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8824A -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8824A
KR20070008824A KR1020050062633A KR20050062633A KR20070008824A KR 20070008824 A KR20070008824 A KR 20070008824A KR 1020050062633 A KR1020050062633 A KR 1020050062633A KR 20050062633 A KR20050062633 A KR 20050062633A KR 20070008824 A KR20070008824 A KR 20070008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bridge
installation groove
expansion joint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6858B1 (ko
Inventor
김명선
Original Assignee
김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선 filed Critical 김명선
Priority to KR1020050062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858B1/ko
Publication of KR20070008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상판 사이의 이음부 사이로 침투한 수분이 원활히 배수되도록 하면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배수관을 갖도록 하여 교량의 내구연한을 증대시키고 수명을 길게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는 마주보는 설치홈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부착부와 양쪽의 부착부와 연결되어 이음부에 위치하여 아래로 볼록하게 설치되는 배수부를 갖는 고무 재질의 배수관, 양쪽의 부착부 상부에 탑재되어 설치홈의 높이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연결 부재와, 연결 부재와 설치홈 사이에 타설/양생되어 배수관과 연결 부재를 상판에 각각 고정하는 무수축 콘크리트층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의 시공 방법도 제공한다.
배수관, 교량, 신축이음장치, 고무, 상판

Description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 방법{Expansion jointing apparatus with drainpipe for a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레일 타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모노 셀 타입(고무 타입 포함)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핑거 타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을 갖는 레일 타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도 4의 배수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을 갖는 레일 타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시공 방법에 따른 공정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을 갖는 모노 셀 타입(고무 타입 포함)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9는 도 8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을 갖는 핑거 타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10 : 교량 112 : 교각(교대 포함)
114 : 상판 115 : 설치홈
116 : 철근 117 : 이음부
120, 130 140 : 신축이음장치 121, 131, 141 : 수직 강판
122 : 레일 123 : 고무실
124, 134, 144 : 무수축 콘크리트층 129, 139, 149 : 연결 부재
150 : 배수관 151 : 부착부
152 : 배수부 153 : 요부
154 : 철부 155 : 접착제
156 : 실링제 133 : 신축 블록
142 : 핑커플레이트 145 : 앵커 볼트
146 : 핑거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상 판 사이의 이음부 사이로 침투한 수분이 원활히 배수되도록 하면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배수통을 구비하여 교량의 내구연한을 증대시키고 수명을 길게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동, 하절기와 같은 기온변화에 의한 신축, 콘크리트 재량에 따른 건조수축과 크리프, 활하중에 따른 상부조의 이동을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교량 상판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이에, 간격이 수시로 변화하는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의 이음부를 연결하여 차량을 원활하게 통과시키고, 상판 사이에서 발생되는 변위에 따라서 신축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로는 레일(rail) 타입, 핑거(finger) 타입 그리고 모노 셀(mono cell) 타입이 주로 사용되며,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이음부를 중심으로 마주보는 상판의 모서리 부분을 절개하여 형성된 설치홈에 고정 설치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레일 타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부(17)를 중심으로 마주보는 상판(14) 사이를 연결하도록 복수의 레일(22)이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레일(22) 사이는 고무실(23; rubber seal)로 연결되어 상판(14) 사이에서 발생되는 변위를 따라서 신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판(14)의 마주보는 양측벽에 고정 설치된 수직 강판(21) 위에 레일(22)이 설치된다. 이때 수직 강판(21)과 레일(22)은 설치홈(15)으로 노출된 철근(16)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레일(22)의 양단이 내설되도록 수직 강 판(21)과 설치홈(15)이 형성하는 공간에 무수축 콘크리트를 타설/양생시켜 무수축 콘크리트층(24)을 형성함으로써 레일(22)이 이음부(17)에 고정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레일 타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20)는 단순히 상판(14)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무수축 콘크리트층(24)과 계면을 이루는 상판(14)의 모서리에 설치된 레일(22)과 수직 강판(21)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여 상판(14) 아래로 누수가 발생될 수 있다. 아울러 레일(22) 사이의 고무실(23)이 파손될 경우 파손된 고무실(23) 부분으로 누수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판(14) 아래로 누수가 발생될 경우 교량(10)의 내구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즉, 교각(12, 교대 포함) 위에 상판(14)을 받치고 있는 철 소재의 교량 받침대(13)로 누수된 수분이 침투할 경우, 교량 받침대(13)를 부식시켜 교량(10)의 내구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그리고 이음부(17)의 상부에 설치된 레일의 고무실(23) 부분에서만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차량 통행시 이음부(17)의 하부에서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모노 셀 타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4)의 마주보는 양측벽 사이에 설치된 스티로폼(31)과, 스티로폼(31) 상부에 설치된 흡음재(32)가 내장된 신축 블록(33)으로 구성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모노 셀 타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30) 또한 전술된 레일 타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와 동일하게 상판(14) 사이에 단순히 설치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판(14)과 스티로폼(31) 및 신축 블록(33)의 계면으로 누수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거푸집 대용으로 사용되는 스티로폼(31)은 유간 변형 및 신축 활동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유간 변형 및 신축 활동에 따른 충격이 교량(10)에 그대로 전달되어 교량(10)을 손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따른 핑거 타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4)의 상부 끝단에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42)가 지그재그로 배치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핑거플레이트(42) 아래에 핑거플레이트(42)와 핑거플레이트(42) 사이로 낙하하는 물을 받기 위한 고무 소재의 배수관(43)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배수관(43)은 영문자 "U"자 형태로 상판(14)의 양측벽에 설치된 수직 강판(41)에 볼트(45)로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핑거 타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40)는 종래의 레일 타입이나 모노 셀 타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비해서 누수에 따른 문제를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지만, 핑거플레이트(42)와 무수축 콘크리트층(44)의 계면으로 침투하는 수분이 수직 강판(41)을 타고 상판(14) 아래로 내려갈 수 있다. 아울러 배수관(43)이 수직 강판(41)에 볼트(45)로 체결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배수관(43)과 수직 강판(41)의 계면으로도 누수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강판(41)과 배수관(43) 사이의 간격이 좁아 배수관(43)에 퇴적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도 안고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상판과 기계적인 접촉에 따른 계면을 형성하고, 그 계면이 아래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계면은 수분이 침투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되어 누수에 따른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 부품들과 상판의 계면으로 침투하는 수분이 상판 아래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교량의 내구연한을 증대시키고 수명을 길게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충격완화효과 및 방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거푸집 대용인 스티로폼을 사용하지 않고 무수축 콘크리트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종래의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시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의 이음부의 설치홈에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로서, 마주보는 상기 설치홈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부착부와, 양쪽의 상기 부착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음부에 위치하여 아래로 볼록하게 설치되는 배수부를 갖는 고무 재질의 배수관과, 양쪽의 상기 부착부 상부에 탑재되어 상기 설치홈의 높이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설치홈 사이에 타설/양생되어 상기 배수관과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상판에 각각 고정하는 무수축 콘크리트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배수관의 상부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요철은 배수관의 부착부에 형성되며, 상판의 폭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배수관의 부착부는 설치홈의 바닥면에 접착제를 개재하여 부착되며, 부착부의 가장자리 부분은 실링 처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연결 부재는 양쪽의 부착부의 요부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수직 강판과, 양쪽의 수직 강판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연결 부재는 양쪽의 부착부의 요부에 삽입되어 철부에 지지되는 수직 강판을 갖는 신축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연결 부재는 양쪽의 부착부의 요부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수직 강판과, 양쪽의 수직 강판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된 신축이음장치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의 이음부에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하는 방법으로, (a) 마주보는 상판의 상단의 모서리를 절개하여 설치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b) 양쪽의 상기 설치홈의 바닥면에 부착부를 부착하고, 양쪽의 상기 부착부와 연결되어 아래로 볼록한 배수부가 상기 이음부에 위치하도록 배수관을 설치하는 단계와, (c) 양쪽의 상기 부착부 상부에 탑재되어 상기 설치홈의 높이에 대응되게 연결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d)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설치홈이 형성하는 공간에 무수축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상기 배수관과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상판에 각각 고정하는 무수축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배수관의 상부면에는 상판의 폭 방향에 평행하게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b) 단계는 설치홈의 바닥면에 접착제를 개재하여 배수관의 부착부를 부착하는 단계와, 부착부의 가장자리 부분을 실링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d) 단계에서 무수축 콘크리트층을 타설할 때 이음부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연결 부재는 부착부의 요부에 삽입되어 철부에 지지되는 수직 강판을 포함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교량"은 문자적인 의미의 교량은 물론 고가도로와 같이 상판과 상판의 연결이 필요한 구조물 또는 지하 구조물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서 사용하였다.
제 1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을 갖는 레일 타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4의 배수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레일 타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20; 이하, 신축이음장치라 한다)는 상판(114)의 이음부(117)의 상부에 설치된 레일(122)을 갖는 연결 부재(129)와, 연결 부재(129) 아래에 설치되어 상판(114) 아래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관(150)과, 연결 부재(129)와 배수관(150)을 이음부(117)에 고정 설치하는 무수축 콘크리트층(1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12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120)는 이음부(117)를 중심으로 마주보는 상판(114)의 모서리 부분을 절개하여 형성된 설치홈(115)에 고정 설치된다.
배수관(150)은 합성고무 소재로 제조된 배수관으로서, 마주보는 설치홈(115)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부착부(151)와, 양쪽의 부착부(151)와 연결되어 이음부(117)에 위치하여 아래로 볼록하게 설치되는 배수부(152)를 갖는다. 특히 부착부(151)는 설치홈(115)의 바닥면이 수평이 되도록 정리된 다음 접착제(155)를 개재하여 설치홈(115)의 바닥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부착부(151)와 설치홈(115)의 바닥면의 가장자리 부분은 실리콘 재질의 실링제(156)로 실링 처리된다.
따라서 부착부(151)와 설치홈(115)의 계면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음부(117)를 통하여 상판(114) 아래로 침투한 수분은 배수관의 배수부(152)로 모여 배수관(150)의 양단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배수관(150) 아래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수관(150)의 상부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요철(153, 154)이 형성되어 있으며, 요철(153, 154)은 적어도 부착부(151)의 상부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철(153, 154)은 상판(114)의 폭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배수관(150)의 상부면에 요철(153, 154)을 형성한 이유는 후술될 무수축 콘크리트층(124)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연결 부재(129)는 양쪽의 부착부(151) 상부에 탑재되어 설치홈(115)의 높이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연결 부재(129)는 양쪽의 부착부의 요부(153)에 삽입되어 철부(154)에 지지되는 수직 강판(121)과, 양쪽의 수직 강판(121)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레일(122)을 포함한다. 레일(122) 사이에는 고무실(123)이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 강판(121)은 상판(114)의 마주보는 내측벽에 근접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무수축 콘크리트층(124)은 연결 부재(129)와 설치홈(115)이 형성하는 공간에 무수축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형성되며, 배수관(150)과 연결 부재(129)를 상판(114)에 고정시킨다. 이때 배수관(150) 중 수직 강판(121) 안쪽의 설치홈(115)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부착부(151)는 타설된 무수축 콘크리트층(124)에 접합된다.
이때 부착부의 요부(153)에 삽입된 수직 강판(121)은 철부(154)에 밀착되기 때문에, 무수축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수직 강판(121)이 이음부(117) 안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120)의 수분의 침투 경로를 살펴보면, 무 수축 콘크리트층(124)과 계면을 이루는 상판(114)의 모서리에 설치된 레일(122)과 수직 강판(121)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거나, 설치홈(115)의 바닥면과 배수관의 부착부(151) 사이로 수분이 침투할 수 있다. 전자로 침투한 수분은 배수관의 배수부(152)로 모이기 때문에, 상판(114) 아래로는 침투하지 못한다. 후자 또한 부착부(151)의 가장자리 부분이 실링 처리되고, 부착부(151)는 설치홈(115)의 바닥면에 접착제(155)에 의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수분의 침투 자체가 원천적으로 봉쇄되어 있다. 따라서 설치홈(115)의 바닥면과 이음부(117)를 연결하도록 배수관(150)을 설치함으로써, 상판(114) 아래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레일 타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100)와 종래의 신축이음장치를 비교하면, 설치홈(115)의 바닥면과 이음부(117)를 연결하도록 배수관(150)이 설치된 것을 제외하면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종래의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유지보수작업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150)을 설치함으로써 상판(114) 아래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 기존 교량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신축성을 갖는 고무 소재의 배수관(150)이 이음부(117)에 설치되고, 연결 부재(129)는 배수관(150) 위에 설치되기 때문에, 충격완화효과 및 방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120)의 시공 방법을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시 공 방법에 따른 공정도이다.
먼저 상판(114)과 상판(114) 사이의 이음부(117)에 설치홈(115)을 형성하는 단계로부터 출발한다(171). 즉 마주보는 상판(114)의 상단의 모서리를 절개하여 설치홈(115)을 형성한다. 예컨대 콘크리트 절단기로 상판(114) 상부의 모서리 부분을 영문자 "L"자 형태로 절개하여 상판(114)에 배근되어 있던 철근(116) 일부가 노출되게 설치홈(115)을 형성한다. 그리고 설치홈(115)의 바닥면이 수평이 되도록 정리한다.
다음으로 배수관(150)을 설치하는 단계가 진행된다(172). 즉 양쪽의 설치홈(115)의 바닥면에 면 정리 후 부착부(151)를 부착하고, 양쪽의 부착부(151)와 연결되어 아래로 볼록한 배수부(152)를 이음부(117)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이때 부착부(151)를 설치홈(115)의 바닥면에 설치하는 단계는, 설치홈(115)의 바닥면에 접착제(155)를 개재하여 부착부(151)를 부착한 다음(173), 부착부(151)의 가장자리 부분에 실링제(156)를 도포하여 실링 처리한다(174). 따라서 부착부(151)와 설치홈(115)의 계면을 통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한다.
다음으로 연결 부재(129)를 설치하는 단계가 진행된다(175). 즉 양쪽의 부착부의 요부(153)에 수직 강판(121)의 하단을 삽입시킨다. 그리고 레일(122)의 양단을 설치홈(115)에 노출된 철근(116)에 고정설치한다. 이때 수직 강판(121)은 상판(114)의 마주보는 외측벽에 근접하게 설치된다.
마지막으로 무수축 콘크리트층(124)을 형성하는 단계가 진행된다(176). 즉 연결 부재(129)와 설치홈(115)이 형성하는 공간에 무수축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 여 배수관(150)과 연결 부재(129)를 상판(114)에 각각 고정하는 무수축 콘크리트층(124)을 형성한다. 무수축 콘크리트층(124)을 형성하기 전에, 설치홈(115)의 외벽에 무수축 콘크리트가 잘 접합되도록 설치홈(115)의 외벽에 무수축 콘크리트와 접착성이 좋은 접착제(도시안됨)를 도포하는 공정을 선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직 강판(121)은 부착부의 요부(153)에 삽입되어 철부(154)에 지지되기 때문에, 무수축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이음부(117) 안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배수관(150) 상부에 형성된 계면을 통하여 침투한 수분은 배수관의 배수부(152)에 모여 외부로 배출되고, 설치홈(115)의 바닥면에 부착된 부착부(151)의 가장자리 부분은 실링 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관(150) 아래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배수관(150)을 설치하는 단계에서, 앵커 볼트나 강판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제 1 실시예에서는 레일 타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배수관이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모노 셀 타입(고무 타입 포함)이나 핑거 타입의 신축이음장치에도 배수관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13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간이 적은 모노 셀 타입(고무 타입 포함)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로서, 연결 부재(139) 아래에 배수관(150)이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연결 부재(139)로는 아래로 연장된 수직 강판(131)을 갖는 신축 블록(133)을 포함한다. 그리고 신축 블록(133)과 배수관의 부착부(151)는 설치홈(115)에 타설되는 무수축 콘크리트층(134)에 접합되어 고정 설치된다.
이때 배수관(150)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설치홈(115)의 바닥면에 부착부(151)가 부착되고, 이음부(117)에 배수부(152)가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신축 블록(133)은 배수관의 부착부(151) 상부에 설치된다. 신축 블록(133)은 내부에 공간부(135)가 형성되어 있으며, 아래로 연장된 수직 강판(131)이 부착부(151) 상부의 요부(153)에 삽입되어 철부(154)에 지지된다.
따라서 배수관(150)이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설치되기 때문에, 부착부(151)와 설치홈(115)의 계면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음부(117)를 통하여 상판(114) 아래로 침투한 수분은 배수관의 배수부(152)로 모여 배수관(150)의 일단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배수관(150) 아래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음성이 있는 배수관(150)이 신축 블록(133) 아래에 설치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신축 블록(133) 내의 공간부(135)에 흡음재를 내설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리고 신축 블록(133) 하단의 연장된 수직 강판(131)이 부착부(151)에 탑재되어 지지되고, 무수축 콘크리트 타설시 수직 강판이 이음부(117) 안쪽으로 밀리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무수축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거푸집 대용의 스티로폼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스티로폼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정밀 시공이 가능하고 신축이음장치(130)의 신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스티로폼 사용으로 인한 각종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1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 타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로서, 연결 부재(149) 아래에 배수관(150)이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연결 부재(149)는 배수관의 부착부(151)에 탑재되어 지지되는 수직 강판(141)과, 수직 강판(141)의 상부에 설치된 핑거플레이트(142)로 구성된다. 그리고 연결 부재(149)와 배수관의 부착부(151)는 설치홈(115)에 타설되는 무수축 콘크리트층(134)에 접합되어 고정 설치된다.
배수관(150)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설치홈(115)의 바닥면에 부착부(151)가 부착되고, 이음부에 배수부(152)가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수직 강판(141)은 양쪽의 부착부의 요부(153)에 삽입되어 철부(154)에 지지된다. 수직 강판(141)은 상판(114) 상부의 모서리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ㄱ"자 형태를 가지며, 수평한 면에 핑거플레이트(142)가 설치된다.
핑거플레이트(142)는 양쪽의 수직 강판(141)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이음부(117)를 향하여 지그재그로 설치된다. 상판(114)에 위치하는 핑거플레이트(142)의 일단에서 삽입홈(115)의 바닥면을 향하여 체결된 앵커볼트(145)에 의해 고정되며, 앵커볼트(145)는 무수축 콘크리트층(144)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140)는 상판(114) 이 신축되면서 그 사이 간격이 수시로 변화하더라도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142)에 지그재그로 돌출된 선단부 핑거들(146)이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판(114) 사이의 벌어진 틈을 지속적으로 메우게 된다. 특히 핑거플레이트(142)는 서로 지그재그로 맞물리는 핑거구조에 의해 교량(110)의 횡방향으로 발생될 수 있는 일직선 단절부위가 제거되어 통행하는 차량과의 접촉시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및 충격을 억제한다.
특히 배수관(150)이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설치되기 때문에, 부착부(151)와 설치홈(115)의 계면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음부(117)를 통하여 상판(114) 아래로 침투한 수분은 배수관의 배수부(152)로 모여 배수관(150)의 일단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배수관(150) 아래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종래에 배수관이 수직 강판의 외측벽에 볼트로 체결됨으로써, 배수관과 수직 강판의 계면으로 발생되었던 누수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강판(141)과 배수관(150) 사이의 간격이 넓어 배수관(150)에 퇴적되는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에 따르면 설치홈의 바닥면에 배 수관의 부착부가 부착되어 실링 처리됨으로써, 부착부와 설치홈의 바닥면 계면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이음부를 통하여 상판 아래로 침투한 수분은 이음부에 배치된 배수관의 배수부로 모여 배수관의 일단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배수되기 때문에 배수관 아래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교량의 내구연한이 증대되고 수명이 길어진다.
그리고 고무 소재의 배수관의 부착부에 연결 부재가 설치되기 때문에, 충격완화효과 및 방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부착부에 형성된 요부에 수직 강판의 하단이 삽입되어 철부에 지지되기 때문에, 무수축 콘크리트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무수축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수직 강판이 이음부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무수축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서 거푸집용 스티로폼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정밀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스티로폼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유지보수작업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만을 설치홈의 바닥면과 이음부를 연결하도록 설치하면 되기 때문에 기존 교량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국, 본 발명은 교량의 사용성 및 기능성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교량의 내구연한 증대와 수명의 장기화를 도모할 수 있고, 유지관리비(보수, 보강비) 등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2)

  1.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의 이음부의 설치홈에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로서,
    마주보는 상기 설치홈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부착부와, 양쪽의 상기 부착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음부에 위치하여 아래로 볼록하게 설치되는 배수부를 갖는 고무 재질의 배수관과;
    양쪽의 상기 부착부 상부에 탑재되어 상기 설치홈의 높이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설치홈 사이에 타설/양생되어 상기 배수관과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상판에 각각 고정하는 무수축 콘크리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의 상부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상기 배수관의 부착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상기 상판의 폭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의 부착부는 상기 설치홈의 바닥면에 접착제를 개재하여 부착되며, 상기 부착부의 가장자리 부분은 실링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양쪽의 상기 부착부의 요부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수직 강판과;
    양쪽의 상기 수직 강판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양쪽의 상기 부착부의 요부에 삽입되어 상기 철부에 지지되는 수직 강판을 갖는 신축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양쪽의 상기 부착부의 요부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수직 강판과;
    양쪽의 상기 수직 강판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9.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의 이음부에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시공하는 방법으로,
    (a) 마주보는 상판의 상단의 모서리를 절개하여 설치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b) 양쪽의 상기 설치홈의 바닥면에 부착부를 부착하고, 양쪽의 상기 부착부와 연결되어 아래로 볼록한 배수부가 상기 이음부에 위치하도록 배수관을 설치하는 단계와;
    (c) 양쪽의 상기 부착부 상부에 탑재되어 상기 설치홈의 높이에 대응되게 연결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d)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설치홈이 형성하는 공간에 무수축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상기 배수관과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상판에 각각 고정하는 무수축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시공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판의 폭 방향에 평행하게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시공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설치홈의 바닥면에 접착제를 개재하여 상기 배수관의 부착부를 부착하는 단계와;
    (b2) 상기 부착부의 가장자리 부분을 실링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시공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무수축 콘크리트층을 타설할 때 상기 이음부쪽으로 밀리는 것이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부착부의 요부에 삽입되어 상기 철부에 지지되는 수직 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시공 방법.
KR1020050062633A 2005-07-12 2005-07-12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0736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633A KR100736858B1 (ko) 2005-07-12 2005-07-12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633A KR100736858B1 (ko) 2005-07-12 2005-07-12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297U Division KR200398418Y1 (ko) 2005-07-12 2005-07-12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824A true KR20070008824A (ko) 2007-01-18
KR100736858B1 KR100736858B1 (ko) 2007-07-10

Family

ID=38010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633A KR100736858B1 (ko) 2005-07-12 2005-07-12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8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523B1 (ko) 2007-05-07 2008-10-27 주식회사 삼보기술단 신축이음부용 배수로 시공방법
KR100868930B1 (ko) 2007-08-01 2008-11-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로교의 신축 이음 장치
KR100823347B1 (ko) * 2007-12-28 2008-04-17 하진영 드레인박스가 설치된 진동저감형 교량신축이음장치
KR100868806B1 (ko) 2008-06-27 2008-11-17 (주)우주엔지니어링 교량 신축이음 빗물 누수받이
KR101232309B1 (ko) 2010-08-20 2013-02-13 임상남 배수설비가 구비된 신축이음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8528U (ko) 1978-01-19 1979-07-31
JP3499843B2 (ja) * 2001-08-22 2004-02-23 日本道路公団 道路橋伸縮継手の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858B1 (ko) 200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415B1 (ko) 교량용 저소음 내진 신축이음장치
KR100736858B1 (ko)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2202700B1 (ko) 무배수시트 타입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KR102375815B1 (ko) 엇갈림갭판을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607996B1 (ko) 블럭 아웃 깊이 낮춤 가능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558373B1 (ko) 교량의 신축이음 장치
KR101062223B1 (ko) 누수방지 기능이 향상된 교량 신축이음장치
KR100412778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020414B1 (ko) 교량용 신축이음구조
KR200398418Y1 (ko)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593462B1 (ko) 조립식 건축용 지붕체의 연결부재
KR100427908B1 (ko) 콘크리트 비 해체 조립형 신축이음 보수공법
KR20010075743A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101365436B1 (ko)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KR20200081951A (ko) 설치 시공성이 향상된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002231B1 (ko) 형강을 이용한 교량용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와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CN210766372U (zh) 一种填埋式桥梁伸缩装置
KR100868930B1 (ko) 수로교의 신축 이음 장치
KR100622008B1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합성구조
KR101366139B1 (ko) 배수판 조립체
KR100602217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409831Y1 (ko) 조립식 건축용 지붕체의 연결부재
KR100957039B1 (ko) 교량용 방수 내진 신축이음장치
KR200416147Y1 (ko) 조립식 건축용 지붕체의 연결부재
KR200280748Y1 (ko) 콘크리트 비 해체 조립형 신축이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