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7577B1 -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 실드쉘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 실드쉘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577B1
KR100907577B1 KR1020080017909A KR20080017909A KR100907577B1 KR 100907577 B1 KR100907577 B1 KR 100907577B1 KR 1020080017909 A KR1020080017909 A KR 1020080017909A KR 20080017909 A KR20080017909 A KR 20080017909A KR 100907577 B1 KR100907577 B1 KR 100907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shielding layer
connection ring
shell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이
이상선
노용준
박경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7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5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01B11/06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of electromagnetic or electrostatic disturbances, e.g.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 실드쉘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드케이블 외피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접속링; 및 상기 접속링의 외주면에 말아올려진 실드케이블 차폐층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차폐층을 가압하고, 실드쉘의 내면과 접촉하는 압착링;을 포함하되, 상기 접속링의 일단에는 상기 외피의 단부면과 접촉하기 위한 방지턱이 상기 접속링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 실드쉘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링과 차폐층의 충분한 접촉면적이 보장됨과 동시에 상기 차폐층에 접속링 및 압착링을 결합하는 작업이 종래에 비해 더욱 용이한 효과가 발생한다.
실드쉘(shield shell), 실드케이블(shield cable), 접속링, 압착링, 방지턱, 차폐층(shield layer)

Description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 실드쉘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Connector for connecting shield layer of shield cable with shield shell}
본 발명은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 실드쉘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외주면 일부에 상기 실드케이블의 차폐층이 말아올려져 고정되고, 그 외주면 타부는 상기 실드쉘의 내면과 접촉하는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의 전장화로 다수의 전자부품 또는 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다수의 전자부품 또는 센서는 전기적 신호를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시키고, 이렇게 발생된 신호들은 다수의 신호선들을 통해 제어장치나 구동장치에 전송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기적 신호에 의한 전자파가 불규칙하게 발생될 수 있고, 상기 불규칙한 전자파가 신호선 또는 전자장치에 직/간접적으로 전달될 경우, 전자장치가 오작동하여 운전자가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하네스에는 일반적으로 실드케이블을 사용하는데, 상기 실드케이블은 도체로 이루어지는 중심선, 상기 중심선을 감싸는 내피, 상기 내피의 외부를 편조선으로 감싸 형성되는 차폐층, 및 상기 차폐층 외부에 형 성되는 외피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상기 차폐층이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를 흡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중심선까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실드케이블을 별도의 차폐부재를 구비하지 않은 커넥터를 이용하여 전기기기 또는 종류가 다른 케이블에 접속할 경우,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가 접속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실드케이블을 전기기기 또는 종류가 다른 케이블과 접속하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가 접속점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실드커넥터 사용이 필수적이다.
상기 실드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 및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 또는 외부에 결합되는 실드쉘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드쉘은 판상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노이즈를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 상기 실드쉘을 접속하기 위한 종래기술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 실드쉘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실드케이블(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심선(11), 내피(12), 차폐층(13) 및 외피(14)로 구성된다. 상기 외피(14)의 외주면에는 접속링(60)이 장착되고, 상기 차폐층(13)은 상기 접속링(60)의 차폐층접촉부(6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말아올려지며, 말아올려진 차폐층(13)의 외주면에는 압착링(65)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실드케이블(10)의 중심선(11)에는 단자헤드(50)가 고정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은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실드케이블(10)은 실드쉘(70)의 내부로 삽입되고, 이때 상기 접속링(60)의 실드쉘접촉부(62)의 외주면이 상기 실드쉘(70)의 내면과 접촉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연결부재(접속링(60) 및 압착링(65))에 의하면, 상기 차폐층(13)이 말아올려진 접속링(60)에 상기 압착링(65)을 결합할 때 상기 접속링(60)이 상기 압착링(65)의 삽입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현상을 그대로 방치한 채로 작업을 진행한다면 상기 접속링(60)과 차폐층(13)의 충분한 접촉면적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접속링(60)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접속링(60)을 상기 압착링(65)이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계속하여 가압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작업이 매우 난해하거나 번거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드케이블의 차폐층이 말아올려진 접속링에 압착링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접속링이 상기 압착링의 삽입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 실드쉘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실드케이블 외피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접속링; 및 상기 접속링의 외주면에 말아올려진 실드케이블 차폐층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차폐층을 가압하고, 실드쉘의 내면과 접촉하는 압착링;을 포함하되, 상기 접속링의 일단에는 상기 외피의 단부면과 접촉하기 위한 방지턱이 상기 접속링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 실드쉘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드케이블 외피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실드쉘의 내면과 접촉하는 접속링; 및 상기 접속링의 외주면에 말아올려진 실드케이블 차폐층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차폐층을 가압하는 압착링;을 포함하되, 상기 접속링의 일단에는 상기 외피의 단부면과 접촉하기 위한 방지턱이 상기 접속링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 실드쉘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지턱은 상기 외피 단부면의 일부와 접촉하거나, 상기 외 피 단부면의 전면 및 상기 외피의 내면 일부와 접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드케이블의 차폐층이 말아올려진 접속링에 압착링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접속링이 상기 압착링의 삽입방향으로 밀리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접속링과 차폐층의 충분한 접촉면적이 보장됨과 동시에 상기 차폐층에 상기 접속링 및 압착링을 결합하는 작업이 종래에 비해 더욱 용이한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 제1실시예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1실시예가 장착된 실드케이블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접속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는 실드케이블 외피(102)의 외주면에 장착되는접속링(120)과 상기 접속링(120)의 외주면에 말아올려진 실드케이블 차폐층(104)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차폐층(104)을 가압하는 압착링(140)을 포함한다.
상기 접속링(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피(102)의 외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된 중공을 포함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링(120)의 일단에는 상기 접속링(120)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지턱(122)이 형성된다. 상기 방지턱(122)의 높이(H1)는 상기 외피(102)의 두께(H2)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압착링(140)은 상기 차폐층(104)과 접촉하는 차폐층접촉부(144) 및 상기 차폐층접촉부(144) 일단으로부터 상기 방지턱(122)이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 방 향으로 연장되는 실드쉘접촉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실드쉐접촉부(142)는 실드쉘의 내면과 접촉한다.
한편, 앞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106과 108은 각각 실드케이블의 내피와 중심선을 나타낸다.
이하,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실드케이블에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상기 접속링(120)을 상기 외피(102)의 외주면에 결합하고, 상기 방지턱(122)이 상기 외피(102)의 단부면(110)에 맞닿을 때까지 상기 접속링(120)을 밀어넣는다. 그 후, 상기 차폐층(104)을 상기 접속링(102)의 외주면에 말아올리고, 상기 압착링(140)을 말아올려진 상기 차폐층(104)의 외주면에 결합시킨 후 상기 압착링(140)을 상기 접속링(120)을 밀어넣은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밀어넣는다. 이때, 상기 방지턱(112)이 상기 단부면(110)과 맞닿아 있기 때문에 상기 압착링(140)을 밀어넣더라도 상기 접속링(120)이 상기 압착링(140)을 밀어넣는 방향으로 밀리지 않게 된다. 상기 압착링(140)을 밀어넣는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압착링(140)을 상기 실드케이블의 중심방향으로 가압한다.
< 제2실시예 >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되,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2실시예가 장착된 실드케이블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접속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구성 중,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것은 그 도면부호를 동일하 게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링(220)의 방지턱(222)은 앞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방지턱과 상이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지턱(222)은 외피(102)의 단부면(110) 전면과 접촉하는 제1부위(222a)와, 상기 외피(102)의 내면과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제2부위(222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부위(222a)는 상기 접속링(220)의 단부로부터 상기 접속링(120)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부위(222b)는 상기 제1부위(222a)의 단부로부터 상기 접속링(220)의 안쪽으로 상기 실드케이블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방지턱(222)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하더라도 압착링(140)을 밀어넣을 때 상기 접속링(220)이 상기 압착링(240)을 밀어넣는 방향으로 밀리지 않게 된다.
< 제3실시예 >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되,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3실시예가 장착된 실드케이블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접속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구성 중,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것은 그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링(320)과 압착링(340)은 앞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접속링(320) 및 압착링(340)과 상이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링(320)은 차폐층(104)이 말아올려지는 차폐층접촉부(320a)와 상기 차폐층접촉부(320a)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실드쉘의 내면과 접촉하는 실드쉘접촉부(32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착링(340)은 상기 말아올려진 차폐층(104)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으로 형성된 중공을 포함하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링(320)의 일단에 형성된 방지턱(122)은 앞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 제4실시예 >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되, 앞서 설명한 제2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4실시예가 장착된 실드케이블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접속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구성 중,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것은 그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링(420)과 압착링(440)은 앞서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접속링(220) 및 압착링(140)과 상이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링(420)은 차폐층(104)이 말아올려지는 차폐층접촉부(420a)와 상기 차폐층접촉부(420a)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실드쉘의 내면과 접촉하는 실드쉘접촉부(42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착링(440)은 상기 말아올려진 차폐층(104)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으로 형성된 중공을 포함하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링(420)의 일단에 형성된 방지턱(222)은 앞서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 실드쉘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1실시예가 장착된 실드케이블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접속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2실시예가 장착된 실드케이블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접속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3실시예가 장착된 실드케이블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접속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4실시예가 장착된 실드케이블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접속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6)

  1. 실드케이블 외피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접속링; 및
    상기 접속링의 외주면에 말아올려진 실드케이블 차폐층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차폐층을 가압하고, 실드쉘의 내면과 접촉하는 압착링;을 포함하되,
    상기 접속링의 일단에는 상기 외피의 단부면과 접촉하기 위한 방지턱이 상기 접속링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 실드쉘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턱은 상기 외피 단부면의 일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 실드쉘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턱은 상기 외피 단부면의 전면 및 상기 외피의 내면 일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 실드쉘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
  4. 실드케이블 외피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실드쉘의 내면과 접촉하는 접속링; 및
    상기 접속링의 외주면에 말아올려진 실드케이블 차폐층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차폐층을 가압하는 압착링;을 포함하되,
    상기 접속링의 일단에는 상기 외피의 단부면과 접촉하기 위한 방지턱이 상기 접속링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 실드쉘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턱은 상기 외피 단부면의 일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 실드쉘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턱은 상기 외피 단부면의 전면 및 상기 외피의 내면 일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 실드쉘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
KR1020080017909A 2008-02-27 2008-02-27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 실드쉘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 KR100907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909A KR100907577B1 (ko) 2008-02-27 2008-02-27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 실드쉘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909A KR100907577B1 (ko) 2008-02-27 2008-02-27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 실드쉘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7577B1 true KR100907577B1 (ko) 2009-07-14

Family

ID=41337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909A KR100907577B1 (ko) 2008-02-27 2008-02-27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 실드쉘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5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16967A (zh) * 2017-07-05 2019-01-15 安波福技术有限公司 用于屏蔽电缆的端子组件
EP3408899A4 (en) * 2016-01-27 2019-07-31 Aptiv Technologies Limited SHIELDED CABLE CONNECTION ARRANGEMENT
US10680355B2 (en) 2016-01-27 2020-06-09 Aptiv Technologies Limited Terminal assembly for shielded cab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3247A (ja) 2003-03-07 2004-09-3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シールド電線の端末処理構造
JP2006164613A (ja) 2004-12-03 2006-06-22 Yazaki Corp シールド電線のアース処理方法及びアース処理構造
KR20070062758A (ko) * 2005-12-13 2007-06-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폐 전선과 차폐쉘의 접속 장치
KR20070118735A (ko) * 2006-06-13 2007-12-1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실드전극 연결수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3247A (ja) 2003-03-07 2004-09-3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シールド電線の端末処理構造
JP2006164613A (ja) 2004-12-03 2006-06-22 Yazaki Corp シールド電線のアース処理方法及びアース処理構造
KR20070062758A (ko) * 2005-12-13 2007-06-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폐 전선과 차폐쉘의 접속 장치
KR20070118735A (ko) * 2006-06-13 2007-12-1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실드전극 연결수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08899A4 (en) * 2016-01-27 2019-07-31 Aptiv Technologies Limited SHIELDED CABLE CONNECTION ARRANGEMENT
US10680355B2 (en) 2016-01-27 2020-06-09 Aptiv Technologies Limited Terminal assembly for shielded cable
CN109216967A (zh) * 2017-07-05 2019-01-15 安波福技术有限公司 用于屏蔽电缆的端子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5240B2 (en) Shield cover for braided wire shield
JP4834605B2 (ja) 外導体端子
US9472901B2 (en) Shield connector structure
US6019615A (en) Construction of and method of processing end portion of shielded cable
US10027073B2 (en) Coaxial connector with electromagnetic shield
US5496968A (en) Shielded cable connecting terminal
US8998641B2 (en) Terminal structure of electrical cable, shielded connector and terminal treatment method of electrical cable
JP2009032609A (ja) 同軸線用コネクタ及び同軸線接続ユニット
JP2012221661A (ja) 同軸ケーブル用のシールド端子
KR20130042546A (ko) 차폐 전선의 접지선 연결 구조
JP4640986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接続方法
EP3333986A1 (en) Electronic component and imaging device
KR100907577B1 (ko) 실드케이블의 차폐층과 실드쉘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
JP2012048833A (ja) 端子圧着方法および端子圧着装置
JP5059481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CN108832320A (zh) 一种压接式弹片接触屏蔽高压接线盒
JP5823787B2 (ja) 同軸ケーブルとシールド端子との接続構造およびその接続方法
US20150303611A1 (en) Shielded connector
IL97992A (en) Metallic housing for electrical connector
JP2015153498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
KR100800789B1 (ko) 실드 커넥터
KR100803437B1 (ko) 실드 커넥터
JP5913194B2 (ja) コネクタ
JP5838819B2 (ja) 電気コネクタ付ケーブル及び電気コネクタ付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4627061B2 (ja) 端末が処理されたシールド線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