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8575A -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 Google Patents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575A
KR20180108575A KR1020187018071A KR20187018071A KR20180108575A KR 20180108575 A KR20180108575 A KR 20180108575A KR 1020187018071 A KR1020187018071 A KR 1020187018071A KR 20187018071 A KR20187018071 A KR 20187018071A KR 20180108575 A KR20180108575 A KR 20180108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particle
reflective film
containing lay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8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이치 와카하라
히로노리 신카이
요시히코 사카구치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08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5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64Polyamide p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에지 라이트형 액정 백라이트의 휘도 불균일 저감을 도모함과 함께, 도광판과 반사 필름이 맞스침으로써 발생하는 반사 필름 표면 대미지 저감이 우수한 반사 필름을 제공한다. 기재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구상 입자를 함유하는 입자 함유층을 갖고, 다음 (i) 및 (ii)를 만족시키는,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
(i) 상기 구상 입자의 압축 변위 곡선이 제1 변곡점 및 제2 변곡점의 적어도 2개의 변곡점을 갖는 것
(ii) 상기 압축 변위 곡선에서 입자 직경의 50% 이상의 변위율의 범위 내에 제2 변곡점을 갖는 것

Description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본 발명은, 에지 라이트형 액정 백라이트의 휘도 불균일 저감을 도모하는 반사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광판과 반사 필름이 맞스침으로써 발생하는 반사 필름 표면의 대미지(반사 필름의 표면 깎임) 저감이 우수한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층을 배면으로부터 비추어서 발광되는 백라이트 방식이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이 백라이트 방식으로서는, 에지 라이트형과 직하형이 알려져 있다.
이들의 백라이트에 사용되는 반사 필름으로서, 백색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입자를 함유하는 비즈층(입자 함유층 또는 도포층이라고도 함)이 적층되어, 표면에 입자에 의한 볼록부(돌기)가 형성된 반사 필름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의 휘도 향상이나 휘도 불균일 억제를 위해서, 입자의 피복률, 입자의 적층 수, 돌기 높이, 돌출되는 입자 개수 등을 규정한 비즈층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내지 4).
또한, 에지 라이트 형 액정 백라이트를 구성하는 도광판과 반사 필름의 부착을 억제하기 위해서, 또는 도광판과 반사 필름의 접촉에 의해 도광판에 스크래치 흠집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비즈층에 함유되는 입자의 10% 압축 강도를 특정한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5).
근년, 액정 TV의 가일층의 박형화를 위해서,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에 있어서, 도광판이나 배면 하우징의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고, 각 부재의 평면성의 악화에 의해, 신뢰성 시험 시에 도광판과 반사 필름이 맞스치는 부하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곡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백라이트 유닛에 국소적으로 강한 부하를 가하기 쉬운, 곡면 설계의 TV도 보급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도광판과 반사 필름의 밀착 방지에 의한 휘도 불균일 방지나 도광판으로의 스크래치 흠집 저감에 더하여, 대미지를 받기 어려운 반사 필름 표면이 요구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입자 함유층의 입자가 깎여서 발진하는 등의 우려가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8584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4432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4423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10639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11/105294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반사 필름의 입자 함유층에 함유되는 구상 입자가, 압축 변위 곡선에서, 적어도 2개의 변곡점을 갖고, 또한, 입자 직경의 50% 이상의 변위율의 범위 내에 후술에서 정의하는 제2 변곡점을 가짐으로써,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 있어서 휘도 불균일을 개선하고, 특히 유효하게 반사 필름의 표면 깎임을 저감할 수 있는, 반사 필름을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수단을 채용한다.
(1) 기재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구상 입자를 함유하는 입자 함유층을 갖고, 다음 (i) 및 (ii)를 만족시키는,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
(i) 상기 구상 입자의 압축 변위 곡선이 제1 변곡점 및 제2 변곡점의 적어도 2개의 변곡점을 갖는 것
(ii) 상기 압축 변위 곡선에서 입자 직경의 50% 이상의 변위율의 범위 내에 제2 변곡점을 갖는 것
(2) 기재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부정형 입자를 함유하는 입자 함유층을 갖고, 다음 (i) 내지 (iii)을 만족시키는,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
(i) 상기 부정형 입자의 진구도 S가 0.65<S<0.80인 것
(ii) 상기 입자 함유층의 표면 마찰 시험 전후의 광택도 변화가 10 이하인 것
(iii) 상기 입자 함유층의 표면 볼록부 높이가 20 내지 60㎛인 것
(3) 상기 구상 입자 또는 부정형 입자의 50% 압축 강도가 30MPa 이하인, (1) 또는 (2)에 기재된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
(4) 상기 부정형 입자가 나일론 6을 포함하는 (2) 또는 (3)에 기재된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
(5) 상기 구상 입자 또는 부정형 입자가 지환 구조를 갖는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1) 내지 (4)에 기재된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
(6)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본 발명의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는, 상기 반사 필름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도광판면측에 반사 필름 표면의 볼록부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 있어서 휘도 불균일을 개선하고, 특히 유효하게 반사 필름의 표면 깎임을 저감할 수 있는 반사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입자의 압축 변위 곡선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부정형 입자의 SEM 관찰 결과의 일례이다.
도 3은, 부정형 입자의 단면 형상에서 최소 외접원을 기재한 모식도이다.
도 4는, 입자 함유층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반사 필름 표면 깎임 평가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 있어서 휘도 불균일을 개선하고, 또한 특히 유효하게 반사 필름의 표면 깎임을 저감할 수 있는 반사 필름에 대하여 예의 검토하고, 반사 필름에 있어서의 입자 함유층에 함유되는 구상 입자의 압축 변위 곡선의 변곡점 수, 및 변곡점이 발생하는 변위율이 특정한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상기 과제가 해결할 수 있는 것을 구명한 것이다.
[반사 필름의 표면 깎임]
본 발명에 따른 반사 필름의 표면 깎임이란, 도광판과 반사 필름이 맞스쳤을 때에, 입자 함유층의 입자가 대미지를 받아서 발진하는 것을 의미한다.
[백색점 얼룩]
본 발명에 따른 백색점 얼룩이란, 도광판과 반사 필름에 국소적인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백라이트를 점등했을 때에 눈으로 봐서 가압부가 명부로 되는 얼룩을 의미한다.
[휘도 불균일]
본 발명에 따른 휘도 불균일이란 백라이트를 점등했을 때에 눈으로 봐서 관찰되는, 도광판과 반사 필름의 밀착 불균일이며, 이하에 기재하는 불균일을 의미한다.
(i) 줄무늬상의 불균일
(ii) 웅덩이상의 불균일
(iii) 암부로 되어 보이는 불균일
[도광판 깎임]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 깎임이란, 반사 필름과 대향하는 도광판 표면에 형성된 볼록부(예를 들어 스크린 인쇄로 형성되는 인쇄 도트)의 일부 또는 전부가 탈락하거나, 또는 볼록부 표면에 스크래치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입자 함유층]
본 발명에 따른 입자 함유층은, 적어도 입상 입자 또는 부정형 입자와 결합제 수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입자 함유층은 그 표면에 볼록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이하, 볼록부를 표면 볼록부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 볼록부는 입자 함유층에 함유되는 입자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기타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입자 함유층의 형성 방법]
본 발명에 따른 입자 함유층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당한 결합제 수지와 구상 입자 또는 부정형 입자를 적당한 용매에 혼합시켜, 기재 필름에 도포한 후, 건조함으로써, 기재 필름 표면에 입자 함유층을 형성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구상 입자]
본 발명에 따른 구상 입자는, 진구도 S가 0.80 이상의 입자를 말한다. 진구도 S는, 반사 필름에 있어서의 입자의 단면 사진에서 입자 단면에 외접하는 최소의 원을 기재했을 때, 해당 최소 외접원의 면적과 입자 단면의 면적비로 표시되며, S=(입자 단면의 면적)/(최소 외접원의 면적)이다. 입자의 단면 형상은 이하와 같이 하여 관찰한다. 반사 필름의 표면을 실체 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입자의 무게 중심을, 니혼 마이크로톰 겐큐쇼(주)제 로터리식 마이크로톰을 사용하여, 나이프 경사 각도 3°로 반사 필름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하여, 얻어진 반사 필름 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주)히다치 세이사쿠쇼제 S-3400N)(500 내지 1,000배)로 관찰한다. 임의의 10점을 측정하고, 각각에 대하여 진구도 S를 산출하여, 그 평균값을 「진구도 S」로 한다. 진구도 S가 0.80 이상이 되면 당해 반사 필름은 구상 입자를 함유한다고 판단한다.
[구상 입자의 압축 변위 곡선]
본 발명에 따른 입자 함유층에 함유되는 구상 입자의 압축 변위 곡선은, 제1 변곡점 및 제2 변곡점의 적어도 2개의 변곡점을 갖고, 입자 직경의 50% 이상의 변위율의 범위 내에 제2 변곡점을 갖는다. 변곡점이 1개 이하인 경우, 탄성 변형이 충분하지 않아, 입자가 파쇄되는 경우가 있다. 제2 변곡점이 입자 직경의 50% 미만의 변위율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도 파단 에너지가 작고, 입자가 분열하기 쉽기 때문에, 모두 반사 필름의 표면 깎임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 함유층에 함유되는 구상 입자의 압축 변위 곡선은, 적어도 2개의 변곡점을 갖고 있으면 되고, 2개의 변곡점을 갖고 있어도 되고, 3개 이상의 변곡점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3개의 변곡점을 갖는 예로서, 제1 변곡점 및 입자 직경의 50% 이상의 변위율의 범위 내에 제2 변곡점을 갖고, 추가로 입자 직경의 50% 이상의 변위율의 범위 내에 제3 변곡점을 갖는 것과 같은 경우를 들 수 있다. 측정은 이하와 같이 행하였다.
(i) 입자 샘플링
실체 현미경(Nikon제, SMZ1500)을 사용하여, 배율 20 내지 200배로 적절히 조절하여 입자 함유층의 표면을 관찰하면서 금속제의 지그로 입자 함유층에 포함되는 입자를 샘플링한다.
(ii) 입자 직경 측정
(주)시마즈 세이사쿠쇼제의 미소 압축 시험기 MCTW-500을 사용하여, 장치 부속의 광학 현미경으로 시험하는 입자를 상부로부터 관찰하고, 입자 직경을 측정한다. 입자 직경에 대해서는 실시예의 항에서 후술한다.
(iii) 압축 변위 곡선
다이아몬드제 평면 압자(Φ=50 ㎛)를 사용하여, 부하 속도 0.9mN/s, 최대 하중 100mN의 조건에서, 임의로 선택한 입자 1개를 압축하고, 하중과 변위를 측정한다. 도 1에는, 압축 변위 곡선의 예를 나타낸다. x축은 변위율(=변위/입자 직경×100), y축은 하중(단위: mN)으로 하고, 압축 변위 곡선을 작성한다. 데이터의 샘플링 레이트는, 0.05s로 한다.
(iv) 제1 변곡점
변위율이 0% 이상 10% 이하의 데이터 범위의 선형 근사 직선 L1의 기울기 D1과 변위율이 25% 이상 35% 이하의 데이터 범위의 선형 근사 직선 L2의 기울기 D2의 차(D1-D2)가 0.2 이상인 경우, 제1 변곡점이 존재한다고 정의하고, L1과 L2의 교점으로부터 압축 변위 곡선 방향으로 수선을 그어, 당해 수선과 압축 변위 곡선의 교점을 제1 변곡점으로 한다.
선형 근사 직선의 기울기는, Microsoft Excel(Microsoft Office2010)을 사용하여 산출한다.
(v) 제2 변곡점
변위율이 25% 이상 35% 이하의 데이터 범위의 선형 근사 직선 L2의 기울기 D2와 변위율이 60% 이상 70% 이하의 데이터 범위의 선형 근사 직선 L3의 기울기 D3의 차(D3-D2)가 0.8 이상인 경우, 제2 변곡점이 존재한다고 정의하고, L2와 L3의 교점으로부터 압축 변위 곡선 방향으로 수선을 그어, 당해 수선과 압축 변위 곡선의 교점을 제2 변곡점으로 한다. 제2 변곡점의 x 좌표인 변위율이 50% 이상인 경우를, 입자 직경의 50% 이상의 변위율의 범위 내에 제2 변곡점을 갖는다고 정의하고, 추가로 제2 변곡점에서의 변위율을 구하였다.
선형 근사 직선의 기울기는, Microsoft Excel(Microsoft Office2010)을 사용하여 산출한다.
(vi) 50% 압축 강도
변위율이 50%일 때의 하중과 압축 전의 입자 직경을 사용하여 다음 식으로 산출한다.
압축 강도(Pa)=2.8×하중(N)/{π×(입자 직경(m))2}
(i) 내지 (vi)에 대해서, 임의로 채취한 5 샘플에 대하여 각각 산출하고, 그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구상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
본 발명에 따른 입자 함유층에 함유되는 구상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15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이다.
15㎛ 미만인 경우,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서의 휘도 불균일이 커지는 경우가 있고, 80㎛보다도 큰 경우, 입자 탈락이나 도재(塗材) 중에서의 침강에 의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구상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주사형 전자 현미경((주)히다치 세이사쿠쇼 S-3400N)으로 관찰한 단면 사진 상에서, 구상 입자를 완전히 둘러싸는 면적이 가장 작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그려, 정사각형의 경우에는 1변의 길이, 직사각형의 경우에는, 긴 변의 길이를 입자 직경으로 하였다. 상세는 실시예의 항에 기재한다.
[구상 입자를 함유하는 입자 함유층의 표면 볼록부 높이]
본 발명에 따른 구상 입자를 함유하는 입자 함유층에 있어서의 표면 볼록부 높이는, 15 내지 8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이다.
15㎛ 미만인 경우,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서의 휘도 불균일이 커지는 경우가 있고, 80㎛보다도 큰 경우에는, 도광판과 반사 필름에 가해지는 부하가 커지기 쉬워져, 도광판의 흠집 발생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도 4에는, 입자 함유층의 단면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도 4는 입자 함유층에 있어서의 볼록부가 입자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 4에 도시하는 대로, 기재 필름 표면(3)과 볼록부 표면의 가장 높은 점(볼록부의 정점)의 거리 H를 표면 볼록부의 높이로 하여, 임의의 10점의 평균값을 「표면 볼록부 높이」로 한다.
[구상 입자를 함유하는 입자 함유층의 표면 볼록부 개수]
본 발명에 따른 구상 입자를 함유하는 입자 함유층에 있어서의 표면 볼록부 개수는, 10 내지 1,500개/㎟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50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300개/㎟이다.
볼록부 개수가 10개/㎟보다 적은 경우, 도광판과 반사 필름이 밀착하기 쉬워져, 휘도 불균일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1,500개/㎟보다 많은 경우도, 도광판과 반사 필름의 접촉점이 증가하기 때문에, 휘도 불균일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입자 함유층에 있어서의 표면 볼록부 개수의 측정에 대해서는 실시예의 항에서 상세를 설명한다.
[구상 입자 및 부정형 입자의 조성]
본 발명에 따른 구상 입자 및 부정형 입자의 조성은, 구상 입자의 압축 변위 곡선이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기계, 무기계,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조성으로서는, 비정질성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조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비전방향족 폴리아미드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지방족 폴리아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지환 구조를 갖는 폴리아미드가 바람직하고, 지환 구조를 갖는 폴리아미드가 가장 바람직하다.
비정질성의 폴리아미드로서는,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3,3'-디메틸-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과 이소프탈산과 12-아미노도데칸산의 공중합체(예시하면, "그릴아미드"(등록 상표) TR55, 엠더벨케사제), 하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3,3'-디메틸-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과 도데카이산의 공중합체(예시하면, "그릴아미드"(등록 상표) TR90, 엠더벨케사제), 하기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3,3'-디메틸-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과 이소프탈산과 12-아미노도데칸산의 공중합체와 3,3'-디메틸-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과 도데카이산의 공중합체의 혼합물(예시하면, "그릴아미드"(등록 상표) TR70LX, 엠더벨케사제), 하기 일반식 (4)로 표시되는 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과 도데카이산의 공중합체(예시하면, "TROGAMID"(등록 상표) CX7323, 데구사사제),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부정형 입자]
본 발명에 따른 입자 함유층이 함유하는 부정형 입자의 외관 형상의 일례를 도 2에 도시한다. 도 3은 부정형 입자의 단면 형상의 모식도인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정형 입자의 단면 사진에서 부정형 입자(11)에 외접하는 최소의 원(12)(최소 외접원)의 면적과 입자 단면의 면적비를 진구도 S로 했을 경우, 실시예의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어진 진구도 S=(입자 단면의 면적)/(최소 외접원의 면적)이 0.65<S<0.80을 충족시키는 경우, 부정형 입자를 포함한다고 판단한다. 부정형 입자의 단면 형상에 대해서는 실시예의 항에서 상세를 설명한다.
[부정형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
본 발명에 따른 입자 함유층이 함유하는 부정형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15 내지 60㎛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0㎛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이다.
15㎛ 미만인 경우,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서의 휘도 불균일이 커지는 경우가 있고, 60㎛보다도 큰 경우, 입자 탈락이나 도제(塗劑) 중에서의 침강에 의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평균 입자 직경의 측정에 대해서는 실시예의 항에서 상세를 설명한다.
또한, 반사 필름의 표면 깎임성 향상에는, 2종류 이상의 입자 직경 입자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입자 직경의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도광판과 접촉하는 입자 수가 적절하게 변동되는 것이, 표면 깎임성이 향상되는 이유라고 추정된다.
[부정형 입자를 포함하는 입자 함유층의 표면 볼록부 높이]
본 발명에 따른 부정형 입자를 함유하는 입자 함유층에 있어서의 표면 볼록부 높이는, 20 내지 60㎛이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0㎛이다.
20㎛ 미만인 경우,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서의 휘도 불균일이 커지는 경우가 있고, 60㎛보다도 큰 경우에는, 도광판과 반사 필름에 가해지는 부하가 커지기 쉬워져, 도광판 깎임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부정형 입자를 포함하는 입자 함유층 표면의 볼록부 개수]
본 발명에 따른 부정형 입자를 함유하는 입자 함유층에 있어서의 표면 볼록부 개수는, 10 내지 1,500개/㎟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50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300개/㎟이다. 볼록부 개수가 10개/㎟보다 적은 경우, 도광판과 반사 필름이 밀착하기 쉬워져, 휘도 불균일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1,500개/㎟보다 많은 경우도, 도광판과 반사 필름의 접촉점이 증가하기 때문에, 휘도 불균일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입자 함유층에 있어서의 표면 볼록부 개수의 측정에 대해서는 실시예의 항에서 상세를 설명한다.
[표면 마찰 시험 전후의 광택도 변화]
본 발명에 따른 입자 함유층의 표면 마찰 시험 전후의 광택도 변화는, 10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7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광택도 변화가 10보다도 큰 경우에는, 도광판과 반사 필름이 맞스침으로써 발생하는 반사 필름 표면의 대미지가 커서, 휘도 불균일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표면 마찰 시험 전후의 광택도 변화는, 입자 함유층 표면을 사포(산쿄 리까 세이시 페이퍼 #400)로 마찰하여, 그 전후의 입자 함유층 표면의 광택도를 비교함으로써 평가한다.
[부정형 입자의 조성]
본 발명에 따른 부정형 입자의 조성은 나일론 6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부정형 입자는 나일론 6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일론 6은 나일론 12나 나일론 12와 나일론 6의 공중합체와 비교하여 반사 필름의 표면 깎임성이 양호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나일론 12나 나일론 12와 나일론 6의 공중합체와 비교하여, 나일론 6은, 탄성률이나 최대 신도율이 커서, 입자가 파쇄하기 어렵기 때문에, 표면 깎임성이 양호해진다고 추정된다.
[결합제 수지의 조성]
본 발명에 따른 입자 함유층을 구성하는 결합제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기 성분을 주체로 하는 수지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지, 불소계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 수지가 내열성, 입자 분산성, 도포성, 광택도의 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입자 함유층의 내광성이라고 하는 점에서는, 입자 함유층 중에서도,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화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로서는, 무기계와 유기계로 크게 구별되지만, 함유하는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러한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는 결합제 수지와 혼합하는 등의 방법이어도 된다. 이러한 입자 함유층으로부터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화제가 블리드 아웃하는 것을 방지하고 싶은 경우에는, 예를 들어 해당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는 결합제 수지와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화제를 공중합하는 등의 방법이어도 된다.
이러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세륨 등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산화아연, 산화티타늄 및 산화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블리드 아웃하지 않고, 경제성, 내광성, 자외선 흡수성, 광 촉매 활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자외선 흡수제는, 필요에 따라 몇 종류 병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 중에서도 산화아연 또는 산화티타늄이 경제성, 자외선 흡수성, 광 촉매 활성이라고 하는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벤조트리아졸, 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벤조트리아졸은 구조 내에 질소를 함유하기 때문에 난연제로서의 작용도 갖기 때문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자외선 흡수제는, 자외선을 흡수할 뿐이고,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생하는 유기 라디칼을 포착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라디칼에 의해 연쇄적으로 기재 필름이 열화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의 라디칼 등을 포착하기 위하여 광 안정화제가 적합하게 병용된다. 이러한 광 안정화제로서는 힌더드 아민(HALS)계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여기서, 이러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광 안정화제를 고정시키는 공중합 단량체로서는 아크릴계, 스티렌계 등의 비닐계 단량체가 범용성이 높고, 경제적으로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중합 단량체 중에서도 스티렌계 비닐 단량체는 방향족환을 갖고 있기 때문에, 황변하기 쉽다. 내광성이라고 하는 점에서는, 아크릴계 비닐 단량체와의 공중합이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벤조트리아졸로서는, 해당 벤조트리아졸에 반응성 비닐 단량체가 치환된 것으로서, 2-(2'-히드록시-5'-메타크릴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상품명: RUVA-93); 오츠카 가가꾸(주)제)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에 있어서도, 이것에 반응성 비닐 단량체가 치환된 것으로서, 4-메타크릴로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아데카스탭 LA-82」; (주)ADEKA제)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벤조트리아졸, 벤조페논 등의 유기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지, 또는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반응성 단량체를 공중합한 수지, 나아가 이들에 힌더드 아민(HALS)계 반응성 단량체 등의 광 안정제를 함유 및/또는 공중합한 수지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반응성 단량체를 공중합한 수지, 나아가 이들에 힌더드 아민(HALS)계 반응성 단량체를 공중합한 수지 등을 포함하는 유기 자외선 흡수 수지는 박층으로 자외선 흡수 효과가 높고, 보다 바람직하다. 그 중 벤조트리아졸은 구조 내에 질소를 함유하기 때문에 난연제로서의 작용도 갖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의 제조 방법 등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2-90515호 공보의 단락 〔0019〕 내지 〔0039〕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 단량체와 자외선 흡수제의 공중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주)닛폰 쇼쿠바이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른 기재 필름은, 백라이트의 반사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시광선 반사율이 높으면 높은 쪽이 좋다. 이를 위해서는 내부에 기포 및/또는 비상용의 입자를 함유하는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의 기재 필름으로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공질의 미연신, 또는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다공질의 미연신 또는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계나 폴리에스테르계가 예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특히 성형성이나 생산성의 점에서 폴리에스테르계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의 제조 방법 등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 공개 평8-262208호 공보의 단락 〔0034〕 내지 〔0057〕, 일본 특허 공개 제2002-90515호 공보의 단락 〔0007〕 내지 〔0018〕,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38150호 공보의 단락 〔0008〕 내지 〔0034〕 등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일본 특허 공개 제2002-90515호 공보 중에 개시되어 있는 다공질 백색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전술한 이유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기재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내열성이나 반사율의 점에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와의 혼합 및/또는 공중합한 다공질 백색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다공질 백색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자체의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무기 입자를 함유하는 다공질 백색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재 필름 중에 함유하는 무기 입자의 함유율은, 기재 필름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2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질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재 필름의 구성은, 사용하는 용도나 요구하는 특성에 의해 적절히 선택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1층 이상의 구성을 갖는 단층 및/또는 2층 이상의 복합 필름이 바람직하고, 그 적어도 1층 이상에 기포 및/또는 무기 입자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층 구성(=1층)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단층의 A층만의 기재 필름이고, 상기 A층에 무기 입자 및/또는 기포를 함유시킨 구성의 것을 들 수 있다. 그 무기 입자의 함유율은 기재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2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질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이다.
또한, 2층 구성의 예로서는, 상기 A층에 B층을 적층한, A층/B층의 2층 구성의 기재 필름이고, 이들 A, B층 적어도 어느 쪽이 1층 중에, 무기 입자 및/또는 기포를 함유시킨 구성의 것을 들 수 있다. 그 무기 입자의 함유율은 기재 필름의 전체 질량, 즉 2층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2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질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상이다.
또한, 3층 구성의 예로서는, 상기 마찬가지로, A층/B층/A층이나 A층/B층/C층의 3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3층 적층 구조의 기재 필름이다. 각 층 중 적어도 1층 중에, 무기 입자 및/또는 기포를 함유시킨 구성의 것을 들 수 있다. 그 무기 입자의 함유율은, 상기 마찬가지로, 기재 필름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2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상이다. 3층 구성의 경우, 생산성의 관점에서 B층이 기포를 함유하는 층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재 필름에 함유하는 무기 입자의 수 평균 입자 직경은, 0.3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무기 입자로서는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아연,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세륨, 산화마그네슘, 황산바륨, 황화아연, 인산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마이카, 운모티타늄, 탈크, 클레이, 카올린, 불화리튬, 불화칼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재 필름 중 3층 구성의 백색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비상용 중합체로서 폴리메틸펜텐을, 저비중화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공중합물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넣는다. 그것을 충분히 혼합·건조시켜서 270 내지 300℃의 온도로 가열된 압출기 B에 공급한다. BaSO4, CaCO3, TiO2 등의 무기물 및/또는 유기물 첨가제를 포함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압출기 A에 공급한다. 그리고, T 다이 3층 구금 내에서 압출기 B의 중합체가 내층(B층)에, 압출기 A의 중합체가 양쪽 표층(A층)에 배치되도록 하여, A층/B층/A층이 되는 구성의 3층으로 적층한다.
이 용융 적층 시트를, 드럼 표면 온도 10 내지 60℃로 냉각된 드럼 상에서 정전기력으로 밀착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필름을 얻는다. 해당 미연신 필름을 80 내지 120℃로 가열한 롤 군으로 유도하고, 길이 방향으로 2.0 내지 5.0배 세로 연신하여, 20 내지 50℃의 롤 군에서 냉각한다. 계속해서, 이 세로 연신한 필름의 양단을 클립에서 파지하면서 텐터로 유도하여 90 내지 140℃로 가열된 분위기 중에서 길이에 수직인 방향으로 가로 연신한다. 이 경우, 연신 배율은 세로, 가로 각각 2.5 내지 4.5배로 연신하는데, 그 면적 배율(세로 연신 배율×가로 연신 배율)은 9 내지 16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면적 배율이 9배 미만이면 얻어지는 필름의 흼이 불량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면적 배율이 16배를 초과하면, 연신 시에 찢어짐을 발생하기 쉬워져, 제막성이 불량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하여 2축 연신된 필름에 평면성,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텐터 내에서 150 내지 230℃의 열 고정을 행하여, 균일하게 서냉하고, 추가로, 실온까지 냉각한 후, 권취기로 권취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재 필름을 얻는다.
이러한 기재 필름의 예로서는, 먼저 단층 구성의 백색 필름으로서는, "루미러"(등록 상표) E20(도레이(주)제), SY64, SY74(SKC제) 등을 들 수 있고, 2층 구성의 백색 필름으로서는, "테트론"(등록 상표) 필름 UXZ1, UXSP(데이진 듀퐁 필름(주)제) 등을 들 수 있다. 3층 구성의 백색 필름으로서는, "루미러"(등록 상표) E6SL, E6SR, E6SQ, E85D "테트론"(등록 상표) 필름 UX, UXH(데이진 듀퐁 필름(주)제) 등을 들 수 있다.
[입자 함유층을 형성할 때에 사용하는 유기 용제]
이러한 입자 함유층을 형성할 때에 사용하는 유기 용제란, 물질을 용해하는 성질을 갖는 유기 화합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톨루엔, 크실렌, 스티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클로로벤젠, 오르토디클로로벤젠 등의 염화 방향족 탄화수소류, 모노클로로메탄 등의 메탄 유도체, 모노클로로에탄 등의 에탄 유도체 등을 포함하는 염화 지방족 탄화수소류,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에틸에테르, 1,4-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글리콜에테르류, 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류, 노르말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방향족 탄화수소계, 케톤계, 에스테르계의 유기 용제가 바람직하다.
결합제 수지 등을 용해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근년의 VOC(휘발성 유기 화합물) 규제 등으로부터, 톨루엔, 크실렌의 사용은 피한 쪽이 바람직하고, 용해성, 범용성, 비용 면에서,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조 속도를 조정할 수 있는 점에서 비점이 다른 2종류 이상의 용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 함유층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재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임의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제 수지와 구상 입자를 함유한 도액을 그라비아 코팅, 롤 코팅, 스핀 코팅, 리버스 코팅, 리버스키스 코팅, 바 코팅, 스크린 코팅, 블레이드 코팅, 에어나이프 코팅, 슬릿 다이 코팅, 립 코팅 및 디핑 등의 각종 도포 방법을 사용하여 기재 필름 제조 시에 도포(인라인 코팅)하거나, 결정 배향 완료 후의 기재 필름 상에 도포(오프라인 코팅)하거나 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도포 시공 유효 폭에 제한이 적고, 제품 폭의 유연하게 대응하는 경우에는, 리버스키스 코팅을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기재 필름 및 입자 함유층에 사용할 수 있는 기타의 첨가제]
이러한 기재 필름 및 입자 함유층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유기 및/또는 무기의 미립자, 형광 증백제, 가교제, 내열 안정제, 내산화 안정제, 유기의 활제, 대전 방지제, 핵제, 염료, 충전제, 분산제, 난연제 및 커플링제 등을 첨가·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반사 필름의 용도]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에지 라이트 방식의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및 조명용 면 광원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법 및 평가법을 이하에 나타내었다.
(1) 입자 형상
반사 필름의 표면을 실체 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입자의 무게 중심을, 니혼 마이크로톰 겐큐쇼(주)제 로터리식 마이크로톰을 사용하여, 나이프 경사 각도 3°로 반사 필름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하여, 얻어진 반사 필름 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주)히다치 세이사쿠쇼제 S-3400N)(500 내지 1,000배)으로 관찰하였다. 임의의 10점을 측정하고, 각각에 대하여 진구도 S=(입자 단면의 면적)/(최소 외접원의 면적)를 산출하여, 그 평균값을 「진구도 S」로 하였다.
(2) 구상 입자의 압축 변위 곡선
(i) 입자 샘플링
실체 현미경(Nikon제, SMZ1500)을 사용하여, 배율 20 내지 200배로 적절히 조절하여 입자 함유층의 표면을 관찰하면서 금속제의 지그로 입자 함유층에 포함되는 입자를 샘플링하였다. 입자에 결합제 수지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결합제 수지가 용해하는 용매에 의해 결합제 수지를 제거한다.
(ii) 입자 직경 측정
(주)시마즈 세이사쿠쇼제의 미소 압축 시험기 MCTW-500을 사용하여, 장치 부속의 광학 현미경으로 시험하는 구상 입자를 상부로부터 관찰하여, 입자 직경을 측정하였다. 여기에서 말하는 입자 직경은, 관찰 사진 상에서 1개의 입자를 평면적으로 완전히 둘러싸는 면적이 가장 작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즉, 4변에 입자의 단부가 접하고 있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에서, 정사각형의 경우에는 1변의 길이, 직사각형의 경우에는 긴 변의 길이(장축 직경)를 말한다.
(iii) 미소 압축 시험
(주)시마즈 세이사쿠쇼제의 미소 압축 시험기 MCTW-500을 사용하여, 이하의 측정 조건에서 압축 변위 곡선을 측정하고, 제1 변곡점, 제2 변곡점의 유무, 제2 변곡점에서의 변위율을 구하였다.
사용 압자: 다이아몬드제 평면 압자(Φ=50㎛)
최대 하중: 100mN
부하 속도: 0.901mN/s
50% 압축 강도에 대해서는, 변위율이 50%일 때의 하중과 압축 전의 입자 직경을 사용하여 다음 식으로 산출하였다.
압축 강도(Pa)=2.8×하중(N)/{π×(입자 직경(m))2}
임의의 입자를 5점 선택하여, 각각의 입자에서 각 데이터를 산출한 후, 그것들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제2 변곡점에서의 변위율」, 「50% 압축 강도」로 하였다.
(3)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
반사 필름의 표면을 실체 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니혼 마이크로톰 겐큐쇼(주)제 로터리식 마이크로톰을 사용하고, 나이프 경사 각도 3°로 구상 입자의 무게 중심을 반사 필름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하였다. 얻어진 반사 필름 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주)히다치 세이사쿠쇼제 S-3400N)(500 내지 1,000배)으로 관찰하고, 그 단면 사진으로부터, 입자의 입자 직경을 계측하였다. 여기서, 입자 직경은 단면 사진 상에서 1개의 입자를 평면적으로 완전히 둘러싸는 면적이 가장 작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즉, 4변에 입자가 접하고 있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그리고, 정사각형의 경우에는 1변의 길이, 직사각형의 경우에는 긴 변의 길이(장축 직경)를 입자 직경으로 하였다(즉, 가장 긴 정방향 접선 직경을, 입자 직경으로 하였다). 임의의 30점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평균 입자 직경」으로 하였다.
(4) 입자 함유층의 표면 볼록부 높이
반사 필름의 표면을 실체 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볼록부의 무게 중심을 니혼 마이크로톰 겐큐쇼(주)제 로터리식 마이크로톰을 사용하여, 나이프 경사 각도 3°로 반사 필름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한 샘플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반사 필름 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주)히다치 세이사쿠쇼제 S-3400N)(500 내지 1,000배)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단면 사진 상에서 기재 필름 표면과 볼록부 표면의 가장 높은 점(볼록부의 정점)의 거리를 표면 볼록부의 높이로 하고, 임의의 10점의 측정 결과의 평균값을, 「표면 볼록부 높이」로 하였다.
(5) 입자 함유층의 표면 볼록부 개수
입자 함유층의 표면 볼록부 개수는, 키엔스사제 레이저 현미경 VK-9700을 사용하여 행한다. 대물 렌즈의 배율을 50배로 설정하여 샘플의 관찰을 행하고, 높이가 1㎛ 이상으로 검출되는 부분을 볼록부로서 카운트한다. 임의의 10점을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1㎟당의 볼록부 개수로 환산하여 「표면 볼록부 개수」로 하였다.
(6) 표면 마찰 시험
표면 마찰 시험은, 입자 함유층 표면을 사포(산쿄 리까 세이시 페이퍼 #400)로 마찰하여 행하였다. 입자 함유층 표면과 사포의 줄면을 대향시켜, 500g의 하중을 가하고, 10cm/초의 속도로, 사포를 5 왕복시켰다. 가압 면적은, 직경 20mm의 원형으로 하고, 스테인리스제의 평판을 사용하여 가압하였다.
(7) 광택도 측정
광택도 측정에는, 그로스 미터 GM-1(스가 시껭끼 가부시끼가이샤제)을 사용하였다. 측정은 사포를 왕복시킨 방향과 광택도 측정의 방향이 수직이 되도록 실시하였다. 광택도 측정의 방향이란, 광원과 수광부를 연결하는 직선의 방향이다. 표면 마찰하기 전에 측정한 광택도로부터, 표면 마찰한 후에 측정한 광택도를 감산하였다. 각 수준에 대하여 3 샘플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표면 마찰 시험 전후의 광택도 변화로 하였다.
(8) 백색점 얼룩(반사 필름과 도광판의 부착)의 평가
이하의 (i) 내지 (v)의 수순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i) 24인치 액정 모니터(CHIMEI제, 24LH)를 분해하여, LED를 광원으로 하는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를 취출하였다.
(ii) 니치반제 에폭시계 접착제 "아랄다이트"(등록 상표) AR-R30을 사용하여, 높이 300㎛, 직경 3mm의 원기둥물을 제작하였다.
(iii) 광학 시트 및 도광판을 제거하고, 상기 원기둥물을 짧은 변 방향은 중앙부, 긴 변 방향은 LED 바로부터 20cm 이격된 위치의 배면 하우징 상에 배치하고, 탑재되어 있었던 반사 필름과 동일 사이즈의 반사 필름 및 도광판을 이 순으로 배면 하우징에 세팅하였다.
(iv) 도광판 상부에, 금속제 링(2,500g, 내경 900mm)을 돌기가 링의 센터가 되는 위치에 세팅하였다.
(v) 코니카 미놀타제 이차원 색채 휘도계 CA-2000을 사용하여, 돌기 부분의 휘도(L1)와 돌기 부분이 아닌 부분(L2)의 휘도비(L1/L2)를 산출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A급: 1.20 미만
B급: 1.20 이상 1.30 미만
C급: 1.30 이상 1.40 미만
D급: 1.40 이상.
(9) 반사 필름의 표면 깎임의 평가
도 5는, 평가 방법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이하의 (i) 내지 (iii)의 수순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i) 55인치 액정 TV(LG사제, 제품명: 55UB8500-JA)를 분해하여, LED를 광원으로 하는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를 취출하였다.
(ii) 백라이트로부터 취출한 볼록형 도광판(22)을 볼록부가 위를 향하도록 책상(21) 상에 고정한 후, 볼록형 도광판(22) 상에 반사 필름(23)(5cm×10cm)의 입자 함유층이 아래를 향하도록 얹고, 이어서, 반사 필름(23) 상에, 2매의 스테인리스 원판(직경 30mm, 두께 2mm의 원판)(24), 두께가 125㎛인 PET 필름(25) 및 500g의 하중을 순차 적재하여, 반사 필름(23)을 화살표 X의 방향으로 10cm/초의 속도로 이동시켰다.
(iii) 반사 필름(23)을 취출하고, 입자 함유층을 레이저 현미경(키엔스사제 레이저 현미경 VK-9710)을 사용하여, 대물 렌즈의 배율을 50배, 표시 배율 100%로 표시하여 관찰하였다. 관찰 면적은 200㎛×300㎛이다. 반사 필름의 표면 깎임의 정도를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A급: 대부분의 입자가 손상되지 않고 있다.
B급: 일부의 입자에 약간 손상이 확인되지만, 허용 레벨이다.
C급: 입자의 대부분이 손상되어 있어, 허용 불가의 레벨이다.
(10) 백라이트에서의 휘도 불균일 평가
40인치 액정 TV(Samsung사제, PAVV UN40B7000WF)에 대해서도 분해하고, LED를 광원으로 하는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를 취출하였다. 백라이트 B의 발광면의 크기는, 89.0cm×50.2cm이고, 대각의 길이는 102.2cm였다. 또한 백라이트로부터 광학 필름 3장, 도광판(아크릴판, 4mm 두께, 볼록부 15㎛) 및 반사 필름을 취출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반사 필름을 탑재되어 있었던 반사 필름과 같은 형상, 크기로 재단하였다. 탑재되어 있었던 반사 필름 대신 재단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 반사 필름을 볼록부가 형성된 면이 도광판측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도광판 및 광학 필름 3장을 분해 전과 동일한 방향 및 방향으로 설치하였다.
또한, 눈으로 봐서 휘도 편차의 유무를 하기에 의해 판정하였다.
A: 어느 각도로 보아도 휘도 편차를 시인할 수 없다.
B: 어느 쪽의 각도에서 휘도 편차가 시인된다.
(11) 도광판의 흠집 발생성(스크래치 흠집)의 평가
상기 (9)의 평가에 사용한 볼록형 도광판의 볼록부가 형성된 면측에 반사 필름의 입자 함유층의 면이 접촉되도록 적층시킨 후, 250gf/㎠(0.0245MPa), 150gf/㎠(0.0147MPa) 및 50gf/㎠(0.0049MPa)의 하중 하에서 반사 필름을 1m/분의 선속도로 인상하여, 상기 도광판의 표면 상에 발생한 스크래치 흠집의 정도를 눈으로 봐서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A급: 어느 쪽의 하중 하에서도 흠집이 보이지 않는다.
B급: 250gf/㎠의 하중 하에서는 흠집이 보이지만, 150gf/㎠의 하중 하 및 50gf/㎠의 하중 하에서는 흠집이 보이지 않는다.
C급: 150gf/㎠의 하중 하에서 흠집이 보인다.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1 내지 3에 사용하는 입자 A는, 이하의 수순으로 제작하였다.
1,000ml의 4구 플라스크 중에, 중합체 A로서 비결정 폴리아미드(엠더벨케사제 "그릴아미드"(등록 상표) TR55) 25g, 유기 용매로서 N-메틸-2-피롤리돈 450g, 중합체 B로서 폴리비닐알코올 250g(닛본 고세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고세놀"(등록 상표) GL-05)을 첨가하고, 80℃로 가열하여, 중합체가 용해될 때까지 교반을 행하였다. 계의 온도를 실온으로 되돌린 후에, 400rpm으로 교반하면서, 빈용매로서 500g의 이온 교환수를, 송액 펌프를 경유하여, 4.2g/분의 스피드로 적하를 행하였다. 120g의 이온 교환수를 첨가한 시점에서, 계가 백색으로 변화하였다. 전량의 물을 다 넣은 후에, 30분간 교반하고, 얻어진 현탁액을, 여과하여, 이온 교환수 1,000g으로 세정하고, 80℃, 10시간 진공 건조를 행하여, 백색 고체 24.2g을 얻었다.
[실시예 1]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닛폰 쇼쿠바이제): 4.75g, 듀라네이트 24A-100(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0.19g, 아세트산에틸: 3.85g, 입자 A: 0.1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 바 #24를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실시예 1에서의 입자의 진구도 S는 0.80 이상이며, 구상 입자를 포함한다고 판단하였다.
[실시예 2]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닛폰 쇼쿠바이제): 4.75g, 듀라네이트 24A-100(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0.19g, 아세트산에틸: 3.85g, 입자 A: 0.5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 바 #24를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실시예 2에서의 입자의 진구도 S는 0.80 이상이며, 구상 입자를 포함한다고 판단하였다.
[실시예 3]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닛폰 쇼쿠바이제): 4.75g, 듀라네이트 24A-100(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0.19g, 아세트산에틸: 3.85g, 입자 A: 5.0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 바 #24를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실시예 3에서의 입자의 진구도 S는 0.80 이상이며, 구상 입자를 포함한다고 판단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 사용하는 입자 B는, 중합체 A에 엠더벨케사제 "그릴아미드"(등록 상표) TR30(지환 구조를 갖는 폴리아미드)을 사용하여, 제입(製粒) 조건을 적절히 조정하고, 구상 입자 A와 동일한 수순으로 제작하였다.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닛폰 쇼쿠바이제): 4.75g, 듀라네이트 24A-100(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0.19g, 아세트산에틸: 3.85g, 입자 A: 0.5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 바 #24를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실시예 4에서의 입자의 진구도 S는 0.80 이상이며, 구상 입자를 포함한다고 판단하였다.
[비교예 1]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닛폰 쇼쿠바이제): 2.72g, 듀라네이트 24A-100(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0.11g, 아세트산에틸: 5.2g, 아크릴 수지 입자(세키스이 가세힝 고교(주)제 "TECHPOLYMER"(상표 등록) MBX30X-30: 0.5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 바 #24를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비교예 1에서의 입자의 진구도 S는 0.80 이상이며, 구상 입자를 포함한다고 판단하였다.
[비교예 2]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닛폰 쇼쿠바이제): 2.7g, 듀라네이트 24A-100(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0.19g, 아세트산에틸: 5.2g, 아크릴 수지 입자(세키스이 가세힝 고교(주)제 "TECHPOLYMER"(상표 등록) BMX30X-30: 0.5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 바 #24를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비교예 2에서의 입자의 진구도 S는 0.80 이상이며, 구상 입자를 포함한다고 판단하였다.
[비교예 3]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닛폰 쇼쿠바이제): 4.75g, 듀라네이트 24A-100(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0.19g, 아세트산에틸: 3.85g, 나일론 6 수지 입자(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TR-1): 0.3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 바 #24를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입자 함유 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비교예 3에서의 입자의 진구도 S는 0.80 이상이며, 구상 입자를 포함한다고 판단하였다.
[비교예 4]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닛폰 쇼쿠바이제): 4.75g, 듀라네이트 24A-100(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0.19g, 아세트산에틸: 3.85g, 나일론 12와 나일론 6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입자(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SP-20, 평균 입경 30㎛): 0.5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 바 #24를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비교예 4에서의 입자의 진구도 S는 0.80 이상이며, 구상 입자를 포함한다고 판단하였다.
[실시예 5]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닛폰 쇼쿠바이제): 4.75g, 듀라네이트 24A-100(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0.19g, 아세트산에틸: 3.85g, "오르가솔"(등록 상표) 1002 D NAT 1(아르케마(주)제, 50% 압축 강도 18MPa): 2.1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 바 #24를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실시예 5에서 입자의 진구도 S는 0.65<S<0.80이며, 부정형 입자를 포함한다고 판단하였다.
[실시예 6]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닛폰 쇼쿠바이제): 4.75g, 듀라네이트 24A-100(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0.19g, 아세트산에틸: 3.85g, "오르가솔"(등록 상표) 1002 D NAT 1(아르케마(주)제): 1.5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 바 #24를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실시예 6에서 입자의 진구도 S는 0.65<S<0.80이며, 부정형 입자를 포함한다고 판단하였다.
[실시예 7]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닛폰 쇼쿠바이제): 4.75g, 듀라네이트 24A-100(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0.19g, 아세트산에틸: 3.85g, "오르가솔"(등록 상표) 1002 D NAT 1(아르케마(주)제): 0.3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 바 #24를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입자 함유 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실시예 7에서 입자의 진구도 S는 0.65<S<0.80이며, 부정형 입자를 포함한다고 판단하였다.
[실시예 8]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닛폰 쇼쿠바이제): 4.75g, 듀라네이트 24A-100(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0.19g, 아세트산에틸: 3.85g, "오르가솔"(등록 상표) 1002 D NAT 1(아르케마(주)제): 0.2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 바 #24를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실시예 8에서 입자의 진구도 S는 0.65<S<0.80이며, 부정형 입자를 포함한다고 판단하였다.
[실시예 9]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닛폰 쇼쿠바이제): 4.75g, 듀라네이트 24A-100(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0.19g, 아세트산에틸: 3.85g, "오르가솔"(등록 상표) 1002 ES 5 NAT 1(아르케마(주)제, 50% 압축 강도 21MPa): 2.2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 바 #30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실시예 9에서 입자의 진구도 S는 0.65<S<0.80이며, 부정형 입자를 포함한다고 판단하였다.
[실시예 10]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닛폰 쇼쿠바이제): 4.75g, 듀라네이트 24A-100(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0.19g, 아세트산에틸: 3.85g, "오르가솔"(등록 상표) 1002 ES 5 NAT 1(아르케마(주)제): 1.5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 바 #30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실시예 10에서 입자의 진구도 S는 0.65<S<0.80이며, 부정형 입자를 포함한다고 판단하였다.
[실시예 11]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닛폰 쇼쿠바이제): 4.75g, 듀라네이트 24A-100(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0.19g, 아세트산에틸: 3.85g, "오르가솔"(등록 상표) 1002 ES 5 NAT 1(아르케마(주)제): 0.3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 바 #30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실시예 11에서 입자의 진구도 S는 0.65<S<0.80이며, 부정형 입자를 포함한다고 판단하였다.
[실시예 12]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닛폰 쇼쿠바이제): 4.75g, 듀라네이트 24A-100(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0.19g, 아세트산에틸: 3.85g, "오르가솔"(등록 상표) 1002 ES 5 NAT 1(아르케마(주)제): 0.2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 바 #30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실시예 12에서 입자의 진구도 S는 0.65<S<0.80이며, 부정형 입자를 포함한다고 판단하였다.
[실시예 13]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닛폰 쇼쿠바이제): 3.60g, 듀라네이트 24A-100(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0.18g, 아세트산에틸: 5.62g, "오르가솔"(등록 상표) 1002 ES 5 NAT 1(아르케마(주)제): 0.46g, "오르가솔"(등록 상표) 1002 D NAT 1(아르케마(주)제): 0.14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 바 #30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실시예 13에서 입자의 진구도 S는 0.65<S<0.80이며, 부정형 입자를 포함한다고 판단하였다.
[실시예 14]
"페스레진"(등록 상표) S-680EA(방향족계 폴리에스테르 수지, 농도 45질량%의 아세트산에틸 용액, 수 평균 분자량 3,000, 다카마쓰 유시(주)제): 3.20g, 듀라네이트 24A-100(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0.18g, 아세트산에틸: 6.03g, "오르가솔"(등록 상표) 1002 ES 5 NAT 1(아르케마(주)제): 0.46g, "오르가솔"(등록 상표) 1002 D NAT 1(아르케마(주)제): 0.13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 바 #30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실시예 14에서 입자의 진구도 S는 0.65<S<0.80이며, 부정형 입자를 포함한다고 판단하였다.
[실시예 15]
"페스레진"(등록 상표) S-180EA(방향족계 폴리에스테르 수지, 농도 30질량%의 아세트산에틸 용액, 수 평균 분자량 15,000, 다카마쓰 유시(주)제): 4.93g, 듀라네이트 24A-100(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0.18g, 아세트산에틸: 4.30g, "오르가솔"(등록 상표) 1002 ES 5 NAT 1(아르케마(주)제): 0.46g, "오르가솔"(등록 상표) 1002 D NAT 1(아르케마(주)제): 0.13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 바 #30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실시예 15에서 입자의 진구도 S는 0.65<S<0.80이며, 부정형 입자를 포함한다고 판단하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16에 사용하는 입자 C는, 이하의 수순으로 제작하였다.
1000ml의 4구 플라스크 중에, 중합체 A로서 비결정 폴리아미드(엠더벨케사제 "그릴아미드"(등록 상표) TR55) 25g, 유기 용매로서 디메틸술폭시드 450g을 첨가하여, 120℃로 가열하고, 중합체가 용해될 때까지 교반을 행하였다. 계의 온도를 실온으로 5℃/10분의 속도로 복귀시킨 후에, 3000g의 이온 교환수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현탁액을 여과하여, 이온 교환수 1,000g으로 세정하고, 80℃, 10시간 진공 건조를 행하여, 백색 고체 23.7g을 얻었다.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 닛폰 쇼쿠바이제): 4.75g, 듀라네이트 24A-100(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0.19g, 아세트산에틸: 3.85g, 입자 C: 0.3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 바 #24를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실시예 16에서 입자의 진구도 S는 0.65<S<0.80이며, 부정형 입자를 포함한다고 판단하였다.
[비교예 5]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닛폰 쇼쿠바이제): 4.75g, 듀라네이트 24A-100(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0.19g, 아세트산에틸: 3.85g, 나일론 6 수지 입자(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TR-1): 0.2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 바 #24를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비교예 5에서 입자의 진구도 S는 0.65<S<0.80의 범위에 없고, 부정형 입자를 포함하지 않고, 진구 입자를 포함한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비교예 5에 있어서, 입자의 압축 변위 곡선은 제2 변곡점을 갖지 않는다.
[비교예 6]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닛폰 쇼쿠바이제): 4.75g, 듀라네이트 24A-100(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0.19g, 아세트산에틸: 3.85g, "오르가솔"(등록 상표) 1002 ES 5 NAT 1(아르케마(주)제): 0.2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 바 #44를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비교예 6에서 입자의 진구도 S는 0.65<S<0.80이며, 부정형 입자를 포함한다고 판단하였다.
[비교예 7]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닛폰 쇼쿠바이제): 4.75g, 듀라네이트 24A-100(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0.19g, 아세트산에틸: 3.85g, 나일론 12 수지 입자(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SP-10): 0.2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 바 #18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비교예 7에서 입자의 진구도 S는 0.65<S<0.80의 범위에 없고, 부정형 입자를 포함하지 않고, 진구 입자를 포함한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비교예 7에 있어서, 입자의 압축 변위 곡선의 제2 변곡점에서의 변위율은 50% 미만이다.
[비교예 8]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닛폰 쇼쿠바이제): 4.75g, 듀라네이트 24A-100(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0.19g, 아세트산에틸: 3.85g, 나일론 12와 나일론 6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입자(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SP-20): 0.5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 바 #24를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비교예 8에서 입자의 진구도 S는 0.65<S<0.80의 범위에 없고, 부정형 입자를 포함하지 않고, 진구 입자를 포함한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비교예 8에 있어서, 입자의 압축 변위 곡선의 제2 변곡점에서의 변위율은 50% 미만이다.
[비교예 9]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닛폰 쇼쿠바이제): 2.72g, 듀라네이트 24A-100(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0.11g, 아세트산에틸: 5.2g, 아크릴 수지 입자(세키스이 가세힝 고교(주)제 "TECHPOLYMER"(등록 상표) MBX30X-30: 0.5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 바 #24를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비교예 9에서 입자의 진구도 S는 0.65<S<0.80의 범위에 없고, 부정형 입자를 포함하지 않고, 진구 입자를 포함한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비교예 9에 있어서, 입자의 압축 변위 곡선은 변곡점을 갖지 않는다.
[비교예 10]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닛폰 쇼쿠바이제): 2.72g, 듀라네이트 24A-100(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제): 0.19g, 아세트산에틸: 5.2g, 아크릴 수지 입자(세키스이 가세힝 고교(주)제 "TECHPOLYMER"(등록 상표) BMX30X-30: 0.5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도액을 준비하였다. 300㎛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백색 필름(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 바 #24를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고,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비교예 10에서 입자의 진구도 S는 0.65<S<0.80의 범위에 없어, 부정형 입자를 포함하지 않고, 진구 입자를 포함한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비교예 10에서, 입자의 압축 변위 곡선은 변곡점을 갖지 않는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1: 입자
2: 결합제 수지
3: 기재 필름 표면
11: 부정형 입자
12: 최소 외접원
21: 책상
22: 도광판
23: 반사 필름
24: 스테인리스 원판
25: PET 필름
26: 추

Claims (6)

  1. 기재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구상 입자를 함유하는 입자 함유층을 갖고, 다음 (i) 및 (ii)를 만족시키는,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
    (i) 상기 구상 입자의 압축 변위 곡선이 제1 변곡점 및 제2 변곡점의 적어도 2개의 변곡점을 갖는 것
    (ii) 상기 압축 변위 곡선에서 입자 직경의 50% 이상의 변위율의 범위 내에 제2 변곡점을 갖는 것
  2. 기재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부정형 입자를 함유하는 입자 함유층을 갖고, 다음 (i) 내지 (iii)을 만족시키는,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
    (i) 상기 부정형 입자의 진구도 S가 0.65<S<0.80인 것
    (ii) 상기 입자 함유층의 표면 마찰 시험 전후의 광택도 변화가 10 이하인 것
    (iii) 상기 입자 함유층의 표면 볼록부 높이가 20 내지 60㎛인 것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 입자 또는 부정형 입자의 50% 압축 강도가 30MPa 이하인,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형 입자가 나일론 6을 포함하는,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 입자 또는 부정형 입자가 지환 구조를 갖는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KR1020187018071A 2016-01-26 2017-01-25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KR201801085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12163 2016-01-26
JP2016012162 2016-01-26
JPJP-P-2016-012163 2016-01-26
JPJP-P-2016-012162 2016-01-26
JP2016084204 2016-04-20
JPJP-P-2016-084204 2016-04-20
PCT/JP2017/002543 WO2017131030A1 (ja) 2016-01-26 2017-01-25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575A true KR20180108575A (ko) 2018-10-04

Family

ID=59398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8071A KR20180108575A (ko) 2016-01-26 2017-01-25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17131030A1 (ko)
KR (1) KR20180108575A (ko)
CN (1) CN108463748A (ko)
WO (1) WO2017131030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2719A (ja) * 2004-09-13 2008-04-24 エスケーシー ハース ディスプレイ フィルムズ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反射シートおよびこれを採用し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5369605B2 (ja) * 2008-10-23 2013-12-18 東レ株式会社 白色反射フィルム
JP2010065229A (ja) * 2009-12-15 2010-03-25 Mitsubishi Plastics Inc 蒸着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N103140540B (zh) * 2010-09-28 2014-07-23 东丽株式会社 聚合物微粒的制造方法
JP2014126638A (ja) * 2012-12-26 2014-07-07 Toray Ind Inc 液晶ディスプレイ用反射フィルム
JP2014199330A (ja) * 2013-03-29 2014-10-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フィルムミラー及びそれを用いた太陽光反射板
KR101973875B1 (ko) * 2013-08-07 2019-04-29 데이진 필름 솔루션스 가부시키가이샤 백색 반사 필름
WO2015146732A1 (ja) * 2014-03-27 2015-10-01 東レ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31030A1 (ja) 2017-08-03
CN108463748A (zh) 2018-08-28
JPWO2017131030A1 (ja) 2018-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5758B2 (ja) 液晶ディスプレイの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白色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
US9297933B2 (en) Antiglare film,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0800239B1 (ko) 적층 필름
KR20200126386A (ko)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09522602A (ja) 強反射偏光フィルム
TW200946969A (en) Light-diffusing sheet and backlight device using same
JP4117570B2 (ja)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9101142A (ja) 光反射シートおよび光学部材
WO2016204234A1 (ja) 反射フィルムおよび面光源装置用反射ユニット
JP6597306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532799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TWI676551B (zh) 積層薄膜
KR20180108575A (ko)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TW201708851A (zh) 白色反射薄膜
TWI662299B (zh) 邊緣發光型背光用反射薄膜及使用其之背光
JP2017134380A (ja)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
JP2018141884A (ja)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
JP2018189681A (ja)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
JP2018125117A (ja)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白色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
KR20170012219A (ko)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
KR20230029880A (ko) 투명 적층체, 화상 표시 장치, 양면 반사 방지 적층체 및 얼굴용 투명 보호구
JP2017090560A (ja) 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