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605B1 -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605B1
KR101326605B1 KR1020110138550A KR20110138550A KR101326605B1 KR 101326605 B1 KR101326605 B1 KR 101326605B1 KR 1020110138550 A KR1020110138550 A KR 1020110138550A KR 20110138550 A KR20110138550 A KR 20110138550A KR 101326605 B1 KR101326605 B1 KR 101326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auxiliary
link
hinge
vehicl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8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1181A (ko
Inventor
이재성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8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605B1/ko
Publication of KR20130071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5Head-rests provided with side-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시트의 시트백 상단에 결합되는 헤드레스트 본체와,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일측부가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 헤드레스트와,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를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와,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를 회동시키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와,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와 상기 구동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와, 탑승자가 조작하여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함으로써, 탑승자가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탑승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 시트백을 후방으로 기울일 때 보조 헤드레스트가 기울기 센서와 제어부에 의해 회동되어 머리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므로,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HEAD REST OF VEHICLE SEA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백의 상단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의 양측면을 전방으로 회전시켜서 탑승자가 머리를 기댈 때 머리가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탑승자가 착석하기 위한 다수의 시트가 구비된다.
이러한 시트는 운전자가 편안한 자세로 앉아 있도록 함으로써 장거리 주행시에도 피로를 느끼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실내의 바닥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쿠션과, 이 시트쿠션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백으로 크게 구성된다.
이러한 시트는 시트에 앉아서 자신의 머리를 기댐으로써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거리 주행하는 경우에도 피로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한 헤드레스트를 더 포함하며, 이 헤드레스트는 시트백의 상단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되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한편, 최근에는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목을 보호하기 위하여 관성력에 의해 작동하여 탑승자의 목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와, 헤드레스트의 양측에 지지부를 구비하여 탑승자의 머리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헤드레스트 등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헤드레스트 중 머리의 양측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의 일예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007384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종래의 차량용 헤드레스트는 헤드레스트 본체와, 보조 헤드레스트로 크게 구성되며, 헤드레스트 본체의 양측면에 보조 헤드레스트가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헤드레스트 본체의 하측에는 시트백의 상단에 형성되는 끼움홀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바가 하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며, 헤드레스트 본체의 양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 헤드레스트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되, 그 일측면에 결합돌부가 형성되어, 헤드레스트 본체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헤드레스트는 탑승자의 머리 양측부를 지지하는 보조 헤드레스트가 헤드레스트 본체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사용시 탑승자가 보조 헤드레스트를 회동시켜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므로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헤드레스트 본체에 보조 헤드레스트가 나사 결합으로 결합되므로 보조 헤드레스트의 사용시 탑승자가 머리를 기대서 움직이거나 머리의 무게에 의해 보조 헤드레스트가 회동되므로 머리를 움직일 때 보조 헤드레스트가 함께 유동되어 편안한 자세를 갖는 것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머리를 헤드레스트에 기대고 시트를 눕혔을 때 헤드레스트의 양측부에 구비되는 보조 헤드레스트를 자동으로 회동되거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의 시트백 상단에 결합되는 헤드레스트 본체;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일측부가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 헤드레스트;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를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를 회동시키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와 상기 구동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 탑승자가 조작하여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형성되되, 중앙에 축홀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힌지돌부와,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의 일측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힌지돌부의 상측이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축홀에 연통되는 다른 축홀이 형성되는 제2힌지돌부와, 상기 제1힌지돌부의 축홀과, 제2힌지돌부의 축홀에 끼워지는 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는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의 전면 양측단에서 일정두께로 중앙을 향해 절개되어 형성되는 외피와, 상기 외피 내측에 결합되어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링크부는, 일단부가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축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링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링크는, 타단부가 상기 제2힌지돌부가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와 함께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트백이 기울어지는 것을 검출하는 기울기 센서와, 상기 기울기 센서로부터 검출된 상기 시트백의 기울기 값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탑승자가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탑승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 시트백을 후방으로 기울일 때 보조 헤드레스트가 기울기 센서와 제어부에 의해 회동되어 머리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므로,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를 갖는 시트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2의 헤드레스트에서 보조 헤드레스트 작동 상태를 순서대로 보인 평면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를 갖는 시트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도 2의 헤드레스트에서 보조 헤드레스트 작동 상태를 순서대로 보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100)는 탑승자가 헤드레스트(100)에 머리를 기대고 시트백(30)을 뒤로 기울이거나 조작부를 조작하면, 헤드레스트 본체(110)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보조 헤드레스트(120)가 일측부를 힌지로 하여 전방을 향해 회동되어 탑승자 머리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시트(10)는 자동차의 실내 바닥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쿠션(20)과, 이 시트쿠션(20)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백(30)과, 시트백(30)의 상단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탑승자의 머리를 기댈 수 있는 헤드레스트(100)를 포함한다.
이중 헤드레스트(100)는 시트백(30)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레스트 본체(110)와, 헤드레스트 본체(110)의 양측에 결합되어 헤드레스트 본체(110)의 중앙부를 향해 회동되는 보조 헤드레스트(120)와, 보조 헤드레스트(120)의 일측부를 헤드레스트 본체(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130)와,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부(140)와, 구동부(140)의 회전력을 보조 헤드레스트(120)로 전달하기 위한 링크부(150)를 포함한다.
헤드레스트 본체(110)는 시트백(30)의 상단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되,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 헤드레스트 본체(110)의 하부에는 결합부재(111)가 돌출 구비되며, 이 결합부재(111)가 시트백(30)의 상단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결합부재(111)와 결합홈 사이에는 헤드레스트 본체(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높이 조절부는 통상적인 차량에 구비되는 헤드레스트(100)의 구성과 같은 것으로, 그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헤드레스트 본체(110)에는 후술하는 구동부(140)와 링크부(15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112)이 형성되되, 이 설치공간(112)은 헤드레스트 본체(110)의 양측을 관통하는 관통홀로 형성되거나 헤드레스트 본체(110)의 전면에서 뒤쪽으로 홈부 형태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설치공간(112)은 헤드레스트 본체(110)의 앞쪽에서 뒤쪽으로 관통되는 관통홀로 형성될 때, 이 관통홀은 헤드레스트 본체(110)의 중앙에 일정폭으로 된 전면부를 남기고 양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헤드레스트(120)는 헤드레스트 본체(110)의 전면부(113)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외피와, 외피에 의해 감싸지며 보조 헤드레스트(120)의 외형을 형성하기 위한 바디부(1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로 근접하는 일측부가 헤드레스트 본체(110)의 전면부(113) 양측에 힌지 고정되어 탑승자의 조작이나 시트백(30)의 기울임에 의해 전면부(113)를 향해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이 보조 헤드레스트(120)는 헤드레스트 본체(110)의 설치공간(112)의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설치공간(112)의 전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조 헤드레스트(120)는 헤드레스트 본체(110)의 외곽에 일치되는 외곽을 갖도록 형성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보조 헤드레스트(120)가 헤드레스트 본체(110)보다 크거나 작게 형성되어 그 외관미를 해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힌지부(130)는 헤드레스트 본체(110)에 결합되는 보조 헤드레스트(120)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기 것으로, 헤드레스트 본체(110)의 전면부(113)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힌지돌부(미도시)와, 제1힌지돌부(미도시)에 대응되며 보조 헤드레스트(120)의 바디부(121)의 일측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2힌지돌부(131)와, 제1힌지돌부와 제2힌지돌부(131)를 결합하는 축부재(132)을 포함한다.
제1힌지돌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되, 헤드레스트 본체(110)의 전면부(113)의 후방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1힌지돌부는 헤드레스트 본체(110)에 수직으로 형성되되,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축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힌지돌부가 2개 이상으로 형성되면, 그 사이에 후술하는 제2힌지돌부(131)가 끼워지도록 서로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힌지돌부(131)는 보조 헤드레스트(120)의 바디부(121) 일측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제1힌지돌부에 수직으로 나열되어서 후술하는 축부재(132)에 의해 헤드레스트 본체(110)에 보조 헤드레스트(120)의 바디부(121)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힌지돌부(131)의 중앙에는 축부재(132)가 끼워지는 축홀이 형성되며, 이 축홀은 헤드레스트 본체(110)에 보조 헤드레스트(120)가 결합될 때 제2힌지돌부(131)와 제1힌지돌부가 나란히 배치되어 제1힌지돌부의 축홀에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보조 헤드레스트(120)의 외피가 헤드레스트 본체(110)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힌지부(130)를 제2힌지돌부(131)와 축부재(132)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구동부(140)는 헤드레스트(100)의 사용시 보조 헤드레스트(120)를 회동시키기 위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로 구성된다. 여기서, 구동부(140)는 보조 헤드레스트(120)의 바디부(121)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공간(112)에 설치될 수 있는 구성이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이 구동부(140)는 시트(10)에 구비되는 별도의 조작부(미도시)를 탑승자가 조작하는 것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링크부(150)는 구동부(14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보조 헤드레스트(120)의 바디부(121)로 전달하여 보조 헤드레스트(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동부(140)와 힌지부(13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링크부(150)는 구동부(140)에 연결되는 제1링크(151)와, 제1링크(15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152)와, 제2링크(15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153)를 포함한다.
제1링크(151)의 일단부에는 구동부(140)의 구동축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결합홀(151a)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후술하는 제2링크(152)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151b)가 형성된다. 이 연결부(151b)는 제2링크(152)의 일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부(151b)에는 결합홈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힌지홀이 형성된다.
또한, 제2링크(152)는 일단부가 제1링크(151)의 연결부(151b)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3링크(153)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제2링크(152)는 제1링크(151)에 연결될 때 제1링크(151)에 형성된 연결부(151b)의 결합홈에 일단부가 지지되어 제1링크(151)에 직선 형태로 겹쳐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제3링크(153)는 일단부가 제2링크(152)의 타단부에 힌지 고정되고, 타단부가 보조 헤드레스트(120)의 바디부(121)에 형성되는 제2힌지돌부(131)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제2힌지돌부(131)와 일정각도를 이룬 상태로 형성된다.
한편, 탑승자가 시트(10)의 시트백(30)을 기울일 때, 시트백(30)의 기울임을 검출하여 구동부(140)를 제어하고, 보조 헤드레스트(120)를 회동시키기 위한 기울기 센서(160)와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기울기 센서(160)는 헤드레스트 몸체(110)의 설치공간(112)에 설치되어 시트백(30)에 기울어질 때 시트백(30)의 기울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시중에서 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이 기울기 센서(160)는 제어부에 연결되어 시트백(30)의 기울어짐을 검출하여 제어부로 시트백(30)의 기울어짐에 대한 값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부는 기울기 센서(160)와 구동부(140)에 각각 연결되어, 기울기 센서(160)에서 기울어짐 값을 송신한 후에 기울기 값에 따라 구동부(14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제어부에는 시트백(30)이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와 시트백(30)이 후방으로 기울어질 때의 기울기 값이 모두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이 설정된 기울기 값과 기울기 센서(160)로부터 전송된 기울기 값을 비교하여 구동부(14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어부는 기울기 센서(160)로부터 전송되는 시트백(30)의 기울기 값이 시트백(30)이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의 기울기 값으로 판단하게 되면 아무런 반응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되고, 시트백(30)의 기울기 값이 시트백(30)이 후방으로 기울어질 때의 기울기 값으로 판단하게 되면 구동부(14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는 기울여져 있던 시트백(30)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면 다시 구동부(140)를 작동시켜 보조 헤드레스트(120)를 회동시켜 원상태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100)에 대한 작용을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시트(10)에 탑승자가 착석하거나 착석하기 전에는 시트백(3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헤드레스트(100)에서 보조 헤드레스트(120)가 헤드레스트 본체(110)에 밀착되어 있는 도 1과 같은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탑승자가 리클라이너 레버를 작동하여 시트백(30)을 후방으로 기울이거나 시트(30)의 측부에 구비되는 조작부를 조작하게 된다.
여기서는 탑승자가 시트백(30)을 후방으로 기울일 때 보조 헤드레스트(120)가 회동되는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탑승자가 시트백(30)을 후방으로 기울이게 되면, 시트백(30)이나 헤드레스트 본체(110)에 구비되는 기울기 센서(160)가 시트백(30)이 기울어지는 것을 검출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는 기울기 센서(160)로부터 전송된 기울기 값에 따라 구동부(140)의 작동 여부를 판단한 후에 구동부(140)를 작동시킨다.
이렇게 구동부(140)가 작동되면 구동부(140)의 구동축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제1링크(151)는 도 4의 상태에서 일단부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러면, 제1링크(151)의 타단부는 제1링크(15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될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도 5와 같이, 헤드레스트 본체(110)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이 제1링크(151)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152)의 일단부는 제1링크(151)의 타단부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2링크(152)의 타단부도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제2링크(152)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제2링크(152)의 타단부와 제3링크(153)의 일단부는 서로 회동되면서 제3링크(153)의 일단부가 전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제3링크(153)의 타단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 헤드레스트(120)의 바디부(121)는 힌지부(130)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렇게, 보조 헤드레스트(120)는 그 일측부에 구비되는 힌지부(130)를 중심으로 회동되므로써, 헤드레스트 본체(110)의 전면부(113)를 향하여 회동되어, 탑승자의 머리 양측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탑승자가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탑승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 시트백(30)을 후방으로 기울일 때 보조 헤드레스트(120)가 기울기 센서(160)와 제어부에 의해 회동되어 머리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므로,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헤드레스트 110 : 헤드레스트 본체
120 : 보조 헤드레스트 121 : 바디부
130 : 힌지부 131 : 제1힌지돌부
140 : 구동부 150 : 링크부
160 : 기울기 센서

Claims (6)

  1. 시트의 시트백 상단에 결합되는 헤드레스트 본체;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일측부가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 헤드레스트;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를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를 회동시키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와 상기 구동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
    탑승자가 조작하여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형성되되, 중앙에 축홀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힌지돌부와,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의 일측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힌지돌부의 상측이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축홀에 연통되는 다른 축홀이 형성되는 제2힌지돌부와,
    상기 제1힌지돌부의 축홀과 제2힌지돌부의 축홀에 끼워지는 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는,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의 전면 양측단에서 일정두께로 중앙을 향해 절개되어 형성되는 외피와,
    상기 외피 내측에 결합되어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일단부가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축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링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링크는,
    타단부가 상기 제2힌지돌부가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보조 헤드레스트와 함께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이 기울어지는 것을 검출하는 기울기 센서와,
    상기 기울기 센서로부터 검출된 상기 시트백의 기울기 값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KR1020110138550A 2011-12-20 2011-12-20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KR101326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550A KR101326605B1 (ko) 2011-12-20 2011-12-20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550A KR101326605B1 (ko) 2011-12-20 2011-12-20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181A KR20130071181A (ko) 2013-06-28
KR101326605B1 true KR101326605B1 (ko) 2013-11-08

Family

ID=48865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8550A KR101326605B1 (ko) 2011-12-20 2011-12-20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6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979B1 (ko) 2015-12-24 2017-03-16 현대다이모스(주) 자동높이조절 헤드레스트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4777A (ja) * 1996-02-20 1997-09-02 Inoac Corp ヘッドレスト
JP2005066092A (ja) * 2003-08-26 2005-03-17 Asmo Co Ltd 車両用自動ヘッドレスト装置
KR100535067B1 (ko) 2003-11-18 200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분할형 헤드레스트
JP2011178206A (ja) * 2010-02-26 2011-09-15 Nhk Spring Co Ltd ヘッドレスト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4777A (ja) * 1996-02-20 1997-09-02 Inoac Corp ヘッドレスト
JP2005066092A (ja) * 2003-08-26 2005-03-17 Asmo Co Ltd 車両用自動ヘッドレスト装置
KR100535067B1 (ko) 2003-11-18 200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분할형 헤드레스트
JP2011178206A (ja) * 2010-02-26 2011-09-15 Nhk Spring Co Ltd ヘッドレス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181A (ko) 201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67353B (zh) 可后倾座椅
US10081285B2 (en) Vehicle seat
JP2010512278A (ja) 自動車の座席用ヘッドレスト、及びこのようなヘッドレストを装着した自動車座席
JP2017039468A (ja) 車両用シート及び車両
JP2009208636A (ja) 自動車運転席のフロア構造
KR20210072925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
JP6582835B2 (ja) 乗物用シート
KR101326605B1 (ko)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JP2000272395A (ja) 車両用シート
JP7423948B2 (ja) 着座用シートのアームレスト装置
JP4517883B2 (ja) 車両用シート
KR102001378B1 (ko) 시트백과 리클라이너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 시트
JP5071839B2 (ja) シートバックの中折れ・リクライニング式自動車用シート
JP5277666B2 (ja) 自動車運転席のフロア構造
KR101816685B1 (ko) 헤드레스트 자동 높이조절장치
KR200395001Y1 (ko) 차량용 전동식 래그 레스트
JP2624096B2 (ja) シート装置
JPH0537703Y2 (ko)
JP5034507B2 (ja) 座席
JPH0527087Y2 (ko)
JPH0310992Y2 (ko)
JP2009208637A (ja) 自動車運転席のフロア構造
KR102083173B1 (ko) 차량용 폴딩 헤드레스트
KR101771505B1 (ko) 차량의 시트백 연동형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JP2006224922A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