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598A -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 Google Patents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598A
KR20190010598A KR1020187036424A KR20187036424A KR20190010598A KR 20190010598 A KR20190010598 A KR 20190010598A KR 1020187036424 A KR1020187036424 A KR 1020187036424A KR 20187036424 A KR20187036424 A KR 20187036424A KR 20190010598 A KR20190010598 A KR 20190010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meth
sensitive adhesive
adhesive member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즈호 지바
게이스케 시모키타
아사미 도이
아키코 다카하시
히로나오 오오타케
나오후미 고사카
겐스케 다니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10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09J2201/606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comprising non-adhesive protru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presence of micro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presence of a co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10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2423/106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propen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09J2433/006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in the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표면이 폴리프로필렌으로 대표되는 저극성 플라스틱을 주체에 구성된 피착체에 대해 우수한 위치 조정 기능을 갖고, 위치 조정 후는 피착체에 대해 충분히 높은 접착력으로 접착할 수 있는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가 제공된다.
점착제층 (11) 과 그 점착제층 (11) 의 편면에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 (12) 를 갖는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 로서, 그 볼록부 (12) 가 폴리프로필렌 판에 접촉하고 그 점착제층 (11) 이 그 폴리프로필렌 판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그 점착 부재 (1) 는 그 폴리프로필렌 판에 대한 마찰력이 0.6 N/cm2 이하이며, 그 폴리프로필렌 판에 대한 전단 접착력이 50 N/c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Description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본 발명은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특히 폴리프로필렌 등의 저 극성 플라스틱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착체에 대하여 뛰어난 위치 조정 기능과 위치 조정 후 강한 접착을 동시에 달성하는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 3 등). 이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는 점착제 층의 표면에 비점착성 또는 미점착성 (이하 "비점착성" (non-adhesive) 및 "미점착성" (slightly adhesive) 을 총칭하여 "저점착성" 이라고도 함) 의 볼록부가 부분적으로 제공된 점착 부재이다. 가압하지 않고 점착 부재가 피착체의 표면에 재치된 상태에서는, 저점착성의 볼록부가 피착체 표면에 맞닿아 있고, 점착제층이 피착체 표면에 접촉하기 어렵다. 따라서, 피착체의 표면 상으로 점착 부재를 이동시킬 수가 있어, 점착 부재의 위치 조정을 실시할 수가 있다. 위치 조정을 한 후, 점착 부재를 가압 하면, 저점착성의 볼록부가 점착제 층내에 매몰되어, 점착제 층이 피착체에 접촉해 접착력이 발현된다. 결과적으로, 피착체 상의 의도한 위치에 점착 부재를 접착시킬 수 있다.
본원의 출원인은, 이미, 특히 피착체가 금속인 경우에 피착체에 대해 위치 조정 후의 가압 접착시에 충분히 높은 접착력이 얻어지는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를 제안했다. 이 것은, 피착 표면 (스테인리스 강 판의 표면) 에 상기 볼록부가 접촉한 상태에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는 스테인리스 강 판에 대한 마찰력이 0.4 N/cm2 이하이며, 또한, 스테인리스 강 판에 대한 전단 접착력이 45 N/cm2 이상인 것을 특징적으로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는, 폴리프로필렌으로 대표되는 저극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피착체에 대해서는 충분히 높은 접착력으로 접착하기 용이하지 않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JP-A-01-118584
특허문헌 2: JP-A-2010-215900
특허문헌 3: JP-A-2001-279200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표면이 폴리프로필렌으로 대표되는 저극성 플라스틱을 주체에 구성된 피착체에 대해 우수한 위치 조정 기능을 갖고, 위치 조정 후 피착체에 대해 충분히 높은 접착력으로 접착할 수 있는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위에서 언급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한 결과, 점착제층과 그의 편면에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를 갖는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로서, 폴리프로필렌 판에 볼록부가 접촉해, 점착제층이 폴리프로필렌 판과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점착 부재는 폴리프로필렌 판에 대한 마찰력이 0.6 N/cm2 이하이며, 또한, 폴리프로필렌 판에 대한 전단 접착력이 50 N/cm2 이상이면, 폴리프로필렌으로 대표되는 저극성 플라스틱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착체에 대해 우수한 위치 조정 기능을 갖고, 위치 조정 후 피착체에 대해 충분히 높은 접착력으로 접착할 수 있는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를 제공한다.
[1]점착제 층과 그 점착제 층의 편면에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를 포함하는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로서,
그 볼록부가 폴리프로필렌 판에 접촉하고 그 점착제 층이 그 폴리프로필렌 판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그 점착 부재는 그 폴리프로필렌 판에 대한 마찰력이 0.6 N/cm2 이하이며, 그 폴리프로필렌 판에 대한 전단 접착력이 50 N/c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2]볼록부가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와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는, 상기[1]에 기재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3]점착 부여제가 로진계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는, 상기[2]에 기재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4]점착 부여제가 상온에서 고체인, 상기[2]또는 [3] 에 기재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5] 점착 부여제의 연화 온도가 40℃ 이상인, 상기[4]에 기재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6](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가, 코어와 그 코어보다 높은 탄성률의 쉘을 포함하는 코어 쉘형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인, 상기[2]~[5]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7] 코어가, 알킬 기가 C6-10 알킬 기인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주된 모노머 유닛으로 포함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인, 상기[6]에 기재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8]볼록부의 높이에 대한 점착제 층의 두께의 비 (점착제 층의 두께/볼록부의 높이) 가 1.0이상인, 상기[1]~[7]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9]볼록부는 점착제 층의 표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1 ㎛ 이상 그리고 100 ㎛ 이하인, 상기[1]~[8]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0]볼록부의 탄성률이 5 MPa 이상인, 상기[1]~[9]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1]볼록부의 탄성률이 점착제 층의 탄성률보다 높은, 상기[1]~[10]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2]점착제 층과 그 점착제 층의 편면에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를 포함하는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그 볼록부가 폴리프로필렌 판에 접촉하고 그 점착제 층이 그 폴리프로필렌 판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그 점착 부재는 그 폴리프로필렌 판에 대한 마찰력이 0.6 N/cm2 이하이며, 그 폴리프로필렌 판에 대한 전단 접착력이 50 N/cm2 이상이고, 그 방법은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에멀션과 상온에서 고체인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는 액상물을 점착제층의 편면에 도포하고 이를 60 ~ 150℃ 로 건조함으로써,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 및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는 볼록부를 점착제층의 편면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3] 점착 부여제가 로진계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는, 상기[12]에 기재된 방법.
[14] 점착 부여제의 연화 온도가 40℃ 이상인, 상기[12]에 기재된 방법.
[15](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에멀션이, 코어와 그 코어보다 높은 탄성률의 쉘을 포함하는 코어 쉘형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션인, 상기[12]~[14]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16] 코어가, 알킬 기가 C6-10 알킬 기인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주된 모노머 유닛으로 포함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인, 상기 [15] 에 기재된 방법.
본 명세서중, "(메타)아크릴" 은 "아크릴" 및 "메타크릴" 의 양방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분산질 및 분산매가 함께 액체인 분산액을 "에멀션" (emulsion) 이라고 부르고, 분산질이 고체이고 분산매가 액체인 분산액을 "디스퍼션" (dispersion) 이라고 부른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에멀션" 이란, 2종 이상의(메타)아크릴계 단량체를 유화 중합해 생성한(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고체) 가 그대로 유화 중합에 사용된 수계 분산매중에 분산한 디스퍼션을 가리킨다. 유사하게, "코어 쉘형 공중합체 에멀션" 이란,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로서 코어 쉘형 공중합체 입자를 생성시키는 유화 중합에 사용되는 수계 분산매 중에 코어 쉘형 공중합체 입자(고체) 가 분산된 디스퍼션을 가리킨다. 또, “Cx-y” 란, 탄소수가 x 이상 그리고 y 이하 (x 및 y는 수를 나타낸다) 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면이 폴리프로필렌으로 대표되는 저극성 플라스틱을 주체에 형성된 피착체에 대해 우수한 위치 조정 기능을 갖고 위치 조정 후 피착체에 대해 충분히 높은 접착력으로 접착할 수 있는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의 피착체에 대한 부착 작업시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볼록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코어 쉘형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를 가진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7는 폴리프로필렌 판에 대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의 마찰력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8은 폴리프로필렌 판에 대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의 전단 접착력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9는 점착제층 및 볼록부의 탄성률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입각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그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이하, 단순히 "점착 부재" 라고도 대략 칭하는 일이 있다) 는, 일 실시형태에서의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 에 의해 나타나듯이, 점착제층 (11) 과 그 점착제층 (11) 의 편면 (11A) 에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 (12) 를 갖고, 그 볼록부 (12) 가 폴리프로필렌 판 (이하, "PP 판" 이라고도 대략 칭한다) 에 접촉하며 그 점착제 층 (11) 이 그 PP 판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당해 점착 부재 (1) 는 그 PP 판에 대한 마찰력이 0.6 N/cm2 이하이며 당해 점착 부재 (1) 는 그 PP 판에 대한 전단 접착력이 50 N/cm2 이상인 것이 주된 특징이다.
여기서 말하는, PP 판에 대한 마찰력 및 PP 판에 대한 전단 접착력은 후술의 시험 (1.마찰력 측정 시험, 2.전단 접착력 측정 시험) 에 의해 측정되는 값이다.
PP 판에 대한 마찰력은, 아래에서 언급되는 시험 방법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PP 판을 피착체로 간주해, 피착체상에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의 위치 조정을 실시할 때의, 피착체상을 이동하는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PP 판에 대한 전단 접착력은, 아래에서 언급되는 시험 방법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PP 판을 피착체로 간주해, 피착체에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를 가압 접착했을 때의 피착체와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간의 접착력을 전단 접착력에 의해 평가하는 것이다.
도 2는 도 1의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 를 피착체 (3) 에 부착 작업시 그 부재의 변화를 설명하는,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 와 피착체 (3) 의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 은, 점착제층 (11) 의 편면에 복수의 볼록부 (12) 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 가 피착체 (3) 상에 재치된 상태 (비가압 상태) 에서는, 도 2 (A) 에 나타나 있듯이, 볼록부 (12) 가 피착체 (3) 에 맞닿아 있고, 점착제층 (11) 이 피착체 (3) 에 실질적으로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피착체 (3) 상에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 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피착체 (3) 상에 재치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 가 미약한 압력으로 가압되었을 때는, 도 2(B) 에 나타나 있듯이, 볼록부 (12) 의 일부가 점착제층 (11) 내에 매몰된다. 점착제층 (11) 의 표면으로부터 볼록부 (12) 가 노출된 상태로 점착제층 (11) 의 일부가 피착체 (3) 에 접촉한다 (도 2(B) 중, 점착제층 (11) 과 피착체 (3) 의 접촉 영역은 도시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낮은 접착력으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 가 피착체 (3) 에 접착한다. 이 때문에, 피착체 (3) 에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 을 미약한 압력으로 가압해 피착체 (3) 에 가고정한 후 (낮은 접착력으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를 접착한 후), 피착체 (3) 로부터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 를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박리 후에, 볼록부 (12) 가 노출되고, 피착체 (3) 의 표면상에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 을 비교적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C) 는, 피착체 (3) 의 표면에 재치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 에 충분한 압력을 가해 피착체 (3) 에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 을 접착시킨 상태이다. 도 2(C)에 나타나 있듯이,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 에 가해진 충분한 압력에 의해, 볼록부 (12) 의 거의 전체가 점착제층 (11) 내에 매몰되고,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 가 피착체 (3) 에 충분한 접착력으로 접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착체 (3) 는 표면이 폴리프로필렌으로 대표되는 저극성 플라스틱을 주체에 구성된다. 저극성 플라스틱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ABS(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표면이 저극성 플라스틱을 주체에 구성된" 이란, 피착체의 표면 전체 당 저극성 플라스틱의 구성 비율이 50 ~ 100 중량%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 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판에 대한 마찰력이 0.6 N/cm2 를 초과하면, 피착체 (3) 상에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 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가 없게 되어, 위치 조정 기능이 저하해 버린다. 폴리프로필렌 판에 대한 마찰력은, 바람직하게는 0.5 N/cm2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45 N/cm2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40 N/cm2 이하이다. 한편, 폴리프로필렌 판에 대한 전단 접착력이 50 N/cm2 미만일 때, 피착체 (3) 에 대해 충분히 높은 접착력으로 접착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폴리프로필렌 판에 대한 전단 접착력은, 바람직하게는 60 N/cm2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N/cm2 이상이다.
도 1에 나타나 있듯이, 본 발명의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 는, 전형적으로는, 점착제층 (11) 의 볼록부 (12) 가 형성된 편면 (11A) 과는 반대측의 편면 (11B) 에 지지체 (10) 를 갖는다. 지지체 (10) 는,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 전체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피착체상에서의 위치 조정 작업이 용이해진다. 지지체 (10) 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들은, 폴리에스테르(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 나일론, 사란(상품명), 폴리 염화 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아이오노머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지로 형성된 수지 필름 (단층 필름 및 다층 필름을 포함한다), 금속 박, 수지 필름과 금속 박의 라미네이트 필름 등을 포함한다. 지지체 (10) 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0 ~ 1000 ㎛ 정도이다.
도 1의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 는, 점착제층 (11) 에 접하는 지지체 (10) 의 반대측의 편면에 점착제층 (13) 을 더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점착제층 (13) 은, 예를 들어, 건축물의 외장 또는 내장의 장식을 위한 화장 시트 (디자인된 시트), 벽지, 플로어링재, 카페트, 천정재, 폭목 (base board), 쿠션 플로어 (cushion floor), 스트로 매트 (straw mat), 샷시 등의 외장 또는 내장의 건축물 재료를 붙이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점착제층 (13) 이 존재하는 경우,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 의 보관 및 수송 동안 점착제층 (13) 에는 이형 처리된 보호 필름 (도시 생략) 이 놓여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는, 점착제층 (11) 의 볼록부 (12)가 형성된 편면 (11A) 과는 반대측의 편면 (11B) 에 지지체 (10) 만을 갖고 점착제층 (13) 을 갖지 않는 부재일 수도 있다. 부재가 이러한 구성을 갖는 경우, 지지체 (10) 의 점착제층 (11) 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인쇄 또는 도공에 의해, 혹은, 그 표면에 디자인된 필름을 붙이는 등에 의해 지지체 (10) 의 표면이 디자인됨으로써,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 은, 그대로, 외장 또는 내장의 건축물 재료 (화장판, 벽지, 플로어링재, 카페트, 천정재, 폭목, 쿠션 플로어, 스트로 매트, 샷시 등) 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점착제층 (11) 에 인접하는 측에서 지지체 (10) 에 박리 처리가 가해질 때 (즉, 지지체 (10) 가 박리 라이너이다), 점착제층 (11) 의 볼록부 (12) 가 형성된 편면 (11A) 과는 반대측의 편면 (11B) 을, 외장 또는 내장의 건축물 재료(화장판, 벽지, 플로어링재, 카페트, 천정재, 폭목, 쿠션 플로어, 스트로매트, 샷시 등) 을 붙이는 점착 면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볼록부]
본 발명의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 에 있어서, 점착제층 (11) 의 편면 (11A) 에 형성되는 복수의 볼록부 (12) 는,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 의 PP 판에 대한 마찰력을 0.6 N/cm2 이하로 하기 위해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 을 피착체 (3) 에 가압해 접착할 때까지는 택크 (tackiness) 를 갖지 않거나 낮은 택크를 가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 을 피착체 (3) 에 가압해 접착할 때, 볼록부 (12) 가 완전하게 점착제층 (11) 내에 매몰되는 것은 아니고, 점착제층 (11) 뿐만 아니라 볼록부 (12) 도 피착체 (3) 와 점착 면을 형성한다. 이 때문에, 피착체 (3) 에 대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 의 접착력을 높이려면,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 을 피착체 (3) 에 가압했을 때에, 볼록부 (12) 가 비교적 높은 택크를 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볼록부 (12) 로서는,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에멀션과 상온에서 고체인 점착 부여제를 혼합한 액상물을 점착제층 (11) 의 편면에 도포 및 건조해 얻어지고,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와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는 볼록부를 들 수 있다. 도 4는 이 볼록부의 단면을 나타내고, 볼록부 (12) 에 있어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에멀션 유래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 (20) 는, 그 입자에 점착 부여제 (도시 생략) 가 용해 또는 부분적으로 부착한 응집체로서 존재한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에멀션이 상온에서 액상의 점착 부여제와 혼합될 경우, 점착 부재 (1) 을 피착체 (3) 에 가압하기 전에 볼록부 (12) 가 비교적 높은 택크를 갖는 경향이 있고, 피착체 (3) 에 대한 점착 부재 (1) 의 위치 조정 기능이 저하된다. 이것은,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의 응집체의 외부 표면에 존재하는 점착 부여제의 비율 증가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위에서 언급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에멀션과 상온에서 고체인 점착 부여제를 혼합한 액상물의 점착제층 (11) 의 편면 (11A) 에 대한 도포를 위해, 예를 들어,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위에서 언급한 액상물을 적하 첨가하는 방법, 형성 패턴을 새긴 그라비아 롤로 상기 액상물을 점착제층 (11) 의 편면에 전사하는 방법, 그 밖의 스크린 인쇄, 오프셋 인쇄, 플렉소 인쇄 등의 일반적인 인쇄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 부여제는, 상온에서 고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의 예로서, 테르펜계 점착 부여제, 테르펜 페놀계 점착 부여제, 로진계 점착 부여제, 스티렌계 점착 부여제 (예를 들어, 스티렌 수지, 폴리(α-메틸스티렌) 등) 등을 들 수 있고, 로진계 점착 부여제가 바람직하다. 로진계 점착 부여제로서는, 예를 들어, 껌 로진, 우드 로진, 톨 오일 로진 등의 미변성 로진 (생로진), 불균화, 중합 등에 의해 변성하여 얻어지는 변성 로진 (불균화 로진 및 중합 로진, 그리고 그 밖의 화학적으로 변성된 로진 등), 각종의 로진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로진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어, 미변성 로진을 알코올류에 의해 에스테르화하여 얻어지는 로진 에스테르, 수소첨가 로진, 불균화 로진, 중합 로진 등의 변성 로진을 알코올류에 의해 에스테르화하여 얻어지는 변성 로진 에스테르 등의 로진 에스테르류;미변성 로진이나 변성 로진(수소첨가 로진, 불균화 로진, 중합 로진 등) 을 불포화 지방산으로 변성하여 얻어지는 불포화 지방산 변성 로진 류;로진 에스테르류를 불포화 지방산으로 변성하여 얻어지는 불포화 지방산 변성 로진 에스테르류;미변성 로진, 변성 로진(수소첨가 로진, 불균화 로진, 중합 로진 등 ), 불포화 지방산 변성 로진 류 또는 불포화 지방산 변성 로진 에스테르류에 있어서의 카르복시기를 환원 처리하여 얻어지는 로진 알코올류;미변성 로진, 변성 로진, 각종 로진 유도체등의 로진 류(특히, 로진 에스테르류) 의 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또, 로진 유도체로서는, 로진 류 (미변성 로진, 변성 로진, 각종 로진 유도체 등) 에 페놀을 산촉매로 부가시키고 열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로진 페놀 수지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로진 에스테르류를 얻는데 사용되는 알코올류는, 예로서,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등의 2가 알코올, 글리세린,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등의 3가 알코올, 펜타에리트리톨, 디글리세롤 등의 4가 알코올, 디펜타에리트리톨 등의 6가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피착체(저극성 플라스틱) 에 대한 접착성의 관점에서, 점착 부여제의 연화 온도는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점착 부여제의 연화 온도는 5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점착 부여제의 연화 온도는 60℃ 이상인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고, 점착 부여제의 연화 온도는 8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점착 부여제의 연화 온도는 95℃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저온에서의 접착성의 관점으로부터, 점착 부여제의 연화 온도는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점착 부여제의 연화 온도는 16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연화 온도란, JIS K 2207 환구식 연화점 (온도) 시험법에 준거해, 그리고 정하중 세관 압출식 레오미터 (시마즈 플로우 테스터 CFT-500 D) 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환구식 연화 온도 Ts 이며, 다이:1 mm×1 mm, 하중:4.9 N, 승음 속도:5℃/분 의 조건으로 측정된 값을 가리킨다.
(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올리고머 (AO) 도 점착 부여제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올리고머 (AO) 는, Tg (유리 전이 온도) 가 15℃ 이상인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a) 를 모노머 유닛으로서 50 중량% 이상 포함하는 중합체가 바람직하고, 80 중량% ~ 100 중량% 를 포함하는 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a) 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50 중량% 미만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a) 를 모노머 유닛으로서 함유하는 중합체는, 저극성 플라스틱에 대한 접착성을 충분히 향상 시킬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의 Tg 로서는, POLYMER HANDBOOK FOURTH EDITION 에 기재되어 있는 수치를 채용한다. Tg가 15℃ 이상인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a) 는, 저극성 플라스틱에 대한 접착성의 관점에서 Tg 가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g 는 300℃ 이하가 바람직하고, 25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올리고머 (AO) 에 있어서의 Tg가 15℃ 이상인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a) 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유닛의 함유량은, 올리고머 전체의 80 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80 중량% ~ 100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Tg가 15℃ 이상인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a) 는, 그 호모폴리머의 용해도 파라미터 (SP 값) 가 21.5 (MPa1/2) 이하인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a1)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a1) 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올리고머 (AO) 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a1) 를 모노머 유닛으로서 50 중량% 이상 포함하는 중합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중량% 이상 포함하는 중합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0 중량% ~ 100 중량% 를 포함하는 중합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의 용해도 파라미터 (SP 값) 는, R.T. Fedors, Polymer Engineering and Science, 14, 147(1974) 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산출된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a1) 의 용해도 파라미터 (SP 값) 는 저극성 플라스틱에 대한 접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1.3 (MPa1/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1.0 (MPa1/2) 이하이다. 용해도 파라미터가 작아너무 작아지면,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와의 상용성이 낮아진다. 따라서, 용해도 파라미터는 18.0 (MPa1/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8.5 (MPa1/2) 이상이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올리고머 (AO) 는, 저극성 플라스틱에 대한 접착성의 관점에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 ~ 1000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미만인 경우에는, 저극성 플라스틱에 대한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부족해진다. 한편,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0 을 넘으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올리고머가 층 분리하기 쉬워져, 점착 성능 및 외관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 법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하여 측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Tosoh Corporation 제의 "HPLC8020" 에, "TSKgelGMH-H(20)" 의 2개 칼럼이 연결되고, 테트라히드로푸란 용매로 유속 0.5 ㎖/분 의 조건에서 측정이 수행된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a1) 의 구체예로서는, t-부틸 아크릴레이트 (Tg: 43℃, SP 값: 19.2 (MPa1/2)), 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Tg: 15℃, SP 값: 19.1 (MPa1/2)),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Tg: 94℃, SP 값: 19.7 (MPa1/2)),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Tg: 105℃, SP 값: 20.3 (MPa1/2)),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Tg: 65℃, SP 값: 19.9 (MPa1/2)),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Tg: 83℃, SP 값: 20.1 (MPa1/2)),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 (Tg: 53℃, SP 값: 19.0 (MPa1/2)),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Tg: 118℃, SP 값: 18.6 (MPa1/2)) 등을 들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올리고머 (AO) 는, Tg 가 15℃ 미만인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모노머 유닛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Tg가 15℃ 미만인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는, Tg가 -5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 부여제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볼록부 (12) 를 구성하는(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에멀션 유래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 는, 적어도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모노머 유닛으로서 함유하는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는, 알킬 기가 직쇄상, 분기쇄상 또는 고리형의 탄소 원자수가 1 ~ 14 인 알킬 기 (C1-14 알킬 기) 인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즉, "(메타)아크릴산 C1-14 알킬 에스테르")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메타)아크릴산 C1-14 알킬 에스테르로서는, 특별히 한정 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산 메틸, (메타)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프로필, (메타)아크릴산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산 n-부틸, (메타)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타)아크릴산 s-부틸, (메타)아크릴산 t-부틸, (메타)아크릴산 펜틸, (메타)아크릴산 이소 펜틸, (메타)아크릴산 헥실, (메타)아크릴산 헵틸, (메타)아크릴산 옥틸, (메타)아크릴산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타)아크릴산 노닐, (메타)아크릴산 이소노닐, (메타)아크릴산 데실, (메타)아크릴산 이소데실, (메타)아크릴산 운데실, (메타)아크릴산 도데실, (메타)아크릴산 트리데실, 및 (메타)아크릴산 테트라데실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탄소 원자수가 1 ~ 12 인 알킬 기 (C1-12 알킬 기) 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즉, "(메타)아크릴산 C1-12 알킬 에스테르")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탄소 원자수가 1 ~ 10 인 알킬 기 (C1-10 알킬 기) 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즉, "(메타)아크릴산 C1-10 알킬 에스테르") 이다.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당해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는, 모노머 유닛으로서,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이외에,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 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등의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 및/또는, (메타)아크릴산 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 하이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산 하이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산 하이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산 하이드록시데실, (메타)아크릴산 하이드록시라우릴, (4-하이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할 수 있다.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이 바람직하고, 히드록시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아크릴산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산 하이드록시부틸이 바람직하다.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 및 히드록시기 함유 모노머는 각각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당해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는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및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모노머 유닛으로서 함유하는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는, 도 5에 나타낸 코어 (21) 와 그 코어 (21) 보다 높은 탄성률의 쉘 (22) 를 갖는 코어 쉘형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 (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쉘 (22) 의 탄성률이 코어 (21) 의 탄성률보다 높을 때, 볼록부 (12) 의 저마찰성이 향상되고, 점착 부재 (1) 의 피착체 (3) 에 대한 마찰력이 보다 작아져, 점착 부재 (1) 의 위치 조정 기능이 보다 향상된다.
코어 쉘형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 (20) 에서, 코어 (21) 가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주된 모노머 유닛으로 함유하는 공중합체 (A1) 로 구성되고 쉘 (22) 은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카르복시 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공중합체 (A2) 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합체 (A1) 에 있어서의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는, 알킬 기가 탄소 원자수가 6 ~ 10 인 알킬 기 (C6-10 알킬 기) 인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즉, "아크릴산 C6-10 알킬 에스테르")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2-에틸헥실, 아크릴산 이소노닐 또는 아크릴산 헥실이다. 또,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이 바람직하고, 아크릴산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공중합체 (A1) 는, 전체 모노머 유닛내에,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60 ~ 10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 ~ 99.9 중량%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 99 중량%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0 ~ 98 중량%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적합 조성을 갖는 공중합체 (A1) 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80 ~ 98 중량%)/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 (2 ~ 20 중량%) 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공중합체 (A2) 에 있어서의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는, 알킬 기가 탄소 원자수가 1 ~ 18 인 알킬 기 (C1-18 알킬 기) 인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즉, "메타크릴산 C1-18 알킬 에스테르")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시클로헥실이다.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는 아크릴산이 바람직하다. 공중합체 (A2) 는, 전체 모노머 유닛내에,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60 ~ 10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 ~ 99.9 중량%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 99 중량%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0 ~ 98 중량%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적합 조성을 갖는 공중합체 (A2) 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80 ~ 99 중량%)/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 (1 ~ 20 중량%) 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코어 쉘형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 (20) 에 있어서, 코어 (21) 와 쉘 (22) 의 구성 중량비 (코어/쉘) 인 코어-쉘 비는 10 ~ 90/90 ~ 10 이 바람직하고, 10 ~ 80/90 ~ 20 이 보다 바람직하다. 코어-쉘 비가 그러한 바람직한 범위를 초과하여 코어의 비율이 더 많은 (쉘의 비율이 더 적은) 경우, 위치 조정 기능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코어의 비율이 덕 적은 (쉘의 비율이 더 많은) 경우, 가압 접착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볼록부 (12) 에 있어서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와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 비는 중량비 ((메타) 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점착 부여제) 로 100:5 ~ 50 이 바람직하고, 100:5 ~ 30 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볼록부 (12) 를 구성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의 유래원이 되는 (메타) 크릴계 공중합체 에멀션은, 통상적인 방법의 유화 중합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서술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의 모노머 유닛이 되는 모노머 그리고, 유화제 (계면 활성제), 라디칼 중합 개시제, 필요에 따라 연쇄 이동제 등을 적절히 배합하고, 예를 들어, 일괄 첨가 법 (일괄 중합법), 모노머 적하 법, 모노머 에멀션 적하 법 등의 공지된 유화 중합법에 의해 유화 중합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모노머 적하 법에서는, 연속 적하 또는 분할 적하가 적절히 선택된다. 공지된 유화 중합 법은 적절히 조합될 수 있다. 반응 조건 등은 적절히 선택된다. 중합 온도는, 예를 들어, 40 - 9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합 시간은 30분 ~ 24시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 쉘형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를 얻는 경우에는, 코어 쉘형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의 코어가 되는 공중합체를 생성하기 위한 유화 중합, 및 생성한 코어가 되는 공중합체의 존재하에 실시되는, 쉘이 되는 공중합체를 생성하기 위한 유화 중합을 포함하는 다단계의 유화 중합이 실시된다. 각각의 유화 중합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서술한 방법 및 조건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의 유화제로서는, 유화 중합에 통상 사용되는 각종의 비반응성 계면 활성제가 사용된다. 비반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니온계 비반응성 계면 활성제, 및 논이온계 비반응성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아니온계 비반응성 계면 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올레산 나트륨 등의 고급 지방산 염류;도데실벤젠술폰산 나트륨 등의 알킬아릴 술폰산 염류;라우릴 황산 나트륨, 라우릴 황산 암모늄 등의 알킬 황산 에스테르 염류;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황산 나트륨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 염류;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황산 나트륨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 염류;모노옥틸 술포숙신산 나트륨, 디옥틸 술포숙신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술포숙신산 나트륨 등의 알킬 술포숙신산 에스테르 염 및 그 유도체 류;폴리옥시에틸렌 디스티렌화 페닐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 염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논이온계 비반응성 계면 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류;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류;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트리올레에이트 등의 소르비탄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류;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류;폴리옥시에틸렌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류;올레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등의 글리세린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류;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 코폴리머, 폴리옥시에틸렌 디스티렌화 페닐 에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 상기 비반응성 계면 활성제이외에, 계면 활성제로서는,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에 관련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반응성 계면 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반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아니온계 비반응성 계면 활성제 및 논이온계 비반응성 계면 활성제에 프로페닐기, 알릴 에테르기 등의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 (라디칼 반응성기) 가 도입된 아니온계 반응성 계면 활성제 및 논이온계 반응성 계면 활성제 등의 라디칼 중합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 계면 활성제가 수분산액의 안정성 및 점착제층의 내구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아니온계 반응성 계면 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알킬 에테르계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DKS Co. Ltd.제의 AQUALON KH-05, KH-10, KH-20, Asahi Denka Co., Ltd.제의 ADEKA REASOAP SR-10N, SR-20N, Kao Corporation 제의 LATEMUL PD-104 등을 들 수 있다);술포숙신산 에스테르계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Kao Corporation 제 LATEMUL S-120, S-120A, S-180P, S-180A,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제 ELEMINOL JS-20 등을 들 수 있다);알킬페닐 에테르계 혹은 알킬페닐 에스테르계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DKS Co. Ltd. 제 AQUALON H-2855A, H-3855B, H-3855C, H-3856, HS-05, HS-10, HS-20, HS-30, BC-05, BC-10, BC-20, Asahi Denka Co., Ltd. 제 ADEKA REASOAP SDX-222, SDX-223, SDX-232, SDX-233, SDX-259, SE-10N, SE-20N 를 들 수 있다);(메타)아크릴레이트 황산 에스테르계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Nippon Nyukazai Co., Ltd. 제 Antox MS-60, MS-2N,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제 ELEMINOL RS-30 등을 들 수 있다);인산 에스테르계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DKS Co. Ltd. 제 H-3330PL, Asahi Denka Co., Ltd.제 ADEKA REASOAP PP-70 등을 들 수 있다) 를 들 수 있다. 논이온계 반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 에테르계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Asahi Denka Co., Ltd. 제 ADEKA REASOAP ER-10, ER-20, ER-30, ER-40, Kao Corporation 제 LATEMUL PD-420, PD-430, PD-450 등을 들 수 있다);알킬페닐 에테르계 혹은 알킬페닐 에스테르계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DKS Co. Ltd. 제 AQUALON RN-10, RN-20, RN-30, RN-50, Asahi Denka Co., Ltd. 제 ADEKA REASOAP NE-10, NE-20, NE-30, NE-40 등을 들 수 있다);(메타)아크릴레이트 황산 에스테르계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Nippon Nyukazai Co., Ltd. 제 RMA-564, RMA-568, RMA-1114 등을 들 수 있다) 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화제 (계면 활성제) 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유화 중합에 통상 사용되는 공지된 라디칼 중합 개시제가 사용된다. 그의 예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 2황산염,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 2염산염,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2염산염,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판]2염산염등의 아조계 개시제;예를 들어, 과황산 칼륨, 과황산 암모늄 등의 과황산염계 개시제;예를 들어, 벤조일퍼옥사이드, t-부틸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과산화수소 등의 과산화물계 개시제;예를 들어, 페닐 치환 에탄 등의 치환 에탄계 개시제;예를 들어, 방향족 카르보닐 화합물등의 카르보닐계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합 개시제는, 적절히, 단독 또는 병용해 사용된다. 유화 중합이 수행될 때, 원하는 바에 따라 중합 개시제와 함께 환원제를 병용하여 레독스계 개시제를 형성한다. 이로써, 유화 중합 속도의 촉진 및 저온에서 유화 중합이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은 환원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 에리소르브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포도당, 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 등의 금속염 등의 환원성 유기 화합물;티오황산 안토륨, 아황산 나트륨, 중아황산 나트륨, 메타중아황산 나트륨 등의 환원성 무기 화합물;염화 제일철, 론갈리트, 이산화 티오우레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에멀션을 얻기 위한 유화 중합에 있어서의 모노머 에멀션의 조성은, 모노머 100 중량부 당, 계면 활성제 0.1 ~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 5 중량부), 그리고 물 30 ~ 8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0 ~ 70 중량부) 를 함유하는 조성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계면 활성제" 및 "물" 의 양은, 유화 중합이 모노머 에멀션 적하 법일 때는, 각각, 적하하는 모노머 에멀션 및 중합 반응 용기내에 투입되는 합계량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에멀션은, 에폭시계 가교제, 실란 커플링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여,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의 응집력을 높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의 입경은,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의해 측정되는 체적 기준의 미디언 직경 (D50) 이 100 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 nm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미디언 직경 (D50) 이 100 nm 이상인 경우, 위치 조정 기능과 가압 접착성이 동시에 달성될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에멀션을 건조해 얻어지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의 응집성의 관점에서, 미디언 직경 (D50) 은 300 nm 이하가 바람직하고, 200 n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는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이 1.0×104 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104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1.0×107 이하가 바람직하고, 5.0×106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이 1.0×104 이하이면, 충분히 높은 탄성률의 볼록부 (12) 를 얻는 것이 곤란한 경향이 있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이 1.0×107 을 초과하면, 탄성률이 높아져, 가압시에 볼록부가 변형되기 어렵고 충분한 접착성이 얻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아세트산 에틸에서 가용 물질을 GPC법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하여 측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Tosoh Corporation 제의 "HPLC8020" 에, "TSKgelGMH-H(20)" 의 2개 칼럼이 연결되고, 테트라히드로푸란 용매로 유속 0.5 ㎖/분 의 조건에서 측정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점착 부재 (1) 에 있어서, 점착제층 (11) 의 표면 (편면) (11A) 으로부터의 볼록부 (12) 의 돌출 높이는, 점착 부재 (1) 의 위치 조정 기능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이며, 점착 부재 (1) 의 점착성 및 접착력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이하이다.
볼록부 (12) 의 탄성률은 5 MPa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MPa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MPa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볼록부 (12) 가 위치 조정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피착체 (3) 와 접촉 상태에 있을 때 자체가 변형하지 않아야 하고, 따라서 탄성률이 5 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률이 너무 높으면, 압착 상태에 있어도 볼록부 자체가 변형하지 않고, 접착력의 발현이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볼록부 (12) 의 탄성률은 100 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MPa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볼록부 (12) 의 탄성률은 후술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도 1, 도 3에 나타나 있는 점착 부재 (1) 에서는, 복수의 볼록부 (12) 가 점착제층 (11) 의 표면(편면) 에 스트라이프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볼록부 (12) 는, 점착제층 (11) 의 표면 (편면) 전체에 균일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트상, 격자상, 망상등일 수도 있다. "격자상" 과 "망상" 은, "격자상" 이 개구 부분 (볼록부의 비존재 부분) 의 평면 형상이 정방형 또는 장방형이 되는 볼록부의 패턴을 갖고, "망상" 이 개구 부분 (볼록부의 비존재 부분) 의 평면 형상이 정방형 또는 장방형 이외의 형상인 볼록부의 패턴을 갖는 점에서 상위하다. 볼록부가 망상인 경우, 개구 부분 (볼록부의 비존재 부분) 의 형상은, 모두 동일하거나, 또는 개구 부분 마다 상이해도 좋지만, 모두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상의 점착 테이프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생산성의 점으로부터, 스트라이프상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볼록부 (12) 가 스트라이프상 패턴을 갖는 경우, 개개의 선부 (볼록부) 의 폭은 0.1 ~ 5 mm가 바람직하고, 0.2 ~ 2 mm 가 보다 바람직하다. 인접하는 선부 (볼록부) 간의 스페이스 부의 폭 (도 3중 D) 은 0.1 ~ 5 mm 가 바람직하고, 0.2 ~ 2 mm 가 보다 바람직하다. 복수의 선부 (볼록부) 는 동일한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볼록부 (12) 가 도트상 패턴을 갖는 경우, 개개의 도트 (볼록부) 의 평면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예를 들어, 정방형, 장방형, 다아이몬드 형상, 사다리꼴 등), 원 형상(예를 들어, 진원, 진원에 가까운 원, 타원 형상등 ), 장원 (oval), 정다각형 (정방형 등 ), 별 형상 (star shape) 등의 여러 가지의 형상일 수도 있고, 도트의 배열 형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정방 행렬, 지그재그 패턴 등이 바람직하다. 개개의 도트 (볼록부 (12)) 의 평면 면적은 0.007 ~ 20 mm2 가 바람직하고, 0.2 ~ 1.8 mm2 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트 (볼록부) 의 평면 면적은 모든 도트 (볼록부) 에 대해 동일하거나, 또는 도트 (볼록부) 마다 상이해도 된다 모든 도트 (볼록부) 가 동일한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인접하는 도트 (볼록부) 사이의 피치 (중심점간의 거리) 는 0.1 ~ 5 mm 가 바람직하고, 0.2 ~ 2 mm가 보다 바람직하다.
개개의 볼록부 (12) 의 평면 면적, 폭 등은, 점착제층 (11)의 표면의 연직 상방으로부터 점착제층 (11) 의 표면을 보았을 때의 볼록부 (12) 의 최대 면적 및 볼록부 (12) 의 최대 폭을 나타낸다. 또, 볼록부 (12) 의 피착체 (3) 와 접촉하는 선단은 평탄 표면 또는 비평탄 표면일 수도 있다.
점착제층 (11) 의 표면에 있어서의 볼록부 (12) 의 점유율 ([볼록부 (12) 의 총면적/점착제층 표면 전체의 면적]×100(%)) 은, 점착 부재 (1) 의 접착성과 저마찰성 (즉, 피착체상에서의 용이 이동성) 의 관점에서, 30 ~ 95%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90%이다.
[점착제층]
본 발명의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에 있어서, 편면에 볼록부 (12) 가 형성되는 점착제층 (11) 은, 감압성 점착제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감압성 점착제층이다. 감압성 점착제 (이하, 단순히 "점착제" 라고도 약칭한다) 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점착제를 구성하는 베이스 폴리머의 종류에 기초하여,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공지된 점착제 중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계 점착제는, 내열성, 내후성 등 여러 가지의 특성이 우수하고, 아크릴계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유닛의 종류 등을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특성을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들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통상,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주된 모노머 유닛으로 구성되는 아크릴계 중합체로부터 형성된다.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산 메틸, (메타)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프로필, (메타)아크릴산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산 부틸, (메타)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타)아크릴산 s-부틸, (메타)아크릴산 t-부틸, (메타)아크릴산 펜틸, (메타)아크릴산 헥실, (메타)아크릴산 헵틸, (메타)아크릴산 옥틸, (메타)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타)아크릴산 노닐, (메타)아크릴산 이소노닐, (메타)아크릴산 데실, (메타)아크릴산 이소데실, (메타)아크릴산 운데실, (메타)아크릴산 도데실, (메타)아크릴산 트리데실, (메타)아크릴산 테트라데실, (메타)아크릴산 펜타데실, (메타)아크릴산 옥타데실, (메타)아크릴산 노나데실, (메타)아크릴산 에이코실 등의 (메타)아크릴산 C1-20 알킬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메타)아크릴산 C2-12 알킬 에스테르,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타)아크릴산 C1-8 알킬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는 1종 이상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는, 응집력, 내열성, 가교성 등의 개선을 목적으로 해, 필요에 따라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모노머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모노머 유닛으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 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메타)아크릴산 하이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산 하이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산 하이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산 하이드록시데실, (메타)아크릴산 하이드록시라우릴, (4-하이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실기 함유 모노머;스티렌 술폰산, 알릴 술폰산, 2-(메타)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술폰산, (메타)아크릴아미도프로판술폰산, 술포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로일옥시나프탈렌술폰산 등의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 포스페이트 등의 인산기 함유 모노머;(메타)아크릴아미드, N, N-디메틸(메타)아크릴 아미드, N-부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프로판(메타)아크릴 아미드 등의 (N-치환) 아미드계 모노머;(메타)아크릴산 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 N, 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 t-부틸 아미노에틸 등의 (메타)아크릴산 아미노알킬계 모노머;(메타)아크릴산 알콕시알킬계 모노머;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N-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N-라우릴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이미드계 모노머;N-메틸이타콘이미드, N-에틸이타콘이미드, N-부틸이타콘이미드, N-옥틸이타콘이미드, N-2-에틸헥실이타콘이미드, N-시클로헥실이타콘이미드, N-라우릴이타콘이미드등의 이타콘이미드계 모노머;N-(메타)아크릴로일옥시메틸렌숙신이미드, N-(메타)아크릴로일-6-옥시헥사메틸렌숙신이미드, N-(메타)아크릴로일-8-옥시옥타메틸렌숙신이미드 등의 숙신이미드계 모노머;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N-비닐피롤리돈, 메틸비닐피롤리돈, 비닐피리딘, 비닐피페리돈, 비닐피리미딘, 비닐피페라진, 비닐피라진, 비닐피롤, 비닐이미다졸, 비닐옥사졸, 비닐모르폴린, N-비닐카르복실산 아미드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N-비닐카프로락탐 등의 비닐계 모노머;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리로니트릴등의 시아노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메타)아크릴산 글리시딜 등의 에폭시 기 함유 아크릴계 모노머;(메타)아크릴산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메타)아크릴산 메톡시에틸글리콜, (메타)아크릴산 메톡시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글리콜계 아크릴 에스테르 모노머;(메타)아크릴산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불소(메타) 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타) 아크릴레이트 등의 복소환, 할로겐 원자, 규소 원자 등을 갖는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헥산디올 디(메타)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 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메타)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부틸 디(메타) 아크릴레이트, 헥실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모노머;이소프렌, 디부타디엔, 이소부틸렌 등의 올레핀계 모노머;비닐 에테르 등의 비닐 에테르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모노머 유닛은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서술한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필요에 따라 그 밖의 단량체를 공지 적절히 방법에 의해 중합 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분자량 등은 특별히 제한 되지 않고, 예를 들어,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0 ~ 2000000, 바람직하게는 150000 ~ 10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00 ~ 1000000의 범위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는, 베이스 폴리머로서 카르복실기 등의 산성기를 갖는 폴리머를 사용하고, 중화제를 첨가해 베이스 폴리머 안의 산성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중화함으로써 친수성을 부여한 친수성 점착제일 수도 있다. 친수성 점착제는 일반적으로 피착체에 대한 접착제 잔류물의 발생이 적고, 또, 접착제 잔뮤물이 생겼을 경우에도, 순수 (pure water) 로 세정함으로써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산성기를 갖는 폴리머는, 베이스 폴리머를 조제할 때에 상기 서술한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등의 산성기를 갖는 단량체를 공중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중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1급 아민 (예를 들어, 모노에틸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등), 2급 아민 (예를 들어, 디에틸아민, 디에탄올아민 등), 3급 아민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N,N,N'-트리메틸에틸렌디아민, N-메틸디에탄올아민, N,N-디에틸히드록실아민 등) 등의 알칼리성을 갖는 유기 아미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점착제는 필요에 따라 가교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가교제로서는, 에폭시계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과산화물계 가교제, 금속 알콕시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금속염계 가교제,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아민계 가교제 등의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고, 에폭시계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에폭시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N,N,N',N'-테트라글리시딜-m-자일렌디아민, 디글리시딜아닐린,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6-헥산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소르비톨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폴리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소르비탄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디글리시딜 아디페이트 아디핀산 디글리시딜 에스테르, o-프탈산 디글리시딜 에스테르, 트리글리시딜-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레조르신 디글리시딜 에테르, 비스페놀 S 디글리시딜 에테르, 분자내에 에폭시 기를 2개 이상 갖는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1,2-에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부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저급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류;시클로펜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첨가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첨가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류;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류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 (11) 은, 가소제, 안정제, 필러 활제, 착색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착색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제층 (11) 의 탄성률은 볼록부 (12) 의 탄성률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점착 부재 (1) 는, 가압시에 볼록부 (12) 가 점착제층 (11) 내에 파묻힌 상태가 되고, 점착제층 (11) 이 피착체 (3) 에 접촉해 높은 접착력을 발현하는 구성을 갖는다. 점착제층 (11) 의 탄성률이 볼록부 (12) 의 탄성률보다 낮으면, 가압에 의해 볼록부 (12) 가 점착제층 (11) 내에 신속하게 파묻히고, 점착제층 (11) 의 피착체 (3) 에 대한 접촉 면적이 많아지므로, 높은 접착력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점착제층 (11) 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0 ~ 10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5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 250 ㎛ 이다. 점착제층의 두께가 상기의 바람직한 범위내에 있으면, 볼록부 (12) 의 위치 조정 기능을 유지하면서, 위치 조정 후 점착 부재가 충분한 접착력으로 가압 접착에 의해 피착체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볼록부 (12) 의 높이에 대한 점착제층 (11) 의 두께의 비 (점착제층의 두께/볼록부의 높이) 가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볼록부 (12) 의 높이에 대한 점착제층 (11) 의 두께의 비 (점착제층의 두께/볼록부의 높이) 가 1.0 미만인 경우, 가압에 의해 점착제층 (11) 이 변형해도, 볼록부 (12) 의 선단이 점착제층 (11) 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이 있어, 피착체 (3) 에 대한 충분히 높은 접착력을 얻을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또한, 볼록부 (12) 의 높이에 대한 점착제층 (11) 의 두께의 비 (점착제층의 두께/볼록부의 높이) 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다.
지지체 (10) 의 점착제층 (11) 에 접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편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 (13) 은 감압성 점착제층이며, 당해 점착제층 (13) 에는, 이 층에 첨부하는 첨부물의 재질에 따라,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등의 공지된 감압성 점착제가 적용된다. 점착제층 (13) 의 두께도, 이 층에 첨부하는 첨부물의 재질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일반적으로는, 10 ~ 200 ㎛ 의 범위내에서 선택된다.
[세퍼레이터]
본 발명의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는, 통상, 사용전까지는, 도 6에 나타나 있듯이, 점착제층 (11) 의 복수의 볼록부 (12) 를 갖는 면을 보호하기 위한 세퍼레이터 (2) 를 갖는다.
세퍼레이터 (2) 는 압축 탄성률이 1 MPa 이하인 것이 사용된다. 즉, 세퍼레이터 (2) 는 일정 레벨 이상의 쿠션성을 구비한다. 세퍼레이터 (2) 는 압축 탄성률이 1 MPa 이하가 되는 쿠션성을 갖는다. 세퍼레이터 (2) 가 점착 부재 (1) 와 함께 감겨져 롤로 보관되며 감아 조임에 의한 압력이 점착 부재 (1) 에 가해해도, 세퍼레이터 (2) 에 의해 점착제층 (11) 의 표면에 형성된 볼록부 (12) 에 대한 응력 집중이 완화된다. 그러므로, 볼록부 (12) 가 찌부러지고 점착제층 (11) 에 파묻혀 볼록부 (12) 의 돌출 높이가 현저하게 감소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의 형상은, 테이프, 시트, 패널, 라벨, 이들 이외의 임의의 다른 가공된 형상 등의 여러 가지의 형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물성 및 특성의 측정 방법은 이하에 설명된 바와 같다.
1. 폴리프로필렌 판에 대한 점착 부재 (1) 의 마찰력(도 7)
도 7을 참조해, 폴리프로필렌 판에 대한 점착 부재의 마찰력의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점착 부재 (1) 를 2 cm×2 cm의 평면 형상을 갖는 정방형으로 절단하여 얻어진 측정용 샘플 (1A) 을 그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면이 PP 판 (3A) 과 접하도록 PP 판 (3A) 상에 정치한다.
다음으로, (폭 2 cm×길이 10 cm, 두께:38㎛인) PET 기재 (15) 의 일단측을 그 종단부가 샘플 (1A) 의 종단부와 일치하도록 측정용 샘플 (1A) 의 배면측의 점착제층 (13) 을 통하여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샘플 (1A) 의 전체에 대략 균등하게 하중이 가해지도록 PET 기재 (15) 상에 50g 의 추 (4) 를 실어, PET 기재 (15) 의 타단측을 파지하고 PET 기재 (15) 를 수평 방향으로 300 mm/분의 속도로 인장해, 그 때에 가해진 응력 (N/cm2) 을 측정해 마찰력으로서 사용한다.
또한, 측정하는 점착 부재 (1) 가 편면 점착층 타입 (배면이 기재) 인 경우에는, 별도 준비한 양면 점착 테이프를 개재하여 측정용 샘플 (1A) 의 배면에 PET 기재 (15) 를 고정시킨다.
2.폴리프로필렌 판에 대한 점착 부재 (1) 의 전단 접착력 (도 8)
도 8을 참조해, 점착 부재의 전단 접착력의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점착 부재 (1) 의 전단 접착력은 JIS K 6850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한다.
점착 부재 (1) 을 2 cm×2 cm의 평면 형상을 갖는 정방형으로 절단한 측정용 샘플 (1A) 를, 2매의 PP 판 (3A 및 3B) (폭 3 cm×길이 5 cm×두께 2 mm) 사이에 끼워, 2 kg 롤러 (5) 의 1 왕복의 하중으로 압착한다.
이것을 실온 (23℃) 으로 1일 방치 후, 인장 속도 50 mm/분으로, 2매의 PP 판을 수평 방향 (좌우 방향) 으로 인장하고, 그 때에 가해진 응력 (N/cm2) 을 측정한다.
3.점착제층 (11) 및 볼록부 (12) 의 탄성률 (도 9)
도 9를 참조해, 점착제층 (11) 및 볼록부 (12) 의 탄성률의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말하는 탄성률이란, HYSITRON 사제 나노 인덴터 "TriboScope" 를 사용한 나노 인덴테이션 시험에 의해 얻어지는 복합 탄성률이다. 나노 인덴테이션 시험 (nano indentation test) 은, Berkovich 압자 (삼각뿔의 다이아몬드제 압자) 를 서서히 하중 P를 가해 소정의 최대 하중 Pmax가 될 때까지 피검체에 밀어넣는 과정 (이하, 부하 과정), 최대 하중 Pmax로 일정시간 유지하는 과정 (이하, 유지 과정), 및 유지 후, 서서히 하중을 제거해 하중 P가 0이 될 때까지 인발하는 과정(이하, 제하과정) 에 있어서 얻어지는, 압자의 하중 P 와 압입 깊이 h와의 관계로부터, 피검체의 탄성 성질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압입 깊이 h 는, 압자의 선단과 초기 상태의 피검재 표면 (압자를 밀어넣기 전의 피검재 표면) 과의 거리를 의미하고, 압자가 피검재의 표면에 처음으로 접촉한 위치를 기준으로 한 압자의 변위량에 상당한다.
볼록부 (12) 및 점착제층 (11) 의 탄성률은, 상기의 나노 인덴테이션 시험에 의해 얻어지는 압자의 하중 P 와 압입 깊이 h 사이의 관계에 근거해, 이하의 식 (1) 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Er=1/β · S/2 · (π/A)1/2 (1)
여기서, 상기의 식 (1) 에 있어서, Er 은 탄성률이고, β 은 압자 형상에 의해 결정되는 상수이며, Berkovich 압자의 경우 β=1.034 를 사용한다. S는 접촉 강성률이고, π 은 원주율이고, A는 압자와 피검재 표면의 접촉 투영 면적이다.
압자를 피검재 (점착 테이프) 의 점착제층의 표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점착제층의 탄성률이 측정될 수 있다. 또, 볼록부의 탄성률은, 점착제층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예를 들어, 다이아몬드 칼날을 장착한 울트라마이크로톰 (ultramicrotome) 을 사용하여 -100℃ 이하의 환경하에서 점착 테이프 상의 볼록부만을 점착제층으로부터 잘라내어, 소정의 시료대 (SUS제) 에 고정해, 그 볼록부의 표면에 압자를 접촉시킴으로써 측정된다.
(접촉 강성률)
상기 접촉 강성률 S 는, 상기의 나노인덴테이션 시험에서 얻어지는 압자의 하중 P 와 압입 깊이 h 사이의 관계, 특히, 제하 과정에서 얻어지는 관계에 근거해 산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접촉 강성률 S는, 압자의 위치가 최대 압입 깊이 hmax (최대 하중 Pmax를 가했을 때의 압입 깊이) 에 도달한 후, 그리고 유지 과정 후에, 제하 과정으로 천이한 직후의 제하 곡선의 기울기에 의해 정의된다. 바꾸어 말하면, 접촉 강성률 S는, 점 (hmax, Pmax) 에 있어서의 제하 곡선에 대한 접선 L 의 구배 (dP/dh) 를 의미한다.
(접촉 투영 면적)
상기 접촉 투영 면적 A는, 압자의 위치가 최대 압입 깊이 hmax에 도달했을 때 압자와 피검재 표면 사이의 접촉 부분의 면적을, 압자의 압입 방향으로 투영하여 얻어진 면적을 의미한다. 또한, 이 접촉 부분의 깊이 (접촉 깊이) 가 hc 이면, Berkovich 압자의 경우, 접촉 투영 면적 A는, 이하의 식(2) 에 의해 근사할 수 있다.
A=24.56 · hc2 (2)
상기의 접촉 깊이 hc 는, 최대 압입 깊이 hmax, 최대 하중 Pmax 및 접촉 강성률 S를 사용하여, 이하의 식 (3) 에서 나타내진다.
hc=hmax-0.75 · Pmax/S (3)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나노인덴테이션 시험에 있어서, 측정과 탄성률의 해석은 Hysitron 사제의 측정-해석 소프트웨어 TriboScan Ver.8.0.0.4 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측정 조건)
부하-제하 과정에서의 압입 속도 200 μN/sec
유지 시간 15초
최대 압입 깊이 (제하 과정으로 천이할 때의 압입 깊이) 0.9 ~ 5 ㎛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1.코어 쉘형 공중합체 입자의 제조
(모노머 에멀션 (A) 의 조제)
용기에, 아크릴산 2-에틸헥실 (2-EHA) (950 중량부), 아크릴산 (AA) (50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 나트륨계의 아니온계 비반응성 계면 활성제인, LATEMUL E-118B (Kao Corporation제) (15 중량부), 및 이온 교환수 (970 중량부) 를 투입하고, 그 혼합물을 호모믹서 (Tokushu Kika Kogyo Co., Ltd. 제) 를 이용해 질소 분위기하에서 5분간, 6000 rpm 으로 교반해, 모노머 에멀션 (A) 을 조제했다.
(모노머 에멀션 (B) 의 조제)
용기에, 메타크릴산 메틸 (MMA) (950 중량부), 아크릴산 (AA) (50 중량부), LATEMUL E-118B (Kao Corporation제) (15 중량부) 및 이온 교환수 (970 중량부) 를 투입하고, 그 혼합물을 호모믹서 (Tokushu Kika Kogyo Co., Ltd. 제) 를 이용해 질소 분위기하에서 5분간, 6000 rpm 으로 교반해, 모노머 에멀션 (B) 을 조제했다.
(중합)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적하 설비, 및 교반 날개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LATEMUL E-118B (Kao Corporation 제) (1.6 중량부) 및 이온 교환수 (342.2 중량부) 를 투입해, 교반하면서 충분히 질소로 치환한 후, 반응 혼합물을 60℃ 까지 승온했다. 60℃ 로 일정하게 된 것을 확인한 후, 수용성 아조 중합 개시제인 VA-057(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제) (0.323 중량부) 를 첨가하고, 10 분후 모노머 에멀션 (A) (520 중량부) 을, 2 시간 반에 걸쳐 적하 첨가해 코어 층이 되는 공중합체를 얻었다. 이어서, VA-057 (0.323 중량부) 를 더 첨가하고, 10 분후, 모노머 에멀션 (B) 을 45분에 걸쳐 적하 첨가해, 쉘층이 되는 공중합체를 형성해, 코어 쉘형 공중합체 에멀션을 얻었다. 코어 쉘형 공중합체 입자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0×105, 평균 입경 (D50) 은 0.16 ㎛ 였다.
2.볼록부 형성용 액상물의 조제
상기 1. 에서 제조한 코어 쉘형 공중합체 에멀션 100 중량부 당, 점착 부여제로서 중합 로진 에스테르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제 "E-865-NT") (20 중량부) 를 첨가했다. 그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교반해 볼록부 형성용 액상물을 얻었다.
3.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의 제작
양면 접착 테이프 (Nitto Denko Corporation제 "TW-Y01", 부직포 기재의 양면에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한 테이프, 테이프 전체의 두께 170 ㎛, 일방 편면의 점착제층의 두께 70 ㎛, 타방 편면의 점착제층의 두께 70 ㎛) 을 준비했다.
이 양면 접착 테이프의 일방 편면의 점착제층 (두께 70 ㎛) 의 표면에, Musashi Engineering, Inc. 제, MEASURINGMASTER MPP-1 을 사용하여, 토출 속도:0.00060 ㎖/초, 실제 토출 시간:0.16 초의 조건으로, 상기 2. 에서 조제한 볼록부 형성용 액상물을 토출해, 2 mm 간격으로, 폭 0.3 mm, 돌출 높이 25 ㎛ 의 스트라이프상 볼록부 패턴을 형성했다. 니들은 소프트 니들 20G 를 사용했다. 이 후, 온도 100℃ 에서 3분간 건조해, 편면의 점착제층의 표면에 스트라이프상의 볼록부를 갖는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2 ~ 5>
점착 부여제를 표 1에 기재된 것으로 변경한 것이외에는 실시예 1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를 제작했다.
<실시예 6>
코어 쉘형 공중합체 입자의 제조에 있어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 나트륨계의 아니온계 비반응성 계면 활성제인 LATEMUL E-118B 대신에 알킬알릴 술포숙신산 나트륨 염계의 아니온계 반응성 계면 활성제인, ELEMINOL JS-20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제) 을 사용한 것이외에는 실시예 1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를 제작했다. 코어 쉘형 공중합체 입자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8.0×105 였고, 평균 입경 (D50) 은 0.12 ㎛ 였다.
<실시예 7>
점착 부여제를 표 1에 기재된 것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 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를 제작했다.
<실시예 8>
점착 부여제의 첨가량을 10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를 제작했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코어 쉘형 공중합체 에멀션을 그대로 볼록부 형성용 액상물로서 사용하고, 그 나머지는 실시예 1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를 제작했다.
<비교예 2>
점착 부여제를 표 2에 기재된 것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를 제작했다.
<비교예 3>
실시예 6 에서 제조한 코어 쉘형 공중합체 에멀션을 그대로 볼록부 형성용 액상물로서 사용하고, 그 이외는 실시예 1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를 제작했다.
<비교예 4>
실시예 6 에서 제조한 코어 쉘형 공중합체 에멀션에 표 2에 기재된 점착 부여제를 첨가해 볼록부 형성용 액상물로 하고, 그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를 제작했다.
또한, 실시예 2 ~ 8, 그리고 비교예 2 및 4 에서 사용한 점착 부여제는 모두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제의 시판품이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의 물성 및 특성의 측정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표 1및 표 2 중에서, "95/5" 및 "80/20" 는 중량비이며, 점착 부여제의 첨가량에 있어서의 "phr" 는 코어 쉘형 공중합체 에멀션 중의 코어 쉘형 공중합체 입자 100 중량부 당의 점착 부여제의 양 (중량부) 을 의미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는, 그 표면이 폴리프로필렌으로 대표되는 저극성 플라스틱을 주체에 형성된 피착체에 대해 우수한 위치 조정 기능을 갖고 위치 조정 후 피착체에 대해 충분히 높은 접착력으로 접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피착체 표면상에서의 위치 결정과 접착을 효율적으로, 또한, 고정밀도에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의 배면측에 디자인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외장용이나 내장용의 건축물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고, 또, 그 배면을, 외장용이나 내장용 건축물 재료 (화장판, 벽지, 플로어링재, 카페트, 천정재, 폭목, 쿠션 플로어, 스트로 매트, 샷시 등) 를 부설할 때에, 외장용이나 내장용 재료를 붙이기 위한 점착면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1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10 지지체
11 점착제층
11A, 11B 점착제층의 편면
12 볼록부
13 점착제층
본원은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6-103630을 기초로 하고 있어,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모두 포함된다.

Claims (7)

  1.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의 편면에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를 포함하는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로서,
    상기 볼록부가 폴리프로필렌 판에 접촉하고 상기 점착제 층이 상기 폴리프로필렌 판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점착 부재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판에 대한 마찰력이 0.6 N/cm2 이하이며, 상기 폴리프로필렌 판에 대한 전단 접착력이 50 N/c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와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는,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제는 로진계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는,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제는 상온에서 고체인,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제의 연화 온도는 40℃이상인,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가, 코어와 상기 코어보다 높은 탄성률의 쉘을 포함하는 코어 쉘형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인,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알킬 기가 C6-10 알킬 기인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주된 모노머 유닛으로 포함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인,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KR1020187036424A 2016-05-24 2017-04-14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KR201900105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03630 2016-05-24
JPJP-P-2016-103630 2016-05-24
PCT/JP2017/015209 WO2017203883A1 (ja) 2016-05-24 2017-04-14 加圧接着型粘着部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598A true KR20190010598A (ko) 2019-01-30

Family

ID=60265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424A KR20190010598A (ko) 2016-05-24 2017-04-14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270483A1 (ko)
EP (1) EP3467065A4 (ko)
JP (1) JP6227820B1 (ko)
KR (1) KR20190010598A (ko)
CN (1) CN109153896A (ko)
TW (1) TW201809180A (ko)
WO (1) WO20172038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50092B2 (ja) * 2016-09-05 2021-03-31 日東電工株式会社 加圧接着型粘着部材
JP6850093B2 (ja) * 2016-09-05 2021-03-31 日東電工株式会社 加圧接着型粘着部材
CN110621752B (zh) * 2018-04-16 2022-07-08 株式会社寺冈制作所 粘着带
JP6539005B1 (ja) * 2018-04-16 2019-07-03 株式会社寺岡製作所 粘着テープ
TW202110908A (zh) * 2019-09-03 2021-03-16 美商羅門哈斯公司 黏著劑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1790A (en) * 1989-11-20 1992-08-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position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JPH06172725A (ja) * 1992-12-02 1994-06-21 Mitsui Toatsu Chem Inc 樹脂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材
JPH07310057A (ja) * 1994-05-18 1995-11-28 Nitto Denko Corp 接着シート
JPH08295857A (ja) * 1995-04-25 1996-11-12 Nitto Denko Corp 接着シート
US5795636A (en) * 1995-11-15 1998-08-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ositionable and repositionable adhesive article
JP2804743B2 (ja) * 1996-05-24 1998-09-30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感圧接着シート状構造物
US6083616A (en) * 1997-09-19 2000-07-04 Seal Products, Inc. Nontack pressure activated adhesive
KR100405300B1 (ko) * 1999-03-04 2003-1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위치 선정성 및 재부착 특성이 우수한 점착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1172586A (ja) * 1999-12-22 2001-06-26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手切れ性粘着テープ
US6858285B1 (en) * 2000-03-22 2005-0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igh bond strength, repositionable adherent sheet
JP2001279199A (ja) * 2000-03-29 2001-10-10 Sekisui Chem Co Ltd 両面粘着テープ
JP2001294821A (ja) * 2000-04-11 2001-10-23 Sekisui Chem Co Ltd 両面粘着テープ
JP2002012629A (ja) * 2000-06-27 2002-01-15 Sekisui Chem Co Ltd 重合性組成物、粘着剤、粘着テープ及び粘着シート
JP2002167557A (ja) * 2000-12-01 2002-06-11 Sekisui Chem Co Ltd 粘着剤用組成物、粘着剤及び粘着シート
JP4726420B2 (ja) * 2003-04-25 2011-07-20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76137B2 (ja) * 2009-02-17 2014-08-20 光洋産業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8522509B2 (en) * 2009-03-09 2013-09-03 Custom Building Products, Inc. Mortarless tile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tiles
TWI605945B (zh) * 2015-03-06 2017-11-21 Nitto Denko Corp Pressing Adhesive Next
JP6836876B2 (ja) * 2015-10-14 2021-03-03 日東電工株式会社 セパレーター付き粘着テープおよびセパレー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70483A1 (en) 2020-08-27
CN109153896A (zh) 2019-01-04
JP6227820B1 (ja) 2017-11-08
TW201809180A (zh) 2018-03-16
EP3467065A4 (en) 2020-01-22
EP3467065A1 (en) 2019-04-10
JP2017210600A (ja) 2017-11-30
WO2017203883A1 (ja)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0598A (ko) 가압 접착형 점착 부재
EP3266837B1 (en) Pressure-adhesive type adhesive member
US11236254B2 (en) Separator
WO2017065275A1 (ja) セパレーター付き粘着テープおよびセパレーター
TW202039740A (zh) 黏著片材
JP6850093B2 (ja) 加圧接着型粘着部材
JP6836876B2 (ja) セパレーター付き粘着テープおよびセパレーター
JP6054832B2 (ja) 携帯電子機器用粘着シート
JP2017061587A (ja) 接着シート及び接着シート貼り付け方法
EP3508544A1 (en) Pressure bonding-type adhesive member
JP2011038369A (ja) 板状物の補強方法および板状物の補強構造
JP4937612B2 (ja) 粘着テープ類および包装用粘着テープ類
JP6804568B2 (ja) 加圧接着型粘着テープ
JP7130490B2 (ja) 粘着テープ
JP2007199630A (ja) 点字形成用粘着テープ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20066642A (ja) 加圧接着型粘着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