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3044A -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 및 이를 갖는 통합형 배기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 및 이를 갖는 통합형 배기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3044A
KR20190123044A KR1020180046719A KR20180046719A KR20190123044A KR 20190123044 A KR20190123044 A KR 20190123044A KR 1020180046719 A KR1020180046719 A KR 1020180046719A KR 20180046719 A KR20180046719 A KR 20180046719A KR 20190123044 A KR20190123044 A KR 20190123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scrubber
extension
scrubber body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8232B1 (ko
Inventor
조욱제
한승한
손경빈
조영진
김낙근
배예나
강진희
진민호
Original Assignee
현대머티리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머티리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머티리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6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232B1/ko
Publication of KR20190123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us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0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draining or otherwise eliminating condensates or moisture accumulating in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70/00Exhaust treating apparatus eliminating, absorbing or adsorbing specific elements or compounds
    • F01N2570/04Sulfur or sulfur ox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70/00Exhaust treating apparatus eliminating, absorbing or adsorbing specific elements or compounds
    • F01N2570/14Nitrogen ox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marine vessels or naval appl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53Sprayers or atomisers; Arrangement thereof in the exhaust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는, 엔진의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인렛부; 상기 인렛부로 유입된 배기가스에 세정수를 공급하여 황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게 형성된 스크러버바디; 및 상기 스크러버바디에 연결되며 처리된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아웃렛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렛부는, 배기가스 배관이 연결되기 위한 접속부; 상기 스크러버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접속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연장부; 및 상기 제1연장부의 단부에서 제2방향으로 연장하며, 배기가스를 상기 스크러버바디의 내부공간으로 배출시키는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 및 이를 갖는 통합형 배기처리장치{SCRUBBER FOR CLEANING EXHAUST GAS AND INTEGRATED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 및 이를 갖는 통합형 배기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배기가스 규제는 최근 IMO 등의 국제기구 및 각국 정부를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기술적 대책 마련도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공해를 유발하는 선박의 배기가스 배출물에는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일산화탄소(CO), PM, 메탄(CH4), 매연 등 다양하다. 이중 질소산화물의 처리는 촉매없이 870 ~ 1200 ℃ 온도범위의 고온 배출가스에 암모니아 또는 암모니아수를 분사하는 무촉매환원법(Selective Non Catalytic Reduction; SNCR), 연소 온도를 낮추어 질소산화물을 저감하는 배기가스재순환 방식(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등을 포함하여 여러 방식이 제안되어 왔으며, 성능, 안전성 및 경제성이 검증된 선택적 촉매환원(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시스템도 각광받고 있다.
스크러버(Scrubber)는 황산화물(SOx)을 포함하는 다양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육상에서는 황산화물 뿐만 아니라, HCl, HBr, HF, N20 등 오염물질과 악취, 먼지 등의 제거에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반면 선박에서는 국제적 규제의 강화에 따라 비교적 최근부터 적용되고 있다. 실제로 2020년부터는 선박의 대양 항해구역에서는 연료의 황 함유량을 0.5% 이하 또는 이를 만족시킬 수 있는 후처리장치의 설치를 의무화하도록 하였다.
선박의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는 방식 면에서 습식(Wet)과 건식(Dry)으로 나뉘며, 전자의 경우도 해수를 세정수로 이용하는 개방루프(open loop) 방식과 청수를 이용하는 폐쇄 루프(closed loop) 방식 및 하이브리드 방식 등으로 나뉜다.
질소산화물의 처리를 위한 SCR이나 스크러버 등 배기가스 처리 장치를 선박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협소한 선박 내부 공간에 어떻게 설치하느냐가 문제가 된다. 자동차와 달리 선박 또는 플랜트 등 초대형 엔진이나 복수의 엔진을 갖는 경우에는 배기가스의 배출량도 급증하므로 배기처리장치의 규모도 그만큼 증가하게 되며, 복수의 엔진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처리를 장치 면에서 어떻게 구성하는가도 효율 등에 영향을 미친다. 통합형 스크러버는 후자의 예로서, 하나의 스크러버에 복수의 인렛을 갖는 형태도 제안되었다.
선박용 습식 스크러버는 U타입과 I타입(인라인 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배기가스 냉각(quenching line) 유입구가 별도로 존재하여 배기가스를 미리 냉각시킬 수 있어 효율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냉각을 위한 인렛 파이프 또는 덕트가 스크러버와 독립적으로 되어 있어 선박과 같이 좁은 설치공간에서는 불리한 단점이 있다.
* 관련 선행기술
한국 등록특허 제10-1738726호(2017.05.16. 공고)
유럽 공개특허 제2512627호(2012.10.24.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러버의 설치를 위한 공간의 제약을 줄일 수 있으며, 배기가스의 냉각성능을 높임으로써 탈황효율을 증대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는, 엔진의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인렛부; 상기 인렛부로 유입된 배기가스에 세정수를 공급하여 황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게 형성된 스크러버바디; 및 상기 스크러버바디에 연결되며 처리된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아웃렛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렛부는, 배기가스 배관이 연결되기 위한 접속부; 상기 스크러버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접속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연장부; 및 상기 제1연장부의 단부에서 제2방향으로 연장하며, 배기가스를 상기 스크러버바디의 내부공간으로 배출시키는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는, 상기 스크러버바디의 내부에 수평으로 배치된 다공성 플레이트; 및 상기 다공성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세정수를 분무할 수 있게 형성된 노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연장부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부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연장부는 상기 노즐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다공성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는, 상기 제2연장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연장부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에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게 형성된 스프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는, 상기 제2연장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연장부의 단부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분산시킬 수 있게 형성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스프레이부로부터 분사되어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물질과 혼합되어 낙하되는 냉각수를 배수시킬 수 있게 형성된 드레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냉각수가 상기 노즐부로부터 분사된 세정수와 독립된 관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연장부의 하부의 중심 부위에 돌출되게 형성된 콘(cone) 형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콘 형상부의 주위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플레어(flare) 형상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는, 상기 제2연장부의 주위에 배치되며 상기 노즐부에서 분사되는 세정수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게 형성된 냉각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통합형 배기처리장치는, 엔진의 배기가스를 환원촉매에 의하여 질소산화물을 처리할 수 있게 형성된 반응기; 상기 반응기에 연결되어 상기 반응기를 통과하는 배기가스가 유입될 수 있게 형성된 인렛부; 상기 인렛부로 유입된 배기가스에 세정수를 공급하여 황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게 형성된 스크러버바디; 및 상기 스크러버바디에 연결되며 처리된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아웃렛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렛부는, 배기가스 배관이 연결되기 위한 접속부; 상기 스크러버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접속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연장부; 및 상기 제1연장부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며, 배기가스를 상기 스크러버바디의 내부공간으로 배출시키는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 및 이를 갖는 통합형 배기처리장치에 의하면, 스크러버바디의 내부에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를 갖는 인렛부가 배치된 것으로, 인렛부가 스크러버바디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종래의 스크러버에 비해 설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공간이 선박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크러버바디의 내부 방향으로 인입된 인렛부에 세정수가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배기가스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스크러버의 탈황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통합형 배기처리장치(100)가 적용된 선박의 엔진 및 배기처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140)의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노즐부(164)를 작동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
도 5는 도 2의 스크러버(140)의 인렛부(150)를 통한 배기가스의 흐름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2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240)의 개략적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3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340)의 개략적 단면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 및 이를 갖는 통합형 배기처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통합형 배기처리장치(100)가 적용된 선박의 엔진 및 배기처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선박의 엔진(10)이 배출하는 배기가스는 질소산화물(NOx)이나 황산화물(SOx)이 포함될 수 있고 이들은 본 발명과 관련된 통합형 배기처리장치(100)에 의하여 처리되어 대기로 배출된다. 여기서 '통합형 배기처리장치(100)'는 질소산화물의 처리를 위한 장치(111)와 스크러버(140)가 공간적으로 집중된 배치를 가지거나 구조적으로 일체화된 경우 또는, 엔진(10)이 복수일 때 복수의 엔진(10)으로부터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스크러버(140)가 공간적으로 집중된 배치를 가지거나 구조적으로 일체화된 경우를 의미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엔진(10)으로부터 나온 배기가스는 반응기(111)를 통하여 질소산화물이 제거된 형태로 스크러버(140)로 보내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엔진(10)이 복수인 경우, 복수의 엔진(10)으로부터 나온 배기가스는 각각의 반응기(111) 또는 통합형 반응기를 각각 경유하여 질소산화물이 제거되고 스크러버(140)로 보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반응기(111)는 선택적 촉매환원법(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을 구현하기 위한 환원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시스템은 운전 모드에 따라 반응기(111)나 스크러버(140)를 경유하지 않고 바이패스라인(121, 122)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크러버(140)는 반응기(111)를 경유한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스크러버(140)는 세정수를 이용하는 습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세정수는 해수를 이용하는 오픈루프 또는 청수를 이용하는 폐쇄루프 및 이들의 하이브리드 형태 모두 가능하다. 스크러버(140)에 배기가스를 도입하는 방식에 있어, 본 발명과 관련된 인렛부(150)는 스크러버(140)에 인입된 형태를 갖는다. 이하, 스크러버(14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140)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전체적으로 스크러버(140)는 인렛부(150)와, 황산화물을 처리하는 부분인 스크러버바디(160)와, 처리된 가스가 배출되는 아웃렛부(170) 및 세정수가 모여지는 집수부(180) 등을 갖는 형태로 되어 있다. 스크러버바디(160)에는 배기가스가 균일하게 흐를 수 있도록 수평으로 배치된 다공성 플레이트(161, 163)와, 다공성 플레이트(161, 163)의 상부에 세정수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부(162, 164)를 가질 수 있다.
인렛부(150)는 엔진(10)의 배기가스가 스크러버바디(160)로 유입되는 부분이다. 인렛부(150)는 외부의 배기가스 배관(120)이 연결되기 위한 접속부(151)와, 스크러버바디(160)의 내부에서 접속부(151)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연장부(152) 및, 제1연장부(152)의 단부에서 제2방향으로 연장하며 스크러버바디(160)의 내부공간으로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제1연장부(153)를 갖는 형태로 되어 있다.
접속부(151)는 외부의 배관(120)이 연결되기 용이하도록 플랜지를 갖는 형태일 수 있다. 즉, 본 발명과 관련된 스크러버(140)는 인렛부(150)가 스크러버바디(160)의 내부에서 일체화되어 있는 형태로서, 외부에 별도의 인렛부의 형상(예: U자형 또는 L자형)을 두지 않고 배관(120)과 직접 연결된다.
제1연장부(152)와 제2연장부(153)는 파이프 또는 덕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배관(120)과 접속부(151)를 통하여 유입된 배기가스를 스크러버바디(160)의 적절한 위치로 안내한다. 제1연장부(152)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연장부(153)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인렛부(150)는 스크러버바디(160)의 내부에서 'ㄱ'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노즐부(162, 164) 또는 다공성 플레이트(161, 163)와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제1연장부(152)는 노즐부(162, 164) 및 다공성 플레이트(161, 163)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반면, 제2연장부(153)는 다공성 플레이트(161, 163)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노즐부(162, 164)를 작동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스크러버바디(160)에 포함되는 하우징이 원통형인 경우, 노즐부(164)는 살수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원형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노즐부(164)는 제1노즐(165)와 제1노즐(165)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노즐(16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노즐(165)과 제2노즐(166)은 살수면적이나 살수량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제1노즐(165)의 살수영역(165A)은 제2노즐(166)의 살수영역(166A)보다 넓으며, 그에 따라 균일한 살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제2연장부(153)의 내부에는 제2연장부(153)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에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게 형성된 스프레이부(155)가 구비될 수 있다. 스프레이부(155)는 반응기(111)를 거친 고온의 배기가스를 미리 냉각시킴으로써 세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스크러버(140)의 인렛부(150)를 통한 배기가스의 흐름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제1연장부(152)를 통하여 수평으로 진입된 배기가스는 제2연장부(153)를 따라 하방으로 흐르게 된다. 제2연장부(153)의 단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집수부(180)에 모여진 세정수의 수면 위에서 반사되어 상방으로 이동된다. 가스는 다공성 플레이트(161, 163)를 통과하면서 균일한 흐름을 가지게 되며, 상부의 노즐부(162, 164)에서 분사되는 세정수와 접촉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2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240)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본 예에서도, 스크러버(240)는, 스크러버바디(260)의 내부로 인입되어 있는 제1연장부(252)와 제2연장부(253)를 갖는 인렛부(250)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2연장부(253)에서 배출된 가스는 다공성 플레이트(261, 263)와 노즐부(262, 264)를 통하여 세정될 수 있게 구성된다.
제2연장부(253)의 하측에는 제2연장부(253)의 단부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분산시킬 수 있게 형성된 가이드부(290)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가이드부(290)는 덕트 또는 파이프의 형태인 제2연장부(253)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흐름을 스크러버바디(260)의 내부 공간에서 균일한 흐름을 갖도록 유도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290)는 제2연장부(253)의 하부의 중심 부위에 돌출되게 형성된 콘(cone) 형상부(291)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콘 형상부(291)의 주위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플레어(flare) 형상면(293)을 가질 수 있다. 콘 형상부(291)는 제2연장부(253)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가스가 반경방향으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하며, 플레어 형상면(293)은 가스를 반사시켜 상부방향으로 흐름이 원활히 전환되도록 한다. 콘 형상부(291) 또는 플레어 형상면(293)에는 반경방향의 흐름에 회전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헬리컬 형태의 베인(vane) 구조나 그루브가 포함될 수 있다.
콘 형상부(291)와 플레어 형상면(293)의 사이에는 제2연장부(153)로부터 낙하되는 냉각수를 배수시킬 수 있는 드레인부(292)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연장부(153)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물질은 스프레이부(도 3의 155번 참조)로부터 분사된 냉각수에 의하여 포집되고 냉각수와 함께 낙하되는데, 무게에 의하여 드레인부(292)로 자연스럽게 모여지게 된다. 이러한 드레인부(292)는 하부의 집수부(180)로 곧바로 이어지게 구성하거나, 별도의 전처리(예: 슬러지 제거)를 거친 후 집수부(280)로 모여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드레인부(292)는 냉각수가 노즐부(262, 264)로부터 분사된 세정수와 독립된 관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제3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340)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본 예에서도, 스크러버(340)는, 스크러버바디(360)의 내부로 인입되어 있는 제1연장부(352)와 제2연장부(353)를 갖는 인렛부(350)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2연장부(353)에서 배출된 가스는 다공성 플레이트(361, 363)와 노즐부(362, 364)를 통하여 세정될 수 있게 구성된다.
제2연장부(353)의 주위에는 냉각링(354)이 형성될 수 있다. 냉각링(354)은 노즐부(362, 364)에서 분사되는 세정수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세정수가 젖어 있거나 고일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세정수는 인렛부(350)를 통과하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간접 열교환에 의하여 미리 냉각시켜 줄 수 있으며, 그만큼 스크러버(340)에서의 세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 및 이를 갖는 통합형 배기처리장치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엔진 100: 통합형 배기처리장치
111: 반응기 121: 제1바이패스라인
122: 제2바이패스라인 140: 스크러버
150: 인렛부 151: 접속부
152: 제1연장부 153: 제2연장부
155: 스프레이부 160: 스크러버바디
161, 163: 다공성 플레이트 162, 164: 노즐부
165: 제1노즐 166: 제2노즐
170: 아웃렛부 180: 집수부
290: 가이드부 291: 콘 형상부
292: 드레인부 293: 플레어 형상면
356: 냉각링

Claims (12)

  1. 엔진의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인렛부;
    상기 인렛부로 유입된 배기가스에 세정수를 공급하여 황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게 형성된 스크러버바디; 및
    상기 스크러버바디에 연결되며 처리된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아웃렛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렛부는,
    배기가스 배관이 연결되기 위한 접속부;
    상기 스크러버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접속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연장부; 및
    상기 제1연장부의 단부에서 제2방향으로 연장하며, 배기가스를 상기 스크러버바디의 내부공간으로 배출시키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러버바디의 내부에 수평으로 배치된 다공성 플레이트; 및
    상기 다공성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세정수를 분무할 수 있게 형성된 노즐부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부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는 상기 노즐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다공성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된,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연장부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에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게 형성된 스프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연장부의 단부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분산시킬 수 있게 형성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스프레이부로부터 분사되어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물질과 혼합되어 낙하되는 냉각수를 배수시킬 수 있게 형성된 드레인부를 더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냉각수가 상기 노즐부로부터 분사된 세정수와 독립된 관로 형태로 형성된,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연장부의 하부의 중심 부위에 돌출되게 형성된 콘(cone) 형상부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콘 형상부의 주위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플레어(flare) 형상면을 더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부의 주위에 배치되며 상기 노즐부에서 분사되는 세정수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게 형성된 냉각링을 더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
  12. 엔진의 배기가스를 환원촉매에 의하여 질소산화물을 처리할 수 있게 형성된 반응기;
    상기 반응기에 연결되어 상기 반응기를 통과하는 배기가스가 유입될 수 있게 형성된 인렛부;
    상기 인렛부로 유입된 배기가스에 세정수를 공급하여 황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게 형성된 스크러버바디; 및
    상기 스크러버바디에 연결되며 처리된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아웃렛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렛부는,
    배기가스 배관이 연결되기 위한 접속부;
    상기 스크러버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접속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연장부; 및
    상기 제1연장부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며, 배기가스를 상기 스크러버바디의 내부공간으로 배출시키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통합형 배기처리장치.
KR1020180046719A 2018-04-23 2018-04-23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 및 이를 갖는 통합형 배기처리장치 KR102098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719A KR102098232B1 (ko) 2018-04-23 2018-04-23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 및 이를 갖는 통합형 배기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719A KR102098232B1 (ko) 2018-04-23 2018-04-23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 및 이를 갖는 통합형 배기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044A true KR20190123044A (ko) 2019-10-31
KR102098232B1 KR102098232B1 (ko) 2020-04-07

Family

ID=68421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719A KR102098232B1 (ko) 2018-04-23 2018-04-23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 및 이를 갖는 통합형 배기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2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5852A1 (ko) * 2020-10-19 2022-04-28 주식회사 모아엔텍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 동시제거 장치
WO2022092773A1 (ko) * 2020-10-28 2022-05-05 한발매스테크 주식회사 사각 형태 스크러버 성능 향상을 위한 가스 분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9160A (ko) * 2010-05-25 2011-12-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20150078530A (ko) * 2013-12-31 2015-07-08 이광희 다단 원통형 구조물을 구비하는 스크러버
KR101748792B1 (ko) * 2016-02-02 2017-06-20 아틱스엔지니어링(주) 선박의 배기가스 정화용 스크러버
KR20170089019A (ko) * 2014-12-26 2017-08-02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선박용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용 스크러버
KR101804418B1 (ko) * 2017-09-05 2017-12-04 하이에어코리아 주식회사 선박용 습식 스크러버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용 습식 스크러버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9160A (ko) * 2010-05-25 2011-12-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20150078530A (ko) * 2013-12-31 2015-07-08 이광희 다단 원통형 구조물을 구비하는 스크러버
KR20170089019A (ko) * 2014-12-26 2017-08-02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선박용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용 스크러버
KR101748792B1 (ko) * 2016-02-02 2017-06-20 아틱스엔지니어링(주) 선박의 배기가스 정화용 스크러버
KR101804418B1 (ko) * 2017-09-05 2017-12-04 하이에어코리아 주식회사 선박용 습식 스크러버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용 습식 스크러버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5852A1 (ko) * 2020-10-19 2022-04-28 주식회사 모아엔텍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 동시제거 장치
WO2022092773A1 (ko) * 2020-10-28 2022-05-05 한발매스테크 주식회사 사각 형태 스크러버 성능 향상을 위한 가스 분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232B1 (ko)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97415C (en) Marine exhaust gas scrubber
KR102001477B1 (ko) 요소수 분무구조
JP6351183B2 (ja) 高濃度に硫黄成分を含有する重油等の低質燃料を使用する船舶用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ガス浄化装置
KR101630074B1 (ko)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장치
KR101910880B1 (ko) 내연기관으로부터의 배기가스에서 질소 산화물 및 황 산화물의 환원 방법
CN107344068B (zh) 光催化氧化与光催化曝气集成的烟气海水脱硫脱硝工艺
CN109821366A (zh) 一种船舶发动机废气脱硫装置及方法
CN102966413A (zh) 后处理系统
KR102098232B1 (ko) 배기가스 처리용 스크러버 및 이를 갖는 통합형 배기처리장치
CN117722267B (zh) 一种船舶尾气处理装置
CN214345559U (zh) 超声波雾化船舶脱硫系统
KR102098231B1 (ko) 통합형 배기처리장치
CN210752114U (zh) 一种船舶柴油机尾气脱硫u型洗涤塔
KR101735535B1 (ko) 선박용 질소 산화물 제거 장치
EP2852452B1 (en) Bottom-up scrubber
CN207076345U (zh) 用于同时去除硫氧化物和氮氧化物的船舶废气处理装置
JP5889229B2 (ja) 再循環排ガス浄化装置及び再循環排ガス浄化方法
KR20170055115A (ko) Scr 시스템
KR20140123664A (ko) 선박의 배기가스 내 PM, SOx, NOx 제거 방법
KR101832895B1 (ko) 선박용 황산화물 저감장치 및 선박용 황산화물 저감장치의 운전방법
CN201150841Y (zh) 脱硫除尘一体化净化器
CN107138045A (zh) 用于同时去除硫氧化物和氮氧化物的船舶废气处理装置
CN109351149B (zh) 船舶废气脱硫脱硝系统
CN214598189U (zh) 一种烟气湿法脱硫脱硝除尘设备
CN220460309U (zh) 一种环保烟气脱硫脱硝多重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