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1561A - 미백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백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1561A
KR20180091561A KR1020170016919A KR20170016919A KR20180091561A KR 20180091561 A KR20180091561 A KR 20180091561A KR 1020170016919 A KR1020170016919 A KR 1020170016919A KR 20170016919 A KR20170016919 A KR 20170016919A KR 20180091561 A KR20180091561 A KR 20180091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y
powdered
cinnamon
sk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8103B1 (ko
Inventor
한재수
Original Assignee
한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수 filed Critical 한재수
Priority to KR1020170016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103B1/ko
Publication of KR20180091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백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느릅유분피와 연잎 및 아카시아꿀을 포함한 미백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백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분말상의 느릅유근피, 분말상의 연잎, 분말상의 계피 및 아카시아꿀을 준비하는 단계(s100); 60~90℃의 물에 상기 분말상의 느릅유근피, 분말상의 연잎, 분말상의 계피를 넣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00); 상기 단계(s200)의 혼합물에 아카시아꿀을 부가하여 혼합하는 단계(s300); 를 포함하며, 상기 분말상의 느릅유근피, 분말상의 연잎, 분말상의 계피 및 아카시아꿀의 혼합비율은 분말상의 느릅유근피 20~30w%, 분말상의 연잎 12~22w%, 계피 0.5~2w%, 아카시아꿀 52~62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미백조성물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본 발명은 미백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느릅유분피와 연잎 및 아카시아꿀을 포함한 미백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에 있어서, 멜라닌은 자외선을 차단하여 진피 이하의 피부 기관을 보호해주는 동시에, 피부 생체 내에 생겨난 자유라디칼 등에 의한 피부 내 단백질과 유전자들의 손상을 보호해 주는 유용한 역할을 하지만, 멜라닌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생기게 되면 피부 노화를 가져오며 기미나 주근깨 등과 같은 과색소침착증을 유발한다.
피부 미백이란 불필요해진 멜라닌 색소를 재빨리 배출해서 그 사람이 지니고 있는 본래 피부의 투명함을 되찾는 것을 말한다. 경제가 발전하고 사람들의 소득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젊음과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안티 에이징(anti-aging) 트렌드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단순히 오래 사는 것에서 건강하게 사는 것을 넘어, 아름답게 사는 것을 추구하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피부과, 화장품, 미용 서비스 등 안티 에이징 산업 고객층이 확대되면서 미디어, 학계, 산업계 전반에서도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화장품, 미용의료 등 피부노화 분야는 안티 에이징 산업의 주요 축으로서, 피부는 신체 바깥쪽에 있어 다른 기관에 비해 관리를 통한 개선이 용이하고, 피부 상태로부터 신체건강, 나이 등을 가늠하기 시작하면서 피부가 안티 에이징의 핵심 부문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하, 피부미백에 대한 선행기술들을 살펴본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35875호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초, 상백피, 녹차, 백작약, 백강잠, 자완 및 지유 식물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10-0535875호의 조성물은 멜라닌 생합성 과정에 핵심적으로 작용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제 활성 및 멜라노마 B16에 의한 멜라닌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피부 노화방지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써의 효과를 갖는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68656호 산유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Mushroom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가지고 또한 멜라닌 형성 자극제인α-MSH로 자극된 멜라노마 세포인 B16F10에 처리될 때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보이는 산유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제10-1568656호는 산유자 잎의 70% 에탄올 추출물이 mushroom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가지고 또한 멜라닌 형성 자극제인α-MSH로 자극된 멜라노마 세포인 B16F10에 처리될 때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가짐 이용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099425호 연잎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연잎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연잎 추출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포벽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효소처리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잎 추출물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연잎 추출물 제조방법은 폴리페놀 함량이 높고, 타이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 및 멜라닌 생성 억제능 등의 미백활성 효과가 높으며, DPPH 라디컬 소거능 및 SOD 유사활성 등의 노화방지 효과가 우수한 연잎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0-2010-0099425호는 또한, 상기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미백 효과 및 노화방지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35875호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공고일자 2005년12월09일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68656호 '산유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공개일자 2014년06월13일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099425호 ‘연잎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연잎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공개일자 2010년09월13일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높은 피부미백 효과를 가지는 미백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미백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분말상의 느릅유근피, 분말상의 연잎, 분말상의 계피 및 아카시아꿀을 준비하는 단계(s100); 60~90℃의 물에 상기 분말상의 느릅유근피, 분말상의 연잎, 분말상의 계피를 넣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00); 상기 단계(s200)의 혼합물에 아카시아꿀을 부가하여 혼합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는 미백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느릅유분피, 연잎의 성분이 멜라닌색소에 작용하여 첨부된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강력한 미백작용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미백조성물을 적용한 시험참가자들의 사진들이다. 도1 내지 도5는 시험참가자들이 얼굴과 손등에 본 발명의 미백조성물을 피부에 20분간 바르고 세안한 후 하루가 경과한 상태로 촬영한 사진과 피부에 바르기 전의 사진으로써 본 발명의 미백조성물의 신속한 흡수 및 작용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구성성분이 천연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피부의 자극을 최소화하고 부작용이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 내지 도3은 시험참가자들이 얼굴과 손등에 본 발명의 미백조성물을 피부에 20분간 바르고 세안한 후 하루가 경과한 상태로 촬영한 사진과 피부에 바르기 전의 사진이다.
도 4 및 도5는 한 쪽 손등에는 본 발명의 미백조성물을 20분간 바르고 한 쪽 손등에는 바르지 아니한 후 하루가 지난 뒤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미백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분말상의 느릅유근피, 분말상의 연잎, 분말상의 계피 및 아카시아꿀을 준비하는 단계(s100);
60~90℃의 물에 상기 분말상의 느릅유근피, 분말상의 연잎, 분말상의 계피를 넣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00);
상기 단계(s200)의 혼합물에 아카시아꿀을 부가하여 혼합하는 단계(s300);
를 포함하며, 상기 분말상의 느릅유근피, 분말상의 연잎, 분말상의 계피 및 아카시아꿀의 혼합비율은 분말상의 느릅유근피 20~30w%, 분말상의 연잎 12~22w%, 계피 0.5~2w%, 아카시아꿀 52~62w%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느릅나무 뿌리의 껍질인 유근피(ULMUS DAVIDIANA)의 피부에 대한 효능에 대한 연구는 많이 알려지지 않았으나, 다만 유근피를 물에 담갔을 때 발생하는 끈적끈적한 진액이 피부를 부드럽게 하는 작용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동의보감에 있는 유근피의 효능은 성질이 평하고 맛이 달고 독이 없으며 부드러워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하고 장위의 사열을 없애 장염에 효과적이며, 부은 것을 가라앉히고 불면증을 낫게 한다고 되어있다. 또한 위궤양, 위염, 위하수 등 각종 위장질환에 잘 듣는다고 하였다. 유근피의 최근의 연구들은 면역억제제나 식용 음료 등에 대한 사항이었으며 항종양, 항 염증 조성물, 미백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용 세정제 조성물로서 연구된 바가 있다.
연(蓮, Nelumbo nucifera Gaertiner)은 수련과의 여러해살이 수생 식물로서 연꽃의 잎을 하엽, 연꽃의 꽃봉우리를 연화, 연꽃의 수술을 연수라고 한다. 연잎의 화학성분으로는 로에메린(roemerine), 누씨페린(nuciferine), 노르누씨페린(nornuciferine), 아르메파빈(armepavine), 프로투씨페린(pronuciferine), N-노르누씨페린(N-nornuciferine), D-N-메틸코클라우린(D-Nmethylcoclaurine), 아노나인(anonaine), 리리오데닌(liriodenine), 쿠에르세틴(quercetin), 이소쿠에르시트린(isoquercitrin), 네룸보시드(nelumboside), 타타르산(tataric acid), 말산(mal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아세트산(acet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연잎은 서열번갈을치료하며, 토혈과 하열에 대하여 지혈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안정성이 고려된, 천연물을 이용한 식품 분야, 의약 분야 등 연잎의 응용 가능 범위가 넓다. 또한, 항산화 효과, 타이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등 미백, 노화방지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계피는 녹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인 생달나무(天竹桂, Cinnamomum japonicum SIEB.)의 나무껍질로 만든 약재로서, 피부에 대하여는 항균, 노폐물 배출, 피부혈액순환개선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는 많은 시험 끝에 느릅 추출물들 중에서 유근피가 가장 탁월한 미백효과를 가짐을 알았다. 또한, 유근피와 연잎을 같이 적용하였을 때 각각 사용하는 것 보다 더욱 효과적인 것을 알았다.
또한, 본 발명자는 계피에도 미백효과가 있음을 여러차례의 시험을 통해 알게 되었으며, 상기 유근피와 연잎과 같이 적용할 때 더욱 효과적임을 알았다.
이에, 본 발명자는 느릅유근피, 연잎 및 계피를 동시에 적용하면서, 피부흡수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아카시아꿀을 추가하였다. 아카시아꿀은 농도조절 및 피부에 유근피, 연잎 및 계피를 안정적으로 바인딩시켜주는 바인더로서의 작용을 하며, 피부 항균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여러차례의 시험을 통하여 상기 분말상의 느릅유근피, 분말상의 연잎, 분말상의 계피 및 아카시아꿀의 혼합비율이 분말상의 느릅유근피 20~30w%, 분말상의 연잎 12~22w%, 계피 0.5~2w%, 아카시아꿀 52~62w%일 경우 최적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았다. 상기의 중량비는 물을 제외한 분말상의 느릅유근피, 분말상의 연잎, 분말상의 계피 및 아카시아꿀의 총중량에 대한 첨가비이다.
피부흡수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농도조절이 필요한 바, 상기 60~90℃의 물에 상기 분말상의 느릅유근피, 분말상의 연잎, 분말상의 계피를 넣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00)에서의 물의 첨가비는 상기 분말상의 느릅유근피, 분말상의 연잎, 분말상의 계피 및 아카시아꿀의 총중량의 310~370w%가 되도록 한다.
도1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미백조성물을 적용한 시험참가자들의 사진이다. 도1 내지 도3은 시험참가자들이 얼굴과 손등에 본 발명의 미백조성물을 피부에 20분간 바르고 세안한 후 하루가 경과한 상태로 촬영한 사진과 피부에 바르기 전의 사진을 대조함으로써 시험이 이루어졌다.
도1 내지 도3의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백조성물을 바른 후에 피부가 보다 희게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 및 도5는 한 쪽 손등에는 본 발명의 미백조성물을 20분간 바르고 한 쪽 손등에는 바르지 아니한 후 하루가 지난 뒤 촬영한 사진이다. 도4의 경우 본 발명의 미백조성물을 바른 왼손이 보다 희게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5의 경우, 본 발명의 미백조성물을 바른 오른손이 보다 희게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피부의 상태 또한 보다 부드럽고 탄력이 생겼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또한, 청구항 부호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형상과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한정한다는 뜻이 아니다.

Claims (1)

  1. 미백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분말상의 느릅유근피, 분말상의 연잎, 분말상의 계피 및 아카시아꿀을 준비하는 단계(s100);
    60~90℃의 물에 상기 분말상의 느릅유근피, 분말상의 연잎, 분말상의 계피를 넣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00);
    상기 단계(s200)의 혼합물에 아카시아꿀을 부가하여 혼합하는 단계(s300);
    를 포함하며,
    상기 분말상의 느릅유근피, 분말상의 연잎, 분말상의 계피 및 아카시아꿀의 혼합비율은 분말상의 느릅유근피 20~30w%, 분말상의 연잎 12~22w%, 계피 0.5~2w%, 아카시아꿀 52~62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70016919A 2017-02-07 2017-02-07 미백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68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919A KR101968103B1 (ko) 2017-02-07 2017-02-07 미백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919A KR101968103B1 (ko) 2017-02-07 2017-02-07 미백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561A true KR20180091561A (ko) 2018-08-16
KR101968103B1 KR101968103B1 (ko) 2019-08-13

Family

ID=63443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919A KR101968103B1 (ko) 2017-02-07 2017-02-07 미백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10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100A (ko) * 1999-10-22 2001-05-15 서경배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535875B1 (ko) 2004-07-02 2005-12-09 주식회사 생그린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100099425A (ko) 2009-03-03 2010-09-13 김포시(농업기술센터) 연잎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연잎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68656B1 (ko) 2012-12-04 2015-11-30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산유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60116666A (ko) * 2015-03-31 2016-10-10 윤희자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100A (ko) * 1999-10-22 2001-05-15 서경배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535875B1 (ko) 2004-07-02 2005-12-09 주식회사 생그린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100099425A (ko) 2009-03-03 2010-09-13 김포시(농업기술센터) 연잎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연잎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68656B1 (ko) 2012-12-04 2015-11-30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산유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60116666A (ko) * 2015-03-31 2016-10-10 윤희자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ow to Lighten Skin Naturally, [0nline], 2015.12.27., 인터넷 <URL: https://authorityremedies.com/how-to-lighten-skin-naturally/>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8103B1 (ko) 201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608B1 (ko)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990003B1 (ko) 모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1129428A1 (ja) ウメ抽出物を含む、化粧用組成物
KR101045328B1 (ko)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KR102314813B1 (ko)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CN110123653A (zh) 一种含有γ-氨基丁酸苦参碱离子液体的护肤品
JPH0717845A (ja) 皮膚外用剤
KR20190028996A (ko) 여주, 감나무잎 및 비단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11533B1 (ko) 보이차 추출물, 흑마늘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21183B1 (ko) 한방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ES2959130T3 (es) Extracto de torta de semillas de Moringa peregrina, su procedimiento de obtención y su uso en composiciones cosméticas o nutricosméticas
KR101547758B1 (ko) 탈모 예방 및 양모,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0774973B1 (ko) 모발 보호제 조성물
KR20090063381A (ko)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90828B1 (ko)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4757157B2 (ja) 皮膚外用剤
JP2007314462A (ja) 外用剤
KR20180091561A (ko) 미백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50045275A (ko) 가래나무 열매 청피(靑皮) 추출물 천연 염모제 조성물
KR20180137151A (ko) 강황잎 및 황촉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74248B1 (ko)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41543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0419B1 (ko) 그라비올라를 포함하는 백발 예방 및 흑모유발 촉진용 조성물
KR101831756B1 (ko)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눈가 피부용 패치
JP2002047130A (ja) メラニン産生促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