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183U -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183U
KR20170002183U KR2020150008149U KR20150008149U KR20170002183U KR 20170002183 U KR20170002183 U KR 20170002183U KR 2020150008149 U KR2020150008149 U KR 2020150008149U KR 20150008149 U KR20150008149 U KR 20150008149U KR 20170002183 U KR20170002183 U KR 201700021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base
battery module
battery
conn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016Y1 (ko
Inventor
전계현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8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016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1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1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0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202
    • H01M2/1016
    • H01M2/3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골격을 베이스(10)가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10)에는 버스바안착부(12)와 기판안착부(14)가 형성되고, 상기 버스바안착부(12)에는 다수개의 버스바안착대(16)가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안착대(16)의 골격을 안착대몸체(20)가 형성하는데, 상기 안착대몸체(20)의 측벽(22) 양측에는 걸이턱(24)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안착대(16)에는 배터리셀 탭 및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스바(30)가 안착된다. 상기 버스바(30)는 상기 버스바안착대(16)에 안착되어 배터리셀탭과 결합되는 결합판(32)이 있고, 상기 결합판(32)의 양단에는 측판(34)이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측판(34)에는 상기 걸이턱(24)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35)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24)이 형성된 측벽(22)의 부분에는 홈부(26)가 형성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버스바(30)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버스바(30)가 버스바안착대(16)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소성변형되지 않고 베이스(10) 측이 탄성변형되므로, 버스바(30)가 변형없이 베이스(10)에 유동없이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Series connection apparatus of battery module}
본 고안은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접하는 배터리셀의 전극을 차례로 연결하여 전체 배터리모듈의 배터리셀들을 직렬로 연결하도록 한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배터리는 필요한 만큼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배터리모듈로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모듈은 또한 다수개의 배터리셀들로 구성되는데, 상기 배터리셀들을 직렬로 연결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큰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나의 배터리팩에서 다수개의 배터리셀의 양극과 음극을 차례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가 직렬연결장치이다.
이와 같은 직렬연결장치에는 배터리셀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버스바가 있는데,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서와 같이, 상기 버스바는 다수개가 베이스에 융착되어 고정된다. 하지만, 융착작업을 위해서는 별도의 융착장비가 필요하고 제조공정이 늘어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융착을 하는 경우에 버스바에 통공을 만들고 베이스에서 돌출된 융착돌기가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선단이 융착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통공의 내경과 융착돌기의 외경을 1:1로 정확하게 맞출 수 없어 버스바와 베이스 사이에 상대 유동이 발생하게 되어 소음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금속재질인 버스바를 사출물인 베이스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버스바가 전기의 통전성이 좋은 동재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탄성변형능력이 떨어져서 베이스에 버스바가 정확하게 밀착되어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9251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에서 버스바가 베이스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에서 버스바가 베이스에 유격없이 장착되어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배터리모듈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배터리셀들의 탭을 직렬로 연결하는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에 있어서,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폭방향 양측에 있는 측벽에 걸이턱이 형성되어 걸이턱이 밀리도록 탄성변형되는 다수개의 버스바안착대를 구비하는 베이스와, 상기 버스바안착대의 표면에 안착되어 배터리셀의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결합편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편의 폭방향 양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버스바안착대의 측벽에 밀착되는 측판을 구비하며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져 상기 배터리셀 들의 탭을 직렬로 연결하는 버스바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버스바안착대가 형성된 버스바안착부와 상기 버스바안착부와 일측 가장자리를 공유하도록 기판안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안착대의 사이에는 간격대가 구비되고, 상기 간격대와 버스바안착대의 사이 간격을 통해 상기 배터리셀의 탭이 통과한다.
상기 버스바안착대의 하단에는 가이드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안착대와 간격대 사이로 상기 배터리셀 탭이 통과하는 것을 안내한다.
상기 걸이턱이 형성된 측벽의 부분은 상기 측벽의 다른 부분보다 얇게 되도록 홈부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는 상기 버스바안착대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배터리모듈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배터리셀들의 탭을 직렬로 연결하는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에 있어서,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폭방향 양측에 있는 측벽에 걸이턱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버스바안착대를 구비하는 베이스와, 상기 버스바안착대에 안착되어 배터리셀의 탭들을 직렬로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가 상기 버스바안착대에 장착될 때 상기 걸이턱이 상기 버스바에 의해 밀리면서 버스바안착대가 탄성변형되어 상기 걸이턱이 상기 버스바의 통공에 걸어진다.
상기 버스바안착대의 하단에는 가이드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안착대와 상기 버스바안착대에 인접하여 형성된 간격대 사이로 상기 배터리셀 탭이 통과하는 것을 안내한다.
상기 버스바는 상기 버스바안착대의 표면에 안착되어 배터리셀의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의 폭방향 양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버스바안착대의 측벽에 밀착되는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측판에는 상기 걸이턱이 걸어지는 통공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베이스의 안착대에 버스바가 장착됨에 있어서 동이나 동합금으로 된 버스바는 탄성변형되지 않고 안착대 측이 탄성변형된다. 따라서, 버스바는 제작된 상태 그대로 베이스의 안착대에 장착될 수 있어 버스바가 안착대의 외면에 견고하게 장착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상기 걸이편이 외팔보 형상으로 안착대의 걸이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걸이편의 선단이 걸이홈의 일측 내면에 걸어지면서 버스바의 결합편과 협력하여 버스바가 안착대에서 유동없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중에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 상기 버스바가 안착대에 대해서 유동하지 않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례에서 버스바가 안착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례에서 버스바가 안착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베이스(10)는 본 고안 장치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절연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상기 베이스(10)는 배터리팩(도시되지 않음)의 외관을 구성하는 일측에 장착된다. 상기 베이스(10)에는 버스바안착부(12)와 기판안착부(14)가 있다. 상기 버스바안착부(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30)들이 장착된다. 상기 기판안착부(14)는 상기 베이스(10)에서 버스바(30)가 안착되는 쪽의 반대쪽 면에 있다. 상기 기판안착부(14)는 상기 베이스(10)의 일방향 중앙부분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상기 기판안착부(14)를 중심으로 양측에 버스바안착부(12)가 있다. 기판은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퓨즈나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등이 실장된다.
상기 버스바안착부(12)는 상기 기판안착부(14)와 일측 가장자리를 공유하는 것으로, 배터리팩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배터리셀의 탭(도시되지 않음)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실시례의 장치는 배터리셀이 2열로 배치되는 것에서 사용된다. 상기 버스바안착부(12)에는 대략 사각판 형상의 버스바안착대(16)와 간격대(18)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스바안착대(16)와 간격대(18)의 사이에는 상기 배터리셀의 탭이 통과하도록 틈새가 있다.
상기 버스바안착대(16)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상기 버스바안착대(16)의 골격을 안착대몸체(20)가 형성한다. 상기 안착대몸체(20)는 사각 판형상이다. 상기 안착대몸체는 베이스(10)의 가장자리 측벽(19)과 상기 기판안착부(14)측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 안착대몸체(2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측벽(22)이 형성된다. 상기 양측의 측벽(22)을 연결하도록 연결벽(23)이 있다. 상기 연결벽(23)은 십자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안착대몸체(20)의 측벽(22)의 외면 양측에는 걸이턱(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턱(24)은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30)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걸이턱(24)이 총 4개 형성되어 있다. 버스바(30)를 안착대몸체(20)에 견고하게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측벽(22)마다 양측에 적어도 하나씩 총 4개의 걸이턱(24)이 있는 것이 필요하다. 물론 버스바(30)의 길이에 따라 상기 걸이턱(24)의 갯수는 달리되는 것이 좋다.
상기 걸이턱(24)이 형성된 상기 측벽(22)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게 된다. 즉 본 실시례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22)에서 상기 걸이턱(24)이 있는 반대쪽 면에 홈부(26)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26)가 형성됨에 의해 상기 걸이턱(24)에 외력이 가해지면 해당되는 측벽(22) 부분이 탄성변형된다.
상기 홈부(26)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22)외에도 상기 안착대몸체(20)에도 형성된다. 이는 상기 걸이턱(24)이 형성된 부분이 보다 잘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측벽(22)에만 홈부(26)를 형성하여도 측벽(22)이 원하는 만큼 탄성변형될 수 있다면 상기 안착대몸체(20)에는 홈부(26)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걸이턱(24)이 형성된 측벽(22)의 부분이 탄성변형되면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30)측이 탄성변형되지 않고도 버스바안착대(16)에 장착되어 체결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안착대몸체(20)에 홈부(26) 대신에 관통부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걸이턱(24)이 형성된 측벽(22) 부분의 탄성변형이 보다 원활하게 될 수 있지만, 배터리셀 탭과 버스바(30) 사이의 절연거리의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벽(22)에서 상기 기판안착부(14)에 인접한 부분에는 스페이서돌기(2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돌기(27)는 버스바(30)가 유동되지 않고 상기 베이스(10)의 측벽(19)과 기판안착부(14)의 외면 사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페이서돌기(27)는 양측의 측벽(22)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대몸체(20)에서 도면상 하단부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가이드리브(28)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28)는 상기 안착대몸체(20)의 하단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28)는 배터리셀 탭이 상기 버스바(30)와 안착대몸체(20)의 사이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간격대(18)는 상기 버스바안착대(16)의 사이마다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간격대(18)는 배터리셀의 탭 사이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배터리셀 탭 사이의 간격에 따라 그 폭이 결정된다.
상기 버스바안착대(16)에는 버스바(30)가 안착된다.상기 버스바(30)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버스바(30)는 전기전도성이 좋은 동이나 동합금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버스바(30)는 배터리셀의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판안착부(14)에 안착되는 기판과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버스바(30)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결합판(32)의 양측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측판(34)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결합판(32)에는 배터리셀의 탭이 용접되어 고정된다. 상기 측판(34)에는 상기 걸이턱(24)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35)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통공(35)에는 상기 걸이턱(24)이 걸어진다.
상기 버스바(30)에서 상기 결합판(32)의 일측 단부에는 기판연결편(36)이 있다. 상기 기판연결편(36)은 버스바(30)와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기판연결편(36)은 상기 기판안착부(14)에 있는 기판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야 하므로, 상기 기판안착부(14)와 버스바안착부(12)를 구획하는 구조를 넘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베이스(10)의 대응되는 부분을 관통하여 반대쪽으로 연장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가 조립되고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베이스(10)의 버스바안착대(16)에는 각각 버스바(30)가 안착된다. 상기 버스바(30)가 상기 버스바안착대(16)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버스바(30)의 측판(34)이나 결합판(32)은 전혀 탄성변형이 없다. 즉, 상기 버스바(30)의 측판(34) 사이의 간격이 상기 버스바안착대(16)의 폭과 같거나 밀착될 수 있는 치수로 되면, 상기 버스바(30)의 결합판(32)과 측판(34)은 상기 버스바안착대(16)에 밀착된다. 즉, 조립 과정에서, 상기 결합판(32)이나 측판(34)에 탄성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소성변형이 일어날 가능성은 전혀 없는 것이다.
대신에, 상기 걸이턱(24)이 형성된 측벽(22) 부분이 탄성변형된다. 즉, 상기 걸이턱(24)이 형성된 부분의 측벽(22)은 상대적으로 얇아서 상기 버스바(30)가 장착될 때 상기 걸이턱(24)이 상기 버스바(30)의 측판(34)에 의해 밀리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통공(35)에 걸이턱(24)이 안착되면 상기 측벽(22)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상기 걸이턱(24)이 형성된 측벽(22)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탄성변형은 잘 일어나지만 소성변형은 일어날 수 없다. 하지만, 상기 버스바(30)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므로 탄성변형이 지나치면 소성변형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소성변형이 일어날 수 없는 베이스 측에서 탄성변형이 발생하도록 하여 버스바(3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성변형을 미리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기판연결편(36)은 상기 버스바(30)를 베이스(10)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베이스(10)를 관통하여 반대쪽으로 돌출되면서 기판안착부(14)에 있는 기판의 통공에 삽입되어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버스바(30)의 결합편(32)에서 상기 기판연결편(36)이 있는 쪽 가장자리 양단은 상기 스페이서돌기(27)의 전면에 안내되어 상기 베이스(10)의 측벽(19)과 상기 스페이서돌기(27)의 사이에 상기 결합편(32)이 끼워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상기 버스바(30)가 유동없이 버스바안착대(16)에 유동없이 안착되어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버스바(30)를 상기 버스바안착대(16)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버스바안착대(16)와 간격대(18) 사이의 틈을 통해 배터리셀의 탭을 통과시키고 상기 버스바(30)의 결합판(32)에 밀착되게 선단을 절곡한다. 그리고, 용접을 통해 결합시켜 상기 배터리셀의 탭과 상기 버스바(30)를 물리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배터리셀의 탭과 상기 기판안착부(14)에 안착된 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판에 설치된 커넥터와 결합된 상대 커넥터를 통해 외부로 전원과 신호가 전달된다.
상기 배터리셀의 탭을 상기 버스바안착대(16)와 간격대(18) 사이의 틈을 통해 통과시킬 때, 상기 가이드리브(28)가 배터리셀의 탭이 버스바(30)의 측판(34)과 버스바안착대(16) 사이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걸이턱(24)이 형성된 측벽(22) 부분이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홈부(26)를 형성하였는데, 상기 걸이턱(24)이 외팔보 형상의 아암의 선단에 형성되어 걸이턱(24)이 버스바(30)에 의해 탄성변형되게 할 수도 있다.
10: 베이스 12: 버스바안착부
14: 기판안착부 16: 버스바안착대
18: 간격대 19: 측벽
20: 안착대몸체 22: 측벽
24: 걸이턱 26: 홈부
27: 스페이서돌기 28: 가이드리브
30: 버스바 32: 결합판
34: 측판 35: 통공
36: 걸이편

Claims (9)

  1. 배터리모듈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배터리셀들의 탭을 직렬로 연결하는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에 있어서,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폭방향 양측에 있는 측벽에 걸이턱이 형성되어 걸이턱이 밀리도록 탄성변형되는 다수개의 버스바안착대를 구비하는 베이스와,
    상기 버스바안착대의 표면에 안착되어 배터리셀의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결합편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편의 폭방향 양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버스바안착대의 측벽에 밀착되는 측판을 구비하며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져 상기 배터리셀 들의 탭을 직렬로 연결하는 버스바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버스바안착대가 형성된 버스바안착부와 상기 버스바안착부와 일측 가장자리를 공유하도록 기판안착부가 형성되는 배터리 모듈용 직렬연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안착대의 사이에는 간격대가 구비되고, 상기 간격대와 버스바안착대의 사이 간격을 통해 상기 배터리셀의 탭이 통과하는 배터리 모듈용 직렬연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안착대의 하단에는 가이드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안착대와 간격대 사이로 상기 배터리셀 탭이 통과하는 것을 안내하는 배터리 모듈용 직렬연결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턱이 형성된 측벽의 부분은 상기 측벽의 다른 부분보다 얇게 되도록 홈부가 형성되는 배터리 모듈용 직렬연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버스바안착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배터리 모듈용 직렬연결장치.
  7. 배터리모듈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배터리셀들의 탭을 직렬로 연결하는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에 있어서,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폭방향 양측에 있는 측벽에 걸이턱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버스바안착대를 구비하는 베이스와,
    상기 버스바안착대에 안착되어 배터리셀의 탭들을 직렬로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가 상기 버스바안착대에 장착될 때 상기 걸이턱이 상기 버스바에 의해 밀리면서 버스바안착대가 탄성변형되어 상기 걸이턱이 상기 버스바의 통공에 걸어지는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안착대의 하단에는 가이드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안착대와 상기 버스바안착대에 인접하여 형성된 간격대 사이로 상기 배터리셀 탭이 통과하는 것을 안내하는 배터리 모듈용 직렬연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버스바안착대의 표면에 안착되어 배터리셀의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의 폭방향 양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버스바안착대의 측벽에 밀착되는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측판에는 상기 걸이턱이 걸어지는 통공이 형성되는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KR2020150008149U 2015-12-11 2015-12-11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KR200485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149U KR200485016Y1 (ko) 2015-12-11 2015-12-11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149U KR200485016Y1 (ko) 2015-12-11 2015-12-11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183U true KR20170002183U (ko) 2017-06-21
KR200485016Y1 KR200485016Y1 (ko) 2017-12-12

Family

ID=59240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149U KR200485016Y1 (ko) 2015-12-11 2015-12-11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0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204A (ko) * 2017-07-24 2019-02-01 몰렉스 엘엘씨 배터리 연결 모듈
US11223093B2 (en) 2017-12-14 2022-01-11 Lg Chem, Ltd. Battery module comprising bus bar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251B1 (ko) 2012-07-11 2013-11-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JP5787140B2 (ja) * 2011-06-13 2015-09-3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池配線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7140B2 (ja) * 2011-06-13 2015-09-3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池配線モジュール
KR101329251B1 (ko) 2012-07-11 2013-11-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204A (ko) * 2017-07-24 2019-02-01 몰렉스 엘엘씨 배터리 연결 모듈
KR20190129789A (ko) * 2017-07-24 2019-11-20 몰렉스 엘엘씨 배터리 연결 모듈
US11239533B2 (en) 2017-07-24 2022-02-01 Molex, Llc Battery connection module
US11223093B2 (en) 2017-12-14 2022-01-11 Lg Chem, Ltd. Battery module comprising bus ba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016Y1 (ko) 201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3236B2 (en) Battery wiring module
JP6256326B2 (ja) 検知モジュール
KR101660093B1 (ko) 전기 커넥터
JP2012084319A (ja) 組電池用バスバー及びバスバーモジュール
KR200485016Y1 (ko)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EP2867914B1 (en) Fuse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80022480A (ko) 배터리모듈용 연결장치
KR20170001766U (ko)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KR20170077467A (ko)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JP2017107801A (ja) 配線モジュール
JP2012252782A (ja) 電池配線モジュール
CN203774516U (zh) 电连接器和电连接器组件
JP7115358B2 (ja) 電子モジュール
JP6722386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13171728A (ja) 電池モジュール
JP2016006751A (ja) クリップ状端子
KR20210006771A (ko) 배터리모듈용 전기적 연결장치
JP6326249B2 (ja) バスバーモジュール
JP6156156B2 (ja) 配線モジュール
KR20180118430A (ko)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CN210040667U (zh) 低压配电柜抽屉固定接线插头结构及四极固定接线插头
CN113966540B (zh) 分流电阻器模块
JP2019067630A (ja) プラグ装置及び配電システム
CN110459894B (zh) 一种接触件及使用该接触件的连接器
JP2007200576A (ja) 回路構成体および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