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284A -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4284A
KR20180134284A KR1020180058205A KR20180058205A KR20180134284A KR 20180134284 A KR20180134284 A KR 20180134284A KR 1020180058205 A KR1020180058205 A KR 1020180058205A KR 20180058205 A KR20180058205 A KR 20180058205A KR 20180134284 A KR20180134284 A KR 20180134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mas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9462B1 (ko
Inventor
타카시 토요다
Original Assignee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34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4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ly on one side of the carrier, e.g. sing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5Presence of polyester in the release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Abstract

[과제] 높은 비유전율을 갖고, 또한 점착성, 리워크성, 및 내압축 강도가 우수하고, 지핑 현상을 일으키지 않는 점착제층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제작된 점착제층을 갖고, 점착제 조성물이 호모 폴리머의 Tg가 0℃ 미만 및 0℃ 이상의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 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터, 및 작용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인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터 및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인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50000이며,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공중합체 (A) 100부에 대하여 공중합체 (B)를 1∼30부 포함한다.
Figure pat00013
···(1)

Description

화상 표시 장치{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화상 표시 장치 및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투명 플라스틱,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PC)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위에 그 보호·비산 방지를 위해, 점착 필름을 첩부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유리의 보호·비산 방지를 위해, 점착 필름을 첩부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는 통상 내부의 부품을 보호할 목적으로, 최표면측에 플라스틱판이나 유리판 등의 전면판이 설치되어 있다. 그 전면판에는, 전면판을 보호할 목적이나, 전면판에 충격이 가해져 파손되었을 때, 전면판을 구성하는 플라스틱이나 유리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보호 필름이 더 첩부되는 경우가 있다. 보호 필름으로서는 기재층과, 점착제층을 갖는 필름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최근에는 터치패널 기능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본 발명에 있어서, 터치패널이라고도 기재한다.)가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지만, 보호 필름의 종류에 따라서는, 감도가 저하되어, 터치패널로서의 조작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 때문에, 종래부터 플라스틱판이나 유리판 등의 전면판을 보호하면서, 감도가 저하되지 않는 보호 필름, 구체적으로는, 높은 비유전율을 갖는 보호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점착제층에도 높은 비유전율이 요구되고 있고, 이 점착제층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한 점착제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었다.
높은 비유전율을 갖는 점착 필름으로서 (메타)아크릴산 알콕시알킬 및 (메타)아크릴산 하이드록시알킬을 함유하는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아크릴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서는, 박형이어도, 높은 비유전율과 단차 추종성을 양립하는 것이 가능한 점착 필름이 제안되었다.
일본 특개 2016-84438호 공보
인용문헌 1에서는, 특정 아크릴계 중합체를 사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이 중합체를 다량으로 사용한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력이나 내압축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어, 보호 필름 등을 형성할 때 사용하는 점착제 조성물로서는 그 물성의 밸런스가 뒤떨어지고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은 높은 비유전율을 갖고, 또한 점착성, 리워크성, 및 내압축 강도가 우수하고, 지핑(zipping) 현상을 일으키지 않는 점착제층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 이 점착제층을 얻는 것이 가능한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특정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A) 및 (B)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높은 비유전율을 갖고, 또한 점착성, 리워크성, 및 내압축 강도가 우수하고, 지핑 현상을 일으키지 않는 점착제층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이하의 [1]∼[5]에 관한 것이다.
[1] 점착제층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제작된 층이며,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호모 폴리머의 유리전이 온도(Tg)가 0℃ 미만인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1)를 5∼30질량%,
호모 폴리머의 유리전이 온도(Tg)가 0℃ 이상인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2)를 5∼30질량%,
하기 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터(a3)를 30∼80질량%,
및 작용기 함유 모노머(a4)를 2∼20질량%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인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터(b1)를 90∼99.5질량%,
및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b2)를 0.5∼10질량%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인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이고,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50000이며,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 100질량부에 대하여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를 1∼30질량부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화1]
Figure pat00001
···(1)
Figure pat00002
···(2)
(식 (1) 또는 (2)에 있어서, R1은 H 또는 CH3이고, R2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렌기이고, R3은 탄소수 1∼8의 알킬기이고,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기이며, n은 1∼100의 정수이다.)
[2] 터치패널인 [1]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
[3] 호모 폴리머의 유리전이 온도(Tg)가 0℃ 미만인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1)를 5∼30질량%,
호모 폴리머의 유리전이 온도(Tg)가 0℃ 이상인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2)를 5∼30질량%,
하기 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터(a3)를 30∼80질량%,
및 작용기 함유 모노머(a4)를 2∼20질량%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인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터(b1)를 90∼99.5질량%,
및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b2)를 0.5∼10질량%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인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50000이며,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 100질량부에 대하여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를 1∼30질량부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화2]
Figure pat00003
···(1)
Figure pat00004
···(2)
(식 (1) 또는 (2)에 있어서, R1은 H 또는 CH3이고, R2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렌기이고, R3은 탄소수 1∼8의 알킬기이고,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기이며, n은 1∼100의 정수이다.)
[4] 가교제(C)를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5질량부 포함하는, [3]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
[5] [3] 또는 [4]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제작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
본 발명에 의해, 높은 비유전율을 갖고, 또한 점착성, 리워크성, 및 내압축 강도가 우수하고, 지핑 현상을 일으키지 않는 점착제층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 이 점착제층을 얻는 것이 가능한 점착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후술의 점착제층을 갖는 것이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점착제층은 화상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부재를 붙이기 위한 층이며, 예를 들면, 전면판을 보호하는 기재층과, 점착제층을 갖는 보호 필름(바람직하게는, 화상 표시 장치의 최표면에 존재하는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이란 아크릴 및 메타크릴을 총칭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즉,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란 아크릴산 알킬에스터 및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터를 총칭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또한 「(메타)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총칭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 이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제작된 점착제층, 및 이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 및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점착제 조성물]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호모 폴리머의 유리전이 온도(Tg)가 0℃ 미만인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1)를 5∼30질량%, 호모 폴리머의 유리전이 온도(Tg)가 0℃ 이상인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2)를 5∼30질량%, 하기 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터(a3)를 30∼80질량%, 및 작용기 함유 모노머(a4)를 2∼20질량%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인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터(b1)를 90∼99.5질량%, 및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b2)를 0.5∼10질량%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인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50000이며,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 100질량부에 대하여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를 1∼30질량부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점착제층은 높은 비유전율을 갖고, 또한 점착성, 리워크성, 및 내압축 강도가 우수하고, 지핑 현상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를 함유한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는 호모 폴리머의 유리전이 온도(Tg)가 0℃ 미만인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1)를 5∼30질량%, 호모 폴리머의 유리전이 온도(Tg)가 0℃ 이상인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2)를 5∼30질량%, 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터(a3)를 30∼80질량%, 및 작용기 함유 모노머(a4)를 2∼20질량%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이다.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1))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1)는 호모 폴리머의 유리전이 온도(Tg)가 0℃ 미만인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이다.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1)로서는 통상은 알킬기의 탄소수가 1∼12인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가 사용된다.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1)로서는 호모 폴리머의 유리전이 온도(Tg)가 바람직하게는 -80∼-1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10℃이다. Tg가 상기 범위 내이면 얻어지는 점착제층이 적절한 응력 완화성을 갖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1)로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바람직하게는 2∼12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10이다. 또한, 알킬기로서는 직쇄상의 알킬기이어도, 분지를 갖는 알킬기이어도 된다.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1)의 구체예로서는 에틸아크릴레이트(Tg: -24℃), 아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Tg: -3℃), n-뷰틸아크릴레이트(Tg: -50℃), 아이소뷰틸아크릴레이트(Tg: -40℃), n-헥실아크릴레이트(Tg: -57℃), n-옥틸아크릴레이트(Tg: -65℃), 아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Tg: -58℃),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Tg: -70℃), 노닐아크릴레이트(Tg: -58℃), 라우릴아크릴레이트(Tg: -3℃), n-펜틸메타크릴레이트(Tg: -5℃), n-헥실메타크릴레이트(Tg: -5℃), n-옥틸메타크릴레이트(Tg: -20℃), 아이소옥틸메타크릴레이트(Tg: -45℃),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Tg: -10℃), 아이소데실메타크릴레이트(Tg: -41℃),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Tg: -65℃)를 들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1)로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1)로서는 에틸아크릴레이트, n-뷰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아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아이소옥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아이소데실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n-뷰틸아크릴레이트, 아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아이소데실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고, n-뷰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각 모노머의 호모 폴리머의 유리전이 온도(Tg)는, 예를 들면, Polymer Handbook Forth Edition(Wiley-Interscience 2003) 기재의 값을 사용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2))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2)는 호모 폴리머의 유리전이 온도(Tg)가 0℃ 이상인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이다.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2)로서는 통상은 알킬기의 탄소수가 1∼12인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가 사용된다.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2)로서는 호모 폴리머의 유리전이 온도(Tg)가 바람직하게는 0∼12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0℃이다. Tg가 상기 범위 내이면 얻어지는 점착제층의 내구성을 높게 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2)로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바람직하게는 1∼8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4이다. 또한, 알킬기로서는 직쇄상의 알킬기이어도, 분지를 갖는 알킬기이어도 된다.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2)의 구체예로서는 메틸아크릴레이트(Tg: 8℃), n-프로필아크릴레이트(Tg: 3℃), t-뷰틸아크릴레이트(Tg: 43℃), 펜틸아크릴레이트(Tg: 22℃), 메틸메타크릴레이트(Tg: 105℃), 에틸메타크릴레이트(Tg: 65℃), n-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Tg: 35℃), 아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Tg: 81℃), t-뷰틸메타크릴레이트(Tg: 118℃), n-뷰틸메타크릴레이트(Tg: 20℃), 아이소뷰틸메타크릴레이트(Tg: 48℃)를 들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2)로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2)로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t-뷰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t-뷰틸메타크릴레이트, 아이소뷰틸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메틸아크릴레이트, t-뷰틸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고, 메틸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터(a3))
(메타)아크릴산 에스터(a3)는 하기 식 (1) 또는 (2)로 표시된다.
[화3]
Figure pat00005
···(1)
Figure pat00006
···(2)
식 (1) 또는 (2)에 있어서, R1은 H 또는 CH3이고, R2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렌기이고, R3은 탄소수 1∼8의 알킬기이고,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기이며, n은 1∼100의 정수이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터(a3)로서는 알콕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알콕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메타)아크릴레이트, 다이알킬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메톡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에톡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메톡시뷰틸(메타)아크릴레이트, 4-에톡시뷰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다이)알킬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N,N-다이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메타)아크릴 모노머(a3)로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작용기 함유 모노머(a4))
작용기 함유 모노머(a4)는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작용기로서는 카복실기, 수산기, 아미노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작용기 함유 모노머(a4)에는, 상기 (a1)∼(a3)에 해당하는 모노머는 포함되지 않는다.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a4)로서는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a4-1),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a4-2), 1차 또는 2차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a4-3)를 들 수 있다.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로서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가 갖는 아미노기와 적합하게 상호 작용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이 투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a4-1)가 바람직하다.
작용기 함유 모노머(a4)로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a4-1))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a4-1)는 분자 내에 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이다.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a4)로서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a4-1)를 사용한 경우에는, 후술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가 갖는 아미노기와 적합하게 상호 작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투명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을 얻을 수 있다.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a4-1)의 구체예로서는 β-카복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5-카복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석신산 모노(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스터, ω-카복시폴리카프로락톤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등의 모노 불포화 지방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등의 다이불포화 지방산 및 그 산 무수물을 들 수 있다.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a4-1)로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a4-1)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β-카복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모노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크릴산, 메타크릴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모노머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모노머는 공업적으로 입수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a4-2))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a4-2)는 분자 내에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이다.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뷰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8-하이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a4-2)로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a4-2)로서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뷰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모노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하이드록시뷰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1차 또는 2차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a4-3))
1차 또는 2차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a4-3)는 분자 내에 1차 또는 2차 아미노기를 갖는 모노머이다.
1차 또는 2차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a4-3)로서는 1분자 내에 1차 또는 2차 아미노기를 1개 갖는 모노머이어도 2개 이상 갖는 모노머이어도 된다.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a4-3)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아마이드나, N-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N-알킬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a4-3)로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a4-3)로서는 아크릴아마이드, N-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모노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크릴아마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모노머 성분)
상기한 바와 같이,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는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1)를 5∼30질량%,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2)를 5∼30질량%, (메타)아크릴산 에스터(a3)를 30∼80질량%, 및 작용기 함유 모노머(a4)를 2∼20질량%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이다. 단, 모노머 성분 전체를 100질량%로 한다.
모노머 성분으로서는 (a1)∼(a4)를 상기 범위에서 포함하고 있으면 되고, 또한 (a1)∼(a4) 이외의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a1)∼(a4) 이외의 모노머로서는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아이소본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환상 알킬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방향환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a1)∼(a4) 이외의 모노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모노머 성분 전체를 100질량%로 하면, (a1)∼(a4) 이외의 모노머는 통상은 2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하이다.
모노머 성분으로서는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1)를 8∼30질량%,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2)를 10∼30질량%, (메타)아크릴산 에스터(a3)를 35∼77질량%, 및 작용기 함유 모노머(a4)를 3∼15질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1)를 10∼30질량%,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2)를 12∼30질량%, (메타)아크릴 모노머(a3)를 40∼74질량%, 및 작용기 함유 모노머(a4)를 4∼10질량%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모노머 성분으로서는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1)와,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2)의 합계가 15∼5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0∼5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제조 조건)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는 상기 모노머 성분을 공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공중합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용액 중합법, 괴상 중합법, 유화 중합법, 현탁 중합법 등의 종래 공지의 중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이것들 중에서도 용액 중합법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반응용기 내에 중합 용매, 모노머 성분을 장입하고,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에서 중합개시제를 첨가하고, 반응 개시 온도를 통상 40∼100℃, 바람직하게는 50∼90℃로 설정하고, 통상 50∼90℃, 바람직하게는 60∼90℃의 온도로 반응계를 유지하고, 3∼20시간 반응시킴으로써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를 얻을 수 있다.
중합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조계 개시제, 과산화물계 중합개시제를 들 수 있다.
아조계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2,2'-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다이메틸발레로나이트릴), 2,2'-아조비스(2-사이클로프로필프로피오나이트릴), 2,2'-아조비스(2,4-다이메틸발레로나이트릴), 2,2'-아조비스(2-메틸뷰티로나이트릴), 1,1'-아조비스(사이클로헥세인-1-카보나이트릴), 2-(카바모일아조)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2-페닐아조-4-메톡시-2,4-다이메틸발레로나이트릴,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N,N'-다이메틸렌아이소뷰틸아미딘), 2,2'-아조비스[2-메틸-N-(2-하이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마이드], 2,2'-아조비스(아이소뷰틸아마이드)다이하이드레이트, 4,4'-아조비스(4-사이아노펜탄산), 2,2'-아조비스(2-사이아노프로판올), 다이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2,2'-아조비스(2-메틸-N-(2-하이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마이드) 등의 아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과산화물계 중합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t-뷰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큐멘하이드로옥사이드, 다이큐밀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카프로일퍼옥사이드, 다이-i-프로필퍼옥시다이카보네이트, 다이-2-에틸헥실퍼옥시다이카보네이트, t-뷰틸퍼옥시피발레이트, 2,2-비스(4,4-다이-t-뷰틸퍼옥시사이클로헥실)프로페인, 2,2-비스(4,4-다이-t-아밀퍼옥시사이클로헥실)프로페인, 2,2-비스(4,4-다이-t-옥틸퍼옥시사이클로헥실)프로페인, 2,2-비스(4,4-다이-α-큐밀퍼옥시사이클로헥실)프로페인, 2,2-비스(4,4-다이-t-뷰틸퍼옥시사이클로헥실)뷰테인, 2,2-비스(4,4-다이-t-옥틸퍼옥시사이클로헥실)뷰테인을 들 수 있다.
중합개시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중합 중에 중합개시제를 복수회 첨가하는 것도 제한되지 않는다.
중합개시제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를 형성하는 모노머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0.001∼5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005∼3질량부의 범위 내의 양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중합 반응 중에, 중합개시제, 연쇄이동제, 중합성 단량체, 중합 용매를 적당히 추가 첨가해도 된다.
용액 중합에 사용하는 중합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펜테인, N-헥세인, N-헵테인, N-옥테인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사이클로펜테인, 사이클로헥세인, 사이클로헵테인, 사이클로옥테인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류; 다이에틸에터, 다이아이소프로필에터, 1,2-다이메톡시에테인, 다이뷰틸에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옥세인, 아니솔, 페닐에틸에터, 다이페닐에터 등의 에터류; 클로로폼, 사염화탄소, 1,2-다이클로로에테인, 클로로벤젠 등의 할로젠화 탄화수소류;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프로필, 아세트산 뷰틸, 프로피온산 메틸 등의 에스터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다이에틸케톤, 메틸아이소뷰틸케톤, 사이클로헥산온 등의 케톤류;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N,N-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 N-메틸피롤리돈 등의 아마이드류; 아세토나이트릴, 벤조나이트릴 등의 나이트릴류; 다이메틸설폭사이드, 설포레인 등의 설폭사이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용매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물성)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는, 예를 들면,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법(GPC법)에 의해 측정되는 중량평균 분자량(Mw)이, 폴리스타이렌 환산값으로, 통상 40만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0만∼150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만∼130만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만∼120만이다. Mw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점착제층의 내구성, 응집력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Mw가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점착제 조성물의 도공성이 양호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는 GPC법에 의해 측정되는 분자량 분포(중량평균 분자량(Mw)/수평균 분자량(Mn))이 통상 1.5∼20, 바람직하게는 2∼18, 보다 바람직하게는 2∼15이다. Mw/Mn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점착 시트에 있어서의 점착제층과 기재와의 밀착성 발현이나, 점착 시트의 피착체 등에의 밀착성 발현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Mw/Mn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내열성이 우수하여 내구성 유지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는, Fox의 식으로부터 구한 유리전이 온도(Tg)는 통상은 -70∼0℃, 바람직하게는 -70∼-20℃이다. 이러한 태양이면, 우수한 접착 강도를 갖는 점착제를 얻을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를 함유한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터(b1)를 90∼99.5질량%, 및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b2)를 0.5∼10질량%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이다.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터(b1))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터(b1)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터이다.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터(b1)로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바람직하게는 1∼18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2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8이다.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터(b1)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아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뷰틸메타크릴레이트, 아이소뷰틸메타크릴레이트, t-뷰틸메타크릴레이트, 펜틸메타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헵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n-옥틸메타크릴레이트, 아이소옥틸메타크릴레이트, 노닐메타크릴레이트, 아이소노닐메타크릴레이트, 데실메타크릴레이트, 아이소데실메타크릴레이트, 운데카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아이소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것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터(b1)로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이소뷰틸메타크릴레이트, t-뷰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아이소데실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아이소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이소뷰틸메타크릴레이트, t-뷰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모노머가 보다 바람직하다.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b2))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b2)는 분자 내에 아미노기를 갖는 모노머이다.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b2)로서는 1분자 내에 아미노기를 1개 갖는 모노머이어도, 2개 이상 갖는 모노머이어도 된다.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b2)로서는, 예를 들면, N,N-다이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다이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N,N-다이알킬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b2)로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b2)가 공중합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와의 상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의 모노머 성분)
상기한 바와 같이,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는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터(b1)와,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b2)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이다.
모노머 성분으로서는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터(b1)를 90∼99.5질량%,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b2)를 0.5∼1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터(b1)를 91∼99질량%,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b2)를 1∼9질량%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모노머 성분 전체를 100질량%로 한다.
모노머 성분으로서는 (b1), (b2)를 포함하고 있으면 되고, 또한, (b1), (b2) 이외의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b1), (b2) 이외의 모노머로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아크릴레이트, 아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뷰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뷰틸아크릴레이트, t-뷰틸아크릴레이트, 펜틸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헵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아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노닐아크릴레이트, 아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데실아크릴레이트, 아이소데실아크릴레이트, 운데카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아이소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 알킬에스터: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메톡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에톡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메톡시뷰틸(메타)아크릴레이트, 4-에톡시뷰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콕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뷰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8-하이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아이소본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환상 알킬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방향환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b1), (b2) 이외의 모노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모노머 성분 전체를 100질량%로 하면, (b1), (b2) 이외의 모노머는 통상은 15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하이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의 제조 조건)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는 상기 모노머 성분을 공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공중합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용액 중합법, 괴상 중합법, 유화 중합법, 현탁 중합법 등의 종래 공지의 중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이것들 중에서도 용액 중합법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반응 용기 내에 중합 용매, 모노머 성분을 장입하고,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에서 중합개시제를 첨가하고, 반응 개시 온도를 통상 40∼100℃, 바람직하게는 50∼90℃로 설정하고, 통상 50∼90℃, 바람직하게는 60∼90℃의 온도로 반응계를 유지하고, 4∼20시간 반응시킴으로써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를 얻을 수 있다.
중합개시제로서는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제조 조건)의 항목에서 기재한 것을 적당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중합개시제와,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중합개시제는 동일하여도 되고, 상이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중합개시제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를 형성하는 모노머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0.001∼5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005∼3질량부의 범위 내의 양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중합 반응 중에, 중합개시제, 연쇄이동제, 중합성 단량체, 중합 용매를 적당히 추가 첨가해도 된다.
용액 중합에 사용하는 중합 용매로서는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제조 조건)의 항목에서 기재한 것을 적당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중합 용매와,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중합 용매는 동일하여도 되고, 상이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의 물성)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는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법(GPC법)에 의해 측정되는 중량평균 분자량(Mw)이, 폴리스타이렌 환산값으로, 1000∼50000이며, 바람직하게는 2000∼300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10000이다. 상기 범위 내에서는, 전술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와의 상용성이 양호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는 GPC법에 의해 측정되는 분자량 분포(중량평균 분자량(Mw)/수평균 분자량(Mn))가 통상 1.1∼10, 바람직하게는 1.2∼8, 보다 바람직하게는 1.2∼7, 더욱 바람직하게는 1.3∼6.5이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는 Fox의 식으로부터 구한 유리전이 온도(Tg)는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5∼120℃, 특히 바람직하게는 90∼110℃이다. 이러한 태양이면,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제를 얻을 수 있다.
(가교제(C))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제(C)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C)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에폭시계 가교제,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에폭시계 가교제로서는 1,3-비스(N,N-다이글라이시딜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세인, N,N,N',N'-테트라글라이시딜-m-자일릴렌다이아민, N,N,N',N'-테트라글라이시딜아미노페닐메테인, 트라이글라이시딜아이소사이아네이트, m-N,N-다이글라이시딜아미노페닐글라이시딜에터, N,N-다이글라이시딜돌루이딘, N,N-다이글라이시딜아닐린, 펜타에리트리톨폴리글라이시딜에터, 1,6-헥세인다이올다이글라이시딜에터 등을 들 수 있다.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톨릴렌다이아아이소사이아네이트, 클로로페닐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아이소포론다이아아이소사이아네이트, 자일렌다이아아이소사이아네이트, 다이페닐메테인다이아아이소사이아네이트, 수소 첨가된 다이페닐메테인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 모노머 및 이들 아이소사이아네이트 모노머에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등과 부가 반응시킨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뷰렛형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또한 아이소사이아네이트 모노머에 폴리에터폴리올이나 폴리에스터폴리올, 아크릴폴리올, 폴리뷰타다이엔폴리올, 폴리아이소프렌폴리올 등 부가 반응시킨 유레테인 프리폴리머형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로서는 알루미늄, 철, 구리, 아연, 주석, 타이타늄, 니켈, 안티모니, 마그네슘, 바나듐, 크로뮴, 지르코늄 등의 다가 금속에, 알콕사이드, 아세틸아세톤, 아세토아세트산 에틸 등이 배위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아이소프로필레이트, 알루미늄세컨더리뷰티레이트, 알루미늄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다이아이소프로필레이트, 알루미늄트리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알루미늄트리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를 들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에폭시계 가교제가 내열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제가 반응함으로써, 삼차원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높은 점착력 또한 응집력을 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점착제 조성물의 조성)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 100질량부에 대하여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를 1∼30질량부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를 2∼28질량부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를 4∼26질량부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제(C)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 100질량부에 대하여 가교제(C)를 0.01∼5질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2.5질량부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각 성분의 배합량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높은 비유전율을 갖고, 또한 점착성, 리워크성, 및 내압축 강도가 우수하여, 지핑 현상을 일으키지 않는 점착제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또한 점착 부여 수지, 대전방지제, 실레인 커플링제, 산화방지제, UV 흡수제, 가소제, 미립자, 색소 등의 각종 첨가제 등을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의 물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이 상기 (A)∼(C) 이외의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점착제 조성물의 고형분 100질량% 중, (A)∼(C) 이외의 성분을 통상은 0.03∼30질량%, 바람직하게는 0.05∼2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20질량%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성분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유기 용매를 함유해도 된다.
유기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제조 방법의 설명에서 기재한 중합 용매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 및 중합 용매를 포함하는 폴리머 용액과,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 및 중합 용매를 포함하는 폴리머 용액과, 가교제(C)를 혼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유기 용매의 함유량은 통상은 0∼90질량%이며, 바람직하게는 10∼80질량%이다.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예를 들면, 전술의 (A)∼(C))을, 교반 장치 등을 사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혼합함으로써 얻어진다.
즉,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각 성분을 일괄 또는 순차 혼합·교반함으로써 얻어진다. 교반 시간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작업성 및 생산성의 면에서 실온에서 10∼120분 정도이면 된다.
[점착제층]
점착제층은 상술의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제작된다. 바람직하게는, 상술의 점착제 조성물 중의 가교 반응을 진행시킴으로써, 구체적으로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를 가교제(C)로 가교함으로써, 상기 점착제층이 얻어진다.
점착제층의 형성 조건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혹은 박리 시트의 박리 처리면 위에 도포하고, 용매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50∼150℃, 바람직하게는 60∼100℃이며, 통상 1∼10분간, 바람직하게는 2∼7분간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도포막을 형성한다. 건조 도포막의 막 두께는 통상 5∼125㎛, 바람직하게는 10∼100㎛이다.
점착제층은 이하의 조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혹은 박리 시트의 박리 처리면 위에 도포하고, 상기 조건으로 형성된 도포막 위에 박리 시트를 첩부한 후, 통상 3일 이상, 바람직하게는 7∼10일간, 통상 5∼60℃, 바람직하게는 15∼40℃, 통상 5∼70% RH, 바람직하게는 5∼50% RH의 환경하에서 양생한다. 상기와 같은 숙성 조건으로 가교를 행하면, 효율적으로 가교체(네트워크 폴리머)의 형성이 가능하다.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스핀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롤 코팅법, 바 코팅법, 블레이드 코팅법, 다이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에 의해, 소정의 두께가 되도록 도포·건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 시트]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제작된 점착제층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가 갖는 점착제층은 높은 비유전율을 갖고, 또한 점착성, 리워크성, 및 내압축강도가 우수하고, 지핑 현상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이들 물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제작된 점착제층만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이어도 되고, 기재층과, 점착제층을 갖는 적층체인 점착 시트이어도 된다.
점착제층의 두께로서는 점착 시트의 용도 등에 따라 적당히 설정하면 되고,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은 5∼125㎛이며, 바람직하게는 10∼100㎛이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가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제작된 점착제층만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일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박리 처리된 기재 위에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또한 이 도포면 위에 박리 처리된 기재를 배치함으로써, 점착제층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점착제층만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는, 보관시, 이동시 등은, 박리 처리된 기재와 함께, 보관, 이동 등 되지만, 사용 시에는, 박리 처리된 기재가 벗겨져, 점착제층만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가 기재층과, 점착제층을 갖는 적층체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위에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또한 이 도포면 위에 박리 처리된 기재를 배치함으로써, 기재 위에 점착제층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점착제층은, 사용 시에는, 박리 처리된 기재가 벗겨져, 기재층 및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로서 사용된다.
또한 다른 예로서는, 기재층의 양측에 점착제층을 설치하고, 또한 그 양측에 박리 처리된 기재를 배치함으로써, 점착 시트를 얻어도 된다.
상기 기재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플라스틱, 유리, 직포, 부직포, 종이 등을 들 수 있다. 플라스틱으로서는 투명한 플라스틱이 바람직하고, 투명한 플라스틱으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용도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플라스틱, 유리의 보호·비산 방지용의 점착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화상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부재의 하나로서 사용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전술의 점착제층을 갖는 것이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점착제층은 화상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부재를 첩합하기 위한 층이며, 예를 들면, 전면판을 보호하는, 기재층과, 점착제층을 갖는 보호 필름(바람직하게는 화상 표시 장치의 최표면에 존재하는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으로서는 전술의 점착제층을 적어도 1층 가지고 있으면 되고, 다른 구성 부재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을 비롯하여,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높은 비유전율을 갖기 때문에,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점착제층으로서 사용해도, 터치패널의 감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터치패널인 것이 바람직하고,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은 점착성, 리워크성, 및 내압축 강도가 우수하고, 지핑 현상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높은 비유전율을 가질 뿐만 아니라, 물성의 밸런스가 우수한 점착제층이다.
다른 구성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광원, 도광판, 편광판, 어레이 기판, ITO 등의 투명 전극, 배향막, 액정층, 컬러 필터 기판, 유리 센서, 필름 센서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제시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제조예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의 물성을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Mw, Mw/Mn)
하기 제조예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는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법(GPC법)에 의해, 이하의 조건으로 측정했다.
·측정 장치: HLC-8320GPC(토소제)
·GPC 컬럼 구성: 이하의 4연 컬럼(모두 토소제)
(1) TSKgel HxL-H(가드 컬럼)
(2) TSKgel GMHxL
(3) TSKgel GMHxL
(4) TSKgel G2500HxL
·유속: 1.0mL/min
·컬럼 온도: 40℃
·샘플 농도: 1.5%(w/v)(테트라하이드로퓨란으로 희석)
·이동상 용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표준 폴리스타이렌 환산
[유리전이 온도(Tg)]
하기 제조예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 온도(Tg)는 Fox의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제조예 A-1]
교반기와 온도계와 질소 가스 도입관 및 냉각관을 구비한 용량 2리터의 4구 플라스크에, 중합성 단량체로서 n-뷰틸아크릴레이트(BA) 14질량부와, 메틸아크릴레이트(MA) 20질량부와,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MEA) 60질량부와, 아크릴산(AA) 6질량부를 투입하고, 용매로서 아세트산 에틸을 150질량부 투입했다.
이어서, 질소 가스 분위기하에서 교반을 행하면서, 중합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AIBN)을 0.1질량부 투입하고, 70℃에서, 7시간 반응을 행했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아세트산 에틸로 희석하고, 공중합체 A-1을 포함하는, 고형분 농도 20질량%의 폴리머 용액을 조정했다.
공중합체 A-1의 Mw는 80만, Mw/Mn은 3.0, Tg는 -34℃이었다.
[제조예 A-2]
n-뷰틸아크릴레이트(BA)의 양을 14질량부로부터 24질량부로 변경하고, 메틸아크릴레이트(MA)의 양을 20질량부로부터 30질량부로 변경하고,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MEA)의 양을 60질량부로부터 40질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제조예 A-1과 동일하게 행하여, 공중합체 A-2를 포함하는, 고형분 농도 20질량%의 폴리머 용액을 조정했다.
공중합체 A-2의 Mw는 80만, Mw/Mn은 2.5, Tg는 -29℃이었다.
[제조예 A-3]
메틸아크릴레이트(MA)의 양을 20질량부로부터 40질량부로 변경하고,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MEA)의 양을 60질량부로부터 40질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제조예 A-1과 동일하게 행하여, 공중합체 A-3을 포함하는, 고형분 농도 20질량%의 폴리머 용액을 조정했다.
공중합체 A-3의 Mw는 80만, Mw/Mn은 2.6, Tg는 -23℃이었다.
[제조예 A-4]
n-뷰틸아크릴레이트(BA)의 양을 14질량부로부터 51질량부로 변경하고, 메틸아크릴레이트(MA)의 양을 20질량부로부터 3질량부로 변경하고,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MEA)의 양을 60질량부로부터 40질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제조예 A-1과 동일하게 행하여, 공중합체 A-4를 포함하는, 고형분 농도 20질량%의 폴리머 용액을 조정했다.
공중합체 A-4의 Mw는 80만, Mw/Mn은 3.3, Tg는 -43℃이었다.
[제조예 A-5]
n-뷰틸아크릴레이트(BA)의 양을 14질량부로부터 54질량부로 변경하고,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MEA)의 양을 60질량부로부터 20질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제조예 A-1과 동일하게 행하여, 공중합체 A-5를 포함하는, 고형분 농도 20질량%의 폴리머 용액을 조정했다.
공중합체 A-5의 Mw는 80만, Mw/Mn은 3.2, Tg는 -34℃이었다.
[제조예 A-6]
n-뷰틸아크릴레이트(BA)의 양을 14질량부로부터 0질량부로 변경하고, 메틸아크릴레이트(MA)의 양을 20질량부로부터 9질량부로 변경하고,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MEA)의 양을 60질량부로부터 85질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제조예 A-1과 동일하게 행하여, 공중합체 A-6을 포함하는, 고형분 농도 20질량%의 폴리머 용액을 조정했다.
공중합체 A-6의 Mw는 80만, Mw/Mn은 3.3, Tg는 -40℃이었다.
[제조예 B-1]
교반기와 온도계와 질소 가스 도입관 및 냉각관을 구비한 용량 2리터의 4구 플라스크에, 중합성 단량체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95질량부와, N,N-다이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DMA) 5질량부를 투입하고, 용매로서 톨루엔을 100질량부 투입했다.
이어서, 질소 가스 분위기하에서 교반을 행하면서, 중합개시제로서 AIBN을 3질량부 투입하고, 80℃에서, 10시간 반응을 행하여, 공중합체 B-1을 포함하는, 고형분 농도 50질량%의 용액을 조정했다.
공중합체 B-1의 Mw는 0.5만, Mw/Mn은 1.5, Tg는 99℃이었다.
[제조예 B-2]
톨루엔의 양을 100질량부로부터 30질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제조예 B-1과 동일하게 행한 뒤 톨루엔으로 희석하고, 공중합체 B-2를 포함하는, 고형분 농도 25질량%의 폴리머 용액을 조정했다.
공중합체 B-2의 Mw는 8만, Mw/Mn은 3.5, Tg는 101℃이었다.
[제조예 B-3]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의 양을 95질량부로부터 99.9질량부로 변경하고, N,N-다이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DMA)의 양을 5질량부로부터 0.1질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제조예 B-1과 동일하게 행하여, 공중합체 B-3을 포함하는, 고형분 농도 50질량%의 폴리머 용액을 조정했다.
공중합체 B-3의 Mw는 0.5만, Mw/Mn은 1.5, Tg는 105℃이었다.
제조예에서 얻어진 중합체를 표 1에 정리한다.
Figure pat00007
[실시예 1]
제조예 A-1에서 얻어진 폴리머 용액(고형분 농도 20질량%)과, 제조예 B-1에서 얻어진 용액(고형분 농도 50질량%)과, 에폭시계 가교제 E-AX(소켄카가쿠제: 고형분 농도 5질량%)를, 각각 고형분비가 공중합체 A-1이 100질량부, 공중합체 B-1이 10질량부, E-AX가 0.075질량부가 되는 양으로 혼합하고,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6, 비교예 1∼8]
점착제 조성물의 배합 조성을 표 2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했다.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을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 평가했다.
(점착 시트의 조제)
점착력·리워크성·지핑 현상의 평가용:
점착제 조성물을, 박리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위에, 건조 후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공하고, 80℃에서 2분간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점착제층의 PET 필름과 접하고 있는 면과는 반대의 면에, 박리 처리된 두께 38㎛의 PET 필름을 붙이고, 23℃, 50% RH 환경하에서 7일간 에이징을 행하여, PET 필름 위에 점착제층(두께 20㎛)을 갖는 점착 시트를 얻었다.
압축 강도의 평가, 비유전율의 평가용:
건조 후의 두께를 20㎛로부터 100㎛로 변경한 이외는, 점착력·리워크성·지핑 현상의 평가용의 점착 시트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제하고, PET 필름 위에 점착제층(두께 100㎛)을 갖는 점착 시트를 얻었다.
(점착력·리워크성·지핑 현상의 평가)
상기 점착 시트(점착제층: 두께 20㎛)로부터, 박리 처리된 두께 38㎛의 PET 필름을 벗기고, 점착제층을 두께 100㎛의 PET 필름(기재)에 전사한 후, 25mm 폭으로 재단하여, 시험편을 작성했다. 얻어진 시험편으로부터 박리 처리된 PET 필름을 벗기고, 노출한 점착제층을 유리판에 첩부하고 2kg 롤러 3왕복으로 압착했다. 압착 후, 23℃, 50% RH 환경하에서 150시간 방치 후, 점착 시트를 유리판에 대하여 90°의 각도로, 300mm/min의 속도로 시험편 끝부를 잡아당기고, 점착력을 측정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또한, 이때 리워크성에 대해서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또한 상기 23℃, 50% RH 환경하에서의 방치 시간을, 150시간으로부터 20분으로 변경한 이외는 동일하게 행하여, 지핑 현상의 유무를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점착력
○: 13N 이상
△: 10N 이상 13N 미만
×: 10N 미만
·리워크성
○: 점착 시트 박리 후의 유리판에, 점착제 잔류 없음
△: 점착 시트 박리 후의 유리판에, 점착제 잔류는 약간 있지만, 실용상 문제가 없음
×: 점착 시트 박리 후의 유리판에, 점착제 잔류가 있어, 실용상 문제가 있음
·지핑
○: 점착 시트를 유리판으로부터 박리할 때, 소리가 나지 않음
×: 점착 시트를 유리판으로부터 박리할 때, 「직, 직」 소리가 남
(압축 강도의 평가)
상기 점착 시트(점착제층: 두께 100㎛)로부터, 박리 처리된 두께 38㎛의 PET 필름을 벗기고, 점착제층을 두께 100㎛의 PET 필름(기재)에 전사한 후, 가로세로 15cm로 재단하여, 시험편을 작성했다. 상기 점착 시트의 박리 처리된 두께 38㎛의 PET 필름측에, 위에 30kg의 추(원주 형상, 높이 10.4cm, 직경 12.8cm, 하나 10Kg의 추를 3개 포갰다.)를, 23℃, 50% RH 환경하에서, 24시간 정치하고, 추를 제거한 후의 상태에 대하여 육안으로 확인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패임이 없음
×: 패임
(비유전율의 평가)
상기 점착 시트(점착제층: 두께 100㎛)로부터, 박리 처리된 두께 38㎛의 PET 필름을 벗기고, 점착제층을 두께 100㎛의 구리박에 첩부했다. 그 후, 점착제층으로부터, 구리박과 접하는 면의 반대측에 존재하는 박리 처리된 PET 필름을 벗기고, 이 박리면에 다른 두께 100㎛의 구리박을 첩부하고 측정 샘플로 했다.
토요테크니카제 LCR 미터 6440B(주파수 1MHz)를 사용하여 구리박에 접속하고, 23℃-65% RH의 조건하에서 비유전율을 산출했다.
○: 비유전율이 4.5 이상
△: 비유전율이 4.0 이상 4.5 미만
×: 비유전율이 4.0 미만
실시예, 비교예를 표 2에 정리한다.
Figure pat00008

Claims (5)

  1. 점착제층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제작된 층이고,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호모 폴리머의 유리전이 온도(Tg)가 0℃ 미만인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1)를 5∼30질량%,
    호모 폴리머의 유리전이 온도(Tg)가 0℃ 이상인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2)를 5∼30질량%,
    하기 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터(a3)를 30∼80질량%,
    및 작용기 함유 모노머(a4)를 2∼20질량%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인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터(b1)를 90∼99.5질량%,
    및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b2)를 0.5∼10질량%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인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이고,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50000이며,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 100질량부에 대하여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를 1∼30질량부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화1]
    Figure pat00009
    ···(1)
    Figure pat00010
    ···(2)
    (식 (1) 또는 (2)에 있어서, R1은 H 또는 CH3이며, R2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렌기이고, R3은 탄소수 1∼8의 알킬기이며,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기이며, n은 1∼100의 정수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터치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3. 호모 폴리머의 유리전이 온도(Tg)가 0℃ 미만인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1)를 5∼30질량%,
    호모 폴리머의 유리전이 온도(Tg)가 0℃ 이상인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터(a2)를 5∼30질량%,
    하기 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터(a3)를 30∼80질량%,
    및 작용기 함유 모노머(a4)를 2∼20질량%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인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터(b1)를 90∼99.5질량%,
    및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b2)를 0.5∼10질량%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의 공중합체인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50000이며,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 100질량부에 대하여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B)를 1∼30질량부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화 2]
    Figure pat00011
    ···(1)
    Figure pat00012
    ···(2)
    (식 (1) 또는 (2)에 있어서, R1은 H 또는 CH3이고, R2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렌기이고, R3은 탄소수 1∼8의 알킬기이고,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기이며, n은 1∼100의 정수이다.)
  4. 제 3 항에 있어서,
    가교제(C)를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A)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5질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제작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
KR1020180058205A 2017-06-08 2018-05-23 화상 표시 장치 KR102369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13303A JP7089346B2 (ja) 2017-06-08 2017-06-08 画像表示装置
JPJP-P-2017-113303 2017-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284A true KR20180134284A (ko) 2018-12-18
KR102369462B1 KR102369462B1 (ko) 2022-03-03

Family

ID=64611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205A KR102369462B1 (ko) 2017-06-08 2018-05-23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089346B2 (ko)
KR (1) KR102369462B1 (ko)
CN (1) CN1090218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72409B2 (ja) * 2018-10-10 2022-11-16 東亞合成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7286377B2 (ja) * 2019-03-29 2023-06-05 アイカ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
JP7406908B2 (ja) 2019-09-06 2023-12-28 株式会社きもと ガラス飛散防止シート
WO2021060956A1 (ko) * 2019-09-26 2021-04-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4599756A (zh) * 2019-10-28 2022-06-07 综研化学株式会社 粘合剂组合物、粘合片以及光学构件
WO2023062510A1 (en) * 2021-10-15 2023-04-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ecorative film for a vehicle interior and anti-scatter fil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7160A (ja) * 2001-05-07 2002-11-15 Soken Chem & Eng Co Ltd 粘着剤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用粘着シート
JP2012131963A (ja) * 2010-12-24 2012-07-12 Soken Chem & Eng Co Ltd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型光学フィルム
JP2013032494A (ja) * 2011-06-28 2013-02-14 Nitto Denko Corp 熱硬化型接着シート及びフレキシブル印刷回路基板
JP2016084438A (ja) 2014-10-28 2016-05-19 Dic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情報表示装置及び携帯電子端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60477B (zh) * 2010-12-14 2012-08-08 上海凯鑫森产业投资控股有限公司 一种用于bopp保护膜的压敏胶及其制备方法
JP2013018163A (ja) * 2011-07-08 2013-01-31 Nitto Denko Corp 接合体および接合体の製造方法
JP5994426B2 (ja) * 2012-06-26 2016-09-21 東亞合成株式会社 粘着付与剤及び粘着剤組成物、並びにその用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7160A (ja) * 2001-05-07 2002-11-15 Soken Chem & Eng Co Ltd 粘着剤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用粘着シート
JP2012131963A (ja) * 2010-12-24 2012-07-12 Soken Chem & Eng Co Ltd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型光学フィルム
JP2013032494A (ja) * 2011-06-28 2013-02-14 Nitto Denko Corp 熱硬化型接着シート及びフレキシブル印刷回路基板
JP2016084438A (ja) 2014-10-28 2016-05-19 Dic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情報表示装置及び携帯電子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462B1 (ko) 2022-03-03
JP2018205624A (ja) 2018-12-27
JP7089346B2 (ja) 2022-06-22
CN109021889B (zh) 2021-06-22
CN109021889A (zh) 201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4284A (ko) 화상 표시 장치
US20140272201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touch panel
US8883926B2 (e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use an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for optical use
US20140044961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US8846813B2 (en) Optic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US20160185083A1 (en) Pressure-sensitive-adhesive-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2087736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 시트 및 터치패널용 적층체
EP2537903A2 (en) Optical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WI512067B (zh) 黏著劑層及黏著膜
US20140037951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optical film
JP5212688B2 (ja) 光学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光学機能性フィルム
JP7007100B2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EP2706101A1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US20160209566A1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adhesive-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and image display device
JP6310271B2 (ja) 光学用粘着剤組成物、光学用粘着シー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2184229B1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제층, 광학부재 및 화상표시장치
US20140065403A1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EP3492543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US20190161650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W201500497A (zh) 無溶劑型光學用接著劑組成物及其製造方法、光學用黏著片、圖像顯示裝置、輸入輸出裝置以及接著劑層之製造方法
TWI801499B (zh) 雙面膠黏片及其用途
US20190106605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KR20160034253A (ko) 광학 부재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및 적층체
TW202237783A (zh) 光學黏著片材
TW202309229A (zh) 光學黏著劑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