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185A - 안전펜스 - Google Patents

안전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185A
KR20180098185A KR1020180060556A KR20180060556A KR20180098185A KR 20180098185 A KR20180098185 A KR 20180098185A KR 1020180060556 A KR1020180060556 A KR 1020180060556A KR 20180060556 A KR20180060556 A KR 20180060556A KR 20180098185 A KR20180098185 A KR 20180098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ight
light source
transverse bar
led
main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범
Original Assignee
이정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범 filed Critical 이정범
Priority to KR1020180060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8185A/ko
Publication of KR20180098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1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펜스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서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복수 개의 주기둥부, 상기 주기둥부 상측에 결합되며 발광하는 엘이디유닛 및 복수 개의 상기 주기둥부를 가로로 연결하여 결합하는 복수 개의 횡바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펜스{SAFETY FENCE}
본 발명은 안전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펜스는 자동차 도로의 양쪽에 설치된 보도와 차도를 구분하는 등의 방호책으로 통상 금속 재질의 울타리 구조로 설치된다. 안전펜스는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구역, 높은 축대, 다리, 교각, 산책로, 인도, 인도가 설치되지 않은 도로 등과 같이 도로에서 인도 또는 도로나 통행로의 일측에 설치되는데, 그 주요 기능은 도로 및 다리 등의 주변 경계에 설치되어 교통사고나 안전사고의 발생시 차량이 도로 또는 다리 등의 경계 이탈을 방지하거나, 도로와 인도 경계에 설치되어 통행자의 안전이 확보되도록 하거나 다리 등의 밖으로 사람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안전펜스는 주택, 학교 건물의 경계용, 어린이 보호구역, 화단, 공원,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도로경계구역이나 그외 주택이나 건물의 경계용, 인도변 시설물, 아파트 베란다의 난간 및 계단의 난간 등 목적이나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안전펜스는 용도에 따라 그 높낮이가 다르게 설치되며, 일반적으로는 성인의 평균신장의 절반 정도의 높이로 설치된다.
이러한 안전펜스와 관련하여 종래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된 바 있으며, 그 일례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2-0096305호에서는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안전펜스에 대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대부분의 산책로는 나무가 우거지고 낮은 야산과 같이 한적한 곳에 조성되고 있으며, 가로등과 같은 조명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어려워 야간에는 산책로가 어두운 곳이 많이 존재한다. 야간에 산책로가 어두울 경우 산책을 하던 사람이 산책로의 양측에 세워둔 난간기둥에 걸려 넘어지거나 부딪쳐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별도로 가로등과 같은 조명기구가 설치되지 않은 도로변이나 노상 등에서 야간에 차량 운전자가 안전펜스를 식별하기가 쉽지 않아 교통사고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엘이디광원이 결합된 안전펜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펜스는 지면에 서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복수 개의 주기둥부, 상기 주기둥부 상측에 결합되며 발광하는 엘이디유닛 및 복수 개의 상기 주기둥부를 가로로 연결하여 결합하는 복수 개의 횡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엘이디유닛은, 빛을 발광하는 제1 엘이디광원, 상기 제1 엘이디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와 제1 엘이디광원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엘이디유닛은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펜스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상기 주기둥부의 상하 방향으로 상기 주기둥부에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2 엘이디광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엘이디광원은 상기 엘이디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횡바부는 상기 주기둥부의 상하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주기둥부를 지지하며, 상기 횡바부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3 엘이디광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엘이디광원은 상기 엘이디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횡바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횡바부 표면에는 폴리우레탄 수지층이 두께 0.01 내지 1 mm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층은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기 구조의 카다놀계 에폭시 수지 1-5 중량부, 0.1-0.5 중량부의 Al-MCM-41, 0.01-0.02 중량부의 실리카, 0.03-0.05 중량부의 티타니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안전펜스에 엘이디광원이 결합되어 야간이나 안개 등 시인성이 좋지 않은 환경에서 도로를 주행하는 운전자나 도로 일측의 인도 등을 통행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엘이디광원을 주기둥부의 상측에만 배치하거나, 주기둥부에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하거나, 횡바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주변환경의 필요에 따라 엘이디광원의 배치를 증감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전원이나 제어부를 사용하여 제1 엘이디광원, 제2 엘이디광원, 및 제3 엘이디광원에 전원을 공급하고 각각 따로 제어할 수도 있어 제조비용 감소의 경제적 효과와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하우징과 횡바부 또는 주기둥부를 사용하여 엘이디광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펜스의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펜스의 일실시예의 엘이디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펜스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펜스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펜스(safety fence)(4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펜스(400)의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펜스(400)의 일실시예의 엘이디유닛(2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안전펜스(400)는 주기둥부(100), 엘이디유닛(200), 횡바부(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전펜스(400)는 지면에 서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복수 개의 주기둥부(100), 주기둥부(100) 상측에 결합되며 발광하는 엘이디유닛(200), 및 복수 개의 주기둥부(100)를 가로로 연결하여 결합하는 복수 개의 횡바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주기둥부(100)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횡바부(300)와 엘이디유닛(200) 또는 엘이디광원(110, 210, 35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엘이디(LED)유닛(200)은 주기둥부(100) 상측에 결합되어 빛을 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 엘이디광원(210), 전원부(미도시), 하우징(220), 제어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엘이디광원(210)은 주기둥부(100) 상측의 후술하는 하우징(220) 내부에 위치하여 빛을 발광하는 것으로 야간이나 안개 등으로 인도나 도로 등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을 때 주기둥부(100)의 위치를 보행자나 운전자에 알려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전원부는 제1 엘이디광원(210)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220)은 전원부와 제1 엘이디광원(210)을 둘러싸는 것으로 전원부와 제1 엘이디광원(210)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하우징(220)은 제1 엘이디광원(210)을 보다 밝고 선명하게 보이게 하기 위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하우징은 정육면체, 직육면체, 다각형 형태이거나 원통이나 타원형통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하우징 표면에 문양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전원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전원부를 제어하여 제1 엘이디광원(210)의 온/오프를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는 전술한 하우징(220) 내부에 포함될 수 있으며, 제어부가 하우징(220) 내부에 포함되는 경우 하우징(22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우징(220)에 개폐구를 구비할 수 있다.
횡바부(300)는 복수 개의 주기둥부(100)를 가로로 연결하여 결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안전펜스(400)에 사람이 기대거나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안전펜스(400)의 버티는 힘이나 완충작용 등 안전펜스(400)의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펜스(4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펜스(400)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펜스(400)는 주기둥부(100), 엘이디유닛(200), 횡바부(300), 제2 엘이디광원(1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기둥부(100), 엘이디유닛(200), 횡바부(300)에 대하여는 앞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펜스(400)에 대한 설명이 유추 적용될 수 있다.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엘이디광원(110)은 전술한 주기둥부(100)에 위치하는 것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주기둥부(100)의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주기둥부(100)는 원통이나 다각형통으로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형태로 되어있고, 표면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문양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주기둥부(100)의 내부에 제2 엘이디광원(110)이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외부에 빛을 발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제2 엘이디광원(110)은 주기둥부(100)의 표면에 부착된 엘이디바 형태일 수 있다.
제2 엘이디광원(110)은 주기둥부(100)의 상측에 위치하는 전술한 엘이디유닛(2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엘이디광원(110)은 엘이디유닛(200)의 전술한 전원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전술한 제어부에 의해 전원의 온/오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제어부는 제1 엘이디광원(210)과 제2 엘이디광원(110)을 각각 따로 제어하여 제1 엘이디광원(210)이나 제2 엘이디광원(110) 중 어느 하나만 작동하게 할 수 있다. 물론 제1 엘이디광원(210)과 제2 엘이디광원(110) 모두 작동하거나 작동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펜스(4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펜스(400)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펜스(400)는 주기둥부(100), 엘이디유닛(200), 횡바부(300), 제3 엘이디광원(3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기둥부(100), 엘이디유닛(200), 횡바부(300)에 대하여는 앞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펜스(400)에 대한 설명이 유추 적용될 수 있다.
횡바부(300)는 주기둥부(100)의 상하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배치되어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주기둥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제3 엘이디광원(350)은 전술한 복수 개의 횡바부(300)에 위치하는 것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횡바부(300)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3 엘이디광원(350)은 주기둥부(100)의 제일 높은 곳에 위치하는 횡바부(300)인 제1 횡바부(310)에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제3 엘이디광원(350)은 제1 횡바부(310)와 그 바로 아래 위치하는 횡바부(300)인 제2 횡바부(320)에만 배열되거나 횡바부(300) 전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3 엘이디광원(350)은 주기둥부(100)의 상측에 위치하는 전술한 엘이디유닛(2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례로 제3 엘이디광원(350)은 엘이디유닛(200)의 전술한 전원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전술한 제어부에 의해 전원의 온/오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제어부는 제1 엘이디광원(210)과 제3 엘이디광원(350)을 각각 따로 제어하여 제1 엘이디광원(210)이나 제3 엘이디광원(350) 중 어느 하나만 작동하게 할 수 있다. 물론 제1 엘이디광원(210)과 제3 엘이디광원(350) 모두 작동하거나 작동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 따른 횡바부(300)는 제3 엘이디광원(350)을 보다 밝고 선명하게 보이게 하기 위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제1 엘이디광원(210), 제2 엘이디광원(110), 및 제3 엘이디광원(350)을 모두 설치하고 전술한 전원부를 전술한 제어부로 제어하여 제1 엘이디광원(210), 제2 엘이디광원(110), 및 제3 엘이디광원(350)을 각각 따로 제어하여 제1 엘이디광원(210), 제2 엘이디광원(110), 및 제3 엘이디광원(350) 중 어느 하나만 작동하게 하거나, 제1 엘이디광원(210), 제2 엘이디광원(110), 및 제3 엘이디광원(350) 중 어느 두 개만 작동하게 하거나, 제1 엘이디광원(210), 제2 엘이디광원(110), 및 제3 엘이디광원(350)을 모두 작동하게 하거나 모두 작동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안전펜스(400)에 엘이디광원(110, 210, 350)을 결합하여 야간이나 안개가 많은 날씨 등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경우에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엘이디광원(110, 210, 350)을 주기둥부(100)의 상측에만 배치하거나, 주기둥부(100)에도 배치하거나, 횡바부(300)에도 배치하여 주변환경의 필요에 따라 엘이디광원(110, 210, 350)의 배치를 증감하여 보행자나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전원이나 제어부를 사용하여 제1 엘이디광원(210), 제2 엘이디광원(110), 및 제3 엘이디광원(350)에 전원을 공급하고 각각 따로 제어할 수 있어 제조비용 감소의 경제적 효과와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하우징(220)과 횡바부(300) 또는 주기둥부(100)를 사용하여 엘이디광원(110, 210, 350)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횡바부(300) 표면에는 폴리우레탄 수지층이 0.01 내지 1 mm 두께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층은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기 구조의 카다놀계 에폭시 수지 1-5 중량부, 0.1-0.5 중량부의 Al-MCM-41, 0.01-0.02 중량부의 실리카, 0.03-0.05 중량부의 티타니아를 추가로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구조식에서, n과 m 및 p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3의 정수이며; R1은 1개 내지 3개의 C=C 결합을 포함하는 C13-C15 알켄이고; R2는 C1-C6 알킬이다.
이와 같은 4종의 첨가제가 위에 언급한 함량 범위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생활오염으로 인한 횡바부(300) 표면의 오염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다만 위 4종의 첨가제 중 어느 하나라도 누락되거나 또는 위 함량 범위 중 어느 하나라도 벗어나는 경우에는 횡바부(300) 표면의 훼손 또는 오염이 심하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일반적으로 다공성 물질 중에서 균일한 크기의 기공이 균일하게 배열된 물질을 분자체(molecular sieve)라고 한다. 미국의 모빌사에서 개발된 MCM (Mobile Crystalline Material) 중 MCM-41은 실리카 판 위에 일정한 크기를 갖는 일직선 모양의 기공이 육각형 배열, 즉 벌집 모양으로 균일하게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구조를 갖는 물질이다. MCM-41은 최근까지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액정 주형 경로를 통하여 제조된다고 알려져 있다. 즉, 계면 활성제가 수용액 내에서 액정구조를 형성하고 이 주위를 규산염 이온이 둘러싸면서 수열 반응(hydrothermal reaction)을 통해 계면활성제와 MCM-41의 접합체가 형성되고 계면활성제를 500 내지 600의 온도에서 소성 처리하여 제거하게 되면 MCM-41을 얻을 수 있다. 이때, 계면활성제의 종류를 변화시키거나 다른 유기 물질을 넣어주는 등 제조 조건을 변화시키게 되면 기공 크기를 1.6 내지 10nm까지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MCM-41이 가장 바람직한 이유는 기공도가 약 80에 이를 정도로 높으며 이에 따라 인산의 함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MCM-41과 같은 다공성 구조체 자체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다공성 구조체의 합성 시에 금속염화물을 첨가함으로써 금속이 그래프팅된 다공성 구조체를 제조하여 사용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금속 그래프팅 다공성 구조체의 예시로서 Al 그래프팅 MCM-41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이하에서는 Al-MCM-41로 나타낸다. 상기 Al이 그래프팅되었다는 의미는 다공성 구조체의 제조시에 실리콘과 산소의 사이에 Al이 삽입되어 결합을 하고 있는 구조라고 할 수 있으며, MCM-41의 경우는 육각형 모양의 균일한 채널을 이루는 벽이 SiO2(실리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양자는 화학적 구조가 전혀 다르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 : 주기둥부 110 : 제2 엘이디광원
200 : 엘이디유닛 210 : 제1 엘이디광원
220 : 하우징 300 : 횡바부
350 : 제3 엘이디광원 400 : 안전펜스

Claims (8)

  1. 지면에 서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복수 개의 주기둥부;
    상기 주기둥부 상측에 결합되며 발광하는 엘이디유닛; 및
    복수 개의 상기 주기둥부를 가로로 연결하여 결합하는 복수 개의 횡바부;를 포함하는 안전펜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유닛은,
    빛을 발광하는 제1 엘이디광원;
    상기 제1 엘이디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와 제1 엘이디광원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안전펜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포함하는 안전펜스.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유닛은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안전펜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상기 주기둥부의 상하 방향으로 상기 주기둥부에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2 엘이디광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엘이디광원은 상기 엘이디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안전펜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횡바부는 상기 주기둥부의 상하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주기둥부를 지지하며,
    상기 횡바부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3 엘이디광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엘이디광원은 상기 엘이디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안전펜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횡바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포함하는 안전펜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횡바부 표면에는 폴리우레탄 수지층이 두께 0.01 내지 1 mm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층은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다놀계 에폭시 수지 1-5 중량부, 0.1-0.5 중량부의 Al-MCM-41, 0.01-0.02 중량부의 실리카, 0.03-0.05 중량부의 티타니아를 추가로 포함하는 안전펜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구조식에서, n과 m 및 p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3의 정수이며; R1은 1개 내지 3개의 C=C 결합을 포함하는 C13-C15 알켄이고; R2는 C1-C6 알킬이다.
KR1020180060556A 2018-05-28 2018-05-28 안전펜스 KR201800981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556A KR20180098185A (ko) 2018-05-28 2018-05-28 안전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556A KR20180098185A (ko) 2018-05-28 2018-05-28 안전펜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629 Division 2017-0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185A true KR20180098185A (ko) 2018-09-03

Family

ID=63600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556A KR20180098185A (ko) 2018-05-28 2018-05-28 안전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81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462A (ko) 2018-10-29 2020-05-08 디테코 주식회사 복합 센서 기반의 전자 안전펜스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안전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462A (ko) 2018-10-29 2020-05-08 디테코 주식회사 복합 센서 기반의 전자 안전펜스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안전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0183B2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building a highway and a highway
KR100777657B1 (ko)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RO130255B1 (ro) Sistem de iluminare automată a marcajelor transversale de traversare pentru trecerile de pietoni
JP2008223341A (ja) 移動設置式歩道橋
CN210288203U (zh) 一种用于平面交叉路口非机动车道的管控系统
KR20180098185A (ko) 안전펜스
KR20120120549A (ko) 횡단 보도 안전 장치
KR200255636Y1 (ko) 횡단보도 보행자 교통안전 보호장치
CN214401464U (zh) 预制吊装的行人安全岛
KR102365652B1 (ko) 도로의 차선 차단 신호장치
KR100740082B1 (ko) 보행자를 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
KR102045758B1 (ko) 광섬유 신호장치
CN220643857U (zh) 一种桥梁用灯光护栏
KR20200069434A (ko)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CN215669209U (zh) 一种适用于交通导改中的组装式护栏
CN217378428U (zh) 一种城市道路丁字路口道路结构
CN215052492U (zh) 一种花箱组合人行隔离护栏
CN221702222U (zh) 一种城市道路用的隔离防护栏
ES2611964T3 (es) Sistema de protección acústica para vías de circulación
CN213447902U (zh) 一种交通稳静化建设用道路设施
CN212103512U (zh) 一种行人与非机动车辆分流的天桥
KR101130570B1 (ko) 자전거 도로용 방호벽
EA200200626A3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строи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пересечения пешеходных и/или транспортных потоков
KR200323080Y1 (ko) 안전펜스
CN207828779U (zh) 桥梁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