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1751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1751A
KR20180091751A KR1020180014043A KR20180014043A KR20180091751A KR 20180091751 A KR20180091751 A KR 20180091751A KR 1020180014043 A KR1020180014043 A KR 1020180014043A KR 20180014043 A KR20180014043 A KR 20180014043A KR 20180091751 A KR20180091751 A KR 20180091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ock
portions
engaging portion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시 히라카와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1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는, 배선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리셉터클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에 장착되며, 상대 커넥터인 플러그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 상태를 보지하는 로크 부재를 구비하고, 리셉터클 커넥터는 로크 부재에 결합 가능한 커넥터 결합부를 갖고, 로크 부재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장착되었을 때에,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 맞추어져 있는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본체부와, 리셉터클 커넥터 및 본체부의 사이에 플러그 커넥터가 개재된 상태에서, 커넥터 결합부에 결합 가능한 로크 결합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개시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기판에 실장된 전기 커넥터끼리의 접속에 있어서는, 한쪽의 전기 커넥터의 도전 콘택트와 상대방이 되는 전기 커넥터의 도전 콘택트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속 상태를 강고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예컨대 특허문헌 1(일본 특허 공개 제 2016-167467 호 공보)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서는, 한쪽의 전기 커넥터의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수입부(受入部)와 다른쪽의 전기 커넥터의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끼워 맞춤부가 끼워 맞추어지는 것에 의해, 전기 커넥터끼리를 접속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6-167467 호 공보
그렇지만, 기판에 실장된 전기 커넥터끼리를 단순히 끼워 맞추는 것만으로는, 충분히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개시는 접속 상태를 강고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를 설명한다.
본 개시의 하나의 관점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제 1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커넥터와, 해당 제 1 커넥터에 장착되며, 제 1 커넥터 및 상대 커넥터인 제 2 커넥터의 끼워 맞춤 상태를 보지하는 로크 부재를 구비하고, 제 1 커넥터는 로크 부재에 결합 가능한 커넥터 결합부를 갖고, 로크 부재는, 제 1 커넥터에 장착되었을 때에, 제 1 커넥터에 끼워 맞추어져 있는 제 2 커넥터를 제 1 커넥터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본체부와, 제 1 커넥터 및 본체부의 사이에 제 2 커넥터가 개재된 상태에서, 커넥터 결합부에 결합 가능한 로크 결합부를 갖는다.
본 개시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서는, 로크 부재의 본체부와 제 1 커넥터의 사이에, 제 1 커넥터에 끼워 맞추어져 있는 제 2 커넥터가 개재된 상태에서, 로크 부재의 로크 결합부와 제 1 커넥터의 커넥터 결합부가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2 커넥터를 개재한 상태에서, 로크 부재와 제 1 커넥터가 접속되게 되어,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를 단순히 끼워 맞추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는 복수의 도전성의 콘택트를 갖고, 복수의 콘택트의 배열 방향의 양단의 각각에 커넥터 결합부를 갖고, 로크 부재는, 본체부의 양단의 각각에, 커넥터 결합부에 결합 가능한 로크 결합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양단의 각각에 마련된 결합부끼리 결합되는 것에 의해, 제 1 커넥터와 로크 부재가 보다 강한 힘으로 접속되게 되어,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보다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체부는, 제 1 커넥터에 장착되었을 때에, 제 2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기판을 제 1 커넥터와의 사이에 개재하고, 로크 결합부와 커넥터 결합부가 결합하는 것보다도 먼저 제 2 기판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접촉부가 제 2 기판에 접촉한 상태에서, 로크 결합부가 커넥터 결합부와의 결합 위치에 배치되도록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로크 부재에 있어서, 본체부가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로크 결합부가 커넥터 결합부에 결합되게 된다. 이것으로, 장력을 가한 상태의 로크 결합부를 커넥터 결합부에 결합시킬 수 있어서, 제 1 커넥터와 로크 부재가 보다 강한 힘으로 접속되게 된다. 그 결과,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보다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접촉부의 두께는 본체부에 있어서의 접촉부 이외의 두께보다 두꺼워도 좋다. 이에 의해, 접촉부를 제 2 기판에 접촉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이것으로, 로크 결합부와 커넥터 결합부의 결합 전에 접촉부를 제 2 기판에 접촉시키고, 접촉한 상태에서 탄성부를 탄성 변형시키는, 상술한 구성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접촉부는, 본체부에 있어서의, 한쌍의 로크 결합부의 대향 방향의 적어도 중앙 부분에 마련되어 있으며, 탄성부는, 본체부에 있어서의, 한쌍의 로크 결합부의 대향 방향으로 접촉부를 개재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한쌍의 로크 결합부의 대향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부분에서, 탄성부와 로크 결합부가 근접하여 마련되게 된다. 양단에 마련된 탄성부가 탄성 변형되는 것에 의해, 양단의 로크 결합부에 적절하게 장력을 가할 수 있어서,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보다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체부는, 제 1 커넥터에 장착되었을 때에, 제 2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기판을 제 1 커넥터와의 사이에 개재하고, 로크 부재는 제 2 기판에 따른 로크 결합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추가로 갖고, 로크 결합부는 가이드부의 가이드에 따라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커넥터 결합부와 결합해도 좋다. 이에 의해 로크 결합부를, 제 2 기판에 따른 방향, 즉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의 끼워 맞춤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커넥터 결합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의 끼워 맞춤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로크 결합부를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결합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보다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로크 부재는, 로크 결합부와 커넥터 결합부가 결합한 상태에서, 로크 결합부가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로크 결합부의 추가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추가로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로크 결합부가 커넥터 결합부와의 결합 위치를 넘어 이동하는 것이 억제되어, 커넥터 결합부에 대한 로크 결합부의 위치 결정을 적절히 실행할 수 있다.
가이드부는, 로크 결합부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쌍의 커넥터 결합부의 대향 방향에서 커넥터 결합부를 개재하는 한쌍의 벽부를 갖고, 벽부는 커넥터 결합부를 향해 돌출한 돌기부를 갖고, 커넥터 결합부는 로크 결합부와 커넥터 결합부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돌기부가 끼워지는 오목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돌기부가 오목부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커넥터 결합부에 대한 로크 결합부의 위치 결정을 적절히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작업자에게 클릭감을 줄 수 있어서, 작업자에 대해 로크 부재가 제 1 커넥터에 결합된 것을 감지하게 할 수 있다.
로크 결합부에 있어서의 로크 결합부가 이동하는 방향의 길이는 본체부에 있어서의 로크 결합부가 이동하는 방향의 길이보다 짧아도 좋다. 로크 결합부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에 의해, 가이드부에 따른 로크 결합부의 이동거리를 짧게 할 수 있어서, 한정된 공간에서도 제 1 커넥터에 대한 로크 부재의 장착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로크 결합부는 로크 부재에 있어서의 로크 결합부가 이동하는 방향의 후단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후단에 배치된 로크 결합부의 길이만큼 로크 결합부를 이동시키면 좋게 되며, 보다 한정된 공간에서 제 1 커넥터에 대한 로크 부재의 장착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기판은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에 제 2 커넥터를 실장하고 있으며, 로크 결합부는, 가이드부의 가이드에 따라서, 제 2 기판의 연장 방향으로서, 연장 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해도 좋다. 이에 의해, 로크 부재에 있어서의 제 2 기판이 연장되는 타단에, 로크 결합부가 배치되게 된다. 예컨대, 제 2 기판이 FPC(Flexible Printed Circuits)로 된 경우 등에는, 제 2 기판의 타단이 들어 올려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로크 부재에 대하여, 들어 올려진 제 2 기판에 의해 충격에 의한 발거력(拔去力)이 가해질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하여, 로크 부재에 있어서의 로크 결합부의 위치가 제 2 기판의 연장 방향의 타단이 됨으로써, 이러한 충격에 따른 발거에 의해 제 1 커넥터로부터 로크 부재가 착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체부는, 로크 결합부와 커넥터 결합부의 결합이 완료되기 전에 제 2 기판에 접촉하는 제 1 접촉부와, 로크 결합부와 커넥터 결합부의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에 제 2 기판에 접촉하는 제 2 접촉부를 갖고, 제 2 접촉부의 두께는 제 1 접촉부의 두께보다 두꺼워도 좋다. 결합이 완료되기 전 단계, 즉 제 1 커넥터에 대해 로크 부재가 이동하는 상태에서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제 1 접촉부가 제 2 기판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로크 부재의 부드러운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결합이 완료된 단계에서는,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제 2 접촉부가 제 2 기판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결합시에 있어서의 본체부에 의한 제 2 기판의 가압을 적절하게 실행할 수 있다.
제 1 접촉부는, 로크 결합부가 이동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두꺼워지도록 경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이동 개시시에는 제 1 접촉부에 의한 제 2 기판에의 가압력을 작게 하고, 이동이 진행됨에 따라서 서서히 제 1 접촉부에 의한 제 2 기판에의 가압력을 크게 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로크 부재의 이동이 보다 부드러워져서, 제 1 커넥터에 대한 로크 부재의 이동을 보다 적절하게 실행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는 제 1 기판에의 고정에 이용하는 고정 금구를 추가로 갖고, 로크 결합부 및 커넥터 결합부는 모두 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고정 금구는 커넥터 결합부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어도 좋다. 제 1 커넥터를 제 1 기판에 고정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고정 금구를 커넥터 결합부의 일부로서도 기능시키는 것에 의해, 커넥터 결합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서, 로크 결합부와 커넥터 결합부의 결합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다.
본체부에는, 로크 결합부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관통 구멍으로부터, 로크 결합부와 커넥터 결합부의 결합이 적절히 실행되어 있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는 제 2 커넥터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이며, 제 2 커넥터는 수용부에 수용됨으로써 제 1 커넥터에 끼워 맞추어지는 플러그 커넥터라도 좋다. 이에 의해, 로크 부재를 이용하여, 기판에 실장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하면, 접속 상태를 강고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전기 커넥터의 장착 순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워 맞춤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워 맞춤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c)는 로크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d)는 로크 부재를 장착한 상태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전기 커넥터에 포함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저면도, (d)는 사시도, (e)는 (d)와 상이한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전기 커넥터에 포함되는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저면도, (d)는 사시도, (e)는 (d)와 상이한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5는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끼워 맞춤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사시도, (d)는 (a)의 (d)-(d)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전기 커넥터에 포함되는 로크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저면도, (d)는 (a)의 (d)-(d)선에 따른 단면도, (e)는 사시도, (f)는 (e)와 상이한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7은 로크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저면도, (c)는 (a)의 (c)-(c)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8은 기판에 실장된 전기 커넥터끼리의 종래의 접속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전기 커넥터의 끼워 맞춤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전기 커넥터의 끼워 맞춤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전기 커넥터에 포함되는 로크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저면도, (d)는 (b)의 (d)-(d)선에 따른 단면도, (e)는 사시도, (f)는 (e)와 상이한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11은 로크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저면도, (c)는 (a)의 (c)-(c)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이하에 설명하는 본 개시에 따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므로, 본 발명은 이하의 내용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전기 커넥터의 개요)
도 1 및 도 2의 (a) 내지 (d)를 참조하여, 전기 커넥터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의 (a) 내지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는, 리셉터클 커넥터(10)(제 1 커넥터)와, 해당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장착되며,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70)(제 2 커넥터)의 끼워 맞춤 상태를 보지하는 로크 부재(30)를 구비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0)는 배선 기판(50)(제 1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70)는 배선 기판(50)과는 다른 배선 기판(90)(제 2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도 2의 (a) 참조). 배선 기판(90)은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에 리셉터클 커넥터(10)를 납땜 접속 등에 의해 실장하고 있다. 전기 커넥터(1)는 배선 기판(50, 90)끼리를 서로 접속하는, 이른바 기판 대 기판 접속에 이용되는 커넥터이다. 배선 기판(50, 90)으로서는 전자 회로를 탑재하는 각종 기판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선 기판(50)이 프린트 배선 기판, 배선 기판(90)이 FPC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2의 (a) 내지 도 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의 장착 순서로서는, 최초에, 배선 기판(50)에 실장된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하여, 배선 기판(90)에 실장된 플러그 커넥터(70)를 끼워 맞추게 한다(도 2의 (a) 및 도 2의 (b) 참조). 이어서, 플러그 커넥터(70) 및 배선 기판(90)을, 리셉터클 커넥터(10)와의 사이에 개재하도록 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로크 부재(30)를 장착한다(도 2의 (b) 및 도 2의 (c) 참조).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로크 부재(3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도 2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커넥터 결합부(11)와, 로크 부재(30)의 로크 결합부(33)(후술)가 결합한다. 이로써, 로크 부재(30)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70)에 대하여, 끼워 맞춤 방향의 힘이 가해지게 되어,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70)의 끼워 맞춤 상태(접속 상태)가 강고하게 유지된다. 플러그 커넥터(70)가 리셉터클 커넥터(10)와 끼워 맞추어지는 것에 의해, 배선 기판(50)의 전극에 접속된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도전 단자(13)(도 3의 (a) 참조)와, 배선 기판(90)의 전극에 접속된 플러그 커넥터(70)의 도전 단자(72)(도 4의 (a) 참조)가 접촉하여, 배선 기판(50, 90)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전기 커넥터(1)는 배선 기판(50, 90)을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70)의 끼워 맞춤 방향을 「Z 방향」, Z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인,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로크 부재(30)의 길이 방향을 「Y 방향」, Z 방향 및 Y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인,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로크 부재(30)의 폭 방향을 「X 방향」으로 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
다음에,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설명에 있어서, Z 방향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10)를 기준으로 한 배선 기판(50)측을 「아래」, 그 반대측을 「위」로 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는, 도 3의 (a) 내지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70)를 수용 가능한 수용 오목부(V)(수용부)를 갖는 커넥터이다. 리셉터클 커넥터(10)는, 하우징(12)과, 복수의 도전 단자(13)(복수의 도전성의 콘택트)를 갖는다. 하우징(12)은, 본체부(14)와, 본체부(14)에 있어서의 Y 방향의 양단부에 연속하여 마련된 고정부(29, 29)를 갖는다. 최초에, 하우징(12)의 본체부(14), 및 복수의 도전 단자(13)에 대해 설명하고, 이어서, 고정부(29)에 대해 설명한다.
본체부(14)는 수지를 포함한 절연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14)는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본체부(14)는 저벽부(15)와 측벽부(16 내지 19)와 중앙 벽부(20)를 갖는다.
저벽부(15)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내는 판상체이다. 저벽부(15)는, 도전 단자(13)가 마련된 영역에서, 도전 단자(13)의 형상에 따른 크기의 관통 구멍(15a)을 갖는다(도 3의 (e) 참조). 즉, 저벽부(15)에는, Z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5a)이 도전 단자(13)의 수만큼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16 내지 19)는 각각 저벽부(15)에 대해 직립한 상태로 저벽부(15) 상에 마련되어 있다. 측벽부(16, 17)는 각각 저벽부(15)의 각 장변 근방에 위치하며 해당 장변을 따라서 Y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측벽부(18, 19)는 각각 저벽부(15)의 각 단변 근방에 위치하며 해당 단변을 따라서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측벽부(16, 17)끼리는 서로 대향하고 있으며, 측벽부(18, 19)끼리는 서로 대향하고 있다.
중앙 벽부(20)는 저벽부(15)에 대해 직립한 상태로 저벽부(15) 상에 마련되어 있다. 중앙 벽부(20)는, 측벽부(16 내지 19)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측벽부(16 내지 19)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다. 중앙 벽부(20)는 저벽부(15)의 장변을 따라서 Y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중앙 벽부(20)는 측벽부(16, 17)와 대향하고 있다. 저벽부(15)와 측벽부(16 내지 19)와 중앙 벽부(20)로 둘러싸이는 공간에 의해, 수용 오목부(V)가 형성되어 있다(도 3의 (d) 참조). 따라서, 수용 오목부(V)는 사각 환상을 나타내고 있다. 수용 오목부(V)는 플러그 커넥터(70)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복수의 도전 단자(13)(본 실시형태에서는 10개의 도전 단자(13))는 측벽부(16)에 장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측벽부(16)에는 복수의 도전 단자(13)가 그 연장 방향(Y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어 있다. 측벽부(17)에도 마찬가지로 복수의 도전 단자(13)(본 실시형태에서는 10개의 도전 단자(13))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도전 단자(13)의 구성은 서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측벽부(16)에 있어서의 도전 단자(13)에 대해 설명하고, 측벽부(17)에 있어서의 도전 단자(13)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전 단자(13)는 판상의 도전 재료(예컨대 금속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전 단자(13)는, 기단부(13a)와, 중간부(13b)와, 접촉부(13c)를 갖는다(도 3의 (a) 내지 (e), 및 도 5의 (d) 참조). 기단부(13a)는 저벽부(15)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측벽부(16)로부터 외측을 향해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단부(13a)는, 리셉터클 커넥터(10)가 배선 기판(50)에 실장될 때에, 배선 기판(50)의 전극(도시하지 않음)과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중간부(13b)는 기단부(13a)에 연속하는 동시에, 상방을 향해 측벽부(16)를 따라서 Z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중간부(13b)는 측벽부(16)에 형성된 홈(16a)(도 3의 (d) 참조)에 대해 압입에 의해 고정되는 부분이다. 접촉부(13c)는 중간부(13b)에 연속하는 동시에, 수용 오목부(V) 내에 위치하며, 플러그 커넥터(70)의 도전 단자(72)의 접촉부(72b)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접촉부(13c)에 있어서의 중간부(13b)에 연속하는 측과 반대측의 단부는 중앙 벽부(20)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5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부(13c)는 중간부(13b)에 연속하는 측, 및 중앙 벽부(20)의 근방의 2개소에서, 플러그 커넥터(70)의 측벽부(74)에 배치된 도전 단자(72)의 각각의 접촉부(72b)와 접촉되어 있다.
고정부(29, 29)는 본체부(14)에 있어서의 Y 방향의 양단부, 즉 측벽부(18) 및 측벽부(19)에 연속하여 마련된 부분이다. 측벽부(18) 및 측벽부(19)의 Y 방향 외측(Y 방향에서 본체부(14)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마련된 고정부(29, 29)의 구성은 서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측벽부(19)의 Y 방향 외측에 마련된 고정부(29)에 대해 설명하고, 측벽부(18)의 Y 방향 외측에 마련된 고정부(29)의 설명을 생략한다.
고정부(29)는, 하우징(12)의 본체부(14)의 단부에 연속하여 일체 성형된 베이스부(21)와, 베이스부(21)의 상부를 덮는 동시에 배선 기판(50)에 고정되는 고정 금구(22)를 갖는다. 베이스부(21)는 하우징(12)과 일체 성형되어 있으며, 수지를 포함한 절연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부(21)는, 측벽부(19)에 연속하여 마련되며 대략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는 연장부(23)와, 연장부(23)의 상단부(23b)로부터 Y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돌출편(24)을 갖는다. 돌출편(24) 및 고정 금구(22)는 커넥터 결합부(11)의 일부를 구성한다.
연장부(23)는 측벽부(19)의 X 방향 중앙 부분에 연속하여 마련되어 있고, 저면(23a)이 저벽부(15)와 대략 면일(面一)하게 연속하며(도 3의 (c) 참조), 고정 금구(22)가 장착되도록 높이가 측벽부(19)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도 3의 (b) 참조). 연장부(23)는 저면(23a)에 있어서의 X 방향의 길이가 상단부(23b)에 있어서의 X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도 3의 (e) 참조).
돌출편(24)은 연장부(23)의 상단부(23b)의 X 방향 대략 전체 길이로부터 Y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부분이다(도 3의 (e) 참조). 돌출편(24)의 하면(24x)(도 3의 (c) 참조)은,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커넥터 결합부(11)와 로크 부재(30)의 로크 결합부(33)(도 4 참조)와의 결합시에, 로크 결합부(33)의 돌출부(33b)(도 6의 (d) 참조)의 상면(33x)과 접촉한다. 돌출편(24)에 있어서의 X 방향 대략 중앙 부분에는, Y 방향 내측(Y 방향에서 본체부(14)의 중심에 근접하는 측)으로 오목한 오목부(24a)(도 3의 (d)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금구(22)는 베이스부(21)의 상부를 덮는 동시에 배선 기판(50)에 고정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10)를 배선 기판(50)에 고정한다. 고정 금구(22)는, 예컨대, 박판상의 금속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고정 금구(22)는, 베이스부(21)를 덮는 커버부(22a)와, 커버부(22a)의 X 방향 양단에 연속하고, 배선 기판(50)을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어 배선 기판(50)의 표면에 접속되는 접속부(22b)를 갖는다. 커버부(22a)는 베이스부(21)를 구성하는 연장부(23)의 상면 및 돌출편(24)의 상면의 대략 전역을 덮고 있다. 커버부(22a)에 있어서의 돌출편(24)을 덮고 있는 선단부(22y)의 X 방향 대략 중앙 부분에는, Y 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22x)가 형성되어 있다(도 3의 (a) 참조). 오목부(22x)는 돌출편(24)의 오목부(24a)와 X 방향에 있어서의 형성 개소가 대략 일치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는 로크 부재(30)의 로크 결합부(33)에 결합 가능한 커넥터 결합부(11, 11)를 갖고 있다. 커넥터 결합부(11, 11)는 복수의 도전 단자(13)의 배열 방향인 Y 방향의 양단 각각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술한 돌출편(24)과, 고정 금구(22)의 선단부(22y)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정 금구(22)는 커넥터 결합부(11)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
다음에, 도 4의 (a) 내지 (e)를 참조하여, 플러그 커넥터(70)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70)는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수용 오목부(V)에 수용되는 것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끼워 맞추어지는 커넥터이다. 플러그 커넥터(70)는 하우징(71)과 복수의 도전 단자(72)를 갖는다.
하우징(71)은 수지를 포함한 절연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71)은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하우징(71)은 저벽부(73)와 측벽부(74 내지 77)를 갖는다. 저벽부(73)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내는 판상체이다.
측벽부(74 내지 77)는 각각 저벽부(73)에 대해 직립한 상태로 저벽부(73) 상에 마련되어 있다. 측벽부(74 내지 77)는, 플러그 커넥터(70)가 리셉터클 커넥터(10)와 끼워 맞추어질 때에,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수용 오목부(V) 내에 수용된다. 그 때문에, 측벽부(74 내지 77)는 전체적으로 볼록 형상을 나타내는 끼워 맞춤 볼록부(W)를 구성하고 있다.
측벽부(74, 75)는 각각 저벽부(73)의 각 장변 근방에 위치하며, 해당 장변을 따라서 Y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측벽부(76, 77)는 각각 저벽부(73)의 각 단변 근방에 위치하며, 해당 단변을 따라서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측벽부(74, 75)끼리는 서로 대향하고 있으며, 측벽부(76, 77)끼리는 서로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끼워 맞춤 볼록부(W)는 사각 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사각 통 형상을 나타내는 끼워 맞춤 볼록부(W)의 내부 공간에는, 플러그 커넥터(70)가 리셉터클 커넥터(10)와 끼워 맞추어질 때에,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중앙 벽부(20)가 수용된다.
하우징(71)은 Y 방향의 양단부, 즉 측벽부(76, 77)의 근방에, 고정 금구(78, 78)를 추가로 갖는다. 측벽부(76) 및 측벽부(77)의 근방에 마련된 고정 금구(78, 78)의 구성은 서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측벽부(77)의 근방에 마련된 고정 금구(78)에 대해 설명하고, 측벽부(76)의 근방에 마련된 고정 금구(78)의 설명을 생략한다.
고정 금구(78)는, 예컨대 금속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고정 금구(78)는, 측벽부(77)를 덮는 커버부(78a)와, 배선 기판(90)의 표면에 접속되는 접속부(78b)를 갖는다. 접속부(78b)는, Y 방향에 있어서의 측벽부(77) 근방에서, 배선 기판(90)에 접속되는 면이 저벽부(73)와 대략 면일하게 되도록, 측벽부(74, 75)를 넘어 외측을 향해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복수의 도전 단자(72)(본 실시형태에서는 10개의 도전 단자(72))는 측벽부(74)에 장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측벽부(74)에는 복수의 도전 단자(72)가 Y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어 있다. 측벽부(75)에도 마찬가지로 복수의 도전 단자(72)(본 실시형태에서는 10개의 도전 단자(72))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도전 단자(72)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측벽부(74)에 있어서의 도전 단자(72)에 대해 설명하고, 측벽부(75)에 있어서의 도전 단자(72)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전 단자(72)는 판상의 도전 재료(예컨대 금속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전 단자(72)는 기단부(72a)와 접촉부(72b)와 고정부(72c)를 갖는다(도 4의 (a) 내지 (e), 및 도 5의 (d) 참조). 기단부(72a)는, 저벽부(73)의 근방에서, 배선 기판(90)에 접속되는 면이 저벽부(73)와 대략 면일하게 되도록, 측벽부(74)로부터 외측을 향해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단부(72a)는, 플러그 커넥터(70)가 배선 기판(90)에 실장될 때에, 배선 기판(90)의 전극(도시하지 않음)과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접촉부(72b)는, 기단부(72a)에 있어서의 X 방향 내측(측벽부(74)의 내벽면측)의 단부에 연속하는 동시에, 측벽부(74)의 내벽면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으며,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도전 단자(13)의 접촉부(13c)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도 5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부(72b)는 측벽부(74)의 형상을 따르도록 해서 내벽면으로부터 외벽면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측벽부(74)의 내벽면 및 외벽면의 2개소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도전 단자(13)의 접촉부(13c)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고정부(72c)는, 접촉부(72b)의 외벽면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측벽부(74)의 외벽면을 따라서 저벽부(73)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단부가 측벽부(74) 내에 매설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끼워 맞춤 상태)
다음에, 도 5의 (a) 내지 (d)를 참조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70)의 끼워 맞춤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의 (a) 내지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70)가 리셉터클 커넥터(10)와 끼워 맞추어질 때에는,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수용 오목부(V)에, 플러그 커넥터(70)의 측벽부(74 내지 77)로 구성되는 끼워 맞춤 볼록부(W)가 수용된다. 해당 끼워 맞춤시에 있어서, 사각 통 형상을 나타내는 끼워 맞춤 볼록부(W)의 내부 공간에,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중앙 벽부(20)(도 3의 (d) 참조)가 수용된다.
플러그 커넥터(70)가 리셉터클 커넥터(10)와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70)의 도전 단자(72)의 접촉부(72b)(도 4의 (d) 참조)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도전 단자(13)의 접촉부(13c)(도 3의 (a) 참조)가 접촉함으로써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로크 부재)
다음에, 로크 부재(30)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로크 부재(30)의 설명에 있어서, 도 2의 (a) 내지 (d)에 도시하는 Z 방향에 있어서의, 로크 부재(30)를 기준으로 한 배선 기판(50)측을 「아래」, 그 반대측을 「위」로 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로크 부재(30)는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장착되며, 상대 커넥터인 플러그 커넥터(70)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끼워 맞춤 상태를 보지하는 부재이다. 로크 부재(30)는, 도 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70)의 끼워 맞춤 후에, 리셉터클 커넥터(10)와의 사이에, 배선 기판(90) 및 플러그 커넥터(70)를 개재한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장착된다. 로크 부재(30)는 수지를 포함한 절연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로크 부재(30)는, 도 6의 (a) 내지 (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내는 판상체인 본체부(31)와, 본체부(31)의 네 모서리에 마련된 레그부(32a 내지 32d)와, 본체부(31)의 Y 방향 양단부에 마련된 로크 결합부(33, 33)를 갖는다.
본체부(31)는, 로크 부재(30)가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장착되었을 때에,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끼워 맞추어져 있는 플러그 커넥터(70), 및 플러그 커넥터(70)가 납땜 접속 등에 의해 실장되며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 기판(90)을, 리셉터클 커넥터(10)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부분이다. 본체부(31)는, 본체부(3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Y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 마련된 접촉부(34)와, Y 방향에서 접촉부(34)를 개재하는 위치(본체부(31)의 양단)에 마련된 탄성부(35, 35)를 갖는다.
접촉부(34)는, 리셉터클 커넥터(10)에의 로크 부재(30)의 장착시에, 로크 결합부(33)와 커넥터 결합부(11)가 결합하는 것보다도 먼저, 배선 기판(90)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10)가 실장되는 면과 반대의 면인 이면(90b)(도 7의 (a) 참조)에 접촉하는 부분이다(상세는 후술). 접촉부(34)의 두께는, 본체부(31)에 있어서의 접촉부(34) 이외의 부분, 즉 탄성부(35)의 두께보다 두껍다(도 6의 (f) 참조).
탄성부(35, 35)는, 접촉부(34)가 배선 기판(90)의 이면(90b)에 접촉한 상태에서, 로크 결합부(33)가 커넥터 결합부(11)와의 결합 위치에 배치되도록 탄성 변형되는 부분이다(상세는 후술). 탄성부(35)는 접촉부(34)보다 두께가 얇고, 탄성 변형 가능한 두께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로크 부재(30)는, 접촉부(34)와 배선 기판(90)의 이면(90b)(도 7의 (a) 참조)이 단순히 접촉한 상태에서는, 로크 결합부(33)를 커넥터 결합부(11)에 대해 결합시킬 수 없으며, 탄성부(35)를 휘어지게 하도록 하방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비로소 로크 결합부(33)와 커넥터 결합부(11)의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탄성부(35)가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로크 결합부(33)가 커넥터 결합부(11)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장력을 일으키게 한 상태에서, 확실히 로크 상태로 할 수 있다.
레그부(32a 내지 32d)는 본체부(31)의 네 모서리에 마련되고, 탄성부(35)의 하면(35a)(리셉터클 커넥터(10)에 장착되었을 때에 배선 기판(90)과 대향하는 면)(도 6의 (f) 참조)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레그부(32a 내지 32d)의 하단은, 로크 부재(30)가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장착된 상태에서, 배선 기판(50)(도 1 참조)의 표면(리셉터클 커넥터(10)의 실장면)에 근접해 있다. 레그부(32a, 32b)는 본체부(31)의 Y 방향 일단측에 마련되어 있으며, 레그부(32c, 32d)는 본체부(31)의 Y 방향 타단측에 마련되어 있다.
로크 결합부(33, 33)는,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본체부(31)의 사이에 플러그 커넥터(70)가 개재된 상태에서, 커넥터 결합부(11)에 결합 가능한 부분이다. 로크 결합부(33, 33)는 본체부(31)의 Y 방향 양단(즉, 탄성부(35))에 마련되어 있다. 한쪽의 로크 결합부(33)는 레그부(32a, 32b)에 개재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다른쪽의 로크 결합부(33)는 레그부(32c, 32d)에 개재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본체부(31)의 Y 방향 양단에 마련된 로크 결합부(33, 33)의 구성은 서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레그부(32c, 32d)에 개재되는 위치에 마련된 로크 결합부(33)에 대해 설명하며, 레그부(32a, 32b)에 개재되는 위치에 마련된 로크 결합부(33)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결합부(33)는, 탄성부(35)의 하면(35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3a)와, 연장부(33a)의 하단으로부터 다른쪽의 로크 결합부(33)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33b)를 갖는다. 돌출부(33b)의 상면(33x)은, 로크 결합부(33)와 커넥터 결합부(11)의 결합시에, 커넥터 결합부(11)의 돌출편(24)의 하면(24x)과 접촉한다(도 7의 (c) 참조).
본체부(31)에는, 또한, 로크 결합부(33)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관통 구멍(36, 36)이 형성되어 있다(도 6의 (a) 참조). 즉, 관통 구멍(36, 36)은 본체부(31)에 있어서의 Y 방향의 양단부인 탄성부(35, 35)에 형성되어 있다.
(로크 부재의 장착 상태)
다음에, 도 1 및 도 7의 (a) 내지 (c)를 참조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로크 부재(30)를 장착한 상태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7의 (a) 내지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30)가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로크 부재(30)의 접촉부(34)가 배선 기판(90)의 이면(90b)에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부(35, 35)가 아래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에 의해(탄성 변형의 상태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음), 로크 부재(30)의 로크 결합부(33, 33)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커넥터 결합부(11, 11)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 1 및 도 7의 (a) 내지 (c)에서 도시하고 있지 않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로크 부재(30)가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로크 부재(30)의 Y 방향 양단의 탄성부(35, 35)가 하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있기 때문에, 로크 부재(30)는 전체적으로 Y 방향 중앙부를 정점으로 한 산 형상이 된다.
또한, 로크 부재(30)는,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70)가 완전히 끼워 맞추어져 있는 상태(끼워 맞춤이 완료되지 않은, 소위 「반 끼워 맞춤」이 아닌 상태)가 되고 비로소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장착 가능해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로크 부재(30)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반 끼워 맞춤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30)가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로크 결합부(33, 33)가 커넥터 결합부(11, 11)의 외측(Y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로크 결합부(33, 33)의 돌출부(33b)와 커넥터 결합부(11, 11)의 돌출편(24)이 결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로크 결합부(33)와 커넥터 결합부(11)는, 돌출부(33b)의 상면(33x)이 돌출편(24)의 하면(24x)과 접촉하도록 하여 결합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
다음에, 상술한 전기 커넥터(1)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최초에, 도 8의 (a) 및 (b)을 참조하여, 기판에 실장된 전기 커넥터끼리의 종래의 접속 구성을 설명한다. 도 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접속 구성에서는, 배선 기판(50)에 실장된 리셉터클 커넥터(110)의 수용 오목부(VX)에 대하여, 배선 기판(90)에 실장된 플러그 커넥터(170)가 수용되는 것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10)와 플러그 커넥터(170)가 끼워 맞추어져서, 기판에 실장된 전기 커넥터끼리가 접속된다. 이러한 접속 구성에서는, 예컨대, 배선 기판(90)이 FPC 등의 비교적 부드러운 기판인 경우 등에,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선 기판(90)에 대하여, Z 방향을 따른 발거력뿐만 아니라, 배선 기판(90)의 단부가 들어 올려지는 것 등에 의해 생기는 경사 방향의 발거력(충격에 의한 발거력)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단순히, 수용 오목부(VX)에 플러그 커넥터(170)가 수용되는 것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10)와 플러그 커넥터(170)가 끼워 맞추어져서, 전기 커넥터끼리를 접속시키고 있는 구성에서는, 충분히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에 반하여,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는, 배선 기판(50)에 납땜 접속 등에 의해 실장되며, 전기적으로 접속된 리셉터클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장착되며,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상대 커넥터인 플러그 커넥터(70)의 끼워 맞춤 상태를 보지하는 로크 부재(30)를 구비하고, 리셉터클 커넥터(10)는 로크 부재(30)에 결합 가능한 커넥터 결합부(11, 11)를 갖고, 로크 부재(30)는,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장착되었을 때에,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끼워 맞추어져 있는 플러그 커넥터(70)를 리셉터클 커넥터(10)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본체부(31)와,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본체부(31)의 사이에 플러그 커넥터(70)가 개재된 상태에서, 커넥터 결합부(11)에 결합 가능한 로크 결합부(33, 33)를 갖는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에서는, 로크 부재(30)의 본체부(31)와 리셉터클 커넥터(10) 사이에,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끼워 맞추어져 있는 플러그 커넥터(70)가 개재된 상태에서, 로크 부재(30)의 로크 결합부(33, 33)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커넥터 결합부(11, 11)가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70)를 개재한 상태에서, 로크 부재(30)와 리셉터클 커넥터(10)가 접속되게 된다. 이것으로, 로크 부재(30)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70)에 대하여, 끼워 맞춤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힘(장력)이 작용한다. 그 결과,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70)를 단순히 끼워 맞추는 경우와 비교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70)의 접속 상태를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로크 부재(30)의 장착처를, 리셉터클 커넥터(10)가 아닌 배선 기판(50)으로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장착처를 배선 기판(50)이 아닌 리셉터클 커넥터(10)로 하는 것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70)에 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직접적으로) 끼워 맞춤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의 힘(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는 복수의 도전 단자(13)를 갖고, 복수의 도전 단자(13)의 배열 방향인 Y 방향의 양단의 각각에, 커넥터 결합부(11, 11)를 갖고, 로크 부재(30)는 본체부(31)의 Y 방향 양단의 각각에, 커넥터 결합부(11, 11)에 결합 가능한 로크 결합부(33, 33)를 갖는다. 리셉터클 커넥터(10)와 로크 부재(30)의 각각의 양단에 마련된 결합부끼리 결합되는 것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0)와 로크 부재(30)가 보다 강한 힘으로 접속되게 되어,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70)의 접속 상태를 보다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체부(31)는,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장착되었을 때에, 플러그 커넥터(70), 및 플러그 커넥터(7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 기판(90)을, 리셉터클 커넥터(10)와의 사이에 개재하고, 로크 결합부(33, 33)와 커넥터 결합부(11, 11)가 결합하는 것보다도 먼저 배선 기판(90)의 이면(90b)에 접촉하는 접촉부(34)와, 접촉부(34)가 배선 기판(90)에 접촉한 상태에서, 로크 결합부(33, 33)가 커넥터 결합부(11, 11)와의 결합 위치에 배치되도록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35, 35)를 갖는다. 이에 의해, 로크 부재(30)에 있어서, 탄성부(35, 35)가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로크 결합부(33, 33)가 커넥터 결합부(11, 11)에 결합되게 된다. 이것으로, 장력이 가해진 상태의 로크 결합부(33, 33)를 커넥터 결합부(11, 11)에 결합시킬 수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10)와 로크 부재(30)가 보다 강한 힘으로 접속되게 되어,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70)의 접속 상태를 보다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로크 부재(30)는,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70)의 끼워 맞춤 후에, Z 방향 상측으로부터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장착된다. 즉, 커넥터끼리의 끼워 맞춤 방향과 로크 부재(30)의 장착 방향이 동일해진다. 이에 의해, 로크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접촉부(34)의 두께는 본체부(31)에 있어서의 접촉부(34) 이외의 부분, 즉 탄성부(35, 35)의 두께보다 두껍다. 이에 의해, 접촉부(34)를 배선 기판(90)에 접촉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이것으로, 로크 결합부(33, 33)와 커넥터 결합부(11, 11)의 결합 전에 접촉부(34)를 배선 기판(90)에 접촉시키고, 접촉한 상태에서 탄성부(35, 35)를 탄성 변형시키는, 상술한 구성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접촉부(34)는, 본체부(31)에 있어서의, 한쌍의 로크 결합부(33, 33)의 대향 방향(Y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 마련되어 있으며, 탄성부(35, 35)는, 본체부(31)에 있어서의, 한쌍의 로크 결합부(33, 33)의 대향 방향(Y 방향)으로 접촉부(34)를 개재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크 부재(30)에 있어서의 Y 방향 양단 부분에서 탄성부(35, 35)와 로크 결합부(33, 33)가 근접하여 마련되게 된다. Y 방향 양단에 마련된 탄성부(35, 35)가 탄성 변형되는 것에 의해, Y 방향 양단의 로크 결합부(33, 33)에 적절하게 장력을 가할 수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70)의 접속 상태를 보다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는 배선 기판(50)에의 고정에 이용하는 고정 금구(22, 22)를 추가로 갖고, 로크 결합부(33, 33) 및 커넥터 결합부(11, 11)는 모두 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고정 금구(22, 22)는 커넥터 결합부(11, 11)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를 배선 기판(50)에 고정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고정 금구(22, 22)를 커넥터 결합부(11, 11)의 일부로서도 기능시키는 것에 의해, 커넥터 결합부(11, 11)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서, 로크 결합부(33, 33)와 커넥터 결합부(11, 11)의 결합 상태를 보다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로크 결합부(33, 33)와 커넥터 결합부(11, 11)의 결합 개소에서는, 모두 수지로 구성된, 돌출부(33b)의 상면(33x)과 돌출편(24)의 하면(24x)이 접촉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결합 개소에서 서로 접촉하는 부재를 공통으로 하는 것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부재의 경도를 동일한 정도로 할 수 있어서, 부품의 깎임 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로크 부재(30)를 모두 수지로 구성하는 동시에, 커넥터 결합부(11, 11)의 일부를 고정 금구(22)로 하는 것에 의해, 결합 상태의 부재에 과도한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고정 금구(22)를 갖는 커넥터 결합부(11, 11)보다 먼저, 수지로 구성된 로크 부재(30)의 로크 결합부(33)가 파손되게 된다. 이에 의해, 비교적 고가인 리셉터클 커넥터(10)의 파손을 회피할 수 있다.
본체부(31)에는, 로크 결합부(33, 33)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관통 구멍(36, 36)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관통 구멍(36, 36)으로부터, 로크 결합부(33, 33)와 커넥터 결합부(11, 11)의 결합이 적절히 실행되어 있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A)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전기 커넥터의 개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A)에서는, 로크 부재(30A)가 배선 기판(90)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X 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하는 것에 의해, 로크 결합부(33A, 33A)가 커넥터 결합부(11, 11)와의 결합 위치에 배치된다. 배선 기판(90)은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90x)에 리셉터클 커넥터(10)를 실장하고 있다. 이 때문에, 로크 부재(30A)는 배선 기판(90)의 연장 방향의 타단(90y)으로부터 일단(90x)을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X 방향(배선 기판(9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90x)측을 「전」, 타단(90y)측을 「후」로 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로크 부재)
도 10의 (a) 내지 (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30A)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내는 판상체인 본체부(31A)와, 본체부(31A)의 Y 방향 양단부에 마련된 가이드부(37, 37)와, 본체부(31A)의 Y 방향 양단부에 마련된 로크 결합부(33A, 33A)를 갖는다. 또한, 로크 부재(30A)의 설명에 있어서, 도 9에 도시하는 Z 방향에 있어서의, 로크 부재(30A)를 기준으로 한 배선 기판(50)측을 「아래」, 그 반대측을 「위」로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본체부(31A)는, 도 10의 (c)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Y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 제 1 접촉부(38)와 제 2 접촉부(39)를 갖는다. 제 1 접촉부(38)는, 로크 결합부(33A)와 커넥터 결합부(11)의 결합이 완료되기 전, 즉 로크 부재(30A)의 슬라이드(이동) 중에 배선 기판(90)의 이면(90b)에 접촉하는 부분이다. 제 2 접촉부(39)는, 로크 결합부(33A)와 커넥터 결합부(11)의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 즉 로크 부재(30A)의 슬라이드(이동) 후에 배선 기판(90)의 이면(90b)에 접촉하는 부분이다. 제 2 접촉부(39)의 두께는 대체로 제 1 접촉부(38)의 두께보다 두껍다. 다만, 제 1 접촉부(38)에 있어서의 제 2 접촉부(39)와의 연결 개소는 제 2 접촉부(39)와 동일한 정도의 두께로 되어 있다. 제 1 접촉부(38)는 제 2 접촉부(39)보다 X 방향 전방에 마련되어 있으며, 또한, X 방향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서서히 두꺼워지도록 경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10의 (d) 참조). 도 10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X 방향에 있어서, 제 1 접촉부(38)와 제 2 접촉부(39)가 연속하는 위치는 로크 결합부(33A, 33A)의 전단의 위치와 대략 일치하고 있다. 본체부(31A)에 있어서의 Y 방향의 양단은, 제 1 실시형태의 로크 부재(30)와 마찬가지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부로 되어 있어도 좋다.
본체부(31A)의 상면(31x)에는, Y 방향을 따라서 복수(예컨대 4개)의 홈부(31y)가 형성되어 있다(도 10의 (a) 참조). 이에 의해, 로크 부재(30A)를 슬라이드시킬 때에 해당 홈부(31y)를 미끄럼 방지로서 이용할 수 있어서, 조작성이 향상된다.
가이드부(37, 37)는 배선 기판(90)을 따른 로크 결합부(33A, 33A)의 X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부분이다. 가이드부(37, 37)는, 로크 결합부(33A)가 이동하는 방향인 X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쌍의 커넥터 결합부(11, 11)(도 11의 (c) 참조)의 대향 방향인 Y 방향에서 커넥터 결합부(11, 11)를 개재하도록 마련된 벽부(40, 40)를 갖는다.
벽부(40, 40)는, 본체부(31A)의 Y 방향 양단부에서, 본체부(31A)의 단변을 따라서 X 방향 전역에 마련되어 있으며, 본체부(31A)의 하면(31z)(리셉터클 커넥터(10)에 장착되었을 때에 배선 기판(90)과 대향하는 면)(도 10의 (f) 참조)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벽부(40, 40)는, Y 방향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커넥터 결합부(11)와 대향하는 면에서, 대향하는 커넥터 결합부(11)를 향해 돌출한 돌기부(41)를 갖는다. 돌기부(41, 41)는 벽부(40, 40)에 있어서의 X 방향 대략 중앙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돌출편(24)에는 오목부(24a)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 금구(22)에는 오목부(22x)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오목부(24a, 22x)는 X 방향에 있어서의 형성 개소가 대략 일치하고 있다. 돌기부(41, 41)는, 로크 결합부(33A)와 커넥터 결합부(11)가 결합한 상태에서, 오목부(24a, 22x)에 끼워지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도 3의 (d), 도 7의 (a)).
로크 결합부(33A, 33A)는 가이드부(37, 37)의 가이드에 따라서 X 방향이며 배선 기판(90)의 타단(90y)으로부터 일단(90x)을 향하는 방향(도 9 참조)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커넥터 결합부(11, 11)와 결합된다. 로크 결합부(33A, 33A)는, 본체부(31A)의 Y 방향 양단에서, 로크 결합부(33A, 33A)가 이동하는 방향인 X 방향의 후단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로크 결합부(33A, 33A)는, X 방향에서, 돌기부(41)와 연속하는 개소(즉 X 방향 대략 중앙 부분)로부터 X 방향의 후단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로크 결합부(33A, 33A)는, 본체부(31A)에 있어서의 X 방향의 후단에 마련되어 있으며(본체부(31A)에 있어서의 X 방향의 전단에는 마련되어 있지 않고), X 방향의 길이가 본체부(31A)보다 짧다. 또한, X 방향에서, 로크 결합부(33A, 33A)에 있어서의 돌기부(41, 41)와 연속하는 위치(로크 결합부(33A, 33A)의 전단)는, 제 1 접촉부(38)와 제 2 접촉부(39)가 접속하는 위치와 대략 일치하고 있다. X 방향에서, 로크 결합부(33A)의 형성 개소와 제 2 접촉부(39)의 전단 부분의 형성 개소는 대략 일치하고 있다. Y 방향 양단부의 로크 결합부(33A, 33A)의 구성은 서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한쪽의 로크 결합부(33A)에 대해 설명한다.
로크 결합부(33A)는, 벽부(40)의 하단으로부터 더욱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2)와, 연장부(42)의 하단으로부터 제 2 접촉부(39) 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43)를 갖는다(도 10의 (f) 참조). 돌출부(43)의 상면(43x)(도 10의 (d) 참조)은, 로크 결합부(33A)와 커넥터 결합부(11)의 결합시에, 커넥터 결합부(11)의 돌출편(24)의 하면(24x)과 접촉한다(도 11의 (c) 참조).
로크 부재(30A)는 또한, 로크 결합부(33A)와 커넥터 결합부(11)가 결합한 상태에서, 로크 결합부(33A)가 이동하는 방향인, X 방향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로크 결합부(33A)의 추가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벽(44, 44(규제부))을 갖고 있다. 규제벽(44, 44)은 본체부(31A)의 Y 방향 양단부에서 X 방향의 후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규제벽(44, 44)은 본체부(31A)의 장변을 따라서 Y 방향 양단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본체부(31A)의 하면(31z)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규제벽(44, 44)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후단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로크 결합부(33A)가 X 방향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로크 부재의 장착 상태)
다음에, 도 9 및 도 11의 (a) 내지 (c)를 참조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로크 부재(30A)를 장착한 상태를 설명한다.
도 9 및 도 11의 (a) 내지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30A)가 배선 기판(90)을 따라서 X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로크 부재(30A)가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로크 부재(30A)의 제 2 접촉부(39)가 배선 기판(90)의 이면(90b)에 접촉되어 있다. 또한, 로크 부재(30A)는, 배선 기판(90)에 부가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를 실장하는 배선 기판(50)을 따라서 X 방향으로 슬라이드해도 좋다. 그리고, 로크 결합부(33A, 33A)는 가이드부(37, 37)의 벽부(40, 40)에 가이드되도록 하고, 커넥터 결합부(11, 11)와의 결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1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결합부(33A)의 돌출부(43)는 커넥터 결합부(11)의 돌출편(24)과 결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로크 결합부(33A)와 커넥터 결합부(11)는, 돌출부(43)의 상면(43x)이 돌출편(24)의 하면(24x)과 접촉하도록 하여 결합되어 있다.
도 11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30A)가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본체부(31A)의 Y 방향 양단에서, 벽부(40, 40)로부터 연장되는 돌기부(41)가 커넥터 결합부(11)의 오목부(24a, 22x)에 끼워져 있다. 또한,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31A)의 Y 방향 양단에서, 규제벽(44, 44)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후단과 접촉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
다음에, 상술한 전기 커넥터(1A)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전기 커넥터(1A)에서는, 로크 부재(30A)가, 배선 기판(90)을 따른 로크 결합부(33A, 33A)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7, 37)를 갖고, 로크 결합부(33A, 33A)는 가이드부(37, 37)의 가이드에 따라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커넥터 결합부(11, 11)와 결합한다.
이에 의해 로크 결합부(33A, 33A)를, 배선 기판(90)을 따른 방향, 즉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70)의 끼워 맞춤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커넥터 결합부(11, 11)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끼워 맞춤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로크 결합부(33A, 33A)를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결합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70)의 접속 상태를 보다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로크 부재(30A)는, 로크 결합부(33A, 33A)와 커넥터 결합부(11, 11)가 결합한 상태에서, 로크 결합부(33A, 33A)가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로크 결합부(33A, 33A)의 추가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벽(44, 44)을 갖는다. 이에 의해 로크 결합부(33A, 33A)가 커넥터 결합부(11, 11)와의 결합 위치를 넘어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되어, 커넥터 결합부(11, 11)에 대한 로크 결합부(33A, 33A)의 위치 결정을 적절히 실행할 수 있다.
가이드부(37, 37)는, 로크 결합부(33A, 33A)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쌍의 커넥터 결합부(11, 11)의 대향 방향에서 커넥터 결합부(11, 11)를 개재하는 한쌍의 벽부(40, 40)를 갖고, 벽부(40, 40)는 커넥터 결합부(11, 11)를 향해 돌출한 돌기부(41)를 갖고, 커넥터 결합부(11, 11)는, 로크 결합부(33A, 33A)와 커넥터 결합부(11, 11)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돌기부(41)가 끼워지는 오목부(24a, 22x)를 갖는다. 돌기부(41)가 오목부(24a, 22x)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커넥터 결합부(11)에 대한 로크 결합부(33A, 33A)의 위치 결정을 적절히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작업자에게 클릭감을 주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자에 대해 결합된 것을 감지하게 할 수 있다.
로크 결합부(33A, 33A)의 X 방향의 길이는 본체부(31A)의 X 방향의 길이보다 짧다. 로크 결합부(33A, 33A)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에 의해, 가이드부(37, 37)에 따른 로크 결합부(33A, 33A)의 이동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어서, 한정된 공간에서도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한 로크 부재(30A)의 장착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로크 결합부(33A, 33A)는, 로크 부재(30A)에 있어서의, 로크 결합부(33A, 33A)가 이동하는 방향인 X 방향의 후단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후단에 마련된 로크 결합부(33A, 33A)의 길이만큼 로크 결합부(33A, 33A)를 이동시키면 되며, 보다 한정된 공간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한 로크 부재(30A)의 장착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배선 기판(90)은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90x)에 플러그 커넥터(70)를 실장하고 있으며, 로크 결합부(33A, 33A)는, 가이드부(37, 37)의 가이드에 따라서, 배선 기판(90)의 연장 방향으로서, 연장 방향의 타단(90y)으로부터 일단(90x)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로크 부재(30A)에 있어서의 배선 기판(90)이 연장되는 타단에, 로크 결합부(33A, 33A)가 배치되게 된다. 예컨대 배선 기판(90)이 FPC인 경우 등에는, 배선 기판(90)의 타단(90y)이 위로 들어 올려져 덜커덕 거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로크 부재(30A)에 대하여, 배선 기판(90)의 충격에 의한 발거력이 가해질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하여, 로크 부재(30A)에 있어서의 로크 결합부(33A, 33A)의 위치가, 배선 기판(90)이 연장되는 타단이 되는 것에 의해, 이러한 충격에 의한 발거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0)로부터 로크 부재(30A)가 착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체부(31A)는, 로크 결합부(33A)와 커넥터 결합부(11)의 결합이 완료되기 전에 배선 기판(90)에 접촉하는 제 1 접촉부(38)와, 로크 결합부(33A)와 커넥터 결합부(11)의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에 배선 기판(90)에 접촉하는 제 2 접촉부(39)를 갖고, 제 2 접촉부(39)의 두께는 대체로 제 1 접촉부(38)의 두께보다 두껍다. 결합이 완료되기 전 단계, 즉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해 로크 부재(30A)가 이동하는 상태에서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제 1 접촉부(38)가 배선 기판(90)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로크 부재(30A)의 부드러운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결합이 완료된 단계에서는,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제 2 접촉부(39)가 배선 기판(90)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결합시에 있어서의 본체부(31A)(상세하게는 제 2 접촉부(39))에 의한 배선 기판(90)의 가압을 바람직하게 실행할 수 있다.
제 1 접촉부(38)는, 로크 결합부(33A)가 이동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두꺼워지도록 경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동 개시시에는 제 1 접촉부(38)에 의한 배선 기판(90)의 가압력을 작게 하고, 이동이 진행됨에 따라서 서서히 제 1 접촉부(38)에 의한 배선 기판(90)의 가압력을 크게 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로크 부재(30A)의 이동이 보다 부드러워져서,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한 로크 부재(30A)의 이동을 보다 적절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변형예]
이상, 본 개시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을 상기의 실시형태에 부가해도 좋다. 예컨대, 배선 기판(50)이 프린트 배선 기판이며, 배선 기판(90)이 FPC인 것으로 해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배선 기판(50, 90)으로서 각종 전자 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촉부(34)를 탄성부(35)보다 두껍게 하는 것에 의해, 로크 결합부(33)와 커넥터 결합부(11)가 결합하는 것보다도 먼저 접촉부(34)를 배선 기판(90)의 이면(90b)에 접촉시키는 것으로 해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로크 부재의 본체부를 단면 U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Y 방향 양단부에 비해 Y 방향 중앙부가 먼저 배선 기판에 접촉하기 쉬운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로크 부재라도, Y 방향 양단부에 탄성부와 로크 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Y 방향 양단부를 아래 방향으로 휘어지게 하여, 적절하게 장력을 가한 상태에서, 로크 결합부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탄성부(35)를 탄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로크 결합부(33)에 적절하게 장력을 가하여 결합 강도를 향상시키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예컨대 별체의 스프링 등으로 가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결합 강도를 향상시켜도 좋다.
또한, 로크 부재(30)는 수지를 포함한 절연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로크 부재는 금속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1, 1A: 전기 커넥터, 10: 리셉터클 커넥터(제 1 커넥터), 11: 커넥터 결합부, 13: 도전 단자(도전성의 콘택트), 22: 고정 금구, 22x: 오목부, 24a: 오목부, 30, 30A: 로크 부재, 31, 31A: 본체부, 33, 33A: 로크 결합부, 34: 접촉부, 35: 탄성부, 36: 관통 구멍, 37: 가이드부, 38: 제 1 접촉부, 39: 제 2 접촉부, 40: 벽부, 41: 돌기부, 44: 규제벽(규제부), 50: 배선 기판(제 1 기판), 70: 플러그 커넥터(제 2 커넥터), 90: 배선 기판(제 2 기판), 90x: 일단, 90y: 타단

Claims (16)

  1. 제 1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1 커넥터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커넥터 및 상대 커넥터인 제 2 커넥터의 끼워 맞춤 상태를 보지하는 로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로크 부재에 결합 가능한 커넥터 결합부를 갖고,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제 1 커넥터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제 1 커넥터에 끼워 맞추어져 있는 상기 제 2 커넥터를 상기 제 1 커넥터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본체부와,
    상기 제 1 커넥터 및 상기 본체부의 사이에 상기 제 2 커넥터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결합부에 결합 가능한 로크 결합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복수의 도전성의 콘택트를 갖고,
    복수의 상기 콘택트의 배열 방향의 양단의 각각에, 상기 커넥터 결합부를 갖고,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양단의 각각에, 상기 커넥터 결합부에 결합 가능한 상기 로크 결합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 1 커넥터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제 2 커넥터, 및 상기 제 2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기판을, 상기 제 1 커넥터와의 사이에 개재하고,
    상기 로크 결합부와 상기 커넥터 결합부가 결합하는 것보다도 먼저 상기 제 2 기판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 2 기판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로크 결합부가 상기 커넥터 결합부와의 결합 위치에 배치되도록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두께는 상기 본체부에 있어서의 상기 접촉부 이외의 두께보다 두꺼운
    전기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본체부에 있어서의, 한쌍의 상기 로크 결합부의 대향 방향의 적어도 중앙 부분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본체부에 있어서의, 한쌍의 상기 로크 결합부의 대향 방향으로 상기 접촉부를 개재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 1 커넥터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제 2 커넥터, 및 상기 제 2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기판을, 상기 제 1 커넥터와의 사이에 개재하고,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제 2 기판에 따른 상기 로크 결합부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로크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에 따라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커넥터 결합부와 결합하는
    전기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로크 결합부와 상기 커넥터 결합부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로크 결합부가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로크 결합부의 추가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추가로 갖는
    전기 커넥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로크 결합부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쌍의 상기 커넥터 결합부의 대향 방향에서 상기 커넥터 결합부를 개재하는 한쌍의 벽부를 갖고,
    상기 벽부는 상기 커넥터 결합부를 향해 돌출한 돌기부를 갖고,
    상기 커넥터 결합부는, 상기 로크 결합부와 상기 커넥터 결합부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가 끼워지는 오목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결합부에 있어서의 상기 로크 결합부가 이동하는 방향의 길이는 상기 본체부에 있어서의 상기 로크 결합부가 이동하는 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전기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결합부는 상기 로크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로크 결합부가 이동하는 방향의 후단에 배치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은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에 상기 제 2 커넥터를 실장하고 있으며,
    상기 로크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에 따라서, 상기 제 2 기판의 상기 연장 방향으로서, 상기 연장 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일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전기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로크 결합부와 상기 커넥터 결합부의 결합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제 2 기판에 접촉하는 제 1 접촉부와,
    상기 로크 결합부와 상기 커넥터 결합부의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에 상기 제 2 기판에 접촉하는 제 2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 2 접촉부의 두께는 상기 제 1 접촉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전기 커넥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부는, 상기 로크 결합부가 이동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두꺼워지도록 경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1 기판에의 고정에 이용하는 고정 금구를 추가로 갖고,
    상기 로크 결합부 및 상기 커넥터 결합부는 모두 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금구는 상기 커넥터 결합부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전기 커넥터.
  15.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로크 결합부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16.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2 커넥터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이며,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커넥터에 끼워 맞추어지는 플러그 커넥터인
    전기 커넥터.
KR1020180014043A 2017-02-07 2018-02-05 전기 커넥터 KR201800917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20520A JP2018129150A (ja) 2017-02-07 2017-02-07 電気コネクタ
JPJP-P-2017-020520 2017-0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751A true KR20180091751A (ko) 2018-08-16

Family

ID=61163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043A KR20180091751A (ko) 2017-02-07 2018-02-05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226736A1 (ko)
JP (1) JP2018129150A (ko)
KR (1) KR20180091751A (ko)
CN (1) CN108400506A (ko)
TW (1) TW20183078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86384B (zh) * 2017-05-12 2019-12-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连接器组件、电源组件及移动终端
KR102573668B1 (ko) * 2018-09-17 2023-09-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7068243B2 (ja) * 2019-08-09 2022-05-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これを有する電子機器
US11489288B2 (en) 2020-08-28 2022-11-01 Raytheon Company Connector retention clip
CN116826420B (zh) * 2023-08-30 2023-11-03 深圳市方向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端子结构及单层连接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67467A (ja) 2016-06-21 2016-09-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9921A (en) * 1975-07-31 1977-03-01 Thomas & Betts Corporation Electrical contact and support means therefor
JPH0587862U (ja) * 1992-04-22 1993-11-26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0030784A (ja) * 1998-05-08 2000-01-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 Ltd 電気コネクタ
KR101117789B1 (ko) * 2005-03-11 2012-03-13 가부시끼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Ic 캐리어, ic 소켓트 및 ic 디바이스의 시험방법
JP2009295366A (ja) * 2008-06-04 2009-12-17 Hirose Electric Co Ltd 基板用電気コネクタそしてこれと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と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
JP4951651B2 (ja) * 2009-05-26 2012-06-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セット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ジョインタ
JP2014093123A (ja) * 2012-10-31 2014-05-19 Tyco Electronics Japan Kk フラットケーブルコネクタ
JP5751434B2 (ja) * 2013-04-19 2015-07-22 Smk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を使用した基板接続構造
US9874108B2 (en) * 2014-07-08 2018-01-23 Rolls-Royce Corporation Cleaning system for a turbofan gas turbine engine
JP6056830B2 (ja) * 2014-10-10 2017-01-1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67467A (ja) 2016-06-21 2016-09-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29150A (ja) 2018-08-16
US20180226736A1 (en) 2018-08-09
CN108400506A (zh) 2018-08-14
TW201830782A (zh)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1751A (ko) 전기 커넥터
TWI669863B (zh) 連接器
US830849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KR101195355B1 (ko) 위킹 방지 단자 및 커넥터
JP4969838B2 (ja) フローティングタイプコネクタ
JP5660756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US809223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8591256B2 (en) Wire-to-board connector and wire connector
US10128614B2 (en) Movable connector
US11233346B2 (en) Board-to-board connector
KR20150027710A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KR20140144137A (ko) 가이드 금구 부착 전기 커넥터
CN106981754B (zh) 连接器
WO2019077840A1 (ja) 電気コネクタ
KR20100028545A (ko) 가요성 회로용 커넥터
JP4162142B2 (ja) 中間電気コネクタ装置及びその接続構造
CN110676620B (zh) 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CA2593216C (en) Pressure guide for pcb
US20080188129A1 (en) Connector in which defectiv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plurality of shell components is suppressed
US20170352971A1 (en) Connector
CN110880651A (zh) 扁平型导体用电连接器以及扁平型导体用电连接器组装体
JP7129462B2 (ja) コネクタとコネクタ対
CN112652904B (zh) 扁平型导体用电连接器
US8591263B2 (en) Connector for connecting cable and terminal of same
US20240006787A1 (en) Electrical connector,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mounting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