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0333A - 차량용 휠 베어링 및 이를 구비하는 너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휠 베어링 및 이를 구비하는 너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0333A
KR20180110333A KR1020170039675A KR20170039675A KR20180110333A KR 20180110333 A KR20180110333 A KR 20180110333A KR 1020170039675 A KR1020170039675 A KR 1020170039675A KR 20170039675 A KR20170039675 A KR 20170039675A KR 20180110333 A KR20180110333 A KR 20180110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uckle
flange
wheel bearing
protrusion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4033B1 (ko
Inventor
김학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9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033B1/ko
Priority to CN201820344695.9U priority patent/CN208036404U/zh
Publication of KR20180110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8Steering knuckles; King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78Hubs characterised by the fixation of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80/00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차량용 휠 베어링 및 이를 구비하는 너클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휠 베어링은 차량의 바퀴 축이 관통되도록 중앙부가 중공인 본체부와, 본체부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고, 너클부의 너클홀부와 대면되도록 배치되며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플랜지홀부가 형성되어 너클부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플랜지부는, 플랜지홀부가 형성되는 플랜지본체부와, 플랜지본체부의 외곽을 따라 바퀴 축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며, 본체부에 연결되는 리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휠 베어링 및 이를 구비하는 너클 장치{WHEEL BEARING FOR VEHICLE AND KNUCK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휠 베어링 및 이를 구비하는 너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휠 베어링 및 이를 구비하는 너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너클은 차량의 조향을 위한 부품으로, 너클에 차량의 바퀴 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휠 베어링이 결합된다.
진원도는 휠 베어링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고려요소로 작용된다. 진원도는 휠 베어링의 형상이 너클에 결합 후에도 진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척도로, 모든 문제의 근본 원인이 될 수 있고 진원도 악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이게 된다.
종래 휠 베어링이 너클에 압입 결합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변형력으로 인해 베어링의 형상이 변하고 베어링의 진원도가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휠 베어링의 외주면에는 너클에 안착되기 위한 플랜지가 형성되고,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결합되는데, 휠 베어링이 너클에 조립될 시 플랜지에서 볼팅 결합으로 인해 휠 베어링의 결합 부위의 형상이 변형되는데, 휠 베어링에 형성되는 플랜지는 너클과 휠 베어링의 조립 용이성 및 회전 축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이러한 플랜지에 볼트 등이 결합 시 발생하는 변형력으로 휠 베어링의 외륜주요부의 진원도가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2005-0111014호(2005.11.24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용 조향 너클 및 베어링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너클부와 의 결합으로 인한 변형력을 분산시켜 진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휠 베어링 및 이를 구비하는 너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 베어링은: 차량의 바퀴 축이 관통되도록 중앙부가 중공인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고, 너클부의 너클홀부와 대면되도록 배치되며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플랜지홀부가 형성되어 상기 너클부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홀부가 형성되는 플랜지본체부; 상기 플랜지본체부의 외곽을 따라 상기 바퀴 축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리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리브부는 상기 본체부에 근접할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리브부는 상기 본체부에 근접할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리브부는, 상기 플랜지본체부 상에서 상기 플랜지홀부를 기준으로 양 측 외곽을 따라 대칭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홀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상기 체결부재를 감싸며, 상기 플랜지본체부 상에 돌출 형성되는 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플랜지부와 각각 접하는 연결본체; 및
상기 연결본체 사이에 배치되어 이웃한 상기 연결본체를 연결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연결본체보다 두께가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본체와 상기 보강부의 내측면은 동심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본체와 상기 보강부의 연결부위는 라운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너클 장치는: 차량의 바퀴 축이 관통되도록 중앙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는 휠 베어링; 및 너클본체와, 상기 너클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휠 베어링이 압입 결합되는 압입부가 구비되는 너클부; 및 두께를 달리하여 상기 압입부의 외측을 둘러싸며 상기 압입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강성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너클부는, 상기 너클본체의 외측방향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로어암부가 장착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제1돌출부와 마주보며 상기 너클본체의 타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스트럿이 장착되는 제2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성보강부는, 상기 압입부의 외측면을 따라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 사이에서의 두께가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가 형성되는 구간에서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에는, 상기 제1돌출부의 두께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1돌출부의 일면에서 상기 휠 베어링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파이는 제1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돌출부에는, 상기 제2돌출부의 두께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2돌출부의 일면에서 상기 휠 베어링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파이고, 상기 제2돌출부의 중앙부를 따라 상기 제2돌출부의 연장방향으로 연속되는 제2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 베어링은 리브부로 인하여 플랜지본체부에만 집중되는 변형력을 본체부 등 주변으로 분산시켜 차량용 휠 베어링의 진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브부는 본체부에 근접할수록 두께 혹은 높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되어 너클부의 결합 시 발생하는 변형력을 본체부에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보스부로 인하여 너클부의 결합 시 발생되는 변형력으로 인해 플랜지본체부 상에서 플랜지홀부 주변이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로 인하여 너클부의 결합으로 인해 발생되는 변형력에 대한 강성을 확보하여 차량용 휠 베어링의 진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너클 장치는 강성보강부로 인하여, 압입부 구간 별 강성이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하고 압입부에 휠 베어링 조립 시 진원도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2홈부로 인하여 제1, 2돌출부의 각 두께를 감소시켜 압입부의 타 구간에서의 강성과 균형을 이루도록 하고 너클 장치의 중량을 감소시켜 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베어링이 결합되는 차랑용 너클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베어링이 결합되는 차랑용 너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베어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베어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너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성보강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돌출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돌출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휠 베어링 및 이를구비하는 너클 장치의 여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베어링이 결합되는 차량용 너클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베어링이 결합되는 너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베어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베어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클 장치(1)는 너클부(100), 휠 베어링(200)을 포함한다.
너클부(100)는 차량의 조향을 위한 것으로서, 중앙부에 차량의 바퀴 축(10)이 관통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베어링(200)이 설치되도록 원형상의 장착홀부(105)가 형성된다. 너클부(100)는 차륜(미도시)의 내측에 배치된다. 너클부(100)의 외측에는 브레이크 디스크(미도시)가 배치된다.
너클부(100)에는 체결부재(50)가 체결되는 너클홀부(11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체결부재(50)는 볼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너클부(100) 및 플랜지부(220)는 볼트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되고 휠 베어링(200)이 차량의 바퀴 축(1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베어링(200)은 차량의 바퀴 축(10)을 지지하며 너클부(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본체부(210), 플랜지부(220)를 포함한다.
본체부(210)는 바퀴 축(10)이 관통되도록 중앙부가 중공인 것으로, 연결본체(211), 보강부(215)를 포함한다. 본체부(210)에는 바퀴 축(10)이 관통되는 본체홀부(213)가 형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본체(211)는 플랜지부(220)와 접하는 것으로, 복수 개의 플랜지부(220)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형성된다. 보강부(215)는 복수 개의 연결본체(211) 사이에 배치되어 이웃한 연결본체(211)를 연결하는 것으로 보강부(215)는 연결본체(211)보다 두께가 크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체결부재(50)가 관통되는 플랜지부(220)가 너클부(100)와 휠 베어링(200)이 결합 시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변형되고, 그로 인한 휠 베어링(200)의 진원도가 저감되는데, 보강부(215)는 본체부(210)가 변형력에 대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휠 베어링(200)의 진원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보강부(215)의 두께, 구체적으로 내경과 외경 사이 거리가 연결본체(211)의 내경과 외경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휠 베어링(200)과 너클부(100)의 결합 시 발생하는 변형력에 대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보강부(215)는 복수 개의 플랜지부(220) 사이에 형성되고,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연결본체(211) 사이에 배치된다. 연결본체(211)와 보강부(215)의 연결부위는 라운드지게 처리된다.
본체부(210)의 내경부는 원형 형상의 본체홀부(213)가 형성되고, 다시 말해 연결본체(211)와 보강부(215)의 내측면은 동심원 상에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210)의 평면도 및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본체부(210)의 개념도(우측 도면)에서 본체부(210)의 내경은 진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경은 보강부(215)가 연결본체(211)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체부(210)는 연결본체(211)와 보강부(215)가 서로 교차적으로 배치되며, 연결본체(211)와 보강부(215)가 연결되는 부위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플라워 형상(FLOWER SHAPE)으로 형성된다.
플랜지부(220)는 연결본체(211)와 결합되고, 본체부(210)의 외측면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너클부(100)와 결합된다. 플랜지부(220)는 본체부(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별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220)는 플랜지본체부(221), 리브부(223), 보스부(225)를 포함한다.
플랜지본체부(221)는 본체부(210)의 외측면을 따라 본체부(210)에 일체로 또는 별물로 결합되는 것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플랜지본체부(221)는 연결본체(210)에 일체로 혹은 별물로 결합된다.
플랜지본체부(221)는 본체부(2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플랜지본체부(221)는 복수 개가 형성되고 장착홀부(105) 중심을 기준으로 등각으로 배치될 수 있고, A-A를 기준으로 좌우(도면 4 기준)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본체부(221)는 편평한 면으로 형성된다.
플랜지본체부(221)에는 플랜지홀부(222)가 형성된다. 플랜지홀부(222)는 너클홀부(110)에 대면되도록 배치되며, 체결부재(50)가 관통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체결부재(50)가 너클홀부(110) 및 플랜지홀부(222)를 관통하고 너클부(100), 차량용 휠 베어링(200)이 결합되도록 한다.
리브부(223)는 플랜지본체부(221)의 외곽을 따라 바퀴 축(10)의 길이 방향(도 3 기준 상측)으로 돌출되며, 본체부(210)에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브부(223)는 플랜지본체부(221)에 형성되는 플랜지홀부(222)를 기준으로 양 측 외곽을 따라 대칭을 이루며 형성된다.
이로 인해 체결부재(50)로 인해 플랜지본체부(221)가 벤딩(BENDING) 변형된다 하더라도 변형력이 플랜지홀부(222)를 기준으로 플랜지본체부(221)의 양측에 고르게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리브부(223)는 플랜지본체부(221)의 양 측면부에서 바퀴 축의 길이방향(도 3 기준 상측)으로 돌출되고, 구체적으로 플랜지본체부(221)의 외측 방향 단부에서 플랜지본체부(221)의 양 측면부를 따라 상향(도 3 기준) 경사지는 면을 형성하며 본체부(210)에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브부(223)는 본체부(210)에 근접함에 따라 두께 또는 높이가 증가한다.
이로 인하여 너클부(100)와 휠 베어링(200)의 체결부재(50)에 의한 결합으로 인해 플랜지본체부(221)에 가해지는 변형력이 체결부재(50)가 삽입된 플랜지본체부(221)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체결부재(50) 및 본체부(210)에 분산시켜 휠 베어링(200)의 진원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보스부(225)는 플랜지홀부(222)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체결부재(50)를 감싸며, 플랜지본체부(221) 상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체결부재(5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부재(50)의 형상에 대응되는 내측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보스부(225)는 플랜지본체부(22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플랜지본체부(221) 상에서 상향(도 3 기준)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보스부(225)는 플랜지본체부(221)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별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베어링(200)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너클 장치(1)는 너클부(100), 휠 베어링(200)을 포함하고, 휠 베어링(200)과 너클부(100)는 체결부재(50)에 의해 결합된다.
체결부재(50)는 너클부(100)의 내측에서 외측(도 1 기준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삽입되며, 너클부(100)에 형성되는 너클홀부(110) 및 휠 베어링(200), 구체적으로 플랜지본체부(221)에 형성되는 플랜지홀부(222)를 통과하여 너클부(100)와 휠 베어링(200)을 결합시킨다.
휠 베어링(200)은 본체부(210), 플랜지부(220)를 포함하며 플랜지부(220)는 휠 베어링(200)이 너클부(10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이로 인하여 바퀴 축(1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플랜지부(220)는 복수 개가 본체부(210)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고, 너클부(100)에 밀착되어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본체부(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리브부(223)는 플랜지본체부(221)의 외곽을 따라 바퀴 축(10)의 길이 방향(도 3 기준 상측)으로 돌출되고, 도 4를 참조하면, 플랜지본체부(221)에 형성되는 플랜지홀부(222)를 기준(B-B)으로 양 측 외곽을 따라 대칭을 이루며 형성된다.
휠 베어링(200)이 너클부(100)에 결합 시, 즉 너클부(100)의 너클홀부(110) 및 플랜지본체부(221)의 플랜지홀부(222)를 통과한 체결부재(50)가 조립 시 체결부재(50)의 조임력으로 인해 플랜지부(220)가 변형된다.
리브부(223)는 체결부재(50)가 결합되는 영역 즉, 플랜지본체부(221) 상 플랜지홀부(222) 주변에 체결부재(50) 결합으로 인해 발생되는 변형력이 집중되는 것을 본체부(210) 등 주변으로 분산시킨다.
이로 인해 너클부(100)와 휠 베어링(200)의 결합 시 발생하는 변형력으로 플랜지본체부(221)의 형상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변형력으로 인해 휠 베어링(200)의 진원도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리브부(223)는 플랜지본체부(221) 뿐만 아니라 변형력을 본체부(210)에 고르게 분산시켜, 플랜지본체부(221)에만 변형력이 집중되는 것에 비하여 본체부(210) 내경부의 진원도 악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리브부(223)는 플랜지본체부(221)의 외측에서 본체부(210)에 근접할수록 두께 혹은 높이가 증가되며, 이로 인해 너클부(100)와 휠 베어링(200) 간 체결부재(50)를 통한 결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변형력이 본체부(210)로 급격하게 전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보스부(225)는 플랜지홀부(222)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체결부재(50)를 감싸며, 플랜지본체부(221) 상에서 상측(도 3 기준)으로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 베어링(200)은 보스부(225)가 형성되지 않고 플랜지본체부(221)가 편평한 면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볼트(50) 결합으로 인한 플랜지본체부(221)의 변형력으로 인해 플랜지홀부(222) 주변부가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플랜지홀부(222)의 주변에 가해지는 변형력에 대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휠 베어링(200)의 진원도를 향상시킨다.
보강부(215)는 복수 개의 연결본체(211)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연결본체(211)에 비하여 두께가 크게 형성된다. 본체부(210)의 두께가 동일한 경우, 본체부(210)에서 연결본체(211)를 제외한 부분에서는 연결본체(21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휠 베어링(200)과 너클부(100)의 결합으로 인해 발생되는 변형력에 대한 강성이 취약해진다.
보강부(215)로 인하여 휠 베어링(200)이 너클부(100)에 결합 시 본체부(210)에 가해지는 변형력에 대한 강성을 확보하고, 이로 인해 휠 베어링(200)의 진원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보강부(215)로 인하여 복수 개의 플랜지부(220) 사이에 위치하는 본체부(210)의 두께가 증가하여 변형력에 대한 강성이 증대되고 변형력에 의해 휠 베어링(200)의 진원도가 악화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복수 개의 연결본체(211)와 보강부(215)의 연결부위는 라운드지게 처리되는데, 이로 인해 본체부(210)에 가해지는 변형력이 연결본체(211)와 보강부(215)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너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성보강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너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돌출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돌출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너클 장치(1)는 휠 베어링(300), 너클부(400), 강성보강부(500)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300)은 너클부(400)에 압입되며 결합되는 것으로서, 차량의 바퀴 축이 관통되도록 중앙부가 중공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300)은 원형 관의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롤러베어링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5,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너클부(400)는 휠 베어링(300)과 결합되는 것으로 너클본체(410), 압입부(420), 제1돌출부(430), 제2돌출부(440)를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입부(420)는 너클본체(410)의 외측 방향(도 8 기준 우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휠 베어링(300)이 압입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휠 베어링(3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압입부(420)는 휠 베어링(300)의 외면과 밀착되도록 파이프(PIP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입부(420)는, 압입부(420)의 내경과 압입부(420)의 외경 사이의 간격, 즉 압입부(420)의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된다.
도 5,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돌출부(430)는 너클본체(410)의 외측방향 일측(도 5 기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로어암부(도면 미 도시)가 장착된다.
제1돌출부(430)에는 제1돌출부(430)의 좌우방향(도 8 기준) 두께가 감소되도록 제1돌출부(430)의 일면에서 휠 베어링(300)이 삽입되는 방향(도 8 기준 우측에서 좌측)으로 파이는 제1홈부(431)가 형성된다.
도 5,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돌출부(440)는 너클본체(410)의 외측방향 타측(도 5 기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제1돌출부(430)와 마주보며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돌출부(440)에는 스트럿(STRUT)이 장착된다. 여기에서 스트럿은 차량의 현가장치용 부품으로서 스프링이 장착되고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가 내장되는 것을 말한다. 쇼크업소버는 스프링의 신축 작용을 억제하여 차체를 안정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제2돌출부(440)에는 제2돌출부(440)의 상하방향(도 9 기준) 두께가 감소되도록 제2돌출부(440)의 일면에서 휠 베어링(300)이 삽입되는 방향(도 9 기준 상측에서 하측)으로 파이고, 제2돌출부(440)의 중앙부를 따라 제2돌출부(440)의 연장방향으로 연속되는 제2홈부(441)가 형성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성보강부(500)는 두께를 달리하여 압입부(420)의 외측을 둘러싸며 일체로 결합되는 것으로, 압입부(4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별물로써 결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강성보강부(500)의 내측면과 압입부(420)의 외측면이 밀착되어 결합되고, 압입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강성부의 내측면은 압입부(420)의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강성보강부(500)는 압입부(420)의 외측면을 따라 제1돌출부(430)와 제2돌출부(440) 사이에서의 두께가 제1돌출부(430) 및 제2돌출부(440)가 형성되는 구간에서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너클 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300)은 너클부(400)에 삽입되며, 구체적으로 너클본체(41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압입부(420)에 좌측에서 우측(도 8을 기준)으로 압입 결합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강성보강부(500)는 압입부(420)의 외측을 둘러싸며 일체로 결합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성보강부(500) 및 압입부(420)는 일체로 형성된다.
강성보강부(500)의 내경은 압입부(420)의 외경과 동일하고, 강성보강부(500)의 외경은 구간에 따라 달리 형성된다.
제1돌출부(430) 및 제2돌출부(440)가 형성되는 구간(도 5 기준 상, 하측, 이하 '제1구간')에서는 강성부의 내경, 외경 사이 간격, 즉 강성보강부(500)의 두께가 제1돌출부(430) 및 제2돌출부(440)를 가 형성되는 구간을 제외한 구간(도 5 기준 좌, 우측, 이하 '제2구간')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제2구간에서의 너클부(400)의 강성을 보강하여 제1구간에서 너클부(400)의 강성과 균형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휠 베어링(300)이 압입부(420)에 조립 후 휠 베어링(300) 내측에 결합되는 바퀴 축의 회전 등 진동으로 인해 악화되는 휠 베어링(300)부의 진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돌출부(430)에는 두께가 감소되도록 제1돌출부(430)의 일면에서 휠 베어링(300)이 삽입되는 방향(도 8 기준 좌측)으로 파이는 제1홈부(431)가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제1구간의 강성을 감소시켜 제2구간에서의 강성과 균형을 유지하여 구간 별 강성이 다름으로 인해 휠 베어링(300)의 진원도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1돌출부(430)의 두께가 감소되므로 제1돌출부(430)의 중량이 절감되고, 나아가 너클부(400)의 중량 및 너클 장치(1)의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5,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돌출부(440)에는 두께가 감소되도록 제2돌출부(440)의 일면에서 휠 베어링(300)이 삽입되는 방향(도 9 기준 상측에서 하측)으로 파이는 제2홈부(441)가 형성된다.
제2홈부(441)는 제2돌출부(440)의 중앙부를 따라 제2돌출부(440)의 연장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제1구간의 강성을 감소시켜 제2구간에서의 강성과 균형을 유지하여 구간 별 강성의 차이로 인하여 휠 베어링(300)의 진원도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더하여, 제2돌출부(440)의 두께가 감소되므로 제2돌출부(440)의 중량이 절감되고, 나아가 너클부(400)의 중량 및 너클 장치(1)의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너클 장치 10: 바퀴 축
50: 체결부재 100, 400: 너클부
105: 장착홀부 110: 너클홀부
200, 300: 휠 베어링 210: 본체부
211: 연결본체 213: 본체홀부
215: 보강부 220: 플랜지부
221: 플랜지본체부 222: 플랜지홀부
223: 리브부 225: 보스부
410: 너클본체 420: 압입부
430: 제1돌출부 431: 제1홈부
440: 제2돌출부 441: 제2홈부
500: 강성보강부

Claims (11)

  1. 차량의 바퀴 축이 관통되도록 중앙부가 중공인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고, 너클부의 너클홀부와 대면되도록 배치되며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플랜지홀부가 형성되어 상기 너클부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홀부가 형성되는 플랜지본체부;
    상기 플랜지본체부의 외곽을 따라 상기 바퀴 축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리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베어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는 상기 본체부에 근접할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베어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는 상기 본체부에 근접할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베어링.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는, 상기 플랜지본체부 상에서 상기 플랜지홀부를 기준으로 양 측 외곽을 따라 대칭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베어링.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홀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상기 체결부재를 감싸며, 상기 플랜지본체부 상에 돌출 형성되는 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베어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플랜지부와 각각 접하는 연결본체; 및
    상기 연결본체 사이에 배치되어 이웃한 상기 연결본체를 연결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연결본체보다 두께가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베어링.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본체와 상기 보강부의 내측면은 동심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본체와 상기 보강부의 연결부위는 라운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베어링.
  8. 차량의 바퀴 축이 관통되도록 중앙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는 휠 베어링; 및
    너클본체와, 상기 너클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휠 베어링이 압입 결합되는 압입부가 구비되는 너클부; 및
    두께를 달리하여 상기 압입부의 외측을 둘러싸며 상기 압입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강성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너클부는,
    상기 너클본체의 외측방향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로어암부가 장착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제1돌출부와 마주보며 상기 너클본체의 타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스트럿이 장착되는 제2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성보강부는, 상기 압입부의 외측면을 따라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 사이에서의 두께가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가 형성되는 구간에서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에는, 상기 제1돌출부의 두께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1돌출부의 일면에서 상기 휠 베어링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파이는 제1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클 장치.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에는, 상기 제2돌출부의 두께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2돌출부의 일면에서 상기 휠 베어링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파이고, 상기 제2돌출부의 중앙부를 따라 상기 제2돌출부의 연장방향으로 연속되는 제2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클 장치.
KR1020170039675A 2017-03-29 2017-03-29 차량용 휠 베어링 및 이를 구비하는 너클 장치 KR102214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675A KR102214033B1 (ko) 2017-03-29 2017-03-29 차량용 휠 베어링 및 이를 구비하는 너클 장치
CN201820344695.9U CN208036404U (zh) 2017-03-29 2018-03-14 车辆用轮轴承及含其的转向节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675A KR102214033B1 (ko) 2017-03-29 2017-03-29 차량용 휠 베어링 및 이를 구비하는 너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333A true KR20180110333A (ko) 2018-10-10
KR102214033B1 KR102214033B1 (ko) 2021-02-09

Family

ID=63876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675A KR102214033B1 (ko) 2017-03-29 2017-03-29 차량용 휠 베어링 및 이를 구비하는 너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14033B1 (ko)
CN (1) CN20803640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5819A1 (ja) * 2021-12-10 2023-06-15 本田金属技術株式会社 ナックル鋳物及びナックル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5437A (ja) * 1999-05-26 2000-12-05 Suzuki Motor Corp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ナックル構造
JP2003120686A (ja) * 2001-10-19 2003-04-23 Koyo Seiko Co Ltd 車輪用転がり軸受装置
JP2004036818A (ja) * 2002-07-05 2004-02-05 Koyo Seiko Co Ltd 軸受装置
JP2005289319A (ja) * 2004-04-05 2005-10-20 Ntn Corp 車輪用軸受装置
JP2008030645A (ja) * 2006-07-31 2008-02-14 Ntn Corp 車輪用軸受装置
JP2008173995A (ja) * 2007-01-16 2008-07-31 Ntn Corp 車輪用軸受装置
JP2009154601A (ja) * 2007-12-25 2009-07-16 Ntn Corp 車輪用軸受装置
JP2010006204A (ja) * 2008-06-26 2010-01-14 Ntn Corp 車輪用軸受装置
JP2014088923A (ja) * 2012-10-31 2014-05-15 Nsk Ltd 車輪支持用軸受ユニット
JP2014091469A (ja) * 2012-11-06 2014-05-19 Mazda Motor Corp アルミ製ステアリングナックル
JP2015020732A (ja) * 2013-07-24 2015-02-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5437A (ja) * 1999-05-26 2000-12-05 Suzuki Motor Corp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ナックル構造
JP2003120686A (ja) * 2001-10-19 2003-04-23 Koyo Seiko Co Ltd 車輪用転がり軸受装置
JP2004036818A (ja) * 2002-07-05 2004-02-05 Koyo Seiko Co Ltd 軸受装置
JP2005289319A (ja) * 2004-04-05 2005-10-20 Ntn Corp 車輪用軸受装置
JP2008030645A (ja) * 2006-07-31 2008-02-14 Ntn Corp 車輪用軸受装置
JP2008173995A (ja) * 2007-01-16 2008-07-31 Ntn Corp 車輪用軸受装置
JP2009154601A (ja) * 2007-12-25 2009-07-16 Ntn Corp 車輪用軸受装置
JP2010006204A (ja) * 2008-06-26 2010-01-14 Ntn Corp 車輪用軸受装置
JP2014088923A (ja) * 2012-10-31 2014-05-15 Nsk Ltd 車輪支持用軸受ユニット
JP2014091469A (ja) * 2012-11-06 2014-05-19 Mazda Motor Corp アルミ製ステアリングナックル
JP2015020732A (ja) * 2013-07-24 2015-02-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5819A1 (ja) * 2021-12-10 2023-06-15 本田金属技術株式会社 ナックル鋳物及びナック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033B1 (ko) 2021-02-09
CN208036404U (zh) 2018-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8101B2 (en) Suspension structure, bush structure and suspension characteristic adjusting method
US4702722A (en) Universal joint yoke
KR102072142B1 (ko) 스태빌라이저용 부시, 접착용 공구, 및, 접착 방법
JP2006234046A (ja) 防振装置
JP2021017978A (ja) チューニング自由度改善型ブッシュおよび懸架システム
KR20180110333A (ko) 차량용 휠 베어링 및 이를 구비하는 너클 장치
KR102586452B1 (ko) 휠옵셋 가변형 휠 조립체
US20020104719A1 (en) Apparatus for mounting a disk brake
WO2011036890A1 (ja) トルクロッド
KR101637258B1 (ko) 차량의 드라이브 샤프트용 체결유닛
US6554713B2 (en) Coupling for coupling two shafts
JP4721044B2 (ja) 円筒部材の取付構造
KR20200122775A (ko) 변형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드라이브 액슬
JPH06329033A (ja) 弾性軸継手
JP4496488B2 (ja) 筒型ダイナミックダンパ
WO2023181401A1 (ja) エアレスタイヤ
JP7372041B2 (ja) センターベアリング
JPH08128482A (ja) 筒型防振マウント
JPS60184718A (ja) 弾性軸継手
JPH0141949Y2 (ko)
JPS61201924A (ja) 弾性軸継手
JPS61197820A (ja) 自在継手用ヨ−ク
JPH0357521Y2 (ko)
KR100889000B1 (ko) 너클 브라켓의 용접 방법
JP2014114885A (ja) トーコレクトブッシ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