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7326A - 터널 대피통로 스마트게이트 - Google Patents

터널 대피통로 스마트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326A
KR20180117326A KR1020170050292A KR20170050292A KR20180117326A KR 20180117326 A KR20180117326 A KR 20180117326A KR 1020170050292 A KR1020170050292 A KR 1020170050292A KR 20170050292 A KR20170050292 A KR 20170050292A KR 20180117326 A KR20180117326 A KR 20180117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tunnel
gate
rail
gat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8755B1 (ko
Inventor
신동헌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알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알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에스알디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50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755B1/ko
Publication of KR20180117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6Lane control by movable lane separating barriers, e.g. shiftable barriers, retractable kerbs ; Apparatus or barri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heeled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 터널 대피통로 스마트게이트는 터널 내 연석(10)의 측면에 고정된 구동장치(20), 'ㄱ'자 형상의 구조를 가지며, 연석(10)의 상면과 전면을 커버하면서, 상기 구동장치(20)에 의하여 터널 대피통로를 개폐하는 게이트몸체(30), 지면에 고정되며, 상기 게이트몸체(30)와 슬라이드 접촉된 고정레일(40)(60), 상기 게이트몸체(30)가 고정레일(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장치(50)로 이루어지고; 상기 게이트몸체(30)는 상면연결바(33)와 전면연결바(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탈방지장치(50)는 터널의 내벽면에 볼트로 고정된 고정판(52)과, 고정판(52)의 중앙에 형성된 'ㄱ'자 형상의 돌출봉(53)과, 'ㄱ'자 형상의 돌출봉(53)의 끝단에 형성된 원형돌출부(54)와, 상기 'ㄱ'자 형상의 돌출봉(53)이 끼움결합되는 개구부(36)가 형성된 고정바(37)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20)는 스마트폰 또는 리모콘 또는 인터넷의 제어명령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터널 대피통로 스마트게이트 {Tunnel exit shaft smart gate}
본 발명은 터널 대피통로의 차량충돌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 터널의 대피통로에 형성된 입구영역에 충돌하지 않도록 대피통로의 입구와 도로의 경계영역에 설치되어, 터널 대피통로의 차량충돌을 방지함과 동시에 스마트폰 등의 원격제어수단으로 대피통로를 차폐할 수 있는 터널 대피통로 스마트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두 개의 일방향 터널이 인접되도록 설치된 단선 병렬 터널(unidirectional twin tube tunnel)에는 소정 거리마다 피난 연락갱, 즉 대피통로가 설치된다. 이 대피통로는 두 개의 일방향 터널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방화문이나 셔터가 설치되기도 한다. 이러한 대피통로는 어느 하나의 터널에 화재나 차량의 연쇄충돌 같은 사고가 발생했을 때,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이웃 터널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대피통로는 입구영역, 즉 입구의 코너 영역이나 연석의 단부가 노출됨으로써 차량이 충돌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93794호 (2016.02.15. 공고)
본 발명은, 터널 내 설치되는 대피통로나 대피공간 등과 도로의 경계영역에 형성되는 연석의 단부나, 대피통로의 입구영역에 차량이 충돌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 터널 대피통로 스마트게이트는, 터널 내 연석의 측면에 고정된 구동장치, 'ㄱ'자 형상의 구조를 가지며, 연석의 상면과 전면을 커버하면서, 상기 구동장치에 의하여 터널 대피통로를 개폐하는 게이트몸체, 지면에 고정되며, 게이트몸체와 슬라이드 접촉된 고정레일, 게이트몸체가 고정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장치로 이루어지고; 게이트몸체는 상면연결바와 전면연결바와 'ㄱ'자형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이탈방지장치는 터널의 내벽면에 볼트로 고정된 고정판과, 고정판의 중앙에 형성된 'ㄱ'자 형상의 돌출봉과, 'ㄱ'자 형상의 돌출봉의 끝단에 형성된 원형돌출부와, 상기 'ㄱ'자 형상의 돌출봉이 끼움결합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고정바를 포함하고, 구동장치는 스마트폰 또는 리모콘 또는 인터넷의 제어명령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장치는, 연석의 측면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는 고정판과, 고정판에 고정된 모터받침대와, 모터받침대에 안착된 모터와, 모터와 연결된 회전축의 끝단에 고정된 구동기어와, 모터받침대에 고정된 지지판에 고정되며 구동기어와 치합된 피니언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면연결바는 지면을 향한 'ㄷ' 형상의 개구부 내부 상면에 래크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장치의 피니언기어와 치합되고, 'ㄱ'자형상프레임의 하면에는 삼각형 형상인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고정레일의 중앙에 돌출된 삼각형 형상인 가이드레일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면접촉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레일은 평판형상의 레일고정구의 중앙에 돌출된 사다리꼴 형상의 제2가이드레일과, 제2가이드레일의 사다리꼴 좌우측 경사면과 일정한 간격인 홈부를 두고 평행하게 구비된 제1가이드레일로 이루어지고, 'ㄱ'자형프레임의 하면에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되; 가이드레일의 중앙으로부터 외측면을 향하여 경사진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홈부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가이드레일에는 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게이트몸체에는 피난안내전광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레일의 일정구간 양단에 리미트스위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터널 대피통로 스마트게이트는 터널 내 설치되는 대피통로나 대피공간과 도로의 경계영역에 설치함으로써, 차량이 대피통로나 대피공간의 입구에 노출된 연석의 단부나 입구영역에 충돌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이 스마트게이트에 충돌하는 경우에 스마트게이트가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레일로부터 이탈된 스마트게이트가 주행하는 다른 차량과 충돌하여 2차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게이트의 이동을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터널 피난통로의 개략도
도 2a 및 도2b는 본 발명 터널 대피통로 스마트게이트의 개폐상태 개략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구동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구동장치의 측면도.
도 5a는 본 발명 게이트몸체의 좌측 상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5b는 게이트몸체의 우측 하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이탈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고정레일의 다른 실시 예의 분해사시도 및 부분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고정레일의 다른 실시 예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게이트몸체의 또 다른 실시 예의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주지 또는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2b는 본 발명 터널 대피통로 스마트게이트의 개폐상태 개략사시도. 도3은 구동장치의 사시도, 도4는 구동장치의 측면도. 도 5a는 게이트몸체의 좌측 상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5b는 게이트몸체의 우측 하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터널 대피통로 스마트게이트(G)는 구동장치(20), 게이트몸체(30), 고정레일(40), 이탈방지장치(50)로 대별된다.
상기 구동장치(20)는 터널 내 연석(10)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게이트몸체(30)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게이트몸체(30)는 'ㄱ'자 형상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연석(10)의 상면과 전면을 커버하면서, 길이방향인 좌,우로 이동하여 터널 대피통로를 개폐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고정레일(40)은 게이트몸체(30)와 슬라이드 접촉되어 게이트몸체(10)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이탈방지장치(50)는 게이트몸체(30)를 고정하여, 차량의 충돌 시, 게이트몸체(30)가 고정레일(40)로부터 이탈되어, 터널 내를 주행하는 다른 차량과 충돌됨으로써, 2차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구동장치(20)의 구체적 구성을 살펴보면, 연석(10)의 측면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는 고정판(21)에 모터받침대(22)가 고정되어 있으며, 모터받침대(22)에 모터(23)가 안착, 고정되어 있고, 모터(23)와 연동하는 회전축(24)의 끝단에는 구동기어(25)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모터받침대(22)에 고정된 지지판(27)에는 피니언기어(26)가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있어, 상기 구동기어(25)와 치합되어 있으므로, 모터(23)의 구동과 연동하여 피니언기어(26)가 회전하면서, 후술하는 래크(34)와 치합되어 게이트몸체(30)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게이트몸체(30)의 구체적 구성을 살펴보면, 'ㄱ'자 형상의 프레임(31)은 게이트몸체(30)의 골격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차량이 충돌되어도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는 철재 또는 강화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되어 있으며, 'ㄱ'자 형상의 프레임(31)의 상면에는 각각의 'ㄱ'자 형상의 프레임(31)을 연결하는 상면연결바(33)가 결합되어 있고, 전면에는 각각의 'ㄱ'자 형상의 프레임(31)을 연결하는 전면연결바(32)가 결합되어 있어, 'ㄱ'자 형상의 프레임(31) 전체를 일체로 결합,고정시켜 게이트몸체(30)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써, 각각의 'ㄱ'자 형상의 프레임(31)이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하면서, 보강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지면에서 가장 가까운 'ㄱ'자형상프레임(31)의 하단부에는 단면이 삼각형 형상인 가이드홈(35)이 형성되어 있어,후술하는 고정레일(4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41)과 슬라이드 접촉을 하여, 게이트몸체(30)가 가이드레일(41)을 타고, 길이방향으로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상면연결바(33)는 'ㄱ'자 형상의 프레임(31)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데, 상면연결바(33) 중 하나에는 지면을 향하여 개방된 'ㄷ'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의 내부 상면에는 래크(34)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구동장치(20)의 피니언기어(26)와 치합되어 연동한다. 상기 래크(34)는 볼트, 리벳, 용접 등 공지의 고정수단으로 상면연결바(33)의 'ㄷ' 형상의 개구부 내부 상면에 고정된다.
상기 전면연결바(32)는 'ㄱ'자 형상의 프레임(31)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어, 게이트몸체를 형성하면서, 보강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게이트몸체(30) 또는 연석(10)에는 제어부(도시를 생략함)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어부는 리모콘, 인터넷, 스마트폰에서 제어명령을 송신하면, 제어부는 모터(23)를 정,역 방향으로 작동시켜, 게이트몸체(30)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대피통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모터(23)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네트워크 접속되는 원격제어컨트롤러와 네트워크 접속되어 원격제어컨트롤러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사용자 스마트폰 및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원격제어어플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고정레일(40)의 구체적 구성을 살펴보면, 고정레일(40)은 지면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레일(40)의 중앙에는 단면이 삼각형 형상을 갖는 가이드레일(41)이 돌출되어 있어, 'ㄱ'자 형상의 프레임(31)에 형성된 가이드홈(35)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면접촉되어 있다.
상기 고정레일(40)의 일정구간 양단에 리미트스위치(미도시)를 형성함으로써, 리미트스위치에 의하여 모터(23)의 전원이 단속되어 게이트몸체 (30)의 이동구간을 제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이탈방지장치(50)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장치(50)는 걸림부재(51), 고정판(52), 돌출봉(53), 원형돌출부(54)로 구별되며,
상기 고정판(52)은 터널의 내벽면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판(52)의 중앙에는 돌출봉(53)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돌출봉(53)은 아래를 향한 'ㄱ'자 형상을 하고 있고, 'ㄱ'자 형상의 돌출봉(53)의 끝단에는 'ㄱ'자 형상의 돌출봉(53)보다 직경이 큰 원형돌출부(5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게이트몸체(30)를 구성하는 상면에는 고정바(37)가 프레임(31)에 볼트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바(37)의 중앙에는 개구부(36)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게이트몸체(30)의 상면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바(37)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36)에 'ㄱ'자 형상의 돌출봉(53)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어 있어, 차량의 충돌로 인하여 게이트몸체(30)가 도로쪽으로 이탈하려는 것을 'ㄱ'자 형상의 돌출봉(53)이 저지하는 기능을 하며, 게이트몸체(30)가 파손되어 아래쪽으로 주저앉으려 하는 것은 원형돌출부(54)에 의하여 저지되는 것이므로, 게이트몸체(30)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고정레일의 다른 실시 예의 분해사시도 및 부분확대 사시도이고, 도8은 고정레일의 다른 실시 예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형성된 홈에 지면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고정레일(60)은 평판형상의 레일고정구(63)의 중앙에 사다리꼴 형상의 제2가이드레일(62)이 돌출되어 있으며, 제2가이드레일(62)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65)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관통공(65)에 볼트를 삽입하여 지면에 고정레일(60)을 고정한다.
상기 고정레일(60)의 양측단에는 제1가이드레일(61a)(61b)이 제2가이드레일(62)과 일정한 간격인 홈부(64a)(64b)를 형성하면서, 제2가이드레일(62)의 사다리꼴 좌우측 경사면과 평행하게 구비되어 있다.
또한, 고정레일(60)을 구성하는 제1가이드레일(61a)(61b)의 길이방향 양측면에는 절개홈(66)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레일(60)에 후술하는 가이드레일(71)을 최초로 결합할 때 고정레일(60)의 내부로 인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ㄱ'자형프레임(31)의 하면에는 가이드레일(71)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레일(71)에는 중앙으로부터 외측면을 향하여 경사진 가이드돌기(72a)(72b)가 형성되어 있어, 일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72a)는 고정레일(60)의 일측에 형성된 홈부(64a)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되고, 타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72b)는 고정레일(60)의 타측에 형성된 홈부(64b)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채택한 본 실시 예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ㄱ'자형프레임(31)의 하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72a)(72b)가 고정레일(60)에 형성된 홈부(64a)(64b) 내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터널 내에서 차량이 게이트몸체(30)에 충돌하는 경우에, 가이드돌기(72a)(72b)가 경사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충격력에 대한 저항력이 상승되어, 게이트몸체(30)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가이드돌기(72a)(72b)는 홈부(64a)(64b) 내에 끼어져 있는 것이므로, 게이트몸체(30)가 고정레일(6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도 최소할 수 있어, 파손된 게이트몸체(30)가 터널 내 차량의 주행선으로 비산되어 2차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게이트몸체의 또 다른 실시 예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몸체(30)에는 피난안내전광판(8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난안내전광판(80)은 게이트몸체(30)의 내부에 형성된 엘이디램프(도시를 생략함)에 의하여 간판과 같이 내부의 조명에 의하여 외부에서 식별히 가능하도록 아크릴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난안내전광판(80)에 기재된 안내문구가 엘이디램프로 형성되어 있어, 안내문구만 발광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터널 대피통로 스마트게이트는 터널 내 설치되는 대피통로나 대피공간과 도로의 경계영역에 설치됨으로써, 차량이 대피통로나 대피공간의 입구에 노출된 연석의 단부나 입구영역에 충돌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이 스마트게이트에 충돌하는 경우에 스마트게이트가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레일로부터 이탈된 스마트게이트가 주행하는 다른 차량과 충돌하여 2차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으며, 스마트게이트의 이동을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연석 20: 구동장치
30: 게이트본체 40,60:고정레일
50: 이탈방지장치
21: 고정판 22: 모터받침대
23: 모터 24: 회전축
25: 구동기어 26: 피니언기어
31: 'ㄱ'자형프레임 32: 전면연결바
33: 상면연결바 34: 래크
51: 걸림부재 52: 고정판
53: 돌출봉 54: 원형돌출부
61a,61b: 제1가이드레일 62: 제2가이드레일
63: 레일고정구 64a,64b: 홈부
65: 관통공 66: 절개홈
71: 가이드레일 72a,72b: 가이드돌기

Claims (7)

  1. 터널 내 연석(10)의 측면에 고정된 구동장치(20),
    'ㄱ'자 형상의 구조를 가지며, 연석(10)의 상면과 전면을 커버하면서, 상기 구동장치(20)에 의하여 터널 대피통로를 개폐하는 게이트몸체(30),
    지면에 고정되며, 상기 게이트몸체(30)와 슬라이드 접촉된 고정레일(40)(60),
    상기 게이트몸체(30)가 고정레일(40)(6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장치(50)로 이루어지고;
    상기 게이트몸체(30)는 상면연결바(33)와 전면연결바(32)와 'ㄱ'자형프레임(3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탈방지장치(50)는 터널의 내벽면에 볼트로 고정된 고정판(52)과, 고정판(52)의 중앙에 형성된 'ㄱ'자 형상의 돌출봉(53)과, 'ㄱ'자 형상의 돌출봉(53)의 끝단에 형성된 원형돌출부(54)와, 상기 'ㄱ'자 형상의 돌출봉(53)이 끼움결합되는 개구부(36)가 형성된 고정바(37)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20)는 스마트폰 또는 리모콘 또는 인터넷의 제어명령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대피통로 스마트게이트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20)는,
    연석(10)의 측면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는 고정판(21)과, 상기 고정판(21)에 고정된 모터받침대(22)와, 상기 모터받침대(22)에 안착된 모터(23)와, 상기 모터(23)와 연결된 회전축(24)의 끝단에 고정된 구동기어(25)와,
    상기 모터받침대(22)에 고정된 지지판(27)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기어(25)와 치합된 피니언기어(2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대피통로 스마트게이트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연결바(33)는 지면을 향한 'ㄷ' 형상의 개구부 내부 상면에 래크(34)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장치(20)의 피니언기어(26)와 치합되고,
    상기 'ㄱ'자형프레임(31)의 하면에는 삼각형 형상인 가이드홈(35)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레일(40)의 중앙에 돌출된 삼각형 형상인 가이드레일(41)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면접촉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대피통로 스마트게이트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60)은 평판형상의 레일고정구(63)의 중앙에 돌출된 사다리꼴 형상의 제2가이드레일(62)과,
    제2가이드레일(62)의 사다리꼴 좌우측 경사면과 일정한 간격인 홈부(64a)(64b)를 두고 평행하게 구비된 제1가이드레일(61a)(61b)로 이루어지고,
    'ㄱ'자형프레임(31)의 하면에는 가이드레일(71)이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레일(71)의 중앙으로부터 외측면을 향하여 경사진 가이드돌기(72a)(72b)가 형성되어, 상기 홈부(64a)(64b)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대피통로 스마트게이트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레일(61a)(61b)에는 절개홈(6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대피통로 스마트게이트
  6.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몸체(30)에는 피난안내전광판(8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대피통로 스마트게이트
  7.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40)(60)의 일정구간 양단에 리미트스위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대피통로 스마트게이트
KR1020170050292A 2017-04-19 2017-04-19 터널 대피통로 스마트게이트 KR101968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292A KR101968755B1 (ko) 2017-04-19 2017-04-19 터널 대피통로 스마트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292A KR101968755B1 (ko) 2017-04-19 2017-04-19 터널 대피통로 스마트게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326A true KR20180117326A (ko) 2018-10-29
KR101968755B1 KR101968755B1 (ko) 2019-04-15

Family

ID=64101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292A KR101968755B1 (ko) 2017-04-19 2017-04-19 터널 대피통로 스마트게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7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5466A (zh) * 2019-10-18 2020-02-18 龙德建设有限公司 一种隧道内紧急事故处理系统
KR20220146880A (ko) * 2021-04-26 2022-11-02 방성미 터널 내부의 차량비상 탈출구 도어 개폐장치
CN117027924A (zh) * 2023-10-10 2023-11-10 山西联盛科技有限公司 一种井下安全避难硐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296B1 (ko) 2019-06-10 2020-08-10 정용일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6888A (ja) * 2009-06-25 2011-01-13 Sanwa Shutter Corp トンネル用避難扉
KR101483712B1 (ko) * 2014-05-27 2015-01-19 현대아이티에스전자(주) 터널내 비상 상황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593794B1 (ko) 2014-05-13 2016-02-15 현대건설주식회사 터널 내 화재발생시 차량정보를 이용한 대피안내 시스템
JP2016138431A (ja) * 2015-01-29 2016-08-04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トンネル用の避難扉装置
JP2016214621A (ja) * 2015-05-21 2016-12-22 株式会社ダイフク 防火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6888A (ja) * 2009-06-25 2011-01-13 Sanwa Shutter Corp トンネル用避難扉
KR101593794B1 (ko) 2014-05-13 2016-02-15 현대건설주식회사 터널 내 화재발생시 차량정보를 이용한 대피안내 시스템
KR101483712B1 (ko) * 2014-05-27 2015-01-19 현대아이티에스전자(주) 터널내 비상 상황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2016138431A (ja) * 2015-01-29 2016-08-04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トンネル用の避難扉装置
JP2016214621A (ja) * 2015-05-21 2016-12-22 株式会社ダイフク 防火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5466A (zh) * 2019-10-18 2020-02-18 龙德建设有限公司 一种隧道内紧急事故处理系统
KR20220146880A (ko) * 2021-04-26 2022-11-02 방성미 터널 내부의 차량비상 탈출구 도어 개폐장치
CN117027924A (zh) * 2023-10-10 2023-11-10 山西联盛科技有限公司 一种井下安全避难硐室
CN117027924B (zh) * 2023-10-10 2023-12-12 山西联盛科技有限公司 一种井下安全避难硐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8755B1 (ko) 201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8755B1 (ko) 터널 대피통로 스마트게이트
KR100805364B1 (ko) 난간형 슬라이딩 자동도어
EP2335991A2 (en) Safety foothold for subway platform
EP3051046B1 (en) Attachment structure for door lock device
EP2143682A1 (en) Doorway device for elevator
EP2269936A2 (en) Elevator hoistway door separation preventive structure
EP3271280B1 (en) Elevator door having two sliding door panels
KR20170012354A (ko) 엘리베이터의 문턱
KR101761160B1 (ko) 좌,우 개폐식 도어의 틈새 차단장치
JP5937473B2 (ja) 車両のサイドドア装置
KR101871674B1 (ko)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잠금장치
JP2006069430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JP2013256202A (ja) 車両のスライドドア構造
KR101833878B1 (ko) 무레일 슬라이딩 게이트
KR20130049069A (ko) 난간형 스크린도어
KR101784701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장치
JP7321073B2 (ja) ホームドア装置
JP2020094490A (ja) 開閉体のガイドレール構造
KR101525086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용 안전장치
JP6122306B2 (ja) 鉄道車両の構造
KR101851251B1 (ko) 자동문의 안내 레일장치
KR101498950B1 (ko) 엘리베이터의 레일 설치용 카 구조
KR101257878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
JP2017144011A (ja) トンネル用の避難扉装置
JP2020094490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