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514A - 커프붙이 튜브 - Google Patents

커프붙이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514A
KR20190002514A KR1020187032266A KR20187032266A KR20190002514A KR 20190002514 A KR20190002514 A KR 20190002514A KR 1020187032266 A KR1020187032266 A KR 1020187032266A KR 20187032266 A KR20187032266 A KR 20187032266A KR 20190002514 A KR20190002514 A KR 20190002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ff
tube
convex
body member
convex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2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3824B1 (ko
Inventor
마사키 히라마츠
유스케 이타쿠라
Original Assignee
다이켄 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켄 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켄 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2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34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02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M16/042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separate conduits for in-and expiration gas, e.g. for limited dead volu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34Cuffs
    • A61M16/0445Special cuff forms, e.g. undul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5/04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in the body, e.g. expan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커프붙이 튜브(1)는, 생체에서의 관 조직의 관 안쪽에 삽입 가능한 튜브(10)와, 튜브(1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튜브(1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의 유체 도입에 의해 팽창하는 커프(12)를 구비한다. 커프(12)는, 통형상을 가지며, 튜브(10)의 연신 방향에서의 일부 영역을 전체둘레에 걸쳐 덮음과 아울러, 통축 방향 양단 부분에서 튜브(10)의 연신 방향에서의 소정 부분에 각각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커프 본체 부재(120)와, 커프 본체 부재(120)의 내주면에서의 통축 방향 중간 부분에 대해, 커프 본체 부재(120)의 내측으로 향하여 돌출됨과 아울러, 커프(12)의 팽창시에 커프 본체 부재(120)의 외주면에 요철이 나타나도록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볼록 부재(121~123)를 가진다. 커프(12)는, 팽창시에 커프 본체 부재(120)의 외주면에서의 요철이 나타나는 부분이 관 조직에 대한 미끄럼 방지부가 된다.

Description

커프붙이 튜브
본 발명은, 생체의 관 조직 내에 삽입하기 위한 커프붙이 튜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생체의 관 조직 내에 삽입하기 위한 커프붙이 튜브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에서 제안되어 있는 커프붙이 튜브는, 튜브와, 튜브에 장착된 커프를 구비한다. 커프는, 튜브의 연신 방향의 일부 영역에 대해, 튜브의 외주면의 일부를 전체둘레에 걸쳐 덮도록 장착되어 있다. 커프에는, 튜브의 연신 방향을 따라 마련된 인플레이션 라인이 접속되어 있고, 인플레이션 라인을 통한 유체(기체, 액체)의 도입에 의해 팽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커프붙이 튜브를 좌측 기관지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우선,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튜브를 삽입한다. 이 때, 커프가 장착된 쪽을 선단측으로 하여 삽입한다. 그리고, 파이버 스코프나 X선 등을 이용한 확인에 의해, 튜브의 선단이 좌측 기관지와 좌상엽 기관지의 분기부의 약간 앞쪽에 도달한 시점에서 커프를 팽창시킨다.
커프는, 팽창에 의해, 그 커프의 외주면이 기관지의 내면에 밀하게 접촉된다. 이에 의해, 커프붙이 튜브를 이용한 시술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시술의 개시에 있어서는, 커프붙이 튜브를 삽입한 후에 환자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인공호흡기 등의 접속을 목적으로 튜브를 삽입하는 경우에는, 환자를 반듯이 누운 자세로 하고, 그 구강으로부터 튜브를 삽입하여 커프를 팽창시킨 후에, 환자의 자세를 옆으로 누운 자세로 변환한다. 그리고, 튜브에 인공호흡기를 접속한다.
커프붙이 튜브에 대해서는, 상기와 같은 환자의 자세 변화를 행하였을 때에도 커프의 정확한 고정 위치의 유지가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대해, 커프의 외주면에 미끄럼 방지부를 마련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특허문헌 2에서는, 커프의 외주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를 마련하여 미끄럼 방지부로 하고 있다. 이 구성의 커프붙이 튜브에 의하면, 튜브의 삽입 후에 환자의 자세 변화를 행하는 경우이어도 커프의 고정 위치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11-6759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 2013-202200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2에서 제안되어 있는 구조의 커프붙이 튜브에서는, 높은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어렵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2의 기술에서는, 커프 본체와 볼록부를 일체 형성하여 외주면에 볼록부를 갖는 커프를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커프 본체와 볼록부를 일체 성형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디핑 성형이 있는데, 디핑 성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 특허문헌 2의 기술에서는, 볼록부의 일부가 커프 본체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억제하여, 볼록부가 환자의 체내에 결손 부분이 잔류한다는 위험을 회피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2의 기술에서는, 안전성 확보라는 관점에서 일체 성형으로의 커프 제조를 행하기로 하고 있다.
한편, 제조 비용의 저감이라는 관점에서는, 블로우 성형 등을 이용하여 제조한 커프 본체 부재의 외주면에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볼록 부재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커프 본체 부재의 외주면에 별도의 부재인 볼록 부재를 접착한 구성에서는, 어떠한 원인으로 볼록 부재가 커프 본체 부재로부터 외측으로 벗겨져 환자의 관 조직 내에 잔류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프 본체 부재의 외주면에 볼록 부재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커프를 이용하는 것은 안전면에서 문제가 있다.
이상과 같은 과제는, 기관 삽관 튜브뿐만 아니라, 생체의 관 조직에 삽입하는 것과 같은 커프붙이 튜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높은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커프붙이 튜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는, 생체에서의 관 조직의 관 안쪽에 삽입 가능한 튜브와, 튜브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튜브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의 유체 도입에 의해 팽창하는 커프를 구비한다. 커프는, 통(筒)형상을 가지며, 튜브의 연신 방향에서의 일부 영역을 전체둘레에 걸쳐 덮음과 아울러, 통축 방향 양단 부분에서 튜브의 연신 방향에서의 소정 부분에 각각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커프 본체 부재와, 커프 본체 부재의 내주면에서의 통축 방향 중간 부분에 대해, 커프 본체 부재의 내측으로 향하여 돌출됨과 아울러, 커프의 팽창시에 커프 본체 부재의 외주면에 요철이 나타나도록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볼록 부재를 가진다.
그리고, 커프는, 팽창시에 커프 본체 부재의 외주면에서의 상기 요철이 나타나는 부분이 관 조직에 대한 미끄럼 방지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1)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사시도이다.
도 2는, 커프붙이 튜브(1)에서의 기관지 커프(12)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3은, 볼록 부재(121)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볼록 부재(122)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볼록 부재(123)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횡단면도이다.
도 6은, 기관지 커프(12)가 좌측 기관지(J3) 내에서 팽창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커프붙이 튜브(1)를 환자(J)의 기관(J2) 및 기관지(J3)에 삽관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8은, 블로우 성형을 이용하여 커프 본체 부재(120)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도포법을 이용하여 커프 본체 부재(120)의 한쪽 표면(120b)에 볼록 부재(121~123)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상태로부터 커프 본체 부재(120)를 뒤집은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3)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4)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5)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6)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제6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의 기관지 커프(72)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횡단면도이다.
도 16은, 제7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의 기관지 커프(82)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횡단면도이다.
도 17은, 제8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의 기관지 커프(92)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횡단면도이다.
도 18은, 볼록 부재(121~123)의 배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작하면서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 설명의 형태는 본 발명을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로서, 본 발명은 그 본질적인 구성을 제외하고 전혀 이하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형태]
1. 전체 구성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1)의 전체 구성에 대해,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1)는, 분리폐환기 용구(더블 루멘 기관 내 튜브)를 일례로 하고 있다.
커프붙이 튜브(1)는, 가늘고 긴 관인 튜브(10)를 가진다. 튜브(10)는, 환자의 기관에의 삽입시의 작업성을 고려하여 가요성을 가진다. 튜브(10)의 일단측에는, 기관 커프(1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튜브(10)에는, 기관 커프(11)가 장착된 개소보다 선단측에 기관지 커프(12)가 장착되어 있다. 기관 커프(11)와 기관지 커프(12)는, 튜브(10)의 연신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다.
튜브(10)의 타단에는, 분기부(13)를 개재하여 2개의 분기 튜브(14, 15)가 접속되어 있다. 분기 튜브(14, 15) 각각은, 포트(20, 21)를 개재하여 접속 튜브(22, 23)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 튜브(22, 23)는, 인공호흡기 등에 접속되는 것이다.
또한, 튜브(10)의 타단측에는, 2개의 인플레이션 라인(16, 17)도 접속되어 있다. 인플레이션 라인(16, 17) 각각의 선단부에는, 밸브(18, 19)가 장착되어 있다.
2점쇄선으로 둘러싸인 A1부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10)는, 서로 기밀(氣密) 분리된 기관 루멘(10c), 기관지 루멘(10d), 기관 커프용 세관(10e), 기관지 커프용 세관(10f)이 형성되어 있다. 기관 루멘(10c)은, 분기 튜브(15)를 개재하여 접속 튜브(23)에 접속되고, 2점쇄선으로 둘러싸인 A2부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이 기관 커프(11)가 장착된 개소보다 약간 앞의 부분에서 개구되어 있다(개구부(10a)). 이에 의해, 튜브(10)는, 기관 커프(11)가 장착된 개소보다 선단측 부분의 외경이 그 밖의 부분보다 소직경(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또한, 기관지 루멘(10d)은, 분기 튜브(14)를 개재하여 접속 튜브(22)에 접속되고, 다른 한쪽의 선단에서 개구되어 있다(개구부(10b)).
또, 기관 커프용 세관(10e)은, 일단이 기관 커프(11)의 내면과 튜브(10)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에 개구되고, 타단이 인플레이션 라인(17)에 접속되어 있다. 기관지 커프용 세관(10f)은, 일단이 기관지 커프(12)의 내면과 튜브(10)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에 개구되고, 타단이 인플레이션 라인(16)에 접속되어 있다.
2. 기관지 커프(12)의 구성
커프붙이 튜브(1)에 구비되는 기관지 커프(12)의 구성에 대해,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도 2에서는, 수축된 상태의 기관지 커프(12)에 대해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관지 커프(12)는, 통형상을 갖는 커프 본체 부재(120)와, 커프 본체 부재(120)의 내주면에 접합된 3개의 볼록 부재(121~123)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커프 본체 부재(120)는, 튜브(10)의 외주면에서의 X축 방향의 일부를 전체둘레에 걸쳐 덮는다.
또한, 커프 본체 부재(120)는, X축 방향(통축 방향)의 양단 부분에서 튜브(10)의 외주면에 기밀(氣密)하게 접합되고(접합 부분), 이에 의해 튜브(10)에의 커프(12)의 고정 부분(12a, 12b)이 구성되어 있다. 커프 본체 부재(120)는, X축 방향에 있어서 접합 부분들 사이에 위치하는 통 중간 부분을 가진다.
3개의 볼록 부재(121~123)는, 서로 X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X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도는 상태로, 커프 본체 부재(120)의 한쪽 표면(내주면)(120b)에서의 상기 통 중간 부분에 접합되어 있다. 도 2의 2점쇄선으로 둘러싸인 B부분에는, 커프 본체 부재(120)의 한쪽 표면(내주면)(120b)에 대해 볼록 부재(122)가 접합된 상태를 일례로서 나타내고 있다.
커프 본체 부재(120)에서는, 볼록 부재(121~123)가 접합되어 있는 상기 통 중간 부분은, 상기 접합 부분보다 X축 방향에 직교하는 지름 방향으로 대직경(큰 직경)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0)의 외주면과 기관지 커프(12)에서의 커프 본체 부재(120)의 내주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120a)은, 기관지 커프용 세관(10f)에 대해 연통공(10g)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인플레이션 라인(16)으로부터 유체(기체, 액체)가 도입된 경우, 기관지 커프용 세관(10f)을 개재하여 연통공(10g)을 통해 내부 공간(120a)에 유체(기체, 액체)가 충전된다. 이에 따라, 기관지 커프(12)가 팽창한다.
3. 볼록 부재(121~123)의 형상
기관지 커프(12)에서의 볼록 부재(121~123)의 형상에 대해, 도 3~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III-III 단면에서의 볼록 부재(121)의 모식 횡단면 구성을 나타내고, 도 4는 도 2의 IV-IV 단면에서의 볼록 부재(122)의 모식 횡단면 구성을 나타내며, 도 5는 도 2의 V-V 단면에서의 볼록 부재(123)의 모식 횡단면 구성을 나타낸다. 또, 도 3~도 5에서는 알기 쉽게 커프 본체 부재(120)의 외형 단면을 원환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그 상태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 부재(121)는, 모두 호(弧)형상을 갖는 부재 요소(121a, 121b)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재 요소(121a)는, 커프 본체 부재(120)의 한쪽 표면(내주면)(120b)에 대해 둘레방향 영역(AR11)에서 밀(密)하게 접합되고, 부재 요소(121b)는, 커프 본체 부재(120)의 한쪽 표면(내주면)(120b)에 대해 둘레방향 영역(AR12)에서 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부재 요소(121a)와 부재 요소(121b)는, 호의 단부끼리가 이간되어 있고, 커프 본체 부재(120)의 한쪽 표면(내주면)(120b)이 직접 내부 공간(120a)을 향한다(둘레방향 영역(AR13, AR14)). 다시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기관지용 커프(12)에서는, 커프 본체 부재(120)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볼록 부재(121)가 둘레방향 영역(AR13, AR14)에서 끊어진 횡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 부재(122)도, 모두 호형상을 갖는 부재 요소(122a, 122b)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재 요소(122a, 122b)는, 커프 본체 부재(120)의 한쪽 표면(내주면)(120b)에 대해 각각 둘레방향 영역(AR21, AR22)에서 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볼록 부재(122)에 대해서도, 둘레방향 영역(AR23, AR24)에서 끊어진 횡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볼록 부재(122)의 끊어진 부분인 둘레방향 영역(AR23, AR24)에 대해서는, 볼록 부재(121)의 끊어진 부분인 둘레방향 영역(AR13, AR14)에 대해 90°의 위상차를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 부재(123)도, 모두 호형상을 갖는 부재 요소(123a, 123b)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재 요소(123a, 123b)는, 커프 본체 부재(120)의 한쪽 표면(내주면)(120b)에 대해 각각 둘레방향 영역(AR31, AR32)에서 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볼록 부재(123)에 대해서도, 둘레방향 영역(AR33, AR34)에서 끊어진 횡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볼록 부재(123)의 끊어진 부분인 둘레방향 영역(AR33, AR34)에 대해서는, 볼록 부재(121)의 끊어진 부분인 둘레방향 영역(AR13, AR14)과 동위상이며, 볼록 부재(122)의 끊어진 부분인 둘레방향 영역(AR23, AR24)에 대해 90°의 위상차를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볼록 부재(121~123)를 위상차를 가지고 배치함으로써, 3개의 볼록 부재를 겹치고, 지면(紙面)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평면(平面)으로 보는 경우에는, 어떤 볼록 부재의 끊어진 부분에 대해 다른 볼록 부재의 호형상 부분이 겹침으로써, 전체적으로 둘레 상에 끊어진 부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커프(12)의 통축 방향(튜브(10)의 연신 방향)에서의 높은 시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도 3~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둘레방향 영역(AR13, AR14, AR23, AR24, AR33, AR34)에 대해서는, 횡단면에서 각각 20°~40°(예를 들어 30°)의 각도 영역으로 하고 있다. 단, 이에 대해서는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4. 기관지 커프(12)의 팽창 상태에서의 형태
기관지 커프(12)의 팽창 상태에서의 형태에 대해,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기관지 커프(12)가 좌측 기관지(J3) 내에서 팽창한 상태에서의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내부 공간(120a)에 대해 기관지 커프용 세관(10f) 및 연통공(10g)을 통해 유체가 도입되면, 도입된 유체의 용량에 따라 내부 공간(120a)이 팽창한다. 이에 의해, 기관지 커프(12)의 커프 본체 부재(120)의 통 중간 부분(X축 방향에서의 접합 부분들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X축 방향에 직교하는 지름 방향으로 향하여 직경 확대된다. 이 때, 커프 본체 부재(120)의 내주면에 접합되어 있는 볼록 부재(121~123)에 대해서도, 추종하여 직경 확대된다. 그리고, 도 6의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C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의 충전 압력이 소정값에 도달한 시점에서, 기관지 커프(12)에서의 커프 본체 부재(120)의 외주면의 일부가 좌측 기관지(J3)에 밀하게 접촉한다.
여기서, 도 6의 C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프 본체 부재(120)에서의 한쪽 표면(내주면)(120b)은, 볼록 부재(122)가 접합된 개소에서 지름 방향 외향으로 오목하다. 그리고, 커프 본체 부재(120)에서의 다른 쪽 표면(외주면)(120c)은, 한쪽 표면(내주면)(120b)이 오목한 개소에서 마찬가지로 지름 방향 외향으로 볼록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용기에 유체를 충전함에 따라, 내주면이 자연 평형 형상을 취하도록 힘이 작용하여 변위하는 것에 기인하는 것이다.
또, 도 6의 C부분에서는, 볼록 부재(122)가 접합된 개소만을 발췌하여 도시하였지만, 다른 볼록 부재(121, 123)가 접합된 개소에서의 팽창시의 형태도 마찬가지가 된다. 이에 따라, 커프(12)의 팽창시에, 커프 본체 부재(120)의 다른 쪽 표면(외주면)(120c)에서의, 한쪽 표면(내주면)(120b)에 볼록 부재(121~123)가 접합된 영역에 요철이 나타난다.
따라서, 기관지 커프(12)에서는, 팽창시에 커프 본체 부재(120)의 한쪽 표면(내주면)(120b)에 볼록 부재(121~123)가 접합된 개소 및 그 주변 영역에서 오목과 볼록이 반복된 형태를 취한다. 이 때문에, 이러한 영역이 기관지 커프(12)의 팽창시에서의 미끄럼 방지부로서 기능하게 된다.
5. 삽관 순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1)의 삽관 순서에 대해,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1)는, 분리폐환기 용구로서, 삽관 후에 인공호흡기 등을 접속하고 환자(J)의 우폐와 좌폐를 분리하여 환기하기 위한 용구이다.
우선, 삽관에 앞서는 준비로서, 튜브(10)에 스타일렛(도시생략)을 삽입한다.
또한, 환자(J)의 체위를 반듯이 누운 자세로 함과 아울러 스니핑 포지션으로 한다.
다음에, 기관 커프(11) 및 기관지 커프(12)를 수축시킨 상태로, 환자(J)의 구강(J1)으로부터 커프붙이 튜브(1)를 삽입한다. 커프붙이 튜브(1)의 선단부(개구부(10b) 측의 선단부)를 기관(J2)으로부터 좌측 기관지(J3)까지 삽입한다. 그리고, 선단부가 좌상엽 기관지의 분기 부분까지 삽입된 시점에서 삽입을 정지한다.
다음에, 기관(J2) 및 좌측 기관지(J3)에 대한 커프붙이 튜브(1)의 위치를 유지하면서, 스타일렛을 빼고 인플레이션 라인(16, 17)의 선단에 장착된 밸브(18, 19)에 각각 커프용 실린지를 접속한다. 그리고, 각 커프용 실린지로부터 유체를 송출하여, 기관(J2) 내에서 기관 커프(11)를 팽창시키고, 좌측 기관지(J3) 내에서 기관지 커프(12)를 팽창시킨다.
그 후, 환자(J)의 자세를 반듯이 누운 자세로부터 옆으로 누운 자세로 변환하여, 접속 튜브(22, 23)(도 7에서는, 접속 튜브(22)만을 도시)에 인공호흡기를 접속한다.
6. 구조면에서의 효과
좌측 기관지(J3)에 대한 기관지 커프(12)의 고정은, 성인 남성이라도 좌측 기관지(J3)에서의 4~5cm라는 좁은 범위 내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기관지 커프(12)의 팽창 후, 환자(J)의 체위를 반듯이 누운 자세로부터 옆으로 누운 자세로 변환할 필요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도,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1)에서는, 적어도 기관지 커프(12)에 미끄럼 방지 기능을 부여하였으므로, 좌측 기관지(J3)에 대한 기관지 커프(12)의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기 어렵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1)에서는, 커프 본체 부재(120)의 내주면에 대해 볼록 부재(121~123)를 접합함으로써, 미끄럼 방지 기능을 부여하고 있다. 이 때문에, 만약 어떠한 원인으로 볼록 부재(121~123)의 일부가 커프 본체 부재(120)로부터 박리되는 것과 같은 경우가 있더라도, 박리된 볼록 부재(121~123)는, 커프 본체 부재(120)의 안쪽으로 떨어져 환자(J)의 체내에 잔류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에서는,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에서는, 커프 본체 부재(120)에 대해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상의 볼록 부재(121~123)를 접합하였으므로, 튜브(10)의 축방향으로의 미끄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 볼록 부재(121~123)에 대해서는, 도는 방향으로 일부가 끊어진 형상의 것으로 하였으므로, 기관지 커프(12)의 수축시에서의 볼록 부재(121~123)의 굴곡을 막을 수 있고, 팽창시에서의 원하는 형상을 얻는 데에 우위이다. 구체적으로, 도 3~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 부재(121~123)에서의 각 부재 요소(121a, 122a, 123a)와 각 부재 요소(121b, 122b, 123b)의 호의 단부끼리가 둘레방향 영역(AR13, AR14, AR23, AR24, AR33, AR34)에서 이간되어 있다. 이들 끊어진 부분(둘레방향 영역(AR13, AR14, AR23, AR24, AR33, AR34))을 마련함으로써, 기관지 커프(12)의 수축시에 각 부재 요소(121a, 121b, 122a, 122b, 123a, 123b)가 굴곡되거나 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각 볼록 부재(121~123)는, 팽창시에도 도 3~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호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미끄럼 방지부로서의 기능을 보다 확실히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1)에서는, 기관지 커프(12)에 3개의 볼록 부재(121~123)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하나의 볼록 부재만을 구비하는 경우에 비해 높은 미끄럼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3개의 볼록 부재(121~123)에서의 끊어진 부분의 위상에 대해, 적어도 일부에서 위상차를 가지고 배치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좌측 기관지(J3)에 대한 높은 시일성의 확보라는 관점에서 우수하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위상차를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보다 높은 시일성을 확보하는 데에 우위이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1)는 높은 안전성을 가진다.
7. 기관지 커프(12)의 제조 방법
기관지 커프(12)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 8~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우 성형법을 이용하여 커프 본체 부재(120)를 형성한다. 커프 본체 부재(120)의 형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우레탄, 실리콘 고무나 천연고무 등을 채용할 수 있다.
형성된 커프 본체 부재(120)는, 도 2 등에 도시된 상태에 대해, 한쪽 표면(120b)이 외주면으로 되어 있고, 다른 쪽 표면(120c)이 내주면으로 되어 있다. 커프 본체 부재(120)의 형상에 대해서는, 양단 부분에 소직경 부분(120e, 120i)을 가지며, 중간 부분에 대직경 부분(120g)을 가짐과 아울러, 소직경 부분(120e, 120i)과 대직경 부분(120g)의 각 사이에 서로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 부분(120f, 120h)을 가진다. 연결 부분(120f, 120h)은, 외향으로 볼록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프 본체 부재(120)의 한쪽 표면(120b)에 대해 3개의 볼록 부재(121~123)를 형성한다. 3개의 볼록 부재(121~123)의 형성은, 예를 들어 고점도의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행한다. 또한, 접착제의 도포에는, 예를 들어 잉크젯법이나 롤코팅법 등의 도포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시켜 경화시킴으로써 볼록 부재(121~123)를 형성할 수 있다. 완성된 볼록 부재(121~123)는, 커프(12)의 예상되는 팽창 범위에서 커프 본체 부재(120)와 동일하거나 보다 높은 유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 부재(121~123)의 형성에 이용하는 구체적인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UV 경화형 등의 아크릴 수지계 접착제, 니트릴 고무계 등의 고무계 용제형 접착제, 염화비닐 수지계 용제형 접착제, 실리콘 수지계 접착제, 변성 실리콘 수지계 접착제, 변성 실리콘 수지에 에폭시 수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접착제, 시릴화 우레탄 수지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프 본체 부재(120)의 표리를 뒤집는다(화살표 D1, D2). 이에 의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프 본체 부재(120)의 한쪽 표면(120b)이 내면측이 되고, 다른 쪽 표면(120c)이 표면측이 된다. 볼록 부재(121~123)도, 내면측에 배치되어 내부 공간(120a)을 향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커프(12)가 완성된다.
8. 제조 방법 면에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12)는, 예를 들어 블로우 성형 등으로 미리 커프 본체 부재(120)를 형성하고, 그 후에 볼록 부재(121~123)를 접합하므로, 상기 특허문헌 2와 같이, 예를 들어 디핑 성형 등을 이용하여 커프에 볼록부를 일체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제조 방법의 선택 자유도가 높아져 제조 비용의 저감이 가능하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 대해,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3)의 구성 중, 기관지 커프(32) 및 그 주변 영역만을 발췌하여 도시하고 있다. 또, 도 11에서, 상기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1)와 동일한 구성의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하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프붙이 튜브(3)에서의 기관지 커프(32)에는, 커프 본체 부재(120)의 한쪽 표면(내주면)(120b)에 하나의 볼록 부재(321)가 배치되어 있다. 볼록 부재(321)는, X축 방향에 있어서 커프 본체 부재(120)에서의 대직경 부분의 대략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볼록 부재(321)에 대해서도, 커프 본체 부재(120)의 한쪽 표면(내주면)(120b)에 대해 일부에서 끊어진 호형상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3)에서도, 기관지 커프(32)의 팽창시에, 커프 본체 부재(120)의 다른 쪽 표면(외주면)(120c)의 일부(볼록 부재(321)가 배치된 개소와 그 주변 부분)가 미끄럼 방지부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기관지 커프(32)에서는, 볼록 부재(321)의 형성수를 "하나"로 하여, 상기 제1 실시형태보다 줄였다. 이에 의해, 기관지 커프(32)에서는, 그 팽창시에서의 커프 본체 부재(120)의 대직경 부분 내의 시일 영역을 넓게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높은 시일성을 확보하는 데에 우위이다.
또한, 볼록 부재(321)의 개수를 "하나"로 하였으므로, 복수개의 볼록 부재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형성에 관한 공정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3)에서는, 그 제조 비용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볼록 부재(321)에 대해서도, 도중에 끊어진 부분을 가지고 있으므로, 하나가 아니라 2개라는 견해도 가능하다.
[제3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에 대해,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대해서도,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4)의 구성 중, 기관지 커프(42) 및 그 주변 영역만을 발췌하여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2에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1)와 동일한 구성의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하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프붙이 튜브(4)에서의 기관지 커프(42)에는, 커프 본체 부재(120)의 한쪽 표면(내주면)(120b)에 2개의 볼록 부재(421, 422)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2개의 볼록 부재(421, 422)는, X축 방향에 있어서 커프 본체 부재(120)에서의 대직경 부분의 대략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볼록 부재(421, 422)도, 각각이 커프 본체 부재(120)의 한쪽 표면(내주면)(120b)을 따라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상으로서, 일부에서 끊어진 호형상으로 되어 있다.
볼록 부재(421)와 볼록 부재(422)는, 끊어진 부분끼리가 위상차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의 볼록 부재(121)와 도 4의 볼록 부재(122)의 관계, 혹은 도 4의 볼록 부재(122)와 도 5의 볼록 부재(123)의 관계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4)에서는, 기관지 커프(42)에 2개의 볼록 부재(421, 422)를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하였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록 부재(421, 422)의 개수를 "2개"로 함으로써, 개수가 "하나"인 경우에 비해 보다 높은 미끄럼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기관지 커프(42)에서는, 2개의 볼록 부재(421, 422)를 구비함으로써, 기관지 커프(42)에서는, 그 팽창시에서의 커프 본체 부재(120)의 대직경 부분 내의 시일 영역을 넓게 취할 수 있다. 또한, 각 볼록 부재(421, 422)끼리를 서로 위상차를 부여하여 배치하였으므로, 높은 시일성을 확보하는 데에 우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관지 커프(42)에 2개의 볼록 부재(421, 422)를 배치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비해 볼록 부재(421, 422)의 형성에 관한 공정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볼록 부재(421, 422)에 대해서도, 각각이 도중에 끊어진 부분을 가지고 있으므로, 2개가 아니라 4개라는 견해도 가능하다.
[제4 실시형태]
제4 실시형태에 대해,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대해서도,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4)의 구성 중, 기관지 커프(52) 및 그 주변 영역만을 발췌하여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3에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12)와 동일한 구성의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하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52)에서는, 커프 본체 부재(120)의 한쪽 표면(내주면)(120b)에 복수의 볼록 부재(521)가 분산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볼록 부재(521)는, 대략 반구 형상(도트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볼록 부재(521)끼리는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도 13에서는, 복수의 볼록 부재(521)는, 커프 본체 부재(120)의 한쪽 표면(내주면)(120b)에 대해 X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열을 이룬 상태로 도시하고 있지만, 복수의 볼록 부재(521)의 배치 형태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랜덤(비규칙적)으로 배치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관지 커프(52)에 복수의 볼록 부재(521)를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하였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도, 커프 본체 부재(120)의 한쪽 표면(내주면)(120b)에 볼록 부재(521)를 접합하여 커프(52)를 구성함으로써, 기관지 커프(52)의 팽창시에, 커프 본체 부재(120)의 다른 쪽 표면(외주면)(120c)에서의 볼록 부재(521)를 접합한 영역이 미끄럼 방지부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환자의 자세 변화 등에 의해서도, 기관지 커프(52)의 고정 위치에 대해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구 형상의 볼록 부재(521)를 복수 마련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선형상의 볼록 부재를 마련하는 경우에 비해 형성에 관한 번잡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데에 우위이다. 형성 방법은, 예를 들어 잉크젯법 등으로 간헐적으로 접착제를 도포하고 건조시킨다는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제5 실시형태]
제5 실시형태에 대해,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대해서도,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6)의 구성 중, 기관지 커프(62) 및 그 주변 영역만을 발췌하여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4에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1)와 동일한 구성의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하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기관지 커프(62)에서는, 커프 본체 부재(120)의 한쪽 표면(내주면)(120b)에 대해 하나의 볼록 부재(621)가 나선 형상을 이루도록 접합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62)에서는, X축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방향에 대해 경사 방향이 되도록 볼록 부재(621)가 배치되어 있다.
또, 볼록 부재(621)는, X축 방향에 있어서 커프 본체 부재(120)의 대직경 부분에서의 통축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볼록 부재(621)도, 일부에서 끊어진 호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볼록 부재(621)는 하나가 아니라 복수개라는 견해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6)에서도, 커프(62)에 있어서, 커프 본체 부재(120)의 다른 쪽 표면(외주면)(120c)의 일부가 미끄럼 방지부로서 기능하고, 다른 일부가 시일부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커프붙이 튜브(6)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환자(J)의 좌측 기관지(J3)에 대한 높은 시일성을 확보하면서, 예를 들어 환자의 자세를 반듯이 누운 자세로부터 옆으로 누운 자세로 변환하는 등의 경우에도, 기관지 커프(62)의 고정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제6 실시형태에 대해,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기관지 커프(72)를 그 통축 방향(X축 방향)의 한쪽에서 본 모식 횡단면도이며,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의 도 3~도 5에 상당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관지 커프(72)에서는, 볼록 부재(721)가 닫힌 원환 형상을 이루고 끊어진 부분을 가지지 않았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볼록 부재(721)의 배치에 의해서도, 팽창시에서의 미끄럼 방지부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또, 기관지 커프(72)에서도, 그 팽창시에, 볼록 부재(721)가 적어도 커프(72)의 팽창 범위에서 커프 본체 부재(120)와 동일하거나 보다 높은 유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커프(72)의 팽창시에, 볼록 부재(721)가 커프 본체 부재(120)에 유연하게 추종하여, 커프 본체 부재(120)의 외주면에의 요철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에서도, 기관지 커프(72)가 환자(J)의 좌측 기관지(J3)에 대한 높은 시일성을 가짐과 아울러 미끄럼 방지 기능도 구비한다.
또, 도 15에서는, 하나의 볼록 부재(721)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복수의 볼록 부재가 통축 방향(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모든 볼록 부재를 닫힌 원환 형상으로 해도 되고, 일부의 볼록 부재에 대해 둘레 상의 일부에서 끊어진 호형상으로 해도 된다.
[제7 실시형태]
제7 실시형태에 대해,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기관지 커프(82)를 통축 방향(X축 방향)의 한쪽에서 본 모식 횡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관지 커프(82)에 있어서, 볼록 부재(821)는 대략 C자형을 하고 있다. 볼록 부재(821)는, 커프 본체 부재(120)의 한쪽 표면(내주면)(120b)에 대해 둘레방향 영역(AR81)에서 밀하게 접합되고, 둘레방향 영역(AR82)에서 끊어진 횡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기관지 커프(82)에서는, 둘레 상 1개소에서 끊어진 볼록 부재(821)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를 채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의 볼록 부재(121~123)를 구비하는 기관지 커프(12)와 마찬가지로, 그 팽창시에 커프 본체 부재(120)의 다른 쪽 표면(외주면)에서의 볼록 부재(821)가 형성된 영역이 미끄럼 방지부로서의 기능을 한다.
그리고, 커프 본체 부재(120)의 대직경 부분에서의 다른 부분이, 환자(J)의 좌측 기관지(J3)에 대한 시일부로서의 기능을 한다. 이상으로부터, 끊어진 부분이 둘레 상 1개소 존재하는 볼록 부재(821)를 갖는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도 16에서는, 하나의 볼록 부재(821)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복수의 볼록 부재가 통축 방향(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끊어진 부분 둘레방향 영역(AR82)끼리를 서로 위상을 어긋나게 한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제8 실시형태]
제8 실시형태에 대해,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기관지 커프(92)를 통축 방향(X축 방향)의 한쪽에서 본 모식 횡단면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관지 커프(92)에 구비하는 볼록 부재(921)는, 모두 호형상을 갖는 8개의 부재 요소(921a~921h)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재 요소(921a~921h)는, 각각 커프 본체 부재(120)의 한쪽 표면(내주면)(120b)에 대해 둘레방향 영역(AR91~AR98)에서 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8개의 부재 요소(921a~921h)의 인접한 요소끼리는, 호의 단부끼리가 이간되어 있고, 이 이간된 각 영역에서는, 커프 본체 부재(120)의 한쪽 표면(내주면)(120b)이 직접 내부 공간(120a)을 향한다(둘레방향 영역(AR99~AR106)). 다시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기관지용 커프(92)에서는, 커프 본체 부재(120)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볼록 부재(921)가 둘레방향 영역(AR99~AR106)에서의 8개소에서 끊어진 횡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에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 등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도 17에서는, 부재 요소(921a~921h)가 존재하는 영역(AR91~AR98)과, 끊어진 영역(둘레방향 영역(AR99~AR106))이 거의 동등한 둘레 길이로 하고 있지만, 반드시 둘레 길이를 동등하게 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각 부재 요소(921a~921h)의 둘레 길이보다 끊어진 영역(둘레방향 영역(AR99~AR106))의 둘레 길이가 짧다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부재 요소(921a~921h)끼리의 둘레 길이나 끊어진 영역(둘레방향 영역(AR99~AR106))끼리의 둘레 길이에 대해서도 각각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커프에서 통축 방향에서의 볼록 부재의 배치 영역]
커프에서 통축 방향(X축 방향)에서의 볼록 부재의 배치 형태에 대해, 도 1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8에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의 기관지 커프(12)를 일례로서 채용하고, 환자(J)의 좌측 기관지(J3) 내에서 커프(12)를 팽창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프 본체 부재(120)는, 통 양단 부분이 튜브(10)에의 고정 부분을 가진다. 커프 본체 부재(120)에 있어서, 고정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소직경이다. 또한, 커프 본체 부재(120)는, 커프(12)의 팽창시에 환자(J)의 좌측 기관지(J3)의 내벽에 접촉하는 대직경 부분을 가짐과 아울러, 소직경의 고정 부분과 대직경 부분의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 부분을 가진다.
여기서, 커프 본체 부재(120)의 내주면에 3개의 볼록 부재(121~123)가 접합되어 있는 영역(E1, E2)은, 대직경 부분의 X축 방향 중간의 위치에 있다(통 중간 부분). 그리고, X축 방향에 있어서, 대직경 부분에서의 영역(E1, E2)의 양 외측 영역(E3~E6)은, 환자(J)의 좌측 기관지(J3)에 밀하게 접촉하는 시일 부분이다.
이상과 같이, 커프(12)에 있어서, 커프 본체 부재(120)의 대직경 부분 중, X축 방향에서의 연결 부분과의 경계로부터 간격을 둔 영역(통 중간 부분)에 미끄럼 방지부를 마련하고, 그 양 외측을 시일 부분으로서 기능하도록 하였으므로, 우수한 시일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우수한 미끄럼 방지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영역(E1, E2)에 대해서도, 시일 기능을 갖는 것이고, 이 기능에 더하여 미끄럼 방지 기능도 갖는 것이다. 이 때문에, 기관지 커프에 있어서, 대직경 부분의 전체에 걸쳐 서로 간격을 둔 복수의 볼록 부재를 배치하는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볼록 부재와 볼록 부재의 사이가 각각 시일성을 담보하는 영역이 되고, 볼록 부재를 마련한 부분과 그 근방이 기관지(J3)에 대한 미끄럼 방지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영역(E1, E2)은, 커프 본체 부재(120)의 대직경 부분에 대해, X축 방향의 중앙 부분에 마련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X축 방향의 한쪽에 오프셋시켜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볼록 부재의 형태에 대해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의 형태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실시형태 내지 상기 제8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관한 볼록 부재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형예]
상기 제1 실시형태 내지 상기 제8 실시형태에서는, 기관지 커프(12, 32, 42, 52, 62, 72, 82, 92)에 미끄럼 방지부를 마련하는 점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기관 커프(11)에 마찬가지의 미끄럼 방지부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기관 커프(11)에도 미끄럼 방지부를 마련한 경우에는, 환자(J)의 자세 변환 등일 때에 기관(J2)에 대한 기관 커프(11)의 미끄럼도 방지할 수 있어 기관 커프(11)의 정확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기관 커프(11)에만 상기 미끄럼 방지부를 마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 내지 상기 제8 실시형태에서는, 더블 루멘 기관 내 튜브를 커프붙이 튜브의 일례로서 채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는, 혈관, 담관, 식도, 요도, 기타 생체의 관 조직 내에 삽입하는 튜브와, 관 조직 내의 일부에서 팽창 가능한 커프를 갖는 다른 용구에 대해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의 사용 대상에 대해서는, 인체의 관 조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개나 소 등의 동물의 관 조직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커프붙이 튜브(1)를 구강(J1)으로부터 삽관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커프붙이 튜브를 비강(J4)으로부터 삽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이와 같이 비강(J4)으로부터 삽관하는 경우에는, 튜브의 지름이나 커프의 크기 등을 비강 크기에 적합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 내지 상기 제8 실시형태에서는, 볼록 부재(121~123, 321, 421, 422, 521, 621, 721, 821, 921)의 횡단면 형상을 반원 형상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반타원 형상이나, 다각 형상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볼록 부재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 내지 상기 제8 실시형태에서는, 둘레방향으로 균일한 높이(두께)의 볼록 부재(121~123, 321, 421, 422, 521, 621, 721, 821, 921)를 접합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의 커프에서는, 둘레방향에 있어서 두께에 편차를 갖는(둘레방향으로 얇은 두께가 있는) 볼록 부재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4 실시형태에서는, 도트형상의 볼록 부재(521)를 커프 본체 부재(120)의 한쪽 표면(내주면)(120b)의 전체둘레에 걸쳐 마련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둘레 상의 일부에 마련하고 나머지 부분에는 마련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팽창시에서의 미끄럼 방지부로서의 기능을 얻을 수 있음과 아울러, 탈기시(커프의 수축시)에서의 볼록 부재의 굴곡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둘레 상의 일부에 볼록 부재(521)를 마련하지 않은 영역(볼록 부재(521)가 끊어진 영역)을 설정하면, 팽창시에서의 볼록 부재의 형상을 원하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 내지 상기 제8 실시형태에서는, 커프 본체 부재(120)의 한쪽 표면(내주면)(120b)에 대한 볼록 부재(121~123, 321, 421, 422, 521, 621, 721, 821, 921)의 접합을 접착에 의한 것으로 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용하는 재료에 따라서는 열을 이용한 용착 등의 접합 방법이나 초음파 접합법 등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 내지 상기 제8 실시형태에서는, 기관지 커프(12, 32, 42, 52, 62, 72, 82, 92)에서의 시일성을 확보하기 위해, 커프 본체 부재(120)의 대직경 부분에서의 통축 방향의 일부 영역에만 미끄럼 방지부를 마련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에서는, 대직경 부분에서의 통축 방향의 전체 영역에 미끄럼 방지부를 마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서도, X축 방향에서의 볼록 부재들 사이의 영역이 기관지(J3)에 대한 시일성을 담보하는 영역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태양]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는, 생체에서의 관 조직의 관 안쪽에 삽입 가능한 튜브와, 튜브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튜브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의 유체 도입에 의해 팽창하는 커프를 구비한다. 커프는, 통형상을 가지며, 튜브의 연신 방향에서의 일부 영역을 전체둘레에 걸쳐 덮음과 아울러, 통축 방향 양단 부분에서 튜브의 연신 방향에서의 소정 부분에 각각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커프 본체 부재와, 커프 본체 부재의 내주면에서의 통축 방향 중간 부분에 대해, 커프 본체 부재의 내측으로 향하여 돌출됨과 아울러, 커프의 팽창시에 커프 본체 부재의 외주면에 요철이 나타나도록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볼록 부재를 가진다.
그리고, 커프는, 팽창시에 커프 본체 부재의 외주면에서의 상기 요철이 나타나는 부분이 관 조직에 대한 미끄럼 방지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태양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에서는, 커프 본체 부재의 내주면에서의 통축 방향 중간 부분에 볼록 부재를 접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이, 커프의 팽창시에 커프 본체 부재의 외주면에서의, 내주면에 볼록 부재가 접합된 개소 및 그 주변 영역에서 요철이 나타난다. 이에 따라, 커프의 팽창시에 커프 본체 부재의 외주면에 요철이 나타나는 부분이 관 조직에 대한 미끄럼 방지부로서 기능하게 된다.
본 태양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에서는, 커프 본체 부재의 내주면에 볼록 부재를 접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만약 커프 본체 부재로부터 볼록 부재가 박리되는 것과 같은 사태가 발생해도, 박리된 볼록 부재는, 커프 본체 부재의 안쪽으로 떨어져 환자의 체내에 잔류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상기 태양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에서는,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태양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에서는, 커프 본체 부재와 볼록 부재를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해 두고, 이를 접합함으로써 커프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특허문헌 2에서 제안한 기술과 같이,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상기 특허문헌 2에서 제안한 기술에서는, 예를 들어 디핑 성형 등에 의해 외주면에 미끄럼 방지부를 일체 형성하기 때문에, 제조 방법에 기인하여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지만, 본 태양에서는 커프 본체 부재와 볼록 부재를 별도의 부재로서 마련할 수 있으므로, 제조 방법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커프 본체 부재의 제조에는 블로우 성형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태양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에서는, 높은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에서는, 상기 태양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에 있어서, 볼록 부재가 제1 볼록 부재 및 제2 볼록 부재 및 제3 볼록 부재를 포함하고, 제1 볼록 부재 및 제2 볼록 부재 및 제3 볼록 부재는, 커프 본체 부재의 통축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태양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에서는, 커프 본체 부재의 내면을 측면으로 본 경우에, 모두 제1 볼록 부재 및 제2 볼록 부재 및 제3 볼록 부재가 병행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3개의 제1 볼록 부재, 제2 볼록 부재, 제3 볼록 부재를 커프 본체 부재에 접합함으로써, 커프의 팽창시에 커프 본체 부재의 해당 영역에 오목과 볼록이 교대로 복수 형성되어, 미끄럼 방지부로서의 기능이 한층 더 높아진다.
또, 본 발명은, 볼록 부재가 2개의 볼록 부재(제1 볼록 부재, 제2 볼록 부재)를 포함한 구성, 즉 병행하는 2개의 볼록 부재를 커프 본체 부재의 내면에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형태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는, 상기 태양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에 있어서, 제1 볼록 부재 및 제2 볼록 부재 및 제3 볼록 부재가, 각각 커프 본체 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 태양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에서는, 도트형상의 볼록 부재를 채용하는 경우에 비해, 커프의 팽창시에서의 미끄럼 방지 기능이 보다 높게 발휘된다. 즉, 선형상의 볼록 부재를 채용하여 상기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도트형상의 볼록 부재로 하는 경우에 비해, 커프의 팽창시에서의 커프 본체 부재의 통축 방향으로의 마찰력을 늘릴 수 있어 미끄럼 방지 기능이 높아진다.
볼록 부재가 하나의 볼록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 하나의 볼록 부재를 선형상으로 하는 것, 및 볼록 부재가 2개의 볼록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 2개의 볼록 부재 각각을 선형상으로 하는 것도 본 발명은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는, 상기 태양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에 있어서, 커프 본체 부재를 통축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단면(斷面)으로 보는 경우에, 선형상의 제1 볼록 부재, 제2 볼록 부재 및 제3 볼록 부재 각각이, 커프 본체 부재의 둘레방향에 대해, 일부가 끊어진 호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 태양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에서는, 커프의 수축시에 각 끊어진 부분이 볼록 부재의 굴곡을 억제하는 영역으로서 기능한다. 이에 따라, 본 태양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에서는, 커프의 수축시에서의 볼록 부재(제1 볼록 부재, 제2 볼록 부재, 제3 볼록 부재)의 굴곡을 억제할 수 있고, 팽창시에서의 제1 볼록 부재, 제2 볼록 부재 및 제3 볼록 부재의 각 형상을 원하는 형상(호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태양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에서는, 팽창시에서의 커프의 미끄럼 방지 기능이 보다 높게 발휘된다.
또, 커프 본체 부재에 접합하는 볼록 부재가 하나 혹은 2개의 볼록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끊어진 부분을 마련함으로써, 커프의 수축시에서의 굴곡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볼록 부재, 제2 볼록 부재 및 제3 볼록 부재 중, 일부의 볼록 부재가 둘레 상에 끊어진 부분을 갖는 호형상의 것으로 하고, 나머지 볼록 부재가 끊어진 부분을 가지지 않는 환상의 것으로 하는 것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는, 상기 태양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에 있어서, 커프 본체 부재를 통축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평면으로 보는 경우에, 제1 볼록 부재 및 제2 볼록 부재 및 제3 볼록 부재가, 하나의 볼록 부재에서의 끊어진 부분에 대해 다른 볼록 부재에서의 호형상 부분이 겹침으로써, 전체적으로 둘레 상에 끊어지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위상차를 가지고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 태양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에서는, 커프 본체 부재의 통축 방향에서의 시일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즉, 볼록 부재의 접합에 의해, 커프 팽창시에서의 커프 본체 부재의 표면에 요철이 나타나도, 통축 방향으로 오목 부분이 연통하는 일이 없어 시일성 확보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는, 상기 태양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에 있어서, 커프 본체 부재가, 통축 방향 양단 부분(통 양단 부분)의 튜브와의 고정에 관한 한 쌍의 고정 부분과, 적어도 팽창시에 한 쌍의 고정 부분보다 큰 직경의 대직경 부분과, 한 쌍의 고정 부분과 대직경 부분의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고 있는 한 쌍의 연결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통축 방향 중간 부분(통 중간 부분)이 대직경 부분의 일부로서, 대직경 부분과 한 쌍의 연결 부분의 각 경계로부터 각각 간격을 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대직경 부분과 한 쌍의 연결 부분의 각 경계로부터 각각 간격을 둔 영역에 볼록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커프에 의한 시일 기능과 상기 미끄럼 방지 기능을 높은 차원에서 양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대직경 부분에서의 통축 방향 중간 부분(미끄럼 방지부)을 제외한 부분이, 높은 시일 기능을 얻을 수 있는 영역이 된다(시일 부분). 시일 부분에서는, 내주면에 볼록 부재가 접합되어 있지 않으므로, 커프의 팽창시에 매끄러운 외주면으로 환자의 관 조직에 밀착하게 된다. 그리고, 통축 방향 중간 부분(통 중간 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 기능 부분이 된다. 이에 따라, 본 태양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에서는, 커프에 의한 시일 기능과 상기 미끄럼 방지 기능을 높은 차원에서 양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는, 상기 태양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에 있어서, 볼록 부재가 적어도 커프의 팽창 범위에서 커프 본체 부재와 동일하거나 보다 높은 유연성을 가지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 태양에 관한 커프붙이 튜브에서는, 볼록 부재의 접합에 의해, 유체 도입시에서의 커프 본체 부재의 팽창이 방해받기 어려워지고 높은 시일 기능을 얻는 데에 우위이다.
상기와 같이, 볼록 부재에 제2 볼록 부재 및 제3 볼록 부재가 포함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이들 제2 볼록 부재 및 제3 볼록 부재에 대해서도, 적어도 커프의 팽창 범위에서 커프 본체 부재와 동일하거나 보다 높은 유연성을 가지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2 볼록 부재 및 제3 볼록 부재의 접합에 의해서도, 유체 도입시에서의 커프 본체 부재의 팽창이 방해받기 어려워진다.

Claims (7)

  1. 커프붙이 튜브로서,
    생체에서의 관 조직의 관 안쪽에 삽입 가능한 튜브와,
    상기 튜브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튜브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의 유체 도입에 의해 팽창하는 커프를 구비하고,
    상기 커프는,
    통(筒)형상을 가지며, 상기 튜브의 연신 방향에서의 일부 영역을 전체둘레에 걸쳐 덮음과 아울러, 통축 방향 양단 부분에서 상기 튜브의 연신 방향에서의 소정 부분에 각각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커프 본체 부재와,
    상기 커프 본체 부재의 내주면에서의 통축 방향 중간 부분에 대해, 상기 커프 본체 부재의 내측으로 향하여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커프의 팽창시에 상기 커프 본체 부재의 외주면에 요철이 나타나도록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볼록 부재를 가지며,
    상기 커프는, 팽창시에 상기 커프 본체 부재의 외주면에서의 상기 요철이 나타나는 부분이 상기 관 조직에 대한 미끄럼 방지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프붙이 튜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록 부재는, 제1 볼록 부재 및 제2 볼록 부재 및 제3 볼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볼록 부재 및 상기 제2 볼록 부재 및 상기 제3 볼록 부재는, 상기 커프 본체 부재의 통축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프붙이 튜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볼록 부재 및 상기 제2 볼록 부재 및 상기 제3 볼록 부재는, 각각 상기 커프 본체 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프붙이 튜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프 본체 부재를 통축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단면(斷面)으로 보는 경우에,
    상기 제1 볼록 부재 및 상기 제2 볼록 부재 및 제3 볼록 부재는, 각각 상기 커프 본체 부재의 둘레방향에 대해, 일부가 끊어진 호(弧)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프붙이 튜브.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프 본체 부재를 통축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평면(平面)으로 보는 경우에,
    상기 제1 볼록 부재 및 상기 제2 볼록 부재 및 상기 제3 볼록 부재는, 하나의 볼록 부재에서의 끊어진 부분에 대해 다른 볼록 부재에서의 호형상 부분이 겹침으로써, 전체적으로 둘레 상에 끊어지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위상차를 가지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프붙이 튜브.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프 본체 부재는, 상기 통축 방향 양단 부분의 상기 튜브와의 고정에 관한 한 쌍의 고정 부분과, 적어도 팽창시에 상기 한 쌍의 고정 부분보다 큰 직경인 대직경 부분과, 상기 한 쌍의 고정 부분과 상기 대직경 부분의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고 있는 한 쌍의 연결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통축 방향 중간 부분은, 상기 대직경 부분의 일부로서, 상기 대직경 부분과 상기 한 쌍의 연결 부분의 각 경계로부터 각각 간격을 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프붙이 튜브.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부재는, 적어도 상기 커프의 팽창 범위에서, 상기 커프 본체 부재와 동일하거나 보다 높은 유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프붙이 튜브.
KR1020187032266A 2016-04-28 2017-04-20 커프붙이 튜브 KR1023638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90158A JP6738647B2 (ja) 2016-04-28 2016-04-28 カフ付チューブ
JPJP-P-2016-090158 2016-04-28
PCT/JP2017/015913 WO2017188124A1 (ja) 2016-04-28 2017-04-20 カフ付チューブ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514A true KR20190002514A (ko) 2019-01-08
KR102363824B1 KR102363824B1 (ko) 2022-02-16

Family

ID=60161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2266A KR102363824B1 (ko) 2016-04-28 2017-04-20 커프붙이 튜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38647B2 (ko)
KR (1) KR102363824B1 (ko)
CN (1) CN109069783B (ko)
WO (1) WO20171881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3060926T3 (en) * 2013-10-22 2019-03-25 Berkeley Lights Inc EXPORTING A SELECTED GROUP OF MICROBOOKS FROM A MICROFLUID DEVICE
KR102215855B1 (ko) * 2018-08-30 2021-02-16 (주)리젠케어 기도삽관튜브
CN112316265B (zh) * 2020-11-12 2023-02-28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抢救性复合插管导管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84061A2 (en) * 1997-06-13 1998-12-16 Smiths Industries Public Limited Company Cuffed tubes
JP2010514529A (ja) * 2007-01-03 2010-05-06 スミスズ グループ ピーエルシー カフ付き医療チューブ
JP2011067596A (ja) 2009-08-25 2011-04-07 Masayuki Yamada カフ付きチューブ
WO2012087837A1 (en) * 2010-12-21 2012-06-28 C. R. Bard, Inc. Endotracheal tube having a recessed cuff, one or more suction apertures arranged therein, and/or a cuff having stiffeners and method of making and/or using the same
JP2013202200A (ja) 2012-03-28 2013-10-07 Daiken Iki Kk カフ付チューブ及びこれを用いた分離肺換気用具並びにカフ付チューブ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399889Y1 (ko) * 1962-03-31 1964-04-16
US3995643A (en) * 1975-01-13 1976-12-07 Merav Abraham D Intratracheal tube
GB0023814D0 (en) * 2000-09-28 2000-11-08 Brookes Joe Endoluminal centring catheter
US7166120B2 (en) * 2002-07-12 2007-01-23 Ev3 Inc. Catheter with occluding cuff
US6945957B2 (en) * 2002-12-30 2005-09-20 Scimed Life Systems, Inc. Valve treatment catheter and methods
US7008438B2 (en) * 2003-07-14 2006-03-07 Scimed Life Systems, Inc. Anchored PTCA balloon
CN2834599Y (zh) * 2005-11-21 2006-11-08 刘清华 防滑脱局麻气管导管
WO2012086492A1 (ja) * 2010-12-21 2012-06-28 テルモ株式会社 バルーンカテーテル及び通電システム
WO2012087841A1 (en) * 2010-12-21 2012-06-28 C.R.Bard, Inc. Endotracheal tube having a cuff elastically expandable and non-elastically expandable portions and method of making and/or using the same
CN202920759U (zh) * 2012-10-29 2013-05-08 孙长宝 一次性可持握式防滑气管导管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84061A2 (en) * 1997-06-13 1998-12-16 Smiths Industries Public Limited Company Cuffed tubes
JPH119694A (ja) * 1997-06-13 1999-01-19 Smiths Ind Plc カフ付きチューブ
JP2010514529A (ja) * 2007-01-03 2010-05-06 スミスズ グループ ピーエルシー カフ付き医療チューブ
JP2011067596A (ja) 2009-08-25 2011-04-07 Masayuki Yamada カフ付きチューブ
WO2012087837A1 (en) * 2010-12-21 2012-06-28 C. R. Bard, Inc. Endotracheal tube having a recessed cuff, one or more suction apertures arranged therein, and/or a cuff having stiffeners and method of making and/or using the same
JP2013202200A (ja) 2012-03-28 2013-10-07 Daiken Iki Kk カフ付チューブ及びこれを用いた分離肺換気用具並びにカフ付チューブ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3824B1 (ko) 2022-02-16
CN109069783A (zh) 2018-12-21
CN109069783B (zh) 2021-06-25
WO2017188124A1 (ja) 2017-11-02
JP2017196209A (ja) 2017-11-02
JP6738647B2 (ja) 202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36910C2 (ru) Ларингоскопическая маск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JP2012527935A (ja) 気管切開チューブ
KR101364328B1 (ko) 커프 튜브
KR20190002514A (ko) 커프붙이 튜브
EP3582744B1 (en) Gastrostomy device with an improved retaining element
CN1889993A (zh) 气囊导管
US20090131752A1 (en) Inflatable artificial muscle for elongated instrument
US20160317768A1 (en) Flexible airway device
JP5184551B2 (ja) カフ付き医療チューブ
JP2016534817A (ja) 気道管
ES2234872T3 (es) Dispositivo de fijacion de un miembro de tubo.
JP7425721B2 (ja) 気管チューブ
CN109091745B (zh) 带双球囊的手术用插管
JP6622952B2 (ja) バルーンの製造方法
WO2012087841A1 (en) Endotracheal tube having a cuff elastically expandable and non-elastically expandable portions and method of making and/or using the same
JP5309544B2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US11324905B2 (en) Bendable tracheal ventilation apparatus
JP5481065B2 (ja) 内視鏡挿入ガイド
JP2017505173A (ja) 気管チューブ
CN111801132A (zh) 除结石用球囊导管
WO2017201641A1 (en) Laryngeal mask device
JP2017533037A (ja) 気管チューブ及びカフ
JP2013202200A (ja) カフ付チューブ及びこれを用いた分離肺換気用具並びにカフ付チューブの製造方法
JP2017529180A (ja) 気管チューブ及び気管シール
WO2017201645A1 (en) Laryngeal Mas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