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8416A - 컴퓨터를 사용한 오더 메이드 가구의 설계, 제조 방법, 시스템 및 그것을 위한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컴퓨터를 사용한 오더 메이드 가구의 설계, 제조 방법, 시스템 및 그것을 위한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416A
KR20180108416A KR1020177032311A KR20177032311A KR20180108416A KR 20180108416 A KR20180108416 A KR 20180108416A KR 1020177032311 A KR1020177032311 A KR 1020177032311A KR 20177032311 A KR20177032311 A KR 20177032311A KR 20180108416 A KR20180108416 A KR 20180108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 member
unit
space
plat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이치 니노미야
히로유키 마스다
Original Assignee
도만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만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만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08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4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17/5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04Constraint-based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20Configuration CAD, e.g. designing by assembling or positioning modules selected from libraries of predesigned mod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9/00Details relating to the type or aim of the analysis or the optimisation
    • G06F2119/18Manufacturability analysis or optimisation for manufacturabi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24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04Architectural design, interior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012Dimensioning, toleran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08Assembling, disassemb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ometry (AREA)
  • Architectur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직방체 형상의 제1 파트 부재와 제2 파트 부재를 화면 상에 표시하고, 제1 파트 부재와 제2 파트 부재를, 제1 파트 부재의 제1면과 제2 파트 부재의 제2면이 서로 평행하게 직면하도록 화면 위에 배치하고, 제1과 제2 파트 부재의 각 면의 장방형의 하나의 모서리를 원점으로 하여 당해 모서리로부터 직교하며 뻗는 2변을 X축, Y축으로서 설정한 XY 좌표를 설정하고, 제1 위치를 제1면의 XY 좌표로 특정하고, 제1 파트 부재의 제1면을 상기 제2 파트 부재의 제2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투영함으로써, 제1면과 제2면의 이차원적 위치 관계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를, 제2 위치로서 제2면의 XY 좌표에 의해 특정하는, 복수의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되는 가구의 부재를 컴퓨터를 사용하여 설계하는 방법.

Description

컴퓨터를 사용한 오더 메이드 가구의 설계, 제조 방법, 시스템 및 그것을 위한 프로그램
본 발명은 컴퓨터를 사용한 오더 메이드 가구의 설계, 제조 방법, 시스템 및 그것을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컴퓨터를 사용하여 입체 구조물을 작도 설계하는 방법으로서는 3차원 CAD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3차원 CAD를 사용함으로써 가구를 화면 상에서 희망하는 치수, 형상으로 3차원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CAD로 설계한 가구의 데이터를 CAD/CAM을 사용함으로써 NC 데이터로서 생성하고, NC 공작 기계를 사용해서 부재를 가공하여 가구를 제조할 수 있다.
일본 특개 2001-92865 ("CAD 도면 작성 방법, 장치, 치수 편집 방법, 장치 및 기억 매체", 캐논 가부시키가이샤 2001년 4월 6일 공개 공보)
복합 가공기용 CAPP 시스템의 개발(일본 기계학회논문집(C편) 78권 791호(2012-7) 하마다 다이치 외 2012년 3월 24일)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3차원 CAD는 복잡 다양한 구조를 갖는 입체를 PC를 사용하여 간단하고 또한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편리한 툴이다. 3차원 CAD는 입체 구조물을 PC 화면의 삼차원 좌표 공간에 배치하고, 입체의 정점, 능선, 면을 삼차원 좌표계의 XYZ 좌표 위치에 기초하여 기술하고, 산출한다.
그러나, 가구가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는 경우에, 3차원 CAD에서는 각 부재의 사이즈, 형상은 PC 화면의 XYZ 좌표로 각각 기술되지만, 1개의 부재의 위치·구조를 나타내는 정보에는 다른 부재와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는 직접 포함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1개의 부재의 치수, 형상을 변경하면, 그 부재의 주위에 있는 다른 부재의 면, 능선, 정점과의 연결 관계를 PC 화면 상의 XYZ 좌표상에서 탐색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다른 부재의 위치·구조를 다시 계산하여 고쳐 설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가구의 구성 부재에는, 통상 다수의 구멍뚫기, 절결, 홈 파기 등의 형상의 가공이 부여된다. 3차원 CAD로 가구의 구성 부재를 그러한 구멍뚫기, 절결, 홈 파기 등이 부여된 입체 형상의 것으로서 설계하면, 일단 설계한 후에 치수를 변경하려고 하면, 그 치수의 변경이 가령 미소한 것이었다고 해도, 개개의 구성 부재의 치수와, 구멍뚫기, 절결, 홈 파기 등의 가공을, 변경 후의 치수에 맞추어 다시 모두 고쳐서 설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가구의 구성 부재의 수가 다수인 경우에는, 그것을 위한 작업은 방대하게 된다.
다른 한편, 3차원 CAD는 입체 구조물을 어떤 복잡한 형상이더라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고 하는 점이 큰 장점이지만, 가구, 특히 목공 가구에서는, 구성 부재에 시행하는 가공은 루터, 홈파는 기계, 다월 설치기 등의 가공 기계의 측에서 시행할 수 있는 특정 종류의 가공에 한정되므로, 그러한 가공 기계를 처리할 수 있는 특정의 한정된 종류의 가공 이상으로 복잡한 형상을 설계할 필요성은 극히 적다.
이상과 같은 상황하에서, 종래의 3차원 CAD를 사용하는 방법에서는, 다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가구를 고객의 요망에 따라 임기응변으로 치수를 변경하는 것은 실제적으로 어려웠다. 또한 3차원 CAD로 설계한 가구의 부재를 가구의 제조 공장이 구비하는 가공 기계에 걸어, 많은 구성 부재를 상업적으로 효율적으로 가공하는 것은 어려웠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다수의 구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가구를 복수의 직방체(공간)의 입체적 조합으로서 파악할 수 있는 것을 생각해 냈다. 즉, 가구를 구성하는 개개의 부재는 반드시 직방체 형상은 아니지만, 구성 부재의 기본적인 윤곽을 모두 단순한 직방체로서 파악하고, 직방체의 면에 절결, 홈 파기, 구멍뚫기 등의 가공이 부여되어 구성 부재의 실제의 형상이 구성된다고 볼 수 있다. 구성 부재의 윤곽이 모두 단순한 직방체이면, 복수의 구성 부재를 조립한 가구도 마찬가지로 단순한 직방체를 조합시킨 입체 구조로서 파악할 수 있다.
가구의 기본 구조가 복수의 단순한 직방체의 조합이라고 하면, 각 직방체의 각 면은 서로 평행하거나 또는 수직하므로, 가구의 입체 구조를 1) 복수의 직방체의 서로 평행한 면과 면 사이의 거리 관계와, 2) 각 직방체의 서로 평행한 면을 상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투영함으로써 얻어지는 동일 평면 상에 있어서의 면과 면 사이의 이차원적 위치 관계로서 파악하고, 그렇게 파악된 각 구성 부재, 및 그것들의 상호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가구를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발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하의 발명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양태의 시스템/방법은 판재 등의 가구 제품을 구성하는 기본적 부재를 「파트 부재」로 하고, 파트 부재의 윤곽을 모두 직방체로서 설정한다. 파트 부재를 조합하여 가구 제품의 일정한 기능을 발휘하는 「유닛」을 작성하고, 유닛에 외접하는 직방체 공간을 「유닛 공간」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유닛을 조합하여 「제품」으로 하고, 제품에 외접하는 직방체 공간을 「제품 공간」으로 한다. 이들 각 공간 상호 간의 상위 하위의 계급 관계(파트 부재→유닛 공간→제품 공간)에 기초하여 트리 구조를 설정한다. 트리 구조에서는, 하위의 직방체 공간의 위치는 그것보다도 하나 상위의 직방체 공간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양태의 시스템/방법에서는, 제품이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하나의 파트 부재(제1 파트 부재)와 다른 파트 부재(제2 파트 부재)가 서로 별개의 유닛에 속하는 경우에는, 당해 별개의 유닛에 의해 구성되는 하나의 제품의 제품 공간으로 거슬러 올라가, 제1 파트 부재→제1 유닛 공간→제품 공간→제2 유닛 공간→제2 파트 부재라고 하는 경로에서 상기 하나의 파트 부재와 다른 파트 부재와의 위치 관계를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양태의 시스템/방법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파트 부재와, 당해 파트 부재로 구성되는 유닛의 유닛 공간 사이에서, 유닛 공간의 하나의 면과, 그것과 평행하게 대응하는 파트 부재의 하나의 면 사이의 면 간 거리를 지정함으로써 서로의 위치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유닛 공간의 면과 파트 부재의 대응하는 면과의 사이의 거리를 유닛 공간·파트 부재 면 연관화에 의해 지정한 상태에서, 유닛 공간의 6면 중 하나의 면을 당해 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된 유닛 공간 중 하나의 면과 유닛 공간·파트 부재 면 연관화 된 파트 부재의 면이 유닛 공간·파트 부재 면 연관화로 지정된 면 간 거리를 유지하면서, 유닛 공간의 면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양태의 시스템/방법에서는, 하나의 파트 부재의 6면 중 하나의 면과 다른 파트 부재의 평행한 면과의 사이의 면 간 거리를 지정하는 파트 부재 면 연관화를 함으로써 양자의 위치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유닛을 구성하는 복수의 파트 부재의 각 면이 서로 파트 부재 면 연관화 된 상태에서, 파트 부재의 6면 중 하나의 면을 당해 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 그 파트 부재의 면과 파트 부재 면 연관화 된 다른 파트 부재의 면이 파트 부재 면 연관화로 지정된 면 간 거리를 유지하며 연동하여 이동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양태의 시스템/방법에서는, 하나의 유닛의 유닛 공간의 6면 중 하나의 면과 다른 하나의 유닛의 유닛 공간의 평행한 면과의 사이의 면 간 거리를 지정하는 유닛 공간 면 연관화를 함으로써 양자의 위치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제품을 구성하는 복수의 유닛의 유닛 공간의 각 면이 서로 유닛 공간 면 연관화 된 상태에서, 하나의 유닛 공간의 하나의 면을 당해 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 당해 하나의 면과 유닛 공간 면 연관화 된 다른 하나의 유닛 공간의 면이 유닛 공간 면 연관화로 설정된 관계를 유지하며 연동하여 이동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양태의 시스템/방법에서는, 하나의 파트 부재의 하나의 면의 XY 좌표로 지정되는 위치를, 당해 면과 평행하게 대응하는 다른 파트 부재의 하나의 면의 XY 좌표로 지정되는 위치로서 좌표 변환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파트 부재와 제2 파트 부재를 제1 파트 부재의 제1면과 제2 파트 부재의 제2면이 서로 평행하게 직면하도록 화면 위에 배치하고, 상기 제1과 제2 파트 부재의 각 면의 장방형의 하나의 모서리를 원점으로 하여 당해 모서리로부터 직교하며 뻗는 2변을 X축, Y축으로서 설정한 XY 좌표를 설정하고, 상기 제1면의 XY 좌표로 지정되는 위치를 제1 위치로서 특정한다. 상기 제1 파트 부재의 제1면을 상기 제2 파트 부재의 제2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투영함으로써,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의 이차원적 위치 관계를 산출한다. 상기 산출한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의 이차원적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1면의 XY 좌표로 특정된 제1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2면 상의 위치를 상기 제2면의 XY 좌표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하나의 파트 부재와 다른 하나의 파트 부재가 하나의 유닛을 구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당해 유닛을 구성하는 각 파트 부재와 당해 유닛의 유닛 공간의 삼차원적 위치 관계를 유닛 공간을 기준으로 하여 특정한다. 상기 유닛 공간과 각 파트 부재 상호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하나의 파트 부재의 하나의 면의 XY 좌표로 지정된 위치를 당해 하나의 면과 평행하게 대응하는 다른 하나의 파트 부재의 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투영한다. 상기 하나의 파트 부재의 면을 수직하게 투영함으로써 상기 다른 하나의 파트 부재의 면에서 특정되는 위치를 상기 다른 하나의 파트 부재의 면의 XY 좌표로 표현한다. 이와 같이 설정한 뒤에, 전자의 하나의 파트 부재의 면의 XY 좌표로 특정되는 가공 부여 위치를 변경하면, 후자의 다른 하나의 파트 부재의 면의 가공부여 위치의 XY 좌표를 연동하여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하나의 파트 부재와 다른 하나의 파트 부재가 하나의 제품을 구성하는 다른 유닛에 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이한 유닛에 의해 구성되는 제품의 제품 공간으로 거슬러 올라감으로써 상기 하나의 파트 부재의 파트 부재와 다른 하나의 파트 부재의 파트 부재의 위치 관계를 산출한다. 그것에 의해 산출된 양자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2개의 면의 상호 간에 XY 좌표 변화를 행함으로써, 상이한 유닛에 속하는 2개의 파트 부재의 면 위의 가공 부여 위치를 연동하여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파트 부재의 직방체의 하나의 면의 장방형의 가로 길이를 p라고 하고, 세로 길이를 q라고 하면, 가공을 부여하는 위치의 좌표 위치는 직방체의 면의 장방형의 모서리를 원점으로 하여 당해 모서리로부터 뻗는 2변을 X축, Y축으로 하는 2차원 좌표계에 있어서, X 좌표와 Y 좌표를 각각 p 및/또는 q의 함수(f(p), f(q))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한 뒤에, 파트 부재의 직방체의 치수를 변경하면, p 및/또는 q의 값이 변경되어, 함수의 계산식에 따라 파트 부재의 각 6면 위의 가공 부여 위치의 XY 좌표를, 모두 자동적으로 연동하여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양태의 시스템/방법에서는, 파트 부재인 판재가 심재와, 심재의 마구리에 첩부된 마구리재와, 심재의 표면에 첩부된 표면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파트 부재의 직방체를 분할하여, 마구리재 공간과, 표면재 공간과, 심재 공간을 설정할 수 있다. 마구리재 공간과, 표면재 공간과, 심재 공간은 상술한 트리 구조의 최하층에 위치가 부여되는 직방체 공간이다.
바람직하게는, 마구리재와 표면재의 두께를 고정값으로 하고, 심재의 두께를 가변값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설정한 뒤에, 파트 부재의 치수를 변경하면, 파트 부재의 변경 후의 치수에 맞추어, 마구리재와 표면재의 두께는 바뀌지 않고, 심재의 두께 치수만이 변경된다.
파트 부재에 심재 공간, 마구리재 공간, 표면재 공간을 설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치수를 가변하도록 설정한 심재 공간에 마구리재 공간 및/또는 표면재 공간을 첩부하여 파트 부재를 구성하고, 심재 공간, 마구리재 공간, 표면재 공간의 각 치수의 합계가 파트 부재의 치수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의 파트 부재, 심재 공간, 마구리재 공간, 표면재 공간의 관계는 파트 부재를 분할하여 마구리재 공간과, 표면재 공간과, 심재 공간을 설정한 경우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양태의 시스템/방법에서는, 가공의 위치는 원칙적으로 파트 부재의 직방체의 면 위에 입력하면 족하고, 파트 부재를 분할한 마구리재 공간, 표면재 공간, 심재 공간에는 입력하지 않는다. 가공 기계에서 구멍뚫기, 홈 파기 등의 가공을 시행하는 대상은 파트 부재인 판재이며, 판재에 가공이 시행된 결과, 그 판재의 표면재, 마구리재, 심재에 구멍뚫기, 홈 파기 등의 가공이 부여되므로, 판재의 파트 부재와는 별도로, 마구리재 공간, 표면재 공간, 심재 공간에 일일이 가공 부여를 입력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양태의 시스템/방법을 사용하면, 가구를 단순한 직방체의 조합과 직방체의 면에 대하여 등록하는 가공으로서 설계할 수 있으므로, 가구가 다수의 여러 치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복잡한 구조를 갖는 경우이더라도,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고, 또한 설계한 후에도 고객의 요망에 따라 자유롭게 설계 변경하고, 또한 변경한 가공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양태의 시스템/방법을 사용하면, 가구가 복수의 다른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이더라도, 다른 유닛에 속하는 복수의 파트 부재에 부여되는 가공의 위치 상호 간의 관계를 상기 시스템에 의해 컴퓨터로 용이하게 산출할 수 있다. 그 결과, 하나의 파트 부재에 대한 치수 변경을 입력한 경우에, 그것에 따라 다른 파트 부재에 발생하는 가공 위치의 변경을 자동적으로 산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하나의 파트 부재에 대한 치수 변경 때마다, 다른 파트 부재에 부여하는 가공의 위치를 다시 기입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양태의 시스템/방법을 사용하면, 최소 구성 부재인 표면재, 마구리재, 심재 등을 포함하는 가구를 구성하는 모든 부재의 구성 명세(BOM)와 가공 명세를 자동적으로 생성하여, 가구 제조 공장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 양태인 오더 메이드 가구의 설계 및 제조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 양태인 오더 메이드 가구의 설계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1 실시 양태인 유닛 설계 시스템의 PC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1 실시 양태인 유닛 조립 시스템의 PC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양태인 파트 부재의 직방체를 마구리재 공간, 표면재 공간, 심재 공간으로 분할한 예를 도시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양태인 파트 부재의 직방체를 마구리재 공간, 표면재 공간, 심재 공간으로 분할한 예를 도시한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양태인 파트 부재의 직방체를 마구리재 공간, 표면재 공간, 심재 공간으로 분할한 예를 도시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1 실시 양태에 있어서의 2개의 파트 부재의 파트 부재 면 연관화, 및 유닛 공간의 설정의 예를 도시한다. 도 5(b)는 도 5(a)의 천판(104C면)에 설정된 xy 좌표에 있어서의 다월 구멍의 위치를 C 방향에서 본 도면을 도시한다. 도 5(c)는 도 5(b)의 천판(104C면)에 설정된 다월 구멍의 위치를 좌측판(102D면)에 설정된 XY 좌표로 나타낸 도면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설계된 서적 선반을 도시한다.
도 7(a)는 도 6의 서적 선반의 캐비넷(100)을 도시한다. 도 7(b)는 도 7(a)의 캐비넷(100)의 천판(104)의 104C면에 설치된 다월 구멍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7(c)은 도 7(b)의 천판(104C면)에 설치된 다월 구멍이 102D면에 전사되어 설치되는 다월 구멍의 위치를 102D면의 XY 좌표로 나타낸 도면을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캐비넷 파트 부재의 상호 간에 부여된 파트 부재 면 연관화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7의 캐비넷(100)의 유닛 공간의 6면과 파트 부재의 면 사이에 부여된 유닛 공간·파트 부재 면 연관화를 도시한다.
도 10(a)는 도 6의 선반판(106)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좌측판(102)에 다월 구멍 가공을 부여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0(b)는 도 10(a)의 좌측판(102D면)에 다월 구멍을 부여하기 위해 선반판(106C면)의 XY 좌표를 사용하여 가상적으로 설정되는 기준 위치를 나타낸다. 도 10(c)는 도 10(b)에 도시하는 선반판(106C면)의 XY 좌표를 사용하여 가상적으로 설정되는 기준 위치에 기초하여 102D면에 설치되는 다월 구멍의 위치를 102D면의 XY 좌표로 나타낸 도면을 나타낸다.
도 11은 도 6의 서적 선반의 가동 선반의 위치를 변경한 것에 따른 다월 구멍의 위치의 변경을 나타낸다.
도 12는 도 6의 서적 선반의 치수를 변경한 것에 따른 다월 구멍의 위치의 변경을 나타낸다.
도 13은 도 6의 서적 선반의 가동 선반의 위치를 변경한 것에 따른 다월 구멍의 위치의 변경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1 실시 양태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설계된 도 6의 서적 선반의 구성 명세(BOM)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도 15(a)는 본 발명의 1 실시 양태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설계된 도 6의 서적 선반의 캐비넷 파트 부재의 면에 시행하는 가공 명세의 예를 나타낸다. 도 15(b)는 본 발명의 1 실시 양태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설계된 도 6의 서적 선반의 높이를 10mm 낮게 한 경우의 가공 명세를 나타낸다. 도 15(c)는 본 발명의 1 실시 양태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설계된 도 6의 서적 선반의 가동 선반판의 높이 위치를 10mm 내린 경우의 가공 명세를 나타낸다.
도 16(a)는 본 발명의 1 실시 양태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설계된 도 6의 서적 선반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6(b)는 본 발명의 1 실시 양태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설계된 도 6의 서적 선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6(c)는 본 발명의 1 실시 양태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설계된 도 6의 서적 선반의 우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7(a)는 본 실시예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설계한 도 6의 서적 선반의 (a) 우측판의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이다. 도 17(b)는 본 실시예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설계한 도 6의 서적 선반의 (b) 좌측판의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이다. 도 17(c)는 본 실시예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설계한 도 6의 서적 선반의 (c) 천판의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이다. 도 17(d)는 본 실시예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설계한 도 6의 서적 선반의 (d) 등판의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이다. 도 17(e)는 본 실시예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설계한 도 6의 서적 선반의 (e) 바닥판의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이다. 도 17(f)는 본 실시예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설계한 도 6의 서적 선반의 (f) 선반판(106)의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1 실시 양태의 시스템에서 설계하는 가구에 사용하는 부재의 가격과 조달 기간의 마스터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의 1 실시 양태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오더 메이드 가구를 설계하고, 주문하고, 제조 발주하는 흐름을 나타낸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사용해서 설계된 서랍 부착 서적 선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0(b)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설계된 서랍 부착 서적 선반의 서랍 내측 상자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설계된 문짝 부착 서적 선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2는 본 발명의 1 실시 양태의 시스템에서 설계된 가구의 부재에 부여하는 가공의 예를 나타낸다.
도 23은 본 발명의 1 실시 양태에 있어서의 가공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도면을 사용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각 용어의 의미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구」란 수납 선반, 키친 선반, 유닛 배스 등의 주택 설비를 넓게 포함한다. 가구를 구성하는 부재는 주로 목제이지만, 특정 재료에 한정되지 않고, 플라스틱, 금속, 석재, 대리석 또는 유리제이어도 된다.
<유닛 설계 시스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닛 설계 시스템」이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일부를 이루는 툴을 말한다. 유닛 설계 시스템은 가구 파트 부재의 파트 부재를 작성하고, 파트 부재의 각 6면의 장방형의 XY 좌표로 지정된 위치에 가공 정보를 부여하고, 또한 가공 정보가 부여된 하나 또는 복수의 파트 부재로 유닛을 작성한다.
<유닛 조립 시스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닛 조립 시스템」이란 유닛 설계 시스템에서 작성된 유닛을 조합하여 가구 제품을 작성하기 위한 툴이다. 유닛 조립 시스템은 화면 위에서 유닛 공간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조합하고 치수를 변경함으로써, 고객이 희망하는 치수와 형상의 가구를 설계하고, 설계한 가구 제품의 품번을 부여하고, 또한 가구 제품의 부재의 BOM 데이터와 가공 명세 데이터를 출력한다.
<파트 부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파트 부재」란 판재 등의 가구를 구성하는 기본적 부재를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파트 부재의 윤곽은 모두 직방체 형상으로 하고, 직방체 형상의 윤곽에 대하여, 구멍, 홈, 절결 등의 가공이 시행되어 실제의 형상을 형상화 하는 것으로서 이해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파트 부재는 PC 화면 위에서 직방체 공간으로서 설계된다. 파트 부재의 직방체의 종횡 두께의 치수는 PC 화면 위에 설정된 XYZ 좌표(로컬 좌표)의 원점으로부터 X축, Y축, Z축 방향의 길이로서 설정된다. 파트 부재의 각 치수는 각각 가변값 또는 고정값으로서 설정된다. 통상은 판재의 두께는 일정하게 되므로, 종방향과 횡방향의 값을 가변으로 하고, 두께 방향의 값을 고정으로 하여 설정한다. 직방체의 각 6면의 XY 좌표로 지정되는 위치에는, 선택한 가공이 등록된다.
<부속 부품>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속 부품」이란 다월, 비스 등, 가구 파트 부재의 부속물로서 사용되는 부품을 말한다. 다월, 비스 등의 부속 부품은 그 사이즈가 규격에 의해 정해져 있어, 파트 부재의 치수에 맞추어 선택 또는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통상은 부속 부품에 대하여 직방체 공간을 설정하지 않고, 정해진 규격의 다월, 비스 등을 메모리에 마스터 등록하고, 파트 부재의 면의 지정된 위치에 적용한다. 파트 부재의 면에 적용되는 부속 부품은 파트 부재의 데이터와 함께 구성 명세(BOM)로 출력된다.
<파트 금구 부품>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힌지 금구, 문짝의 손잡이, 서랍의 레일 등은 가구의 파트 부재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파트 금구 부품이지만, 이것들은 파트 부재와 동일하게 취급하여, 그 최소의 삼차원 외접 직방체 공간을 윤곽으로서 설정한다. 힌지 금구, 문짝의 손잡이, 서랍의 레일 등은 비직방체 형상이지만, 부재의 윤곽 자체는 직방체로 하고, 직방체에 대하여 절삭, 절결, 구멍뚫기 등의 가공을 행함으로써, 실제의 형상이 구성되는 것으로서 설정한다.
힌지 금구, 문짝의 손잡이, 서랍의 레일 등은 파트 부재의 치수에 맞추어 수, 사이즈를 선택 또는 변경할 필요가 있으므로, 힌지 금구, 문짝의 손잡이, 서랍의 레일 등에 대해서는 그것들의 외접 직방체 공간을 설정하고, PC 화면 상에서 XYZ축 방향의 치수를 변경함으로써 직방체의 종횡 두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힌지 금구, 문짝의 손잡이, 서랍의 레일을 파트 부재가 아니라 다월, 비스 등과 같은 부속품으로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대로 다월, 비스 등을 파트 금구 부품으로서 취급하여, 이것들의 외접 직방체 공간을 설정하고, 치수의 선택 또는 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닛>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닛」이란 제품의 구성단위가 되는 입체를 말한다. 복수의 파트 부재를 조합하여 하나의 유닛으로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하나의 파트 부재를 단독으로 유닛으로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파트 부재를 조합한 제품에 있어서, 무엇을 파트 부재, 유닛, 또는 유닛과 유닛의 조합으로 할지는 설계자의 설계 사항이다. 설계자는 부재를 다른 입체의 일부로서 고정할지, 독립적으로 배치 가능하게 할지 등의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파트 부재를 조합한 입체 구조에서, 무엇을 유닛, 또는 유닛과 유닛의 조합으로 할지는, 필요에 따라 설계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는, 캐비넷(100)은 좌우 측판, 바닥판, 천판, 등판의 5장의 판재의 각각의 파트 부재로 구성되는 상자체를 하나의 유닛으로 하고, 선반판(106)의 파트 부재를 하나의 파트 부재로 이루어지는 다른 하나의 유닛으로 하여 설정되어 있다. 선반판(106)을 다른 측판, 천판, 바닥판, 등판 등과 같이 캐비넷(100)을 구성하는 파트 부재의 하나로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선반판(106)을 캐비넷(100)의 내부에 다월을 사용하여 넣고 빼기 가능하게 수용하는 경우에는, 선반판(106)을 하나의 파트 부재로 이루어지는 단독의 유닛으로서 설정하는 것이 설계상 유리하며, 바람직하다. 도 21의 문짝 부착 수납 케이스의 경우에는, 캐비넷, 문짝, 문짝의 손잡이를 각각 유닛으로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문짝과 손잡이를 각각 파트 부재로 하고, 양자의 조합을 손잡이 부착 문짝으로 하여 유닛으로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켈레톤 유닛, 인필드 유닛>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켈레톤 유닛」이란 그 내부에 다른 유닛(인필드 유닛)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갖는 유닛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필드 유닛」이란 다른 유닛(스켈레톤 유닛)의 내부의 공간(셀 공간)에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수용되는 유닛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화면 상에서는, 예를 들면, 도 20의 서랍 부착 캐비넷에서는, 파트 부재의 조합으로 구성된 캐비넷이 스켈레톤 유닛이며, 동일하게 파트 부재의 조합으로 구성된 서랍이 인필드 유닛에 상당한다. 스켈레톤 유닛과 인필드 유닛은 서로 다른 유닛이므로, 일방에 대한 치수 변경에 연동하여 타방의 치수가 변경되지는 않지만, 셀 공간(후술)을 통하여 유닛 공간 상호에 면 연관화를 함으로써, 일방에 대한 치수 변경에 타방을 연동시킬 수 있다.
<외접 직방체 공간>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외접 직방체 공간」이란 입체에 외접하는 가상 삼차원 직방체 공간을 말한다. 예를 들면, 입체가 직방체 형상의 판재이고 치수가 세로 길이 300mm, 가로 길이 500mm, 두께 20mm이면, 그 판재의 윤곽의 치수의 공간이 그대로 그 입체의 외접 직방체 공간이 된다. 힌지 금구와 같이 비직방체의 입체에서는, 당해 금구를 수용할 수 있는 최소의 직방체 공간이 그 입체의 외접 직방체 공간이 된다. 도 5에 도시하는, 측판과 천판의 2개의 판재가 수직하게 접속된 입체에서는, 파선으로 나타내는 공간이 측판과 천판이라고 하는 2개의 파트 부재로 이루어지는 입체의 외접 직방체 공간이 된다.
<유닛 공간>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닛 공간」이란 하나의 유닛에 외접하는 가상 삼차원 직방체 공간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화면 상에서 복수의 파트 부재가 조합되어 하나의 유닛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당해 유닛을 외접 수용하는 공간을 당해 유닛의 「유닛 공간」으로 한다. 유닛에 외접하는 가상 삼차원 직방체 공간을 유닛 공간으로서 설정함으로써, 당해 유닛에 속하는 파트 부재의 위치를 당해 유닛 공간과의 상대적 위치 관계에 있어서 용이하게 산출 및/또는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유닛 공간은 통상은 유닛에 외접하는 삼차원 직방체 공간을 그대로 유닛 공간으로서 설정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유닛에 외접하는 삼차원 직방체 공간을 축소 또는 확대한 직방체 공간을 유닛 공간으로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파트 부재의 치수의 변경은 파트 부재가 구성하는 유닛의 유닛 공간의 치수를 변경함으로써 행한다. 유닛 공간의 치수를 변경하면, 유닛 공간의 6면과 유닛 공간·파트 부재 면 연관화 된 하나 또는 복수의 파트 부재의 치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유닛 공간의 6면과 다른 하나의 유닛 공간의 6면을 유닛 공간 면 연관화로써, 상기 하나의 유닛 공간의 치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다른 하나의 유닛 공간의 치수를 변경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각각의 유닛 공간을 구성하는 유닛, 및 유닛을 구성하는 파트 부재의 치수를 연동하여 변경할 수 있다.
유닛이 복수의 파트 부재로 이루어질 때는, 유닛을 구성하는 각 파트 부재의 위치는 유닛 공간의 각 6면과 평행하게 대응하는 파트 부재의 면과의 사이의 거리에 의해, 유닛 공간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일단 파트 부재의 위치가 유닛 공간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가 규정된 후는 유닛 공간의 치수·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파트 부재의 치수·위치를 연동하여 변경할 수 있다.
<셀 공간>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셀 공간」이란 스켈레톤 유닛의 내부에 인필드 유닛의 전부 또는 일부를 내접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공간을 말한다. 스켈레톤 유닛의 파트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셀 공간」을 설정함으로써 인필드 유닛의 유닛 공간을 셀 공간에 내접 수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셀 공간에 내접 수용된 인필드 유닛의 위치는 셀 공간의 각 6면과 평행하게 대응하는 인필드 유닛의 유닛 공간의 각 6면과의 사이의 거리에 의해 셀 공간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선반판(106)은 그것 자체로 하나의 파트 부재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유닛으로서 설정되어 있으므로, 캐비넷(100)(복수의 파트 부재의 조합)과 선반판(106)은 서로 별개의 유닛이다. 캐비넷(100)을 구성하는 파트 부재(101, 102, 103, 104, 105)와 선반판(106)과는 서로 파트 부재 면 연관화 되어 있지 않으면, 일방의 치수가 변경된 경우에 타방이 연동하여 변경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캐비넷에 선반판이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 캐비넷의 치수를 축소하는 변경을 입력한 경우에 선반판의 치수가 그것에 연동하여 축소 변경되지 않으면, 당해 선반판은 캐비넷에 수용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캐비넷과 선반판이 동일한 하나의 공간과 관련되도록 설정하면, 당해 공유된 공간을 변경함으로써, 캐비넷과 선반판은 함께 당해 공유된 공간의 변경에 추종하여 변경할 수 있다. 캐비넷의 판재에 의해 둘러싸인 셀 공간(P)을 설정하고, 선반판의 유닛 공간의 면과 셀 공간(P)의 면을 면 연관화 함으로써, 캐비넷과 선반판을 서로 연동하여 치수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복합판>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합판」이란, 예를 들면,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심재의 표면에 폴리 합판 등의 표면재, 마구리 단면에 테이프 등의 마구리재가 첩부되는 경우에 그들 부재에 의해 복합적으로 구성된 판재를 말한다. 「복합판」은 파트 부재이며, 직방체의 윤곽을 갖는다.
<표면재 공간, 마구리재 공간, 심재 공간>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면재 공간」이란 복합판(파트 부재)의 직방체를 심재에 첩부되는 표면재의 치수로 분할함으로써 형성되는 직방체 공간을 말한다. 「마구리재 공간」이란 복합판의 파트 부재를 심재에 첩부되는 마구리재의 치수로 분할함으로써 형성되는 직방체 공간을 말한다. 「심재 공간」이란, 복합판의 파트 부재로부터 표면재 공간과 마구리재 공간을 분할한 경우에, 심재 부분으로서 남는 직방체 공간을 말한다.
도 4(a)-(c)를 참조하여, 유닛 설계 시스템을 사용하여 복합판의 파트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에서, 파트 부재인 복합판의 초기값 안길이 치수는 300mm, 초기 두께 치수는 15mm이며, 마구리재와 표면재의 두께는 각각 1mm로 설정되어 있다. 이 복합판을,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쪽 끝면에는 마구리재를 첩부하지 않도록 변경한다. 그 변경을 위한 간편한 방법으로서 안쪽 끝면의 마구리재 공간의 두께를 제로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파트 부재인 복합판 공간의 안길이 치수는 300mm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심재와 표면재의 안길이 치수(298mm)가 삭제한 마구리재의 두께 치수(1mm)분량만큼 크게 되어 299mm가 되도록 변경된다.
도 4(a)의 파트 부재인 복합판을, 도 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표면에는 표면재를 첩부하지 않도록 변경한다. 그 변경을 위한 간편한 방법으로서 상기 표면의 표면재의 두께를 제로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면 연관화로 복합판의 두께는 15mm에 고정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심재의 두께 치수(13.0mm)가 삭제한 상기 표면재의 두께 치수(1.0mm)분량만큼 크게 되어 14.0mm가 되도록 변경된다.
<제품>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품」이란 본 발명의 시스템의 화면 상에서 복수의 유닛을 조합하여 제작된 가구 제품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설계된 제품에는 제품번호가 부여된다. 제품을 구성하는 유닛, 그 유닛을 구성하는 파트 부재, 그 파트 부재를 구성하는 표면재, 마구리재, 심재에는 모두 동일한 제품번호가 부여된다.
<제품 공간>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품 공간」이란 하나 또는 복수의 유닛 공간으로 구성되는 제품에 외접하는 가상 삼차원 직방체 공간을 말한다. 제품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유닛 공간의 위치는 제품 공간의 각 6면과 대응하는 유닛 공간의 면과의 사이의 거리에 의해 제품 공간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할 수 있다.
<유닛 공간·파트 부재 면 연관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닛 공간·파트 부재 면 연관화」란 유닛을 구성하는 파트 부재의 하나의 면과, 당해 유닛의 유닛 공간의 평행하게 대응하는 하나의 면과의 사이의 거리를 지정함으로써 면 연관화 하는 것을 말한다. 유닛 공간의 면을 당해 유닛을 구성하는 파트 부재의 면과 유닛 공간·파트 부재 면 연관화 함으로써, 유닛 공간의 치수 변경의 입력이 있었을 경우에, 유닛 공간·파트 부재 면 연관화의 설정에 따라 파트 부재의 치수를 그것에 연동시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파트 부재 면 연관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파트 부재 면 연관화」란 파트 부재의 하나의 면과, 그 면과 평행하게 대응하는 다른 파트 부재의 하나의 면 사이의 거리를 지정함으로써 면 연관화 하는 것을 말한다. 파트 부재 면 연관화 된 2개의 면 사이의 거리가 제로라면 양면은 서로 동일 평면 위에 있다. 복수의 파트 부재가 하나의 유닛을 구성하는 경우, 당해 유닛을 구성하는 파트 부재의 서로 평행하게 대응하는 면끼리에 파트 부재 면 연관화를 부여함으로써, 하나의 파트 부재의 치수를 변경한 경우에, 다른 파트 부재의 치수를 연동하여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유닛 공간·파트 부재 면 연관화와 파트 부재 면 연관화의 협동 관계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판재(102)(높이 500mm, 안길이 300mm, 두께 30mm)에 대하여 판재(104)(두께 20mm, 세로 길이 300mm, 가로 길이 500mm)를 접합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판재(102)의 높이 500mm와 안길이 300mm, 판재(104)의 세로 길이 300mm와 가로 길이 500mm는 각각 가변이지만, 판재(102)의 두께 30mm, 판재(104)의 두께 20mm는 각각 고정값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우선, 판재(102)의 파트 부재와 판재(104)의 파트 부재 사이에 파트 부재 면 연관화를 부여한다. 서로 평행한 102A면과 104A면, 102B면과 104B면, 102F면과 104F면 사이의 면 간 거리를 제로로 지정한다. 102D면과 104C면의 면 간 거리를 0.5mm로 지정한다. 파트 부재(102)와 파트 부재(104)로 구성되는 입체를 유닛(A)으로 한다.
이어서, 파트 부재(102)와 파트 부재(104)의 양자에 외접하는 외접 직방체 공간(파선으로 나타냄)을 유닛 공간으로서 설정하고, 유닛(A)의 유닛 공간의 6면(A, B, C, D, E, F)과 유닛(A)을 구성하는 파트 부재(102) 사이에 다음과 같이 유닛·파트 면 연관화를 부여한다.
(1) 유닛 공간의 상면(A면)은 102A면과 서로 평행하고 또한 면 간 거리는 제로. (2) 유닛 공간의 전면(B면)은 102B면과 서로 평행하고 또한 면 간 거리는 제로. (3) 유닛 공간의 좌측면(C면)은 102C면과 서로 평행하고 또한 면 간 거리는 제로. (4) 유닛 공간의 우측면(D면)은 104D면과 서로 평행하고 또한 면 간 거리는 제로. (5) 유닛 공간의 하면(E면)은 102E면과 서로 평행하고 또한 면 간 거리는 제로. (6) 유닛 공간의 후면(F면)은 102F면과 서로 평행하고 또한 면 간 거리는 제로.
상기한 바와 같이, 파트 부재 면 연관화와 유닛 공간·파트 부재 면 연관화를 한 뒤에, 유닛 공간의 전면(B면)을 앞쪽 방향(화살표의 B 방향)으로 이동하면, 유닛 공간의 전면(B면)과 유닛 공간·파트 부재 면 연관화 된 102B면이 그것과 연동하여 이동한다. 102B면과 104B면은 파트 부재 면 연관화로 서로 평행하고 면 간 거리가 제로로 지정되어 있으므로, 102B면이 앞쪽 방향(B 방향)으로 이동하면, 104B면도 파트 부재 면 연관화로 설정된 조건에 따라 102B면과 함께 앞쪽 방향(B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유닛 공간의 전면(B)을 앞쪽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102B면과 104B면을 함께 앞쪽으로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다.
유닛 공간의 우측면(D면)을 우측 방향(화살표의 D 방향)으로 10mm 이동하면, 유닛 공간의 면(D면)과 유닛 공간·파트 부재 면 연관화 된 104D면이 그것과 연동하여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판재(104)의 가로 길이 500mm는 가변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판재(104)(파트 부재)의 가로 길이 500mm는 10mm 길어져 510mm가 된다.
유닛 공간의 좌측면(C면)을 좌측 방향(화살표의 C 방향)으로 10mm 이동하면, 유닛 공간의 좌측면(C면)과 유닛 공간·파트 부재 면 연관화 된 102C면이 그것과 연동하여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판재(102)의 두께는 30mm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102C면이 좌측 방향으로 10mm 이동하면, 102C의 반대면인 102D면도 좌측 방향으로 10mm 이동한다. 102D면과 104C면은 면 간 거리 0.5mm이며 파트 부재 면 연관화 되어 있으므로, 102D면이 좌측 방향으로 10mm 이동하면, 104C면도 그것에 따라 좌측 방향으로 10mm 이동한다. 판재(104)(파트 부재)의 가로 길이는 가변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104C면이 좌측 방향으로 10mm 이동하면, 판재(104)(파트 부재)의 가로 길이는 10mm 길어져 510mm가 된다. 104D면은 유닛 공간의 C면과도, 102C면과도, 102D면과도 면 연관화 되어 있지 않으므로, 위치는 바뀌지 않는다.
유닛 공간의 상면(A면)을 상 방향(화살표의 A 방향)으로 10mm 이동하면, 유닛 공간의 A면과 유닛 공간·파트 부재 면 연관화 된 102A면이 상방향(화살표의 A 방향)으로 10mm 이동한다. 102A면과 104A면과는 면 간 거리 제로로 파트 부재 면 연관화 되어 있으므로, 102A면이 상방향(화살표의 A 방향)으로 10mm 이동하면, 104A면도 그것에 연동하여 10mm 상방향(화살표의 A 방향)으로 이동한다. 판재(104)의 두께는 30mm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104A면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104A면의 반대면인 104E면도 상방향(화살표의 A 방향)으로 10mm 이동한다.
유닛 공간의 하면(E면)을 하방향(화살표의 E 방향)으로 10mm 이동하면, 유닛 공간의 E면과 유닛 공간·파트 부재 면 연관화 된 102E면이 하방향(화살표의 E 방향)으로 10mm 이동한다. 102E면과 104E면은 서로 평행하지만 파트 부재 면 연관화 되어 있지 않으므로, 102E면이 하방향으로 이동해도, 104E면은 거기에 추종하여 하방향으로 이동하지는 않는다.
<유닛 공간 면 연관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유닛 공간 면 연관화」란 하나의 제품이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유닛의 유닛 공간의 6면 중 하나의 면과 다른 하나의 유닛의 유닛 공간의 평행한 하나의 면 사이의 면 간 거리를 지정함으로써 양자의 위치 관계를 설정하는 것을 말한다. 2개의 유닛 공간의 면이 서로 유닛 공간 면 연관화 된 상태에서, 상기 면 연관화 된 하나의 유닛 공간의 하나의 면을 당해 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 그 하나의 면과 유닛 공간 면 연관화 된 다른 하나의 유닛 공간의 면이 유닛 공간 면 연관화로 지정된 관계에 따라 연동하여 이동한다.
<셀 공간·유닛 공간 면 연관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셀 공간·유닛 공간 면 연관화」란 스켈레톤 유닛의 셀 공간의 면과, 그 셀 공간에 수용되는 인필드 유닛의 유닛 공간이 대응하는 평행한 면과의 사이의 거리를 지정함으로써 면 연관화 하는 것을 말한다. 인필드 유닛이 스켈레톤 유닛의 셀 공간에 수용되면, 인필드 유닛의 유닛 공간의 면과, 거기에 평행하게 대응하는 셀 공간의 면 사이의 면 간 거리가 지정된다. 그 결과, 인필드 유닛의 유닛 공간을 통하여, 스켈레톤 유닛의 파트 부재의 치수와 인필드 유닛의 파트 부재의 치수를 서로 연동하여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셀 공간·유닛 공간 면 연관화와 유닛 공간 면 연관화는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면 연관화의 상대방의 공간이 유닛 공간인지, 셀 공간인지가 상이할 뿐이다.
<가공>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공」이란 구멍뚫기, 홈파기, 절결 등의 파트 부재에 대해 시행하는 기계 가공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파트 부재는 모두 직방체 형상의 윤곽을 갖고, 그 직방체에 대하여 기계 가공이 시행되어 실제의 형상이 구성되는 것으로서 파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계 시스템에서는, 메모리에 등록한 가공의 마스터 데이터 중에서 특정 가공을 선택하여 파트 부재의 직방체의 면의 XY 좌표의 지정된 위치에 선택한 가공을 등록한다.
<가공 위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공 위치」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선택한 가공을 입력하는 파트 부재의 직방체의 면 위의 위치를 말한다. 가공 위치는 가공이 부여되는 면의 장방형의 XY 좌표를 사용하여 표시된다. 도 22를 참조하여, A, B, C, F는 구멍의 중심 위치가 가공 위치가 되고, 중심 위치로부터의 직경에 따라 구멍의 크기가 지정된다. E의 홈은 홈의 가로로 긴 장방형을 둘러싸는 a, b, c, d의 4점이 가공 위치로서 지정된다. D의 절결은 가공 대상의 판재의 절결된 모서리의 전면의 장방형을 둘러싸는 p, q, r, s의 4점이 가공 위치로서 지정된다. 이들 가공 위치 정보는 가공 기계가 가공 대상에 구멍, 홈, 절결 등의 가공을 시행하는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최저한 필요한 정보이다. 가공 기계는 이들의 위치 정보와, 아울러 그 밖의 필요한 정보(구멍, 홈의 깊이 등)를 받아, 파트 부재에 대하여 기계 가공을 할 수 있다.
<가공 기계>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공 기계」란 다월 설치기, 테노너, 커트 소우 등, 가구의 제조업자가 가구의 구성 부재에 기계 가공을 시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를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BOM 데이터와 가공 명세 데이터는 제조 공장의 가공 기계가 판독 가능하도록 코드화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BOM 데이터와 가공 명세 데이터는 가공의 대상(판재 등)과, 가공 대상에 부여하는 가공의 내용에 관한 정보와, 가공을 부여하는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수신한 제조 공장은, 수신한 구성 명세와 가공 명세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스로가 구비하는 가공 기계의 처리 능력에 따라 가공에 사용하는 가공 기계의 종류, 가공 방법을 선택하여 판재에 대하여 가공을 부여한다.
도 22를 참조하여, 판재는 일정한 두께와 횡폭과 세로 길이를 갖는 바, 전측 표면에는 직경 8mm의 구멍(A)이 세로 3개 NC(드릴)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B, C는 금구를 부착하기 위한 컵 구멍이며, 컵 구멍은 전용의 컵 구멍 가공 기계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경우가 많지만, 통상의 NC기에서 드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D는 판재의 우상측 모서리에 설치한 절결이며, 코너 커터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E는 판재의 긴 쪽 가로 방향으로 폭 3mm, 깊이 6mm로 형성된 홈이며, 테노너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F는 직경 50mm의 관통구멍이며, NC기의 드릴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판재를 가공하는 가공 공장이 갖는 가공 기계는 동일한 경우도 있지만, 각각 상이한 경우도 있다. 도 22에 있어서, 판재에 대한 구멍(A, F), 절결(D)을 형성하는 가공에 대해서는 A 공장과 B 공장은 모두 동일한 가공 기계(NC기 드릴, 코너 커터)로 가능하지만, E의 홈 가공은 A 공장은 테노너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그것으로 형성 가능하지만, B 공장은 테노너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NC기 드릴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BOM 데이터와 가공 명세 데이터는 가공의 대상(판재 등)과, 가공 대상에 부여하는 가공의 종류/내용에 관한 정보와, 가공을 부여하는 위치에 관한 정보를 가공 기계의 측에서 판독 가능하도록 표준화된 형식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시스템으로부터 가공 기계에 제공되는 BOM 데이터와 가공 명세 데이터의 형식의 1 예를 도시한다. 제조 공장은 본 발명의 시스템으로부터 표준화된 형식의 데이터를 수취하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가공 기계에서 판독함으로써, BOM 데이터와 가공 명세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구의 부재를 가공 제조할 수 있다.
<좌표 변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좌표 변화」란 하나의 직방체의 하나의 면의 XY 좌표에서 지정된 위치를 다른 직방체의 상기 1개의 면과 평행한 면의 XY 좌표에서 지정되는 위치로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도 5(a)를 참조하여, 천판(104)의 좌측면(104C)을 좌측판(102)의 내측면(102D)에 다월을 사용하여 접합 고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천판(104)을 좌측판(102)에 수직하게 접합한 상태에서, 양자의 상호의 위치 관계는 천판(104)과 좌측판(102)에 외접하는 가상 직방체 공간(유닛 공간 파선으로 나타냄)의 6면과, 천판(104)의 각 면과 좌측판(102)의 각 면 사이의 면 간 거리에 의해 규정된다.
도 5(a)에 있어서, 좌측판(102)과 유닛 공간의 관계는 102A면은 유닛 공간의 상면과 평행하며 면 간 거리가 제로이고, 102B면은 유닛 공간의 전면과 평행하며 면 간 거리가 제로이고, 102C면은 유닛 공간의 좌측면과 평행하며 면 간 거리가 제로이고, 102D면은 102C면의 반대면이며 102의 두께는 30mm에 고정되어 있다. 102E면은 유닛 공간의 하면과 평행하며 면 간 거리가 제로이고, 102F면은 유닛 공간의 후면과 평행하며 면 간 거리가 제로이다.
동일하게 도 5(a)에 있어서, 천판(104)과 유닛 공간의 관계는 104A면은 유닛 공간의 상면과 평행하며 면 간 거리가 제로이고, 104B면은 유닛 공간의 전면과 평행하며 면 간 거리가 제로이고, 104C면은 유닛 공간의 좌측면에서 102의 두께 치수 플러스 0.5mm 떨어져 있고, 104D면은 유닛 공간의 우측면과 평행하며 면 간 거리가 제로이고, 104E면은 104A의 반대면이며 104의 두께는 30mm에 고정되어 있고, 104F면은 유닛 공간의 후면과 평행하며 면 간 거리가 제로이다.
천판(104)의 좌측면(104C면)에 등록하는 다월 구멍(a, b)의 위치를 104C면의 장방형의 좌측 앞쪽 아래의 모서리를 원점으로 하는 XY 좌표로 지정한다. 도 5(b)의 예에서는 a의 XY 좌표 위치는(100mm, 10mm), b의 좌표 위치는 (200mm, 10mm)이다. 천판(104)을 우측판(102)에 접합한 경우에, 천판(104)의 좌측면(104C면)에 등록하는 2개의 다월 구멍의 중심 위치(a(100mm, 10mm), b(200mm, 10mm))에 대응하는 좌측판(101)의 내측면(101D) 위에 설치되는 2개의 다월 구멍의 좌표 위치를 a'b'이라고 하면, a'b'의 좌측판(102)의 102D면 상의 XY 좌표 상의 위치는 선반판(106)과 좌측판(102)의 위치 관계로부터, a'(100mm, 490mm), b'(200mm, 490mm)로서 구할 수 있다.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시스템은 Windows(등록상표) 등의 OS 상에서 가동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로서 가동시킬 수 있다. OS와 이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사이에는 OpenGL(등록상표) 등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가 3차원 컴퓨터 그래픽 인터페이스로서 인스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양태인 가구의 설계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 있어서, 가구 설계 시스템은 제조 공장(6)과, 판매대리점(4) 또는 하우스 메이커(5)가 구비하는 PC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가구 설계 시스템은 웹 사이트(3)를 설치 운영하고 있다.
판매대리점(4) 또는 하우스 메이커(5)는 본 발명의 가구 설계 시스템(1)을 사용하여 설계한 제품을 PC 또는 카탈로그에 기초하여 고객(2)에게 제안한다. 고객(2)으로부터 치수 또는 사양의 변경 요청을 받고, 판매대리점(4) 또는 하우스 메이커(5)는 가구 설계 시스템(1)을 사용하여 치수 또는 사양을 변경하여 설계한 물품을 그 견적 가격과 납기와 함께 재제안한다. 재제안한 제품의 사양 치수, 가격 납기로 고객으로부터 구입의 주문을 받으면, 그 데이터는 가구 설계 시스템(1)에 송신된다. 주문을 수신한 가구 설계 시스템(1)은 주문받은 제품의 제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하고, 산출에 의해 생성한 데이터를 제조 연계를 하고 있는 제조 공장(6)에 송신한다. 이상의 방법 외에, 고객은 오더 메이드 가구 설계 시스템(1)이 설치 운영하는 웹 사이트(3)에 액세스하여 희망하는 종류 치수의 물품을 입력함으로써, 판매대리점 또는 하우스 메이커를 통하지 않고 직접 주문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양태인 가구 설계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본 시스템(1)은 가구의 유닛을 설계하기 위한 유닛 설계 시스템과, 유닛 설계 시스템에서 설계한 유닛을 조립하여 가구제품을 설계하고, 또한 동일한 제품 품번을 갖는 파트 부재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당해 제품을 구성하는 부재의 구성 명세(BOM)와 각 부재의 가공 명세를 출력하는, 유닛 조립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설계자는 유닛 설계 시스템에 액세스하여, 가구 파트 부재의 치수 정보, 조합 정보와, 파트 부재에 대한 가공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유닛을 작성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설계된 가구를 주문하고자 하는 자는 유닛 조립 시스템에 액세스하여, 미리 유닛 설계 시스템에서 작성되어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유닛을 호출하고, 유닛의 치수를 조정한 뒤에, 유닛을 조합하여 제품을 설계하고, 설계된 제품의 구성 명세(BOM)와 가공 명세를 제조 공장에 출력한다.
본 시스템에서 설계된 제품에 대해 주문을 받은 경우, 설계된 제품의 파트 부재의 부재 구성 명세와 가공 명세를 유닛과 제품마다 분류하여 작성하고, 제품의 품번과 함께 제조 공장(6)에 보낸다. 제조 공장(6)이 희망하는 경우에는, 설계도면을 보낸다. 본 시스템(1)은 고객의 희망에 맞추어 설계하고 주문받은 제품의 6면도를 스스로는 프린트 아웃하지 않고, 제조 데이터를 제조 공장(6)에 송신하고, 제조자 측에서 자기의 양식으로 설계 도면을 프린트 아웃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양태인 유닛 설계 시스템의 PC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양태인 유닛 조립 시스템의 PC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PC 화면에서 가구를 설계하는 경우, 부재의 능선은 모두 PC 화면 중의 XYZ 좌표축의 어느 하나의 방향에 정렬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부재는 모두 직방체로서 파악되므로, 직방체의 하나의 모서리로부터 뻗는 3변은 PC 화면 중의 세계 좌표 XYZ축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뻗도록 설정된다.
실시예 1(서적 선반)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설계된 서적 선반을 도시한다.
1. 유닛과 파트 부재
<제품의 구성>
도 6의 서적 선반은 캐비넷(100)(유닛 1)과 선반판(106)(유닛 2)으로 이루어진다. 유닛 1의 캐비넷(100)은 우측판(101), 좌측판(102), 등판(103), 천판(104), 바닥판(105)의 5개의 파트 부재로 이루어진다. 유닛 2는 선반판(106)의 1개의 파트 부재만으로 이루어지는 유닛이다.
A. 유닛 설계 시스템에 의한 조작
2. 유닛 설계 시스템으로 유닛을 작성한다.
<캐비넷의 작성>
스텝 1) 판재를 조립하여 캐비넷을 작성한다.
판재의 아이콘을 클릭하여 판재의 데이터를 읽어들이면, 메모리에 기억된 판재가 가상의 종횡 두께의 치수에 따라, 그 가상의 치수의 판재(파트 부재)가 화면 상에 표시된다. 표시된 판재(파트 부재)를 카피하고 파트 부재의 필요한 개수(이 실시예에서는 5개)를 작성한다. 이어서, 판재(파트 부재)의 초기 치수와, 가변/고정의 구별, 치수가 가변인 경우의 최대값/최소값의 설정(임의)을 입력한다. 초기 치수와 가변/고정, 최대값/최소값의 설정(임의)이 입력된 각 파트 부재를 화면 위에서 드래그해서 이동하여 PC 화면의 XYZ축 방향으로 각각 정렬·배치함으로써 캐비넷(100)을 조립하여 작성한다.
도 7(a)를 참조하여, 캐비넷(100)은 5개 파트 부재(우측판(101), 좌측판(102), 등판(103), 천판(104), 바닥판(10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우측판(101)과 좌측판(102)의 초기 치수는 모두 높이 700mm(가변), 안길이 300mm(가변), 두께 15mm(고정)이다. 천판(104)과 바닥판(105)의 초기 치수는 모두 가로 길이 370mm(가변), 안길이 299.5mm(가변), 두께 15mm(고정)이다. 등판(103)의 초기 치수는 가로 길이 400mm(가변), 높이 700mm(가변), 두께 15mm(고정)이다.
스텝 2) 판재 상호 간에 파트 부재 면 연관화를 한다.
우선, CPU는 각 파트 부재의 6면에 자동적으로 식별부호를 부여한다. 각각의 상면을 A면, 전면을 B면, 좌측면을 C면, 우측면을 D면, 하면을 E면, 후면을 F면이라고 하면, 우측판(101)의 6면에는 101A, 101B, 101C, 101D, 101E, 101F, 좌측판(102)의 6면에는 102A, 102B, 102C, 102D, 102E, 102F, 등판(103)의 6면에는 103A, 103B, 103C, 103D, 103E, 103F, 천판(104)의 6면에는 104A, 104B, 104C, 104D, 104E, 104F, 바닥판(105)의 6면에는 105A, 105B, 105C, 105D, 105E, 105F라고 하는 식별부호가 부여된다.
파트 부재 면 연관화의 수순으로서, 예를 들면, 도 8의 예에서는, 이하와 같이 좌측판(102)을 기준으로 하여 면 연관화를 개시한다.
1. 좌측판(102)의 우측면(102D)과 천판(104)의 좌측면(104C)은 서로 평행하며 동일 평면 위에 있다.
2. 좌측판(102)의 우측면(102D)과 바닥판(105)의 좌측면(105C)은 서로 평행하며 동일 평면 위에 있다.
3. 좌측판(102)의 좌측면(102C)과 등판(103)의 좌측면(103C)은 서로 평행하며 동일 평면 위에 있다.
4. 좌측판(102)의 전면(102B)과 우측판(101)의 전면(101B)은 서로 평행하며 동일 평면 위에 있다.
5. 좌측판(102)의 전면(102B)과 천판(104)의 전면(104B)은 서로 평행하며 102B는 104B로부터 0.5mm 떨어져 있다.
6. 좌측판(102)의 전면(102B)과 바닥판(105)의 전면(105B)은 서로 평행하며 102B는 105B로부터 0.5mm 떨어져 있다.
7. 좌측판(102)의 후면(102F)과 우측판(101)의 후면(101F)은 서로 평행하며 동일 평면 위에 있다.
8. 좌측판(102)의 후면(102F)과 천판(104)의 후면(104F)은 서로 평행하며 동일 평면 위에 있다.
9. 좌측판(102)의 후면(102F)과 바닥판(105)의 후면(105F)은 서로 평행하며 동일 평면 위에 있다.
10. 좌측판(102)의 후면(102F)과 등판(103)의 전면(103B)은 서로 평행하며 동일 평면 위에 있다.
11. 좌측판(102)의 상면(102A)과 천판(104)의 상면(104A)은 서로 평행하며 102A는 104A로부터 0.5mm 떨어져 있다.
12. 좌측판(102)의 상면(102A)과 우측판(101)의 상면(101A)은 서로 평행하며 동일 평면 위에 있다.
13. 좌측판(102)의 하면(102E)과 바닥판(105)의 하면(105E)은 서로 평행하며 102E는 105E로부터 0.5mm 떨어져 있다.
14. 좌측판(102)의 하면(102E)과 우측판(101)의 하면(101E)은 서로 평행하며 동일 평면 위에 있다.
15. 좌측판(102)의 상면(102A)과 등판(103)의 상면(103A)은 서로 평행하며 동일 평면 위에 있다.
16. 좌측판(102)의 하면(102E)과 등판(103)의 하면(103E)은 서로 평행하며 동일 평면 위에 있다.
파트 부재 중에는 좌측판(102)의 어느 면과도 면 연관화 할 수 없는 면도 있으므로, 좌측판을 기준으로 하는 면 연관화만으로는 캐비넷(100)을 완전하게 정의할 수 없다. 그래서, 좌측판을 기준으로 개시한 면 연관화를 완료한 후, 이하와 같이 우측판(101)과 등판(103), 천판(104), 바닥판(105)을 면 연관화 한다.
17. 우측판(101)의 좌측면(101C)과 천판(104)의 우측면(104D)은 서로 평행하며 동일 평면 위에 있다.
18. 우측판(101)의 좌측면(101C)과 바닥판(105)의 우측면(105D)은 서로 평행하며 동일 평면 위에 있다.
19. 우측판(101)의 우측면(101D)과 등판(103)의 우측면(103D)은 서로 평행하며 동일 평면 위에 있다.
이상에 의해 캐비넷(100)을 구성하는 각 파트 부재 사이에 부여된 파트 부재 면 연관화를 도 8에 나타낸다. 상기에서 서로 파트 부재 면 연관화 되어 파트 부재로 구성된 캐비넷(100)을 유닛 1로 한다. 유닛 1이 설계되면, 유닛 설계 시스템은 유닛 1의 외접 직방체 공간을 유닛 공간으로서 산출한다.
스텝 3) 상기에서 작성한 유닛 1의 유닛 공간의 6면(A면, B면, C면, D면, E면, F면)과 유닛 1을 구성하는 각 파트 부재 사이에 유닛 공간·파트 부재 면 연관화를 부여한다.
1. 유닛 공간의 상면(A면)은 좌측판(102)의 상면(102A)과 서로 평행하며 또한 면 간 거리는 제로.
2. 유닛 공간의 하면(E면)은 좌측판(102)의 하면(102E)과 서로 평행하며 또한 면 간 거리는 제로.
3. 유닛 공간의 좌측면(C면)은 좌측판(102)의 좌측면(102C)과 서로 평행하며 또한 면 간 거리는 제로.
4. 유닛 공간의 우측면(D면)은 우측판(101)의 우측면(101D)과 서로 평행하며 또한 면 간 거리는 제로.
5. 유닛 공간의 전면(B면)은 좌측판(102)의 전면(102B)과 서로 평행하며 또한 면 간 거리는 제로.
6. 유닛 공간의 후면(F면)은 등판(103)의 후면(103F)과 서로 평행하며 또한 면 간 거리는 제로.
이상에 의해 유닛 1(캐비넷(100))의 유닛 공간과 유닛 1을 구성하는 각 파트 부재의 사이에 부여된 유닛 공간·파트 부재 면 연관화를 도 9에 나타낸다.
유닛 1을 구성하고 있는 파트 부재의 면은 유닛 1의 유닛 공간의 그것과 평행하게 대응하는 면과 유닛 공간·파트 부재 면 연관화 되어 있다. 각 파트 부재의 면은 다른 파트 부재의 평행하게 대응하는 면에 대하여 직접 또는 간접으로 파트 부재 면 연관화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닛 공간·파트 부재 면 연관화와, 파트 부재 면 연관화를 해 둠으로써, 유닛 조립 시스템에서 유닛 1의 유닛 공간의 하나의 면을 이동시키면, 그것에 연동하여 유닛 1의 파트 부재의 면이 그것에 연동하여 이동되고, 또한, 그 파트 부재와 파트 부재 면 연관화 된 다른 파트 부재의 면이 그것과 연동하여 이동된다.
도 7(a), 도 8에 있어서, 우측판(101E면)과 좌측판(102E면)은 모두 천판(104E면)에 대하여 파트 부재 면 연관화 되어 있지 않다. 마찬가지로, 우측판(101A면)과 좌측판(102A면)은 모두 바닥판(105A)에 대하여 파트 부재 면 연관화 되어 있지 않다. 천판(104)의 두께는 고정으로 설정되어 있고, 우측판(101), 좌측판(102) 및 등판(103)의 높이는 가변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우측판(101E면)과 좌측판(102E면) 및 우측판(101A면)과 좌측판(102A)은 각각 상하로 이동할 수 있고, 그들 면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천판(104)의 두께를 고정한 채로, 캐비넷(100)의 높이 치수를 변경할 수 있다.
스텝 4) 캐비넷에 셀 공간을 설정한다
상기 면 연관화가 종료된 후, 캐비넷(100)의 내부 공간에 셀 공간(P)을 설정한다. 셀 공간(P)은 도 7(a)의 우하방에 도시된 6방향의 화살표에 따라, A면, B면, C면, D면, E면, F면을 갖는다. 셀 공간(P)의 A면, C면, D면, E면, F면은 각각 캐비넷(100)의 104E면, 102D면, 101C면, 105A면, 103B면과 대면한다. 캐비넷(100) 전면은 개구로 되어 있으므로, 셀 공간(P)의 B면과 대면하는 파트 부재의 면은 존재하지 않는다. 캐비넷(100)의 내부 공간에 셀 공간을 설정함으로써 인필드 유닛을 수용하고 셀 공간·유닛 공간 면 연관화를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스텝 5) 천판, 바닥판과 좌우 측판에 다월 구멍을 설치한다.
캐비넷(100)의 천판(104)과 바닥판(105)을 좌우 측판(102, 103)과 각각 다월로 접합 고정하기 위해, 천판(104)과 바닥판(105)의 좌우 마구리면에 각각 3개소씩 6mm의 외경과 8mm의 깊이를 갖는 원통 형상의 다월 구멍을 설치한다. 천판, 바닥판의 마구리면에 설치한 다월 구멍을 좌우 측판이 대응하는 위치에 전사함으로써 좌우 측판의 내면에 다월 구멍을 설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스템에서 파트 부재의 면의 XY 좌표로 다월 구멍의 위치를 특정함에 있어서는, 다월 구멍의 원통의 원의 중심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위치를 설정한다.
도 7(b)는 도 7(a)의 캐비넷(100)의 천판(104)의 좌측 마구리면(104C면)을 나타낸다. 도 7(c)는 104C면이 좌측판(102D면)과 접합되었을 때의 102D면 상의 XY 좌표에 있어서의 3개의 다월 구멍의 위치를 나타낸다. 천판(104)의 상면은 측판(101과 102)의 상면에 대하여 작은 단차가 설치되어 있고, 0.5mm 들어가 있다. 마찬가지로 바닥판(105)의 하면은 측판(101과 102)의 하면에 대하여 작은 단차가 설치되어 있고 0.5mm 올라와 있다. 좌우 측판(101, 102)의 전면(101B면, 102B면)에 대하여, 천판의 104B면, 바닥판의 105B면은 모두 0.5mm 들어가 있다.
도 7(b)를 참조하여, 104C면의 장방형의 좌하측 모서리를 원점(0, 0)으로 하고, 원점으로부터 뻗는 2변을 x축, y축으로 하는 이차원 좌표(로컬 좌표)를 설정한다. 3개의 다월 구멍(a, b, c)을, 장방형의 가로 방향에 대해서는, 양단으로부터 30mm의 위치에 a와 c, 및 횡변의 길이를 이등분하는 중심 위치에 b를 설치한다. 장방형의 세로 방향에 대해서는 a, b, c는 3개 모두 종변의 길이(15mm)를 이등분하는 중심 위치에 있다.
천판의 안길이는 측판의 안길이 300mm보다 0.5mm 짧은 299.5mm이며, 천판의 두께(고정)는 15mm이므로, 104C면의 장방형의 좌하측 모서리를 원점(0, 0)으로 하는 로컬 좌표에서는 3개의 다월 구멍(a, b, c)의 위치는 각각, a(30mm, 7.5mm), b(149.75mm, 7.5mm), c(269.5mm, 7.5mm)가 된다.
이어서 도 7(c)를 참조하여, 104C면의 다월 구멍(a, b, c)을 캐비넷(100)의 좌측판(102D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투영하고, a'b'c'으로 한다. 좌측판(102D면)의 장방형의 좌하측 모서리를 원점(0, 0)으로 하는 XY 좌표에서는 a'b'c'의 위치는 a'(30.5mm, 692.0mm), b'(150.25mm, 692.0mm), c'(270.0mm, 692.0mm)이 된다.
상기는 좌측판(102D면)에 다월을 사용하여 접합되는 바닥판(105)의 좌측 마구리면(105C면)과 좌측판(102D면)에 설치되는 다월 구멍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캐비넷(100)은 좌우 대칭 구조이므로, 천판(104D면)과 우측판(101C면), 바닥판(105D면)과 우측판(101C면)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가동 선반판의 작성>
스텝 6) 가동 선반판(106)(유닛 2)을 작성한다.
아이콘을 클릭하여 읽어 낸 판재를 가동 선반판(106)의 파트 부재로서 화면 상에 표시한다. 가동 선반판의 초기 치수를 가로 길이 369mm, 안길이 299.5mm, 두께 15mm(고정)로 설정한다. 가동 선반판의 가로 길이는 가동 선반판을 캐비넷 내에서 움직이기 쉽게 하기 위해, 캐비넷의 셀 공간의 횡폭보다도 1mm 작게 설정하고 있다.
스텝 7) 가동 선반판(106)을 유닛 2로 하고, 유닛 2의 유닛 공간과, 면 간 거리 제로로 유닛 공간·파트 부재 면 연관화를 한다. 가동 선반(106)을 하나의 파트 부재만으로 이루어지는 유닛 2로서 설정한다. 유닛 2의 외접 직방체 공간을 그대로 유닛 2의 유닛 공간으로서 설정한다.
스텝 8) 선반판을 떠받치는 다월의 다월 구멍의 위치 결정을 한다.
도 10(a), (b) (c)를 참조하여, 좌측판(102)의 우측면(102D)의 면에, 가동 선반판의 바닥을 다월로 떠받치기 위한 다월 구멍을 3개 설치한다. 가동 선반판(106)을 캐비넷 내에서 상하 가동으로 하기 위해서는, 선반판(106)의 높이 위치에 따라 좌측판(102D면)에 설치되는 다월 구멍의 위치가 바뀌도록 설정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측판(102D)의 면에 설치하는 다월 구멍의 위치는 가동 선반판(106)의 마구리면(106C면)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설정하고, 선반판(106)의 마구리면(106C)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된 가상의 기준 위치를 102D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투영하여 특정되는 측판(102D)면 상의 위치를 102D면 상의 다월 구멍의 위치로 한다.
도 10(b)를 참조하여, 선반판(106C면)의 장방형의 좌하측 모서리를 원점으로 하는 XY 좌표(로컬 좌표)를 설정하고, 좌측판(102D면)에 다월 구멍을 설치하기 위한 기준 위치(g, h, i)를 선반판(106C면)의 장방형에 설정된 XY 좌표로 특정한다. 실시예 1의 서적 선반에 있어서, 가동 선반판(106)의 초기 치수는 안길이 299.5mm, 두께 15mm이며, 다월 구멍의 외경은 6mm이므로, 다월 구멍 기준 위치(g, h, i)는 선반판(106C면)의 장방형의 좌단으로부터 차례대로 g(30mm, -3mm), h(149.75mm, -3mm), i(269.5mm, -3mm)가 된다.
도 6에서는, 선반판(106)은 좌우 측판의 높이 방향의 길이를 이등분하는 높이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캐비넷(100)은 선반판(106)을 사이에 끼고 상하로 대칭이다. 따라서, 천판과 측판의 다월 구멍의 설정은 바닥판과 측판에도 카피 가능하다. 또한 선반판(106)을 수용한 캐비넷(100)은 좌우 대칭이므로, 선반판(106)의 면에 설정된 다월 구멍(기준 위치), 및 거기에서 측판 면에의 다월 구멍 가공은 선반판의 면에 설정된 정보를 반대면에 카피할 수 있다.
B. 유닛 조립 시스템에 의한 조작
3. 유닛을 읽어 내어 화면 상에서 조합하여 제품을 만든다.
스텝 9) 유닛 1과 2를 화면 상에 표시한다.
유닛 조립 시스템의 MENU 화면의 아이콘을 클릭하여, 유닛 설계 시스템에서 설계되고 메모리에 등록된 유닛 중, 원하는 타입의 것을 읽어 내어, 화면 상에 표시한다. 여기에서는, 캐비넷의 유닛을 읽어 내어 유닛 1로서 표시하고, 선반판용의 판재의 파트 부재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읽어 내어 유닛 2로서 표시한다.
스텝 10) 캐비넷(유닛 1)에 가동 선반판(유닛 2)을 수용한다.
도 6에 도시하는 캐비넷(100)의 셀 공간(P)에 가동 선반판(106)을 설치하고 싶은 높이 위치로 드래그하여 이동한다. 도 6에서는, 가동 선반판(106)은 당초 좌우 측판의 높이 방향의 중심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캐비넷(100)의 파트 부재인 측판(101, 102), 천판(104), 바닥판(105), 등판(103)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셀 공간(P)에 선반판(106)을 수용한다. 도 6의 예에서는, 선반판(106)을 드래그하여 이동시킨 위치에서, 선반판(106)의 주위 4면(106B면, 106C면, 106D면, 106F면)이 셀 공간(P)이 대응하는 4면(B면, C면, D면, F면)에 대하여 면 간 거리 제로로 셀 공간·유닛 공간 면 연관화 되어 있다.
가동 선반판(106)이 셀 공간(P)에 수용되면, 좌우 측판의 내면에 선반판을 지지하는 다월 구멍이 측판에 전사된다.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반판(106)은 좌측판에 설치된 3개의 다월 구멍에 삽입된 다월에 의해 하면을 떠받칠 수 있으므로, 선반판의 마구리면 자신에게는 다월 구멍은 설치되지 않는다. 선반판의 마구리면(106C면)에는 그것과 대면하는 좌측판(102D면)에 설치하는 다월 구멍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가상의 기준 위치가 설정된다.
도 10(b)를 참조하여, 선반판(106C면)의 다월 구멍의 기준 위치(g, h, i)는 106C면의 장방형의 좌하측 모서리를 원점으로 하는 XY 좌표(로컬 좌표)에서는 g(30mm, -0.3mm), h(149.75mm, -0.3mm), i(269.5mm, -0.3mm)이다. g, h, i의 각 위치로부터 106C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좌측판(102)의 우측면(102D) 위에 투영하여 특정되는 위치를 g", h", i"라고 하면, g", h", i"의 좌표는 우측판의 장방형의 좌하측을 원점으로 하는 XY 좌표에 있어서, 각각 g"(30.5mm, 339.5mm), h"(150.25mm, 339.5mm), i"(270mm, 339.5mm)이 된다.
선반판(106)을 캐비넷(100)의 셀 공간(P)에 수용하면, 선반판(106)의 마구리면을 기준으로 하여 특정된 위치(g, h, i)에 입력된 다월 가공이 좌측판(102)의 우측면(102D)의 g", h", i"의 위치에 자동적으로 전사 입력된다.
선반판(106C면), 좌측판(102D면)의 다월 구멍의 위치의 설정은 반대면인 선반판(106D면), 우측판(101C면)과 동일하므로, 선반판(106D면), 우측판(101C면)에 부여한 가공을 반대면에 카피하면 된다.
스텝 11) 유닛의 치수 변경을 입력한다
도 6, 도 7, 도 8, 도 9을 참조하여, 캐비넷(100)(유닛 1)의 안길이를 300mm에서 400mm로 변경하는 조작을 설명한다.
유닛 공간의 후면(F면)에 대하여 면의 위치를 100mm 안길이 방향(F 방향)으로 이동하면, 등판(103)의 두께가 고정되어 있고, 또한, 도 8을 참조하여, 102F면, 101F면은 모두 등판(103B면)에 대하여 면 간 거리 제로로 파트 부재 면 연관화 되어 있으므로, 좌측판(102)의 102F면, 우측판(101)의 101F면은 모두 100mm 안길이 방향(F 방향)으로 이동한다. 좌측판(102), 우측판(101)의 안길이는 가변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좌측판(102), 우측판(101)의 안길이는 100mm 연장되어 400mm가 된다. 또한, 102B면, 101B면은 등판(103F면, 103B면)에 대하여 파트 부재 면 연관화 되어 있지 않으므로, 유닛 공간의 후면(F면)을 F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등판(103F면, 103B면)이 F 방향으로 이동해도, 연동하여 이동하지 않는다.
캐비넷(100)의 안길이를 300mm에서 400mm로 변경한 후의 다월 구멍의 위치를 도 11에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도 6, 도 7, 도 8, 도 9를 참조하여, 캐비넷(100)(유닛 1)의 높이 700mm를 10mm 낮게 하여 690mm로 변경하는 조작을 설명한다.
도 9에 있어서 유닛 1의 상면(A면)은 좌측판 상면(102A)과 유닛·파트 면 연관화 되어 있으므로, 유닛 1의 높이를 690mm로 하면, 좌측판(102A) 면이 면 연관화에서 설정한 관계(양자 간의 거리는 제로)에 따라 그것과 연동하여 10mm 하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렇게 하면, 도 8을 참조하여, 좌측판 상면(102A)은 천판(104)의 상면(1`04A)과 서로 평행하고 또한 0.5mm 떨어져 있다고 하는 설정으로 면 연관화 되어 있으므로, 천판(104)의 상면(104A)은 좌측판(102A) 면으로부터 0.5mm 떨어져 있다고 하는 관계를 유지하면서 10mm 하방향으로 내려진다. 또한, 좌측판 상면(102A)은 우측판(101)의 상면(101A)과 등판(103)의 상면(103A)과 서로의 거리 제로의 설정으로 면 연관화 되어 있으므로, 좌측판 상면(102A)이 10mm 하방향으로 이동되면 그것에 연동하여 우측판(101A면)과 등판(103A면)도 10mm 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결과, 유닛 1의 높이를 690mm로 하는 변경을 입력한 것에 따라, 파트 부재 101, 102, 103의 높이 치수는 각각 10mm 축소되어 어느 것도 690mm가 된다.
캐비넷(100)의 높이를 700mm에서 690mm로 변경한 후의 다월 구멍의 위치를 도 12에 나타낸다. 도 12는 좌측판(102D면)의 다월 구멍의 위치 설정을 나타내지만, 우측판(101C면)에 설정되는 다월의 위치 설정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6, 도 7, 도 8, 도 9, 도 10을 참조하여, 캐비넷(100)(유닛 1)에 수용되어 있는 선반판(106)(유닛 2)의 위치를 10mm 내리는 조작을 설명한다.
도 10에 있어서, 선반판(106)은 측판의 높이를 이등분하는 중심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선반판(106)의 하면(106E)은 좌측판(102)의 하면(102E), 우측판(101)의 하면(101E)으로부터 모두 342.5mm(700mm×1/2―7.5mm)의 거리에 설치되어 있다.
선반판(106)의 파트 부재는 유닛 2로서 그 주위 4면(B면, C면, D면, F면)은 셀 공간(P)의 B면, C면, D면, F면과 서로의 면 간 거리 제로로 셀 공간·유닛 공간 면 연관화 되어 있지만, 상면(A면)과 하면(E면)은 서로의 면 간 거리가 지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선반판(106)은 주위 4면에 대하여 설정된 셀 공간·유닛 공간 면 연관화에 따르면서, 상하 방향으로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선반판(106)을 바닥면 106E의 101의 바닥면으로부터의 거리가 332.5mm가 되도록 하방향으로 10mm 이동시키면, 도 10(c)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06C면의 기준 위치(g, h, i)의 Y 좌표가 10mm 내려지고, 그 결과, 102D면에 시행된 가공(g", h", i")의 102D면에 설정된 XY 좌표상에서 Y 좌표가 각각 10mm 내려진다.
캐비넷(100)의 선반판의 높이 위치를 10mm 낮게 변경한 후의 다월 구멍의 위치를 도 13에 나타낸다.
스텝 12) 설계된 서적 선반의 사양과 견적 가격과 납기를 산출하여 표시한다.
스텝 11)의 치수 변경을 거쳐 설계된 서적 선반의 가격과 납기의 견적을 서적 선반을 구성하는 부재와 조달 기간에 기초하여 산출하고, 그 결과를 설계된 서적 선반의 입체 화상과 함께 PC 화면 상에 표시한다.
도 18은 본 실시예의 서적 선반에 사용하는 부재의 가격과 조달 기간의 마스터 데이터의 예이다. 개개의 부재의 가격과 조달 기간은 제조 공장(6)으로부터 제시되어, 본 발명의 시스템의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품의 견적 가격은 파트 부재의 마스터 데이터에 등록된 각 부재의 가격에 기초하여, 제품의 제조에 사용하는 파트 부재의 가격을 적산한 것에, 공임 및 각종 경비와 이익을 더하여 산출한다. 제품의 납기는 파트 부재의 마스터 데이터에 등록된 각 부재의 조달에 필요한 기간에 기초하여 서적 선반의 납기를 제품의 제조에 사용하는 복수의 파트 부재 중에서 최장의 조달 기간의 것에 가공, 조립 제작 기간, 포장, 반입 기간을 더하여 산출한다.
스텝 13) 출력 표시된 제품으로 OK인지 아닌지 고객에게 문의한다.
유닛에 대한 변경 입력으로 변경된 치수의 서적 선반을 입체 화상으로서 PC 화면 상에 출력 표시한다. 고객은 화면 상에 출력된 제품의 사양과 견적 가격, 납기에 만족하면, 그것으로 제안된 가구의 구입을 결정한다. 표시된 사양, 가격 또는 납기에 만족하지 않고, 수정을 희망할 때는, 스텝 11)의 변경 입력으로 되돌아온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서는, 파트 부재 상호간의 접합 수단으로서 접착제를 사용할지 비스 등을 사용할지 등은 지정하고 있지 않다. 그것들은 파트 부재에 대한 가공으로서 설정 부여할 수 있다. 또는, 파트 부재를 접합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지정하지 않고, 제조 연계하는 제조 공장에 맡기는 것도 가능하다.
4. 제품의 제조를 발주한다.
스텝 14) 고객으로부터 주문된 제품의 제조 데이터를 가구 설계 시스템(1)을 통하여 제조 공장으로 보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조 공장에 제공되는 제조 데이터로서 1. 파트 부재의 구성 명세(BOM 데이터)와, 2. 가공 명세와, 3. 설계 도면을 제공한다.
1. 구성 명세(BOM 데이터)
도 14는 본 실시예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설계한 서적 선반의 부재 구성 명세 데이터(BOM 데이터)를 나타낸다. 서적 선반에는 제품번호 001이 부여되어 있다. 서적 선반을 구성하는 2개의 유닛(캐비넷과 선반)에는 각각 유닛 번호 1, 유닛 번호 2가 부여된다. 유닛 1과 2의 각 파트 부재에는 파트 부재번호가 부여되어 있고, 각 파트 부재의 각각에 재료, 폭, 높이, 두께, 개수가 지정되어 있다.
2. 가공 명세
도 15(a)는 본 실시예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설계한 서적 선반의 좌측판(102)에 부여되는 다월 구멍의 가공 명세를 나타낸다. 도 15(b)는 서적 선반의 높이를 10mm 내린 경우의 좌측판(102)의 다월 구멍의 가공 명세를 나타낸다. 도 15(c)는 선반판(106)의 위치를 10mm 내린 경우의 좌측판(102)의 다월 구멍의 가공 명세를 나타낸다.
도 15(a), (b), (c)는 선반판(106C)에 대면하는 좌측판(102D)에 부여되는 다월 구멍 가공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선반판(106D)에 대면하는 우측판(101C)과의 사이에도 동일한 다월 구멍 가공이 부여된다.
3. 설계도면
도 16(a), (b), (b)는 각각 본 실시예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설계한 도 6의 서적 선반의 평면도, 정면도, 우측면도이다. 도 17(a)-(f)는 각각 본 실시예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설계한 도 6의 서적 선반의 (a) 우측판, (b) 좌측판, (c) 천판, (d) 등판, (e) 바닥판, (f) 선반판(106)의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이다. (F) 선반판(106)은 복합판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그 6면에 첩부하는 표면재와 마구리재의 적용을 나타내고 있다.
스텝 15) 제조 공장은 구성 명세(BOM)와 가공 명세의 데이터를 받고, 그 데이터에 따라 제품을 제조한다. 제조 공장은, 본 시스템과 연계함으로써, 상기 도 14의 구성 명세(BOM 데이터)와 도 15의 가공 명세 데이터를 받아들임으로써, 주문된 가구를 자동 제조 라인에서 자동적으로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조 공장은, 도 16(a)-(c) 및 17(a)-(f)에 나타내는 설계 도면을 사용하여, 자동 제조 라인에 의하지 않고, 종래의 도면에 기초하는 방법으로 주문된 가구를 제조할 수도 있다. 또는, 제조 공장은 자동 제조 라인과 종래의 제조 방법을 병용함으로써 주문된 가구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2(서랍 부착 수납 케이스)
도 20(a),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서랍 부착 수납 케이스를 나타낸다. 도 20의 서랍 부착 수납 케이스는 캐비넷(100)(유닛 1)과, 서랍 내측 상자(200)(유닛 2)와, 서랍 전판(300)(유닛 3)과 손잡이(400)(유닛(4))로 이루어진다. 손잡이(400)는 비직방체 형상이지만, 그 최소의 외접 직방체 공간을 손잡이(400)의 윤곽으로 하고, 판재와 마찬가지로 직방체의 윤곽을 갖는 파트 부재로서 취급한다.
유닛 1(캐비넷(100))은 스켈레톤 유닛이며, 셀 공간(P1)과 셀 공간(P2)을 갖는다. 유닛 2(서랍 내측 상자)는 인필드 유닛이며, 도 20(a)에서는, 유닛 2는 캐비넷(100)의 셀 공간(P2)에 수용되고, 셀 공간·유닛 공간 면 연관화 되어 있다. 유닛 3(서랍 전판(300))과 유닛 4(손잡이(400))는 유닛 2(서랍 내측 상자)와 조합되어 서랍을 구성하고, 서랍은 캐비넷(유닛 1)과 조합되어 제품인 서랍 부착 수납 케이스가 구성된다.
유닛 1(캐비넷(100))은 파트 부재인 우측판(101), 좌측판(102), 등판(103), 천판(104), 바닥판(105), 선반판(106)의 각 파트 부재로 이루어진다. 유닛 1의 각 파트 부재는 유닛 1의 유닛 공간의 6면과 유닛 공간·파트 부재 면 연관화 되어 있고, 또한 각 파트 부재의 서로 평행한 면끼리는 파트 부재 면 연관화가 되어 있다.
유닛 2(서랍 내측 상자(200))의 파트 부재는 서랍 좌측면판(201), 서랍 우측면판(202), 서랍 바닥판(203), 서랍 뒷판(204)으로 이루어진다. 유닛 2의 각 파트 부재는 유닛 2의 유닛 공간의 6면과 유닛 공간·파트 부재 면 연관화 되어 있고, 또한 각 파트 부재의 서로 평행한 면끼리 파트 부재 면 연관화가 되어 있다. 유닛 3(서랍 전판(300))의 파트 부재는 서랍 전판(300)뿐이다. 마찬가지로, 유닛 4(손잡이(400))의 파트 부재는 손잡이(400)뿐이다.
유닛 3(서랍 전판(300))과 유닛 2(서랍 내측 상자)는 각각의 유닛 공간끼리가 유닛 공간 면 연관화 되어 있고, 유닛 공간 면 연관화에 있어서, 서랍 전판의 유닛 공간의 후면(F면)과 서랍 내측 상자의 유닛 공간의 전면(B면)과의 면 간 거리는 제로로 지정되어 있다. 유닛 1(캐비넷(100))과 유닛 3(서랍전판)은 각각의 유닛 공간끼리가 유닛 공간 면 연관화 되어 있고, 유닛 공간 면 연관화에 있어서, 유닛 3(서랍 전판)의 유닛 공간의 후면(F면)과 유닛 1(캐비넷(100))의 유닛 공간의 전면(B면) 사이의 면 간 거리는 5mm로 지정되어 있다. 유닛 3(서랍 전판)과 유닛 4(서랍 손잡이(400))는 각각의 유닛 공간끼리 유닛 공간 면 연관화 되어 있고, 유닛 공간 면 연관화에 있어서, 서랍 전판의 유닛 공간의 전면(B면)과 서랍 손잡이의 후면(F면)의 면 간 거리는 제로로 지정되어 있다.
이상의 각 면 연관화가 설정된 뒤에, 유닛 1(캐비넷(100))의 유닛 공간의 하면을 10mm 하방향(E 방향)으로 내리면, 유닛 공간의 하면과 유닛 공간·파트 부재 면 연관화 된 파트 부재의 하면이 10mm 하방향(E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그 파트 부재와 파트 부재 면 연관화 된 다른 파트 부재의 하면이 파트 부재 면 연관화로 설정한 면 간 거리를 따라 10mm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그것에 따라, 다른 파트 부재의 치수가 변경되어, 유닛 1(캐비넷(100))의 셀 공간(P2)의 치수가 변경된다. 셀 공간(P2)의 치수가 변경되면, 셀 공간(P2)과 셀 공간·유닛 공간 면 연관화 된 서랍 내측 상자 유닛 2의 유닛 공간의 치수가 변경된다. 서랍 내측 상자 유닛 2의 유닛 공간의 치수가 변경되면, 서랍 내측 상자 유닛 2를 구성하는 각 파트 부재의 치수가 유닛 공간·파트 부재 면 연관화와 파트 부재 면 연관화에 따라 변경된다.
유닛 1(캐비넷)의 치수가 변경되면, 유닛 1의 유닛 공간과, 전판 유닛(3)의 유닛 공간과의 사이에 부여된 유닛 공간 면 연관화에 따라 서랍 전판 유닛의 치수가 변경된다. 그 결과, 서랍 전판 파트 부재의 치수가 변경된다.
서랍 전판 유닛(3)의 치수가 변경되면, 서랍 전판에 부착되어 있는 손잡이 유닛(4)의 치수가 앞판 유닛(3)의 유닛 공간의 전면(B면)과 손잡이 유닛(4)의 유닛 공간의 F면과의 사이의 면 간 거리를 제로로 설정한 유닛 공간 면 연관화에 따라 변경된다. 그 결과, 서랍 손잡이의 파트 부재의 치수가 변경된다.
실시예 3(문짝 부착 수납 케이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문짝 부착 수납 케이스를 나타낸다. 도 21의 문짝 부착 수납 케이스(제품)는 캐비넷(100)(유닛 1)과, 문짝(300)(유닛 2)과, 손잡이(400)(유닛(3))로 이루어진다. 문짝(200)과 캐비넷(100) 사이에는 2mm 간격을 설치하고 있다.
유닛 1(캐비넷(100))을 구성하는 각 파트 부재의 면 상호 간에는 면 간 거리 제로로 파트 부재 면 연관화가 되어 있다. 유닛 1의 유닛 공간과, 유닛 1(캐비넷(100))을 구성하는 각 파트 부재의 면과의 사이에는 면 간 거리 제로로 유닛 공간·파트 부재 면 연관화가 되어 있다.
유닛 1의 유닛 공간 1과 유닛 2(문짝)의 유닛 공간 2는 문짝과 캐비넷 사이에 2mm의 간격을 두고, 유닛 공간 면 연관화 되어 있다. 도 21에서는, 유닛 공간 1의 상면(A면)과 유닛 공간 2의 상면(A면)은 서로 평행하며 동일 평면 위에 있다. 유닛 공간 1의 좌측면(C면)과 유닛 공간 2의 좌측면(C면)은 서로 평행하며 동일 평면 위에 있다. 유닛 공간 1의 우측면(D면)과 유닛 공간 2의 우측면(D면)은 서로 평행하며 동일 평면 위에 있다. 유닛 공간 1의 하면(E면)과 유닛 공간 2의 하면(E면)은 서로 평행하며 동일 평면 위에 있다. 유닛 1의 유닛 공간 1의 전면(B면)과 유닛 2의 유닛 공간 2의 후면(F면)은 서로 평행하며 면 간 거리가 2mm이다. 문짝의 두께는 15mm로 고정되어 있다.
유닛 2(문짝)와 유닛 3(문짝 손잡이(400))은 손잡이가 (외접 직방체 공간) 문짝의 전면에 접합되어 있다. 도 21에서는, 유닛 공간 2의 상면(A면)과 유닛 공간 3의 상면(A면)은 서로 평행하며 소정 거리 떨어져 있다. 유닛 공간 2의 좌측면(C면)과 유닛 공간 3의 좌측면(C면)은 서로 평행하며 소정 거리 떨어져 있다. 유닛 공간 2의 우측면(D면)과 유닛 공간 3의 우측면(D면)은 서로 평행하며 소정 거리 떨어져 있다. 유닛 공간 2의 하면(E면)과 유닛 공간 3의 하면(E면)은 서로 평행하며 소정 거리 떨어져 있다. 유닛 1의 유닛 공간 1의 전면(B면)과 유닛 2(문짝)의 유닛 공간 2의 후면(F면)은 서로 평행하며 동일 평면 위에 있다.
이상의 면 연관화를 한 뒤에, 유닛 1(캐비넷(100))의 유닛 공간의 상면을 10mm 상방향(A 방향)으로 올리면, 캐비넷 유닛 1의 유닛 공간의 상면과 유닛 공간 면 연관화 된 문짝 유닛 2의 유닛 공간의 상면이 10mm 상방향(A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문짝 유닛 2의 유닛 공간과 유닛 공간·유닛 공간 면 연관화 되어 있는 문짝 손잡이 유닛(3)의 유닛 공간의 상면이 유닛 공간 면 연관화의 설정에 따라 상방향(A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상의 결과, 유닛 1, 2, 3을 구성하는 각 파트 부재의 위치와 치수가 연동하여 변경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구로서는 가장 단순한 구조의 제품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보다 복잡한 구조를 갖는 가구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가구의 설계, 제조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적용은 가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널리 복수의 구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입체 구조물의 설계, 제조에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복수의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되는 가구의 부재를 컴퓨터를 사용하여 설계하는 방법으로서,
    메모리에 기억된 파트 부재의 데이터를 읽어 내어, 직방체 형상의 제1 파트 부재와 제2 파트 부재를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1 파트 부재와 제2 파트 부재를, 제1 파트 부재의 제1면과 제2 파트 부재의 제2면이 서로 평행하게 직면하도록 화면 위에 배치하고,
    상기 제1과 제2 파트 부재의 각 면의 장방형의 하나의 모서리를 원점으로 하여 당해 모서리로부터 직교하여 뻗는 2변을 X축, Y축으로서 설정한 XY 좌표를 설정하고, 상기 제1면의 상기 XY 좌표에 의해 제1 위치를 특정하고,
    상기 제1 파트 부재의 제1면을 상기 제2 파트 부재의 제2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투영함으로써,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의 이차원적 위치 관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2면 상의 위치를 제2 위치로서 상기 제2면의 XY 좌표에 의해 특정하고,
    상기 제1면의 XY 좌표로 특정된 제1 위치에 선택한 가공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제2면의 XY 좌표로 특정된 제2 위치에 상기 입력한 가공을 전사 입력하고,
    상기 제1 파트 부재와 상기 제2 파트 부재의 치수 데이터를 그 6면에 부여되는 가공의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되는 가구의 부재를 컴퓨터를 사용하여 설계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 부재의 제1면의 XY 좌표로 특정되는 제1 위치는, 상기 제1면의 장방형의 가로 길이 및/또는 세로 길이의 함수로서 특정되고, 상기 제1면의 장방형의 가로 길이 및/또는 세로 길이를 변경하면, 상기 제1면의 XY 좌표로 특정된 제1 위치가 변경되고, 그것에 연동하여 상기 제2면의 XY 좌표로 특정된 제2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되는 가구의 부재를 컴퓨터를 사용하여 설계하는 방법.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 부재와 상기 제2 파트 부재는 서로 평행하게 대응하는 면끼리 사이의 면 간 거리를 지정하는 파트 부재 면 연관화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되는 가구의 부재를 컴퓨터를 사용하여 설계하는 방법.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 부재와 상기 제2 파트 부재의 양자가 함께 외접하는 가상 3차원 직방체 공간을 설정하고, 상기 가상 3차원 직방체 공간의 각 6면이 상기 제1 파트 부재의 하나의 면 및 상기 제2 파트 부재의 하나의 면과, 각각 서로 평행하게 대응하는 면끼리 사이의 면 간 거리를 지정하는 유닛 공간·파트 부재 면 연관화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되는 가구의 부재를 컴퓨터를 사용하여 설계하는 방법.
  5. 복수의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되는 가구의 부재를 컴퓨터를 사용하여 설계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메모리에 기억된 파트 부재의 데이터를 읽어 내어, 직방체 형상의 제1 파트 부재와 제2 파트 부재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수단과,
    상기 제1 파트 부재와 제2 파트 부재를, 제1 파트 부재의 제1면과 제2 파트 부재의 제2면이 서로 평행하게 직면하도록 화면 위에 배치하는 수단과,
    상기 제1과 제2 파트 부재의 각 면의 장방형의 하나의 모서리를 원점으로 하여 당해 모서리로부터 직교하여 뻗는 2변을 X축, Y축으로서 설정한 XY 좌표를 설정하고, 상기 제1면의 상기 XY 좌표에 의해 제1 위치를 특정하는 수단과,
    상기 제1 파트 부재의 제1면을 상기 제2 파트 부재의 제2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투영함으로써,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의 이차원적 위치 관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위치에 대응하는 제2면 상의 위치를 제2 위치로서 상기 제2면의 XY 좌표에 의해 특정하는 수단과,
    상기 제1면의 XY 좌표로 특정된 제1 위치에 선택한 가공을 입력하고, 상기 제2면의 제2 위치에 상기 입력한 가공을 전사하는 수단과,
    상기 제1 파트 부재와 상기 제2 파트 부재의 치수 데이터를 그 6면에 부여되는 가공의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되는 가구의 부재를 컴퓨터를 사용하여 설계하기 위한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 부재의 제1면의 XY 좌표의 제1 위치는 상기 제1면의 장방형의 가로 길이 및/또는 세로 길이의 함수로서 특정되고, 상기 제1면의 장방형의 가로 길이 및/또는 세로 길이를 변경하면, 상기 제1면의 XY 좌표로 특정된 제1 위치가 변경되고, 그것에 연동하여 상기 제2면의 XY 좌표로 특정된 제2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되는 가구의 부재를 컴퓨터를 사용하여 설계하기 위한 시스템.
  7. 제5 항 또는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 부재와 상기 제2 파트 부재는 서로 평행하게 대응하는 면끼리 사이의 면 간 거리를 지정하는 파트 부재 면 연관화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되는 가구의 부재를 컴퓨터를 사용하여 설계하기 위한 시스템.
  8. 제5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 부재와 상기 제2 파트 부재의 양자가 함께 외접하는 가상 3차원 직방체 공간을 설정하고, 상기 가상 3차원 직방체 공간의 각 6면이 상기 제1 파트 부재의 하나의 면 및 상기 제2 파트 부재의 하나의 면과, 각각 서로 평행하게 대응하는 면끼리 사이의 면 간 거리를 지정하는 유닛 공간·파트 부재 면 연관화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되는 가구의 부재를 컴퓨터를 사용하여 설계하기 위한 시스템.
  9. 제1 항 내지 제4 항에 기재된 각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또는 컴퓨터를 제5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각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10. 제9 항에 기재된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
KR1020177032311A 2016-02-02 2017-01-31 컴퓨터를 사용한 오더 메이드 가구의 설계, 제조 방법, 시스템 및 그것을 위한 프로그램 KR201801084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18216 2016-02-02
JPJP-P-2016-018216 2016-02-02
PCT/JP2017/003324 WO2017135222A1 (ja) 2016-02-02 2017-01-31 コンピュータを用いたオーダーメード家具の設計及び製造方法、システム、及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416A true KR20180108416A (ko) 2018-10-04

Family

ID=59501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311A KR20180108416A (ko) 2016-02-02 2017-01-31 컴퓨터를 사용한 오더 메이드 가구의 설계, 제조 방법, 시스템 및 그것을 위한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713395B2 (ko)
EP (1) EP3321830B1 (ko)
JP (3) JP6276898B2 (ko)
KR (1) KR20180108416A (ko)
CN (1) CN107615281B (ko)
WO (1) WO20171352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82278B2 (ja) 2017-07-28 2019-10-02 ドゥーマンズ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を用いて設計した家具のパーツ部材を加工機械を用いて製造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US11507711B2 (en) 2018-05-18 2022-11-22 Dollypup Productions, Llc. Customizable virtual 3-dimensional kitchen components
US11373015B2 (en) * 2018-07-16 2022-06-28 Dassault Systemes Solidworks Corporation Designing a 3D modeled object representing a mechanical structure
CN109308131A (zh) * 2018-08-24 2019-02-05 无锡加简软件开发有限公司 一种开槽机输入方法
JP2020173559A (ja) * 2019-04-09 2020-10-22 Vuild株式会社 加工処理システム、加工処理プログラム、及び加工処理方法
WO2020263736A1 (en) * 2019-06-26 2020-12-30 Dollypup Productions, LLC Customizable virtual 3-dimensional kitchen components
CN110390150B (zh) * 2019-07-11 2023-05-12 广州市云家居云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多个单元的方案组合全局参数控制方法
CN111127653B (zh) * 2019-11-22 2023-06-16 久瓴(江苏)数字智能科技有限公司 正置式平屋面生成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11205296B2 (en) * 2019-12-20 2021-12-21 Sap Se 3D data exploration using interactive cuboids
USD959477S1 (en) 2019-12-20 2022-08-02 Sap Se Display system or portion thereof with a virtual three-dimensional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59447S1 (en) 2019-12-20 2022-08-02 Sap Se Display system or portion thereof with a virtual three-dimensional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59476S1 (en) 2019-12-20 2022-08-02 Sap Se Display system or portion thereof with a virtual three-dimensional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1985014B (zh) * 2020-08-11 2024-04-16 广联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标准图集的建模方法及系统
CN112307576B (zh) * 2020-09-30 2022-04-08 成都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三维立体化铣样板快速设计方法
BE1029294B1 (nl) * 2021-04-30 2023-02-03 Aluzon Productie van structuren opgebouwd uit bouwkundige elementen
CN113378262B (zh) * 2021-05-24 2023-04-07 中建钢构武汉有限公司 弯扭构件的加工信息获取方法、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14436C2 (de) * 1979-04-10 1981-10-01 Pusch, Günter, Dr.-Ing., 6903 Neckargemünd Wärmereflektierende Tapete oder Wandbelag
US5293479A (en) * 1991-07-08 1994-03-08 Quintero Smith Incorporated Design tool and method for preparing parametric assemblies
JPH10162048A (ja) * 1996-11-27 1998-06-19 Toshiba Corp 三次元cad装置
US7016747B1 (en) * 1999-08-03 2006-03-21 Kenichi Ninomiya Article design support system and method and medium storing program for article design support
WO2009111885A1 (en) * 2008-03-11 2009-09-17 Dirtt Environmental Solutions, Ltd. Automatically creating and modifying furniture layouts in design software
EP1837785A4 (en) * 2004-12-17 2012-11-07 Kenichi Ninomiya ARTICLE DESIGN SUPPORT SYSTEM AND CONTROL PROCEDURE THEREFOR
JP2007164576A (ja) * 2005-12-15 2007-06-28 Kenichi Ninomiya サイズ変更可能な物品の設計データ構造
US20080172207A1 (en) * 2007-01-11 2008-07-17 Andrew Philippe Palioca Semi-automated generation of frame structures in cad models
JP4977497B2 (ja) * 2007-03-08 2012-07-18 富士通株式会社 部品の三次元モデルの選別を行うためのプログラム、方法、システム
US9679410B1 (en) * 2007-08-22 2017-06-13 Trimb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arametric modeling of three dimensional objects
US20110213480A1 (en) * 2010-03-01 2011-09-01 Genexis Design Inc. Parametric product configuration system
JP6022290B2 (ja) * 2012-10-03 2016-11-09 ドゥーマンズ株式会社 ユニットのデータ構造,ユニット設計装置および方法,家具設計装置,家具設計システム,ならびに家具製造支援装置
EP3128450A4 (en) * 2015-03-27 2017-05-03 Domans, Inc. Made-to-order furniture design, order reception, and production order system, method, and program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13395B2 (en) 2020-07-14
JP6276898B2 (ja) 2018-02-07
US20200356705A1 (en) 2020-11-12
EP3321830A4 (en) 2018-09-19
US20180089336A1 (en) 2018-03-29
JP2018081718A (ja) 2018-05-24
CN107615281B (zh) 2022-02-08
JP6783835B2 (ja) 2020-11-11
EP3321830A1 (en) 2018-05-16
JP2019003686A (ja) 2019-01-10
CN107615281A (zh) 2018-01-19
JP6405477B2 (ja) 2018-10-17
JPWO2017135222A1 (ja) 2018-02-08
WO2017135222A1 (ja) 2017-08-10
EP3321830B1 (en) 2021-09-29
US11829685B2 (en) 202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8416A (ko) 컴퓨터를 사용한 오더 메이드 가구의 설계, 제조 방법, 시스템 및 그것을 위한 프로그램
KR101830305B1 (ko) 오더 메이드 가구의 설계·수주·제조 발주 시스템, 방법 및 그것을 위한 프로그램
Marziale et al. A review of two models for tolerance analysis of an assembly: Jacobian and torsor
CN112771461A (zh) 自动化生产建筑木制品
JP2010231820A (ja) 物品の設計支援のためのサーバ・コンピュー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913721B1 (ja) 3次元立体構造物を設計し、その3次元立体構造物の寸法を変更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6000486B1 (ja) 複数のパーツ部材を組み合わせて構成される家具をコンピューターを用いて設計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CN110945443B (zh) 用加工设备制造计算机设计的家具零部件的系统及方法
JP5913720B1 (ja) 立体構造物を設計し、その寸法を変更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6221572A (ja) 情報処理装置、3次元形状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ikhaar Design for mass production of small lotsize mechanical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