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0634A - 성형면 파스너 - Google Patents
성형면 파스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00634A KR20180100634A KR1020187022572A KR20187022572A KR20180100634A KR 20180100634 A KR20180100634 A KR 20180100634A KR 1020187022572 A KR1020187022572 A KR 1020187022572A KR 20187022572 A KR20187022572 A KR 20187022572A KR 20180100634 A KR20180100634 A KR 201801006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portion
- longitudinal
- concentration
- surface fastener
- magnetic particl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6—Adaptations for being fixed to a moulded article during moulding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8—Hooks or loops provided with means to reinforce the attachment, e.g. by adhesive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44B18/0049—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obtained by moulding processe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3—Attach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44B18/0061—Male or hook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44—Compression means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46—Rollers
- B29C2043/461—Rollers the rollers having specific surface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7—Fastening elements
- B29L2031/729—Hook and loop-typ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Molding Of Porous Articles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 Slide Fastene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1, 1a, 1b, 2, 2a, 3, 4, 5, 6, 7, 8)는, 기재부(11)와, 기재부(11)에 기립 설치되는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 60, 70, 80, 90, 100)와,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 60, 70, 80, 90, 10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2)를 갖는다.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 60, 70, 80, 90, 100)에는 자성 입자가 함유되고, 상기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 60, 70, 80, 90, 100) 및 상기 기재부(11)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가 적어도 일방향을 향하여 감소하는 농도 경사부(50, 50a 내지 50e)를 갖는다. 이에 의해,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부분과 자성 입자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부분의 밀착성을 높여, 성형면 파스너(1, 1a, 1b, 2, 2a, 3, 4, 5, 6, 7, 8)의 제조 시 등에 자성 입자의 함유 부분과 비함유 부분의 사이에 균열 등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평판상의 기재부에 복수의 훅상 걸림 결합 소자가 기립 설치되는 성형면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나 열차의 좌석용 시트, 각종 소파, 사무용 의자 등은, 발포성 수지를 사용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 쿠션체(발포체)의 표면에, 섬유제 포백이나 천연 또는 합성 피혁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피재를 피착시켜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각종 시트 등에 사용되는 쿠션체는, 장시간 착좌해도 피곤하지 않는 착석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인체 공학적으로 만족하는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만곡면을 갖는 경우가 있다.
또한, 쿠션체의 표면에 표피재를 피착시키는 경우, 쿠션체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한 후, 얻어진 쿠션체의 표면에 표피재를 씌워서 고정하는 방법이 채용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이 경우, 쿠션체의 표면과 표피재의 이면을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복수의 훅상의 걸림 결합 소자를 갖는 성형면 파스너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성형면 파스너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부의 일 표면에 복수의 훅상의 수형 걸림 결합 소자가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성형면 파스너는, 금형의 캐비티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동 금형을 사용하여 쿠션체의 발포 성형이 행해짐으로써, 그 쿠션체의 표면에 걸림 결합 소자가 노출되도록 일체화된다. 한편, 이 쿠션체를 피복하는 표피재의 이면에는, 성형면 파스너의 걸림 결합 소자와 걸림 부착 가능한 복수의 루프상의 암형 걸림 결합 소자가 설치된다.
그리고, 성형면 파스너가 일체화된 쿠션체에 표피재를 씌운 후, 그 표피재의 이면에 배치된 루프상 걸림 결합 소자를, 쿠션체 표면에 배치된 성형면 파스너에 압박함으로써, 표피재의 루프상 걸림 결합 소자를 성형면 파스너의 훅상 걸림 결합 소자에 걸림 결합시켜, 표피재를 성형면 파스너에 걸림 부착시킨다. 이에 의해, 표피재가, 쿠션체의 표면에 당해 표면의 요철 형상을 따라 용이하게 고정되어, 표피재가 쿠션체로부터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 쿠션체의 발포 성형을 행할 때 성형면 파스너를 금형의 캐비티면에 설치하는 수단으로서, 금형에 있어서의 파스너 설치면의 밑에 자석을 매설하는 한편, 성형면 파스너에, 금형의 자석에 의해 자기적으로 흡인되는 자성 재료를 설치하는 일이나, 부분적으로 함유시키는 일이 종래부터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성형면 파스너에 자성 재료를 설치하는 방법으로서는, 성형면 파스너의 기재부에 자성 재료를 함유하는 모노 필라멘트를 고정하는 것이나, 자성 재료를 함유하는 필름을 성형면 파스너의 기재부에 적층하는 것, 성형면 파스너의 평판상의 기재부에 자성 재료를 도포하는 것 등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국제 공개 제2012/025980호(특허문헌 1)에는, 자성 재료를 함유하는 모노 필라멘트가 기재부에 고정된 성형면 파스너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성형면 파스너는, 전후 방향으로 긴 박판상의 기판부와, 기판부의 좌우측 에지부에 배치되고, 쿠션체의 발포 수지 재료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기판부로부터 기립 설치되는 좌우의 방벽부와, 좌우의 방벽부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훅상 걸림 결합 소자와, 방벽부의 내측에 기판부로부터 돌출 설치되는 자성체 보유 지지부와,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횡벽부와, 기판부의 좌우측 에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폭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지느러미편부를 갖는다. 또한,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모노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선상 자성체가, 자성체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기재부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한편, 성형면 파스너에 자성 재료를 부분적으로 함유시키는 경우, 예를 들어 자성 재료(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합성 수지 재료와, 자성 재료를 함유하지 않는 합성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2색 성형을 행함으로써 성형면 파스너를 제조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2색 성형을 행하여 제조되는 성형면 파스너가, 국제 공개 제2003/030672호(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는, 도 29에 도시한 성형면 파스너(110)가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2의 성형면 파스너(110)는, 전후 방향으로 긴 평판상의 기재부(111)와, 기재부(111)의 상면에 기립 설치되는 복수의 훅상의 수형 걸림 결합 소자(112)를 갖는다. 또한, 기재부(111)의 좌우측 에지부에는, 복수의 자성 돌기부(113)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나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각 자성 돌기부(113)는, 기재부(111)의 상면에 직육면체상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길이 방향에 인접하는 자성 돌기부(113) 사이에는 골부(11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각 자성 돌기부(113) 내에만, 또는 각 자성 돌기부(113) 내와 기재부(111)에 있어서의 각 자성 돌기부(113)의 밑에 배치되는 지지 부분 내에, 자성 입자가 일정한 비율로 혼입되어 있다. 이 경우,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부분과 자성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합성 수지만의 부분은, 경계부(경계면)로 구획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2의 성형면 파스너(110)에서는, 자석에 흡인되는 자성 입자가 각 자성 돌기부(113) 내에 일정한 농도로 함유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금형에 있어서의 파스너 설치면의 밑에 자석이 매설되어 있는 경우, 성형면 파스너(110)를 금형의 파스너 설치면에 근접시킴으로써, 파스너 설치면에 성형면 파스너(110)를 자기적으로 흡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성형면 파스너(110)가 금형의 파스너 설치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동 금형 내에서 쿠션체의 발포 성형을 행함으로써, 성형면 파스너(110)가 표면에 일체화된 쿠션체를 안정되게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9에 도시한 특허문헌 2의 성형면 파스너(110)를 제조하는 경우,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원통형의 다이 휠의 둘레면에, 용융된 합성 수지 재료와,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용융된 합성 수지 재료를 압출 노즐 등의 압출기로부터 연속적으로 압출함으로써, 다이 휠의 둘레면 상에 성형면 파스너(110)가 성형된다.
이 경우, 다이 휠의 둘레면부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걸림 결합 소자(112)나 자성 돌기부(11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오목 형성된 복수의 성형용 캐비티(캐비티 공간)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용융 수지가, 압출기와 다이 휠의 사이에 충전됨으로써, 성형면 파스너(110)의 기재부(111)가 성형됨과 함께, 다이 휠의 둘레면부에 형성한 각 성형용 캐비티에 충전됨으로써,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12)나 복수의 자성 돌기부(113)가 기재부(111)와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기재부(111)에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12) 및 자성 돌기부(113)가 일체적으로 설치된 성형면 파스너(110)는, 회전하는 다이 휠의 둘레면에 담지되면서 냉각되어 성형된다. 그 후, 냉각된 성형면 파스너(110)는, 픽업 롤러 등의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다이 휠로부터 연속적으로 떼어내 회수된다.
이러한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도 29에 도시한 특허문헌 2의 성형면 파스너(110)를 다이 휠의 둘레면에 형성한 성형용 캐비티로부터 강제적으로 뽑아 내기 위해, 성형면 파스너(110)에는, 특히 성형면 파스너(110)의 기재부(111)와 걸림 결합 소자(112) 및 자성 돌기부(113)의 사이에는, 큰 인장력이 가해진다.
그러나, 도 29에 도시한 특허문헌 2의 성형면 파스너(110)에서는,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부분과 자성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합성 수지만의 부분이, 성형면 파스너(110)의 기재부의 상면과 평행인 경계부(경계면)에서 명확하게 구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성형면 파스너(110)를 다이 휠로부터 떼어낼 때, 성형면 파스너(110)가 받는 인장력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110)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성형면 파스너(110)가 부분적으로 갈라지거나 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성형면 파스너(110)의 균열이나 금은,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부분과 자성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부분의 사이의 경계부에서 발생하기 쉬웠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구체적인 목적은, 2색 성형에 의해 성형되고, 자성 입자를 수지 침입 방지 벽부 등에 부분적으로 함유하는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 성형 공정 혹은 제품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큰 인장력이 가해져도 균열이나 금 등이 발생하기 어려운 성형면 파스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성형면 파스너는,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상기 쿠션체의 표면에 일체화시키는 합성 수지제의 성형면 파스너이며, 상면 및 하면을 구비하는 평판상의 기재부와, 상기 기재부의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기립 설치되는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와, 좌우의 상기 수지 침입 방지 벽부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훅상의 걸림 결합 소자를 갖고, 좌우의 상기 수지 침입 방지 벽부에 자성 입자가 함유되는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수지 침입 방지 벽부 및 상기 기재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가 적어도 일방향을 향하여 감소하는 농도 경사부를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농도 경사부는, 상기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가 하방을 향하여 감소하는 하방 경사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하방 경사부는, 상기 수지 침입 방지 벽부에 있어서의 상기 기재부로부터의 높이 치수의 1/10 이상의 영역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농도 경사부는, 상기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가 가장 높아지는 고농도부를, 좌우의 상기 수지 침입 방지 벽부에 있어서의 상면을 포함하는 상단부에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농도 경사부는, 상기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가, 상기 걸림 결합 소자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외측으로부터, 상기 걸림 결합 소자에 가까운 내측을 향하여 좌우 방향을 따라 감소하는 내향 경사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농도 경사부는, 상기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가, 상기 걸림 결합 소자에 가까운 내측으로부터, 상기 걸림 결합 소자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외측을 향하여 좌우 방향을 따라 감소하는 외향 경사부를 가져도 된다.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 좌우의 상기 수지 침입 방지 벽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벽열을 각각 갖고, 상기 종벽열은,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피치로 간헐적으로 배치됨과 함께 일정한 높이 치수를 구비하는 복수의 분할 종벽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분할 종벽부의 상기 농도 경사부는, 상기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가, 전후 방향을 따라 감소하는 길이 방향 경사부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지 침입 방지 벽부는, 상기 분할 종벽부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상기 종벽열을 갖고, 상기 분할 종벽부는, 복수의 상기 종벽열간에서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고, 각 종벽열의 상기 분할 종벽부는, 다른 상기 종벽열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분할 종벽부와 연결 벽부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분할 종벽부와 상기 연결 벽부가 일정한 높이 치수를 갖고 하나로 연속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 경우, 상기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상기 종벽열은, 좌우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종벽열과, 좌우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종벽열을 갖고, 상기 제1 종벽열의 상기 분할 종벽부와 상기 제2 종벽열의 상기 분할 종벽부는, 좌우 방향으로부터의 측면으로 보아 일부가 서로 중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연결 벽부는,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 벽부에 있어서의 상기 분할 종벽부간을 연결하는 연결 길이는, 상기 분할 종벽부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에서는, 평판상의 기재부의 상면에,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와,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훅상의 걸림 결합 소자가 기립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각 수지 침입 방지 벽부에는 자성 입자가 각각 함유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와, 기재부(특히, 기재부에 있어서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밑에 배치되는 방지벽 지지부) 중 적어도 일부가,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를,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 폭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일방향을 향하여 감소시키는 농도 경사부를 갖는다.
이와 같이 수지 침입 방지 벽부 및 기재부 중 적어도 일부에, 바람직하게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에만 농도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의 성형면 파스너와 같이,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부분과 자성 입자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합성 수지만의 부분의 경계부가 명확하게 형성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자성 입자를 가장 많이 함유하는 부분(예를 들어,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상단부)으로부터, 자성 입자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합성 수지만의 부분까지, 자성 입자의 함유량을 감소(바람직하게는, 자성 입자의 함유량을 완만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의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부분과 자성 입자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부분의 밀착성을, 종래의 성형면 파스너보다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어 성형면 파스너의 성형 공정에 있어서, 성형면 파스너를 다이 휠로부터 떼어낼 때 성형면 파스너가 전술한 바와 같은 큰 인장력을 받아도, 성형면 파스너에 균열이나 금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의 생산 효율이나 수율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 있어서, 「자성 입자가 실질적으로 함유되지 않는」이란, 그 부위가 자성 입자를 전혀 함유하지 않는 합성 수지만으로 형성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자성 입자를 10wt% 이하, 바람직하게는 5wt% 이하로 함유하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것은,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가, 환경 부하를 저감하기 위해 제품의 재이용을 행하여 제조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자성 재료(자성 입자)를 일부에 포함하는 성형면 파스너의 완성 제품을 일단 미세하게 재단하고, 자성 재료를 적극적으로 함유시키지 않는 압출 수지용 펠릿으로서 재이용하여 성형면 파스너의 성형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성형면 파스너의 주재료로 되는 합성 수지에 약간의 자성 재료가 포함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이러한 리사이클 재료로 제조되는 성형면 파스너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소정의 영역(예를 들어,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상단 위치로부터 소정의 높이 위치까지의 범위)에 자성 입자를 함유시키는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농도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예를 들어 자성 입자를 상기 소정의 영역에 일정한 농도로 균일하게 함유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자성 입자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제조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합성 수지에 보다 많은 자성 입자를 함유시키면 성형면 파스너의 유연성을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기는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자성 입자의 사용량이 감소됨으로써 유연성의 저하를 억제하여, 성형면 파스너의 적당한 유연성을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성형면 파스너가 유연성을 적절하게 구비함으로써, 그 금형의 파스너 설치면에 성형면 파스너를 설치하였을 때 파스너 설치면과 성형면 파스너의 사이에 쿠션체의 발포 수지 재료가 통과하는 것이 가능한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성형면 파스너의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를 금형의 파스너 설치면에 안정되게 밀착시킬 수 있다. 그에 의해,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발포성 수지 재료가 수지 침입 방지 벽부를 넘어 걸림 결합 소자가 형성되어 있는 걸림 결합 영역 내에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성형면 파스너의 루프상 걸림 결합 소자에 대한 필요한 걸림 결합 강도를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 수지 침입 방지 벽부 및 기재부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농도 경사부는,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가 하방을 향하여 감소하는 하방 경사부를 갖는다.
즉, 본 발명에서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에 자성 입자를 함유시킴과 함께,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를,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하단부보다 높게 하여,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상단부에 보다 많은 자성 입자를 혼입시키고 있다. 그에 의해, 예를 들어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파스너 설치면의 밑에 자석을 매설한 금형을 사용하는 경우에, 금형의 파스너 설치면에 대하여, 성형면 파스너를 걸림 결합 소자가 파스너 설치면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설치할 때, 금형의 자석과 성형면 파스너에 함유시킨 자성 입자의 사이에서 보다 강한 자력을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금형의 파스너 설치면에 성형면 파스너를 보다 강한 흡인력으로 흡착시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금형의 자석과 성형면 파스너의 자성 입자의 사이에 발생하는 강한 자력에 의해, 설치하는 성형면 파스너의 위치나 방향을, 금형의 파스너 보유 지지부에 배치되는 자석의 위치 및 방향에 대응하여 고정밀도로 자동적으로 맞추는 것이 가능한 셀프 얼라인먼트 효과도 안정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농도 경사부의 하방 경사부란, 수지 침입 방지 벽부를 기재부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단면에 있어서의 자성 입자의 농도 분포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감소하고 있는 부분, 혹은 수지 침입 방지 벽부를 기재부의 상면에 대하여 평행으로 되도록 소정의 높이마다 복수의 높이 위치에서 절단하여 얻어지는 복수의 단면에 대하여 각 단면에 있어서의 자성 입자의 농도 평균(또는, 자성 입자의 함유 면적)을 보았을 때, 그 농도 평균(또는, 자성 입자의 함유 면적)이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감소하고 있는 부분 중 적어도 한쪽을 가리킨다.
이 경우, 상술한 하방 경사부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에 있어서의 기재부로부터의 높이 치수의 1/10 이상의 영역,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의 영역, 특히 바람직하게는 3/10 이상의 영역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방 경사부가, 어느 정도의 높이 영역 이상의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자성 입자의 함유량을 하방을 향하여 보다 완만하게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성형면 파스너의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부분과 자성 입자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부분의 밀착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농도 경사부는,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가 가장 높아지는 고농도부를,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에 있어서의 상면을 포함하는 상단부에 갖는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를 금형의 파스너 설치면에 설치할 때, 금형의 자석과 성형면 파스너의 사이에 강한 자력을 안정되게 발생시켜, 성형면 파스너를 금형의 파스너 설치면에, 보다 확실하게 흡착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 농도 경사부는,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가, 걸림 결합 소자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외측으로부터, 걸림 결합 소자에 가까운 내측을 향하여 좌우 방향을 따라 감소하는 내향 경사부를 갖는다. 이러한 농도 경사부의 내향 경사부를 가짐으로써, 성형면 파스너의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부분과 자성 입자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부분의 밀착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농도 경사부의 내향 경사부란, 수지 침입 방지 벽부를 기재부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 또한 폭 방향에 평행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단면에 있어서의 자성 입자의 농도 분포가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감소하고 있는 부분, 혹은 수지 침입 방지 벽부를 기재부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 또한 길이 방향에 평행으로 되도록 소정의 폭 치수 간격으로 복수의 위치에서 절단하여 얻어지는 복수의 단면에 대하여 각 단면에 있어서의 자성 입자의 농도 평균을 보았을 때, 그 농도 평균이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감소하고 있는 부분 중 적어도 한쪽을 가리킨다.
또한, 수지 침입 방지 벽부에 내향 경사부가 형성되어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외측(외벽면측)의 단부 에지부에 자성 입자를 보다 많이 혼입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금형의 파스너 설치면에 성형면 파스너를 설치하여 밀착시킬 때, 금형의 자석에 의해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외측의 단부 에지부가, 상기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내측의 단부 에지부보다 강하게 흡인된다. 그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가 보다 안정되게 금형의 파스너 설치면에 밀착되어, 성형면 파스너와 금형의 파스너 설치면의 사이의 시일성을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발포성 수지 재료가 수지 침입 방지 벽부를 넘어 걸림 결합 영역으로 침입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파스너의 성형 공정에 있어서 성형면 파스너가 냉각될 때, 성형면 파스너에 열수축이 발생한다. 이때,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의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부분은, 그 자성 입자의 영향에 의해, 자성 입자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합성 수지의 부분보다 열수축량이 작아지고, 또한 자성 입자의 함유량이 많아질수록 열수축량은 작아진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지 침입 방지 벽부에 농도 경사부의 내향 경사부가 형성되고,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외측 단부 에지부에 자성 입자를 보다 많이 혼재시킴으로써, 성형 공정에서 냉각되어 얻어지는 성형면 파스너는, 그 냉각 시의 열수축에 의해 기재부의 이면(하면)이 폭 방향(좌우 방향)에 대하여 약간 볼록상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 경우가 있다.
또한, 한편으로, 예를 들어 금형의 파스너 설치면이 수작업으로 가공되는 경우, 파스너 설치면이 성형면 파스너의 폭 방향으로 되는 방향을 따라 약간 볼록상으로 만곡되는 만곡면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금형의 파스너 설치면이 볼록상의 만곡면을 갖는 경우에, 성형면 파스너가, 상술한 바와 같은 폭 방향으로 약간 만곡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성형면 파스너를 금형의 파스너 설치면에 설치할 때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금형의 파스너 설치면에 대한 성형면 파스너의 밀착성도 한층 더 높일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농도 경사부는,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가, 걸림 결합 소자에 가까운 내측으로부터, 걸림 결합 소자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외측을 향하여 좌우 방향을 따라 감소하는 외향 경사부를 가져도 된다. 이러한 농도 경사부의 외향 경사부를 가짐으로써도, 성형면 파스너의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부분과 자성 입자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부분의 밀착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농도 경사부의 외향 경사부란, 수지 침입 방지 벽부를 기재부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 또한 폭 방향에 평행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단면에 있어서의 자성 입자의 농도 분포가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감소하고 있는 부분, 혹은 수지 침입 방지 벽부를 기재부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 또한 길이 방향에 평행으로 되도록 소정의 폭 치수 간격으로 복수의 위치에서 절단하여 얻어지는 복수의 단면에 대하여 각 단면에 있어서의 자성 입자의 농도 평균을 보았을 때, 그 농도 평균이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감소하고 있는 부분 중 적어도 한쪽을 가리킨다.
또한, 수지 침입 방지 벽부에 외향 경사부가 형성되어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내측(내벽면측)의 단부 에지부에 자성 입자를 보다 많이 혼입시킴으로써, 금형의 자석의 위치 및 방향에 대응하여 성형면 파스너의 위치나 방향을, 보다 고정밀도로 또한 원활하게 자동적으로 맞추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벽열을 각각 갖는다. 또한, 각 종벽열은,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피치로 간헐적으로 배치됨과 함께 일정한 높이 치수를 구비하는 복수의 분할 종벽부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각 종벽열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높이 치수를 갖고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연속 종벽부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성형면 파스너의 상하 방향으로 만곡시키는 유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각 분할 종벽부의 농도 경사부는,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가 전후 방향을 따라 감소하는 길이 방향 경사부를 가짐으로써, 성형면 파스너의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부분과 자성 입자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부분의 밀착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농도 경사부의 길이 방향 경사부란, 수지 침입 방지 벽부를 기재부의 상면에 대하여 평행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단면에 있어서의 자성 입자의 농도 분포가 길이 방향을 따라 감소하고 있는 부분, 혹은 수지 침입 방지 벽부를 기재부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 또한 폭 방향에 평행으로 되도록 소정의 길이 치수 간격으로 복수의 위치에서 절단하여 얻어지는 복수의 단면에 대하여 각 단면에 있어서의 자성 입자의 농도 평균을 보았을 때, 그 농도 평균이 길이 방향을 따라 감소하고 있는 부분 중 적어도 한쪽을 가리킨다.
또한, 성형 공정에서 얻어지는 성형면 파스너가 냉각되어 열수축이 발생할 때, 예를 들어 성형면 파스너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상단부에 자성 입자가 많이 함유되고, 또한 기재부에 자성 입자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성형면 파스너가,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부분과 자성 입자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부분의 열수축량의 차이에 의해, 길이 방향에 대하여 기재부측이 줄어들도록 상하 방향으로 만곡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비해, 성형면 파스너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에 배치되는 각 분할 종벽부가, 상술한 바와 같이 농도 경사부의 길이 방향 경사부를 가짐으로써, 성형 공정에서 성형면 파스너에 열수축이 발생해도, 상술한 열수축량의 차이에 기인하는 상하 방향으로의 만곡이 발생하기 어려워질 것이 기대되며, 길이 방향으로 곧게 연장되는 성형면 파스너를 제조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 수지 침입 방지 벽부는, 분할 종벽부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상기 종벽열을 갖고 있고, 분할 종벽부는, 복수의 종벽열간에서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종벽열의 분할 종벽부는, 다른 종벽열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2개의 분할 종벽부와 연결 벽부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분할 종벽부와 연결 벽부가 일정한 높이 치수를 갖고 하나로 연속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수지 침입 방지 벽부를 갖는 성형면 파스너에 의하면, 성형면 파스너를 금형의 파스너 설치면에 설치하여 쿠션체의 발포 성형을 행할 때, 성형면 파스너의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를 금형의 파스너 설치면에 안정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외측과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간에 형성되는 걸림 결합 소자 영역을 분단할 수 있기 때문에, 쿠션체의 발포성 수지 재료가,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를 넘어 걸림 결합 영역으로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종벽열에 있어서 종벽부가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좌우 방향으로부터의 측면으로 보아, 인접하는 종벽열간에서 종벽부끼리 중첩하는 영역을 작게 하거나 또는 없앨 수 있다. 그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를 상하 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만곡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종벽열은, 좌우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종벽열과, 좌우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종벽열을 갖는다. 또한, 제1 종벽열의 분할 종벽부와 제2 종벽열의 분할 종벽부는, 좌우 방향으로부터의 측면으로 보아 일부가 서로 중첩되어 배치되어 있고, 연결 벽부는,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의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가 비교적 간단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게다가,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수지 침입 방지 벽부에 의해 발포성 수지 재료의 침입을 안정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벽부가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성형면 파스너를 상방으로도 하방으로도 용이하게 휘게 할 수 있다. 또한,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종벽열의 종벽부간에 발포성 수지 재료를 의도적으로 침입시켜, 그 발포성 수지 재료를 내측의 제1 종벽열의 종벽부에 접촉시킬 수 있다. 그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와 쿠션체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여, 쿠션체에 대한 성형면 파스너의 고착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연결 벽부에 있어서의 분할 종벽부간을 연결하는 연결 길이가, 분할 종벽부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수지 침입 방지 벽부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폭 치수를 크게 확보하여, 수지 침입 방지 벽부를 좌우 방향으로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발포성 수지 재료가 성형면 파스너와 금형의 파스너 설치면의 경계 부분에 강하게 분사되었다고 해도, 성형면 파스너의 두꺼운 수지 침입 방지 벽부에 의해 발포성 수지 재료의 침입을 안정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성형면 파스너의 상하 방향으로 만곡시킬 때 탄성 변형되는 연결 벽부의 연결 길이가 상술한 바와 같이 크게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성형면 파스너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유연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성형면 파스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동 성형면 파스너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동 성형면 파스너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V-V선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VI-VI선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있어서의 VII(a)-VII(a)선 내지 VII(d)-VII(d)선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동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9는, 제조 장치에 배치되는 성형 장치의 압출 노즐의 압출구의 위치 관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동 제조 장치에 있어서 1차 성형 공정에 의해 성형되는 1차 성형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동 1차 성형체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쿠션체 성형용 금형의 만곡된 파스너 설치면에 성형면 파스너를 밀착시키는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금형 내에서 쿠션체를 발포 성형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1의 변형예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1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은, 동 성형면 파스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주요부 횡단면도이다.
도 18의 (a), (b) 및 (c)는, 동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의 제1 종벽열, 연결 벽부 및 제2 종벽열에 있어서의 폭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을 각각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실시예 2의 변형예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21은, 동 성형면 파스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주요부 횡단면도이다.
도 22의 (a), (b) 및 (c)는, 동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의 제1 종벽열, 연결 벽부 및 제2 종벽열에 있어서의 폭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을 각각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실시예 1 내지 3의 변형예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24는, 동 성형면 파스너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변형예에 관한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형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26은, 다른 변형예에 관한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형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27은, 또 다른 변형예에 관한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형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28은, 또 다른 변형예에 관한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형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29는, 종래의 성형면 파스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동 성형면 파스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동 성형면 파스너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동 성형면 파스너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V-V선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VI-VI선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있어서의 VII(a)-VII(a)선 내지 VII(d)-VII(d)선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동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9는, 제조 장치에 배치되는 성형 장치의 압출 노즐의 압출구의 위치 관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동 제조 장치에 있어서 1차 성형 공정에 의해 성형되는 1차 성형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동 1차 성형체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쿠션체 성형용 금형의 만곡된 파스너 설치면에 성형면 파스너를 밀착시키는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금형 내에서 쿠션체를 발포 성형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1의 변형예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1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은, 동 성형면 파스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주요부 횡단면도이다.
도 18의 (a), (b) 및 (c)는, 동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의 제1 종벽열, 연결 벽부 및 제2 종벽열에 있어서의 폭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을 각각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실시예 2의 변형예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21은, 동 성형면 파스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주요부 횡단면도이다.
도 22의 (a), (b) 및 (c)는, 동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의 제1 종벽열, 연결 벽부 및 제2 종벽열에 있어서의 폭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을 각각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실시예 1 내지 3의 변형예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24는, 동 성형면 파스너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변형예에 관한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형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26은, 다른 변형예에 관한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형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27은, 또 다른 변형예에 관한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형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28은, 또 다른 변형예에 관한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형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29는, 종래의 성형면 파스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실시예를 들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또한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하기만 하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있어서, 성형면 파스너의 길이 치수 및 폭 치수, 그리고 성형면 파스너의 기재부에 배치되는 훅상 걸림 결합 소자의 개수, 배치 위치 및 형성 밀도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1
도 1은, 본 실시예 1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동 성형면 파스너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동 성형면 파스너의 주요부(수지 침입 방지 벽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동 성형면 파스너의 각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성형면 파스너 및 1차 성형체에 대한 전후 방향이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길게 성형되는 성형면 파스너 및 1차 성형체의 길이 방향(특히 기재부의 길이 방향)을 말한다. 좌우 방향이란, 길이 방향에 직교하고, 또한 성형면 파스너의 기재부의 상면(또는 하면)을 따른 폭 방향을 말한다. 상하 방향이란, 길이 방향에 직교하고, 또한 성형면 파스너의 기재부의 상면(또는 하면)에 직교하는 높이 방향(두께 방향)을 말하며, 특히 기재부에 대하여 걸림 결합 소자가 형성되는 측의 방향을 상방이라고 하고, 그 반대측의 방향을 하방이라고 한다.
본 실시예 1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1)는, 전후 방향으로 긴 평판상의 기재부(11)(베이스부라고도 함)와, 기재부(11)의 좌우측 에지부에 기립 설치되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와,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훅상의 수형 걸림 결합 소자(12)와,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횡벽부(13)와, 기재부(11)의 좌우측 에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느러미편부(14)를 갖는다. 이 성형면 파스너(1)는, 도 8에 도시한 후술하는 성형 장치(41) 및 가열 압박 장치(45)를 구비한 제조 장치(40)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있고, 제조 장치(40)의 반송로를 따른 기계 방향(MD)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성형면 파스너(1)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PVC 수지, ABS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그것들의 공중합체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에 있어서, 성형면 파스너(1)의 후술하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는, 성형면 파스너(1)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에, 철, 코발트, 니켈 등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자성 입자(강자성체)가 함유(혼입)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자성 입자의 재질은, 자석에 자기적으로 끌리는 재료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성형면 파스너(1)에 있어서의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부분은, 그레이색을 부여하여 표시되어 있다. 또한, 실제로 제조된 성형면 파스너(1)에 있어서는, 합성 수지에 안료 등을 함유시킴으로써 성형면 파스너(1)를 원하는 색(예를 들어 녹색)으로 착색할 수 있다. 또한, 성형면 파스너(1)의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부분은, 성형면 파스너(1)가 착색되는 색(예를 들어 녹색)에 대하여, 자성 입자가 나타내는 흑색 또는 그레이색이 표출된다.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에 있어서의 기재부(11)는, 상하 방향의 두께 치수가 작은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기재부(11)의 상면 및 하면은 각각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쿠션체의 발포 성형을 행하여 성형면 파스너(1)를 쿠션체에 일체화할 때, 성형면 파스너(1)와 쿠션체의 접합 면적을 크게 확보하여 고착 강도를 높이기 위해, 예를 들어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재부(11)의 하면에 길이 방향에 평행인 복수의 오목 홈부 또는 돌출부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는, 기재부(11)의 좌우측 단부 에지로부터 약간 내측으로 들어간 측연부 근방의 위치에,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위치는, 기재부(11)의 좌측 단부 에지 또는 우측 단부 에지로부터 기재부(11)의 내측을 향하여 소정의 범위(예를 들어, 기재부(11)의 좌측 단부 에지 또는 우측 단부 에지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기재부(11)의 폭 치수의 20% 이내의 범위)에 형성되는 측연부의 영역 내라면,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좌우의 각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는, 길이 방향에 평행으로 형성되는 2열의 종벽열(21)과, 이들 종벽열(21)의 후술하는 분할 종벽부(2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벽부(23)와, 좌우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는 종벽열(21)(후술하는 제2 종벽열(21b))의 분할 종벽부(22)의 외벽면측에 설치되는 보강부(24)를 각각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보강부(24)를 설치하지 않고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가 형성되어도 된다.
본 실시예 1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는, 종벽열(21)로서,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걸림 결합 소자(12)에 가까운 내측에 배치되는 제1 종벽열(21a)과, 걸림 결합 소자(12)로부터 이격된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종벽열(21b)의 2열의 종벽열(21)을 갖는다.
이들 제1 종벽열(21a) 및 제2 종벽열(21b)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나열되어 배치되고, 또한 소정의 설치 피치로 간헐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분할 종벽부(22)를 각각 갖는다. 또한, 각 종벽열(21)의 길이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2개의 분할 종벽부(22)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25)이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각 종벽열(21)에 배치되는 분할 종벽부(22)의 설치 피치는, 후술하는 걸림 결합 소자(1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설치 피치의 1/2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에 있어서, 제1 종벽열(21a)의 분할 종벽부(22)와, 제2 종벽열(21b)의 분할 종벽부(22)는, 설치 위치가 길이 방향으로 분할 종벽부(22)의 설치 피치의 1/2의 크기로 어긋난 엇갈림 위치에서 배치되어 있고, 제1 종벽열(21a) 및 제2 종벽열(21b)에 있어서의 분할 종벽부(22)는, 전체적으로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경우, 제1 종벽열(21a) 및 제2 종벽열(21b)의 분할 종벽부(22)는, 좌우 방향으로부터의 측면 모습(도 3)에 있어서, 분할 종벽부(22)의 일부가 제1 종벽열(21a)과 제2 종벽열(21b)의 사이에서 서로 중첩되는 부분(26)을 갖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외측의 제2 종벽열(21b)에 배치되는 각 분할 종벽부(22)는, 도 3에 있어서, 내측의 제1 종벽열(21a)의 분할 종벽부(22)에 대하여 그 전후 양단부에서 중첩된다. 또한, 내측의 제1 종벽열(21a)에 배치되는 각 분할 종벽부(22)는, 도 3에 있어서, 외측의 제2 종벽열(21b)의 분할 종벽부(22)에 대하여 그 전후 양단부에서 중첩된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각 분할 종벽부(22)는, 기재부(11)로부터 기립하는 기둥부(22a)와, 기둥부(22a) 상에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정상 단부(22b)를 갖는다. 이 경우, 각 분할 종벽부(22)의 기둥부(22a) 및 정상 단부(22b)에, 인접하는 종벽열(21)의 분할 종벽부(22)와 측면으로 보아 중첩하는 부분이 형성된다. 각 분할 종벽부(22)에 있어서의 기재부(11)의 상면으로부터 정상 단부(22b)의 상면까지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 치수는, 걸림 결합 소자(12)의 기재부(11)의 상면으로부터의 높이 치수의 최댓값과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각 분할 종벽부(22)의 기둥부(22a)는, 길이 방향으로 가늘고 긴 사각 각뿔대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기둥부(22a)의 내벽면 및 외벽면(좌우의 측벽면)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기둥부(22a)의 전벽면과 후벽면은, 기둥부(22a)의 전후 방향의 길이 치수가 상방을 향하여 점감하도록 상하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형성되어 있고, 기둥부(22a)는 좌우 측방으로부터 본 경우에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나타낸다.
각 분할 종벽부(22)의 정상 단부(22b)는, 기둥부(22a)의 상단 외주로부터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상 단부(22b)의 상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각 분할 종벽부(22)가 이러한 형상의 정상 단부(22b)를 가짐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성형면 파스너(1)를 금형(46)의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에 밀착시킬 때(도 12를 참조), 성형면 파스너(1)의 종벽열(21)과 금형(46)의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의 캐비티면(파스너 설치면)(47)의 밀착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분할 종벽부(22)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정상 단부(22b)가, 상술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자성 입자를 보다 다량으로 분할 종벽부(22)의 상단부에 혼입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금형(46)에 장착된 자석(48)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1)를 보다 강하게 흡인하여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각 분할 종벽부(22)에 있어서의 기둥부(22a)와 정상 단부(22b)의 경계부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치수는, 길이 방향에 인접하는 2개의 분할 종벽부(22)의 경계부간의 간극(25)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치수와 동일한 크기로, 또는 그 간극(25)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치수보다 작은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종벽열(21a)의 분할 종벽부(22)와 제2 종벽열(21b)의 분할 종벽부(22)가 측면으로 볼 때 중첩되는 부분의 면적을 보다 작게 하여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성형면 파스너(1)의 유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 1의 연결 벽부(23)는,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고, 제1 종벽열(21a)에 배치되는 분할 종벽부(22)의 전단부(또는 후단부)와, 제2 종벽열(21b)에 배치되는 분할 종벽부(22)의 후단부(또는 전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이 경우, 제1 종벽열(21a) 또는 제2 종벽열(21b)에 배치되는 분할 종벽부(22)는, 2개의 연결 벽부(23)를 통하여, 인접하는 제2 종벽열(21b) 또는 제1 종벽열(21a)에 배치되는 2개의 분할 종벽부(22)와 연결된다.
또한, 각 연결 벽부(23)에 있어서의 기재부(11)의 상면으로부터의 높이 치수는, 제1 종벽열(21a) 및 제2 종벽열(21b)의 분할 종벽부(22)와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 1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는, 제1 종벽열(21a) 및 제2 종벽열(21b)의 분할 종벽부(22)와 연결 벽부(23)가, 일정한 높이 치수를 갖고 지그재그상으로 사행되도록 하나로 연속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1)를 금형(46)의 캐비티면(파스너 설치면)(47)에 밀착시켰을 때, 걸림 결합 영역(15)을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의해 분단하여, 쿠션체의 발포 수지 재료가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외측 영역으로부터,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를 넘어 걸림 결합 영역(15)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연결 벽부(23)의 높이 치수와 분할 종벽부(22)의 높이 치수가 동일한 크기라는 것은, 다소의 오차가 있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연결 벽부(23)의 높이 치수와 분할 종벽부(22)의 높이 치수가 대략 동일한 크기이며, 또한 성형면 파스너(1)를 금형(46)의 캐비티면(파스너 설치면)(47)에 밀착시켰을 때, 캐비티면(47)과 연결 벽부(23) 또는 분할 종벽부(22)의 사이에, 발포성 수지 재료가 빠져나갈 수 없을 만큼의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는 경우를 포함하기로 한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 연결 벽부(23)의 높이 치수는, 성형면 파스너(1)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를 금형(46)의 캐비티면(47)에 밀착시켰을 때, 연결 벽부(23)와 금형(46)의 캐비티면(47)의 사이에 발포성 합성 수지 재료가 침입할 수 없을 만한 작은 간극이 생길 정도로, 제1 종벽열(21a) 및 제2 종벽열(21b)의 분할 종벽부(22)의 높이 치수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연결 벽부(23)는, 곡면상의 상면을 구비하는 상단부를 가짐과 함께, 좌우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을 보았을 때, 상단부로부터 기재부(11)에 근접함에 따라 전후 방향의 길이 치수가 점증하는 테이퍼상을 나타내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 벽부(23)의 상면이란, 연결 벽부(23)에 있어서의 평탄한 전단부면의 상단으로부터 평탄한 후단부면의 상단까지의 사이에 배치되는 볼록상의 만곡면의 부분을 말한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연결 벽부(23)의 상면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곡면상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평탄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연결 벽부(23)는, 그 좌우 방향의 폭 치수 W1(바꾸어 말하면, 제1 종벽열(21a) 및 제2 종벽열(21b) 사이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W1)을, 제1 종벽열(21a)의 좌우 방향의 최대의 폭 치수 W2, 또는 제2 종벽열(21b)의 좌우 방향의 최대의 폭 치수 W3보다 크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제1 종벽열(21a)의 좌우 방향의 폭 치수 W2와 제2 종벽열(21b)의 좌우 방향의 폭 치수 W3의 합계값보다 크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연결 벽부(23)의 좌우 방향의 폭 치수 W1은, 제1 종벽열(21a)의 종벽부(22)와 제2 종벽열(21b)의 종벽부(22)가 측면으로 볼 때 중첩되는 부분(26)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길이 치수의 최댓값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각 부위의 좌우 방향의 폭 치수는, 예를 들어 폭 치수의 크기가 당해 부위의 높이 위치에 따라 바뀌는 경우에는, 당해 부위의 가장 큰 폭 치수를 말한다.
또한, 본 실시예 1에 있어서, 연결 벽부(23)의 폭 치수 W1은, 그 연결 벽부(23)의 상면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길이 치수의 2배 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그 연결 벽부(23)의 하단 에지(연결 벽부(23)와 기재부(11)의 경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길이 치수의 2배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연결 벽부(23)의 폭 치수 W1은,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전체에 있어서의 폭 치수 W4(즉, 내측의 제1 종벽열(21a)의 상단 내측 에지의 위치로부터 외측의 제2 종벽열(21b)에 일체 형성되는 보강부(24)의 외벽면의 위치까지의 폭 치수)의 1/3의 크기보다 크게, 바람직하게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전체에 있어서의 폭 치수 W4의 40% 이상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 1의 연결 벽부(23)가, 상술한 바와 같은 큰 폭 치수 W1을 갖고 형성됨으로써,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를 폭 방향으로 넓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성형면 파스너(1)를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만곡시킬 때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을 크게 확보하여, 성형면 파스너(1)를 상하 방향으로 구부리기 쉽게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경우, 자성 입자의 영향으로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가 단단하게 형성되어 성형면 파스너(1)가 변형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 1에서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연결 벽부(23)가 상술한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됨으로써, 연결 벽부(23)가 변형되기 쉬워짐과 함께 그의 변형량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를 탄성 변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즉, 연결 벽부(23)가 상술한 바와 같은 용이하게 탄성 변형 가능한 폭 치수를 가짐으로써, 그 연결 벽부(23)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제1 종벽열(21a)의 분할 종벽부(22)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25)이나, 제2 종벽열(21b)의 분할 종벽부(22)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25)을 용이하게 넓히거나, 좁히거나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는, 보다 작은 힘으로 상하 방향으로 만곡시킬 수 있고, 또한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비틀리도록 변형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폭 치수를 크게 확보할 수 있음으로써,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의해 발포성 수지 재료의 침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가 광폭으로 형성됨으로써,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자성 입자를 함유시키는 영역을 크게 확보하여, 자성 입자의 함유량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금형(45)에 장착된 자석(48)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1)가 끌리는 흡인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연결 벽부(23)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폭 치수를 어느 정도 크게 하면, 연결 벽부(23)의 폭 치수의 증대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1)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더 이상 얻어지지 않게 되는 경우가 고려된다. 또한,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가 좌우 방향으로 지나치게 커지면, 성형면 파스너(1)의 취급이 어려워지는 경우도 고려된다. 이 때문에, 연결 벽부(23)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폭 치수는, 제1 종벽열(21a) 및 제2 종벽열(21b)의 분할 종벽부(22)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폭 치수의 5배 이하의 크기로, 또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전체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폭 치수의 70% 이하의 크기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좌우의 각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성 입자가 함유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경우, 자성 입자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만 함유되어 있고, 기재부(11), 걸림 결합 소자(12) 및 횡벽부(13)에는 자성 입자는 실질적으로 함유되어 있지 않다. 즉, 기재부(11)는, 유연성을 구비하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용이하게 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걸림 결합 소자(12)나 횡벽부(13)에는, 자성 입자가 상기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상단부보다 적은 비율로 함유되어 있거나, 실질적으로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 결합 소자(12)에 자성 입자가 많이 함유되는 경우, 걸림 결합 소자(12)가 물러져, 루프상 걸림 결합 소자와의 걸림 결합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걸림 결합 소자(12)는, 자성 입자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자성 입자가 실질적으로 함유되지 않는」이란, 그 부위가 자성 입자를 전혀 함유하지 않는 합성 수지만으로 형성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자성 입자를 10wt% 이하, 바람직하게는 5wt% 이하로 함유하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것은,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가, 환경 부하를 저감하기 위해 제품의 재이용을 행하여 제조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자성 재료(자성 입자)를 일부에 포함하는 성형면 파스너의 완성 제품을 일단 미세하게 재단하고, 자성 재료를 적극적으로 함유시키지 않는 압출 수지용 펠릿으로서 재이용하여 성형면 파스너의 성형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성형면 파스너의 주재료로 되는 합성 수지에 약간의 자성 재료가 포함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이러한 리사이클 재료로 제조되는 성형면 파스너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자성 재료를 함유시키는 부분」이란 「합성 수지에 자성 재료(자성 입자)를 함유시키는 비율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40wt% 이상 80wt% 이하로 되는 부분」을 가리키고, 「자성 재료를 실질적으로 함유시키지 않는 부분」이란 「합성 수지에 자성 재료를 함유시키는 비율이 10wt% 이하로 되는 부분」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본 실시예 1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는, 자성 입자를 함유시킴과 함께 그 함유 농도를 하방을 향하여 감소시키는 농도 경사부(5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 1의 농도 경사부(50)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상단부(즉, 각 분할 종벽부(22)의 상단부와 각 연결 벽부(23)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자성 입자를 가장 높은 농도로 함유하는 고농도부(51)와,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를 고농도부(51)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서서히 감소시키는 하방 경사부(52)를 갖는다.
본 실시예 1의 경우, 고농도부(51)에 있어서의 합성 수지에 대한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함유 비율)는, 50wt%의 일정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이 고농도부(51)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분할 종벽부(22)의 상단 및 연결 벽부(23)의 상단으로부터, 분할 종벽부(22) 및 연결 벽부(23)에 있어서의 기재부(11)로부터의 높이 치수의 10% 이상의 높이 범위로,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의 높이 범위로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성 입자의 고농도부(51)가, 상하 방향에 있어서, 분할 종벽부(22) 및 연결 벽부(23)의 상단으로부터 그 높이 치수의 10% 이상의 높이 범위로 확장되어 있음으로써, 후술하는 금형(46)의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에 매설된 자석(48)과, 성형면 파스너(1)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함유시킨 자성 입자의 사이에, 자력에 의한 큰 흡인력을 안정되게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금형(46)의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에 성형면 파스너(1)를 끌어당겨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자성 입자를 일정한 높은 농도로 함유하는 고농도부(51)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시인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매우 작은 영역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후술하는 변형예(도 15를 참조)와 같이,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기재부(11)로부터의 높이 치수의 전체에 확장되어 있어도 된다(즉, 분할 종벽부(22) 및 연결 벽부(23)의 전체가, 자성 입자를 일정한 높은 농도로 함유하고 있어도 됨).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고농도부(51)에 있어서의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로 변경할 수 있지만, 이 고농도부(51)에 있어서의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는, 예를 들어 40wt% 이상 80wt% 이하, 특히 45wt% 이상 70wt%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농도부(51)에 있어서의 함유 농도를 40wt% 이상, 바람직하게는 45wt% 이상으로 함으로써, 금형(46)의 자석(48)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1)를 자기적으로 끌어당겨, 금형(46)의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에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고농도부(51)에 있어서의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를 80wt% 이하, 바람직하게는 70wt% 이하로 함으로써,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강도를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농도 경사부(50)에 있어서,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가 고농도부(51)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감소하는 하방 경사부(52)는,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를 하방을 향하여 서서히 감소시키도록 변화시키는 농도 변화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하방 경사부(농도 변화부)(52)는, 상술한 고농도부(51)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방 경사부(52)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하단까지는 연장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하단부는 자성 입자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하방 경사부(52)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있어서의 기재부(11)로부터의 높이 치수의 10% 이상의 영역,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의 영역,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의 영역에 걸쳐 배치되어 있고, 본 실시예 1의 경우, 하방 경사부(52)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상기 높이 치수의 50% 이상의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농도 경사부(50)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 1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있어서, 예를 들어 각 분할 종벽부(22) 및 각 연결 벽부(23)를 상하 방향으로 3분할한 경우, 분할 종벽부(22) 및 연결 벽부(23)는, 서로 동일한 높이 치수를 갖는 상부 영역, 중간부 영역 및 하부 영역으로 구획된다. 이 경우, 분할 종벽부(22) 및 연결 벽부(23)의 각 영역에 있어서의 자성 입자의 평균 함유 농도를 비교해 보면, 분할 종벽부(22) 및 연결 벽부(23)의 상부 영역이 가장 높은 평균 함유 농도를 갖는다. 또한, 분할 종벽부(22) 및 연결 벽부(23)의 중간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평균 함유 농도는, 농도 경사부(50)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부 영역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고, 하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평균 함유 농도는, 중간 영역보다 더 낮은 값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1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농도 경사부(50)(특히, 하방 경사부(52))가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에,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부분과, 자성 입자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합성 수지만의 부분의 경계부가 확실히 명확하게 형성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걸쳐 자성 입자의 함유량을 완만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그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1)에 있어서의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부분과 자성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부분의 밀착성을, 종래의 성형면 파스너보다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형성되는 농도 경사부에서는, 자성 입자의 함유량을 반드시 완만하게 경사지게 할 필요는 없으며, 함유 농도를 서서히 변화시키는 농도 변화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농도 경사부(50)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예를 들어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고농도부(51)와 하방 경사부(52)가 형성되어 있는 동일한 영역에, 고농도부(51)와 동일한 일정한 농도로 자성 입자가 균일하게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자성 입자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에 의해, 제조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자성 입자를 함유함에 따른 합성 수지의 유연성의 저하를 억제하여, 성형면 파스너(1)의 유연성을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 1에서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2)는, 쿠션체에 씌워지는 표피재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결합력(걸림 결합력)이 얻어지도록,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소정의 설치 피치를 갖고 기립 설치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 1에 있어서, 걸림 결합 소자(12)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설치 피치로 일렬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그 걸림 결합 소자(12)의 종렬이 폭 방향으로 5열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2)가 형성되는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 사이의 영역을, 걸림 결합 영역(15)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걸림 결합 소자(12)의 배치 패턴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결합 소자(12)를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정렬시켜 걸림 결합 영역(15)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 사이에 걸림 결합 소자(12)를 지그재그상 등의 소정의 배치 패턴으로 배열하는 것이나, 걸림 결합 소자(12)를 랜덤하게 배치하는 것 등에 의해 걸림 결합 영역(15)을 형성해도 된다.
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각 걸림 결합 소자(12)는,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걸림 결합 소자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 1의 걸림 결합 소자(12)는, 기재부(11)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진 기립부와, 그 기립부의 상단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전후를 향하여 만곡되면서 연장 돌출되는 훅상의 걸림 결합 헤드부를 갖고 있으며, 소위 수형 걸림 결합 소자를 구성한다.
이 경우, 각 걸림 결합 소자(12)의 기재부(11)로부터의 높이 치수의 최댓값은, 상술한 바와 같이 분할 종벽부(22)의 기재부(11)로부터의 높이 치수와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각 걸림 결합 소자(12)의 형상 및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로 변경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걸림 결합 소자(12)의 기재부(11)로부터의 높이 치수를 분할 종벽부(22)보다 낮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횡벽부(13)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와 걸림 결합 소자(12)의 사이, 및 좌우 방향에 서로 인접하는 걸림 결합 소자(12)의 사이에,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횡벽부(13)는, 인접하여 배치되는 걸림 결합 소자(12)와 하단부(기재부(11)측의 단부)에서 연결되어 있고, 이에 의해, 횡벽부(13)와 걸림 결합 소자(12)는 서로 보강되어 있다.
또한, 횡벽부(13)에 있어서의 기재부(11)로부터의 높이 치수는, 분할 종벽부(22) 및 연결 벽부(23)의 기재부(11)로부터의 높이 치수와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에서는, 분할 종벽부(22), 연결 벽부(23), 횡벽부(13) 및 걸림 결합 소자(12)의 높이 치수가 모두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고, 이들의 상면 또는 상단이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쿠션체의 발포 성형을 행할 때 성형면 파스너(1)를 금형(46)의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에 흡착 고정함으로써, 성형면 파스너(1)의 분할 종벽부(22), 연결 벽부(23), 횡벽부(13) 및 걸림 결합 소자(12)를 금형(46)의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의 캐비티면(파스너 설치면)(47)에 안정되게 밀착시킬 수 있다. 그에 의해, 발포성 수지 재료가, 성형면 파스너(1)의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를 넘어 폭 방향으로부터 걸림 결합 영역(15)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횡벽부(13) 및 걸림 결합 소자(12)를 넘어 길이 방향으로부터 걸림 결합 영역(15)으로 침입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횡벽부(13)와 걸림 결합 소자(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단부에서 연결되어 있기는 하지만, 상단부에서는 작은 간격을 두고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횡벽부(13)와 걸림 결합 소자(12)가 상단부에 있어서 이격되어 있어도, 그 이격되어 있는 간격은 매우 작기 때문에, 쿠션체의 발포성 수지 재료가 횡벽부(13)와 걸림 결합 소자(12)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걸림 결합 영역(15)으로 침입하는 일은 없다.
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지느러미편부(14)는, 기재부(11)의 좌우측 에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설편상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고, 좌측의 지느러미편부(14)와 우측의 지느러미편부(14)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설치 피치를 갖고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좌우의 지느러미편부(14)는, 쿠션체의 발포 성형을 행하였을 때 그 쿠션체의 내부에 매설되는 부분이며, 쿠션체에 대한 성형면 파스너(1)의 고착 강도를 높이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는,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제조 장치(40)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이 제조 장치(40)는, 1차 성형 공정을 행하는 성형 장치(41)와, 1차 성형 공정에 의해 성형된 1차 성형체(10)를 가열하여 압박하는 2차 성형 공정을 행하는 가열 압박 장치(45)를 갖는다.
본 실시예 1의 성형 장치(41)는, 일방향(도면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 회전하는 다이 휠(42)과, 다이 휠(42)의 둘레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용융된 합성 수지 재료를 연속해서 토출하는 압출 노즐(43)과, 압출 노즐(43)보다 다이 휠(42)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배치되는 픽업 롤러(44)를 갖는다.
성형 장치(41)의 다이 휠(42)의 둘레면에는, 후술하는 1차 성형체(10)의 1차 분할 종벽부(32) 및 연결 벽부(23)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용 캐비티나, 상술한 걸림 결합 소자(12) 및 횡벽부(13)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용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출 노즐(43)과 다이 휠(42)의 사이의 간격은, 성형하는 기재부(11)의 두께 치수에 대응하는 크기로 조정되어 있다.
또한, 다이 휠(42)은, 그 둘레면에 성형되는 1차 성형체(10)를 냉각하기 위해, 냉각액을 다이 휠(42)의 내부에 유통시키고 있다. 또한, 다이 휠(42)의 하부에는, 상기 다이 휠(42)의 하반부를 침지시키도록 도시하지 않은 냉각액조가 배치되어 있다.
압출 노즐(43)에는, 자성 입자가 혼련되어 있지 않은 용융 상태의 합성 수지 재료만을 유통시키는 제1 유로(43a)와, 용융 상태의 합성 수지 재료에 자성 입자가 혼련된 것을 유통시키는 제2 유로(43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압출 노즐(43)의 압출면(43c)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융 상태의 합성 수지 재료만을 토출하는 3개의 제1 압출구(43d)와, 자성 입자가 혼련된 용융 상태의 합성 수지 재료를 토출하는 2개의 제2 압출구(43e)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3개의 제1 압출구(43d)는 압출 노즐(43)의 제1 유로(43a)에 연통되고, 2개의 제2 압출구(43e)는 압출 노즐(43)의 제2 유로(43b)에 연통된다. 또한, 3개의 제1 압출구(43d) 중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2개의 제1 압출구(43d)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배치되는 제1 압출구(43d)는, 좌우의 제1 압출구(43d)보다 큰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자성 입자가 혼련된 합성 수지 재료를 토출하는 2개의 제2 압출구(43e)는, 성형되는 1차 성형체(10)의 후술하는 1차 수지 침입 방지 벽부(30)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3개의 제1 압출구(43d)의 상방이며, 또한 중앙의 제1 압출구(43d)와 좌우의 제1 압출구(43d)의 사이의 위치에 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압출구(43d) 및 제2 압출구(43e)의 위치, 형상 및 치수 등은,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3개의 제1 압출구(43d)를 서로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크기로 형성해도 된다.
본 실시예 1의 가열 압박 장치(45)는, 픽업 롤러(44)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상하 한 쌍의 압박 롤러(캘린더 롤러)(45a, 45b)를 갖고 있으며, 상측 압박 롤러(45a)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가열원이 마련되어 있다. 상측 압박 롤러(45a)와 하측 압박 롤러(45b)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측 압박 롤러(45a) 및 하측 압박 롤러(45b) 사이의 간격은, 도시하지 않은 높이 조정 수단에 의해 조정 가능하며, 제조하는 성형면 파스너(1)의 분할 종벽부(22)의 높이 치수에 대응하여 조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측 압박 롤러(45a) 및/또는 하측 압박 롤러(45b) 대신에, 도시하지 않은 상측 벨트 기구 및/또는 하측 벨트 기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측 벨트 기구 및 하측 벨트 기구는, 각각 무단 벨트와, 그 무단 벨트가 감아 걸려짐과 함께, 무단 벨트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좌우 한 쌍의 회전 롤러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성형 장치(41) 및 가열 압박 장치(45)를 갖는 제조 장치(40)를 사용하여 성형면 파스너(1)의 제조를 행하는 경우, 우선, 성형 장치(41)에 의해 1차 성형체(10)를 성형하는 1차 성형 공정을 행한다.
이 1차 성형 공정에서는, 압출 노즐(43)의 3개의 제1 압출구(43d)로부터, 용융된 합성 수지 재료를 다이 휠(42)의 둘레면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압출함과 함께, 2개의 제2 압출구(43e)로부터, 용융된 합성 수지 재료에 자성 입자가 소정의 비율(예를 들어 50wt%의 비율)로 혼련된 재료를 다이 휠(42)의 둘레면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압출한다.
이와 같이 압출 노즐(43)로부터 합성 수지 재료와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합성 수지 재료의 2종류의 용융 재료를 압박함으로써, 다이 휠(42)은 일방향으로 구동 회전하고 있으므로, 다이 휠(42)의 회전에 수반하여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1차 성형체(10)가 다이 휠(42)의 둘레면 상에 연속적으로 성형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 1의 성형 장치(41)에서 성형되는 1차 성형체(10)(예비 성형체라고도 함)는, 박판상의 기재부(11)와, 기재부(11)의 좌우측 에지부의 상면에 기립 설치되는 좌우의 1차 수지 침입 방지 벽부(30)와, 좌우의 1차 수지 침입 방지 벽부(3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2) 및 복수의 횡벽부(13)를 갖는다. 이 경우, 1차 성형체(10)의 기재부(11), 걸림 결합 소자(12) 및 횡벽부(13)는, 그대로 성형면 파스너(1)의 기재부(11), 걸림 결합 소자(12) 및 횡벽부(13)로 된다.
1차 성형체(10)에 형성되는 좌우의 1차 수지 침입 방지 벽부(30)는, 후술하는 2차 성형 공정에서 압박 성형됨으로써, 성형면 파스너(1)의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로서 형성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 1의 1차 수지 침입 방지 벽부(30)는, 복수의 1차 분할 종벽부(32)를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하는 2열의 1차 종벽열(31)(즉, 1차 제1 종벽열(31a) 및 1차 제2 종벽열(31b))과, 좌우 방향에 인접하는 1차 분할 종벽부(3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벽부(23)와, 1차 제2 종벽열(31b)의 1차 분할 종벽부(32)에 설치되는 보강부(24)를 각각 갖는다. 이 경우, 1차 수지 침입 방지 벽부(30)의 연결 벽부(23) 및 보강부(24)는, 그대로 성형면 파스너(1)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있어서의 연결 벽부(23) 및 보강부(24)로 된다.
1차 성형체(10)의 1차 종벽열(31)을 형성하는 1차 분할 종벽부(32)는, 후단의 가열 압박 장치(45)에서 압박 성형됨으로써, 성형면 파스너(1)의 분할 종벽부(22)로 되는 부분이며, 이 1차 분할 종벽부(32)에는, 성형면 파스너(1)의 분할 종벽부(22)가 구비하는 정상 단부(22b)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1차 분할 종벽부(32)는, 좌우 방향에서 보았을 때 사다리꼴의 형상을 나타낸다. 또한, 각 1차 분할 종벽부(32)에 있어서의 기재부(11)로부터의 높이 치수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벽부(23)에 있어서의 기재부(11)로부터의 높이 치수보다 크게, 또한 2차 성형 공정이 행해진 성형면 파스너(1)의 분할 종벽부(22)에 있어서의 기재부(11)로부터의 높이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1차 분할 종벽부(32) 및 연결 벽부(23)에는, 자성 입자가 함유됨과 함께 그 함유 농도를 하방을 향하여 감소시키는 농도 경사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농도 경사부(50)는, 자성 입자를 일정하게 가장 높은 농도로 함유하는 고농도부(51)와, 고농도부(51)로부터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를 하방을 향하여 서서히 감소시키는 하방 경사부(52)를 갖는다. 이 경우, 농도 경사부(50)의 고농도부(51)는, 1차 분할 종벽부(32)의 상단부 및 연결 벽부(23)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하방 경사부(52)는, 1차 분할 종벽부(32) 및 연결 벽부(23)에 있어서의 고농도부(51)의 하방에, 고농도부(51)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1차 수지 침입 방지 벽부(30)를 갖는 1차 성형체(10)는, 성형 장치(41)의 압출 노즐(43)로부터 합성 수지 재료 등이 다이 휠(42)의 둘레면으로 압출됨으로써 연속적으로 성형된다. 이 경우, 압출 노즐(43)로부터 압출된 2종류의 용융된 합성 수지 재료는, 다이 휠(42)의 외주면에 담지되면서 반회전함으로써 냉각되어 경화된다.
이때, 성형 장치(41)의 압출 노즐(43)과 다이 휠(42)의 사이에서, 1차 성형체(10)의 기재부(11)가 성형됨과 함께, 다이 휠(42)에 형성한 각 성형용 캐비티에 의해, 1차 성형체(10)의 1차 수지 침입 방지 벽부(30), 걸림 결합 소자(12) 및 횡벽부(13)가 기재부(11) 상에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그 후, 다이 휠(42)의 외주면에서 냉각된 1차 성형체(10)는, 픽업 롤러(44)에 의해 다이 휠(42)로부터 연속적으로 떼어내어진다. 이때, 본 실시예 1의 1차 성형체(10)에서는, 1차 수지 침입 방지 벽부(30)의 연결 벽부(23)가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1차 수지 침입 방지 벽부(30)에 자성 재료가 함유되어 있어도, 1차 성형체(10)의 유연성이 높여져, 1차 수지 침입 방지 벽부(30)가 상하 방향으로 구부러지기 쉽다. 이에 의해, 1차 성형체(10)를 다이 휠(42)로부터 떼어내기 쉽게 하여, 1차 성형체(10)의 떼어냄 시에 발생하는 저항(1차 성형체(10)에 부하되는 힘)을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성형체(10)의 떼어냄 시에 있어서의 저항이 큰 경우, 1차 성형체(10)에, 특히 1차 성형체(10)에 있어서의 합성 수지만의 부분과 자성 입자가 함유되어 있는 부분의 사이에 균열이나 금이 발생하거나, 1차 성형체(10)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떼어냄 시의 저항을 작게 할 수 있음으로써, 1차 성형체(10)에 상술한 바와 같은 균열이나 파손 등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하여, 성형면 파스너(1)의 생산 효율이나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경우, 1차 수지 침입 방지 벽부(30)의 각 1차 분할 종벽부(32)와 각 연결 벽부(23)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가 하방을 향하여 서서히 감소하는 하방 경사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부분과 자성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부분(자성 입자의 비함유 부분)의 밀착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1차 성형체(10)를 다이 휠(42)로부터 떼어낼 때, 1차 성형체(10)에 상술한 바와 같은 균열이나 금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다이 휠(42)로부터 떼어내진 1차 성형체(10)는, 2차 성형 공정을 행하는 가열 압박 장치(45)를 향하여 반송되고, 가열 압박 장치(45)의 상측 압박 롤러(45a)와 하측 압박 롤러(45b)의 사이로 도입된다. 이 2차 성형 공정에서는, 1차 성형체(10)가 상측 압박 롤러(45a) 및 하측 압박 롤러(45b) 사이를 통과할 때, 1차 성형체(10)의 1차 분할 종벽부(32)의 상단부가 상측 압박 롤러(45a)에 의해 가열되어 연화된다. 또한, 1차 성형체(10)의 기재부(11)가 하측 압박 롤러(45b)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면서, 1차 성형체(10)의 1차 분할 종벽부(32)가 상측 압박 롤러(45a)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압박된다. 그 결과, 1차 분할 종벽부(32)의 상단부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넓어지도록 압궤된다.
이에 의해, 1차 분할 종벽부(32)의 상단부가 열변형되어 전후 좌우로 돌출된다. 또한, 1차 분할 종벽부(32)의 상면(정상 단부면)이 평탄화됨과 동시에, 그 높이 치수가, 연결 벽부(23), 횡벽부(13) 및 걸림 결합 소자(12)의 높이 치수에 맞추어진다. 이에 의해, 도 1 등에 도시한 기둥부(22a) 상에 정상 단부(22b)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분할 종벽부(22)가 성형된다.
또한, 1차 분할 종벽부(32)에 있어서, 고농도부(51)에서 형성되는 상단부를 압궤하므로, 보다 많은 자성 입자를 분할 종벽부(22)의 정상 단부(22b)에 보유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정상 단부(22b)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면적이 크게 확보된 상면(정상 단부면) 근방에, 다량의 자성 입자를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2차 성형 공정이, 1차 성형 공정에서 얻어진 1차 성형체(10)에 대하여 행해짐으로써, 도 1 등에 도시한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가 제조된다. 또한, 그 후, 제조된 성형면 파스너(1)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절단부를 향하여 반송되고, 상기 절단부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회수되거나, 혹은 성형면 파스너(1)가 긴 상태 그대로 회수 롤러 등에 롤상으로 권취되어 회수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성형면 파스너(1)의 제조에 사용되는 장치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 1에서는, 압출 노즐(43)로부터 용융된 합성 수지 재료 등을 회전하는 하나의 다이 휠(42)의 둘레면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압출함으로써, 1차 성형체(10)의 성형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한쪽의 둘레면에 상기 다이 휠(42)과 마찬가지의 성형용 캐비티가 형성된 상하 한 쌍의 성형 롤러를 사용하여, 당해 상하 한 쌍의 성형 롤러간을 향하여 압출 노즐로부터 용융된 합성 수지 재료 등을 연속적으로 압출함으로써, 1차 성형체(10)의 성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제조된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에서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자성 입자가 혼입되어, 고농도부(51) 및 하방 경사부(52)를 구비하는 농도 경사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성형면 파스너(1)의 자성 입자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기재부(11) 등은, 합성 수지에 혼입된 안료에 의해 원하는 색(예를 들어 녹색)을 나타낸다. 한편, 자성 입자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고농도부(51)는 흑색(또는 그레이색)을 나타내고, 하방 경사부(52)는, 흑색으로부터 원하는 색(녹색)으로 서서히 변색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를 상방에서 본 경우(평면으로 본 경우)에 있어서는, 원하는 착색된 색(녹색)으로,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를 따라 흑색의 2개의 선이 들어간 외관(미관)이 얻어진다. 그에 비해, 성형면 파스너(1)를 이면측의 하방에서 본 경우(저면으로 본 경우)에 있어서는, 기재부가 나타내는 원하는 착색된 색(녹색)만의 외관(미관)이 얻어진다. 이와 같이 성형면 파스너(1)의 표면측에 있어서의 색채와 이면측에 있어서의 색채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성형면 파스너(1)의 표면과 이면을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조된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좌석용 시트 등의 도시하지 않은 쿠션체(발포체)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 경우, 성형면 파스너(1)는, 쿠션체의 발포 성형을 행할 때, 그 쿠션체의 표면에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2)가 노출되도록 하여 일체화된다.
이러한 성형면 파스너(1)가 일체화되는 쿠션체를 제조하는 경우, 우선, 긴 성형면 파스너(1)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고, 그 절단한 성형면 파스너(1)를,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쿠션체의 금형(46)에 형성된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의 캐비티면(파스너 설치면)(47)에 적재한다.
이때, 금형(46)의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의 내측에는, 성형면 파스너(1)를 적재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네오디뮴 자석 등의 자석(48)이 매설되어 있다. 성형면 파스너(1)를, 걸림 결합 소자(12)가 금형(46)의 캐비티면(47)에 대향하도록 적재하였을 때, 성형면 파스너(1)가 금형(46)의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의 캐비티면(47) 상에 자기적으로 흡착되어 고정된다.
특히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에서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상단부(즉, 분할 종벽부(22)의 상단부 및 연결 벽부(23)의 상단부)가, 성형면 파스너(1)의 자석(48)에 가장 가까운 상측에 배치됨과 함께, 이러한 상단부에 자성 입자가 일정한 고농도로 분산되는 고농도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금형(46)의 자석(48)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1)를 보다 강력하게 흡인할 수 있고,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의 캐비티면(47)에 성형면 파스너(1)를 확실히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면측의 색채와 이면측의 색채를 상이하게 하여 표면과 이면의 구별이 용이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성형면 파스너(1)의 자성 입자와 금형(46)의 자석(48)의 사이의 자기 흡인력을 이용함으로써, 금형(46)의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에 대한 성형면 파스너(1)의 위치 및 방향을, 자석(48)의 위치 및 방향에 대응하여 고정밀도로 자동적으로 맞추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를 금형(46)의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에 설치하는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는, 성형면 파스너(1)를 그 표리면의 방향을 틀리지 않고, 금형(46)의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성형면 파스너(1)의 설치 작업을 단시간에 정확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는, 좌우 방향으로부터의 측면으로 보아 제1 종벽열(21a)의 분할 종벽부(22)와 제2 종벽열(21b)의 분할 종벽부(22)가 중첩되는 부분(26)의 면적이 작고, 또한 제1 종벽열(21a) 및 제2 종벽열(21b)의 분할 종벽부(2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벽부(23)가 탄성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상하 방향의 유연성이 우수하다. 특히 본 실시예 1에서는, 연결 벽부(23)가, 좌우 방향을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연성을 저하시키는 자성 입자가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함유되어 있어도, 성형면 파스너(1)를 상하 방향으로 용이하게 만곡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금형(46)의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에 있어서의 캐비티면(47)이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성형면 파스너(1)를, 그 금형(46)의 캐비티면(47)의 만곡 형상을 따라 적절하게 만곡시켜, 양자 간에 큰 간극을 발생시키지 않고 당해 캐비티면(47)에 설치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 1에서는, 금형(46)의 캐비티면(47)이 다소 큰 곡률을 갖는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그 만곡된 캐비티면(47)에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를 간극 없이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를, 그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상면과, 횡벽부(13) 및 걸림 결합 소자(12)의 상면 또는 상단부를, 성형면 파스너(1)의 길이 방향의 전체에 걸쳐 금형(46)의 캐비티면(47)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금형(46)의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에 안정되게 흡착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성형면 파스너(1)를 금형(46)의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에 상술한 바와 같이 흡착 고정한 후, 그 금형(46)의 캐비티 공간 내에 쿠션체의 발포성 수지 재료를 주입한다. 이에 의해, 발포성 수지 재료가 발포하면서 성형면 파스너(1)의 기재부(11)의 하면(배면)측,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외측, 및 성형면 파스너(1)의 전후 단부 에지로 유동하면서 금형(46)의 캐비티 공간 전체에 널리 퍼져,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쿠션체(발포체)(49)의 발포 성형이 행해진다.
이때, 성형면 파스너(1)는 금형(46)의 자석(48)의 흡인 작용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발포성 수지 재료의 유동 및 발포압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1)의 위치가 움직이는 일은 없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에서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사행상으로 하나로 연속되게 형성되는 분할 종벽부(22) 및 연결 벽부(23)가, 금형(46)의 캐비티면(47)에 밀착되어 있음과 함께, 연결 벽부(23)가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폭 치수가 크게 확보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금형(46)의 캐비티 공간 내를 유동하는 발포성 수지 재료는, 성형면 파스너(1)에 대하여, 예를 들어 외측의 제2 종벽열(21b)의 분할 종벽부(22) 사이로부터 내측의 제1 종벽열(21a)의 분할 종벽부(22)의 위치까지는 억지로 들어갈 수 있기는 하지만, 폭 치수가 큰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를 넘어 폭 방향으로부터 걸림 결합 영역(15) 내로 침입하는 것이 방해된다. 또한, 이 경우, 발포성 수지 재료가 성형면 파스너(1)와 금형의 캐비티면(47)의 경계 부분에 강하게 분사되었다고 해도, 성형면 파스너(1)의 두꺼운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의해 발포성 수지 재료의 침입을 안정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쿠션체(49)의 발포성 수지 재료가, 예를 들어 성형면 파스너(1)의 전후 방향의 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걸림 결합 영역(15)을 향하여 유동하는 경우, 성형면 파스너(1)의 가장 전단측 또는 후단측에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횡벽부(13) 및 걸림 결합 소자(12)가, 금형(46)의 캐비티면(47)에 밀착된 상태에서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 사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발포성 수지 재료는, 성형면 파스너(1)의 전단 에지 및 후단 에지로부터, 횡벽부(13) 및 걸림 결합 소자(12)가 최초로 배치되어 있는 위치까지는 억지로 들어갈 수 있기는 하지만, 이들 횡벽부(13) 및 걸림 결합 소자(12)를 넘어 걸림 결합 영역(15)으로 침입하는 것이 방해된다.
즉,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에서는, 쿠션체(49)의 발포성 수지 재료가 성형면 파스너(1)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부터 걸림 결합 영역(15)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걸림 결합 소자(12)가 쿠션체(49)의 발포 수지에 의해 매설되는 것을 안정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발포성 수지 재료가 제1 종벽열(21a) 및 제2 종벽열(21b)과 연결 벽부(23)에 면 접촉한 상태에서 경화됨으로써, 쿠션체(49)에 대한 성형면 파스너(1)의 고착 강도(접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본 실시예 1의 연결 벽부(23)는 그 폭 치수를 크게 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성형면 파스너(1)와 쿠션체(49)의 접촉 면적을 보다 크게 확보하여, 성형면 파스너(1)를 보다 견고하게 쿠션체(49)에 고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발포성 수지 재료가 발포 경화하여 발포 성형이 종료됨으로써, 성형면 파스너(1)가 필요한 개소에 고정된 쿠션체가 제조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쿠션체는, 성형면 파스너(1)의 걸림 결합 영역(15)에 발포체가 침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걸림 결합 소자(12)가 본래 갖는 걸림 결합력을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얻어진 쿠션체의 표면에 표피재를 씌워, 표피재의 이면에 설치한 루프상의 걸림 결합 소자를 성형면 파스너(1)의 훅상 걸림 결합 소자(12)에 용이하게 걸림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표피재를 쿠션체로부터 부상시키지 않고, 쿠션체의 표면의 만곡면을 따라 밀착시켜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는 상하 방향의 유연성이 우수하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표피재가 성형면 파스너(1)로부터 이격하도록 인장된 경우, 성형면 파스너(1)가, 표피재의 루프상 걸림 결합 소자와 걸림 결합한 상태인 채로, 쿠션체와 함께 그 인장된 방향으로 만곡되기 쉬워지고, 표피재의 루프상 걸림 결합 소자가 성형면 파스너(1)의 훅상 걸림 결합 소자(12)로부터 벗어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결과적으로, 성형면 파스너(1)에 있어서의 표피재의 루프상 걸림 결합 소자에 대한 걸림 결합 강도가 높아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성형면 파스너(1)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함유시키는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나 함유 범위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 1에 있어서,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고농도부(51)의 함유 농도는 50wt%로 설정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그 함유 농도를 예를 들어 40wt% 이상 80wt% 이하의 범위의 임의의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형성되는 고농도부(51) 및 하방 경사부(52)의 형성 범위에 대해서도 임의의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하는 실시예 1의 변형예(제1 변형예)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1a)나, 도 15에 도시하는 실시예 1의 다른 변형예(제2 변형예)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1b)와 같이, 고농도부(51) 및 하방 경사부(52)를 구비하는 농도 경사부(50a, 50b)를,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나 기재부(11)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도 14에 도시하는 제1 변형예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1a)는, 기재부(11)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 등의 각 부위가,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와 동일한 형상 및 치수를 갖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는, 자성 입자를 일정하게 가장 높은 농도로 함유하는 고농도부(51)와,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를 하방을 향하여 서서히 감소시키는 하방 경사부(52)를 갖는 농도 경사부(50a)가 마련되어 있다. 이 농도 경사부(50a)의 고농도부(51)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있어서의 분할 종벽부(22) 및 연결 벽부(23)의 상단 위치로부터, 분할 종벽부(22) 및 연결 벽부(23)에 있어서의 기재부(11)로부터의 높이 치수의 대략 절반의 높이 위치까지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를 하방을 향하여 감소시키는 하방 경사부(52)는, 함유 농도를 서서히 변화시키는 농도 변화부로서, 고농도부(51)의 하단(즉, 분할 종벽부(22) 및 연결 벽부(23)의 높이 치수의 절반의 높이 위치)으로부터, 기재부(11)의 방지벽 지지부(11a)의 내부까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기재부의 방지벽 지지부(11a)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밑에 배치되는 기재부의 부분이며, 이 방지벽 지지부(11a)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폭 치수와 동일한 폭 치수를 갖고, 또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제1 변형예에 있어서, 하방 경사부(52)는, 기재부(11)의 하면까지는 연장되어 있지 않고, 기재부(11)의 방지벽 지지부(11a)에 있어서의 하반부는, 자성 입자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변형예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1a)라도, 하방 경사부(52)가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와 기재부(11)의 방지벽 지지부(11a)에 걸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부분과 자성 입자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비함유 부분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15에 도시하는 제2 변형예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1b)에서는, 자성 입자를 일정하게 가장 높은 농도로 함유하는 고농도부(51)가,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있어서의 분할 종벽부(22) 및 연결 벽부(23)의 상단 위치로부터 하단 위치까지의 분할 종벽부(22) 및 연결 벽부(23)의 전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변형예의 성형면 파스너(1b)에 있어서, 기재부(11)는, 실시예 1의 경우보다 상하 방향의 높이 치수를 크게 하여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와 기재부(11)에는, 자성 입자를 일정하게 가장 높은 농도로 함유하는 고농도부(51)와,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를 하방을 향하여 서서히 감소시키는 하방 경사부(52)와,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를 폭 방향을 따라 감소시키는 폭 방향 경사부(53)를 갖는 농도 경사부(50b)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농도 경사부(50b)의 하방 경사부(52)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기재부(11)의 방지벽 지지부(11a)에 있어서의 상면 위치로부터 하면 위치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재부(11)의 방지벽 지지부(11a)에는, 자성 입자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부분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한, 기재부(11)에 있어서의 방지벽 지지부(11a)의 좌우 양측의 부분에는,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를 폭 방향을 따라 감소시키는 폭 방향 경사부(5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변형예에서는, 농도 경사부(50b)의 하방 경사부(52)와 폭 방향 경사부(53)에 의해,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를 서서히 감소시키도록 변화시키는 농도 변화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변형예와 같이, 하방 경사부(52)와 폭 방향 경사부(53)를 구비하는 농도 변화부(54)가 고농도부(51)로부터 연속되도록 기재부(11)에 형성됨으로써도, 자성 입자의 함유 부분과 비함유 부분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및 제2 변형예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1a, 1b)는, 도 8에 도시한 제조 장치(40)에 있어서, 압출 노즐(43)의 압출면(43c)에 형성되는 제1 압출구(43d) 및 제2 압출구(43e)의 형상, 크기 및 형성 위치, 압출 노즐(43)로부터의 압출력, 그리고 수지 재료의 점성 등의 특성을 변경하는 것 등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2
도 16은, 본 실시예 2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의 기재부 및 수지 침입 방지 벽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은, 동 성형면 파스너의 기재부 및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횡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의 (a), (b) 및 (c)는, 동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의 제1 종벽열, 연결 벽부 및 제2 종벽열에 있어서의 폭 방향에 직교하는 종단면을 각각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 2의 성형면 파스너(2)나, 후술하는 실시예 3의 성형면 파스너(3)에서는, 전술한 실시예 1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1)에 비하여,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함유시키는 자성 입자의 농도 분포를 상이하게 하고 있기는 하지만, 기재부(11)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 등의 각 부위의 형상 및 치수는, 전술한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와 마찬가지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 2 및 후술하는 실시예 3에서는, 성형면 파스너(2, 3)에 함유시키는 자성 입자의 농도 분포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기로 하고, 전술한 실시예 1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및 치수를 갖는 부분 또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냄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는, 자성 입자를 가장 높은 일정한 농도로 함유하는 고농도부(55)와,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를 서서히 점감시키도록 변화시키는 농도 변화부(56)를 구비하는 농도 경사부(50c)가 마련되어 있다. 이 농도 경사부(50c)의 고농도부(55)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 2의 고농도부(55)에 있어서의 합성 수지에 대한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함유 비율)는, 전술한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50wt%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 2의 농도 경사부(50c)에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후술하는 바와 같은 내향 경사부와 길이 방향 경사부를 갖는 농도 변화부(56)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농도 경사부(50c)에 있어서, 내측의 제1 종벽열(21a)의 분할 종벽부(22), 연결 벽부(23) 및 외측의 제2 종벽열(21b)의 분할 종벽부(22)의 각각으로 형성되는 고농도부(55)의 범위가 각각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 2에서는, 외측의 제2 종벽열(21b)의 분할 종벽부(22)에 있어서의 고농도부(55)가, 내측의 제1 종벽열(21a)의 분할 종벽부(22)에 있어서의 고농도부(55)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외측의 제2 종벽열(21b)의 분할 종벽부(22)에 있어서의 고농도부(55)는, 분할 종벽부(22)의 상면 전체에 형성되고, 또한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분할 종벽부(22)의 일단부(구체적으로는 성형면 파스너(2)에 있어서의 기계 방향의 하류측의 단부이며, 본 실시예 2에 있어서는 후단부)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외벽면측의 단부가 보다 크게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연결 벽부(23)에 있어서, 고농도부(55)는, 연결 벽부(23)의 상면 전체에 형성되고, 또한 좌우 방향에 있어서, 외측의 제2 종벽열(21b)의 분할 종벽부(22)에 연결되는 외측 단부가 보다 크게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연결 벽부(23)에 있어서도, 전후 방향에 대해서는, 고농도부(55)가, 외측의 제2 종벽열(21b)의 분할 종벽부(22)와 마찬가지로, 기계 방향의 하류측의 단부로 되는 전후 방향의 일단부(후단부)가 보다 크게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연결 벽부(23) 자체의 전후 방향의 길이 치수가 작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전후 방향 중 일방향에 대한 경사가 명확하게 표시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 2의 연결 벽부(23)는, 도 1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교적 큰 고농도부(55)가 형성되는 고농도 연결 벽부(23a)와, 고농도 연결 벽부(23a)보다 작은 고농도부(55)가 형성되는 저농도 연결 벽부(23b)가, 전후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내측의 제1 종벽열(21a)의 분할 종벽부(22)에 있어서의 고농도부(55)는, 제2 종벽열(21b)과 같이 분할 종벽부(22)의 상면 전체에 형성되지는 않고, 전후 방향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전후 방향의 전단부에는 농도 변화부(5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고농도부(55)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상단부(특히 상면)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에 마련되어 있다면, 그 형성 범위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 2에서는, 고농도부(55)를, 내측의 제1 종벽열(21a)의 분할 종벽부(22)의 상면 전체에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반대로, 고농도부(55)를, 내측의 제1 종벽열(21a)의 분할 종벽부(22)에 마련하지 않고, 외측의 제2 종벽열(21b)의 분할 종벽부(22)와 연결 벽부(23)에만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 2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는,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를 변화시키는 농도 변화부(56)를 갖는다. 이 농도 변화부(56)는,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가 하방(화살표(56a))을 향하여 점감하는 하방 경사부와,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가 좌우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화살표(56b)) 점감하는 내향 경사부와,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가 전후 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의 일단부(구체적으로는 성형면 파스너(2)에 있어서의 기계 방향의 상류측 단부)를 향하여(화살표(56c)) 점감하는 길이 방향 경사부를 갖는다.
즉, 본 실시예 2의 농도 변화부(56)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형성한 고농도부(55)로부터, 상하 방향의 하방(화살표(56a))과, 좌우 방향의 내향 방향(화살표(56b))과,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기계 방향의 상류측 방향으로 되는 전방(화살표(56c))의 3개의 방향을 향하여,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를 서서히 감소시키도록 변화시키고 있다.
이 경우, 농도 변화부(56)는, 고농도부(55)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농도 변화부(56)는, 기재부(11)의 상면을 넘어, 기재부(11)의 일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기재부(11)의 하면까지는 연장되어 있지 않으며, 기재부(11)의 하단부는, 자성 입자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농도 변화부(56)는, 전술한 실시예 1의 하방 경사부(5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에 관하여,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있어서의 기재부(11)로부터의 높이 치수의 10% 이상의 영역,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의 영역,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의 영역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 2의 농도 변화부(56)는, 예를 들어 전술한 제1 변형예(도 14를 참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뿐만 아니라, 기재부(11)에 걸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전술한 제2 변형예(도 1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농도부(55)가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전체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본 실시예 2의 농도 변화부(56)를 기재부(11)에만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농도 경사부(50c)가 형성된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 2의 성형면 파스너(2)는, 도 8에 도시한 제조 장치(40)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압출구의 형상, 크기 및 형성 위치를 변경하거나, 용융된 합성 수지 재료를 압출하는 압출력을 변경하는 것 등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 2의 성형면 파스너(2)에서는, 상하 방향(높이 방향: 화살표(56a)), 좌우 방향(폭 방향: 화살표(56b)) 및 전후 방향(길이 방향: 화살표(56c))의 3개의 방향을 향하여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를 점감시키는 농도 변화부(56)가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마련되어 있다. 그 결과, 성형면 파스너(2)에 있어서의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부분과 자성 입자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비함유 부분의 밀착성을,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의 경우보다 더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성형면 파스너(2)의 제조 시 등에, 합성 수지만의 부분과 자성 입자가 함유되어 있는 부분의 사이에 균열이나 파손 등을 한층 더 발생시키기 어렵게 하여, 성형면 파스너(2)의 생산 효율이나 수율의 한층 더한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고농도부(55) 및 농도 변화부(56)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 2의 농도 경사부(50c)가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예를 들어 농도 변화부(56)의 형성 영역에 고농도부(55)와 동일한 일정한 농도로 자성 입자가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자성 입자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에 의해, 제조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자성 입자를 함유함에 따른 합성 수지의 유연성의 저하를 억제하여, 성형면 파스너(2)의 유연성을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2의 농도 변화부(56)에서는, 화살표(56b)로 나타내는 내향 경사부가 마련되어, 외측의 제2 종벽열(21b)에 있어서의 자성 입자의 함유량이, 내측의 제1 종벽열(21a)에 있어서의 자성 입자의 함유량보다 커진다. 그 결과,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금형(46)의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의 캐비티면(파스너 설치면)(47)에 성형면 파스너(2)를 설치하여 밀착시킬 때(도 12를 참조), 금형(46)에 설치한 자석(48)에 의해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외측의 제2 종벽열(21b)을, 내측의 제1 종벽열(21a)보다 강하게 흡인할 수 있다.
그에 의해, 금형(46)의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의 캐비티면(47)이, 상하 방향으로 크게 만곡되어 있는 경우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비틀어지는 복잡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등에서도, 성형면 파스너(2)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가 보다 안정되게 금형(46)의 캐비티면(47)에 밀착된다. 그 결과,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발포성 수지 재료가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를 넘어 걸림 결합 영역(15)으로 침입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금형(46)의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가 수작업으로 가공되어,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의 캐비티면(파스너 설치면)(47)이, 성형면 파스너(2)의 폭 방향으로 되는 횡방향을 따라 약간 볼록상으로 만곡되는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본 실시예 2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농도 경사부(50c)의 내향 경사부가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그 금형(46)의 만곡상의 캐비티면(47)에 대하여, 성형면 파스너(2)의 밀착성을 한층 더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 2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상술한 바와 같은 농도 경사부(50c)의 내향 경사부가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파스너의 제조 공정에서 성형면 파스너(2)가 냉각될 때,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가 커질수록 열수축량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냉각 후의 성형면 파스너(2)는, 냉각 시의 열수축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2)의 전체가, 좌우 방향에 대하여 기재부(11)의 폭 방향 중앙부가 하방으로 팽출되도록 약간 만곡된 형상을 갖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냉각 시의 열수축량의 차이에 의해 약간 만곡된 본 실시예 2의 성형면 파스너(2)는, 금형(46)의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에 있어서의 상술한 바와 같이 볼록상으로 만곡된 캐비티면(47)에 대하여, 보다 높은 밀착성으로, 보다 용이하게 흡착 고정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2의 농도 변화부(56)에서는, 화살표(56c)로 나타내는 전후 방향을 따라 점감하는 길이 방향 경사부가 각 분할 종벽부(22)에 형성되어 있다(도 16 및 도 18을 참조). 그 결과, 예를 들어 각 분할 종벽부(22)에 길이 방향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분할 종벽부(22) 내의 합성 수지의 비율을 높일 수 있다. 이 때문에, 파스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성형면 파스너(2)의 열수축 시에 각 분할 종벽부(22)를 보다 크게 길이 방향으로 열수축시킬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상술한 열수축 시에 있어서의 기재부(11)와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사이의 열수축차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냉각 후의 성형면 파스너(2)가, 예를 들어 전후 방향에 대하여 기재부(11)가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보다 크게 줄어 상방으로 휘어 올라가도록 만곡되는 변형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하여, 전후 방향으로 곧게 연장되는 성형면 파스너(2)가 얻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본 실시예 2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있어서, 농도 경사부(50c)의 농도 변화부(56)는,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를, 상술한 바와 같이, 화살표(56a)로 나타내는 상하 방향의 하방과, 화살표(56b)로 나타내는 좌우 방향의 내향 방향과, 화살표(56c)로 나타내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기계 방향의 하류측 방향으로 되는 전방의 3개의 방향을 향하여 점감시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농도 변화부에서 형성하는 농도 경사(농도 변화)를,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의 하방과, 전술한 실시예 2와는 반대인 좌우 방향의 외향 방향과,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기계 방향의 하류측 방향으로 되는 전방의 3개의 방향을 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농도 변화부의 농도 경사를, 상하 방향의 하방과, 좌우 방향의 내향 또는 외향 방향의 2개의 방향이나, 상하 방향의 하방과,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기계 방향의 하류측 방향으로 되는 전방의 2개의 방향을 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좌우 방향의 내향 또는 외향 방향만이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기계 방향의 하류측 방향으로 되는 전방만의 하나의 방향을 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한 제3 변형예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2a)에서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형성되는 농도 경사부(50d)가, 자성 입자를 가장 높은 일정한 농도로 함유하는 고농도부(55)와,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를 서서히 점감시키도록 변화시키는 농도 변화부(57)를 구비한다. 이 제3 변형예의 농도 변화부(57)는,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가 화살표(57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하여 점감하는 하방 경사부, 및 함유 농도가 전후 방향을 따라 점감하는 길이 방향 경사부를 가짐과 함께, 내측의 제1 종벽열(21a)이 외측의 제2 종벽열(21b)보다 많은 자성 입자를 함유하도록,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를 화살표(57b)로 나타내는 좌우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서서히 감소시키는 외향 경사부를 갖는다.
또한, 이 제3 변형예의 농도 변화부(57)는, 전술한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뿐만 아니라, 기재부(11)에 걸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고농도부(55)가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전체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3 변형예의 농도 변화부(57)를 기재부(11)에만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변형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외향 경사부를 갖는 농도 경사부(50d)가 마련되어 있다. 그 결과, 예를 들어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금형(46)의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의 캐비티면(파스너 설치면)(47)에 성형면 파스너(2a)를 설치할 때(도 12를 참조), 성형면 파스너(2a)의 간격이 좁은 좌우의 제1 종벽열(21a)을, 금형(46)의 자석(48)으로 보다 강하게 끌어당길 수 있다.
그에 의해, 이 제3 변형예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2a)는, 성형면 파스너(2a)의 자성 입자와 금형(46)의 자석(48)의 사이의 자기 흡인력에 의해, 금형(46)의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에 대한 성형면 파스너(2a)의 위치 및 방향을, 보다 고정밀도로 또한 원활하게 자동적으로 맞출 수 있다.
또한, 이 제3 변형예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2a)는, 예를 들어 금형(46)에 있어서의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의 폭 치수가 작아도, 그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의 폭 치수가, 성형면 파스너(2a)에 있어서의 좌우의 제1 종벽열(21a)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면, 문제없이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3
도 20은, 본 실시예 3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의 기재부 및 수지 침입 방지 벽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21은, 동 성형면 파스너의 기재부 및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횡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2의 (a), (b) 및 (c)는, 동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의 제1 종벽열, 연결 벽부 및 제2 종벽열에 있어서의 폭 방향에 직교하는 종단면을 각각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성형면 파스너(3)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는, 자성 입자를 일정한 농도로 함유하는 고농도부(55a)의 형성 범위를 하방을 향하여 감소시킴으로써, 농도 경사부(50e)가 마련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 3의 농도 경사부(50e)에서는, 고농도부(55a)의 형성 범위를 하방을 향하여 감소시킴으로써,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를 기재부(11)의 상면과 평행으로 복수의 높이 위치에서 절단한 경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각 절단면을 보았을 때, 단면 전체에 있어서의 자성 입자의 평균 함유 농도를 하방을 향하여 상대적으로 감소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 3의 농도 경사부(50e)는, 전술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농도 경사부(50, 50c)의 경우와 같은 함유 농도를 실제로 감소시키는 농도 변화부를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있어서의 기재부(11)의 상면으로부터의 높이 치수가 작아짐에 따라, 고농도부(55a)의 형성 범위를 좁게 하여, 자성 입자의 평균 함유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 3에 있어서, 고농도부(55a)에 있어서의 합성 수지에 대한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함유 비율)는, 전술한 실시예 1이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고농도부(55)와 마찬가지로, 50wt%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농도부(55a)의 함유 농도를, 예를 들어 40wt% 이상 80wt% 이하의 범위의 임의의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3의 고농도부(55a)는, 내측의 제1 종벽열(21a)의 분할 종벽부(22), 연결 벽부(23) 및 외측의 제2 종벽열(21b)의 분할 종벽부(22)의 각각으로 형성되는 고농도부(55a)의 형성 범위가 각각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 3의 농도 경사부(50e)에서는, 폭 방향에 관하여, 외측의 제2 종벽열(21b)의 분할 종벽부(22)에 있어서의 고농도부(55a)가, 내측의 제1 종벽열(21a)의 분할 종벽부(22)에 있어서의 고농도부(55a)보다,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형성 범위를 하방으로 연장하도록 보다 크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내측의 제1 종벽열(21a)로부터 외측의 제2 종벽열(21b)을 향하여, 고농도부(55a)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형성 범위를, 조금씩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서서히 증대시키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 3의 농도 경사부(50e)에서는, 길이 방향에 관하여, 외측의 제2 종벽열(21b)에 있어서, 각 분할 종벽부(22)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고농도부(55a)가, 당해 분할 종벽부(22)의 전단부보다,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형성 범위를 하방으로 연장하도록 보다 크게 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2 종벽열(21b)에서는, 분할 종벽부(22)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를 향하여, 고농도부(55a)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형성 범위를, 조금씩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서서히 증대시키고 있다.
한편, 내측의 제1 종벽열(21a)의 분할 종벽부(22)에서는, 고농도부(55a)가, 분할 종벽부(22)의 후단부 근처에 형성되어 있고, 분할 종벽부(22)의 전단부에는, 자성 재료가 실질적으로 함유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 실시예 3의 연결 벽부(23)에서는, 도 2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교적 큰 고농도부(55a)가 형성되는 고농도 연결 벽부(23a)와, 고농도 연결 벽부(23a)보다 작은 범위에서 고농도부(55a)가 형성되는 저농도 연결 벽부(23b)가, 전후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 3의 농도 경사부(50e)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농도부(55a)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형성 범위가 폭 방향과 길이 방향에 관하여 변화하고 있다. 그 결과,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를 기재부(11)의 상면에 대하여 평행으로 복수의 높이 위치에서 절단하여 각 절단면에 있어서의 고농도부(55a)를 비교한 경우에, 고농도부(55a)의 형성 범위(면적)가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의 하방을 향하여 감소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각 절단면에 있어서, 자성 입자가 함유되어 있는 부분의 면적으로부터 산출되는 자성 입자의 함유량을, 그 절단면 전체의 면적으로 나눈 함유 농도의 평균값(즉, 평균 함유 농도)을 보았을 때, 본 실시예 3의 농도 경사부(50e)에는, 자성 입자의 평균 함유 농도가, 화살표(58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감소하는 하방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 3의 농도 경사부(50e)는, 고농도부(55a)의 형성 범위를 화살표(58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하여 감소시키는 하방 경사부를 상술한 바와 같이 구비함과 함께, 폭 방향에 관하여, 고농도부(55a)의 형성 범위(즉, 절단면에 있어서의 평균 함유 농도)를 화살표(58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을 향하여 감소시키는 내향 경사부와, 길이 방향에 관하여, 각 분할 종벽부(22)에서 고농도부(55a)의 형성 범위(즉, 절단면에 있어서의 평균 함유 농도)를 화살표(58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 종벽부(22)의 후단부로부터 전단부를 향하여 감소시키는 길이 방향 경사부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 3의 성형면 파스너(3)에서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상술한 바와 같은 하방 경사부, 내향 경사부 및 길이 방향 경사부를 구비하는 농도 경사부(50e)가 형성되어 있다. 즉, 자성 입자가 함유되어 있는 수지와, 자성 입자가 실질적으로 함유되어 있지 않은 수지의 경계면을 기재부(11)의 상면에 대하여 비평행(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 폭 방향의 어느 방향에 있어서도 비평행)으로 함으로써, 성형면 파스너(3)에 있어서의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부분과 자성 입자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비함유 부분의 밀착성이 높여져 있다. 따라서, 성형면 파스너(3)의 제조 시 등에, 합성 수지만의 부분과 자성 입자가 함유되어 있는 부분의 사이에 균열이나 파손 등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하여, 성형면 파스너(3)의 생산 효율이나 수율의 한층 더한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3의 성형면 파스너(3)에서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형성하는 농도 경사부(50e)가, 내향 경사부를 구비하는 대신에, 폭 방향에 관하여 고농도부(55a)의 형성 범위(절단면에 있어서의 평균 함유 농도)를 외측을 향하여 감소시키는 외향 경사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제1 변형예 내지 제3 변형예에 관한 각 성형면 파스너(1, 1a, 1b, 2, 2a, 3)에 있어서,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는, 길이 방향을 따른 2열의 제1 종벽열(21a) 및 제2 종벽열(21b)과, 제1 종벽열(21a) 및 제2 종벽열(21b) 사이의 분할 종벽부(22)를 연결하는 폭 방향을 따른 연결 벽부(23)를 갖고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의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1열의 종벽열을 갖고 있다면, 그 밖의 상이한 형태로 수지 침입 방지 벽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 수지 침입 방지 벽부의 형태의 변형예에 대하여, 각각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에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농도 경사부(50)를 형성한 경우를 예로 들어, 도 23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23에 제4 변형예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4)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60)는, 전술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와 마찬가지의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4 변형예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60)는, 종벽열(61)로서, 내측의 제1 종벽열(61a)과 외측의 제2 종벽열(61b)을 가짐과 함께, 제1 및 제2 종벽열(61a, 61b)의 분할 종벽부(62)를 연결하는 연결 벽부(63)를 갖는다. 또한, 제4 변형예의 제1 종벽열(61a) 및 제2 종벽열(61b)과 연결 벽부(63)는, 전술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제1 종벽열(21a) 및 제2 종벽열(21b)과 연결 벽부(23)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의 형상 및 치수를 구비한다.
한편, 이 제4 변형예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60)에서는, 걸림 결합 소자(12) 및 횡벽부(13)에 대한 제1 종벽열(61a) 및 제2 종벽열(61b)의 분할 종벽부(62)와 연결 벽부(63)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전술한 실시예 1의 경우와 상이하다.
즉, 전술한 실시예 1의 경우, 제1 종벽열(21a) 및 제2 종벽열(21b)의 분할 종벽부(22)는, 걸림 결합 소자(12) 및 횡벽부(1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제1 종벽열(21a)의 분할 종벽부(22)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25)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와 대응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비해, 이 제4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1 종벽열(61a) 및 제2 종벽열(61b)의 분할 종벽부(62)는, 걸림 결합 소자(12) 및 횡벽부(1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제1 종벽열(61a)의 분할 종벽부(6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배치 위치와 대응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 제4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1 종벽열(61a)의 분할 종벽부(6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는, 전술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제2 종벽열(21b)의 분할 종벽부(2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이 제4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2 종벽열(61b)의 분할 종벽부(6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는, 전술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제1 종벽열(21a)의 분할 종벽부(2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이 경우, 분할 종벽부(62)의 일부가 횡벽부(13)의 일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분할 종벽부(62)에 연결되는 횡벽부(13)와, 그 횡벽부(13)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걸림 결합 소자(12)는, 전술한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이 하단부에서 연결되어 있지 않고, 각각 분리된 형태로 기재부(11)에 기립 설치되어 있다.
이 제4 변형예와 같이 제1 종벽열(61a) 및 제2 종벽열(61b)과 연결 벽부(63)를 배치함으로써, 제1 종벽열(61a)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횡벽부(13)와, 제1 종벽열(61a)의 분할 종벽부(62)를 직접 연결하여 성형면 파스너(4)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제1 종벽열(61a)의 분할 종벽부(62)와 횡벽부(13)가 각각 보강된다.
또한, 수지 침입 방지 벽부(60)에 자성 입자를 함유시킴으로써, 제1 종벽열(61a)에 인접하는 횡벽부(13)에도 자성 입자를 용이하게 함유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수지 침입 방지 벽부(60)에는, 전술한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농도 경사부(50)가 마련되어 있지만, 횡벽부(13)에도, 전술한 실시예 1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형성한 농도 경사부(50)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4 변형예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60)와, 제1 종벽열(61a)에 인접하는 횡벽부(13)에는, 전술한 실시예 1의 농도 경사부(50) 대신에, 전술한 실시예 2 및 실시예 3, 그리고 제1 변형예 내지 제3 변형예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형성한 농도 경사부(50a 내지 50e) 중 어느 것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4 변형예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4)에 따르면, 횡벽부(13)의 상단부에도 자성 입자를 많이 함유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성형면 파스너(4)의 상단 부분에 포함되는 자성 입자의 양을 많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4 변형예의 성형면 파스너(4)를, 금형(46)의 자석(48)을 매설한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에, 보다 강한 흡인력으로 흡착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성형면 파스너(4)를 보다 확실하게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의 캐비티면(47)에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발포성 수지 재료가 걸림 결합 영역(15)으로 침입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5에 제5 변형예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5)를 도시한다. 이 제5 변형예에 있어서,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70)는, 종벽열(71)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내측의 제1 종벽열(71a) 및 외측의 제2 종벽열(71b)을 가짐과 함께, 제1 종벽열(71a) 및 제2 종벽열(71b) 사이의 분할 종벽부(72)를 연결하는 연결 벽부(73)를 갖는다.
이 경우, 제1 종벽열(71a) 및 제2 종벽열(71b)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나열되어 배치되고, 또한 소정의 설치 피치로 간헐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분할 종벽부(72)를 각각 갖는다. 또한, 제1 종벽열(71a)의 분할 종벽부(72)와 제2 종벽열(71b)의 분할 종벽부(72)는,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제5 변형예에서는, 제1 종벽열(71a) 및 제2 종벽열(71b)에 있어서의 분할 종벽부(7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설치 피치를 전술한 실시예 1 등의 경우보다 길게 설정하고, 제1 종벽열(71a)의 분할 종벽부(72)와 제2 종벽열(71b)의 분할 종벽부(72)가 측면으로 볼 때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제5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1 종벽열(71a) 및 제2 종벽열(71b)의 각 분할 종벽부(72)는, 전술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분할 종벽부(22)와 마찬가지의 형상 및 치수를 갖는다.
이 제5 변형예에 있어서의 연결 벽부(73)는, 제1 종벽열(71a)에 배치되는 분할 종벽부(72)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와, 제2 종벽열(71b)에 배치되는 분할 종벽부(72)의 후단부 또는 전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좌우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각 연결 벽부(73)에 있어서의 제1 종벽열(71a)의 분할 종벽부(72)와 제2 종벽열(71b)의 분할 종벽부(72)의 사이를 비스듬하게 연결하는 연결 길이는, 제1 종벽열(71a) 및 제2 종벽열(71b)의 각 분할 종벽부(72)의 폭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제5 변형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분할 종벽부(7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설치 피치를 전술한 실시예 1 등의 경우보다 길게 설정하여, 제1 종벽열(71a)의 분할 종벽부(72)와 제2 종벽열(71b)의 분할 종벽부(72)가 측면으로 볼 때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그 반대로, 분할 종벽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설치 피치를 전술한 실시예 1 등의 경우보다 짧게 설정하여, 제1 종벽열의 분할 종벽부와 제2 종벽열의 분할 종벽부가 측면으로 볼 때 중첩되는 부분의 면적을, 실시예 1의 경우보다 크게 확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연결 벽부는, 제1 종벽열에 배치되는 분할 종벽부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와, 제2 종벽열에 배치되는 분할 종벽부의 후단부 또는 전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좌우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어서, 도 26에 제6 변형예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6)를 도시한다. 이 제6 변형예에 있어서,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80)는, 종벽열(81)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종벽열(81a) 내지 제3 종벽열(81c)과, 인접하는 제1 종벽열(81a) 및 제2 종벽열(81b) 사이의 분할 종벽부(82), 그리고 인접하는 제2 종벽열(81b) 및 제3 종벽열(81c) 사이의 분할 종벽부(82)를 연결하는 연결 벽부(83)를 갖는다. 즉, 이 제6 변형예에 관한 수지 침입 방지 벽부(80)는, 전술한 실시예 1에 관한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보다 종벽열(81)의 열수를 하나 많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종벽열(81a)은, 수지 침입 방지 벽부(80)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걸림 결합 소자(12)에 가장 가까운 내측에 배치된다. 제3 종벽열(81c)은, 걸림 결합 소자(12)로부터 가장 이격된 외측에 배치된다. 제2 종벽열(81b)은, 제1 종벽열(81a)과 제3 종벽열(81c)의 사이의 중간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종벽열(81a) 내지 제3 종벽열(81c)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나열되어 배치되고, 또한 소정의 설치 피치로 간헐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분할 종벽부(82)를 각각 갖고 있으며, 각 종벽열(81)의 길이 방향에 인접하는 2개의 분할 종벽부(82) 사이에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제1 종벽열(81a)과 제2 종벽열(81b)의 분할 종벽부(82)는, 전술한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엇갈린 위치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제2 종벽열(81b)과 제3 종벽열(81c)의 분할 종벽부(82)도, 엇갈린 위치 관계로 배치되어 있고, 제1 종벽열(81a)의 분할 종벽부(82)와 제3 종벽열(81c)의 분할 종벽부(82)는, 길이 방향의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종벽열(81a) 내지 제3 종벽열(81c)의 분할 종벽부(82)는, 전체적으로 지그재그상의 배치 패턴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제1 종벽열(81a) 및 제3 종벽열(81c)의 분할 종벽부(82)와, 제2 종벽열(81b)의 분할 종벽부(82)는, 좌우 방향으로부터의 측면으로 보아, 분할 종벽부(82)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종벽열(81a) 내지 제3 종벽열(81c)의 각 분할 종벽부(82)는, 전술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분할 종벽부(22)와 마찬가지의 형상 및 치수를 갖는다.
이 제6 변형예에 있어서의 연결 벽부(83)는,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제1 종벽열(81a) 및 제3 종벽열(81c)에 배치되는 분할 종벽부(82)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와, 제2 종벽열(81b)에 배치되는 분할 종벽부(82)의 후단부 또는 전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이 제6 변형예에 있어서의 연결 벽부(83)는, 전술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연결 벽부(23)와 마찬가지의 형상 및 치수를 갖고 있으며, 이 연결 벽부(83)의 폭 치수는, 제1 종벽열(81a) 내지 제3 종벽열(81c)의 분할 종벽부(82)의 폭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어서, 도 27에 제7 변형예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7)를 도시한다. 이 제7 변형예에 있어서,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90)는, 종벽열(91)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종벽열(91a) 내지 제3 종벽열(91c)을 갖기는 하지만, 서로 인접하는 종벽열(91) 사이의 분할 종벽부(92)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벽부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 제1 종벽열(91a)은, 수지 침입 방지 벽부(90)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걸림 결합 소자(12)에 가장 가까운 내측에 배치된다. 제3 종벽열(91c)은, 걸림 결합 소자(12)로부터 가장 이격된 외측에 배치된다. 제2 종벽열(91b)은, 제1 종벽열(91a)과 제3 종벽열(91c)의 사이의 중간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종벽열(91a) 내지 제3 종벽열(91c)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나열되어 배치되고, 또한 소정의 설치 피치로 간헐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분할 종벽부(92)를 각각 갖고 있으며, 각 종벽열(91)의 길이 방향에 인접하는 2개의 분할 종벽부(92) 사이에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제1 종벽열(91a)과 제2 종벽열(91b)의 분할 종벽부(92)는, 엇갈린 위치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제2 종벽열(91b)과 제3 종벽열(91c)의 분할 종벽부(92)도, 엇갈린 위치 관계로 배치되어 있고, 제1 종벽열(91a)의 분할 종벽부(92)와 제3 종벽열(91c)의 분할 종벽부(92)는, 길이 방향의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종벽열(91a) 내지 제3 종벽열(91c)의 분할 종벽부(92)는, 전체적으로 지그재그상의 배치 패턴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제1 종벽열(91a) 및 제3 종벽열(91c)의 분할 종벽부(92)와, 제2 종벽열(91b)의 분할 종벽부(92)는, 좌우 방향으로부터의 측면으로 보아, 분할 종벽부(92)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제1 종벽열(91a) 내지 제3 종벽열(91c)의 각 분할 종벽부(92)는, 전술한 실시예 1의 분할 종벽부(22)보다 전후 방향의 길이 치수를 크게 하여 형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종벽열(91) 사이에서 분할 종벽부(92)가 중첩되는 면적이, 보다 크게 확보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7 변형예의 성형면 파스너(7)에서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90)가 3열의 종벽열(91)을 가짐과 함께, 3열의 종벽열(91)에 있어서의 길이 치수가 큰 분할 종벽부(92)가 지그재그상의 배치 패턴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제7 변형예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90)라도, 성형면 파스너(7)를 금형(46)의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에 설치하여 쿠션체의 발포 성형을 행할 때(도 12를 참조), 쿠션체의 발포성 수지 재료가,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를 넘어 걸림 결합 영역(15)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7 변형예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90)에는 연결 벽부가 배치되어 있지 않기는 하지만,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발포성 수지 재료가 3열의 종벽열(91)에 있어서의 분할 종벽부(92) 사이의 간극을 구부러지면서 침입한다. 그렇기는 하지만, 그 침입 경로는 좁고 꼬불꼬불 구부러져 있다. 이 때문에, 발포성 수지 재료는, 성형면 파스너(7)의 걸림 결합 영역에 도달하기 전에 냉각되어 경화되기 때문에, 발포성 수지 재료가 수지 침입 방지 벽부(90)를 넘어 걸림 결합 영역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제7 변형예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90)의 종벽열(91)은 3열로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90)의 종벽열(91)을 2열로 형성해도 되고, 또한 4열 이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종벽열(91a) 및 제3 종벽열(91c)의 분할 종벽부(92)와, 제2 종벽열(91b)의 분할 종벽부(92)가, 분할 종벽부(92)보다 높이 치수가 작은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이어서, 도 28에 제8 변형예에 관한 성형면 파스너(8)를 도시한다. 이 제8 변형예에 있어서,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100)는, 종벽열(101)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내측의 제1 종벽열(101a) 및 외측의 제2 종벽열(101b)을 갖는다. 또한, 이 제8 변형예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100)에는, 제1 종벽열(101a) 및 제2 종벽열(101b)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벽부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제8 변형예에 있어서의 내측의 제1 종벽열(101a)은, 길이 방향을 따라 끊김 없이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또한 기재부(11)로부터 일정한 높이 치수를 구비하여 기립 설치되는 단일의 연속 종벽부(103)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8 변형예에 있어서의 외측의 제2 종벽열(101b)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나열되어 배치되고, 또한 소정의 설치 피치로 간헐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분할 종벽부(10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8 변형예의 성형면 파스너(8)가 상술한 바와 같은 수지 침입 방지 벽부(100)를 가짐으로써, 성형면 파스너(8)를 금형(46)의 파스너 보유 지지부(46a)에 설치하여 쿠션체의 발포 성형을 행할 때(도 12를 참조), 쿠션체의 발포성 수지 재료가,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100)를 넘어 걸림 결합 영역으로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제4 변형예 내지 제8 변형예에 관한 각 성형면 파스너(4, 5, 6, 7, 8)라도,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60, 70, 80, 90, 100)에, 전술한 실시예 1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형성한 농도 경사부(50)가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성형면 파스너(4, 5, 6, 7, 8)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60, 70, 80, 90, 100)에는, 전술한 실시예 1의 농도 경사부(50) 대신에, 전술한 실시예 2 및 실시예 3, 그리고 제1 변형예 내지 제3 변형예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에 형성한 농도 경사부(50a 내지 50e) 중 어느 것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각 변형예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60, 70, 80, 90, 100)가, 농도 경사부(50)(또는 농도 경사부(50a 내지 50e) 중 어느 하나)를 가짐으로써, 자성 입자를 함유하는 부분과 자성 입자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비함유 부분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성형면 파스너(4, 5, 6, 7, 8)의 제조 시 등에 합성 수지만의 부분과 자성 입자가 함유되어 있는 부분의 사이에 균열이나 파손 등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하여, 성형면 파스너(4, 5, 6, 7, 8)의 생산 효율이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전술한 여러 가지 효과도 얻을 수 있다.
1, 1a, 1b: 성형면 파스너
2, 2a: 성형면 파스너
3, 4, 5: 성형면 파스너
6, 7, 8: 성형면 파스너
10: 1차 성형체
11: 기재부
11a: 방지벽 지지부
12: 걸림 결합 소자(수형 걸림 결합 소자)
13: 횡벽부
14: 지느러미편부
15: 걸림 결합 영역
20: 수지 침입 방지 벽부
21: 종벽열
21a: 제1 종벽열
21b: 제2 종벽열
22: 분할 종벽부(종벽부)
22a: 기둥부
22b: 정상 단부
23: 연결 벽부
23a: 고농도 연결 벽부
23b: 저농도 연결 벽부
24: 보강부
25: 간극
26: 분할 종벽부가 중첩되는 부분
30: 1차 수지 침입 방지 벽부
31: 1차 종벽열
31a: 1차 제1 종벽열
31b: 1차 제2 종벽열
32: 1차 분할 종벽부
40: 제조 장치
41: 성형 장치
42: 다이 휠
43: 압출 노즐
43a: 제1 유로
43b: 제2 유로
43c: 압출면
43d: 제1 압출구
43e: 제2 압출구
44: 픽업 롤러
45: 가열 압박 장치
45a: 상측 압박 롤러(캘린더 롤러)
45b: 하측 압박 롤러(캘린더 롤러)
46: 금형
46a: 파스너 보유 지지부
47: 캐비티면(파스너 설치면)
48: 자석
49: 쿠션체(발포체)
50: 농도 경사부
50a 내지 50e: 농도 경사부
51: 고농도부
52: 하방 경사부(농도 변화부)
53: 폭 방향 경사부
54: 농도 변화부
55, 55a: 고농도부
56: 농도 변화부
56a, 56b: 화살표
56c: 화살표
57: 농도 변화부
57a, 57b: 화살표
58a, 58b: 화살표
58c: 화살표
60: 수지 침입 방지 벽부
61: 종벽열
61a: 제1 종벽열
61b: 제2 종벽열
62: 분할 종벽부
63: 연결 벽부
70: 수지 침입 방지 벽부
71: 종벽열
71a: 제1 종벽열
71b: 제2 종벽열
72: 분할 종벽부
73: 연결 벽부
80: 수지 침입 방지 벽부
81: 종벽열
81a: 제1 종벽열
81b: 제2 종벽열
81c: 제3 종벽열
82: 분할 종벽부
83: 연결 벽부
90: 수지 침입 방지 벽부
91: 종벽열
91a: 제1 종벽열
91b: 제2 종벽열
91c: 제3 종벽열
92: 분할 종벽부
100: 수지 침입 방지 벽부
101: 종벽열
101a: 제1 종벽열
101b: 제2 종벽열
102: 분할 종벽부
103: 연속 종벽부
W1: 연결 벽부의 폭 치수
W2: 제1 종벽열의 폭 치수
W3: 제2 종벽열의 폭 치수
W4: 수지 침입 방지 벽부 전체의 폭 치수
2, 2a: 성형면 파스너
3, 4, 5: 성형면 파스너
6, 7, 8: 성형면 파스너
10: 1차 성형체
11: 기재부
11a: 방지벽 지지부
12: 걸림 결합 소자(수형 걸림 결합 소자)
13: 횡벽부
14: 지느러미편부
15: 걸림 결합 영역
20: 수지 침입 방지 벽부
21: 종벽열
21a: 제1 종벽열
21b: 제2 종벽열
22: 분할 종벽부(종벽부)
22a: 기둥부
22b: 정상 단부
23: 연결 벽부
23a: 고농도 연결 벽부
23b: 저농도 연결 벽부
24: 보강부
25: 간극
26: 분할 종벽부가 중첩되는 부분
30: 1차 수지 침입 방지 벽부
31: 1차 종벽열
31a: 1차 제1 종벽열
31b: 1차 제2 종벽열
32: 1차 분할 종벽부
40: 제조 장치
41: 성형 장치
42: 다이 휠
43: 압출 노즐
43a: 제1 유로
43b: 제2 유로
43c: 압출면
43d: 제1 압출구
43e: 제2 압출구
44: 픽업 롤러
45: 가열 압박 장치
45a: 상측 압박 롤러(캘린더 롤러)
45b: 하측 압박 롤러(캘린더 롤러)
46: 금형
46a: 파스너 보유 지지부
47: 캐비티면(파스너 설치면)
48: 자석
49: 쿠션체(발포체)
50: 농도 경사부
50a 내지 50e: 농도 경사부
51: 고농도부
52: 하방 경사부(농도 변화부)
53: 폭 방향 경사부
54: 농도 변화부
55, 55a: 고농도부
56: 농도 변화부
56a, 56b: 화살표
56c: 화살표
57: 농도 변화부
57a, 57b: 화살표
58a, 58b: 화살표
58c: 화살표
60: 수지 침입 방지 벽부
61: 종벽열
61a: 제1 종벽열
61b: 제2 종벽열
62: 분할 종벽부
63: 연결 벽부
70: 수지 침입 방지 벽부
71: 종벽열
71a: 제1 종벽열
71b: 제2 종벽열
72: 분할 종벽부
73: 연결 벽부
80: 수지 침입 방지 벽부
81: 종벽열
81a: 제1 종벽열
81b: 제2 종벽열
81c: 제3 종벽열
82: 분할 종벽부
83: 연결 벽부
90: 수지 침입 방지 벽부
91: 종벽열
91a: 제1 종벽열
91b: 제2 종벽열
91c: 제3 종벽열
92: 분할 종벽부
100: 수지 침입 방지 벽부
101: 종벽열
101a: 제1 종벽열
101b: 제2 종벽열
102: 분할 종벽부
103: 연속 종벽부
W1: 연결 벽부의 폭 치수
W2: 제1 종벽열의 폭 치수
W3: 제2 종벽열의 폭 치수
W4: 수지 침입 방지 벽부 전체의 폭 치수
Claims (11)
- 쿠션체(49)의 발포 성형 시에 상기 쿠션체(49)의 표면에 일체화시키는 합성 수지제의 성형면 파스너(1, 1a, 1b, 2, 2a, 3, 4, 5, 6, 7, 8)이며, 상면 및 하면을 구비하는 평판상의 기재부(11)와, 상기 기재부(11)의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기립 설치되는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 60, 70, 80, 90, 100)와, 좌우의 상기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 60, 70, 80, 90, 10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훅상의 걸림 결합 소자(12)를 갖고, 좌우의 상기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 60, 70, 80, 90, 100)에 자성 입자가 함유되는 성형면 파스너(1, 1a, 1b, 2, 2a, 3, 4, 5, 6, 7, 8)에 있어서,
상기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 60, 70, 80, 90, 100) 및 상기 기재부(11)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가 적어도 일방향을 향하여 감소하는 농도 경사부(50, 50a 내지 50e)를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면 파스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 경사부(50, 50a 내지 50e)는, 상기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가 하방을 향하여 감소하는 하방 경사부를 갖고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방 경사부는, 상기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 60, 70, 80, 90, 100)에 있어서의 상기 기재부(11)로부터의 높이 치수의 1/10 이상의 영역에 걸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 경사부(50, 50a 내지 50e)는, 상기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가 가장 높아지는 고농도부(55, 55a)를, 좌우의 상기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 60, 70, 80, 90)에 있어서의 상면을 포함하는 상단부에 갖고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 경사부(50c, 50e)는, 상기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가, 상기 걸림 결합 소자(12)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외측으로부터, 상기 걸림 결합 소자(12)에 가까운 내측을 향하여 좌우 방향을 따라 감소하는 내향 경사부를 갖고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 경사부(50d)는, 상기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가, 상기 걸림 결합 소자(12)에 가까운 내측으로부터, 상기 걸림 결합 소자(12)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외측을 향하여 좌우 방향을 따라 감소하는 외향 경사부를 갖고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우의 상기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 60, 70, 80, 90)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벽열(21, 61, 71, 81, 91)을 각각 갖고,
상기 종벽열(21, 61, 71, 81, 91)은,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피치로 간헐적으로 배치됨과 함께 일정한 높이 치수를 구비하는 복수의 분할 종벽부(22, 62, 72, 82, 92)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종벽부(22, 62, 72, 82, 92)의 상기 농도 경사부(50c, 50d, 50e)는, 상기 자성 입자의 함유 농도가, 전후 방향을 따라 감소하는 길이 방향 경사부를 갖고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 60, 70, 80)는, 상기 분할 종벽부(22, 62, 72, 82)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상기 종벽열(21, 61, 71, 81)을 갖고,
상기 분할 종벽부(22, 62, 72, 82)는, 복수의 상기 종벽열(21, 61, 71, 81) 사이에서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고,
각 종벽열(21, 61, 71, 81)의 상기 분할 종벽부(22, 62, 72, 82)는, 다른 상기 종벽열(21, 61, 71, 81)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분할 종벽부(22, 62, 72, 82)와 연결 벽부(23, 63, 73, 83)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분할 종벽부(22, 62, 72, 82)와 상기 연결 벽부(23, 63, 73, 83)가 일정한 높이 치수를 갖고 하나로 연속되게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침입 방지 벽부(20, 60, 80)의 상기 종벽열(21, 61, 81)은, 좌우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종벽열(21a, 61a, 81a)과, 좌우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종벽열(21b, 61b, 81b)을 갖고,
상기 제1 종벽열(21a, 61a, 81a)의 상기 분할 종벽부(22, 62, 82)와 상기 제2 종벽열(21b, 61b, 81b)의 상기 분할 종벽부(22, 62, 82)는, 좌우 방향으로부터의 측면으로 보아 일부가 서로 중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연결 벽부(23, 63, 83)는,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 -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벽부(23, 63, 73, 83)에 있어서의 상기 분할 종벽부(22, 62, 72, 8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길이는, 상기 분할 종벽부(22, 62, 72, 82)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6/054927 WO2017141436A1 (ja) | 2016-02-19 | 2016-02-19 | 成形面ファスナ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0634A true KR20180100634A (ko) | 2018-09-11 |
KR102044182B1 KR102044182B1 (ko) | 2019-11-13 |
Family
ID=59624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22572A KR102044182B1 (ko) | 2016-02-19 | 2016-02-19 | 성형면 파스너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1051590B2 (ko) |
JP (1) | JP6628817B2 (ko) |
KR (1) | KR102044182B1 (ko) |
CN (1) | CN108601427B (ko) |
BR (1) | BR112018016219A2 (ko) |
DE (1) | DE112016006458B4 (ko) |
WO (1) | WO201714143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02431A1 (en) * | 2017-11-27 | 2019-05-31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Fastener having unequal number of rail segments and posts |
CN111655065B (zh) * | 2018-02-13 | 2023-02-21 | Ykk株式会社 | 成形面连接件和成形面连接件的制造方法 |
CN112888339B (zh) * | 2018-10-22 | 2024-05-28 | 可乐丽粘贴扣带株式会社 | 耐热性优异的雄型成型粘扣带、其制造方法以及使用了其的汽车用内装材料的固定方法 |
KR102632738B1 (ko) * | 2019-08-30 | 2024-02-05 |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 면 패스너 및 면 패스너의 제조 방법 |
USD947545S1 (en) * | 2019-12-18 | 2022-04-05 | Peng-Fei Chu | Hairbrush with alternating pattern of bristles |
JP7490771B2 (ja) * | 2020-06-16 | 2024-05-27 | クラレファスニング株式会社 | 片面に多数の壁状突起が平行に存在している樹脂シート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70036A (ja) * | 1985-09-25 | 1987-03-31 | キヤノン株式会社 | 複合材料 |
WO2003030672A1 (fr) | 2001-10-05 | 2003-04-17 | Ykk Corporation | Bande de fixation comportant un corps magnetique et procede et dispositif de fabrication |
WO2012025980A1 (ja) | 2010-08-23 | 2012-03-01 | Ykk株式会社 | 成形面ファスナー |
WO2015136674A1 (ja) * | 2014-03-13 | 2015-09-17 | Ykk株式会社 | 成形面ファスナー、クッション体、クッション体の製造方法、及び成形用金型 |
WO2016002044A1 (ja) * | 2014-07-03 | 2016-01-07 | Ykk株式会社 | 成形面ファスナー及び成形面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98694A (en) | 1985-08-09 | 1989-01-17 | Canon Kabushiki Kaisha |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materials |
JP3697561B2 (ja) * | 1995-02-14 | 2005-09-21 |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 有機高分子と金属酸化物との成分傾斜複合体及びその製造法 |
US7022394B2 (en) * | 2001-05-04 | 2006-04-04 | Ykk Corporation | Fastener strip with discrete magnetically attractable area, and method and apparatus of making same |
JPWO2005027675A1 (ja) * | 2003-09-18 | 2006-11-24 | Ykk株式会社 | 静音面ファスナー |
DE102004015321A1 (de) * | 2004-03-30 | 2005-10-20 | Binder Gottlieb Gmbh & Co Kg | Haftverschlußteil |
US7108814B2 (en) * | 2004-11-24 | 2006-09-19 | Velcro Industries B.V. | Molded touch fasten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
US20090276986A1 (en) * | 2008-05-12 | 2009-11-12 | Velcro Industries B.V. | Touch fastener products |
CN102202539B (zh) * | 2008-11-06 | 2014-07-16 | Ykk株式会社 | 成形阳搭扣 |
CN104757749B (zh) * | 2010-08-23 | 2017-06-23 | Ykk株式会社 | 成形面拉链 |
DE102010048769B4 (de) * | 2010-10-15 | 2018-05-09 | reboon GmbH | Haftmatte und Vorrichtung zum Halten von Gegenständen |
ES2674573T3 (es) * | 2010-11-17 | 2018-07-02 | Velcro BVBA | Configuración de las caras de los productos de fijación por contacto |
WO2012120618A1 (ja) * | 2011-03-07 | 2012-09-13 | Ykk株式会社 | 成形面ファスナー |
CN103648318B (zh) * | 2011-07-05 | 2016-02-03 | Ykk株式会社 | 成形粘扣带以及成形粘扣带的制造方法及缓冲体的制造方法 |
CN104053376B (zh) * | 2011-10-26 | 2016-06-15 | Ykk株式会社 | 成形表面搭扣 |
EP2906070B1 (en) * | 2012-10-15 | 2016-06-29 | Velcro Bvba | Touch fastening |
US9826801B2 (en) * | 2015-06-17 | 2017-11-28 | Velcro BVBA | Mold-in touch fastening product |
-
2016
- 2016-02-19 KR KR1020187022572A patent/KR10204418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2-19 US US16/074,250 patent/US11051590B2/en active Active
- 2016-02-19 DE DE112016006458.6T patent/DE112016006458B4/de active Active
- 2016-02-19 BR BR112018016219-1A patent/BR112018016219A2/pt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16-02-19 JP JP2017567924A patent/JP6628817B2/ja active Active
- 2016-02-19 WO PCT/JP2016/054927 patent/WO201714143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2-19 CN CN201680081729.3A patent/CN108601427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70036A (ja) * | 1985-09-25 | 1987-03-31 | キヤノン株式会社 | 複合材料 |
WO2003030672A1 (fr) | 2001-10-05 | 2003-04-17 | Ykk Corporation | Bande de fixation comportant un corps magnetique et procede et dispositif de fabrication |
WO2012025980A1 (ja) | 2010-08-23 | 2012-03-01 | Ykk株式会社 | 成形面ファスナー |
WO2015136674A1 (ja) * | 2014-03-13 | 2015-09-17 | Ykk株式会社 | 成形面ファスナー、クッション体、クッション体の製造方法、及び成形用金型 |
WO2016002044A1 (ja) * | 2014-07-03 | 2016-01-07 | Ykk株式会社 | 成形面ファスナー及び成形面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00323313A1 (en) | 2020-10-15 |
KR102044182B1 (ko) | 2019-11-13 |
JP6628817B2 (ja) | 2020-01-15 |
WO2017141436A1 (ja) | 2017-08-24 |
US11051590B2 (en) | 2021-07-06 |
CN108601427B (zh) | 2020-12-11 |
DE112016006458T5 (de) | 2018-10-31 |
CN108601427A (zh) | 2018-09-28 |
DE112016006458B4 (de) | 2024-02-22 |
BR112018016219A2 (pt) | 2018-12-18 |
JPWO2017141436A1 (ja) | 2018-08-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100634A (ko) | 성형면 파스너 | |
US11141899B2 (en) | Molding hook and loop fastener | |
KR101559688B1 (ko) | 성형면 파스너 | |
CN102712274B (zh) | 沿着凸筋的可释放紧固装置 | |
WO2013005297A1 (ja) | 成形面ファスナー及び成形面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並びにクッション体の製造方法 | |
JP6732374B2 (ja) | 成形面ファスナー | |
KR101889641B1 (ko) | 성형면 파스너 및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 | |
CN111655065B (zh) | 成形面连接件和成形面连接件的制造方法 | |
US11898595B2 (en) | Surface fastener | |
US11944165B2 (en) | Molded surface fastener | |
CN108697208B (zh) | 成形面连接件 | |
JP2013252453A (ja) | 成形面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