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2392A - 점착 시트 - Google Patents

점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2392A
KR20180132392A KR1020170069263A KR20170069263A KR20180132392A KR 20180132392 A KR20180132392 A KR 20180132392A KR 1020170069263 A KR1020170069263 A KR 1020170069263A KR 20170069263 A KR20170069263 A KR 20170069263A KR 20180132392 A KR20180132392 A KR 20180132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weight
sensitive adhesive
parts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9469B1 (ko
Inventor
이명준
황용현
서영식
박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70069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469B1/ko
Publication of KR20180132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5Vinyl resins, e.g. polyvinyl chloride [PV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34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as a lab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 내용을 인쇄하는데 사용되는 점착 시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점착 시트는 지지층, 상기 지지층의 하부에 구비되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형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점착 시트{ADHESIVE SHEET}
본 발명은 광고 내용이 인쇄되어 여러 장소에 부착되는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고용 점착 시트는 폴리염화비닐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 상에 다양한 문구, 또는 이미지 등을 갖는 인쇄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러 장소(예를 들어, 주유소, 은행, 편의점 등의 간판, 또는 차량 외부 등)에 부착된다.
상기 광고용 점착 시트에 형성된 인쇄층은 폴리염화비닐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 상에 잉크 조성물을 인쇄 및 건조시키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다양한 문구, 또는 이미지를 갖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잉크 조성물에 휘발성 유기 용매가 함유되어 있음에 따라 친환경적이지 못하고 인체에 유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휘발성 유기 용매의 사용을 제한한 라텍스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쇄층을 형성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라텍스 잉크 조성물을 이용한 인쇄층의 형성작업은 고온에서 이루어지며, 이는 폴리염화비닐 수지로 이루어진 기재의 변형을 유발함에 따라 불량인쇄 또는 기재의 말림(wave)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점착 시트의 부착성이 떨어져 광고 효과를 충분한 시간 동안 얻는데도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81667호
본 발명은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인쇄층의 형성이 가능하며, 부착성 및 시공성 등이 우수한 점착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및 가소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가소제의 함량이 상기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 내지 22 중량부이고, 상기 지지층의 두께가 100 ㎛를 초과하는 것인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지지층의 두께는 120 내지 140 ㎛일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디에틸헥실 프탈레이트, 디옥틸 프탈레이트, 디부틸 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디이소헵틸 프탈레이트 및 부틸벤질 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안정제 및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상기 지지층의 하부에 구비되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형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점착 수지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며, 상기 경화제의 함량이 상기 점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1.2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점착 수지는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및 고무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에폭시계 경화제 및 멜라민계 경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상기 지지층의 상부에 구비되는 인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이 라텍스 잉크 조성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광고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지지층의 두께 및 가교밀도가 최적화되어 있어, 다양한 문구, 또는 이미지를 갖는 인쇄층의 형성작업이 고온(예를 들어, 100 내지 130 ℃)에서 이루어지더라도 열에 의한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우수한 부착성 및 시공성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친환경적이고 물성이 우수한 광고용 점착 시트를 고효율로 제조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점착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라텍스 잉크 조성물로 광고 내용을 인쇄하는 라텍스 인쇄기에 최적 사용될 수 있는 점착 시트에 관한 것으로, 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지지층(1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층(10)은 점착 시트가 일정 수준의 기계적 강도와 더불어, 내구성, 내열성 등을 갖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지지층(10)은 점착 시트가 인쇄기(예를 들어, 라텍스 인쇄기)에 투입될 경우, 인쇄면 역할도 한다.
이러한 지지층(10)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및 가소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지지층(10)에 기계적 강도, 내구성, 내열성 등을 부여하는 것으로, 중합도가 1,000 이내, 구체적으로는 중합도가 300 내지 1000인 폴리염화비닐 수지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중합도가 300 미만일 경우에는 점착 시트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1,000을 초과할 경우에는 지지층(10)을 형성하는데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함량은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60 내지 7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함량이 6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점착 시트의 기계적 강도, 내열성 등이 저하될 수 있고, 7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염화비닐 단독 중합체, 또는 염화비닐계 모노머와 다른 모노머가 공중합된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염화비닐계 모노머는 구체적으로 염화비닐 모노머, 염화비닐리덴 모노머, 아세트산비닐 모노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는 구체적으로 염화비닐과 아세트산비닐의 공중합체, 염화비닐과 아크릴산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또는 염화비닐과 에틸렌의 공중합체 등일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소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가소성을 높여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소제의 함량을 최적화함에 따라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지지층(10)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가 고온의 환경(예를 들어, 100 내지 130 ℃에서 인쇄작업이 이루어지는 라텍스 인쇄기에 투입되는 경우)에 놓이더라도 열에 의한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소제의 함량은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 내지 22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지지층(10)의 가교밀도 저하로 인해 점착 시트의 인쇄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고, 22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고온의 인쇄과정에서 지지층(10)의 말림(wave) 현상이 일어나 인쇄기가 손상되거나 인쇄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소제는 디에틸헥실 프탈레이트, 디옥틸 프탈레이트, 디부틸 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디이소헵틸 프탈레이트 및 부틸벤질 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이들 이외에도 통상적으로 공지된 가소제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지 조성물은 안정제 및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에 더 포함되는 안정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내열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안정제의 함량은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안정제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내열 안정성을 높이기 어려울 수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필요 이상으로 사용되어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안정제는 구체적으로 하이드로탈사이트계 화합물, 칼슘-아연계 화합물, 유기포스파이트계 화합물, 제올라이트계 화합물, 또는 바륨-아연계 화합물 등일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에 더 포함되는 안료는 지지층(10)에 색상을 부여하거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킨다.
이러한 안료의 함량은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9 내지 13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안료의 함량이 9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지지층(10)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1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필요 이상으로 사용되어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구체적으로 유기 안료 또는 무기 안료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안료는 구체적으로 아조계 화합물, 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또는 염료 레이크계 화합물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안료는 구체적으로 산화물계 화합물(예를 들어, 이산화티탄), 크롬산몰리브덴계 화합물, 또는 페로시안화물계 화합물 등일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수지 조성물은 지지층(10) 및 점착 시트의 물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PO)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 자외선 차단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및 분산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 및/또는 통상적인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지지층(10)의 두께는 100 ㎛를 초과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20 내지 140 ㎛일 수 있다. 상기 지지층(10)이 두께가 100 ㎛ 미만일 경우에는 점착 시트가 고온의 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점착층(20) 및 이형층(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에 더 포함되는 점착층(20)은 지지층(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점착 시트의 부착용이성 및 부착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점착층(20)은 점착 수지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점착 수지는 점착층(20)에 부착성, 내열성 등을 부여한다. 이러한 점착 수지는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및 고무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구체적으로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가 중합된 중합체가 입자상으로 용매에 분산된 수지; 또는 상기 단량체와, (메타)아크릴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아크릴 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및 N-비닐 카프로락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극성 단량체가 공중합된 공중합체가 입자상으로 용매에 분산된 수지일 수 있다.
이러한 점착 수지의 함량은 점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98.7 내지 99.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점착 수지의 함량이 98.7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점착제 조성물의 미경화로 인한 점착제 조성물의 전사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99.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점착력의 저하로 인해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화제는 점착 수지의 경화 반응을 일으킨다. 이러한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에폭시계 경화제 및 멜라민계 경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구체적으로 2,4-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3-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 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 시클로헥산, 테트라 메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메틸렌 비스 트리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계 경화제는 구체적으로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세린 디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세린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1,6-헥산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소르비톨 폴리 글리시딜 에테르 및 폴리 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멜라민계 경화제는 헥사 메톡시 메틸 멜라민, 헥사 에톡시 메틸 멜라민 및 헥사 프로폭시 메틸 멜라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화제의 함량은 점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1.2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경화제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점착제 조성물의 미경화로 인해 점착제 조성물이 피착제로 전이되는 불량이 유발될 수 있고, 1.2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점착층(20)의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외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층(20)의 물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광개시제, 분산제 및 점착 증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 및/또는 통상적인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층(20)의 두께는 24 내지 26 ㎛일 수 있다. 상기 점착층(20)이 두께가 24 ㎛ 미만일 경우에는 점착 시트의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고, 26 ㎛를 초과할 경우에는 인쇄 시 인쇄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에 더 포함되는 이형층(30)은 점착층(2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점착층(2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형층(30)은 구체적으로 펄프로 이루어진 종이의 일면 또는 양면에 폴리에틸렌이 코팅되면서 일면이 실리콘 화합물로 이형처리된 이형지(평량 80 내지 150 g/㎡), 일면이 실리콘 화합물로 이형처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일면이 실리콘 화합물로 이형처리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이형층(30)의 두께는 점착 시트의 최종 두께를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인쇄층(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에 더 포함되는 인쇄층(40)은 지지층(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라텍스 잉크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텍스 잉크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공지된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라텍스 입자, 안료, 분산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라텍스 잉크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라텍스 잉크 조성물에 포함되는 라텍스 입자는 인쇄층(40)에 부착성, 내열성 및 내구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라텍스 입자는 아크릴계 라텍스, 우레탄계 라텍스 및 에스테르계 라텍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라텍스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라텍스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D50)는 20 내지 600 ㎚일 수 있다.
상기 라텍스 잉크 조성물에 포함되는 안료는 인쇄층(40)에 색상을 부여하고 기계적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안료는 검정색 안료, 백색 안료, 시안 안료, 마젠타 안료, 또는 황색 안료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료는 카본블랙, 산화티탄, 코발트 블루(CoO-Al2O3), 크롬 옐로우(PbCrO4), 산화철 등과 같은 무기 안료, 또는 아조 안료, 프탈로시아닌 안료, 페릴렌 안료, 페리논 안료, 안트라퀴논 안료, 퀴나크리돈 안료, 디옥사진 안료, 티오인디고 안료, 이소인돌리논 안료, 피란트론 안료, 니트로 안료, 안탄트론 등과 같은 유기 안료일 수 있다.
상기 라텍스 잉크 조성물에 포함되는 분산제는 조성물의 분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분산제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라텍스 잉크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매는 라텍스 입자의 분산 매질 역할을 한다. 이러한 용매는 물, 1,2-알코올, 1,3-알코올, 1,5-알코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디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1,5-펜탄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2-에틸-2-히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 3-메톡시부탄올, 3-메틸-1,5-펜탄디올,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2,4-헵탄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라텍스 잉크 조성물로 형성된 인쇄층(40)의 두께는 점착 시트의 최종 두께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층(40)에는 다양한 문구, 또는 이미지 등의 내용이 인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광고 내용이 인쇄됨으로써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광고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수지 조성물로 지지층(10)을 형성하고, 이형지 또는 이형 필름으로 이루어진 이형층(30)에 점착제 조성물을 코팅하여 점착층(20)을 형성한 후, 상기 점착층(20) 상에 상기 지지층(10)을 적층 및 가압(합지)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인쇄층(40)이 형성된 점착 시트는 합지 과정을 거친 점착 시트를 라텍스 잉크 조성물이 분사되는 라텍스 인쇄기에 투입하여 인쇄 및 경화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두께 및 가교밀도가 최적화된 지지층(10)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라텍스 인쇄기에 투입 후 고온에서 인쇄 및 경화 과정을 거치더라도 열에 의한 변형이 최소화되어 우수한 인쇄가공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경화제의 함량이 최적화된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층(20)을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부착성 및 시공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친환경적인 라텍스 잉크 조성물로 형성된 인쇄층(40)을 포함함에 따라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대한 유해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폴리염화비닐 수지(중합도: 1,000) 63.9 중량부, 가소제(Diisononyl phthalate) 21 중량부, 안정제(지방산의 바륨(Ba)염 및 아연(Zn)염 함유 화합물) 3.2 중량부, 및 안료(이산화티탄) 11.9 중량부가 혼합된 수지 조성물로 두께가 130 ㎛인 지지층을 형성하였다.
다음, 폴리에틸렌 코팅부/종이/폴리에틸렌 코팅부/실리콘 화합물 코팅부의 구조를 갖는 이형지(두께: 150 ㎛) 상에 아크릴계 수지 98.9 중량부, 및 경화제 1.1 중량부로 이루어진 점착제 조성물을 코팅하여 두께가 25 ㎛인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 지지층과 점착층이 마주보도록 지지층 하에 점착층이 코팅된 이형지를 배치한 후 합지하는 과정을 거쳐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폴리염화비닐 수지(중합도: 1,000) 63.9 중량부, 가소제(Diisononyl phthalate) 21 중량부, 안정제(지방산의 바륨(Ba)염 및 아연(Zn)염 함유 화합물) 3.2 중량부, 및 안료(이산화티탄) 11.9 중량부가 혼합된 수지 조성물로 두께가 130 ㎛인 지지층을 형성하였다.
다음, 폴리에틸렌 코팅부/종이/폴리에틸렌 코팅부/실리콘 화합물 코팅부의 구조를 갖는 이형지(두께: 150 ㎛) 상에 아크릴계 수지 99.1 중량부, 및 경화제 0.9 중량부로 이루어진 점착제 조성물을 코팅하여 두께가 25 ㎛인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 지지층과 점착층이 마주보도록 지지층 하에 점착층이 코팅된 이형지를 배치한 후 합지하는 과정을 거쳐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폴리염화비닐 수지(중합도: 1,000) 63.9 중량부, 가소제(Diisononyl phthalate) 21 중량부, 안정제(지방산의 바륨(Ba)염 및 아연(Zn)염 함유 화합물) 3.2 중량부, 및 안료(이산화티탄) 11.9 중량부가 혼합된 수지 조성물로 두께가 130 ㎛인 지지층을 형성하였다.
다음, 폴리에틸렌 코팅부/종이/폴리에틸렌 코팅부/실리콘 화합물 코팅부의 구조를 갖는 이형지(두께: 150 ㎛) 상에 아크릴계 수지 98.7 중량부, 및 경화제 1.3 중량부로 이루어진 점착제 조성물을 코팅하여 두께가 25 ㎛인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 지지층과 점착층이 마주보도록 지지층 하에 점착층이 코팅된 이형지를 배치한 후 합지하는 과정을 거쳐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폴리염화비닐 수지(중합도: 1,000) 63.9 중량부, 가소제(Diisononyl phthalate) 21 중량부, 안정제(지방산의 바륨(Ba)염 및 아연(Zn)염 함유 화합물) 3.2 중량부, 및 안료(이산화티탄) 11.9 중량부가 혼합된 수지 조성물로 두께가 150 ㎛인 지지층을 형성하였다.
다음, 폴리에틸렌 코팅부/종이/폴리에틸렌 코팅부/실리콘 화합물 코팅부의 구조를 갖는 이형지(두께: 150 ㎛) 상에 아크릴계 수지 98.7 중량부, 및 경화제 1.3 중량부로 이루어진 점착제 조성물을 코팅하여 두께가 25 ㎛인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 지지층과 점착층이 마주보도록 지지층 하에 점착층이 코팅된 이형지를 배치한 후 합지하는 과정을 거쳐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폴리염화비닐 수지(중합도: 1,000) 65.7 중량부, 가소제(Diisononyl phthalate) 19 중량부, 안정제(지방산의 바륨(Ba)염 및 아연(Zn)염 함유 화합물) 3.2 중량부, 및 안료(이산화티탄) 12.1 중량부가 혼합된 수지 조성물로 두께가 100 ㎛인 지지층을 형성하였다.
다음, 폴리에틸렌 코팅부/종이/폴리에틸렌 코팅부/실리콘 화합물 코팅부의 구조를 갖는 이형지(두께: 150 ㎛) 상에 아크릴계 수지 99.1 중량부, 및 경화제 0.9 중량부로 이루어진 점착제 조성물을 코팅하여 두께가 25 ㎛인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 지지층과 점착층이 마주보도록 지지층 하에 점착층이 코팅된 이형지를 배치한 후 합지하는 과정을 거쳐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폴리염화비닐 수지(중합도: 1,000) 65.7 중량부, 가소제(Diisononyl phthalate) 19 중량부, 안정제(지방산의 바륨(Ba)염 및 아연(Zn)염 함유 화합물) 3.2 중량부, 및 안료(이산화티탄) 12.1 중량부가 혼합된 수지 조성물로 두께가 100 ㎛인 지지층을 형성하였다.
다음, 폴리에틸렌 코팅부/종이/폴리에틸렌 코팅부/실리콘 화합물 코팅부의 구조를 갖는 이형지(두께: 150 ㎛) 상에 아크릴계 수지 98.9 중량부, 및 경화제 1.1 중량부로 이루어진 점착제 조성물을 코팅하여 두께가 25 ㎛인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 지지층과 점착층이 마주보도록 지지층 하에 점착층이 코팅된 이형지를 배치한 후 합지하는 과정을 거쳐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폴리염화비닐 수지(중합도: 1,000) 63.9 중량부, 가소제(Diisononyl phthalate) 21 중량부, 안정제(지방산의 바륨(Ba)염 및 아연(Zn)염 함유 화합물) 3.2 중량부, 및 안료(이산화티탄) 11.9 중량부가 혼합된 수지 조성물로 두께가 100 ㎛인 지지층을 형성하였다.
다음, 폴리에틸렌 코팅부/종이/폴리에틸렌 코팅부/실리콘 화합물 코팅부의 구조를 갖는 이형지(두께: 150 ㎛) 상에 아크릴계 수지 98.9 중량부, 및 경화제 1.1 중량부로 이루어진 점착제 조성물을 코팅하여 두께가 25 ㎛인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 지지층과 점착층이 마주보도록 지지층 하에 점착층이 코팅된 이형지를 배치한 후 합지하는 과정을 거쳐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4]
폴리염화비닐 수지(중합도: 1,000) 62.1 중량부, 가소제(Diisononyl phthalate) 23 중량부, 안정제(지방산의 바륨(Ba)염 및 아연(Zn)염 함유 화합물) 3.1 중량부, 및 안료(이산화티탄) 11.8 중량부가 혼합된 수지 조성물로 두께가 130 ㎛인 지지층을 형성하였다.
다음, 폴리에틸렌 코팅부/종이/폴리에틸렌 코팅부/실리콘 화합물 코팅부의 구조를 갖는 이형지(두께: 150 ㎛) 상에 아크릴계 수지 98.9 중량부, 및 경화제 1.1 중량부로 이루어진 점착제 조성물을 코팅하여 두께가 25 ㎛인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 지지층과 점착층이 마주보도록 지지층 하에 점착층이 코팅된 이형지를 배치한 후 합지하는 과정을 거쳐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5]
폴리염화비닐 수지(중합도: 1,000) 62.1 중량부, 가소제(Diisononyl phthalate) 23 중량부, 안정제(지방산의 바륨(Ba)염 및 아연(Zn)염 함유 화합물) 3.1 중량부, 및 안료(이산화티탄) 11.8 중량부가 혼합된 수지 조성물로 두께가 130 ㎛인 지지층을 형성하였다.
다음, 폴리에틸렌 코팅부/종이/폴리에틸렌 코팅부/실리콘 화합물 코팅부의 구조를 갖는 이형지(두께: 150 ㎛) 상에 아크릴계 수지 98.7 중량부, 및 경화제 1.3 중량부로 이루어진 점착제 조성물을 코팅하여 두께가 25 ㎛인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 지지층과 점착층이 마주보도록 지지층 하에 점착층이 코팅된 이형지를 배치한 후 합지하는 과정을 거쳐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각 제조된 점착 시트의 물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인쇄성 평가
- 평가 기기: 라텍스 전용 인쇄기(HP사, HP365)
- 인쇄 조건: 인쇄기 헤드 8 pass, Dry 온도 110 ℃, 흡착 압력 15 mmH2O
- 평가 방법: 육안평가(인쇄면에 인쇄되는 상태를 평가)
2. 인쇄 시 말림(Wave) 평가
- 평가 기기: 라텍스 전용 인쇄기(HP사, HP365)
- 인쇄 조건: 인쇄기 헤드 8 pass, Dry 온도 110 ℃, 흡착 압력 15 mmH2O
- 평가 방법: 육안평가(인쇄 시 인쇄면에 파도모양처럼 wave 현상이 발생하는지 여부(유/무)를 확인), 기기평가(인쇄기의 헤드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인쇄면과 닿는지 여부를 확인(닿게 되면 헤드가 망가져 기기가 손상됨)
3. 부착성 평가
- 평가 기기: UTM기
- 시편준비: 1.5 cm by 12 cm 사이즈로 시편 제조(9 ea)
- 시편 부착: 2 kg 하중의 롤러로 SUS101 판에 제조된 시편을 부착
- 평가 방법: 부착 후/20분 후/24 시간 후의 점착력을 테스트기로 측정(15N/inch 이상 확보되는 것이 필요함)
4. 시공성 평가
- 시공 조건: 고/저온 시공, 옥외/내 시공
- 시공 방법: 라텍스 전용 인쇄기를 통한 인쇄 작업 진행
저/고온, 실내/외 조건 하에 시공(시공면의 이물질을 제거 후 시공면 및 제품 점착면에 비눗물을 뿌려 부착 후, 비눗물 및 Air 제거)
- 평가 방법: 시공 후 1일/7일/2달 후의 부착 상태를 확인
물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인쇄성 X X
인쇄 시
Wave
부착성
시공성 X
* X: 불량 : 보통 : 양호 : 우수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점착 시트에 해당하는 실시예 1 내지 4는 전반적인 물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 1의 점착 시트는 지지층의 두께가 얇고 가소제의 함량이 적어 인쇄성 등이 떨어지며, 경화제의 함량도 적어 부착성 및 시공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 및 3의 점착 시트는 지지층의 두께가 얇아 인쇄성 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비교예 4의 점착 시트는 가소제의 함량이 많아 인쇄성 등이 떨어지며, 비교예 5의 점착 시트는 가소제와 더불어 경화제의 함량이 많아 인쇄성, 부착성, 시공성 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0)

  1. 폴리염화비닐 수지 및 가소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가소제의 함량이 상기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 내지 22 중량부이고,
    상기 지지층의 두께가 100 ㎛를 초과하는 것인 점착 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의 두께가 120 내지 140 ㎛인 것인 점착 시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가 디에틸헥실 프탈레이트, 디옥틸 프탈레이트, 디부틸 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디이소헵틸 프탈레이트 및 부틸벤질 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점착 시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이 안정제 및 안료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점착 시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의 하부에 구비되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형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점착 시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점착 수지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며,
    상기 경화제의 함량이 상기 점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1.2 중량부인 것인 점착 시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점착 수지가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및 고무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점착 시트.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에폭시계 경화제 및 멜라민계 경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점착 시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의 상부에 구비되는 인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이 라텍스 잉크 조성물로 형성된 것인 점착 시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광고용인 것인 점착 시트.
KR1020170069263A 2017-06-02 2017-06-02 점착 시트 KR102409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263A KR102409469B1 (ko) 2017-06-02 2017-06-02 점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263A KR102409469B1 (ko) 2017-06-02 2017-06-02 점착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392A true KR20180132392A (ko) 2018-12-12
KR102409469B1 KR102409469B1 (ko) 2022-06-16

Family

ID=64670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263A KR102409469B1 (ko) 2017-06-02 2017-06-02 점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4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156B1 (ko) * 2019-06-24 2020-01-08 박현민 블루밍 현상을 이용하여 자가점착력을 갖는 부식 방지용 필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623A (ko) * 2001-10-19 2003-04-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 우레탄 수지와 금속 증착을 이용한 광고 간판 및차량 마킹용 점착 시트와 그의 제조방법
KR100773634B1 (ko) * 2006-10-26 2007-11-05 제일모직주식회사 아크릴 바인더 수지조성물를 포함하는 광경화형 점착조성물및 이를 이용한 점착테이프
KR20090111146A (ko) * 2008-04-21 2009-10-26 (주)엘지하우시스 점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81667A (ko) 2010-01-08 2011-07-14 (주)엘지하우시스 데코레이션 시트를 이용한 표면 마감 처리 방법
JP2017075429A (ja) * 2015-10-15 2017-04-20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印刷用壁装材、印刷用壁装材の製造方法、及び、印刷構造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623A (ko) * 2001-10-19 2003-04-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 우레탄 수지와 금속 증착을 이용한 광고 간판 및차량 마킹용 점착 시트와 그의 제조방법
KR100773634B1 (ko) * 2006-10-26 2007-11-05 제일모직주식회사 아크릴 바인더 수지조성물를 포함하는 광경화형 점착조성물및 이를 이용한 점착테이프
KR20090111146A (ko) * 2008-04-21 2009-10-26 (주)엘지하우시스 점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81667A (ko) 2010-01-08 2011-07-14 (주)엘지하우시스 데코레이션 시트를 이용한 표면 마감 처리 방법
JP2017075429A (ja) * 2015-10-15 2017-04-20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印刷用壁装材、印刷用壁装材の製造方法、及び、印刷構造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156B1 (ko) * 2019-06-24 2020-01-08 박현민 블루밍 현상을 이용하여 자가점착력을 갖는 부식 방지용 필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469B1 (ko)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3777B1 (ko) 점착 시트
JP4998044B2 (ja) 化粧シート
EP3393797B1 (en) Acrylic polyvinyl acetal graphic films
KR100488225B1 (ko) 전자선조사방법및전자선조사물
US20210198479A1 (en) Graphic articles comprising polylactic acid polymer based film
JP6560068B2 (ja) 装飾粘着フィルム
EP2205664B1 (en) (meth)acrylic film and marking film using same
JP6717650B2 (ja) 装飾部材の凹凸面に適用するための追従性粘着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7085551B2 (ja) 装飾シート
CN115667444A (zh) 粘合片、显示装置、结构体和带有透光性构件的粘合片
CN112703109A (zh) 建筑构件
CN107652761A (zh) 一种具有抗反粘功能的免上胶柔性热转印油墨组合物及其制造方法
KR20180132392A (ko) 점착 시트
JP6805683B2 (ja)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成型品
JP2007216490A (ja) 筆記シート及び壁装用シート
JP5127017B2 (ja) 防汚性オーバーラミシート
JP5067324B2 (ja) 化粧シート
KR102547339B1 (ko) 비산방지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디스플레이 및 전자장치
US20240010856A1 (en) Laminate comprising plasticizer-containing layer and ink layer, and radiation-curable ink
JP2007168217A (ja) 化粧シート
JP2005125506A (ja) ポリウレタン基材
JP2006084764A (ja) 防汚性表示シート
CN118103467A (zh) 用于车辆内部的装饰膜和防散射膜
JP2006015660A (ja) オーバーラミネート用フィルム及び被覆された印刷構造物
JP2023153616A (ja) 外装用装飾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