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5623A - 내열성 및 내산성을 가지는 Acidothermus 속 유래 탈분지 효소를 이용한 전분당으로부터 포도당의 생산 방법 및 그 포도당 - Google Patents

내열성 및 내산성을 가지는 Acidothermus 속 유래 탈분지 효소를 이용한 전분당으로부터 포도당의 생산 방법 및 그 포도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5623A
KR20180105623A KR1020180111195A KR20180111195A KR20180105623A KR 20180105623 A KR20180105623 A KR 20180105623A KR 1020180111195 A KR1020180111195 A KR 1020180111195A KR 20180111195 A KR20180111195 A KR 20180111195A KR 20180105623 A KR20180105623 A KR 20180105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cose
enzyme
leu
starch
as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준갑
윤란영
김성보
박승원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ublication of KR20180105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6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02Monosaccha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0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 coli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24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 C12N9/2402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hydrolysing O- and S- glycosyl compounds (3.2.1)
    • C12N9/2405Glucanases
    • C12N9/2451Glucanases acting on alpha-1,6-glucosidic bonds
    • C12N9/246Isoamylase (3.2.1.68)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16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produced by the action of an alpha-1, 6-glucosidase, e.g. amylose, debranched amylopect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12Amylose; Amylopectin;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C12Y302/01068Isoamylase (3.2.1.68)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Acidothermus 속 유래의 효소를 이용하여 전분당을 원료로 하여 생산되는 포도당의 생산 수율을 향상시킨 것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가수분해의 역반응으로 쓴맛을 갖는 산 당화법을 대체할 수 있으며, 기존의 효소 당화법에 사용되는 탈분지효소에 비해 당화반응의 부반응을 감소시켜 상대적으로 높은 수율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내열성 및 내산성을 가지는 Acidothermus 속 유래 탈분지 효소를 이용한 전분당으로부터 포도당의 생산 방법 및 그 포도당 {Method for production of glucose from starch using debranching enzyme derived from Acidothermus sp. having characteristic of thermostability and acid-resistance, and the glucose thereof}
본 출원은 Acidothermus 속 유래의 탈분지 효소 (debranching enzyme) 및 당화 효소를 이용하여 전분당으로부터 포도당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매스는 크게 보면 사탕수수와 같이 설탕(sugar)이 주성분인 것, 옥수수, 고구마와 같이 전분(starch)이 주성분인 것, 나무, 억새 등과 같이 셀룰로오스(cellulose)가 주성분인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사탕수수로부터 쉽게 얻어지는 설탕은 직접 미생물이 섭취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전처리 또는 당화공정이 없어도 된다. 그러나 옥수수처럼 전분이 주성분인 경우는 분자 크기가 커서 직접 미생물이 이용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작은 크기의 포도당으로 쪼개 주어야 한다. 이 과정에 물이 들어가게 되며 이를 가수분해(hydrolysis)라고 한다.
전분의 가수분해는 주로 효소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는 우리가 밥을 먹고 소화시키는 것과 같다. 우리가 쌀로 밥을 해서 먹으면 밥은 침샘에서 나오는 효소에 의해 위에서 분해되어 포도당으로 변환되고, 이 포도당은 우리 몸의 세포에 전달되어 대사작용에 사용된다. 전분을 포도당으로 바꾸는 첫 번째 과정은 우리가 밥을 하듯이 온도를 올려서 전분의 구조를 느슨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래야 효소가 전분에 접근해 전분을 포도당으로 쪼갤 수 있다. 효소에 의해 전분을 포도당으로 쪼개는 과정은 세부적으로 복잡한 메커니즘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분을 포도당으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중 효소 당화법은, 미생물에서 유래한 알파아밀라아제를 전분에 작용시켜 액화시킨 후, 탈분지 효소 및 당화 효소를 반응시켜 포도당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효소 당화법에 이용되는 탈분지 효소로 주로 슈도모나스속(Pseudomonas sp.)에서 분리한 효소인 Promozyme® (pullulanase, Novozyme社)을 사용하였으나, Promozyme®은 좁은 범위의 측쇄길이 [DP(Degree of Polymerization) 4 내지 5]에 대한 특이성을 나타내므로, 전분당에 존재하는 다양한 길이 (DP 3 내지 30)의 분지사슬의 가수분해에 부적합하여 포도당 수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은 신규한 탈분지 효소를 사용하여 전분당으로부터 포도당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전분, 아밀로펙틴 및 말토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전분당을 포함하는 기질 용액에 내열성 및 내산성을 가지는 Acidothermus 속에서 유래된 탈분지 효소와 당화 효소를 동시에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도당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Acidothermus 속에서 유래의 탈분지 효소인 이소아밀레이즈(Isoamylase)를 전분당에 처리하면, 다양한 길이의 분지사슬을 가수분해함으로써, 전분당으로부터 포도당을 생산함에 있어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목적은, Acidothermus 속에서 유래된 이소아밀레이즈 및 당화 효소를 일정한 단위비로 사용하여, 전분당으로부터 포도당을 생산하는 수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출원은 Acidothermus속 유래의 탈분지 효소 및 당화 효소를, 전분당을 포함하는 기질 용액에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분당으로부터 포도당의 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Acidothermus속 유래의 탈분지 효소는, Acidothermus속 유래의 탈분지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벡터에 삽입하여 발현벡터를 생산하는 단계; 상기 발현 벡터를 세포에 형질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형질 전환된 세포를 배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배양 후 수득된 배양물을 원심분리 및/또는 파쇄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쇄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파쇄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초음파 파쇄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벡터는 pET-28a(+)일 수 있다.
상기 Acidothermus속 유래의 탈분지 효소는 아이소아밀라아제(isoamylase)일 수 있다. 상기 탈분지효소는 α-1,6-결합의 가수분해 활성을 가지며, 특히 다양한 범위의 측쇄 길이(DP; Degree of Polymerization) 3 내지 30에 대한 특이성을 나타내므로, 포도당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당화 효소는, 탈분지된 전분당 또는 전분당의 포도당으로의 가수분해를 촉매할 수 있는 효소로, 당화 효소를 첨가함으로써 탈분지 효소에 의해 절단된 전분당 사슬로부터 최종적으로 포도당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당화 효소로는 예를 들어, α-아밀라아제, β-아밀라아제, 글루코아밀라아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글루코아밀라아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당화 효소는 pH 3 내지 pH 7 의 범위에서 당화 반응이 진행 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pH 3 내지 pH 6에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당화 효소의 반응 온도는 40 ℃ 내지 70 ℃ 의 온도, 보다 구체적으로는 55 ℃ 내지 65 ℃의 온도일 수 있다.
상기 Acidothermus속 균주는 Acidothermus cellulolyticus 균주일 수 있다. 예컨대, Acidothermus cellulolyticus 균주는 Acidothermus cellulolyticus strain 11B [ATCC ® 43068TM]일 수 있다. 상기 균주 유래 아이소아밀라아제(isoamylase)는 서열 번호 1의 염기 서열에 의해 코딩되며, 또한, 서열 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상기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될 수 있는 세포로는, 예컨데, 대장균, 바실러스 속 미생물, 효모(예: 제빵효모),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식물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분당은 예컨데, 전분, 아밀로펙틴 및 말토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아밀로펙틴 구조를 가지는 전분일 수 있다. 아밀로펙틴과 말토덱스트린은 전분에 알파아밀라아제를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전분당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데, 옥수수, 타피오카, 감자 및 쌀 중 어느 하나에서 유래된 전분당일 수 있다.
상기 전분당은 액화 전분당일 수 있다.
상기 Acidothermus속 유래의 탈분지 효소 및 당화 효소를, 전분당을 포함하는 기질 용액에 처리하는 단계가 pH 2 내지 pH 6 의 범위에서 진행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3 내지 pH 5에서 진행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pH 4.3에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Acidothermus속 유래의 탈분지 효소 및 당화 효소를 전분당을 포함하는 기질 용액에 처리하는 단계가 40 ℃ 내지 70 ℃의 온도에서 진행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내지 65 ℃의 온도에서 진행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65℃에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Acidothermus속 유래의 탈분지 효소 및 당화 효소의 효소활성 단위비(unit ratio)는 2:1 내지 60:1, 구체적으로 10:1 내지 60:1, 또는 구체적으로 10:1 내지 40:1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당화 효소의 반응평형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탈분지 효소의 도움이 필요하고 그 효소활성 단위비가 높을수록 포도당 수율이 증가하지만, 당화 효소 및 Acidothermus속 유래의 탈분지 효소의 효소활성 단위 비가 1: 60을 초과하면 포도당의 수율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전분당을 포도당으로 분해하는 당화반응은 당화효소가 주요 역할을 하는 것이고 탈분지 효소는 보조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Acidothermus속 유래의 탈분지 효소 및 당화 효소의 효소활성 단위비가 2:1 미만이면 전분당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지 못해 포도당 수율이 감소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양태는, Acidothermus속 유래의 탈분지 효소를, 전분당으로부터 포도당을 생산함에 있어서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40 ℃ 내지 70 ℃ 및 pH 2 내지 pH 6 에서 활성을 가지는 Acidothermus cellulolyticus 유래의 탈분지 효소를 제공한다. 상기 탈분지효소는 α-1,6-결합의 가수분해 활성을 가지며, 사슬 길이에 대한 선택성, 특히 DP 3 및 4, 또는 3 이상, 또는 4 이상에 대한 선택성이 좋아, 포도당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탈분지 효소의 활성 온도 범위는 40 ℃ 내지 70 ℃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내지 65 ℃ 일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일 수 있다.
상기 탈분지 효소의 활성 pH 범위는 pH 2 내지 pH 6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3 내지 pH 5에서 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pH 4.3에서 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르면 전분당을 이용한 포도당 생성 반응에서 Acidothermus 속 유래의 탈분지 효소(Isoamylase)를 사용한 경우, 기존 상업효소 탈분지 효소(Pullulanase)를 사용한 경우보다 전분당부터 포도당을 생산하는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당화 효소와 탈분지 효소의 복합 반응에서 두 효소의 사용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전분당 가수분해 반응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반응(DP2) 및 미반응(DP3, DP4+) 산물의 생성 양을 감소시켜 전분당으로부터 포도당을 생산하는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출원의 전분당으로부터 포도당을 제조하는 방법은, 강산성 및/또는 고온의 조건에서 활성을 유지하는 탈분지 효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포도당의 생산 수율이 크게 향상된다.
도 1은 전분당의 여러 가수분해 효소와 그 분해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은 여러 탈분지 효소와 이에 따른 분해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출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실시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 예는 본원 출원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출원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유전자 확보 및 재조합 단백질 생산
1) 재조합 대장균의 제조
PCR에 사용된 프라이머의 서열에는 내산/내열성 미생물인 Acidothermus cellulolyticus 유래의 탈분지효소 유전자의 양쪽 말단의 일부 서열과 각각 NdeⅠ과 HindⅢ의 제한효소 반응서열을 포함하였다.
(Forward) 5'GAA-TTC-ATG-CCG-GAA -3'
(Reverse) 5'GAA-TTC-TTA-GAG-GAC -3'
이 결과로부터 2.1kb의 PCR 산물을 얻을 수 있었다. 획득한 DNA 절편을 pET-28a(+) 벡터에 삽입한 후 대장균 BL21(DE3)에 형질전환시켰다. 상기 DNA 는 서열번호 1과 같은 염기 서열을 갖는다. 형질전환된 대장균은 카나마이신(kanamycin)이 포함된 평판배지에서 도말하여 카나마이신(kanamycin)에 대한 내성이 있는 균주를 1차로 선별하였다. 1차 선별된 균주들을 각기 액체 배양한 후 DNA를 정제하여 NdeⅠ과 HindⅢ로 이중 절단했을 때 2.1kb와 5.3kb의 DNA 단편이 확인된 균주를 최종 선별하였다. 자동염기서열분석기를 이용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목적하는 탈분지 효소 유전자 염기서열과 본 연구에서 얻어진 탈분지 효소의 염기서열은 동일하였다.
2) 재조합 단백질 생산
내산/내열성 미생물(Acidothermus cellulolyticus) 유래의 탈분지 효소(isoamylase)를 수득하기 위해, 다음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냉동 보관된 재조합 대장균 BL21(DE3) 균주를 LB배지 5 ㎖이 들어있는 시험관(test tube)에 접종하고 600 nm에서 흡광도 2.0이 될 때까지 37 ℃의 배양기로 종균 배양을 실시하였다. 종균 배양된 배양액을 LB배지 500 ㎖이 들어있는 2 L 플라스크에 첨가하여 본 배양을 실시하였다. 또한, 600 nm에서의 흡광도가 0.4가 될 때, 0.1 mM IPTG(이소프로필 β-D-1-티오갈락토티오피라노시드)를 첨가하여 탈분지 효소의 대량 발현을 유도하였다. 상기 과정 중의 교반 속도는 180 rpm, 배양 온도는 37 ℃가 유지하도록 조절하고, IPTG를 첨가 후에도 교반 속도는 120 rpm, 배양 온도는 20 ℃로 배양하였다. 상기 형질 전환된 균주의 배양액을 6,000×g 로 4 ℃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50 mM 트리스-염산 완충용액으로 두 번 세척한 후, Ni-NTA binding 완충용액(50 mM sodium phosphate, 300 mM Nacl, 10 mM imidazole, pH 8.0)을 첨가하여 상기 세포 용액을 초음파 파쇄기(sonicator)로 파쇄하였다. 세포 파쇄물은 다시 13,000×g 로 4 ℃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 상등액만을 효소액으로서 분리하였다. 효소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 Ni-NTA superflow 컬럼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정제한 효소의 분자량을 SDS-PAGE로 측정한 결과 약 75 kDA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HPLC를 이용한 각 효소 활성 측정
1) 내산/내열성 미생물(Acidothermus cellulolyticus) 유래의 탈분지 효소(isoamylase) 활성은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활성측정을 위한 HPLC 분석 조건은 다음과 같다.
HPLC 분석조건
- Detector: RID     
- Flow rate: 0.6㎖ /min
- Sample injection vol.: 10㎕     
- Column: Bio-Rad HPX 87C
- Solvent: D.I Water
총 분석 소요 시간은 20분으로 설정한다.
내산/내열성 미생물(Acidothermus cellulolyticus) 유래의 탈분지 효소(isoamylase) 활성은 옥수수 전분을 원료로 하여 당화 효소(Glucoamylase)와의 효소 복합반응을 수행하여 전분으로부터 분해된 포도당 생성으로 확인하였다. 효소 반응 조건은 다음과 같다.
당화 효소(Glucoamylase, Dupont社)와 실시예 1에서 생산된 탈분지 효소(Isoamylase, 50 mM sodium acetate buffer pH 4.3)의 효소활성 단위(total unit) 비를 1:4로 사용하여 액화전분(DE(Dextrose Equivalnet) 9.5)과 온도 60 ℃에서 72시간 동안 효소 복합 반응을 수행하였다. 100 ℃에서 5분 동안 가열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다음, HPLC 분석을 실시하여 포도당의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옥수수 전분으로부터 분해된 포도당의 수율이 96.2%로 확인되었다. 전분으로부터 분해된 포도당의 수율은 효소 반응 후 생성된 산물들의 면적비로 계산하였다.
실시예 3: Acidothermus 속 유래의 탈분지 효소(Isoamylase) 및 상업용 탈분지 효소(Pullulanase)의 포도당 수율 비교
Acidothermus cellulolyticus 유래의 탈분지 효소 및 상업용 탈분지 효소(pullulanase, Novozyme社)를 이용한 전분으로부터 분해된 포도당 수율을 확인해 보았다. 효소반응 조건은 다음과 같다.
당화 효소(Glucoamylase, Dupont社) 및 각각의 탈분지 효소의(isoamylase, pullulanase)의 전체 효소활성단위(total unit) 비율을 1:4로 사용하여 액화 전분(DE 9.5)과 온도 60 ℃에서 72시간 동안 효소 복합 반응을 수행하였다. 100 ℃에서 5분 동안 가열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다음, HPLC 분석을 실시하여 포도당의 생산량을 면적비로 측정한 결과 Acidothermus cellulolyticus 유래의 탈분지 효소(isoamylase)를 이용한 반응이 상업용 탈분지 효소(Pullulanase)를 이용한 반응보다 더 높은 포도당 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이당류(DP2) 이상의 전분당을 분석한 결과 Acidothermus cellulolyticus 유래의 탈분지 효소(isoamylase)를 사용한 경우 포도당으로 분해되지 않은 미반응 산물(DP3, DP4+) 생성율이 감소하여 상대적으로 포도당 수율이 증가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당화 효소 탈분지효소 Glucose(%) DP2(%) DP3(%) DP4+(%)
Dupont社
Glucoamylase
(Ratio 1)
Acidothermus 유래
Isoamylase
(Ratio 4)
96.20 2.57 0.39 0.84
Novozym社
Pullulanase
(Ratio 4)
96.10 2.16 0.64 1.10
상기 표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대량생산에 최적화된 것으로 알려진 풀루라네이즈를 이용한 경우와 비교할 때, 본 출원의 Acidothermus cellulolyticus 유래의 이소아밀레이즈를 이용시 효소 반응이 더 높아 증가된 포도당 수율을 얻을 수 있었고, 축합도가 상대적으로 큰 미반응 산물 DP3 및 DP4의 비율이 더 낮았다. 즉, 본 출원의 이소아밀레이즈를 효소 반응에 적용하는 경우 포도당 수율이 더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실시예 4: Acidothermus 속 유래의 탈분지 효소(Isoamylase) 농도에 따른 포도당 수율 변화
Acidothermus cellulolyticus 유래의 탈분지 효소(isoamylase) 농도에 따른 포도당 수율의 변화를 확인해 보았다. 효소 반응 조건은 다음과 같다. 당화 효소(Glucoamylase, Dupont社) 및 탈분지 효소의 효소활성 단위(total unit) 비를 각각, 1:2, 1:10, 1:20, 1:60로 사용하여 액화전분(DE 9.5)과 온도 60 ℃에서 72시간 동안 효소 복합 반응을 수행하였다. 100 ℃에서 5분 동안 가열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다음, HPLC 분석을 실시하여 포도당의 생산량을 면적비로 측정한 결과 당화 효소 대비 탈분지 효소(isoamylase)의 비율이 높을수록 더 높은 포도당 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Acidothermus cellulolyticus 유래의 탈분지 효소(isoamylase)의 활성이 높을수록 전분 가수분해 반응시 당화 효소에 의해 생성되는 부반응 산물(DP2)을 감소시키고 미반응 산물(DP4)을 분해하여 포도당 수율이 증가하게 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당화 효소
(Dupont社,
Glucoamylase)
탈분지효소
(Acidothermus
Isoamylase)
Glucose(%) DP2(%) DP3(%) DP4+(%)
Ratio 1 Ratio 2 95.91 2.31 0.57 1.21
Ratio 10 96.71 2.15 0.60 0.54
Ratio 20 96.94 1.99 0.63 0.43
Ratio 60 97.07 1.90 0.63 0.40
상기 표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당화 효소 대 이소아밀레이즈의 효소활성 단위비를 1:2에서 1:60으로 증가함에 따라, 더 높은 수율의 포도당을 얻을 수 있었다. 즉, 당화 효소 대비 이소아밀레이즈의 비율을 높일수록 포도당의 수율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실시예 5: Acidothermus 속 유래의 탈분지 효소(Isoamylase)와 당화 효소 복합 반응에서 당화 효소 농도에 따른 포도당 수율 변화
탈분지 효소(Isoamylase)와 당화 효소 복합 반응에서 당화 효소 농도에 따른 포도당 수율 변화를 확인해 보았다. 효소 반응 조건은 다음과 같다. 탈분지 효소 및 당화 효소(Glucoamylase, Dupont社)의 효소활성 단위(total unit) 비를 각각 1:0.05, 1:0.04, 1:0.03 및 1:0.02로 사용하여 액화전분(DE 9.5)과 온도 60 ℃에서 72시간 동안 효소 복합 반응을 수행하였다. 100 ℃에서 5분 동안 가열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다음, HPLC 분석을 실시하여 포도당의 생산량을 면적비로 측정한 결과 당화 효소의 비율이 낮을수록 더 높은 포도당 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전분 가수분해에서 사용되는 당화 효소(glucoamylase)는 가수분해 반응 평형에 도달하였을 때 부반응 산물(DP2)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당화 효소 농도를 저감함으로써 부반응 산물이 감소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포도당 수율이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탈분지효소
(Acidothermus
Isoamylase)
당화 효소
(Dupont社,
Glucoamylase)
Glucose(%) DP2(%) DP3(%) DP4+(%)
Ratio 1 Ratio 0.05 96.78 2.35 0.45 0.43
Ratio 0.04 96.90 2.08 0.53 0.49
Ratio 0.03 97.14 2.01 0.51 0.34
Ratio 0.02 96.25 2.05 1.22 0.48
상기 표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당화 효소의 효소활성 단위 비율이 1:0.05에서 1:0.03으로 감소함에 따라, 더 높은 수율의 포도당을 얻을 수 있었다. 즉, 이소아밀레이즈 대비 당화 효소의 비율을 낮출수록 포도당의 수율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비교예 1: 여러 균주 유래 이소아밀라제의 아밀로펙틴 분해 활성 비교(당화반응 조건에서의 활성 평가(60℃, pH 4.3)
No. Enzyme Strain Activity(unit)
1 Isoamylase Enterobacter cloacae subsp. Cloacae 0
2 Bifidobacterium longum subsp. Longum 0
3 Thermotoga neapolitana 0
4 Escherichia coli str. K-12 substr. W3110 0
5 Sinorhizobium meliloti 0
6 Acidothermus cellulolyticus 130.18
7 Novosphingobium aromaticivorans 0
8 Thermotoga thermarum 0
9 Rhodothermus marinus 105.04
여러 균주 유래 이소아밀라제를 이용하여 당화반응 조건에서의 amylopectin의 분해 활성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 를 표 4에 나타내었다. Acidothermus cellulolyticus와 Rhodothermus marinus에서만 활성 확인되었고 이후 두 효소의 포도당 수율을 비교하였다.비교예 2: Acidothermus cellulolyticus 및 Rhodothermus marinus 유래 탈분지 효소(Isoamylase) 의 포도당 수율 비교
Acidothermus cellulolyticus 및 Rhodothermus marinus 탈분지 효소를 이용한 전분으로부터 분해된 포도당 수율을 확인해 보았다. 효소반응 조건은 다음과 같다.
당화 효소(Glucoamylase, Dupont社) 및 각각의 탈분지 효소의(isoamylase, pullulanase)의 효소활성 단위(total unit) 비를 1: 2 내지 1:60으로 사용하여 액화전분(DE 9.5)과 온도 60 ℃에서 72시간 동안 효소 복합 반응을 수행하였다. 100 ℃에서 5분 동안 가열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다음, HPLC 분석을 실시하여 포도당의 생산량을 면적비로 측정한 결과, Acidothermus cellulolyticus 유래의 탈분지 효소(isoamylase)를 이용한 경우(표 6 결과 참조)에서, Rhodothermus marinus 유래 탈분지 효소를 이용한 반응(표 5 결과 참조)에서 보다 더 높은 포도당 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이당류(DP2) 이상의 전분당을 분석한 결과 Acidothermus cellulolyticus 유래의 탈분지 효소(isoamylase)를 사용한 경우 포도당으로 분해되지 않은 미반응 산물(DP2DP4+) 생성율이 감소하여 상대적으로 포도당 수율이 증가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당화 효소
(Dupont社,
Glucoamylase)
탈분지효소
(Rhodothermus 유래
Isoamylase)
Glucose(%) DP2(%) DP3(%) DP4+(%)
Ratio 1 Ratio 2 95.88 2.48 0.35 1.29
Ratio 10 96.26 2.31 0.37 1.06
Ratio 20 96.34 2.24 0.44 0.98
Ratio 60 96.61 2.08 0.56 0.75
당화 효소
(Dupont社,
Glucoamylase)
탈분지효소
(Acidothermus 유래
Isoamylase)
Glucose(%) DP2(%) DP3(%) DP4+(%)
Ratio 1 Ratio 2 95.91 2.31 0.57 1.21
Ratio 10 96.71 2.15 0.60 0.54
Ratio 20 96.94 1.99 0.63 0.43
Ratio 60 97.07 1.90 0.63 0.40
상기 표 5 및 표 6 에 개시된 바와 같이, Rhodothermus marinus 유래 탈분지 효소를 이용한 경우와 비교할 때, 본 출원의 Acidothermus cellulolyticus 유래의 이소아밀레이즈를 이용한 효소 반응이 더 높은 포도당 수율을 얻을 수 있었고, 축합도가 상대적으로 큰 미반응 산물 DP2 및 DP4의 비율이 더 낮았다. 즉, 본 출원의 이소아밀레이즈를 효소 반응에 적용하는 경우 포도당 수율이 더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110> CJ CHEILJEDANG CORPORATION <120> Method for production of glucose from starch using debranching enzyme derived from Acidothermus sp. having characteristic of thermostability and acid-resistance, and the glucose thereof <130> P17-0002 <150> KR 2015/0191033 <151> 2015-12-31 <160> 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139 <212> DNA <213> DNA sequece for encoding isoamylase derived from Acidothermus cellulolyticus ATCC 43068 <400> 1 atgccggaac cgacgacgca atccctcgag gtctggccgg gcgatccgta tccgctcggt 60 gccacgtatg acggggcggg cacgaacttc gccgttttct ccgaggtcgc cgagcagatc 120 gagctctgcc tcttcgacga cgacgggaat gagactcggg tcaccctccc ggagtacgac 180 gcattcgtct ggcacggcta cctgccgggg atcggcccgg ggacacggta cgggttccgc 240 gtgcacggcc cctatgaccc cgcccgcggt ctgcggtgca atccggcgaa actcctcctc 300 gacccatacg ccaaagccat cgacggggac attgacggtc acgaatcgct cttcggttac 360 cgattcggcg atccggcgag ccgcaacgat gaagactccg cgccgcacat gatgaagtcg 420 gttgtcatca atccgttctt cgactggcgc aatgaccatc cgctccgcac gccgtaccac 480 gagtcgatca tttacgaggc gcacgtgcgc ggcatgacga tgacgcaccc ggagattccc 540 gagcatttgc gcggtacgta cgccgcgctc gcgcacccgg tgatgctcga ctacctgtct 600 tccctgggag tgacggccgt cgagctgatg ccggtgcatc aattcgtcac cgataccgcg 660 ctgcgggagc gcggcctgcg caattactgg ggatacaaca cgatcggctt ctttgccccg 720 cacaacggat attccgcatc cggcagtaga ggcgagcagg tgcaggagtt caaggccatg 780 gtccgcgccc tgcatgaagc cggtatcgag gtgatcctgg acgtcgtcta taaccacact 840 gctgaaggca atcacctcgg gcctaccctc tcattccgcg gcctggacaa cgcggcgtat 900 taccgcctgg cggatgacga tcccagccgg tacgtcgact acaccggcac cggtaacagt 960 ttcaacgccc gcaatccgca tgccttgcag ctcatcatgg attccctccg ttactggatt 1020 ctcgagatgc acgtcgacgg gttccggttc gaccttgcgt ccgcgttggc ccgtgaattg 1080 cacgacgtcg accggctctc ggccttcttc gacctcgtac agcaggatcc ggtggtgagc 1140 caggtcaagc tcatcgccga gccgtgggac gtcggcgagg gcggttacca ggtcggcaat 1200 ttcccgccgc tgtggagcga gtggaacggt aaataccgcg acacggtgcg ggatttctgg 1260 cgcggtgagc cggcgactct cggtgaattc gcctcccggc tgaccggctc ctcggacctg 1320 tacgcgagct cgggccgccg tccgatggcg tccatcaact tcgtcacctg ccacgacggc 1380 ttcaccttgc acgacctggt ctcgtacaac gagaagcaca acgaggccaa cggtgaggga 1440 aaccgtgacg gcagcgacga caatcggtca tggaactgcg gtgtcgaagg acccacggac 1500 gacgtgcaca tcatcgcgct tcgggagcaa caaaagcgca atttcctcac gacgctcctg 1560 ctctcgcagg gcgttcccat gattctgcac ggggacgagt tcgggcgaac ccaacggggc 1620 aacaacaacg cctactgcca ggacaacgaa atctcctgga tggattggcg gctcgcagtc 1680 gagcacgagg tgcaactcag cttcacccga aagctcacca cgttccggaa agaacacccg 1740 gtcttccgcc ggcggcggtt cttcgacggc aagccggttc cgcatgtcgc cggcgaggca 1800 ctgccggata tcgcctggtt caccccggcc gcggcgctga tgaccgagac ggactgggag 1860 accgggtatg ccaagagcct gaccgtcttc gtcaacggcg atgcgatccc gtcacccgac 1920 cgccgcggcc agccggtgcg ggacgattcc ttcctgttgc tgttcaacgc cgacgcgaac 1980 gacctcgaat tccgccttcc cgacgaggag tacggccagc gatgggaggc cgtcatcgac 2040 accaccgatc ccctgctcat cgatcccccg acgtacaagg cacaggcggc ggtcaccgtg 2100 ccggctcgat gcgttctggt gctgcgccgt gtcctctaa 2139 <210> 2 <211> 712 <212> PRT <213> Isoamylase derived from Acidothermus cellulolyticus ATCC 43068 <400> 2 Met Pro Glu Pro Thr Thr Gln Ser Leu Glu Val Trp Pro Gly Asp Pro 1 5 10 15 Tyr Pro Leu Gly Ala Thr Tyr Asp Gly Ala Gly Thr Asn Phe Ala Val 20 25 30 Phe Ser Glu Val Ala Glu Gln Ile Glu Leu Cys Leu Phe Asp Asp Asp 35 40 45 Gly Asn Glu Thr Arg Val Thr Leu Pro Glu Tyr Asp Ala Phe Val Trp 50 55 60 His Gly Tyr Leu Pro Gly Ile Gly Pro Gly Thr Arg Tyr Gly Phe Arg 65 70 75 80 Val His Gly Pro Tyr Asp Pro Ala Arg Gly Leu Arg Cys Asn Pro Ala 85 90 95 Lys Leu Leu Leu Asp Pro Tyr Ala Lys Ala Ile Asp Gly Asp Ile Asp 100 105 110 Gly His Glu Ser Leu Phe Gly Tyr Arg Phe Gly Asp Pro Ala Ser Arg 115 120 125 Asn Asp Glu Asp Ser Ala Pro His Met Met Lys Ser Val Val Ile Asn 130 135 140 Pro Phe Phe Asp Trp Arg Asn Asp His Pro Leu Arg Thr Pro Tyr His 145 150 155 160 Glu Ser Ile Ile Tyr Glu Ala His Val Arg Gly Met Thr Met Thr His 165 170 175 Pro Glu Ile Pro Glu His Leu Arg Gly Thr Tyr Ala Ala Leu Ala His 180 185 190 Pro Val Met Leu Asp Tyr Leu Ser Ser Leu Gly Val Thr Ala Val Glu 195 200 205 Leu Met Pro Val His Gln Phe Val Thr Asp Thr Ala Leu Arg Glu Arg 210 215 220 Gly Leu Arg Asn Tyr Trp Gly Tyr Asn Thr Ile Gly Phe Phe Ala Pro 225 230 235 240 His Asn Gly Tyr Ser Ala Ser Gly Ser Arg Gly Glu Gln Val Gln Glu 245 250 255 Phe Lys Ala Met Val Arg Ala Leu His Glu Ala Gly Ile Glu Val Ile 260 265 270 Leu Asp Val Val Tyr Asn His Thr Ala Glu Gly Asn His Leu Gly Pro 275 280 285 Thr Leu Ser Phe Arg Gly Leu Asp Asn Ala Ala Tyr Tyr Arg Leu Ala 290 295 300 Asp Asp Asp Pro Ser Arg Tyr Val Asp Tyr Thr Gly Thr Gly Asn Ser 305 310 315 320 Phe Asn Ala Arg Asn Pro His Ala Leu Gln Leu Ile Met Asp Ser Leu 325 330 335 Arg Tyr Trp Ile Leu Glu Met His Val Asp Gly Phe Arg Phe Asp Leu 340 345 350 Ala Ser Ala Leu Ala Arg Glu Leu His Asp Val Asp Arg Leu Ser Ala 355 360 365 Phe Phe Asp Leu Val Gln Gln Asp Pro Val Val Ser Gln Val Lys Leu 370 375 380 Ile Ala Glu Pro Trp Asp Val Gly Glu Gly Gly Tyr Gln Val Gly Asn 385 390 395 400 Phe Pro Pro Leu Trp Ser Glu Trp Asn Gly Lys Tyr Arg Asp Thr Val 405 410 415 Arg Asp Phe Trp Arg Gly Glu Pro Ala Thr Leu Gly Glu Phe Ala Ser 420 425 430 Arg Leu Thr Gly Ser Ser Asp Leu Tyr Ala Ser Ser Gly Arg Arg Pro 435 440 445 Met Ala Ser Ile Asn Phe Val Thr Cys His Asp Gly Phe Thr Leu His 450 455 460 Asp Leu Val Ser Tyr Asn Glu Lys His Asn Glu Ala Asn Gly Glu Gly 465 470 475 480 Asn Arg Asp Gly Ser Asp Asp Asn Arg Ser Trp Asn Cys Gly Val Glu 485 490 495 Gly Pro Thr Asp Asp Val His Ile Ile Ala Leu Arg Glu Gln Gln Lys 500 505 510 Arg Asn Phe Leu Thr Thr Leu Leu Leu Ser Gln Gly Val Pro Met Ile 515 520 525 Leu His Gly Asp Glu Phe Gly Arg Thr Gln Arg Gly Asn Asn Asn Ala 530 535 540 Tyr Cys Gln Asp Asn Glu Ile Ser Trp Met Asp Trp Arg Leu Ala Val 545 550 555 560 Glu His Glu Val Gln Leu Ser Phe Thr Arg Lys Leu Thr Thr Phe Arg 565 570 575 Lys Glu His Pro Val Phe Arg Arg Arg Arg Phe Phe Asp Gly Lys Pro 580 585 590 Val Pro His Val Ala Gly Glu Ala Leu Pro Asp Ile Ala Trp Phe Thr 595 600 605 Pro Ala Ala Ala Leu Met Thr Glu Thr Asp Trp Glu Thr Gly Tyr Ala 610 615 620 Lys Ser Leu Thr Val Phe Val Asn Gly Asp Ala Ile Pro Ser Pro Asp 625 630 635 640 Arg Arg Gly Gln Pro Val Arg Asp Asp Ser Phe Leu Leu Leu Phe Asn 645 650 655 Ala Asp Ala Asn Asp Leu Glu Phe Arg Leu Pro Asp Glu Glu Tyr Gly 660 665 670 Gln Arg Trp Glu Ala Val Ile Asp Thr Thr Asp Pro Leu Leu Ile Asp 675 680 685 Pro Pro Thr Tyr Lys Ala Gln Ala Ala Val Thr Val Pro Ala Arg Cys 690 695 700 Val Leu Val Leu Arg Arg Val Leu 705 710

Claims (1)

  1. 내열성 및 내산성을 가지는 Acidothermus속 유래의 탈분지 효소 및 당화 효소를, 전분당을 포함하는 기질 용액에 처리하여 포도당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분당으로부터 포도당의 생산 방법.
KR1020180111195A 2015-12-31 2018-09-18 내열성 및 내산성을 가지는 Acidothermus 속 유래 탈분지 효소를 이용한 전분당으로부터 포도당의 생산 방법 및 그 포도당 KR201801056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91033 2015-12-31
KR1020150191033 2015-12-3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267A Division KR20170080537A (ko) 2015-12-31 2017-01-02 내열성 및 내산성을 가지는 Acidothermus 속 유래 탈분지 효소를 이용한 전분당으로부터 포도당의 생산 방법 및 그 포도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623A true KR20180105623A (ko) 2018-09-28

Family

ID=592252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267A KR20170080537A (ko) 2015-12-31 2017-01-02 내열성 및 내산성을 가지는 Acidothermus 속 유래 탈분지 효소를 이용한 전분당으로부터 포도당의 생산 방법 및 그 포도당
KR1020180111195A KR20180105623A (ko) 2015-12-31 2018-09-18 내열성 및 내산성을 가지는 Acidothermus 속 유래 탈분지 효소를 이용한 전분당으로부터 포도당의 생산 방법 및 그 포도당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267A KR20170080537A (ko) 2015-12-31 2017-01-02 내열성 및 내산성을 가지는 Acidothermus 속 유래 탈분지 효소를 이용한 전분당으로부터 포도당의 생산 방법 및 그 포도당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136277A1 (ko)
EP (1) EP3399043A4 (ko)
KR (2) KR20170080537A (ko)
CN (1) CN108699579A (ko)
WO (1) WO201711621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3840B2 (ja) * 1985-10-04 1994-11-24 昭和産業株式会社 糖液の精製方法
DE3788908T2 (de) * 1986-08-28 1994-08-25 Japan Maize Pro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Zuckern aus Stärke.
US5275944A (en) * 1989-09-26 1994-01-04 Midwest Research Institute Thermostable purified endoglucanas from acidothermus cellulolyticus ATCC 43068
JPH05236958A (ja) * 1992-02-28 1993-09-17 Amano Pharmaceut Co Ltd 新規イソアミラーゼ及びその製造法
ATE311469T1 (de) * 1996-05-15 2005-12-15 Japan Maize Prod Verfahren zur enzymatischen herstellung von nigerooligosaccharide.
DE69840512D1 (en) * 1997-11-26 2009-03-12 Novozymes As Thermostabile glukoamylase
KR20010081985A (ko) * 1998-07-02 2001-08-29 피아 스타르 전분 절지 효소
KR100528804B1 (ko) * 2003-12-08 2005-11-15 씨제이 주식회사 균체 재사용에 의한 고수율 자일리톨의 제조방법
CN1245505C (zh) * 2004-04-12 2006-03-15 郭峰 酒精及燃料乙醇专用糖化营养复合酶及其应用
CN101205550B (zh) * 2006-12-20 2011-08-17 凯能高科技工程(上海)有限公司 葡萄糖结晶母液再处理方法
MX2012001243A (es) * 2009-08-07 2012-03-26 Danisco Us Inc Combinacion de alfa-amilasa para procesamiento de almidon y metodo de uso de la misma.
SG180307A1 (en) * 2009-09-03 2012-06-28 Hayashibara Biochem Lab Powder containing anhydrous crystals of 2-o-a-d-glucosyl-l-ascorbic aci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CN104903458A (zh) * 2012-12-14 2015-09-09 丹尼斯科美国公司 将异淀粉酶和来自烟曲霉的α-淀粉酶用于糖化的方法
WO2014164834A1 (en) * 2013-03-11 2014-10-09 Danisco Us Inc. Alpha-amylase combinatorial variants
CN104018337B (zh) * 2014-06-25 2015-12-02 江苏联发纺织股份有限公司 以淀粉和pva混合浆料上浆的纯棉色织物的退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99579A (zh) 2018-10-23
US20190136277A1 (en) 2019-05-09
EP3399043A4 (en) 2019-07-17
WO2017116217A1 (ko) 2017-07-06
KR20170080537A (ko) 2017-07-10
EP3399043A1 (en)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iraldi et al. Trehalose production: exploiting novel approaches
CN111712570A (zh) 一种生产阿洛酮糖及其衍生物的工程菌株及其构建方法和应用
JP3557289B2 (ja) 非還元性糖質からトレハロースを遊離する組換え型耐熱性酵素
WO1992002614A1 (en) Novel thermostable pullulanases
CN110438100B (zh) 一种生物催化合成甘油葡萄糖苷的方法
CA3025953C (en) Method of producing alpha glucans containing alpha 1-3 linked d-glucose units, and alpha glucans
JP3557288B2 (ja) 還元性澱粉糖から末端にトレハロース構造を有する非還元性糖質を生成する組換え型耐熱性酵素
JP3810457B2 (ja) マルトースをトレハロースに変換する組換え型耐熱性酵素
KR101969040B1 (ko) 이소말토올리고당 함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3559609B2 (ja) 組換え型酵素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CN110229800B (zh) 一种产麦芽六糖能力提高的直链麦芽低聚糖生成酶突变体
CN101503678B (zh) 一种麦芽寡糖基海藻糖合成酶及其编码基因与应用
JP3557272B2 (ja) 組換え型酵素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JP3650632B2 (ja) マルトースをトレハロースに変換する組換え型酵素
KR20180105623A (ko) 내열성 및 내산성을 가지는 Acidothermus 속 유래 탈분지 효소를 이용한 전분당으로부터 포도당의 생산 방법 및 그 포도당
US10865405B2 (en) Maltooligosyl trehalose synthase mutant with improved thermal stability
KR102320952B1 (ko) 고중합 이소말토올리고당 제조용 당전이효소를 이용한 이소말툴로오스 유래 올리고당 제조방법
CN109370973B (zh) 一种麦芽糖淀粉酶生产菌株
US11913053B2 (en) Application of trehalase in fermentative production
CN109439641B (zh) 一种生麦芽糖淀粉酶生产菌株的应用
LU503704B1 (en) Type iii pullulan hydrolase mutant for preparing corn resistant starch,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KR102300386B1 (ko) 알파- 및 베타-1,4-글리코시드 결합을 모두 절단하는 효소의 용도
KR102312806B1 (ko) 비피도박테리움 속 유래인 저항전분 분해 활성을 나타내는 아밀라아제들 및 이의 용도
JP4012931B2 (ja) 非還元性糖質生成酵素及びトレハロース遊離酵素ならびに該酵素を用いる糖質の製造方法
JP2010148407A (ja) グルコースをα−1,4−グルカンに変換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