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533B1 - 보이차 추출물, 흑마늘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보이차 추출물, 흑마늘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533B1
KR101111533B1 KR1020090055079A KR20090055079A KR101111533B1 KR 101111533 B1 KR101111533 B1 KR 101111533B1 KR 1020090055079 A KR1020090055079 A KR 1020090055079A KR 20090055079 A KR20090055079 A KR 20090055079A KR 101111533 B1 KR101111533 B1 KR 101111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weight
black garlic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6789A (ko
Inventor
최면
정미자
김대중
유진균
서동주
박정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기스화진화장품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기스화진화장품,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기스화진화장품
Priority to KR1020090055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533B1/ko
Publication of KR20100136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4Susp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이차 추출물 1 중량부에 대해 흑마늘 추출물 0.5~2 중량부 및 목단피 추출물 0.5~2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면서 세포내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는 천연소재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실질적인 미백효과를 발휘한다.
멜라닌, 목단피, 미백, 보이차, 조성물, 추출물, 티로시나제, 흑마늘, 화장료

Description

보이차 추출물, 흑마늘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puer tea, black garlic and Moutan Radicis Cortex}
본 발명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이차 추출물, 흑마늘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활 수준의 향상과 소득의 증대로 여성들뿐 아니라 남성들 또한 피부미용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졌고, 최근에는 자외선 노출에 의한 기미 및 주근깨에 대한미백 효과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피부색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멜라닌, 카로틴, 헤모글로빈 등이 있는데 이중 가장 중요한 것은 멜라닌이다. 멜라닌의 생합성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이 멜라노사이트의 멜라노좀에서 티로시나제(tyrosinase)에 의해 산화 되어 디하이드록시 페닐알라닌(dihydroxy phenylalanine)으로 전환되는 것을 시작으로 계속되는 일련의 산화과정을 거쳐 갈색(pheomelanin), 흑색(eumelanin)의 중합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생합성 과정은 멜라노좀이라는 특수한 형태의 갈색 세포내 소기관에서 진행되며 멜라닌 과립을 포함한 멜라노좀은 핵 주변 부위에서 수지상 돌기 끝부분으로 이동, 케라티노사이트의 식세포작용에 의해 세포질 내로 이동하고 이들은 케라티노사이트의 핵 주변에 축적된다. 멜라닌의 합성과 멜라노좀의 수, 주위 케라티노사이트로의 이동은 일차적으로 유전적인 영향을 받으며 중금속, 황사, 오존, 자외선 등과 같은 외부 환경과 호르몬의 분비 이상 등의 내부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그 밖에 티로시나제의 발현 및 멜라닌의 합성, 전송에 관여하는 세포 내 조절인자인 싸이토카인(cytokine), 구리, 아연, 철 등의 금속 이온 및 인터페론, 프로스타글란딘, 히스타민 등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박수남, 대한화장품학회지, 25: 77-127, 1999).
따라서, 피부색을 결정짓는 멜라닌의 합성을 억제하고 이에 관여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미백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할 것이다.
한편, 국내의 수입 상가 등에서 불법으로 수입된 미백화장품들이 공공연히 판매되고 있어 그 유행성 여부가 의문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들은 주로 미백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인체에 유해한 수은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수은이 다량으로 함유된 화장품을 사용할 경우, 수은 성분이 피부에 쉽게 흡수 되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킴으로 심한 가려움, 홍반, 부종 등이 발생되고, 장기간 사용할 때에는 체내에 축적되어 심한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현재 시판되 고 있는 미백 화장품 소재의 경우 높은 수입의존도, 고가, 선진국 기업에 대한 낮은 경쟁력 때문에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많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국내에서 공급이 용이한 보이차 추출물, 흑마늘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혼합한 천연소재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실질적인 미백효과를 발휘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보이차 추출물 1 중량부에 대해 흑마늘 추출물 0.5~2 중량부 및 목단피 추출물 0.5~2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보이차는 중국차의 일종으로, 주로 중국 운남지방이 기원인 발효차를 의미한다. 주로 중국 운남성(雲南省)에서 자생하는 대엽종(大葉種) 차나무에서 얻어지며 차엽의 효소를 파괴시킨 뒤 차입을 퇴적하여 공기중에 있는 미생물의 번식을 유도해 다시 발효가 일어나게 만든 차이다. 차엽에 함유된 성분으로는 비타민을 비롯하여 카페인, 탄닌, 플라보노이드 및 정유 등이 있다(이용주 등, 생약학, 동명사. 189-190, 1981). 찻잎은 전통적으로 당뇨, 비만, 항산화, 항고혈압, 항균, 콜레스테롤 강하 및 항궤양작용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상용차로서 일상적으로 음용되고 있다.
흑마늘은 생마늘을 일정기간 동안 알맞은 온도 및 습도 조건에서 숙성시켜 검은색으로 변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흑마늘은 생마늘에 비하여 항산화력이 현저하게 상승하고, 암 예방, 콜레스테롤 저하, 동맥경화개선, 심장질환의 예방 등의 효과가 생마늘보다 현저하게 증가되며, 폴리페놀류의 함량이 증가하여 생마늘에는 존재하지 않는 S-아릴시스테인이라는 수용성의 유황 아미노산이 생성된다.
또한, 마늘을 숙성시킴으로써 냄새의 원인이 되는 휘발성 유황화합물이 줄어들기 때문에, 먹은 후에 입에서 마늘냄새가 몸속에서부터 진동하는 마늘 특유의 불쾌감이 전혀 없다는 특징이 있다.
목단피는 모란과(Paeoniaceae) 여러해살이풀 모란(Paeonia suffruticosaANDR.)의 뿌리껍질로, 한방에서는 소염?진통제로서 충수염?월경통?부스럼 항균작용, 혈압강하작용, 통경작용, 항염증작용, 위액분비억제작용, 진정작용 등의 치료에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목단피에는 인중합체(polyphosphate), 파에오놀 (paeonol), 파에오노사이드 (paeonoside), 파에오놀라이드(paeonolide), 파에오니프로린(paeoniflorin), 파이토스텍롤 (phytosterol) 등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가진 유효성분들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천연소재인 보이차 추출물, 흑마늘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추출물이 어떠한 작용을 통해 미백 효과를 발휘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하기 실험예를 실시한 결과, 생체내에서 티로신(tyrosine)이라는 물질의 산화과정을 촉진하여 멜라닌의 생성을 도와주는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면 서 세포내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미백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반드시 보이차 추출물 1 중량부에 대해 흑마늘 추출물 0.5~2 중량부 및 목단피 추출물 0.5~2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데, 각 추출물들의 배합비는 티로시나제의 Km값에 의거하여 산출된 것으로 우수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및 세포의 멜라닌 생성의 억제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이다.
한편, 보이차 추출물, 흑마늘 추출물 또는 목단피 추출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보이차, 흑마늘 또는 목단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건체 시료 1중량부에 대해 증류수 8.7~12.7 중량부를 가하고 50~70℃에서 20~28시간 쉐이킹 인큐베이션(shaking incubation)을 한 후, 5000~7000rpm으로 50~70분 동안 원심분리를 하고 0.35~0.55㎛로 여과하여 수득한 여과액을 동결건조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바람직하게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으로 이루어진 기초화장료 제형, 연고,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새도,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 펜슬류로 이루어진 색조화장료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좋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생체내에서 티로신(tyrosine)이라는 물질의 산화과정을 촉진하여 멜라닌의 생성을 도와주는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면서 세포내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는 천연소재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실질적인 미백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 소재들로부터 유래된 혼합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화학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거부감 및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하기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천연소재 혼합추출물 제조
보이차 잎, 흑마늘, 목단피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각각의 건체 20g에 증류수 214ml을 첨가한 후, 60℃에서 24시간 쉐이킹 인큐베이션한 다음, 6,000rpm에서 1시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하여 수득된 각각의 추출물을 0.45㎛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각각의 분말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분말 각각을 500ppm이 되도록 증류수와 혼합하여 제조된 각각의 추출물을 1:1:1로 혼합하여 천연소재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세포 생존율 측정
본 실험예 1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천연소재 혼합추출물에 대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배양이 끝난 B16 멜라노마셀(melanoma cells)의 생존율은 Chung 등이 사용한 MTT(3-(4,5-dimethythiazol-2-yl)-2,5-dipheyl terazolium bromid)환원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B16 멜라노마셀(melanoma cells)을 준비한 각 웰에 천연소재 혼합추출물 500ppm을 투여하고 배양하였다. 그리고 각 웰(well)에 MTT 용액(5㎎/㎖)을 성장배지의 10분의 1을 가해주고 다시 37℃에서 4시간 더 배양하여 MTT를 환원시킴으로써 생성된 포르마존(formazon)이 배지에 따라나가지 않도록 배지를 조심스럽게 제거하였다. 남아 있는 배지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DMSO(다이메틸설폭사이드, Dimethyl sulfoxide)를 이용하여 용해시킨 실시예 1을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흡광도 측정시 공시료는 DMSO(다이메틸설폭사이드, Dimethyl sulfoxide)로 하였고, 세포의 생존율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되었다.
세포생존율(%) = (시료처리군의 흡광도 / 대조군의 흡광도)×100
측정결과(도 1), 대조군의 세포 생존율을 100%로 보았을 때, 천연소재 혼합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은 91.808%로 세포 생존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티로시나제 ( Tyrosinase ) 활성 억제( cell - free system ) 정도 측정
본 실험예 2에서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천연소재 혼합추출물의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티로시나제(tyrosinase)의 활성 억제 정도를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제는 생체내에서 티로신(tyrosine)이라는 물질의 산화과정을 촉진하여 멜라닌이 생성되게 도와주는 효소이다.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효소활성 저해능 측정 도파옥시데이션(dopaoxidation)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는 도파(dopa)를 기질로 하여 티로시나제(tyrosinase)에 의하여 생성되는 반응 산물인 도파크롬(dopachrome)이 475nm에서 흡광도를 나타내는 점을 이용하였다.
35℃ 수조에서 0.1M 포스페이트 버퍼(phosphate buffer; pH 6.8) 0.2㎖, 5mM L-DOPA 용액(solution) 0.2㎖ 및 천연소재 혼합추출물(실시예 1) 0.5㎖의 혼합액에 티로시나제(tyrosinase; 250unit/㎖) 0.1㎖를 첨가하여 35℃에서 2분간 반응시킨 다음 475 nm에서 흡광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도 2), 대조군에 비해 실시예 1의 티로시나제 활성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로부터 본 발명에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보이차 추출물, 흑마늘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추출물은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미백효과를 추론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멜라닌 함량 측정
본 실험예 3에서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천연소재 혼합추출물의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16 멜라노마셀(melanoma cells)의 멜라닌 함량을 측정하였다.
B16 멜라노마 셀(melanoma cells)을 24-웰 프레이트(well plates)에 1×105 으로 분주한 뒤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천연소재 혼합추출물 500ppm을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에 함유된 천연소재 혼합추출물(실시예 1)을 제거한 다음, 1N NaOH를 100㎕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세포를 녹인 후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도 3), 대조군에 비해 실시예 1을 처리한 셀의 멜라닌 함량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로부터 본 발명에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보이차 추출물, 흑마늘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추출물은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는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미백효과를 추론할 수 있었다.
도 1은 보이차 추출물, 흑마늘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MT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한 도이다.
도 2는 보이차 추출물, 흑마늘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보이차 추출물, 흑마늘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처리한 B16 멜라노나셀에서 멜라닌의 함량을 나타낸 도이다.

Claims (3)

  1. 보이차 추출물 1 중량부에 대해 흑마늘 추출물 0.5~2 중량부 및 목단피 추출물 0.5~2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보이차 추출물, 흑마늘 추출물 또는 목단피 추출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물은,
    보이차, 흑마늘 또는 목단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건체 시료 1 중량부에 대해 증류수 8.7~12.7 중량부를 가하고 50~70℃에서 20~28시간 쉐이킹 인큐베이션(shaking incubation)을 한 후, 5000~7000rpm으로 50~70분 동안 원심분리를 하고 0.35~0.55㎛로 여과하여 수득한 여과액을 동결건조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상기 제1항에 있어서,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 으로 이루어진 기초화장료 제형, 연고,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새도,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 펜슬류로 이루어진 색조화장료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55079A 2009-06-19 2009-06-19 보이차 추출물, 흑마늘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11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079A KR101111533B1 (ko) 2009-06-19 2009-06-19 보이차 추출물, 흑마늘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079A KR101111533B1 (ko) 2009-06-19 2009-06-19 보이차 추출물, 흑마늘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789A KR20100136789A (ko) 2010-12-29
KR101111533B1 true KR101111533B1 (ko) 2012-03-13

Family

ID=43510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079A KR101111533B1 (ko) 2009-06-19 2009-06-19 보이차 추출물, 흑마늘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5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3499A (ko) 2014-03-31 2015-10-08 (주)아모레퍼시픽 알파인 웜우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60001949A (ko) 2014-06-30 2016-01-07 (주)아모레퍼시픽 산형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60001950A (ko) 2014-06-30 2016-01-07 (주)아모레퍼시픽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60091037A (ko) 2015-01-23 2016-08-02 (주)아모레퍼시픽 구스베리 추출물 또는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61410B1 (ja) * 2018-07-12 2019-01-30 株式会社金水 黒ニンニクエキス含有化粧料
KR102485832B1 (ko) * 2019-12-17 2023-01-05 최해연 흑차의 액상농축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흑차의 액상농축물
CN111840189A (zh) * 2020-09-10 2020-10-30 山东钰财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黑蒜滋润霜生产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6830A (ko) * 2006-11-23 2008-05-28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바실러스 속 미생물을 이용하여 배양한 흑 마늘 발효액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82945A (ko) * 2008-03-12 2008-09-12 (주)에이지아이 흑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JP2009065943A (ja) 2007-09-14 2009-04-02 Span Life:Kk 黒ニンニク製造方法および黒ニンニク添加食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6830A (ko) * 2006-11-23 2008-05-28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바실러스 속 미생물을 이용하여 배양한 흑 마늘 발효액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9065943A (ja) 2007-09-14 2009-04-02 Span Life:Kk 黒ニンニク製造方法および黒ニンニク添加食品
KR20080082945A (ko) * 2008-03-12 2008-09-12 (주)에이지아이 흑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3499A (ko) 2014-03-31 2015-10-08 (주)아모레퍼시픽 알파인 웜우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60001949A (ko) 2014-06-30 2016-01-07 (주)아모레퍼시픽 산형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60001950A (ko) 2014-06-30 2016-01-07 (주)아모레퍼시픽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60091037A (ko) 2015-01-23 2016-08-02 (주)아모레퍼시픽 구스베리 추출물 또는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789A (ko) 201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1533B1 (ko) 보이차 추출물, 흑마늘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9688A (ko) 미백 활성을 갖는 당유자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93209B1 (ko) 갈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1648B1 (ko) 왕벚나무 잎 생물전환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11002B1 (ko) 인삼잎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4568A (ko) 인삼잎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76670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35264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93901B1 (ko)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10101308A (ko) 관중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18180B1 (ko) 조직배양한 라울리아 오스트라리스 신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36516A (ko) 브로콜리 종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10655B1 (ko) 마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217704B1 (ko) 적색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4902967B2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
KR102504878B1 (ko)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9943B1 (ko)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76706A (ko) 티로시나아제 활성 및 멜라닌 생성 억제 기능을 갖는 명일엽 추출분말 함유 피부 미백제
KR101093863B1 (ko) 조직 배양한 노니 배양세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조직 배양한 노니 배양세포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186533B1 (ko)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바위돌꽃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9135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20230006131A (ko)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67831A (ko) 색시프라가 캐스피토샤 바. 유니플로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색시프라가 캐스피토샤 바. 유니플로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050026297A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 방법
JP6378968B2 (ja) 美白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