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117A - 차폐 케이블용 단자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폐 케이블용 단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117A
KR20190005117A KR1020180076223A KR20180076223A KR20190005117A KR 20190005117 A KR20190005117 A KR 20190005117A KR 1020180076223 A KR1020180076223 A KR 1020180076223A KR 20180076223 A KR20180076223 A KR 20180076223A KR 20190005117 A KR20190005117 A KR 20190005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ule
terminal assembly
circumferential
circumferential grooves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6208B1 (ko
Inventor
니콜라스 에이. 더스
토마스 에스. 후다
Original Assignee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05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9Threaded ferrule or bolt operat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able or wi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단자 조립체(10)는 내부 도체(14), 내부 도체(14)를 둘러싸는 내부 절연체(16), 내부 절연체(16)를 둘러싸는 외부 도체(18) 및 외부 도체(18)를 둘러싸는 외부 절연체(20)를 갖는 차폐 케이블(12)을 종결하도록 구성된다. 이 단자 조립체(10)는 소성 도전성 재료, 즉 응력이 제거된 후에 변형되는 재료, 로 형성된 대체로 원통형인 외부 페룰(32) 및 탄성 유전체 재료, 즉 응력이 제거된 후에 회복하는 재료, 로 형성된 대체로 원통형인 내부 페룰(222)을 포함하고, 내부 페룰은 그 외부 표면(226)에 형성된 복수의 원주방향 홈(238)을 갖는다. 내부 페룰(222)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 페룰(32) 내에 배치된다. 외부 도체(18)의 일부는 내부 페룰(22)과 외부 페룰(32)의 중간에 배치되고 이와 밀접하게 접촉된다.

Description

차폐 케이블용 단자 조립체{TERMINAL ASSEMBLY FOR SHIELDED CABLE}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원은 2017년 7월 5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528,651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개시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전기적으로 차폐된 와이어 케이블용 단자 조립체, 특히 탄성 압축 가능한 내부 페룰을 갖는 단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차폐 케이블의 브레이드형 차폐부는 크림핑 전에 금속 내부와 외부 페룰 사이에 차폐부의 브레이드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종결된다. 이러한 페룰을 사용하는 단자 조립체의 예가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케이블(112)의 외부 절연부가 브레이드형 차폐부(118)를 노출시키도록 제거되고 차폐부 브레이드가 확개되고 금속제 관형 내부 페룰(122)이 브레이드(118)와 차폐 케이블(112)의 내부 절연부(114) 사이에 배치된다(도 1a 참조). 금속성 튜브형 외부 페룰(132)이 브레이드형 차폐부(118) 및 내부 페룰(122) 위에 배치되고(도 1b 참조), 이후 외부 페룰(132)을 차폐 케이블(112)에 고정하도록 크림핑된다(136)(도 1c 및 도 1d 참조).
외부 페룰(132)의 내부 직경과 내부 페룰(122)의 외부 직경 사이의 차이는 전형적으로 약 1 밀리미터이다. 두꺼운 내부 페룰은 크림핑의 강도를 떨어뜨려 인출력을 감소시키고 차폐부와 외부 페룰 간 전기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얇은 내부 페룰은 크림핑 도중에 파열될 수 있다. 내부 페룰(122)의 파열은 내부 도체(114) 및 브레이드형 차폐부(118)의 바람직하지 않은 전기적 접촉 및 단락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및 외부 페룰 직경은 주의 깊게 정합되어야 하며 상이한 케이블 크기 및 용도에 따라 다른 크기의 내부 및 외부 페룰이 필요하다. 내부 및 외부 페룰은 딥 드로우 스탬핑(deep draw stamping) 또는 기계가공으로 형성되며, 이들 두 제조 방법 모두 비교적 고가이다. 이러한 내부 및 외부 페룰 크기는 서로 다른 차폐 케이블에 따라 단지 조금씩만 다를 수 있으므로 다른 크기의 내부 또는 외부 페룰을 시각적으로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색상 코딩과 같은 마킹을 적용하면 다양한 페룰들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마킹을 적용하는 것은 페룰 제조 시간 및 비용을 증가시켜 바람직하지 못한 추가적인 제조 프로세스이다. 따라서, 상이한 케이블 크기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페룰 조립체가 요구되고 있다.
배경기술 부분에서 설명된 주제는 배경기술 부분에서 언급되었다는 것의 결과로 종래 기술이라고 가정해서는 안된다. 유사하게, 배경기술 부분에서 언급되거나 배경기술 부분의 주제와 관련된 문제는 종래 기술에서 이전에 인식된 것으로 가정해서는 안된다.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주제는 단순히 다른 접근법을 나타내는 것이며, 그 자체가 발명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기술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금속 내부 및 외부 페룰을 갖는 단자 조립체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측면 사시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외부 페룰 및 탄성 내부 페룰을 갖는 단자 조립체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측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 내지 도 6의 단자 조립체의 내부 페룰의 측면 사시도.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 1a 내지 도 1d의 단자 조립체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 내지 도 6의 단자 조립체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원주방향 홈을 갖는 도 2 내지 도 6의 단자 조립체의 내부 페룰의 측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원주방향 홈 및 원주방향 리지를 갖는 도 2 내지 도 6의 단자 조립체의 내부 페룰의 측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원주방향 홈 및 원주방향 리지를 갖는 도 2 내지 도 6의 단자 조립체의 내부 페룰의 측면 사시도.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원주방향 홈 및 원주방향 리지를 갖는 도 2 내지 도 6의 단자 조립체의 내부 페룰의 측면도.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3a의 내부 페룰의 단면도.
도 1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원주방향 홈 및 원주방향 리지를 갖는 도 2 내지 도 6의 단자 조립체의 내부 페룰의 측면도.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4a의 내부 페룰의 단면도.
도 1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원주방향 홈 및 원주방향 리지를 갖는 도 2 내지 도 6의 단자 조립체의 내부 페룰의 측면도.
도 1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5a의 내부 페룰의 단면도.
도 1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원주방향 홈 및 원주방향 리지를 갖는 도 2 내지 도 6의 단자 조립체의 내부 페룰의 측면도.
도 1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6a의 내부 페룰의 단면도.
도 1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원주방향 홈 및 원주방향 리지를 갖는 도 2 내지 도 6의 단자 조립체의 내부 페룰의 측면도.
도 1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7a의 내부 페룰의 단면도.
도 1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원주방향 홈 및 원주방향 리지를 갖는 도 2 내지 도 6의 단자 조립체의 내부 페룰의 측면도.
도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8a의 내부 페룰의 단면도.
도 1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표면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원주방향 홈과 돌출부를 갖는 도 2 내지 도 6의 단자 조립체의 내부 페룰의 측면도.
도 1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9a의 내부 페룰의 단면도.
이하 첨부 도면에 그 예가 예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제 상세히 참조한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다수의 특정 세부 사항들이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가 이러한 특정 세부 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은 통상의 숙련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방법, 절차, 구성요소, 회로 및 네트워크는 실시예들의 양태를 불필요하게 불명료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본원에서는 내부 도체, 내부 도체를 둘러싸는 내부 절연체, 내부 절연체를 둘러싸는 외부 도체, 및 외부 도체를 둘러싸는 외부 절연체를 갖는 차폐 케이블의 차폐부를 종결하도록 구성된 특징부를 포함하는 단자 조립체가 제공된다. 단자 조립체는 소성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대체로 원통형인 외부 페룰 및 탄성 유전체 재료로 형성된 대체로 원통형인 내부 페룰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소성이라 함은 인가된 응력이 제거된 후 재료의 형상이 영구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말하며, 탄성은 인가된 응력이 제거된 후에 재료가 원래의 크기와 형상을 회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내부 페룰은 차폐 케이블의 단부 부분 위에 배치된다. 외부 절연체의 일부가 제거되고 외부 도체의 노출된 부분이 내부 페룰 위에 배치되고, 그후, 외부 페룰이 내부 페룰 위에 배치된다. 그 다음, 외부 페룰이 단자 조립체를 차폐 케이블에 유지하도록 크림핑되어, 외부 페룰을 소성 변형시키고 내부 페룰을 탄성 변형시킨다. 외부 도체의 노출된 부분은 내부 페룰 및 외부 페룰의 중간에 배치되고 이와 밀접하게 접촉한다.
도면들 및 종래 기술에 대한 설명,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유사한 특징들에 대한 참조 번호는 마지막 두 자리를 공유한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d 및 도 8에 도시된 단자 조립체는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속하지 않지만 이들이 본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하기 때문에 여기에 제공되어 있음을 인지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7은 차폐 케이블(12)의 차폐부를 종결하도록 구성된 단자 조립체(10) 및 이러한 단자 조립체(10)를 형성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 케이블(12)은 금속 코어 와이어를 포함하는 내부 도체(14), 내부 도체(14)를 감싸는 제1 또는 내부 절연체(16), 내부 절연체(16)에 외피를 형성하는 브레이드형 금속 와이어로 형성된 외부 도체(18) 및 외부 도체(18)를 덮는 제2 또는 외부 절연체(20)를 포함한다. 차폐 케이블(12)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내부 직경을 갖는 슬리브형 본체 또는 대체로 원통형인 내부 페룰(22)은 화살표(24)로 도시된 방향으로 차폐 케이블(12)의 단부 부분 위로 미끄러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페룰(22)의 외부 표면(26)은 대체로 균일한 외부 직경을 갖는다. 내부 페룰(22)의 선단 및 후단 에지(28, 30)는 경사질 수 있다. 내부 페룰(22)은 탄성 압축성 유전체 재료로 형성된다. 탄성 압축성 유전체 재료는 실리콘계 재료와 같은 50 내지 80의 쇼어 A 듀로미터 경도를 갖는 엘라스토머 재료이다. 내부 페룰(22)은 단지 외부 도체(18)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외부 도체(18)와 전기적으로 소통할 필요가 없다. 내부 페룰(22)은 사출 성형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내부 페룰(22)은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완전한 원통형 본체로 형성되지만, 내부 페룰은 대안적으로 축방향으로 분할된 한 쌍의 절반 부분을 포함할 수 있거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내부 페룰이 차폐 케이블 상에 조립될 때 완전한 원통형으로 될 수 있고, 내부 페룰을 차폐 케이블에 장착하는 단계를 단순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 도 3을 보면, 차폐 케이블(12)은 외부 절연체(20)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 도체(18)의 브레이드형 와이어를 노출시키도록 제거되도록 한 단부에서 벗겨진다. 그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도체(18)의 브레이드형 와이어는 확개되어 내부 페룰(22) 위로 당겨져서 내부 페룰(22)의 외부 표면(26)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페룰(22) 및 내부 페룰(22)을 감싸고 있는 외부 도체(18)의 브레이드형 와이어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내부 직경을 갖는 다른 슬리브형 본체 또는 대체로 원통형인 외부 페룰(32)이 화살표(24)로 도시된 방향으로 내부 페룰(22)의 적어도 일부 위로 미끄러진다. 외부 페룰(32)은 주석 도금 구리 합금과 같은 도전성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외부 페룰(32)은 딥 드로우 스탬핑 프로세스 또는 기계가공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외부 페룰(32)의 적어도 하나의 개방 단부(34)는 외부 페룰(32)의 내부 직경만큼 큰 개구를 갖는다.
최종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페룰(32)은 크림핑되고, 즉 외부 페룰(32)에 오목부(36)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 외부 페룰(32)을 소성 변형시키고 내부 페룰(22)을 탄성 변형시켜 단자 조립체(10)를 차폐 케이블(12)에 유지하고, 외부 페룰(32) 및 내부 페룰(22)을 그들 사이의 외부 도체(18)와 밀접하게 접촉시킨다. 외부 페룰(32)은 도전성 케이싱과 같은 전기 접지(도시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금속 외부 페룰(132) 및 금속 내부 페룰(122)을 갖는 크림핑된 단자 조립체(110)의 단면의 예를 도시한다. 외부 페룰(132) 및 내부 페룰(122)은 모두 크림핑 프로세스 중에 소성 변형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부 페룰(122)과 외부 페룰(132) 사이에 공극(125)이 존재하여, 이 공극은 단자 조립체(110)를 차폐 케이블로부터 인출하기 위해 필요한 인출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물 및 다른 오염물이 단자 조립체(110)에 진입하여 외부 도체(118)와 외부 페룰(132) 사이의 전기 저항을 증가시키고 인출력을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는 부식을 유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외부 페룰(132)과 접촉하지 않는 외부 도체(118)의 브레이드형 와이어의 다수의 스트랜드가 있으며, 이는 외부 도체(118)와 외부 페룰(132) 사이의 전기 저항을 추가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되고 위에서 설명한 단자 조립체(10)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단자 조립체(10)와는 대조적으로, 공극의 수 및 크기가 크게 감소된다. 또한, 외부 페룰(32)과 접촉하지 않는 외부 도체(18)의 브레이드형 와이어의 스트랜드의 수가 더 적다.
테스트를 통해, 도 8의 단자 조립체(110)는 약 560 뉴턴의 인출력을 갖는 반면, 도 9의 단자 조립체(10)는 약 690 뉴턴의 인출력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약 23 %의 인출력 성능의 향상이다. 임의의 특정 작동 이론을 따르지 않고, 내부 페룰(22)의 탄성 변형은 내부 및 외부 페룰(32) 사이의 공극 감소를 제공하고 종래 기술의 단자 조립체(110)와 비교하여 개선된 인출력 성능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에 의한 테스트에 따르면, 단자 조립체(10)의 외부 도체(18)와 외부 페룰(32) 사이의 저항은 단자 조립체(110)에 비교할만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 페룰(22)은 예를 들어 도 8의 종래 기술 단자 조립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전체가 아닌 절연체이기 때문에 단자 조립체(10)는 외부 페룰(32) 또는 외부 도체(18)와 내부 도체(14) 사이의 단락 가능성이 줄어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단순히 탄성 내부 페룰(22)의 내부 직경 및 외부 직경을 변화시킴으로써 하나의 특정한 내부 직경을 갖는 외부 페룰(32)이 다수의 차폐 케이블(12) 직경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앞서 배경기술 부분에서 설명한, 두꺼운 내부 페룰이 크림핑의 강도를 열화시킬 수 있고 얇은 내부 페룰이 크림핑 동안 파열될 수 있다는 문제를 피하기 위해 외부 페룰(32)의 내부 직경과 금속 내부 페룰(22)의 외부 직경 사이의 약 1 밀리미터의 차이를 유지할 필요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면 서로 다른 케이블 크기를 수용하는 데 필요한 다른 외부 페룰 디자인 및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다. 내부 페룰(22)은 내부 페룰(22)을 성형하기 전에 엘라스토머 재료에 착색제를 첨가함으로써 상이한 내부 페룰(22) 크기를 식별하기 위해 쉽게 색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0은 내부 페룰(222) 주위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페룰(222)의 외부 표면(226)에 복수의 홈(238)을 포함하는 내부 페룰(222)의 비제한적인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자는 내부 페룰(222)의 외부 표면(226)에서의 홈(238)의 형성이 내부 페룰(222)에 대한 외부 페룰(32)의 보유를 향상시킴으로써 단자 조립체(10)가 차폐 케이블(12)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견딜 수 있는 인출력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했다.
도 11은 내부 페룰(322)의 비제한적인 예를 도시하며, 이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복수의 홈(338)에 추가로 내부 페룰(322)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페룰(322)의 외부 표면(326)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리지(340)를 포함한다. 리지(340)는 적어도 하나의 리지(340)가 2개의 인접 홈(338)의 중간에 있게 되도록 배열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리지(340)는 각각의 홈(338)에 인접한다. 본 발명자는 내부 페룰(322)의 외부 표면(326)의 홈(338)에 리지(340)를 추가함으로써 내부 페룰(322)에 대한 외부 페룰(32)의 보유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단자 조립체(10)가 차폐 케이블(12)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견딜 수 있는 인출력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도 12 내지 도 18b는 복수의 원주방향 홈(438, 538, 638, 738, 838, 938, 1038) 및 리지(440, 540, 640, 740, 840, 940, 1040)를 갖는 내부 페룰(422, 522, 622, 722, 822, 922, 1022)의 다른 비제한적 대안 예를 예시한다. 도 12 내지 도 18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홈과 리지의 프로파일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며, 외부 페룰과 외부 도체 사이의 전기 저항을 감소시키거나 개선된 인출력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는 복수의 원주방향 홈(1138) 및 내부 페룰의 외부 표면 상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일련의 돌출부(1142)를 갖는 내부 페룰(1122)의 비제한적인 대안 예를 도시한다. 도 19b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돌출부(1142)는 일련의 반구형 범프이다. 이들 홈(1138) 및 돌출부(1142)는 또한 외부 페룰과 외부 도체 사이의 개선된 인출력 또는 감소된 전기 저항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단자 조립체의 예는 브레이드형 외부 도체를 갖는 차폐 케이블을 예시하지만, 포일 또는 도전 막 외부 도체를 갖는 차폐 케이블과 함께 사용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구상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압축성 유전체 재료로 형성된 내부 페룰(22)을 갖는 단자 조립체(10)가 제공된다. 단자 조립체(10)는 딥 드로잉되거나 기계가공된 내부 페룰을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는 성형 내부 페룰로 대체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단자 조립체(110)에 비해 비용상의 이점을 제공한다. 하나의 크기의 내부 페룰은 필요한 케이블 크기에 정합하도록 성형될 수 있으므로 여러 크기의 내부 페룰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단자 조립체(10)는 또한 몇몇 응용에서 다중 케이블 크기에 대해 하나의 외부 페룰 크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내부 페룰(22)은 다수의 응용에 공통적일 수 있다. 내부 페룰(22)은 다양한 크기 사이의 시각적인 차별화를 제공하기 위해 착색될 수 있다. 내부 페룰(22)은 내부 도체에 대한 증가된 절연 보호를 제공하고 코어 도체의 절연부를 통한 천공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내부 페룰(122-822)은 종래 기술의 단자 조립체(110)와 비교하여 인출력을 충족시키거나 초과하기 위해 외부 페룰의 외부 도체 및 내부 페룰에 대한 보유를 향상시키는 홈 또는 홈 및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그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다음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예를 들어, 상술된 실시예들(및/또는 그 양태들)은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교시에 특정 상황 또는 재료를 구성하기 위해 많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치수, 재료의 유형, 다양한 구성요소의 방향, 및 다양한 구성요소의 수 및 위치는 특정 실시예의 파라미터를 정의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지 않으며 단지 원형의 실시예에 불과하다.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의 많은 다른 실시예 및 변형은 상기 설명을 검토하면 통상의 숙련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그러한 청구범위에 부여되는 등가물의 전체 범위와 함께 다음의 청구범위를 참조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하나 이상'은 하나의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분산된 방식으로 하나보다 많은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 하나의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여러 기능, 여러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여러 기능, 또는 상기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기타의 용어가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지만, 이들 요소는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이 용어는 단지 하나의 요소를 다른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설명된 실시예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제1 접점은 제2 접점으로 지칭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2 접점은 제1 접점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접점과 제2 접점은 모두 접점이지만 동일한 접점은 아니다.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설명된 실시예들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설명에서 사용될 때, 단수 형태는 문맥상 명백하게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열거된 항목의 임의의 그리고 모든 가능한 조합을 지칭 및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하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명시된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 "~경우"는 문맥에 따라 임의로 "~할 때" 또는 "~할 시" 또는 "결정에 응답하여" 또는 "검출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유사하게, "결정된 경우" 또는 "[명시된 조건 또는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라는 문구는 문맥에 따라 임의로 "결정 시" 또는 "결정에 응답하여" 또는 "[언급된 조건 또는 이벤트] 검출 시" 또는 "[명시된 조건 또는 이벤트] 검출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여기에서 정렬 또는 배향에 대한 용어가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요소는 이 용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별도로 명시하지 않는 한, 정렬 또는 배향에 대한 모든 용어는 한 요소를 다른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임의의 특정 순서, 작업 순서, 방향 또는 배향을 나타내지 않는다.

Claims (17)

  1. 내부 도체(14), 내부 도체(14)를 둘러싸는 내부 절연체(16), 내부 절연체(16)를 둘러싸는 외부 도체(18) 및 외부 도체(18)를 둘러싸는 외부 절연체(20)를 갖는 차폐 케이블(12)을 종결하도록 구성된 단자 조립체(10)이며, 상기 단자 조립체(10)는
    소성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대체로 원통형인 외부 페룰(32), 및
    외부 표면(226)에 형성된 복수의 원주방향 홈(238)을 갖는 탄성 유전체 재료로 형성되는 대체로 원통형인 내부 페룰(222)을 포함하고
    내부 페룰(222)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 페룰(32) 내에 배치되며, 외부 도체(18)의 일부는 내부 페룰(222)과 외부 페룰(32)의 중간에 배치되어 이와 밀접하게 접촉되는, 단자 조립체(10).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 페룰(222)은 외부 표면(226)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원주방향 돌출부(242)를 추가로 형성하는, 단자 조립체(10).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원주방향 돌출부(242)는 복수의 원주방향 리브(340)인, 단자 조립체(10).
  4.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원주방향 리브(340) 중 하나의 원주방향 리브(340)는 복수의 원주방향 홈(338)의 2개의 원주방향 홈(338)의 중간에 있는, 단자 조립체(10).
  5. 제4항에 있어서, 하나의 원주방향 리브(340)는 복수의 원주방향 홈(338)의 2개의 원주방향 홈(338) 중 하나에 인접하며, 복수의 원주방향 홈(338)의 2개의 원주방향 홈(338) 중 다른 하나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단자 조립체(10).
  6. 제4항에 있어서, 하나의 원주방향 리브(840)는 복수의 원주방향 홈(838)의 2개의 원주방향 홈(838)에 인접하는, 단자 조립체(10).
  7.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원주방향 리브(840)는 볼록한 둥근 표면을 형성하는, 단자 조립체(10).
  8.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원주방향 돌출부(242)는 복수의 범프(1142)이고, 각각의 범프는 내부 페룰(1122)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분포된 볼록한 둥근 표면을 형성하는, 단자 조립체(10).
  9.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원주방향 홈(538)의 바닥은 복수의 원주방향 홈(538)의 측벽에 대체로 직교하는, 단자 조립체(10).
  10.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원주방향 홈(938)의 바닥은 복수의 원주방향 홈(938)의 제1 측벽에 대해 둔각을 형성하는, 단자 조립체(10).
  11. 제10항에 있어서, 복수의 원주방향 홈(638)의 바닥은 복수의 원주방향 홈(638)의 제2 측벽에 대하여 예각을 형성하는, 단자 조립체(10).
  12. 제10항에 있어서, 복수의 원주방향 홈(1038)의 바닥은 복수의 원주방향 홈(1038)의 제2 측벽에 대체로 직교하는, 단자 조립체(10).
  1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원주방향 홈(738)의 바닥은 오목한 둥근 표면을 형성하는, 단자 조립체(10).
  14. 제1항에 있어서, 탄성 유전체 재료는 실리콘계 재료인, 단자 조립체(10).
  15. 제1항에 있어서, 탄성 유전체 재료는 50 내지 80의 쇼어 A 듀로미터 경도를 갖는, 단자 조립체(10).
  16. 제1항에 있어서, 외부 페룰(32)은 소성 변형되며, 내부 페룰(222)은 외부 페룰(32)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단자 조립체(10).
  17. 차폐 케이블(12) 조립체이며,
    내부 도체(14), 내부 도체(14)를 둘러싸는 내부 절연체(16), 내부 절연체(16)를 둘러싸는 외부 도체(18), 및 외부 도체(18)를 둘러싸는 외부 절연체(20)를 포함하는 차폐 케이블(12), 및
    제1항에 따른 단자 조립체(10)를 포함하는, 차폐 케이블(12) 조립체.
KR1020180076223A 2017-07-05 2018-07-02 차폐 케이블용 단자 조립체 KR102106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28651P 2017-07-05 2017-07-05
US62/528,651 2017-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117A true KR20190005117A (ko) 2019-01-15
KR102106208B1 KR102106208B1 (ko) 2020-05-04

Family

ID=64990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223A KR102106208B1 (ko) 2017-07-05 2018-07-02 차폐 케이블용 단자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678702B2 (ko)
KR (1) KR102106208B1 (ko)
CN (2) CN11581093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9986A (zh) * 2021-08-16 2021-11-23 江苏中容电气有限公司 一种喷漆涂层高压导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0525A (ja) * 1998-09-22 2000-04-0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73247A (ja) * 2003-03-07 2004-09-3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シールド電線の端末処理構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36222C (ko) * 1963-03-21
US4280749A (en) * 1979-10-25 1981-07-28 The Bendix Corporation Socket and pin contacts for coaxial cable
US5102351A (en) * 1990-11-29 1992-04-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Shielded electric cable and harness with strain relief
JP2002343493A (ja) * 2001-05-18 2002-11-29 Yazaki Corp 端子一体型シール部材
KR100907577B1 (ko) * 2008-02-27 2009-07-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 실드쉘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
JP2010160957A (ja) * 2009-01-08 2010-07-22 Sumitomo Wiring Syst Ltd シールド電線の端末接続構造
US8827744B2 (en) * 2011-07-29 2014-09-09 Delphi Technologies, Inc. Wire cable assembly
DE102012111270B4 (de) * 2012-11-22 2018-11-22 R.Stahl Schaltgeräte GmbH Explosionsgeschützte Anordnung mit einer Kabelverbindungseinrichtung und einem Kab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0525A (ja) * 1998-09-22 2000-04-0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73247A (ja) * 2003-03-07 2004-09-3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シールド電線の端末処理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216967A (zh) 2019-01-15
JP6678702B2 (ja) 2020-04-08
KR102106208B1 (ko) 2020-05-04
CN115810936A (zh) 2023-03-17
JP2019053975A (ja)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06252A1 (en)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KR102293142B1 (ko) 차폐 케이블 조립체 및 차폐 케이블용 전자기 차폐 단자 조립체
US9537264B2 (en) Electrical connector
EP3175512B1 (en) Coaxial cable connectors with conductor retaining members
KR20180099899A (ko) 차폐된 케이블 단자 조립체
EP2745353B1 (en) Electrical connector adapted to receive various diameter cable
KR20170013392A (ko) 차폐형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US5085594A (en) Solder-free plug-cable connection system
CN109273939B (zh) 连接器装置
KR102106208B1 (ko) 차폐 케이블용 단자 조립체
US9906003B1 (en) Device and method for splicing shielded wire cables
EP3425741B1 (en) Terminal assembly for shielded cable
US9281611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wire retainer tube
US10680355B2 (en) Terminal assembly for shielded cable
CN210202346U (zh) 电磁屏蔽装置和屏蔽结构
JP2019193416A (ja) ケーブル接続部
JP2019193515A (ja) ケーブル接続部
CN110521062B (zh) 导电部件
CN117438815A (zh) 屏蔽弹簧触头、插入式连接器和插入式连接器系统
CN112038840A (zh) 屏蔽件接地电连接器
US20150244131A1 (en) Cable installation aid for multi-strand electrical conductors
KR20130006935U (ko) 전기와이어 조립체
WO2013001042A1 (en) Assembly of a wire and an electrical contact and method of manufa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