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3651A - 시트백과 리클라이너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 시트 - Google Patents

시트백과 리클라이너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3651A
KR20180103651A KR1020170066309A KR20170066309A KR20180103651A KR 20180103651 A KR20180103651 A KR 20180103651A KR 1020170066309 A KR1020170066309 A KR 1020170066309A KR 20170066309 A KR20170066309 A KR 20170066309A KR 20180103651 A KR20180103651 A KR 20180103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back
recliner
seat back
shaf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1378B1 (ko
Inventor
문상인
박정희
강훈효
Original Assignee
대일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일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일공업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103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에 관한 것이다. 시트백은 하측 부위가 시트쿠션의 후측 부위에 좌우방향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시트백 로워(seatback lower)와, 하측 부위가 시트백 로워의 상측 부위에 좌우방향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시트백 어퍼(seatback upper)를 구비한다. 리클라이너는 시트백 로워를 시트쿠션에 대해 회동시킨다. 시트백 어퍼용 구동기구는 시트백 어퍼를 시트백 로워에 대해 회동시킨다. 제어부는 시트백 표준자세 설정에 따라 리클라이너와 시트백 어퍼용 구동기구를 연동 제어하여, 시트백 로워를 시트쿠션에 대해 제1 각도로 회동시킴과 아울러 시트백 어퍼를 시트백 로워에 대해 전방으로 제2 각도로 회동시킨다.

Description

시트백과 리클라이너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 시트{Vehicle set capable of interlocking with seat back and recliner}
본 발명은 차량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백을 시트쿠션에 대해 각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차량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 앞쪽과 뒤쪽에 시트가 설치된다. 시트는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과, 탑승자의 엉덩이와 허벅지를 지지하는 시트쿠션으로 구성된다. 시트는 탑승객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도록 여러 가지 편의 기능을 갖추게 된다.
이러한 편의 기능으로서, 탑승객의 체형에 따라 시트쿠션을 앞뒤로 밀고 당겨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sliding) 기능이나, 시트백을 시트쿠션에 대해 각도 조절할 수 있는 리클라이닝(reclining) 기능 등이 있다. 리클라이닝 기능은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힌지 결합 부위에 장착된 리클라이너에 의해 제공된다.
한편, 운전자용 시트는 운전자가 가장 편안한 자세로 운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운전자용 시트는 시트백이 리클라이너에 의해 시트쿠션과의 힌지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각도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고 있으므로, 운전자의 편의성 및 안락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85432호(2014.04.14. 공고)
본 발명의 과제는 시트백이 리클라이너와 연동되어 최적 자세로 자동 설정됨에 따라 탑승자의 편의성 및 안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는 시트쿠션과, 시트백과, 리클라이너와, 시트백 어퍼용 구동기구,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시트백은 하측 부위가 시트쿠션의 후측 부위에 좌우방향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시트백 로워(seatback lower)와, 하측 부위가 시트백 로워의 상측 부위에 좌우방향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시트백 어퍼(seatback upper)를 구비한다. 리클라이너는 시트백 로워를 시트쿠션에 대해 회동시킨다. 시트백 어퍼용 구동기구는 시트백 어퍼를 시트백 로워에 대해 회동시킨다. 제어부는 시트백 표준자세 설정에 따라 리클라이너와 시트백 어퍼용 구동기구를 연동 제어하여, 시트백 로워를 시트쿠션에 대해 제1 각도로 회동시킴과 아울러 시트백 어퍼를 시트백 로워에 대해 전방으로 제2 각도로 회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시동시 또는 조작부에 의한 시트백 표준자세 설정에 따라 시트백은 표준자세로 자동 조절되므로, 운전자는 가장 편안한 자세로 운전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는 시트백이 표준자세로 자동 조절된 상태에서, 자신의 체형에 맞게 시트백 로워의 각도 및/또는 시트백 어퍼의 각도를 추가 조절해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편의성 및 안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시트백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 시트백 어퍼용 구동기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차량 시트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시트백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 시트백 어퍼용 구동기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차량 시트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100)는 시트쿠션(110)과, 시트백(120)과, 리클라이너(130)와, 시트백 어퍼용 구동기구(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시트쿠션(110)은 시트(100)에서 탑승자의 엉덩이와 허벅지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시트쿠션(110)은 시트쿠션 프레임에 패드 부재가 감싸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시트백(120)은 시트(100)에서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시트백(120)은 시트백 로워(121)와, 시트백 어퍼(122)를 구비한다. 시트백 로워(121)와 시트백 어퍼(122)는 패드 부재에 의해 각각 감싸질 수 있다.
시트백 로워(121)는 하측 부위가 시트쿠션(110)의 후측 부위에 좌우방향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시트백 로워(121)는 하측 힌지 부시(lower hinge bush, 123)에 의해 시트쿠션(1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하측 힌지 부시(123)는 시트쿠션(110)에 고정되고, 시트백 로워(1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시트백 어퍼(122)는 하측 부위가 시트백 로워(121)의 상측 부위에 좌우방향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시트백 어퍼(122)는 상측 힌지 부시(124)에 의해 시트백 로워(12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측 힌지 부시(124)는 시트백 어퍼(122)에 고정되고, 시트백 로워(1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시트백 어퍼(122)의 상하 길이는 시트백(120)의 전체 상하 길이의 50%를 초과하지 않되, 평균적인 성인의 어깨 뒷부분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길이로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시트쿠션(110)과 시트백 로워(121)의 힌지 결합 위치를 P1이라 하고, 시트백 로워(121)와 시트백 어퍼(122)의 힌지 결합 위치를 P2라 하며, 시트백 어퍼(122)의 상단 위치를 P3이라 하면, P1으로부터 P2까지 거리는 P1으로부터 P3까지 거리의 50%를 초과하지 않는다. 아울러, P2는 평균적인 성인의 어깨 뒷부분보다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리클라이너(130)는 시트백 로워(121)를 시트쿠션(110)에 대해 회동시킨다. 즉, 리클라이너(130)는 시트백 로워(121)를 시트쿠션(11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각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리클라이너(130)는 리클라이너용 샤프트(131)와, 리클라이너용 회전 모터(132), 및 리클라이너용 동력전달기(133)를 포함할 수 있다.
리클라이너용 샤프트(131)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상태로 양단이 시트쿠션(110)과 시트백 로워(121)의 힌지 결합 중심을 각각 관통하여 시트쿠션(110)에 고정된다. 리클라이너용 샤프트(131)는 하측 힌지 부시(123)와 동축으로 결합된다. 리클라이너용 샤프트(131)에는 스플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스플라인은 리클라이너용 샤프트(131)의 표면에 홈을 절삭하는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하측 힌지 부시(123)에는 리클라이너용 샤프트(131)의 스플라인과 끼움 결합하는 끼움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리클라이너용 샤프트(131)는 하측 힌지 부시(123)를 통해 시트쿠션(110)에 고정될 수 있다.
리클라이너용 회전 모터(132)는 시트백 로워에 모터 몸체가 고정되며 모터 축을 통해 회전력을 출력한다. 리클라이너용 회전 모터(132)는 모터 축이 상하로 배치된 상태에서 모터 몸체가 시트백 로워(121)에 고정될 수 있다.
리클라이너용 동력전달기(133)는 리클라이너용 회전 모터(132)의 모터 축으로부터 출력되는 회전력을 리클라이너용 샤프트(131)로 전달한다. 리클라이너용 동력전달기(133)는 리클라이너용 회전 모터(132)의 모터 축과 리클라이너용 샤프트(131) 사이에 배치된다.
리클라이너용 회전 모터(132)의 모터 축과 리클라이너용 샤프트(131)가 서로 90°로 배치되는 경우, 리클라이너용 동력전달기(133)는 웜과 웜 휠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리클라이너용 회전 모터(132)의 모터 축으로부터 리클라이너용 샤프트(131)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리클라이너용 동력전달기(133)는 리클라이너용 회전 모터(132)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리클라이너용 샤프트(131)로 전달할 수 있다.
리클라이너용 샤프트(131)가 시트쿠션(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리클라이너용 회전 모터(132)의 모터 축으로부터 리클라이너용 샤프트(131)로 회전력이 입력되면, 리클라이너용 회전 모터(132)의 모터 몸체가 리클라이너용 샤프트(131)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리클라이너용 회전 모터(132)의 모터 몸체는 시트백 로워(12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시트백 로워(121)가 시트쿠션(110)에 대해 하측 힌지 부시(123)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시트쿠션(110)에 대한 시트백 로워(121)의 회동 각도는 리클라이너용 각도 센서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부(150)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리클라이너용 각도 센서로부터 제공된 각도 정보를 기초로 시트백 로워(121)의 회동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리클라이너용 각도 센서는 엔코더 등으로 이루어져 리클라이너용 동력전달기(133)에 내장될 수 있다.
시트백 어퍼용 구동기구(140)는 시트백 어퍼(122)를 시트백 로워(121)에 대해 회동시킨다. 시트백 어퍼용 구동기구(140)는 시트백 어퍼(122)를 시트백 로워(121)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각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시트백 어퍼용 구동기구(140)는 시트백 어퍼용 샤프트(141)와, 시트백 어퍼용 회전 모터(142), 및 시트백 어퍼용 동력전달기(143)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백 어퍼용 샤프트(141)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상태로 양단이 시트백 로워(121)와 시트백 어퍼(122)의 힌지 결합 중심을 각각 관통하여 시트백 어퍼(122)에 고정된다. 시트백 어퍼용 샤프트(141)는 상측 힌지 부시(124)와 동축으로 결합된다. 시트백 어퍼용 샤프트(141)에는 스플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상측 힌지 부시(124)에는 시트백 어퍼용 샤프트(141)의 스플라인과 끼움 결합하는 끼움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시트백 어퍼용 샤프트(141)는 상측 힌지 부시(124)를 통해 시트백 어퍼(122)에 고정될 수 있다.
시트팩 어퍼용 회전 모터(142)는 시트백 로워(121)에 모터 몸체가 고정되며 모터 축을 통해 회전력을 출력한다. 시트백 어퍼용 회전 모터(142)는 모터 축이 상하로 배치된 상태에서 모터 몸체가 시트백 로워(121)에 고정될 수 있다.
시트팩 어퍼용 동력전달기(143)는 시트팩 어퍼용 회전 모터(142)의 모터 축으로부터 출력되는 회전력을 시트팩 어퍼용 샤프트(141)로 전달한다. 시트팩 어퍼용 동력전달기(143)는 시트백 어퍼용 회전 모터(142)의 모터 축과 시트팩 어퍼용 샤프트(141) 사이에 배치된다.
시트팩 어퍼용 회전 모터(142)의 모터 축과 시트백 어퍼용 샤프트(141)가 서로 90°로 배치되는 경우, 시트팩 어퍼용 동력전달기(143)는 웜과 웜 휠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시트팩 어퍼용 회전 모터(142)의 모터 축으로부터 시트백 어퍼용 샤프트(141)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시트백 어퍼용 동력전달기(143)는 시트백 어퍼용 회전 모터(142)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시트백 어퍼용 샤프트(141)로 전달할 수 있다.
시트백 어퍼용 회전 모터(142)의 모터 몸체가 시트백 로워(121)에 고정된 상태에서, 시트백 어퍼용 회전 모터(142)의 모터 축으로부터 시트백 어퍼용 샤프트(141)로 회전력이 입력되면, 시트백 어퍼용 샤프트(141)가 회동한다. 이때, 시트백 어퍼용 샤프트(141)가 시트백 어퍼(12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시트백 어퍼(122)가 시트백 로워(121)에 대해 상측 힌지 부시(124)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시트백 로워(121)에 대한 시트백 어퍼(122)의 회동 각도는 시트백 어퍼용 각도 센서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부(150)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시트백 어퍼용 각도 센서로부터 제공된 각도 정보를 기초로 시트백 어퍼(122)의 회동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시트백 어퍼용 각도 센서는 엔코더 등으로 이루어져 시트백 어퍼용 동력전달기(143)에 내장될 수 있다.
시트백 어퍼용 구동기구(140)는 가이드 핀(144)과, 가이드 슬롯(1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핀(144)은 시트백 로워(121)로부터 시트백 어퍼(122) 쪽으로 돌출된다. 가이드 핀(144)은 시트백 로워(121)에 이탈 방지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핀(144)은 원형 단면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슬롯(145)은 가이드 핀(144)을 끼운 상태로 가이드 핀(144)의 이동을 안내하여 시트백 어퍼(122)의 회동을 안내하되 가이드 핀(144)의 이동범위를 제한하여 시트백 어퍼(122)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도록 시트백 어퍼(122)에 형성된다. 시트백 어퍼(122)의 회동범위가 15°로 설정되는 경우, 가이드 슬롯(145)은 가이드 핀(144)이 15°로 회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슬롯(145)의 전방 부위는 시트백 어퍼(122)의 후방 한계위치에서 가이드 핀(144)과 맞닿고, 가이드 슬롯(145)의 후방 부위는 시트백 어퍼(122)의 전방 한계위치에서 가이드 핀(144)과 맞닿을 수 있다. 가이드 슬롯(145)은 가이드 핀(144)과 헐거운 끼워맞춤(movable fit)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헐거운 끼워맞춤은 가이드 핀(144)이 가이드 슬롯(145) 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정도의 끼워맞춤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시트백 표준자세 설정에 따라 리클라이너(130)와 시트백 어퍼용 구동기구(140)를 연동 제어하여, 시트백 로워(122)를 시트쿠션(110)에 대해 제1 각도(θ1)로 회동시킴과 아울러 시트백 어퍼(122)를 시트백 로워(121)에 대해 전방으로 제2 각도(θ2)로 회동시킨다. 시트백 표준자세는 탑승자, 특히 운전자가 가장 편한 자세로 운전할 수 있게 하는 시트백(120)의 자세에 해당한다. 예컨대, 제1 각도(θ1)는 110°로 설정되며, 제2 각도(θ2)는 5°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차량 시동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시트백 표준자세 설정을 인식하거나, 운전자가 조작부(160)의 시트백 표준자세 설정 버튼을 조작할 때 입력되는 조작 명령에 따라 시트백 표준자세 설정을 인식할 수 있다. 시트백(120)이 표준자세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150)는 시트백 표준자세 설정을 인식하면, 리클라이너(130)와 시트백 어퍼용 구동기구(140)를 연동 제어하여 시트백(120)을 표준자세로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리클라이너(130)를 제어하여 시트백 로워(122)를 시트쿠션(110)에 대해 제1 각도(θ1)로 회동시키는 동작과, 시트백 어퍼용 구동기구(140)를 제어하여 시트백 어퍼(122)를 시트백 로워(121)에 대해 전방으로 제2 각도(θ2)로 회동시키는 동작을 동시에 제어하거나, 순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시트백 어퍼(122)가 제2 각도(θ2)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 조작부(160)의 조작에 따라 시트백 어퍼용 구동기구(140)를 제어하여, 시트백 어퍼(122)를 시트백 로워(121)에 대해 제2 각도(θ2)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설정 각도 범위(θ3), 예컨대 10° 범위 내의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다.
조작부(160)는 시트백 어퍼용 각도 조절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운전자가 시트백 어퍼용 각도 조절 버튼을 조작하여 시트백 어퍼(122)의 각도를 증감시키는 조작 명령을 제어부(150)로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조작 명령에 따라 시트백 어퍼용 구동기구(140)를 제어하여 시트백 로워(121)에 대한 시트백 어퍼(122)의 각도를 증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백 어퍼(122)의 각도가 전방으로 5°로 조절된 상태에서, 운전자는 10° 범위 내의 희망 각도로 시트백 어퍼(122)의 각도를 전방으로 추가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시트백 어퍼(122)가 전방으로 5°로 조절된 상태에서, 운전자는 시트백 어퍼용 각도 조절 버튼을 조작하여 시트백 어퍼(122)의 각도를 후방으로 5° 범위 내의 희망 각도로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운전자는 시트백 어퍼용 각도 조절 버튼을 조작하여 시트백 어퍼(122)의 각도를 총 15° 범위 내의 희망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자신의 체형에 맞게 시트백 어퍼(122)의 각도를 조절한 상태로 시트백(120)에 지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시트백 로워(121)가 제1 각도(θ1)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리클라이너(130)를 제어하여, 시트백 로워(121)를 시트쿠션(110)에 대해 제1 각도(θ1)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설정 각도 범위(θ4), 예컨대 35° 범위 내의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다.
조작부(160)는 리클라이너용 각도 조절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운전자가 리클라이너용 각도 조절 버튼을 조작하여 시트백 로워(121)의 각도를 증감시키는 조작 명령을 제어부(150)로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조작 명령에 따라 리클라이너(130)를 제어하여 시트쿠션(110)에 대한 시트백 로워(121)의 각도를 증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시트백 로워(121)의 각도가 110°로 조절된 상태에서, 35° 범위 내의 희망 각도로 시트백 로워(121)의 각도를 후방으로 추가 조절함으로써, 자신의 체형에 맞게 시트백 로워(121)의 각도를 조절한 상태로 시트백(120)에 지지할 수 있다.
전술한 차량 시트(100)에 의하면, 차량 시동시 또는 조작부(160)에 의한 시트백 표준자세 설정에 따라 시트백(120)은 표준자세로 자동 조절되므로, 운전자는 가장 편안한 자세로 운전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는 시트백(120)이 표준자세로 자동 조절된 상태에서, 자신의 체형에 맞게 시트백 로워(121)의 각도 및/또는 시트백 어퍼(122)의 각도를 추가 조절해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편의성 및 안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시트쿠션 120..시트백
130..리클라이너 131..리클라이너용 샤프트
132..리클라이너용 회전 모터 133..리클라이너용 동력전달기
140..시트백 어퍼용 구동기구 141..시트백 어퍼용 샤프트
142..시트백 어퍼용 회전 모터 143..시트백 어퍼용 동력전달기
150..제어부 160..조작부

Claims (5)

  1. 시트쿠션;
    하측 부위가 상기 시트쿠션의 후측 부위에 좌우방향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시트백 로워와, 하측 부위가 상기 시트백 로워의 상측 부위에 좌우방향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시트백 어퍼를 구비하는 시트백;
    상기 시트백 로워를 상기 시트쿠션에 대해 회동시키는 리클라이너;
    상기 시트백 어퍼를 상기 시트백 로워에 대해 회동시키는 시트백 어퍼용 구동기구; 및
    시트백 표준자세 설정에 따라 상기 리클라이너와 시트백 어퍼용 구동기구를 연동 제어하여, 상기 시트백 로워를 상기 시트쿠션에 대해 제1 각도로 회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시트백 어퍼를 상기 시트백 로워에 대해 전방으로 제2 각도로 회동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시트백과 리클라이너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트백 어퍼가 제2 각도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시트백 어퍼용 구동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시트백 어퍼를 상기 시트백 로워에 대해 제2 각도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설정 각도 범위 내의 각도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과 리클라이너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어퍼용 구동기구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상태로 양단이 상기 시트백 로워와 시트백 어퍼의 힌지 결합 중심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시트백 어퍼에 고정되는 시트백 어퍼용 샤프트와,
    상기 시트백 로워에 모터 몸체가 고정되며 모터 축을 통해 회전력을 출력하는 시트백 어퍼용 회전 모터, 및
    상기 시트백 어퍼용 회전 모터의 모터 축으로부터 출력되는 회전력을 상기 시트백 어퍼용 샤프트로 전달하는 시트백 어퍼용 동력전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과 리클라이너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어퍼용 구동기구는,
    상기 시트백 로워로부터 상기 시트백 어퍼 쪽으로 돌출된 가이드 핀과,
    상기 가이드 핀을 끼운 상태로 상기 가이드 핀의 이동을 안내하여 상기 시트백 어퍼의 회동을 안내하되 상기 가이드 핀의 이동범위를 제한하여 상기 시트백 어퍼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시트백 어퍼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과 리클라이너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너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상태로 양단이 상기 시트쿠션과 시트백 로워의 힌지 결합 중심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시트쿠션에 고정되는 리클라이너용 샤프트와,
    상기 시트백 로워에 모터 몸체가 고정되며 모터 축을 통해 회전력을 출력하는 리클라이너용 회전 모터, 및
    상기 리클라이너용 회전 모터의 모터 축으로부터 출력되는 회전력을 상기 리클라이너용 샤프트로 전달하는 리클라이너용 동력전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과 리클라이너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 시트.
KR1020170066309A 2017-03-10 2017-05-29 시트백과 리클라이너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 시트 KR1020013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313 2017-03-10
KR20170030313 2017-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651A true KR20180103651A (ko) 2018-09-19
KR102001378B1 KR102001378B1 (ko) 2019-07-18

Family

ID=63719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309A KR102001378B1 (ko) 2017-03-10 2017-05-29 시트백과 리클라이너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3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5506A (zh) * 2019-08-23 2019-11-12 延锋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零重力座椅及包含其的汽车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272B1 (ko) * 2008-03-14 2010-09-15 자동차부품연구원 자동차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방법
KR101385432B1 (ko) 2013-07-02 2014-04-14 현대다이모스(주)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장착 구조물
KR101470215B1 (ko) * 2013-10-17 2014-12-08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KR101470216B1 (ko) * 2013-10-17 2014-12-08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US20150274301A1 (en) * 2014-03-28 2015-10-01 B/E Aerospace, Inc. Aircraft seat with segmented seatback for achieving in-bed lounge sitting posi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272B1 (ko) * 2008-03-14 2010-09-15 자동차부품연구원 자동차용 메모리 시트의 제어방법
KR101385432B1 (ko) 2013-07-02 2014-04-14 현대다이모스(주)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장착 구조물
KR101470215B1 (ko) * 2013-10-17 2014-12-08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KR101470216B1 (ko) * 2013-10-17 2014-12-08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US20150274301A1 (en) * 2014-03-28 2015-10-01 B/E Aerospace, Inc. Aircraft seat with segmented seatback for achieving in-bed lounge sitting 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5506A (zh) * 2019-08-23 2019-11-12 延锋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零重力座椅及包含其的汽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378B1 (ko)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7916B2 (en) Vehicle interior
US10081285B2 (en) Vehicle seat
JP4163724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20190066673A (ko) 차량용 릴렉스 시트
KR101428285B1 (ko) 리어시트용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JP6753320B2 (ja) シート駆動装置
KR20130032599A (ko) 시트쿠션의 높낮이 및 경사 조절구조가 단일화된 차량시트
KR101852883B1 (ko)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식 시트 구동 장치
CN104724012A (zh) 汽车座椅智能调节系统
CN104228638B (zh) 一种汽车座椅及采用该座椅的汽车
KR102001378B1 (ko) 시트백과 리클라이너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 시트
KR101724915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20060094128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US11794612B2 (en)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system for a motor vehicle
JPH0537860Y2 (ko)
KR101470216B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KR20190123423A (ko) 차량 시트
KR20190123906A (ko) 차량 시트 제어시스템
KR102242419B1 (ko) 차량용 시트 조절장치
KR101326492B1 (ko) 자동차용 전동식 시트 구동 장치
CN113734015A (zh) 座椅结构及车辆
KR20180044480A (ko) 차량용 프런트시트의 틸팅장치
KR101950186B1 (ko) 자동차 시트의 숄더부 각도 조절 장치
CN115379964A (zh) 汽车座椅及汽车
KR101326605B1 (ko)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