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988B1 - 대형 챔버 또는 선박의 블라스팅 작업이 용이한 블라스터 - Google Patents

대형 챔버 또는 선박의 블라스팅 작업이 용이한 블라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988B1
KR102144988B1 KR1020200009177A KR20200009177A KR102144988B1 KR 102144988 B1 KR102144988 B1 KR 102144988B1 KR 1020200009177 A KR1020200009177 A KR 1020200009177A KR 20200009177 A KR20200009177 A KR 20200009177A KR 102144988 B1 KR102144988 B1 KR 102144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ip
blaster
chamber
larg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경
Original Assignee
삼성티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티앤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티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9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9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0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 B24C1/08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for polishing surfaces, e.g. smoothing a surface by making use of liquid-borne abrasives
    • B24C1/086Descaling; Removing coatin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B24C3/06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movable; portable
    • B24C3/065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movable; portable with suction means for the abrasive and the was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 B24C9/003Removing abrasive powder out of the blasting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9/00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 B60B19/12Roller-type wheels
    • B60B19/125Roller-type wheels with helical projections on radial outer surface translating rotation of wheel into movement along the direction of the wheel ax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이나 대형 챔버의 표면을 연마하거나, 선박이나 대형 챔버의 표면이 부식하여 녹이 할 때 이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블라스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블라스터는 챔버의 표면을 향하는 전면이 개구되어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측면을 따라 일정각도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다리프레임과, 상기 다리프레임의 끝단부에 선박이나 대형 챔버의 표면에 접촉되어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가 구성되어 있되, 상기 몸체의 후면에는 몸체의 내부공간으로 공기나 쇼트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몸체를 관통하도록 분사노즐이 체결되어 있어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공기 또는 쇼트볼을 분사함으로써 선박이나 대형 챔버의 표면의 녹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특징인 대형 챔버 또는 선박의 블라스팅 작업이 용이한 블라스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블라스터는 장치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고장이 적으며, 비교적 가볍고 충격에 대한 완충효과가 뛰어나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선박이나 대형 챔버의 표면에 직접 대고 작업하는 동시에 분진을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작업자의 작업환경이 개선된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형 챔버 또는 선박의 블라스팅 작업이 용이한 블라스터{Blaster with easy blasting work of large chamber or ship}
본 발명은 공기나 모래 또는 금속재질의 구슬(쇼트볼)을 강하게 부딪히도록 하여 작업이 끝난 선박이나 대형 챔버의 표면을 연마하거나, 사용하던 선박이나 대형 챔버의 표면이 부식하여 녹이 할 때 이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블라스터에 관한 것이다.
블라스터는 또는 블래스터는 공기나 모래 또는 금속재질의 구슬(쇼트볼)을 강하게 부딪히도록 하여 작업이 끝난 선박이나 대형 챔버의 표면을 연마하거나, 사용하던 선박이나 대형 챔버의 표면이 부식하여 녹이 할 때 이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구의 일종이다.
이러한 블라스터 관련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11691호에 쇼트볼을 저장하는 블라스트 탱크(100)와, 상기 블라스트 탱크(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블라스트 탱크(100)로부터 공급되는 쇼트볼과 컴프레셔(C)로 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혼합하는 혼합수단(200)과, 상기 혼합수단(200)에서 혼합된 에어와 쇼트볼의 혼합물을 피가공물에 분사하여 피가공물의 표면을 연마하고 분사된 쇼트볼과 연마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회수하는 블라스팅 건(300)과, 상기 블라스트 탱크(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블라스팅 건(300)을 통해 흡입되는 쇼트볼과 분진의 혼합물을 분리하는 1차 사이클론(400)과, 상기 1차 사이클론(400)에 연결되어 분진을 포집하는 2차 사이클론(500)과, 상기 2차 사이클론(500)에 연결되어 에어에 포함된 미세분진을 여과하는 백필터(610)를 포함하는 백필터 탱크(600)와, 상기 백필터 탱크(600)에 연결되는 루츠 블로어(7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블라스터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102060호에 발판(70)의 조작으로 공기압축기(1)의 압축공기와, 모래저장탱크(20)의 모래를 분사기(13)를 통해 작업실(10)로 분사시킴으로써 제품의 제작을 이루며, 분사기(13)를 통해 분사되어 작업실에 깔린 모래는 개폐기(30)의 조작을 통해 모래저장탱크(20)로 재 저장되도록 구성된 블라스터기(100); 제1연결관(211)을 통하여 상기 블라스터기(100)의 작업실(10)에 연결됨으로써 혼합공기에 포함된 모래를 걸러내는 분리부(210)와, 체결수단(230)에 의해 상기 분리부(210)의 하측에 탈부착되는 모래받이(220)로 구성된 사이클론(200); 제2연결관(311)을 통하여 상기 사이클론(200)에 연결됨으로써 혼합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수거하는 집진장치(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블라스터기(100)는, 밀폐처리된 손투입구(11)와 투명창(12)이 형성되고, 분사기(13)가 구성되며, 상광하협의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분사기(13)를 통해 분사된 모래를 모으는 수거부(14)를 구성한 작업실(10); 개폐작용을 통하여 작업실(10)의 수거부(14)에 모인 모래를 모래저장탱크(20)로 저장하고, 모래저장탱크(20)를 밀폐구성하는 개폐기(30); 공기압축기(1)를 통해 공급받은 압축공기를 제습하는 제습기(40); 상기 제습기(40)를 거친 압축공기를 분배하여 공급하며, 개폐기(30)를 개폐하는 작동레버(51)가 구성된 분배기(50); 상기 작동레버(51)의 조작에 따라 개폐기(30)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개폐기(30)와 분배기(50) 사이에 연결구성된 제1분기라인(60); 상기 모래저장탱크(20)의 하부에 구성되어 발판(70)으로 공급되는 모래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개폐밸브(81)가 구성된 혼합부(80); 상기 분배기(40)와 분사기(13) 사이에 연결구성되어 발판(70)의 조작에 따라 압축공기를 혼합부(80)와 발판(70)을 거쳐 분사기(13)로 공급하는 제2분기라인(91)과, 상기 제2분기라인(91)에서 분기되어 모래저장탱크(20)로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모래저장탱크(20)에 저장된 모래를 혼합부(80)로 이동시키는 제3분기라인(92)으로 구성되어 모래가 혼합된 압축공기를 분사기(13)를 통해 작업실(10) 내부로 분사하도록 하는 분기라인부(9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샌드 블라스터 시스템이 등록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453075호에 공기를 저장하기 위한 에어 탱크와; 상기 에어 탱크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에어 탱크의 외부로부터 상기 에어 탱크 내부로 일 단이 연장된 에어 공급관과; 상기 에어 공급관의 타 단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 공급관으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게 상기 에어 공급관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유닛과; 상기 에어 공급관의 일 단과 상기 에어 탱크의 일 측에 구비된 플랜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유닛의 작동에 따라 상기 에어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를 상기 에어 탱크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상기 에어 탱크에 저장된 고압의 공기를 상기 에어탱크 외부로 배출시키는 개폐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에어 공급관의 유로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에어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는 실린더유닛과; 상기 밸브유닛의 작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유닛의 내부에서 상기 실린더유닛을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에어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를 상기 실린더유닛을 거쳐 상기 에어 탱크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1유로를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에어 탱크 내부에 저장된 공기를 상기 실린더유닛을 거쳐 상기 에어 탱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2유로를 폐쇄하는 제1동작을 수행하거나, 상기 제1유로를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제2유로를 개방하는 제2동작을 수행하는 피스톤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실린더유닛은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제1중공부가 내부에 마련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중공부와 상기 에어탱크를 연통시키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의 하부에 상기 제1중공부와 연통되는 제2중공부가 내부에 마련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2중공부와 상기 에어 탱크를 연통시키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제2실린더와, 상기 공기유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제1실린더 내부의 압력에 따라 상기 공기유입구를 개폐하는 역류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유닛은 상기 제1실린더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고 상기 제1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중공부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제1헤드와, 제2실린더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고 상기 제2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중공부를 따라 이동하는 제2헤드와, 상기 제1헤드와 상기 제2헤드를 연동시키도록 상기 제1헤드와 제2헤드를 연결하는 로드와, 상기 제1실린더와 상기 제2실린더를 구획하도록 형성된 격벽과 상기 제1헤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헤드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블라스터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블라스터들은 대부분 물체의 표면에 떨어져서 쇼트볼을 분사하기 때문에 분진발생이 많아 작업환경이 좋지 않으며, 또는 장치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이 용이하지 않으며, 고장이 잦거나, 대형이기 때문에 사용여건이 좋지 않다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장치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물체의 표면에 직접 대고 작업하는 동시에 분진을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블라스터를 공급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선박이나 대형 챔버(200)의 표면을 연마 또는 부식된 표면층을 제거하는 블라스터는 선박이나 대형 챔버(200)의 표면을 향하는 전면이 개구되어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측면을 따라 일정각도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다리프레임과, 상기 다리프레임의 끝단부에 선박이나 대형 챔버(200)의 표면에 접촉되어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가 구성되어 있되, 상기 몸체의 후면에는 몸체의 내부공간으로 공기나 쇼트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몸체를 관통하도록 분사노즐이 체결되어 있어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공기 또는 쇼트볼을 분사함으로써 선박이나 대형 챔버(200)의 표면의 녹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 블라스터는 장치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고장이 적으며, 비교적 가볍고 충격에 대한 완충효과가 뛰어나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선박이나 대형 챔버(200)의 표면에 직접 대고 작업하는 동시에 분진을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작업자의 작업환경이 개선된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블라스터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블라스터를 이용한 작업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블라스터의 바퀴 사진.
도 4는 본 발명 블라스터의 바퀴를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사진.
본 발명은 선박이나 대형 챔버(200)의 표면을 연마 또는 부식된 표면층을 제거하는 블라스터에 있어서, 상기 블라스터(100)는 선박이나 대형 챔버(200)의 표면을 향하는 전면이 개구되어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외측면을 따라 일정각도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다리프레임(120)과, 상기 다리프레임(120)의 끝단부에 선박이나 대형 챔버(200)의 표면에 접촉되어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140)가 구성되어 있되, 상기 몸체(110)의 후면에는 몸체(110)의 내부공간으로 공기나 쇼트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몸체(110)를 관통하도록 분사노즐(130)이 체결되어 있어 상기 분사노즐(130)로부터 공기 또는 쇼트볼을 분사함으로써 선박이나 대형 챔버(200)의 표면의 녹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몸체(110)의 측면에는 외부로 관통되는 배출구(112-1)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12-1)에는 분사노즐(130)에 의해 선박 또는 챔버(200)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나 분진이 이동하는 호스(150)가 연결되며, 상기 호스(150)의 끝단부에는 이물질이나 분진이 집진되는 집진탱크(160)가 장착되어 있되, 상기 집진탱크(160)에는 이물질이나 분진의 흡입이 용이하도록 임펠러(161)가 장착되어 있어 분사노즐(130)로부터 공기 또는 소트볼을 분사하게 되면 선반 또는 챔버(200)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나 분진은 배출구(112-1)에 연결된 호스(150)를 통해 집진탱크(1600에 집된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몸체(110)는 외부몸체(112)와 내부몸체(111)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내부몸체(111)의 측면에는 내부몸체(111)와 외부몸체(112)의 이중구조로 인해 형성된 공간부로 연통되는 연통구(111-1)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몸체(112)의 측면에는 외부로 관통되는 배출구(112-1)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내부몸체(111)와 외부몸체(11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진공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내부몸체(111)의 내부에 발생된 분진이나 이물질이 연통구(1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더욱 용이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다리프레임(120)은 ㄱ’자 형상의 1차 프레임(121)의 일단이 선박이나 챔버(200)를 향하도록 몸체(110)의 외부 측면에 체결되고, 상기 1차 프레임(121)의 타단에는 일단에 바퀴(140)가 장착된 2차 프레임(122)이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2차 프레임(122)에는 1차 프레임(121)과 힌지결합된 힌지축(126)보다 몸체(110) 측으로 3차 프레임(123)이 더 돌출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후단 측면에는 지지브래킷(124)이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3차 프레임(123)과 지지브래킷(124) 간에는 스프링(125)의 양단이 체결되어 있어 몸체(110)가 선박이나 표면을 따라 이동시 다리프레임(120)의 2차 프레임(122)이 시소운동을 함으로써 선박이나 표면의 곡면형상에도 유연하게 이동하거나 또는 블라스팅 작업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바퀴(140)에는 자석(141)이 장착되어 있어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선박 또는 챔버(200)의 표면상에 달라붙어 이동이 용이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바퀴(140)는 일면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원판 프레임(142)과,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원판 프레임(142) 사이에는 롤러 형상으로 제작된 복수 개의 자석(141)이 원판 프레임(142)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원판 프레임(142)은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롤러 형상의 자석(141)은 구름운동을 하도록 원판 프레임(142)의 톱니 형상의 꼭지지점에 양단이 체결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원판 프레임(142)은 톱니가 일방향으로만 경사지게 형성되어 한 쌍의 원판 프레임(142)이 서로 경사면이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마주보고 있어 상기 롤러 형상의 자석(141)은 사선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롤러 형상의 자석(141)은 양단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바퀴(140)는 상하좌우 및 경사방향으로도 자유롭게 이동이 용이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개구부 측에는 몸체(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단이 선박이나 챔버(200)의 표면에 접촉되는 패킹부재(170)가 장착되어 있어 몸체(110)의 내부에서 발생된 이물질이나 분진은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 블라스터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블라스터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블라스터를 이용한 작업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블라스터의 바퀴 사진, 도 4는 본 발명 블라스터의 바퀴를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사진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이나 대형 챔버(200)의 표면을 연마 또는 부식된 표면층을 제거하는 블라스터(100)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블라스터(100)는 선박이나 대형 챔버(200)의 표면을 향하는 전면이 개구되어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외측면을 따라 일정각도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다리프레임(120)과, 상기 다리프레임(120)의 끝단부에 선박이나 대형 챔버(200)의 표면에 접촉되어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140)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후면에는 몸체(110)의 내부공간으로 공기나 쇼트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몸체(110)를 관통하도록 분사노즐(130)이 체결되어 있다.
상기 분사노즐(130)부터는 관용의 공기 또는 쇼트볼이 분사되기에 선박이나 대형 챔버(200)의 표면의 녹이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물과 같은 액체를 분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측면에는 외부로 관통되는 배출구(11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112-1)에는 분사노즐(130)에 의해 선박 또는 챔버(200)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나 분진이 이동하는 호스(150)가 연결된다.
상기 호스(150)의 끝단부에는 이물질이나 분진이 집진되는 집진탱크(16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집진탱크(160)에는 이물질이나 분진의 흡입이 용이하도록 임펠러(도면부호 미도시)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분사노즐(130)로부터 공기 또는 소트볼을 분사하게 되면 선반 또는 챔버(200)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나 분진은 배출구(112-1)에 연결된 호스(150)를 통해 집진탱크(160)에 집된되는 것이 특징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스(150)는 일명 석션 호스(Suction Hose)로서 압력이 7∼8kg/cm2 인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임펠러는 이물질이나 분지의 흡입식 와류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몸체(110)는 외부몸체(112)와 내부몸체(111)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내부몸체(111)의 측면에는 내부몸체(111)와 외부몸체(112)의 이중구조로 인해 형성된 공간부로 연통되는 연통구(111-1)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몸체(112)의 측면에는 외부로 관통되는 배출구(112-1)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상기 내부몸체(111)와 외부몸체(11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진공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내부몸체(111)의 내부에 발생된 분진이나 이물질이 연통구(1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더욱 용이하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 다리프레임(120)은 ‘ㄱ’자 형상의 1차 프레임(121)의 일단이 선박이나 챔버(200)를 향하도록 몸체(110)의 외부 측면에 체결되고, 상기 1차 프레임(121)의 타단에는 일단에 바퀴(140)가 장착된 2차 프레임(122)이 힌지 결합되어 있도록 하였다.
상기 2차 프레임(122)에는 1차 프레임(121)과 힌지결합된 힌지축(126)보다 몸체(110) 측으로 3차 프레임(123)이 더 돌출형성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몸체(110)의 후단 측면에는 지지브래킷(124)이 돌출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 3차 프레임(123)과 지지브래킷(124) 간에는 스프링(125)의 양단이 체결되도록 하였다.
이에, 몸체(110)가 선박이나 표면을 따라 이동시 다리프레임(120)의 2차 프레임(122)이 시소운동을 함으로써 선박이나 표면의 곡면형상에도 유연하게 이동하거나 또는 블라스팅 작업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블라스터(100)가 곡면진 챔버(200)의 표면을 이동하더라도 스프링(125)에 의해 밸런스가 잘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바퀴(140)에는 자석(141)이 장착되어 있어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선박 또는 챔버(200)의 표면상에 달라붙어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상기 바퀴(140)는 일면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원판 프레임(142)과,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원판 프레임(142) 사이에는 롤러 형상으로 제작된 복수 개의 자석(141)이 원판 프레임(142)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장착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원판 프레임(142)은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롤러 형상의 자석(141)은 구름운동을 하도록 원판 프레임(142)의 톱니 형상의 꼭지지점에 양단이 체결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상기 원판 프레임(142)은 톱니가 일방향으로만 경사지게 형성되어 한 쌍의 원판 프레임(142)이 서로 경사면이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마주보고 있어 상기 롤러 형상의 자석(141)은 사선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도록 하였다.
상기 롤러 형상의 자석(141)은 양단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바퀴(140)는 상하좌우 및 경사방향으로도 자유롭게 이동이 더욱더 용이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몸체(110)의 개구부 측에는 몸체(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단이 선박이나 챔버(200)의 표면에 접촉되는 패킹부재(170)를 장착함으로써 몸체(110)의 내부에서 발생된 이물질이나 분진은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 패킹부재(170)는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개구부 측의 패킹부재(170)의 내측 또는 외측에 링 형상의 브러쉬(도면 미도시)를 장착함으로써 선박이나 챔버(200)의 표면에 달라붙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이 더욱 용이할 것이다.
본 발명 블라스터는 장치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고장이 적으며, 비교적 가볍고 충격에 대한 완충효과가 뛰어나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선박이나 대형 챔버(200)의 표면에 직접 대고 작업하는 동시에 분진을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작업자의 작업환경이 개선된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블라스터
110. 몸체 111. 내부몸체 111-1. 연통구
112. 외부몸체 112-1. 배출구
120. 다리프레임 121. 1차 프레임 122. 2차 프레임
123. 3차 프레임 124. 지지브래킷 125. 스프링
126. 힌지축
130. 분사노즐
140. 바퀴 141. 자석 142. 원판 프레임
150. 호스
160. 집진탱크
170. 패킹
180. 브러쉬
200. 챔버(200)

Claims (6)

  1. 선박이나 대형 챔버(200)의 표면을 연마 또는 부식된 표면층을 제거하기 위하여 선박이나 대형 챔버(200)의 표면을 향하는 전면이 개구되어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외측면을 따라 일정각도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다리프레임(120)과, 상기 다리프레임(120)의 끝단부에 선박이나 대형 챔버(200)의 표면에 접촉되어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140)가 구성되어 있되, 상기 몸체(110)의 후면에는 몸체(110)의 내부공간으로 공기나 쇼트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몸체(110)를 관통하도록 분사노즐(130)이 체결되어 있어 상기 분사노즐(130)로부터 공기 또는 쇼트볼을 분사함으로써 선박이나 대형 챔버(200)의 표면의 녹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대형 챔버 또는 선박의 블라스팅 작업이 용이한 블라스터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측면에는 외부로 관통되는 배출구(112-1)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12-1)에는 분사노즐(130)에 의해 선박 또는 챔버(200)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나 분진이 이동하는 호스(150)가 연결되며, 상기 호스(150)의 끝단부에는 이물질이나 분진이 집진되는 집진탱크(160)가 장착되어 있되, 상기 집진탱크(160)에는 이물질이나 분진의 흡입이 용이하도록 임펠러(161)가 장착되어 있어 분사노즐(130)로부터 공기 또는 쇼트볼을 분사하게 되면 선반 또는 챔버(200)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나 분진은 배출구(112-1)에 연결된 호스(150)를 통해 집진탱크(1600에 집된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110)는 외부몸체(112)와 내부몸체(111)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내부몸체(111)의 측면에는 내부몸체(111)와 외부몸체(112)의 이중구조로 인해 형성된 공간부로 연통되는 연통구(111-1)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몸체(112)의 측면에는 외부로 관통되는 배출구(112-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내부몸체(111)와 외부몸체(11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진공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내부몸체(111)의 내부에 발생된 분진이나 이물질이 연통구(1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다리프레임(120)은 ㄱ’자 형상의 1차 프레임(121)의 일단이 선박이나 챔버(200)를 향하도록 몸체(110)의 외부 측면에 체결되고, 상기 1차 프레임(121)의 타단에는 일단에 바퀴(140)가 장착된 2차 프레임(122)이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2차 프레임(122)에는 1차 프레임(121)과 힌지결합된 힌지축(126)보다 몸체(110) 측으로 3차 프레임(123)이 더 돌출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후단 측면에는 지지브래킷(124)이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3차 프레임(123)과 지지브래킷(124) 간에는 스프링(125)의 양단이 체결되어 있어 몸체(110)가 선박이나 표면을 따라 이동시 다리프레임(120)의 2차 프레임(122)이 시소운동을 함으로써 선박이나 표면의 곡면형상에도 유연하게 이동하거나 또는 블라스팅 작업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상기 바퀴(140)에는 자석(141)이 장착되어 있어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선박 또는 챔버(200)의 표면상에 달라붙어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바퀴(140)는 일면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원판 프레임(142)과,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원판 프레임(142) 사이에는 롤러 형상으로 제작된 복수 개의 자석(141)이 원판 프레임(142)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장착되어 있되, 상기 원판 프레임(142)은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롤러 형상의 자석(141)은 구름운동을 하도록 원판 프레임(142)의 톱니 형상의 꼭지지점에 양단이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원판 프레임(142)은 톱니가 일방향으로만 경사지게 형성되어 한 쌍의 원판 프레임(142)이 서로 경사면이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마주보고 있어 상기 롤러 형상의 자석(141)은 사선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 형상의 자석(141)은 양단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바퀴(140)는 상하좌우 및 경사방향으로도 자유롭게 이동이 용이하며,
    상기 몸체(110)의 개구부 측에는 몸체(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단이 선박이나 챔버(200)의 표면에 접촉되는 패킹부재(170)가 장착되어 있어 몸체(110)의 내부에서 발생된 이물질이나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대형 챔버 또는 선박의 블라스팅 작업이 용이한 블라스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09177A 2020-01-23 2020-01-23 대형 챔버 또는 선박의 블라스팅 작업이 용이한 블라스터 KR102144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177A KR102144988B1 (ko) 2020-01-23 2020-01-23 대형 챔버 또는 선박의 블라스팅 작업이 용이한 블라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177A KR102144988B1 (ko) 2020-01-23 2020-01-23 대형 챔버 또는 선박의 블라스팅 작업이 용이한 블라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988B1 true KR102144988B1 (ko) 2020-08-19

Family

ID=72265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177A KR102144988B1 (ko) 2020-01-23 2020-01-23 대형 챔버 또는 선박의 블라스팅 작업이 용이한 블라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9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513B1 (ko) * 2022-12-07 2023-06-28 김재성 헤드분리형 블라스팅 장치
KR102548514B1 (ko) * 2022-12-07 2023-06-28 김재성 작업성이 향상된 블라스팅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9590A (en) * 1995-10-13 1998-01-20 Ltc Americas Inc. Pressure-balanced vacuum blast head
JPH1177543A (ja) * 1997-09-04 1999-03-23 Mitsubishi Heavy Ind Ltd 大型構造物の壁面素地調整装置
KR20100038579A (ko) * 2008-10-06 2010-04-1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이동식 블라스팅 장치
KR101259494B1 (ko) * 2012-11-09 2013-05-06 주식회사 엔티리서치 파이프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로봇과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9590A (en) * 1995-10-13 1998-01-20 Ltc Americas Inc. Pressure-balanced vacuum blast head
JPH1177543A (ja) * 1997-09-04 1999-03-23 Mitsubishi Heavy Ind Ltd 大型構造物の壁面素地調整装置
KR20100038579A (ko) * 2008-10-06 2010-04-1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이동식 블라스팅 장치
KR101259494B1 (ko) * 2012-11-09 2013-05-06 주식회사 엔티리서치 파이프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로봇과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513B1 (ko) * 2022-12-07 2023-06-28 김재성 헤드분리형 블라스팅 장치
KR102548514B1 (ko) * 2022-12-07 2023-06-28 김재성 작업성이 향상된 블라스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4988B1 (ko) 대형 챔버 또는 선박의 블라스팅 작업이 용이한 블라스터
US2455514A (en) Surface treating method and apparatus
CA1088752A (en) Abrading device
US11344996B2 (en) Surface cleaning and engraving machine via a vacuum blasting process
KR101102060B1 (ko) 샌드 블라스터 시스템
JP5138196B2 (ja) アスベスト除去方法
AU2010325762B2 (en) Abrasive blasting
CN217072033U (zh) 一种用于构件除锈的移动式喷砂机
CN110900406A (zh) 一种金属材料用除锈设备
CN109454565A (zh) 一种用于机械铸件表面处理的抛丸装置
JP3513510B1 (ja) ドライブラスト装置
CN210099773U (zh) 一种用于工件表面微研磨与抛光的气动喷砂机
CN202607502U (zh) 一种喷丸抛光机
CN209648464U (zh) 一种车身打磨吸尘装置
KR102092086B1 (ko) 에어 블라스트 머신
CN208854454U (zh) 一种水雾环保喷砂枪及设备
CN213258951U (zh) 一种双管式干冰清洗机
JP3174689B2 (ja) ブラスト処理用ヘッド
KR200175213Y1 (ko) 에어 인젝터장치
KR102544873B1 (ko) 정전시 추락방지를 위한 진공압을 보상하는 블라스트머신
GB6171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nd blasting
CN102672623A (zh) 一种喷丸抛光机
CN217914815U (zh) 一种无尘水砂喷砂机
CN215547921U (zh) 一种便于清理的低噪自动喷砂机
WO2017039557A1 (en) Dental wet sandblas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