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885B1 - 고압 세척장비의 패킹구조 - Google Patents

고압 세척장비의 패킹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885B1
KR101994885B1 KR1020180030912A KR20180030912A KR101994885B1 KR 101994885 B1 KR101994885 B1 KR 101994885B1 KR 1020180030912 A KR1020180030912 A KR 1020180030912A KR 20180030912 A KR20180030912 A KR 20180030912A KR 101994885 B1 KR101994885 B1 KR 101994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ead
air
hose
u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남철
남상헌
Original Assignee
우남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남철 filed Critical 우남철
Priority to KR1020180030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8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3/00Accessorie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bility for machines or apparatus fo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7/00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 B24C7/0007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the abrasive material being fed in a liquid carr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 세척장비의 패킹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 대상물을 세척하는 도중 세척실로의 공기 유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세척실의 세척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장비의 패킹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압 세척장비의 패킹구조{Packing Structure for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고압 세척장비의 패킹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장비에 있어서 세척 대상물을 세척하는 도중 세척실로의 공기 유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세척실의 세척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고압 세척장비의 패킹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기계 장비를 유지 및 보수하기 위해서는 기계장비를 구성하는 부품류를 세척하게 된다. 이러한 기계 부품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은 찌든 때나 녹을 쉽게 제거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계면활성제나 유기화합물을 투입한 후 강한 압력으로 물을 분사하여 찌든 때와 녹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장비들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물을 분사하는 것만으로는 찌든 때나 녹을 제거하기가 쉽지 않다.
한편, 찌든 때나 녹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소 경도가 높은 작은 크기의 연마재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블라스팅 공법이 있다. 이러한 블라스팅 공법이 적용된 세척장비는 대부분 건식 블라스트 방식으로 높은 공기압력을 사용하여 모래를 분사함으로써 피세척물을 세척하도록 하고 있으나, 작업현장에서 분진이 발생하고, 복잡한 내부 형상을 가진 부품에는 적용할 수 없으며, 경도가 높은 모래로 인해 부품의 표면이 손상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세척 장비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종래의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세척장비는 상부에 세척실이 형성되고 하부에 기계실이 형성된 본체(50)와, 세척실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본체(50)에 설치되는 상부 커버(6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부 커버(60)에는 세척실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공기 유동부(65)가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세척장비는 상부 커버의 후단 상측에 공기 유동부가 형성되고 이 공기 유동부를 통해 세척수가 누출됨으로써 세척수에 의해 작업자 또는 세척장비의 주변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블라스팅 공법은 노즐에서 연마재를 분사하여 소재 표면을 다듬거나 절삭하는 공법으로서, 주로 모래를 연마재로 사용하여 '샌드 블라스트'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모래 이외에 산화알루미늄이나 탄화규소와 같은 세라믹 분말이나, 글라스 비드, 플라스틱 파우더 등이 연마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블라스팅 공법은 고압의 에어를 이용하여 연마재만 노즐을 분사하는 건식 블라스트(air blast)와, 연마재와 물을 혼합한 뒤 노즐을 통해 분사하여 가공하는 습식 블라스트(wet blast)로 구분되고 있다. 건식 블라스트는 가공능력은 우수하지만 분진 등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고, 습식 블라스트는 건식 블라스트에 비해 가공능력은 떨어지지만 연마재가 물과 혼합되어 소재의 표면에 접촉되기 때문이 소재 표면이 매끄럽게 가공되는 장점이 있다.
KR 10-2016-0141521 A KR 10-2017-0005958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고압 세척기의 패킹구조는,특히 습식 블라스트 방식의 고압 세척장비 본체와 상부 커버의 접촉부를 계단 형상으로 형성하여 공기는 유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세척수가 누출되는 것은 방지하여 작업자 또는 고압 세척기 주변의 오염을 차단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고압 세척기의 패킹구조는, 상부에 세척실이 형성되고 하부에 기계실이 형성되는 본체와, 세척실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는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에 있어서, 상부 커버의 가장자리와 본체가 접촉되는 부분이 다단으로 절곡된 계단 형상부로 형성되고, 계단 형상부의 하부에 패킹용 실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계단 형상부는 90도 각도로 2회 이상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 커버의 하부와 측부에 형성되는 계단 형상부는, 본체에 형성되고 최하단부에 패킹용 실부재가 설치되는 본체 전방측 다단 턱부와, 상부 커버의 하부와 측부에 형성되며 본체 전방측 다단 턱부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하단부가 패킹용 실부재에 접촉되는 커버 전방측 다단 턱부로 이루어지고, 본체 전방측 다단 턱부와 커버 전방측 다단 턱부가 밀착되어 세척수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 커버의 상측 하부에 형성되는 계단 형상부는, 본체의 후단 상측에 형성되고 최하단부에 패킹용 실부재가 설치되는 본체 후단측 다단 턱부와, 상부 커버의 후단 하측에 형성되며 본체 후단측 다단 턱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본체 후단측 다단 턱부와의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 유동로가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커버 후단측 턱부로 이루어지고, 공기 유동로를 통해 세척실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 공기가 세척실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기 유동로에 이어지는 공기 배출홈이 상부 커버의 후단 중앙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압 세척기의 패킹구조는 상부 커버와 본체 사이의 접촉 부분이 계단 형상부로 형성되고 계단 형성부의 하부에 패킹용 실링재가 배치됨에 따라 세척실의 세척수가 누출되지 않게 되어 작업자의 피해와 세척기 주변의 오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계단 형성부가 90도 각도로 2회 이상 절곡되어 형성됨에 따라 세척수가 계단 형성부의 수직벽에 의해 차단되어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되므로, 누출되는 세척수로 인한 작업자의 피해가 방지되고 세척기 주변이 오염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부 커버의 하부와 측부에서 본체 전방측 다단 턱부와 커버 전방측 다단 턱부가 밀착되고 커버 전방측 다단 턱부의 하부가 패킹용 실 부재에 접촉됨에 따라 상부 커버의 하부 또는 측부로 세척수가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 커버의 상단 하부에서 본체 후단측 다단 턱부와 커버 후단측 턱부 사이에 공기 유동로가 형성됨에 따라 세척수의 배출이 방지되면서도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 커버의 후단 중앙측에 공기 배출홈이 형성됨에 따라 공기 유동로를 통해 빠져나온 세척실의 공기가 고압 세척기의 후방으로 배출되어 작업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의 패킹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에서 공기 배출홈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세척기에 적용되는 세척 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세척기에 적용되는 비드 호스와 에어 호스의 끝단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세척기에 적용되는 비드 호스와 에어 호스의 끝단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세척기의 패킹구조는, 도 2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세척실(110)이 형성되고 하부에 기계실(120)이 형성되는 본체(100)와, 세척실(110)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본체(100)에 설치되는 상부 커버(150)를 포함하는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부 커버(150)의 가장자리와 본체(100)가 접촉되는 부분이 다단으로 절곡된 계단 형상부로 형성되고, 계단 형상부의 하부에 패킹용 실 부재(160)(17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커버(150)는 전면에 세척실(110) 내부의 세척 장갑(152)에 이어지는 손 투입구(151)가 구비되고 상면에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155)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부 커버(150)를 닫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손 투입구(151)를 통해 손을 투입하여 세척 장갑(152)을 착용하고, 투시창(155)을 통해 내부를 확인하면서 피세척물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체(100)와 상부 커버(150)의 접촉 부분이 계단 형성부로 이루어짐에 따라, 세척 장갑(152)을 착용한 작업자가 세척실(110)의 피세척물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세척수가 본체(100)와 상부 커버(120) 사이의 틈새로 빠져나와 작업자 또는 고압 세척기의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한 계단 형상부는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 각도로 2회 이상 절곡된 구조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계단 형상부의 하부를 형성하는 본체측은 패킹용 실 부재(160)가 안착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90도 각도로 다섯 번 절곡되고, 계단 형상부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커버측은 두 번 절곡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계단 형상부가 다단 구조를 가짐에 따라 세척실(110)의 세척수가 계단 형상부의 수직벽으로 인해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커버(150)의 하부와 측부에 형성되는 계단 형상부는, 도 4와 같이, 본체(100)에 형성되고 최하단부에 패킹용 실부재(160)가 설치되는 본체 전방측 다단 턱부(106)와, 상부 커버(150)의 하부와 측부에 형성되며 본체 전방측 다단 턱부(106)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하단부가 패킹용 실부재(160)에 접촉되는 커버 전방측 다단 턱부(157)로 이루어지고, 본체 전방측 다단 턱부(106)와 커버 전방측 다단 턱부(157)가 밀착되어 세척수가 배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패킹용 실부재(160)는 상부 커버(150)의 하부와 측부에 밀착되도록 대략 'ㄷ' 형상으로 형성되며,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이와 같이, 상부 커버(150)의 하부와 측부에 형성된 계단 형상부에서는 본체 전방측 다단 턱부(106)와 커버 전방측 다단 턱부(157)가 밀착되고 커버 전방측 다단 턱부(157)의 하단부가 패킹용 실부재(160)에 접촉됨에 따라, 세척실(110) 내부의 공기 또는 세척수가 고압 세척기의 전방이나 측부로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따라서, 고압 세척기의 전방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피해를 입지 않게 되고 고압 세척기의 주변이 오염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부 커버(150)의 상측 하부에 형성되는 계단 형상부는, 도 5와 같이, 본체(100)의 후단 상측에 형성되고 최하단부에 일자 형상의 패킹용 실부재(170)가 설치되는 본체 후단측 다단 턱부(105)와, 상부 커버(150)의 후단 하측에 형성되며 본체 후단측 다단 턱부(105)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본체 후단측 다단 턱부(105)와의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 유동로(F)가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커버 후단측 턱부(156)로 이루어지고, 공기 유동로(F)를 통해 세척실(11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 공기가 세척실(110)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공기 유동로(F)에 이어지는 공기 배출홈(158)이 상부 커버(150)의 후단 중앙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부 커버(150)의 상단 하부에서 본체 후단측 다단 턱부(105)와 커버 후단측 턱부(156) 사이에 공기 유동로(F)가 형성됨에 따라 본체 후단측 다단 턱부(105)와 커버 후단측 턱부(156)에 의해 세척수의 배출이 방지되면서도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공기 유동로(F)를 통해 빠져나온 세척실(110)의 공기가 고압 세척기의 후방으로 배출됨에 따라 습도가 높은 세척실(110)의 공기로 인해 작업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일이 방지된다.
한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된 고압 세척기는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로서, 이에 대한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00)의 세척실(110)에는 고압의 세척수와 함께 물과 글라스 비드가 혼합된 비드혼합물을 분사하여 피세척물을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 노즐(200)이 배치되고, 기계실(120)에는 비드혼합물이 저장되는 비드 탱크(250)와 세척수 펌프(310) 등이 설치되며, 기계실(120)의 전면에는 도어(130)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하부에는 복수의 바퀴(140)가 구비되어 본체(100)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세척수 펌프(310)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수조(3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수조(300)에는 세척수와 함께 계면활성제와 같은 세척에 필요한 여러 가지 화학약품이 저장될 수 있다.
또, 비드 탱크(250)로부터 비드 호스(253)를 통해 공급되는 비드혼합물이 세척 노즐(200)을 통해 분사되도록 세척 노즐(200)에 연결되는 비드 노즐(256)이 구비된다. 비드 노즐(25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세척 노즐(200)의 측부에 연결되어 세척 노즐(200)의 내부를 통과하는 고속 고압의 세척수에 의해 형성되는 음압을 이용하여 비드혼합물이 세척 노즐(200)로 흡입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공기 압축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비드 탱크(250)의 비드혼합물을 세척 노즐(200)로 유입시킬 수 있게 되며, 공기 압축기의 배제를 통한 기계실(120)의 구조 단순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세척 노즐(200)은 세척수 펌프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되는 세척수 호스(315)가 후단부에 연결된 노즐 본체(320)와, 분사되는 세척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노즐 본체(320)의 후방측에 구비된 세척수 밸브(325)와, 노즐 본체(320)로 유입되는 비드혼합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노즐 본체(320)의 측부에 경사지게 연결된 비드 노즐(256)에 구비된 비드 밸브(255)를 포함한다. 따라서, 세척수 밸브(325)와 비드 밸브(255)의 개도를 조절하여 세척수의 양과 비드혼합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비드 탱크(250)에는 물과 글라스 비드가 함께 저장되는데, 비중 차이로 인해 아래쪽에 글라스 비드층(251)이 형성되고 위쪽에 물층(252)이 위치하게 된다. 물론, 글라스 비드층(251)의 글라스 비드 사이의 틈새에 물이 채워짐으로써 비드혼합물을 형성하게 되고, 비드 호스(253)에 음압이 작용할 경우 비드혼합물이 비드 호스(253)로 유입된다. 하지만, 비드 탱크(250)의 내부에 물과 글라스 비드만 있을 경우 비드혼합물의 밀도가 높아져 비드 호스(253)로의 유입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드 탱크(25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비드 호스(253)를 통해 유입되는 비드혼합물의 밀도를 저하시키는 에어 호스(254)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비드 호스(253)에 작용하는 음압에 의해 에어 호스(254)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비드 호스(253)의 하단과 에어 호스(254)의 끝단이 비드 탱크(250)의 하부인 글라스 비드층(251)에 배치된다. 그리고, 비드 호스(253)의 음압이 에어 호스(254)에 작용하도록 비드 호스(253)에 에어 호스(254)의 직관부가 부착되어 일체화된다. 이에 따라, 비드 호스(253)의 하단과 에어 호스(254)의 끝단 사이에 비드혼합물과 공기가 혼합되는 혼합공간(K)이 형성되고, 에어 호스(254)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 비드혼합물의 밀도가 가변된다. 그리고, 비드 호스(253)의 음압에 의해 에어 호스(254)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므로, 별도의 공기 공급수단이 필요하지 않고 에어 호스(254)의 다른 쪽 끝단은 외기에 노출된 상태가 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비드 호스(253)의 절단면은 비드를 빨아들이는 한편 에어 호스(25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비드 탱크(250)의 바닥을 향하되, 비드 호스(254)를 향하여 경사진 단면을 갖는다.
그리고, 에어 호스(254)는 비드 호스(253)를 통해 전달된 음압으로 인해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비드 호스(253)을 통해 비드혼합물과 혼합되어 세척 노즐(200)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그 절단면은 비드 호스(253)의 절단면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즉, 에어 호스(254)는 비드 호스(253)에 부착된 직관의 형태를 가지되, 그 단부가 비드 호스(253)을 향하여 구부러짐으로써 막곡부를 형성한 후 절단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에어 호스(254)의 직관부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막곡부를 통과하면서 자연스러운 유체흐름을 형성하며 비드 호스(253)의 절단면으로 안내된다.
이로써, 도 9에서 보듯이 에어 호스(254)의 절단면과 비드 호스(253)의 절단면 사이에 비드혼합물과 공기가 혼합되는 직각삼각형 형태의 혼합공간(K)이 형성되고, 이 혼합공간(K)으로 인해 비드혼합물의 밀도가 낮아져 비드 호스(253)를 통한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비드 호스(253)의 단부와 에어 호스(254)의 단부가 동일 평면을 형성함으로써 둘 사이에 형성되는 혼합공간(K)은 비드 호스(253)와 에어 호스(254)를 단면하였을 때 직각 삼각형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에어 호스(25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혼합공간(K)에서 비드혼합물에 효율적으로 혼합되어 비드혼합물의 밀도가 낮아지게 되고, 낮은 밀도의 비드혼합물이 비드 호스(253)을 통해 유입되어 세척 노즐(200)을 향해 유동하게 된다.
만약, 비드 호스(253)의 절단면과 에어 호스(254)의 절단면의 높이가 일치하지 않아 직각삼각형 형태의 혼합공간(K)이 형성되지 않게 되면, 비드 호스(253)의 음압이 에어 호스(254)에 제대로 적용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에어 호스(254)를 통해 공기가 충분하게 유입되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비드 호스(253)로 유입되는 비드혼합물의 밀도가 충분하게 낮아지지 않아 세척 노즐(200)을 통해 분사되는 비드혼합물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한 습식 블라스팅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를 이용하여 피세척물을 세척하는 것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체(100)의 상부 커버(150)를 개방하여 세척실(110)에 피세척물을 넣은 후 상부 커버(150)를 닫고, 세척수 펌프(310)를 작동시키면 수조의 물이 세척수 호스(315)를 통해 세척 노즐(200)로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 손 투입구(151)를 통해 손을 투입하여 세척 장갑(152)을 착용하고, 세척 노즐(200)의 노즐 본체(320)를 잡은 상태에서 세척수 밸브(325)를 조작하여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한다.
세척 노즐(200)을 통해 세척수가 분사되면 노즐 본체(320)의 내부에는 고속 고압의 세척수 흐름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노즐 본체(320)의 측부에 경사지게 연결된 비드 노즐(256)에 음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비드 노즐(256)의 비드 밸브(255)를 개방하면 비드 노즐(256)에 연결된 비드 호스(256)에 음압이 작용하게 되고, 그로 인해 비드 탱크(250)의 비드혼합물이 비드 호스(253)로 유입된다. 비드 호스(253)로 유입된 비드혼합물은 비드 노즐(256)을 거쳐 노즐 본체(320)로 빠져나간 후 세척수의 진행방향에 순응하면서 세척수와 함께 세척 노즐(200)로부터 분사된다.
따라서, 세척 장갑(152)을 착용한 작업자가 세척 노즐(200)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와 비드혼합물을 이용하여 피세척물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글라스 비드와 물이 혼합된 비드혼합물이 세척수와 함께 배출됨에 따라 피세척물의 표면이 손상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비드 호스(253)에 작용하는 음압에 의해 비드혼합물이 비드 노즐(256)로 유입될 때 비드혼합물의 밀도가 높으면 비드혼합물이 쉽게 유입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여 비드혼합물의 밀도를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별도의 공기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공급할 수도 있지만, 비드 호스(253)의 측부에 부착된 에어 호스(254)를 이용하면 비드 탱크(250)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즉, 비드 호스(253)에 작용하는 음압이 에어 호스(254)에 영향을 줌으로써 일측 단부가 외기에 노출된 에어 호스(254)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서는 세척수 펌프(310)를 이용하여 세척수를 고속 고압으로 분사함과 아울러 세척수가 고속 고압으로 유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음압을 이용하여 글라스 비드와 물의 혼합물을 흡입함과 동시에 비드 호스(253)에 작용하는 음압으로 외부 공기를 비드 탱크(250)로 유입시켜 혼합물의 밀도를 낮추게 된다. 따라서, 세척수 펌프(310) 이외의 공기 압축기나 공기 공급장치를 생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05 : 본체 후단측 다단 턱부
106 : 본체 전방측 다단 턱부 110 : 세척실
120 : 기계실 130 : 도어
150 : 상부 커버 151 : 손 투입구
152 : 세척 장갑 155 : 투시창
156 : 커버 후단측 턱부 157 : 커버 전방측 다단 턱부
158 : 공기배출홈 160, 170 : 패킹용 실 부재
200: 세척 노즐 250 : 비드 탱크
251 : 글라스 비드층 252 : 물층
253 : 비드 호스 254 : 에어 호스
255 : 비드 밸브 256 : 비드 노즐
300 : 수조 310 : 세척수 펌프
315 : 세척수 호스 320 : 노즐 본체
325 : 세척수 밸브 F : 공기 유동로
K : 혼합공간

Claims (5)

  1. 상부에 세척실이 형성되고 하부에 기계실이 형성되는 본체와, 세척실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는 고압 세척기에 있어서,
    상부 커버의 가장자리와 본체가 접촉되는 부분이 다단으로 절곡된 계단 형상부로 형성되고,
    계단 형상부의 하부에 패킹용 실 부재가 설치되며,
    상부 커버의 상측 하부 가장자리와 본체가 접촉되는 부분의 계단 형상부는, 본체의 후단 상측에 형성되고 최하단부에 패킹용 실부재가 설치되는 본체 후단측 다단 턱부와, 상부 커버의 후단 하측에 형성되며 본체 후단측 다단 턱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본체 후단측 다단 턱부와의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 유동로가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커버 후단측 턱부로 이루어지고, 공기 유동로를 통해 세척실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 공기가 세척실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세척기의 패킹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계단 형상부는 90도 각도로 2회 이상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세척기의 패킹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 커버의 하부 및 측부 가장자리와 본체가 접촉되는 부분의 계단 형상부는, 본체에 형성되고 최하단부에 패킹용 실부재가 설치되는 본체 전방측 다단 턱부와, 상부 커버의 하부와 측부에 형성되며 본체 전방측 다단 턱부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하단부가 패킹용 실부재에 접촉되는 커버 전방측 다단 턱부로 이루어지고, 본체 전방측 다단 턱부와 커버 전방측 다단 턱부가 밀착되어 세척수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세척기의 패킹구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공기 유동로에 이어지는 공기 배출홈이 상부 커버의 후단 중앙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세척기의 패킹구조.
KR1020180030912A 2018-03-16 2018-03-16 고압 세척장비의 패킹구조 KR101994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912A KR101994885B1 (ko) 2018-03-16 2018-03-16 고압 세척장비의 패킹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912A KR101994885B1 (ko) 2018-03-16 2018-03-16 고압 세척장비의 패킹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885B1 true KR101994885B1 (ko) 2019-07-01

Family

ID=67255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912A KR101994885B1 (ko) 2018-03-16 2018-03-16 고압 세척장비의 패킹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885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2852A (ja) * 2010-03-05 2011-09-22 Panasonic Corp 食器洗い機
JP2012217924A (ja) * 2011-04-08 2012-11-12 Miura Co Ltd 洗浄装置
KR20140005851A (ko) * 2010-08-02 2014-01-15 엔씨에이취 코오포레이션 부품 세척기
KR20160105475A (ko) * 2013-12-31 2016-09-06 닝보 포타일 키친 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싱크대형 세척기
US20160288125A1 (en) * 2015-03-31 2016-10-06 Pentair Flow Technologies, Llc Closed System Chemical Handling and Delivery System and Method
KR101672323B1 (ko) * 2015-05-29 2016-11-03 김성환 다기능 행주탈수기
KR20160141521A (ko) 2015-06-01 2016-12-09 천정민 습식 샌드블라스팅 겸용 세척장치 및 방법
DE102015007987A1 (de) * 2015-06-22 2016-12-22 Sandra Sick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Innenreinigung von technischen Geräten
KR20170005958A (ko) 2015-07-06 2017-01-17 주식회사 엘엔케이시설물 베이킹소다를 포함하는 습식 블라스트 공법을 이용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20170055079A (ko) * 2015-11-10 2017-05-19 (주)리큅 밀폐용기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2852A (ja) * 2010-03-05 2011-09-22 Panasonic Corp 食器洗い機
KR20140005851A (ko) * 2010-08-02 2014-01-15 엔씨에이취 코오포레이션 부품 세척기
JP2012217924A (ja) * 2011-04-08 2012-11-12 Miura Co Ltd 洗浄装置
KR20160105475A (ko) * 2013-12-31 2016-09-06 닝보 포타일 키친 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싱크대형 세척기
US20160288125A1 (en) * 2015-03-31 2016-10-06 Pentair Flow Technologies, Llc Closed System Chemical Handling and Delivery System and Method
KR101672323B1 (ko) * 2015-05-29 2016-11-03 김성환 다기능 행주탈수기
KR20160141521A (ko) 2015-06-01 2016-12-09 천정민 습식 샌드블라스팅 겸용 세척장치 및 방법
DE102015007987A1 (de) * 2015-06-22 2016-12-22 Sandra Sick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Innenreinigung von technischen Geräten
KR20170005958A (ko) 2015-07-06 2017-01-17 주식회사 엘엔케이시설물 베이킹소다를 포함하는 습식 블라스트 공법을 이용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20170055079A (ko) * 2015-11-10 2017-05-19 (주)리큅 밀폐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352B1 (ko) 건식 클리닝 하우징, 건식 클리닝 장치 및 건식 클리닝 방법
JP2018511387A (ja) 真空掃除機とベースステーションを含むシステム、真空掃除機、ベースステーション、および真空掃除機の集塵室を空にする方法
KR101994885B1 (ko) 고압 세척장비의 패킹구조
KR20180042594A (ko) 에어 송풍기능을 갖는 잔수 흡입 장치
KR102068590B1 (ko) 습식 블라스트 방식 고압 세척기
KR101951624B1 (ko)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
CA2661375A1 (en) Cleaning device including a flood chamber
KR102144988B1 (ko) 대형 챔버 또는 선박의 블라스팅 작업이 용이한 블라스터
CN106863143A (zh) 一种射流抛光自清洗装置
US49188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furbishing golf clubs
JP6842859B2 (ja) ドレッシング装置、研磨装置、ホルダー、ハウジング及びドレッシング方法
US6089956A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abrasive blasting of workpieces
JPH0524450Y2 (ko)
JP3210757U (ja) 湿式クリーナーの吸引ヘッド
JP6720731B2 (ja) ショットブラスト装置
KR101756865B1 (ko) 장갑용 코팅분말 세척장치
JP2020015169A (ja) 金型洗浄装置、及び、金型洗浄方法
US2042120A (en) Sandblast device
KR101698676B1 (ko) 챔버용 잔류가스 배기 후드장치
KR101505167B1 (ko) 글라스 세척노즐장치
JP4707820B2 (ja) ブラスト加工装置
US20150208740A1 (en) Elastomeric adapter cuff
RU2807490C2 (ru) Машина для очистки и гравировки поверхностей струйно-вакуумным способом
EP3221086B1 (en) Apparatus for the erosion of articles of material aggregate compact
JPH07180027A (ja) 真空成膜装置用シール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