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655B1 - 마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마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655B1
KR101310655B1 KR1020110047047A KR20110047047A KR101310655B1 KR 101310655 B1 KR101310655 B1 KR 101310655B1 KR 1020110047047 A KR1020110047047 A KR 1020110047047A KR 20110047047 A KR20110047047 A KR 20110047047A KR 101310655 B1 KR101310655 B1 KR 101310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dry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9036A (ko
Inventor
김진은
김보라
오명진
이수민
이계종
혁 김
이주동
최병국
Original Assignee
엔프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프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프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7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655B1/ko
Publication of KR20120129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 완화, 피부자극 완화, 피부 진정, 아토피의 예방 및 개선, 피지분비 억제 또는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마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COSMETIC COMPOSITION WHICH CONTAINS TRAPA JAPONICA FLEROV. EXTRACTION AS ACTIVE COMPOTNETS AND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마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공해와 환경 오염 등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피부 손상 및 아토피성 피부병 등의 발생이 증가하였다. 그 외에도 피부의 유수분 균형이 깨지거나 호르몬 또는 스트레스, 환경적 이유 등으로 인하여 피부의 염증, 여드름 등 많은 피부 트러블들이 문제가 되고 있다.
한편, 마름(Trapa japonica Flerov.)은 한국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수생식물로, 그 열매는 민간요법에서 위장병, 식도암, 자궁암, 당뇨병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나 과학적으로 그 효능을 규명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 자극을 완화, 아토피 및 염증을 완화시키기 위한 화장료 및 의약을 연구하던 중, 마름 추출물이 염증 완화, 피부자극 완화, 피부 진정, 아토피의 예방 및 개선, 피지분비 억제 또는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염증 완화, 피부자극 완화, 피부 진정, 아토피의 예방 및 개선, 피지분비 억제 또는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염증 완화 또는 피부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염증 완화, 피부자극 완화, 피부 진정, 아토피의 예방 및 개선, 피지분비 억제 또는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미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름 추출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마름 추출물은 염증 완화, 피부자극 완화, 피부 진정, 아토피의 예방 및 개선, 피지분비 억제 또는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바, 기능성 화장품 또는 약학적 조성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마름 추출물의 NO 생성 저해능을 보여준다.
도 2는 마름 추출물이 0.01%에서도 세포 독성이 없는 것을 보여준다.
도 3은 마름 추출물의 iNOS mRNA 저해능을 나타낸다.
도 4는 마름 추출물의 iNOS 단백질 발현 억제능을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은 마름 추출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억제능을 나타낸다. 이 때, 도 5의 A~H 및 1~8의 항체의 종류는 표 1과 같다.
본 발명은 마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마름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마름 추출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미용 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마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피부자극 완화 및 아토피의 예방 및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마름 추출물은 마름의 잎, 줄기, 뿌리 등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마름 열매의 껍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름 열매의 껍질은 마름의 잎, 줄기, 뿌리 등에 비하여, 염증 완화 및 피부 자극 완화 효과 등이 현저히 높아, 본 발명의 실시에 바람직하다. 반면, 마름의 잎, 줄기 등은 항산화 효과는 좋았으나 항염 및 피부 자극 완화 효과는 마름 열매 껍질보다 낮았다.
본 발명의 마름 추출물은 마름을 물, 탄소수 3 이하의 저가 알코올, 에테르, 아세트산 에틸 등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마름 추출물은 물,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추출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마름 추출물은 물로 추출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약학적 조성물은 염증 완화, 피부자극 완화, 피부 진정, 아토피의 예방 및 개선, 여드름의 개선 및 치료, 주름 개선, 피부 노화 저해, 피지분비 억제 또는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민감성 피부, 아토피성 피부, 지성 피부, 여드름성 피부 등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마름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약학적 조성물은 IL-6, IL-9, RANTES, GM-CFS 및 IL-12p40/p70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사이토카인의 저해, NO 생성 저해, iNOS 발현 저해, MMP-1 발현 저해 또는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의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에도 제조될 수 있으며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 제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미용 방법은 마름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염증 완화, 피부자극 완화, 피부 진정, 주름 개선 및 완화, 피부 노화 저해, 여드름의 예방 및 개선, 아토피의 예방 및 개선, 피지분비 억제 또는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항염, 여드름의 예방 및 치료, 피부자극 완화 및 아토피의 예방 및 치료 효능을 갖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민감성 피부, 염증성(염증이 생긴) 피부, 아토피성 피부 등을 갖는 환자 등에 투여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피부 트러블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마름 추출물을 0.01 내지 80 중량부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65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투여자의 필요에 따라 증감할 수 있으며, 피부의 상태, 염증 등의 진행 정도 등 상황에 따라 적절히 증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피부에 도포하여 경피 흡수용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 또는 피부 도포용 유액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 또는 화장용으로 허용 가능한 통상의 담체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가용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또는 증량제 등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용량은, 환자의 피부 상태, 연령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전문가에 의해 결정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피부 1 cm2 당 0.01 μg 내지 200 μg, 바람직하게는 0.01 μg 내지 50 μg 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1일 용량 또는 이의 1/2, 1/3 또는 1/4의 용량이 함유되도록 하며, 하루 1 내지 6 회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피부 건강 유지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투여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마름은 시중에 판매되는 마름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마름 추출물의 제조>
마름 열매 껍질을 건조하여 마쇄하였다. 그 후 마쇄한 마름 시료 1kg에 물 5.5 L를 가하고 1시간 동안 열탕 추출하고, 이를 감압 여과하여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감압 여과하여이를 1 마이크로미터 여과기를 사용하여 재차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고 건고하였다. 상기 건고된 마름 추출물은 15g이었다. 상기 건고된 마름 추출물 동일한 양의 덱스트린을 넣어 혼합하고 분무 건조한 후 분쇄하여 최종적으로 마름 추출물 30g을 수득하였다. 이하,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6의 실험들은 상기 마름 추출물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예 1> 항염 효능 평가
<1-1> 마름 추출물의 NO 생성 저해능
Raw 264.7 세포들을 96 well plate에 2X105 cells/well로 접종한 후 24 시간 후에 배지를 제거하였다. Phenol free DMEM 배지에 마름 추출물을 Lipopolysaccharides(LPS) 1μg/ml과 함께 농도별로 섞어 분주하였다. 24시간 후 배지를 100 μl 씩 취하여 새로운 96 well plate로 옮겼다. 100 l의 Griess reagent (Sigma, USA)를 넣고 10 분간 반응시킨 후에 54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LPS 단독 처리군에서 생성된 NO양에 대한 저해율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 LPS처리시 NO 생성량이 증가하였으나, 마름 추출물을 24시간 농도 별로 처리하자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을 저해하였다. 그러므로 마름 추출물이 NO 생성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1-2> 세포 독성평가
세포 독성평가를 실시 하여 세포 독성이 없는 마름 추출물의 농도를 확인하였다. 생쥐의 대식세포인 Raw 264.7 cells을 1×104 cells/well로 96-well plate에 접종하였다. 24시간 후 Phenol free DMEM 배지에 마름 추출물을 농도 별로 처리하였다. 24시간 후 2mg/ml의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 yellow tetrazole (MTT)를 각 well에 50 μl씩 가하고, 어두운 곳에서 4 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상층액은 버리고, DMSO를 200 μl를 가하여 생성된 MTT formazan을 완전히 용해시킨 후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마름 무처리군에서의 생존률을 100 %로 했을 때 마름 추출물 처리군의 세포 생존률을 구하였다.
그 결과, 마름 추출물은 0.01%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마름 추출물을 0.01% 처리한 경우 대조군 (마름 무처리군)에 비해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아, 마름 추출물이 NO 생성 자체를 저해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후 세포 실험은 0.01%를 최고 농도로 하여 실험 하였다(도 2).
<1-3> 마름 추출물의 iNOS mRNA 발현 억제능
mRNA의 발현 변화를 확인 하기 위해서 RT-PCR(Reverase Transcriptase-PCR)을 실시하였다. Raw 264.7 cells을 1X107 cells/well로 100 π dish에 접종한 후 24 시간 후에 배지를 제거 하였다. 마름 추출물을 LPS 1ug/ml에 농도별로 섞어 분주 하였다. 24 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Trizol reagent (Invitrogen, USA)를 이용해 RNA를 분리하였다. Reverse Transcription Premix(ELPIS, South Korea)를 이용해 cDNA를 합성 한 후 각각의 Primer를 이용하여 PCR을 진행하고, 1.8% agarose gel을 만들어 band를 내려 확인 한 후 mRNA level을 확인하였다.
이 때, Primer seqeunce는 하기와 같다:
Murine iNOS sense primer, 5'-CCC TTC CGA AGT TTC TGG CAG CAG C- 3';
Murine iNOS antisense primer, 5'-GGC TGT CAG AGC CTC GTG GCT TTG G-3';
Murine β-actin sense primer, 5'- TGG AAT CCT GTG GCA TCC ATG AAA C-3';
Murine β-actin antisense primer, 5'-TAA AAC GCA GCT CAG TAA CAG TCC G-3'.
그 결과, LPS를 단독으로 처리시에는 다량의 iNOS mRNA가 유도되었으나, 마름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iNOS mRNA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히 감소한 것이 확인되었다(도 3).
<1-4> 마름 추출물의 iNOS 단백질 발현 억제능
Protein 발현 변화를 확인 하기 위해서 Western blot analysis를 실시하였다. Raw 264.7 cells을 1X107 cells/well로 100 π dish에 접종한 후 24 시간 후에 배지를 제거 하였다. 마름 추출물을 Lipopolysaccharides(LPS) 1 ug/ml에 농도별로 섞어 분주하였다. 2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RIPA buffer를 이용해 Protein을 분리하였다. SDS-PAGE를 실시 한 후 Membrane으로 Transfer하였다. 5 % Skim milk로 Blocking 한 후 각각의 Primary antibody와 Secondary antibody를 순차적으로 붙였다. X-ray film에 develop한 후, 관찰하였다.
그 결과, LPS를 단독으로 처리시에는 다량의 iNOS 단백질 발현이 유도되었으나, 마름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LPS에 의해 유도된 iNOS 단백질 발현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되었다. 그러므로 마름 추출물은 iNOS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켜 NO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4).
<1-5> 마름 추출물의 염증유발 Cytokine 억제능
Raw 264.7 cells을 1X107 cells/well로 100 π dish에 접종한 후 24 시간 후에 배지를 제거하였다. 원료를 Lipopolysaccharides (LPS) 1μg/ml과 함께 농도별로 섞어 분주 하였다. 24 시간 후 배지를 1ml 씩 수거 하여 RayBio Mouse Cytokine Antibody Array를 실시하였다. 이 후 실험은 Manual Protocol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이 때 membrane에 표지된 항체는 하기 표 1과 같다.
Figure 112011037172938-pat00001
Pos: Positive Control, Neg: Negative Control
그 결과, LPS는 염증유도 사이토카인 다수를 증가시켰으며, 마름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LPS로 유도된 IL-6, IL-9, RANTES, GM-CFS(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IL-12p40/p70의 발현을 감소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5 및 도 6). 이와 같은 결과로 마름 추출물은 iNOS의 mRNA, Protein 발현 억제를 통한 NO생성 저해뿐 아니라 염증과 관련된 여러 가지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시켜 강력한 항염 효과(염증 예방 및 완화)를 갖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마름 추출물의 피부 자극 완화능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마름 추출물을 함유하는 로션(실시예1 및 실시예 2), 및 마름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로션(비교예)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실시예 1 및 2, 비교예는 마름 추출물 및 정제수의 양이 차이가 났다.
Figure 112011037172938-pat00002
상기 실시예 1 및 2, 비교예를 이용하여 피부 자극 완화 효능에 대한 첩포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은 아토피 피부염과 다른 습진의 현재병력 및 과거 병력이 없고, 현재 피부질환이 없다고 판단된 20세 이상의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0.5% 소듐라우릴설페이트 (Sodium lauryl sulfate, SLS)를 Finn chamber를 이용하여 24시간 피부에 첩포하여 자극을 유도하고, 이를 제거 후 실시예 1 및 2, 비교예를 7일간 하루에 2~3회 도포 하였다. 도포 후 1 일 후, 2일 후, 및 7일 후 결과를 TEWA meter를 이용하여 TEWL을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TEWL 수치는 자극 유발 정도의 척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값이 낮을수록 자극이 낮다고 판단한다.
그 결과, 이와 같이 마름 추출물이 함유된 실시예 1 및 2는 마름 추출물이 함유되지 아니한 비교예보다 0.5% SLS로 유도된 TEWL가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0.6%의 마름 추출물이 함유된 실시예 1 보다 마름 추출물이 1.2% 함유된 실시예 2의 처리 시 TEWL의 감소폭이 높아 마름 추출물이 피부자극을 완화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3).
Figure 112011037172938-pat00003
<실험예 3> 마름 추출물의 피지 분비 억제능
마름 추출물의 지성피부 완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20-45세의 여성층으로 지성피부를 가진 20명에게 이마 부분에 10명은 표 2의 실시예 2를, 다른 10명에게는 표 2의 비교예를 아침, 저녁으로 1일 2회 도포하여 사용하게 한 후에 1주, 2주, 3주 및 4주 후에 피부 유분측정기 (Sebumeter SM810)를 이용하여 피부의 피지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실험은 20℃, 상대습도 20%에서 이루어졌으며 측정결과는 표 16에 나타내었다. 결과는 피검자 10명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지성 피부인 경우 측정값이 220 이상이고, 정상피부의 경우 100 내지 220사이이다.
그 결과, 마름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2를 주기적으로 도포시 과다한 피지분비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마름 추출물은 피지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바, 이로써 과도한 피지로 인한 여드름과 염증 등 트러블을 예방 및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Figure 112011037172938-pat00004
<실험예 4> 마름 추출물의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능
마름 추출물의 엘라스틴 생성 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업적으로 구입한 사람의 섬유아세포(Invitrogen, USA)에 마름 추출물을 처리하여 엘라스타제 (Elastase) 활성 억제능을 실험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사람의 섬유아세포를 Human Fibroblast growth factor가 함유된 Medium 106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였다. 그리고 배양된 세포를 0.2 M Tris-HCl (pH 8.0)에 0.1% triton X100가 되도록 제조된 용액에 넣어 세포를 Lysis 하였다. 액체 질소에서 냉동 및 해동을 3회 반복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하여 엘라스타제를 포함하는 효소액을 만들었다. 이 효소액을 정량하여 96well plate에 각 well당 100 μg의 단백질을 함유되게 넣고 0.2 M Tris-HCl (pH 8.0)을 넣어 88 μL가 되도록 하였다. 마름 추출물을 농도별로 10 μl 씩 각 well당 넣었다. 엘라스타제의 기질인 STANA (N-succinyl-tri-alanyl-p-nitroanilide, 50 mM)액을 2 μL씩 각 well 당 넣고 37℃에서 배양하였다. 90 분 후 405 nm에서 ELISA Reader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마름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 질수록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능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표 5).
Figure 112011037172938-pat00005
<실험예 5> 자외선 조사 후 마름 추출물에 의한 MMP-1 발현 억제능
자외선 조사 후 증가되는 MMP-1 발현을 마름 추출물이 억제하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를 실시 하였다. 60π dish plate에 인간섬유아세포를 2.5 X 105cells/well로 접종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PBS로 washing 후 2ml의 PBS를 넣은 상태에서 UV 챔버를 이용하여 인간섬유아세포에 UVB를 20 mJ/cm2의 에너지를 조사하였다. 대조군은 은박지로 싸서 UVB의 환경에서 같은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UVB의 방출량은 UV라디오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PBS를 제거하고 마름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24시간 후 Medium을 수거하여 MMP-1의 발현양을 ELISA kit (Calbiochem, USA)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이때 상기 마름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배양액의 흡광도 값을 대조군으로 하여, 실험군들의 MMP-1 발현 억제율을 상대적인 %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마름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MMP-1의 발현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비록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아스코빅산에 비하여 그 효과는 조금 낮지만 우수한 MMP-1 발현 저해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표 6).
Figure 112011037172938-pat00006
<실험예 6> 마름 추출물의 피부 미백 효과
<6-1>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측정
마름 추출물이 멜라닌을 생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타이로시나아제 효소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측정하였다. 96 well plate에 0.1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6.8)를 120 μl 첨가하고 동일 Buffer에 농도별로 희석한 마름 추출물을 15 μl씩 첨가한 후 5 μl의 버섯유래 타이로시나아제 (2000 U/ml)를 첨가하였다. 기질로서 3 mM의 L-tyrosine solution을 10 μl를 첨가 한 후 37 ℃에서 20 분간 반응시킨 후, ELISA 리더(reader)를 이용하여 파장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마름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배양액의 흡광도 값을 대조군으로 하여, 그 상대값으로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마름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버섯유래 타이로시나아제 활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7).
Figure 112011037172938-pat00007
<6-2> 마름 추출물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능
B16F10 melanoma 세포를 10% FBS와 1%의 항생제를 첨가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1.5x105 세포의 밀도로 접종하고 하루 동안 5% CO2, 37℃에서 배양시켰다. 그 후 α-멜라닌 세포자극호르몬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5 nM)과 함께 마름 추출물을 농도 별로 처리하고, 3일 후 배지를 수거하였다. 540 nm 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 하였으며, 이때 상기 마름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배양액의 흡광도 값을 대조군으로 하여, 상대적인 멜라닌 합성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마름 추출물은 α-멜라닌 세포자극호르몬으로 유도된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마름 추출물은 타이로사나아제 활성 및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함으로써, 미백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8).
Figure 112011037172938-pat00008

Claims (10)

  1. 마름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름 추출물은 마름에 물을 가하고 열탕 추출한 후 이를 여과하여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피부자극 완화 및 피부 진정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4. 마름을 열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자극 완화 및 피부 진정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마름의 열수 추출 단계는 마름에 물을 가하고 열탕 추출한 후 이를 여과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10047047A 2011-05-18 2011-05-18 마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310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047A KR101310655B1 (ko) 2011-05-18 2011-05-18 마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047A KR101310655B1 (ko) 2011-05-18 2011-05-18 마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036A KR20120129036A (ko) 2012-11-28
KR101310655B1 true KR101310655B1 (ko) 2013-09-24

Family

ID=47513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047A KR101310655B1 (ko) 2011-05-18 2011-05-18 마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6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70812B2 (ja) * 2017-10-24 2021-05-12 リファイ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酵素活性阻害剤
KR102344703B1 (ko) * 2018-12-28 2021-12-30 에이앤펩주식회사 마름 발효물의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 마름 발효물이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항노화에 효과가 있는 조성물과 발효물로 이루어진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6214A (ja) * 1992-04-24 1993-11-19 Mikimoto Pharmaceut Co Ltd 化粧料
JPH08333270A (ja) * 1995-06-06 1996-12-17 Mikimoto Pharmaceut Co Ltd 細胞賦活剤
JP2003063976A (ja) * 2001-08-28 2003-03-05 Ichimaru Pharcos Co Ltd ヒシ抽出物含有化粧料組成物
KR100706282B1 (ko) 2004-05-13 2007-04-11 학교법인 인제학원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6214A (ja) * 1992-04-24 1993-11-19 Mikimoto Pharmaceut Co Ltd 化粧料
JPH08333270A (ja) * 1995-06-06 1996-12-17 Mikimoto Pharmaceut Co Ltd 細胞賦活剤
JP2003063976A (ja) * 2001-08-28 2003-03-05 Ichimaru Pharcos Co Ltd ヒシ抽出物含有化粧料組成物
KR100706282B1 (ko) 2004-05-13 2007-04-11 학교법인 인제학원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036A (ko)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76534B2 (ja) 鉄皮石斛(デンドロビウム・カンディダム)花の抽出物を含む化粧料組成物
US10098372B2 (en) Whitening composition and the use thereof
KR101961152B1 (ko) 양태반 분말과 식물의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주름 개선용 식품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11533B1 (ko) 보이차 추출물, 흑마늘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2934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58780B1 (ko) 천연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40012456A (ko) 아케비아 사포닌-디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2015178490A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エキナセア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101310655B1 (ko) 마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13754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6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00104999A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430636B1 (ko) 진세노사이드 Rh2 및 진세노사이드 Rg3를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JP6846106B2 (ja) Dkk1発現促進剤および美白剤
KR100564107B1 (ko) 피부노화방지 효능을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56A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0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4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5690149B2 (ja) 外用剤又は内用剤
KR101515443B1 (ko) 베르가못, 금은화, 율무 및 밀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미백 및 손상된 피부 회복 촉진용 기능성 화장용 조성물
KR100561781B1 (ko) 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7013754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2022023250A (ja) Dkk1発現促進剤および美白剤
KR20170136917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