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3999A - 용접 장치 및 용접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용접 장치 및 용접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3999A
KR20180103999A KR1020187023477A KR20187023477A KR20180103999A KR 20180103999 A KR20180103999 A KR 20180103999A KR 1020187023477 A KR1020187023477 A KR 1020187023477A KR 20187023477 A KR20187023477 A KR 20187023477A KR 20180103999 A KR20180103999 A KR 20180103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ving
shaft
distal end
articulated robo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3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7486B1 (ko
Inventor
유키 시카
다츠지 미나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180103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 B23K9/30Vibrating holders for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16Seam profiling, e.g. weaving, multi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8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2Welding by making use of electrode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5Manipulators for mechanical processing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19End effectors other tha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7/00Joints
    • B25J17/02Wrist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7/00Joints
    • B25J17/02Wrist joints
    • B25J17/0241One-dimensional joints
    • B25J17/025One-dimensional joints mounted in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7/00Joints
    • B25J17/02Wrist joints
    • B25J17/0258Two-dimension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 B25J9/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by rotating at least one arm, excluding the head movement itself, e.g. cylindrical coordinate type or polar coordinate type
    • B25J9/046Revolute coordinat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28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loop
    • B25J9/1641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loop compensation for backlash, friction, compliance, elasticity in th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25J9/1666Avoiding collision or forbidden z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2Optical sensing devices using las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5Nc applications
    • G05B2219/45104Lasrobot, welding robo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9Nc machine tool, till multiple
    • G05B2219/49384Control of oscillatory movement like filling a weld, we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ipulator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용접 장치(100)는, 복수의 구동축을 갖는 다관절 로봇(11)과, 다관절 로봇에 지지되는 엔드 이펙터(23)와, 다관절 로봇의 최선단 구동축(19)과 엔드 이펙터 사이에 마련되고, 엔드 이펙터의 선단 축을 위빙 동작시키는 선단 축 구동 기구(21)와, 다관절 로봇 및 선단 축 구동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 제어부(41)를 구비한다. 선단 축 구동 기구는, 엔드 이펙터의 선단 축에 직교하는 제 1 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1 축 구동부와, 선단 축 및 제 1 축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2 축 구동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용접 장치 및 용접 장치의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용접 장치 및 용접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관절 로봇을 이용하여 용접 작업을 실행할 때, 비드 폭, 용입 형상, 용착량을 각각 적절히 하기 위해, 또는 아크 모방 기능을 얻기 위해, 위빙을 실행하는 경우가 있다. 위빙이란, 다관절 로봇이 파지하는 용접 토치를, 용접 라인의 직교 방향으로 흔드는 운봉 방법으로서, 이러한 위빙의 제어가 고정밀할수록, 양호한 용접이 가능해진다.
일반적인 6축 로봇을 이용한 종래의 위빙 제어에서는, 모든 방향의 용접 라인에 대한 위빙이 원리적으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용접 조건에 따라서는 고속의 위빙을 실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정밀도 양호하게 위빙이 가능한 한계 주파수가 로봇의 강성 및 고유 진동수 등에 의해 정해지고, 로봇의 강성이 낮은 구동축 때문에 한계 주파수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즉, 로봇의 구동축의 강성에 기인하여, 고정밀도, 또한 고주파수의 위빙이 곤란하게 된다.
이러한 과제를 가지는 다관절 로봇의 위빙 제어에 관하여,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와 같은 개량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용접 로봇은, 용접 토치의 선단이 로봇 선단 축의 축선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으며, 로봇 선단 축을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해, 용접 토치의 선단이 로봇 선단 축의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용접 로봇의 제어 장치는, 로봇 선단 축만 이용하여, 용접 토치의 선단을 용접 라인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빙시킨다. 이러한 경우, 로봇 선단 축의 관성은 다른 축의 관성과 비교하여 작아진다. 그 때문에, 로봇 선단 축만 이용하여 위빙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축을 이용하여 위빙을 실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높은 주파수로 고정밀도의 위빙이 가능하게 된다.
특허문헌 2의 용접 로봇은, 위빙 대상 축마다의 응답성의 차이, 위빙 주파수나 지령 진폭의 대소에 의한 응답성의 차이, 각 위빙 대상 축의 관성에 의한 응답성의 차이를 고려하여, 모터에의 지령 진폭을 결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위빙 제어에 의한 운봉 궤적을 정확하게 하여, 위빙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3-56359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평07-24574 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위빙 제어 방법에서 이용하는 용접 로봇은, 용접 토치의 선단이 선단 축의 축선으로부터 오프셋되며, 선단 축의 회전에 의해, 용접 토치의 선단을 선단 축의 축선 주위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높은 주파수로 고정밀도의 위빙을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복잡한 위빙 패턴을 적용하는 것은 기구상 곤란하다.
특허문헌 2는, 위빙 주파수 이외에, 위빙 진폭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고려하여 지령 진폭을 결정하고 있으며, 특히 주파수 1㎐ 내지 10㎐, 진폭 2㎜ 내지 10㎜의 사인파형을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사인파형 이외의 위빙 패턴이나 10㎐ 이상의 위빙 주파수로 위빙 동작시키는 것에 관하여 조금도 의식하고 있지 않다.
또한, 로봇 축에는, 위빙 주파수의 진동이 중첩된다. 이 위빙 주파수가 로봇의 고유 진동수에 가까워지면, 공진 현상이 생겨서 위빙 진폭이 증대하여, 로봇 본체가 불안정하게 된다. 이 때문에, 위빙 주파수는 로봇의 고유 진동수를 피할 필요가 있어, 용접에 적용 가능한 위빙 조건에 제한이 발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다관절 로봇을 이용하여 용접할 때에, 로봇의 고유 진동수에 제한되지 않아, 여러 가지 위빙 패턴에 의한 고정밀도 또한 고주파수의 위빙 제어가 가능해지는 용접 장치 및 용접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복수의 구동축을 갖는 다관절 로봇과,
상기 다관절 로봇에 지지되는 엔드 이펙터(end effector)와,
상기 다관절 로봇의 최선단 구동축과 상기 엔드 이펙터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엔드 이펙터의 선단 축을 위빙 동작시키는 선단 축 구동 기구와,
상기 다관절 로봇 및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는 상기 엔드 이펙터의 상기 선단 축에 직교하는 제 1 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1 축 구동부와, 상기 선단 축 및 상기 제 1 축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2 축 구동부를 갖는 용접 장치.
(2) 복수의 구동축을 갖는 다관절 로봇과,
상기 다관절 로봇에 지지되는 엔드 이펙터와,
상기 다관절 로봇의 최선단 구동축과 상기 엔드 이펙터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엔드 이펙터의 선단 축을 용접 라인을 따라서 위빙 동작시키는 선단 축 구동 기구와,
상기 다관절 로봇 및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다관절 로봇을 구동하여, 상기 엔드 이펙터를 상기 용접 라인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주(主) 방향 구동부와,
상기 선단 축을 위빙 이동시키는 위빙 구동부를 갖고,
상기 위빙 구동부는,
상기 선단 축의 소망의 위빙 궤적이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에 의한 상기 선단 축의 이동 가능 범위에 들어가는 경우에는,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를 구동하여 상기 위빙 궤적의 위빙 동작을 실시시키고,
상기 소망의 위빙 궤적이 상기 이동 가능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위빙 궤적의 위빙 이동분 중 상기 이동 가능 범위의 이동 한계를 초과하는 이동 보완량을 구하고,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를 상기 이동 한계까지 구동하는 동시에, 상기 다관절 로봇이 갖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축을 상기 이동 보완량에 따라서 구동하여, 상기 위빙 궤적의 위빙 동작을 실시시키는 용접 장치.
(3) 복수의 구동축을 갖는 다관절 로봇과,
상기 다관절 로봇에 지지되는 엔드 이펙터와,
상기 다관절 로봇의 최선단 구동축과 상기 엔드 이펙터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엔드 이펙터의 선단 축을 위빙 동작시키는 선단 축 구동 기구와,
상기 다관절 로봇 및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는 용접 장치를 이용하고,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를 구동하여, 상기 엔드 이펙터의 상기 선단 축을, 상기 선단 축에 직교하는 제 1 축 방향 및 상기 선단 축과 상기 제 1 축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용접 장치의 제어 방법.
(4) 복수의 구동축을 갖는 다관절 로봇과,
상기 다관절 로봇에 지지되는 엔드 이펙터와,
상기 다관절 로봇의 최선단 구동축과 상기 엔드 이펙터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엔드 이펙터의 선단 축을 위빙 동작시키는 선단 축 구동 기구와,
상기 다관절 로봇 및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는 용접 장치를 이용하고,
상기 엔드 이펙터의 상기 선단 축을 용접 라인을 따라서 소망의 위빙 궤적으로 위빙 동작시킬 때에,
상기 소망의 위빙 궤적이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에 의한 상기 선단 축의 이동 가능 범위에 들어가는 경우에는,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를 구동하여 상기 위빙 궤적의 위빙 동작을 실시시키고,
상기 소망의 위빙 궤적이 상기 이동 가능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위빙 궤적의 위빙 이동분 중 상기 이동 가능 범위의 이동 한계를 초과하는 이동 보완량을 구하고,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를 상기 이동 한계까지 구동하는 동시에, 상기 다관절 로봇이 갖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축을 상기 이동 보완량에 따라서 구동하여, 상기 위빙 궤적의 위빙 동작을 실시시키는 용접 장치의 제어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위빙 주파수가 로봇의 고유 진동수에 제한되지 않아, 여러 가지 위빙 패턴에 의한 고정밀도 또한 고주파수의 위빙 제어가 가능해진다.
도 1의 용접 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다관절 로봇의 일례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2축 위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구동 제어부에 의해 로봇 및 2축 위버를 구동하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위빙 이동분을 포함하는 이동 궤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용접 토치가 토치 주위의 부재와 간섭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위빙 제어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a는 위빙 패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b는 위빙 패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c는 위빙 패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용접 장치의 전체 구성>
도 1은 용접 장치(100)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본 구성의 용접 장치(100)는, 복수의 구동축을 갖는 다관절 로봇(11)과, 제어 장치(13)와, 용접 전원(15)과, 제어 장치(13)에 접속되는 교시 컨트롤러(17)를 구비한다. 다관절 로봇(11)의 최선단 구동축(19)에는, 선단 축 구동 기구로서의 2축 위버(weaver)(21)가 마련된다. 이러한 2축 위버(21)는 엔드 이펙터인 용접 토치(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관절 로봇(11)의 최선단 구동축(19)과 용접 토치(23) 사이에 마련된 2축 위버(21)는 상세를 후술하는 용접 토치(23)의 선단 축을, 최선단 구동축(19)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는 제 1 구동부와 제 2 구동부를 갖는다. 이들 제 1 축 구동부와 제 2 축 구동부 중 적어도 한쪽을 구동하는 것에 의해, 용접 토치(23)의 위빙 동작이 실행된다.
제어 장치(13)는, 교시 컨트롤러(17)로부터 입력된 교시 데이터에 근거하여, 다관절 로봇(11)과 2축 위버(21)를 구동하여, 용접 토치(23)의 선단 축을 이동시킨다. 이 제어 장치(13)는, 도시는 하지 않지만, CPU가 ROM, RAM, 하드 디스크 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것에 의해, 용접 장치(100)의 각부를 제어한다.
용접 토치(23)의 선단 축에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솔리드 와이어 등의 소모식 전극인 용접 와이어(25)가 제어 장치(13)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도시하지 않는 와이어 송급 장치로부터 조출된다. 또한, 용접 전원(15)은 도시하지 않는 파워 케이블에 의해 용접 토치(23) 및 워크(W)의 모재와 접속되고, 제어 장치(13)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파워 케이블을 통하여 각부에 용접 전류가 공급된다. 또한, 용접 토치(23)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가스 공급부로부터 실드 가스가 공급된다.
제어 장치(13)는, 용접 와이어(25)의 선단부와 워크(W) 사이에 용접 전원(15)으로부터의 용접 전류를 공급하여, 실드 가스 분위기가 된 용접 토치(23)의 선단 축에 아크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아크가 발생한 용접 토치(23)를 미리 교시한 궤적대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워크(W)가 용접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용접 장치(100)에 있어서의 각부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관절 로봇>
도 2는 다관절 로봇의 일례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본 구성의 용접 장치(100)에 이용하는 다관절 로봇(11)은, 예를 들어 일반적인 6개의 구동축을 갖는 6축 로봇이 이용된다. 도시 예에서는, J1 내지 J6 방향으로 구동 가능한 다관절 로봇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6축 로봇 이외에도, 예를 들어 7축 로봇이나, 다른 다축 로봇이어도 좋다. 이하, 다관절 로봇을 「로봇」이라고 약칭한다.
로봇(11)의 J6 방향으로 구동하는 최선단 구동축(19)과 용접 토치(23) 사이에는, 상기의 2축 위버(21)가 장착된다. 로봇(11)의 J1 내지 J6 방향으로 구동되는 각 구동축은 각각 도시하지 않는 서보 모터 등의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이들 구동 모터에는, 각각 도 1에 도시하는 통신선(27)을 통하여 제어 장치(13)로부터의 구동 신호가 입력된다.
<2축 위버>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2축 위버(21)의 확대도이다.
일례로서 도시하는 2축 위버(21)는, 용접 토치(23)의 선단 축(23a)을, 선단 축(23a)에 직교하는 평면(Pa) 내에서, 제 1 축 방향인 X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1 축 구동부(31)와, 선단 축(23a) 및 X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축 방향인 Y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2 축 구동부(33)를 갖는다. 즉, 2축 위버(21)는 서로 직교하는 X, Y 방향으로 용접 토치(23)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 1 축 구동부(31)와 제 2 축 구동부(33)는, 용접 토치(23)의 선단 축(23a)의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평면(Pa) 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2 방향으로 용접 토치(23)의 선단 축(23a)을 구동한다. 제 1 축 구동부(31)는 제 2 축 구동부(33)를 X 방향이 되는 J7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직동 슬라이드 유닛을 갖는다. 제 2 축 구동부(33)는, 용접 토치(23)를 지지하는 토치 기부(35)를, 축(37)을 중심으로 J8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유닛을 갖는다. 이들 직동 슬라이드 유닛과 회전 유닛은 각각 도시하지 않는 서보 모터 등의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제 1 축 구동부(31)와 제 2 축 구동부(33)의 각 구동용 모터에는, 로봇(11)의 각 구동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J7의 직동과, J8의 회전 이동의 구동 신호가 각각 통신선(27)을 통하여 제어 장치(13)로부터 입력된다.
상기 구성의 2축 위버(21)는, X 방향에 관해서는 직동, Y 방향에 관해서는 회전 이동에 의해 이동시키는 구성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X 방향 및 Y 방향을 함께 직동에 의해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X 방향 및 Y 방향을 모두 회전 이동에 의해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회전 이동에 의해 이동시키는 구성은 장치의 설계가 쉬워서, 축 미끄럼 운동부의 시일성을 용이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직동에 의해 이동시키는 구성은, 토치 선단이 크게 이동하여도 워크로부터의 높이가 어긋나지 않기 때문에, 위빙 동작에 의해 용접 성상에 편차가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용접 토치(23)에는, 도시하지 않는 가스 공급 장치로부터 실드 가스가 공급되고, 용접 시에 있어서의 용접 토치(23)의 대기의 혼입이 방지된다. 또한, 용접 토치(23)에는, 도시하지 않는 와이어 송급 장치로부터 용접 와이어(25)가 송급된다. 또한, 최선단 구동축(19)에는 아크점 조정봉(39)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아크점 조정봉(39)은 그 선단부(39a)가 용접 위치의 위치 맞춤 등에 이용되고, 용접 시에는 분리된다.
<제어 장치의 구성과 작용>
다음에, 제어 장치의 구성과, 제어 장치에 의한 위빙 동작을 따른 용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제어 장치(13)는, 교시 컨트롤러(17)로부터 입력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로봇(11) 및 2축 위버(21)를 구동하는 구동 제어부(41)를 구비한다. 이하, 구동 제어부(41)에 의한 위빙 동작을 따른 용접 토치(23)의 이동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어 장치(13)는, 구동 제어부(41) 이외에도, 용접 토치(23)에 용접 와이어(25)를 송급하는 와이어 송급 제어부, 용접 토치(23)에 실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 제어부, 용접 전원(15)으로부터의 용접 전류를 제어하는 전류 제어부 등을 구비하지만,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구동 제어부(41)에 의해 로봇(11) 및 2축 위버(21)를 구동하는 제어 블록도이다.
구동 제어부(41)는, 로봇(11)이 갖는 J1 내지 J6 방향의 구동축에 대한 각 구동 모터, 및 2축 위버(21)의 제 1 축 구동부(31), 제 2 축 구동부(33)의 각 구동 모터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용접 토치(23)의 위치와 자세를 변경한다.
그 때문에, 구동 제어부(41)는, 용접 토치(23)의 선단 축의 이동 궤적을 연산에 의해 구하는 이동 궤적 연산부(43)와, 로봇(11) 및 2축 위버(21)를 구동하는 구동부(44)를 구비한다. 구동부(44)는, 로봇(11)을 구동하여 용접 토치(23)를 주로 위빙 동작을 포함하지 않는 용접 라인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주 방향 구동부(45)와, 2축 위버(21)를 구동하여 용접 토치(23)를 위빙 이동시키는 위빙 구동부(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구동 제어부(41)는, 도 1에 도시하는 교시 컨트롤러(17)에 의해 입력된 용접 조건 등의 교시 데이터를 판독하는 입출력부(49)와, 판독된 교시 데이터나 연산된 이동 궤적을 기억하는 기억부(51)를 더 구비한다.
교시 컨트롤러(17)는 도 1에 도시하는 통신선(55)을 통하여 구동 제어부(41)와 접속된다. 오퍼레이터는 교시 컨트롤러(17)를 조작하여 로봇(11)과 2축 위버(21)를 구동하여, 용접 토치(23)의 선단 축을 용접 포인트가 되는 위치에 세트한다. 이 때,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크점 조정봉(39)을 최선단 구동축(19)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용접 포인트가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오퍼레이터가 소망의 용접 라인을 따른 복수점의 용접 포인트를 등록하는 것에 의해, 용접 토치(23)의 동작 경로가 결정된다. 즉, 교시 컨트롤러(17)를 이용하여 로봇(11)을 동작시켜, 용접 라인을 PTP 제어(Point-to-point control)에 의해 결정한다. 교시 컨트롤러(17)에는, 상기와 같은 오퍼레이터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용접 라인의 위치 정보, 이동 속도, 위빙 동작의 주기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교시 데이터가 생성된다. 이러한 생성된 교시 데이터는, 교시 컨트롤러(17)로부터 구동 제어부(41)에 송신되고, 입출력부(49)를 거쳐서 기억부(51)에 기억된다.
이동 궤적 연산부(43)는, 기억부(51)의 교시 데이터를 참조하여, 용접 토치(23)의 선단 축의 동작 경로를 복수의 구동 단계로 분할한다. 여기서, 구동 단계란, 로봇(11)이나 2축 위버(21)를 동기 제어하는 구동 타이밍의 간격이지만, 그 외에도, 임의로 정한 타이밍이어도 좋다.
그리고, 이동 궤적 연산부(43)는, 상기의 동작 경로에 위빙 동작에 의한 이동분을 중첩시키는 것에 의해, 실제의 용접 시에 있어서의 용접 토치(23)의 선단 축의 이동 궤적을 구한다. 위빙 동작에 의한 이동분은,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일정 간격(t)의 구동 단계마다 시프트량으로서 ΔS가 설정된다. 도시 예에서는, 사인파형의 위빙 궤적을 예시하고 있다. 위빙 이동분(ΔS)은, 소망의 위빙 궤적의 1 주기를 적절한 간격으로 분할하고, 이 분할한 1 간격을 단위 구동 단계로 하여, 각 구동 단계에 있어서의 위빙 동작의 크기를 연산에 의해 구하여 설정된다.
본 구성의 용접 장치(100)에 있어서는, 용접 토치(23)의 위빙 동작을 형성하는 위빙 이동분(ΔS)에 관해서는, 2축 위버(21)를 구동하고, 용접 라인을 따른 주 방향 이동분에 관해서는 로봇(11)을 구동하여 용접 토치(23)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구동에 의하면, 용접 토치(23)를 위빙 동작시키면서 용접 라인을 따라서 용접하는 경우에, 위빙 동작을 2축 위버(21)만으로 실행하게 된다. 따라서, 로봇(11)의 구동축에는, 상기의 위빙 주파수의 진동이 중첩되지 않아, 로봇(11)의 구동에 의해 위빙 동작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공진 현상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로봇(11)의 고유 진동수에 제한되지 않아 여러 가지 위빙 패턴의 동작이 가능해져서, 고정밀도, 또한 고주파수의 위빙 제어가 실행된다.
그런데, 용접 라인을 따라서 용접 토치(23)를 이동시키면, 용접 장소에 따라서는 위빙 궤적의 진폭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 2축 위버(21)에 의한 용접 토치(23)의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도 6은 용접 토치(23)가 토치 주위의 부재와 간섭하는 경우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워크(W)의 개선(61)의 폭(Ws) 내에서 용접 토치(23)를 위빙 동작시키는 경우,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하는 2축 위버(21)의 제 1 축 구동부(31)를 구동하여 용접 토치(23)를 위빙시키면, 개선(61)에 인접하는 벽부(63)에 용접 토치(23)가 간섭하게 된다.
그러한 경우에는, 용접 토치(23)의 위빙 동작의 일부를, 2축 위버(21)를 대신하여 로봇(11)의 구동축을 구동하는 것에 의해, 벽부(63)와의 간섭을 회피시킨다.
즉,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 이동 방향으로의 주 방향 이동분(ΔL)과, 위빙 동작이 되는 주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위빙 이동분(ΔS)을 합성하는 이동 궤적(Pt)을 따라서 용접 토치(23)를 이동시킬 때, 이동 궤적(Pt)의 도중에 간섭 발생 영역(65)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 2축 위버(21)의 구동에 의한 이동분이 간섭 발생 영역(65)에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이동 궤적(Pt)이 간섭 발생 영역(65) 내에 도달한 경우, 2축 위버(21)를, 간섭 발생 영역(65)에 들어가지 않는 한계의 시프트량을 이동 한계(ΔS1)로 하여 구동한다. 그리고, 이동 궤적(Pt)의 이동 한계(ΔS1)를 초과한 시프트량을 이동 보완량(ΔS2)으로 하여, 이 이동 보완량(ΔS2)을 로봇(11)의 구동축을 구동하는 것에 의해, 용접 토치(23)의 자세를 변경하면서 이동시킨다.
상기의 구동에 의하면, 소망의 위빙 궤도의 위빙 동작을 실시시킬 때, 용접 토치(23)가 토치 주위의 부재와 간섭하는 영역에 있어서는, 2축 위버(21)와 로봇(11)의 구동축을 협동시키는 것에 의해, 용접 토치(23)의 자세가 변경되어, 다른 부재와의 간섭이 회피된다. 따라서, 간섭 발생 영역(65)에 있어서도, 연속한 위빙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궤적 연산부(43)에 의해 구한 이동 궤적에 있어서의 위빙 이동분(ΔS)이 용접 토치(23)의 간섭 발생 영역(65)을 포함하지 않는 2축 위버(21)에 의한 이동 가능 범위에 있는지를 판정한다. 위빙 이동분(ΔS)이 이동 가능 범위에 있는 경우에는, 위빙 구동부(47)는, 2축 위버(21)로 위빙 이동분(ΔS)을 따른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용접 토치(23)의 선단 축을 위빙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주 방향 구동부(45)는, 로봇(11)의 구동축으로 주 방향 이동분(ΔL)을 따른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용접 토치(23)의 선단 축을 용접 라인을 따라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용접 토치(23)는 위빙 방향과 용접 라인 방향의 이동이 합성된 이동 궤적(Pt)을 따라서 이동한다.
한편, 위빙 이동분(ΔS)이 이동 가능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위빙 구동부(47)는, 위빙 이동분(ΔS) 중 이동 가능 범위의 이동 한계(ΔS1)를 초과한 이동 보완량(ΔS2)을 구하고, 2축 위버(21)로, 이동 한계(ΔS1)까지 이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용접 토치(23)의 선단 축은 이동 한계(ΔS1)까지 이동한다. 이와 함께, 위빙 구동부(47)는 로봇(11)이 갖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축을 이동 보완량(ΔS2)을 따라서 구동하기 위한 위빙 구동 신호를 주 방향 구동부(45)로 출력한다.
주 방향 구동부(45)는, 입력된 위빙 구동 신호에 근거하여, 용접 토치(23)의 선단 축을 위빙 동작시키는 동작과, 로봇(11)의 구동축을 주 방향 이동분(ΔL)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동작을 합성한 합성 구동 신호를 로봇(11)으로 출력한다. 즉, 로봇(11)은, 상기의 위빙 구동부(47)로부터의 위빙 구동 신호에 의한 구동과, 주 방향 이동분(ΔL)의 구동을 합성한 합성 구동 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그 결과, 용접 토치(23)는 위빙 방향과 용접 라인 방향의 이동이 합성된 소망의 위빙 궤적인 이동 궤적(Pt)을 따라서 이동한다.
<위빙 제어의 일례>
다음에, 상기의 기본 순서에 의해, 용접 토치(23)의 선단 축을 위빙 동작시키면서 용접 라인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위빙 제어의 일례에 대해, 도 7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위빙 제어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워크의 용접 개시점과 용접 종료점까지의 위빙을 포함하지 않는 용접 라인을 전술한 교시 컨트롤러(17)를 이용하여 결정한다. 결정한 용접 라인의 전체 이동 패스를 구동 단계마다 분할한다. 그리고, 분할된 단위 구동 단계 당의 용접 라인을 따른 주 방향으로의 이동 횟수, 및 주 방향 이동량을 계산한다(S1). 또한, 이동 횟수나 이동 거리는 미리 교시한 포인트(위치), 위빙 방법, 용접 토치(23)의 이동 속도나 이동 주기 등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구한다.
또한, 위빙 1 주기의 분할점과, 각 분할점에서의 시프트량, 즉 도 5에 도시되는 위빙 이동분(ΔS)을 계산한다(S2).
다음에, S1에서 구한 주 방향 이동량과, S2에서 구한 시프트량으로부터, 위빙 동작을 포함하는 용접 토치(23)의 이동 궤적을 연산에 의해 구한다(S3). 이러한 이동 궤적의 연산에서는, 용접 개시점으로부터 용접 종료점까지의 전체 용접 라인에 대하여, 구동 단계마다 주 방향 이동량과 시프트량을 구할 수 있다.
구동 단계마다 구한 시프트량으로부터, 2축 위버(21)를 구동하여 용접 토치(23)를 이동시키는 경우의 이동 목표 위치를 구한다(S4). 이러한 이동 목표 위치는 로봇(11)의 각 구동축을 구동시키지 않고, 2축 위버(21)의 구동만으로 이동시킨 경우의 2축 위버(21)의 이동 목표 위치 또는 이동 목표 각도이다.
그리고, 구한 이동 목표 위치가 2축 위버(21)의 이동 가능 범위에 들어가 있는지를 판정한다(S5). 이동 목표 위치가 2축 위버(21)의 구동역에서 커버할 수 있는 경우는, 이동 목표 위치까지 2축 위버(21)를 구동한다(S6).
한편, 구한 이동 목표 위치가 2축 위버(21)의 이동 가능 범위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는, 2축 위버(21)의 이동 가능 범위를 초과한 부분을 도 5에 나타나는 이동 보완량(ΔS2)으로서 산출한다(S7). 이러한 이동 보완량을 로봇(11)의 구동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로봇(11)의 이동 목표 위치를 구한다. 구한 이동 보완량을 보충하기 위한 이동 목표 위치와, 로봇(11)의 구동축이 주 방향 이동하기 위한 이동 목표 위치를 합성한 로봇(11)의 합성 이동 목표 위치를 구한다(S8). 그리고, 구한 합성 이동 목표 위치에 로봇(11)을 구동한다. 또한, 2축 위버(21)는 이동 한계까지 구동한다(S9). 이에 의해, 용접 토치(23)는, 용접 라인을 따른 주 방향으로의 이동과 위빙 동작을 위한 이동이 동시에 실행되고, 이동 궤적을 따른 이동처로 이송된다.
이상의 S3 내지 S6 또는 S9까지의 처리를, 최종 지점인 용접 종료점까지 반복한다(S10). 이러한 위빙 제어에 의해, 복잡한 위빙 패턴이라도, 주위 부재와 간섭을 일으키는 일없이 실행할 수 있다. 특히, 1㎐ 내지 10㎐, 진폭 2㎜ 내지 10㎜의 사인파형을 고정밀도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10㎐ 이상의 높은 주파수의 위빙 동작이라도 고정밀도로 실현 가능하게 된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각종의 위빙 패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상기의 위빙 패턴은 도 8a에 도시하는 사인파형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8b에 도시하는 루프형상, 도 8c에 도시하는 삼각파형상 등의 각종의 패턴을 채용할 수 있다. 위빙 패턴을 루프형상이나 삼각파형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2축 위버(21)의 제 1 축 구동부(31)와 제 2 축 구동부(33)를 동시에 구동하면 좋다. 어느 경우에도, 위빙 동작은 기본적으로 2축 위버(21)만으로 실행하고, 로봇(11)의 각 구동축은 2축 위버(21)만으로는 위빙 동작을 실행할 수 없는 경우만, 보조적으로 위빙 동작에 이용한다.
<로봇(11)의 다른 구동예>
상기의 위빙 제어에 있어서는, 로봇(11)의 각 구동축은 주로 주 방향 이동을 위해서 구동된다. 그 때, 로봇(11)의 각 구동축을, 2축 위버(21)가 위빙 동작할 때에 발생하는 진동을 없애는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2축 위버(21)가 일방향으로 왕복 운동되는 경우에, 이 왕복 운동의 방향 변환하는 타이밍에서, 로봇(11)의 구동축을 발생하는 관성력의 역방향으로 구동한다. 그러면, 2축 위버(21)의 왕복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관성력이 상쇄되어 로봇(11) 본체의 진동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정밀도가 양호한 위빙 동작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시형태의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것이나, 명세서의 기재 및 주지의 기술에 근거하여, 당업자가 변경, 응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예정하는 바이며, 보호를 요구하는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선단 축 구동 기구는, 2축 위버에 한정되지 않으며, 1축 위버라도 좋고, 회전 구동형의 위버라도 좋다. 또한, 다른 구동축을 구비한 3축 이상의 구동축을 갖는 위버라도 좋다.
또한, 상기의 용접 장치는, 엔드 이펙터로서 용접 토치를 구비한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엔드 이펙터로서 슬래그를 제거하는 슬래그 치퍼(slag chipper)를 구비한 슬래그 제거 장치, 가우징 토치(gouging torch)를 구비한 가우징 장치, 레이저 센서를 구비한 계측 장치라도 좋다. 또한, 레이저 용접용 토치를 구비한 레이저 용접 장치, 스팟 용접용 건을 구비한 스팟 용접 장치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에는 다음 사항이 개시되어 있다.
(1) 복수의 구동축을 갖는 다관절 로봇과,
상기 다관절 로봇에 지지되는 엔드 이펙터와,
상기 다관절 로봇의 최선단 구동축과 상기 엔드 이펙터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엔드 이펙터의 선단 축을 위빙 동작시키는 선단 축 구동 기구와,
상기 다관절 로봇 및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는, 상기 엔드 이펙터의 상기 선단 축에 직교하는 제 1 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1 축 구동부와, 상기 선단 축 및 상기 제 1 축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2 축 구동부를 갖는 용접 장치.
이러한 용접 장치에 의하면, 엔드 이펙터의 선단 축을 위빙 동작시키면서 용접 라인을 따라서 용접하는 경우에, 위빙 동작을 선단 축 구동 기구만으로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다관절 로봇의 구동축에는, 상기의 위빙 주파수의 진동이 중첩되지 않아, 다관절 로봇의 구동에 의해 위빙 동작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공진 현상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다관절 로봇의 고유 진동수에 제한되지 않아 여러 가지 위빙 패턴의 동작이 가능해져서, 고정밀도, 또한 고주파수의 위빙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2) 복수의 구동축을 갖는 다관절 로봇과,
상기 다관절 로봇에 지지되는 엔드 이펙터와,
상기 다관절 로봇의 최선단 구동축과 상기 엔드 이펙터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엔드 이펙터의 선단 축을 위빙 동작시키는 선단 축 구동 기구와,
상기 다관절 로봇 및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다관절 로봇을 구동하여, 상기 엔드 이펙터를 용접 라인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주 방향 구동부와,
상기 선단 축을 위빙 이동시키는 위빙 구동부를 갖고,
상기 위빙 구동부는,
상기 선단 축의 소망의 위빙 궤적이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에 의한 상기 선단 축의 이동 가능 범위에 들어가는 경우에는,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를 구동하여 상기 위빙 궤적의 위빙 동작을 실시시키고,
상기 소망의 위빙 궤적이 상기 이동 가능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위빙 궤적의 위빙 이동분 중 상기 이동 가능 범위의 이동 한계를 초과하는 이동 보완량을 구하고,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를 상기 이동 한계까지 구동하는 동시에, 상기 다관절 로봇이 갖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축을 상기 이동 보완량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위빙 궤적의 위빙 동작을 실시시키는 용접 장치.
이러한 용접 장치에 의하면, 엔드 이펙터가 주위의 부재와 간섭하는 이동 가능 범위 외의 영역에서는, 선단 축 구동 기구와 다관절 로봇의 구동축을 협동시키는 것에 의해, 엔드 이펙터의 자세가 변경되어 엔드 이펙터와 다른 부재의 간섭이 회피된다. 따라서, 엔드 이펙터의 이동 가능 범위 외의 간섭이 발생하는 영역에서도, 연속한 위빙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3)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의 구동에 의해 생기는 상기 다관절 로봇의 진동을 없애는 방향으로 상기 다관절 로봇을 구동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용접 장치.
이러한 용접 장치에 의하면, 선단 축 구동 기구의 왕복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관성력이 상쇄되어, 다관절 로봇 본체의 진동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정밀도가 양호한 위빙 동작이 가능해진다.
(4) 상기 엔드 이펙터는, 용접 토치이고, 상기 선단 축에 소모식 전극의 선단부가 배치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용접 장치.
이러한 용접 장치에 의하면, MIG 용접, MAG 용접 등의 아크 용접에 의해, 양호한 위빙 비드를 얻을 수 있다.
(5) 복수의 구동축을 갖는 다관절 로봇과,
상기 다관절 로봇에 지지되는 엔드 이펙터와,
상기 다관절 로봇의 최선단 구동축과 상기 엔드 이펙터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엔드 이펙터의 선단 축을 위빙 동작시키는 선단 축 구동 기구와,
상기 다관절 로봇 및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는 용접 장치를 이용하고,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를 구동하여, 상기 엔드 이펙터의 상기 선단 축을, 상기 선단 축에 직교하는 제 1 축 방향 및 상기 선단 축과 상기 제 1 축 방향에 직교 하는 제 2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용접 장치의 제어 방법.
(6) 복수의 구동축을 갖는 다관절 로봇과,
상기 다관절 로봇에 지지되는 엔드 이펙터와,
상기 다관절 로봇의 최선단 구동축과 상기 엔드 이펙터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엔드 이펙터의 선단 축을 위빙 동작시키는 선단 축 구동 기구와,
상기 다관절 로봇 및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는 용접 장치를 이용하고,
상기 엔드 이펙터의 상기 선단 축을 용접 라인을 따라서 소망의 위빙 궤적으로 위빙 동작시킬 때에,
상기 소망의 위빙 궤적이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에 의한 상기 선단 축의 이동 가능 범위에 들어가는 경우에는,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를 구동하여 상기 위빙 궤적의 위빙 동작을 실시시키고,
상기 소망의 위빙 궤적이 상기 이동 가능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위빙 궤적의 위빙 이동분 중 상기 이동 가능 범위의 이동 한계를 초과하는 이동 보완량을 구하고,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를 상기 이동 한계까지 구동하는 동시에, 상기 다관절 로봇이 갖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축을 상기 이동 보완량에 따라서 구동하여, 상기 위빙 궤적의 위빙 동작을 실시시키는 용접 장치의 제어 방법.
(7) 상기 엔드 이펙터의 상기 선단 축을 용접 라인을 따라서 위빙 동작시키는 이동 궤적을 연산하여 구하고,
구한 이동 궤적을 복수의 구동 단계로 분할하고,
상기 구동 단계마다 상기 엔드 이펙터를 용접 라인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주 방향 이동분과, 상기 용접 라인의 각 위치에서 위빙 동작을 위한 위빙 이동분을 구하여 두고,
상기 선단 축의 위빙 동작을 상기 구동 단계의 수만큼 반복하는 (6)에 기재된 용접 장치의 제어 방법.
(8)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의 구동에 의해 생기는 상기 다관절 로봇의 진동을 없애는 방향으로 상기 다관절 로봇을 구동하는 (5)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용접 장치의 제어 방법.
(9) 상기 엔드 이펙터는, 용접 토치이고, 상기 선단 축에 소모식 전극의 선단부가 배치되는 (5)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용접 장치의 제어 방법.
본 출원은 2016년 2월 17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일본 특허 출원 제 2016-27889 호)에 근거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11 : 로봇(다관절 로봇) 13 : 제어 장치
15 : 용접 전원 19 : 최선단 구동축
21 : 2축 위버(선단 축 구동 기구) 23 : 용접 토치(엔드 이펙터)
23a : 선단 축 25 : 용접 와이어
31 : 제 1 축 구동부 33 : 제 2 축 구동부
41 : 구동 제어부 43 : 이동 궤적 연산부
44 : 구동부 45 : 주 방향 구동부
47 : 위빙 구동부 65 : 간섭 발생 영역
100 : 용접 장치

Claims (11)

  1. 복수의 구동축을 갖는 다관절 로봇과,
    상기 다관절 로봇에 지지되는 엔드 이펙터와,
    상기 다관절 로봇의 최선단 구동축과 상기 엔드 이펙터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엔드 이펙터의 선단 축을 위빙 동작시키는 선단 축 구동 기구와,
    상기 다관절 로봇 및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는, 상기 엔드 이펙터의 상기 선단 축에 직교하는 제 1 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1 축 구동부와, 상기 선단 축 및 상기 제 1 축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2 축 구동부를 갖는
    용접 장치.
  2. 복수의 구동축을 갖는 다관절 로봇과,
    상기 다관절 로봇에 지지되는 엔드 이펙터와,
    상기 다관절 로봇의 최선단 구동축과 상기 엔드 이펙터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엔드 이펙터의 선단 축을 위빙 동작시키는 선단 축 구동 기구와,
    상기 다관절 로봇 및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다관절 로봇을 구동하여, 상기 엔드 이펙터를 용접 라인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주 방향 구동부와,
    상기 선단 축을 위빙 이동시키는 위빙 구동부를 갖고,
    상기 위빙 구동부는,
    상기 선단 축의 소망의 위빙 궤적이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에 의한 상기 선단 축의 이동 가능 범위에 들어가는 경우에는,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를 구동하여 상기 위빙 궤적의 위빙 동작을 실시시키고,
    상기 소망의 위빙 궤적이 상기 이동 가능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위빙 궤적의 위빙 이동분 중 상기 이동 가능 범위의 이동 한계를 초과하는 이동 보완량을 구하고,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를 상기 이동 한계까지 구동하는 동시에, 상기 다관절 로봇이 갖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축을 상기 이동 보완량에 따라서 구동하여, 상기 위빙 궤적의 위빙 동작을 실시시키는
    용접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의 구동에 의해 생기는 상기 다관절 로봇의 진동을 없애는 방향으로 상기 다관절 로봇을 구동하는
    용접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엔드 이펙터는 용접 토치이고, 상기 선단 축에 소모식 전극의 선단부가 배치되는
    용접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엔드 이펙터는 용접 토치이고, 상기 선단 축에 소모식 전극의 선단부가 배치되는
    용접 장치.
  6. 복수의 구동축을 갖는 다관절 로봇과,
    상기 다관절 로봇에 지지되는 엔드 이펙터와,
    상기 다관절 로봇의 최선단 구동축과 상기 엔드 이펙터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엔드 이펙터의 선단 축을 위빙 동작시키는 선단 축 구동 기구와,
    상기 다관절 로봇 및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는 용접 장치를 이용하고,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를 구동하여, 상기 엔드 이펙터의 상기 선단 축을, 상기 선단 축에 직교하는 제 1 축 방향 및 상기 선단 축과 상기 제 1 축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용접 장치의 제어 방법.
  7. 복수의 구동축을 갖는 다관절 로봇과,
    상기 다관절 로봇에 지지되는 엔드 이펙터와,
    상기 다관절 로봇의 최선단 구동축과 상기 엔드 이펙터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엔드 이펙터의 선단 축을 위빙 동작시키는 선단 축 구동 기구와,
    상기 다관절 로봇 및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 제어부를 구비하는 용접 장치를 이용하고,
    상기 엔드 이펙터의 상기 선단 축을 용접 라인을 따라서 소망의 위빙 궤적으로 위빙 동작시킬 때에,
    상기 소망의 위빙 궤적이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에 의한 상기 선단 축의 이동 가능 범위에 들어가는 경우에는,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를 구동하여 상기 위빙 궤적의 위빙 동작을 실시시키고,
    상기 소망의 위빙 궤적이 상기 이동 가능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위빙 궤적의 위빙 이동분 중 상기 이동 가능 범위의 이동 한계를 초과하는 이동 보완량을 구하고,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를 상기 이동 한계까지 구동하는 동시에, 상기 다관절 로봇이 갖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축을 상기 이동 보완량에 따라서 구동하여, 상기 위빙 궤적의 위빙 동작을 실시시키는
    용접 장치의 제어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엔드 이펙터의 상기 선단 축을 용접 라인을 따라서 위빙 동작시키는 이동 궤적을 연산하여 구하고,
    구한 이동 궤적을 복수의 구동 단계로 분할하고,
    상기 구동 단계마다 상기 엔드 이펙터를 용접 라인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주 방향 이동분과, 상기 용접 라인의 각 위치에서 위빙 동작을 위한 위빙 이동분을 구하여 두고,
    상기 선단 축의 위빙 동작을 상기 구동 단계의 수만큼 반복하는
    용접 장치의 제어 방법.
  9.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선단 축 구동 기구의 구동에 의해 생기는 상기 다관절 로봇의 진동을 없애는 방향으로 상기 다관절 로봇을 구동하는
    용접 장치의 제어 방법.
  10.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이펙터는 용접 토치이고, 상기 선단 축에 소모식 전극의 선단부가 배치되는
    용접 장치의 제어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엔드 이펙터는 용접 토치이고, 상기 선단 축에 소모식 전극의 선단부가 배치되는
    용접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87023477A 2016-02-17 2017-02-09 용접 장치 및 용접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1574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27889 2016-02-17
JP2016027889A JP6771288B2 (ja) 2016-02-17 2016-02-17 溶接装置及び溶接装置の制御方法
PCT/JP2017/004700 WO2017141804A1 (ja) 2016-02-17 2017-02-09 溶接装置及び溶接装置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999A true KR20180103999A (ko) 2018-09-19
KR102157486B1 KR102157486B1 (ko) 2020-09-18

Family

ID=59625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477A KR102157486B1 (ko) 2016-02-17 2017-02-09 용접 장치 및 용접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047073A1 (ko)
EP (1) EP3417977A4 (ko)
JP (1) JP6771288B2 (ko)
KR (1) KR102157486B1 (ko)
CN (1) CN108698152B (ko)
WO (1) WO20171418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11982B4 (de) * 2017-07-13 2019-04-18 Trumpf Laser- Und Systemtechnik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ügen von mindestens zwei Werkstücken
CN109773376B (zh) * 2018-12-28 2020-10-16 南京埃斯顿机器人工程有限公司 一种焊接机器人的正弦摆焊方法
CN109926694B (zh) * 2019-04-22 2024-06-25 大连智汇达科技有限公司 一种焊接机器人
KR102236415B1 (ko) * 2019-05-21 2021-04-06 로체 시스템즈(주) 벤딩 로봇
CN110788450A (zh) * 2019-11-13 2020-02-14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中厚板双面双机器人t型接头立角焊不清根焊接方法
JPWO2022202852A1 (ko) * 2021-03-26 2022-09-29
JP2022172638A (ja) * 2021-05-06 2022-11-1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ロボット用走行台車位置決定装置、該方法および該プログラム
JP2023047742A (ja) * 2021-09-27 2023-04-06 Ntn株式会社 作業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574A (ja) 1993-07-12 1995-01-27 Komatsu Ltd 多関節溶接ロボットのウィービング制御装置
JP2010240664A (ja) * 2009-04-01 2010-10-28 Komatsu Engineering Corp 溶接ロボット及び溶接におけるウィービング動作の制御方法
JP2011206830A (ja) * 2010-03-30 2011-10-20 Komatsu Ltd 溶接ロボットの制御装置
JP2013056359A (ja) 2011-09-09 2013-03-28 Komatsu Ltd 溶接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5259B2 (ja) * 1989-11-27 1998-01-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ロボットの制御装置
JPH04367373A (ja) * 1991-01-28 1992-12-18 Yaskawa Electric Corp 溶接ロボットの制御方法
JP2534090Y2 (ja) * 1991-04-22 1997-04-30 大同特殊鋼株式会社 溶接トーチ用オシレート装置
JPH0825044A (ja) * 1994-07-15 1996-01-30 Hitachi Zosen Corp 溶接トーチのウィービング装置
JP3710075B2 (ja) * 1997-08-08 2005-10-2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溶接ロボットのウィービング制御装置
JP4250538B2 (ja) * 2004-01-27 2009-04-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揺動装置を有する多関節ロボット
JP4745921B2 (ja) * 2006-08-29 2011-08-1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溶接ロボットの制御方法
JP6083145B2 (ja) * 2012-07-31 2017-02-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ボットの制御装置、およびロボット
US9868209B2 (en) * 2013-12-02 2018-01-16 Seiko Epson Corporation Robot
JP6359847B2 (ja) * 2014-03-18 2018-07-18 株式会社ダイヘン 干渉回避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574A (ja) 1993-07-12 1995-01-27 Komatsu Ltd 多関節溶接ロボットのウィービング制御装置
JP2010240664A (ja) * 2009-04-01 2010-10-28 Komatsu Engineering Corp 溶接ロボット及び溶接におけるウィービング動作の制御方法
JP2011206830A (ja) * 2010-03-30 2011-10-20 Komatsu Ltd 溶接ロボットの制御装置
JP2013056359A (ja) 2011-09-09 2013-03-28 Komatsu Ltd 溶接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486B1 (ko) 2020-09-18
EP3417977A1 (en) 2018-12-26
CN108698152A (zh) 2018-10-23
CN108698152B (zh) 2021-04-02
JP2017144468A (ja) 2017-08-24
US20190047073A1 (en) 2019-02-14
EP3417977A4 (en) 2019-10-02
JP6771288B2 (ja) 2020-10-21
WO2017141804A1 (ja) 201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7486B1 (ko) 용접 장치 및 용접 장치의 제어 방법
KR100621100B1 (ko) 용접로봇 교시위치 보정방법 및 용접로봇시스템
KR101060435B1 (ko) 용접 로봇
US7906744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laser machining of workpieces
JP6978350B2 (ja) ワーク姿勢調整方法、造形物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2298831B1 (ko) 로봇 아암의 하니스 접속 구조, 및 다관절 용접 로봇
US10994422B2 (en) Robot system for adjusting operation parameters
JP5608074B2 (ja) レーザ加工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WO2018143056A1 (ja) アーク点調整棒取付構造、及び多関節溶接ロボット、並びに溶接装置
JP4045713B2 (ja) 自動機用溶接機
JP4859386B2 (ja) アーク溶接装置及びアーク溶接装置のウィービング溶接方法
JP4498061B2 (ja) 溶接ロボット制御装置
JP4842656B2 (ja) 溶接ロボット制御装置
US4831235A (en) Automatic welding machine torch movement control system
JP2006055901A (ja) レーザ加工装置
JP2010089149A (ja) 溶接ロボット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20110029781A (ko) 다관절형 자동 용접 캐리지
JPH11342473A (ja) Tig溶接用ロボットの制御方法
JP2020124719A (ja) 溶接装置および溶接方法
JP2008105101A (ja) 溶接ロボット
JPH0813433B2 (ja) 自動加工装置
TWI837797B (zh) 交織擺動控制方法、焊接控制裝置、焊接系統、焊接方法、及交織擺動控制程式
JP2014200858A (ja) ロボット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17980103A (zh) 横摆控制方法、焊接控制装置、焊接系统及横摆控制程序
WO2022131175A1 (ja) 複数の移動機械を移動させて所定の作業を行う制御装置、機械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