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204A - 배터리 연결 모듈 - Google Patents

배터리 연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204A
KR20190011204A KR1020180083773A KR20180083773A KR20190011204A KR 20190011204 A KR20190011204 A KR 20190011204A KR 1020180083773 A KR1020180083773 A KR 1020180083773A KR 20180083773 A KR20180083773 A KR 20180083773A KR 20190011204 A KR20190011204 A KR 20190011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frame portion
receiving groove
circuit board
flexibl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5607B1 (ko
Inventor
상-시우 정
기안 헝 임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90011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1Details
    • H01R25/162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or with rails or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20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배터리 연결 모듈은 전극 연결 트레이 및 가요성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전극 연결 트레이는 적재 트레이; 및 복수의 버스바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버스바들은 적재 트레이 상에 장착된다. 가요성 회로 기판은 전극 연결 트레이 상에 구성되고, 복수의 버스바들은 가요성 회로 기판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가요성 회로 기판은 본체 및 본체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L 형상의 가요성 아암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L 형상의 가요성 아암들은 복수의 버스바들과 각각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L 형상의 가요성 아암은 본체로부터 복수의 버스바들을 향하여 외향으로 연장된 제1 섹션; 제1 섹션과 연결되고 복수의 버스바들과 본체 사이에서 일정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섹션; 및 제2 섹션의 원위 단부에 위치되고 대응하는 버스바와 연결된 단부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L 형상의 가요성 아암은 가요성 회로 기판과 각각의 버스바 사이의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보장할 수 있고 가요성 회로 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연결 모듈{BATTERY CONNECTION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 연결 모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가요성 회로 기판을 갖는 배터리 연결 모듈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배터리 연결 모듈은 버스바(busbar)와 연결된 배터리가 팽창, 수축 또는 진동으로 인해 변위되는 경우에 버스바에 연결된 구조물이 그러한 변위에 응답하여 충분히 조절될 수 없다는 문제를 항상 가졌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8,777,668 B2호에 개시된 분기 섹션은 단지 종방향으로의 직선 섹션의 변위에 응답하여 변형될 수 있지만, 직선 섹션에 수직인 횡방향으로의 직선 섹션의 변위에 응답하여서는 변형될 수 없는데, 따라서, 이는 분기 섹션과 버스바 사이의 연결부(예컨대, 용접 부분)를 손상시킬 수 있거나, 또는 배선 부재를 손상시킬 수 있고, 그러므로 이는 여전히 적용 시 불충분하다.
더욱이, 기존의 배터리 연결 모듈은, 버스바가 조립되는 경우에 버스바를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는 돌기부를 통과하도록 버스바를 강제로 가압할 필요가 있어서, 이는 돌기부를 손상시킬 수 있거나, 버스바에 대한 보유를 감소시킬 수 있거나 상실할 수 있는 문제를 여전히 갖는다.
그러므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선된 배터리 연결 모듈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은 배경의 설명은 단지 배경 기술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고, 이는 전술된 바와 같은 배경의 설명이 본 발명의 목적을 개시하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으며, 전술된 바와 같은 배경의 어떠한 설명도 본 발명의 어떠한 부분의 역할을 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연결 모듈은 전극 연결 트레이(tray) 및 가요성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전극 연결 트레이는 적재 트레이(carrying tray); 및 적재 트레이 상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버스바들을 포함한다. 가요성 회로 기판은 전극 연결 트레이 상에 구성되고, 복수의 버스바들은 가요성 회로 기판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가요성 회로 기판은 본체 및 본체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L 형상의 가요성 아암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L 형상의 가요성 아암들은 복수의 버스바들과 각각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L 형상의 가요성 아암은 본체로부터 복수의 버스바들을 향하여 외향으로 연장된 제1 섹션; 제1 섹션과 연결되고 복수의 버스바들과 본체 사이에서 일정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섹션; 및 제2 섹션의 원위 단부에 위치되고 대응하는 버스바와 연결된 단부 부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극 연결 트레이는 복수의 버스바 수용 홈들 및 가요성 아암 수용 홈을 추가로 포함한다. 복수의 버스바 수용 홈들은 복수의 버스바들을 각각 수용한다. 버스바 수용 홈은 가요성 회로 기판에 인접한 내부 프레임 부분; 내부 프레임 부분의 반대편에 있는 외부 프레임 부분; 및 내부 프레임 부분 및 외부 프레임 부분의 양 단부들을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측면 프레임 부분들을 포함한다. 가요성 아암 수용 홈은 내부 프레임 부분에 제공되고, L 형상의 가요성 아암의 단부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가요성 아암 수용 홈의 공간은 단부 부분보다 약간 더 커서 단부 부분의 변위를 위한 간극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회로 기판은 복수의 전도성 플레이트들을 포함하고, L 형상의 가요성 아암의 단부 부분은 전도성 플레이트를 통하여 버스바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배터리 연결 모듈은 전극 연결 트레이 및 가요성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전극 연결 트레이는 복수의 버스바들 및 적재 트레이를 포함한다. 적재 트레이는 복수의 버스바들을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버스바 수용 홈들을 포함한다. 버스바 수용 홈은 내부 프레임 부분; 내부 프레임 부분의 반대편에 있는 외부 프레임 부분; 내부 프레임 부분 및 외부 프레임 부분의 양 단부들을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측면 프레임 부분들; 버스바 수용 홈의 하부에 제공되고, 버스바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하부 지지 바; 및 외부 프레임 부분의 내부 벽에 제공되고 버스바 위에 위치된 상부 위치 제한 돌출부를 포함하고, 내부 프레임 부분, 외부 프레임 부분 및 2개의 측면 프레임 부분들은 둘러싸서 버스바 수용 홈의 주연부를 형성한다. 가요성 회로 기판은 적재 트레이 상에 구성되고, 복수의 버스바 수용 홈들은 가요성 회로 기판에 인접하게 배열되고, 각각의 버스바 수용 홈의 내부 프레임 부분은 가요성 회로 기판에 인접하고, 가요성 회로 기판은 복수의 위치 제한 플레이트들을 포함하고, 위치 제한 플레이트는 내부 프레임 부분에 제공되고, 위치 제한 플레이트는 버스바 수용 홈 내로 돌출되고 버스바 위에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버스바 수용 홈의 2개의 측면 프레임 부분들에는 버스바에 대한 상부 위치 제한 구성이 제공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버스바들은 복수의 버퍼 만곡 부분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버퍼 만곡 부분들은 복수의 하부 지지 바들에 의해 각각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상부 위치 제한 돌출부는 하나의 대응하는 버퍼 만곡 부분 위에 위치되고, 위치 제한 플레이트는 하나의 대응하는 버퍼 만곡 부분 위에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위치 제한 플레이트 수용 홈이 버스바 수용 홈의 내부 프레임 부분 상에 제공되고, 위치 제한 플레이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위치 제한 플레이트는 위치 제한 플레이트 수용 홈 내에 수용되는 베이스 부분; 및 버스바 수용 홈 내로 돌출되고 버스바의 대응하는 버퍼 만곡 부분 위에 위치된 돌출 부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위치 제한 플레이트의 베이스 부분은 구멍을 갖고, 위치 제한 플레이트 장착 기둥이 위치 제한 플레이트 수용 홈 내에 제공되고, 위치 제한 플레이트 장착 기둥은 위치 제한 플레이트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위치 제한 플레이트 상의 구멍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연결 모듈은 전극 연결 트레이 및 가요성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전극 연결 트레이는 복수의 버스바들 및 적재 트레이를 포함한다. 적재 트레이는 복수의 버스바들을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버스바 수용 홈들을 포함한다. 버스바 수용 홈은 내부 프레임 부분; 내부 프레임 부분의 반대편에 있는 외부 프레임 부분; 내부 프레임 부분 및 외부 프레임 부분의 양 단부들을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측면 프레임 부분들; 버스바 수용 홈의 하부에 제공되고, 버스바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하부 지지 바; 및 외부 프레임 부분의 내부 벽에 제공되고 버스바 위에 위치된 상부 위치 제한 돌출부를 포함하고, 내부 프레임 부분, 외부 프레임 부분 및 2개의 측면 프레임 부분들은 둘러싸서 버스바 수용 홈의 주연부를 형성한다. 가요성 회로 기판은 전극 연결 트레이 상에 구성되고, 복수의 버스바 수용 홈들은 가요성 회로 기판에 인접하게 배열되고, 각각의 버스바 수용 홈의 내부 프레임 부분은 가요성 회로 기판에 인접한다. 가요성 회로 기판은 복수의 위치 제한 플레이트들 - 위치 제한 플레이트는 내부 프레임 부분에 제공되고 위치 제한 플레이트는 버스바 수용 홈 내로 돌출되고 버스바 위에 위치됨 -; 본체; 및 본체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L 형상의 가요성 아암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L 형상의 가요성 아암들은 복수의 버스바들과 각각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L 형상의 가요성 아암은 본체로부터 복수의 버스바들을 향하여 외향으로 연장된 제1 섹션; 제1 섹션과 연결되고 복수의 버스바들과 본체 사이에서 일정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섹션; 및 제2 섹션의 원위 단부에 위치되고 대응하는 버스바와 연결된 단부 부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버스바 수용 홈의 내부 프레임 부분에는 가요성 아암 수용 홈 및 위치 제한 플레이트 수용 홈이 제공되고; 가요성 아암 수용 홈은 L 형상의 가요성 아암의 단부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가요성 아암 수용 홈의 공간은 단부 부분보다 약간 더 커서 단부 부분의 변위를 위한 간극을 제공하고; 위치 제한 플레이트 수용 홈은 위치 제한 플레이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버스바들은 복수의 버퍼 만곡 부분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버퍼 만곡 부분들은 복수의 하부 지지 바들에 의해 각각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상부 위치 제한 돌출부는 하나의 대응하는 버퍼 만곡 부분 위에 위치되고, 위치 제한 플레이트는 하나의 대응하는 버퍼 만곡 부분 위에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위치 제한 플레이트의 베이스 부분은 구멍을 갖고, 위치 제한 플레이트 장착 기둥이 위치 제한 플레이트 수용 홈 내에 제공되고, 위치 제한 플레이트 장착 기둥은 위치 제한 플레이트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위치 제한 플레이트 상의 구멍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회로 기판은 복수의 전도성 플레이트들을 포함하고, L 형상의 가요성 아암의 단부 부분은 전도성 플레이트를 통하여 버스바와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적재 트레이는 프레임 - 프레임은 복수의 외부 래칭 블록(latching block)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외부 래칭 블록들은 프레임의 외부 면에 제공됨 -; 및 버스바 수용 홈들을 서로로부터 이격시키고 복수의 채널들 및 복수의 내부 래칭 블록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이격 바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내부 래칭 블록들은 복수의 채널들 내에 각각 제공된다. 그리고, 배터리 연결 모듈은 상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부 커버는 상부 커버의 하부의 중간에 제공되고, 복수의 내부 래칭 블록들과 각각 래칭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내부 래칭 부재들; 및 상부 커버의 주연부에 제공되고, 복수의 외부 래칭 블록들과 각각 래칭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외부 래칭 부재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요성 회로 기판은 커넥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전극 연결 트레이는 커넥터 수용 박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커넥터는 커넥터 수용 박스 내에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 수용 박스는 측벽을 포함하고, 측벽은 복수의 래칭 구멍들을 포함하고, 상부 커버는 연장 부분 및 복수의 외부 래칭 편부(piece)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외부 래칭 편부들은 연장 부분에 제공되고, 복수의 래칭 구멍들과 각각 래칭되도록 구성되고, 연장 부분은 커넥터 수용 박스를 덮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버스바들은 2개의 출력 버스바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출력 버스바는 전극 인출 각부(electrode leading-out leg)를 갖고, 전극 인출 각부는 수직 부분을 포함하고, 상부 커버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커버 플레이트는 수직 부분을 덮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극 연결 트레이는 전극 어댑터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전극 어댑터 플레이트는 하나의 출력 버스바와 하나의 출력 버스바의 전극 인출 각부를 연결하여, 2개의 전극 인출 각부들이 적재 트레이의 동일한 측부에 위치되게 한다.
배경 기술에서, 버스바 아래의 배터리가 팽창, 수축 또는 진동으로 인해 변위되는 경우, 기존의 스트립 형상의 가요성 아암은 버스바의 단일 방향으로의 변위에 응답하여 2차원 방향으로만 변형될 수 있다. 그에 비하여, 본 발명의 L 형상의 가요성 아암은 버스바에 평행이고 그에 수직인 방향들로 각각 변형될 수 있는 L 형상의 설계를 채택하고, 가요성 아암 수용 홈들 내의 간극과 협동하며, 본 발명의 L 형상의 가요성 아암은 버스바의 변위에 응답하여 3차원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고; 본 발명의 L 형상의 가요성 아암은 가요성 회로 기판과 각각의 버스바 사이의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더 보장할 수 있고 가요성 회로 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측면 프레임 부분에는 버스바에 대한 상부 위치 제한 구성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하부 지지 바, 위치 제한 플레이트 및 위치 제한 플레이트를 향하는 상부 위치 제한 돌출부(들)는 협동하여 버스바 수용 홈 내에 버스바를 제한할 수 있지만 부유 방식으로의 버스바의 변위를 위한 공간을 가질 수 있고, 이는 복잡한 구조물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와 같이, 적재 트레이 상에 버스바를 장착하는 것은 간단하고 용이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부 및 이점이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폭넓게 요약된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목적을 이루는 다른 기술적 특징부들 및 다른 이점들이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당업자는 하기에 개시된 개념 및 특정 실시예들이 본 발명과 동일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다른 구성 또는 제조 접근법을 변형 또는 설계하는 데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당업자는, 또한, 그러한 등가의 구성 또는 접근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관점이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산업계의 표준 구현 모드에 따라, 특징부가 축척대로 그려지지 않은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실제로,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다양한 특징부들은 치수가 임의로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배터리 연결 모듈 및 배터리 팩(pack)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배터리 연결 모듈의 가요성 회로 기판 및 전극 연결 트레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 영역(A)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극 연결 트레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2의 전극 연결 트레이와 가요성 회로 기판이 조립된 후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일부 영역(B)의 확대도이다.
도 6은 조립된 전극 연결 트레이와 가요성 회로 기판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부 커버와 조립되기 전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6의 조립된 전극 연결 트레이와 상부 커버의 구조물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영역(C)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가요성 회로 기판의 사시도이다.
도면 부호는 하기와 같이 표시된다:
A 영역
B 영역
C 영역
M-M' 선
N-N' 선
P-P' 선
10 배터리 연결 모듈
200 가요성 회로 기판
201 본체
202 중공 구역
204 L 형상의 가요성 아암
204a 제1 섹션
204b 제2 섹션
204c 단부 부분
206 전도성 플레이트
208 위치 제한 플레이트
210 구멍
212 퓨즈
214 센서
218 회로
220 커넥터
224 고정 구멍
300 전극 연결 트레이
304 가요성 아암 수용 홈
305 간극
306 위치 제한 플레이트 수용 홈
308 위치 제한 플레이트 장착 기둥
312 보유 기둥
314 중간 장착 부분
316 하부 지지 바
318 상부 위치 제한 돌출부
320 버스바 수용 홈
321 전극 연결 부분
322 버스바
322a 출력 버스바
322b 출력 버스바
323 버퍼 만곡 부분
324 전극 어댑터 플레이트
326a 전극 인출 각부
326b 전극 인출 각부
328a 수직 부분
328b 수직 부분
325 관통 구멍
332 외부 래칭 블록
334 채널
335 이격 바(spacing bar)
336 내부 래칭 블록
338 래칭 구멍
340 커넥터 수용 박스
342 측벽
350 프레임
800 상부 커버
802 외부 래칭 부재
804 내부 래칭 부재
806 외부 래칭 편부
808a 커버 플레이트
808b 커버 플레이트
810 연장 부분
900 배터리 팩
902 배터리
904a 배터리 전극
904b 배터리 전극
2081 베이스 부분
2082 돌출 부분
3201 내부 프레임 부분
3202 외부 프레임 부분
3203 측면 프레임 부분.
하기 개시 내용은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부들을 구현하는 데 사용된 다양한 실시예들 또는 예들을 제공한다. 요소들 및 배열체들의 특정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된 내용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설명된다. 확실히, 이들은 단지 예일 뿐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기 설명에서, 제1 특징부가 제2 특징부 상에 또는 그 위에 형성되는 것은 제1 특징부와 제2 특징부가 서로 직접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특징부가 제1 특징부와 제2 특징부 사이에 형성되고, 그에 따라 제1 특징부와 제2 특징부가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않는 실시예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하나의 요소의 기호 및/또는 부호가 상이한 예들에서 반복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반복은 단순함 및 분명함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지,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논의된 구조들 사이의 관계를 특징지우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하나의 요소 또는 특징부와 다른 요소 또는 특징부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 "보다 아래", "비교적 아래", "보다 위", "비교적 위" 등과 같은 공간적으로 대응하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공간적으로 대응하는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배향들 외에 장치의 사용 또는 작동 시의 다양한 배향들을 포함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장치가 (90도만큼 회전하여 또는 다른 배향으로) 배향될 수 있고, 본 발명에서의 대응하는 공간적 설명이 그에 대응하여 설명될 수 있다. 하나의 특징부가 다른 특징부에 또는 기판 위에 형성되는 경우, 또 다른 특징부가 이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배터리 연결 모듈(10) 및 배터리 팩(100)의 사시도이다. 배터리 연결 모듈(10)은 배터리 팩(900)을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배터리 팩(900)은 복수의 배터리들(902)을 포함한다. 배터리 연결 모듈(10)은 상부 커버(800), 가요성 회로 기판(200) 및 전극 연결 트레이(300)를 포함하고, 이들의 조립이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배터리 연결 모듈(10)의 가요성 회로 기판(200) 및 전극 연결 트레이(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 영역(A)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극 연결 트레이(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연결 트레이(300)는 적재 트레이(310) 및 복수의 버스바들(322)을 포함한다. 복수의 버스바들(322)은 배터리들(902)을 직렬로 연결하는 데 사용되고, 직렬 연결 경로의 양 단부들에 각각 위치된 2개의 출력 버스바들(322a, 322b) 및 2개의 출력 버스바들(322a, 322b) 사이에 위치된 복수의 직렬 연결 버스바들(322)을 포함한다. 복수의 직렬 연결 버스바들(322) 각각은 둘 이상의 전극 연결 부분들(321)을 갖고, 하나의 버퍼 만곡 부분(323)이 매 2개의 인접한 전극 연결 부분들(321) 사이에 위치되고 하향으로 만곡되며, 출력 버스바들(322a, 322b) 각각은 하나 이상의 전극 연결 부분(321)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직렬 연결 버스바들(322) 각각은 4개의 전극 연결 부분들(321) 및 각각이 2개의 인접한 전극 연결 부분들(321) 사이에 위치된 3개의 버퍼 만곡 부분들(323)을 가져서, 병렬 연결과 직렬 연결의 조합이 직렬 연결 버스바들(322) 각각의 4개의 전극 연결 부분들(321) 중에서 포함되게 하고; 출력 버스바들(322a, 322b) 각각은 2개의 전극 연결 부분들(321) 및 2개의 전극 연결 부분들(321) 사이에 위치된 하나의 버퍼 만곡 부분(323)을 갖고, 출력 버스바들(322a, 322b)은 직렬 연결 경로의 양 단부들에서 외부 회로를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직렬 연결 버스바들(322) 각각은 2개의 전극 연결 부분들(321)을 가질 수 있고, 출력 버스바들(322a, 322b) 각각은 단 하나의 전극 연결 부분(321)을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 트레이(310)는 길이 방향 또는 종방향(X), 폭 방향 또는 횡방향(Y) 및 트레이 면에 수직인 상하 방향(Z)을 갖는 직사각형 트레이이다. 적재 트레이(310)는 그의 주연부에 위치된 프레임(350), 종방향(X)으로 연장되고 횡방향(Y)으로 적재 트레이(310)의 중간에 위치된 중간 장착 부분(314), 및 중간 장착 부분(314)과 프레임(350)을 횡방향(Y)으로 연결하여 중간 장착 부분(314)의 양 측부들에 위치되고 복수의 버스바들(322)을 장착하는 데 사용되는 복수의 버스바 수용 홈들(320)을 형성하는 복수의 이격 바들(335)을 갖는다. 가요성 회로 기판(200)은 전극 연결 트레이(300)의 중간 장착 부분(314) 상에 구성되고, 복수의 버스바들(322) 및 복수의 버스바 수용 홈들(320)은 가요성 회로 기판(200)의 양 측부들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도 3의 참조와 조합하여, 각각의 버스바 수용 홈(320)은 가요성 회로 기판(200)에 인접한 내부 프레임 부분(3201)(내부 프레임 부분(3201)은 중간 장착 부분(314)의 일부 또는 연장부일 수 있음), 내부 프레임 부분(3201)의 반대편에 있는 외부 프레임 부분(3202)(외부 프레임 부분(3202)은 프레임(350)의 일부일 수 있음), 및 내부 프레임 부분(3201) 및 외부 프레임 부분(3202)의 양 단부들을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측면 프레임 부분들(3203)(각각의 측면 프레임 부분(3203)은 이격 바(335) 또는 프레임(350)의 일부일 수 있음)을 포함하고, 내부 프레임 부분(3201), 외부 프레임 부분(3202) 및 2개의 측면 프레임 부분들(3203)은 둘러싸서 버스바 수용 홈(320)의 주연부를 형성한다. 각각의 버스바 수용 홈(320)의 내부 프레임 부분(3201)은 가요성 회로 기판(200)에 인접하고, 각각의 버스바 수용 홈(320)의 하부는 내부 프레임 부분(3201)의 하부와 외부 프레임 부분(3202)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지지 바(316)를 포함하고, 하부 지지 바(316) 위에 각각 위치된 하나 이상의 상부 위치 제한 돌출부(318)는 외부 프레임 부분(3202)의 내부 벽 상에 제공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 수용 홈들(320)은 중간 장착 부분(314)의 양 측부들에서 종방향(X)으로 제공될 수 있다. 버스바(322)가 버스바 수용 홈(320) 내에 제공되는 경우, 버스바(322)는 상부 위치 제한 돌출부(들)(318)와 하부 지지 바(들)(316) 사이에 비스듬히 삽입되어 버스바(322)의 각각의 버퍼 만곡 부분(323)이 각각의 하부 지지 바(316) 상에 지지되게 할 수 있고, 각각의 상부 위치 제한 돌출부(318)는 버스바(322)의 대응하는 버퍼 만곡 부분(323) 위에 위치되어(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음), 버스바(322)의 상향으로 가장 높은 이동 지점이 외부 프레임 부분(3202) 측에서 제한될 수 있게 한다. 버스바들(322)이 버스바 수용 홈들(320) 내에 각각 제공된 후에,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배터리들(902)의 배터리 전극들(904a, 904b)은 버스바들(322)의 전극 연결 부분들(321)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버스바(322)는 둘 이상의 배터리들(902)을 직렬로 또는 직렬 및 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연결 트레이(300)는 전극 어댑터 플레이트(324) 및 2개의 전극 인출 각부들(326a, 326b)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전극 인출 각부(326a)는 전극 어댑터 플레이트(324)를 통하여 출력 버스바(322a)와 연결되어, 출력 버스바(322a)의 전력 출력 위치가 전극 인출 각부(326a)로 변환되게 한다. 전극 인출 각부(326b)는 출력 버스바(322b)의 연장부여서, 2개의 전극 인출 각부들(326a, 326b)이 적재 트레이(310)의 동일한 측부에 위치되게 한다. 더욱이, 복수의 보유 기둥들(312)이 트레이(310)의 중간 장착 부분(314) 상에 제공되고, 전극 어댑터 플레이트(324)가 장착되는 경우에 전극 어댑터 플레이트(324) 상의 복수의 관통 구멍들(325)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보유 기둥(312)은 전극 어댑터 플레이트(324)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확대 헤드를 갖도록 고온 용융(hot-melt)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극 연결 트레이(300)는 전극 어댑터 플레이트(324)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그러므로, 배터리들의 방폭 기공(explosion-proof vent)들에 대응하는 구멍들이 적재 트레이(310)의 중간 장착 부분(314) 상에 제공될 수 있어서, 열 방산 및 방폭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극 연결 트레이(300)는 전극 어댑터 플레이트(324)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2개의 전극 인출 각부들(326a, 326b)은 적재 트레이(310)의 2개의 서로 반대편인 측부들 상에 각각 배열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배터리 연결 모듈(10)의 가요성 회로 기판(200) 및 전극 연결 트레이(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의 참조와 조합하여,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가요성 회로 기판(200)의 사시도이다. 가요성 회로 기판(200)은 본체(201) 및 본체(201)의 측부들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L 형상의 가요성 아암들(204) 및 복수의 위치 제한 플레이트들(208)을 포함한다. 각각의 L 형상의 가요성 아암(204)의 원위 단부가 전도성 플레이트(206)와 연결되고, 각각의 L 형상의 가요성 아암(204)이 전도성 플레이트(206)를 통하여 버스바(322)와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멍(210)이 위치 제한 플레이트(208)의 중간에 제공될 수 있고, 가요성 회로 기판(200)은 또한 고정 구멍(224)을 가질 수 있고(도 8 참조), 가요성 회로 기판(200)의 고정 구멍(224)은 위치 제한 플레이트(208)의 구멍(210)과 중첩될 수 있어서, 가요성 회로 기판(200)과 위치 제한 플레이트(208)가 함께 관통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위치 제한 플레이트(208)는 금속 또는 비금속일 수 있고, 용접 또는 접착에 의해 가요성 회로 기판(20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도 3은 도 2의 일부 영역(A)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아암 수용 홈(304)이 전극 연결 트레이(300)의 버스바 수용 홈(320)의 내부 프레임 부분(3201) 상에 제공될 수 있고, L 형상의 가요성 아암(204)의 단부 부분(204c)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위치 제한 플레이트 수용 홈(306)이 버스바 수용 홈(320)의 내부 프레임 부분(3201)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위치 제한 플레이트(208)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위치 제한 플레이트(208)는 위치 제한 플레이트 수용 홈(306) 내에 수용되는 베이스 부분(2081) 및 돌출 부분(2082)을 포함하고, 구멍(210)은 위치 제한 플레이트(208)의 베이스 부분(2081) 상에 제공되고; 위치 제한 플레이트 장착 기둥(308)이 위치 제한 플레이트 수용 홈(306) 내에 제공될 수 있고, 위치 제한 플레이트(208)를 장착하기 위하여 위치 제한 플레이트(208)의 중간에 있는 구멍(210)을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어서, 위치 제한 플레이트 장착 기둥(308)은 확대 헤드를 갖도록 고온 용융될 수 있어서(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음), 위치 제한 플레이트(208)가 위치 제한 플레이트 수용 홈(306) 내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도 5a는 도 2의 전극 연결 트레이(300)와 가요성 회로 기판(200)이 조립된 후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일부 영역(B)의 확대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제한 플레이트(208)가 위치 제한 플레이트 수용 홈(306) 내에 장착된 경우, 위치 제한 플레이트(208)의 베이스 부분(2081)은 위치 제한 플레이트 수용 홈(306) 내에 수용되고, 위치 제한 플레이트(208)의 돌출 부분(2082)은 버스바 수용 홈(320) 내로 돌출되고 버스바(322)의 대응하는 버퍼 만곡 부분(323) 위에 위치되어, 버스바(322)의 상향으로 가장 높은 이동 지점이 중간 장착 부분(314)에 가까운 내부 프레임 부분(3201) 측에서 제한되게 한다. 본 발명의 측면 프레임 부분(3203)에는 버스바(322)에 대한 상부 위치 제한 구성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하부 지지 바(316), 위치 제한 플레이트(208) 및 위치 제한 플레이트(208)를 향하는 상부 위치 제한 돌출부(들)(318)는 협동하여 버스바 수용 홈(320) 내에 버스바(322)를 제한할 수 있지만 부유 방식으로의 버스바(322)의 변위를 위한 공간을 가질 수 있고, 이는 복잡한 구조물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와 같이, 적재 트레이(310) 상에 버스바(322)를 장착하는 것은 간단하고 용이하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회로 기판(200)은 본체(201) 및 버스바들(322)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L 형상의 가요성 아암들(204)을 포함한다. 각각의 L 형상의 가요성 아암(204)은 버스바(322)를 향하여 본체(201)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된 제1 섹션(204a) - 제1 섹션(204a)은 본체(201) 및 버스바(322)에 대해 대체적으로 수직일 수 있음(즉, 제1 섹션(204a)은 대체적으로 횡방향(Y)을 따르고 종방향(X)에 수직인 방향으로 외향으로 연장됨) -; 제1 섹션(204a)과 연결되고 버스바(322)와 본체(201) 사이에서 일정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섹션(204b) - 제2 섹션(204b)은 본체(201) 및 버스바(322)에 대체적으로 평행할 수 있음(즉, 제2 섹션(204b)은 대체적으로 종방향(X)에 평행하고 횡방향(Y)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됨) -; 및 제2 섹션(204b)의 원위 단부에 위치되고 전도성 플레이트(206)와 연결되고, 이어서 전도성 플레이트(206)를 통하여 버스바(322)와 연결된 단부 부분(204c)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가요성 아암 수용 홈(304)의 공간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부분(204c)보다 약간 더 커서, 단부 부분(204c)이 수용되는 경우에 단부 부분(204c)의 변위를 위한 간극(305)을 제공하게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배터리 연결 모듈(10)이 조립된 경우, 가요성 회로 기판(200)은 가요성 회로 기판(200)의 긴 측부가 전극 연결 트레이(300)의 긴 측부에 (도 2의 종방향(X)으로) 평행한 채로 전극 연결 트레이(300)의 중간 장착 부분(314)에 조립된다. 대안적으로, 가요성 회로 기판(200)은 전극 연결 트레이(300)의 중간에 조립되지 않고, 전극 연결 트레이(300)의 양 측부에 조립될 수 있다. 더욱이, 가요성 회로 기판(200)은 커넥터(220)를 포함하고, 커넥터 수용 박스(340)가 그에 대응하여 전극 연결 트레이(300)의 일 측부 상에 제공되고, 커넥터(220)는 전극 연결 트레이(300)의 일 측부 상에 제공된 커넥터 수용 박스(340) 내로 삽입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요성 회로 기판(200)의 본체(201)에는 본체(201)가 보유 기둥(312)을 피하게 할 수 있는 2개의 큰 중공 구역들(202)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극 연결 트레이(300)는 전극 어댑터 플레이트(324)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가요성 회로 기판(200)의 중공 구역(202)은 열 방산 및 가스 방출을 위해 적재 트레이(310)의 중간 장착 부분(314) 상에 제공된 구멍들에 대응할 수 있다.
도 6은 전극 연결 트레이(300)와 가요성 회로 기판(200)이 서로 조립되었지만 상부 커버(800)는 이들과 함께 조립되지 않은 본 발명 실시예의 배터리 연결 모듈(10)의 분해도이다. 상부 커버(800)가 조립된 경우, 가요성 아암 수용 홈들(304) 및 위치 제한 플레이트 수용 홈들(306)은 덮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800)의 주연부에는 복수의 외부 래칭 부재들(802)이 제공되고, 전극 연결 트레이(300)의 프레임(350)의 외부 면에는 복수의 외부 래칭 블록들(332)이 제공되고, 외부 래칭 부재들(802)은 외부 래칭 블록들(332)과 각각 래칭되도록 구성되어, 상부 커버(800)가 전극 연결 트레이(300)를 덮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커버(800)는 복수의 내부 래칭 부재들(804)을 추가로 갖고, 각각의 내부 래칭 부재(804)에 대응하는 채널(334) 및 채널(334) 내에 위치된 내부 래칭 블록(336)이 전극 연결 트레이(300)의 이격 바(335)에 제공되고, 상부 커버(800)와 전극 연결 트레이(300)의 조립된 구조물은 각각의 내부 래칭 부재(804)가 각각의 내부 래칭 블록(336)과 래칭됨으로써 더 안정적일 수 있다.
더욱이, 상부 커버(800)는 커넥터 수용 박스(340)를 덮도록 구성된 연장 부분(810)을 갖는다. 연장 부분(810)은 또한, 커넥터 수용 박스(340)의 측벽(342) 상의 복수의 래칭 구멍들(338)과 각각 래칭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외부 래칭 편부들(806)을 갖는다. 2개의 전극 인출 각부들(326a, 326b)은 각각 2개의 수직 부분들(328a, 328b)을 가지며, 상부 커버(800)는 2개의 커버 플레이트들(808a, 808b)을 갖고, 상부 커버(800)가 전극 연결 트레이(300)에 조립된 후에 2개의 수직 부분들(328a, 328b)을 각각 덮을 수 있어서, 사람들 또는 사물들이 2개의 수직 부분들(328a, 328b)과 접촉하는 것 및 위험을 야기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도 7a는 도 6의 전극 연결 트레이(300)와 상부 커버(800)가 조립된 후의 개략도인데, 여기서 단면선 M-M'은 도 6의 배터리 연결 모듈(10)과 상부 커버(800)가 조립된 다음에 전극 연결 트레이(300)의 선 P-P'과 상부 커버(800)의 선 N-N'이 중첩된 후에 형성된 선이다. 도 7b는 도 7a의 영역(C)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상부 커버(800)의 복수의 내부 래칭 부재들(804)은 전극 연결 트레이(300)의 채널들(334) 내의 내부 래칭 블록들(336)과 각각 래칭된다.
도 8은 가요성 회로 기판(200)의 아래로부터 비스듬히 바라본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가요성 회로 기판(200)의 사시도이다. 더욱이, 가요성 회로 기판(200)의 커넥터(220)는 정합 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어서, 검출된 배터리 상태 신호를 외부 제어 디바이스로 출력하게 한다. 추가로, 가요성 회로 기판(200)은 퓨즈(212) 및 센서(214)를 추가로 포함한다. 퓨즈(212)의 양 단부들은 가요성 회로 기판(200) 상의 회로(도면에 미도시)와 연결되고, 센서(214)는 전도성 플레이트(206) 상에 제공되고 버스바(322)의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도성 플레이트(206)는 L 형상의 가요성 아암(204)에 용접될 수 있고, 센서(214)는 L 형상의 가요성 아암(204)의 회로(218)와 연결될 수 있다.
버스바 아래의 배터리가 팽창, 수축 또는 진동으로 인해 변위되는 경우, 기존의 스트립 형상의 가요성 아암은 버스바의 단일 방향으로의 변위에 응답하여 2차원 방향으로만 변형될 수 있다. 그에 비하여, 본 발명의 L 형상의 가요성 아암(204)은 버스바(322)에 평행이고 그에 수직인 방향들로 각각 변형될 수 있는 L 형상의 설계를 채택하고, 가요성 아암 수용 홈들(304) 내의 간극(305)과 협동하며, 본 발명의 L 형상의 가요성 아암(204)은 버스바(322)의 변위에 응답하여 3차원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고; 본 발명의 L 형상의 가요성 아암(204)은 가요성 회로 기판(200)과 각각의 버스바(322) 사이의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더 보장할 수 있고 가요성 회로 기판(200)이 손상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의 특징부들이 상기 내용에서 요약되어, 당업자가 본 발명의 개시된 내용의 다양한 태양들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개시된 내용이 용이하게 사용되어 다른 제조 접근법 또는 구성을 설계 또는 변형할 수 있고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한 목적을 실현할 수 있고/있거나 동일한 이점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당업자는 또한 그러한 등가의 접근법 또는 구성이 본 발명의 개시된 내용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고, 당업자는 본 발명의 개시된 내용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형, 치환 및 교체를 이룰 수 있다.

Claims (18)

  1. 배터리 연결 모듈로서,
    전극 연결 트레이(tray) - 상기 전극 연결 트레이는
    적재 트레이(carrying tray); 및
    상기 적재 트레이 상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버스바(busbar)들을 포함함 -; 및
    상기 전극 연결 트레이 상에 구성된 가요성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버스바들은 상기 가요성 회로 기판에 인접하게 배열되고, 상기 가요성 회로 기판은 본체 및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L 형상의 가요성 아암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L 형상의 가요성 아암들은 상기 복수의 버스바들과 각각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L 형상의 가요성 아암은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복수의 버스바들을 향하여 외향으로 연장된 제1 섹션;
    상기 제1 섹션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버스바들과 상기 본체 사이에서 일정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섹션; 및
    상기 제2 섹션의 원위 단부에 위치되고 대응하는 버스바와 연결된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배터리 연결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연결 트레이는
    상기 복수의 버스바들을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버스바 수용 홈들 - 상기 버스바 수용 홈은
    상기 가요성 회로 기판에 인접한 내부 프레임 부분;
    상기 내부 프레임 부분의 반대편에 있는 외부 프레임 부분; 및
    상기 내부 프레임 부분 및 상기 외부 프레임 부분의 양 단부들을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측면 프레임 부분들을 포함함 -; 및
    상기 내부 프레임 부분에 제공되고, 상기 L 형상의 가요성 아암의 단부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가요성 아암 수용 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아암 수용 홈의 공간이 상기 단부 부분보다 약간 더 커서 상기 단부 부분의 변위를 위한 간극을 제공하게 하는, 배터리 연결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회로 기판은 복수의 전도성 플레이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L 형상의 가요성 아암의 단부 부분은 상기 전도성 플레이트를 통하여 상기 버스바와 연결되는, 배터리 연결 모듈.
  4. 배터리 연결 모듈로서,
    전극 연결 트레이 - 상기 전극 연결 트레이는
    복수의 버스바들; 및
    상기 복수의 버스바들을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버스바 수용 홈들을 포함하는 적재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수용 홈은
    내부 프레임 부분;
    상기 내부 프레임 부분의 반대편에 있는 외부 프레임 부분;
    상기 내부 프레임 부분 및 상기 외부 프레임 부분의 양 단부들을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측면 프레임 부분들;
    상기 버스바 수용 홈의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버스바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하부 지지 바; 및
    상기 외부 프레임 부분의 내부 벽에 제공되고 상기 버스바 위에 위치된 상부 위치 제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프레임 부분, 상기 외부 프레임 부분 및 상기 2개의 측면 프레임 부분들은 둘러싸서 상기 버스바 수용 홈의 주연부를 형성함 -; 및
    상기 적재 트레이 상에 구성된 가요성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버스바 수용 홈들은 상기 가요성 회로 기판에 인접하게 배열되고, 상기 각각의 버스바 수용 홈의 내부 프레임 부분은 상기 가요성 회로 기판에 인접하고, 상기 가요성 회로 기판은 복수의 위치 제한 플레이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제한 플레이트는 상기 내부 프레임 부분에 제공되고, 상기 위치 제한 플레이트는 상기 버스바 수용 홈 내로 돌출되고 상기 버스바 위에 위치되는, 배터리 연결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수용 홈의 2개의 측면 프레임 부분들에는 상기 버스바에 대한 상부 위치 제한 구성이 제공되지 않는, 배터리 연결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스바들은 복수의 버퍼 만곡 부분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버퍼 만곡 부분들은 상기 복수의 하부 지지 바들에 의해 각각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 위치 제한 돌출부는 하나의 대응하는 버퍼 만곡 부분 위에 위치되고, 상기 위치 제한 플레이트는 하나의 대응하는 버퍼 만곡 부분 위에 위치되는, 배터리 연결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위치 제한 플레이트 수용 홈이 상기 버스바 수용 홈의 내부 프레임 부분 상에 제공되고, 상기 위치 제한 플레이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위치 제한 플레이트는
    상기 위치 제한 플레이트 수용 홈 내에 수용되는 베이스 부분; 및
    상기 버스바 수용 홈 내로 돌출되고 상기 버스바의 대응하는 버퍼 만곡 부분 위에 위치된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배터리 연결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한 플레이트의 베이스 부분은 구멍을 갖고, 위치 제한 플레이트 장착 기둥이 상기 위치 제한 플레이트 수용 홈 내에 제공되고, 상기 위치 제한 플레이트 장착 기둥은 상기 위치 제한 플레이트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위치 제한 플레이트 상의 상기 구멍을 통과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연결 모듈.
  9. 배터리 연결 모듈로서,
    전극 연결 트레이 - 상기 전극 연결 트레이는
    복수의 버스바들; 및
    상기 복수의 버스바들을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버스바 수용 홈들을 포함하는 적재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수용 홈은
    내부 프레임 부분;
    상기 내부 프레임 부분의 반대편에 있는 외부 프레임 부분;
    상기 내부 프레임 부분 및 상기 외부 프레임 부분의 양 단부들을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측면 프레임 부분들;
    상기 버스바 수용 홈의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버스바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하부 지지 바; 및
    상기 외부 프레임 부분의 내부 벽에 제공되고 상기 버스바 위에 위치된 상부 위치 제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프레임 부분, 상기 외부 프레임 부분 및 상기 2개의 측면 프레임 부분들은 둘러싸서 상기 버스바 수용 홈의 주연부를 형성함 -; 및
    상기 전극 연결 트레이 상에 구성된 가요성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버스바 수용 홈들은 상기 가요성 회로 기판에 인접하게 배열되고, 상기 각각의 버스바 수용 홈의 내부 프레임 부분은 상기 가요성 회로 기판에 인접하고, 상기 가요성 회로 기판은
    복수의 위치 제한 플레이트들 - 상기 위치 제한 플레이트는 상기 내부 프레임 부분에 제공되고 상기 위치 제한 플레이트는 상기 버스바 수용 홈 내로 돌출되고 상기 버스바 위에 위치됨 -;
    본체; 및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L 형상의 가요성 아암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L 형상의 가요성 아암들은 상기 복수의 버스바들과 각각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L 형상의 가요성 아암은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복수의 버스바들을 향하여 외향으로 연장된 제1 섹션;
    상기 제1 섹션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버스바들과 상기 본체 사이에서 일정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섹션; 및
    상기 제2 섹션의 원위 단부에 위치되고 대응하는 버스바와 연결된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배터리 연결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수용 홈의 내부 프레임 부분에는 가요성 아암 수용 홈 및 위치 제한 플레이트 수용 홈이 제공되고;
    상기 가요성 아암 수용 홈은 상기 L 형상의 가요성 아암의 단부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요성 아암 수용 홈의 공간은 상기 단부 부분보다 약간 더 커서 상기 단부 부분의 변위를 위한 간극을 제공하고;
    상기 위치 제한 플레이트 수용 홈은 상기 위치 제한 플레이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연결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스바들은 복수의 버퍼 만곡 부분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버퍼 만곡 부분들은 상기 복수의 하부 지지 바들에 의해 각각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 위치 제한 돌출부는 하나의 대응하는 버퍼 만곡 부분 위에 위치되고, 상기 위치 제한 플레이트는 하나의 대응하는 버퍼 만곡 부분 위에 위치되는, 배터리 연결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한 플레이트의 베이스 부분은 구멍을 갖고, 위치 제한 플레이트 장착 기둥이 상기 위치 제한 플레이트 수용 홈 내에 제공되고, 상기 위치 제한 플레이트 장착 기둥은 상기 위치 제한 플레이트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위치 제한 플레이트 상의 상기 구멍을 통과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연결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회로 기판은 복수의 전도성 플레이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L 형상의 가요성 아암의 단부 부분은 상기 전도성 플레이트를 통하여 상기 버스바와 연결되는, 배터리 연결 모듈.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트레이는
    프레임 -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외부 래칭 블록(latching block)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외부 래칭 블록들은 상기 프레임의 외부 면에 제공됨 -; 및
    상기 버스바 수용 홈들을 서로로부터 이격시키고 복수의 채널들 및 복수의 내부 래칭 블록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이격 바들 - 상기 복수의 내부 래칭 블록들은 상기 복수의 채널들 내에 각각 제공됨 - 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연결 모듈은 상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상부 커버의 하부의 중간에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내부 래칭 블록들과 각각 래칭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내부 래칭 부재들; 및
    상기 상부 커버의 주연부에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외부 래칭 블록들과 각각 래칭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외부 래칭 부재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연결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회로 기판은 커넥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전극 연결 트레이는 커넥터 수용 박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수용 박스 내에 장착된, 배터리 연결 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수용 박스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은 복수의 래칭 구멍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는 연장 부분 및 복수의 외부 래칭 편부(piece)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외부 래칭 편부들은 상기 연장 부분에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래칭 구멍들과 각각 래칭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장 부분은 상기 커넥터 수용 박스를 덮도록 구성된, 배터리 연결 모듈.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들은 2개의 출력 버스바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출력 버스바는 전극 인출 각부(electrode leading-out leg)를 갖고, 상기 전극 인출 각부는 수직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수직 부분을 덮도록 구성된, 배터리 연결 모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연결 트레이는 전극 어댑터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전극 어댑터 플레이트는 하나의 출력 버스바와 상기 하나의 출력 버스바의 전극 인출 각부를 연결하여, 상기 2개의 전극 인출 각부들이 상기 적재 트레이의 동일한 측부에 위치되게 하는, 배터리 연결 모듈.
KR1020180083773A 2017-07-24 2018-07-19 배터리 연결 모듈 KR1021356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606382.6A CN109301634B (zh) 2017-07-24 2017-07-24 电池连接模块
CN201710606382.6 2017-07-2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563A Division KR102167124B1 (ko) 2017-07-24 2019-11-11 배터리 연결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204A true KR20190011204A (ko) 2019-02-01
KR102135607B1 KR102135607B1 (ko) 2020-07-20

Family

ID=650234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773A KR102135607B1 (ko) 2017-07-24 2018-07-19 배터리 연결 모듈
KR1020190143563A KR102167124B1 (ko) 2017-07-24 2019-11-11 배터리 연결 모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563A KR102167124B1 (ko) 2017-07-24 2019-11-11 배터리 연결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39533B2 (ko)
JP (2) JP6684315B2 (ko)
KR (2) KR102135607B1 (ko)
CN (1) CN109301634B (ko)
TW (1) TWI64224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22628A1 (de) 2019-01-29 2020-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chtemittierendes Vorrichtungspake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lichtemittierenden Vorrichtungspakets
KR20230102830A (ko) *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버스바 지지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368B1 (ko) * 2017-12-11 2020-11-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JP6467733B1 (ja) 2018-05-21 2019-02-13 Smc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の駆動方法及び駆動装置
EP3595037B1 (en) 2018-07-10 2023-04-19 Yazaki Corporation Structure of connection among circuit body, bus bar and electronic element
KR102379227B1 (ko) * 2018-12-26 2022-03-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N209401680U (zh) * 2018-12-29 2019-09-17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
KR102381762B1 (ko) 2019-02-21 2022-03-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덮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EP3715171B1 (en) 2019-03-26 2022-07-13 ABB Schweiz AG Flexprint for energy storage module
CN111952490B (zh) * 2019-05-17 2022-12-02 莫仕连接器(成都)有限公司 电池连接模块及电池装置
JP7403240B2 (ja) 2019-06-07 2023-12-22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配線材及びバッテリモジュール
JP7041098B2 (ja) * 2019-06-17 2022-03-23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モジュール
JP7025376B2 (ja) * 2019-06-17 2022-02-24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モジュール
CN112103419A (zh) * 2019-06-18 2020-12-18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温控组件及电池包
KR20210006771A (ko) * 2019-07-09 2021-01-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모듈용 전기적 연결장치
CN110391515B (zh) * 2019-08-20 2024-03-05 广州安博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抗震功能的复合汇流排
CN210073989U (zh) * 2019-08-23 2020-02-1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
TWI715413B (zh) * 2019-10-09 2021-01-01 美商莫仕有限公司 電池連接模組
CN110994301B (zh) * 2019-11-11 2021-03-26 上海空间电源研究所 一种用于航天功率产品的钩型功率汇集装置
CN112310542B (zh) * 2019-12-27 2022-01-1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组件、电池模块、电池组、装置以及安装方法
JP7177109B2 (ja) * 2020-03-02 2022-11-22 矢崎総業株式会社 導電モジュール
KR20210144183A (ko) * 2020-05-21 2021-11-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CN113889713A (zh) * 2020-07-03 2022-01-04 莫仕连接器(成都)有限公司 电池连接模块
JP7229648B2 (ja) * 2020-07-29 2023-02-28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接続モジュール
CN114122627A (zh) * 2020-08-27 2022-03-01 莫仕连接器(成都)有限公司 电池连接模块
CN112490559A (zh) * 2020-12-17 2021-03-12 江苏塔菲尔动力系统有限公司 一种基于电极对端设置电池的电池模组
JP7240372B2 (ja) * 2020-12-21 2023-03-15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20247006A1 (en) * 2021-02-02 2022-08-04 Aurora Flight Sciences Corporation, a subsidiary of The Boeing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rmal management of batteries
KR20220130425A (ko) * 2021-03-18 2022-09-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회로 기판 및 이를 갖는 배터리 팩
CN115189104A (zh) * 2021-04-06 2022-10-14 莫仕连接器(成都)有限公司 电池连接模组
JP7418374B2 (ja) 2021-05-10 2024-01-19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モジュール
JP2023012977A (ja) 2021-07-15 2023-01-26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モジュール
CN116706445A (zh) * 2022-02-25 2023-09-05 莫仕连接器(成都)有限公司 电池连接模组
CN114725630A (zh) * 2022-03-30 2022-07-08 中创新航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装置
JP2024004681A (ja) 2022-06-29 2024-01-17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モジュール
CA3214672A1 (en) * 2022-10-03 2024-04-03 Oasis Aerospace Inc. Battery module clamshel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8216A (ja) * 2010-04-22 2011-11-10 Yazaki Corp 配線材
KR101698765B1 (ko) * 2012-05-08 2017-0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조립공정이 단순화되는 배터리 팩
JP2017033646A (ja) * 2015-07-29 2017-02-0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20170002183U (ko) * 2015-12-11 2017-06-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5758U (ko) 1988-03-09 1989-09-18
JPH11191662A (ja) 1997-12-25 1999-07-13 Olympus Optical Co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CN2452174Y (zh) * 2000-11-13 2001-10-03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改良结构的汇流板及汇流板接头组件
KR101293952B1 (ko) * 2010-11-23 2013-08-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버스 바 어셈블리
US8609276B2 (en) * 2011-06-23 2013-12-17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JP5741948B2 (ja) 2011-11-11 2015-07-0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池配線モジュール
JP6032897B2 (ja) * 2012-01-27 2016-11-3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装置
KR102024002B1 (ko) * 2012-07-05 2019-09-2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팩
JP2014220148A (ja) * 2013-05-09 2014-11-20 愛三工業株式会社 バスバーモジュール
JP6136697B2 (ja) * 2013-07-22 2017-05-31 株式会社デンソー 組電池
JP2015099759A (ja) * 2013-11-20 2015-05-28 株式会社東芝 組電池用バスバーおよび組電池
JP6164489B2 (ja) * 2014-01-21 2017-07-1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モジュール
JP3195110U (ja) 2014-10-16 2014-12-2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配線部材
US9985265B2 (en) * 2015-04-13 2018-05-2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Flexible ribs of a bus bar carrier
JP6579030B2 (ja) * 2016-04-26 2019-09-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接続モジュール
TWM534899U (zh) * 2016-05-20 2017-01-01 Molex Llc 匯流連接件及電池連接模組
CN206211098U (zh) * 2016-12-06 2017-05-31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件、连接组件及电池模组
JP6822250B2 (ja) * 2017-03-21 2021-01-27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池配線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8216A (ja) * 2010-04-22 2011-11-10 Yazaki Corp 配線材
KR101698765B1 (ko) * 2012-05-08 2017-0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조립공정이 단순화되는 배터리 팩
JP2017033646A (ja) * 2015-07-29 2017-02-0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20170002183U (ko) * 2015-12-11 2017-06-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22628A1 (de) 2019-01-29 2020-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chtemittierendes Vorrichtungspake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lichtemittierenden Vorrichtungspakets
KR20230102830A (ko) *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버스바 지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301634B (zh) 2020-06-19
US11239533B2 (en) 2022-02-01
JP6864057B2 (ja) 2021-04-21
TW201909487A (zh) 2019-03-01
JP2019023996A (ja) 2019-02-14
US20190027731A1 (en) 2019-01-24
JP2020098772A (ja) 2020-06-25
KR102167124B1 (ko) 2020-10-16
KR20190129789A (ko) 2019-11-20
KR102135607B1 (ko) 2020-07-20
CN109301634A (zh) 2019-02-01
JP6684315B2 (ja) 2020-04-22
TWI642245B (zh)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1204A (ko) 배터리 연결 모듈
KR102354401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6642696B2 (ja) 電源装置
JP7196950B2 (ja) 蓄電装置
KR102084098B1 (ko) 홀더를 갖는 전지 모듈
CN107039610B (zh) 蓄电装置及盖部件
US9190641B2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KR20190114406A (ko) 조립성이 향상된 버스바 프레임을 구비한 배터리 모듈
US20150064543A1 (en) Battery module
JP6145314B2 (ja) バスバモジュール及び電源装置
US10840496B2 (en) Bus bar module and power supply device
CN108701797B (zh) 布线模块及蓄电模块
JP7055487B2 (ja) 衝撃吸収構造を有するコネクタを含む電池モジュール
JP2013157125A (ja) 端子固定構造及び電源装置
EP2892087B1 (en) Structure for holding voltage detecting terminal
JP6539623B2 (ja) 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パック
US11211659B2 (en) Battery module comprising housing with connector
JP6265088B2 (ja) 蓄電装置
CN110495017A (zh) 连接板和包括该连接板的电池模块
JP7324428B2 (ja) 蓄電装置
KR102280997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056362B1 (ko) 전지팩의 셀 모듈 및 그 조립 방법
JP2018129142A (ja) 接続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