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6011A -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6011A
KR20180116011A KR1020170048658A KR20170048658A KR20180116011A KR 20180116011 A KR20180116011 A KR 20180116011A KR 1020170048658 A KR1020170048658 A KR 1020170048658A KR 20170048658 A KR20170048658 A KR 20170048658A KR 20180116011 A KR20180116011 A KR 20180116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llpaper
reinforcing film
pressure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환
Original Assignee
김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환 filed Critical 김철환
Priority to KR1020170048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6011A/ko
Publication of KR20180116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0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21H19/1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 D21H19/2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9/32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5/00After-treatment of paper not provided for in groups D21H17/00 - D21H23/00
    • D21H25/04Physical treatment, e.g. heating, irradiating
    • D21H25/06Physical treatment, e.g. heating, irradiating of impregnated or coated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2Patterned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2Multi-ply with materials applied between the sheets
    • D21H27/34Continuous materials, e.g. filaments, sheets, nets
    • D21H27/36Films made from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벽지에 의하여, 벽지의 인장강도가 강화되고, 사용자가 이형지를 제거 후 벽면에 반복적으로 탈.부착을 하여도 벽지가 찢어지거나 주름이 잡히는 현상이 미발생되며,
벽지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고, 재 시공이 가능하며,
벽지의 인쇄무늬가 장기간 선명하게 외부로 표출되는 동시에, 은폐력이 향상되고, 제조가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된; 구성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Manufacture method of reinforcement wallpaper use for improve of tensile strength and easy of detachable, and reinforcement wallpaper thereof}
본 발명은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인쇄무늬가 포함된 기재층의 외부에,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ETHYLLENE VINYL ACETATE COPOLYMER) 수지가 코팅된 보호코팅층과, 보호코팅층의 외부에 실리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 도포된 점착제층과, 점착제층의 외부에 이형지가 부착되거나:
인쇄무늬가 포함된 기재층의 외부에,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Oriented 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lephtha
late),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Casting polypropylene) 수지 재질의 강화필름층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접착층으로 접착되고, 강화필름층의 외부에 실리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 도포 된 점착제층과, 점착제층의 외부에 이형지가 부착된: 구성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벽지에 의하여 벽지의 인장강도가 강화되고, 사용자가 이형지를 제거 후 벽면에 반복적으로 탈.부착을 하여도 벽지가 찢어지거나 주름이 잡히는 현상이 미발생되며,
벽지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재 시공이 가능하고,
벽지의 은폐력이 향상되며, 제조가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된; 구성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에 관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대하여 설명키로 하며,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60086호(2003, 07. 12. 공개) "착탈이 용이한 인테리어 벽지" 및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1463호(2011. 11. 02. 등록) "3분할 이형지가 부착된 점착식 벽지"에 기재 되어 있으며, 이를 인용하여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을 기술 및, 종래 기술의 추가 문제점을 기술 하였다.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의 PVC 실크벽지 및 합지 벽지와 같은 벽지는 녹말풀이나 수지성 접착제를 벽지에 바른 후 실내의 초배지 위에 부착하는 습식방식으로 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벽지의 시공은 전문인력에 의하여 수행되어야 하며, 또한 상당한 공간과 시간이 요구된다.
또 다른 벽지로서, PVC 수지층 하부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제조되는 인테리어 필름은 점착방식으로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기재가 없기 때문에 내열성 저하로 엠보싱이 어려워서 표면에 입체감을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고, 목공, 퍼티(putty), 프라이머(primer), 샌딩(sanding) 등과 같은 사전작업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영구적인 점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인테리어 필름의 교체가 어려우며,
전문 시공업자에 의한 시공이 필요하기 때문에 소비자가 직접 유행하는 패턴의 벽지로 자기만의 공간을 표현하는데 많은 한계가 있으며;
벽지의 인장강도가 저하되고, 사용자가 이형지를 제거 후 벽면에 반복적으로 탈.부착시 벽지가 찢어지거나 주름이 잡히는 현상이 발생되며;
벽지의 탈,부착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저하되고 시공비가상승되는 동시에 재 시공이 불가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에 도시한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60086호 '착탈이 용이한 인테리어 벽지'는;
'표면벽지의 이면에 접착제층(4)을 구성하고 보호용 박리지인 보호대지(5)를 접속케한 인테리어 벽지(1)에 있어서, 표면벽지(2)와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층(4)을, 박리용 보호대지(5)로 접속케한 사이에 폴리에스탈 코팅층(3)을 구성하여, 벽지를 부착과 탈리가 용이 하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 착탈이 용이한 인테리어 벽지'에 관한 것으로,
표면벽지의 이면에 접착제층이 마련된 통상의 벽지가 재부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표면벽지와 접착제층 사이에 폴리에스탈 코팅층을 삽입시킴으로써 표면벽지를 보강함에 의해 보호하여 벽지의 탈착시에 표면벽지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인테리어 벽지로 구성되어:
벽면에 벽지가 용이하게 착탈되는 효과는 일부 있으나, 표면벽지와 접착제층 사이에 폴리에스탈 코팅층을 코팅시에 서로 다른 이형재질의 표면벽지와 접착제층과 폴리에스탈 코팅층으로 구성 됨에 의한 벽지의 제조가 곤란하여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표면벽지 후면에 접착제층으로 접착된 폴리에스탈 코팅층으로만 구성 됨에 의한 벽지의 인장강도가 저하되며, 표면벽지 후면에 접착된 접착제층의 접합력 저하 및 서로 다른 이형 재질의 접착제층과 폴리에스탈 코팅층에 의하여 폴리에스탈 코팅층이 외부로 이탈 됨에 의하여 사용이 곤란한 문제점과,
인장강도 저하와 폴리에스탈 코팅층이 이탈 됨에 의하여 사용자가 이형지를 제거 후 벽면에 반복적으로 탈.부착시 벽지가 일부 찢어지거나 주름이 잡히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과, 표면벽지와 접착제층, 폴리에스탈 코팅층으로 구성됨에 의하여 표면벽지의 이면 바탕색이 외부로 표출되어 벽지의 은폐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1463호 "3분할 이형지가 부착된 점착식 벽지"는;
'이형지와 점착제가 도포된 벽지에 있어서 이형지를 세로로 3분할하여 중앙의 이형지를 중심으로 양 사이드의 이형지의 폭이 동일하게 형성된 구성의, 3분할 이형지가 부착된 점착식 벽지'에 관한 것으로,
3분할 이형지가 부착된 점착식 벽지를 사용함으로써 풀 등 다른 부자재 없이 용이하게 벽지를 바를 수 있는, 3분할 이형지가 부착된 점착식 벽지로 구성되어:
이 또한, 벽면에 벽지가 용이하게 착탈되는 효과는 일부 있으나, 이형지와 점착제가 도포된 벽지로만 구성 됨에 의한 벽지의 인장강도가 더욱 저하되고, 벽지의 이면이 외부로 표출되어 벽지의 은폐력이 저하되며,
사용자가 이형지를 제거 후 벽면에 반복적으로 탈.부착시 벽지가 찢어지거나 주름이 잡히는 현상이 발생되며;
벽지의 탈,부착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저하되고, 시공비가 상승되는 동시에 재 시공이 불가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벽지의 탈부착이 용이한 동시에 인장강도가 강화되며, 벽지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고 재 시공이 가능하며, 벽지의 은폐력이 향상되고, 제조가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된 구성의 벽지의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 구성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에 의하여,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및;
특히, 본 발명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벽지에 의하여:
벽지의 인장강도가 강화되고, 사용자가 이형지를 제거 후 벽면에 반복적으로 탈.부착을 하여도 벽지가 찢어지거나 주름이 잡히는 현상이 미발생되며,
벽지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재 시공이 가능하고,
벽지의 은폐력이 향상되며, 제조가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된; 구성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를 제공 함을, 본 발명의 목적 및 본 발명이 이루고저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벽지 구성의, 인쇄무늬가 포함된 기재층과, 기재층의 외부에 코팅된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코팅층인 보호코팅층과, 보호코팅층의 외부에 실리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 도포된 점착제층과, 점착제층의 외부에 이형지로 구성되거나;
인쇄무늬가 포함된 기재층과, 기재층의 외부에 도포된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접착층과, 기재층에 접합되는 연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 재질의 강화필름층과, 강화필름층의 외부에 도포된 실리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인 점착제층과, 점착제층의 외부에 부착된 이형지로 구성된;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를 제공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코저 한다.
본 발명 구성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에 의하여,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및;
특히, 벽지의 인장강도가 강화된 효과와;
사용자가 이형지를 제거 후 벽면에 반복적으로 탈.부착을 하여도 벽지가 찢어지거나 주름이 잡히는 현상이 미발생된 효과와;
벽지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대폭 향상되고, 재 시공이 가능한 효과와;
벽지 기재층과 강화필름층의 접합력이 강화된 효과와;
벽지의 은폐력이 향상된 효과와;
제조가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된 효과를; 가져오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인테리어 벽지를 도시한 참고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 강화벽지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FLOW -SHEET,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강화벽지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강화벽지의 단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 강화벽지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FLOW -SHEET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강화벽지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강화벽지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바와 같이;
건축용 내장재로 사용되는 본 발명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의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는; 다음과 같은 4가지 제조방식의 제조방법으로 제조 및 구성되며;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구성하는 해당 작업조건의 구성물 및 구성물의 도포 또는 코팅두께와, 작업온도는, 단순히 수치로서 한정 기재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강화벽지가, 종래 기술의 벽지에 비하여 인장강도가 강화되고, 사용자가 이형지를 제거 후 벽면에 반복적으로 탈.부착을 하여도 벽지가 찢어지거나 주름이 잡히는 현상이 미발생되며, 벽지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재 시공이 가능하고, 벽지의 은폐력이 향상되며, 제조가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된;
"적정 구성의 각 구성물과, 구성물의 도포 또는 코팅두께와, 작업온도의 강화벽지" 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더욱 구체화 되어 있는바; 이는, 단순한 수치 한정에 불과 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 강화벽지의 제품 구성은, 제품 구성만을 특징으로 하여 해당권리로 청구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 강화벽지의 제조방법을 전제로 하여 제조된 제품 구성을 해당 권리로 청구 함을 분명히 한다.
A. 기재 롤러에 각기 권취되어 있는 기재와 강화필름의 사이에, 접착제를 티다이(T-DIE)에서 용융, 도포 후, 가압롤에서 가압되어 강화벽지가 제조되는 방식.(도 2 및 도 6 참조)
제조방법:
S1 단계: 인쇄무늬가 포함된 기재인 종이제 합지기재 또는 합성수지제 실크기재의 준비 및, 연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무연신폴리프로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재질의 수지가 12 내지 19㎛ 두께의 강화필름으로 제조되는 단계;
(기재의 외부에, 인쇄무늬(10)가 인쇄된 평면구조 또는 엠보스롤로 엠보스된 입체구조의 인쇄무늬가 포함된 기재(20)인 두께 0.35 내지 0.37㎜의 종이제 합지기재 또는 두께 0.38 내지 0.4㎜의 합성수지제 실크기재의 준비 및, 연신 폴리프로필렌/OPP:Oriented 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lephthalate, 무연신폴리프로필렌/CPP: Casting polypropylene)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재질의 수지가 가공필름으로 가공된 12 내지 19㎛ 두께의 강화필름(40)이 제조된다)
S2 단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무용제 타입의 폴리우레탄 수지계열의 접착제가 생성되는 단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ETHYLLENE VINYL ACETATE COPOLYMER,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무용제 타입의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수지계열로 조성된 접착제가 생성된다)
S3 단계: 기재와 강화필름이 복수개의 기재롤러에 각기 와인딩 및 접착제가 압출기의 티다이에 투입되는 단계;
(상기 S1 단계로 제조된 기재(20)와 강화 필름(40)이 복수개의 제 1,2기재롤러(511,512)에 각기 와인딩 및, S2 단계로 생성된 접착제가 압출기의 티다이/T-DIE(520)에 투입된다)
S4 단계: 기재롤러에 와인딩된 기재와 강화필름이 티다이로 각기 이송 및, 기재와 강화필름의 사이로 티다이에서 접착제가 용융온도 120 내지 160℃ 범위에서 용융되어 15 내지 20㎛ 두께로 도포된 접착층 생성 후, 온도 90 내지 110℃ 압력 4 내지 5㎏f/㎠의 가압롤을 통과 및 상온에서 건조되어, 기재층과 강화필름층이 접합된 반제품이 제조되는 단계;
(상기 S3 단계로 복수개의 기재롤러(511,512)에 와인딩된 기재(20)와 강화필름(40)이 티다이(520)로 각기 이송 및, 기재(20)와 강화필름(40)의 사이로 티다이에서 접착제가 용융온도 120 내지 160℃ 범위에서 용융되어 15 내지 20㎛ 두께로 도포된 접착층(30) 생성 후, 가압롤 온도 90 내지 110℃ 압력 4 내지 5㎏f/㎠의 가압롤(531,532)을 통과 후 상온에서 건조되어, 인쇄무늬가 포함된 기재인 기재층(20)과 기재층(20)의 외부에 강화필름층(40)이 접착층(30)에 의하여 접합된 반제품이 제조된다)
S5 단계: 반제품의 강화필름층 외부에 실리콘 공중합체 수지 계열의 점착제가 20 내지 25㎛ 두께로 도포된 점착제층 생성 후, 점착제층의 외부에 두께 90 내지 140㎛의 이형지가 부착되어 완제품이 제조되는 단계;
(상기 반제품의 강화필름층(40)의 외부에, 실리콘 공중합체 수지 계열의 점착제가 20 내지 25㎛ 두께로 도포기에서 도포된 점착제층(50) 생성 후, 점착제층의 외부에 종이 50 내지 90g지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실리콘이 코팅된 두께 90 내지 140㎛의 이형지(60)가 부착되어, 본 발명의 완제품인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가 제조된다)
제품 구성;
상기와 같은 S1 내지 S5 단계의 제조방법으로, 도 6에 도시된바와 같이;
종이제 합지기재 또는 합성수지제 실크기재의 외부에, 인쇄무늬(10)가 인쇄된 평면구조 또는 엠보스롤로 엠보스된 입체구조의 인쇄무늬가 포함된 기재인 기재층(20)과:
기재층(20)의 외부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무용제 타입의 폴리우레탄 수지 계열의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층(30)과:
접착층(30)의 외부에 연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 재질의 강화필름인 강화필름층(40)과:
강화필름층(40)의 외부에 실리콘 공중합체 수지 계열의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제층(50)과:
점착제층(50)의 외부에 이형지(60)가 구비된: 구성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로 구성된다.
B. 기재 롤러에 권취되어 있는 기재의 외부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가 티다이(T-DIE)에서 용융, 코팅된 보호코팅층이 생성된 강화벽지가 제조되는 방식.(도 3 및 도 7 참조)
제조방법:
S11 단계: 인쇄무늬가 포함된 기재인 종이제 합지기재 또는 합성수지제 실크기재의 준비 및, 기재가 단수개의 기재롤러에 와인딩 되는 단계;
(기재의 외부에, 인쇄무늬(10)가 인쇄된 평면구조 또는 엠보스롤로 엠보스된 입체구조의 인쇄무늬가 포함된 기재(20)인 두께 0.35 내지 0.37㎜의 종이제 합지기재 또는 두께 0.38 내지 0.4㎜의 합성수지제 실크기재를 준비하여, 단수개의 기재롤러(511)에 기재(20)가 와인딩된다)
S21 단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를 티다이에 투입하는 단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ETHYLLENE VINYL ACETATE COPOLYMER, 수지를 티다이(520)에 투입한다)
S31 단계: 기재롤러에 와인딩된 기재가 티다이로 이송 및, 기재의 외부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가 티다이에서 용융온도 120 내지 160℃ 범위에서 용융, 30 내지 40㎛ 두께로 도포 후, 온도 90 내지 110℃ 압력 4 내지 5㎏f/㎠의 가압롤을 통과 후 건조되어, 기재층의 외부에 보호코팅층이 생성된 반제품이 제조되는 단계;
(상기 S11 단계로 단수개의 기재롤러(511)에 와인딩된 기재(20)가 티다이(520)로 이송 및 S21단계로 티다이에 투입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가 티다이(520)에서 용융온도 120 내지 160℃ 범위에서 용융, 30 내지 40㎛ 두께로 도포 후, 온도 90 내지 110℃ 압력 4 내지 5㎏f/㎠의 가압롤(531,532)을 통과 후 상온에서 건조되어, 인쇄무늬가 포함된 기재인 기재층(20)과 기재층의 외부에 보호코팅층(30')이 생성된 반제품이 제조된다)
S41 단계: 반제품의 보호코팅층 외부에 실리콘 공중합체 수지 계열의 점착제가 20 내지 25㎛ 두께로 도포된 점착제층 생성 후, 점착제층의 외부에 두께 90 내지 140㎛의 이형지가 부착되어 완제품이 제조되는 단계;
(S31 단계로 제조된 반제품의 보호코팅층(30') 외부에, 실리콘 공중합체 수지 계열의 점착제가 20 내지 25㎛ 두께로 도포기에서 도포된 점착제층(50) 생성 후, 점착제층의 외부에 종이 50 내지 90g지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실리콘이 코팅된 두께 90 내지 140㎛의 이형지(60)가 부착되어, 본 발명의 완제품인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가 제조된다)
제품 구성;
상기와 같은 S11 내지 S41 단계의 제조방법으로, 도 7에 도시된바와 같이;
종이제 합지기재 또는 합성수지제 실크기재의 외부에, 인쇄무늬(10)가 인쇄된 평면구조 또는 엠보스롤로 엠보스된 입체구조의 인쇄무늬가 포함된 기재인 기재층(20)과:
기재층(20)의 외부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가 도포두께 30 내지 40㎛로 코팅된 보호코팅층(30')과:
보호코팅층(30')의 외부에 실리콘 공중합체 수지 계열의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제층(50)과:
점착제층(50)의 외부에 이형지(60)가 구비된: 구성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로 구성된다.
C. 기재 롤러에 각기 권취되어 있는 기재와, 접착제가 코팅된 강화필름을 가압롤을 사용하여 히팅드럼에 압착 및 전기식 히팅장치와 가압롤을 통과 시켜 접합 후, 냉각롤에서 냉각되어 강화벽지가 제조되는 방식.(도 4 및 도 6 참조)
제조방법:
S111 단계: 인쇄무늬가 포함된 기재인 종이제 합지기재 또는 합성수지제 실크기재의 준비 및, 연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무연신폴리프로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재질의 수지가 12 내지 19㎛ 두께의 강화필름으로 제조되는 단계;
(기재의 외부에 인쇄무늬(10)가 인쇄된 평면구조 또는 엠보스롤로 엠보스된 입체구조의 인쇄무늬가 포함된 기재(20)인 두께 0.35 내지 0.37㎜의 종이제 합지기재 또는 두께 0.38 내지 0.4㎜의 합성수지제 실크기재의 준비 및,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Oriented 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Polyethylene Telephthalate, 무연신폴리프로필렌/CPP: Casting polypropylene)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재질의 수지가 가공필름으로 가공된 12 내지 19㎛ 두께의 강화필름(40)이 제조된다)
S211 단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무용제 타입의 폴리우레탄 수지계열의 접착제가 생성 및, 강화필름의 외부에 접착제가 코팅되어 접착층이 생성되는 단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ETHYLLENE VINYL ACETATE COPOLYMER,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무용제 타입의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수지계열로 조성된 접착제가 생성 및, 도포기에서 상기 S 111단계로 제조된 강화필름(40)의 외부에 접착제가 15 내지 20㎛ 두께로 도포 후, 상온에서 건조되어 접착층(30)이 생성된다)
S311 단계: 기재와 접착층이 코팅된 강화필름이 복수개의 기재롤러에 각기 와인딩 및 기재와 접착층이 코팅된 강화필름이 수축 변형이 되지 않토록 온도 40 내지 50℃, 압력 1.5 내지 3㎏f/㎠의 가압롤과 히팅드럼에서 1차 압착 후 전기식 히팅장치를 통과, 온도 40 내지 50℃ 압력 4 내지 5㎏f/㎠의 가압롤에서 2차 압착되어 접합 후, 18 내지 25℃의 냉각수가 유입된 냉각롤에서 냉각되어 반제품이 제조되는 단계;
(상기 S111, S112 단계로 제조된 기재(20)와 접착층(30)이 코팅된 강화필름(40)이 복수개의 제 1,2기재롤러(511,512)에 각기 와인딩 및 기재와 접착층이 코팅된 강화필름(40)이 제 1,2가압롤(531,532)을 사용하여 히팅드럼(550)으로 이송되어, 접착층(30)이 코팅된 강화필름(40)이 수축 변형이 되지 않토록 온도 40 내지 50℃ 범위의 낮은 가열온도의 제 2가압롤(532)과 히팅드럼(550)에서 압력 1.5 내지 3㎏f/㎠에서 1차 압착 후, 온도 40 내지 50℃의 낮은 가열온도의 전기식 히팅장치(560)를 통과, 온도 40 내지 50℃ 압력 4 내지 5㎏f/㎠의 제 3,4가압롤(533,534)에서 2차 압착되어 접합 후 온도 18 내지 25℃의 냉각수가 유입된 냉각롤(540)에서 냉각되어, 인쇄무늬가 포함된 기재인 기재층(20)과 기재층의 외부에 코팅된 접착층(30)과 접착층의 외부에 강화필름층(40)이 구비된 반제품이 제조된다)
S411 단계: 반제품의 접착제가 코팅된 강화필름층 외부에 실리콘 공중합체 수지 계열의 점착제가 20 내지 25㎛ 두께로 도포된 점착제층 생성 후, 점착제층의 외부에 두께 90 내지 140㎛의 이형지가 부착되어 완제품이 제조되는 단계;
(S311 단계로 제조된 반제품인 강화필름층(40)의 외부에, 실리콘 공중합체 수지 계열의 점착제가 20 내지 25㎛ 두께로 도포기에서 도포된 점착제층(50) 생성 후, 점착제층의 외부에 종이 50 내지 90g지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실리콘이 코팅된 두께 90 내지 140㎛의 이형지(60)가 부착되어, 본 발명의 완제품인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가 제조된다)
제품 구성;
상기와 같은 S111 내지 S411 단계의 제조방법으로, 도 6에 도시된바와 같이;
종이제 합지기재 또는 합성수지제 실크기재의 외부에, 인쇄무늬(10)가 인쇄된 평면구조 또는 엠보스롤로 엠보스된 입체구조의 인쇄무늬가 포함된 기재인 기재층(20)과:
기재층(20)의 외부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무용제 타입의 폴리우레탄 수지계열의 접착제가 코팅된 접착층(30)과:
접착층(30)의 외부에, 연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 재질의 강화필름인 강화필름층(40)과:
강화필름층(40)의 외부에, 실리콘 공중합체 수지 계열의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제층(50)과,
점착제층(50)의 외부에 이형지(60)가 구비된: 구성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로 구성된다.
D. 기재 롤러에 권취되어 있는 기재를 접착제 도포용 코팅기를 통과시켜 기재 하부면에 접착제를 도포 후, 나이프롤러에서 도포두께 15~20㎛으로 조절하고, 접착제가 도포된 기재가 100 내지 120℃의 건조오븐에서 각 구간별로 상이한 온도로 건조되어, 접착층이 하부에 구비된 기재층과 기재 롤러에 권취되어 있는 강화필름을 가압롤로 가압하여 강화벽지가 제조되는 방식.(도 5 및 도 6 참조)
제조방법:
S1111 단계: 인쇄무늬가 포함된 기재인 종이제 합지기재 또는 합성수지제 실크기재의 준비 및, 연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무연신폴리프로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재질의 수지가 12 내지 19㎛ 두께의 강화필름으로 제조되는 단계;
(기재의 외부에, 인쇄무늬(10)가 인쇄된 평면구조 또는 엠보스롤로 엠보스된 입체구조의 인쇄무늬가 포함된 기재(20)인 두께 0.35 내지 0.37㎜의 종이제 합지기재 또는 두께 0.38 내지 0.4㎜의 합성수지제 실크기재의 준비 및,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Oriented 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Polyethylene Telephthalate, 무연신폴리프로필렌/CPP: Casting polypropylene)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재질의 수지가 가공필름으로 가공된 12 내지 19㎛ 두께의 강화필름(40)이 제조된다)
S2111 단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무용제 타입의 폴리우레탄 수지 계열의 접착제가 생성되어, 접착제 도포용 코팅기에 투입되는 단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ETHYLLENE VINYL ACETATE COPOLYMER,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무용제 타입의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수지계열의 접착제가 생성되어, 접착제 도포용 코팅기(570)에 투입된다)
S3111 단계: 기재와 강화필름이 복수개의 기재롤러에 각기 와인딩 및 강화필름이 접착제 도포용 코팅기로 이송되고, 기재가 가압롤로 이송되는 단계;
(S111 단계의 강화필름(40)과 기재(20)가 복수개의 제 1,2기재롤러(511,512)에 각기 와인딩 및 강화필름(40)이 접착제 도포용 코팅기(570)로 이송되고, 기재(20)가 제 1,2가압롤(531,532)로 이송된다)
S4111 단계: 강화필름을 접착제 도포용 코팅기를 통과시켜 인쇄무늬가 강화필름 이면에 접착제를 도포 후, 나이프롤러에서 도포두께 15~20㎛으로 조절된 접착층을 생성하여, 접착층이 생성된 강화필름이 100 내지 120℃의 건조오븐에서 각 구간별로 상이한 온도로 건조되어 가압롤로 이송되는 단계;
(강화필름(40)을 접착제 도포용 코팅기(570)를 통과시켜, 강화필름(40)의 이면에 접착제 도포용 코팅기에 투입된 접착제가 도포 후, 나이프롤러(580)에서 도포두께 15~20㎛으로 조절되어 접착층(30)이 생성되고,
상기 강화필름(40)의 이면에 도포된 접착층(30)이 강화필름(40)에 견고히 접합 및 건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100 내지 120℃의 건조오븐(590)에서 각 구간별로 1단계 116 내지 120℃, 2단계 111 내지 115℃, 3단계 106 내지 110℃, 4단계 100 내지 105℃의 각 구간별 상이한 온도로 건조되어 제 1,2가압롤(531,532)로 이송된다)
S5111 단계: 접착층이 도포되어 건조된 강화필름과 기재가 압력 4 내지 5㎏f/㎠의 가압롤에서 접합 및, 기재층의 외부에 강화필름층이 생성된 반제품이 제조되는 단계;
(상기 S4111의 접착층(30)이 강화필름 이면에 생성되어 건조된 강화필름(40)과 S3111 단계로 이송된 기재(20)가 압력 4 내지 5㎏f/㎠의 제 1,2가압롤(531,532)에서 접합되어 기재층(20)의 외부에 강화필름층(40)이 접착층(30)으로 접합된 반제품이 제조된다)
S6111 단계: 강화필름층 외부에 실리콘 공중합체 수지 계열의 점착제가 20 내지 25㎛ 두께로 도포된 점착제층 생성 후, 점착제층의 외부에 두께 90 내지 140㎛의 이형지가 부착되어 완제품이 제조되는 단계;
(S5111 단계의 반제품인 강화필름층(40)의 외부에, 실리콘 공중합체 수지 계열의 점착제가 20 내지 25㎛ 두께로 도포기에서 도포된 점착제층(50) 생성 후, 점착제층의 외부에 종이 50 내지 90g지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실리콘이 코팅된 두께 90 내지 140㎛의 이형지(60)가 부착되어, 본 발명의 완제품인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가 제조된다)
제품 구성;
상기와 같은 S1111 내지 S6111 단계의 제조방법으로, 도 6에 도시된바와 같이;
종이제 합지기재 또는 합성수지제 실크기재의 외부에, 인쇄무늬(10)가 인쇄된 평면구조 또는 엠보스롤로 엠보스된 입체구조의 인쇄무늬가 포함된 기재인, 기재층(20)과:
강화필름층(40) 이면의 외부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무용제 타입의 폴리우레탄 또는 아크릴 수지계열의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층(30)과:
접착층(30)의 외부에, 연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 재질의 강화필름인 강화필름층(40)과,
강화필름층(40)의 외부에, 실리콘 공중합체 수지 계열의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제층(50)과,
점착제층(50)의 외부에, 이형지(60)가 구비된: 구성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구성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에 의하여,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및;
특히, 상기 4가지 제조방식의 본 발명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강화벽지(100)에 의하여:
완제품인 강화벽지(100)의 인장강도가 강화되고, 사용자가 이형지(60)를 제거 후 벽면에 반복적으로 탈.부착을 하여도 벽지가 찢어지거나 주름이 잡히는 현상이 미발생된 기술구성과;
완제품인 강화벽지(100)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재 시공이 가능한 기술구성과;
완제품인 강화벽지(100)를 구성하는 기재층(20)과 강화필름층(40)의 접합력이 강화되어, 강화필름층(40)이 기재층(20)의 외부로 미이탈된 기술구성과;
기재층(20)의 외부에 강화필름층(40) 또는 도포두께 30 내지 40㎛로 코팅된 보호코팅층(30')이 구비 됨으로서, 벽지 이면의 바탕색의 외부 표출이 저하되어 벽지의 은폐력이 향상된 기술구성과;
4가지 제조방식의 단계별 제조공정에 의하여, 제조가 용이하여 완제품인 강화벽지(100)의 생산성이 향상된 기술구성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로 구성된다.
이하, 다른 실시상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에 대하여 설명키로 한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가;
상기 S2단계 또는 S211 단계, S2111 단계의 접착제가, 아크릴 수지 계열의 접착제로 구성된 접착층(30)이 구비된 제조방법과, 제품 구성으로 구성 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S21 단계와 S31 단계의 보호코팅층(30')이 아크릴 수지가 코팅된 보호코팅층(30')으로 구성된 제조방법과, 제품 구성으로 구성 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S5 단계 또는 S41 단계, S6111 단계의 반제품 외부에 도포기에서 도포된 점착층(50)이,
상기 S5 단계 또는 S41 단계, S6111 단계로 반제품이 제조된 후, S3 단계 또는 S31 단계의 티다이(520) 또는 S2111 단계의 접착제 도포용 코팅기(570)에 점착제가 투입되어, 2패스(PASS) 방식으로 S3단계 또는 S31 단계의 티다이(520)에서 점착층(50)이 생성되거나;
또는, S2111 단계의 접착제 도포용 코팅기(570)에서 점착층(50)이 생성되는 제조방법으로 구성 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강화필름층(40)과 접착층(30)이 복수개의 적층구성으로 제조된 제조방법과, 제품 구성으로 구성 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기재층(20)이 종이제 합지기재 또는 합성수지제 실크기재의 외부에 인쇄무늬(10)가 발포된 입체구조의 인쇄무늬가 포함된 기재인, 기재층(20)으로 구성 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보호코팅층(30')이 도포두께 41 내지 100㎛의 두꺼운 두께로 코팅된 보호코팅층으로 구성된 제조방법과, 제품 구성으로 구성 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접착층(30) 또는 보호코팅층(30'), 강화필름층940)을 구성하는 해당 수지에:
수지의 가공성이 향상되는 용도의 열안정제가 첨가되거나, 또는 난연성 향상을 위한 용도의 난연제가 첨가 되거나, 또는 내후성 향상을 위한 내후성 촉진제가 첨가되거나, 원적외선 향상을 위한 원적외선제가 첨가 되거나, 착색을 위한 안료가 첨가 된 제조방법과, 제품 구성으로 구성 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은, 본 발명 S1 단계 내지 S5 단계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강화벽지인, 인쇄무늬가 포함된 두께 0.4㎜ 기재층 및 두께 17㎛(0.017㎜) 접착층, 두께 18㎛(0.018㎜) 강화필름층, 두께 20㎛(0.02㎜) 점착층, 두께 90㎛(0.09㎜) 이형지로 구성된 벽지 전체두께 0.545㎜의 합성수지제 실크벽지이고;
실시예 2는, 본 발명 S11 단계 내지 S41 단계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강화벽지인, 인쇄무늬가 포함된 두께 0.4㎜ 기재층 및 두께 35㎛(0.035㎜) 보호코팅층, 두께 20㎛(0.02㎜) 점착층, 두께 90㎛(0.09㎜) 이형지로 구성된 벽지 전체두께 0.545㎜의 합성수지제 실크벽지이며;
실시예 3은, 본 발명 S111 단계 내지 S411 단계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강화벽지인, 인쇄무늬가 포함된 두께 0.4㎜ 기재층 및 두께 17㎛(0.017㎜) 접착층, 두께 18㎛(0.018㎜) 강화필름층, 두께 20㎛(0.02㎜) 점착층, 두께 90㎛(0.09㎜) 이형지로 구성된 벽지 전체두께 0.545㎜의 합성수지제 실크벽지이고;
실시예 4는, 본 발명 S1111 단계 내지 S6111 단계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강화벽지인, 인쇄무늬가 포함된 두께 0.4㎜ 기재층 및 두께 17㎛(0.017㎜) 접착층, 두께 18㎛(0.018㎜) 강화필름층, 두께 20㎛(0.02㎜) 점착층, 두께 90㎛(0.09㎜) 이형지로 구성된 벽지 전체두께 0.545㎜의 합성수지제 실크벽지이며;
비교예 1은, 시중에서 유통중인 종래의 두께 0.4㎜의 기재층과, 기재층의 이면에 두께 0.02㎜ 점착층, 점착층의 이면에 두께 0.09㎜ 이형지가 부착된 벽지 전체두께 0.54㎜의 합성수지제 실크벽지이고;
비교예 2는, 시중에서 유통중인 종래의 두께 0.4㎜의 기재층과, 기재층의 이면에 두께 0.02㎜ 폴리에스탈 코팅층, 폴리에스탈 코팅층의 이면에 아크릴 수지 접착제가 두께 0.02㎜로 도포된 접착제층, 접착제층의 이면에 두께 0.09㎜ 이형지가 부착된 벽지 전체두께 0.54㎜의 합성수지제 실크벽지이다.
시험 방법 및 비교 물성치 결과;
가. 인장강도 시험
KSM 7305 시험방법에 의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하였으며, 결과치는 표 1에 기재하였다.
나. 시공성 및 작업성
벽지의 이형지를 제거 후 벽면에 실제로 시공 후, 반복적으로 탈.부착을 하여도 벽지가 찢어지거나 주름이 잡히는 현상을 육안으로 관찰 하였으며, 결과치는 표 1에 기재하였다.
다. 은폐력
벽지를 벽면에 실제로 시공 후, 벽지 이면의 바탕색이 외부로 표출되는 현상을 육안으로 관찰 하였으며, 결과치는 표 1에 기재하였다.
라. 생산성
벽지의 제품구성에 따른 제조방법을 대비 하였으며, 결과치는 표 1에 기재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인장강도
(N/15㎜)

43.5

40.2

44.2

45.1

11.3

19.8

작업성,
시공성
(외관)

우수
(벽지 외관이상없음)

우수
(벽지 외관이상없음)

우수
(벽지 외관이상없음)

우수
(벽지 외관이상없음)

불량
(벽지 찢어짐과 주름
과다 발생)

보통
(벽지 일부 찢어짐 발생)
은폐력 우수
(미표출)
우수
(미표출)
우수
(미표출)
우수
(미표출)
저하
(표출)
저하
(표출)
생산성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저하
상기 표 1과 같이, 본 발명인 실시예 1,2,3,4가 비교예 1,2에 비하여 인장강도가 강화된 것으로 판명 되었으며, 특히 실시예 4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벽지의 인장강도가 월등히 강화되는 동시에:
인장강도가 강화 됨에 의하여, 벽지의 이형지를 제거 후 벽면에 실제로 시공 후, 반복적으로 탈.부착을 하여도 벽지가 찢어지거나 주름이 잡히는 현상이 미발생되어 작업성이 우수하고, 벽지 외관이 그대로 유지되어 시공성(외관의 이상여부)이 향상된 것으로 판명 되었으며;
벽지 이면의 바탕색이 외부로 미표출되어 은폐력이 우수한 것으로 판명 되었으며;
생산성 또한 본 발명의 S1 단계 내지 S5 단계 또는 S11 단계 내지 S41 단계, S111 단계 내지 S411 단계, S1111 단계 내지 S6111 단계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됨에 의하여 우수한 것으로 판명 되었다.
비교예 1은, 기재층과, 점착층, 이형지로 구성 됨에 의하여, 인장강도가 현저히 저하되어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으며;
인장강도 저하에 의한, 벽지의 이형지를 제거 후 벽면에 실제로 시공 후, 반복적으로 탈.부착시에 벽지가 찢어지거나 주름이 잡히는 현상이 과다하게 발생되어 작업성이 저하하고, 시공성(외관의 이상여부)이 불량하여 벽면에 반복 시공시에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판명 되었으며;
벽지 이면의 바탕색이 외부로 표출 됨으로서, 벽지의 은폐력이 저하된 것으로 판명 되었다.
비교예 2는, 기재층과, 폴리에스탈 코팅층, 아크릴 접착제층, 이형지로 구성 됨에 의하여, 인장강도가 비교예 1에 비하여 향상 되었으나 실시예 1 내지 4에 비하여 저하되었으며;
벽지의 이형지를 제거 후 벽면에 실제로 시공 후, 반복적으로 탈.부착시에 벽지가 일부 찢어짐이 발생되어 시공성(외관의 이상여부)이 일부 불량하고 벽면에 반복 시공시에 작업성이 보통 수준인 것으로 판명 되었으며;
벽지 이면의 바탕색이 외부로 표출 됨으로서, 벽지의 은폐력이 저하되고, 이형재질의 폴리에스탈 코팅층과 아크릴 접착제층으로 구성 됨에 따라 폴리에스탈 코팅층이 기재의 외부로 이탈 됨에 의하여 제조시에 생산성이 저하 된 것으로 판명 되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본 발명 강화벽지(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
10: 인쇄무늬
20: 기재층(기재)
30: 접착층(접착제)
30': 보호코팅층
40: 강화필름층(강화필름)
50: 점착제층(점착제)
60: 이형지
500: 본 발명 강화벽지 제조장치
510: 기재롤러
511,512: 제 1,2기재롤러
520: 티다이(T-DIE)
530: 가압롤
531,532,533,534: 제 1,2,3,4가압롤
540: 냉각롤
550: 히팅드럼
560: 전기식 히팅장치
570: 접착제 도포용 코팅기
580: 나이프롤러
590: 건조오븐
종래기술 벽지
1: 인테리어 벽지 2: 표면벽지 3: 폴리에스탈 코팅층 4: 접착제층
5: 보호대지(박리지)

Claims (16)

  1. 건축용 내장재로 사용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
    (100)의 제조방법이;

    S1 단계: 인쇄무늬가 포함된 기재인 종이제 합지기재 또는 합성수지제 실크기재의 준비 및, 연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무연신폴리프로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재질의 수지가 12 내지 19㎛ 두께의 강화필름으로 제조되는 단계; 및,
    S2 단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무용제 타입의 폴리우레탄 수지계열의 접착제가 생성되는 단계; 와,
    S3 단계: 기재와 강화필름이 복수개의 기재롤러에 각기 와인딩 및 접착제가 압출기의 티다이에 투입되는 단계; 와,
    S4 단계: 기재롤러에 와인딩된 기재와 강화필름이 티다이로 각기 이송 및, 기재와 강화필름의 사이로 티다이에서 접착제가 용융온도 120 내지 160℃ 범위에서 용융되어 15 내지 20㎛ 두께로 도포된 접착층 생성 후, 온도 90 내지 110℃ 압력 4 내지 5㎏f/㎠의 가압롤을 통과 및 상온에서 건조되어, 기재층과 강화필름층이 접합된 반제품이 제조되는 단계; 와,
    S5 단계: 반제품의 강화필름층 외부에 실리콘 공중합체 수지 계열의 점착제가 20 내지 25㎛ 두께로 도포된 점착제층 생성 후, 점착제층의 외부에 두께 90 내지 140㎛의 이형지가 부착되어 완제품이 제조되는 단계; 로, 제조 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의 제조방법.
  2. 건축용 내장재로 사용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의 제조방법이;

    S11 단계: 인쇄무늬가 포함된 기재인 종이제 합지기재 또는 합성수지제 실크기재의 준비 및, 기재가 단수개의 기재롤러에 와인딩 되는 단계; 및,
    S21 단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를 티다이에 투입하는 단계; 와,
    S31 단계: 기재롤러에 와인딩된 기재가 티다이로 이송 및, 기재의 외부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가 티다이에서 용융온도 120 내지 160℃ 범위에서 용융, 30 내지 40㎛ 두께로 도포 후, 온도 90 내지 110℃ 압력 4 내지 5㎏f/㎠의 가압롤을 통과 후 건조되어, 기재층의 외부에 보호코팅층이 생성된 반제품이 제조되는 단계; 와,
    S41 단계: 반제품의 보호코팅층 외부에 실리콘 공중합체 수지 계열의 점착제가 20 내지 25㎛ 두께로 도포된 점착제층 생성 후, 점착제층의 외부에 두께 90 내지 140㎛의 이형지가 부착되어 완제품이 제조되는 단계; 로, 제조 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의 제조방법.
  3. 건축용 내장재로 사용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의 제조방법이;

    S111 단계: 인쇄무늬가 포함된 기재인 종이제 합지기재 또는 합성수지제 실크기재의 준비 및, 연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무연신폴리프로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재질의 수지가 12 내지 19㎛ 두께의 강화필름으로 제조되는 단계; 및,
    S211 단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무용제 타입의 폴리우레탄 수지계열의 접착제가 생성 및, 강화필름의 외부에 접착제가 코팅되어 접착층이 생성되는 단계; 와,
    S311 단계: 기재와 접착층이 코팅된 강화필름이 복수개의 기재롤러에 각기 와인딩 및 기재와 접착층이 코팅된 강화필름이 수축 변형이 되지 않토록 온도 40 내지 50℃, 압력 1.5 내지 3㎏f/㎠의 가압롤과 히팅드럼에서 1차 압착 후 전기식 히팅장치를 통과, 온도 40 내지 50℃ 압력 4 내지 5㎏f/㎠의 가압롤에서 2차 압착되어 접합 후, 18 내지 25℃의 냉각수가 유입된 냉각롤에서 냉각되어 반제품이 제조되는 단계; 와,
    S411 단계: 반제품의 접착제가 코팅된 강화필름층 외부에 실리콘 공중합체 수지 계열의 점착제가 20 내지 25㎛ 두께로 도포된 점착제층 생성 후, 점착제층의 외부에 두께 90 내지 140㎛의 이형지가 부착되어 완제품이 제조되는 단계; 로, 제조 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의 제조방법.
  4. 건축용 내장재로 사용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의 제조방법이;

    S1111 단계: 인쇄무늬가 포함된 기재인 종이제 합지기재 또는 합성수지제 실크기재의 준비 및, 연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무연신폴리프로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재질의 수지가 12 내지 19㎛ 두께의 강화필름으로 제조되는 단계; 및,
    S2111 단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무용제 타입의 폴리우레탄 수지 계열의 접착제가 생성되어, 접착제 도포용 코팅기에 투입되는 단계; 와,
    S3111 단계: 기재와 강화필름이 복수개의 기재롤러에 각기 와인딩 및 강화필름이 접착제 도포용 코팅기로 이송되고, 기재가 가압롤로 이송되는 단계; 와,
    S4111 단계: 강화필름을 접착제 도포용 코팅기를 통과시켜 인쇄무늬가 강화필름 이면에 접착제를 도포 후, 나이프롤러에서 도포두께 15~20㎛으로 조절된 접착층을 생성하여, 접착층이 생성된 강화필름이 100 내지 120℃의 건조오븐에서 각 구간별로 상이한 온도로 건조되어 가압롤로 이송되는 단계; 와,
    S5111 단계: 접착층이 도포되어 건조된 강화필름과 기재가 압력 4 내지 5㎏f/㎠의 가압롤에서 접합 및, 기재층의 외부에 강화필름층이 생성된 반제품이 제조되는 단계; 와,
    S6111 단계: 강화필름층 외부에 실리콘 공중합체 수지 계열의 점착제가 20 내지 25㎛ 두께로 도포된 점착제층 생성 후, 점착제층의 외부에 두께 90 내지 140㎛의 이형지가 부착되어 완제품이 제조되는 단계; 로, 제조 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의 제조방법.
  5. 제 1항 또는 제 3항, 제 4항중 택일된 한항에 있어서, 상기 S2단계 또는 S211 단계 또는 S2111 단계의 접착제가, 아크릴 수지 계열의 접착제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의 제조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S21 단계와 S31 단계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가, 아크릴 수지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의 제조방법.
  7. 제 1항 또는 제 2항, 제 4항 중 택일된 한항에 있어서, 상기 S5 단계 또는 S41 단계 또는 S6111 단계의 반제품 외부에 도포기에서 도포된 점착층이;
    상기 S5 단계 또는 S41 단계 또는 S6111 단계로 반제품이 제조된 후, S3 단계 또는 S31 단계의 티다이 또는 S2111 단계의 접착제 도포용 코팅기에 점착제가 투입되어, 2패스 방식으로 S3단계 또는 S31 단계의 티다이에서 점착층이 생성되거나; 또는, S2111 단계의 접착제 도포용 코팅기에서 점착층이 생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의 제조방법.
  8. 제 1항 내지 제4항 중 택일된 한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기재의 외부에, 인쇄무늬가 인쇄된 평면구조 또는 엠보스롤로 엠보스된 입체구조의 인쇄무늬가 포함 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의 제조방법.
  9. 제 1항 내지 제4항 중 택일된 한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기재의 외부에, 인쇄무늬가 발포된 입체구조의 인쇄무늬가 포함 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의 제조방법.
  10. 제 1항 또는 제 3항, 제 4항 중 택일된 한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필름층과 접착층이 복수개로 제조 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의 제조방법.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코팅층이 도포두께 41 내지 100㎛의 두꺼운 두께로 코팅 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의 제조방법.
  12.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택일된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 또는 보호코팅층 또는 강화필름층을 구성하는 수지에:
    열안정제 또는 난연제 또는 내후성 촉진제 또는 원적외선제 또는 안료가 첨가 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의 제조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 내지 S5 단계의 제조방법으로;
    인쇄 평면 또는 엠보스롤로 엠보스된 입체구조의 인쇄무늬(10)가 포함된 기재층(20)과:
    기재층(20)의 외부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무용제 타입의 폴리우레탄 수지 계열의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층(30)과:
    접착층(30)의 외부에, 연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 재질의 강화필름층(40)과:
    강화필름층(40)의 외부에, 실리콘 공중합체 수지 계열의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제층(50)과:
    점착제층(50)의 외부에, 이형지(60)가 구비 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S11 단계 내지 S41 단계의 제조방법으로;
    인쇄무늬(10)가 인쇄된 평면구조 또는 엠보스롤로 엠보스된 입체구조의 인쇄무늬가 포함된 기재층(20)과:
    기재층(20)의 외부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가 도포두께 30 내지 40㎛로 코팅된 보호코팅층(30')과:
    보호코팅층(30')의 외부에 실리콘 공중합체 수지 계열의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제층(50)과:
    점착제층(50)의 외부에 이형지(60)가 구비 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
  1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S111 단계 내지 S411 단계의 제조방법으로;
    인쇄무늬(10)가 인쇄된 평면구조 또는 엠보스롤로 엠보스된 입체구조의 인쇄무늬가 포함된 기재층(20)과:
    기재층(20)의 외부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무용제 타입의 폴리우레탄 수지계열의 접착제가 코팅된 접착층(30)과:
    접착층(30)의 외부에, 연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 재질의 강화필름층(40)과:
    강화필름층(40)의 외부에, 실리콘 공중합체 수지 계열의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제층(50)과,
    점착제층(50)의 외부에 이형지(60)가 구비 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
  1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S1111 단계 내지 S6111 단계의 제조방법으로;
    인쇄무늬(10)가 인쇄된 평면구조 또는 엠보스롤로 엠보스된 입체구조의 인쇄무늬가 포함된 기재층(20)과:
    강화필름층(40) 이면의 외부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무용제 타입의 폴리우레탄 또는 아크릴 수지계열의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층(30)과:
    접착층(30)의 외부에, 연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 재질의 강화필름층(40)과,
    강화필름층(40)의 외부에, 실리콘 공중합체 수지 계열의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제층(50)과,
    점착제층(50)의 외부에, 이형지(60)가 구비 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100).
KR1020170048658A 2017-04-14 2017-04-14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 KR201801160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658A KR20180116011A (ko) 2017-04-14 2017-04-14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658A KR20180116011A (ko) 2017-04-14 2017-04-14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011A true KR20180116011A (ko) 2018-10-24

Family

ID=64132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658A KR20180116011A (ko) 2017-04-14 2017-04-14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60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260B1 (ko) * 2020-05-15 2021-10-12 안광욱 Cpp 필름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260B1 (ko) * 2020-05-15 2021-10-12 안광욱 Cpp 필름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68499B (zh) 图形制品
CN103717405B (zh) 图形制品
CN103732417B (zh) 图形制品
TR201802876T4 (tr) Bir polimerik kompozit katman içeren bir panel ve böyle bir panelin üretim yöntemi.
JPH06279737A (ja) 粘着性装飾面被覆ラミネ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732416A (zh) 图形制品
CN103717396A (zh) 图形制品
KR101172158B1 (ko) 내부 엠보를 가진 적층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H0422627A (ja) Epdmゴム基材用装飾材料
KR100681388B1 (ko) 실리콘 코팅 이형원단의 제조 방법
KR20180116011A (ko)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강화된 강화벽지
KR20170107773A (ko) 입체 패턴을 구비한 장식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장식시트
JP2018149725A (ja) 合成樹脂加飾フィルム及び合成樹脂加飾フィルムを用いた加飾成形体の製造方法
JPH10100329A (ja) 成形加工用着色フィルム
JPH11157012A (ja) 化粧シート
CN111086314A (zh) 一种迷彩空间布的制备方法
JPH0557863A (ja) 化粧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144670A (ko) 에어프리 기능을 갖춘 엠보 패턴의 잉크젯 미디어 합성지 및 제조 방법
JP3558148B2 (ja) 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1293703A (ja) 三次元形状の木質建材
JPH06128537A (ja) 装飾用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146940A (ja) 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KR20010039533A (ko) 장식용 첩착시트와 그 제조방법 및 장식용 첩착시트의첩착 대상물에의 접착방법
JP2000309199A (ja) 装飾用貼着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及び装飾用貼着シートの貼着対象物への接着方法
JP2003053877A (ja) 着色フィルム、着色工程紙および着色フィル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37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328

Effective date: 2019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