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2335B1 - 교량하부구조물 내진보강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교량하부구조물 내진보강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92335B1 KR100492335B1 KR10-2002-0014533A KR20020014533A KR100492335B1 KR 100492335 B1 KR100492335 B1 KR 100492335B1 KR 20020014533 A KR20020014533 A KR 20020014533A KR 100492335 B1 KR100492335 B1 KR 1004923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tension
- column
- bridge
- reinforce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247 radioactive fallou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55 Adhesive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975 Carbon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018 Cast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019 Diospyros kak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508 Diospyros virgini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03 Joint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62 carbon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700 ep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43 fluid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1)
- 교량구조물에 긴장재를 결합하여 보강하는 교량구조물 내진보강방법에 있어서, 교량하부구조물의 교각(100) 하측부와, 상측부에 긴장재 고정부재(200),(210)를 각각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교각(100)의 컬럼부(110)에 컬럼부 보강체결부재(300)를 하나 이상 고정하는 단계와, 다수개의 긴장재(400)를 상기 컬럼부(110)의 외측으로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그 상,하단부를 상기 상,하부 긴장재 고정부재(200),(210)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긴장재(400)를 컬럼부 보강체결부재(300)의 체결링(310)에 각각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교각(100)의 컬럼부(110)의 외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보강층(50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하부구조물 내진보강방법.
- 교량구조물에 긴장재를 결합하여 보강하는 교량구조물 내진보강방법에 있어서, 교량하부구조물의 교각(100)의 컬럼부(110) 전,후면 상,하측부에 상,하부 긴장재 고정부재(200),(210)를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교각(100)의 코핑부(120)의 양측돌부(121)에 ㅁ형 브래키트(221)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하고, 컬럼부(110)의 양측면 상단부에는 상부 긴장재 고정부재(200)를 고정하며, ㅁ형 브래키트(221)와 상부 긴장재 고정부재(200) 사이에 간격재(222)를 삽입함과 아울러 이들 ㅁ형 브래키트(221), 간격재(222) 및 상부 긴장재 고정부재(200)를 일연체로 용접한 형태로 상부 측방향 보강 브래키트(220)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컬럼부(110)의 양측면 하단부에 하부 긴장재 고정부재(210)를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교각(100)의 컬럼부(110) 외주면에 다수개의 앵커볼트(331)를 고정하는 단계와, 강철판(330)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하여 다수개의 앵커볼트(331)를 각 강철판(330)에 형성된 구멍으로 돌출시켜 너트(332)로 체결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컬럼부(110)의 외측으로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수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긴장재(400)의 중간부를 상기 컬럼부 보강체결부재(300)에 소정간격으로 구비된 쉬스관 안내부(320)에 삽입하는 단계와, 각 긴장재(400)의 상,하단부를 상기 상,하부 긴장재 고정부재(200),(210)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컬럼부(101)의 외측으로 다수의 철근(410)은 각각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상기 컬럼부 보강체결부재(300)의 강철판(330)으로 돌출된 앵커볼트(331)에 묶어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교각(100)의 컬럼부(110)의 외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보강층(500)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하부구조물 내진보강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각(100)의 푸팅부(130) 양측면 상부에 보강선 고정부재(250)를 고정하는 단계와, 복수의 보강선(420)의 하단부를 지반층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보강선(420)의 상단부를 상기 보강선 고정부재(250)에 각각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하부구조물 내진보강방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400)의 상,하단부를 상기 상,하부 긴장재 고정부재(200),(210)에 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긴장재(400)를 통상의 긴장수단으로 소정의 인장력을 가하여 인장시킨 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하부구조물 내진보강방법.
- 교량구조물에 긴장재를 결합하여 보강하는 교량구조물 내진보강장치에 있어서, 교량하부구조물의 교각(100) 하측부와, 상측부에 긴장재 고정부재(200),(210)가 각각 고정되고, 교각(100)의 컬럼부(110)에는 컬럼부 보강체결부재(300)가 하나 이상 고정되며, 다수개의 긴장재(400)가 상기 컬럼부(110)의 외측으로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그 상,하단부가 상기 상,하부 긴장재 고정부재(200),(210)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컬럼부 보강체결부재(300)에 체결링(310)으로 각각 고정되고, 교각(100)의 컬럼부(110)의 외측으로 콘크리트 보강층(500)이 적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하부구조물 내진보강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교각(100)의 컬럼부(110)와 코핑부(120) 사이에 상부 보강 브래키트(230)를 설치하고, 컬럼부(110)와 푸팅부(130) 사이에 하부 보강 브래키트(240)를 설치한 후, 이 상,하부 보강 브래키트(230),(240) 위에 상기 상,하부 긴장재 고정부재(200),(210)를 고정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하부구조물 내진보강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긴장재 고정부재(200),(210)는 소정 치수를 가지는 수직강판(211)과 수평강판(212)을 용접함과 아울러 삼각강판(213)을 용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평강판(212)에는 상기 긴장재(400)의 나사부(401)를 삽입하여 너트(402)로 체결하기 위한 통공(214)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하부구조물 내진보강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긴장재 고정부재(210)는 소정 치수를 가지는 수직강판(211)과 수평강판(212)을 용접함과 아울러 삼각강판(213)을 용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평강판(212)에는 상기 긴장재(400)의 나사부(401)를 삽입하여 너트(402)로 체결하기 위한 통공(214)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상부 긴장재 고정부재(200)는 소정 치수를 가지는 수직강판(211)과 수평강판(212)을 용접함과 아울러 삼각강판(213)을 용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평강판(212) 위에는 상기 긴장재(400)의 단부를 쐐기형 고정부재(216)로 정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정착링(215)이 고정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하부구조물 내진보강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부 보강체결부재(300)는 컬럼부(110)의 외측으로 강판대를 둘러 감은 형태로 고정되고, 이 컬럼부 보강체결부재(300)에는 상기 긴장재(400)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체결링(310)이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하부구조물 내진보강장치.
- 교각(100)의 코핑부(120)의 양측돌부(121)에 ㅁ형 브래키트(221)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하고, 컬럼부(110)의 양측면 상단부에는 상부 긴장재 고정부재(200)를 고정하며, ㅁ형 브래키트(221)와 상부 긴장재 고정부재(200) 사이에 간격재(222)를 삽입함과 아울러 이들 ㅁ형 브래키트(221), 간격재(222) 및 상부 긴장재 고정부재(200)를 일연체로 용접한 형태로 상부 측방향 보강 브래키트(220)가 설치되고, 상기 컬럼부(110)의 양측면 하측부에 하부 긴장재 고정부재(210)가 고정되는 한편, 상기 교각(100)의 컬럼부(110)의 전,후면 상,하측부에 상,하부 긴장재 고정부재(200),(210)가 고정되며, 상기 교각(100)의 컬럼부(110)의 중간에는 컬럼부 보강체결부재(300)가 하나 이상 고정되고, 상기 컬럼부(110)의 외측으로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긴장재(400)의 중간부가 상기 컬럼부 보강체결부재(300)에 소정간격으로 구비된 쉬스관 안내부(320)에 삽입되고, 각 긴장재(400)의 상,하단부가 상기 상,하부 긴장재 고정부재(200),(210)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컬럼부(101)의 외측으로 각각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철근(410)이 컬럼부 보강체결부재(300)의 강철판(330)으로 돌출된 앵커볼트(331)에 묶여 고정되며, 상기 교각(100)의 컬럼부(110)의 외측으로 콘크리트 보강층(500)이 적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하부구조물 내진보강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교각(100)의 푸팅부(130) 양측면 상부에는 보강선 고정부재(250)가 고정되고, 이 보강선 고정부재(250)에 복수의 보강선(420)의 상단부가 고정되고, 보강선(420)의 하단부가 지반층에 고정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하부구조물 내진보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14533A KR100492335B1 (ko) | 2002-03-18 | 2002-03-18 | 교량하부구조물 내진보강방법 및 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14533A KR100492335B1 (ko) | 2002-03-18 | 2002-03-18 | 교량하부구조물 내진보강방법 및 그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75357A KR20030075357A (ko) | 2003-09-26 |
KR100492335B1 true KR100492335B1 (ko) | 2005-05-31 |
Family
ID=32225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14533A KR100492335B1 (ko) | 2002-03-18 | 2002-03-18 | 교량하부구조물 내진보강방법 및 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9233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7247B1 (ko) * | 2006-09-27 | 2007-01-12 | (주) 일신하이텍 | 교각 보강 구조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2336B1 (ko) * | 2002-03-18 | 2005-05-31 | 박재만 | 교량하부구조물 내진보강방법 및 그 장치 |
KR100804125B1 (ko) * | 2007-02-28 | 2008-02-19 | 진성토건 주식회사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연결장치, 이를 이용한 조립식교각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KR100838739B1 (ko) * | 2007-12-26 | 2008-06-17 | 주노이씨엠 주식회사 | 중력식 철도교각의 내진성능 보강구조 및 그를 이용한보강공법 |
CN103362063A (zh) * | 2012-03-29 | 2013-10-23 | 陈兴冲 | 桩基础桥墩的基底摇摆隔震装置 |
KR20180084411A (ko) | 2017-01-17 | 2018-07-25 | 이신원 | Pcc 구조를 이용한 교각 우물통기초 시공구조 |
KR101859494B1 (ko) * | 2017-12-27 | 2018-05-18 | (주)대우건설 | 선형 부재와 플레이트를 이용한 기둥 내진 성능 보강 공법 |
CN110644379A (zh) * | 2019-09-19 | 2020-01-03 | 中铁大桥局第七工程有限公司 | 独柱墩桥梁加固系统及方法 |
CN111794087A (zh) * | 2020-07-16 | 2020-10-20 | 重庆交通大学 | 一种抗倾覆桥梁桥墩结构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11194A (ko) * | 1995-08-28 | 1997-03-27 | 정규성 | 교량 빔 보강공법 및 그 장치 |
KR20010114109A (ko) * | 2000-06-21 | 2001-12-29 | 김기중 | 교각의 내진보강장치 |
KR20020045792A (ko) * | 2000-12-11 | 2002-06-20 | 박재만 | 강선을 이용한 교각 보강공법 및 그 장치 |
KR20030006681A (ko) * | 2001-07-14 | 2003-01-23 | 정광선 | 단면확대를 통한 구조물의 내진보강방법 및 그 장치 |
KR20030075358A (ko) * | 2002-03-18 | 2003-09-26 | 박재만 | 교량하부구조물 내진보강방법 및 그 장치 |
-
2002
- 2002-03-18 KR KR10-2002-0014533A patent/KR10049233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11194A (ko) * | 1995-08-28 | 1997-03-27 | 정규성 | 교량 빔 보강공법 및 그 장치 |
KR20010114109A (ko) * | 2000-06-21 | 2001-12-29 | 김기중 | 교각의 내진보강장치 |
KR20020045792A (ko) * | 2000-12-11 | 2002-06-20 | 박재만 | 강선을 이용한 교각 보강공법 및 그 장치 |
KR20030006681A (ko) * | 2001-07-14 | 2003-01-23 | 정광선 | 단면확대를 통한 구조물의 내진보강방법 및 그 장치 |
KR20030075358A (ko) * | 2002-03-18 | 2003-09-26 | 박재만 | 교량하부구조물 내진보강방법 및 그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7247B1 (ko) * | 2006-09-27 | 2007-01-12 | (주) 일신하이텍 | 교각 보강 구조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75357A (ko) | 2003-09-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2255B1 (ko) | Pc 압착(壓着) 관절 공법에 의한 내진 설계법 | |
WO2006038620A1 (ja) | 脚柱の接合部構造および接合方法 | |
CN106401018B (zh) | 一种装配式自复位摇摆钢板墙结构体系 | |
JP5539554B1 (ja) | 桁橋間の連結構造および桁橋構造 | |
KR100492335B1 (ko) | 교량하부구조물 내진보강방법 및 그 장치 | |
JP2008266970A (ja) | 落橋防止構造用桁連結装置 | |
KR102012883B1 (ko) |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 |
JP5134718B2 (ja) | 橋脚部副支持機構とその施工方法 | |
KR100492336B1 (ko) | 교량하부구조물 내진보강방법 및 그 장치 | |
JP2004225411A (ja) | 橋脚などのアンカーボルト装置 | |
KR101012013B1 (ko) | 콘크리트 타설 높이 증대를 위한 콘크리트충전 강관 기둥용가설보강대 | |
JP2008214973A (ja) | 制震橋脚構造 | |
US20100319271A1 (en) | Ductile Seismic Shear Key | |
JP3869236B2 (ja) | 既存鉄筋コンクリート造高架橋の耐震補強方法 | |
JP4086863B2 (ja) | 複径間桁橋における連続桁構造 | |
KR20140065338A (ko) | 콘크리트 블록과 강재블록으로 구성되며 블록들의 연결부 접합면 상단의 이격거리와 하단의 이격거리 차이를 이용하여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거더 | |
KR102000082B1 (ko) | 토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 |
KR102004854B1 (ko) | 앵커플레이트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 |
JP2009068295A (ja) | 高架構造物 | |
JP4856484B2 (ja) | 落橋防止装置及びその工法 | |
JP2001040616A (ja) | 橋梁の落橋防止装置 | |
JP2009035992A (ja) | 橋脚とフーチングとの接合構造及び方法 | |
JP2007247225A (ja) | 複数の単純桁橋梁による連続桁構造および工法 | |
KR100588447B1 (ko) | 교량의 교각과 거더의 일체화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JP4113458B2 (ja) | 橋梁の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