)를 형성한다. 또한, 적층 공정(P6)에 있어서는 롤형상으로 권취하는 띠형상 유리 필름(3)을 시트롤(6)로부터 순차적으로 푼 띠형상 보호 시트(6a)와 연속적으로 겹쳐 나감과 아울러, 띠형상 보호 시트(6a)의 후방측 단부(6ab)를 형성하도록 1회만 띠형상 보호 시트(6a)를 폭 방향으로 절단한다.
상기 제 2 실시형태~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의 설명에서 이미 설명한 작용·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띠형상 유리 필름을 성형하고 있지만, 슬롯 다운드로우법이나 리드로우법, 플로트법에 의해 띠형상 유리 필름을 성형해도 좋다. 또한, 이 밖에 유리롤로부터 순차적으로 푼 띠형상 유리 필름에 대하여 절단 기점 형성 공정과 스냅핑 절단 공정을 반복하여 실행함으로써 띠형상 유리 필름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유리 필름을 잘라내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모두 띠형상 유리 필름의 상면측에 절단 기점 을 형성하는 형태로 되어 있지만, 하면측에 절단 기점을 형성하는 형태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수평 경로와 수평 경로의 하류측으로 이어진 상향 구배 경로의 접속부를 방향 전환부로 하고, 절단 기점의 형성부에 방향 전환부를 통과시킴에 따라 절단 기점의 형성부를 하면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시키면 된다.
3 : 띠형상 유리 필름 3a : 상면
3b : 폭 방향 단부 3c : 후방측 단부
3f : 형성부 4 : 절단 기점
5 : 유리 필름 6aa : 보호 시트
20aa : 브릿지부 25 : 방향 전환부
26 : 벨트 컨베이어 26a : 반송면
30 : 유리롤 P4 : 절단 기점 형성 공정
P5 : 스냅핑 절단 공정 S1 : 제 1 구간
S2 : 제 2 구간 V1 : 이송 속도
V2 : 이송 속도

Claims (9)

  1. 띠형상 유리 필름을 반송 경로를 따라 평평하게 놓고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상기 띠형상 유리 필름을 폭 방향으로 절단할 때에,
    상기 반송 경로의 제 1 구간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을 따라 한쪽면측에 절단 기점을 형성하는 절단 기점 형성 공정과, 상기 반송 경로의 제 2 구간에 있어서 상기 절단 기점의 형성부를 상기 한쪽면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시키고, 상기 띠형상 유리 필름을 스냅핑하여 절단하는 스냅핑 절단 공정을 실행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 2 구간 내에, 상기 반송 경로를 도중에서 방향 전환시킨 방향 전환부를 설치하고, 상기 절단 기점의 형성부가 상기 방향 전환부를 통과하는 것에 따라서 상기 절단 기점의 형성부를 만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기점을 상기 띠형상 유리 필름의 상면측에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절단 기점의 형성부가 상기 방향 전환부를 통과하는 것에 따라서 상기 절단 기점의 형성부를 상면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부가 상기 반송 경로를 상향 구배로 하는 상향 구배 경로와, 상기 상향 구배 경로의 하류측으로 이어지고 또한 상기 반송 경로를 하향 구배로 하는 하향 구배 경로의 양 경로의 접속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경로 중, 상기 제 1 구간과 상기 제 2 구간 사이에 위치하는 구간에 있어서 상기 절단 기점의 형성부를 평탄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기점 형성 공정과 상기 스냅핑 절단 공정을 반복하여 실행함으로써, 상기 띠형상 유리 필름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유리 필름을 잘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필름을 반송하는 제 1 반송 장치와, 상기 제 1 반송 장치로부터 반출된 상기 유리 필름을 이승시키는 제 2 반송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반송 장치에 의한 상기 유리 필름의 이송 속도와 비교하여, 상기 제 2 반송 장치에 의한 상기 유리 필름의 이송 속도를 고속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송 장치의 반송면에 대하여 상기 제 2 반송 장치의 반송면을 하방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 2 반송 장치의 반송면을 향해서 상기 띠형상 유리 필름으로부터 잘라낸 각 유리 필름에 대응하는 보호 시트를 공급하고,
    상기 제 1 반송 장치로부터 반출된 상기 유리 필름을 상기 제 2 반송 장치가 반송 중인 상기 보호 시트 상에 낙하시킴으로써, 상기 유리 필름을 상기 제 2 반송 장치에 이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 유리 필름을 롤형상으로 권취하여 유리롤을 제작할 때에 권취하는 상기 띠형상 유리 필름의 후방측 단부를, 상기 절단 기점 형성 공정과 상기 스냅핑 절단 공정의 실행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 유리 필름의 폭 방향 양단부 중, 한쪽 단부에만 상기 절단 기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87021464A 2016-06-02 2017-04-19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2460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10760 2016-06-02
JP2016110760A JP6669988B2 (ja) 2016-06-02 2016-06-02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PCT/JP2017/015768 WO2017208655A1 (ja) 2016-06-02 2017-04-19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176A true KR20190015176A (ko) 2019-02-13
KR102246035B1 KR102246035B1 (ko) 2021-04-29

Family

ID=60479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464A KR102246035B1 (ko) 2016-06-02 2017-04-19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669988B2 (ko)
KR (1) KR102246035B1 (ko)
CN (1) CN108883963A (ko)
TW (1) TWI752024B (ko)
WO (1) WO20172086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15529B (zh) 2017-11-07 2022-08-19 住友电工烧结合金株式会社 铁系烧结体、铁系烧结体的激光标记方法以及铁系烧结体的制造方法
JP2019182685A (ja) * 2018-04-04 2019-10-2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JP7003385B2 (ja) * 2018-05-31 2022-01-2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7148837B2 (ja) * 2018-06-22 2022-10-06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JP7148838B2 (ja) * 2018-06-22 2022-10-06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JP7342663B2 (ja) * 2019-11-29 2023-09-1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帯状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14728831A (zh) * 2019-12-23 2022-07-08 日本电气硝子株式会社 玻璃膜的制造方法及其制造装置
DE112020006293T5 (de) * 2019-12-24 2022-12-01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lasfilm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lasrolle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glasfilms
JP2022107188A (ja) * 2021-01-08 2022-07-2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ロール体の製造方法
JP2022151004A (ja) * 2021-03-26 2022-10-0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5035A (ja) * 1981-12-25 1983-07-08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ラス板の切断方法
JP2000118853A (ja) * 1998-10-08 2000-04-25 Dainippon Printing Co Ltd 搬送装置
JP2000335928A (ja) * 1999-04-27 2000-12-05 Carl Zeiss:Fa 個別のガラス板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JP2010132347A (ja) 2008-10-01 2010-06-17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ロール、ガラスロール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JP2010526014A (ja) * 2007-04-30 2010-07-29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移動中の帯状ガラスに切断線を設ける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5209343A (ja) * 2014-04-24 2015-11-24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ブレイク方法並びにブレイク装置
JP2015217603A (ja) * 2014-05-16 2015-12-07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ブレイク方法並びにブレイ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0904B2 (ja) * 2011-09-28 2015-08-12 株式会社Ihi ガラスシート切断装置
JP6087727B2 (ja) * 2012-05-25 2017-03-01 日本板硝子株式会社 帯状ガラスの切断方法
JP2014101269A (ja) * 2012-10-25 2014-06-05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フィルムの切断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5035A (ja) * 1981-12-25 1983-07-08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ラス板の切断方法
JP2000118853A (ja) * 1998-10-08 2000-04-25 Dainippon Printing Co Ltd 搬送装置
JP2000335928A (ja) * 1999-04-27 2000-12-05 Carl Zeiss:Fa 個別のガラス板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JP2010526014A (ja) * 2007-04-30 2010-07-29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移動中の帯状ガラスに切断線を設ける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0132347A (ja) 2008-10-01 2010-06-17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ロール、ガラスロール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JP2015209343A (ja) * 2014-04-24 2015-11-24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ブレイク方法並びにブレイク装置
JP2015217603A (ja) * 2014-05-16 2015-12-07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ブレイク方法並びにブレイ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08655A1 (ja) 2017-12-07
CN108883963A (zh) 2018-11-23
JP6669988B2 (ja) 2020-03-18
TWI752024B (zh) 2022-01-11
JP2017214263A (ja) 2017-12-07
KR102246035B1 (ko) 2021-04-29
TW201806888A (zh) 201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5176A (ko)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184301B1 (ko) 유리 필름 리본 제조 방법 및 유리 필름 리본 제조 장치
KR101804192B1 (ko) 밴드 형상 글라스 필름 할단 장치 및 밴드 형상 글라스 필름 할단 방법
KR101800223B1 (ko) 판형상 유리의 절단방법 및 그 절단장치
KR102246033B1 (ko)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US11192743B2 (en) Glass roll production method
JP2018062432A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2267240B1 (ko) 띠형상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TWI735753B (zh) 玻璃薄膜之製造方法
CN110785384B (zh) 玻璃膜的制造方法
WO2021149519A1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I842974B (zh) 玻璃膜的製造方法
WO2022202234A1 (ja) ガラスフィルム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102221540B1 (ko) 유리 필름 리본 제조 방법 및 유리 필름 리본 제조 장치
WO2022070814A1 (ja) 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