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2584A -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2584A
KR20180132584A KR1020180154796A KR20180154796A KR20180132584A KR 20180132584 A KR20180132584 A KR 20180132584A KR 1020180154796 A KR1020180154796 A KR 1020180154796A KR 20180154796 A KR20180154796 A KR 20180154796A KR 20180132584 A KR20180132584 A KR 20180132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
vehicle
driver
warning sound
in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만
Original Assignee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filed Critical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Priority to KR1020180154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2584A/ko
Publication of KR20180132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5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for signaling silent vehicles, e.g. for warning that a hybrid or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는 전기 구동방식으로 운행되는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에 있어서, 보행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보행자검출부와, 실내 방향으로 지향된 복수의 내부 스피커를 통해 차내경고음을 각각 출력하는 차내경고음출력부와, 실외 방향으로 지향된 복수의 외부 스피커를 통해 차외경고음을 출력하는 차외경고음출력부 및 보행자의 검출된 위치를 근거로 하여 보행자의 이동방향을 포함하는 보행자이동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행자이동정보를 근거로 하여 보행자의 이동된 위치를 판단하고, 보행자가 이동할 때 복수의 내부 스피커 중 보행자의 이동된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스피커를 작동시키도록 판단된 이동된 위치에 따라 차내경고음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보행자의 이동방향을 따라 출력된 각 차내경고음의 음량을 연속적으로 증감시키는 것에 의해 보행자의 위치 변화를 운전자에게 알림과 함께, 보행자가 이동할 때 복수의 외부 스피커 중 보행자의 이동된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를 작동시키도록 판단된 이동된 위치에 따라 차외경고음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보행자의 이동방향을 따라 출력된 각 차외경고음의 음량을 연속적으로 증감시키는 것에 의해 차량의 위치 변화를 보행자에게 알리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APPARATUS FOR WARNING PEDESTRIAN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주변의 보행자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전기 구동방식으로 운행되는 차량의 경우 엔진 자동차보다 주행음이 조용하다. 따라서 보행자는 전기 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접근을 깨닫기 어렵다.
따라서, 보행자가 차량을 인식하지 못하여 차량과 보행자 간의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6-044359호에 개시된 차량용 보행자 알림 장치는 차량 주변의 보행자를 검출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기존에는 보행자의 존재만을 경고음으로 운전자에게 알릴 뿐 보행자의 진행방향을 운전자에게 알리진 못한다.
따라서, 기존에는 보행자의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어 차량과 보행자 간에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여전히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6-044359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운전자에게 보행자의 이동위치를 차량 실내로 경고음을 출력하는 내부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경고음의 방향에 의해 알리는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운전자에게는 보행자의 이동위치를 차량 실내로 경고음을 출력하는 내부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경고음의 방향에 의해 알리고 보행자에게는 차량의 위치를 차량 실외로 경고음을 출력하는 외부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경고음의 방향에 의해 알리는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주변을 보행하는 보행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보행자검출부; 상기 차량 실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내부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는 차내경고음출력부; 및 상기 검출된 보행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보행자의 이동방향을 포함하는 보행자이동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행자이동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보행자의 이동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차내경고음출력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보행자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내부 스피커 중 상기 보행자의 이동위치에 대응하는 내부 스피커를 작동시켜 운전자에게 상기 보행자의 이동위치를 출력되는 경고음의 방향 변화에 의해 알리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실외로 여러 방향으로 지향된 복수의 외부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는 차외경고음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외부 스피커 중 상기 보행자의 이동위치에 대응하는 외부 스피커를 작동시켜 상기 보행자에게 상기 차량의 위치를 출력되는 경고음의 방향 변화에 의해 알리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자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외부 스피커 중 상기 보행자의 이동위치에 대응하는 외부 스피커를 작동시킬 때 상기 보행자에게 상기 차량의 위치를 출력되는 경고음의 음량 변화에 의해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자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내부 스피커 중 상기 보행자의 이동위치에 대응하는 내부 스피커를 작동시킬 때 상기 운전자에게 상기 보행자의 이동위치를 출력되는 경고음의 음량 변화에 의해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자와 상기 차량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출력되는 경고음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 실내의 다수의 내부 스피커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보행자의 이동위치를 출력되는 경고음의 방향과 음량을 변경시켜 알릴 수 있어 차량과 보행자 간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운전자에게는 차량 실내의 다수의 내부 스피커를 이용하여 보행자의 이동위치를 출력되는 경고음의 방향과 음량을 변경시켜 알리고, 보행자에게는 차량 실외의 여러 방향으로 지향된 다수의 외부 스피커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출력되는 경고음의 방향과 음량을 변경시켜 알림으로써 운전자와 보행자 모두 서로의 위치를 알 수 있어 차량과 보행자 간의 사고를 더욱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의 내부 스피커와 외부 스피커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에서 차량 전방에 위치한 보행자가 차량 우측방으로 이동할 경우 보행자 위치별로 출력되는 경고음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에서 차량과 보행자의 거리에 따라 경고음의 음량을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에서 차량 전방 좌측에 위치한 보행자가 차량 전방 우측으로 이동할 경우 보행자 위치별로 출력되는 경고음의 방향과 음량을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는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한다.
제어부(10)의 입력측에는 보행자검출부(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10)의 출력측에는 차내경고음출력부(30)와 차외경고음출력부(40)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보행자검출부(20)는 차량 주변을 보행하는 보행자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검출부(20)는 레이저 센서, 밀리파 레이더 또는 이미지센서를 가진 스테레오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행자검출부(20)는 차량의 전방, 후방, 좌측, 우측 중 어느 한 방향에서만 보행자 검출이 가능할 경우 차량 주변의 여러 방향에 위치한 보행자를 검출할 수 있도록 차량의 전후좌우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보행자검출부(20)는 360도 촬영이 가능한 스테레오 카메라인 경우 단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보행자검출부(20)는 차량 주변의 보행자를 검출하고, 검출된 보행자 검출정보를 제어부(10)에 전송한다. 제어부(10)는 보행자검출부(20)로부터 검출된 보행자 검출정보를 근거로 하여 보행자의 방향과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차내경고음출력부(30)는 운전자가 보행자의 이동위치를 출력되는 경고음의 방향으로 알 수 있도록 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의 실내로 경고음을 출력한다. 차내경고음출력부(30)는 차량 실내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되어 실내방향으로 지향된 복수의 내부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차내경고음출력부(30)는 각 내부 스피커의 작동과 각 내부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경고음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참고로, 내부 스피커들의 개수와 장착위치는 차종이나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차외경고음출력부(40)는 보행자가 차량의 위치를 출력되는 경고음의 방향으로 알 수 있도록 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의 실외로 경고음을 출력한다. 차외경고음출력부(40)는 차량 실외의 여러 방향으로 지향된 복수의 외부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차외경고음출력부(40)는 각 외부 스피커의 작동과 각 외부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경고음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참고로, 외부 스피커들의 개수와 장착위치는 차종이나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보행자검출부(20)를 통해 검출된 보행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보행자의 이동방향을 포함하는 보행자이동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행자이동정보를 근거로 하여 보행자의 이동위치를 판단하고, 판단된 이동위치에 따라 차내경고음출력부(30)의 작동을 제어하여 보행자가 이동함에 따라 복수의 내부 스피커 중 보행자의 이동위치에 대응하는 내부 스피커를 작동시켜 운전자에게 보행자의 이동위치를 출력되는 경고음의 방향에 의해 알릴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보행자검출부(20)를 통해 검출된 보행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보행자의 이동방향을 포함하는 보행자이동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행자이동정보를 근거로 하여 보행자의 이동위치를 판단하고, 판단된 이동위치에 따라 차외경고음출력부(40)의 작동을 제어하여 보행자가 이동함에 따라 복수의 외부 스피커 중 보행자의 이동위치에 대응하는 외부 스피커를 작동시켜 보행자에게 차량의 위치를 출력되는 경고음의 방향에 의해 알릴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의 내부 스피커와 외부 스피커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내경고음출력부(30)는 4개의 내부 스피커(31-3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개의 내부 스피커(31-34)는 차량 실내의 각 모서리 측에 마련될 수 있다. 4개의 내부 스피커(31-34)는 앞좌석 중 운전석과 보조석 전방에 각각 1개씩 마련되고, 뒷좌석 중 운전석 뒷편 좌석 후방과 보조석 뒷편 좌석 후방에 각각 1개씩 마련될 수 있다. 내부 스피커들은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고, 차량에 장착된 내부 스피커들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외경고음출력부(40)는 4개의 외부 스피커(41-4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개의 외부 스피커(41-44)는 차량 앞쪽의 헤드라이트 부근에 각각 1개씩 마련되고, 뒷쪽 브레이크 등 부근에 각각 1개씩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가진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0)는 보행자검출부(20)를 통해 차량 주변의 보행자 정보를 검출한다(100).
작동모드 100에서 보행자 정보를 검출한 후 제어부(10)는 검출된 보행자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주변을 보행하는 보행자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110).
만약, 작동모드 110의 판단결과 보행자가 존재하면, 제어부(10)는 보행자에게 차량의 위치를 경고하도록 차외경고음출력부(40)를 통해 보행자 위치에 대응하는 외부 스피커를 작동시켜 그 외부 스피커에서 경고음을 출력시킨다(120). 따라서, 보행자가 차량의 위치를 외부 스피커에서 나오는 경고음의 방향으로 인식할 수 있어 차량 간의 충돌을 미리 조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운전자에게 보행자의 이동위치를 경고하도록 차내경고음출력부(30)를 통해 보행자 위치에 대응하는 내부 스피커를 작동시켜 그 내부 스피커에서 경고음을 출력시킨다(130). 따라서, 운전자는 보행자의 이동위치를 내부 스피커에서 나오는 경고음의 방향으로 인식할 수 있어 차량과 보행자 간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에서 차량 전방에 위치한 보행자가 차량 우측방으로 이동할 경우 보행자 위치별로 출력되는 경고음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P)가 차량(V)의 전방에 위치한 경우, 4개의 외부 스피커(41-44) 중에서 차량(V)의 좌우 헤드라이트 부근에 장착된 제1 외부 스피커(41)와 제2 외부 스피커(42)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1 외부 스피커(41)와 제2 외부 스피커(42)에서 경고음이 출력되기 때문에 보행자(P)는 출력되는 경고음의 방향으로 차량(V)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또한, 보행자(P)가 차량(V)의 전방에 위치한 경우, 4개의 내부 스피커(31-34) 중에서 운전석과 조수석 앞쪽에 장착된 제1 내부 스피커(31)와 제2 내부 스피커(32)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1 내부 스피커(31)와 제2 내부 스피커(32)에서 경고음이 모두 출력되기 때문에 운전자는 출력되는 경고음의 방향으로 차량 전방에 보행자가 위치함을 알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P)가 차량(V)의 전방에서 차량 전방 우측으로 이동할 경우, 작동 중인 제1 외부 스피커(41)의 작동은 정지시키고, 작동 중인 제2 외부 스피커(42)에서만 계속해서 경고음이 출력되게 한다. 이에 따라, 제1 외부 스피커(41)와 제2 외부 스피커(42) 모두에서 출력되던 경고음이 제2 외부 스피커(42)에서만 출력되기 때문에 보행자(P)는 이러한 경고음의 변화를 통해 차량(V)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또한, 보행자(P)가 차량(V)의 전방에서 차량 전방 우측으로 이동할 경우, 작동 중인 제1 내부 스피커(31)의 작동은 정지시키고, 작동 중인 제2 내부 스피커(32)에서만 경고음이 계속해서 출력되게 한다. 이에 따라, 제1 내부 스피커(31)와 제2 내부 스피커(32) 모두에서 출력되던 경고음이 제2 내부 스피커(32)에서만 출력되기 때문에 운전자는 이러한 경고음의 변화를 통해 보행자(P)가 차량 전방에서 차량 전방 우측으로 이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P)가 차량 전방 우측에서 차량 우측방으로 이동할 경우, 작동 중인 제2 외부 스피커(42)는 경고음이 계속해서 출력되게 함과 함께 제3 외부 스피커(43)를 추가적으로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2 외부 스피커(42)에서만 출력되던 경고음이 제3 외부 스피커(43)에서도 출력되기 때문에 보행자(P)는 이러한 경고음의 변화를 통해 차량(V)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또한, 보행자(P)가 차량(V)의 전방 우측에서 차량 우측방으로 이동할 경우, 작동 중인 제2 내부 스피커(32)는 경고음이 계속해서 출력되게 함과 함께 제3 내부 스피커(33)를 추가적으로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2 내부 스피커(32)에서만 출력되던 경고음이 제3 내부 스피커(33)에서도 출력되기 때문에 운전자는 이러한 경고음의 변화를 통해 보행자(P)가 차량 전방 우측에서 차량 우측방으로 이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에서 차량과 보행자의 거리에 따라 경고음의 음량을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보행자(P)가 차량(V)의 전방 우측에서 차량 우측방으로 이동할 경우, 외부 스피커와 내부 스피커를 이용하여 경고음을 각각 출력함과 함께 보행자(P)와 차량(V) 간의 거리(L1, L2, L1>L2)를 근거로 출력되는 각각 경고음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차량(V)의 전방 우측에서 차량 우측방으로 이동한 보행자(P)와 차량(V)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출력되는 각 경고음의 음량레벨을 높여 보행자(P)와 운전자에게 경고음이 상대적으로 크게 들리게 할 수 있다. 보행자(P)와 운전자는 이러한 경고음의 방향 변화와 함께 음량변화도 함께 고려하여 보행자와 차량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에서 차량 전방 좌측에 위치한 보행자가 차량 전방 우측으로 이동할 경우 보행자 위치별로 출력되는 경고음의 방향과 음량을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 전방 좌측에 위치한 보행자가 차량 전방 우측으로 이동할 경우, 외부 스피커와 내부 스피커를 이용한 경고음 출력으로 보행자와 차량의 위치를 알리는 것은 물론 보행자의 이동에 따라 보행자와 차량 간의 거리를 기준으로 거리가 가까울수록 각 경고음의 음량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각 경고음의 음량을 변화시켜 보행자와 차량의 위치를 서로 간에 보다 정확히 인식할 수 있게 한다.
10 : 제어부 20 : 보행자검출부
30 : 차내경고음출력부 40 : 차외경고음출력부

Claims (1)

  1. 전기 구동방식으로 운행되는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주변을 보행하는 보행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보행자검출부;
    상기 차량의 실내의 운전석 전방, 보조석 전방, 운전석 뒷편 좌석 후방 및 보조석 뒷편 좌석 후방에 각각 마련되고 실내 방향으로 지향된 복수의 내부 스피커를 통해 차내경고음을 각각 출력하는 차내경고음출력부;
    상기 차량의 실외의 전방 및 후방 좌우측에 각각 마련되고 실외 방향으로 지향된 복수의 외부 스피커를 통해 차외경고음을 출력하는 차외경고음출력부; 및
    상기 보행자의 검출된 위치를 근거로 하여 상기 보행자의 이동방향을 포함하는 보행자이동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행자이동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보행자의 이동된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보행자가 이동할 때 상기 복수의 내부 스피커 중 상기 보행자의 이동된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스피커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판단된 이동된 위치에 따라 상기 차내경고음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보행자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출력된 각 차내경고음의 음량을 연속적으로 증감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보행자의 위치 변화를 운전자에게 알림과 함께, 상기 보행자가 이동할 때 상기 복수의 외부 스피커 중 상기 보행자의 이동된 위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판단된 이동된 위치에 따라 상기 차외경고음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보행자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출력된 각 차외경고음의 음량을 연속적으로 증감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차량의 위치 변화를 상기 보행자에게 알리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

















KR1020180154796A 2018-12-04 2018-12-04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 KR201801325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796A KR20180132584A (ko) 2018-12-04 2018-12-04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796A KR20180132584A (ko) 2018-12-04 2018-12-04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051A Division KR20180069147A (ko) 2016-12-14 2016-12-14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584A true KR20180132584A (ko) 2018-12-12

Family

ID=64670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796A KR20180132584A (ko) 2018-12-04 2018-12-04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25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5231A (zh) * 2020-04-17 2021-10-22 Zkw集团有限责任公司 用于以声音方式的行驶方向指示的机动车
US11440469B2 (en) 2020-05-08 2022-09-13 Hyundai Motor Company Communication lighting system for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5231A (zh) * 2020-04-17 2021-10-22 Zkw集团有限责任公司 用于以声音方式的行驶方向指示的机动车
US11440469B2 (en) 2020-05-08 2022-09-13 Hyundai Motor Company Communication lighting system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9147A (ko)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
WO2017014035A1 (ja) 自動車接近警告システム
US98936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ternal sound synthesis of a vehicle
JP6024741B2 (ja) 運転支援装置
KR20190100614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2012048460A (ja) 走行支援装置
JP6416288B2 (ja) 操作制御装置
JP7150246B2 (ja) 車両用警報システム
US11518303B2 (en) Notification device
JP2019211928A (ja) 車両用警報システム
KR20180132584A (ko)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
KR20190047292A (ko) 후방충돌 경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4151860A (ja) 車両接近報知装置
JP2011218826A (ja) 低走行音車両の走行警報装置
KR20180070300A (ko) 주차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9211929A (ja) 車両用警報システム
KR20110118882A (ko) 차량의 사이드미러를 대체하는 측방충돌방지 경보시스템
JP7282069B2 (ja) 車両報知装置
KR20190057465A (ko) 초지향성 스피커를 포함하는 경고 안내 출력 시스템
JP4108592B2 (ja) 車両周辺監視装置
WO2018000218A1 (en) Vehicle honking system
KR20170083277A (ko) 차량용 비상 알림장치
KR102419727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2021135680A (ja) 報知装置
KR20200082005A (ko) 사각지대 감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