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946A -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9946A
KR20180119946A KR1020170053711A KR20170053711A KR20180119946A KR 20180119946 A KR20180119946 A KR 20180119946A KR 1020170053711 A KR1020170053711 A KR 1020170053711A KR 20170053711 A KR20170053711 A KR 20170053711A KR 20180119946 A KR20180119946 A KR 20180119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electrode
unit
defectiv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7118B1 (ko
Inventor
김원년
표정관
구자훈
김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053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118B1/ko
Priority to US16/348,297 priority patent/US11251469B2/en
Priority to PCT/KR2018/003625 priority patent/WO2018199484A1/ko
Priority to EP18791163.1A priority patent/EP3525278B1/en
Priority to CN201880004392.5A priority patent/CN109952678B/zh
Priority to PL18791163T priority patent/PL3525278T3/pl
Publication of KR20180119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H01M2/167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막시트와 전극판을 적층한 상태로 열접합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로서, 상기 분리막시트를 공급하는 분리막 공급롤러와, 상기 전극시트를 공급하는 전극 공급롤러를 구비한 롤러부; 상기 전극 공급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전극시트를 커팅하여 복수의 전극판을 제조하는 커팅부; 상기 커팅부에 의해 커팅되는 상기 전극판들을 동일한 간격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전극판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 상기 검사부에 의해 검사되는 전극판 중 정상으로 검사된 정상 전극판을 이송하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정상 전극판과 상기 분리막 공급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분리막시트를 열접합하는 라미네이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LAMINATION DEVICE FOR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극과 분리막을 열접합하기 전에 상기 전극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 달리,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의미하며,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전자기기 또는 전기 자동차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조립체는 분리막과 전극이 상하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상기 전극조립체는 분리막과 전극을 열접합시키는 라미네이션 공정이 필요하다. 즉, 상기 라미네이션 공정은 상하로 적층된 분리막과 전극을 가열하여 접착시키며, 그 결과 상기 분리막과 상기 전극의 접착력을 높인다.
그러나 상기한 라미네이션 공정은 열접합되는 전극 중 불량 전극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지만, 이를 검사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제조된 전극조립체의 불량률이 크게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특허공개공보 제10-2015-003736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리막과 전극을 열접합하기 전에 상기 전극의 불량여부를 검사하고 제거하여 제조된 전극조립체의 불량률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시트와 전극시트를 적층한 상태로 열접합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는 상기 분리막시트를 공급하는 분리막 공급롤러와, 상기 전극시트를 공급하는 전극 공급롤러를 구비한 롤러부; 상기 전극 공급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전극시트를 커팅하여 복수의 전극판을 제조하는 커팅부; 상기 커팅부에 의해 커팅되는 상기 전극판들을 동일한 간격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전극판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 상기 검사부에 의해 검사되는 전극판 중 정상으로 검사된 정상 전극판을 이송하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정상 전극판과 상기 분리막 공급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분리막시트를 열접합하는 라미네이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사부는,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전극판을 촬영하는 촬영부재와, 상기 촬영부재에 의해 촬영된 상기 전극판 사진과 입력된 전극판 사진을 대비하여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팅부는 상기 전극시트를 커팅하여 전극탭이 형성된 전극판을 제조하고, 상기 검사부재는, 상기 전극판에 형성된 상기 전극탭의 연결상태에 대한 불량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상기 검사부는, 상기 검사부재에 의해 불량으로 검사된 불량 전극판을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배출하는 배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부와 상기 제2 이송부는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이송부와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전극판들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되,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전극판 중 불량 전극판이 배출되면, 상기 제1 이송부의 회전속도가 상기 제2 이송부 회전속도 보다 증가되면서 상기 불량 전극판을 기준으로 앞쪽 전극판과 뒤쪽 전극판의 간격을 재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제1 이송부의 이송방향 끝단에 위치한 상기 불량 전극판을 상기 배출부재가 배출하면, 회전속도가 증가되면서 상기 불량 전극판을 기준으로 앞쪽 전극판과 뒤쪽 전극판의 간격을 재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커팅부에 의해 커팅된 상기 전극판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제1 컨베어어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전극판의 상면을 압입한 상태로 상기 전극판의 폭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제1 조절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검사부에 의해 정상으로 검사된 정상 전극판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제2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정상 전극판을 압입한 상태로 상기 정상 전극판의 폭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제2 조절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는 분리막시트와 전극판을 열접합하기 전에 상기 전극판을 검사하여 불량 전극판을 제거하며, 이에 따라 정상 전극판과 상기 분리막시트를 열접합하여 전극조립체의 불량률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는 전극판을 촬영하고, 촬영된 전극판 영상과 입력된 전극판 영상을 대비하여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부를 통해 전극판의 불량여부를 보다 정확히 검사할 수 있다.
셋째: 둘째: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의 검사부는 불량으로 검사된 전극판을 외부로 배출시켜서 제거하는 배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재에 의해 불량 전극판이 분리막시트와 열접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는 전극판을 이송하는 제1 및 제2 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이송부는 불량 전극판이 배출되면 회전속도가 증대되면서 상기 불량 전극판을 기준으로 앞뒤에 위치한 전극판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그 결과 상기 전극판을 항상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에서 정상 전극판을 이송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에서 불량 전극판을 검사하고 배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에서 제1 이송부의 회전력을 통해 정상 전극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100)는 분리막시트(20)와 전극시트(10)로부터 커팅된 복수개의 전극판(11)을 열접합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분리막시트(20)와 전극판(11)을 열접합하기 전에 상기 전극판(11)을 불량여부를 검사하여 정상 전극판(11)만 분리막시트(20)과 열접합하며, 이에 따라 제조된 전극조립체의 불량률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분리막시트(20)와 전극시트(10)를 각각 공급하는 롤러부(110), 상기 전극시트(10)를 커팅하여 복수의 전극판(11)을 제조하는 커팅부(120), 상기 전극판(11)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130), 상기 제1 이송부(130)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전극판(11)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140), 상기 전극판(11) 중 정상으로 검사된 정상 전극판(11a)을 이송하는 제2 이송부(150), 및 상기 정상 전극판(11a)과 상기 분리막시트(20)를 열접합하는 라미네이션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부(110)는 분리막시트(20)가 권취된 분리막 공급롤러(111)와 전극시트(10)가 권취된 전극 공급롤러(112)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막 공급롤러(111)는 상기 권취된 분리막시트(20)를 상기 라미네이션부(160)까지 공급하고, 상기 전극 공급롤러(112)는 상기 권취된 전극시트(10)를 상기 제1 이송부(130)까지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전극시트(10)는 제1 전극시트와 제2 전극시트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전극 공급롤러(112)는 상기 제1 전극시트를 공급하는 제1 전극 공급롤러와 상기 제2 전극시트를 공급하는 제2 공급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전극시트는 양극시트이고, 상기 제2 전극시트는 음극시트일 수 있다. 물론 반대일 수도 있다.
상기 커팅부(120)는 상기 전극 공급롤러(112)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전극시트(10)를 일정한 간격으로 커팅하여 복수개의 전극판(11)을 제조하며, 상기 커팅된 복수개의 전극판(11)은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제1 이송부(130)에 공급된다.
즉, 상기 커팅부(120)는 상기 전극 공급롤러(112)와 상기 제1 이송부(13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전극시트(10)를 향해 이동하는 커팅본체와, 상기 커팅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전극시트(10)를 커팅하는 커팅날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커팅부(120)는 상기 전극시트(10)를 커팅하여 전극탭이 형성된 전극판(11)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부(130)는 상기 커팅부(120)에 의해 커팅된 복수개의 전극판(11)을 상기 제2 이송부(150)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한다. 즉, 상기 제1 이송부(130)는 하나 이상의 전극판(11)을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벨트(13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131)는 상기 복수개의 전극판(11)를 상기 제2 이송부(150)까지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팅부(120)에 의해 상기 전극시트(10)로부터 커팅된 전극판(11)은 낙하하여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131)의 선단에 안착되는데, 이때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131)에 안착되는 전극판(11)는 불규칙하게 안착되면서 전극판의 불량여부 검사시 정확한 검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커팅부(120)는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131)에 안착되는 전극판(11)의 위치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제1 조절롤러(13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131)에 안착되는 전극판(11)을 압입함과 동시에 상기 전극판(11)의 폭방향 위치를 조절한다.
한편, 상기 제1 조절롤러(132)는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131)에 안착되는 전극판(11)을 압입하는 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131)를 통해 이송되는 전극판(11)들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 조절롤러(132)는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131)에 안착되는 전극판(11)과 그의 앞에 있는 전극판 사이의 간격이 작으면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131)에 안착되는 전극판(11)의 압입시간을 길게하여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131)에 안착되는 전극판(11)과 그의 앞에 있는 전극판 사이 간격을 조절하고,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131)에 안착되는 전극판(11)과 그의 앞에 있는 전극판 사이의 간격이 크면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131)에 안착되는 전극판(11)의 압입시간을 짧게하여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131)에 안착되는 전극판(11)과 그의 앞에 있는 전극판 사이 간격을 조절한다.
상기 검사부(140)는 상기 제1 이송부(130)에 의해 이송되는 전극판(11)의 불량여부를 검사한다. 즉, 검사부(140)는 상기 제1 이송부(130)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전극판(11)을 촬영하는 촬영부재(141)와, 상기 촬영부재(141)에 의해 촬영된 상기 전극판 사진과 입력된 전극판 사진을 대비하여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재(1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검사부재(142)는 전극판(11)에 구비된 전극탭의 연결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즉, 검사부재(142)는 전극판과 전극탭 사이에 크랙이 없는지 또는 전극탭이 접히지 않았는지 등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며, 불량이 없으면 정상신호를 불량이 있으면 불량신호를 검출한다.
한편, 상기 검사부(140)는 상기 불량으로 검사된 불량 전극판(11b)을 상기 제1 이송부(130)로부터 제거하는 배출부재(143)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재(143)는 제1 이송부(130)에 의해 이송되는 불량 전극판(11b)을 흡착하여 상기 제1 이송부(130)로부터 제거하고, 이에 따라 불량 전극판(11b)이 제2 이송부(150)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이송부(130)와 제2 이송부(150)는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전극판(11)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한다. 이때 상기 제1 이송부(130)에 의해 이송되는 전극판 중 불량 전극판(11b)이 배출되면, 상기 불량 전극판(11b)을 기준으로 앞쪽 전극판과 뒤쪽 전극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 이송부(130)의 회전속도가 상기 제2 이송부(130)의 회전속도 보다 증가되며, 이에 따라 상기 불량 전극판(11b)을 기준으로 앞쪽 전극판과 뒤쪽 전극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이송부(130)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면, 상기 검사부(140)의 검사속도도 함께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이송부(130)에 의해 빠르게 이송되는 전극판(11)들을 보다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송부(130)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면, 상기 전극시트를 공급하는 전극 공급롤러(110)의 회전속도도 함께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이송부(130)에 전극판(11)을 보다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전극 공급롤러(112)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면, 상기 커팅부(120)의 커팅속도고 함께 증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극시트가 공급되는 속도에 맞게 상기 커팅부(120)의 속도가 증대되면서 일정한 크기로 전극판(11)을 커팅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부(150)는 상기 검사부(140)에 의해 정상으로 검사된 정상 전극판(11a)을 라미네이션부(160)까지 이송한다.
즉, 제2 이송부(150)는 상기 제1 이송부(130)에 의해 이송되는 정상 전극판(11a)을 라미네이션부(160)까지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벨트(151)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컨베이어벨트(151)에 의해 정상 전극판(11a)을 라미네이션부(160)까지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한편, 제2 이송부(150)는 상기 라미네이션부(160)로 이송되는 상기 정상 전극판(11a)의 위치를 균일하게 조절하는 제2 조절롤러(15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조절롤러(152)는 제2 컨베이어벨트(151)의 끝단에 위치한 정상 전극판(11a)을 압입함과 동시에 상기 정상 전극판(11a)의 폭방향 위치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제2 조절롤러(151)는 상기 정상 전극판(11a)을 압입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라미네이션부(160)로 이송되는 정상 전극판(11a)의 간격을 보다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라미네이션부(160)는 상기 제2 이송부(150)에 의해 이송된 정상 전극판(11a)과 상기 분리막 공급롤러(111)에 의해 공급된 분리막시트(20)를 적층된 상태로 열접합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는 분리막시트와 전극판을 열접합하기 전에 불량 전극판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차전지 제작 후 불량률 발생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방법]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100)의 라미네이션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방법은 분리막시트와 전극시트를 각각 공급하는 제1 단계, 상기 전극시트를 일정크기로 절단하여 복수개의 전극판을 제조하는 제2 단계, 상기 절단된 전극판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하는 제3 단계, 상기 이송되는 전극판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제4 단계, 상기 정산으로 검사된 정상 전극판을 이송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정상 전극판과 상기 분리막시트를 열접합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단계는 롤러부(110)를 통해 분리막시트(20)와 전극시트(10)를 각각 공급한다. 즉, 상기 롤러부(110)는 분리막시트가 권취된 분리막 공급롤러(111)와 전극시트가 권취된 전극 공급롤러(112)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막 공급롤러(111)는 권취된 분리막시트(20)를 라미네이션부(160)까지 공급하고, 상기 전극 공급롤러(112)는 권취된 전극시트(10)를 제1 이송부(130)까지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분리막 공급롤러(111)와 상기 전극 공급롤러(112)의 회전속도는 동일하되, 상기 제1 이송부(130)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면 상기 전극 공급롤러(112)의 회전속도도 함께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이송부(130)로 이송되는 전극판(11)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제2 단계는 상기 전극 공급롤러(112)에 의해 공급된 전극시트(10)를 커팅부(120)로 커팅하여 일정한 크기를 가진 복수개의 전극판(11)을 제조하며, 상기 제조된 복수개의 전극판(11)은 낙하하면서 이송부(130)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커팅부(120)는 상기 전극 공급롤러(112)의 회전속도가 증가하여 상기 전극시트(10)의 공급이 빨라지면 그에 따라 커팅속도가 증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항상 일정한 크기를 가진 전극판(11)을 제조할 수 있다.
제3 단계는 상기 커팅부(120)에 의해 커팅된 상기 전극판(11)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한다. 즉, 상기 커팅부(120)에 의해 커팅된 상기 전극판(11)은 제1 이송부(130)의 제1 컨베이어벨트(131)에 선단에 낙하하고,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131)에 의해 제2 이송부(150)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벨트(131)에 안착되는 전극판(11)들은 불규칙적으로 안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불규칙하게 안착된 전극판(11)들은 제1 조절롤러(132)에 의해 위치가 균일하게 조절된다.
즉, 상기 제1 조절롤러(132)는 상기 커팅부(120)로부터 커팅된 전극판(11)이 공급되는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131)의 앞쪽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131)에 안착되는 전극판(11)의 상면을 압입함과 동시에 상기 전극판(11)의 폭방향 위치를 조절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컨베이어벨트(131)를 통해 이송되는 전극판(11)은 동일한 위치를 가지며, 그 결과 검사부(140)를 통해 전극판(11)을 안정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제4 단계는 상기 제1 이송부(130)에 이송되는 전극판을 검사부(140)를 통해 불량여부를 검사한다. 즉 검사부(140)는 촬영부재(141)를 통해 상기 제1 이송부(130)에 위치한 전극판(11)을 촬영하고, 검사부재(142)를 통해 상기 촬영부재(141)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입력된 전극판 영상을 대비하여 불량여부를 검사한다. 예로 검사부재(142)는 전극판에 구비된 전극탭의 연결상태를 검사하는데, 상기 전극판과 상기 전극탭 사이의 크랙이 없는지 전극탭의 접힘은 없는지 검사한다.
여기서 제4 단계는 검사부(140)에 의해 정상으로 검사된 정상 전극판(11a)은 상기 제2 이송부(150)로 이송하고, 불량으로 검사된 불량 전극판(11b)은 배출부재(143)를 통해 흡착하여 상기 제1 이송부(130)로부터 제거하며, 이에 따라 불량 전극판이 제2 이송부(150)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결과 불량 전극판이 분리막시트와 열접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이송부(130)에 이송된 불량 전극판(11b)이 제거되면, 상기 제1 이송부(130)는 상기 제거된 불량 전극판(11b)을 기준으로 앞쪽 전극판과 뒤쪽 전극판 사이의 간격을 재조절하기 위해 회전속도가 증가되며, 이에 따라 제거된 불량 전극판(11b)을 기준으로 앞쪽 전극판과 뒤쪽 전극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제5 단계는 상기 검사부(140)에 의해 정상으로 검사된 정상 전극판(11a)을 제2 이송부(150)를 통해 라미네이션부(160)까지 이송한다.
즉 제2 이송부(150)는 정상 전극판(11a)을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정상 전극판(11a)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이송부(150)는 제2 컨베이어벨트(151)에 안착되는 정상 전극판(11a)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2 조절롤러(15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조절롤러(152)는 상기 제2 컨베이어벨트(151)에 안착되는 정상 전극판(11a)를 압입한 상태로 상기 정상 전극판(11a)의 폭방향 위치를 조절한다.
제6 단계는 상기 제2 이송부(150)에 의해 이송된 정상 전극판(11a)과 분리막 공급롤러(111)로부터 공급된 분리막시트(20)를 라미네이션부(160)를 통해 열접합하여 기본단위시트를 제조한다.
상기 기본단위시트는 상호 대응하는 정상 전극판 사이의 분리막을 절단하여 기본단위체를 제조하고, 상기 기본단위체를 하나 이상 적층하여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며, 상기 전극조립체를 케이스에 수용하여 완제품인 이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가능하다.
100: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110: 롤러부
111: 분리막 공급롤러
112: 전극 공급롤러
120: 커팅부
130: 제1 이송부
140: 검사부
150: 제2 이송부
160: 라미네이션부

Claims (10)

  1. 분리막시트와 전극판을 적층한 상태로 열접합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로서,
    상기 분리막시트를 공급하는 분리막 공급롤러와, 상기 전극시트를 공급하는 전극 공급롤러를 구비한 롤러부;
    상기 전극 공급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전극시트를 커팅하여 복수의 전극판을 제조하는 커팅부;
    상기 커팅부에 의해 커팅되는 상기 전극판들을 동일한 간격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전극판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
    상기 검사부에 의해 검사되는 전극판 중 정상으로 검사된 정상 전극판을 이송하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정상 전극판과 상기 분리막 공급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분리막시트를 열접합하는 라미네이션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전극판을 촬영하는 촬영부재와, 상기 촬영부재에 의해 촬영된 상기 전극판 사진과 입력된 전극판 사진을 대비하여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재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상기 전극시트를 커팅하여 전극탭이 형성된 전극판을 제조하고,
    상기 검사부재는, 상기 전극판에 형성된 상기 전극탭의 연결상태에 대한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검사부재에 의해 불량으로 검사된 불량 전극판을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배출하는 배출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와 상기 제2 이송부는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이송부와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전극판들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되,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전극판 중 불량 전극판이 배출되면, 상기 제1 이송부의 회전속도가 상기 제2 이송부 회전속도 보다 증가되면서 상기 불량 전극판을 기준으로 앞쪽 전극판과 뒤쪽 전극판의 간격을 재조절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제1 이송부의 이송방향 끝단에 위치한 상기 불량 전극판을 상기 배출부재가 배출하면, 회전속도가 증가되면서 상기 불량 전극판을 기준으로 앞쪽 전극판과 뒤쪽 전극판의 간격을 재조절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커팅부에 의해 커팅된 상기 전극판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제1 컨베어어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전극판의 상면을 압입한 상태로 상기 전극판의 폭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제1 조절롤러를 더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검사부에 의해 정상으로 검사된 정상 전극판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제2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정상 전극판을 압입한 상태로 상기 정상 전극판의 폭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제2 조절롤러를 더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KR1020170053711A 2017-04-26 2017-04-26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KR102167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711A KR102167118B1 (ko) 2017-04-26 2017-04-26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US16/348,297 US11251469B2 (en) 2017-04-26 2018-03-27 Lamination apparatus for secondary battery
PCT/KR2018/003625 WO2018199484A1 (ko) 2017-04-26 2018-03-27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EP18791163.1A EP3525278B1 (en) 2017-04-26 2018-03-27 Lamination device for secondary battery
CN201880004392.5A CN109952678B (zh) 2017-04-26 2018-03-27 用于二次电池的层压设备
PL18791163T PL3525278T3 (pl) 2017-04-26 2018-03-27 Urządzenie laminujące do baterii akumulatorowej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711A KR102167118B1 (ko) 2017-04-26 2017-04-26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946A true KR20180119946A (ko) 2018-11-05
KR102167118B1 KR102167118B1 (ko) 2020-10-16

Family

ID=63918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711A KR102167118B1 (ko) 2017-04-26 2017-04-26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51469B2 (ko)
EP (1) EP3525278B1 (ko)
KR (1) KR102167118B1 (ko)
CN (1) CN109952678B (ko)
PL (1) PL3525278T3 (ko)
WO (1) WO2018199484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380A (ko) 2019-12-18 2021-06-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의 교대 공급에 의한 단위셀의 제조방법
KR20210134166A (ko) * 2020-04-29 2021-11-09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이차전지의 전극셀 제조방법
WO2022086141A1 (ko) * 2020-10-19 2022-04-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20220112893A (ko) * 2021-02-04 2022-08-12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라미네이팅 장치 및 라미네이팅 방법
WO2022191511A1 (ko) * 2021-03-09 2022-09-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의 연속 제조 장치 및 연속 제조 방법
WO2023113485A1 (ko) *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시트 커팅장치 및 커팅방법
WO2023204412A1 (ko) * 2022-04-21 2023-10-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라미네이션 장치 및 단위 셀 제조 방법
WO2024049133A1 (ko) * 2022-08-31 2024-03-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기재의 절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3469B2 (ja) * 2017-12-15 2019-08-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極接合方法及び電極接合装置
JP6879283B2 (ja) * 2018-11-13 2021-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状電極の積層体製造装置
CN110364766B (zh) * 2019-07-16 2022-06-21 蜂巢能源科技有限公司 模切叠片系统及方法
KR20210058170A (ko) * 2019-11-13 2021-05-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과 전극 조립체 제조장치
DE102020104668A1 (de) * 2020-02-21 2021-08-2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Inspektionssystem für Batterieelektroden
CN112652802B (zh) * 2020-12-30 2022-12-13 蜂巢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叠片装置
WO2022149952A1 (ko) * 2021-01-11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커팅장치,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 설비 및 방법
KR20220112463A (ko) 2021-02-04 2022-08-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라미네이션 장치 및 라미네이션 장치의 불량 전극 셀 조립체 배출방법
KR102630749B1 (ko) * 2021-08-03 2024-01-30 주식회사 디에이테크놀로지 이차전지 제조 시스템의 전극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230068512A (ko) 2021-11-11 2023-05-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시트의 열주름 모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사방법
WO2023158218A1 (ko) * 2022-02-16 2023-08-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단위셀 검사장치
DE102022105400A1 (de) * 2022-03-08 2023-09-14 Körber Technologies Gmbh Zuführeinrichtung zum Zuführen von Segmenten von Energiezellen zu einer Zellstapel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Zuführen von Segmenten von Energiezellen zu einer Zellstapeleinrichtung
DE102022113313A1 (de) 2022-05-25 2023-11-30 Mb Automation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ensorbasierten inspizieren eines objekts
DE102022205762A1 (de) 2022-06-07 2023-12-07 Körber Technologies Gmbh Inspektionsanordnung für die Energiezellen produzierende Industrie
KR20240045850A (ko) 2022-09-30 2024-04-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모노셀용 라미네이션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7232A (ko) * 2011-04-07 2013-12-16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장치 및 적층 방법
KR101479723B1 (ko) * 2012-07-06 2015-01-08 유일에너테크(주) 2차 전지용 전극 생산 시스템 및 피딩장치
KR20150037363A (ko) 2013-09-30 2015-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의 음극 무지부에 주름을 방지하기 위한 탑-캡 압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4359A (ja) 1996-11-14 1998-05-29 Furukawa Battery Co Ltd:The 電池の検査用接触子
KR100363270B1 (ko) 1999-12-20 2002-11-30 주식회사 코캄엔지니어링 리튬 2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리튬 2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3526812B2 (ja) 2000-05-26 2004-05-17 Fdk株式会社 電極スリッタ装置
KR100669421B1 (ko) * 2004-11-15 2007-0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라미네이션 장치
US8828102B2 (en) * 2008-09-02 2014-09-0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sheets and apparatus therefor
KR101183014B1 (ko) * 2010-06-17 2012-09-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극판용 라미네이팅 장치 및 방법
KR101015988B1 (ko) 2010-08-19 2011-02-23 주식회사 디에이테크놀로지 폴리머 전극 비전 검사장치
KR101355834B1 (ko) 2010-12-02 2014-0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제조용 라미네이션 장치
KR101254858B1 (ko) 2010-12-23 2013-04-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라미네이팅 장치
JP5561191B2 (ja) * 2011-02-01 2014-07-30 株式会社Ihi 電極積層体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2012174453A (ja) * 2011-02-21 2012-09-10 Ihi Corp 電極積層体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5893461B2 (ja) 2011-04-07 2016-03-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および位置検出方法
CN102646849B (zh) 2012-02-29 2014-11-05 宁波子煜自动化设备开发有限公司 一种锂电池的电芯叠片机及隔膜放卷装置
KR101763453B1 (ko) 2014-07-24 2017-07-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의 권취장치
JP2016070685A (ja) 2014-09-26 2016-05-0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表面検査装置及び電極の製造装置
KR101684550B1 (ko) * 2015-07-29 2016-12-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의 제조장치 및 방법
JP6372453B2 (ja) * 2015-09-07 2018-08-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積層電極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7232A (ko) * 2011-04-07 2013-12-16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장치 및 적층 방법
KR101479723B1 (ko) * 2012-07-06 2015-01-08 유일에너테크(주) 2차 전지용 전극 생산 시스템 및 피딩장치
KR20150037363A (ko) 2013-09-30 2015-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의 음극 무지부에 주름을 방지하기 위한 탑-캡 압입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380A (ko) 2019-12-18 2021-06-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의 교대 공급에 의한 단위셀의 제조방법
KR20210134166A (ko) * 2020-04-29 2021-11-09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이차전지의 전극셀 제조방법
WO2022086141A1 (ko) * 2020-10-19 2022-04-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20220112893A (ko) * 2021-02-04 2022-08-12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라미네이팅 장치 및 라미네이팅 방법
WO2022191511A1 (ko) * 2021-03-09 2022-09-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의 연속 제조 장치 및 연속 제조 방법
WO2023113485A1 (ko) *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시트 커팅장치 및 커팅방법
WO2023204412A1 (ko) * 2022-04-21 2023-10-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라미네이션 장치 및 단위 셀 제조 방법
WO2024049133A1 (ko) * 2022-08-31 2024-03-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기재의 절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35433A1 (en) 2020-07-23
EP3525278A4 (en) 2019-10-23
CN109952678B (zh) 2022-02-11
KR102167118B1 (ko) 2020-10-16
EP3525278B1 (en) 2020-12-16
PL3525278T3 (pl) 2021-05-31
WO2018199484A1 (ko) 2018-11-01
US11251469B2 (en) 2022-02-15
CN109952678A (zh) 2019-06-28
EP3525278A1 (en)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9946A (ko) 이차전지용 라미네이션장치
WO2012137902A1 (ja) 位置検出装置および位置検出方法
JP5521861B2 (ja) 電極積層装置
CN110832676A (zh) 切割电极片的设备和方法
JP2012160352A (ja) 電極積層体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102288122B1 (ko) 이차전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4620172B (zh) 光学显示面板的连续制造方法及光学显示面板的连续制造系统
JP2012018776A (ja) 電極積層装置
KR20210147658A (ko) 이차전지 제조방법 및 이차전지 제조장치
EP4120410A1 (en) Unit cell manufacturing device and method
KR20160090813A (ko) 광학 부재 접합체의 제조 장치
KR102253132B1 (ko) 2차 전지용 단위 셀 제조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7438877B (zh) 制造光学显示装置的方法
KR20170041216A (ko) 접합 장치, 광학 표시 디바이스의 생산 시스템, 접합 방법, 및 광학 표시 디바이스의 생산 방법
KR20190059676A (ko)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및 방법
JP2016197526A (ja) ワーク積層装置
KR102322793B1 (ko) 이차전지의 전극셀 제조방법
CN109891481B (zh) 制造光学显示装置的方法
KR102515416B1 (ko) 이차전지 제조 장치
CN116096527A (zh) 切割装置、以及包括该切割装置的用于二次电池的层压设备和层压方法
JP5885869B1 (ja) 光学的表示装置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JP2012254876A (ja) 基板の仕分け装置
KR102003712B1 (ko) 전지 탭의 정위치 유도를 위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전지 탭 피딩 장치
JP2016206170A (ja) 蓄電装置用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蓄電装置用樹脂フィルムの製造装置
CN110770641A (zh) 偏光板粘贴装置和偏光板粘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