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1648A -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1648A
KR20180101648A KR1020170016772A KR20170016772A KR20180101648A KR 20180101648 A KR20180101648 A KR 20180101648A KR 1020170016772 A KR1020170016772 A KR 1020170016772A KR 20170016772 A KR20170016772 A KR 20170016772A KR 20180101648 A KR20180101648 A KR 20180101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destination
adjacent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천우
Original Assignee
(주)미래엔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엔씨티 filed Critical (주)미래엔씨티
Priority to KR1020170016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1648A/ko
Publication of KR20180101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on portable or mobile units,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지센서에 의해 차량의 주차가 감지되는 경우 촬영부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데이터통신 시 트래픽 증가를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영상을 저장할 필요가 없어 메모리 용량낭비를 절감시킬 수 있고, 관리서버가 유저의 현재 위치 또는 목적지에 인접한 개인주차면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되, 공급자의 공급시간과 이용자의 이용시간의 비교를 통해 시간대가 겹치지 않는 인접한 개인주차면들을 검출하여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유저의 현재 위치 또는 목적지로부터 인접한 이용 가능한 개인주차면들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가 기 설정된 거리산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 또는 목적지로부터 실제 도보로 이동할 때의 거리차의 역순에 따라 우선순위를 설정하며, 설정된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고, 관리서버가 실제 도로에 대응되는 도로 가상맵에, 유저의 현재 위치 또는 목적지의 위치, 검출된 개인주차면들의 위치를 맵핑(Mapping) 시킨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를 생성 및 갱신하여 이를 제공함으로써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Sharing system for individual parking zone Smart human body counter}
본 발명은 개인주차장을 공유하여 주차공간의 부족현상을 개선함과 동시에 이용자의 상황에 따라 적합한 개인주차장들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개인주택의 경우, 거주자의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개인 주차면을 공급하고 있고, 거주자는 자신에게 할당된 개인 주차면을 이용하여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주차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최근 들어 차량이 증가함에 따라 차량이 주차할 주차 공간이 크게 감소하고 있다. 아파트와 같은 밀집 주택의 경우에는 주차장이 어느 정도 확보되고 있으나, 주택가, 상가의 경우 거주자에게 주차 공간이 할당되기 때문에 외부 차량이 주차할 영역을 확보하기 어렵고, 거주자의 소유 차량이 둘 이상일 경우에 주차공간을 확보하지 못하여 주차문제로 인한 민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개인 주차면의 경우, 거주자의 직업 및 성향에 따라 주차가 이루어지는 시간대가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거주자가 외출한 시간이 많을 경우 주차공간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단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개인 주차면이 활성화되지 않은 시간대에 비거주자에게 개인 주차면을 제공하여 주차공간의 부족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492137호(발명의 명칭 : 구획별 무인 주차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개시된 구획별 무인 주차장 운영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유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과 2의 구획별 무인 주차장 운영 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100)은 주차 구역에 설치되어 차량정보를 수집하는 공유 단말기(110)를 포함한다.
공유 단말기(110)는 함과 동시에 주차 구역의 구역 권리자가 타인에 대한 사용 허가 여부 및 허가 가능 시간을 지정하며, 일반 이용자에게 주차 가능여부 및 주차 가능시간을 표시한다.
또한 공유 단말기(110)는 주차 구역으로 진출입이 이루어지는 차량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촬영부(112)와, 주차 구역 내로 차량이 진입할 때, 해당 주차 구역의 주차 가능 여부를 LED 램프의 발광하는 빛의 색으로 표시하는 조명부(113)와, 주차 구역 내 주차가 가능한 잔여 시간을 카운트 다운하는 방식으로 표시하며 주차 가능 또는 불법 주차 관련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15)와, 주차 허용 여부 및 허용 가능 시간 입력하고 공유 단말기의 주차 공유모드, 주차 가능모드, 주차 불가모드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조그 다이얼, 버튼, 터치 스크린에 따른 터치 입력 방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인터페이스부(116)와, 구역 권리자가 보유한 RFID 태그를 인식하고 인식된 태그 정보에 따라 공유 단말기에 설정된 주차 공유모드를 해제하거나, 주차 가능모드, 또는 주차 불가모드가 설정되도록 태그정보를 전송하는 태그 인식부(114)와, 지자기식, 압력방식, 거리인식, 금속탐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복수의 방식으로 구성되어 주차 구역 내의 바닥에 설치되며, 이 주차 구역으로 진출입하는 차량을 인식하고, 현재 주차 구역의 점유 상태 유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센서부(12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공유 단말기(110)가 영상 촬영부(112), 태그 인식부(114) 및 센서부(120)에서 전송되는 각각의 정보들을 수집 및 취합하여 이 취합된 정보를 바탕으로 주차 구역 내로 진출입이 이루어지는 차량이 구역 관리자인지, 일반 이용자인지를 구분하여 주차 공유모드, 주차 가능모드 및 주차 불가모드를 설정 및 해제한다.
즉 종래기술(100)은 해당 주차 구역에 대한 단독 제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주차 구역에 설치된 공유 단말기(110)를 통해 정보수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통합적인 주차 정보 제공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용이하고, 이를 활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기술(100)은 공유 단말기(110)의 영상 촬영부(112)가 주차 공간의 주차여부와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촬영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할 때 트래픽이 증가하여 통신부하가 발생하게 되고, 외부 서버에서 이를 저장할 때 불필요한 메모리 용량이 증가하게 되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각 주차 공간별로 공유 단말기(110)를 별도로 설치하여야하기 때문에 설치 및 운용비용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거주자가 주차면을 제공할 수 있는 시간대에, 이용자가 주차면을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대가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실제 적용 시 이로 인한 민원 및 다툼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해당 장소를 방문한 사람만이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가 사전에 서비스를 요청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감지센서에 의해 차량의 주차가 감지되는 경우 촬영부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데이터통신 시 트래픽 증가를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영상을 저장할 필요가 없어 메모리 용량낭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관리서버가 유저의 현재 위치 또는 목적지에 인접한 개인주차면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되, 공급자의 공급시간과 이용자의 이용시간의 비교를 통해 시간대가 겹치지 않는 인접한 개인주차면들을 검출하여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유저의 현재 위치 또는 목적지로부터 인접한 이용 가능한 개인주차면들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관리서버가 기 설정된 거리산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 또는 목적지로부터 실제 도보로 이동할 때의 거리차의 역순에 따라 우선순위를 설정하며, 설정된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관리서버가 실제 도로에 대응되는 도로 가상맵에, 유저의 현재 위치 또는 목적지의 위치, 검출된 개인주차면들의 위치를 맵핑(Mapping) 시킨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를 생성 및 갱신하여 이를 제공함으로써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특정 거주자의 차량 주차가 이루어지는 개인주차면들의 공유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개인주차면들 각각에 설치되어 차량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들;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차량이 감지되는 경우 구동되어 해당 개인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을 촬영하는 촬영부들; 상기 감지센서들 및 상기 촬영부들로부터 감지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며, 접속된 유저의 요청에 따라 전송받은 영상데이터를 유저에게 제공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은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 및 GPS 모듈을 포함하고, 유저의 요청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로 개인주차면 이용 서비스를 요청하는 응용프로그램인 주차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개인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주차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개인주차면(P)을 제공할 수 있는 시간범위인 공급시간과,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주차면 관련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공급자 주차관련정보 관리부; 상기 주차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유저의 현재 위치와,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범위인 이용시간을 포함하는 이용정보를 등록하는 이용자 주차관련정보 관리부; 상기 주차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서비스이용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유저의 현재 위치정보와, 등록된 개인주차면들 각각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범위 이내에 위치한 개인주차면들인 인접 개인주차면들을 검출하는 위치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 상기 위치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인접 개인주차면들 중 유저의 이용시간의 시작시점 및 종료시점이 인접 개인주차면들의 공급시간에 포함되는 인접 개인주차면들인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을 검출하는 위치기반 최적후보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위치기반 최적후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 주차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실제 도로에 대응하여 기 제작된 도로 가상맵에, 현재 위치정보와,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 각각의 위치를 맵핑(Mapping)시킨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위치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를 생성 및 갱신하는 인터페이스 관리부; 상기 인터페이스 관리부에 의해 생성 및 갱신되는 위치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가 주차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은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 및 GPS 모듈을 포함하고, 유저의 요청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로 개인주차면 이용 서비스를 요청하는 응용프로그램인 주차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개인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주차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개인주차면(P)을 제공할 수 있는 시간범위인 공급시간과,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주차면 관련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공급자 주차관련정보 관리부; 상기 주차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유저의 목적지 위치와,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범위인 이용시간을 포함하는 이용정보를 등록하는 이용자 주차관련정보 관리부; 상기 주차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서비스이용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유저의 목적지정보와, 등록된 개인주차면들 각각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목적지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범위 이내에 위치한 개인주차면들인 인접 개인주차면들을 검출하는 목적지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 상기 목적지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인접 개인주차면들 중 유저의 이용시간의 시작시점 및 종료시점이 인접 개인주차면들의 공급시간에 포함되는 인접 개인주차면들인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을 검출하는 목적지기반 최적후보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목적지기반 최적후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 주차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목적지기반 최적후보 검출부는 상기 목적지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인접 개인주차면들 중 유저의 이용시간의 시작시점이 인접 개인주차면들의 공급시간에 포함되는지를 비교하는 제1 목적지기반 비교모듈; 상기 목적지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인접 개인주차면들 중 유저의 이용시간의 종료시점이 인접 개인주차면들의 공급시간에 포함되는지를 비교하는 제2 목적지기반 비교모듈; 상기 제1 목적지기반 비교모듈 및 상기 제2 목적지기반 비교모듈에 의해 시작시점 및 종료시점이 공급시간에 포함되는 인접 개인주차면들을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로 결정하는 목적지기반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 검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실제 도로에 대응하여 기 제작된 도로 가상맵에, 목적지 위치정보와,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 각각의 위치를 맵핑(Mapping)시킨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목적지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를 생성 및 갱신하는 인터페이스 관리부; 상기 인터페이스 관리부에 의해 생성 및 갱신되는 목적지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가 주차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목적지기반 최적후보 검출부는 실제 도로 상에서 특정 구간을 도보로 이동할 때의 거리차를 산출하기 위한 기 설정된 거리산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기반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의 위치정보 및 목적지의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 각각으로부터 목적지까지 도보로 이동할 때의 거리차를 산출하는 거리차 산출모듈; 상기 목적지기반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 중, 상기 거리차 산출모듈에 의해 산출된 거리차가 작은 순서에 따라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우선순위 설정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선순위 설정모듈에 의해 설정된 우선순위 정보를 주차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관리부는 상기 목적지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를 생성 및 갱신할 때, 상기 우선순위에 따른 숫자도 함께 전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감지센서에 의해 차량의 주차가 감지되는 경우 촬영부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데이터통신 시 트래픽 증가를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영상을 저장할 필요가 없어 메모리 용량낭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관리서버가 유저의 현재 위치 또는 목적지에 인접한 개인주차면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되, 공급자의 공급시간과 이용자의 이용시간의 비교를 통해 시간대가 겹치지 않는 인접한 개인주차면들을 검출하여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유저의 현재 위치 또는 목적지로부터 인접한 이용 가능한 개인주차면들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관리서버가 기 설정된 거리산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 또는 목적지로부터 실제 도보로 이동할 때의 거리차의 역순에 따라 우선순위를 설정하며, 설정된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관리서버가 실제 도로에 대응되는 도로 가상맵에, 유저의 현재 위치 또는 목적지의 위치, 검출된 개인주차면들의 위치를 맵핑(Mapping) 시킨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를 생성 및 갱신하여 이를 제공함으로써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492137호(발명의 명칭 : 구획별 무인 주차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개시된 구획별 무인 주차장 운영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유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예시도이다.
도 5의 (a)는 차량주차여부와 상관없이 카메라가 구동될 때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b)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차량이 주차되는 경우에만 카메라가 구동될 때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개인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3의 관리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인터페이스 관리부에 의해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의 위치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목적지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위치기반 최적 후보 검출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7의 목적지기반 최적 후보 검출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7의 주차관리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1)은 도 3과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주차면(P)들 각각의 거주자 또는 각 개인 주차면(P)을 이용하려는 이용자가 소지한 단말기인 개인 단말기(5)들과, 개인 단말기(5)들 각각에 설치되어 개인 주차면(P)들에 대한 주차관련정보를 제공하며 유저(User)의 요청에 따라 후술되는 관리서버(3)로 정보를 요청하는 응용 프로그램(이하 주차 어플리케이션이라고 함)(6)들과, 개인 주차면(P)들 각각에 설치되어 해당 개인 주차면(P)의 주차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1)들과, 각 개인 주차면(P)을 촬영하도록 설치되어 해당 감지센서(11)에 의해 차량 주차가 감지될 때 구동되어 주차된 차량을 촬영하는 촬영부(12)들과, 주차 어플리케이션(6)을 관리 및 제어하며 감지센서(11)들 및 촬영부(12)들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들을 수집 및 가공하여 주차관련정보를 생성하여 접속된 개인 단말기(5)들로 생성된 주차관련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서버(3)와, 관리서버(3), 감지센서(11)들, 촬영부(12)들 및 개인단말기(5)들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10)으로 이루어진다.
통신망(10)은 관리서버(3), 감지센서(11)들, 촬영부(12)들 및 개인단말기(5)들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며, 상세하게로는 근거리 통신망(LAN) 및 광역통신망(WAN) 등의 유무선 네트워크(Network)망, 이동통신망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감지센서(11)들 및 촬영부(12)들이 별도의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여 통신망(10)과의 접속이 지원되어 자체적으로 감지데이터 및 영상정보를 관리서버(3)로 전송하는 것으로 구성되었으나, 감지센서(11)들 및 촬영부(12)들을 별도의 로컬서버 또는 컨트롤러를 통해 관리서버(3)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감지센서(11)들은 개인주차면(P)들 각각에 설치되어 해당 개인주차면(P)의 차량 주차여부를 감지하며, 검출된 감지데이터를 통신망(10)을 통해 관리서버(3)로 전송함과 동시에 촬영부(12)로 트리거신호(Trigger signal)를 전송한다.
또한 감지센서(11)들은 차량을 감지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센서들이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IoT) 센서로 구축되며, 상세하게로는 개인주차면(P)이 야외에 형성되는 특성을 감안할 때 온도, 습도, 바람, 눈 비, 직사광선, 소음, 조명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는 레이저 센서 또는 레이더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감지센서(11)가 개인주차면(P)의 노면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감지센서(11)의 설치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촬영부(12)에 부착되는 것과 같이 차량의 주차를 판단할 수만 있으면 어느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1)은 별도의 감지센서(11)들을 구비하지 않고, 촬영부(12)에 의해 촬영된 영상분석을 통해 차량의 주차여부가 판단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촬영부(12)들은 각 개인주차면(P)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해당 개인주차면(P)의 감지센서(11)로부터 트리거신호를 전송받으면 설정된 개인주차면(P)을 촬영하여 개인주차면(P)에 주차된 차량을 촬영한다.
또한 촬영부(12)들은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정보를 관리서버(3)로 실시간 전송한다.
또한 촬영부(12)들은 촬영 시 기 설정된 번호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번호를 검출하며, 검출된 차량번호를 통신망(10)을 통해 관리서버(3)로 전송한다.
또한 촬영부(12)들은 기 설정된 객체추적 알고리즘이 저장되며, 촬영에 의해 영상이 획득되면 객체추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 내 사람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객체를 검출하며, 검출된 객체의 움직임을 추적한다.
또한 촬영부(12)들은 객체의 움직임 추적을 통해 만약 객체가 임계시간 이상 해당 장소에 머무르는 경우 긴급 데이터를 관리서버(3)로 전송하고, 관리서버(3)는 촬영부(12)들로부터 전송받은 긴급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해당 장소의 촬영영상을 거주자의 개인단말기의 주차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함으로써 거주자 및 관리서버의 관리자가 영상을 통해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된다.
도 5의 (a)는 차량주차여부와 상관없이 카메라가 구동될 때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b)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차량이 주차되는 경우에만 카메라가 구동될 때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주차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카메라(12)가 지속적으로 촬영하는 경우, 촬영에 의해 획득된 대용량의 영상을 관리서버(5)로 실시간 전송하여야하기 때문에 트래픽양이 증가하여 통신부하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관리서버(5)가 전송받은 대용량의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할 때, 차량이 주차되지 않은 영상(비활성화 영상)까지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하여야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용량낭비가 증가하는 단점을 갖게 된다.
이러한 용량낭비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1)관리서버(3)가 영상분석을 통해 차량이 주차되지 않은 영상을 트래쉬로 판별함과 동시에 차량이 주차된 영상(활성화 영상)만을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하는 연산처리를 수행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복자한 연산량이 요구되는 영산분석 작업을, 실시간 영상에 대하여 수행하여야하기 때문에 연산처리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단점을 갖고, 2)별도의 관리자가 일일이 영상을 열람한 후 차량이 주차된 영상만을 별도로 저장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하나, 이러한 방식은 인력 및 시간소모가 증가하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센서(11)에 의해 차량의 주차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카메라(12)가 동작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데이터를 송신할 때 트래픽 증가를 개선함과 동시에 관리서버(3)의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되는 영상정보의 데이터양도 절감되어 불필요한 용량낭비를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촬영부(12)들이 24시간 지속적으로 촬영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감지센서(11)에 의해 개인주차면(P)으로 차량 주차가 이루어지는 경우(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촬영을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데이터통신 시 트래픽 부하를 효율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서버(3)가 차량 주차가 이루어지지 않은 영상인 비활성화 영상을 저장하는 경우 불필요한 방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현상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3의 개인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개인단말기(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스마트 폰이나 또는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구비되어 콘텐츠가 전시되는 모니터(51)와, 통신망(10)에 접속하여 관리서버(3)와의 데이터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52)와, 유저로부터 문자 및 기호를 입력받는 입력부(53)와, 운전자 단말기의 OS를 담당하여 제어대상을 제어하는 제어부(54)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의하여 위치를 산출하는 GPS부(55)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56)로 이루어진다.
어플리케이션 관리부(56)는 전술하였던 주차 어플리케이션(6)을 관리 및 제어한다. 즉 개인단말기(5)들에는 주차 어플리케이션(6)이 설치된다.
도 7은 도 3의 관리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관리서버(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와, 데이터베이스부(31), 통신 인터페이스부(32), 어플리케이션 관리부(33), 인터페이스 관리부(34), 공급자 주차관련정보 관리부(35), 이용자 주차관련정보 관리부(36), 위치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37), 위치기반 최적후보 검출부(38), 목적지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39), 목적지기반 최적후보 검출부(40), 주차관리부(41), 모니터링부(42)로 이루어진다.
제어부(30)는 관리서버(3)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주기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32)를 크롤링(Crawling) 하여 외부(감지센서, 촬영부 및 개인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받았는지를 탐색하며, 전송받은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함과 동시에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대응되는 구성부로 입력하는 파싱(Parsing)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30)는 감지센서(11)들로부터 차량이 감지되지 않았다는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되, 감지센서(11)들로부터 차량이 감지되었다는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주차관리부(41)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이후 해당 감지센서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주차관리부(41)로 입력한다. 즉 주차관리부(41)는 제어부(30)를 통해 입력되는 감지센서(11)의 감지데이터를 통해 개인주차면(P)들 각각의 차량 주차여부 및 주차완료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30)는 촬영부(12)로부터 영상정보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영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인터페이스 관리부(34)를 통해 유저로부터 영상을 요청받으면 촬영부(12)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정보를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각 개인주차면(P)에 관련된 정보인 주차면 상세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주차면 상세정보는 각 개인주차면(P)의 식별정보, 각 개인주차면(P)의 위치정보, 각 개인주차면(P)의 거주자정보, 각 개인주차면(P)에 대해 해당 거주자가 설정한 공급시간(주차가 이루어지지 않아 이용자에게 해당 개인주차면을 제공할 수 있는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실제 도로에 대응하여 제작된 도로 가상맵과, 도로 가상맵에 개인주차면들 각각의 위치가 맵핑(Mapping)된 주차관련 가상맵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기 제작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촬영부(12)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정보가 저장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부(33)는 개인단말기(5)들 각각에 설치되는 주차 어플리케이션(6)의 회원관리, 업그레이드, 펌웨어, 데이터백업 등을 관리한다.
인터페이스 관리부(34)는 기 제작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도 8은 도 7의 인터페이스 관리부에 의해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인터페이스 관리부(3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접속 시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인 초기 인터페이스(341)와, 초기 인터페이스(341)를 통해 유저로부터 개인주차면(P)의 공급 등록을 요청받는 경우 제공되는 제1 인터페이스(342)와, 초기 인터페이스(341)를 통해 유저로부터 개인주차면(P)의 이용을 요청받는 경우 제공되는 제2 인터페이스(343)와, 초기 인터페이스(341)를 통해 유저로부터 현재 위치에 인접한 가용 개인주차면(P)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는 경우 제공되는 위치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344)와, 초기 인터페이스(341)를 통해 유저로부터 목적지에 인접한 가용 개인주차면(P)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는 경우 제공되는 목적지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345)와, 위치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344) 또는 목적지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345)를 통해 특정 개인주차면(P)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요청받을 때 제공되는 상세정보 인터페이스(346)를 유저에게 제공한다.
초기 인터페이스(341)는 유저가 최초 접속할 때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초기 인터페이스(341)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개인주차면(P)의 등록을 요청받기 위한 제1 버튼(또는 아이콘)과, 개인주차면(P)의 이용을 요청받기 위한 제2 버튼(또는 아이콘)이 노출된다. 이때 인터페이스 관리부(34)는 초기 인터페이스(341)를 통해 유저로부터 제1 버튼(또는 아이콘)이 클릭되는 경우 제1 인터페이스(342)를 유저에게 제공하며, 개인주차면(P)의 이용을 요청받기 위한 제2 버튼(또는 아이콘)이 클릭되는 경우 제2 인터페이스(343)를 유저에게 제공한다.
또한 초기 인터페이스(341)는 유저로부터 현재 위치에 인접한 가용 개인주차면(P)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기 위한 제3 버튼(또는 아이콘)과, 목적지에 인접한 가용 개인주차면(P)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기 위한 제4 버튼(또는 아이콘)이 노출된다. 이때 인터페이스 관리부(34)는 초기 인터페이스(341)를 통해 유저로부터 제3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위치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344)를 제공하며, 제4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목적지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345)를 제공한다.
제1 인터페이스(342)는 초기 인터페이스(341)를 통해 유저로부터 개인주차면(P)의 등록을 요청받기 위한 제1 버튼이 클릭될 때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이다.
또한 제1 인터페이스(342)는 유저로부터 등록하고자 하는 개인주차면(P)에 대한 관련정보인 주차면 상세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주차면 상세정보는 각 개인주차면(P)의 식별정보, 각 개인주차면(P)의 위치정보, 각 개인주차면(P)의 거주자정보, 각 개인주차면(P)에 대해 해당 거주자가 설정한 공급시간 정보, 주차요금정보 등을 포함한다.
제2 인터페이스(343)는 초기 인터페이스(341)를 통해 유저로부터 개인주차면(P)의 이용을 요청받기 위한 제2 버튼이 클릭될 때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이다.
또한 제2 인터페이스(343)는 유저로부터 개인주차면(P)을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이용정보는 위치정보(목적지 또는 현재 위치), 이용시간(주차예정시간) 등을 포함한다.
도 9는 도 8의 위치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인터페이스 관리부(34)는 초기 인터페이스(341)를 통해 유저로부터 현재 위치에 인접한 가용 개인주차면(P)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기 위한 제3 버튼이 클릭될 때 도 9의 위치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344)를 제공한다.
또한 인터페이스 관리부(34)는 위치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344) 제공 시 도 7의 위치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37) 및 위치기반 최적 후보 검출부(38)를 구동시킨다.
또한 위치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344)는 해당 개인단말기(5)의 위치정보와, 개인주차면(P)들 각각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개인단말기(5)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범위 이내의 개인주차면들인 인접 개인 주차면들을 검출하며, 검출된 인접 개인주차면들 각각의 공급시간을 탐색하여 주차이용이 가능한 개인주차면들인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을 검출한다. 이때 유저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인접 개인주차면들 및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을 검출하기 위한 도 7의 위치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37) 및 위치기반 최적 후보 검출부(38)에서 수행된다.
또한 위치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344)는 개인 단말기(5)의 위치를 나타내는 식별기호(3443)와, 검출된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식별기호(3445)를, 기 제작된 도로 가상맵에 맵핑시킨 후 맵핑된 주차 가상맵(3441)을 전시한다.
이때 주차 가상맵(3441)에는 개인 단말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식별기호(3443) 및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 각각을 나타내는 식별기호(3445)들이 노출됨으로써 이용자는 위치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344)의 주차 가상맵(3441)을 통해 자신의 위치에 인접한 개인주차면들에 대한 정보를 열람함과 동시에 현재 위치로부터 인접한 가용 개인주차면들까지의 대략적인 거리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도 8의 목적지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인터페이스 관리부(34)는 초기 인터페이스(341)를 통해 유저로부터 목적지에 인접한 가용 개인주차면(P)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기 위한 제4 버튼이 클릭될 때 도 10의 목적지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345)를 제공한다.
또한 인터페이스 관리부(34)는 목적지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345) 제공 시 도 7의 목적지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39) 및 목적지기반 최적후보 검출부(40)를 구동시킨다.
또한 목적지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345)는 이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의 위치정보와, 개인주차면(P)들 각각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범위 이내의 개인주차면들인 인접 개인주차면들을 검출하며, 검출된 인접 개인주차면들 각각의 공급시간을 탐색하여 주차이용이 가능한 개인주차면들인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을 검출한다. 이때 유저의 목적지를 기반으로 인접 개인주차면들 및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을 검출하기 위한 연산은 도 7의 목적지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39) 및 목적지기반 최적후보 검출부(40)에서 수행된다.
또한 목적지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345)는 이용자의 목적지 위치를 나타내는 식별기호(3453)와, 검출된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식별기호(3455)를, 기 제작된 도로 가상맵에 맵핑시킨 후 맵핑된 주차 가상맵(3451)을 전시하고, 이에 따라 유저는 목적지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345)를 통해 자신의 목적지에 인접한 이용 가능한 개인주차면들에 대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차 가상맵(3451)은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을 전시하되, 목적지기반 최적후보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된 우선순위에 따라 숫자(3456)를 식별기호(3455)와 함께 전시한다. 즉 유저는 숫자(3456)의 순서에 따라 자신의 목적지로부터 도보로 이동하였을 때 가장 인접한 개인주차면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위치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344) 및 목적지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345)는 전시되는 개인주차면의 식별기호(3445), (3455)가 유저에 의해 클릭되는 경우, 인터페이스 관리부(34)는 클릭된 개인주차면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전시되는 상세정보 인터페이스(346)를 제공한다.
상세정보 인터페이스(346)는 위치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344) 또는 목적지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345)에 노출되는 개인주차면 식별기호(3445), (3455)들 중 어느 하나가 유저에 의해 클릭될 때 제공된다.
즉 인터페이스 관리부(34)는 위치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344) 또는 목적지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345)에 노출되는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 식별기호(3445), (3455)들 중 어느 하나가 유저에 의해 클릭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된 각 개인주차면(P)의 주차면 상세정보를 탐색하여 클릭된 개인주차면(P)에 대응되는 주차면 상세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상세정보를 상세정보 인터페이스(346)를 통해 전시하여 유저에게 선택한 개인주차면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상세정보 인터페이스(346)는 각 개인주차면(P)에 관련된 정보인 주차면 상세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주차면 상세정보는 각 개인주차면(P)의 식별정보, 각 개인주차면(P)의 위치정보, 각 개인주차면(P)의 거주자정보, 각 개인주차면(P)에 대해 해당 거주자가 설정한 공급시간 정보, 주차요금정보 등이 전시된다.
공급자 주차관련정보 관리부(35)는 접속된 주차 어플리케이션(6)으로부터 공급하고자 하는 개인주차면(P)에 대한 정보 등록을 요청받는 경우 진행되며, 유저로부터 주차면 상세정보를 입력받는다.
또한 공급자 주차관련정보 관리부(35)는 접속된 주차 어플리케이션(6)으로부터 기 등록된 개인주차면(P)에 대한 정보 갱신을 요청받는 경우 진행되며, 유저로부터 주차면 상세정보를 입력받는다.
또한 공급자 주차관련정보 관리부(35)는 유저로부터 입력된 주차면 상세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 또는 갱신시킨다.
즉 공급자 주차관련정보 관리부(35)는 개인주차면(P)을 제공하는 거주자의 개인 단말기(5)를 통해 정보를 입력받게 된다.
이용자 주차관련정보 관리부(36)는 접속된 주차 어플리케이션(6)으로부터 개인주차면(P)의 이용을 요청받는 경우 진행되며, 유저로부터 이용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이용정보는 위치정보(목적지 또는 현재 위치), 이용시간(주차예정시간)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이용자 주차관련정보 관리부(36)는 유저로부터 입력된 이용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한다.
위치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38)는 초기 인터페이스(341)를 통해 유저로부터 현재 위치에 인접하면서 주차이용이 가능한 개인주차면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는 경우 구동된다. 즉 위치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38)는 유저가 별도의 예약을 하지 않고 즉흥적으로 개인주차면을 이용하려고 하는 경우 유저의 현재 위치에 인접한 가용 개인주차면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위치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38)는 유저의 현재위치 정보와, 개인주차면(P)들 각각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유저의 현재위치로부터 임계범위 이내에 위치한 개인주차면들인 인접 개인주차면들을 검출한다.
또한 위치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38)는 검출된 인접 개인주차면(P1)들에 대한 데이터를 위치기반 최적 후보 검출부(39)로 입력한다.
도 11은 도 7의 위치기반 최적 후보 검출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위치기반 최적 후보 검출부(38)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기반 비교모듈(381)과, 제2 위치기반 비교모듈(382), 위치기반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 검출모듈(383)로 이루어진다.
제1 위치기반 비교모듈(381)은 위치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37)로부터 입력된 인접 개인주차면들 각각의 공급시간과 현재 시간을 비교하여 현재 시간이 공급시간 이내에 포함되는지를 비교한다.
제2 위치기반 비교모듈(382)은 위치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37)로부터 입력된 인접 개인주차면들 각각의 공급시간과 유저로부터 입력된 이용시간(개인주차면을 이용하고자하는 시간범위)의 종료시점을 비교하여 종료 시점이 공급시간 이내에 포함되는지를 비교한다.
예를 들어 위치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37)에 의해 유저의 현재 위치로부터 인접한 개인주차면(인접 개인주차면)들인 ‘A, ‘B’, ‘C’, ‘D’, ‘E’가 검출되고, 유저의 이용시간이 현재 시점으로부터 저녁 8시까지일 때, 제1 위치기반 비교모듈(381)은 인접 개인주차면들인 ‘A, ‘B’, ‘C’, ‘D’, ‘E’의 공급시간(개인주차면 제공이 가능한 시간범위)과 현재 시점을 비교하여 현재 시점이 공급시간에 포함되는 인접 개인주차면들을 검출하고, 제2 위치기반 비교모듈(382)은 인접 개인주차면들인 ‘A, ‘B’, ‘C’, ‘D’, ‘E’의 공급시간과 유저의 이용시간의 종료시점(저녁 8시)을 비교하여 종료시점이 공급시간에 포함되는 인접 개인주차면들을 검출한다.
위치기반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 검출모듈(383)은 제1 위치기반 비교모듈(381)에 의해 현재 시점이 공급시간에 포함됨과 동시에 제2 위치기반 비교모듈(382)에 의해 종료시점이 공급시간에 포함되는 인접 개인주차면들을 이용이 가능한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로 결정한다.
다시 도 7로 돌아가서 목적지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39)를 살펴보면, 목적지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39)는 초기 인터페이스(341)를 통해 유저의 방문시점으로부터 유저의 목적지에 인접하면서 주차이용이 가능한 개인주차면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는 경우 구동된다. 즉 목적지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39)는 유저가 목적지에 방문하기 이전에 해당 목적지에 인접한 개인주차면의 이용을 예약하고자 하는 경우를 위한 것이다.
또한 목적지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39)는 유저로부터 입력된 목적지정보와, 개인주차면(P)들 각각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로부터 임계범위 이내에 위치한 개인주차면들인 인접 개인주차면들을 검출한다.
또한 목적지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39)는 검출된 인접 개인주차면들에 대한 데이터를 목적지기반 최적후보 검출부(40)로 입력한다.
도 12는 도 7의 목적지기반 최적 후보 검출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목적지기반 최적 후보 검출부(4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목적지기반 비교모듈(401)과, 제2 목적지기반 비교모듈(402), 목적지기반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 검출모듈(403), 거리차 산출모듈(404), 우선순위 설정모듈(405)로 이루어진다.
제1 목적지기반 비교모듈(401)은 목적지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39)로부터 입력된 인접 개인주차면들 각각의 공급시간과, 유저로부터 입력된 이용시간(개인주차면을 이용하고자하는 시간범위)의 시작시점을 비교하여 시작시점이 공급시간 이내에 포함되는지를 비교한다.
제2 목적지기반 비교모듈(402)은 목적지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39)로부터 입력된 인접 개인주차면들 각각의 공급시간과, 유저로부터 입력된 이용시간의 종료시점을 비교하여 종료 시점이 공급시간 이내에 포함되는지를 비교한다.
예를 들어 목적지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39)에 의해 유저의 목적지로부터 인접한 개인주차면(인접 개인주차면)들인 ‘A, ‘B’, ‘C’, ‘D’, ‘E’가 검출되고, 유저의 이용시간이 저녁 6시부터 저녁 8시까지일 때, 제1 목적지기반 비교모듈(401)은 인접 개인주차면들인 ‘A, ‘B’, ‘C’, ‘D’, ‘E’의 공급시간(개인주차면 제공이 가능한 시간범위)과 시작시점(저녁 6시)을 비교하여 시작시점이 공급시간에 포함되는 인접 개인주차면들을 검출하고, 제2 목적지기반 비교모듈(403)은 인접 개인주차면들인 ‘A, ‘B’, ‘C’, ‘D’, ‘E’의 공급시간과 유저의 이용시간의 종료시점(저녁 8시)을 비교하여 종료시점이 공급시간에 포함되는 인접 개인주차면들을 검출한다.
목적지기반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 검출모듈(403)은 제1 목적지기반 비교모듈(401)에 의해 시작시점이 공급시간에 포함됨과 동시에 제2 목적지기반 비교모듈(402)에 의해 종료시점이 공급시간에 포함되는 인접 개인주차면들을 이용이 가능한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로 결정한다.
거리차 산출모듈(404)은 기 설정된 거리산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목적지기반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 검출모듈(403)에 의해 검출된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의 위치정보와, 목적지의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 각각으로부터 목적지까지 도보로 이동할 때의 거리차를 산출한다. 이때 거리산출 알고리즘은 실제 도로에 맞춰 도보로 이동할 때의 거리차를 산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이고, 이러한 실제 도보상의 거리차를 산출하는 알고리즘 및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순위 설정모듈(405)은 목적지기반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 검출모듈(403)에 의해 검출된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 중, 거리차 산출모듈(404)에 의해 산출된 거리차가 작은 순서에 따라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또한 우선순위 설정모듈(405)에 의해 설정된 우선순위는 목적지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345)에 숫자로 적용되어 전시됨으로써 유저는 목적지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345)의 숫자(3456)를 통해 자신의 목적지로부터 실제 도보로 이동하였을 때 가장 인접한 이용 가능한 개인주차면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도 7의 주차관리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주차관리부(4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의 요청에 따라 예약을 입력받는 예약처리모듈(411)과, 감지센서(11)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차가 이루어졌음을 감지하고 거주자의 요청에 따라 거주자의 주차 어플리케이션(6)으로 영상을 전송하는 관리모듈(412)과, 감지센서(11)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차가 완료된 경우 주차요금을 산출하는 주차요금 산출모듈(413)과,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주차요금 산출모듈(413)에 의해 산출된 주차요금의 결제를 처리하는 주차요금 결제처리모듈(414)로 이루어진다.
모니터링부(42)는 촬영부(12)로부터 긴급 데이터를 전송받는 경우 구동되며, 해당 개인주차면의 거주자의 개인단말기의 주차 어플리케이션으로 영상을 제공함과 동시에 영상을 모니터링 하라는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거주자는 푸시 등의 방식으로 제공되는 메시지를 통해 영상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개인주차면의 공유서비스뿐만 아니라 보안서비스까지 제공할 수 있는 목적 및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1)은 감지센서(11)에 의해 차량의 주차가 감지되는 경우 촬영부(12)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데이터통신 시 트래픽 증가를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영상을 저장할 필요가 없어 메모리 용량낭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1)은 관리서버(3)가 유저의 현재 위치 또는 목적지에 인접한 개인주차면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되, 공급자의 공급시간과 이용자의 이용시간의 비교를 통해 시간대가 겹치지 않는 인접한 개인주차면들을 검출하여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유저의 현재 위치 또는 목적지로부터 인접한 이용 가능한 개인주차면들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1)은 관리서버(3)가 기 설정된 거리산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 또는 목적지로부터 실제 도보로 이동할 때의 거리차의 역순에 따라 우선순위를 설정하며, 설정된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1)은 관리서버(3)가 실제 도로에 대응되는 도로 가상맵에, 유저의 현재 위치 또는 목적지의 위치, 검출된 개인주차면들의 위치를 맵핑(Mapping) 시킨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를 생성 및 갱신하여 이를 제공함으로써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1: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 3:관리서버 5:개인단말기
6:주차 어플리케이션 10:통신망 11:감지센서
12:촬영부 30:제어부 31:데이터베이스부
32:통신 인터페이스부 33:어플리케이션 관리부
34:인터페이스 관리부 35:공급자 주차관련정보 관리부
36:이용자 주차관련정보 관리부 37:위치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
38:위치기반 최적후보 검출부 39:목적지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
40:목적지기반 최적후보 검출부 41:주차관리부
341:초기 인터페이스 342:제1 인터페이스
343:제2 인터페이스 344:위치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
345:목적지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 346:상세정보 인터페이스
381:제1 위치기반 비교모듈 382:제2 위치기반 비교모듈
383:위치기반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 검출모듈
401:제1 목적지기반 비교모듈 402:제2 목적지기반 비교모듈
403:목적지기반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 검출모듈
404:거리차 산출모듈 405:우선순위 설정모듈
411:예약처리모듈 412:관리모듈
413:주차요금산출모듈 414:결제처리모듈

Claims (8)

  1. 특정 거주자의 차량 주차가 이루어지는 개인주차면들의 공유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개인주차면들 각각에 설치되어 차량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들;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차량이 감지되는 경우 구동되어 해당 개인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을 촬영하는 촬영부들;
    상기 감지센서들 및 상기 촬영부들로부터 감지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며, 접속된 유저의 요청에 따라 전송받은 영상데이터를 유저에게 제공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은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 및 GPS 모듈을 포함하고, 유저의 요청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로 개인주차면 이용 서비스를 요청하는 응용프로그램인 주차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개인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주차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개인주차면(P)을 제공할 수 있는 시간범위인 공급시간과,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주차면 관련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공급자 주차관련정보 관리부;
    상기 주차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유저의 현재 위치와,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범위인 이용시간을 포함하는 이용정보를 등록하는 이용자 주차관련정보 관리부;
    상기 주차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서비스이용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유저의 현재 위치정보와, 등록된 개인주차면들 각각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범위 이내에 위치한 개인주차면들인 인접 개인주차면들을 검출하는 위치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
    상기 위치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인접 개인주차면들 중 유저의 이용시간의 시작시점 및 종료시점이 인접 개인주차면들의 공급시간에 포함되는 인접 개인주차면들인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을 검출하는 위치기반 최적후보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위치기반 최적후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 주차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실제 도로에 대응하여 기 제작된 도로 가상맵에, 현재 위치정보와,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 각각의 위치를 맵핑(Mapping)시킨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위치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를 생성 및 갱신하는 인터페이스 관리부;
    상기 인터페이스 관리부에 의해 생성 및 갱신되는 위치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가 주차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은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 및 GPS 모듈을 포함하고, 유저의 요청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로 개인주차면 이용 서비스를 요청하는 응용프로그램인 주차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개인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주차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개인주차면(P)을 제공할 수 있는 시간범위인 공급시간과,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주차면 관련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공급자 주차관련정보 관리부;
    상기 주차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유저의 목적지 위치와, 이용하고자 하는 시간범위인 이용시간을 포함하는 이용정보를 등록하는 이용자 주차관련정보 관리부;
    상기 주차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서비스이용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유저의 목적지정보와, 등록된 개인주차면들 각각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목적지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범위 이내에 위치한 개인주차면들인 인접 개인주차면들을 검출하는 목적지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
    상기 목적지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인접 개인주차면들 중 유저의 이용시간의 시작시점 및 종료시점이 인접 개인주차면들의 공급시간에 포함되는 인접 개인주차면들인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을 검출하는 목적지기반 최적후보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목적지기반 최적후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 주차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기반 최적후보 검출부는
    상기 목적지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인접 개인주차면들 중 유저의 이용시간의 시작시점이 인접 개인주차면들의 공급시간에 포함되는지를 비교하는 제1 목적지기반 비교모듈;
    상기 목적지기반 인접 개인주차면 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인접 개인주차면들 중 유저의 이용시간의 종료시점이 인접 개인주차면들의 공급시간에 포함되는지를 비교하는 제2 목적지기반 비교모듈;
    상기 제1 목적지기반 비교모듈 및 상기 제2 목적지기반 비교모듈에 의해 시작시점 및 종료시점이 공급시간에 포함되는 인접 개인주차면들을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로 결정하는 목적지기반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 검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
  6.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실제 도로에 대응하여 기 제작된 도로 가상맵에, 목적지 위치정보와,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 각각의 위치를 맵핑(Mapping)시킨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목적지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를 생성 및 갱신하는 인터페이스 관리부;
    상기 인터페이스 관리부에 의해 생성 및 갱신되는 목적지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가 주차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
  7.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기반 최적후보 검출부는
    실제 도로 상에서 특정 구간을 도보로 이동할 때의 거리차를 산출하기 위한 기 설정된 거리산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기반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의 위치정보 및 목적지의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 각각으로부터 목적지까지 도보로 이동할 때의 거리차를 산출하는 거리차 산출모듈;
    상기 목적지기반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인접 가용 개인주차면들 중, 상기 거리차 산출모듈에 의해 산출된 거리차가 작은 순서에 따라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우선순위 설정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선순위 설정모듈에 의해 설정된 우선순위 정보를 주차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
  8.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관리부는 상기 목적지기반 가상맵 인터페이스를 생성 및 갱신할 때, 상기 우선순위에 따른 숫자도 함께 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
KR1020170016772A 2017-02-07 2017-02-07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 KR201801016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772A KR20180101648A (ko) 2017-02-07 2017-02-07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772A KR20180101648A (ko) 2017-02-07 2017-02-07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648A true KR20180101648A (ko) 2018-09-13

Family

ID=63593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772A KR20180101648A (ko) 2017-02-07 2017-02-07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1648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0751A (zh) * 2019-05-23 2019-07-30 云盾智能物联有限公司 车位共享发布管理系统、车位共享自动推送装置及方法
CN110136346A (zh) * 2019-04-19 2019-08-16 深圳市轱辘汽车维修技术有限公司 一种后备箱租赁方法、服务器及存储介质
CN111047899A (zh) * 2019-03-25 2020-04-21 泰州腾翔信息科技有限公司 自动化图像数据解析平台
KR20200062967A (ko) * 2018-11-27 2020-06-04 장호현 단말에서 주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N111489002A (zh) * 2019-01-29 2020-08-04 阿尔派株式会社 共享车管理装置及共享车管理方法
CN111710186A (zh) * 2020-07-28 2020-09-25 赖汝志 一种居住区停车位的共享服务技术系统和方法
KR102187314B1 (ko) 2020-04-17 2020-12-07 주식회사 플러스파크 공유 주차관리시스템
KR102187313B1 (ko) 2020-03-27 2020-12-07 주식회사 플러스파크 공유 주차관리시스템
CN112562395A (zh) * 2020-12-03 2021-03-26 浙江信电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智慧停车系统用识别装置
CN112669646A (zh) * 2020-12-25 2021-04-16 深圳市顺易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停车位信息处理方法以及相关装置
KR102515789B1 (ko) * 2021-10-13 2023-03-29 김원준 공유 주차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N117037377A (zh) * 2023-10-09 2023-11-10 广州金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共享停车场车位智能管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967A (ko) * 2018-11-27 2020-06-04 장호현 단말에서 주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N111489002A (zh) * 2019-01-29 2020-08-04 阿尔派株式会社 共享车管理装置及共享车管理方法
CN111047899A (zh) * 2019-03-25 2020-04-21 泰州腾翔信息科技有限公司 自动化图像数据解析平台
CN110136346A (zh) * 2019-04-19 2019-08-16 深圳市轱辘汽车维修技术有限公司 一种后备箱租赁方法、服务器及存储介质
CN110070751A (zh) * 2019-05-23 2019-07-30 云盾智能物联有限公司 车位共享发布管理系统、车位共享自动推送装置及方法
KR102187313B1 (ko) 2020-03-27 2020-12-07 주식회사 플러스파크 공유 주차관리시스템
KR102187314B1 (ko) 2020-04-17 2020-12-07 주식회사 플러스파크 공유 주차관리시스템
CN111710186A (zh) * 2020-07-28 2020-09-25 赖汝志 一种居住区停车位的共享服务技术系统和方法
CN111710186B (zh) * 2020-07-28 2022-03-18 赖汝志 一种居住区停车位的共享服务技术系统和方法
CN112562395A (zh) * 2020-12-03 2021-03-26 浙江信电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智慧停车系统用识别装置
CN112669646A (zh) * 2020-12-25 2021-04-16 深圳市顺易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停车位信息处理方法以及相关装置
KR102515789B1 (ko) * 2021-10-13 2023-03-29 김원준 공유 주차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N117037377A (zh) * 2023-10-09 2023-11-10 广州金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共享停车场车位智能管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17037377B (zh) * 2023-10-09 2023-12-15 广州金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共享停车场车位智能管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1648A (ko) 개인주차장 공유시스템
KR101808669B1 (ko) 주차장 운영시스템
US20130176147A1 (en) Managing parking space availability
CN112820137B (zh) 一种停车场的管理方法及装置
JP2006221355A (ja) 監視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CN111081047A (zh) 一种基于光电图像处理的精准智能停车管理方法及管理系统
KR102187313B1 (ko) 공유 주차관리시스템
KR101929290B1 (ko) IoT를 이용한 신속 주차장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518735A (ja) 駐車管理システム
CN112533176A (zh) 信息通知装置、汽车共享系统和信息通知方法
KR101576530B1 (ko) 주차위치 기록방법 및 시스템
KR20220005977A (ko) 차량 무선검지센서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주차유도 통합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예매 방법
JP7190088B2 (ja) 駐車場監視装置、駐車場管理システム及び駐車場管理プログラム
KR101368757B1 (ko) 주차 차량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112908014A (zh) 停车场寻车方法及装置
US11756311B2 (en) Parking spot and person detection
JP2019028564A (ja) 駐車場案内システム、駐車場案内プログラム及び駐車場案内方法
KR102268014B1 (ko) 공유 주차면 요금 결제시스템
CN109754635A (zh) 地上停车场反向寻车系统
CN112990759B (zh) 基于数字孪生的数据处理系统
KR102305326B1 (ko) 인공지능 기반 주차시스템
US10043388B1 (en) Parking system
TWI619098B (zh)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parking space quantity by using eTag detector
KR20140112285A (ko) 주차위치 안내시스템
KR101985773B1 (ko) 건물의 실내 위치추적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76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910

Effective date: 2018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