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1874A - 궤도 차량용 차량도어 및 상기 차량도어를 포함하는 궤도 차량 - Google Patents

궤도 차량용 차량도어 및 상기 차량도어를 포함하는 궤도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1874A
KR20180121874A KR1020187018405A KR20187018405A KR20180121874A KR 20180121874 A KR20180121874 A KR 20180121874A KR 1020187018405 A KR1020187018405 A KR 1020187018405A KR 20187018405 A KR20187018405 A KR 20187018405A KR 20180121874 A KR20180121874 A KR 20180121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door skin
skin
sealing 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8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1623B1 (ko
Inventor
두안준 마
창유 시에
베르너 회플러
Original Assignee
아이에프이-빅톨 레일웨이 비히클 도어 시스템즈 (칭다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에프이-빅톨 레일웨이 비히클 도어 시스템즈 (칭다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아이에프이-빅톨 레일웨이 비히클 도어 시스템즈 (칭다오)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80121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60J10/86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arranged on the opening pane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5/00Screws that cut thread in the body into which they are screwed, e.g. wood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16B47/003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for attach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8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wel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궤도 차량용 차량도어 및 상기 차량도어를 포함하는 궤도 차량에 있어서, 차량도어는 적층 구조를 형성한 제1 도어 스킨, 제2 도어 스킨 및 상기 제1 도어 스킨과 상기 제2 도어 스킨 사이에 충진된 발포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도어 스킨은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 접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도어 스킨은 각각의 상기 가장자리 접힘부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가장자리 접힘부 속에 클램핑된 제1 굽힘 가장자리부를 구비한다. 제1 도어 스킨과 제2 도어 스킨의 고정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분은 접힘 및 클램핑 공정을 통하여 구현되므로, 사용 과정에서 도어 스킨과 프레임 사이의 접합 실패로 인한 위험을 효과적으로 줄여, 2개의 도어 스킨의 고정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조 과정에서 차량도어의 무게를 줄이고,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궤도 차량용 차량도어 및 상기 차량도어를 포함하는 궤도 차량
관련출원의 교차인용
본 출원은 2015년 12월 15일 중국특허청에 제출된 특허출원 제201510939222.4호, 발명 명칭 '궤도 차량용 차량도어 및 상기 차량도어를 포함하는 궤도 차량'인 중국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궤도 차량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궤도 차량용 차량도어 및 상기 차량도어를 포함하는 궤도 차량에 관한 것이다.
궤도 교통의 급속한 발전과 운영 속도의 대폭 상승으로, 차량 시설의 원가 통제, 사용 안전 및 구조 안정성에 대해 더 높은 설계 요구가 제기되고 있다.
종래의 궤도 차량의 차량도어는 통상적으로 4개의 빔으로 구성된 프레임 및 2층의 도어 스킨을 포함하며, 프레임은 각각 2층의 도어 스킨과 주변을 따라 연장된 한 갈래의 고리 모양 구조의 접착제를 통해 접합되고, 2층의 도어 스킨은 장착 후의 위치에 따라 내측 도어 스킨과 외측 도어 스킨으로 구분할 수 있다. 궤도 열차가 고속으로 역 사이를 지날 때 차량은 지속적으로 진동 충격을 받으며, 높은 습도, 부식성 및 높은 열팽창 등의 외부 환경 요소로 인해 냉온 교대에 따른 냉온 순환 충격이 발생하여, 도어 스킨과 프레임 사이의 접합 위치에 진동 응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어 스킨과 프레임 사이의 접합 견고도가 떨어지고 심지어 파손되고(failure)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어떻게 하면 궤도 차량에서 차량 도어에 상기 문제점이 발생하는 확률을 줄일 것인지는 고려해야 할 과제이다. 또한, 차량 도어의 무게와 생산 원가에 대한 감축 수요는 항상 존재한다.
본 발명은 차량 도어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1 도어 스킨과 제2 도어 스킨은 기계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도어 스킨과 프레임의 접합 실패로 인한 위험을 효과적으로 줄여, 차량도어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도어의 무게 및 생산 원가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도어와 비교하여 모두 현저하게 낮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한 측면은 차량도어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도어는 적층 구조를 형성한 제1 도어 스킨, 제2 도어 스킨 및 상기 제1 도어 스킨과 상기 제2 도어 스킨 사이에 충진된 발포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도어 스킨은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 접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도어 스킨은 각각의 상기 가장자리 접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가장자리 접힘부에 클램핑되는 제1 굽힘 가장자리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도어는 제1 도어 스킨과 제2 도어 스킨의 고정에 있어서, 프레임과의 접합 대신 적어도 일부분이 접힘 및 클램핑되는 공정으로 구현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제1 도어 스킨과 제2 도어 스킨을 모두 프레임과의 접합으로 고정하는 것과 비교하여, 본 발명은 제1 도어 스킨과 제2 도어 스킨 사이의 접힘 및 클램핑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프레임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효과적으로 차량도어의 무게를 줄이고, 생산 원가를 절감하며, 예를 들어 프레임 소재, 접합 소재 및 프레임의 조립 공정 시간을 절약한다. 특히 사용 과정에서, 제1 도어 스킨과 제2 도어 스킨의 고정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분이 접힘 및 클램핑 공정을 통하여 구현되므로, 도어 스킨과 프레임 사이의 접합 실패로 인한 위험을 효과적으로 줄여, 도어 스킨의 고정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차량도어를 사용한 궤도 차량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장점을 최대한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제2 측면에서, 상기 차량도어의 제1 도어 스킨의 가장자리부는 모두 가장자리 접힘부이다. 이 측면에서는 프레임을 생략하므로, 차량도어가 굽힘 모양의 차량도어일 경우, 차량도어의 구조 모양의 안정성과 강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차량 도어가 일반적으로 창구를 더 구비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제1 도어 스킨과 제2 도어 스킨의 창구 위치의 연결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3 측면에서, 상기 제1 도어 스킨과 상기 제2 도어 스킨 각각은 서로 대향하는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도어 스킨은 상기 개구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2 굽힘 가장자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굽힘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1 도어 스킨의 상기 개구 위치의 가장자리부와 중첩되어 고정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에 창문판을 수용하는 계단 홈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각 측면에서, 차량도어의 밀봉 성능과 연결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도어의 상기 제1 도어 스킨과 상기 제2 도어 스킨의 접촉 영역에는 접착제가 더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도어 스킨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 도어 스킨의 가장자리부는 또한 접착제에 의한 용접을 통하여 고정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도어 스킨과 상기 제2 도어 스킨의 접촉 영역에는 밀봉 접착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1 도어 스킨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 도어 스킨의 가장자리부가 리베팅으로 고정된다.
또한, 궤도 차량의 운행 과정에서, 소음이 승차감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하므로, 차량도어의 방음 소음 감소가 더 잘 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두께가 서로 다른 제1 도어 스킨과 상기 제2 도어 스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도어 스킨은 내측 도어 스킨일 수 있고, 제2 도어 스킨은 외측 도어 스킨일 수 있으며, 차량도어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외측 도어 스킨의 두께가 내측 도어 스킨의 두께보다 큰 도어 스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도어 스킨과 상기 제2 도어 스킨은 스테인리스 강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궤도 차량의 운행 요구에 적합하도록 궤도 차량의 차체의 측면이 일반적으로 굽힘 모양의 측면인 것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도어는 굽힘 모양의 차량도어이다. 차량도어의 세로 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도어 스킨 부분의 굽힘 위치에 잔류 응력이 아주 쉽게 발생하여 차량도어의 강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상기 차량도어의 세로 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도어 스킨 부분의 굽힘 위치에 노치가 개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차량도어는 상기 차량도어의 측면에 설치된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차량도어는 상기 차량도어의 측면에 설치된 보강판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차량도어는 바형 밀봉 부재를 더 포함하며,상기 바형 밀봉 부재는 상기 차량도어와 차체 사이 또는 차량도어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며, 상기 바형 밀봉 부재는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차량도어의 측면에 고정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밀봉 입술부와 제2 밀봉 입술부를 구비하며, 여기서, 상기 제1 밀봉 입술부와 상기 제2 밀봉 입술부의 서로 대향하는 일측은 서로 걸림 고정될 수 있으며, 걸림 고정된 후의 상기 제1 밀봉 입술부와 상기 제2 밀봉 입술부는 상기 본체부와 함께 상기 연결 부재의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도어를 사용하면, 차량도어와 차체가 조립된 상태에서, 간단하고 편리하게 바형 밀봉 부재를 탈착할 수 있으며, 궤도 차량도어의 보수가 더욱 편리하도록 하며, 장착시간을 효과적으로 절약하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밀봉 입술부와 제2 밀봉 입술부의 걸림 고정을 구현할 수 있는 방식은 다양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제1 밀봉 입술부와 제2 밀봉 입술부는 상기 제1 밀봉 입술부와 상기 제2 밀봉 입술부의 서로 대향하는 일측에 각각 형성된 돌기부와 오목홈부를 통해 걸림 고정될 수 있다.
돌기부와 오목홈부의 구체적인 수량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제1 밀봉 입술부에는 상기 제1 밀봉 입술부의 세로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밀봉 입술부에는 상기 제1 밀봉 입술부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의 돌기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의 돌기부를 사용하면, 제1 밀봉 입술부와 제2 밀봉 입술부가 걸림 고정된 후, 걸림 고정부의 일측에 상기 본체부와 함께 상기 연결 부재의 밀봉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차량도어를 외부에서 볼 때 미감이 있도록 연결 부재를 가릴 수 있다. 더욱 중요한 것은, 사용 과정에서 연결 부재가 외부 환경의 부식 등의 영향을 받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바형 밀봉 부재와 차체의 밀봉 스트립의 결합에 대해, 용이하게 접합 밀봉되거나 서로 분리되어야 하는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차량도어의 이동 과정에서 바형 밀봉 부재와 차체의 밀봉 스트립이 용이하게 분리되거나 또는 접합 밀봉될 수 있도록, 상기 바형 밀봉 부재의 제1 밀봉 입술부와 상기 제2 밀봉 입술부는 본체부로부터 멀어진 걸림 결합 고정부의 일측에, 차체 상의 밀봉 스트립과 밀봉 결합되는 제비꼬리형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바형 밀봉 부재의 제1 밀봉 입술부와 제2 밀봉 입술부는 본체부로부터 멀어진 걸림 결합 고정부의 일측에, 차체 상의 밀봉 스트립과 밀봉 결합되는 다른 유형의 홈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바형 밀봉 부재의 제1 밀봉 입술부와 제2 밀봉 입술부에 있어서 본체부로부터 멀어진 단부에 차체 상의 밀봉홈과 결합되는 밀봉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돌기부와 오목홈부의 구체적인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기 돌기부는 도치된 갈고리 모양의 돌기거나 또는 구형 돌기이다. 궤도 차량의 운행 중에, 차량도어에 대한 충격 진동으로 제1 밀봉 입술부와 제2 밀봉 입술부 사이의 걸림 고정이 쉽게 실패하는 것을 고려하여,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돌기부는 도치된 갈고리 모양의 돌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시 말해 돌기부의 횡단면은 도치된 갈고리 모양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궤도 차량도어는 용이하게 탈착되는 다른 형태의 바형 밀봉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바형 밀봉 부재는 상기 차량도어와 차체 사이 또는 차량도어 사이의 틈새를 밀봉한다. 상기 바형 밀봉 부재는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차량도어의 측면에 고정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밀봉 입술부와 제2 밀봉 입술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밀봉 입술부와 제2 밀봉 입술부의 서로 대향하는 일측에는 각각 돌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밀봉 입술부와 제2 밀봉 입술부는 상기 돌기부의 일측에 상기 본체부와 함께 상기 연결 부재의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바형 밀봉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가 나사못일 경우,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도어는 상기 나사못의 헤드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위치하는 가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바형 밀봉 부재는 바형 고무 밀봉 부재일 수 있다. 물론, 바형 밀봉 부재는 다른 탄성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으며, 차량도어와 차체 사이의 밀봉을 구현할 수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궤도 차량를 제공하며, 상기 궤도 차량은 상술한 임의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도어를 포함한다. 궤도 차량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임의의 차량도어를 적용하면, 효과적으로 차량도어의 무게를 줄이고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차량도어의 '세로 방향'은 차량도어를 궤도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상태의 상하 방향을 가리킨다. 이와 대응되게, 차량도어의 '가로 방향'은 차량도어를 궤도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상태의 전후 방향을 가리킨다. '내측 도어 스킨'은 차량도어를 궤도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상태에서 궤도 차량의 객실 내부를 향하는 도어 스킨을 가리킨다. 이와 대응되게, '외측 도어 스킨'은 차량도어를 궤도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상태에서 궤도 차량의 객실 외부를 향하는 도어 스킨을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도어의 제1 실시예의 가로 방향 단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A위치의 확대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도어의 제2 실시예의 가로 방향 단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도어의 제3 실시예의 가로 방향 단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의 C 위치의 확대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은 바형 밀봉 부재를 장착하지 않은 도 4에서의 D 위치의 확대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도어의 제4 실시예의 정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도시한 차량도어의 F 방향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의 G 위치의 확대 구조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도어의 제5 실시예의 세로 방향 단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형 밀봉 부재(제1 밀봉 입술부와 제2 밀봉 입술부가 걸림 고정되지 않음)가 장착된 차량도어의 실시예의 가로 방향 단면 구조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장착된 바형 밀봉 부재의 가로 방향 단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11에서의 바형 밀봉 부재의 제1 밀봉 입술부와 제2 밀봉 입술부가 걸림 고정된 후의 차량도어의 가로 방향 단면 구조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 14는 도 12에서 도시한 바형 밀봉 부재의 H-H 방향의 단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15는 도 12에서 도시한 바형 밀봉 부재의 I-I 방향의 단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16은 도 12에서 도시한 바형 밀봉 부재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H-H 방향의 단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17은 도 12에서 도시한 바형 밀봉 부재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I-I 방향의 단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바형 밀봉 부재가 장착된 차량도어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가로 방향 단면 구조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바형 밀봉 부재가 장착된 또 다른 실시형태의 차량도어 실시예의 가로 방향 단면 구조의 부분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는 적층 구조를 형성한 제1 도어 스킨, 제2 도어 스킨 및 제1 도어 스킨과 제2 도어 스킨 사이에 충진된 발포 재료를 포함한다. 제1 도어 스킨은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 접힘부를 구비하고, 제2 도어 스킨은 각각의 상기 가장자리 접힘부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가장자리 접힘부에 클램핑되는 제1 굽힘 가장자리부를 구비한다. 다시 말해 제1 도어 스킨과 제2 도어 스킨 사이의 적어도 일부분은 접힘 및 클램핑 공정을 통해, 프레임 빔과의 접합을 대신함으로써, 도어 스킨과 프레임의 접합 실패로 인한 위험을 효과적으로 줄여, 차량도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생산 원가를 절감한다.
본 발명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이하 직사각형의 차량도어를 예로 들어 도면 및 다양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의 구조 개략도이다. 상기 차량도어는 적층 구조를 형성한 제1 도어 스킨(101), 제2 도어 스킨(102), 3개의 빔으로 구성된 프레임(104) 및 제1 도어 스킨(101)과 제2 도어 스킨(102) 사이에 충진된 발포 재료(10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도어 스킨(101)은 하나의 가장자리 접힘부(1011)를 구비하고, 제2 도어 스킨(102)은 각각의 상기 가장자리 접힘부(1011)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가장자리 접힘부에 클램핑되는 제1 굽힘 가장자리부(1021)를 구비한다. 다시 말해, 제1 도어 스킨(101)의 가장자리 중의 일부는 접힘 및 클램핑 공정을 통해, 서로 대응되는 제2 도어 스킨(102)의 가장자리의 일부 굽힘 가장자리를 클램핑하여 고정한다. 접힘 및 클램핑된 부분을 제외한 제1 도어 스킨(101)과 제2 도어 스킨(102)의 나머지 부분은 접착제를 통해 프레임(104)과 접합 고정된다.
상술한 구조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는 제조시 제1 도어 스킨(101)과 제2 도어 스킨(102)을 고정함에 있어서 일부분은 프레임의 빔과의 접합 대신 접힘 및 클램핑 공정을 통해 구현하며, 종래 기술에서 제1 도어 스킨과 제2 도어 스킨 전체를 프레임과 접합시켜 고정해야 하는 것과 비교하여, 제1 도어 스킨(101)과 제2 도어 스킨(102) 사이의 접힘 및 클램핑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프레임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차량도어의 무게를 줄이고, 생산 원가를 절감하며, 예를 들어, 일부 프레임 소재, 접합 소재 및 프레임의 조립 공정 시간을 절약한다.
그리고, 도 7과 도 8을 참고하여 도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1 가장자리 접힘부(1011)와 제1 굽힘 가장자리부(1021)는 차량도어의 하나의 세로 방향 측면에 위치한다. 궤도 차량의 측면 프로파일과 맞물리도록 차량도어가 도 8과 같은 하나의 굽힘 영역이 필요한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도어는 프레임 중의 세로 방향의 빔을 굽혀야 한다. 이는 굽힘 잔류 응력과 충진된 발포 재료의 리바운드 현상을 쉽게 발생시킨다. 반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는 세로 방향의 빔을 생략함으로써, 상술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차량도어의 구조 모양의 안정성과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장자리 접힘부(1011)는 제1 도어 스킨(101)의 하나의 세로 방향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물론, 상기 가장자리 접힘부의 위치는 제1 도어 스킨의 윗측 또는 아래측의 가로 방향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비록 본 실시예에서 제1 도어 스킨(101)과 제2 도어 스킨(102)이 하나의 가장자리부를 접힘 및 클램핑하는 방식으로 고정 연결된 것을 나타냈으나, 제1 도어 스킨과 제2 도어 스킨은 임의의 2개의 가장자리부, 3개의 가장자리부, 심지어 모든 가장자리부를 접힘 및 클램핑하는 방식으로 고정 연결되어, 프레임과의 접합 연결을 대신할 수도 있음을 생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차량도어의 구조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와 제1 실시예의 상이점은 제1 도어 스킨(101)의 모든 가장자리가 가장자리 접힘부(1011)이고, 제2 도어 스킨(102)의 모든 가장자리가 제1 굽힘 가장자리부(1021)라는 점이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의 제1 도어 스킨(101)과 제2 도어 스킨(102)은 완전히 가장자리부의 접힘 및 클램핑 공정을 통해 고정되어, 프레임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는 제조 과정에서 차량도어의 무게를 최대한으로 줄이고,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소재, 접합 소재(예를 들어, 50%에 달함)와 프레임의 조립 공정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는 사용 과정에서, 2개의 도어 스킨이 완전히 접힘 및 클램핑 방식으로 고정되므로, 효과적으로 제1 도어 스킨과 제2 도어 스킨의 고정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상기 차량도어를 이용한 궤도 차량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이 생략되므로, 차량도어가 굽힘 모양의 차량도어일 경우, 차량도어의 구조 모양의 안정성과 강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제1 도어 스킨은 내측 도어 스킨일 수 있고, 제2 도어 스킨은 외측 도어 스킨일 수 있으며, 그 반대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도어의 사용 요구에 따라 확정된다. 차량도어와 차체의 장착이 더 간단하고 밀봉성이 더 좋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도어 스킨은 내측 도어 스킨이고, 제2 도어 스킨은 외측 도어 스킨이다. 다시 말해, 내측 도어 스킨의 가장자리부 중의 적어도 일부분은 외측 도어 스킨의 가장자리부 중의 적어도 일부분을 접힘 및 클램핑한다. 여기서 내측 도어 스킨의 모든 가장자리부가 외측 도어 스킨의 가장자리부를 접힘 및 클램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도어 스킨과 제2 도어 스킨의 접힘 및 클램핑으로 고정되는 위치는, 차량도어의 밀봉 성능과 연결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도어는 일반적으로 제1 도어 스킨(101)과 제2 도어 스킨(102)의 접촉 영역에 접착제(107)(도 6을 참고)를 도포할 수 있다. 물론,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제1 도어 스킨(101)의 가장자리부와 제2 도어 스킨(102)의 가장자리부가 접착제에 의한 용접을 통해서도 연결 고정할 수 있거나, 또는, 제1 도어 스킨(101)과 제2 도어 스킨(102)의 접촉 영역에 밀봉 접착제를 도포하고, 리벳을 통해 제1 도어 스킨(101)의 가장자리부와 제2 도어 스킨(102)의 가장자리부를 리베팅 고정하는 등의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리고, 고려해야 하는 바로는, 차량도어는 일반적으로 창문을 더 구비하므로, 전술한 임의의 실시예를 기초로, 제1 도어 스킨과 제2 도어 스킨 각각은 서로 대응되는 개구를 더 구비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차량도어의 제3 실시예를 더 제공한다.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제1 도어 스킨(101)과 제2 도어 스킨(102) 각각은 서로 대응되는 개구를 더 구비하며, 제2 도어 스킨(102)의 개구 위치의 가장자리부는 모두 제2 굽힘 가장자리부(1021)이다. 상기 제2 굽힘 가장자리부는 제1 도어 스킨(101)의 개구 위치의 가장자리부와 중첩될 수 있으며, 개구 위치에 창문판(106)을 수용하는 계단 홈 구조를 구성하며, 제1 도어 스킨(101)과 제2 도어 스킨(102)의 접촉 영역(중첩 위치)에 접착제(107)를 형성하여, 제1 도어 스킨(101)과 제2 도어 스킨(102)을 연결한다. 여기서, 창문판(106)은 접착제(105)를 통해 상기 계단 홈 구조에 접합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의 제1 도어 스킨(101)과 제2 도어 스킨(102)은 창문판을 설치한 개구 위치의 가장자리부가 창틀을 통해 연결되지 않으므로, 효과적으로 차량도어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물론, 본 실시예는 제1 도어 스킨(101)과 제2 도어 스킨(102)을 중첩 위치에서 접착제를 통해 연결하는 방식을 대체하도록, 제1 도어 스킨과 제2 도어 스킨의 중첩 위치에서 제1 도어 스킨(101)의 가장자리부와 제2 도어 스킨(102)의 가장자리부가 접착제에 의한 용접을 통해 연결 고정할 수도 있거나, 또는, 제1 도어 스킨(101)과 제2 도어 스킨(102)의 접촉 영역에 밀봉 접착제를 더 형성하고, 제1 도어 스킨(101)과 제2 도어 스킨(102)의 개구 위치의 가장자리부를 리벳을 통해 고정할 수도 있다.
궤도 차량 차체의 굽힘 모양의 측면과 맞물리도록, 궤도 차량의 차량도어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굽힘 영역을 구비한다. 차량도어의 굽힘 영역은 쉽게 잔류 응력이 발생하여 차량도어의 강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도어의 제4 실시예를 더 제공한다. 전술한 임의의 실시예를 기초로,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제2 도어 스킨(302)의 차량도어의 세로 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부분은 굽힘 위치에 노치(3023)가 형성된다. 상기 노치는 상기 세로 방향 측면의 하나의 가장자리로부터 다른 하나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노치는 설정 각도를 나타내는 V형 노치일 수 있으며, 상기 설정 각도는 구체적으로 차량도어의 요구에 따라 확정되며, 예를 들어, 차량도어의 굽힘 각도가 5°일 경우, 상기 설정 각도는 5°이거나 5°보다 클 수 있다.
제2 도어 스킨(302)을 굽힐 경우, 도어 스킨의 차량도어의 세로 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부분에 노치를 구비하므로, 효과적으로 굽힘으로 인한 가압 잔류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심지어 가압 잔류 응력을 제거하여 효과적으로 차량도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굽힘으로 인한 가압 잔류 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차량도어의 각각의 세로 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도어 스킨 부분은 굽힘 위치에 노치가 개설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도어와 차체의 맞물림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도어의 제5 실시예에서서는 전술한 임의의 실시예를 기초로 도 6 및 도 10과 같이, 예를 들어 나사못 등을 통해 차량도어를 차체와 맞물리는 장착부(예를 들어, 도 10의 슬라이드 부재(700) 등을 참고)에 연결하도록, 또한 차량도어의 측면에 예를 들어 나사못 등을 통해 바형 밀봉 부재(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바형 밀봉 부재(40, 41)를 참고)를 장착하도록, 차량도어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 연결 부재(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고하면, 차량도어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 연결 부재(30)는 리벳 너트이다.
그리고, 도 6을 참고하면, 차량도어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도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더 제공한다. 이는 전술한 임의의 실시예를 기초로, 차량도어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차량도어의 측면에 설치되는 보강판(5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궤도 차량의 운행 과정에서, 소음이 승차감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하므로, 차량도어의 방음 소음 감소가 더 잘 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운행 과정에서 제1 도어 스킨과 제2 도어 스킨이 공진이 발생하지 않도록, 두께가 서로 다른 제1 도어 스킨과 제2 도어 스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차량도어의 방음 소음 감소 성능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궤도 차량의 운행 과정에서, 차량도어의 외측 도어 스킨은 더 큰 충격 하중을 받고, 높은 습도, 부식성 및 높은 열팽창 등의 외부 환경과 직접 접촉하므로,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에서는 차량도어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외측 도어 스킨의 두께를 내측 도어 스킨의 두께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도어 스킨의 두께는 내측 도어 스킨의 두께의 1.2-2.5배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도어의 도어 스킨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 소재 및 알루미늄 합금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차량도어와 차체를 조립한 후 궤도 차량을 잘 밀봉할 수 있도록, 차량도어에는 일반적으로 바형 밀봉 부재가 장착된다. 도 4, 도 11 및 도 19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차량도어의 다른 실시예의 가로 방향 단면 구조 개략도와 서로 다른 부분의 부분 구조 개략도를 도시하였다. 도 12는 그 중의 바형 밀봉 부재(40)의 구조를 도시하고, 도 13은 상기 바형 밀봉 부재를 장착한 후의 궤도 차량도어의 가로 방향 단면 구조의 부분 확대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차량도어는 도어체(10), 바형 밀봉 부재(40) 및 제2 연결 부재(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도어 스킨, 제2 도어 스킨과 발포 재료로 구성된 적층 구조체는 도어체(10)를 구성한다.
바형 밀봉 부재(40)는 본체부(401) 및 본체부(40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밀봉 입술부(402a)와 제2 밀봉 입술부(402b)를 구비하며, 여기서, 제1 밀봉 입술부(402a)는 돌기부(402a1)를 구비하고, 제2 밀봉 입술부(402b)는 오목홈부(402b1)를 구비하며, 돌기부(402a1)와 오목홈부(402b1)는 걸림 고정될 수 있으며, 본체부(401)는 장착홀(4011)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차량도어의 장착 과정은 아래와 같다.
바형 밀봉 부재(40)의 제1 밀봉 입술부 및 제2 밀봉 입술부의 돌기부(402a1)와 오목홈부(402b1)는 초기에는 분리된 상태이며(도 12를 참고), 제2 연결 부재(60)를 장착홀(4011)을 관통시켜, 바형 밀봉 부재(40)와 도어체(10)를 고정(도 11을 참고)한다. 그후, 제1 밀봉 입술부(402a)와 제2 밀봉 입술부(402b)가 서로 접합되도록(도 13을 참고), 돌기부(402a1)와 오목홈부(402b1)를 걸림 고정한다. 이때, 제1 밀봉 입술부(402a)와 및 제2 밀봉 입술부(402b)는 본체부(401)와 함께 제2 연결 부재(60)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제1 밀봉 입술부(402a)와 제2 밀봉 입술부(402b)는 본체부(401)로부터 멀어진 걸림 고정부의 일측에 제비꼬리형 홈을 형성한다.
다음, 바형 밀봉 부재(40)의 제비꼬리형 홈과 차체(500) 상의 밀봉 스트립(501)이 서로 접합되도록, 바형 밀봉 부재(40)를 장착한 차량도어를 차체(500)에 조립한다.
본 실시예의 상술한 장착 과정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를 사용하여, 바형 밀봉 부재를 교체해야 할 상황이 발생하면, 먼저 돌기부(402a1)와 오목홈부(402b1)의 걸림 결합을 분리한 후, 제2 연결 부재(60)를 탈착시켜, 바형 밀봉 부재를 도어체(10)로부터 분리하며, 그후 새로운 바형 밀봉 부재를 연결 부재를 통해 도어체(10)와 장착 고정함으로써, 바형 밀봉 부재의 교체를 편리하게 구현할 수 있다.
위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를 사용하면, 차량도어와 차체가 조립된 상태에서, 간단하고 편리하게 바형 밀봉 부재를 탈착시킬 수 있으며, 궤도 차량도어의 보수가 더욱 편리하도록 하며, 탈착 시간을 효과적으로 절약하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의 바형 밀봉 부재의 제1 밀봉 입술부와 제2 밀봉 입술부가 걸림 고정된 후, 제1 밀봉 입술부(402a)가 그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부(도 14를 참고)를 구비하고, 제2 밀봉 입술부(402b)가 그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홈부(도 15를 참고)를 구비하므로, 본체부와 함께 연결 부재 밀봉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장착홀 위치의 연결 부재를 잘 가릴 수도 있고, 사용 과정에서 연결 부재가 외부 환경의 부식 등의 영향을 받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동시에, 상술한 바형 밀봉 부재의 장착 과정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도어는 도어체에 T형 홈을 개설할 필요가 없으므로, 간단하게 연결 부재를 통해 바형 밀봉 부재를 도어체에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제1 밀봉 입술부(402a)가 그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의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제1 밀봉 입술부(402a)는 그 세로 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다수의 돌기부를 구비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과 같이, 제1 밀봉 입술부(402a)에는 그 세로 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다수의 돌기부, 예를 들어 2개, 3개 또는 더 많은 수량의 돌기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와 대응되게, 제2 밀봉 입술부(402b)에는 4개의 오목홈부(도 17을 참고)가 형성되어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돌기부와 오목홈부의 구체적인 형태는 다양하며, 예를 들어, 돌기부는 구형 돌기의 형태를 사용하거나, 또는 도치된 갈고리 모양의 형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밀봉 입술부와 제2 밀봉 입술부 사이의 걸림 고정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돌기부는 도치된 갈고리 모양의 돌기부(도 12를 참고)이다.
도 19는 바형 밀봉 부재의 또 다른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바형 밀봉 부재(41)는 본체부(411) 및 본체부(41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밀봉 입술부(412a)와 제2 밀봉 입술부(412b)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 밀봉 입술부(412a)와 제2 밀봉 입술부(412b)는 서로 대응되는 일측에 각각 돌기부(412a1, 412b1)를 구비하고, 제1 밀봉 입술부(412a)와 제2 밀봉 입술부(412b)는 돌기부(412a1, 412b1)의 일측에 본체부(411)와 함께 제2 연결 부재(60)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제1 밀봉 입술부(412a)와 제2 밀봉 입술부(412b)는 본체부로부터 멀어진 돌기부(412a1, 412b1)의 타측에서 다른 차량도어 또는 차체 상의 바형 밀봉 부재와 밀봉 결합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바형 밀봉 부재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밀봉 작용을 할 수 있는 탄성 재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나사못과 장착홀을 이용하여 바형 밀봉 부재와 도어체를 연결하는 것을 나타냈으나, 연결 부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리벳 또는 개구 핀 등일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나아가, 연결 부재로서 나사못을 사용할 경우, 나사못과 바형 밀봉 부재 사이의 연결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18을 참고하면, 전술한 실시예를 기초로 본 발명의 차량도어는 가압판(600)을 더 포함하고, 가압판(600)은 나사못(제2 연결 부재(60))의 헤드부와 본체부(401) 사이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도어는 나사못의 헤드부와 본체부 사이에 설치되는 가압판을 더 포함하므로, 간단하고 편리하게 바형 밀봉 부재를 탈착시킬 수 있는 동시에, 나사못과 바형 밀봉 부재의 연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바형 밀봉 부재가 고무 밀봉 부재인 경우, 전술한 효과가 특히 뚜렷하며, 나사못과 고무 사이의 연결 마모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연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굽힘 가장자리부는 판금부재를 굽히는 절곡기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접힘 및 클램핑은 제1 도어 스킨과 제2 도어 스킨의 가장자리부를 접힘 및 클램핑할 수 있는 기계설비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바형 밀봉 부재의 제1 밀봉 입술부와 제2 밀봉 입술부의 걸림 고정은 갈고리와 걸림구의 맞물림을 통해 구현할 수도 있다. 발포 재료는 폴리우레탄 폼 등을 선택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비록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도어가 직사각형 차량도어인 경우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상술한 각 실시예로부터, 다른 모양의 차량도어도 필요에 따라 상술한 각 유익한 구성요소를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 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분명한 바,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본 발명의 청구항 및 그 균등한 기술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본 발명은 이러한 변경 및 변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한다.
101 : 제1 도어 스킨 102, 302 : 제2 도어 스킨
1011 : 가장자리 접힘부 1021 : 제1 굽힘 가장자리부
106 : 창문판 105, 107 : 접착제
103 : 발포 재료 3023 : 노치
30 : 제1 연결 부재 40, 41 : 바형 밀봉 부재
50 : 보강판 10 : 도어체
60 : 제2 연결 부재 401, 411 : 본체부
402a, 412a : 제1 밀봉 입술부 402b, 412b : 제2 밀봉 입술부
402a1 : 돌기부 402b1 : 오목홈부
412a1, 412b1 : 돌기부 4011 : 장착홀
500 : 차체 501 : 밀봉 스트립
600 : 가압판 700 : 슬라이드 부재

Claims (19)

  1. 궤도 차량용 차량도어에 있어서,
    상기 궤도 차량용 차량도어는 적층 구조를 형성한 제1 도어 스킨, 제2 도어 스킨 및 상기 제1 도어 스킨과 상기 제2 도어 스킨 사이에 충진된 발포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도어 스킨은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 접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도어 스킨은 각각의 상기 가장자리 접힘부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가장자리 접힘부 속에 클램핑된 제1 굽힘 가장자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차량용 차량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 스킨의 가장자리부는 모두 가장자리 접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차량용 차량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 스킨과 상기 제2 도어 스킨 각각은 서로 대향하는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도어 스킨은 상기 개구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2 굽힘 가장자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굽힘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1 도어 스킨의 상기 개구 위치의 가장자리부와 중첩되어 고정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에는 창문판을 수용하는 계단 홈 구조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차량용 차량도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 스킨과 상기 제2 도어 스킨의 접촉 영역에는 접착제가 더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도어 스킨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 도어 스킨의 가장자리부는 또한 접착제에 의한 용접을 통하여 고정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도어 스킨과 상기 제2 도어 스킨의 접촉 영역에는 밀봉 접착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1 도어 스킨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2 도어 스킨의 가장자리부가 리베팅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차량용 차량도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 스킨과 상기 제2 도어 스킨의 두께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차량용 차량도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 스킨은 내측 도어 스킨이고, 상기 제2 도어 스킨은 외측 도어 스킨이며, 상기 외측 도어 스킨의 두께는 상기 내측 도어 스킨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차량용 차량도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 스킨과 상기 제2 도어 스킨은 스테인리스 강 소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차량용 차량도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도어는 굽힘 모양의 차량도어이며, 상기 차량도어의 세로 방향 측면을 구성하는 도어 스킨 부분의 굽힘 위치에 노치가 개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차량용 차량도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도어의 측면에 설치된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차량용 차량도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도어의 측면에 설치된 보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차량용 차량도어.
  11. 제1항에 있어서, 바형 밀봉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형 밀봉 부재는 상기 차량도어와 차체 사이 또는 차량도어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며, 상기 바형 밀봉 부재는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차량도어의 측면에 고정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밀봉 입술부와 제2 밀봉 입술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밀봉 입술부와 상기 제2 밀봉 입술부의 서로 대향하는 일측은 서로 걸림 고정될 수 있으며, 걸림 고정된 후의 상기 제1 밀봉 입술부와 상기 제2 밀봉 입술부는 상기 본체부와 함께 상기 연결 부재의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차량용 차량도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 입술부와 상기 제2 밀봉 입술부는 상기 제1 밀봉 입술부와 상기 제2 밀봉 입술부의 서로 대향하는 일측에 각각 형성된 돌기부와 오목홈부를 통해 걸림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차량용 차량도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 입술부에는 상기 제1 밀봉 입술부의 세로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밀봉 입술부에는 상기 제1 밀봉 입술부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의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차량용 차량도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횡단면은 도치된 갈고리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차량용 차량도어.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 입술부와 상기 제2 밀봉 입술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멀어진 걸림 결합 고정부의 일측에, 상기 차체 상의 밀봉 스트립과 밀봉 결합되는 제비꼬리형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차량용 차량도어.
  16. 제1항에 있어서, 바형 밀봉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형 밀봉 부재는 상기 차량도어와 차체 사이 또는 차량도어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며, 상기 바형 밀봉 부재는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차량도어의 측면에 고정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밀봉 입술부와 제2 밀봉 입술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밀봉 입술부와 상기 제2 밀봉 입술부의 서로 대향하는 일측에는 각각 돌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밀봉 입술부와 상기 제2 밀봉 입술부는 상기 돌기부의 일측에 상기 본체부와 함께 상기 연결 부재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차량용 차량도어.
  17. 제11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바형 밀봉 부재는 바형 고무 밀봉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차량용 차량도어.
  18. 제11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나사못이며, 상기 궤도 차량도어는 상기 나사못의 헤드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위치하는 가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차량용 차량도어.
  19. 궤도 차량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차량.
KR1020187018405A 2015-12-15 2016-12-15 궤도 차량용 차량도어 및 상기 차량도어를 포함하는 궤도 차량 KR1025816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939222.4A CN105584494B (zh) 2015-12-15 2015-12-15 用于轨道车辆的车辆门以及包括该车辆门的轨道车辆
CN201510939222.4 2015-12-15
PCT/CN2016/110155 WO2017101820A1 (zh) 2015-12-15 2016-12-15 用于轨道车辆的车辆门以及包括该车辆门的轨道车辆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874A true KR20180121874A (ko) 2018-11-09
KR102581623B1 KR102581623B1 (ko) 2023-09-21

Family

ID=55924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8405A KR102581623B1 (ko) 2015-12-15 2016-12-15 궤도 차량용 차량도어 및 상기 차량도어를 포함하는 궤도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27594B2 (ko)
EP (1) EP3392114B1 (ko)
JP (1) JP6619101B2 (ko)
KR (1) KR102581623B1 (ko)
CN (1) CN105584494B (ko)
WO (1) WO201710182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6108A1 (ko) 2018-10-12 2020-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발광소자
US20200365808A1 (en) * 2019-05-14 2020-11-19 Idemitsu Kosan Co.,Ltd. Organic electroluminescense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84494B (zh) 2015-12-15 2017-11-24 Ife-威奥轨道车辆门系统(青岛)有限公司 用于轨道车辆的车辆门以及包括该车辆门的轨道车辆
CN108882624A (zh) * 2018-06-20 2018-11-23 南京佳力图机房环境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液冷机箱门板的密封结构
DE102019004311A1 (de) * 2019-06-19 2021-01-07 Knorr-Bremse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Türflügel einer Türvorrichtung eines Fahrzeugs
US11654759B2 (en) * 2021-01-12 2023-05-23 Rivian Ip Holdings, Llc Sealing apparatus for a laterally-sliding door
CN116985606B (zh) * 2023-09-27 2023-12-12 威驰腾(福建)汽车有限公司 一种碳纤维安全门结构及成型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9635B2 (ko) * 1979-07-12 1982-12-15 Sekisui Chemical Co Ltd
JP2001146163A (ja) * 1999-11-19 2001-05-29 Narita Seisakusho:Kk 鉄道車両用ドア
KR20100095616A (ko) * 2007-12-03 2010-08-31 제피로스, 인크. 조인트 제조 방법
JP2014144703A (ja) * 2013-01-29 2014-08-14 Japan Transport Engineering Co Ltd 鉄道車両用のドア構造
JP2015186875A (ja) * 2014-03-27 2015-10-2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サンドイッチ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48329A (ko) *
US1513363A (en) * 1920-08-27 1924-10-28 Allan S Barrows Sheet-metal door
GB526138A (en) * 1939-03-09 1940-09-11 Fisher & Ludlow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ehicle doors
US4930256A (en) * 1988-09-05 1990-06-05 Kawas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of smoothing the outer surface of a structure with sliding doors and a sliding door with a mechanism for smoothing the outer surface
DE9106271U1 (ko) * 1991-05-22 1991-07-25 Waggonbau Ammendorf Gmbh, O-4073 Halle, De
DE19723740A1 (de) * 1997-06-06 1998-12-10 Duewag Ag Fahrzeugaufbau und Fahrzeugtüre
JPH1126322A (ja) 1997-06-27 1999-01-29 Elna Co Ltd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JPH11263222A (ja) * 1998-03-19 1999-09-28 Hitachi Ltd 鉄道車両用ドア及びその製作方法
JP2000220353A (ja) * 1999-02-01 2000-08-08 Tostem Corp 出 窓
JP2004066953A (ja) * 2002-08-06 2004-03-04 Yokohama Seiki Kk 車両用ドア
US7790076B2 (en) * 2005-08-01 2010-09-07 Martin Marietta Materials, Inc. Foam insulating liner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733024B2 (en) * 2005-10-28 2014-05-27 Jamison Door Company Flexible door with rigid insulation
JP2007303112A (ja) 2006-05-10 2007-11-22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鉄道車両用引戸
CN101315017A (zh) * 2008-06-11 2008-12-03 陈少林 一种钢质安全门扇及其卷边工艺
CN201296155Y (zh) * 2008-09-25 2009-08-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的车门
CN201908545U (zh) * 2011-01-13 2011-07-27 张庆波 一种保温门
JP2013184505A (ja) * 2012-03-06 2013-09-19 Yokohama Seiki Kk 鉄道車両用ドアシステム
CN203064047U (zh) * 2012-12-01 2013-07-17 东风悦达起亚汽车有限公司 一种轿车车身后轮罩内板和外板的连接结构
WO2014087443A1 (ja) * 2012-12-03 2014-06-1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用のドア装置及び鉄道車両
EP2781277A1 (en) * 2013-03-19 2014-09-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nel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EP2805864A1 (en) * 2013-05-24 2014-11-26 Vapor Europe S.r.l. A Wabtec Company Door leaf device for mass transportation vehicle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uch a door
CN203305824U (zh) * 2013-05-30 2013-11-27 扬州高新橡塑有限公司 一种公共交通车辆车门密封条
DE102013108890B4 (de) * 2013-08-16 2017-09-07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Karosserieteil in Form einer Tür oder Klappe
JP2015052371A (ja) * 2013-09-09 2015-03-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パネル接合構造
CN104443961A (zh) * 2013-09-25 2015-03-25 江苏卡威专用汽车制造有限公司 垃圾车密封条及垃圾车
JP2015094193A (ja) * 2013-11-14 2015-05-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引戸のシール部材、及び車両
CN104747025B (zh) * 2015-03-23 2016-07-13 江苏美龙航空部件有限公司 一种高速列车塞拉门的门板结构
CN205239504U (zh) * 2015-12-15 2016-05-18 Ife-威奥轨道车辆门系统(青岛)有限公司 用于轨道车辆的车辆门以及包括该车辆门的轨道车辆
CN105584494B (zh) * 2015-12-15 2017-11-24 Ife-威奥轨道车辆门系统(青岛)有限公司 用于轨道车辆的车辆门以及包括该车辆门的轨道车辆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9635B2 (ko) * 1979-07-12 1982-12-15 Sekisui Chemical Co Ltd
JP2001146163A (ja) * 1999-11-19 2001-05-29 Narita Seisakusho:Kk 鉄道車両用ドア
KR20100095616A (ko) * 2007-12-03 2010-08-31 제피로스, 인크. 조인트 제조 방법
JP2014144703A (ja) * 2013-01-29 2014-08-14 Japan Transport Engineering Co Ltd 鉄道車両用のドア構造
JP2015186875A (ja) * 2014-03-27 2015-10-2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サンドイッチ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6108A1 (ko) 2018-10-12 2020-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발광소자
US20200365808A1 (en) * 2019-05-14 2020-11-19 Idemitsu Kosan Co.,Ltd. Organic electroluminescense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84494A (zh) 2016-05-18
JP6619101B2 (ja) 2019-12-11
EP3392114A1 (en) 2018-10-24
EP3392114B1 (en) 2021-08-11
EP3392114A4 (en) 2019-08-21
JP2019503925A (ja) 2019-02-14
CN105584494B (zh) 2017-11-24
US10927594B2 (en) 2021-02-23
US20200270938A1 (en) 2020-08-27
WO2017101820A1 (zh) 2017-06-22
KR102581623B1 (ko)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1874A (ko) 궤도 차량용 차량도어 및 상기 차량도어를 포함하는 궤도 차량
KR101595923B1 (ko) 저지붕 구조체를 구비한 철도 차량
US8371531B2 (en) Aircraft cabin window assembly method
WO2014185154A1 (ja) 車体上部構造
WO2015145891A1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6664281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ピラー構造
JP2006027366A (ja) 鉄道車両用構体
JP4749510B2 (ja) 鉄道車両用構体
JP2007137217A (ja) 鉄道車両用構体
WO2013145723A1 (ja) 運転室及び運転室を備えた鉄道車両
JP4558441B2 (ja) 車体後部構造
JP6034974B2 (ja) 鉄道車両の車体
CN105775104A (zh) 用于航空器的具有弯曲的地板面板的地板构件
JP6620030B2 (ja) 鉄道車両用側扉の窓部取付構造
JP2007331571A (ja) 自動車用センターピラー構造
CN109263725B (zh) 车辆及其车顶模块
JP2016088462A (ja) 車体上部構造
CN205239504U (zh) 用于轨道车辆的车辆门以及包括该车辆门的轨道车辆
JP4703743B2 (ja) 鉄道車両用構体
JP6241772B2 (ja) 自動車車体および自動車車体の製造方法
JP5470074B2 (ja) 鉄道車両構体及びその製造方法
DK2945827T3 (en) INSTALLATION FOR A SIDE WALL COVERING A SKIN VEHICLE
JP4172030B2 (ja) 自動車のルーフ構造
JP6631878B2 (ja) キャブの部材間の接着構造
JP2012025256A (ja) 車両用ルーフ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