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9069A - 난간형 스크린도어 - Google Patents

난간형 스크린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9069A
KR20130049069A KR1020110114106A KR20110114106A KR20130049069A KR 20130049069 A KR20130049069 A KR 20130049069A KR 1020110114106 A KR1020110114106 A KR 1020110114106A KR 20110114106 A KR20110114106 A KR 20110114106A KR 20130049069 A KR20130049069 A KR 20130049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xed
slider
rail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판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Priority to KR1020110114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9069A/ko
Publication of KR20130049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78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balls or floating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82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sliding b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05Y2201/692Rollers having vertical ax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8Sli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11/023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 E06B11/026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horizont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간형 스크린도어에 관한 것으로, 전동차가 정차하는 플랫폼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고정도어; 상기 고정도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도어와 중첩된 상태로 상기 고정도어의 일측으로 출몰하면서 상기 고정도어의 일측을 개폐하는 가동도어; 상기 가동도어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가동도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견인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도어와 함께 이동하는 가이드레일이 제1레일 및 제2레일의 이중형태로 형성되어 슬라이더에 의해 제각기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고정도어의 측방으로 진출된 가동도어의 처짐이 방지됨은 물론 가동도어의 직진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가이드레일이 가동도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가동도어의 이동을 허용함에 따라 가동도어의 열림폭이 확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난간형 스크린도어{GUARDRAIL TYPE SCREEN DOOR}
본 발명은 난간형 스크린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차가 정차하는 플랫폼에 설치되어 전동차를 차폐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는 난간형 스크린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린도어는 지하철이나 경전철과 같은 전동차가 정차하는 플랫폼에 선로와 격리되는 고정문과 가동문을 설치해 전동차의 출입문과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승강장 안전 지원장치로서, 전동차가 승강장 홈에 완전히 멈추어 서면 전동차 출입문과 함께 개폐됨으로써 승객의 안전 확보와 함께 전동차로 인한 소음, 먼지, 강풍 등을 차단하고 승객이 고의나 실수로 선로에 빠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크린도어는 선로부와 승강장을 스크린(고정벽)으로 완전히 격리하는 완전밀폐형, 스크린(고정벽) 및 가동문 위쪽에 개구부를 배치하는 반밀폐형, 차량의 출입문 위치에 맞추어 가동문만을 설치하는 난간형 등의 3종류로 나뉜다.
본 발명은 난간형 스크린도어에 관한 것으로써 선행기술의 난간형 스크린도어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29411호에 개시된 난간형 PSD가 있다.
종래의 난간형 PSD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2)을 갖는 프레임(10)과, 이동가이드(22)를 통해 레일(12)을 따라 이동하여 프레임(10)에 수납되면서 개폐되는 난간형 스크린도어(20) 및 난간형 스크린도어(2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3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종래기술의 난간형 PSD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형 스크린도어(20)가 구동부(30)에 의해 이동하면서 레일(12) 및 이동가이드(22)를 구성하는 LM가이드블록(121) 및 LM가이드(221)를 통해 프레임(10)의 측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종래의 난간형 스크린도어(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M가이드블록(121) 및 LM가이드(221)에 의해 프레임(10)의 측방으로 진출한 경우, 프레임(10)의 측방으로 진출된 부분이 자중에 의한 회전모멘트가 발생하여 하방으로 처짐에 따라 원활한 슬라이딩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난간형 스크린도어(20)는 프레임(10)의 측방으로 진출할 수 있는 이동거리가 한정되므로 열림폭이 좁게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면의 미설명 부호 21은 스크린, 24는 수동개폐버튼, 31은 모터, 32a 및 32b는 구동롤러, 34는 아이들롤러, 36은 타이밍벨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고정도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가동도어와 함께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레일을 이중형태로 구성하여 고정도어의 지지력을 강화시킴으로써 가동도어의 진출부위가 하방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동도어의 열림폭을 확장시킬 수 있는 난간형 스크린도어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난간형 스크린도어는, 전동차가 정차하는 플랫폼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고정도어; 상기 고정도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도어와 중첩된 상태로 상기 고정도어의 일측으로 출몰하면서 상기 고정도어의 일측을 개폐하는 가동도어; 상기 가동도어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가동도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견인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예컨대,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상기 가동도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동도어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상기 가동도어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동도어와 함께 이동하는 제1레일을 가지며, 상기 제1레일의 일측에 동일체로 마련되어 또 다른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상기 고정도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레일로 구성되어 이중형태를 이루는 레일본체; 및 상기 레일본체의 상기 제1레일 및 상기 제2레일에 일체적으로 제각기 마련되어 상기 레일본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에 걸리며,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견인되어 상기 레일본체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레일본체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형 스크린도어에 의하면, 가동도어와 함께 이동하는 가이드레일이 제1레일 및 제2레일의 이중형태로 형성되어 슬라이더에 의해 제각기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고정도어의 측방으로 진출된 가동도어의 처짐이 방지됨은 물론 가동도어의 직진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가이드레일이 가동도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가동도어의 이동을 허용함에 따라 가동도어의 열림폭이 확장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난간형 스크린도어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간형 스크린도어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형 스크린도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난간형 스크린도어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난간형 스크린도어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가이드레일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간형 스크린도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도어(10), 가동도어(2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30) 및 슬라이더(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고정도어(10)는 전동차가 주행하는 선로와 경계를 이루는 플랫폼의 단부에 고정되는 구성요소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차의 출입구가 정차되는 위치의 양측에 설치되며, 후술되는 가동도어(20)가 결합되어 측방으로 출몰한다.
이러한 고정도어(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베이스판(11)에 수직상태로 설치되는 캐비닛(13)으로 구성되며, 캐비닛(13)의 커버(13a)를 통해 후술되는 가동도어(2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70) 및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패널이 내장된다.
가동도어(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도어(10)에 중첩된 상태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가이드레일(30)에 의해 고정도어(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도어(10)의 측방으로 출몰하면서 고정도어(10)의 일측을 개폐한다.
이러한 가동도어(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창이 설치되는 도어프레임(21) 및 도어프레임(21)의 하부에 마련되고, 후술되는 가이드레일(30)이 차폐상태로 내장되는 수납실(25)을 구성하는 커버(23)로 구성된다.
가동도어(20)는 고정도어(10)와 함께 하나의 모듈을 이뤄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가동도어(20)와 함께 플랫폼을 개폐가능하게 차폐하며, 전동차 출입구의 개방에 따라 고정도어(10)에 중첩상태로 슬라이드되면서 개방된다.
한편, 고정도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도어(20)의 타측에 비상문(ED)이 마련된다.
비상문(ED)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도어(10)에 록킹된 상태로 고정도어(10)와 함께 플랫폼을 차폐하며, 전동차 내의 비상상황시 수동레버(LV)에 의해 언록킹되면서 개방된다. 이러한 비상문(20)의 구성 및 작동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가이드레일(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도어(20)의 하단을 따라 전술한 수납실(25)에 배치되고, 고정도어(2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가동도어(20)와 함께 슬라이드되면서 가동도어(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가이드레일(30)은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도어(20)의 커버(23)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고정도어(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본체(30a) 및 스토퍼(3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레일본체(30a)는 도 5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형태를 이루는 제1레일(33) 및 제2레일(31)을 가지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일(33)에 후술되는 슬라이더(40)가 삽입됨에 따라 가동도어(2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가동도어(20)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가동도어(20)와 함께 이동하고, 제2레일(31)이 또 다른 슬라이더(40)가 삽입됨에 따라 고정도어(2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가동도어(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40)는 후술되는 가동슬라이더(43)이고, 상기 또 다른 슬라이더(40)는 후술되는 고정슬라이더(41)이다.
이러한 레일본체(30a)는 제1레일(33) 및 제2레일(31)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에 절곡단(32a)(32b)을 갖는 앵글형태로 형성되면서 동일한 형태를 이루는 이중형태로 형성되며, 후술되는 슬라이더(40)를 구성하는 가동슬라이더(43) 및 또 다른 슬라이더(40)를 구성하는 고정슬라이더(41)가 제각기 삽입된다.
즉, 레일본체(30a)는 도 5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면(31a) 및 수평면(31b)을 갖는 앵글형태로 형성되면서 양단부에 절곡단(32a)(32b)이 마련됨에 따라 각각의 절곡단(32a)(32b)이 수직면(31a) 및 수평면(31b)에 제각기 대향하는 형태의 제1레일(33) 및 제2레일(33)을 형성하면서 이중형태로 구성된다.
스토퍼(3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본체(30a)를 구성하는 제1레일(33) 및 제2레일(31)의 양단부에 제각기 결합되어 후술되는 가동슬라이더(43) 및 고정슬라이더(41)에 걸리면서 레일본체(30a)를 견인하거나 레일본체(30a)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부재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슬라이더(40)는 가이드레일(30)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견인하는 구성요소로써,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슬라이더(43) 및 고정슬라이더(41)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가동슬라이더(4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도어(20)를 구성하는 커버(23)에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레일본체(30a)의 제1레일(33)에 삽입되어 가동도어(20)와 함께 제1레일(33)을 따라 이동한다.
이러한 가동슬라이더(4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며, 제1레일(33)의 단부와 이격거리(L)를 가짐으로써, 도 7에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거리(L)만큼 제1레일(43)을 따라 이동하여 스토퍼(35)에 걸리면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본체(30a)를 견인한다.
즉, 레일본체(30a)는 가동슬라이더(43)와의 이격거리(L)를 통해 가동도어(20)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가동슬라이더(43)의 견인에 따라 가동도어(20)와 함께 이동한다. 따라서, 가동도어(20)는 이격거리(L)만큼 열림폭이 확장될 수 있다.
고정슬라이더(4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도어(10)에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레일본체(30a)의 제2레일(31)에 삽입되어 제2레일(31)의 내측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러한 고정슬라이더(4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고정도어(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도어(20)와 함께 이동하는 레일본체(30a)의 제2레일(31)을 슬라이딩시키면서 스토퍼(35)가 걸림으로써 레일본체(30a)의 이동을 억제한다.
즉, 레일본체(30a)는 제2레일(31)의 양단부에 마련된 스토퍼(35)가 고정슬라이더(41)에 걸리면서 이동거리가 제한된다.
여기서, 고정슬라이더(41) 및 가동슬라이더(43)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30)을 구성하는 레일본체(30a)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롤러(41a)에 의해 제1레일(33) 및 제2레일(31)의 내측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유닛으로 구성할 수 있다.
롤러유닛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형태의 본체(41b)에 롤러(41a)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롤러(41a)의 회전을 통해 제1레일(33) 및 제2레일(31)의 내측면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즉, 고정슬라이더(41)를 구성하는 롤러유닛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41a)가 제2레일(31)에 삽입된 상태로 본체(41b)가 고정도어(10)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며, 가동슬라이더(43)를 구성하는 롤러유닛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41a)가 제1레일(33)에 삽입된 상태로 본체(41b)가 가동도어(20)의 커버(23)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여기서, 롤러유닛(41)을 구성하는 롤러(41a)는 캠 팔로우 베어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캠 팔로우 베어링(Cam Follower Bearing)은 캠판이나 직선운동의 가이드롤러로 사용되는 콤팩트 강성이 높은 베어링으로써, 내부에 니들 베어링이 조립되어 있고, 외륜이 직접 상대면과 접촉하면서 회전 운동을 하기 때문에 두껍게 되어 있어서 충격 하중에도 견딜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 외륜 내부에는 정밀 케이지 부착형 니들 롤러가 조립되어 있으므로 스큐를 방지하고 우수한 회전 성능이 얻어지며 고속 회전에도 충분히 견딜수가 있다.
또한, 롤러(41a)는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외주면에 고무고팅층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음이 감소된다.
여기서, 롤러유닛은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본체(41b)에 롤러(41a)가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롤러(41b)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제1레일(33) 및 제2레일(31)의 내측면을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지지할 수도 있다.
이때, 롤러유닛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의 롤러(41a)를 통해 제1레일(33) 및 제2레일(31)의 수평면(31b)을 절곡단(32b)과 함께 지지함으로써 레일본체(30a)가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수평방향의 롤러(41a)를 통해 제1레일(33) 및 제2레일(31)의 수직면(31a)을 절곡단(32a)과 함께 지지함으로써 레일본체(30a)가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가동도어(20)는 롤러(41a)의 회전을 통해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면서 상하 및 좌우유동이 방지되므로 고정도어(10)의 측방으로 진출시 하방으로 처짐이 방지됨은 물론 직진성이 향상되어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더욱이, 제1레일(33) 및 제2레일(31)은 이중으로 적층되어 롤러유닛에 의해 제각기 지지되므로, 가동도어(20)의 처짐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가동도어(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구동부(70)의 구동력에 의해 고정도어(10)의 측방으로 슬라이딩된다. 구동부(70)는 전동차의 출입문이 개폐됨에 따라 구동모터(71)를 구동하여 가동도어(20)를 고정도어(10)의 측방으로 이동시키면서 고정도어(10)의 일측을 개폐한다.
이러한 구동부(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도어(10)에 내장되는 구동모터(71) 및 양단부가 가동도어(20)에 고정된 타이밍벨트(73)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71)에 의해 회전하는 스프로킷(75)이 타이밍벨트(73)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가동도어(20)를 이동시킨다.
즉, 구동부(70)는 스프로킷(75)의 회전운동을 통해 타이밍벨트(73)를 직선운동시키면서 가동도어(20)를 고정도어(10)의 측방으로 출몰시킨다.
여기서, 구동부(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벨트(73)에 의해 공회전하면서 타이밍벨트(73)를 가압하는 아이들롤러(77)가 마련되어 타이밍벨트(73)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아이들롤러(77)는 타이밍벨트(73)의 일측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면서 타이밍벨트(73)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타이밍벨트(73)의 장력을 조절한다.
또한, 구동부(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71)의 구동력을 해제하여 가동도어(20)를 수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수동개폐기(70a)가 마련된다. 이러한 수동개폐기(70a)의 구성 및 작동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난간형 스크린도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도어(20)의 상단을 고정도어(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전술한 슬라이더(40)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상단슬라이더(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단슬라이더(50)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레일(51), 상단롤러유닛(53), 행거브래킷(55) 및 체결볼트(57)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단레일(5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도어(20)의 상단에 일제적으로 고정되어 가동도어(20)와 함께 이동하며, 'ㄷ'형태의 찬넬형태로 형성되면서 일단부에 절곡단(51a)을 갖는다.
상단롤러유닛(5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레일(51)에 삽입된 상태로 후술되는 행거브래킷(55)에 의해 고정도어(10)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단레일(51)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상단롤러(53a)가 마련되어 가동도어(20)의 상단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행거브래킷(5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롤러유닛(53)이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체결볼트(57)에 의해 고정도어(10)에 체결되면서 상단롤러유닛(53)을 고정도어(10)에 고정한다.
즉, 가동도어(20)는 행거브래킷(55)에 고정된 상단롤러유닛(53)의 상단롤러(53a)에 의해 상단레일(5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됨에 따라 고정도어(10)의 상단에 현수된 상태로 결합되어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가동도어(20)는 전술한 슬라이더(40)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단슬라이더(5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이동하므로 유동 없이 슬라이드될 수 있으며, 특히 고정도어(10)의 측방으로 진출된 경우 하방으로 처짐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단롤러유닛(5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형태의 본체(53b)에 복수의 상단롤러(53a)가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53b)가 행거브래킷(55)에 볼팅으로 고정되며, 상단롤러(53a)들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단레일(5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상태로 설치되어 직교상태의 상단롤러(53a)들이 경사를 갖는다.
따라서, 상단롤러(53a)는 상단레일(51)을 경사상태로 지지함으로써 가동도어(20)의 상하 및 좌우유동을 방지한다.
다른 한편, 상단슬라이더(50)는 행거브래킷(55)의 수평을 조절하는 어저스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어저스터는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도어(10)의 상단 양측에 제각기 마련되어 체결볼트(57)가 관통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형태로 형성되어 체결볼트(57)의 높이를 조절하는 장공슬롯(59)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가동도어(20)는 장공슬롯(59)을 통한 행거브래킷(55)의 수평조절을 통해 수평을 미세하게 보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난간형 스크린도어의 작동을 설명한다.
가동도어(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도어(10)의 측방으로 진출되어 고정도어(10) 및 비상도어(ED)와 함께 플랫폼을 차폐한다.
이때, 가동도어(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형태의 제1레일(33) 및 제2레일(31)로 구성된 레일본체(30a)가 슬라이더(40)를 구성하는 고정슬라이더(41)에 의해 제각기 지지되므로 고정도어(10)의 측방으로 진출된 부분이 하방으로 처지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가동도어(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롤러(41a)가 제2레일(31)의 수평면(31b) 및 절곡단(32b)을 지지함에 따라 수직방향의 유동이 방지되어 하방으로 처지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가동도어(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고정된 상단레일(51)이 상단롤러유닛(53) 및 행거브래킷(55)에 의해 고정도어(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됨에 따라 고정도어(10)의 측방으로 진출된 부분이 더욱 하방으로 처지지 않고 수평이 유지된다.
또한, 가동도어(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슬라이더(43)가 제1레일(33)과 이격거리(L)를 가짐에 따라 가동슬라이더(43)가 제1레일(33)을 따라 이격거리(L)만큼 이동함으로써 진출폭이 확장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70)는 플랫폼에 정차된 전동차 출입문이 개폐됨에 따라 가동도어(20)를 고정도어(10)에 중첩상태로 슬라이딩시켜서 고정도어(10)의 일측을 개방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70)는 구동모터(71)의 구동을 통해 스프로킷(75)을 회전시켜서 타이밍벨트(73)를 이동시킴으로써 가동도어(20)를 개방시킨다.
이때, 가동슬라이더(43)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도어(20)와 함께 제1레일(33)을 따라 전술한 이격거리(L)를 이동한 후, 스토퍼(35)에 걸림을 통해 레일본체(30a)를 견인하면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레일본체(30a)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레일(31)이 고정도어(10)에 고정된 고정슬라이더(41)에 의해 슬라이딩되면서 이동하여 가동도어(20)를 개방시킨다.
이때, 고정슬라이더(4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롤러유닛의 롤러(41a)가 제2레일(31)의 수직면(31a) 및 절곡단(32a)을 지지하면서 슬라이딩시킴에 따라 좌우로 유동됨이 없이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면서 개방되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레일(31)에 마련된 스토퍼(35)가 걸림에 따라 가동더어(20)의 개방을 완료시킨다.
이상과 같이 따른 난간형 스크린도어에 의하면, 가동도어(20)와 함께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레일(30)이 제1레일(33) 및 제2레일(31)의 이중형태로 구성되어 내측면이 가동슬라이더(43) 및 고정슬라이더(41)에 의해 제각기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고정도어(10)의 측방으로 진출된 가동도어(20)의 처짐이 방지됨은 몰론 가동도어(20)의 직진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제1레일(33)이 이격거리(L)만큼 가동슬라이더(43)의 이동을 허용하므로 가동도어(20)의 열림폭이 확장될 수 있다.
또, 고정슬라이더(41) 및 가동슬라이더(43)가 가이드레일(30)에 제각기 결합되는 롤러유닛으로 구성되어 롤러(41a)의 회전을 통해 가이드레일(3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므로 가동도어(20)가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더욱이, 롤러(41a)가 가이드레일(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므로 롤러유닛(41)의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롤러(41a)가 복수로 배치되면서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가이드레일(30)의 내측면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면서 슬라이딩시키므로, 가동도어(20)의 상하 및 좌우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가동도어(20)의 상단이 상단슬라이더(50)에 의해 고정도어(10)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슬라이더(40)의 지지력이 보강되므로 가동도어(20)의 처짐이나 유동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덧붙여, 상단슬라이더(50)를 구성하는 행거브래킷(55)의 수평을 장공슬롯(59)으로 구성된 어저스터를 통해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가동도어(20)의 수평을 미세하게 보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 고정도어 20 : 가동도어
30 : 가이드레일 30a : 레일본체
31 : 제2레일 33 : 제1레일
31a : 수직면 31b : 수평면
32a,32b : 절곡단 40 : 슬라이더
41 : 고정슬라이더 43 : 가동슬라이더
41a : 롤러 41b : 유닛본체
50 : 상단슬라이더 51 : 상단레일
53 : 상단롤러유닛 53a : 상단롤러
55 : 행거브래킷 57 : 체결볼트
59 : 장공슬롯

Claims (9)

  1. 전동차가 정차하는 플랫폼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고정도어;
    상기 고정도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도어와 중첩된 상태로 상기 고정도어의 일측으로 출몰하면서 상기 고정도어의 일측을 개폐하는 가동도어;
    상기 가동도어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가동도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견인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난간형 스크린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상기 가동도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동도어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상기 가동도어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동도어와 함께 이동하는 제1레일을 가지며, 상기 제1레일의 일측에 동일체로 마련되어 또 다른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상기 고정도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레일로 구성되어 이중형태를 이루는 레일본체; 및
    상기 레일본체의 상기 제1레일 및 상기 제2레일에 일체적으로 제각기 마련되어 상기 레일본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에 걸리면서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견인되어 상기 레일본체를 이동시키며, 또 다른 상기 슬라이더에 걸리면서 상기 레일본체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난간형 스크린도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 및 상기 제2레일은,
    양단부에 절곡단을 갖는 앵글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 및 또 다른 상기 슬라이더가 제각기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형 스크린도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동도어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가동도어와 함께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일부분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걸리면서 상기 가이드레일을 견인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슬라이더; 및
    상기 고정도어에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가동슬라이더의 견인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슬라이더;를 포함하는 난간형 스크린도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슬라이더 및 상기 고정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측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가 마련된 롤러유닛;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형 스크린도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되면서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형 스크린도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도어의 상단을 상기 고정도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면서 상기 슬라이더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상단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는 난간형 스크린도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슬라이더는,
    상기 가동도어의 상단을 따라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가동도어와 함께 이동하며, 일단부에 절곡단을 갖는 찬넬형태의 상단레일;
    상기 상단레일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도어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상단레일의 내측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상단레일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단롤러가 마련된 상단롤러유닛;
    상기 상단롤러유닛이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행거브래킷; 및
    상기 고정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행거브래킷에 체결되면서 상기 행거브래킷을 상기 고정도어에 탈착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난간형 스크린도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롤러유닛은,
    상기 상단롤러가 상기 상단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되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형 스크린도어.
KR1020110114106A 2011-11-03 2011-11-03 난간형 스크린도어 KR201300490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106A KR20130049069A (ko) 2011-11-03 2011-11-03 난간형 스크린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106A KR20130049069A (ko) 2011-11-03 2011-11-03 난간형 스크린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069A true KR20130049069A (ko) 2013-05-13

Family

ID=48659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106A KR20130049069A (ko) 2011-11-03 2011-11-03 난간형 스크린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906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3174A (zh) * 2014-08-06 2014-11-26 北京市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站台全封闭轨道外露式高架车站
FR3039581A1 (fr) * 2015-07-31 2017-02-03 Faiveley Transp Tours Systeme de guidage et de support d'un vantail de porte paliere de quai
FR3074127A1 (fr) * 2017-11-28 2019-05-31 Faiveley Transport Tours Module de porte paliere avec un systeme de guidage haut
CN115434613A (zh) * 2022-08-23 2022-12-06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电子计算技术研究所 平移式站台门系统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3174A (zh) * 2014-08-06 2014-11-26 北京市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站台全封闭轨道外露式高架车站
FR3039581A1 (fr) * 2015-07-31 2017-02-03 Faiveley Transp Tours Systeme de guidage et de support d'un vantail de porte paliere de quai
WO2017021643A1 (fr) * 2015-07-31 2017-02-09 Faiveley Transport Tours Système de guidage et de support d'un vantail de porte palière de quai
CN107849883A (zh) * 2015-07-31 2018-03-27 法维莱运输图尔公司 用于引导和支撑站台屏蔽门的门扇的系统
CN107849883B (zh) * 2015-07-31 2020-03-24 法维莱运输图尔公司 用于引导和支撑站台屏蔽门的门扇的系统
AU2016302023B2 (en) * 2015-07-31 2021-09-16 Faiveley Transport Tours System for guiding and supporting a leaf of a platform-access door
FR3074127A1 (fr) * 2017-11-28 2019-05-31 Faiveley Transport Tours Module de porte paliere avec un systeme de guidage haut
WO2019106244A1 (fr) * 2017-11-28 2019-06-06 Faiveley Transport Tours Module de porte paliere avec un systeme de guidage haut
CN115434613A (zh) * 2022-08-23 2022-12-06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电子计算技术研究所 平移式站台门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4680B1 (ko) 스크린도어 장치
EP2500225A1 (en) Automatic platform gate
CA2645341A1 (en) Platform screen door system
KR20130049069A (ko) 난간형 스크린도어
JP3942346B2 (ja) 扉装置
JP2010260397A (ja) ホームドア装置
JP4397219B2 (ja) 異種車両対応フレキシブル可動柵
KR20170083322A (ko)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
JP2659488B2 (ja) 引戸装置
JP5851176B2 (ja) プラットホーム用可動柵装置
KR100656844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의 가이드 장치
CN113799802B (zh) 一种大开度轨道交通站台门
JP4727716B2 (ja) ホームドア装置
RU2424175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вери лифта
JP2000108889A (ja) プラットホーム用開閉柵
KR101220502B1 (ko) 승장 도어 잠금 장치
US10538914B2 (en) Glass panel arrangement and a guide track for supporting a glass panel
JP2010173517A (ja) プラットホーム用ドア装置の扉体
KR20210008721A (ko) 스크린도어 가이드 장치
JP2017087907A (ja) ホームドア装置
KR101851251B1 (ko) 자동문의 안내 레일장치
JP2014210555A (ja) 可動ステップ装置
KR102642415B1 (ko) 양방향 슬라이딩 방식의 비상도어
US11873193B1 (en) Elevator door systems with minimum running clearance
KR102145847B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가이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