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0365A - 범퍼 빔 - Google Patents

범퍼 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0365A
KR20180090365A KR1020187019455A KR20187019455A KR20180090365A KR 20180090365 A KR20180090365 A KR 20180090365A KR 1020187019455 A KR1020187019455 A KR 1020187019455A KR 20187019455 A KR20187019455 A KR 20187019455A KR 20180090365 A KR20180090365 A KR 20180090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bumper beam
transverse member
main transverse
di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9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니 해그슈트룀
Original Assignee
게스탐프 하르트테크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스탐프 하르트테크 아베 filed Critical 게스탐프 하르트테크 아베
Publication of KR20180090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3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2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4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formed from more than one section in a side-by-side arrangement
    • B60R19/1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formed from more than one section in a side-by-side arrangement vertically spa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destroyed upon impact, e.g. one-sho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23Offset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퍼 빔(B)에 관한 것으로, 이 범퍼 빔은 세장형 주 횡단 부재(1)를 포함하며, 이 주 횡단 부재(1)는 주 횡단 부재(1)의 각각의 단부들에 가까운 부착 부분들(4)에서 2개의 크래쉬 박스들(3)에 수평으로 부착되도록 배열되고, 범퍼 빔(B)은 크래쉬 박스들(3)의 외부 단부들에 부착되도록 배열되는 내부 측면 및 반대편의 외부 측면을 가지며, 주 횡단 부재(1)는 상기 부착 부분들(4) 사이에 중간 부분(5)을 더 포함하고, 그리고 오프-셋 부재(2)는 각각의 부착 부분(4)에 배열된다. 오프-셋 부재들(2)은 주 횡단 부재(1)로부터 안쪽으로 연장하는 선단 웨브(6), 및 선단 웨브(6)를 말단 웨브(7)에 결합하는 내부 부품(8)으로부터 단부 림(10)에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말단 웨브(7)를 포함한다. 말단 웨브(7)는 선단 웨브(6)와 말단 웨브(7) 사이에 개구를 형성하도록 선단 웨브(6)로부터의 거리를 두고 연장하며, 지지 부분(12)은, 지지 부분(12)이 인접한 크래쉬 박스(3)의 길이 방향 측면을 향하도록 배열되는 선단 웨브(6)를 따라 배열된다.

Description

범퍼 빔
본 발명은 차량의 크래쉬 박스(crash box) 상의 배열을 위한 범퍼 빔에 관한 것이며, 더 자세하게는 오프-셋 범퍼-투-범퍼(off-set bumper-to-bumper) 충돌시에 성능을 개선하도록 배열되는 지지 부분을 가지는 범퍼 빔에 관한 것이다.
범퍼 빔들은, 전방 충돌시에 힘들의 대부분을 흡수하기 위해 차량들, 예컨대 자동차들 상에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범퍼 빔은 차량의 전방 및 후방 양자 모두에 배열된다.
흰색의 동일한 본체를 갖지만 상이한 휠 서스펜션들을 갖는 차량들은 차량 높이에 따라 상이한 높이들에 위치되는 범퍼 빔들을 가질 것이다. 상이한 높이들의 자동차들 사이의 범퍼-투-범퍼 충돌시에, 범퍼들은 서로 수직으로 오프셋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차량들 및 차량 내부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손상들은, 충격 힘들이 차량들이 형성된 방식으로 흡수되지 않는다는 사실로 인해, 더욱 더 심각할 수 있다.
WO2005/090128 A1로부터, 오프-셋 충돌시에 더 양호하게 대처하도록 적응되는 프로파일을 가지는 범퍼 빔이 공지된다.
그러나, 특히 차량들이 서로 언더라이드(underride)/오버라이드(override)할 위험을 감소시키 위해, 수직으로 오프셋된 충격들을 훨씬 더 잘 대처하게 만드는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는 범퍼 빔을 제조하는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범퍼 빔의 다른 성능들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당한 중량을 부가하지 않고 오프셋 충격들을 위한 개선된 기능성이 달성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언더라이드/오버라이드의 위험을 최소화하도록, 수직으로 오프셋된 충격시에 양호한 부하(load) 처리를 제공하도록 배열되는 범퍼 빔을 달성하는 것이다.
추가의 목적은 실질적으로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이러한 범퍼 빔을 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은, 범퍼 빔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며, 이 범퍼 빔은 세장형의 주(main) 횡단 부재를 포함하며, 세장형의 주 횡단 부재는 주 횡단 부재의 각각의 단부들에 가까운 부착 부분들에서 2개의 크래쉬 박스들(crash boxes)에 수평으로 부착되도록 배열되고, 범퍼 빔은 크래쉬 박스들의 외부 단부들에 부착되도록 배열되는 내부 측면 및 범퍼 빔의 외부 표면을 구성하도록 배열되는 반대편의 외부 측면을 가지며, 주 횡단 부재는 상기 부착 부분들 사이에 중간 부분을 더 포함하고, 그리고 오프-셋 부재(off-set member)는 각각의 부착 부분에서 주 횡단 부재 위에 또는 아래에 배열된다. 오프-셋 부재들은 주요횡단 부재로부터 안쪽으로 연장하는 선단 웨브, 말단 웨브 및 선단 웨브를 말단 웨브에 연결시키는 내부 부품을 포함하며, 말단 웨브는 말단 웨브와 선단 웨브 사이에 개구를 형성하도록 선단 웨브의 바깥쪽으로 그리고 선단 웨브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연장하고, 지지 부분은 선단 웨브를 따라 배열되며, 지지 부분은 크래쉬 박스들의 길이 방향 측면들을 향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범퍼 빔은 크래쉬 박스들을 포함하며, 하나의 크래쉬 박스는 주 횡단 부재의 각각의 부착 부분에 배열된다. 범퍼 빔은 또한, 오프-셋 부재가 측면 거더(girder)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고정된 크래쉬 박스를 갖는 차량 상에 또는 차량의 측면 거더들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오프-셋 부재의 지지 섹션은 각각의 크래쉬 박스와 미끄럼 접촉하도록(in sliding contact) 배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서 규정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 상에 도시되는 비제한적 실시예들을 참조로 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범퍼 빔의 내측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범퍼 빔 및 범퍼 빔이 부착될 수 있는 크래쉬 박스의 내측 상세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범퍼 빔의 외측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의 범퍼 빔의 외측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선(V-V)을 따라 취해진, 제1 실시예의 범퍼 빔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선(VI-VI)을 따라 취해진, 제1 실시예의 범퍼 빔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범퍼 빔의 외측도이다.
도 8는 도 7에서 선(VIII-VIII)을 따라 취해진, 제2 실시예의 범퍼 빔의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 선(IX-IX)을 따라 취해진, 제2 실시예의 범퍼 빔의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범퍼 빔의 외측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예의 범퍼 빔 및 크래쉬 박스의 횡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12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범퍼 빔 및 크래쉬 박스의 횡단면도이다.
아래의 설명에서, 발명의 범퍼 빔은 전방 범퍼 빔으로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방 범퍼 빔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또한 후방 범퍼 빔에 관한 것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범퍼 빔(B)은 범퍼 빔의 내측으로(inside)부터 사시도로 도시되며, 범퍼 빔은 차량 상에 배열될 때 보이지 않는 범퍼 빔(B)의 측면, 즉, 차량을 향하는 측면으로 지칭한다. 도 3에서, 동일한 범퍼 빔은 외측, 즉, 차량의 외측 측면을 구성할 측면으로부터의 사시도로 도시된다.
본 출원서 전체에 걸쳐, “내측”은 차량에 부착될 때 차량을 향하는 범퍼 빔의 측면을 표시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외측”은 차량의 외측을, 따라서 전방 범퍼 빔에 대해 전방으로 그리고 후방 범퍼 빔에 대해 후방으로 향하는 범퍼 빔의 측면을 표시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추가적으로, “상방으로” 그리고 “하방으로”는 차량에 부착될 때 범퍼 빔의 방향들을 표시한다.
도 2는 크래쉬 박스(3)의 반대편 측면으로부터 내측도의 도 1에서 나타내는 것보다 상세도이다.
범퍼 빔(B)은 2개의 크래쉬 박스들(3)에 수평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그 각각의 단부들에 가까운 부착 부분들(4)을 포함하는 세장형의 주 횡단 부재(1)를 포함하며, 이 크래쉬 박스들 중 오직 하나만이 도면들에 도시된다. 주 횡단 부재(1)는 상기 부착 부분들(4) 사이에 중간-부분(5)을 더 포함한다.
범퍼 빔(B)은 크래쉬 박스들(3)을 향하도록 배열되는 내부(inner) 측면 및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단부 상에 범퍼 빔(B)의 외부 표면을 구성하도록 배열되는 반대편 외부 측면을 가진다. 다시 말해, 표면 코팅 등과 다른 어떠한 부가의 상세들이 범퍼 빔의 외측에 제공되지 않는다.
범퍼 빔(B)은 각각의 부착 부분(4)에 걸쳐 연장하는 오프-셋 부재(2)를 더 포함한다. 오프-셋 부재(2)는 상기 주 횡단 부재(1)에 고정되게 부착된다.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오프-셋 부재들(2)은 범퍼 빔의 일체형 부품들이어서, 주 횡단 부재(1) 및 오프-셋 부재(2)는 일체로 제조된다. 그러나, 오프-셋 부재들은 또한, 땜납(solder), 접착제, 리벳들 등에 의해 결합되는 수개의 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범퍼 빔(B)은 외측으로부터 도시되며,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도 4에서, 선들(V-V 및 VI-VI) 각각을 따라 범퍼 빔(B)의 횡단면도들이다.
도 6에서, 제1 실시예의 오프-셋 부재(2)의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모자 프로파일(hat profile)로서 설명될 수 있는 프로파일은, 인접한 크래쉬 박스(3)에 가깝고 그리고 인접한 크래쉬 박스(3)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주 횡단 부재(1)로부터 안쪽으로 연장하는 선단 웨브(proximal web)(6)를 포함한다. 용어 “선단”은, 대상물이 주 횡단 부재에 대해 선단에 있는, 즉 가깝게 포지셔닝되는 것을 표시하며, 여기서 용어 “말단(distal)”은 주 횡단 부재(1)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멀리 포지셔닝되는 것을 표시한다. 용어 “실질적으로 평행한”은 선단 웨브와 크래쉬 박스의 표면 사이의 거리가 선단 웨브의 길이를 따라 대략적으로 동일한 것을 표시하는 것이어야 한다. 말단 웨브(7)는 크래쉬 박스들(3)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열되어, 개구가 말단 웨브와 선단 웨브 사이에 형성된다. 내부 부품(8)은 선단 웨브(6)에 말단 웨브(7)를 연결시키도록 배열된다. 제1 실시예의 오프-셋 부재(2)에서, 내부 부품(8)은 선단 웨브와 말단 웨브 사이의 거리를 형성하는 수직 웨브를 포함한다.
단부 림(10)은 말단 웨브(7) 상에 배열되며, 이 단부 림(10)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주 횡단 부재(1)로부터 수직으로 멀어지게 연장한다. 그러나, 단부 림(10)은 또한, 주 횡단 부재(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특정 연장 없이, 더 가파른 단부가 형성된(abrupt ending) 말단 웨브(7)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웨브들(6 및 7) 사이의 개구를 커버하기 위해, 그리고 오프-셋 부재(2)의 구조를 기계적으로 강화시키기 위해, 커버 부분(11)이 웨브들(6 및 7)의 외부 부품들 사이에 배열된다. 커버 부분(11)은 땜납, 접착제, 리벳들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오프-셋 부재들(2)은 중간 오프-셋 프로파일(9)에 의해 연결된다. 중간 오프-셋 프로파일(9)의 프로파일은 도 5에서 횡단면도로 도시된다. 범퍼 빔(B)의 이러한 제1 실시예에서, 중간 오프-셋 프로파일(9)은 중간 오프-셋 프로파일(9)을 상호연결시키는 오프-셋 부재들(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프로파일을 가진다. 그러므로, 도 5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중간 오프-셋 프로파일(9)은 선단 웨브(6a), 말단 웨브(7a), 및 선단 웨브(6a)와 말단 웨브(7a)를 상호연결시키는 내부 웨브(8a)를 포함한다.
발명의 기하학적 형상은 범퍼의 원치않은 회전을 방지하도록 그리고 이에 의한 충돌(collision)시에 오버라이드/언오버라이드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하도록 선택된다.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오프-셋 부재(2)는 주 횡단 부재(1)에 수직 아래로 배열된다. 그러나, 이 오프-셋 부재는 단지 또한, 주 횡단 부재(1)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높은 서스펜션을 갖는 차량에 대해, 오프-셋 부재(2)는,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의 차량, 예컨대 일반적인 높이 내지 낮은 높이의 차량들과의 충격에 대해 증가된 충격 공차(increased impact tolerance)를 제공하기 위해 주 횡단 부재(1) 아래에서 대부분 사용한다. 더 낮은 차량들에 대해, 오프-셋 부재(2)는 바람직하게는, 상대적으로 더 높은 높이의 차량들과의 충돌에 대해 증가된 충격 공차를 제공하기 위해 주 횡단 부재(1) 위에 배열되며, 그리고, 평균 높이 오프-셋 부재들의 차량들에 대해, 주 횡단 부재(1) 위에 뿐만 아니라 아래에도 배열될 수 있다.
도시되는 실시예의 범퍼 빔(B)이 주 횡단 부재(1)의 하부 부품에서 그리고 아래에서 충격 지점을 가지는 경우 충돌 시에, 말단 웨브(7)는 안쪽으로 푸시될 것이며, 이에 의해 토크는 오프-셋 부재(2) 상에 작용할 것이다. 그러나, 선단 웨브(6)와 크래쉬 박스(3)의 하부 측면 사이의 상호작용은, 범퍼 빔이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할 것이다. 선단 웨브는 지지 부분(12)을 포함하며, 이 지지 부분(12)은 제1 실시예에서, 거의 선단 웨브(6)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고, 크래쉬 박스(3)의 하부 측면 상에 작용할 것이다. 오프-셋 부재(2)의 지지 부분(12)과 크래쉬 박스(3)의 저부측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토크는 크래쉬 박스(3)를 통해 안쪽으로 돌출될 것이다. 이는 물론, 크래쉬 박스(3)가 큰 충격 힘들에 대처하도록 치수가 정해짐에 따라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섹션(12)은 크래쉬 박스(3)에 고정되지 않는다. 대신에, 크래쉬 박스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이 허용된다. 미끄럼 상호작용은 크래쉬 박스(3)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기여 힘들을 개선하도록 오프-셋 비틀림들의 변환(transition)을 최소화할 것이다.
선단 웨브(6) 및 말단 웨브(7)의 길이들은 바람직하게는, 단부 림(10)이 범퍼 빔(B)의 외부 측면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substantially in line) 한다. “실질적으로 일치하는”은 본 내용에서 수직선에 대해, 범퍼 빔(B)의 외부 측면 및 단부 림(10)이 상기 선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에 있는 것을 표시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통상적으로, 단부 림(10)은 범퍼 빔(B)의 외부 측면의 내측으로 5cm 이하만큼, 바람직하게는 2.5cm 미만 만큼,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1cm 미만 만큼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범퍼 빔의 제2 실시예는 도 7 내지 도 9에서 도시된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서, 오프-셋 부재(2)는 제1 실시예의 오프-셋 부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제1 실시예의 범퍼 빔과 대조적으로, 중간 부분(5)은 도 7에서 선(VIII-VIII)을 따라 취해진 횡단면도인 도 8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은 단일 모자 프로파일을 형성하도록 중간 오프-셋 프로파일(9)을 포함한다. 상부 웨브(13) 및 하부 웨브(15) 각각을 가지는 이러한 모자 프로파일은 실질적으로 대칭이며, 그리고 외부 웨브(14)는 상부 웨브 및 하부 웨브를 연결시킨다.
도 9는 도 7에서 선(IX-IX)을 따라 취해진 오프-셋 부재(2)의 횡단면도이다. 도 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오프-셋 부재(2)는 선단 웨브(6), 및 내부 웨브의 형태의 내부 부품(8)에 의해 상호연결되는 말단 웨브(7)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 대해서와 같이, 오프-셋 부재(2)의 지지 부분(12)은 선단 웨브(6)의 주요 부품에 대해 연장한다. 커버 부분(11)은 오프-셋 부재에 걸쳐 연장하지만, 중간 부분(5)에서 종료되며, 여기서 오프-셋 부재의 프로파일은 페이징 아웃되어(phased out) 있고, 도 8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은 프로파일로 변환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제1 실시예의 커버 부분(11)과 대조적으로, 커버 부분(11)은 오프-셋 부재의 수직 부품들에 부착된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점은 대부분, 설계의 문제이고, 오프-셋 부재의 구조적 강도에 대한 영향이 거의 없다. 유리한 일 실시예에서, 범퍼 빔은, 선단 웨브(6)와 말단 웨브(7) 사이의 개구를 커버하도록 배열되는 커버 부분(11)을 제외하고, 일체로 형성된다. 커버 부분(11)은 땜납하거나 접착 등을 함으로써 부착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 제3 실시예에 따른 범퍼 빔이 도시된다. 도 11은 도 10에서 도시되는 범퍼 빔(B) 및 크래쉬 박스(3)의 부착 부분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오프-셋 부재(2)의 프로파일은, 이 오프-셋 부재(2)의 프로파일이 선단 웨브(6), 말단 웨브(7), 및 선단 웨브와 말단 웨브를 상호연결하는 내부 부품(8)을 포함하는 점에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닮았다. 제1 및 제2 실시예들과 달리, 제3 실시예의 오프-셋 부재(2)의 내부 부품(8)은 수직 방향으로의 연장부를 가지지 않는다. 대신에, 오프-셋 부재는 선단 웨브 및 말단 웨브 사이의 예각을 형성해서, 말단 웨브(7)는 선단 웨브(6)로부터 약간 분기하여(diverging) 바깥쪽으로 연장하며, 이에 의해 선단 웨브(6)와 말단 웨브(7) 사이에 실질적으로 삼각형 형상의 개구를 형성한다.
제1 및 제2 실시예들에 대해서와 같이, 제3 실시예의 지지 섹션(12)은 선단 웨브(6)의 주요 부품을 위한 크래쉬 박스(3)의 측면에 나란하게 연장한다.
도 12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범퍼 빔의 횡단면도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2)는 크래쉬 박스(3)의 측면으로부터 짧은 거리에 있는 선단 웨브(6)의 외부 부품을 형성하는 만곡된 부분(16)을 포함한다. 만곡된 부분(16)의 내측에, 선단 웨브(6)는 크래쉬 박스(3)를 향하여 약간 분기하여 안쪽으로 연장한다. 지지 섹션(12)이 제공되며, 이 지지 섹션(12)에서, 선단 웨브(6)는 내부 부품(8)과 만나며, 내부 부품(8)은 선단 웨브(6) 및 크래쉬 박스(3)로부터 멀어지게 연장하며, 여기서 말단 웨브(7)는 내부 부품(8)으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그리고 선단 웨브(6)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연장한다. 말단 웨브(7)는 주 횡단 부재(1)로부터 멀어지게 연장하는 단부 림(end rim)(10)을 포함한다. 커버 부분(11)은 선단 웨브와 말단 웨브 사이의 개구를 커버하도록 배열된다.
위에서, 본 발명이 4개의 특정 및 비제한적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의 범주는 또한 다음 청구항들의 범주 내의 다른 실행가능한 실시예들뿐만 아니라 이러한 실시예들의 임의의 조합을 커버한다.

Claims (14)

  1. 범퍼 빔(bumper beam)(B)으로서,
    상기 범퍼 빔은 세장형 주 횡단 부재(1)를 포함하며, 상기 세장형 주 횡단 부재(1)는 상기 주 횡단 부재(1)의 각각의 단부들에 가까운 부착 부분들(4)에서 2개의 크래쉬 박스들(crash boxes)(3)에 수평으로 부착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범퍼 빔(B)은 크래쉬 박스들(3)의 외부 단부들에 부착되도록 배열되는 내부 측면 및 상기 범퍼 빔(B)의 외부 표면을 구성하도록 배열되는 반대편의 외부 측면을 가지며, 상기 주 횡단 부재(1)는 상기 부착 부분들(4) 사이에 중간 부분(5)을 더 포함하고, 그리고 오프-셋 부재(off-set member)(2)는 각각의 부착 부분(4)에서 상기 주 횡단 부재 위에 또는 아래에 배열되며,
    상기 오프-셋 부재들(2)은 상기 주 횡단 부재(1)로부터 안쪽으로 연장하는 선단 웨브(proximal web)(6), 말단(distal) 웨브(7), 및 상기 선단 웨브(6)를 상기 말단 웨브(7)에 연결시키는 내부 부품(8)을 포함하고,
    상기 말단 웨브(7)는 상기 선단 웨브(6)와 상기 말단 웨브(7) 사이에 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선단 웨브(6)의 바깥쪽으로 그리고 상기 선단 웨브(6)로부터 거리를 두고 연장하며,
    지지 부분(12)은, 상기 지지 부분(12)이 상기 크래쉬 박스들(3)의 길이 방향 측면들을 향하도록 배열되는 상기 선단 웨브(6)를 따라 배열되는,
    범퍼 빔(B).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 웨브(7) 및 상기 선단 웨브(6)는 안쪽 방향 그리고 바깥쪽 방향 각각으로 실질적으로 유사한 규모의 길이들을 가져서, 상기 말단 웨브(7)의 단부 림(end rim)(10)은 상기 범퍼 빔(B)의 외부 측면으로 또는 상기 외부 측면에 가깝게 연장하는,
    범퍼 빔(B).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분(12)은 상기 주 횡단 부재(1)의 외부 측면으로부터 안쪽의 거리에서 적어도 상기 선단 웨브(6)의 내부 부분을 따라 연장하는,
    범퍼 빔(B).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 웨브(7) 및 상기 선단 웨브(6)는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며, 그리고 상기 내부 부품(8)은 상기 선단 웨브(6)로부터 상기 말단 웨브(7)를 분리시키도록 그리고 상기 웨브들(6, 7)을 갖는 모자형 프로파일(hat profile)을 형성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범퍼 빔(B).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웨브(6)는 실질적으로 상기 크래쉬 박스(3)에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배열되며, 그리고
    상기 말단 웨브(7)는 상기 단부 림(10)을 향하여 상기 선단 웨브(6)로부터 멀어지게 약간 분기하는 상기 선단 웨브(6)에 대해 상기 내부 부품(8)에서 예각으로 연장하는,
    범퍼 빔(B).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주 횡단 부재(1)의 수직 부품은 상기 크래쉬 박스들을 지나 연장하도록 배열되며, 그리고
    상기 선단 웨브(6)는 그 외부 부분에서 만곡된 부분(16)을 포함하고, 상기 그 외부 부분으로부터, 상기 만곡된 부분(16)은 상기 말단 웨브(7)에 상기 선단 웨브(6)를 연결시키는 상기 내부 웨브(8)에 가깝게 상기 지지 부분(12)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크래쉬 박스(3)의 길이 방향 측면을 향하여 분기하여 안쪽으로 연장하는,
    범퍼 빔(B).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림(10)은 상기 주 횡단 부재(1)로부터 수직으로 멀어지게 연장하는,
    범퍼 빔(B).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분(11)은 상기 말단 웨브(7)와 상기 선단 웨브(6) 사이의 상기 개구를 커버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커버 부분(11)은 상기 오프-셋 부재들(2)의 구조에 부가의 강도를 제공하도록 상기 선단 웨브(6) 및 상기 말단 웨브(7) 양자 모두에 부착되는,
    범퍼 빔(B).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횡단 부재(1) 및 상기 오프-셋 부재(2)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범퍼 빔(B).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 오프-셋 프로파일(9)은 상기 오프-셋 부재들(2)을 결합하도록 그리고 상기 주 횡단 부재(1)의 상기 중간 부분(5)을 따라, 하지만 상기 중간 부분(5)에 대해 수직으로 오프-셋되게 연장하도록 제공되는,
    범퍼 빔(B).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오프-셋 프로파일(9)은 실질적으로 상기 오프-셋 부재들(2)과 동일한 프로파일을 가지고, 상기 주 횡단 부재(1)에 가까운 선단 웨브(6a), 상기 주 횡단 부재(1)로부터 소정의 거리 상에 있는 말단 웨브(7a), 및 상기 웨브들(6a, 7a)을 결합하는 내부 부품(8a)을 포함하는,
    범퍼 빔(B).
  12.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부재(2)는 상기 주 횡단 부재(1)의 수직으로 아래로 배열되는,
    범퍼 빔(B).
  13.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 빔(B)은, 각각의 부착 부분(4)에 배열되고 상기 부착 부분들(4)로부터 안쪽으로 연장하는 2개의 크래쉬 박스들(crash box)(3)을 더 포함하는,
    범퍼 빔(B).
  14. 제13 항에 있어서,
    각각의 오프-셋 부재(2)의 상기 지지 섹션(12)은 상기 각각의 크래쉬 박스(3)와 미끄럼 접촉하도록(in sliding contact) 배열되는,
    범퍼 빔(B).
KR1020187019455A 2015-12-08 2016-12-02 범퍼 빔 KR201800903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551608-1 2015-12-08
SE1551608A SE541147C2 (en) 2015-12-08 2015-12-08 Bumper beam
PCT/SE2016/051203 WO2017099651A1 (en) 2015-12-08 2016-12-02 Bumper bea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365A true KR20180090365A (ko) 2018-08-10

Family

ID=59013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455A KR20180090365A (ko) 2015-12-08 2016-12-02 범퍼 빔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18482B2 (ko)
EP (1) EP3386805B1 (ko)
JP (1) JP7018016B2 (ko)
KR (1) KR20180090365A (ko)
CN (1) CN108290536B (ko)
ES (1) ES2868601T3 (ko)
SE (1) SE541147C2 (ko)
WO (1) WO20170996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41147C2 (en) * 2015-12-08 2019-04-16 Gestamp Hardtech Ab Bumper beam
JP7035908B2 (ja) * 2018-08-29 2022-03-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JP7364613B2 (ja) * 2021-03-24 2023-10-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ンパリンフォース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0006A (ja) * 1997-05-09 1998-11-24 Toyota Motor Corp バンパ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構造
DE19958996A1 (de) * 1999-12-08 2001-06-13 Daimler Chrysler Ag Querträgermodul für einen front- oder heckseitigen Stirnbereich eines Kraftfahrzeugs
US6485072B1 (en) * 1999-12-15 2002-11-26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Bumper system for motor vehicles
DE10057311A1 (de) * 2000-11-17 2002-05-29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Stoßfänger
ITMI20031411A1 (it) * 2003-07-10 2005-01-11 Adlev Srl Struttura di protezione per veicoli, atta ad essere utilizzata in particolare nel caso di urti con pedoni
EP1533192A1 (de) * 2003-11-19 2005-05-25 Alcan Technology & Management Ltd. Stossfängersystem
SE526015C2 (sv) 2004-03-23 2005-06-14 Gestamp Hardtech Ab Stötfångararrangemang för fordon
CA2570446C (en) * 2004-07-01 2013-09-17 Magna International Inc. Bumper beam for a motor vehicle
SE0501173L (sv) * 2005-05-25 2006-04-04 Gestamp Hardtech Ab Stötfångarbalk
EP1736369B1 (de) * 2005-06-24 2013-01-16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Stossfänger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5039489B4 (de) * 2005-08-18 2009-01-02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Stoßfänger für ein Kraftfahrzeug
EP2064092B1 (en) * 2006-05-18 2010-09-08 Gestamp HardTech AB A bumper beam for a vehicle
SE529364C2 (sv) * 2006-05-19 2007-07-17 Gestamp Hardtech Ab Krockbox för fordon
JP5261396B2 (ja) * 2006-11-09 2013-08-14 イェスタムプ・ハードテック・アクチエボラーグ バンパービーム
KR20080051481A (ko) * 2006-12-06 2008-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전방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SE531022C2 (sv) * 2007-05-30 2008-11-18 Gestamp Hardtech Ab Stötfångarbalk
DE102008039513A1 (de) * 2008-08-23 2010-02-25 Daimler Ag Trägeranordnung für ein Fahrzeug
US7959197B2 (en) * 2008-10-30 2011-06-14 Shape Corp. Bumper beam with multi-concavity-defining cross section
DE102008059748B4 (de) * 2008-12-01 2011-07-28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33102 Stoßfänger
TW201134000A (en) * 2010-03-16 2011-10-01 Chi Mei Comm Systems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480143B2 (en) * 2010-12-10 2013-07-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ergy absorbing structure for vehicle bumper
DE202011051008U1 (de) 2011-08-17 2011-09-23 Kirchhoff Automotive Deutschland Gmbh Fahrzeugstoßfängeranordnung
CN102390335A (zh) * 2011-09-30 2012-03-28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前保险杠防撞梁及其加工方法
KR101448745B1 (ko) * 2012-12-10 2014-10-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JP5881131B2 (ja) * 2013-01-15 2016-03-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構造
DE102013100720B4 (de) * 2013-01-24 2014-11-27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Querträger für ein Kraftfahrzeug
SE537087C2 (sv) * 2013-03-13 2014-12-30 Gestamp Hardtech Ab Stötfångarbalk
CN203558028U (zh) * 2013-09-26 2014-04-23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前防撞梁及具有其的车辆
US9505361B2 (en) * 2013-10-04 2016-11-29 Multimatic Inc. Vehicle bumper
WO2015133949A1 (en) * 2014-03-05 2015-09-11 Gestamp Hardtech Ab Bumper beam with embossed cover
DE102015111995B4 (de) * 2015-07-23 2017-11-02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Stoßfängeranordnung mit Schließplatte
SE539199C2 (en) * 2015-09-07 2017-05-09 Gestamp Hardtech Ab Bumper beam
SE541147C2 (en) * 2015-12-08 2019-04-16 Gestamp Hardtech Ab Bumper beam
SE539435C2 (en) * 2015-12-21 2017-09-19 Gestamp Hardtech Ab bum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36580A (ja) 2018-12-13
CN108290536B (zh) 2021-09-24
EP3386805A1 (en) 2018-10-17
US20190061658A1 (en) 2019-02-28
SE541147C2 (en) 2019-04-16
EP3386805A4 (en) 2019-05-15
EP3386805B1 (en) 2021-02-24
US10618482B2 (en) 2020-04-14
JP7018016B2 (ja) 2022-02-09
ES2868601T3 (es) 2021-10-21
WO2017099651A1 (en) 2017-06-15
SE1551608A1 (en) 2017-06-09
CN108290536A (zh) 201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747B1 (ko) 전방 차체 구조
US7938462B2 (en) Bumper beam
CN104590174B (zh) 汽车的前部结构
US7954884B2 (en) Structure of vehicle end section
US20100026021A1 (en) Energy absorption device, especially for non-axial loads
US10407009B2 (en) Bumper beam
KR20180090365A (ko) 범퍼 빔
CN106687361A (zh) 车身前部构造
JP2016537253A (ja) 車体
KR100747029B1 (ko)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부 구조
JP2013256171A (ja) 車体前部構造
CN110678360B (zh) 具有正面碰撞另一车辆时的侧面加强件的车辆车身的前部
CN205916199U (zh) 顶盖横梁总成及车辆
CN201842044U (zh) 一种汽车前保险杠结构
US10787138B2 (en) Front bumper arrangement support structure for a vehicle
KR101424528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CN202449075U (zh) 汽车前罩锁销加强件
KR101372814B1 (ko) 차량용 범퍼빔
CN209617073U (zh) 前防撞梁总成
CN206510868U (zh) 轻型皮卡前防撞梁总成
WO2020256042A1 (ja) フレーム構造
CN116729304A (zh) 一种汽车防撞梁及具有所述汽车防撞梁的汽车
CN103158788A (zh) 汽车前地板和汽车
KR100588825B1 (ko) 차량의 범퍼 스테이 결합구조
JP5252051B2 (ja) 車体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