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622A - 커피 추출 방법 - Google Patents

커피 추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622A
KR20180093622A KR1020170019976A KR20170019976A KR20180093622A KR 20180093622 A KR20180093622 A KR 20180093622A KR 1020170019976 A KR1020170019976 A KR 1020170019976A KR 20170019976 A KR20170019976 A KR 20170019976A KR 20180093622 A KR20180093622 A KR 20180093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mushroom
solvent
coffee
a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진영
Original Assignee
방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진영 filed Critical 방진영
Priority to KR1020170019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3622A/ko
Publication of KR20180093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6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10Treating roasted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5/105Treating in vacuum or with inert or noble gases; Storing in gaseous atmosphere; Packag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커피 추출 방법이 제공된다. 로스팅한 커피콩을 진공 포장하여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분쇄하지 않고, 상기 선택한 용매를 이용하여, 장시간 달여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커피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피 추출 방법{METHOD FOR EXTRACT OF COFFEE}
본 발명은 커피 추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로스팅한 커피콩을 진공 포장하여 숙성시킨 다음,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분쇄하지 않고, 물을 포함한 다양한 용매를 이용하여, 장시간 달여서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 추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피 추출 방식은, 터키식 침출법부터 핸드 드립, 기계 드립, 모카포트, 프렌치 프레스, 싸이폰, 에스프레소 머신, 전자동 커피 머신 등 다양한 기구와 방법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추출 방식은, 로스팅한 커피콩을 분쇄한 다음, 뜨거운 물을 이용하여 단시간에 추출하는 방식이어서, 커피의 향미가 대동소이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커피 음료를 개발하는데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의 추출 방식과 차별화된 새로운 추출 방법으로 다양한 향미를 지닌 커피를 추출하여, 기존의 커피 음료와 차별화된 다양한 종류의 커피 음료를 개발할 수 있는, 커피 추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로스팅한 커피콩을 진공 포장하여 숙성시키고,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한 다음,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분쇄하지 않고, 상기 선택한 용매를 이용하여, 장시간 달여서 추출한 후에, 상기 추출한 커피를 필터링하여 커피를 완성함으로써, 기존의 커피 음료와 차별화된 다양한 종류의 커피 음료를 개발할 수 있는, 다양한 향미의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 추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위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언급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방법은, 로스팅한 커피콩을 진공 포장하여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분쇄하지 않고, 상기 선택한 용매를 이용하여, 장시간 달여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커피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매는, 음용수와 우유, 두유, 차(茶) 등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매는, 쌀, 보리, 밀, 호밀, 메밀, 옥수수, 수수, 귀리, 조, 피, 율무, 기장, 콩, 팥, 깨, 녹두, 땅콩 등 다양한 종류의 곡물을 우린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매는, 사과, 배, 비파, 모과와 같은 인과류(仁果類)와 유자, 자몽, 오렌지, 감, 감귤과 같은 준인과류(準仁果類), 자두, 복숭아, 체리, 살구, 대추야자와 같은 핵과류(核果類), 딸기, 포도, 앵두, 구스베리, 블루베리, 빌베리, 레드워틀베리, 라즈베리, 블랙베리와 같은 장과류(漿果類), 은행, 파스타치오, 잣, 아몬드, 개암, 호두, 밤, 너트, 코코넛과 같은 견과류(堅果類) 등 다양한 종류의 과일을 우린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매는, 송이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팽이버섯, 능이버섯, 양송이버섯, 싸리버섯, 노루궁뎅이버섯, 동충하초버섯, 목이버섯, 영지버섯, 상황버섯, 갓버섯, 외꽃버섯, 밤버섯, 잣버섯, 뽕나무버섯, 개암버섯, 애기버섯, 부채버섯, 주름버섯, 덕다리버섯, 노랑망태버섯, 곰보버섯 등 다양한 종류의 버섯을 우린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매는, 상추, 시금치, 마늘, 아스파라거스, 죽순과 같은 경엽채류(莖葉菜類)와 무, 당근, 순무, 우엉, 고구마, 마, 연근, 감자, 생강과 같은 근채류(根菜類) 및 오이, 호박, 참외, 고추, 토마토, 옥수수, 피망, 파프리카, 가지, 완두콩, 강낭콩과 같은 과채류(果菜類) 등 다양한 종류의 채소를 우린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매는, 결명자차, 구기자차, 귤차, 대추차, 들깨차, 매실차, 모과차, 밤차, 보리차, 산사차, 살구차, 연자차, 오디차, 오미자차, 옥수수차, 유자차, 율무차, 은행차, 포도차, 현미차, 호두차, 회향차 등의 열매차류와 감잎차, 국화차, 녹차, 두충차, 비파차, 삼백초차, 솔잎차, 쑥차, 오가차, 으름차, 인동차, 진달래차, 초피차 등의 잎차류 및 당귀차, 도라지차, 둥굴레차, 마차, 맥문동차, 생강차, 인삼차, 칡차 등의 뿌리차류 그리고, 감초차, 계피차, 느릅차, 두릅차 등의 껍질차류와 다시마차, 민들레차, 석곡차, 영지차, 음양곽차, 표고버섯차, 화살차 등 식물 전체를 원료로 한 차류 및 국화차, 벚꽃차 등의 꽃잎차류와 코코아 등 다양한 종류의 차(茶)를 우린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매는, 라벤더, 레몬밤, 로즈메리, 마조람, 민트,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베르가모트, 보리지, 세이보리, 세이지, 스위트바질, 안젤리카, 오레가노, 캐모마일, 코리안더, 콘플라워, 타라곤, 타임, 포트마리골드, 펜넬, 히솝, 시나몬, 로즈, 재스민, 하이비스커스, 레몬그래스, 로즈힙 등 다양한 종류의 허브를 우린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매는, 국화, 매화, 아카시아꽃, 동백꽃, 살구꽃, 복숭아꽃, 베고니아, 팬지, 장미, 진달래, 유채꽃, 제라늄, 당아욱, 냉이꽃, 머위꽃, 메리골드, 메밀꽃, 금목서, 은목서, 찔레꽃, 카모마일, 한련화, 히비스커스, 히솝, 연꽃, 물망초, 제비꽃 등 다양한 종류의 식용꽃을 우린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매는, 계피, 삼백피, 후박, 두충, 오가피, 황백, 목단피, 지골피, 백선피, 진피 등의 나무껍질류와 구등, 석곡, 단향, 쇄양, 등심초, 육종용, 목통, 죽녀, 소목, 침향 등의 등나무류 및 강황, 패모, 현호색, 강활, 향부자, 옥죽, 고량강, 현삼릉, 우절, 대황, 황련, 지모, 모근, 황정, 창출, 반하, 산약, 천궁, 백급, 생강, 천남성, 백출, 석창포, 천마, 백합, 승마, 택사, 아출 등의 뿌리류 그리고, 담죽엽, 비파엽, 애엽, 측백엽, 상엽, 자소엽 등의 뿌리줄기류와 계관화, 금은화, 선복화, 관동화, 밀몽화, 신이, 괴화, 번홍화, 원화, 국화, 하고초, 정향, 정향, 홍화, 포황 등의 잎사귀류와 곽향, 형개, 음양곽, 마황, 박하, 인진호 등의 꽃잎류 및 노회, 유향, 송향, 몰식자, 오배자, 신국, 몰약, 안식향, 아위, 아다 등의 열매류 그리고, 귀판, 웅담, 석결명, 녹용, 해구신, 섬수, 망충, 호골, 아교, 모려, 사향, 영양각, 반모, 서각, 용연향, 백강잠, 별갑, 우황 등의 종자류와 갈근, 고삼, 파극천, 괄루근, 시호, 현삼, 길경, 단삼, 홍아대극, 당귀, 우슬, 황기, 울금, 원지, 인삼, 자근, 목향, 자원, 적작, 백미, 전호, 지유, 백작, 지황, 진교, 산두근, 방풍, 천문동, 서양삼, 백부, 초오두, 속단, 백지, 하수오, 오약, 삼칠, 홍삼, 당삼, 세신, 황금, 맥문동, 광방이, 용담 등의 전초류 및 가자, 백질려, 대복피, 괄루, 복분자, 대추, 괴각, 사군자, 마두령, 구기자, 사상자, 만형자, 귤피, 산사자, 맥아, 목과, 산수유, 오미자, 백두구, 산치자, 오수유, 팔각회향, 석련자, 용안육, 필발, 시제, 우방자, 호초, 여정자, 익지인, 화초, 연교, 자소자, 회향, 오매, 창이자, 충위자, 천련자 등 수지류 및 기타류 그리고, 가채자, 마전자, 피마자, 겨자, 목별자, 빈랑자, 검실, 백과, 산조인, 견우자, 백편두, 송자인, 결명자, 보골지, 아마인, 담두시, 축사, 육두구, 대풍자, 파두, 의이인, 도인, 토사자, 차전자, 동과자, 행인, 천금자, 마자인, 호로파, 호마자 등의 동물류와 노감석, 주사, 용골, 대자석, 활석, 우여량, 망초, 석고, 적석지, 명반 등의 광물류 및 뇌환, 복령, 동충하초, 저령, 해인초 등의 은화식물류 등 다양한 종류의 약재를 우린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분쇄하지 않고, 상기 선택한 용매를 이용하여, 장시간 달여서 추출하는 단계에서, 당류를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한 커피를 필터링하는 단계에서, 상기 추출한 커피를 필터링한 이후에, 당류를 첨가하여 숙성 및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한 커피를 필터링하는 단계에서, 상기 추출한 커피를 필터링한 이후에, 당류를 첨가하여 숙성 및 발효시킨 다음, 농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로스팅한 커피콩을 진공 포장하여 숙성시키고,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한 다음,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분쇄하지 않고, 상기 선택한 용매를 이용하여, 장시간 달여서 추출한 후에, 상기 추출한 커피를 필터링하여 커피를 완성함으로써, 기존의 추출 방식에 비해 다양한 향미를 지닌 커피를 추출하여, 다양한 종류의 커피 음료를 개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를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이 도시된다.
먼저, 로스팅한 커피콩을 진공 포장하여 숙성시키는 단계(S100)를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커피콩을 로스팅하면, 커피콩 내부에 있던 기름진 성분들이 표출되어 산패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로스팅한 커피콩을 진공 용기나 진공 봉투에 담아 진공 포장하여 산패를 방지하면서, 커피의 향미를 향상시키기 위해,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는 발효기 내에서 일정 기간 숙성시킬 수 있다.
자체 실험에서, 상기 로스팅한 커피콩을 진공 포장하여, 약 40℃가 유지되는 발효기 내에서 3일간 숙성시킨 결과, 상온에서 일반 용기에 담아 3일간 숙성시킨 커피콩에 비해, 커피의 향미가 상당 부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S200)를 수행할 수 있다.
기존의 커피는, 뜨거운 물을 이용하여 단시간에 추출하기 때문에, 로스팅한 커피콩이나 추출 방법 및 바리스타의 취향에 따라 어느 정도 향미의 차이가 나타나지만, 근본적인 커피의 향미는 대동소이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커피를 추출하는 용매를, 음용수 이외에 우유나 두유, 차(茶)와 같은 음료나 다양한 종류의 곡물류, 과일류, 버섯류, 채소류, 차류, 허브류, 식용꽃류, 약재류 등을 우린 물로 이용하면, 매우 독특한 향미를 지닌 다양한 종류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추출 방식에 비해 다양한 향미를 지닌 커피를 추출하여, 다양한 종류의 커피 음료를 개발할 수 있도록,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음용수를 포함하여 상기 우유나 두유, 차(茶)와 같은 음료나 다양한 종류의 곡물류, 과일류, 버섯류, 채소류, 차류, 허브류, 식용꽃류, 약재류 등을 우린 물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개발하고자 하는 커피 음료의 종류에 따라, 상기 우유나 두유, 차(茶)와 같은 음료나 다양한 종류의 곡물류, 과일류, 버섯류, 채소류, 차류, 허브류, 식용꽃류, 약재류 등을 우린 물 중에서 한가지씩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용매로 이용하거나 여러 종류를 선택하여 혼합해서 용매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S200)에서, 상기 용매는, 음용수와 우유, 두유, 차(茶) 등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S200)에서, 상기 용매는, 쌀, 보리, 밀, 호밀, 메밀, 옥수수, 수수, 귀리, 조, 피, 율무, 기장, 콩, 팥, 깨, 녹두, 땅콩 등 다양한 종류의 곡물을 우린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S200)에서, 상기 용매는, 사과, 배, 비파, 모과와 같은 인과류(仁果類)와 유자, 자몽, 오렌지, 감, 감귤과 같은 준인과류(準仁果類), 자두, 복숭아, 체리, 살구, 대추야자와 같은 핵과류(核果類), 딸기, 포도, 앵두, 구스베리, 블루베리, 빌베리, 레드워틀베리, 라즈베리, 블랙베리와 같은 장과류(漿果類), 은행, 파스타치오, 잣, 아몬드, 개암, 호두, 밤, 너트, 코코넛과 같은 견과류(堅果類) 등 다양한 종류의 과일을 우린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S200)에서, 상기 용매는, 송이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팽이버섯, 능이버섯, 양송이버섯, 싸리버섯, 노루궁뎅이버섯, 동충하초버섯, 목이버섯, 영지버섯, 상황버섯, 갓버섯, 외꽃버섯, 밤버섯, 잣버섯, 뽕나무버섯, 개암버섯, 애기버섯, 부채버섯, 주름버섯, 덕다리버섯, 노랑망태버섯, 곰보버섯 등 다양한 종류의 버섯을 우린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S200)에서, 상기 용매는, 상추, 시금치, 마늘, 아스파라거스, 죽순과 같은 경엽채류(莖葉菜類)와 무, 당근, 순무, 우엉, 고구마, 마, 연근, 감자, 생강과 같은 근채류(根菜類) 및 오이, 호박, 참외, 고추, 토마토, 옥수수, 피망, 파프리카, 가지, 완두콩, 강낭콩과 같은 과채류(果菜類) 등 다양한 종류의 채소를 우린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S200)에서, 상기 용매는, 결명자차, 구기자차, 귤차, 대추차, 들깨차, 매실차, 모과차, 밤차, 보리차, 산사차, 살구차, 연자차, 오디차, 오미자차, 옥수수차, 유자차, 율무차, 은행차, 포도차, 현미차, 호두차, 회향차 등의 열매차류와 감잎차, 국화차, 녹차, 두충차, 비파차, 삼백초차, 솔잎차, 쑥차, 오가차, 으름차, 인동차, 진달래차, 초피차 등의 잎차류 및 당귀차, 도라지차, 둥굴레차, 마차, 맥문동차, 생강차, 인삼차, 칡차 등의 뿌리차류 그리고, 감초차, 계피차, 느릅차, 두릅차 등의 껍질차류와 다시마차, 민들레차, 석곡차, 영지차, 음양곽차, 표고버섯차, 화살차 등 식물 전체를 원료로 한 차류 및 국화차, 벚꽃차 등의 꽃잎차류와 코코아 등 다양한 종류의 차(茶)를 우린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S200)에서, 상기 용매는, 라벤더, 레몬밤, 로즈메리, 마조람, 민트,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베르가모트, 보리지, 세이보리, 세이지, 스위트바질, 안젤리카, 오레가노, 캐모마일, 코리안더, 콘플라워, 타라곤, 타임, 포트마리골드, 펜넬, 히솝, 시나몬, 로즈, 재스민, 하이비스커스, 레몬그래스, 로즈힙 등 다양한 종류의 허브를 우린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S200)에서, 상기 용매는, 국화, 매화, 아카시아꽃, 동백꽃, 살구꽃, 복숭아꽃, 베고니아, 팬지, 장미, 진달래, 유채꽃, 제라늄, 당아욱, 냉이꽃, 머위꽃, 메리골드, 메밀꽃, 금목서, 은목서, 찔레꽃, 카모마일, 한련화, 히비스커스, 히솝, 연꽃, 물망초, 제비꽃 등 다양한 종류의 식용꽃을 우린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S200)에서, 상기 용매는, 계피, 삼백피, 후박, 두충, 오가피, 황백, 목단피, 지골피, 백선피, 진피 등의 나무껍질류와 구등, 석곡, 단향, 쇄양, 등심초, 육종용, 목통, 죽녀, 소목, 침향 등의 등나무류 및 강황, 패모, 현호색, 강활, 향부자, 옥죽, 고량강, 현삼릉, 우절, 대황, 황련, 지모, 모근, 황정, 창출, 반하, 산약, 천궁, 백급, 생강, 천남성, 백출, 석창포, 천마, 백합, 승마, 택사, 아출 등의 뿌리류 그리고, 담죽엽, 비파엽, 애엽, 측백엽, 상엽, 자소엽 등의 뿌리줄기류와 계관화, 금은화, 선복화, 관동화, 밀몽화, 신이, 괴화, 번홍화, 원화, 국화, 하고초, 정향, 정향, 홍화, 포황 등의 잎사귀류와 곽향, 형개, 음양곽, 마황, 박하, 인진호 등의 꽃잎류 및 노회, 유향, 송향, 몰식자, 오배자, 신국, 몰약, 안식향, 아위, 아다 등의 열매류 그리고, 귀판, 웅담, 석결명, 녹용, 해구신, 섬수, 망충, 호골, 아교, 모려, 사향, 영양각, 반모, 서각, 용연향, 백강잠, 별갑, 우황 등의 종자류와 갈근, 고삼, 파극천, 괄루근, 시호, 현삼, 길경, 단삼, 홍아대극, 당귀, 우슬, 황기, 울금, 원지, 인삼, 자근, 목향, 자원, 적작, 백미, 전호, 지유, 백작, 지황, 진교, 산두근, 방풍, 천문동, 서양삼, 백부, 초오두, 속단, 백지, 하수오, 오약, 삼칠, 홍삼, 당삼, 세신, 황금, 맥문동, 광방이, 용담 등의 전초류 및 가자, 백질려, 대복피, 괄루, 복분자, 대추, 괴각, 사군자, 마두령, 구기자, 사상자, 만형자, 귤피, 산사자, 맥아, 목과, 산수유, 오미자, 백두구, 산치자, 오수유, 팔각회향, 석련자, 용안육, 필발, 시제, 우방자, 호초, 여정자, 익지인, 화초, 연교, 자소자, 회향, 오매, 창이자, 충위자, 천련자 등 수지류 및 기타류 그리고, 가채자, 마전자, 피마자, 겨자, 목별자, 빈랑자, 검실, 백과, 산조인, 견우자, 백편두, 송자인, 결명자, 보골지, 아마인, 담두시, 축사, 육두구, 대풍자, 파두, 의이인, 도인, 토사자, 차전자, 동과자, 행인, 천금자, 마자인, 호로파, 호마자 등의 동물류와 노감석, 주사, 용골, 대자석, 활석, 우여량, 망초, 석고, 적석지, 명반 등의 광물류 및 뇌환, 복령, 동충하초, 저령, 해인초 등의 은화식물류 등 다양한 종류의 약재를 우린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분쇄하지 않고, 상기 선택한 용매를 이용하여, 장시간 달여서 추출하는 단계(S300)를 수행할 수 있다.
기존의 커피 추출 방식은, 뜨거운 물로 단시간 내에 커피의 유용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로스팅한 커피콩을 분쇄해서 사용하지만,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분쇄하지 않고, 상기 선택한 용매를 이용하여, 장시간 달여서 추출하는 단계(S300)에서는,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분쇄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장시간에 걸쳐 달여서 추출하는 과정에서, 커피콩의 유용성분들이 서서히 추출됨에 따라, 커피의 쓴맛이 감소하고 신맛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맛이 깊고 부드러워져서, 기존에 출시된 커피 음료와 차별화된 새로운 커피 음료를 개발하는데 유리한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분쇄하지 않고, 상기 선택한 용매를 이용하여 한약을 달이는 것처럼 장시간에 걸쳐 달여서 커피를 추출하거나, 한의원이나 건강원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추출기를 이용하여 장시간에 걸쳐 달여서 우려내는 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압력밥솥의 보온 기능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커피를 추출할 수도 있다.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분쇄하지 않고, 상기 선택한 용매를 이용하여 장시간 달여서 추출하는 온도는, 열에 의한 유용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고 완성되는 커피의 향미를 고려할 때, 비교적 저온인 60~70℃가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추출한 커피를 필터링하는 단계(S40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추출한 커피를, 일반적인 거름망이나 커피를 드립할 때 사용하는 종이나 천으로 된 필터를 이용하여, 커피와 커피콩으로 분리하는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압착기를 이용하여 1차 압출 및 필터링한 후에 정치시켜서 미세한 찌꺼기를 분리하는 2차 필터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분쇄하지 않고, 상기 선택한 용매를 이용하여, 장시간 달여서 추출하는 단계(S300)에서, 당류를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분쇄하지 않고, 상기 선택한 용매를 이용하여, 장시간 달여서 추출하는 단계(S300)에서, 기존의 추출 방식에 비해 다양한 향미를 지닌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과 상기 선택한 용매의 혼합물에 설탕 및 비정제당과 시럽, 꿀, 엿, 조청, 초콜릿 등 다양한 종류의 당류를 첨가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한 커피를 필터링하는 단계(S400)에서, 상기 추출한 커피를 필터링한 이후에, 당류를 첨가하여 숙성 및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한 커피를 필터링한 이후에, 다양한 향미를 지닌 커피를 완성하기 위해, 설탕 및 비정제당과 시럽, 꿀, 엿, 조청, 초콜릿 등 다양한 종류의 당류를 첨가하여,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는 발효기 내에서 숙성 및 발효시킬 수 있다.
상기 추출한 커피를 필터링하는 단계(S400)에서, 상기 추출한 커피를 필터링한 이후에, 당류를 첨가하여 숙성 및 발효시킨 다음, 농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한 커피를 필터링한 이후에, 설탕 및 비정제당과 시럽, 꿀, 엿, 조청, 초콜릿 등 다양한 종류의 당류를 첨가하여,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는 발효기 내에서 숙성 및 발효시킨 다음,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거나 농축기 등을 이용하여 농축할 수 있다.
상기 농축시킨 결과물은, 물과 희석하여 마실 수 있는 희석용 커피나 커피잼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로스팅한 커피콩을 진공 포장하여 숙성시키고,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한 다음,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분쇄하지 않고, 상기 선택한 용매를 이용하여, 장시간 달여서 추출한 후에, 상기 추출한 커피를 필터링하여 커피를 완성함으로써, 기존의 커피 음료와 차별화된 다양한 종류의 커피 음료를 개발할 수 있는, 다양한 향미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3)

  1. 로스팅한 커피콩을 진공 포장하여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분쇄하지 않고, 상기 선택한 용매를 이용하여, 장시간 달여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커피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매는, 음용수와 우유, 두유, 차(茶) 등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매는, 쌀, 보리, 밀, 호밀, 메밀, 옥수수, 수수, 귀리, 조, 피, 율무, 기장, 콩, 팥, 깨, 녹두, 땅콩 등 다양한 종류의 곡물을 우린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매는, 사과, 배, 비파, 모과와 같은 인과류(仁果類)와 유자, 자몽, 오렌지, 감, 감귤과 같은 준인과류(準仁果類), 자두, 복숭아, 체리, 살구, 대추야자와 같은 핵과류(核果類), 딸기, 포도, 앵두, 구스베리, 블루베리, 빌베리, 레드워틀베리, 라즈베리, 블랙베리와 같은 장과류(漿果類), 은행, 파스타치오, 잣, 아몬드, 개암, 호두, 밤, 너트, 코코넛과 같은 견과류(堅果類) 등 다양한 종류의 과일을 우린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매는, 송이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팽이버섯, 능이버섯, 양송이버섯, 싸리버섯, 노루궁뎅이버섯, 동충하초버섯, 목이버섯, 영지버섯, 상황버섯, 갓버섯, 외꽃버섯, 밤버섯, 잣버섯, 뽕나무버섯, 개암버섯, 애기버섯, 부채버섯, 주름버섯, 덕다리버섯, 노랑망태버섯, 곰보버섯 등 다양한 종류의 버섯을 우린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매는, 상추, 시금치, 마늘, 아스파라거스, 죽순과 같은 경엽채류(莖葉菜類)와 무, 당근, 순무, 우엉, 고구마, 마, 연근, 감자, 생강과 같은 근채류(根菜類) 및 오이, 호박, 참외, 고추, 토마토, 옥수수, 피망, 파프리카, 가지, 완두콩, 강낭콩과 같은 과채류(果菜類) 등 다양한 종류의 채소를 우린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매는, 결명자차, 구기자차, 귤차, 대추차, 들깨차, 매실차, 모과차, 밤차, 보리차, 산사차, 살구차, 연자차, 오디차, 오미자차, 옥수수차, 유자차, 율무차, 은행차, 포도차, 현미차, 호두차, 회향차 등의 열매차류와 감잎차, 국화차, 녹차, 두충차, 비파차, 삼백초차, 솔잎차, 쑥차, 오가차, 으름차, 인동차, 진달래차, 초피차 등의 잎차류 및 당귀차, 도라지차, 둥굴레차, 마차, 맥문동차, 생강차, 인삼차, 칡차 등의 뿌리차류 그리고, 감초차, 계피차, 느릅차, 두릅차 등의 껍질차류와 다시마차, 민들레차, 석곡차, 영지차, 음양곽차, 표고버섯차, 화살차 등 식물 전체를 원료로 한 차류 및 국화차, 벚꽃차 등의 꽃잎차류와 코코아 등 다양한 종류의 차(茶)를 우린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매는, 라벤더, 레몬밤, 로즈메리, 마조람, 민트,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베르가모트, 보리지, 세이보리, 세이지, 스위트바질, 안젤리카, 오레가노, 캐모마일, 코리안더, 콘플라워, 타라곤, 타임, 포트마리골드, 펜넬, 히솝, 시나몬, 로즈, 재스민, 하이비스커스, 레몬그래스, 로즈힙 등 다양한 종류의 허브를 우린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매는, 국화, 매화, 아카시아꽃, 동백꽃, 살구꽃, 복숭아꽃, 베고니아, 팬지, 장미, 진달래, 유채꽃, 제라늄, 당아욱, 냉이꽃, 머위꽃, 메리골드, 메밀꽃, 금목서, 은목서, 찔레꽃, 카모마일, 한련화, 히비스커스, 히솝, 연꽃, 물망초, 제비꽃 등 다양한 종류의 식용꽃을 우린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추출할 용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용매는, 계피, 삼백피, 후박, 두충, 오가피, 황백, 목단피, 지골피, 백선피, 진피 등의 나무껍질류와 구등, 석곡, 단향, 쇄양, 등심초, 육종용, 목통, 죽녀, 소목, 침향 등의 등나무류 및 강황, 패모, 현호색, 강활, 향부자, 옥죽, 고량강, 현삼릉, 우절, 대황, 황련, 지모, 모근, 황정, 창출, 반하, 산약, 천궁, 백급, 생강, 천남성, 백출, 석창포, 천마, 백합, 승마, 택사, 아출 등의 뿌리류 그리고, 담죽엽, 비파엽, 애엽, 측백엽, 상엽, 자소엽 등의 뿌리줄기류와 계관화, 금은화, 선복화, 관동화, 밀몽화, 신이, 괴화, 번홍화, 원화, 국화, 하고초, 정향, 정향, 홍화, 포황 등의 잎사귀류와 곽향, 형개, 음양곽, 마황, 박하, 인진호 등의 꽃잎류 및 노회, 유향, 송향, 몰식자, 오배자, 신국, 몰약, 안식향, 아위, 아다 등의 열매류 그리고, 귀판, 웅담, 석결명, 녹용, 해구신, 섬수, 망충, 호골, 아교, 모려, 사향, 영양각, 반모, 서각, 용연향, 백강잠, 별갑, 우황 등의 종자류와 갈근, 고삼, 파극천, 괄루근, 시호, 현삼, 길경, 단삼, 홍아대극, 당귀, 우슬, 황기, 울금, 원지, 인삼, 자근, 목향, 자원, 적작, 백미, 전호, 지유, 백작, 지황, 진교, 산두근, 방풍, 천문동, 서양삼, 백부, 초오두, 속단, 백지, 하수오, 오약, 삼칠, 홍삼, 당삼, 세신, 황금, 맥문동, 광방이, 용담 등의 전초류 및 가자, 백질려, 대복피, 괄루, 복분자, 대추, 괴각, 사군자, 마두령, 구기자, 사상자, 만형자, 귤피, 산사자, 맥아, 목과, 산수유, 오미자, 백두구, 산치자, 오수유, 팔각회향, 석련자, 용안육, 필발, 시제, 우방자, 호초, 여정자, 익지인, 화초, 연교, 자소자, 회향, 오매, 창이자, 충위자, 천련자 등 수지류 및 기타류 그리고, 가채자, 마전자, 피마자, 겨자, 목별자, 빈랑자, 검실, 백과, 산조인, 견우자, 백편두, 송자인, 결명자, 보골지, 아마인, 담두시, 축사, 육두구, 대풍자, 파두, 의이인, 도인, 토사자, 차전자, 동과자, 행인, 천금자, 마자인, 호로파, 호마자 등의 동물류와 노감석, 주사, 용골, 대자석, 활석, 우여량, 망초, 석고, 적석지, 명반 등의 광물류 및 뇌환, 복령, 동충하초, 저령, 해인초 등의 은화식물류 등 다양한 종류의 약재를 우린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시킨 커피콩을 분쇄하지 않고, 상기 선택한 용매를 이용하여, 장시간 달여서 추출하는 단계에서, 당류를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커피를 필터링하는 단계에서, 상기 추출한 커피를 필터링한 이후에, 당류를 첨가하여 숙성 및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방법.
  13. 제1항과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커피를 필터링하는 단계에서, 상기 추출한 커피를 필터링한 이후에, 당류를 첨가하여 숙성 및 발효시킨 다음, 농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방법.
KR1020170019976A 2017-02-14 2017-02-14 커피 추출 방법 KR201800936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976A KR20180093622A (ko) 2017-02-14 2017-02-14 커피 추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976A KR20180093622A (ko) 2017-02-14 2017-02-14 커피 추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622A true KR20180093622A (ko) 2018-08-22

Family

ID=63453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976A KR20180093622A (ko) 2017-02-14 2017-02-14 커피 추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362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190B1 (ko) * 2019-07-24 2020-01-31 김주현 침향 및 그라비올라 커피의 제조방법
KR20200030886A (ko) * 2018-09-13 2020-03-23 양명숙 기능성 발효 더치커피의 제조방법
KR20220114786A (ko) * 2021-02-09 2022-08-17 박시영 기능성 국화커피차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26000A (ko) 2021-03-08 2022-09-15 박현덕 침향을 함유한 커피차 조성물
KR20220125999A (ko) 2021-03-08 2022-09-15 박현덕 대마씨를 함유한 커피차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886A (ko) * 2018-09-13 2020-03-23 양명숙 기능성 발효 더치커피의 제조방법
KR102072190B1 (ko) * 2019-07-24 2020-01-31 김주현 침향 및 그라비올라 커피의 제조방법
KR20220114786A (ko) * 2021-02-09 2022-08-17 박시영 기능성 국화커피차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26000A (ko) 2021-03-08 2022-09-15 박현덕 침향을 함유한 커피차 조성물
KR20220125999A (ko) 2021-03-08 2022-09-15 박현덕 대마씨를 함유한 커피차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3622A (ko) 커피 추출 방법
US9380799B2 (en) Roasted mix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a beverage using same
KR20180122903A (ko) 잼 제조 방법
Yashaswini et al. Noni: a new medicinal plant for the tropics
Mishra et al. Development of vitamin C rich value added beverage
JP2001095529A (ja) アロエミネラルによる機能性食品
KR20180092534A (ko) 식초 제조 방법
Sridhar et al. Plant-based ethnic knowledge on food and nutrition in the Western Ghats
KR20200056256A (ko) 벼의 가공 방법
KR20190021998A (ko) 미강의 가공 방법
KR20180112400A (ko) 현미의 가공 방법
KR20190013180A (ko) 식초 제조 방법
KR20210025441A (ko) 커피 가공 방법
KR20030008099A (ko) 항암성분을 지닌 약초김치 제조방법
RU2406377C1 (ru) Способ выработки компота из персиков
KR20190059579A (ko) 왕겨의 가공 방법 및 그 가공물
KR20230042610A (ko) 왕겨차 제조 방법
KR20210055115A (ko) 쌀의 가공 방법
KR20190042149A (ko) 현미의 가공 방법
KR20230043012A (ko) 왕겨 추출물 제조 방법
Mitra et al. Origin, history, composition and processing.
CN107535656A (zh) 一种基于赶黄草全株配方及其制作方法
KR20230044344A (ko) 왕겨차 제조 방법
KR20230121945A (ko) 왕겨를 이용한 커피콩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물
KR20220131564A (ko) 쌀차의 가공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