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974A - 가스-침투가능한 평면 구조물 - Google Patents

가스-침투가능한 평면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3974A
KR20190013974A KR1020187037965A KR20187037965A KR20190013974A KR 20190013974 A KR20190013974 A KR 20190013974A KR 1020187037965 A KR1020187037965 A KR 1020187037965A KR 20187037965 A KR20187037965 A KR 20187037965A KR 20190013974 A KR20190013974 A KR 20190013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hannel
polymer
foam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7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네스 다그
Original Assignee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filed Critical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Publication of KR20190013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9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at least two layers being foamed and next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face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42Acryl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Polyolef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6Open cell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8Closed cell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6Damping, energ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 설계와 관련하여 높은 가변성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우수한 가스 침투성을 갖는 폴리머 평면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적어도 두 개의 바로 연이은 층들을 포함하는 평면 구조물로서, 두 개의 바로 연이은 층들이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폴리머 포움 또는 필름인 평면 구조물에 의해 달성된다. 두 개의 바로 연이은 층들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층을 향하는 이의 표면에 채널을 갖고, 채널은, 채널이 증기 침투성에 충분한 자유 부피를 갖도록, 두 개의 연이은 층들로 형성된 접점면을 경계로 하는 에지들 중 하나에서부터 또 다른 이러한 에지로 연장된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평면 구조물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스-침투가능한 평면 구조물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접착 결합 물질로서 또는 달리 단순히 건설용 적용에서 보조 물질로서 사용되는 부류의 폴리머 시트형 구조물(polymeric sheetlike structure)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적용은 유리 엘리먼트를 이들을 위해 의도된 프레임에 설치하는데 있어서의 스페이서(spacer), 특히 발포형 스페이서(foamed spacer)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개선된 가스 및/또는 증기 침투성을 갖는 시트형 구조물, 보다 구체적으로 포움(foam)이 제안된다.
시트형 구조물로서 사용되는 폴리머 물질은 가스에 대하여 특정 침투성을 갖추는 것이 종종 필요하다. 이는, 예를 들어, 단면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에서 캐리어(carrier)로서 또는 상응하는 프레임 엘리먼트에 대한 창 유리의 접착 결합에서 스페이서로서 발포 시트형 구조물의 적용과 관련된다. 후자의 접착 결합에서, 경화될 수 있도록 수분과 반응해야 하는 접착제가 종종 사용된다. 이후에 발포 시트형 구조물이 프레임에서 유리 엘리먼트의 예비 고정을 제공하기 위해 스페이서로 사용되는 경우, 스페이서는 이러한 적용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실리콘 접착제에 대기 수분이 이동할 수 있도록 수증기에 대해 충분히 침투성이어야 한다. 실리콘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신속하고 확실하게 가교할 수 있도록 대기 수분을 필요로 한다.
프레임 구성물에서의 유리 엘리먼트의 설치에서 그 사용이 찾아지는 발포형 테이프는, 예를 들어, US 8,826,611 B2호에 기재되어 있다.
필름의 가스 침투성은 일반적으로 이들의 재료 및 이들의 두께에 의해 결정되지만, 포움의 경우에는 이들의 셀 구조가 이들의 중요한 결정 사항이다. 개방-셀 포움(open-cell foam)의 경우에, 침투성은 종종 충분하다. 이와 대조적으로 폐쇄-셀 포움(closed-cell foam)은 일반적으로 가스에 대해 침투성을 갖지 않거나, 거의 갖지 않는다. 그러한 포움의 경우, 고밀도 폴리머 물질을 통한 가스의 수송이 필요하고, 이는, 예를 들어, 확산과 같이 매우 느린 공정을 통해서만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폐쇄-셀 포움은 종종 밀봉 적용에서 사용된다.
밀봉을 더 많이 수반하는 그러한 적용은, 예를 들어, WO 2013/029871 A1호에 기재되어 있다.
US 2016/0101602 A1호의 주제는 유리 라미네이트의 생산에서 매우 우수한 통기 품질을 갖고, 함께 라미네이션(lamination)된 둘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합판 유리(laminated glass)를 위한 인터레이어(interlayer)이다.
일반적으로, 우수한 가스 침투성을 갖는 폴리머 시트형 구조물을 위한 요구가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부류의 시트형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고, 제품 설계(두께, 밀도 등)와 관련하여 높은 가변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폐쇄-셀 포움의 경우에도 높은 가스 침투성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은 특정 구조화를 갖는 2-층 구성을 이용한다는 개념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일반적인 주제는 적어도 두 개의 바로 연이은 층들을 포함하는 시트형 구조물로서, 두 개의 바로 연이은 층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폴리머 포움 또는 필름이고, 두 개의 바로 연이은 층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층을 마주하는 이의 표면에서 채널을 갖고, 채널이 증기 침투에 충분한 자유 부피를 갖도록 채널이 두 개의 연이은 층들에 의해 형성되는 접점면을 경계로 하는 에지들 중 하나에서부터 또 다른 에지에 이르는 시트형 구조물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보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바로 연이은 층들을 포함하는 시트형 구조물로서, 두 개의 바로 연이은 층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폴리머 포움 또는 필름이고, 두 개의 바로 연이은 층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층을 마주하는 이의 표면에서 채널을 갖고, 채널이 증기 침투에 충분한 자유 부피를 갖도록 채널이 길이 방향(longitudinal direction) 또는 기계 방향(machine direction)에 평행하게 두 개의 연이은 층에 의해 형성되는 접점면을 경계로 하는 에지들 중 하나에서부터 다른 에지에 이르는 시트형 구조물이다.
본 발명의 시트형 구조물은 폴리머 구조물 내에 그러한 목적으로 의도된 채널들을 위치시킴으로써 가스 침투성의 문제에 대한 구조적 해결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결과로, 시트형 구조물의 재료와 나머지 구성 둘 모두가 가스 침투성과 독립적으로 넓게 선택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시트형 구조물이 매우 가변성 있게 설계되고 요망되는 기능과 관련하여 최적화될 수 있다.
"시트형 구조물"은 하나의 공간 방향(즉, 두께 또는 높이)에서의 치수가, 적어도, 주요 크기(길이 및 폭)를 형성하는 두 개의 다른 공간 방향 중 하나보다, 특히 다른 공간 방향 둘 모두보다 상당히 더 작은 면적 배열의 시스템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시트형 구조물은 적어도 두 개의 바로 연이은 층들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바로 연이은"은 시트형 구조물의 구성에서 두 개의 층들이 서로 바로 인접하고, 특히, 이러한 두 개의 층들 사이에 배치되는 추가 층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개의 바로 연이은 층들은 각각 폴리머 포움 또는 필름과 서로 독립적이다.
포움은 이의 전체 질량에 걸쳐 분포되는 개방 및/또는 폐쇄 셀을 갖고, 골격 물질보다 낮은 겉보기 밀도를 갖는 물질로 이해된다. 표현 "포움"은 특히 고려되는 층이, 액체, 반액체, 비교적 고점도 또는 고체 셀 스트럿으로 또는 내재된 쉘 물질로 경계가 이루어지고; 발포 층의 밀도가, 고려되는 층을 구성하는 매트릭스 물질, 즉, 포움 셀에 존재하는 어떠한 내재된 쉘 물질을 제외한 비가스성 물질 전체의 밀도와 연관하여 감소되게 하는 비율로 고려되는 층에 존재하는, 가스-충전된 종종 구체 또는 다면체 셀로 구성된 구조를 포함함을 의미한다.
포움이 형성되는 때에, 형성된 표피상의 얇은 표면 층에는 포움 셀이 몇 개만 존재하거나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것이 흔하다. 이러한 공정-관련 층은 본 발명에 따라 별개의 층으로 여겨지지 않지만, 관련된 포움 또는 관련된 발포 층에 해당된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층과 함께 공압출에 의해 전달되는 포움 층의 매트릭스 물질의 얇은 비발포 층은 별개의 층으로서가 아니라 포움 층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에 따라 이하에서 폴리머 포움 매트릭스, 포움 매트릭스, 매트릭스, 또는 매트릭스 물질로도 지칭되는 골격 물질은 애주번트(adjuvant)와 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폴리머를 포함한다. "개방 셀"은 골격 물질 또는 내재된 쉘 물질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지 않는 포움 내의 보이드(void)이다. "폐쇄 셀"은 골격 물질 또는 내재된 쉘 물질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는 보이드이다. 따라서, 개방 셀은 종종 포움 내에 채널 네트워크(channel network)의 발달을 초래하고, 이를 통해 특정 수준의 가스 수송이 가능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포움의 경우에, 셀 구조는 물질의 경도에 반영된다. 개방-셀 폴리우레판 포움은 일반적으로 가요성이지만, 이들의 폐쇄-셀 대응물은 강성이다. 변환 영역 또는 상응하는 혼성 형태를 위하여, 용어 "반강성"이 만들어졌다.
폴리머 포움의 매트릭스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에 폴리머 포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3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wt%, 및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wt%, 더욱 특히 적어도 90 wt%의 정도로 하나 이상의 폴리머를 포함한다. 매트릭스 물질의 가능한 폴리머는 폴리올레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및 선형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부틸렌; 비닐 코폴리머, 예를 들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올레핀성 랜덤 또는 블록 코폴리머, 예를 들어, 에틸렌 메틸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및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및 또한 1)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일차 알켄, 및 2) 4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1,2-알켄, 예컨대, 1,2-부텐, 1,2-헥센 또는 1,2-옥텐으로부터 선택된 이차 알켄을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폴리알킬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코폴리머; 아크릴계 폴리머 및 코폴리머, 예를 들어, 폴리메타크릴이미드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기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또한 상술된 폴리머들의 조합물 및 배합물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배합물은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배합물, 폴리우레탄-폴리올레핀 배합물, 폴리우레탄-폴리카보네이트 배합물, 및 폴리우레탄-폴리에스테르 배합물을 포함한다. 배합물은 추가로 열가소성 폴리머, 엘라스토머성 폴리머, 및 이들의 조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배합물은 스티렌-부타디엔 코폴리머, 폴리클로로프렌, 예를 들어, 네오프렌, 니트릴 고무, 부틸 고무, 폴리설파이드 고무, 시스-1,4-폴리이소프렌, 에틸렌-프로필렌 터폴리머, 예를 들어, EPDM 고무, 실리콘 고무, 실리콘-폴리우레아 블록 코폴리머, 폴리우레탄 고무, 천연 고무, 아크릴레이트 고무, 열가소성 고무, 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코폴리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고무, 및 이들의 조합물일 수 있다.
매트릭스 물질의 폴리머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PVC); 에틸렌, 프로필렌, 및 비콘쥬게이션된 디엔 (EPDM)의 터폴리머; 에틸렌 및 극성 기로 치환된 에틸렌의 코폴리머; 폴리에틸렌 및 극성 기로 치환된 에틸렌으로 구성된 폴리머의 배합물;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합성 고무의 배합물, 및 또한 상술된 폴리머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따라서, 폴리머 포움의 매트릭스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에 매트릭스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3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wt%, 및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wt%, 더욱 특히 적어도 90 wt%의,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PVC); 에틸렌, 프로필렌, 및 비콘쥬게이션된 디엔 (EPDM)의 터폴리머; 에틸렌 및 극성 기로 치환된 에틸렌의 코폴리머; 폴리에틸렌 및 극성 기로 치환된 에틸렌의 배합물로 구성된 폴리머의 배합물;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합성 고무의 배합물, 및 또한 상술된 폴리머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머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매트릭스 물질은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PVC); 에틸렌, 프로필렌, 및 비콘쥬게이션된 디엔 (EPDM)의 터폴리머; 에틸렌 및 극성 기로 치환된 에틸렌의 코폴리머; 폴리에틸렌 및 극성 기로 치환된 에틸렌으로 구성된 폴리머의 배합물;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합성 고무의 배합물, 및 또한 상술된 폴리머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머 이외의 폴리머를 함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포움의 매트릭스 물질의 폴리머 베이시스(polymer basis)는 폴리에틸렌, 에틸렌 및 4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1,2-올레핀의 코폴리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의 배합물,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합성 고무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폴리머 베이시스"는 포움의 골격 물질에 존재하는 전체 폴리머 중에서 가장 큰 질량 비율을 갖는 폴리머 또는 폴리머 부류를 의미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포움의 매트릭스 물질은 폴리올레핀 및 에틸렌 및 극성 기로 치환된 에틸렌의 코폴리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를 포함한다. 특히, 폴리머 포움의 매트릭스 물질 중의 폴리올레핀 및 에틸렌 및 극성 기로 치환된 에틸렌의 코폴리머로부터 선택된 모든 폴리머의 전체 비율은 각각의 경우에 매트릭스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3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wt%, 및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wt%, 더욱 특히 적어도 80 wt%, 예를 들어, 적어도 90 wt%이다.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매트릭스 물질은 폴리올레핀 및 에틸렌 및 극성 기로 치환된 에틸렌의 코폴리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폴리머 이외의 폴리머를 함유하지 않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포움의 매트릭스 물질은 에틸렌 및 극성 기로 치환된 에틸렌의 적어도 하나의 코폴리머를 포함한다. 특히, 폴리머 포움의 매트릭스 물질 중의 에틸렌 및 극성 기로 치환된 에틸렌의 모든 코폴리머의 전체 비율은 각각의 경우에 매트릭스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3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wt%, 및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wt%, 더욱 특히 적어도 80 wt%, 예를 들어, 적어도 90 wt%이다.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매트릭스 물질은 에틸렌 및 극성 기로 치환된 에틸렌의 하나 이상의 코폴리머 이외의 폴리머를 함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은 일반식 -[-CH2-CR1R2-]n-의 폴리머를 지칭하고, 여기서,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지방족 또는 지환족 기를 의미한다. 폴리올레핀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이러한 경우에 폴리에틸렌은 통상적인 폴리에틸렌 유형, 예컨대, HDPE, LDPE, LLDPE, VLDPE, VLLDPE, MDPE(중밀도 PE), 메탈로센 PE 유형, 예컨대, mLLDPE 및 mHDPE, 이러한 폴리에틸렌 유형들의 배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은 바람직하게는 결정질 폴리프로필렌, 더욱 바람직하게는 호모폴리프로필렌 (hPP)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특정 구체예에서, 폴리머 포움은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 이외의 폴리머를 함유하지 않는다.
에틸렌 및 극성 기로 치환된 에틸렌의 코폴리머는 일반 구조식 -[CH2-CR3R4-]n-의 폴리머로 이해되고, 여기서 R3 또는 R4는 수소 원자를 의미하고, 나머지 치환체는 적어도 하나의 산소 원자를 함유하는 기를 의미한다. 에틸렌 및 극성 기로 치환된 에틸렌의 코폴리머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EVA),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EMA),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EEA), 에틸렌-아크릴산 코폴리머 (EAA),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EBA)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EVA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 wt%, 더욱 특히 5 내지 20 wt%의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한 가지 특정 구체예에서, 발포 층은 에틸렌 및 극성 기로 치환된 에틸렌의 하나 이상의 코폴리머 이외의 폴리머를 함유하지 않는다.
특히, 에틸렌 및 극성 기로 치환된 에틸렌의 코폴리머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EVA)이다.
따라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포움의 매트릭스 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EVA)를 포함한다. 특히, 폴리머 포움의 매트릭스 물질 중의 모든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의 전체 비율은 각각의 경우에 매트릭스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3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wt%, 및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wt%, 더욱 특히 적어도 80 wt%, 예를 들어, 적어도 90 wt%이다.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매트릭스 물질은 하나 이상의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EVA) 이외의 폴리머를 함유하지 않는다.
폴리머 포움의 매트릭스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가교된다. 가교는 바람직하게는 매트릭스 물질의 발포 전에 일어난다. 폴리올레핀 및 에틸렌 및 극성 기로 치환된 에틸렌의 코폴리머로부터 선택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매트릭스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전자 빔으로 가교된다. 또한, 화학적 가교 방법, 예를 들어, 이후 수분 및 촉매작용의 영향하에 서로 반응할 수 있는 가수분해가능한 기를 갖는 실란 라디칼의 그라프팅을 통한 가교; 추가로 라디칼 중합가능한 이중 결합을 함유하고 폴리머 사슬에서 형성된 라디칼과 반응할 수 있는 실란의 첨가를 통한 가교; 및 또한 마찬가지로 라디칼과 반응하는 퍼옥사이드의 첨가를 통한 가교가 적합하다.
본 발명의 시트형 구조물의 두 개의 바로 연이은 층들 중 적어도 하나는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포움이다. "가스 침투성"을 위한 요건이 있는 적용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은 물질의 중량 감소 면에서 포움의 이점이 이용될 수 있게 한다.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시트형 구조물의 두 개의 바로 연이은 층들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머 포움이고, 폴리머 포움은 폐쇄-셀 포움이다. 이미 언급된 것에 따르면, "폐쇄-셀 포움"은, 실질적으로 모든 보이드(셀)이 골격 물질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여서 특히 포움 내 채널 네트워크 형성 가능성을 배제하고 층을 통한 가스 수송을 가능하게 하는 포움이다. 폐쇄-셀 포움은 일반적으로 가스 및 증기에 대한 침투성을 단지 매우 적게만 갖는다. 이에 대한 이유는 아마도 가스 분자가 셀 벽 및 셀 스트럿의 고밀도 폴리머 분자를 관통해야 하므로, 포움을 통해 매우 느리게만 확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바로 연이은 층들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머 포움이고, 이러한 폴리머 포움은 채널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바로 연이은 층들 모두는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폴리머 포움이다. 이러한 경우에 두 층들의 폴리머 포움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두 층들의 폴리머 포움은, 예를 들어, 고려되는 층의 두께와 같은 이들의 치수가 화학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서로 동일하지만 상이할 수 있다.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서로 독립적으로 바로 연이은 층들 모두는 각각 폴리머 포움이고, 두 개의 바로 연이은 층들 중 하나만이 채널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서로 독립적으로 바로 연이은 층들 모두는 각각 폐쇄-셀 폴리머 포움이다.
서로 독립적으로 두 개의 바로 연이은 층들이 각각 폴리머 포움인 본 발명의 시트형 구조물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0 μm 내지 2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 μm 내지 15 mm, 더욱 특히 2 내지 13 mm이다.
특히, 바로 연이은 층들로서 두 개의 폐쇄-셀 폴리머 포움이 있는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시트형 구조물은 두 개의 바로 연이은 층들 사이에서 경계면을 따라 1- 또는 2-차원으로 설계된 폐쇄-셀 포움 시스템이 개방-셀 포움 구조물의 수준보다 거뜬히 훨씬 더 높을 수 있는 가스 침투성을 갖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경우에 가스 분자의 수송은 고밀화 폴리머 물질을 통해 일어날 필요는 없지만, 연속적인 폴리머-비함유 채널 네트워크를 통해 간단히 일어날 수 있다.
폴리머 포움 매트릭스 물질의 발포는 원칙적으로 어떠한 관례적인 방식으로, 예를 들어, 추진제 가스의 첨가에 의해 또는 가공 동안 특정 온도에서 분해되고 이와 같이 진행됨에 따라 가스를 형성시키는 화학적 발포제에 의해 야기된다.
또 다른 적합한 발포 방법은 폴리머 포움 매트릭스 물질로의 마이크로벌룬(microballoon)의 혼입이다. "마이크로벌룬"은 열가소성 폴리머 쉘을 갖는, 탄성적이고 이에 따라 이의 분쇄 상태에서 팽창 가능한 중공형 마이크로비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구체는 저-비등 액체 또는 액화 가스로 충전된다. 사용되는 쉘 물질은 특히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VDC, PVC 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관례적인 저-비등 액체는 특히 액화 가스의 형태로, 압력하에 폴리머 쉘로 둘러싸인 저급 알칸의 탄화수소, 예를 들어, 이소부탄 또는 이소펜탄을 포함한다.
특히 열에 대한 노출에 의한 마이크로벌룬에 대한 작용은 외부 폴리머 쉘의 연화를 야기시킨다. 동시에, 쉘 내의 액체 추진제 가스는 이의 가스 상태로 변환된다. 이러한 경우에 마이크로벌룬은 비가역적으로 연장되고, 3차원 팽창을 거친다. 내부 및 외부 압력이 균형을 이룰 때 팽창이 종결된다. 폴리머 쉘은 보존되기 때문에, 그 후에 결과는 폐쇄-셀 포움이 된다.
다수의 마이크로벌룬 유형이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고, 이는 이의 크기(비팽창된 상태에서 6 내지 45 μm 직경) 측면에서, 및 이러한 것이 팽창을 위해 요구되는 출발 온도(75 내지 220℃)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상이하다. 비팽창된 마이크로벌룬 유형은 약 40 내지 45 wt%의 고형물 분율 또는 마이크로벌룬 분율을 갖는 수성 분산액 형태, 및 추가로 마찬가지로 폴리머-결합된 마이크로벌룬(마스터배치)의 형태로, 예를 들어, 약 65 wt%의 마이크로벌룬 농도를 갖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에서 또한 이용 가능하다. 마이크로벌룬 분산액뿐만 아니라 비팽창된 바이크로벌룬과 같은 마스터배치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폴리머 포움을 생산시키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폴리머 포움은 예비팽창된 마이크로벌룬이라 불리는 것으로 또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그룹에서, 팽창은 폴리머 매트릭스로의 혼입 전에 일어난다.
본 발명의 폴리머 포움은 또한 발포형 입자를 이용하여; 즉, 특히,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또는 셀룰로스 아세테이트의 팽창성 또는 팽창가능한 비드로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자체로 이미 발포가 진행된 플라스틱의 입자가 폴리머 매트릭스로 혼입되고, 밀도의 감소를 야기한다. 입자는 또한 폴리머 매트릭스 내에서 발포되지 않은 채로 놓여지고, 그 이후에만 발포될 수 있다. 게다가, 폴리머 포움은 또한 서로 열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경우에 다른 주위 매트릭스가 없도록 함께 융합되어 있는, 임의로 예비팽창된 "비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머 포움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500 kg/m3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 kg/m3 미만, 더욱 특히 90 내지 250 kg/m3이다.
"필름"은 물질 베이시스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는 시트형의 가요성 권취가능한 웹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필름의 가능한 폴리머는 폴리올레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예컨대,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및 선형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부틸렌; 비닐 코폴리머, 예를 들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올레핀성 코폴리머, 예를 들어, 에틸렌 메틸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및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코폴리머; 아크릴계 폴리머 및 코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합성 고무 및 또한 상술된 폴리머들의 조합물 및 배합물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배합물은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배합물, 폴리우레탄-폴리올레핀 배합물, 폴리우레탄-폴리카보네이트 배합물, 및 폴리우레탄-폴리에스테르 배합물을 포함한다. 배합물은 추가로 열가소성 폴리머, 엘라스토머성 폴리머, 및 이들의 조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배합물은 스티렌-부타디엔 코폴리머, 폴리클로로프렌, 예를 들어, 네오프렌, 니트릴 고무, 부틸 고무, 폴리설파이드 고무, 시스-1,4-폴리이소프렌, 에틸렌-프로필렌 터폴리머, 예를 들어, EPDM 고무, 실리콘 고무, 실리콘-폴리우레아 블록 코폴리머, 폴리우레탄 고무, 천연 고무, 아크릴레이트 고무, 열가소성 고무, 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코폴리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고무, 및 이들의 조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머 베이시스는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PV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 폴리비닐 부티랄 (PVB), 합성 고무, 아이오노머 및 상기 열거된 폴리머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필름의 폴리머 베이시스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및 상기 열거된 폴리머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폴리우레탄"은 넓은 의미로 반복 단위가 우레탄 모이어티 -NH-CO-O-에 의해 서로 링킹된 폴리머 물질을 의미한다. 폴리우레탄은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보다 구체적으로, 지방족 및/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기반으로 한 폴리에스테르-기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방향족 물질로 종결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다. 폴리우레탄은 물론 가교제,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에 의해 서로에 대해 링킹될 수 있다.
합성 고무는 특히 AB 및 ABA 블록 코폴리머, 및 또한 스타 및 라디칼 블록 코폴리머를 포함한다. 합성 고무는 매우 바람직하게는 고무형 중간 블록과 높은 유리 전이 온도의 말단 블록을 갖는 엘라스토머성 블록 코폴리머이다. 적합한 합성 고무는, 예를 들어, 불포화 고무형 분획을 갖는 유형, 예컨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SBS) 및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SIS) 블록 코폴리머을 포함하고; 마찬가지로, 포화 올레핀 고무 중간 블록, 예를 들어,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SEBS) 및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SEPS) 블록 코폴리머를 갖는 유형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필름의 폴리머 베이시스는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다. 폴리올레핀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올레핀 코폴리머, 및 상기 언급된 폴리머들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폴리에틸렌 유형은, 예를 들어, 초고몰질량의 폴리에틸렌 (UHMWPE),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저 폴리에틸렌 (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및 선형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필름의 폴리머 베이시스는 하나 이상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폴리프로필렌 유형은 호모폴리머 폴리프로필렌 (h-PP) 및 충격-PP이다. 바람직한 올레핀 코폴리머는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보다 구체적으로 랜덤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r-PP), 및 또한 에틸렌, 프로필렌, 및 비콘쥬게이션된 디엔 (EPDM 고무)의 터폴리머; 및 또한 1)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일차 알켄, 및 2) 4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1,2-알켄, 예컨대, 1,2-부텐, 1,2-헥센 또는 1,2-옥텐으로부터 선택된 이차 알켄을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폴리올레핀이다. 상기 언급된 폴리올레핀의 배합물은 마찬가지로 필름의 바람직한 베이스 물질이다. 바람직한 배합물은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배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개의 바로 연이은 층들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층을 마주하는 이의 표면에서 채널은 갖고, 채널은, 채널이 증기 침투에 충분한 자유 부피를 갖도록 두 개의 연이은 층에 의해 형성되는 접점면을 경계로 하는 에지들 중 하나에서부터 또 다른 에지에 이른다.
본 발명에 따른 채널은 필름의 표면 또는 폴리머 포움에서 시작하는 리세스(recess)이고, 의도적으로 도입되며, 분자 범위의 치수를 초과하는 치수를 갖고, 필름 또는 폴리머 포움 내에 존재하며, 기본적으로 가스 침투성에 충분한 자유 부피를 제공하는 한 어떠한 요망되는 모양 및 깊이를 가질 것이다. 리세스는 원칙적으로 고려되는 필름 또는 폴리머 포움의 기저부로 연장되지 않고; 다시 말해서, 이의 기저부에서, 여전히 필름 또는 포움 물질이 존재한다. 채널의 모양은 원칙적으로 중요하지 않으며; 이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에서 U-모양 단면으로 가이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형 구조물의 가스 침투성은 각각의 경우에 1 mm의 시편 층 두께에서 DIN EN ISO 12572에 따라 등가의 공기 층 두께 (sd)로서 바람직하게는 0.05 m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m 미만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트형 구조물의 가스 침투성은 바람직하게는 0.05 m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m 미만으로 1 mm의 시편 층 두께의 경우 DIN EN ISO 12572에 따라 등가의 공기 층 두께 (sd)를 제공하기에 충분히 높다.
폴리머 포움이 채널을 갖는 경우, 이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5 mm, 매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mm이다. 필름이 채널은 갖는 경우, 이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 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30 μm, 더욱 특히 20 내지 120 μm이다.
폴리머 포움이 채널을 갖는 경우, 이의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5 mm, 매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3 mm이다. 필름이 채널은 갖는 경우, 이의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7 내지 25 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μm이다.
폴리머 포움이 채널을 갖는 경우, 서로로부터의 이들의 측면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mm, 매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 mm이다. 필름이 채널을 갖는 경우, 서로로부터의 이들의 측면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0 μm이다. 측면 간격은 가장 가까이 인접한 채널의 구조 내의 상응하는 지점으로부터 채널 구조 내의 소정 지점의 간격에 상응한다.
이러한 채널을 함유하는 필름 또는 폴리머 포움의 동일한 섹션으로부터 생성되는 단면적 내에서 본 발명에 따라 존재하는 채널의 단면적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 더욱 특히 4% 내지 11%이다. 상기 의미에서 단면적은 본 발명의 시트형 구조물 상에서 어떠한 요망되는 지점에서 z-방향 및 채널의 배향에 대해 횡단하는 직각으로 움직이는 방향에 의해 생성되는 평면에서의 섹션에 의해 형성된 면적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채널을 함유하는 폴리머 포움의 동일한 섹션으로부터 생성되는 단면적 내에서 본 발명에 따라 존재하는 채널의 단면적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포움 또는 폴리머 포움 층의 두께의 함수로서 달라진다. 따라서, 2 내지 4 mm의 포움 두께의 경우, 상기 언급된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4%이고; 4 초과 내지 6 mm의 포움 두께의 경우, 이는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 미만이고; 6 초과 내지 8 mm의 포움 두께의 경우, 이는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 미만이고; 8 초과 내지 9 mm의 포움 두께의 경우, 이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5% 미만이다.
본 발명의 시트형 구조물의 구성은 또한 도 1 및 2에 의해 도시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트형 구조물의 채널-포함 층을 보여주는 것이고, 이러한 층과 접촉되어 있는 제2 층은 없다. 도 2는 채널을 함유하는 하부 층, 및 제1 층 바로 위에 놓여져 있는 상부 층을 갖는 본 발명의 시트형 구조물의 측면도를 보여주는 것이다. 둘 모두의 도면에서, 채널은 기계 방향에 대해 횡단하는 직각으로 움직이고; 여기서, 따라서, 상술된 단면은 기계 방향 및 z-방향에 의해 생성되는 평면에서의 섹션에 상응할 것이다. 참조 부호의 의미는 하기와 같다:
1 - 시트형 구조물(폴리머 포움 또는 필름)의 채널-포함 층;
2 - 시트형 구조물의 제2 층에 대한 접점;
3 - 채널;
4 - 시트형 구조물의 제2 층.
본 발명의 시트형 구조물은 형태가 연속적일 수 있는 실질적으로 2-스테이지 작업으로 생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주제는 본 발명의 시트형 구조물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폴리머 포움 또는 필름의 제1 웹의 적어도 한 표면을 가열하고;
b) 이러한 웹의 가열된 표면으로 채널을 임프레싱(impressing)하고;
c) 폴리머 포움 또는 필름의 제2 웹을 제공하고;
d) 제1 웹의 채널-함유 표면이 제2 웹의 표면 중 하나와 직접 접촉되게 들어가도록 두 개의 웹을 서로에 대해 라미네이션(lamination)시킴을 포함하는 방법이다.
필름 또는 폴리머 포움 층 중 하나의 표면으로 채널을 임프레싱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필름 또는 폴리머 포움을 열변형점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압력하에 표면 상에서 작용하는 임프레싱 기기의 표면 구조에 따라 변형을 수행함으로써 달성된다. 임프레싱 기기는,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제조된 다이 또는 롤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임프레싱 기기는 또한 가열될 수 있고, 차가운 포움 또는 차가운 필름 상에서 작용할 수 있다.
두 개의 웹을 서로에 대해 라미네이션시키기 위해서, 제1 웹의 채널-포함 표면과 접촉시키고자 의도된 적어도 제2 웹의 표면을 가열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제1 웹의 가열된 표면으로부터 이동된 열만으로도 충분하며; 다른 경우에, 제2 웹의 관련 표면은 개별적으로 가열되어야 한다. 따라서, 한 가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제2 웹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가열하고, 두 개의 웹을, 두 개의 가열된 표면이 서로 접촉되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라미네이션시킴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시트형 구조물은 단면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를 위한 캐리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시트형 구조물의 하나 또는 둘 모두의 폴리머 포움 층(들)은 물론 시트형 구조물이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포움 층을 포함한다는 조건으로 감압 접착성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시트형 구조물의 한 면 또는 양면은 주된 면 상에 감압 접착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감압 접착제의 성질 및/또는 구성은 기본적으로 임의적이고; 원칙적으로, 모든 공지되고 입수 가능한 감압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관례에 따라, 감압 접착제는, 특히 접착 테이프가 롤로 감아지는 경우에, 이형 라이너로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형 구조물의 폴리머 포움 층 상에 또는 달리 필름 상에 감압 접착제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포움, 필름 및/또는 감압 접착제의 표면 에너지를 상승시키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 상, 고려되는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물리적 방법, 예컨대, 코로나, 화염 처리, 플라즈마 및/또는 에어로졸에 의해 전처리되거나, 프라이머(primer)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폴리올레핀 포움의 경우, 질소 분위기에서의 코로나 처리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의 시트형 구조물은 바람직하게는 또한 구조적 글레이징 또는 커튼 벽 구성 적용에서 스페이서로서 사용된다. 여기서, 글레이징 엘리먼트 또는 페이싱 플레이트는 특히 프레임 구성물에서 구조 실리콘 접착제로 결합된다. 그러한 시스템에서의 스페이서는 유리 엘리먼트 또는 페이싱 엘리먼트와 프레임 사이에 적절한 간격을 보장하고, 가끔씩 또한, 도입되는 액체 반응성 실리콘에 대해 배리어로서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스페이서는 또한 구조 접착제의 경화 후에 구성물에서 남게 되지만, 더 이상 어떠한 보조 기능도 갖지 않는다. 스페이서로서의 사용을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시트형 구조물의 두 개의 바로 연이은 층들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머 포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서로 독립적으로 바로 연이은 층들 모두가 폴리머 포움이다. 포움은 바람직하게는 UV-안정화된다.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포움은 검정색 또는 회색을 갖는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낮은 열 전도도를 갖는데, 이는 전체 글레이징 또는 페이싱 엘리먼트의 U 값에 이롭다. 필요에 따라 및 필요한 경우, 스페이서는 전기 소산성 또는 전기 전도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분말-코팅된 프레임 구성물의 경우, 본 발명의 시트형 구조물이 저에너지 표면에 대해 효과적인 접착을 나타내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세정, 탈기, 연마 및/또는 프라이밍에 의해 프레임을 전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접착 테이프의 구성요소로서, 시트형 구조물은 또한 전자 장치의 어셈블리에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어셈블리에서 가스-침투가능한 "렌즈 용융 테이프(lens melting tape)"의 형태에서 그 사용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목적 상 특히 적합한 것은 적어도 하나의 필름을 포함하는 구체예이다.
본 발명의 시트형 구조물의 다른 바람직한 용도는 특히 환기, 공기 방출 또는 압력 상쇄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물 응축 및 수분의 전달을 위한, 예를 들어, 나무 마루 구조물과 같은 건설 구조물; 보다 구체적으로, 여기서 공기 유입 기능과 함께 방음 및 단열을 위한 차량 구성물, 예를 들어, 자동차 및 기차의 생산; 예를 들어, 최적의 온도에서 포움 코어를 유지하기 위해 샌드위치 구성물의 가열 또는 냉각을 위한 항공기 구성물; 냉각 매체가 흐를 수 있는 절연 층으로서의 냉각 시스템(냉장고, 에어-컨디셔닝 유닛); 일반적으로, 다양한 적용에서 추가 공기 유입 및/또는 공기 제거 기능과 함께 완충제, 충격 흡수제 또는 댐퍼, 및 또한 신축성 있는 방출가능한 스페이서 포움 테이프에 있다.
실시예
하나에 각각의 경우 채널이 제공된 서로 접합되는 두 개의 폴리머 포움 층으로부터 각각 시트형 구조물을 형성시켰다. 채널이 제2 폴리머 포움 층을 마주하도록 어셈블리를 생성시켰다. 사용된 폴리머 포움 층은 하기 표에 나타나 있는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포움이었다.
구체적인 생산 과정 관련:
채널의 임프레싱:
양극처리된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임프레션 기기를 이용하여 채널을 생성시켰다. 이를 먼저 포움을 열 변형될 때까지 가열함으로써 수행하였다. 160℃에서 20초 후에 충분한 변형에 도달하였다. 그 후에만, 차가운 임프레션 기기를 포움에 압착시켰다. 이러한 60초의 임프레션 과정 동안, 포움은 이의 열성형을 손실하고, 임프레싱된 네가티브(negative)는 이에 따라 치수적으로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임프레션 작업을 20 kPa의 압력하에 수행하였고; 최대 임프레싱된 깊이가 기계 제한/스페이서에 의해 이와 동시에 제한되었다. 모든 채널을 이들이 기계 방향에 횡단하는 직각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임프레싱시켰다(도 1 및 2에 해당).
층들의 서로에 대한 접합
폴리머 포움 층을 열 용접을 통해 서로에 대해 접합시켰다. 이러한 목적 상, 접합시키고자 하는 층들 중 하나의 표면을, 이러한 포움의 얇은 표면 근처 층을 가열하기 위해 약 200℃의 온도로 고온 공기 스트림을 이용함으로써 밀봉가능한 상태로 야기하였다. 이러한 처리 기간은 몇 초였고, 즉시 제2 포움 플라이의 적용을 진행하였다. 이후, 약한 압력하에 어셈블리 상의 롤링으로 모든 접촉 면적이 서로에 대해 확실히 융합되게 하였다.
표 1: 실시예
Figure pct00001
* = (길이 방향/MD에서 직교 섹션)

Claims (9)

  1. 적어도 두 개의 바로 연이은 층들을 포함하는 시트형 구조물(sheetlike structure)로서,
    두 개의 바로 연이은 층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폴리머 포움 또는 필름이고,
    두 개의 바로 연이은 층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층을 마주하는 이의 표면에서 채널을 갖고, 채널이 증기 침투에 충분한 자유 부피를 갖도록 채널이 두 개의 연이은 층에 의해 형성되는 접점면을 경계로 하는 에지들 중 하나에서부터 또 다른 에지에 이르는, 시트형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두 개의 바로 연이은 층들 중 적어도 하나가 폴리머 포움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이러한 폴리머 포움이 채널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구조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폴리머 포움이 폐쇄-셀 포움(closed-cell foam)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구조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독립적으로 바로 연이은 층 둘 모두가 각각 폴리머 포움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두 개의 바로 연이은 층들 중 하나만이 채널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구조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머 포움의 폴리머 베이시스(polymer basis)가 폴리에틸렌, 에틸렌 및 4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1,2-올레핀의 코폴리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의 배합물,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합성 고무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구조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시트형 구조물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폴리머 포움 또는 필름의 제1 웹의 적어도 한 표면을 가열하고;
    b) 이러한 웹의 가열된 표면으로 채널을 임프레싱(impressing)하고;
    c) 폴리머 포움 또는 필름의 제2 웹을 제공하고;
    d) 제1 웹의 채널-함유 표면이 제2 웹의 표면 중 하나와 직접 접촉되게 들어가도록 두 개의 웹을 서로에 대해 라미네이션(lamination)시킴을 포함하는 방법.
  9. 단면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를 위한 캐리어(carrier)로서 또는 구조적 글레이징 또는 커튼 벽 구성물 적용에서 스페이서(spacer)로서의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시트형 구조물의 용도.
KR1020187037965A 2016-06-02 2017-05-31 가스-침투가능한 평면 구조물 KR201900139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09729.6A DE102016209729A1 (de) 2016-06-02 2016-06-02 Gasdurchlässiges Flächengebilde
DE102016209729.6 2016-06-02
PCT/EP2017/063150 WO2017207625A1 (de) 2016-06-02 2017-05-31 Gasdurchlässiges flächengebil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974A true KR20190013974A (ko) 2019-02-11

Family

ID=59501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7965A KR20190013974A (ko) 2016-06-02 2017-05-31 가스-침투가능한 평면 구조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376800A1 (ko)
EP (1) EP3463857A1 (ko)
KR (1) KR20190013974A (ko)
CN (1) CN109476114A (ko)
DE (1) DE102016209729A1 (ko)
WO (1) WO2017207625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58517A1 (en) * 2004-01-15 2005-07-21 Sealed Air Corporation (Us) Corrugated foam/film laminates for use as floor underlayment
DE202004021106U1 (de) * 2004-05-05 2007-01-04 Tesa Ag Selbstklebend ausgerüsteter Streifen für den Transportschutz
DE102008038473A1 (de) * 2008-08-20 2010-02-25 Tesa Se Selbstklebend ausgerüsteter Streifen für den Transportschutz
US8613120B2 (en) * 2009-09-18 2013-12-24 Carpenter Co. Cushion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G191110A1 (en) 2010-12-23 2013-07-31 Saint Gobain Performance Plast Structural glazing spacer
US9169687B2 (en) 2011-08-26 2015-10-27 Saint-Gobain Glass France Insulating glazing with thermal protection insulating panel
US20160101602A1 (en) 2013-08-01 2016-04-14 Sekisui Chemical Co., Ltd. Laminated glass interlayer and laminated glass
EP2933089A1 (de) * 2014-04-14 2015-10-21 Jowat SE Kaschierverfahren mit rasterförmigem Klebstoffauftrag
CN203815713U (zh) * 2014-04-09 2014-09-10 李志营 一种透气防护医用胶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07625A1 (de) 2017-12-07
US20200376800A1 (en) 2020-12-03
CN109476114A (zh) 2019-03-15
DE102016209729A1 (de) 2017-12-07
EP3463857A1 (de) 2019-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6851B2 (ja) 熱発泡性樹脂組成物、熱発泡性樹脂シート、熱発泡性積層体、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96074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架橋発泡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架橋発泡シート
MX2009000542A (es) Estructuras compuestas de pelicula-espuma anisotropica.
US20230202133A1 (en) Composite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a foamed decorative sheet free of pvc and plasticizers
JP7183792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とその製造方法及び、粘着テープ
KR20190013974A (ko) 가스-침투가능한 평면 구조물
WO2005073299A1 (ja) 熱可塑性樹脂発泡体シート及び熱可塑性樹脂発泡体シートの製造方法
EP2830871A1 (en) Composite material that includes microcellular plastic,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2006083236A (ja) シール材
JP7215932B2 (ja) 発泡複合シート及び粘着テープ
JPH0912762A (ja)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積層体及び成形体
JPH04198289A (ja) 片面または両面接着発泡体テープの製造方法
WO2016103747A1 (ja) 吸音材
JP2002030262A (ja) シート状発泡接着剤及びこれを用いた発泡性積層材料
JP2019094419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及びその成形体
JP2010105396A (ja) 積層フィルム、該積層フィルムを用いた容器及び該容器の製造方法
CN116864903B (zh) 一种电池包及半开孔型聚烯烃系树脂发泡片
JP2002071152A (ja) 床暖房パネル
JP5096882B2 (ja) 発泡樹脂積層板の製造方法
JP3689851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表皮材
JPS61181885A (ja) 発泡性熱接着シ−ト
JPS63175041A (ja) 放射線架橋厚物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法
JP2020139074A (ja) 発泡構造体
JPH09226771A (ja) 仕切材
JPH02185429A (ja) 発泡シ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