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930A -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 - Google Patents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930A
KR20190009930A KR1020170091913A KR20170091913A KR20190009930A KR 20190009930 A KR20190009930 A KR 20190009930A KR 1020170091913 A KR1020170091913 A KR 1020170091913A KR 20170091913 A KR20170091913 A KR 20170091913A KR 20190009930 A KR20190009930 A KR 20190009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hose
nozzle
ai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1624B1 (ko
Inventor
우남철
이화정
Original Assignee
우남철
이화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남철, 이화정 filed Critical 우남철
Priority to KR1020170091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624B1/ko
Publication of KR20190009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7/00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 B24C7/0007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the abrasive material being fed in a liquid carrier
    • B01F15/025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01F23/56Mixing liquids with solids by introducing solids in liquids, e.g. dispersing or dissol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9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sprayers, nozzles or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designed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s
    • B05B7/1404Arrangements for supplying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designed for spraying particulate materials
    • B05B7/1481Spray pistol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24C5/02Blast guns, e.g. for generating high velocity abrasive fluid jets for cutting materials
    • B24C5/04Nozzl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7/00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 B24C7/0046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the abrasive material being fed in a gaseous carrier
    • B01F2003/1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장치의 부품과 같은 피세척물에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피세척물의 찌든 때나 녹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고압 세척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과 함께 유리 재질의 미세 알갱이를 분사하여 피세척물의 표면 손상 유발과 작업장의 분진 발생을 줄이고 내부 형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High Pressure Cleaning Apparatus using Wet Blast}
본 발명은 기계장치의 부품과 같은 피세척물에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피세척물의 찌든 때나 녹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고압 세척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과 함께 유리 재질의 미세 알갱이를 분사하여 피세척물의 표면 손상 유발과 작업장의 분진 발생을 줄이고 내부 형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기계 장비를 유지 및 보수하기 위해서는 기계장비를 구성하는 부품류를 세척하게 된다. 이러한 기계 부품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은 찌든 때나 녹을 쉽게 제거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계면활성제나 유기화합물을 투입한 후 강한 압력으로 물을 분사하여 찌든 때와 녹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장비들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물을 분사하는 것만으로는 찌든 때나 녹을 제거하기가 쉽지 않다.
한편, 찌든 때나 녹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소 경도가 높은 작은 크기의 연마재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블라스팅 공법이 있다. 이러한 블라스팅 공법이 적용된 세척장비는 대부분 건식 블라스트 방식으로 높은 공기압력을 사용하여 모래를 분사함으로써 피세척물을 세척하도록 하고 있으나, 작업현장에서 분진이 발생하고, 복잡한 내부 형상을 가진 부품에는 적용할 수 없으며, 경도가 높은 모래로 인해 부품의 표면이 손상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세척 장비가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이 경우에는 밀도가 높은 연마재를 고속으로 분사하기 위하여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기가 필요하여 장비의 크기가 커지고 제조원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블라스팅 공법은 노즐에서 연마재를 분사하여 소재 표면을 다듬거나 절삭하는 공법으로서, 주로 모래를 연마재로 사용하여 '샌드 블라스트'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모래 이외에 산화알루미늄이나 탄화규소와 같은 세라믹 분말이나, 글라스 비드, 플라스틱 파우더 등이 연마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블라스팅 공법은 고압의 에어를 이용하여 연마재만 노즐을 분사하는 건식 블라스트(air blast)와, 연마재와 물을 혼합한 뒤 노즐을 통해 분사하여 가공하는 습식 블라스트(wet blast)로 구분되고 있다. 건식 블라스트는 가공능력은 우수하지만 분진 등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고, 습식 블라스트는 건식 블라스트에 비해 가공능력은 떨어지지만 연마재가 물과 혼합되어 소재의 표면에 접촉되기 때문이 소재 표면이 매끄럽게 가공되는 장점이 있다.
KR 10-2016-0141521 A KR 10-2017-0005958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는 물과 함께 유리 재질의 미세 알갱이를 분사하여 피세척물의 표면 손상 유발과 작업장의 분진 발생을 줄이고, 내부 형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채택함과 아울러 물의 고압 고속 유동시 발생하는 음압을 이용하여 연마재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가의 공기 압축기를 배제하여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장비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는, 상부에 세척실이 형성되고 하부에 기계실이 형성됨과 아울러 세척실에 상부 커버가 설치된 본체와; 고압의 세척수와 함께 물과 비드가 혼합된 비드혼합물을 분사하여 피세척물을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실 내에 배치되는 세척 노즐과; 비드혼합물이 저장되도록 기계실에 설치되는 비드 탱크와; 기계실 내에 배치되며 세척 노즐로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세척수 펌프와; 비드 탱크로부터 비드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비드혼합물이 세척 노즐을 통해 분사되도록 세척 노즐에 연결되는 비드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비드 노즐이 세척 노즐의 측부에 연결되어 고속 고압의 세척수에 의한 음압에 의해 비드혼합물이 세척 노즐로 흡입되되, 비드 노즐이 세척 노즐에 예각이 되도록 경사지게 연결됨으로써, 세척 노즐로 흡입되는 비드혼합물이 세척수 진행방향에 순응하면서 세척수와 함께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세척 노즐은 후단부에 세척수 호스가 연결된 노즐 본체와, 분사되는 세척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노즐 본체의 후방측에 구비된 세척수 밸브와, 노즐 본체로 유입되는 비드혼합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노즐 본체의 측부에 경사지게 연결된 비드 노즐에 구비된 비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비드 탱크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비드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비드혼합물의 밀도를 저하시키는 에어 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비드 호스의 일단부와 에어 호스의 일단부가 비드 탱크의 하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비드 호스의 일단부와 에어 호스의 일단부 사이에 비드혼합물과 공기가 혼합되는 혼합공간이 형성되어 비드혼합물의 밀도가 가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비드 호스의 일단부는 비드를 빨아들이는 한편 에어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비드 탱크의 바닥과 비드 호스를 향하여 경사진 절단면을 구비하고, 에어 호스는 비드 호스에 부착된 직관의 형태를 가지되, 그 일단부가 비드 호스을 향하여 구부러짐으로써 막곡부를 형성한 후 수직 방향으로 절단되어, 에어 호스의 절단면과 비드 호스의 절단면 사이에 혼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비드 호스의 단부와 에어 호스의 단부가 동일 평면을 형성함으로써 양자 사이에 형성되는 혼합공간은 비드 호스와 에어 호스를 단면하였을 때 직삼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는 연마재로 글라스 비드를 사용하고 물과 글라스 비드가 혼합된 비드혼합물을 세척수와 동시에 분사하여 세척함에 따라 피세척물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고 분진이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고속 고압의 세척수가 분사될 때 발생하는 음압을 이용하여 비드혼합물이 세척 노즐로 유입되도록 하므로써 공기 압축기를 배제할 수 있게되어 제조 원가가 감소하고 구조가 단순화되어 유지 보수가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척 노즐이 구비된 세척수 노즐 및 비드 노즐을 이용하여 세척수의 양과 비드혼합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피세척물의 종류에 따라 비드혼합물의 양을 조절하여 세척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드 탱크로 공기를 공급하여 비드혼합물의 밀도를 줄임으로써 비드혼합물이 세척 노즐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드 탱크로 공기를 공급할 때 비드 호스에 작용하는 음압을 이용함에 따라 별도의 공기 공급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일과 비드혼합물을 공급하는 일 및 비드 탱크로 공기를 공급하는 일이 모두 하나의 세척수 펌프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기계실에 설치되는 장치의 구조가 단순화되고 유지 보수가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에서 세척 노즐의 작동 개념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 노즐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 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드 호스와 에어 호스의 끝단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드 호스와 에어 호스의 끝단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세척실(110)이 형성되고 하부에 기계실(120)이 형성됨과 아울러 기계실(120)의 전면에 도어(130)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세척실(110)에 상부 커버(150)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본체(100)와; 고압의 세척수와 함께 물과 글라스 비드가 혼합된 비드혼합물을 분사하여 피세척물을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실(110) 내에 배치되는 세척 노즐(200)과; 비드혼합물이 저장되도록 기계실(120)에 설치되는 비드 탱크(250)와; 기계실(120) 내에 배치되며 세척 노즐(200)로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세척수 펌프(310)와; 비드 탱크(250)로부터 비드 호스(253)를 통해 공급되는 비드혼합물이 세척 노즐(200)을 통해 분사되도록 세척 노즐(200)에 연결되는 비드 노즐(25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체(100)의 하부에는 복수의 바퀴(140)가 구비되어 본체(100)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세척수 펌프(310)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수조(3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수조(300)에는 세척수와 함께 계면활성제와 같은 세척에 필요한 여러 가지 화학약품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비드 노즐(256)은 세척 노즐(200)의 측부에 연결되어 세척 노즐(200)의 내부를 통과하는 고속 고압의 세척수에 의해 형성되는 음압을 이용하여 비드와 물이 세척 노즐(200)로 흡입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비드 노즐(256)이 세척 노즐(200)의 측부에 연결되되, 비드 노즐(256)과 세척 노즐(200)의 사이각(α)이 예각이 되도록 경사지게 연결된다.
즉, 비드 노즐(256)이 세척수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지게 노즐 본체(320)에 연결도힘으로써, 고속 고압으로 진행하는 세척수에 의해 비드 노즐(256)에 음압이 형성되고, 이 음압에 의해 비드혼합물이 비드 노즐(256)로 유입된 후 세척 노즐(200)로 흡입된다. 이로서, 세척 노즐(200)로 흡입되는 비드혼합물이 세척수 진행방향에 순응하면서 세척수와 함께 토출된다.
이와 같이, 비드 노즐(256)을 세척 노즐(200)의 측부에 연결하여 세척수의 고압 고속 유동시 발생하는 음압을 이용하여 비드혼합물이 유입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기존의 압축 공기를 사용하는 공기압 방식의 습식 블라스팅 장비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던 공기 압축기를 배제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기계실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세척 노즐(200)은 세척수 펌프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되는 세척수 호스(315)가 후단부에 연결된 노즐 본체(320)와, 분사되는 세척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노즐 본체(320)의 후방측에 구비된 세척수 밸브(325)와, 노즐 본체(320)로 유입되는 비드혼합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노즐 본체(320)의 측부에 경사지게 연결된 비드 노즐(256)에 구비된 비드 밸브(255)를 포함한다. 따라서, 세척수 밸브(325)와 비드 밸브(255)의 개도를 조절하여 세척수의 양과 비드혼합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비드 탱크(250)에는 물과 글라스 비드가 함께 저장되는데, 비중 차이로 인해 아래쪽에 글라스 비드층(251)이 형성되고 위쪽에 물층(252)이 위치하게 된다. 물론, 글라스 비드층(251)의 글라스 비드 사이의 틈새에 물이 채워짐으로써 비드혼합물을 형성하게 되고, 비드 호스(253)에 음압이 작용할 경우 비드혼합물이 비드 호스(253)로 유입된다. 하지만, 비드 탱크(250)의 내부에 물과 글라스 비드만 있을 경우 비드혼합물의 밀도가 높아져 비드 호스(253)로의 유입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드 탱크(25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비드 호스(253)를 통해 유입되는 비드혼합물의 밀도를 저하시키는 에어 호스(254)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비드 호스(253)에 작용하는 음압에 의해 에어 호스(254)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비드 호스(253)의 일단부와 에어 호스(254)의 일단부가 비드 탱크(250)의 하부인 글라스 비드층(251)에 배치된다.
그리고, 비드 호스(253)의 음압이 에어 호스(254)에 작용하도록 비드 호스(253)에 에어 호스(254)의 직관부가 부착되어 일체화된다. 이에 따라, 비드 호스(253)의 일단부와 에어 호스(254)의 일단부 사이에 비드혼합물과 공기가 혼합되는 혼합공간(K)이 형성되고, 에어 호스(254)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 비드혼합물의 밀도가 가변된다.
이로서, 비드 호스(253)의 음압에 의해 에어 호스(254)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므로, 별도의 공기 공급수단이 필요하지 않고 에어 호스(254)의 타단부는 외기에 노출되어 대기압 상태에 놓이게 된다.
한편, 글라스 비드층(251)에 배치된 비드 호스(253)의 일단부에는 절단면이 형성되고, 그 절단면은 비드를 빨아들이는 한편 에어 호스(25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비드 탱크(250)의 바닥을 향하는 한편, 비드 호스(254)를 향하여 경사진 단면을 갖는다.
그리고, 글라스 비드층(251)에 배치된 에어 호스(254)는 비드 호스(253)를 통해 전달된 음압으로 인해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비드 호스(253)을 통해 비드혼합물과 혼합되어 세척 노즐(200)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그 절단면은 비드 호스(253)의 절단면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즉, 에어 호스(254)는 비드 호스(253)에 부착된 직관의 형태를 가지되, 그 단부가 비드 호스(253)을 향하여 구부러짐으로써 막곡부를 형성한 후 절단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에어 호스(254)의 직관부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막곡부를 통과하면서 자연스러운 유체흐름을 형성하며 비드 호스(253)의 절단면으로 안내된다.
이로서, 도 7에서 보듯이 에어 호스(254)의 절단면과 비드 호스(253)의 절단면 사이에 비드혼합물과 공기가 혼합되는 혼합공간(K)이 형성되고, 이 혼합공간(K)으로 인해 비드혼합물의 밀도가 낮아져 비드 호스(253)를 통한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비드 호스(253)의 단부와 에어 호스(254)의 단부가 동일 평면을 형성함으로써 양자 사이에 형성되는 혼합공간(K)은 비드 호스(253)와 에어 호스(254)를 단면하였을 때 직삼각형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에어 호스(25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혼합공간(K)에서 비드혼합물에 효율적으로 혼합되어 비드혼합물의 밀도가 낮아지게 되고, 낮은 밀도의 비드혼합물이 비드 호스(253)을 통해 유입되어 세척 노즐(200)을 향해 유동하게 된다.
만약, 비드 호스(253)의 절단면과 에어 호스(254)의 절단면의 높이가 일치하지 않아 직삼각형 형태의 혼합공간(K)이 형성되지 않게 되면, 비드 호스(253)의 음압이 에어 호스(254)에 제대로 적용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에어 호스(254)를 통해 공기가 충분하게 유입되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비드 호스(253)로 유입되는 비드혼합물의 밀도가 충분하게 낮아지지 않아 세척 노즐(200)을 통해 분사되는 비드혼합물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한편,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커버(150)는 전면에 세척실(110) 내부의 세척 장갑(152)에 이어지는 손 투입구(151)가 구비되고 상면에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155)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부 커버(150)를 닫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손 투입구(151)를 통해 손을 투입하여 세척 장갑(152)을 착용하고, 투시창(155)을 통해 내부를 확인하면서 피세척물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습식 블라스팅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를 이용하여 피세척물을 세척하는 것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체(100)의 상부 커버(150)를 개방하여 세척실(110)에 피세척물을 넣은 후 상부 커버(150)를 닫고, 세척수 펌프(310)를 작동시키면 수조의 물이 세척수 호스(315)를 통해 세척 노즐(200)로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 손 투입구(151)를 통해 손을 투입하여 세척 장갑(152)을 착용하고, 세척 노즐(200)의 노즐 본체(320)를 잡은 상태에서 세척수 밸브(325)를 조작하여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한다.
세척 노즐(200)을 통해 세척수가 분사되면 노즐 본체(320)의 내부에는 고속 고압의 세척수 흐름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노즐 본체(320)의 측부에 경사지게 연결된 비드 노즐(256)에 음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비드 노즐(256)의 비드 밸브(255)를 개방하면 비드 노즐(256)에 연결된 비드 호스(256)에 음압이 작용하게 되고, 그로 인해 비드 탱크(250)의 비드혼합물이 비드 호스(253)로 유입된다. 비드 호스(253)로 유입된 비드혼합물은 비드 노즐(256)을 거쳐 노즐 본체(320)로 빠져나간 후 세척수의 진행방향에 순응하면서 세척수와 함께 세척 노즐(200)로부터 분사된다.
따라서, 세척 장갑(152)을 착용한 작업자가 세척 노즐(200)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와 비드혼합물을 이용하여 피세척물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글라스 비드와 물이 혼합된 비드혼합물이 세척수와 함께 배출됨에 따라 피세척물의 표면이 손상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비드 호스(253)에 작용하는 음압에 의해 비드혼합물이 비드 노즐(256)로 유입될 때 비드혼합물의 밀도가 높으면 비드혼합물이 쉽게 유입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여 비드혼합물의 밀도를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별도의 공기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공급할 수도 있지만, 비드 호스(253)의 측부에 부착된 에어 호스(254)를 이용하면 비드 탱크(250)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즉, 비드 호스(253)에 작용하는 음압이 에어 호스(254)에 영향을 줌으로써 일측 단부가 외기에 노출된 에어 호스(254)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서는 세척수 펌프(310)를 이용하여 세척수를 고속 고압으로 분사함과 아울러 세척수가 고속 고압으로 유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음압을 이용하여 글라스 비드와 물의 혼합물을 흡입함과 동시에 비드 호스(253)에 작용하는 음압으로 외부 공기를 비드 탱크(250)로 유입시켜 혼합물의 밀도를 낮추게 된다. 따라서, 세척수 펌프(310) 이외의 공기 압축기나 공기 공급장치를 생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세척실
120 : 기계실 130 : 도어
150 : 상부 커버 151 : 손 투입구
152 : 세척 장갑 155 : 투시창
200: 세척 노즐 250 : 비드 탱크
251 : 글라스 비드층 252 : 물층
253 : 비드 호스 254 : 에어 호스
255 : 비드 밸브 256 : 비드 노즐
300 : 수조 310 : 세척수 펌프
315 : 세척수 호스 320 : 노즐 본체
325 : 세척수 밸브 K : 혼합공간

Claims (5)

  1. 상부에 세척실이 형성되고 하부에 기계실이 형성됨과 아울러 세척실에 상부 커버가 설치된 본체와;
    고압의 세척수와 함께 물과 비드가 혼합된 비드혼합물을 분사하여 피세척물을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실 내에 배치되는 세척 노즐과;
    비드혼합물이 저장되도록 기계실에 설치되는 비드 탱크와;
    기계실 내에 배치되며 세척 노즐로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세척수 펌프와;
    비드 탱크로부터 비드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비드혼합물이 세척 노즐을 통해 분사되도록 세척 노즐에 연결되는 비드 노즐;을 포함하고,
    비드 노즐이 세척 노즐의 측부에 연결되어 고속 고압의 세척수에 의한 음압에 의해 비드혼합물이 세척 노즐로 흡입되되,
    비드 노즐은 세척 노즐에 예각이 되도록 경사지게 연결됨으로써, 세척 노즐로 흡입되는 비드혼합물이 세척수 진행방향에 순응하면서 세척수와 함께 토출되고,
    세척 노즐은 후단부에 세척수 호스가 연결된 노즐 본체와, 분사되는 세척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노즐 본체의 후방측에 구비된 세척수 밸브와, 노즐 본체로 유입되는 비드혼합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노즐 본체의 측부에 경사지게 연결된 비드 노즐에 구비된 비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비드 탱크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비드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비드혼합물의 밀도를 저하시키는 에어 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비드 호스의 일단부와 에어 호스의 일단부가 비드 탱크의 하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비드 호스의 일단부와 에어 호스의 일단부 사이에 비드혼합물과 공기가 혼합되는 혼합공간이 형성되어 비드혼합물의 밀도가 가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비드 호스의 일단부는 비드를 빨아들이는 한편 에어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비드 탱크의 바닥과 비드 호스를 향하여 경사진 절단면을 구비하고,
    에어 호스는 비드 호스에 부착된 직관의 형태를 가지되, 그 일단부가 비드 호스을 향하여 구부러짐으로써 막곡부를 형성한 후 수직 방향으로 절단되어,
    에어 호스의 절단면과 비드 호스의 절단면 사이에 혼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비드 호스의 단부와 에어 호스의 단부가 동일 평면을 형성함으로써 양자 사이에 형성되는 혼합공간은 비드 호스와 에어 호스를 단면하였을 때 직삼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

KR1020170091913A 2017-07-20 2017-07-20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 KR101951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913A KR101951624B1 (ko) 2017-07-20 2017-07-20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913A KR101951624B1 (ko) 2017-07-20 2017-07-20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930A true KR20190009930A (ko) 2019-01-30
KR101951624B1 KR101951624B1 (ko) 2019-02-25

Family

ID=6527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913A KR101951624B1 (ko) 2017-07-20 2017-07-20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6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0364A (zh) * 2020-05-06 2020-08-25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绝缘手套维护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6163U (ja) * 1991-02-18 1992-09-11 盛 山本 吸込具
KR20160073983A (ko) * 2013-10-21 2016-06-27 후지 세이사쿠쇼 가부시키가이샤 블라스트 가공 방법 및 블라스트 가공 장치
KR20160141521A (ko) 2015-06-01 2016-12-09 천정민 습식 샌드블라스팅 겸용 세척장치 및 방법
KR20170005958A (ko) 2015-07-06 2017-01-17 주식회사 엘엔케이시설물 베이킹소다를 포함하는 습식 블라스트 공법을 이용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6163U (ja) * 1991-02-18 1992-09-11 盛 山本 吸込具
KR20160073983A (ko) * 2013-10-21 2016-06-27 후지 세이사쿠쇼 가부시키가이샤 블라스트 가공 방법 및 블라스트 가공 장치
KR20160141521A (ko) 2015-06-01 2016-12-09 천정민 습식 샌드블라스팅 겸용 세척장치 및 방법
KR20170005958A (ko) 2015-07-06 2017-01-17 주식회사 엘엔케이시설물 베이킹소다를 포함하는 습식 블라스트 공법을 이용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0364A (zh) * 2020-05-06 2020-08-25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绝缘手套维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1624B1 (ko) 201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7466B2 (ja) 少なくとも1つの加工部品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S6234778A (ja) サンドブラストによる物体の加工方法
TWI680835B (zh) 噴嘴組立體及使用該噴嘴組立體的表面處理方法
JP6540821B2 (ja) 表面処理装置および表面処理方法
KR101951624B1 (ko)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
JP4936910B2 (ja) 排水管の内部洗浄方法
CN104802041A (zh) 抛光方法
KR101994885B1 (ko) 고압 세척장비의 패킹구조
JP2018089748A (ja) 管内面のブラスト方法及び装置
KR102068590B1 (ko) 습식 블라스트 방식 고압 세척기
JP2005066724A (ja) ドライブラスト装置
KR101338896B1 (ko) 직압식 폴리싱 연마재 분사장치
JP2017189840A (ja) 表面処理装置および表面処理方法
JP3031304U (ja) サンドブラスト用の砂塵飛散防止装置
JP5741368B2 (ja) ショットブラスト装置
CN217914815U (zh) 一种无尘水砂喷砂机
JP2011206858A (ja) ブラスト処理用カバー
JP6720731B2 (ja) ショットブラスト装置
JP2513915B2 (ja) ブラスト加工における帯電防止方法および装置
KR20090012686U (ko) 복합식 블라스트 기계
CN218194637U (zh) 一种喷砂循环利用一体化装置的喷口
JP2023062801A (ja) 除塵装置
US6089956A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abrasive blasting of workpieces
JPH0524450Y2 (ko)
TWM588604U (zh) 微細粉末回供砂系統改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