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296B1 -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296B1
KR102143296B1 KR1020190067660A KR20190067660A KR102143296B1 KR 102143296 B1 KR102143296 B1 KR 102143296B1 KR 1020190067660 A KR1020190067660 A KR 1020190067660A KR 20190067660 A KR20190067660 A KR 20190067660A KR 102143296 B1 KR102143296 B1 KR 102143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projector
frame
fixer
industrial safety
sw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일
최영철
Original Assignee
정용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일 filed Critical 정용일
Priority to KR1020190067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2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06Lamp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G03B21/2033LED or laser light sour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46Positional adjustment of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 LED 프로젝터는, 제1, 2 프레임으로 설치되어 내부에 제1 공간이 마련되는 픽셔 프레임; 제1 공간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2 공간이 마련되며 픽셔 프레임에서 선회할 수 있게 설치된 스윙 프레임; 스윙 프레임에 설치되어 픽셔 프레임으로부터 스윙 프레임을 선회시키는 제1 구동 유닛; 제2 공간에 배치되고 대피 안내 메시지가 조사되는 LED 프로젝터; 스윙 프레임에 설치되어 스윙 프레임으로부터 LED 프로젝터를 선회시키는 제2 구동 유닛; 픽셔 프레임에 설치되고 외부 전원으로 충전되며, 제1, 2 구동 유닛과 LED 프로젝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배터리 유닛; 및 픽셔 프레임에 설치되고 LED 프로젝터가 탈출 방향을 향하도록 3차원 방위 좌표가 입력되고, 3차원 방위 좌표를 바탕으로 제1, 2 구동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LED Projector for Industrial Safety}
본 발명은 작업자가 탈출 방향 또는 대피 방향을 알 수 있도록 안내하는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 공사 현장, 지하 공사 현장 등은 공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대부분은 탈출을 돕거나 대피 방향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설비가 온전하게 갖춰지지 않았을 수 있다.
또한, 터널 공사 현장, 지하 공사 현장 등에 탈출 방향 또는 대피 방향을 안내하도록 하는 대피 유도 설비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그러한 대피 유도 설비는 공사 현장의 바닥에 세워 놓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공사가 진행되는 동안에 붕괴사고 등이 발생하면, 대피 유도 설비는 각종 구조물과 뒤엉킬 수 있고, 대피 유도 설비 자체가 파손될 수 있으며, 이러하면 탈출 방향을 정확하게 안내할 수 없고 대피하는 데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특히, 촌각을 다투는 긴급한 상황에서 근로자는 어둡고 먼지가 자옥하며 공포가 밀려오는 현장에서 온전한 정신으로 탈출구를 찾기는 쉽지 않을 수 있고, 근로자가 출구를 찾느라 탈출 시간을 지체하면 인명 사고의 위험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KR 10-2005-0092355 A KR 10-2012-0076494 A KR 10-1950333 B1 KR 10-1968755 B1 KR 10-1961928 B1 KR 10-1963896 B1 KR 20-0333439 Y1 KR 20-0416706 Y1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사가 완료되지 않은 작업 현장에서 붕괴 등의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작업자가 탈출 방향을 알 수 있도록 하여 최대한 빨리 안전한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 현장에 있던 각종 자재 때문에,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의 설치된 방향이 변경되더라도 LED 프로젝터는 항상 올바른 방향을 가리키도록 하여 작업자의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평소에 일반 전원으로 충전되고, 사고가 발생하면 배터리가 소진될 때까지 계속 작동되도록 하는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재 등으로 인하여 고온 환경이 조성되더라도 설정된 시간 동안에 계속 작동되도록 하는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는, 제1 프레임(12)과 제2 프레임(14)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내부에 제1 공간이 마련되는 픽셔 프레임(10);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고 닫힌 도형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제2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픽셔 프레임(10)에서 선회할 수 있게 설치된 스윙 프레임(20); 상기 픽셔 프레임(10) 또는 상기 스윙 프레임(20)에 설치되어 상기 픽셔 프레임(10)으로부터 상기 스윙 프레임(20)을 선회시키는 제1 구동 유닛(30);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고 작동 개시되면 대피 안내 메시지가 조사되는 LED 프로젝터(40); 상기 스윙 프레임(20) 또는 상기 LED 프로젝터(40)에 설치되어 상기 스윙 프레임(20)으로부터 상기 LED 프로젝터(40)를 선회시키는 제2 구동 유닛(50); 상기 픽셔 프레임(10)에 설치되고 평상시에 외부 전원으로 충전되며, 상기 제1, 2 구동 유닛(30, 50)과 상기 LED 프로젝터(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배터리 유닛(60); 및 상기 픽셔 프레임(10)에 설치되고 상기 LED 프로젝터(40)가 탈출 방향을 향하도록 3차원 방위 좌표가 입력되고, 상기 3차원 방위 좌표를 바탕으로 상기 제1, 2 구동 유닛(30, 50)을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는, 상기 제1, 2, 구동 유닛(30, 50)과 상기 LED 프로젝터(40)는 방염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는, 상기 LED 프로젝터(40)에 배치되어 상기 LED 프로젝터(40)의 3차원 방위 데이터를 검출하도록 하는 자이로스코프 센서(7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는, 상기 픽셔 프레임(10)의 바깥 둘레에 설치되고, 철망 형태로 제공되어 외부 물질로부터 상기 제1, 2 구동 유닛(30, 50), 상기 LED 프로젝터(40) 및 상기 제어부(70)를 보호하도록 하는 안전 망(16);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는, 공사가 완료되지 않은 작업 현장에서 설치될 수 있고, 붕괴 등의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작업자가 탈출 방향을 알 수 있도록 대피 경로를 비추도록 함으로써 작업자는 최대한 빨리 안전한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는, 작업 현장에 있던 각종 자재 때문에,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의 설치된 방향이 변경되더라도 설치할 때 당시에 설정된 방향을 기억하고 있다가 대피 안내를 실시할 때는 LED 프로젝터가 항상 설정된 방향을 가리키도록 하여 작업자의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는, 평소에 일반 전원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느 상황에서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사고가 발생하면 배터리가 소진될 때까지 계속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비상 상황에서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를 조작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는, 방염, 보온 처리함으로써 화재 등으로 인하여 고온 환경이 조성되더라도 설정된 시간 동안에 계속 작동되도록 하는 작업자의 대피를 도울 수 있다.
도 1부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를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면,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부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를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면,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는, 픽셔 프레임(10), 스윙 프레임(20), 제1, 2 구동 유닛(30, 50), LED 프로젝터(40), 배터리 유닛(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픽셔 프레임(1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2)과 제2 프레임(14)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고, 내부에 제1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2 프레임(12, 14)은 금속 재질의 내구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픽셔 프레임(10)이 어느 방향으로 놓이든 뒤집혀 놓이든 상관없이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픽셔 프레임(10)의 안쪽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 프레임(12, 14)은 비 진원 형태 또는 다각형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이로써 픽셔 프레임(10)이 바닥에 떨어져 구를 때 구르는 것을 곧바로 멈춰 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 프레임(12, 14)의 너비는 넓을수록 내구성에 유리하고, 좁을수록 투사 영상에 그림자가 생기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살펴보면 상기 제1, 2 프레임(12, 14)이 금속 재질이면 두께가 1mm에서 3mm, 너비가 1cm에서 3cm 정도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투사된 영상에 제1, 2 프레임(12, 14) 때문에 그림자가 생성되더라도 작업자가 대피 방향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사소한 그림자는 작업자의 대피에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픽셔 프레임(10)은 작업 현장에 설치된 구조물 예컨대, 빔, 비계, 가설 보도 패널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설치하는 수단은, 클램프, 철사, 타이 밴드, 자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스윙 프레임(20)은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닫힌 도형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제2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닫힌 도형은 예를 들면, 대략 사각형 형상, 육각형 형상, 팔각형 형상 또는 원형 형상 중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스윙 프레임(20)은 닫힌 도형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어느 한쪽이 열린 형태의 모양에 비교하여 강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어 더욱 견고하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윙 프레임(20)은 상기 픽셔 프레임(10)에서 선회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유닛(30)은 상기 픽셔 프레임(10) 또는 상기 스윙 프레임(20)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픽셔 프레임(10)으로부터 상기 스윙 프레임(20)을 선회 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1 구동 유닛(30)이 상기 픽셔 프레임(10)에 설치되면 제1 구동 유닛(30)의 구동 축은 상기 스윙 프레임(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유닛(30)이 상기 스윙 프레임(20)에 설치되면 제1 구동 유닛(30)의 구동 축은 상기 픽셔 프레임(10)에 연결될 수 있다. 어느 경우이든 제1 구동 유닛(30)이 작동하면 스윙 프레임(20)은 선회할 수 있다.
상기 LED 프로젝터(40)는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LED 프로젝터(40)가 작동 개시되면 대피 안내 메시지가 조사될 수 있다. 상기 안내 메시지는 부호, 그림, 문자 등이 단독 또는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안내 메시지는 LED 프로젝터(40)가 향하는 방향으로 작업자가 이동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안내될 수 있으며 예컨대, 화살표를 표시하거나, 문자로 출구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살표와 문자가 번갈아 가며 조사될 수 있고, 여러 장의 이미지를 연속하여 노출시킴으로써 마치 동영상처럼 시각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 유닛(50)은 상기 스윙 프레임(20) 또는 상기 LED 프로젝터(40)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스윙 프레임(20)으로부터 상기 LED 프로젝터(40)가 선회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2 구동 유닛(50)이 상기 스윙 프레임(20)에 설치되면 상기 제2 구동 유닛(50)의 구동 축은 상기 LED 프로젝터(4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구동 유닛(50)이 상기 LED 프로젝터(40)에 설치되면 상기 제2 구동 유닛(50)의 구동 축은 상기 스윙 프레임(20)에 연결될 수 있다. 어느 경우이든, 제2 구동 유닛(50)이 작동하면 상기 LED 프로젝터(40)이 상기 스윙 프레임(20)에서 선회 작동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제1 구동 유닛(30)의 구동 축 방향과 상기 제2 구동 유닛(50)의 구동 축 방향은 서로 직교 되게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1, 2 구동 유닛(30, 50)의 작동으로 상기 LED 프로젝터(40)의 조사 방향을 3차원 방위 좌표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유닛(60)는 상기 픽셔 프레임(10)에 설치될 수 있고, 평상시에 외부 전원으로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원은 작업 현장의 발전기, 별도의 보조 배터리, 사용 전원 등 다양한 형태를 띨 수 있고, 그 형태와 상관 없이 배터리 유닛(60)에 외부 전원이 연결되면 충전이 진행되고, 충전이 완료되면 안전 회로로 전원을 차단하여 과 충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방전 등의 이유로 배터리 전압이 낮아지면 충전이 재개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유닛(60)는 상기 제1, 2 구동 유닛(30, 50)과 상기 LED 프로젝터(4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아울러 제어부(60)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픽셔 프레임(1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LED 프로젝터(40)가 탈출 방향을 향하도록 3차원 방위 좌표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3차원 방위 좌표는 공사 현장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 LED 프로젝터를 설치한 직후에 출구 방향 또는 대피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써, 관리자는 LED 프로젝터(40)의 영상 투사 방향을 소망하는 방향으로 조절하고 그 위치를 3차원 방위 좌표로서 제어부(70)에 기억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70)는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3차원 방위 좌표를 바탕으로 상기 제1, 2 구동 유닛(30, 50)을 제어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 LED 프로젝터의 방향이 임의 방향으로 틀어지더라도 LED 프로젝터(40)의 영상 조사 방향은 항상 특정한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 LED 프로젝터는, 공사가 완료되지 않은 작업 현장에서 설치될 수 있고, 붕괴 등의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작업자가 탈출 방향을 알 수 있도록 대피 경로를 비추도록 함으로써 작업자는 최대한 빨리 안전한 장소로 이동할 수 있으며, 신속한 대피를 유도함으로써 인명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 LED 프로젝터는, 작업 현장에 있던 각종 자재 때문에, 붕괴되거나 부딪히는 등의 이유로 산업안전 LED 프로젝터의 설치된 방향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지만, 그렇더라도 산업안전 LED 프로젝터를 설치할 때 당시에 설정된 3차원 방위 좌표를 기억하고 있다가 대피 안내를 실시할 때는 LED 프로젝터(40)가 항상 설정된 방향을 가리키도록 하여 작업자의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 LED 프로젝터는, 평소에 일반 전원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느 상황에서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사고가 발생하면 배터리가 소진될 때까지 계속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비상 상황에서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를 조작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 LED 프로젝터는, 상기 제1, 2, 구동 유닛(30, 50)과 상기 LED 프로젝터(40)는 방염 처리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 LED 프로젝터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고온 환경이 조성되더라도 작업자가 대피하는 동안에 대피 안내 메시지를 조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 LED 프로젝터는, 방염, 보온 처리함으로써 화재 등으로 인하여 고온 환경이 조성되더라도 설정된 시간 동안에 계속 작동되도록 하는 작업자의 대피를 도울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 LED 프로젝터는, 자이로스코프 센서(7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자이로스코프 센서(72)는 상기 LED 프로젝터(40)에 배치되어 상기 LED 프로젝터(40)의 3차원 방위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 LED 프로젝터를 공사현장에 설치한 직후에, LED 프로젝터(40)가 어느 방향으로 안내 메시지를 조사하여야 하는지 설정하고 그 설정된 위치를 제어부(70)에 기억시킬 수 있다. 이후, 공사현장에 사고가 발생하여 대피 안내가 필요한 상황일 때 기억된 3차원 방위 좌표를 바탕으로 안내 메시지를 좀 더 정확한 방향을 가리켜 조사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 LED 프로젝터는, 안전 망(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 망(16)은 상기 픽셔 프레임(10)의 바깥 둘레에 설치될 수 있고, 철망 형태로 제공되어 외부 물질로부터 돌멩이나 자갈, 볼트, 못 등의 물체가 산업안전 LED 프로젝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1, 2 구동 유닛(30, 50), 상기 LED 프로젝터(40) 및 상기 제어부(70)를 좀 더 능동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 LED 프로젝터의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 LED 프로젝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단계(S1): 초기 방향 설정
초기 방향 설정은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사 현장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 LED 프로젝터를 설치한 직후에, 목표 지점(T)을 향하여 LED 프로젝터(40)의 자세를 조절하고 그 자세를 3차원 방위 좌표로 기억시킬 수 있다.
제2 단계(S2): 대기 단계
초기 방향 설정이 설정된 후에, 외부 전원으로 배터리 유닛(60)을 충전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과 충전 방지 회로의 제어로 충전이 중지될 수 있으며, 방전 등의 이유로 전압이 낮아지면 충전이 다시 시작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은 계속 반복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LED 프로젝터(40)는 비상 상황이 아닌 평상시에도 대피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고, 이로써 작업자는 대피 경로를 익힐 수 있다.
또한, 상기 LED 프로젝터(40)는 대피 방향을 알 수 있는 방향 지시 메시지 예컨대 화살표 등을 투사할 수 있고, 화살표 모양은 대피할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기 LED 프로젝터(40)는 대피 안내 메시지를 비정기적으로 꺼지고 껴지는 것이 반복될 수 있고, 이로써 작업자는 비상 상황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할 수 있다.
제3 단계(S3): 충격 감지
공사 현장이 붕괴되거나 화재가 발생하였거나,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이다.
붕괴되었거나 다른 물체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 LED 프로젝터에 충격이 가해지면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자이로스코프 센서(72)에서 검출되는 값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한 상황은 온도 센서 또는 연기 감지 센서 등으로부터 검출할 수 있다. 온도 센서 또는 연기 감지 센서 등은 알려진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외부 전원이 차단되는 상황은 비상 상황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4 단계(S4): LED 프로젝터 방향 전환
어떠한 이유로 LED 프로젝터(40)가 처음이 기억된 3차원 방위 좌표에서 오차범위를 벗어날 정도로 움직임이 감지되었다면 이는 사고 발생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화재 발생일 땐 온도 센서 또는 연기 감지 센서로부터 화재 발생여부를 알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끊기면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어느 경우이든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제어부(70)는 배터리 유닛(6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제1, 2 구동 유닛(30, 50)을 제어하여 도 5의 (b) 또는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LED 프로젝터(40)가 목표 지점(T)을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만일, 외부 충격 때문에, 픽셔 프레임(10), 제1, 2 프레임(12, 14), 스윙 프레임(20) 등이 변형되거나 제1, 2 구동 유닛(30, 50)에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곤란한 상황이 발생하여 LED 프로젝터(40)가 목표지점(T)을 가리키지 못하더라도 LED 프로젝터(4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메시지는 방향 지시 메시지 예컨대 화살표를 출력할 수 있고, 그 화살표는 목표지점(T)을 가리킬 수 있어 작업자의 대피를 도울 수 있다.
제5 단계(S5): 대피로 안내
사고가 발생하여 LED 프로젝터(40)를 초기에 기억된 3차원 방위 좌표를 참조하여 LED 프로젝터(40)가 목표 지점(T)을 향하고 아울러 대피 안내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대피 안내 메시지를 따라 이동하면서 위험한 현장을 신속하게 벗어날 수 있다.
특히, 사고가 발생한 직후에 방향 감각을 잃을 수 있는데, 대피할 방향이 어느 방향인지를 정확하게 알려줌으로써 근로자는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대피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으로, 상기 안내 메시지는 청각으로 알 수 있는 경고음이나 음성 안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음성 안내는 "대피 안내 메시지를 신속하게 대피하세요", "비상 상황 발생, 대피 바람" 등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 LED 프로젝터는 작업 현장에 설치되어 붕괴 등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근로자의 대피를 돕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10: 픽셔 프레임
12, 14: 제1, 2 프레임
20: 스윙 프레임
30, 50: 제1, 2 구동 유닛
32, 52: 제1, 2 축
40: LED 프로젝터
60: 제어부
T: 목표 지점

Claims (4)

  1. 제1 프레임(12)과 제2 프레임(14)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내부에 제1 공간이 마련되는 픽셔 프레임(10);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고 닫힌 도형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제2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픽셔 프레임(10)에서 선회할 수 있게 설치된 스윙 프레임(20);
    상기 픽셔 프레임(10) 또는 상기 스윙 프레임(20)에 설치되어 상기 픽셔 프레임(10)으로부터 상기 스윙 프레임(20)을 선회시키는 제1 구동 유닛(30);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고 작동 개시되면 대피 안내 메시지가 조사되는 LED 프로젝터(40);
    상기 스윙 프레임(20) 또는 상기 LED 프로젝터(40)에 설치되어 상기 스윙 프레임(20)으로부터 상기 LED 프로젝터(40)를 선회시키는 제2 구동 유닛(50);
    상기 픽셔 프레임(10)에 설치되고 평상시에 외부 전원으로 충전되며, 상기 제1, 2 구동 유닛(30, 50)과 상기 LED 프로젝터(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배터리 유닛(60); 및
    상기 픽셔 프레임(10)에 설치되고 상기 LED 프로젝터(40)가 탈출 방향을 향하도록 3차원 방위 좌표가 입력되고, 상기 3차원 방위 좌표를 바탕으로 상기 제1, 2 구동 유닛(30, 50)을 제어하는 제어부(70);
    를 포함하는 산업안전 LED 프로젝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구동 유닛(30, 50)과 상기 LED 프로젝터(40)는 방염 처리 된 것;
    을 포함하는 산업안전 LED 프로젝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프로젝터(40)에 배치되어 상기 LED 프로젝터(40)의 3차원 방위 데이터를 검출하도록 하는 자이로스코프 센서(72);
    를 포함하는 산업안전 LED 프로젝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셔 프레임(10)의 바깥 둘레에 설치되고, 철망 형태로 제공되어 외부 물질로부터 상기 제1, 2 구동 유닛(30, 50), 상기 LED 프로젝터(40) 및 상기 제어부(70)를 보호하도록 하는 안전 망(16);
    을 포함하는 산업안전 LED 프로젝터.
KR1020190067660A 2019-06-10 2019-06-10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 KR102143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660A KR102143296B1 (ko) 2019-06-10 2019-06-10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660A KR102143296B1 (ko) 2019-06-10 2019-06-10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296B1 true KR102143296B1 (ko) 2020-08-10

Family

ID=72049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660A KR102143296B1 (ko) 2019-06-10 2019-06-10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296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439Y1 (ko) 2003-08-12 2003-11-15 이덕재 다 적층 투과성 판넬
KR20050092355A (ko) 2005-08-30 2005-09-21 유영동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 비상시 방향표시 장치
KR200416706Y1 (ko) 2006-03-10 2006-05-19 이상엽 비상로 안내를 위한 휴대형 유도 시스템
KR20120076494A (ko) 2010-11-26 2012-07-09 주식회사 휴텍이일 광산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30044963A (ko) * 2011-10-25 2013-05-0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프로젝터를 이용한 길안내 방법 및 길안내 장치
JP2013138347A (ja) * 2011-12-28 2013-07-11 Panasonic Corp 監視装置
KR101674444B1 (ko) * 2016-07-15 2016-11-22 (주)대성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 소방 피난 유도장치
KR101950333B1 (ko) 2016-11-11 2019-02-20 임성철 비상 조명등
KR101961928B1 (ko) 2017-09-18 2019-03-25 에이치앤(주) 작업장 센서장비와 연계된 하천 주변의 보도공사 안전관리 시스템
KR101963896B1 (ko) 2017-12-15 2019-04-02 김성태 시선 유도등
KR101968755B1 (ko) 2017-04-19 2019-04-15 (주)에스알디코리아 터널 대피통로 스마트게이트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439Y1 (ko) 2003-08-12 2003-11-15 이덕재 다 적층 투과성 판넬
KR20050092355A (ko) 2005-08-30 2005-09-21 유영동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 비상시 방향표시 장치
KR200416706Y1 (ko) 2006-03-10 2006-05-19 이상엽 비상로 안내를 위한 휴대형 유도 시스템
KR20120076494A (ko) 2010-11-26 2012-07-09 주식회사 휴텍이일 광산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30044963A (ko) * 2011-10-25 2013-05-0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프로젝터를 이용한 길안내 방법 및 길안내 장치
JP2013138347A (ja) * 2011-12-28 2013-07-11 Panasonic Corp 監視装置
KR101674444B1 (ko) * 2016-07-15 2016-11-22 (주)대성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 소방 피난 유도장치
KR101950333B1 (ko) 2016-11-11 2019-02-20 임성철 비상 조명등
KR101968755B1 (ko) 2017-04-19 2019-04-15 (주)에스알디코리아 터널 대피통로 스마트게이트
KR101961928B1 (ko) 2017-09-18 2019-03-25 에이치앤(주) 작업장 센서장비와 연계된 하천 주변의 보도공사 안전관리 시스템
KR101963896B1 (ko) 2017-12-15 2019-04-02 김성태 시선 유도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7925B2 (ja) 乗客待避方向案内システム
KR102050028B1 (ko)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KR101629906B1 (ko) 지진감지 기능을 구비한 전력차단 시스템이 내장된 배전반 및 그 구동방법
KR20160001177A (ko) 원자력 시설 해체 작업자 훈련 장치 및 그 방법
KR102002068B1 (ko) 피난 가이드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피난 가이드 시스템
KR101841761B1 (ko)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용 화재감지 및 대피유도 시스템
KR101950333B1 (ko) 비상 조명등
KR102287671B1 (ko) 터널을 위한 재난 재해 연계형 자동 제어 시스템
KR102143296B1 (ko) 산업 안전 led 프로젝터
JP6243046B2 (ja) 誘導灯
JP2009142941A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CN111325940B (zh) 一种基于模糊理论的变电站消防智能联动方法及系统
KR20120072838A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WO2019013079A1 (ja) 消火設備
KR20100023593A (ko) 동적방향을 지시하는 유도등 제어시스템
US20190041373A1 (en) Moving device for contamination detection, contamination detecting system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18128846A (ja) 作業現場用警報装置
KR20180072321A (ko) 방화 셔터 동작 제어 시스템
KR20200045236A (ko) 가스를 검출하는 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방법, 시스템
KR20180049498A (ko)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대피안내기능을 가지는 방독면
CN109754550B (zh) 消防疏散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2435640B1 (ko) 고소작업용 로봇 및 이를 이용한 동작방법
JP2005272036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2210771B1 (ko) 화재 진화용 비행 로봇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 화재 진화 시스템
KR20230077419A (ko) 정보단말기를 이용한 대피경로 안내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