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2849A - 하이브리드 구조의 쌍동선 선체 및 상기 선체를 이용한 선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구조의 쌍동선 선체 및 상기 선체를 이용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2849A
KR20180132849A KR1020187032499A KR20187032499A KR20180132849A KR 20180132849 A KR20180132849 A KR 20180132849A KR 1020187032499 A KR1020187032499 A KR 1020187032499A KR 20187032499 A KR20187032499 A KR 20187032499A KR 20180132849 A KR20180132849 A KR 20180132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float
partition
central
integ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2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8663B1 (ko
Inventor
로랑 다 롤드
장 들로느
장-마크 살페트리에르
Original Assignee
케이플로 디벨롭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플로 디벨롭먼트 filed Critical 케이플로 디벨롭먼트
Publication of KR20180132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1/121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two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1/121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two hulls
    • B63B2001/123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two hulls interconnected by a plurality of beams, or the like member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제1 측면 플로트(D), 제2 측면 플로트(G) 및 제1 측면 플로트(D)를 제2 측면 플로트(G)로 연결하는 중앙 플로트(C)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구조의 쌍동선 선체(5)에 대한 것이며; 상기 선체(5)는 제1 격벽(1)으로 구성되는 제1 빔과 제2 격벽(2)으로 구성되는 제2 빔을 더욱 포함하고, 각각의 격벽은 선두-선미 축(PP)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평면에 놓이며, 상기 격벽은: - 중앙 플로트(C)의 하부 부분과 협력하도록 의도된 하부 요소(PCI)를 포함하는 중앙 부분(PC); - 제1 측면 플로트(D)의 하부 부분과 협력하도록 의도된 하부 요소(PDI)를 포함하는 제1 측면 부분(PD); - 제2 측면 플로트(G)의 하부 부분과 협력하도록 의도된 하부 요소(PGI)를 포함하는 제2 측면 부분(PG);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격벽(1)과 제2 격벽(2) 사이에 배치된 선체 부분은 단선체선 선체 부분(7)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본 발명에 따른 선체를 가진 선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구조의 쌍동선 선체 및 상기 선체를 이용한 선박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보트 선체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쌍동선 선체(catamaran hull), 특히 하이브리드 구조의 쌍동선 선체에 대한 것이다.
물에 위치한 보트 선체는 중요한 응력을 일으킬 수 있는 몇 가지 힘을 받는다. 잔잔한 물속에서, 배의 무게와 부력은 균형을 이루며 선체에 가해진 응력은 일반적으로 낮다. 큰 물결 속에서, 부력은 고르지 않게 퍼지며 배는 구성에 따라서 호깅(hogging) 또는 새깅(sagging)을 겪는다.
선체가 쌍동선 타입인 경우, 응력은 복잡하다. 실제로, 쌍동선 선체는 플렛폼(platform)에 의해 연결된 두 개의 플로트(float)로 구성된다. 두 개의 플로트 상에 물에 의해 가해진 힘은 비대칭일 수 있으며 상당한 응력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응력을 다룰 수 있기 위해, 쌍동선의 선체를 형성하는 두 개의 플로트를 연결하는, 일반적으로 빔(beam)으로 불리는, 유지 구조를 도입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거주 가능한 쌍동선에서, 이러한 빔은 역 U자형 프로파일을 가진 격벽(bulkhead)의 형태를 취하고, 역 U자의 각각의 가지는 선체의 플로트 중 하나에 수용된다.
이러한 격벽의 존재는 선체의 내부 배치(layout)를 조절하고, 내부 체적에 대해 이용 가능한 공간을 크게 제한한다. 실제로, 빔으로 구성된 격벽의 임의의 수정은 이전에 언급한 상이한 응력에 직면한 선체의 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주거 가능한 쌍동선 선체는, 이러한 선체의 배치 가능성을 크게 감소시키는, 내부 체적의 손실을 통해 우수한 안정성 및 우수한 강도로부터 이점을 얻을 수 있음을 이해한다.
따라서, 큰 내부 체적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면서 쌍동선 선체의 안정성에 대한 이점을 얻을 수 있는 선체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격벽으로 각각 구성된 빔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구조의 쌍동선 선체를 제안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며, 상기 격벽은 하나 이상의 일체형 선체 부분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는 쌍동선 선체의 안정성에 가까운 안정성을 가진 선체에 큰 내부 체적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제1 측면 플로트, 제2 측면 플로트, 및 제1 측면 플로트를 제2 측면 플로트에 연결하는 중앙 플로트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구조의 쌍동선 선체에 대한 것이며, 상기 선체는 제1 격벽으로 구성되는 제1 빔과 제2 격벽으로 구성되는 제2 빔을 포함하며, 각각의 격벽은 선두-선미 축(bow-stern axis)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평면에 놓이며, 격벽은 다음을 포함한다:
- 상기 중앙 플로트의 하부 부분과 협력하도록 의도된 하부 요소를 포함하는 중앙 부분;
- 제1 측면 플로트의 하부 부분과 협력하도록 의도된 하부 요소를 포함하는 제1 측면 부분;
- 제2 측면 플로트의 하부 부분과 협력하도록 의도된 하부 요소를 포함하는 제2 측면 부분;
제1 격벽과 제2 격벽 사이에 배치된 상기 선체 부분은 일체형 선체 부분을 형성한다.
실질적으로 수직한다는 것은 선두-선미 축과 제1 격벽 또는 제2 격벽을 포함하는 평면 사이의 각도가 (20도 다소간의) 90도(°)와 같음을 의미한다. 일체형의 선체 부분은 중앙 플로트, 제1 측면 플로트의 일부 및 제2 측면 플로트의 일부를 포함하는 선체의 일부분을 의미하며, 선체 부분을 형성하는 조립체는 단일 유닛으로 만들어진다. 다시 말해서, 일체형 부분의 체적은 제1 격벽, 제2 격벽, 및 제1 측면 플로트와 제2 측면 플로트의 중앙 플로트에 대해 마주하는 외부 측벽으로 형성된다.
빔은 본원에서 선체의 기계적인 강도에 기여하는 요소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체에서, 제1 빔 및 제2 빔은 제1 격벽 및 제2 격벽의 형태이다. 적용의 문자열에서, 용어 제1 격벽은 따라서 용어 제1 빔과 같고 용어 제2 격벽은 따라서 용어 제2 빔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1 격벽과 제2 격벽은 선체의 기계적 길이에 기여하여 두 개의 공간 사이의 단지 분리 역할만을 갖는 단순한 격벽으로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선체에서, 제1 격벽 및 제2 격벽은 단선체선(mono hull)과 유사한 체적을 갖는 일체형 부분을 얻을 수 있게 하며; 이러한 일체형 부분의 외측의 선체의 일부분은 쌍동선 프로파일(profile)을 갖는다. 따라서, 선체는 하이브리드 구조의 쌍동선 선체로서 설명될 수 있다. 이 구조는 조립체 전체에 대한 큰 안정성과 큰 거주 가능한 체적을 부여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체를 포함하는 선박(craft)에 대한 것이다.
이전 단락에서 언급된 특성과는 별개로,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에 따른 선체는 모든 기술적으로 가능한 조합들과 별개로 또는 이에 따라 고려되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의 추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격벽 및/또는 제2 격벽은 개구부를 갖는다. 대안으로서, 제1 격벽 및/또는 제2 격벽은 다수의 개구부를 갖는다. 따라서, 제1 격벽과 제2 격벽 사이에 포함된 공간으로 외부의 빛이 침투할 수 있으며 이는 인공조명에 의지하는 것을 제한한다. 이는 또한 이와 같은 공간의 자연 환기를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일체형 선체 부분은 일체형 선체 부분의 선체 바닥을 형성하는 하부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선체 바닥은 완전히 물에 잠긴다. 따라서, 제1 격벽과 제2 격벽 사이에 형성된 선체 부분의 체적은 최대한으로 활용된다.
대안으로서, 일체형 선체 부분은 일체형 선체 부분의 선체 바닥을 형성하는 하부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선체 바닥은 부분적으로 물에 잠긴다. 따라서, 선체의 중앙 부분의 레벨에서 물의 유동을 위한 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선체의 유체 역학은 이로 인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 선체는 다수의 중앙 플로트, 각각의 제1 빔이 제1 격벽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제1 빔, 각각의 제2 빔이 제2 격벽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제2 빔, 다수의 중앙 플로트의 중앙 플로트의 하부 부분과 협력하도록 의도된 하부 요소를 포함하는 각각의 격벽의 중앙 부분을 포함하며; 제1 격벽과 제2 격벽 사이에 배치된 각각의 선체 부분은 일체형 선체 부분을 형성하여 다수의 일체형 선체 부분을 형성한다.
따라서, 다수의 제1 빔은 다수의 제1 격벽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다수의 제2 빔은 다수의 제2 격벽에 상응한다. 다수의 제1 격벽의 제1 격벽과 다수의 제2 격벽의 제2 격벽 사이에 배치된 각각의 선체 부분은 일체형 선체 부분을 형성한다. 이로써, 다수의 제1 격벽과 다수의 제2 격벽은 다수의 일체형 선체 부분을 형성한다. 게다가, 다수의 제1 격벽과 다수의 제2 격벽의 각각의 격벽은 다수의 중앙 플로트의 중앙 플로트의 하부 부분과 협력하도록 의도된 하부 요소를 포함하는 중앙 부분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다수의 제1 격벽의 각각의 제1 격벽은 다수의 제2 격벽의 제2 격벽과 연관되고 일체형 선체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다수의 중앙 플로트의 중앙 플로트와 연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선체 내에 다수의 단선체선(monohull) 유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4 빔은 제1 측면 플로트와 제2 측면 플로트 사이에 배치되기 위해 선체의 후방 부분의 레벨에서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4 빔은 제4 빔을 제1 측면 플로트와 연결하는 제1 단부와 제4 빔을 제2 측면 플로트와 연결하는 제2 단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플로트의 외측에 위치한, 이 제4 빔은 제4 빔의 상부 표면 상에 큰 선미 갑판을 배치할 수 있게 하면서 선체의 쌍동선 부분에서의 선체의 강도를 강화하며, 제4 빔은 수평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선미 갑판은 특히 바다 또는 육지에 쉽게 접근하게 할 수 있다. "수평으로 배치된"은 제4 빔이 제1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평면이 수선면과 평행하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수선면"은 흘수선(water line)을 통해 지나가는 평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 및 그의 상이한 적용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그리고 첨부된 도면을 검토함으로써 더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면들은 본 발명의 한정하려는 아니며 본 발명의 목표를 나타내기 위해 제공된다.
도 1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선체의 상부 단면도이다.
도 1b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빔의 구조이다.
도 2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를 가진 빔의 구조이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선체의 상부 단면도이다.
도 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선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선체의 상부 단면도이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상이한 도면에서 나타나는 동일한 요소는 단일 참조를 갖는다.
도 1a 및 1b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 측면 플로트(D), 제2 측면 플로트(G) 및 상기 제1 측면 플로트(D)를 제2 측면 플로트(G)에 연결하는 중앙 플로트(C)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구조의 쌍동선 선체(5)에 대한 것이며; 상기 선체(5)는 제1 격벽(1)으로 구성되는 제1 빔과 제2 격벽(2)으로 구성되는 제2 빔을 더욱 포함하며, 각각의 격벽은 선두-선미 축(PP)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평면에 놓이며, 다음을 포함한다:
- 상기 중앙 플로트(C)의 하부 부분과 협력하도록 의도된 하부 요소(PCI)를 포함하는 중앙 부분(PC);
- 제1 측면 플로트(D)의 하부 부분과 협력하도록 의도된 하부 요소(PDI)를 포함하는 제1 측면 부분(PD);
- 제2 측면 플로트(G)의 하부 부분과 협력하도록 의도된 하부 요소(PGI)를 포함하는 제2 측면 부분(PD);
상기 제1 격벽(1)과 제2 격벽(2) 사이에 배치된 상기 선체 부분은 일체형 선체 부분(7)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1 격벽(1)과 제2 격벽(2)은 단선체선과 유사한 프로파일을 가진 선체(5)의 일체형 부분(7)을 얻을 수 있게 한다. 선체(5)는 선체(5)의 일체형 선체 부분(7)이 단선체선 프로파일을 갖지만, 반면 일체형 부분(7)에 포함되지 않은 선체 부분 또는 부분들이 쌍동선 프로파일을 갖기 때문에 하이브리드로서 설명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격벽(1, 2)은 높이(H)와 폭(L)을 갖는다. 제1 격벽의 치수는 제2 격벽의 치수와 다를 수 있다. 대안으로서, 이 치수는 동일할 수 있다. 제1 측면 부분은 폭(LG) 및 높이 (HG)를 가지며, 중앙 부분은 폭(LC) 및 높이(HC)를 가지며, 반면 제2 측면 부분은 폭(LD) 및 높이(HD)를 갖는다. 격벽의 높이(H)는 H = max(HC, HD, HG)와 같이 정의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격벽(1) 및 제2 격벽(2)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다. 다시 말해서, 폭(L) 및 높이(H)의 각 격벽의 표면은, 폭(L) 및 높이(H)의 직사각형의 표면에 대해 대략 20 %와 같다. 제1 격벽(1) 및 제2 격벽(2) 사이에서 얻어진 체적은 이때 실질적으로 평행 6면체 형태를 취하며 이는 상기 체적의 내부 배치를 쉽게 할 수 있게 한다.
도 2에 도시된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격벽(1)은 개구부(4)를 갖는다. 이 개구부(4)는 제1 격벽(1)과 제2 격벽(2)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한 부분으로 외부 빛이 침투하게 한다. 또한, 이 체적의 자연 환기를 가능하게 한다.
격벽에 가해진 응력은 격벽의 상부 및 하부 부분의 레벨에서 주로 위치하므로, 격벽(1)의 개구부(4)의 배치는 이러한 제1 격벽(1)의 기계적 강도를 단지 약간만 감소시킨다. 동일한 격벽 상에 다수의 개구부(4)를 또한 배치할 수 있다. 도면에서, 오직 제1 격벽만이 개구부(4)를 갖는다. 그러나, 제2 격벽(2)에 개구부(4) 또는 다수의 개구부(4)가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대신 제1 격벽(1)에 제1 개구부 또는 다수의 제1 개구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더불어 제2 격벽(2)에 제2 개구부 또는 다수의 제2 개구부가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격벽(1)과 제2 격벽(2)은 일체형 선체 부분(7)이 선체(5)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하이브리드 쌍동선 선체(5)는 선체의 전방에 단선체선 프로파일과 선체(5)의 후방에 쌍동선 프로파일을 갖는다.
대안으로서, 제1 격벽(1)과 제2 격벽(2)은 일체형 선체 부분(7)이 선체(5)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하이브리드 쌍동선 선체(5)는 선체(5)의 후방에서 단선체선 프로파일과 선체(5)의 전방에 쌍동선 프로파일을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3 빔(3)은 선체(5)의 후방 부분을 기계적으로 강화한다. 실제로, 선체(5)의 전방에 큰 체적을 얻기 위해 선체(5)의 일체형 부분(7)을 배치하길 원하는 경우, 제1 격벽(1)과 제2 격벽(2) 모두는 이때 선체(5)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는 어떤 빔도 존재하지 않는 선체(5)의 후방의 레벨에서 약점을 초래할 수 있다. 제3 빔(3)의 추가는 하이브리드 구조를 유지하고 제2 격벽(2)과 제3 빔(3) 사이에 위치한 선박 부분(5)이 쌍동선 선체의 프로파일을 가지면서, 선체(5)의 후방을 강화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제3 빔(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쌍동선 선체에 채용된 빔과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4 빔(8)은 제1 측면 플로트(D)와 제2 측면 플로트(G) 사이에 위치되도록 선체(5)의 후방 부분의 레벨에서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4 빔은 제4 빔을 제1 측면 플로트(D)에 연결하는 제1 단부와 제4 빔을 제2 측면 플로트(G)에 연결하는 제2 단부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4 빔(8)은 중앙의 평행 6면체 부분, 제1 단부 부분 및 제2 단부 부분으로 형성되며, 상기 단부 부분은 중앙 부분과 각도를 형성하고, 중앙 부분은 수선면에 평행한 평면에 위치한다. 중앙 부분, 제1 단부 부분 및 제2 단부 부분은 단일의 기계 부품을 구성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측면 플로트(D)를 연결하는 제1 단부는 제1 단부 부분 중 하나의 단부이고, 제2 측면 플로트(G)를 연결하는 제2 단부는 제2 단부 부분 중 하나의 단부이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선미로부터 제4 빔(8)을 분리하는 거리는 1m 이하이다. 바람직하게, 빔(8)의 폭은 0,5 m 내지 2.5 m 사이이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4 빔을 수선면에서 분리하는 거리는 10 cm 내지 70 cm 사이이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다수의 제3 빔(3)이 제공된다. 이 다수의 제3 빔(3)은 하이브리드 구조의 쌍동선 선체(5)의 쌍동선 부분을 강화한다. 이 실시예는 하이브리드 구조의 쌍동선 선체(5)의 쌍동선 부분이 단일 제3 빔(3)에 대해 너무 길어 상기 쌍동선 부분의 강도를 충분히 강하게 만들지 못할 때 특히 바람직하다.
하나의 실시에에서, 다수의 제3 빔(3)의 제3 빔은 상기 선체(5)의 후방 단부를 형성하기 위해 선체(5)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빔은 제1 측면 플로트(D)와 제2 측면 플로트(G) 사이의 링크를 형성하는 납작한 상부 부분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3 빔은 상기 제3 빔의 레벨에서, 선체(5)의 전체 폭에 걸쳐 선미 갑판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측면 플로트(D)와 제2 측면 플로트(G)의 선미 플레이트를 구성한다. 상기 선미 갑판은 특히 바다 또는 육지에 접근하기 용이하다.
도 4에 도시된 하나의 실시예에서, 도 3의 실시예에 대해 유사한 방식으로, 제3 빔(3)은 선체(5)의 후방 부분을 기계적으로 강화한다. 더욱이, 제1 격벽은 개구부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격벽은 선체의 길이의 90 %에 위치하며; 제2 격벽은 선체의 길이의 75 %에 위치한다. 제3 빔은 선체의 후방 부분을 강화하기 위해 선체의 길이의 40 %에 위치한다.
선체의 길이의 90 %에 위치한 제1 격벽은 선체의 전체 길이의 90 %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제1 격벽의 위치로부터 선체의 후방이 분리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선체의 길이의 75 %에 위치한 제2 격벽은 선체의 전체 길이의 75 %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제2 격벽의 위치로부터 선체의 후방이 분리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선체의 길이의 40 %에 위치한 제3 빔은 선체의 전체 길이의 40 %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제3 빔의 위치로부터 선체의 후방이 분리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선체(5)는 다수의 중앙 플로트, 각각의 제1 빔이 제1 격벽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제1 빔, 각각의 제2 빔이 제2 격벽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제2 빔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격벽의 중앙 부분은 다수의 중앙 플로트의 중앙 플로트의 하부 부분과 협력하도록 의도된 하부 요소를 포함하고; 제1 격벽과 제2 격벽 사이에 배치된 각각의 선체 부분은 다수의 일체형 선체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일체형 선체 부분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따라서, 선체(5) 내에 단선체선 타입의 다수의 체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하나의 실시예에서, 두 개의 일체형 선체 부분(7, 7')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이 실시예에서, 선체는 제1 중앙 플로트(C), 제2 중앙 플로트(C'), 제1 격벽(1), 제2 격벽(2), 제3 격벽(1') 및 제4 격벽(2')을 포함하며; 각각의 일체형 선체 부분(7, 7')은 제1 격벽(1, 1')과 제2 격벽(2, 2')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측면 플로트(D) 및 제2 측면 플로트(G)는 제1 중앙 플로트(C)와 제2 중앙 플로트(C')를 통해 연결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격벽(1)과 제2 격벽(2)의 중앙 부분(PC)의 하부 요소는 제1 중앙 플로트(7)의 하부 부분과 협력한다. 제1 격벽(1)과 제2 격벽(2)의 제1 측면 부분의 하부 요소는 제1 측면 플로트(D)의 하부 부분과 협력한다. 제1 격벽(1)과 제2 격벽(2)의 제2 측면 부분(PG)의 하부 요소는 제2 측면 플로트(G)의 하부 부분과 협력한다. 유사하게, 제3 격벽(1')과 제4 격벽(2')의 중앙 부분(PC)의 하부 요소는 제2 중앙 플로트(7')의 하부 부분과 협력한다. 제3 격벽(1')과 제4 격벽(2')의 제1 측면 부분의 하부 부분은 제1 측면 플로트(D)의 하부 부분과 협력한다. 제3 격벽(1')과 제4 격벽(2')의 제2 측면 부분(PG)의 하부 요소는 제2 측면 플로트(G)의 하부 부분과 협력한다.
따라서, 제1 격벽(1)과 제2 격벽(2) 사이에 배치된 선체 부분은 제1 일체형 선체 부분(7)을 형성하며, 반면 제3 격벽(1')과 제4 격벽(2') 사이에 배치된 선체 부분은 제2 일체형 선체 부분(7')을 형성한다.

Claims (8)

  1. 제1 측면 플로트(D)와 제2 측면 플로트(G)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구조의 쌍동선 선체(5)로서,
    제1 측면 플로트(D)를 제2 측면 플로트(G)에 연결하는 중앙 플로트(C)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선체(5)는 제1 격벽(1)으로 구성되는 제1 빔과 제2 격벽(2)으로 구성되는 제2 빔을 더욱 포함하며, 각각의 격벽은 선두-선미 축(PP)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평면에 놓이며, 상기 격벽은:
    - 상기 중앙 플로트(C)의 하부 부분과 협력하도록 의도된 하부 요소(PCI)를 포함하는 중앙 부분(PC);
    - 상기 제1 측면 플로트(D)의 하부 부분과 협력하도록 의도된 하부 요소(PDI)를 포함하는 제1 측면 부분(PD);
    - 상기 제2 측면 플로트(G)의 하부 부분과 협력하도록 의도된 하부 요소(PGI)를 포함하는 제2 측면 부분(PG);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격벽(1)과 제2 격벽(2) 사이에 배치된 선체 부분은 일체형 선체 부분(7)을 형성하는, 선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1) 및/또는 제2 격벽(2)은 개구부(4)를 갖는, 선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1) 및/또는 제2 격벽(2)은 다수의 개구부(4)를 갖는, 선체.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선체 부분(7)은 일체형 선체 부분(7)의 선체 바닥을 형성하는 하부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선체 바닥은 완전히 물에 잠기는, 선체.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선체 부분(7)은 일체형 선체 부분(7)의 선체 바닥을 형성하는 하부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선체 바닥은 부분적으로 물에 잠기는, 선체.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5)는 다수의 중앙 플로트(C, C')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1 빔이 제1 격벽(1, 1')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제1 빔, 각각의 제2 빔이 제2 격벽(2, 2')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제2 빔, 다수의 중앙 플로트(C, C')의 중앙 플로트의 하부 부분과 협력하도록 의도된 하부 요소(PCI)를 포함하는 각각의 격벽(1, 1', 2, 2')의 중앙 부분(PC)을 포함하고; 제1 격벽(1, 1')과 제2 격벽(2, 2') 사이에 배치된 각각의 선체 부분은 다수의 일체형 선체 부분(7, 7')을 형성하기 위해 일체형 부분(7, 7')을 형성하는, 선체.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플로트(D)와 제2 측면 플로트(G) 사이에 배치되도록 선체(5)의 후방 부분의 레벨에서 수평으로 배치된 제4 빔(8)을 포함하며, 상기 제4 빔(8)은 제4 빔을 제1 측면 플로트(D)에 연결하는 제1 단부와 제4 빔을 제2 측면 플로트(G)에 연결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선체.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선체(5)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187032499A 2016-04-11 2017-04-11 하이브리드 구조의 쌍동선 선체 및 상기 선체를 이용한 선박 KR102258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53179A FR3049923B1 (fr) 2016-04-11 2016-04-11 Coque de catamaran a structure hybride et embarcation utilisant une telle coque
FR1653179 2016-04-11
PCT/EP2017/058678 WO2017178485A1 (fr) 2016-04-11 2017-04-11 Coque de catamaran a structure hybride et embarcation utilisant une telle co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849A true KR20180132849A (ko) 2018-12-12
KR102258663B1 KR102258663B1 (ko) 2021-05-31

Family

ID=56087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2499A KR102258663B1 (ko) 2016-04-11 2017-04-11 하이브리드 구조의 쌍동선 선체 및 상기 선체를 이용한 선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676159B2 (ko)
EP (1) EP3442855B1 (ko)
KR (1) KR102258663B1 (ko)
CN (1) CN109070972B (ko)
AU (1) AU2017251242B2 (ko)
BR (1) BR112018071034A2 (ko)
CA (1) CA3020955A1 (ko)
DK (1) DK3442855T3 (ko)
FR (1) FR3049923B1 (ko)
WO (1) WO2017178485A1 (ko)
ZA (1) ZA2018074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9923B1 (fr) * 2016-04-11 2018-04-13 Kayflo Developpement Coque de catamaran a structure hybride et embarcation utilisant une telle coque
CN114313100B (zh) * 2021-12-17 2022-09-30 中国人民解放军海军工程大学 振动局域化的耐压艇体的舱壁间距布置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4041A (en) * 1985-04-09 1987-12-22 Etat Francais Structure of surface effect ship with side walls
US5031556A (en) * 1986-11-18 1991-07-16 Blee Leonard J Marine hul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1697A (en) * 1962-08-04 1965-12-07 Allegretti Pier Luigi Boats with two or more hulls
US3230918A (en) * 1964-10-09 1966-01-25 Arthur M Compton Ski-catamaran boat
FR2031701A5 (ko) * 1969-02-04 1970-11-20 Bodinier Jacques
FR2588237B1 (fr) * 1985-10-08 1987-12-24 Briand P Cadre de jonction pour catamaran de croisiere
DE19744291C2 (de) * 1997-10-07 2000-05-04 Ernst Bullmer Mehrrumpfwasserfahrzeug variabler Breite
US6640737B2 (en) * 2002-03-14 2003-11-04 William S. Chacon Retractable multi-hulled watercraft
DE10343078B4 (de) * 2003-09-17 2005-08-18 New-Logistics Gmbh Wasserfahrzeug
CN201587530U (zh) * 2009-12-16 2010-09-22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〇二研究所 设置中心开启水密门的小水线面双体船
FR3049923B1 (fr) * 2016-04-11 2018-04-13 Kayflo Developpement Coque de catamaran a structure hybride et embarcation utilisant une telle coqu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4041A (en) * 1985-04-09 1987-12-22 Etat Francais Structure of surface effect ship with side walls
US5031556A (en) * 1986-11-18 1991-07-16 Blee Leonard J Marine hu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61143A1 (en) 2019-05-30
EP3442855B1 (fr) 2020-02-12
CN109070972A (zh) 2018-12-21
KR102258663B1 (ko) 2021-05-31
ZA201807465B (en) 2020-02-26
CN109070972B (zh) 2020-11-24
EP3442855A1 (fr) 2019-02-20
AU2017251242A1 (en) 2018-11-01
WO2017178485A1 (fr) 2017-10-19
CA3020955A1 (fr) 2017-10-19
FR3049923A1 (fr) 2017-10-13
BR112018071034A2 (pt) 2019-02-12
DK3442855T3 (da) 2020-05-04
FR3049923B1 (fr) 2018-04-13
AU2017251242B2 (en) 2022-10-13
US10676159B2 (en)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825218U (zh) 船舶舱室结构
CN106068224B (zh) 船舶
CN102438889B (zh) 用于超大型油轮的货舱结构
KR102258663B1 (ko) 하이브리드 구조의 쌍동선 선체 및 상기 선체를 이용한 선박
KR101964141B1 (ko) 모듈조립형 폰툰 선체
JP6021750B2 (ja) 船舶の区画構造
US9227702B2 (en) Ballast system for floating offshore platforms
KR20010023758A (ko) 반잠수형 근해 선박
CN109803882A (zh) 具有水密壁的船舶
JP6169020B2 (ja) 船舶
KR20150020866A (ko) 다각도 경사판을 구비하는 선박
JP2006123814A (ja) 船舶
US20230174195A1 (en) Pleasure craft having an improved deck construction
KR102404347B1 (ko) 소형선의 안정성 강화를 위한 이중선체구조
KR101805500B1 (ko) 싱글 헐 타입의 드릴쉽 전기 룸 배치구조 및 그 드릴쉽 전기 룸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쉽
JP6701487B2 (ja) 揚陸船、揚陸船の建造方法
NO851246L (no) Fartoey med tre halvt nedsenkbare flottoerer.
JP6486851B2 (ja) 船舶
JP2020164023A (ja) 船首構造および船舶
KR20150144413A (ko) 다각도 경사판을 구비하는 선박
CN117508450A (zh) 一种集装箱船甲醇燃料储存舱布置方法
KR101644453B1 (ko) 화물 적재 선박
KR20150094340A (ko) 가변형 밸러스트 탱크 및 이를 구비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BG62646B1 (bg) Метод за изграждане на плавателен съд
JPS61155093A (ja) 半潜水型海洋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