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879A -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879A
KR20190004879A KR1020170085182A KR20170085182A KR20190004879A KR 20190004879 A KR20190004879 A KR 20190004879A KR 1020170085182 A KR1020170085182 A KR 1020170085182A KR 20170085182 A KR20170085182 A KR 20170085182A KR 20190004879 A KR20190004879 A KR 20190004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clutch
wall
hydraulic pressure
clutch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5244B1 (ko
Inventor
김은식
홍종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5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244B1/ko
Publication of KR20190004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12Details not specific to one of the before-mentioned ty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2048/0224Details of conduits, connectors or the adaptor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clutch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변속기에서 클러치페달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를 제공한다.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는 클러치튜브를 통해 유압이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유압이동부를 포함하고, 클러치튜브와 결합하는 바디, 클러치튜브로 전달되는 맥동을 저감할 수 있도록 바디에 수용되는 제1댐퍼 및 바디의 내벽과 제1댐퍼 사이에 결합되고, 함께 유압이동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상부댐퍼 및 제2상부댐퍼의 하부에 접하는 제2하부댐퍼를 가지는 제2댐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CLUTCH PULSATION DAMP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속기에서 클러치페달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플라이 휠과 변속기 사이에 설치되어 엔진의 동력을 필요에 따라 단속하는 클러치(clutch)를 포함한다. 클러치는 엔진을 시동할 때 또는 기어를 변속할 때 엔진과의 연결을 차단하고, 차량이 출발할 때 엔진의 동력을 서서히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클러치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클러치페달을 포함하고, 클러치페달에서 발생한 유압을 변속기로 전달함으로써 동작할 수 있다.
차량의 엔진이나 클러치에서는 동작 중에 불가피하게 진동이 발생하며, 이러한 진동은 클러치페달과 변속기 사이의 유압 라인을 통해 클러치페달로 전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이루는 부품에서 발생하는 소음 또는 진동을 NVH로 정의한다. 여기서, N은 소음(Noise), V는 진동(Vibration), H는 불쾌감(Harshness)이다. 불쾌감은 다리 이음새나 도로의 요철 부분을 지날 때 생기는 충격이나 거슬림 등을 말한다.
변속기로부터 클러치페달로 전달된 진동은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으므로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변속기와 클러치페달 사이의 유압 라인 상에는 변속기로부터 클러치페달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레귤레이터가 배치된다.
또한, 클러치페달의 조작이 멈춘 경우 내부의 밸브를 닫아 변속기로부터 발생한 진동의 흐름을 차단하는 AVU(Anti-Vibration Unit)가 배치될 수 있다.
AVU는 클러치페달의 조작 중에 변속기로부터 클러치페달로 전달되는 진동의 저감 효과가 없어 레귤레이터 등의 추가적인 부품의 보완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변속기로부터 클러치페달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개선된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클러치페달로부터 변속기로 이동하는 유압의 스트로크 로스를 줄일 수 있도록 개선된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레귤레이터와 AVU를 하나의 부품으로 통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차량용 커넥터 맥동저감장치는 클러치튜브를 통해 유압이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유압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튜브와 결합하는 바디, 상기 클러치튜브로 전달되는 맥동을 저감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수용되는 제1댐퍼 및 상기 바디의 내벽과 상기 제1댐퍼 사이에 결합되고, 함께 상기 유압이동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상부댐퍼 및 상기 제2상부댐퍼의 하부에 접하는 제2하부댐퍼를 가지는 제2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는 상기 제1댐퍼와 상기 바디의 내벽 사이에 진공층 또는 공기층을 이루는 밀폐공간을 포함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의 측부 내벽으로부터 상기 바디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만곡되는 제1댐퍼외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는 상기 클러치튜브를 흐르는 유압에 의한 상기 제1댐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댐퍼외벽과 같은 방향으로 만곡되는 제1댐퍼내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댐퍼는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1댐퍼를 압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댐퍼내벽과 결합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댐퍼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클러치튜브로 전달되는 맥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내벽의 반경은 상기 결합부의 반경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2댐퍼는 상기 차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클러치튜브를 통해 유압이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슬롯을 가지는 슬롯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상부댐퍼의 상기 슬롯부와 상기 제2하부댐퍼의 상기 슬롯부는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2상부댐퍼의 상기 차단부와 상기 제2하부댐퍼의 상기 차단부는 서로 접하여 원형을 이룰 수 있도록 각각 반원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상부댐퍼는 상기 슬롯부가 하측으로 만곡되고, 상기 제2하부댐퍼는 상기 슬롯부가 상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튜브를 통해 이동하는 유압의 스트로크 로스를 저감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댐퍼는 상기 바디의 상부 내벽과 상기 제1댐퍼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는 고무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댐퍼는 금속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클러치 맥동저감장치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변속기로부터 클러치페달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클러치페달로부터 변속기로 이동하는 유압의 스트로크 로스를 최소화함으로써, 클러치페달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레귤레이터와 AVU를 하나의 부품으로 통합함으로써, 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원가 절감이 가능하고, 크기를 줄일 수 있어 레이아웃에 유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에 있어서, 제1댐퍼 및 제2댐퍼의 반경 차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에 있어서, 제2댐퍼의 슬롯부가 중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에 있어서, 제2댐퍼의 차단부 및 슬롯부가 경사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에 있어서, 클러치페달 조작 시, 클러치페달로부터 변속기로 이동하는 유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에 있어서, 클러치페달 조작 시, 변속기로부터 클러치페달로 전달되는 진동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에 있어서, 클러치페달 미 조작 시, 유압이 평형을 이루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에 있어서, 클러치페달 미 조작 시, 변속기로부터 클러치페달로 전달되는 진동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실시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차량은 인간, 물건 또는 동물 등과 같은 피운송체를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차량은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자동차, 바다나 강 위로 이동하는 선박 및 공기의 작용을 이용하여 창공을 비행하는 비행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차륜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삼륜 또는 사륜 자동차, 건설 기계, 이륜 자동차, 원동기 장치, 자전거 및 선로를 주행하는 열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은 차량의 가속을 위한 가속페달, 정지를 위한 브레이크페달 및 변속을 위한 클러치페달 등 각종 차량용 페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는 특히, 변속을 위한 클러치페달과 변속기 사이의 유압 튜브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10)는 변속기(미 도시)와 클러치페달(미 도시)을 오일을 매개로 연결하는 클러치튜브(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10)는 클러치튜브(20)의 중간에 배치되어 변속기에서 발생한 진동의 클러치페달로의 전달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오일을 통해 변속기로부터 전달된 진동의 대부분은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10)에 포함된 댐퍼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10)는 변속기와 클러치페달을 연결하는 클러치튜브(20) 및 클러치튜브(20)와 결합하는 바디(1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0)는 클러치페달과 연결되는 클러치튜브(20)와 결합하는 제1튜브연결부(110) 및 변속기와 연결되는 클러치튜브(20)와 결합하는 제2튜브연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튜브연결부(110) 및 제2튜브연결부(120)는 바디(100)로부터 각각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되어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디(100)는 내부가 빈 원통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0)는 내부를 형성하는 내벽(101)을 포함할 수 있다. 내벽(101)은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내벽(102), 측부를 형성하는 측부 내벽(103) 및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 내벽(104)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0)는 클러치튜브(20)를 통해 유압이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유압이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압이동부(130)를 통해 변속기와 클러치페달 사이에 오일이 흐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10)는 클러치튜브(20)로 전달되는 맥동을 저감할 수 있도록, 바디(100)에 수용되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는 바디(100)에 수용되는 제1댐퍼(200) 및 바디(100)의 내벽(101)과 제1댐퍼(200) 사이에 결합되는 제2댐퍼(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댐퍼(200)는 외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타이어림과 유사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댐퍼(200)는 고무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댐퍼(200)는 제1댐퍼(200)와 바디(100)의 내벽(101) 사이에 밀폐공간(140)을 포함할 수 있도록 바디(1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1댐퍼(200)는 측부 내벽(103)으로부터 바디(1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만곡되는 제1댐퍼외벽(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댐퍼외벽(210)과 측부 내벽(103)은 밀폐공간(140)을 형성할 수 있다. 밀폐공간(140)은 진공층 또는 공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10)는 클러치페달로부터 변속기로 이동하는 유압에 의해 제1댐퍼(200)가 스스로 압축되어 진동을 절연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1댐퍼(200)가 압력을 받으면 밀폐공간(140)을 향해 압축되어 밀폐공간(140)의 체적 변화를 일으키며 진동을 보다 크게 흡수할 수 있다.
즉, 제1댐퍼외벽(210)이 밀폐공간(140)을 압축하면서 진동을 크게 절연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10)는 레귤레이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댐퍼(200)는 클러치튜브(20)를 흐르는 유압에 의한 제1댐퍼(2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댐퍼외벽(210)과 같은 방향으로 만곡되는 제1댐퍼내벽(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댐퍼내벽(200)에 의해 바디(100)의 내부에 유압이동부(130)가 구획될 수 있다.
제2댐퍼(300)는 제1댐퍼(200)에 안착될 수 있다. 제2댐퍼(300)는 금속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댐퍼(300)는 탄성 변형되어 제1댐퍼(200)를 압착할 수 있도록 제1댐퍼내벽(220)과 결합하는 결합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10)는 만곡되어 호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제2댐퍼(300)는 결합부(310)로부터 절곡되어 클러치튜브(20)로 전달되는 맥동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320)는 반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제2댐퍼(300)는 차단부(320)로부터 연장되는 슬롯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롯부(330)는 클러치튜브(20)를 통해 유압이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슬롯(3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댐퍼(300)는 제2상부댐퍼(301) 및 제2상부댐퍼(301)의 하부에 접하는 제2하부댐퍼(3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상부댐퍼(301)와 제2하부댐퍼(302)는 서로 대칭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즉, 제2상부댐퍼(301)는 결합부(310a), 차단부(320a) 및 슬롯(331a)을 포함하는 슬롯부(330a)를 포함할 수 있고, 제2하부댐퍼(302)는 결합부(310b), 차단부(320b) 및 슬롯(331b)을 포함하는 슬롯부(3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상부댐퍼(310)와 제2하부댐퍼(302)는 함께 유압이동부(130)를 밀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에 있어서, 제1댐퍼 및 제2댐퍼의 반경 차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댐퍼외벽(210) 및 제2댐퍼내벽(220)은 만곡되어 호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결합부(310)는 제1댐퍼내벽(220)에 안착될 수 있도록 호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제1댐퍼(200)와 제2댐퍼(300)는 접합, 융착 또는 용접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바디(1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운전자가 클러치페달을 미 조작 시, 클러치페달로부터 변속기로 오일이 흐르지 않도록 제1댐퍼(200)와 제2댐퍼(300)는 유압이동부(130)를 밀폐할 수 있다.
제1댐퍼내벽(220)의 반경(R1)은 결합부(310)의 반경(R2)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바디(100)의 내부에 제1댐퍼(200) 및 제2댐퍼(300)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반경이 작은 결합부(310)가 반경이 상대적으로 큰 제1댐퍼내벽(220)을 압착할 수 있다.
만약, 반대로 결합부(310)의 반경(R2)이 제1댐퍼내벽(220)의 반경(R1) 이상인 경우라면, 바디(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결합부(310)와 제1댐퍼내벽(220) 사이에 소정의 갭이 형성될 수 있고, 운전자가 클러치페달을 조작하지 않는 경우에도 갭을 통해 클러치페달로부터 변속기로 오일이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10)는 결합부(310)가 제1댐퍼내벽(220)을 압착함으로써, 제1댐퍼(200) 및 제2댐퍼(300) 사이의 밀폐력이 증대될 수 있고, 운전자가 클러치페달을 조작하지 않는 경우에 클러치페달로부터 변속기로의 오일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클러치페달을 미 조작 시 바디(100)의 내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10)는 AVU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10)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는 하나의 부품으로 종래의 레귤레이터 및 AVU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에 있어서, 제2댐퍼의 슬롯부가 중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상부댐퍼(301)의 슬롯부(330a)와 제2하부댐퍼(302)의 슬롯부(330b)는 중첩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압이 이동할 수 있는 슬롯(331)을 포함하는 슬롯부(330)는 차단부(32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클러치페달을 미 조작 시, 제2상부댐퍼(301)의 슬롯(331a)을 포함하는 슬롯부(330a)는 제2하부댐퍼(302)의 차단부(320b)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운전자가 클러치페달을 미 조작 시, 제2하부댐퍼(302)의 슬롯(331b)을 포함하는 슬롯부(330b)는 제1상부댐퍼(301)의 차단부(320a)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제2상부댐퍼(301)의 차단부(320a)와 제2하부댐퍼(302)의 차단부(320b)는 서로 접하여 원형을 이룰 수 있도록 각각 반원형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상부댐퍼(310)의 차단부(320a)와 제2하부댐퍼(302)의 차단부(320b)가 이루는 원형은 제1댐퍼내벽(220)이 이루는 유압이동부(130)의 원형과 일치하여 유압이동부(130)를 밀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는 제2상부댐퍼(310)의 차단부(320a)와 제2하부댐퍼(302)의 차단부(320b)가 원형을 이룸으로써, 사각 형상 등 다른 형상을 이루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압이동부(130)를 밀폐하는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에 있어서, 제2댐퍼의 차단부 및 슬롯부가 경사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댐퍼(300)의 차단부(320) 및 슬롯부(330)는 수평으로부터 소정 각도 기울어져 마련될 수 있다.
제2상부댐퍼(301)의 차단부(320a) 및 슬롯부(330a)는 수평으로부터 하측으로 만곡되고, 제2하부댐퍼(302)의 차단부(320b) 및 슬롯부(330b)는 수평으로부터 상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즉, 제2상부댐퍼(301)의 차단부(320a)의 기울기(θ)는 수평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고, 제2하부댐퍼(302)의 차단부(320b)의 기울기(θ)는 수평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10)는 제2상부댐퍼(301)의 차단부(320a) 및 제2하부댐퍼(302)의 차단부(320b)가 만곡에 의한 탄성력으로 서로를 밀고 있으므로, 유압이동부(130)를 밀폐하는 기밀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에 있어서, 클러치페달 조작 시, 클러치페달로부터 변속기로 이동하는 유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클러치페달을 조작할 시, 유압에 의하여 클러치페달로부터 오일이 유압이동부(130)를 통해 흐르고, 제2댐퍼(300) 및 제1댐퍼(200)를 지나 제2댐퍼(300)의 슬롯(331)을 통해서 변속기로 이동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변속기로부터 클러치페달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도록 마련된 댐퍼들은, 반대로 클러치페달로부터 변속기로 이동하는 유압까지 흡수하게 되므로 스트로크의 로스를 유발할 수 있다. 유압에 의한 댐퍼의 체적 변화가 클수록 스트로크의 로스는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10)는 클러치페달로부터 변속기로 이동하는 유압(A)이 댐퍼를 누르는 힘(A1)을 댐퍼에 작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스트로크의 손실을 보완하기 위해, 제2댐퍼(300)가 제1댐퍼(200)를 압착하여 누르는 힘(B)이 추가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제2댐퍼(300)가 제1댐퍼(200)를 압착함으로써, 클러치페달로부터 변속기로 이동하는 유압(A)의 스트로크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한편, 제2댐퍼(300)는 바디(100)의 상부 내벽(102)과 제1댐퍼(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댐퍼(300)가 바디(100)의 하부 내벽(104)과 제1댐퍼(200) 사이가 아닌 클러치페달 측을 향해 배치됨으로써, 클러치페달로부터 변속기로 이동하는 유압(A)에 의해 제2댐퍼(300)가 제1댐퍼(200)를 누르는 힘(B)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도된 제2댐퍼(300)가 제1댐퍼(200)를 누르는 힘(B)에 의해 유압이 댐퍼를 누르는 힘(A1)이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결국, 클러치페달로부터 변속기로 이동하는 유압(A)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적게 줄어들어, 클러치튜브(20)를 통해 이동하는 유압의 스트로크 로스를 저감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에 있어서, 클러치페달 조작 시, 변속기로부터 클러치페달로 전달되는 진동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10)는 운전자가 클러치페달을 조작 시, 변속기로부터 클러치페달로 전달되는 진동을 크게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10)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변속기로부터 클러치페달로 전달되는 진동(C)을 저감할 수 있다.
먼저, 변속기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은 제1댐퍼(200)의 탄성력에 의해 1차적으로 절연되고, 제1댐퍼(200)를 지난 진동은 제2하부댐퍼(302)의 차단부(320b)의 탄성력에 의해 2차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하부댐퍼(302)의 차단부(320b)를 지난 진동은 제2하부댐퍼(302)의 슬롯(331b) 및 제2상부댐퍼(301)의 슬롯(331a)을 지나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유로가 좁은 면적을 통과하면서 맥동이 서로 중첩되어 진동이 3차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제2상부댐퍼(301)의 슬롯(331a)을 지난 진동은 제2상부댐퍼(301)의 차단부(320a)의 탄성력에 의해 4차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10)는 변속기로부터 클러치페달로 전달되는 진동(C)을 크게 저감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에 있어서, 클러치페달 미 조작 시, 유압이 평형을 이루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10)는 운전자가 클러치페달을 미 조작 시, 유압 평형을 이룰 수 있다.
제1댐퍼내벽(220)은 타이어림과 유사한 형태를 이룸으로써, 클러치페달로부터 변속기로 이동하는 유압(A) 및 변속기로부터 클러치페달로 이동하는 유압(D)이 편중된 압력이 아닌 분포된 압력을 형성할 수 있게 유도할 수 있다. 분포 압력은 수직력과 수평력을 포함할 수 있다.
클러치페달로부터 변속기로 이동하는 유압(A)과 변속기로부터 클러치페달로 이동하는 유압(D)의 각각의 수직력은 평형을 이룰 수 있어, 제2상부댐퍼(301) 및 제2하부댐퍼(302)는 수평을 이룬 채로 유압이동부(130)를 밀폐할 수 있다.
다만, 클러치페달로부터 변속기로 이동하는 유압(A) 및 변속기로부터 클러치페달로 이동하는 유압(D)의 수평력은 합력이 되어 제1댐퍼(200)를 압착하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10)는 제1댐퍼(200) 및 제2댐퍼(300)의 결합력(E)에 의해 클러치페달로부터 변속기로 이동하는 유압(A) 및 변속기로부터 클러치페달로 이동하는 유압(D)의 수평력의 합력과 힘의 평형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제1댐퍼(200) 및 제2댐퍼(300)의 결합력(E)으로 클러치페달로부터 변속기로 이동하는 유압(A) 및 변속기로부터 클러치페달로 이동하는 유압(D)의 수평력의 합력의 작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제1댐퍼(2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에 있어서, 클러치페달 미 조작 시, 변속기로부터 클러치페달로 전달되는 진동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10)는 운전자가 클러치페달을 미 조작 시, 변속기로부터 클러치페달로 전달되는 진동(C)을 저감할 수 있다.
운전자가 클러치페달을 조작한 후, 미 조작 시 변속기로부터 클러치페달로 이동하는 유압(D) 및 제2댐퍼(3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2댐퍼(300)는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초기 위치로 복귀한 제2댐퍼(3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의 평형 상태에 도달할 수 있고, 유압이동부(130)를 밀폐하는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변속기로부터 클러치페달로 전달되는 진동(C)이 이동할 수 있는 유로인 제2댐퍼(300)의 슬롯(331)이 각각의 차단부(320)에 의해 폐쇄되어 클러치페달 측으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10)는 운전자가 클러치페달을 미 조작 시, 종래의 AVU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10)는 하나의 부품으로 종래의 레귤레이터 및 AVU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이상 특정 실시 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 20 : 클러치튜브
100 : 바디 101 : 내벽
102 : 상부 내벽 103 : 측부 내벽
104 : 하부 내벽 110 : 제1튜브연결부
120 : 제2튜브연결부 130 : 유압이동부
140 : 밀폐공간 200 : 제1댐퍼
210 : 제1댐퍼외벽 220 : 제1댐퍼내벽
300: 제2댐퍼 301 : 제2상부댐퍼
302 : 제2하부댐퍼 310, 310a, 310b : 결합부
320, 320a, 320b : 차단부 330, 330a, 330b : 슬롯부
331, 331a, 331b : 슬롯 R1 : 제1댐퍼내벽의 반경
R2 : 결합부의 반경 θ : 차단부의 기울기
A : 클러치페달로부터 변속기로 이동하는 유압
A1 : A가 댐퍼를 누르는 힘
B : 제2댐퍼가 제1댐퍼를 누르는 힘
C : 변속기로부터 클러치페달로 전달되는 진동
D : 변속기로부터 클러치페달로 이동하는 유압
E : 제1댐퍼 및 제2댐퍼의 결합에 의한 결합력

Claims (13)

  1. 클러치튜브를 통해 유압이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유압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튜브와 결합하는 바디;
    상기 클러치튜브로 전달되는 맥동을 저감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수용되는 제1댐퍼; 및
    상기 바디의 내벽과 상기 제1댐퍼 사이에 결합되고, 함께 상기 유압이동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상부댐퍼 및 상기 제2상부댐퍼의 하부에 접하는 제2하부댐퍼를 가지는 제2댐퍼;를 포함하는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는 상기 제1댐퍼와 상기 바디의 내벽 사이에 진공층 또는 공기층을 이루는 밀폐공간을 포함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의 측부 내벽으로부터 상기 바디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만곡되는 제1댐퍼외벽을 포함하는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는 상기 클러치튜브를 흐르는 유압에 의한 상기 제1댐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댐퍼외벽과 같은 방향으로 만곡되는 제1댐퍼내벽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댐퍼는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1댐퍼를 압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댐퍼내벽과 결합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댐퍼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클러치튜브로 전달되는 맥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내벽의 반경은 상기 결합부의 반경 이상인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댐퍼는 상기 차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클러치튜브를 통해 유압이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슬롯을 가지는 슬롯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부댐퍼의 상기 슬롯부와 상기 제2하부댐퍼의 상기 슬롯부는 중첩되는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부댐퍼의 상기 차단부와 상기 제2하부댐퍼의 상기 차단부는 서로 접하여 원형을 이룰 수 있도록 각각 반원형을 포함하는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부댐퍼는 상기 슬롯부가 하측으로 만곡되고, 상기 제2하부댐퍼는 상기 슬롯부가 상측으로 만곡되는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튜브를 통해 이동하는 유압의 스트로크 로스를 저감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댐퍼는 상기 바디의 상부 내벽과 상기 제1댐퍼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는 고무댐퍼를 포함하는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댐퍼는 금속댐퍼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
KR1020170085182A 2017-07-05 2017-07-05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 KR102485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182A KR102485244B1 (ko) 2017-07-05 2017-07-05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182A KR102485244B1 (ko) 2017-07-05 2017-07-05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879A true KR20190004879A (ko) 2019-01-15
KR102485244B1 KR102485244B1 (ko) 2023-01-06

Family

ID=65030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182A KR102485244B1 (ko) 2017-07-05 2017-07-05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24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2914A (ja) * 1987-04-30 1988-11-10 Yamaha Motor Co Ltd エンジンのリ−ド弁
KR100682772B1 (ko) * 2005-03-25 2007-02-15 주식회사평화발레오 차량의 클러치 제어 시스템에 제공되는 댐퍼
KR20080030741A (ko) * 2006-10-02 2008-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치 페달 진동저감장치
JP5450654B2 (ja) * 2009-01-22 2014-03-26 エフテーエー・オートモーティブ・ゲーエムベーハー 圧力の脈動を減じるための装置
KR101577774B1 (ko) * 2014-08-20 2015-12-15 장승원 라디에이터 캡
KR20160081074A (ko) * 2014-12-30 2016-07-0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개폐용 판막을 구비한 여과 겸용 개폐밸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2914A (ja) * 1987-04-30 1988-11-10 Yamaha Motor Co Ltd エンジンのリ−ド弁
KR100682772B1 (ko) * 2005-03-25 2007-02-15 주식회사평화발레오 차량의 클러치 제어 시스템에 제공되는 댐퍼
KR20080030741A (ko) * 2006-10-02 2008-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치 페달 진동저감장치
JP5450654B2 (ja) * 2009-01-22 2014-03-26 エフテーエー・オートモーティブ・ゲーエムベーハー 圧力の脈動を減じるための装置
KR101577774B1 (ko) * 2014-08-20 2015-12-15 장승원 라디에이터 캡
KR20160081074A (ko) * 2014-12-30 2016-07-0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개폐용 판막을 구비한 여과 겸용 개폐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244B1 (ko)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49795B (zh) 发动机悬置
CN107000527B (zh) 减震器
CN103711825A (zh) 缓冲器
CN101413563B (zh) 液体封入式防振装置
CN102165216B (zh) 液封式防振装置
JP2013100866A (ja) 防振ユニット
JP6956266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18155284A (ja) 防振装置
JP2001295876A (ja) 車両用油圧式緩衝器
BR0004155B1 (pt) sistema hidrÁulico de acionamento de embreagem compreendendo um amortecedor hidrÁulico.
CN109720186A (zh) 用于车辆的液压支座
KR20190004879A (ko) 차량용 클러치 맥동저감장치
CN101460761B (zh) 防振装置
JP6379219B2 (ja) シリンダ装置
US11279194B2 (en) Damper with reservoir
JP6513354B2 (ja) 防振装置
JP4081421B2 (ja) 防振マウント組立体
JPS58424A (ja) クラツチペダルの振動防止装置
JPH10141425A (ja) 防振装置
JP4077007B2 (ja) 液封入式防振装置及び液封入式防振装置ユニット
JP5616825B2 (ja) 液封入式防振装置
JP6803924B2 (ja) 緩衝器
JP2006070991A (ja) 緩衝器のバルブ構造
KR20190006640A (ko) 차량용 세미 액티브 엔진 마운트
JP2007278434A (ja) 液封入式防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