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355A -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355A
KR20180133355A KR1020180155529A KR20180155529A KR20180133355A KR 20180133355 A KR20180133355 A KR 20180133355A KR 1020180155529 A KR1020180155529 A KR 1020180155529A KR 20180155529 A KR20180155529 A KR 20180155529A KR 20180133355 A KR20180133355 A KR 20180133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joint
cutting line
installation area
cutting
joi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성
Original Assignee
김용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성 filed Critical 김용성
Priority to KR1020180155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3355A/ko
Publication of KR20180133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3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01C11/14Dowel assembly ; Design or construction of reinforcements in the area of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7Flat continuous joint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상호 연접되는 한 쌍의 상판 사이에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상판의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의 경계부에 제1절단선을 마킹하고, 제1절단선을 따라 도로포장재 또는 마감콘크리트를 절단하고, 제1절단선 내측의 도로포장재 또는 마감콘크리트를 철거하고, 제1절단선으로부터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의 외측으로 간격을 두고 추가절단하고, 제1절단선과 제2절단선 사이의 확장영역의 도로포장재를 제거하고, 상호 연접하는 상판의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의 유간부에 난연 고탄력 중공 백업재의 설치하고, 신축이음장치를 상기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 내에 거치하고,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 내에 거치된 신축이음장치를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 내에 노출된 주력 철근에 고정 설치하고, 신축이음장치가 고정된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에 마감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 시공방법에 의하면, 마감처리된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의 라인이 일정하여 외관이 좋고, 도로포장재의 제거가 용이하고, 마감콘크리트의 접착강도가 높고, 소성후 단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난연 고탄력 중공 백업재의 설치로 상부발생 소음 하부전달 차단, 누수 차단 및 유수, 백업재 이탈 방지로 시공 품질 향상 및 화재 예방을 할 수 있고, 적어도 한 쌍의 최소 1 이상의 플랜지가 포함된 내진보강앵커의 사용으로 지진시 부반력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expansion joint}
본 발명은 도로나 교량의 상판 사이에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교량 구조물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신축이음장치는 교량 상판과 상판 사이에 차량이 지나가는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설치된다.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교량 제작 시에, 다수 상판들은 교량지지부에 설치된 후에, 아스콘과 같은 도로포장재로 포장된다. 이후, 상판과 상판 사이에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신축이음장치 설치부를 덮고 있는 도로포장재(아스콘)를 제거하여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을 노출시킨다. 신축이음장치는 노출된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에 설치되고 마감콘크리트로 마감 처리한다.
도 1은 종래 방법에 따라 한 쌍의 상판(1) 위에 시공된 신축이음장치(10)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의 경계부(W)에는 신설공사인 경우 아스콘(11)을 깰 때, 보수공사인 경우에는 기존에 타설된 마감콘크리트를 깰 때 생성된 다수의 브레이커 자국들(12)이 생성된다. 이러한 불규칙한 비선형 자국들(12)은 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신축이음장치 마감콘크리트(13)의 접착강도를 떨어트려 내구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종래의 시공방법에서는 신축이음장치(10) 설치영역의 경계부(W)를 절단한 후에 브레이커를 이용하여 아스콘(11) 또는 마감콘크리트(11)를 깨기 때문에 시간과 노동력이 많이 소요된다.
일반적으로 교량 구조물 유간에 설치되는 백업재의 재질은 고무 스폰지 또는 폴리에틸렌 등의 인화성 재질로 되어 있다. 교량 하부에서 사람들이 종종 불놀이를 하다 교량 하부에 있는 백업재로 불이 붙어 화재가 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백업재의 형상이 4각형 모양으로 유간에 설치후 교량 구조물의 신축으로 인해 특히 구조물이 팽창후 신축되어 유간이 벌어질 때 유간 사이에 있던 백업재가 구조물 유간 밑으로 빠지는 경우가 종종 있고 이로 인해 쉽게 화재가 발생할 소지가 충분히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함에 있어 외관 및 내구성이 좋고, 시공시간과 노동력을 줄일 수 있는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의 경계부(W)에서의 단차가 없어 주행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난연 고탄력 중공 백업재의 설치로 상부발생 소음 하부전달 차단, 누수 차단 및 유수, 백업재 이탈 방지로 시공 품질 향상 및 화재 예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랜지가 마련된 내진보강앵커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함으로써 지진에 의한 부반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상호 연접되는 한 쌍의 상판 사이에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하는 방법은 상기 상판의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의 경계부에 제1절단선을 마킹하고, 상기 제1절단선을 따라 도로포장재 또는 마감콘크리트를 절단하고, 상기 제1절단선으로부터 상기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의 외측으로 간격을 두고 추가절단하고, 상기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 및 확장영역 내의 도로포장재 또는 마감콘크리트를 제거하고, 상기 상호 연접하는 상판의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의 유간부에 백업재의 설치하고, 상기 신축이음장치를 상기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 내에 거치하고, 상기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 내에 거치된 신축이음장치를 상기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 내에 노출된 주력 철근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신축이음장치가 고정된 상기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에 마감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는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 경계부를 일차 절단하여 도로포장재를 제거한 후에, 소정 폭으로 외곽을 잘라내 제거함으로써 외관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시공방법은 상기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의 내측으로 상기 제1절단선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적어도 1 이상의 절단라인을 따라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도로포장재 또는 마감콘크리트를 제거하는 시공과 노동력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백업재는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을 가진 난연성 탄성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상부발생 소음 하부전달 차단, 누수 차단 및 유수, 백업재 이탈 방지로 시공 품질 향상 및 화재 예방을 할 수 있다.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거치단계는, 상기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의 중심선에 맞춰 상기 신축이음장치를 선형 맞춤하는 단계; 및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신축이음장치의 설치 시에 레벨과 중심선에 대한 선형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는, 신설공사인 경우, 상기 아스콘 및 마감콘크리트의 소성 변형을 고려하여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높이를 마감콘크리트의 높이보다 낮게 설치하고, 마감콘크리트는 아스콘보다 낮게 설치하고, 보수공사인 경우, 아스콘의 소성변형이 이미 이루어져 있으므로 아스콘의 높이보다 마감콘크리트를 높게 하고, 신축이음장치의 높이를 마감콘크리트 보다 약간 낮게 설치하여, 소성변형에 따른 수축 시에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시공방법은 상기 신축이음장치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하는 내진보강앵커 및 상기 내진보강앵커의 하측에 반경방향으로 확장하는 적어도 2 이상의 플랜지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플랜지들 사이에 보강철근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보강철근의 타단을 상기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의 노출된 주력철근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신축이음장치는 지진에 따른 부반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한 경계부가 선형으로 시공되어 외관이 우수하다.
둘째, 마감콘크리트와 도로포장재 사이의 접착강도가 우수하여 내구성이 좋다.
셋째, 주행 차량의 승차감을 저해하는 단차를 없앨 수 있다.
넷째, 지진 발생 시에 신축이음장치가 부반력으로 인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기존 4각형 백업재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개발한 난연 고탄력 중공 백업재의 설치로 상부발생 소음 하부전달 차단, 누수 차단 및 유수, 백업재 이탈 방지로 시공 품질 향상 및 화재 예방을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법에 따라 시공된 신축이음장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modification), 균등물 (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 (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 (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제 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 (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2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촉되어 (conta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 (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 (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 (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 (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 (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 (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 (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 (made to),”또는 “~를 할 수 있는 (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 (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사전 작업으로, 신축이음장치(10) 설치영역(S1)의 도면을 검토하고 신축이음장치(10)를 현장에 반입한다.
단계 S10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주보는 한 쌍의 상판(1)에 형성된 신축이음장치(10)의 설치영역(S1) 경계부(W)의 아스콘(11)에 제1절단선(①)을 마킹하고, 확장영역(S2)을 덮고 있는 아스콘(11)에 대해 외측으로 약 5cm 간격을 두고 제2절단선(②)을 마킹하고, 신축이음장치(10)의 설치영역(S1) 내측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의 제3절단선(③)을 마킹을 한다. 여기서, 제2절단선(②)은 신축이음장치(10) 설치영역(S1)을 덮고 있는 아스콘(11)(신설공사의 경우) 또는 마감콘크리트(11)(보수공사의 경우)를 제거한 후에 마킹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3절단선(③)은 생략하여도 좋다.
단계 S11에서, 도로 컷터기를 활용하여 제1절단선(①)을 절단한다. 여기서 제3절단선(③)은 제1절단선(①)을 절단할 때 함께 절단하여도 무방하다.
단계 S12에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레이커 등을 이용하여 신축이음장치(10) 설치영역(S1)을 덮고 있는 아스콘(11)(신설공사의 경우) 또는 마감콘크리트(11)(보수공사의 경우)을 제거한다. 아스콘(11)이나 마감콘크리트(11) 제거 과정에서, 신축이음장치(10) 설치영역(S1)의 제3절단선(③)을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깨기를 시도한다. 이때, 신축이음장치(10) 설치영역(S1) 내에는 주력철근(14)이 노출되도록 깨기를 하여야 한다. 깨낸 아스콘또는 마감콘크리트를 제거한 후 신축이음장치 설치부(S1,S2)를 청소하여야 한다. 여기서 제1절단선 내측으로 제3절단선을 임의로 정해 절단해도 무방하다.
단계 S13에서, 제2절단선(②)을 아스콘(11) 깊이로 절단한 후, 제1절단선(①)과 제2절단선(②) 사이의 확장영역(S2) 상의 아스콘(11)을 제거하고 고압 세척한다. 신축이음장치(10) 설치영역(S1)을 덮고 있는 아스콘(11) 또는 마감콘크리트(11)를 제거한 후에 최종적으로 아스콘 부위의 제2절단선(②)을 절단하고 확장영역(S2)의 아스콘(11)을 제거함으로써, 온전한 제2절단선(②)의 형태를 보존할 수도 있다.
단계 S14에서, 교량 산판 유간부에 거푸집 또는 백업재를 상황에 맞게 설치하여야 한다. 거프집 또는 백업재는 신축이음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중공을 가진 예를 들면 파이프 형상의 난연성 및 고탄력성의 백업재(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난연성 및 고탄력성 중공 백업재의 설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신축이음장치 설치 부위의 신축량에 따라 복원력이 가미된 백업재의 규격을 선정한다.
2) 선정된 규격의 백업재를 구조물 유간부에 끼워 넣은 후 구조물 유간 내측부와 백업재가 끼워진 부위의 접촉면을 접착제로 접착하여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단계 S15에서, 신축이음장치(10) 설치영역에 신축이음장치(10)를 설치한다. 신축이음장치(10)의 설치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설치할 신축이음장치(10)의 유간 세팅표를 확인한 후 유간을 조정한다.
2) 설치할 신축이음장치(10)의 상판 폭을 측정하여 설치부의 중심선에 맞추어 신축이음장치(100) 측부에 먹줄을 설치한다.
3) 신축이음장치(10) 위에 레벨러(Leveller)를 장착하여 신축이음장치(10)를 설치영역(S1)에 거치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스콘 및 마감콘크리트의 소성변형 고려하여, 신축이음장치(10)의 선형 및 레벨을 맞춘다. 마감콘크리트(13) 및 아스콘(11)은 소성에 따라 수축하기 때문에, 신축이음장치(10) 설치영역(S1)과 확장영역(S2) 상의 마감콘크리트는 제거되지 않은 아스콘(11)보다 더 낮게 도포한다. 이는 아스콘(11)의 수축율이 마감콘크리트보다 크기 때문이다. 신축이음장치(10)는 변화하지 않으므로 마감콘크리트(13)의 수축을 고려하여 마감콘크리트(13)보다 더 낮게 설치한다. 결과적으로, 마감콘크리트(13)의 소성이 완료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두 동일한 높이가 되어, 차량 승차감을 좋게 할 수 있다.
4) 선형 및 레벨을 맞춘 신축이음장치(1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진 보강앵커(150-1,150-2)를 보조철근(190-1,190-2)를 이용하여 노출된 주력철근(13)에 용접으로 고정한다. 내진 보강앵커(150-1,150-2)는 하측에 내진 보강앵커(150-1,150-2)의 반경방향으로 확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랜지(152-1,152-2)를 포함한다. 2 이상의 플랜지(152-1,152-2)는 보조철근(190-1,190-2)을 이격된 간격에 끼울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한다. 따라서, 보조철근(190-1,190-2)의 일단은 플랜지(152-1,152-2) 사이에 끼워져 용접되고, 타단은 주력철근(14)에 용접 고정된다.
단계 S16에서, 신축이음장치(10)가 설치된 설치영역(S1)을 다음과 같이 마감처리한다.
1) 신구접착제 도포
2) 레벨러 및 유간조정장치를 제거
3) 볼트를 체결
4) 실리콘, 실링 컴파운드(Sealing Compound) 등으로 마감 처리
5) 마스킹 테이프를 부착
6) 마감콘크리트를 배합 및 타설
7) 진동기로 콘크리트를 다짐
8) 미장
9) 상기 마스킹 테이프를 제거
10) 비닐, 부직포 등 보양하여 습윤양생
11) 주변 청소 및 철수
이상과 같이 신축이음장치(10)를 시공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상기와 같이 신축이음장치의 설치영역 외측에 제2절단선(②)을 통해 확장영역 상의 아스콘(11)을 잘라내 마감콘크리트(13)의 외측을 직선으로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둘째, 기존 4각형 백업재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개발한 난연 고탄력 중공 백업재의 설치로 상부발생 소음 하부전달 차단, 누수 차단 및 유수, 백업재 이탈 방지로 시공 품질 향상 및 화재 예방을 할 수 있다.
셋째, 제1절단선(①)의 내측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2개의 제3절단선(③)을 마킹하여 추가 절단함으로써 설치영역 상의 아스콘 깨기 시간을 절약하여 시공기간을 단축시기는 효과가 있다.
넷째, 유간 세팅표에 따라 신축이음장치 설치 전에 유간을 조정함으로써 설치 후의 실질적인 구조물 변위량을 흡수할 수 있다.
다섯째, 신축이음장치 설치시 측면부에 먹줄을 놓음으로써 제품의 선형을 쉽게 잡을 수 있다.
여섯째, 신축이음장치 거치 후 각 재료의 소성변형을 고려하여 레벨러를 통해 높이 조절 및 고정함으로써 차륜의 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곱째, 적어도 1 이상의 플랜지를 가진 내진보강앵커를 보조철근으로 주력철근과 용접 고정함으로써 지진 시 부반력으로 인한 콘크리트 파괴력을 증대시켜 신축이음장치의 솟아오름을 억제하고, 결과적으로 신축이음장치의 이탈 방지 및 낙교방지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100)의 사용상태 단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이음장치(1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고정부재(100-1, 100-2), 한 쌍의 고정부재(100-1, 100-2) 사이에 배치된 신축이음부재(130), 및 톱니형 앵커(140-1, 140-2)를 포함한다. 여기서 톱니형 앵커는 생략되거나 다른 형태의 앵커일 수도 있다.
한 쌍의 고정부재(100-1, 100-2)는 각각 노면에 노출되는 제1 및 제2상판부(110-1, 110-2)와 상기 제1 및 제2상판부(110-1, 110-2)의 하방에 배치된 제1 및 제2하부지지부(120-1, 120-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상판부(110-1, 110-2)는 각각 상호 대면한 내측연부를 따라 상판유격을 사이에 두고 상호 요철 맞물림하는 제1 및 제2물림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즉, 제1물림부와 제2물림부는 각각 제1요철(凹凸)부 및 제2요철(凹凸)를 포함한다. 이때, 제1요철(凹凸)부의 제1철(凸)부는 제2요철(凹凸)의 제2요(凹)에 수용되고, 제1요철(凹凸)부의 제1요(凹)부에는 제2요철(凹凸)의 제2철(凸)가 수용되도록 교차 배치된다. 따라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및 제2상판부(110-1, 110-2)는 교량의 상판 변형에 따라 간격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다.
신축이음장치(10)는 내진보강앵커(150-1,150-2)가 결합되는 제1앵커공(114-1,114-2)이 형성되어 있다. 내진보강앵커(150-1,150-2)는 일단부가 상판부(110-1,110-2)와 하부지지부(120-1,120-2)에 고정되고, 타단부에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2 이상의 플랜지부(152-1,152-2)가 마련되어 있다. 제1 및 제2상판부(110-1,110-2)와 제1 및 제2 하부지지부(120-1,120-2)의 고정은 너트를 통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내진보강앵커(150-1,150-2)의 플랜지부(152-1,152-2)는 지진 시 교량상부구조에 걸리는 부반력으로 인해 가장 취약한 신축이음장치(10)의 톱니형 앵커(140-1,140-2)가 끊어지거나 용접부위가 터져 신축이음장치(10)가 위로 솟아올라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내진보강앵커(150-1,150-2)는 일측이 신축이음장치(10)의 상판부(110-1,110-2) 및 하부지지부(120-1,120-2)를 관통하고 타측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랜지부(152-1,152-2)가 신축이음장치(10)의 하부에 채워진 마감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몰된다. 결과적으로, 신축이음장치(10)와 하부 콘크리트 구조물은 내진보강앵커(150-1,150-2)에 의해 견고하게 일체화되어, 지진에 의해 발생하는 부반력에 저항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랜지부(152-1,152-2)는 판형이나, 컵모양 등으로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상판부(110-1, 110-2)는 각각 제1 및 제2볼트(160-1,160-2)를 통해 제1하부지지부(120-1)와 제1하부지지부(120-1)에 상호 결합한다. 제1 및 제2볼트(160-1,160-2)는 차량이 제1상판부(110-1)를 지나 제2상판부(110-2)로 넘어갈 때 우선적으로 제2상판부(110-2)에 큰 충격하중이 가해지므로 이를 하부로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마찬가지로, 차량이 제2상판부(110-2)를 지나 제1상판부(110-1)로 넘어갈 때 우선적으로 제1상판부(110-1)에 큰 충격하중이 가해지므로 이를 하부로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노면에 노출된 신축이음장치(10)의 제1 및 제2상판부(110-1, 110-2)는 부식 방지를 위해 비철금속으로 사용한다.
제1 및 제2하부지지부(120-1,120-2)는 각각 제1 및 제2상판부(110-1,110-2)에 저면에 맞닿는 제1 및 제2수평판부(122-1,122-2), 제1 및 제2수평판부(122-1,122-2)의 단부에 결합되어 하부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수직판부(124-1,124-2), 및 제1 및 제2수직판부(124-1,124-2)의 단부에 결합되어 수평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하중분산부(126-1,126-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수평판부(122-1)와 제1수직판부(124-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하중분산부(126-1,126-2)는 바닥의 교량상판(1)에 면접촉하므로써 차량에 의해 전달된 충격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신축이음부재(130)는 탄성의 판상부재를 U, V, W, WW자형 등으로 제작한다. 신축이음부재(130)는 고정하는 방식에 따라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부에 수평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윙부(132,13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신축이음부재(130)는 제1윙부(132)를 제1상판부(110-1)와 제1하부지지부(120-1)의 제1수평판부(122-1) 사이에 개재시켜 고정하고, 제2윙부(134)를 제2상판부(110-2)와 제2하부지지부(120-2)의 제2수평판부(122-2) 사이에 개재시켜 고정함으로써 설치될 수 있다. 신축이음부재(130)는 U자형에서 양측벽 단부를 각각 제1수직판부(124-1)와 제2수직판부(124-2)에 고정하여 설치될 수 있다. 신축이음부재(130)는 고무, 포입고무, 스테인레스, 비철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예시적 실시예와 도면을 통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예시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예시적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교량 상판
10: 신축이음장치
100-1,100-2: 고정부재
110-1,110-2: 상판부
120-1,120-2: 하부지지부
130: 신축이음부재
140-1,140-2: 톱니형 앵커
150-1,150-2:내진 보강앵커
160-1,160-2: 볼트
170-1,170-2: 제1보강철근
190-1,190-2: 제2보강철근

Claims (3)

  1. 상호 연접되는 한 쌍의 상판 사이에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의 경계부에 제1절단선을 마킹하는 단계와;
    상기 제1절단선을 따라 도로포장재 또는 마감콘크리트를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1절단선으로부터 상기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의 내측으로 간격을 두고 적어도 1 이상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 내측의 도로포장재 또는 마감콘크리트를 철거하는 단계와;
    상기 제1절단선으로부터 상기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의 외측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절단선을 따라 추가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1절단선과 제2절단선 사이의 확장영역의 도로포장재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상호 연접하는 상판의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의 유간부에 백업재의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신축이음장치를 상기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 내에 거치하는 단계와;
    상기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 내에 거치된 신축이음장치를 상기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 내에 노출된 주력 철근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신축이음장치가 고정된 상기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에 마감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거치단계는,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마감콘크리트의 소성 변형을 고려하여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높이를 마감콘크리트의 높이보다 낮게 설치하며,
    상기 신축이음장치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하는 내진보강앵커 및 상기 내진보강앵커의 하측에 상기 내진보강앵커의 반경방향으로 확장하는 적어도 2 이상의 플랜지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플랜지 사이에 보강철근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보강철근의 타단을 상기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의 노출 주력철근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재는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을 가진 난연성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거치단계는,
    상기 신축이음장치 설치영역의 중심선에 맞춰 상기 신축이음장치를 선형 맞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KR1020180155529A 2018-12-05 2018-12-05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KR201801333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529A KR20180133355A (ko) 2018-12-05 2018-12-05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529A KR20180133355A (ko) 2018-12-05 2018-12-05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218A Division KR20180017816A (ko) 2016-08-11 2016-08-11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355A true KR20180133355A (ko) 2018-12-14

Family

ID=64743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529A KR20180133355A (ko) 2018-12-05 2018-12-05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335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813B1 (ko) * 2019-07-29 2020-01-08 이종환 도로 확포장 방법
CN110820578A (zh) * 2019-11-15 2020-02-21 中交一公局第五工程有限公司 一种小荷载钢结构桥梁桥面铺装的施工方法
CN110886208A (zh) * 2019-12-06 2020-03-17 武汉丰瑞桥梁科技有限公司 一种桥梁伸缩装置的预埋补强结构及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813B1 (ko) * 2019-07-29 2020-01-08 이종환 도로 확포장 방법
CN110820578A (zh) * 2019-11-15 2020-02-21 中交一公局第五工程有限公司 一种小荷载钢结构桥梁桥面铺装的施工方法
CN110886208A (zh) * 2019-12-06 2020-03-17 武汉丰瑞桥梁科技有限公司 一种桥梁伸缩装置的预埋补强结构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5915B2 (ja) 橋梁ジョイント部の連続化構造
KR101411895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와 그 시공방법
KR20180133355A (ko)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KR101053485B1 (ko) ㄷ자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조립식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설/보수 시공공법
KR20180017816A (ko)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KR101711202B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교량 바닥판
KR101198812B1 (ko)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방법
JP2008121374A (ja) 道路橋における伸縮継手の埋設構造
KR100798654B1 (ko)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90169B1 (ko) 아치형 인도 거더교 및 이의 시공방법
CN212027820U (zh) 一种断裂带隧道变形缝处组合止水带防水结构
KR102080492B1 (ko)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
KR101280988B1 (ko) 슬라이드와 탄성 신축 이음 장치 및 이 시공 방법
KR101306266B1 (ko)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492335B1 (ko) 교량하부구조물 내진보강방법 및 그 장치
KR101951454B1 (ko) 마찰감쇠장치가 구비된 내진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101605011B1 (ko) 교량 하부구조물 보수보강공법
KR101914243B1 (ko) 신축이음장치
KR20070008824A (ko)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 방법
KR20000032358A (ko) 무교좌 및 무신축이음형 교대 구조
KR101002231B1 (ko) 형강을 이용한 교량용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와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KR100954597B1 (ko) 신축이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
WO2019024613A1 (zh) 支护用波纹板组件
KR100622008B1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합성구조
CN211058055U (zh) 一种新型防屈曲支撑-rc框架可更换连接节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