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177A - 토출포트 주변에 라운드부가 구비되는 압축기 - Google Patents
토출포트 주변에 라운드부가 구비되는 압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00177A KR20190000177A KR1020170079190A KR20170079190A KR20190000177A KR 20190000177 A KR20190000177 A KR 20190000177A KR 1020170079190 A KR1020170079190 A KR 1020170079190A KR 20170079190 A KR20170079190 A KR 20170079190A KR 20190000177 A KR20190000177 A KR 201900001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ylinder
- valve
- discharge
- circumferential surface
-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9/124—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 F04C18/3441—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 F04C18/344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the surfaces of the inner and outer member, forming the inlet and outlet ope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04B39/107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the members being reed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9/124—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 F04C29/126—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of the non-return type
- F04C29/128—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of the non-return type of the elastic type, e.g. reed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출포트 주변에 라운드부가 구비되고, 라운드부의 형상 가공의 용이성을 위해 격막이 제거된 실린더를 구비하며, 실린더와 결합 가능한 실린더 커버를 포함하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압축기는 압축기는 실린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밸브홈과, 밸브홈 내에 설치되고 토출포트를 개폐시키는 토출밸브를 포함한다. 이때, 밸브홈은 일측이 메인 사이드 블록의 하면에 접하고, 타측이 서브 사이드 블록의 상면에 접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토출포트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밸브홈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라운드부가 구비됨에 따라, 토출포트와 토출밸브 사이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압축기는 압축기는 실린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밸브홈과, 밸브홈 내에 설치되고 토출포트를 개폐시키는 토출밸브를 포함한다. 이때, 밸브홈은 일측이 메인 사이드 블록의 하면에 접하고, 타측이 서브 사이드 블록의 상면에 접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토출포트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밸브홈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라운드부가 구비됨에 따라, 토출포트와 토출밸브 사이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토출포트 주변에 라운드부가 구비되고, 라운드부의 형상 가공의 용이성을 위해 격막이 제거된 실린더를 구비하며, 실린더와 결합 가능한 실린더 커버를 포함하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냉장고나 에어콘과 같은 증기압축식 냉동사이클(이하, 냉동사이클로 약칭함)에 적용되고 있다.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방식에 따라 왕복동식, 로터리식, 스크롤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베인 로터리 압축기는 베인이 롤러에 삽입되고, 그 롤러와 함께 회전운동을 하면서 원심력과 배압력에 의해 베인이 인출되어 압축실을 형성하는 압축기이다.
베인 로터리 압축기는 통상 복수 개의 베인이 롤러와 함께 회전을 하면서 베인의 선단면이 실린더의 내주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미끄러지게 된다.
이러한 베인 로터리 압축기는 실린더의 내주면이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최근에는 실린더의 내주면이 타원 또는 타원과 원이 조합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마찰손실을 줄이면서도 압축효율을 높이는 하이브리드 실린더를 구비한 베인 로터리 압축기가 이용되고 있다.
베인 로터리 압축기에 이용되는 실린더는 메인 사이드 블록과 서브 사이드 블록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는 측면에 다수의 토출포트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포트에 오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토출포트의 양측에는 격막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토출포트 상에는 토출포트를 개폐시키기 위한 토출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토출포트와 토출밸브 사이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는 경우, 오일에 의한 정지 마찰(Oil stiction)이 증가할 수 있다. 오일에 의한 정지마찰이 증가하는 경우, 압축기의 동작 시 과압축에 의한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토출포트 주변에 토출포트와 토출밸브 사이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라운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실린더의 측면에 격막이 존재함에 따라, 라운드부의 가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라운드부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격막을 제거하는 경우, 토출포트가 구비된 토출챔버 내에 오일이 유입되어 냉매가 토출되는 것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린더의 측면에 존재하는 격막을 제거함으로써, 토출포트와 토출밸브 사이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는 라운드부를 토출포트 주변에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린더의 측면에 결합되는 실린더 커버를 포함함으로써, 실린더의 측면에 존재하는 격막을 제거함에 따라 오일이 토출챔버 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는 실린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밸브홈과, 밸브홈 내에 설치되고 토출포트를 개폐시키는 토출밸브를 포함한다. 이때, 밸브홈은 일측이 메인 사이드 블록의 하면에 접하고, 타측이 서브 사이드 블록의 상면에 접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토출포트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밸브홈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라운드부가 구비됨에 따라, 토출포트와 토출밸브 사이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는 실린더와 결합되고 실린더와 동일한 곡률 중심을 갖는 실린더 커버를 포함함으로써, 오일이 토출챔버 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는, 실린더의 측면에 존재하는 격막을 제거함으로써, 토출포트와 토출밸브 사이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는 라운드부의 형상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라운드부의 가공이 용이해짐에 따라, 라운드부 가공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라운드부는 토출포트와 토출밸브 사이에 발생하는 정지마찰을 감소시켜, 압축기의 과압축에 따른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고, 압축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는, 실린더 커버를 실린더에 결합함으로써 실린더의 측면에 존재하는 격막을 제거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토출챔버 내의 오일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토출챔버에 오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냉매의 토출 유로를 확보할 수 있으며, 압축된 냉매를 원활히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축기에 포함된 실린더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압축기에 포함된 실린더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S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실린더에 결합된 토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토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2의 실린더에 결합되는 실린더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압축기에 포함된 실린더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압축기에 포함된 실린더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S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실린더에 결합된 토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토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2의 실린더에 결합되는 실린더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축기에 포함된 실린더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는,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싱(100), 내부공간의 상부에 구비되는 구동 모터(200), 구동 모터(200)의 하단에 배치되는 압축부(300), 구동 모터(200)의 구동력을 압축부(300)로 전달하는 회전축(23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00)은 예를 들어, 원통형의 형상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케이싱(100)은 원통 쉘(10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통 쉘(101)의 상부에는 상부 쉘(102)이 설치되고, 원통 쉘(101)의 하부에는 하부 쉘(102)이 설치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쉘(102, 103)은 예를 들어, 용접으로 원통 쉘(101)에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부 쉘(102)에는 토출관(130)이 설치될 수 있는데, 토출관(130)은 압축부(300)에서 토출되는 압축된 냉매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이다.
참고로, 토출되는 냉매에 혼입된 오일을 분리하는 오일 세퍼레이터(미도시)가 토출관(130)과 연결될 수 있다.
케이싱(100)의 내부에 구동 모터(200)가 설치되고, 구동 모터(200)의 일측에는 회전축(230)을 통해 구동 모터(200)에서 생성된 회전력을 전달받는 압축부(300)가 설치된다.
압축기는 압축부(300)와 구동 모터(200)의 위치에 따라, 상부 압축식 또는 하부 압축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부 압축식은 압축부(300)가 구동 모터(200)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방식이다. 하부 압축식은 압축부(300)가 구동 모터(200)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방식이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가 하부 압축식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상부 압축식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며, 압축부(300)와 구동 모터(200)가 횡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구동 모터(200)는 케이싱(100)의 내면에 고정되는 고정자(210)와 고정자(210)의 내부에 위치하여 고정자(210)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자(220)를 포함한다. 회전자(220)의 중심에는 회전축(230)이 고정되어, 회전자(220)와 회전축(230)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압축부(300)는 구동 모터(2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부(300)는 회전축(230)의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메인 사이드 블록(310), 실린더(330) 및 서브 사이드 블록(320)을 포함한다.
메인 사이드 블록(310)은 케이싱(100)의 내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메인 사이드 블록(310)의 하면에는 실린더(330)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330)의 하면에는 서브 사이드 블록(320)가 고정될 수 있다.
즉, 메인 사이드 블록(310)과 서브 사이드 블록(320) 사이에는 실린더(3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메인 사이드 블록(310)과 서브 사이드 블록(320)은 실린더(330)의 상면 및 하면을 밀봉하여, 실린더(330) 내부에 압축공간(333)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실린더(330)는 메인 사이드 블록(310) 및 서브 사이드 블록(320)에 볼트로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 상에는 메인 사이드 블록(310)의 지름이 서브 사이드 블록(32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서브 사이드 블록(320)도 메인 사이드 블록(310)와 마찬가지로 케이싱(1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메인 사이드 블록(310)과 동일한 지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330)의 양측에 설치되는 메인 사이드 블록(310)과 서브 사이드 블록(320)에 의해 실린더(330)의 내부에는 압축공간(333)이 형성된다.
실린더(330)의 내주면(332)은 원형 또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실린더(330)의 내주면(332)은 대칭형 타원 형상 또는 비대칭형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비대칭형 타원으로 된 실린더(330)를 통상 하이브리드 실린더라고 한다. 이하에서는 실린더(330)의 내주면이 비대칭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실린더(330)는 외주면(331)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주면(331)이 비원형이라도 케이싱(100)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형상이면 충분할 수 있다.
실린더(330)는 중앙부에 빈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 빈 공간부는 메인 사이드 블록(310)과 서브 사이드 블록(320)에 의해 밀봉되어 압축공간(333)을 형성하게 된다. 압축공간(333)에는 후술할 롤러(3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실린더(330)의 내주면(332)에는 그 실린더(330)의 내주면(332)과 롤러(340)의 외주면(341)이 거의 접촉되는 지점(P1)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흡입포트(334)와 토출포트(421, 431)가 형성된다.
흡입포트(334)는 케이싱(100)을 관통하는 흡입관(120)과 연결된다.
토출포트(421, 431)는 케이싱(100)의 내부공간(110)을 향해 연통되어 케이싱(100)의 상부에 관통 결합되는 토출관(130)과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냉매는 흡입포트(334)를 통해 압축공간(333)으로 직접 흡입되는 반면, 압축된 냉매는 토출포트(421, 431)를 통해 케이싱(100)의 내부공간(110)으로 토출되었다가 토출관(130)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싱(100)의 내부공간(110)은 토출압을 이루는 고압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흡입포트(334)에는 별도의 흡입밸브가 설치되지 않는 반면, 토출포트(421, 431)에는 각각 토출포트(421, 431)를 개폐하는 토출부(도 5의 500)가 설치될 수 있다.
토출부(도 5의 500)는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단을 이루는 리드형 밸브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토출부(도 5의 500)는 리드형 밸브 구조 외에도 피스톤 밸브 구조 등이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토출부(도 5의 500)가 리드형 밸브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토출부(도 5의 5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실린더(330)의 외주면에는 토출부(도 5의 5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밸브홈(420, 430)이 형성된다.
밸브홈(420, 430)은 토출포트(421, 431)의 일단을 노출시킬 수 있다.
밸브홈(420, 4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일 밸브홈만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밸브홈(420, 430)은 실린더(33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됨에 따라, 토출포트(421, 431)의 통로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포트(421, 431)의 길이가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어, 토출포트(421, 431)에 의해 발생되는 사체적(즉, 토출포트(421, 431)에 의해 낭비되는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밸브홈(420, 430)은 실린더(330)의 내측으로 식각된 평평한 밸브시트면(424, 434)을 확보할 수 있도록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밸브홈(420, 430)은 다각형 또는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린더(330)는 제1 밸브홈(420)과 제2 밸브홈(4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밸브홈(420)은 제2 밸브홈(430)보다 흡입포트(334)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밸브홈(420)에 포함된 제1 밸브시트면(424)과 제2 밸브홈(430)에 포함된 제2 밸브시트면(434)은 서로 교차하는 "?袖막?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1 밸브홈(420)은 제2 밸브홈(4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밸브홈(420)과 제2 밸브홈(43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토출포트(421, 431)는 압축경로(압축진행방향)를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복수 개의 토출포트(421, 431)는 압축경로를 기준으로 상류 측에 위치하는 토출포트를 부 토출포트(431), 하류 측에 위치하는 토출포트를 주 토출포트(421)라고 한다.
여기에서, 부 토출포트(431)는 반드시 필요한 필수구성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330)의 내주면(332)이 압축주기를 길게 형성하여 냉매의 과압축을 적절하게 감소시키는 경우라면, 부 토출포트(431)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압축되는 냉매의 과압축량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서라면 부 토출포트(431)를 주 토출포트(421)의 앞쪽, 즉 압축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주 토출포트(421)보다 상류 측에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실린더(330)의 압축공간(333)에는 롤러(34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롤러(340)는 외주면(341)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롤러(340)의 중심에는 회전축(230)이 일체로 결합된다. 따라서, 롤러(340)는 회전축(230)의 축중심과 일치하는 중심(Or)을 가지며, 롤러의 중심(Or)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축(230)과 함께 회전을 할 수 있다.
롤러(340)의 중심(Or)은 실린더(330)의 중심(Oc), 즉 실린더(330)의 내부공간의 중심에 대해 편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롤러(340)의 외주면(341)의 일측은 실린더(330)의 내주면(332)과 거의 접촉된다. 이하에서는, 롤러(340)의 일측이 거의 접촉되는 실린더(330)의 지점을 제1 접촉점(P1)이라고 한다.
여기에서, 제1 접촉점(P1)과 실린더(330)의 중심(Oc)을 지나는 제1 중심선(L1)은 실린더(330)의 내주면(332)을 이루는 타원곡선의 단축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중심선(L1)에 직교하며 실린더(330)의 중심을 지나는 선을 제2 중심선(L2)이라고 할 때, 제1 중심선(L1)과 제2 중심선(L2)을 기준으로 실린더(330)의 내주면(332)은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인슬롯(342)은 롤러(340)의 외주면(341)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슬롯(342)에는 베인(351, 352, 353)이 각각 미끄러지게 결합된다.
베인슬롯(342)은 롤러(34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을 향해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베인(351, 352, 353)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게 된다. 여기에서 반경방향은 롤러(340)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베인슬롯(342)은 반경방향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만큼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베인(351, 352, 353)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인(351, 352, 353)이 기울어지는 방향은 그 롤러(340)의 회전방향이 될 수 있다. 이는, 실린더(330)의 내주면(332)과 접하는 베인(351, 352, 353)의 선단면이 롤러(340)의 회전방향 쪽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압축이 빨리 시작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베인슬롯(342)의 내측단에는 베인(351, 352, 353)의 후방측으로 오일(또는 냉매)이 유입되도록 하여 각 베인(351, 352, 353)을 실린더(330)의 내주면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배압챔버(343)가 형성될 수 있다.
배압챔버(343)는 메인 사이드 블록(310)과 서브 사이드 블록(320)에 의해 밀봉 형성된다. 배압챔버(343)는 각각 독립적으로 배압유로(미도시)와 연통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배압챔버(343)가 공통된 배압유로(미도시)에 함께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베인(351, 352, 353)을 제1 접촉점(P1)에서 시작하여 압축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제1 베인(351), 제2 베인(352), 제3 베인(353)이라 명명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 베인(351)과 제2 베인(352)의 사이, 제2 베인(352)과 제3 베인(353)의 사이, 제3 베인(353)과 제1 베인(351)의 사이는 모두 동일한 원주각만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베인(353)과 제1 베인(351)이 이루는 압축실을 제1 압축실(333a), 제1 베인(351)과 제2 베인(352)이 이루는 압축실을 제2 압축실(333b), 제2 베인(352)과 제3 베인(353)이 이루는 압축실을 제3 압축실(333c)이라고 할 때, 모든 압축실(333a, 333b, 333c)은 동일한 크랭크각에서 동일한 체적을 가지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압축실(333a, 333b, 333c)은 서로 다른 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동일한 체적을 갖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베인(351, 352, 353)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베인(351, 352, 353)의 길이방향 양단 중에서 실린더(330)의 내주면(332)에 접하는 면을 베인의 선단면이라고 하고, 배압챔버(343)에 대향하는 면을 후단면이라고 한다.
베인(351, 352, 353)의 선단면은 실린더(330)의 내주면(332)과 선접촉하도록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베인(351, 352, 353)의 후단면은 배압챔버(343)에 삽입되어 배압력을 고르게 받을 수 있도록 평면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동 모터(200)에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자(220)와 이 회전자(220)에 결합된 회전축(230)은 회전하게 되고, 롤러(340)는 회전축(23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어서, 베인(351, 352, 353)은 롤러(34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과 그 베인(351, 352, 353)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배압력에 의해 각각의 베인슬롯(342)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베인(351, 352, 353)의 선단면은 실린더(330)의 내주면(332)에 접하게 된다.
이어서, 실린더(330)의 압축공간(333)은 복수 개의 베인(351, 352, 353)에 의해 그 베인(351, 352, 353)의 개수만큼의 압축실(333a, 333b, 333c)을 형성하게 된다.
각각의 압축실(333a, 333b, 333c)은 롤러(340)의 회전을 따라 이동하면서 실린더(330)의 내주면(332)의 비대칭 형상과 롤러(340)의 편심에 의해 체적이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압축실(333a, 333b, 333c)에 채워지는 냉매는 롤러(340)와 베인(351, 352, 353)을 따라 이동하면서 흡입, 압축 및 토출될 수 있다.
이러한 압축부(300)의 구체적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 압축실(333a)을 기준으로 할 때, 제1 베인(351)이 흡입포트(334)를 통과하고 제3 베인(353)이 흡입완료시점에 도달하기 전까지 제1 압축실(333a)의 체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를 통해, 냉매는 흡입포트(334)에서 제1 압축실(333a)로 지속적으로 유입된다.
이어서, 제3 베인(353)이 흡입완료시점(또는, 압축개시각)에 도달하게 되면 제1 압축실(333a)은 밀봉상태가 되어 롤러(340)와 함께 토출포트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1 압축실(333a)의 체적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게 되면서 그 제1 압축실(333a)의 냉매는 점진적으로 압축된다.
이어서, 제1 베인(351)이 부 토출포트(431)를 통과하고 제3 베인(353)이 부 토출포트(431)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가 되면, 제1 압축실(333a)의 냉매 중 일부가 부 토출포트(431)를 통해 케이싱(100)의 내부공간(110)으로 토출된다. 이때, 제1 압축실(333a)의 압력은 소정의 압력으로 하강하게 된다.
만약, 부 토출포트(431)가 없는 경우에는 제1 압축실(333a)의 냉매는 토출되지 않고 주 토출포트(421)를 향해 더 이동을 하게 된다.
이어서, 제1 베인(351)이 주 토출포트(421)를 통과하고 제3 베인(353)이 토출개시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제1 압축실(333a)의 냉매는 제2 토출포트(336b)를 통해 케이싱(100)의 내부공간(110)으로 토출된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은 제1 베인(351)과 제2 베인(352) 사이의 제2 압축실(333b), 제2 베인(352)과 제3 베인(353) 사이의 제3 압축실(333c)에서도 동일하게 반복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압축기에 포함된 실린더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S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330)의 외주면에는 제1 밸브홈(420)과 제2 밸브홈(4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밸브홈(420)은 제2 밸브홈(430)보다 흡입포트(334)에 더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밸브홈(420)은 제2 밸브홈(4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이하에서는 제1 밸브홈(420)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제1 밸브홈(420)은 밸브시트면(424), 단차부(425), 라운드부(423), 및 토출포트(421)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시트면(424)은 실린더(330)의 외주면의 일부에 해당하며, 실린더(330)의 내측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에 해당한다.
밸브시트면(424)의 일측에는 단차부(425)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타측에는 라운드부(423)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밸브시트면(424)의 상면으로부터 측정한 단차부(425)의 높이와 라운드부(423)의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밸브홈(420)은 밸브시트면(424)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실린더(330)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측면(4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도 2)상에는 밸브시트면(424)과 측면(427)이 이루는 각도가 둔각(즉, 90도 이상 180도 이하)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각(즉, 0도 이상 90도 이하)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단차부(425)는 밸브시트면(424)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425)는 밸브시트면(424)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차부(425)와 밸브시트면(424)이 연결되는 부분은 라운드진 형상 또는 대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425)는 이후에 후술할 토출부(도 5의 500)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다.
단차부(425)의 중앙에는 토출부(도 5의 500)의 일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426)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426)은 소정의 깊이로 실린더(330)의 내측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426)의 깊이는 임의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426)은 토출부(도 5의 500)에 포함된 고정핀(도 5의 530)이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라운드부(423)는 토출포트(421)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밸브시트면(424)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라운드부(423)는 토출부(도 5의 500)와의 접촉면적이 최소가 되도록, 중앙은 볼록하고 양단은 곡선을 이루는 라운드진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라운드부(423)는 이러한 라운드진 단면이 토출포트(421)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도넛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라운드부(423)는 밸브시트면(424) 상에서 단차부(425)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밸브시트면(424)의 상면으로부터 측정한 라운드부(423)의 최고점의 높이는, 단차부(425)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이 따라, 토출밸브(도 5의 510)의 하면이 라운드부(423)와 접하는 경우, 토출밸브(도 5의 510)는 밸브시트면(424)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토출밸브(도 5의 510)는 밸브시트면(424)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밸브홈(420)에는 종래의 실린더의 양측면에 존재하였던 격막이 미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23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측정한 실린더(330)의 제1 높이(도 1의 d1)와, 동일 방향으로 측정한 제1 밸브홈(420)의 제2 높이(d2)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밸브홈(420)의 두께(도 1의 d1)와 실린더(330)의 두께(d2)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330)의 양측면에 격막이 미형성됨에 따라, 밸브시트면(424)의 일측은 메인 사이드 블록(310)에 접할 수 있고, 밸브시트면(424)의 일측의 타측은 서브 사이드 블록(320)에 접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330)의 양측면에 존재하였던 격막이 미형성됨에 따라, 실린더(330)의 외주면 상에 라운드부(423)를 형성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격막이 존재하는 경우, 실린더(330)의 가공 특성상 라운드부(423)와 같은 형상을 구현하는 것이 매우 난이도 높고, 많은 시간이 요구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330)는 제1 밸브홈(420)의 양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밸브시트면(424)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라운드부(423)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라운드부(423)의 가공에 필요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라운드부(423)는 토출포트(421)와 토출밸브(도 5의 510) 사이에 발생하는 정지마찰을 감소시켜, 압축부(300)의 과압축에 따른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압축기의 전체적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실린더에 결합된 토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토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밸브홈(420) 상에 설치되는 토출부(500)는 토출밸브(510), 밸브서포트(520), 고정핀(530)을 포함한다.
토출밸브(510)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밸브(510)는 탄성을 지닌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토출밸브(510)의 일단은 단차부(425)에 고정되고, 타단은 라운드부(423) 상에 위치하며 자유단을 이루어 토출포트(421)를 개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출밸브(510)의 일단의 하면은 단차부(425)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토출밸브(510)의 일단의 하면은 라운드부(423)의 최상면(또는, 최상부의 접점)에 접할 수 있다. 토출밸브(510)의 중앙부는 밸브시트면(424)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라운드부(423)의 단면이 곡선을 형성함에 따라 토출밸브(510)와 라운드부(423)의 접촉면적은 최소화될 수 있다.
토출밸브(510)와 라운드부(423)의 접촉면적은 오일에 의한 정지 마찰과 관련된다.
예를 들어, 토출밸브(510)와 라운드부(423)의 접촉면적이 큰 경우, 오일에 의한 정지 마찰이 커지게 되는 바, 토출밸브(510)가 열리기 시작하는 압축실의 압력이 커지되 되므로, 압축실 내에 과압축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과압축이 발생하는 경우, 압축기는 과압축 손실에 의하여 압축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반면, 토출밸브(510)와 라운드부(423)의 접촉면적이 작은 경우, 오일에 의한 정지 마찰이 감소되어 과압축 손실이 저감되고, 압축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토출밸브(510) 상에는 밸브서포트(520)가 구비될 수 있다.
밸브서포트(520)의 일단은 단차부(425)에 고정되고, 타단은 밸브시트면(424)에서 멀어지도록 외측으로 굽어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밸브서포트(520)의 하면의 일측은 토출밸브(510)의 상면과 접하고, 타측은 토출밸브(510)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밸브서포트(520)는 토출밸브(510)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토출밸브(510)가 휘어지는 각도를 제한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밸브서포트(520)의 두께는 토출밸브(51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밸브서포트(520)는 토출밸브(510)보다 강한 강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핀(530)은 토출밸브(510)와 밸브서포트(520)의 일단을 단차부(425)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핀(530)은 단차부(425)에 형성된 고정홈(426)과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핀(530)은 고정홈(426)의 내주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홈(426)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토출밸브(510) 타측의 하면은 라운드부(423)의 상면 또는 라운드부(423)의 최고점에 접할 수 있다.
이어서, 토출포트(421)와 연결된 압축실의 압력이 높아지는 경우, 토출밸브(510)는 라운드부(423)의 상측 방향으로 힘(F)을 받게 되어, 밸브서포트(520)에 가까워지도록 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포트(421)와 연결된 압축실 내에 압축된 냉매는 토출밸브(510)와 토출포트(421) 사이의 공간으로 토출되어, 케이싱(100)의 내측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도 2의 실린더에 결합되는 실린더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7 및 도 8에는 앞에서 설명한 실린더(330)와 결합 가능한 실린더 커버(390)를 도시하고 있는 바, 앞에서 설명한 실린더(330)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이하에서 생략하도록 한다.
실린더 커버(390)는 실린더(330)의 제1 밸브홈(420) 및 제2 밸브홈(430)의 일면을 덮도록 실린더(330)와 결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린더 커버(390)의 외주면은 실린더(330)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 중심(C)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곡률 중심(C)은 곡선상의 한 점에서 그 법선 방향으로 곡률 반경과 같은 거리에 있는 점을 의미한다. 또한, 곡률 반경은 곡면이나 곡선을 이루는 원호의 반지름을 의미한다.
이때, 실린더 커버(390)의 곡률 반경(R2)은 실린더(330)의 곡률 반경(R1)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 커버(390)의 곡률 반경(R2)은 실린더(330)의 곡률 반경(R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린더 커버(390)의 곡률 반경(R2)은 실린더(330)의 곡률 반경(R1)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실린더 커버(390)의 외주면과 실린더(330)의 외주면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 커버(390)의 내주면(395)은 제1 밸브홈(420)의 외주면의 일부, 및 제2 밸브홈(430)의 외주면의 일부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커버(390)의 내주면(395)의 중앙에는 결합홈(396)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396)은 제1 밸브홈(420)과 제2 밸브홈(430)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결합부(360)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홈(396)은 실린더 커버(390)의 내주면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밸브홈(420)과 제2 밸브홈(430)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결합부(360) 상에는 제1 체결홈(362)이 형성되고, 제1 체결홈(362)에 대응되는 실린더 커버(390)의 외주면에도 제2 체결홈(39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홈(362)과 제2 체결홈(392)은 서로 오버랩 될 수 있으며, 볼트 또는 결합핀과 같은 체결부재(미도시)가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린더 커버(390)의 내측에는 제1 체결홈(362)과 결합 가능한 체결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실린더 커버(390)의 일측 또는 타측에도 실린더(3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홈(363)에 대응되는 체결홈(393)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결홈(363. 393)은 생략되어 실시될 수 잇다.
실린더 커버(390)가 실린더(330)에 결합됨에 따라, 제1 밸브홈(420)과 실린더 커버(390)의 사이 및 제2 밸브홈(430)과 실린더 커버(390)의 사이에는 토출챔버(Ch1, Ch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토출챔버(Ch1, Ch2)는 밸브홈(420, 430)의 외주면, 실린더 커버(390)의 내주면, 메인 사이드 블록(310), 및 서브 사이드 블록(32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토출챔버(Ch1, Ch2) 내에 토출된 압축된 냉매는 메인 사이드 블록(310) 상부에 형성된 냉매 유로(도 1의 312)를 통해, 케이싱(100)의 상부로 토출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압축된 냉매는 토출챔버(Ch1, Ch2)와 연결된 별도의 냉매 유로를 통해 케이싱(100)의 내부로 토출되어 토출관(13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실린더 커버(390)는 실린더(330)에 결합됨으로써, 토출챔버(Ch1, Ch2)의 기밀상태를 유지시켜 토출챔버(Ch1, Ch2)에 외부의 오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출포트(421, 431)로 오일이 스며드는 경우, 토출포트(421, 431)를 통해 토출된 냉매가 원활히 외부로 토출되지 못할 수 있다.
즉, 실린더(330)의 측면에 존재하는 격막을 제거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토출챔버(Ch1, Ch2) 내의 오일 유입을 실린더(330)에 실린더 커버(390)를 결합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실린더(330)의 측면에 실린더 커버(390)를 체결함으로써, 압축된 냉매를 원활히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케이싱
200: 구동 모터
300: 압축부 330: 실린더
340: 롤러 390: 실린더 커버
300: 압축부 330: 실린더
340: 롤러 390: 실린더 커버
Claims (20)
- 압축실을 이루는 내주면의 일측에 흡입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내주면의 타측에 적어도 하나의 토출포트가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편심지게 배치되고, 회전하면서 상기 압축실의 체적을 가변시키는 롤러;
상기 롤러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롤러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롤러의 회전시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을 향해 인출되어 상기 압축실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베인; 및
상기 실린더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밸브홈에 고정되고, 상기 토출포트를 개폐시키는 토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밸브홈은, 상기 밸브홈의 일면을 이루는 밸브시트면과, 상기 밸브시트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토출부의 일단이 고정되는 단차부과, 상기 토출포트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밸브시트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압축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시트면을 기준으로 측정한 상기 단차부의 높이와, 상기 라운드부의 높이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압축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일단이 상기 단차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라운드부 상에 위치하며 자유단을 이루어 상기 토출포트를 개폐시키는 토출밸브와,
상기 토출밸브 상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단차부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밸브시트면에서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밸브서포트와,
상기 토출밸브와 상기 밸브서포트를 상기 단차부에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압축기.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부는, 상기 토출밸브와의 접촉면적이 최소가 되도록, 중앙이 볼록하고 양단이 곡선을 이루는 라운드진 단면을 포함하는 압축기.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고정핀과 결합 가능하도록 내측으로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는 압축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와 동일한 곡률 중심을 갖는 실린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압축기.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곡률 반경은, 상기 실린더 커버의 곡률 반경과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압축기.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내주면 상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및 제2 토출포트와,
외주면 상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토출포트를 노출시키는 제1 밸브홈과,
상기 제1 밸브홈과 이격되도록 외주면 상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토출포트를 노출시키는 제2 밸브홈을 포함하는 압축기.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홈에 포함된 제1 밸브시트면과, 상기 제2 밸브홈에 포함된 제2 밸브시트면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압축기.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제1 밸브홈과 상기 제2 밸브홈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커버의 결합시, 상기 돌출결합부, 상기 제1 밸브홈의 일측, 및 상기 제2 밸브홈의 타측은 상기 실린더 커버의 내주면에 접하는 압축기.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커버는, 상기 돌출결합부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을 더 포함하는 압축기.
- 압축실을 이루는 내주면의 일측에 흡입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내주면의 타측에 적어도 하나의 토출포트가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편심지게 배치되고, 회전하면서 상기 압축실의 체적을 가변시키는 롤러;
상기 롤러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롤러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롤러의 회전시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을 향해 인출되어 상기 압축실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베인;
상기 실린더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토출포트와 연결된 밸브홈에 고정되고, 상기 토출포트를 개폐시키는 토출부; 및
상기 실린더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와 동일한 곡률 중심을 갖는 실린더 커버를 포함하는
압축기.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곡률 반경은, 상기 실린더 커버의 곡률 반경과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압축기.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홈은,
상기 밸브홈의 일면을 이루는 밸브시트면과,
상기 밸브시트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토출부의 일단이 고정되는 단차부과,
상기 토출포트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밸브시트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압축기.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시트면을 기준으로 측정한 상기 단차부의 높이와, 상기 라운드부의 높이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압축기.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내주면 상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및 제2 토출포트와,
외주면 상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토출포트를 노출시키는 제1 밸브홈과,
상기 제1 밸브홈과 이격되도록 외주면 상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토출포트를 노출시키는 제2 밸브홈과,
상기 제1 밸브홈과 상기 제2 밸브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실린더 커버의 내주면에 접하는 돌출결합부를 포함하는 압축기.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커버는, 상기 돌출결합부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압축기.
-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에서 형성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을 따라 설치되는 메인 사이드 블록과 서브 사이드 블록;
상기 메인 사이드 블록 및 상기 서브 사이드 블록 사이에 고정 설치되고, 압축실을 이루는 내주면의 일측에는 흡입포트가 형성되며, 상기 내주면의 타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포트가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상기 내주면에 대해 편심지게 구비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압축실의 체적을 가변시키는 롤러;
상기 롤러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롤러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롤러의 회전시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을 향해 인출되어 상기 압축실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복수 개의 베인; 및
상기 실린더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밸브홈에 고정되고, 상기 토출포트를 개폐시키는 토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밸브홈은, 일측이 상기 메인 사이드 블록의 하면에 접하고, 타측이 상기 서브 사이드 블록의 상면에 접도록 형성되는
압축기.
-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이 연장되는 제1 방향으로 측정한 상기 밸브홈의 높이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측정한 상기 실린더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압축기.
-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홈의 외주면, 상기 실린더 커버의 내주면, 메인 사이드 블록, 및 서브 사이드 블록에 의해 정의되고, 냉매 유로을 통해 압축된 냉매를 케이싱 내부로 토출하는 토출챔버를 더 포함하는 압축기.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9190A KR102390684B1 (ko) | 2017-06-22 | 2017-06-22 | 토출포트 주변에 라운드부가 구비되는 압축기 |
CN201890000955.9U CN211449031U (zh) | 2017-06-22 | 2018-06-15 | 吐出口周边具有圆弧部的压缩机 |
PCT/KR2018/006808 WO2018236096A1 (ko) | 2017-06-22 | 2018-06-15 | 토출포트 주변에 라운드부가 구비되는 압축기 |
US16/010,687 US10989197B2 (en) | 2017-06-22 | 2018-06-18 | Compressor having round part placed near outlet port |
US17/673,724 USRE50087E1 (en) | 2017-06-22 | 2022-02-16 | Compressor having round part placed near outlet por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9190A KR102390684B1 (ko) | 2017-06-22 | 2017-06-22 | 토출포트 주변에 라운드부가 구비되는 압축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0177A true KR20190000177A (ko) | 2019-01-02 |
KR102390684B1 KR102390684B1 (ko) | 2022-04-26 |
Family
ID=64691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9190A KR102390684B1 (ko) | 2017-06-22 | 2017-06-22 | 토출포트 주변에 라운드부가 구비되는 압축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2) | US10989197B2 (ko) |
KR (1) | KR102390684B1 (ko) |
CN (1) | CN211449031U (ko) |
WO (1) | WO2018236096A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28863B2 (ja) | 2012-08-22 | 2015-12-09 |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 気体圧縮機 |
KR20160001467A (ko) * | 2014-06-27 | 2016-01-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압축기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4203Y2 (ja) * | 1975-07-16 | 1984-02-06 |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 リ−ドバルブ |
US4580604A (en) * | 1983-06-23 | 1986-04-08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Discharging valve device for a compressor |
JPS60122287A (ja) * | 1983-12-06 | 1985-06-29 | Mitsubishi Electric Corp | 圧縮機の吐出弁装置 |
KR880000811Y1 (ko) | 1985-06-29 | 1988-03-15 | 주식회사 금성사 | 동기 신호 극성 자동 처리 장치 |
JPS6255487A (ja) * | 1985-09-02 | 1987-03-11 | Toyoda Autom Loom Works Ltd | 可変容量型ベ−ン圧縮機 |
US4955797A (en) * | 1989-02-15 | 1990-09-11 | Tecumseh Products Company | Valve indexing for a compressor |
KR100621023B1 (ko) * | 2003-10-28 | 2006-09-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리드형 토출밸브 조립체의 소음 저감 장치 |
KR101459183B1 (ko) * | 2012-02-16 | 2014-11-07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베인 로터리 압축기 |
JP6074986B2 (ja) * | 2012-09-28 | 2017-02-08 |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 ロータリ圧縮機 |
WO2015104930A1 (ja) * | 2014-01-09 | 2015-07-16 |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 気体圧縮機 |
JP6036780B2 (ja) * | 2014-09-30 | 2016-11-30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圧縮機 |
US10087934B2 (en) * | 2015-07-27 | 2018-10-02 |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 Vane compressor |
-
2017
- 2017-06-22 KR KR1020170079190A patent/KR10239068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6-15 WO PCT/KR2018/006808 patent/WO201823609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06-15 CN CN201890000955.9U patent/CN211449031U/zh active Active
- 2018-06-18 US US16/010,687 patent/US10989197B2/en not_active Ceased
-
2022
- 2022-02-16 US US17/673,724 patent/USRE50087E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28863B2 (ja) | 2012-08-22 | 2015-12-09 |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 気体圧縮機 |
KR20160001467A (ko) * | 2014-06-27 | 2016-01-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압축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90684B1 (ko) | 2022-04-26 |
USRE50087E1 (en) | 2024-08-20 |
US10989197B2 (en) | 2021-04-27 |
CN211449031U (zh) | 2020-09-08 |
US20180372104A1 (en) | 2018-12-27 |
WO2018236096A1 (ko) | 2018-1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7203990B2 (en) | Port plate of a flat sided liquid ring pump having a gas scavenge passage therein | |
KR102442470B1 (ko) | 로터리 압축기 | |
CN211397888U (zh) | 叶片回转式压缩机 | |
KR20180094411A (ko) | 로터리 압축기 | |
CN215292888U (zh) | 旋转式压缩机 | |
US11754071B2 (en) | Hermetic compressor including an intermediate plate having a curved suction passage | |
CN212055120U (zh) | 叶片旋转式压缩机 | |
KR102199140B1 (ko) | 베인 로터리 압축기 | |
CN113700648B (zh) | 旋转式压缩机 | |
KR20190000177A (ko) | 토출포트 주변에 라운드부가 구비되는 압축기 | |
CN215256803U (zh) | 旋转式压缩机 | |
JPH02176187A (ja) | 流体圧縮機 | |
KR101964957B1 (ko) | 미세홈이 구비되는 압축기 | |
JP2008150982A (ja) | ベーンロータリー圧縮機 | |
EP3889432A1 (en) | Rotary compressor | |
US11913456B2 (en) | Rotary vane compressor with residual refrigerant removal | |
CN215256804U (zh) | 旋转式压缩机 | |
KR20180094410A (ko) | 로터리 압축기 | |
US20200248690A1 (en) | Compressor | |
JPH02201084A (ja) | 流体圧縮機 | |
JPH0463979A (ja) | 流体圧縮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