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277A - 스크러버 - Google Patents

스크러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277A
KR20190000277A KR1020170177841A KR20170177841A KR20190000277A KR 20190000277 A KR20190000277 A KR 20190000277A KR 1020170177841 A KR1020170177841 A KR 1020170177841A KR 20170177841 A KR20170177841 A KR 20170177841A KR 20190000277 A KR20190000277 A KR 20190000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xhaust gas
unit
scrubbe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수
성삼경
정몽규
엄형식
김대희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00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B01D53/1481Removing sulfur dioxide or sulfur tr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8Absorbing units; Liquid distribu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0Sulfur oxides
    • B01D53/507Sulfur oxides by treating the gases with other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specially adapted for marine propulsion, i.e. for receiving simultaneously engine exhaust gases and engine cool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0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draining or otherwise eliminating condensates or moisture accumulating in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us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0807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using absorbents or adsorbents
    • F01N3/082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using absorbents or adsorbents characterised by the absorbed or adsorbed substances
    • F01N3/085Sulfur or sulfur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10Inorganic absorbents
    • B01D2252/103Water
    • B01D2252/1035Sea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01D2257/302Sulfur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1Engine exhaust gases
    • B01D2258/012Diesel engines and lean burn gasoline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83Flu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66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use in transport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4Packed scrub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10/00Surface coverings
    • F01N2510/06Surface coverings for exhaust purification, e.g. catalytic re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70/00Exhaust treating apparatus eliminating, absorbing or adsorbing specific elements or compounds
    • F01N2570/04Sulfur or sulfur ox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33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53Sprayers or atomisers; Arrangement thereof in the exhaust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스크러버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러버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에 처리액을 공급하여 배기가스를 전처리하는 전처리유닛; 상기 전처리유닛에 처리액을 공급하는 제1처리액공급관;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처리액공급관은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상기 전처리유닛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크러버{SCRUBBER}
본 발명은 스크러버에 관한 것이다.
스크러버는 엔진 또는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정제하거나 냉각하는 등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기능을 한다.
배기가스를 정제하거나 냉각하는 등 처리하기 위해서, 스크러버는 엔진 또는 보일러에 배기관에 의해서 연결된다. 그리고, 스크러버에서는 배기관을 통해서 스크러버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에, 해수 등의 처리액을 공급함으로써, 처리액이 배기가스로부터 황산화물이나 분진을 흡수하여 배기가스가 정제되도록 하거나 배기가스가 냉각되도록 하는 등, 처리액에 의해서 배기가스가 처리되도록 한다.
종래 스크러버에서는 처리액을 공급하는 처리액공급관이 스크러버 내부를 유동하는 배기가스의 유동에 영향을 주도록 구비되었다.
이에 의해서, 스크러버의 배기가스 처리효율이 저하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스크러버의 배기가스 처리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처리액을 공급하는 처리액공급관이 스크러버를 유동하는 배기가스의 유동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스크러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러버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에 처리액을 공급하여 배기가스를 전처리하는 전처리유닛; 상기 전처리유닛에 처리액을 공급하는 제1처리액공급관;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처리액공급관은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상기 전처리유닛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처리액공급관은 상기 하우징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처리유닛에 의해서 전처리된 배기가스에 처리액을 공급하여 배기가스를 후처리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후처리유닛; 및 상기 후처리유닛에 처리액을 공급하는 제2처리액공급관;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처리액공급관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후처리유닛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처리액공급관과 제2처리액공급관은 처리액공급원에 연결되는 하나의 펌프유닛을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는 처리될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덕트와 상기 전처리유닛과 후처리유닛에 의해서 처리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덕트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처리유닛은 상기 유입덕트 측의 상기 하우징 내부의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후처리유닛은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상기 전처리유닛 다음의 상기 하우징 내부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덕트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덕트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처리유닛과 후처리유닛 사이의 상기 하우징 내부의 부분에 구비되어 후처리되는 배기가스와 처리액의 접촉면적이 커지도록 하는 패킹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처리액을 공급하는 처리액공급관이 스크러버를 유동하는 배기가스의 유동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러버의 배기가스 처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의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처리유닛과 처리액공급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도1의 평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일부 절개 측면도이다.
도5는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6은 도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의 일실시예의 처리유닛에 포함되는 전처리유닛에 포함되는 제1분사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의 일실시예의 처리유닛에 포함되는 전처리유닛에 포함되는 제2분사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의 일실시예가 연돌 내에 설치되어 엔진 등에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의 일실시예가 선박의 연돌 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의 일시예와 종래의 스크러버가 각각 선박의 연돌 내에 설치되는 경우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의 일실시예가 연돌과 일체로 되는 경우와 종래의 스크러버가 각각 선박의 연돌 내에 설치되는 경우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과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의 일실시예를 포함하는 불활성가스 공급장치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스크러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스크러버
이하, 도1 내지 도1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의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처리유닛과 처리액공급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3은 도1의 평면도이고, 도4는 도1의 일부 절개 측면도이며, 도5는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6은 도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의 일실시예의 처리유닛에 포함되는 전처리유닛에 포함되는 제1분사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의 일실시예의 처리유닛에 포함되는 전처리유닛에 포함되는 제2분사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의 일실시예가 연돌 내에 설치되어 엔진 등에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의 일실시예가 선박의 연돌 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의 일시예와 종래의 스크러버가 각각 선박의 연돌 내에 설치되는 경우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의 일실시예가 연돌과 일체로 되는 경우와 종래의 스크러버가 각각 선박의 연돌 내에 설치되는 경우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100)의 일실시예는 도1과 도3 및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사각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100)의 일실시예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PE)이 설치된 연돌(FN)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100)의 일실시예는 단면이 사각형상인 연돌(FN)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연돌(FN) 내부에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100)의 일실시예를 설치하기 위해서, 연돌(FN)의 단면적을 소정방향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100)의 일실시예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SP)에 구비된 연돌(FN)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100)의 일실시예의 설치를 위해서, 연돌(FN)은 도11에 화살표와 빗금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선박(SP)의 선수 또는 선미방향으로 단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연돌(FN)은 선박(SP)의 선폭방향으로는 단면적이 증가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연돌(FN)은 선박(SP)의 선수 또는 선미방향으로만 단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100)의 일실시예는 단면이 사각 형상이기 때문에, 도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인 종래의 스크러버보다 연돌(FN) 내부에 사용하지 못하는 사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단면이 원형인 종래의 스크러버보다 연돌(FN)에 스크러버(100)를 설치할 때, 같은 처리용량의 경우 설치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1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100)의 일실시예는 연돌(FN) 내부에의 설치를 위해서 증가되는 연돌(FN)의 단면적을 줄일 수 있다.
예컨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크러버의 경우에는 연돌(FN) 내부에의 설치를 위해서 연돌(FN)을 선폭방향으로는 늘리지 않고 선수방향으로 4m 늘려야만 한다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100)의 일실시예는 연돌(FN)을 선수방향으로 2m만 늘려도 된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100)의 일실시예는 종래의 스크러버보다 연돌(FN) 내부에의 설치를 위해서 증가되는 연돌(FN)의 단면적을 반으로 줄일 수 있다.
한편,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100)의 일실시예가 연돌(FN)과 일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연돌(FN)을 선수방향으로 1m만 늘려도 연돌(FN)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100)의 일실시예는 종래의 스크러버보다 연돌(FN) 내부에의 설치를 위해서 증가되는 연돌(FN)의 단면적을 1/4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의 일실시예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과 처리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0)에는 배기가스가 유입되어 처리되며 처리된 배기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예컨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엔진(ME)이나 발전용 엔진(GE1, GE2) 등의 엔진(EG)이나 보일러(BL) 등에 연결되는 배기관(PE)이 설치된 연돌(FN)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0)은 배기관(PE)에 연결되고 하우징(200)과 배기관(PE)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유로전환밸브(VR)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유로전환밸브(VR)의 조작으로 엔진(EG)이나 보일러(BL)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하우징(200)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100)의 일실시예가 전술한 바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상이기 때문에, 하우징(200)은 단면이 사각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200)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공간(ST)이 형성될 수 있다. 배기가스는 하우징(200)에 유입되어 처리공간(ST)을 유동하고 배출될 수 있다.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는 처리유닛(30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200)에 유입되고 처리공간(ST)을 유동하는 배기가스는 처리유닛(300)에 의해서 처리될 수 있다.
하우징(200)에는 유입덕트(210)와 배출덕트(220)가 구비될 수 있다.
유입덕트(210)는 처리공간(ST)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입덕트(210)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PE)에 의해서 메인엔진(ME)이나 발전용 엔진(GE1, GE2) 등의 엔진(EG)이나 보일러(BL) 등 등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메인엔진(ME)이나 발전용 엔진(GE1,GE2) 등의 엔진(EG)이나 보일러(BL) 등에서 배출되는 처리될 배기가스가 배기관(PE)과 유입덕트(210)를 통해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 유입되어 처리공간(ST)을 유동할 수 있다.
유입덕트(210)는 하우징(200)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유입덕트(210)는 도1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하우징(200)의 하부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유입덕트(210)는 하우징(200)의 바닥 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하우징(200)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메인엔진(ME)이나 발전용 엔진(GE1, GE2) 등의 엔진(EG)이나 보일러(BL) 등으로부터 배출되어 배기관(PE)을 유동한 배기가스는 유입덕트(210)를 통해 하우징(200)의 바닥을 향하여 경사지게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기가스가 후술할 바와 같이 처리유닛(300)에 포함되는 전처리유닛(310)에서 공급되는 해수 등의 처리액에 의해서 방해받지 않고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러버(100)의 배기가스 처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유입덕트(210)의 하우징(200) 바닥으로부터의 높이와 경사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배기가스가 처리유닛(300)의 전처리유닛(310)에서 공급되는 처리액에 의해서 방해받지 않고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는 높이와 경사각이라면 어떠한 높이와 경사각이라도 가능하다.
하우징(200)에는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덕트(210)로부터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으로 하우징(20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유동가이드(230)가 구비될 수 있다. 유동가이드(230)는, 예컨대 유입덕트(210)의 상단부로부터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으로 하우징(20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될 수 있다.
유동가이드(230)에 의해서, 유입덕트(210)를 통해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처리유닛(300)의 전처리유닛(310)에서 공급되는 처리액에 의해서 방해받지 않고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러버(100)의 배기가스 처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유동가이드(230)의 길이는 하우징(200)의 길이의 반 이하일 수 있다. 유동가이드(230)의 길이가 하우징(200)의 길이의 반보다 크면, 유동가이드(230)가 배기가스의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서의 유동을 방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배기가스의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서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처리유닛(300)의 전처리유닛(310)에서 공급되는 처리액에 의해서 방해받지 않고 배기가스가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 원활하게 유입되어 유동하도록 하는 유동가이드(230)의 길이는 하우징(200)의 길이의 반 이하가 바람직하다.
유동가이드(230)의 양 측면은 각각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하우징(200)의 내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동가이드(230)의 양 측면 각각과 하우징(200)의 내면 사이를 통해, 처리유닛(300)의 전처리유닛(310)이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에 처리액을 공급할 수 있다.
유동가이드(230)의 양 측면 각각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덕트(210)로부터 하우징(200)의 길이방향으로 처리공간(ST)으로 갈수록 하우징(200) 내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즉, 유동가이드(230)의 폭은 유입덕트(210)로부터 하우징(200)의 길이방향으로 처리공간(ST)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유동가이드(230)가 배기가스의 유동에 영향을 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유입덕트(210)를 통해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하우징(200)의 부분의 내면, 예컨대 하우징(200)의 하측의 내면은 코팅제에 의해서 코팅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유입덕트(210)를 통해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처리유닛(300)의 전처리유닛(310)에 의해서 전처리되어 배기가스로부터 응축된 황산화물이 하우징(200) 내면에 접촉된다고 하더라도, 코팅제에 의해서 하우징(200)이 부식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황산화물에 의해서 부식되지 않은 비교적 고가의 소재가 아닌 저가의 소재로도 하우징(200)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스크러버(100)의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100)의 일실시예는 연돌(FN)과 일체로 이루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하우징(200)의 적어도 일부분은 연돌(FN)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하우징(200)과 연돌(FN)은 동일 또는 유사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우징(200)은 고온에 견뎌야 하고 내부식성이 커야만 하므로, 고가의 소재로 이루어져야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100)의 일실시예에서는 후술할 바와 같은 처리유닛(300)에 포함되는 전처리유닛(310)의 구성과 전술한 코팅제에 의해서 연돌(FN)과 동일 또는 유사 저가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종래에는 하우징(200)을 '254SMO'라 불리우는 비교적 고가인 특수금속으로 제조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200)을 연돌(FN)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비교적 저가인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이나 탄소강(Carbon Steel)으로 제조할 수 있다.
코팅제는, 예컨대 폴리비닐에스터(Poly Vinyl Ester)일 수 있다. 그러나, 코팅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200)의 내면에 코팅되어 하우징(200)의 내면이, 처리유닛(300)의 전처리유닛(310)에 의해서 배기가스가 전처리되어 배기가스로부터 응축된 황산화물에 의해서 부식되지 않도록 하는 코팅제라면 어떠한 코팅제라도 가능하다.
배출덕트(220)는 처리공간(ST)에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200)에 유입되고 처리공간(ST)을 유동하면서 처리유닛(300)에 의해서 처리된 배기가스는 배출덕트(2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배출덕트(220)는 하우징(2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배출덕트(220)의 하우징(200)에서의 구비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200)에 유입되고 처리공간(ST)을 유동하면서 처리유닛(300)에 의해서 처리된 배기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위치라면 하우징(200)의 어느 부분에도 구비될 수 있다.
처리유닛(300)은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 구비되어 하우징(200)에 유입되고 처리공간(ST)을 유동하는 배기가스를 처리할 수 있다.
처리유닛(300)은 도1과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유닛(310)과 후처리유닛(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유닛(310)은 유입덕트(210)를 통해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전처리할 수 있다.
전처리유닛(310)은 유입덕트(210) 측의 처리공간(ST)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전처리유닛(31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덕트(210) 위의 처리공간(ST)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처리유닛(310)이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 구비되기 때문에,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유닛이 스크러버 외부에 구비되는 종래의 스크러버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100)의 일실시예는 연돌(FN) 내부에 설치하기 위해서 증가되는 연돌(FN)의 단면적을 줄일 수 있다.
전처리유닛(310)은 유입덕트(210)를 통해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에 처리액을 공급하여 배기가스를 전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전처리유닛(310)은 유입덕트(210)를 통해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소정 온도 이하, 예컨대 황산화물의 응축온도인 160℃ 이하로 냉각하고 배기가스로부터 황산화물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전처리유닛(310)이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에 공급하는 처리액은, 예컨대 해수일 수 있다. 그러나, 처리액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배기가스를 전처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전처리유닛(310)은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하우징(200)의 내면에 코팅된 코팅제가 손상되지 않는 소정 온도 이하로 처리액에 의해서 냉각할 수 있다.
예컨대, 전처리유닛(310)에서는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처리액에 의해서 12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80℃ 이하로 냉각할 수 있다.
전처리유닛(310)으로부터 공급되는 처리액에 의한 배기가스의 냉각온도가 황산화물의 응축온도인 160℃ 이하이기는 하나 120℃ 보다 크면,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덕트(210)를 통해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하우징(200)의 부분의 내면에 코팅된 코팅제가 손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덕트(210)를 통해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전처리유닛(310)에서 공급된 처리액에 의해서 냉각 등 전처리되면서 배기가스로부터 응축된 황산화물에 의해서 하우징(200)의 내면이 부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입덕트(210)를 통해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하우징(200)의 부분의 내면에 코팅된 코팅제가 손상되지 않을 전처리유닛(310)으로부터 공급되는 처리액에 의한 배기가스의 냉각온도는 120℃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처리유닛(310)으로부터 공급되는 처리액에 의한 배기가스의 냉각온도가 80℃ 이하이면, 유입덕트(210)를 통해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하우징(200)의 부분의 내면에 코팅된 코팅제가 손상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전처리유닛(31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사유닛(3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분사유닛(311)은 하우징(200) 내부를 유동하는 배기가스에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 즉, 제1분사유닛(311)은 유입덕트(210)를 통해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 유입되어 처리공간(ST)을 유동하는 배기가스에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
제1분사유닛(311)은 하우징(200) 내부, 즉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 유입되어 처리공간(ST)을 유동하는 배기가스 유동을 가이드하는 커튼이 형성되도록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유입덕트(210)를 통해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하우징(200)의 내면에 최소로 접촉하면서 유동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액의 공급으로 전처리되는 배기가스로부터 응축된 황산화물이 하우징(200)의 내면에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200)의 내면이 응축된 황산화물에 의해서 부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황산화물에 의해서 부식되지 않는 비교적 고가인 소재로 하우징(200)을 만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스크러버(100)의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분사유닛(311)은 제1전처리유동관(311a)과 제1전처리노즐(3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전처리유동관(311a)은 후술할 처리액공급유닛(400)으로부터 공급된 처리액이 유동하며, 유입덕트(210) 측의 하우징(200)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전처리유동관(311a)이 도1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의 유동가이드(230) 위의 처리공간(ST) 내부의 부분에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전처리노즐(311b)은 제1전처리유동관(311a)에 구비되어 배기가스에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 제1전처리노즐(311b)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의 유동가이드(230)와 하우징(200) 내면 사이를 통해 처리액을 분사하도록 제1전처리유동관(311a)에 구비될 수 있다.
전처리유닛(310)은 제2분사유닛(3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분사유닛(312)은 하우징(200)의 유입덕트(210)를 유동하는 배기가스에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 제2분사유닛(312)은 유입덕트(210)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유입덕트(210)를 유동하는 배기가스에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하우징(200)의 유입덕트(210)를 유동하는 배기가스가 유입덕트(210)의 내면에 최소로 접촉하면서 유동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액의 공급으로 전처리되는 배기가스로부터 응축된 황산화물이 유입덕트(210) 내면에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덕트(210) 내면이 응축된 황산화물에 의해서 부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불어, 이에 의해서도 유입덕트(210)를 통해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하우징(200)의 내면에 최소로 접촉하면서 유동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액의 공급으로 전처리되는 배기가스로부터 응축된 황산화물이 하우징(200)의 내면에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200)의 내면이 응축된 황산화물에 의해서 부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황산화물에 의해서 부식되지 않는 비교적 고가인 소재로 하우징(200)을 만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스크러버(100)의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2분사유닛(312)은 복수개의 제2전처리유동관(312a)과 제2전처리노즐(312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전처리유동관(312a)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액공급유닛(400)으로부터 공급된 처리액이 유동하며 유입덕트(210)의 둘레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전처리노즐(312b)은 제2전처리유동관(312a)에 구비되어 유입덕트(210)를 유동하는 배기가스에 처리액을 분사할 수 있다.
한편, 전처리유닛(310)에 처리액을 공급하는, 처리액공급유닛(4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제1처리액공급관(411)은 하우징(200) 외부에서 전처리유닛(310)과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처리액공급관(411)은 도1과 도3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하우징(200) 외부에서 제1처리액공급관(411)이 전처리유닛(310)의 제1전처리유동관(311a)과 제2전처리유동관(312a)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전처리유동관(311a)과 제2전처리유동관(312a) 보다 직경이 큰 제1처리액공급관(411)에 의해서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을 유동하는 배기가스의 유동이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스크러버(100)의 배기가스 처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후처리유닛(320)은 전처리유닛(310)에서 전처리된 배기가스를 후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후처리유닛(320)은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전처리유닛(310) 다음의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후처리유닛(32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유닛(310) 위의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처리유닛(320)은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서 전처리유닛(310) 보다 소정 높이 위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처리유닛(320)은 복수개일 수 있다. 후처리유닛(32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처리유닛(310)에서 전처리된 배기가스를 후처리할 수 있는 개수라면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후처리유닛(320)은 전처리유닛(310)에서 전처리된 배기가스에 처리액을 공급하여 배기가스를 후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후처리유닛(320)은 전처리유닛(310)에서 전처리된 배기가스에 처리액을 공급하여 배기가스로부터 황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다. 후처리유닛(320)에서, 전처리유닛(310)에서 전처리된 배기가스에 공급되는 처리액은, 예컨대 해수일 수 있다. 그러나, 처리액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처리유닛(310)에서 전처리된 배기가스를 후처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후처리유닛(32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처리유동관(321)을 포함할 수 있다. 후처리유동관(321)은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전처리유닛(310) 다음의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후처리유동관(321)은 해수 등의 처리액을 공급하는 처리액공급유닛(4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후처리유동관(321)은 처리액공급유닛(400)의 처리액공급관(410)의 제2처리액공급관(41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처리액공급유닛(400)으로부터 공급된 처리액은 후처리유동관(321)을 유동하여, 전처리유닛(310)에서 전처리된 배기가스에 공급될 수 있다.
후처리유동관(321)은 복수개일 수 있다. 이 경우, 처리액공급유닛(400)의 처리액공급관(410)의 제2처리액공급관(412)의 일부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을 관통하여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후처리유동관(321)은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 구비된 처리액공급관(410)의 제2처리액공급관(412)의 일부의 양측에 각각 복수열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후처리유동관(321)의 개수나 배치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전처리유닛(310) 다음의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의 부분에 구비되어, 처리액공급유닛(400)으로부터 공급된 처리액을 전처리유닛(310)에서 전처리된 배기가스에 공급할 수 있는 개수나 배치형태라면 어떠한 개수나 배치형태라도 가능하다.
후처리유닛(32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처리노즐(3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처리노즐(322)은 후처리유동관(321)에 구비되어, 후처리유동관(321)을 유동하는 처리액을 전처리유닛(310)에서 전처리된 배기가스에 분사할 수 있다.
후처리노즐(322)은 복수개일 수 있다. 이 경우, 후처리노즐(322)은, 예컨대 복수개의 후처리유동관(321) 각각에 한 개 또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후처리노즐(322)의 개수나 배치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후처리유동관(321)에 구비되어 후처리유동관(321)을 유동하는 처리액을 전처리유닛(310)에서 전처리된 배기가스에 분사할 수 있는 개수나 배치형태라면 어떠한 개수나 배치형태라도 가능하다.
처리유닛(300)은 패킹유닛(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킹유닛(330)은 전처리유닛(310)과 후처리유닛(320) 사이의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의 부분에 구비되어 후처리되는 배기가스와 처리액의 접촉면적이 커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패킹유닛(330)은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전처리유닛(310) 다음의 처리공간(ST)의 부분에 구비되며, 후처리유닛(320)은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패킹유닛(330) 다음의 처리공간(ST)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1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유닛(330)은 전처리유닛(320) 위의 처리공간(ST)의 부분에 구비되며, 후처리유닛(320)은 패킹유닛(330) 위의 처리공간(ST)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패킹유닛(33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배기가스와 처리액의 접촉면적이 커지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처리액공급유닛(400)으로부터 전처리유닛(310)과 후처리유닛(320)에 해수 등의 처리액이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처리액공급유닛(400)에 포함되는 처리액공급관(410)은 전처리유닛(310)에 연결되어 전처리유닛(310)에 처리액을 공급하는 제1처리액공급관(411)과 후처리유닛(320)에 연결되어 후처리유닛(320)에 처리액을 공급하는 제2처리액공급관(4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처리액공급관(411)은 전처리유닛(310)의 제1전처리유동관(311a)과 제2전처리유동관(312a)에 연결되고, 제2처리액공급관(412)은 후처리유닛(320)의 후처리유동관(321)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처리액공급관(411)은 하우징(200)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하우징(200) 외부에서 전처리유닛(310)의 제1전처리유동관(311a)과 제2전처리유동관(312a)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처리액공급관(412)은 하우징(200) 내부, 즉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서 후처리유닛(320)의 후처리유동관(32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처리액공급관(411)과 제2처리액급관(412)은 처리액공급유닛(400)에 포함되며 처리액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하나의 펌프유닛(420)을 공유할 수 있다.
예컨대,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처리액공급관(412)이 펌프유닛(420)과 연결되고 제1처리액공급관(411)이 제2처리액공급관(412)에서 분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처리액공급관(411)이 펌프유닛(420)과 연결되고 제2처리액공급관(412)이 제1처리액공급관(411)에서 분기될 수도 있다.
후처리유닛(320)에서 배기가스에 공급하도록 요구되는 처리액의 압력은 전처리유닛(310)에서 배기가스에 공급하도록 요구되는 처리액의 압력보다 낮기 때문에, 전술한 구성의 처리액공급유닛(400)과 함께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의 처리공간(ST)에서 후처리유닛(320)이 전처리유닛(310) 보다 소정 높이 위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후처리유닛(320)과 전처리유닛(310)에서 각각 요구되는 압력으로 배기가스에 처리액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펌프유닛(420)은 복수개의 펌프(421,422,42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펌프(421,422,423) 중 일부는 처리액의 공급량에 따라 구동되거나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펌프(421,422,423) 중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액의 공급량에 따라 구동되거나 구동되지 않는 일부의 펌프(421,422,423) 이외의 나머지 펌프(421,422,423)는 처리액의 공급량에 따라 구동되거나 구동되지 않는 일부의 펌프(421,422,423) 중 고장난 펌프(421,422,423)를 대체할 수 있다.
처리액공급유닛(400)은, 예컨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펌프(421,422,4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3개의 펌프(421,422,423) 중 2개의 펌프(421,422,423)는 처리액의 공급량에 따라 1개의 펌프(421,422,423)만을 구동하여 처리액을 공급하거나 2개의 펌프(421,422,423) 모두를 구동하여 처리액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펌프(421,422,423) 중 나머지 1개의 펌프(421,422,423)는 전술한 2개의 펌프(421,422,423) 중 고장난 펌프(421,422,423)를 대체할 수 있다.
한편, 펌프유닛(420)은 엔진(EG)의 부하에 관계 없이 100% 출력으로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선박(SP)의 연돌(FN) 내에 설치되며, 하우징(200)의 유입덕트(210)가 배기덕트(PE)에 의해서 선박의 엔진(EG)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선박(SP)이 해상을 운행하는 경우에는 엔진(EG)의 부하가 커지기 때문에 스크러버(100)에서 처리해야할 배기가스량이 많아서 펌프(421,422,423)를 100% 출력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선박(SP)이 연안을 운행하는 경우에는 엔진(EG)의 부하는 작으나 스크러버(100)에서 처리액으로 사용되는 해수의 염도가 낮기 때문에, 염도가 높은 경우보다 많은 양의 해수를 처리액으로 공급하여야만 배기가스를 처리할 수 있다. 이때, 펌프(421,422,423)는 100% 출력으로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펌프유닛(420)이 선박(SP)의 운항에 따른 엔진(EG)의 부하에 관계 없이 100% 출력으로 구동하도록 하면, 스크러버(100)의 배기가스 처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불활성가스 공급장치
이하, 도13과 도14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불활성가스 공급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3과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의 일실시예를 포함하는 불활성가스 공급장치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불활성가스 공급장치(IG)는 도13과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가스처리용 스크러버(100)와, 불활성가스 제조유닛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가스처리용 스크러버(100)는 엔진(EG) 또는 보일러(BL)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처리할 수 있다. 배기가스처리용 스크러버(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진(EG) 또는 보일러(BL)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로부터 황산화물을 제거하고 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배기가스처리용 스크러버(100)는 도13과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EG) 또는 보일러(BL)에 배기덕트(PE)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기덕트(PE)와 배기가스처리용 스크러버(100)가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유로전환밸브(VR)의 조작으로 엔진(EG) 또는 보일러(BL)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스크러버(100)에 유입되어 유동하면서 처리될 수 있다.
한편, 배기가스처리용 스크러버(100)에서 처리되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소정의 불활성가스 조건에 만족하면, 불활성가스로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배기가스처리용 스크러버(100)의 배출덕트(220) 등에는 가스조성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 등이 구비되고, 배기가스처리용 스크러버(100)는 도13과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라인(LC)에 의해서 원유 등의 오일이 저장된 오일탱크(OT)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가스조성감지센서는 배기가스처리용 스크러버(100)에서 처리되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소정의 불활성가스 조건을 만족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가스조성감지센서가 배기가스처리용 스크러버(100)에서 처리되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소정의 불활성가스 조건을 만족함을 감지하면, 연결라인(LC)에 구비되는 개폐밸브(VC) 등을 조작하여, 배기가스처리용 스크러버(100)에서 처리된 소정의 불활성가스 조건에 만족하는 배기가스를 오일탱크(OT)에 불활성가스로 공급할 수 있다. 오일탱크(OT)에 불활성가스로 공급된 배기가스는 오일탱크(OT)에 충진되어 오일탱크(OT)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기가스처리용 스크러버(100)는 도1 내지 도1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전술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스크러버(100)일 수 있다. 그러나, 배기가스처리용 스크러버(1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엔진(EG) 또는 보일러(BL)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처리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불활성가스 제조유닛은 배기가스처리용 스크러버(100)에서 처리된 배기가스가 소정의 불활성가스 조건에 만족하지 않으면 불활성가스 조건에 만족하도록 처리하여 불활성가스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불활성가스 제조유닛은 도13과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가스처리용 스크러버(100)에 연결라인(LC)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불활성가스 제조유닛은 연결라인(LC)에 의해서 오일탱크(OT)에 연결될 수 있다.
가스조성감지센서가 배기가스처리용 스크러버(100)에서 처리되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소정의 불활성가스 조건을 만족하지 않음을 감지하면, 연결라인(LC)에 구비되는 개폐밸브(VC) 등을 조작하여, 배기가스처리용 스크러버(100)에서 처리된 소정의 불활성가스 조건에 만족하지 않은 배기가스를 불활성가스 제조유닛으로 공급할 수 있다. 불활성가스 제조유닛으로 공급된 배기가스는 불활성가스 조건에 만족하도록 불활성가스 제조유닛에서 처리될 수 있다.
불활성가스 제조유닛에서 소정의 불활성가스 조건에 만족하도록 처리된 배기가스는 연결라인(LC)에 구비되는 개폐밸브(VC) 등을 조작하여, 오일탱크(OT)에 불활성가스로 공급할 수 있다. 오일탱크(OT)에 불활성가스로 공급된 배기가스는 오일탱크(OT)에 충진되어 오일탱크(OT)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오일 하역시 오일탱크(OT) 내부가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불활성가스 제조유닛은, 예컨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활성가스 제조용 스크러버(IS)일 수 있다. 불활성가스 제조용 스크러버(IS)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배기가스처리용 스크러버(100)로부터 공급된 소정의 불활성가스 조건에 만족하지 않은 배기가스를 불활성가스 조건에 만족하도록 처리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배기가스처리용 스크러버(100)에서 처리된 배기가스를 오일탱크(OT)를 충진하는 불활성가스로 사용하면, 보일러(BL)에서 연료로 저가인 고유황 함유 연료를 사용하여도 불활성가스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불활성가스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한편, 배기가스처리용 스크러버(100)에서 처리된 배기가스는 황산화물이 어느 정도 제거된 상태이므로, 배기가스처리용 스크러버(100)에서 처리된 배기가스로부터 입자상물질만 제거하면 불활성가스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활성가스 제조유닛으로 입자상물질 제거장치(PM)를 사용하여, 배기가스처리용 스크러버(100)에서 처리된 배기가스가 소정의 불활성가스 조건에 만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입자상물질 제거장치(PM)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배기가스처리용 스크러버(100)에서 처리된 배기가스로부터 입자상물질을 제거하여 소정의 불활성가스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를 사용하면,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처리액을 공급하는 처리액공급관이 스크러버를 유동하는 배기가스의 유동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으며, 스크러버의 배기가스 처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스크러버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스크러버 200 : 하우징
210 : 유입덕트 220 : 배출덕트
230 : 유동가이드 300 : 처리유닛
310 : 전처리유닛 311 : 제1분사유닛
311a : 제1전처리유동관 311b : 제1전처리노즐
312 : 제2분사유닛 312a : 제2전처리유동관
312b : 제2전처리노즐 320 : 후처리유닛
321 : 후처리유동관 322 : 후처리노즐
330 : 패킹유닛 400 : 처리액공급유닛
410 : 처리액공급관 411 : 제1처리액공급관
412 : 제2처리액공급관 420 : 펌프유닛
421,422,423 : 펌프 EG : 엔진
PE : 배기관 ME : 메인엔진
GE1, GE2 : 발전용 엔진 ST : 처리공간 FN : 연돌 IG : 불활성가스 공급장치
BL : 보일러 IS : 불활성가스 제조용 스크러버
PM : 입자상물질 제거장치 OT : 오일탱크
VR : 유로전환밸브 SP : 선박
LC : 연결라인 VC : 개폐밸브

Claims (9)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유입되는 배기가스에 처리액을 공급하여 배기가스를 전처리하는 전처리유닛;
    상기 전처리유닛에 처리액을 공급하는 제1처리액공급관;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처리액공급관은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상기 전처리유닛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러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액공급관은 상기 하우징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러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유닛에 의해서 전처리된 배기가스에 처리액을 공급하여 배기가스를 후처리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후처리유닛; 및 상기 후처리유닛에 처리액을 공급하는 제2처리액공급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러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액공급관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후처리유닛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러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액공급관과 제2처리액공급관은 처리액공급원에 연결되는 하나의 펌프유닛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러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처리될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덕트와 상기 전처리유닛과 후처리유닛에 의해서 처리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덕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러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유닛은 상기 유입덕트 측의 상기 하우징 내부의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후처리유닛은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상기 전처리유닛 다음의 상기 하우징 내부의 부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러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덕트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덕트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러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유닛과 후처리유닛 사이의 상기 하우징 내부의 부분에 구비되어 후처리되는 배기가스와 처리액의 접촉면적이 커지도록 하는 패킹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러버.
KR1020170177841A 2017-06-22 2017-12-22 스크러버 KR201900002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339 2017-06-22
KR20170079339 2017-06-22
KR20170095668 2017-07-27
KR1020170095668 2017-07-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277A true KR20190000277A (ko) 2019-01-02

Family

ID=65021609

Famil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840A KR102331475B1 (ko) 2017-06-22 2017-12-22 선박용 스크러버
KR1020170177889A KR102094459B1 (ko) 2017-06-22 2017-12-22 선박용 스크러버
KR1020170177841A KR20190000277A (ko) 2017-06-22 2017-12-22 스크러버
KR1020170177839A KR102104422B1 (ko) 2017-06-22 2017-12-22 선박용 스크러버
KR1020170177888A KR102232061B1 (ko) 2017-06-22 2017-12-22 불활성가스 공급장치
KR1020170177887A KR102232060B1 (ko) 2017-06-22 2017-12-22 스크러버
KR1020180000390A KR102104423B1 (ko) 2017-06-22 2018-01-02 선박용 스크러버
KR1020200030209A KR102232832B1 (ko) 2017-06-22 2020-03-11 선박용 스크러버
KR1020210036699A KR102305783B1 (ko) 2017-06-22 2021-03-22 선박용 스크러버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840A KR102331475B1 (ko) 2017-06-22 2017-12-22 선박용 스크러버
KR1020170177889A KR102094459B1 (ko) 2017-06-22 2017-12-22 선박용 스크러버

Family Applications After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839A KR102104422B1 (ko) 2017-06-22 2017-12-22 선박용 스크러버
KR1020170177888A KR102232061B1 (ko) 2017-06-22 2017-12-22 불활성가스 공급장치
KR1020170177887A KR102232060B1 (ko) 2017-06-22 2017-12-22 스크러버
KR1020180000390A KR102104423B1 (ko) 2017-06-22 2018-01-02 선박용 스크러버
KR1020200030209A KR102232832B1 (ko) 2017-06-22 2020-03-11 선박용 스크러버
KR1020210036699A KR102305783B1 (ko) 2017-06-22 2021-03-22 선박용 스크러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643391A4 (ko)
JP (1) JP7198783B2 (ko)
KR (9) KR102331475B1 (ko)
CN (1) CN110785218A (ko)
SG (1) SG11201912812R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2096A (zh) * 2019-07-04 2019-09-20 上海蓝魂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船舶尾气高效率脱硫设备及其使用方法
KR200493729Y1 (ko) * 2019-08-01 2021-05-28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정화 시스템, 방법 및 사용
KR102258941B1 (ko) * 2019-08-30 2021-06-01 이석주 초미세먼지 및 미세먼지 저감장치
KR102262056B1 (ko) * 2019-09-05 2021-06-09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스크러버
KR102262055B1 (ko) * 2019-09-05 2021-06-09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스크러버
KR102362442B1 (ko) 2020-09-23 2022-02-15 주식회사 팬스타테크솔루션 부식 방지 구조가 적용된 선박 스크러버용 세정수 선외배출관 및 그 제조방법
KR102435647B1 (ko) 2021-02-25 2022-08-25 주식회사 전진엠에스 스크러버
KR102436707B1 (ko) 2021-02-25 2022-08-29 주식회사 전진엠에스 스크러버
KR102452261B1 (ko) 2022-06-21 2022-10-07 주식회사 파나시아 해양 선박용 스크러버의 부식 감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20272A (ko) * 1973-03-24 1974-11-16
JP2987046B2 (ja) * 1993-12-27 1999-12-06 神鋼パンテツク株式会社 湿式充填塔
JP2734371B2 (ja) * 1994-04-07 1998-03-30 株式会社新潟鉄工所 舶用脱硝反応器の支持構造
CH691126A5 (de) * 1995-12-21 2001-04-30 Mbt Holding Ag Novolakvinylesterzusammensetzungen.
JP3901559B2 (ja) * 2002-03-29 2007-04-04 正憲 田代 排ガス浄化装置
KR100750480B1 (ko) * 2006-07-03 2007-08-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중의 유해성분을 제거하기위한 세정집진기
JP4442618B2 (ja) * 2007-02-21 2010-03-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浄化制御装置
AU2008357629B2 (en) * 2008-06-13 2015-09-03 Sigan Peng Washing device and washing method for marine exhaust flue gases
US20100224070A1 (en) * 2009-03-05 2010-09-09 Patterson Ronald G Shipboard Vessel Having a Vertically Aligned Scrubber and Process Component
FI124473B (fi) * 2009-12-15 2014-09-15 Wärtsilä Finland Oy Pesuriyksikköjärjestely ja menetelmä pakokaasun puhdistamiseksi pesuriyksikköjärjestelyssä
DE102009059773A1 (de) * 2009-12-21 2011-06-22 Bayer Technology Services GmbH, 51373 Anlage und Verfahren zur Reinigung von Schiffsdieselabgasen
KR20120015547A (ko) * 2010-08-12 2012-02-22 주식회사 시뮬레이션테크 선박의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JP5808899B2 (ja) * 2010-09-21 2015-11-10 日立造船株式会社 湿式洗浄装置
EP2489421B1 (en) * 2011-02-18 2021-03-31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A wet scrubber for cleaning an effluent gas comprising an inlet gas distributor with a diffusor
KR20130049086A (ko) * 2011-11-03 2013-05-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원유운반선의 불활성가스 공급장치
CN102805999B (zh) * 2012-08-23 2014-07-02 北京威肯众合环保科技有限公司 湍球式涡轮增压复合脱硫除尘塔
KR101973039B1 (ko) * 2012-10-26 2019-04-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액체 화물창의 불활성 가스 이송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20140094976A (ko) * 2013-01-23 2014-07-31 주식회사에스티엑스종합기술원 배가스 유입속도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습식 세정설비
KR101334935B1 (ko) * 2013-05-20 2013-11-29 한국기계연구원 비금속 집진판을 이용한 유해가스 처리장치
KR101557831B1 (ko) * 2014-08-14 2015-10-07 (주)기승산업 스크러버를 우선 이용한 필름코팅제조공정시 발생되는 폐가스의 탈취 및 유해성분 흡착 제거장치
KR101630074B1 (ko) * 2014-10-28 2016-06-14 한국기계연구원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
KR20160049782A (ko) * 2014-10-28 2016-05-10 김용섭 선박용 스크러버
JP6104491B1 (ja) * 2017-01-20 2017-03-29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船舶用脱硫装置および該船舶用脱硫装置を搭載した船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275A (ko) 2019-01-02
EP3643391A2 (en) 2020-04-29
KR102331475B1 (ko) 2021-11-29
EP3643391A4 (en) 2020-08-19
KR102305783B1 (ko) 2021-09-30
SG11201912812RA (en) 2020-01-30
KR102094459B1 (ko) 2020-03-27
KR102104422B1 (ko) 2020-04-24
KR102232061B1 (ko) 2021-03-25
KR102232060B1 (ko) 2021-03-25
KR20190000276A (ko) 2019-01-02
KR20190000278A (ko) 2019-01-02
KR102232832B1 (ko) 2021-03-26
KR102104423B1 (ko) 2020-04-24
CN110785218A (zh) 2020-02-11
KR20190000279A (ko) 2019-01-02
JP7198783B2 (ja) 2023-01-04
KR20190000281A (ko) 2019-01-02
KR20210047281A (ko) 2021-04-29
KR20200029429A (ko) 2020-03-18
KR20190000280A (ko) 2019-01-02
JP2020524637A (ja) 202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0277A (ko) 스크러버
KR102115785B1 (ko) 선박
WO2014020944A1 (ja) レシプロエンジン用排ガス脱硝設備
CN115183252B (zh) 一种尾气处理装置
KR20190111266A (ko) 스크러버
WO2017221841A1 (ja) Egrガスクーラ及びエンジンシステム
KR20190123044A (ko)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 및 이를 갖는 통합형 배기처리장치
GR1009733B (el) Συστημα αποθειωσης καυσαεριων σε υφισταμενη καπνοδοχο πλοιου
KR20180103781A (ko) 선박용 습식 스크러버에 배연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수직형 배연가스 매니폴드 장치
JP2016164373A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KR20190008613A (ko) 에너지 회수장치
KR102126830B1 (ko) 선박 배기가스 처리장치
KR102284523B1 (ko) 과열증기 승온장치
KR20190124622A (ko) 스크러버
CN205611038U (zh) 一种等离子发生器
KR20220022132A (ko)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 저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170024312A (ko) Scr 반응기의 유동 균일화 장치
KR101378791B1 (ko) 차압 및 배기음 저감을 위한 촉매반응기
JP2020163337A (ja) スクラバ装置、及びスクラバ装置を搭載した船舶
KR20160000753U (ko) 스크러버용 배기 파이프
KR20180001304U (ko) Scr 처리기능을 갖는 소음기
KR20150004576U (ko) 선박의 수트 드레인 워터 처리장치
KR20160000752U (ko) 스크러버용 배기 파이프
JP2013231539A (ja) 浄化装置および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