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8425A -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제조기 - Google Patents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제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88425A KR20180088425A KR1020187018106A KR20187018106A KR20180088425A KR 20180088425 A KR20180088425 A KR 20180088425A KR 1020187018106 A KR1020187018106 A KR 1020187018106A KR 20187018106 A KR20187018106 A KR 20187018106A KR 20180088425 A KR20180088425 A KR 201800884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sule
- brewing
- beverage
- beverage maker
-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4
- 238000013124 brew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6213 coffe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353 coffee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114 espresso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1122767 The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291 caffè lungo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171 hot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65 col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2 transi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92—Means to read code provided on ingredient pod or cartridg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3—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회분 캡슐에 추출액을 도입함으로써 상기 1회분 캡슐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제조기(10)로서, 하우징(17), 캡슐 삽입구(11), 폐쇄 유닛(1)과 폐쇄 구성요소(14)를 가진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17)은 1회분 캡슐이 통과하여 음료 검출 모듈(5)에 삽입될 수 있는 캡슐 삽입구(11)를 갖고 폐쇄 구성요소(14)는 폐쇄 유닛(1)의 일부이다. 상기 폐쇄 구성요소는 캡슐 삽입구(11)에 접근 가능한 개방 위치와 폐쇄 구성요소(14)가 캡슐 삽입구(11)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10)는 상기 캡슐 삽입구를 통해 삽입되고 캡슐 검출 위치에 위치해 있는 캡슐을 소정의 특징들을 이용하여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캡슐 검출 모듈(5)을 특징으로 한다. 음료 제조기(10)는 폐쇄 구성요소(14)가 폐쇄 위치에 위치한 후에 캡슐 검출 과정을 자동적으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1회분 캡슐에 함유되어 있는 추출 재료, 예를 들면 커피로부터 뜨거운 음료 및/또는 차가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제조기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폐쇄 유닛, 캡슐 인식 모듈, 조작 구성요소와 브루잉 모듈(brewing module)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1회분 캡슐 내 도입되어 있는 추출 재료를 사용하는 음료 제조기는 예를 들면 커피 또는 에스프레소 머신으로 알려져 있다. 마찬가지로 캡슐 삽입구를 통해 음료 제조기 안으로 1회분 캡슐을 도입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캡슐 삽입구는 일부에 위치 이동 또는 피벗이 가능한 부재를 포함하는 폐쇄 유닛에 의해 폐쇄할 수 있다.
특히 위에 언급한 유형의 위치 이동 또는 피벗 가능한 부재는 종래의, 즉 전동식 수평 브루잉 모듈이 구비된 음료 제조기와 함께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또는 피벗 가능한 부재는 브루잉 챔버(brewing chamber)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언급한 부재를 작동하면 브루잉 챔버가 폐쇄 또는 개방된다.
EP 2 571 404에는 사용자가 그립을 이동시켜 음료 제조기의 브루잉 챔버를 폐쇄하고 동시에 캡슐 삽입구를 그립으로 덮어 폐쇄하는 기계적 폐쇄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대응하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브루잉 챔버는 다시 개방되고 상기 캡슐 삽입구는 다시 접근 가능하게 된다.
전동식 브루잉 모듈을 구비한 음료 제조기와 관련하여, 캡슐 삽입구의 폐쇄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버튼을 눌러 조작할 수 있는 커버링을 통해 이루어진다.
WO 2012/093107에는 전동식 브루잉 모듈이 수동으로 조작 가능한 커버링과 조합되어 있고 커버링의 폐쇄는 센서에 의해 결정되어 브루잉 챔버의 폐쇄 이동에 영향을 주는 음료 제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링은 음료 제조기의 하우징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고 브루잉 챔버의 개폐 중 뿐만 아니라 브루잉 과정 중에도 정지되는 측방 안내 플레이트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접근법의 적용 가능성은 해당하는 특정 해결방안에 한정된다. 안전뿐 아니라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접근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한 음료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1회분 캡슐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제조기의 사용자 친화성을 더욱 증가시킨 음료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의 조작과 높은 재현성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음료와 그 음료만을 얻도록 하는 것이다.
이들 및 다른 목적들은 특허청구항에 정의되어 있는 음료 제조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형의 음료 제조기는 1회분 캡슐로부터 음료, 특히 커피 또는 차와 같은 뜨거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제조기로서 구성된다. 상기 음료 제조기는 하우징, 캡슐 삽입구, 폐쇄 구성요소를 가진 폐쇄 유닛 및 캡슐 인식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캡슐 삽입구는 1회분 캡슐이 통과하여 캡슐 인식 모듈로 삽입될 수 있는 하우징 내 개구부로서 구성된다.
상기 폐쇄 구성요소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폐쇄 유닛의 수동 이동부이다.
폐쇄 위치에서, 상기 폐쇄 구성요소는 캡슐 삽입구를 폐쇄한다. 특히 상기 폐쇄 구성요소는 폐쇄 위치에서 음료 제조기의 내부로 물체가 들어가거나 음료 제조기의 내부로 광이 들어가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폐쇄 구성요소의 일부는 적어도 불투명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이는 광학적 특징을 기반으로 하는 캡슐 인식에서 특히 유리하다.
상기 캡슐 삽입구는 개방 위치에서 접근 가능하다. 특히 상기 폐쇄 구성요소는 1회분 캡슐이 캡슐 삽입구를 통해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캡슐 삽입구를 개방되게 한다.
상기 캡슐 인식 모듈은 캡슐 삽입구를 통해 캡슐 인식 위치로 도입된 1회분 캡슐에 대한 캡슐 인식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캡슐 인식은 소정의 특징들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음료 인식 모듈에 의하면, 특히 삽입된 캡슐이 우선적으로 음료 제조기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지 또는 아닌지 먼저 결정할 수 있는바 -이는 이미 알려져 있다. 둘째, 인식된 캡슐 특성을 토대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출력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음료 유형(커피, 차 등), 종류(예. "100% 아라비카"), 권장 제조방식(예. "에스프레소", "리스트레또" 또는 "룽고" 등) 및/또는 그 외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셋째, 브루잉(brewing)을 위해 커피 머신이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인식된 캡슐 종류를 토대로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삽입된 캡슐이 예를 들어 리스트레또, 에스프레소 또는 룽고 제조를 위해 제공되는지 여부에 따라 브루잉 압력, 브루잉 지속시간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온도 및/또는 그 외 다른 특성들을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소정의 특징들은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특징들이다. 이 경우, 상기 캡슐 인식 모듈은 소정의 특징들을 판독하기 위한 광학 센서, 예를 들면 카메라를 포함한다. 그러나 예를 들면 자기 특성과 같은 다른 특징들 또는 비접촉식으로 판독할 수 있는 RFID 칩 또한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음료 제조기는 폐쇄 구성요소가 폐쇄 위치에 위치한 후에 비로소 캡슐 인식이 자동적으로 일어나도록 구성된다. 이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과정과 비교하면 한편으로는 광학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캡슐 인식 모듈의 경우에 산란광이 캡슐 삽입구를 통해 캡슐 인식 모듈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고 -캡슐 인식은 폐쇄와 이에 따라 캡슐 인식 모듈의 차광에도 연관되어 있다. 상기 캡슐 인식 모듈은 판독을 위해서 1회분 캡슐 상에 소정의 광분포를 형성하는 자체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장점은 직관적인 조작에 기인한 것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캡슐 인식 과정을 작동시킨다는 것을 반드시 완전히 인지하는 것은 아니다.
캡슐 인식 중에 1회분 캡슐은 캡슐 인식 위치에 위치해 있는데, 이때 일 구현예에서는 1회분 캡슐과 소정의 특징들을 판독하기 위한 부품들은 서로 상대 이동을 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1회분 캡슐과 소정의 특징들을 판독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부품들, 예를 들면 광학 센서 및/또는 광원은 캡슐 인식 중에 서로 상대 이동하지 않는다.
특히 상기 소정의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캡슐 특성에 관한 세부 사항이 포함된 코딩을 포함한다. 이러한 캡슐 특성의 예는 이미 언급하였다. 특히 이들은 음료 제조기에서의 1회분 캡슐의 사용 적합성에 대한 세부 사항과 캡슐 관련 세부 사항, 예를 들면 음료 유형, 종류 및/또는 권장 제조 유형과 같은 세부 사항들이다.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적절한 특징들의 예로는 바코드, 2D 매트릭스 코드(예를 들면 QR 코드 또는 아즈텍 코드), 그림문자(아이콘) 및/또는 특정 착색이 있다. 유럽특허출원번호 14 197 487.3, 14 197 488.1 및/또는 14 197 489.9에 따른 코드도 고려된다.
상기 음료 제조기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음료 제조기는 폐쇄 위치에 폐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폐쇄 위치로 폐쇄 구성요소의 전환을 결정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한다. 폐쇄 위치 또는 폐쇄 위치로 전환의 결정은 특히 캡슐 인식을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위에서 언급한 센서에 의해 특정된 폐쇄 위치에 위치한 후 캡슐 인식이 작동(촉발)된다.
상기 센서는 예를 들면 폐쇄 구성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폐쇄 유닛의 일 영역과 상호 작용하는 스위치로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폐쇄 구성요소의영역은 폐쇄 구성요소의 이동에 따라 재현 가능한 방식으로 이동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음료 제조기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및/또는 색 인상(color impression)을 개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버튼과 같은 디스플레이 기기와, 조그다이얼 및/또는 스크린과 같은 조작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와 조작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 또는 색 인상을 개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버튼과 같은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음료 제조기는 조작 구성요소를 통해 선택될 수 있는 다수의 브루잉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선택 가능한 브루잉 프로그램의 수는 캡슐 인식의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때 적어도 선택 가능한 브루잉 프로그램은 선택 시점에 음료 제조기가 준비할 수 있는 브루잉 프로그램으로 한정될 수 있다. 어느 브루잉 프로그램을 순간적인 시점에 준비하여 선택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음료 제조기 및 그의 모듈의 상태, 특히 충전 수위 및/또는 캡슐 인식 결과에 달려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음료 제조기는 우유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우유 모듈의 상태는 마찬가지로 선택 가능한 브루잉 프로그램의 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우유 모듈의 상태는 특히 음료 제조기에 연결 여부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충전 수위에 의해 정해진다.
상기 음료 제조기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폐쇄 구성요소는 또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제공되는 브루잉 과정 중에 폐쇄 위치로부터 이동할 수 있는바, 즉 상기 폐쇄 구성요소는 브루잉 과정 중에는 정지되지 않는다. 여기서 브루잉 과정 중에 상기 폐쇄 구성요소의 이동은 예를 들면 브루잉 과정의 중지로 이어지므로 -이 구현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매우 직관적으로 브루잉 과정을 중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음료 제조기의 적절한 프로그래밍에 의해 브루잉 과정 중에 폐쇄 구성요소의 이동만으로 브루잉 과정을 중단시킬지, 즉 폐쇄 구성요소를 다시 폐쇄 위치에 위치시킨 후 브루잉 과정을 계속하거나 또는 브루잉 과정이 완료된 것으로 간주할지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제조기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방식으로 브루잉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루잉 모듈은 제1 브루잉 모듈부와 상기 제1 브루잉 모듈부에 대해 상대 이동이 가능한 제2 브루잉 모듈부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제1 브루잉 모듈부는 브루잉 과정 중에 브루잉 위치에 위치해 있는 1회분 캡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브루잉 챔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브루잉 모듈은 추출액을 상기 1회분 캡슐에 도입함으로써 브루잉 추출 음료를 브루잉하고 상기 음료를 브루잉 모듈로부터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브루잉 모듈부의 이동은 폐쇄 구성요소의 이동과 기계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는 상기 제2 브루잉 모듈부의 이동이 폐쇄 구성요소의 이동으로 이어지는 것과 같이 폐쇄 구성요소의 이동은 더 이상 제2 브루잉 모듈부의 직접적인 이동으로 이어지지 않음을 의미한다. 상기 폐쇄 구성요소와 제2 브루잉 모듈부의 이러한 기계적 분리는 또한 폐쇄 위치로부터 폐쇄 구성요소의 이동을 통해 중지되는 브루잉 과정이 폐쇄 구성요소가 폐쇄 위치로 다시 이동한 후 계속되도록 한다.
위에서 언급한 접근법과 달리, 위에서 언급한 폐쇄 유닛의 개방에 의해 브루잉 과정을 중단시키는 기계적 분리는 또한 진행 중인 브루잉 과정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폐쇄 위치로 폐쇄 구성요소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구현예들에 있어서, 1회분 캡슐은 캡슐 삽입구를 통해 제1 및 제2 브루잉 모듈부 사이의 위치로 직접적으로 도입되지 않는 것이 유리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더 빠르게 순차적으로 음료가 서로 연속해서 제조된다.
또한 폐쇄 위치에 폐쇄 구성요소의 위치는 제2 브루잉 모듈부의 이동을 위한 요건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브루잉 챔버의 폐쇄 또는 개방 중에 폐쇄 구성요소가 그의 폐쇄 위치로부터 이동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안전이 또한 보장된다.
캡슐 인식 위치와 브루잉 위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캡슐 인식이 이뤄진 후, 1회분 캡슐을 캡슐 인식 위치로부터 브루잉 위치로 이송할 필요가 있다. 특히 상기 언급한 이송은 예를 들면 캡슐 인식 후에 선택할 수 있는 브루잉 프로그램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작동을 필요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이러한 이송은 또한 다음 방식 중 하나로 작동할 수 있다:
- 사용자는 캡슐 인식 전에 선택 가능한 레시피를 선택하였고 캡슐 인식 결과 상기 선택과 일치하는 1회분 캡슐을 얻었다;
- 캡슐 삽입구에 1회분 캡슐을 삽입하기 전 또는 캡슐 인식 전에 사용자는 캡슐 인식 없이 또는 캡슐 인식을 고려하지 않고 브루잉 과정의 자동 개시에 동의하였다;
- 캡슐 인식 후 사용자는 캡슐 인식을 고려하지 않고 브루잉 과정의 개시에 동의하였다.
부가적으로, 음료 제조에 앞서 세척을 완료하는 것이 위에서 언급한 이송을 위한 요건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캡슐 인식 이후이더라도 브루잉 챔버의 폐쇄 전에는 캡슐 삽입구를 통해 1회분 캡슐을 음료 제조기로부터 다시 꺼낼 수 있다. 1회분 캡슐은 브루잉 챔버가 폐쇄될 때까지는 손상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결국에는 온전한 캡슐을 추후 사용을 위해 음료 제조기로부터 다시 꺼낼 수 있다. 언급한대로 캡슐 인식 위치가 브루잉 위치와 다른 경우에, 이러한 취출은 브루잉 챔버로 이송하기 전에 -예를 들면 사용자가 원하는 음료를 제조하기에 캡슐 정렬이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인식한 경우에- 가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음료 제조기는 캡슐 삽입구로부터 접근 가능한 그립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캡슐 인식 위치에 위치해 있는 1회분 캡슐을 잡고 캡슐 삽입구를 통해 꺼낼 수 있게 한다.
캡슐 인식 후에 1회분 캡슐을 꺼낼 수 있는 가능성은 사전 설정에 의존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무제한, 일시적으로 제한 또는 전혀 불가능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실질적인 장점은 1회분 캡슐 삽입 후에 압력, 온도, 물의 양, 경우에 따라 우유의 양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적절히 조정하여 소정의 제조 과정을 선택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캡슐 인식 위치가 브루잉 위치와 다른 경우에 브루잉 챔버의 세척은 예를 들어 원하는 음료 및/또는 예전 기록에 따라 1회분 캡슐의 삽입 후에 작동시킬 수도 있다.
특히 캡슐 인식 결과에 따라 제조 과정을 선택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폐쇄 구성요소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한 조작 레버이다.
특히 상기 조작 레버는 한편으로 폐쇄 위치에서 캡슐 삽입구를 폐쇄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각각의 위치에서 용이하게 파지 및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폐쇄 구성요소는 하우징을 따라 안내되고 캡슐 삽입구를 폐쇄하지 않는 제1 위치로부터 캡슐 삽입구 위에 놓이게 되는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일 수 있다.
상기 폐쇄 구성요소가 조작 레버인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폐쇄 유닛은 또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마찬가지로 이동 가능하고 적어도 폐쇄 유닛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폐쇄 위치로 전환 및/또는 폐쇄 위치의 상태가 센서를 통해 또는 센서의 출력 신호를 통해 결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센서와 상호작용하는 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과 조작 레버는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캠과 조작 레버는 폐쇄 위치에서 센서와 상호작용하는 로커(rocker)를 형성한다.
상기 캠과 조작 레버는 폐쇄 유닛의 서로 다른 2개의 부품일 수 있고, 이때 상기 캠의 이동은 조작 레버의 이동과 명백한 관계에 있다.
상기 폐쇄 구성요소는 폐쇄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힘을 가함으로써 폐쇄 위치로부터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폐쇄 유닛은 폐쇄 구성요소가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속 이동은 특정 위치, 특히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에서 갑작스런 걸림에 의해 중단되거나 완료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폐쇄 유닛은 폐쇄 구성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가하는 사용자에게 햅틱 피드백(haptic feedback)을 제공하기 위해 저항 부재, 즉 폐쇄 구성요소의 이동에 저항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저항 부재를 더 포함하는데, 이때 상기 저항은 폐쇄 구성요소의 위치에 따라 달라짐으로써 상기 폐쇄 구성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 또한 폐쇄 구성요소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상기 폐쇄 유닛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한 조작 레버로서 구현되는 경우에 상기 조작 레버의 위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폐쇄 위치에 대한 그의 상대 이동을 통해 주어지는 그의 각 위치(angular position)에 의해 주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위치에 따라 저항이 변한다.
특히 상기 저항은 햅틱 피드백이 수동으로 폐쇄 가능한 브루잉 챔버를 구비한 음료 제조기의 특징인 과정들을 모사(simulation)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이들 과정에는 1회분 캡슐의 천공 및/또는 브루잉 챔버의 폐쇄가 포함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저항은 마찰 및/또는 탄성 변형에 의해 생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저항 부재는 스프링일 수 있고 폐쇄시 상기 스프링의 스프링 힘에 반대로 변형되고/또는 상기 스프링을 따라 폐쇄 유닛의 구성요소가 끌리게 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저항 부재는 곡선형 시트 스프링으로서 폐쇄 유닛의 일부가 상기 곡선형 시트 스프링을 따라 이동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제1 브루잉 모듈부와 상기 제1 브루잉 모듈부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한 제2 브루잉 모듈부를 포함하는 구현예는 폐쇄 구성요소를 작동시키지 않고 브루잉 모듈로부터 사용한 1회분 캡슐을 토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바, 즉 상기 음료 제조기는 사용자가 폐쇄 구성요소를 작동하지 않았거나 전용 입력이 없더라도 사용한 1회분 캡슐이 아래로 캡슐 용기 안에 떨어질 때까지 브루잉 과정 완료 후 브루잉 챔버가 개방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이하,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재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도 1은 특히 캡슐 인식 모듈, 폐쇄 구성요소, 우유 모듈, 디스플레이 기기 및 조작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의 도면이고;
도 2는 폐쇄 구성요소가 개방 위치에 있는 폐쇄 유닛이 설치되어 있고 폐쇄 위치에 폐쇄 구성요소가 위치해 있음을 결정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되어 있는 음료 제조기의 일 영역의 단면도이고;
도 3은 폐쇄 구성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는 도 2에 따른 음료 제조기 영역의 단면도이고;
도 4는 햅틱 피드백을 생성하기 위한 저항 부재의 일 구현예의 상세도이다.
도 1은 특히 캡슐 인식 모듈, 폐쇄 구성요소, 우유 모듈, 디스플레이 기기 및 조작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의 도면이고;
도 2는 폐쇄 구성요소가 개방 위치에 있는 폐쇄 유닛이 설치되어 있고 폐쇄 위치에 폐쇄 구성요소가 위치해 있음을 결정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되어 있는 음료 제조기의 일 영역의 단면도이고;
도 3은 폐쇄 구성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는 도 2에 따른 음료 제조기 영역의 단면도이고;
도 4는 햅틱 피드백을 생성하기 위한 저항 부재의 일 구현예의 상세도이다.
도 1은 조작 레버(14)에 의해 구현되고 폐쇄 위치에 있는 폐쇄 구성요소 외에도 캡슐 인식 모듈(5), 캡슐 삽입구(11)를 포함하는 하우징(17), 브루잉 모듈(6), 조작 구성요소(23), 디스플레이 기기(28), 우유 모듈(24), 포집 용기(25)와 물탱크(26)(우유 모듈(24)에 의해 일부 덮여 있음)를 포함하고 있는 1회분 캡슐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제조기(10)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조작 레버(14)는 폐쇄 위치에서 하우징(17)의 상부 수평부와 수평 표면을 형성하고 캡슐 삽입구(11) 뿐 아니라 캡슐 인식 모듈(5)(도면 부호는 음료 제조기(10) 내 대략적인 위치를 의미함)의 상부 영역을 완전히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14)와 이에 인접한 하우징(17)의 영역은 조작 레버(14)의 수동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리세스(27)를 포함하고 있다.
캡슐 인식 모듈(5)의 바로 아래에는 브루잉 모듈(6)(도면 부호는 음료 제조기(10) 내 대략적인 위치를 의미함)이 배치되어 있다.
우유 모듈(24), 물탱크(26)와 포집 용기(25)는 이들의 충전 수위 및/또는 이들의 존재 또는 부재로 인해 음료 제조기(10)가 그의 일시적인 상태에서 제조할 수 있는 음료에 대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브루잉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는 음료 제조기(10)의 모듈의 예들이다.
선택 가능한 브루잉 프로그램은 표시장치인 디스플레이 기기(28) 상에서 볼 수 있고 여기서는 조그다이얼인 조작 구성요소(23)를 통해 선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기기(28)와 조작 구성요소(23)를 통합한 터치스크린 조작 구성요소를 통한 조작 또는 음료 제조기(10)와 통신하는 이동 기기를 통한 원격 조작을 생각할 수도 있는데 이때 상기 통신은 특히 무선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도 2는 1회분 캡슐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제조기(10) 중 본 발명과 관련이 있는 일부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되어 있는 것은 특히 기능 유닛들 -캡슐 인식 모듈(5), 폐쇄 유닛(1), 브루잉 모듈(6)과 구동 기구(20)-이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캡슐 인식 모듈(5)은 1회분 캡슐이 캡슐 삽입구(11)를 통해 캡슐 인식 모듈(5)의 캡슐 인식 위치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우징(17) 상부의 수평부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브루잉 모듈(6)은 캡슐 인식 모듈(5) 아래에 놓여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브루잉 모듈(6)은 하우징(17)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제1 브루잉 모듈부(3) 및 제1 브루잉 모듈부(3)에 대해 상대 이동이 가능한 제2 브루잉 모듈부(4)를 포함하고 있다. 브루잉 모듈(6)의 위치는 캡슐 인식 위치에 위치해 있는 1회분 캡슐이 제2 브루잉 모듈부(4)에 의해 캡슐 인식 위치에 고정되고 캡슐 인식 위치에 위치해 있는 1회분 캡슐이 캡슐 인식 모듈(5)로부터 브루잉 모듈(6)로 1회분 캡슐의 이송을 더 이상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제2 브루잉 모듈부(4)가 위치해 있는 한 2개의 브루잉 모듈부 사이의 브루잉 위치로 들어갈 수 있도록 선택된다.
도 2는 더 좋은 배향을 위한 브루잉 모듈(6)의 2개의 추가 부품들, 특히 분사기(12)와 배출기(13)를 도시하고 있다.
음료 제조기(10)의 도시된 구현예에서 구동 기구(20)는 하우징(17)의 후면을 향해 브루잉 모듈(5)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 기구(20)는 전기 구동부(22)(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 기구(20)에 대한 설명과 특히 캡슐 인식 위치로부터 브루잉 위치로 이송을 조절하는 가능성 있는 원리의 설명은 예를 들면 유럽특허출원번호 14 195 680.5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음료 제조기(10)의 도시된 구현예에서, 하우징 내 폐쇄 유닛(1)의 부품들은 캡슐 인식 모듈(5)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하우징 내 폐쇄 유닛(1)의 부품들은 캡슐 인식 모듈(5)의 범위를 한정하고 캡슐 인식 모듈(5)의 센서 전자기기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18)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폐쇄 유닛(1)은 회전 고정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회전축(15)을 중심으로 함께 피벗 가능한 조작 레버(14)뿐만 아니라 캠(16)을 포함하고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 있어서, 조작 레버(14)는 회전축(15)을 중심으로 이동 가능하고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7)의 상부 수평부와 수평 표면을 형성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여 캡슐 삽입구(11)를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특징들의 결정을 토대로 캡슐 인식을 위해 필요한 캡슐 인식 모듈(5) 내 차광이 달성된다. 또한 조작 레버(14)는 각각의 위치에서 용이하게 파지 및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음료 제조기(10)는 조작 레버(14)가 폐쇄 위치에 위치해 있는 것을 결정하고 캡슐 인식을 자동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 시트 금속 탭(2')을 가진 마이크로스위치(2)를 더 포함하고 있다. 마이크로스위치(2)와 시트 금속 탭(2')은 캠(16)이 조작 레버(14)의 폐쇄 위치에서 시트 금속 탭(2')을 가압함으로써 마이크로스위치(2)가 기계 제어에 의해 판독할 수 있는 폐쇄 위치에 위치해 있음을 검출하도록 하우징(17) 내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캡슐 인식 모듈(5)은 카메라 센서(51), 캡슐 인식 창(52), 광원(62)과 팬(70)을 포함하고 있다. 1회분 캡슐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제조기용 캡슐 인식 모듈은 유럽특허출원번호 14 195 680.5에 기재되어 있다.
도 3은 폐쇄 위치의 조작 레버(14)로서 구현되는 폐쇄 구성요소(14)를 구비한 도 2에 나타낸 음료 제조기(10)의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이로부터 조작 레버(14)가 어떻게 하우징(17)의 리세스에 맞물려 캡슐 삽입구(11)를 폐쇄하는지 명백하다.
도 3은 또한 캠(16)이 조작 레버(14)의 폐쇄 위치에서 마이크로스위치(2)의 시트 금속 탭(2')을 어떻게 가압함으로써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지 또는 폐쇄 위치로 전환이 일어나는지 결정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후자는 캡슐 인식 모듈(5)에 의한 캡슐 인식을 자동적으로 작동시킨다. 도 3에서 시트 금속 탭(2')의 위치는 캠(16)과 센서(2) 사이 대신에 캠(16)의 좌측에 표시되어 있지만, 이는 전적으로 정확한 것은 아니다.
도시된 음료 제조기(10)에 설치되어 있는 폐쇄 유닛(1)은 햅틱 피드백을 생성하기 위한 저항 부재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저항 부재의 목적은 조작 레버(14)의 이동에 대한 저항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저항은 조작 레버(14)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도 4에는 이러한 저항 부재의 구체적인 구현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저항 부재는 절곡형 시트 스프링(8)과 저항 홀더(9)를 포함하고 있다. 조작 레버(14)는 회전축(15)에 인접한 2개의 포크형 저항 연장부(21)(2개의 저항 연장부(21) 중 후방의 저항 연장부만 도시됨)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2개의 저항 연장부(21)의 단부에는 절곡형 시트 스프링(8)에 가압되는 플라스틱 캡(7)이 부착되어 있다.
조작 레버(14) 이동시 플라스틱 캡(7)과 시트 스프링(8) 사이의 압력으로 인해 마찰과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저항이 발생하고 시트 스프링(8)은 또한 조작 레버(14)가 폐쇄 위치에 가까워질 때 저항 연장부(21)에 의해 특히 상당한 정도로 스프링 힘에 반대로 변형된다. 스프링 아치가 극복되자마자 사용자는 걸림과 유사하게 갑작스레 느슨해지는 것을 느끼게 된다. 압착 압력과 이에 따른 마찰 또는 저항의 크기는 시트 스프링(8)의 형상, 즉 시트 스프링의 국소적인 절곡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항은 조작 레버(14)의 이동 영역에 걸쳐 임의로 달라질 수 있다. 특히 브루잉 그룹의 기계적 저항을 모방하여 변하는 저항이 모방될 수 있다.
1
폐쇄 유닛
2 센서/마이크로스위치
2' 시트 금속 탭
3 제1 브루잉 모듈부
4 제2 브루잉 모듈부
5 캡슐 인식 모듈
6 브루잉 모듈
7 플라스틱 캡
8 시트 스프링
9 저항 홀더
10 음료 제조기
11 캡슐 삽입구
12 분사기(급수)
13 배출기(음료 배출부)
14 조작 레버
15 회전축
16 캠
17 하우징
18 회로 기판(PCB)
20 구동 기구
21 저항 연장부
22 전기 구동부
23 조작 구성요소
24 우유 모듈
25 포집 용기
26 물탱크
27 리세스
28 디스플레이 기기
51 카메라 센서
52 캡슐 인식 창
62 광원
70 팬
2 센서/마이크로스위치
2' 시트 금속 탭
3 제1 브루잉 모듈부
4 제2 브루잉 모듈부
5 캡슐 인식 모듈
6 브루잉 모듈
7 플라스틱 캡
8 시트 스프링
9 저항 홀더
10 음료 제조기
11 캡슐 삽입구
12 분사기(급수)
13 배출기(음료 배출부)
14 조작 레버
15 회전축
16 캠
17 하우징
18 회로 기판(PCB)
20 구동 기구
21 저항 연장부
22 전기 구동부
23 조작 구성요소
24 우유 모듈
25 포집 용기
26 물탱크
27 리세스
28 디스플레이 기기
51 카메라 센서
52 캡슐 인식 창
62 광원
70 팬
Claims (15)
1회분 캡슐에 추출 유체를 도입함으로써 상기 1회분 캡슐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제조기(10)로서,
- 상기 1회분 캡슐이 통과하여 음료 제조기(10)에 삽입될 수 있는 캡슐 삽입구(11)를 포함하는 하우징(17);
- 캡슐 삽입구(11)에 접근 가능한 개방 위치와 폐쇄 구성요소(14)가 캡슐 삽입구(11)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폐쇄 구성요소(14)를 구비한 폐쇄 유닛(1)을 포함하되,
캡슐 인식 모듈(5)이 소정의 특징들을 토대로 상기 캡슐 삽입구를 통해 삽입되고 캡슐 인식 위치에 위치해 있는 1회분 캡슐에 대한 캡슐 인식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음료 제조기(10)는 폐쇄 구성요소(14)가 폐쇄 위치에 위치한 후에 캡슐 인식을 자동적으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기(10).
- 상기 1회분 캡슐이 통과하여 음료 제조기(10)에 삽입될 수 있는 캡슐 삽입구(11)를 포함하는 하우징(17);
- 캡슐 삽입구(11)에 접근 가능한 개방 위치와 폐쇄 구성요소(14)가 캡슐 삽입구(11)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폐쇄 구성요소(14)를 구비한 폐쇄 유닛(1)을 포함하되,
캡슐 인식 모듈(5)이 소정의 특징들을 토대로 상기 캡슐 삽입구를 통해 삽입되고 캡슐 인식 위치에 위치해 있는 1회분 캡슐에 대한 캡슐 인식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음료 제조기(10)는 폐쇄 구성요소(14)가 폐쇄 위치에 위치한 후에 캡슐 인식을 자동적으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기(10).
제1항에 있어서, 폐쇄 구성요소(14)가 폐쇄 위치에 위치해 있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센서(2)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기기(28)와 조작 구성요소(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료 제조기가 캡슐 인식의 결과에 따른 방식으로 조작 구성요소를 통해 선택될 수 있는 다수의 브루잉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음료 제조기(10).
제3항에 있어서, 우유 모듈(2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음료 제조기가 우유 모듈의 존재 또는 부재 및/또는 우유 모듈 충전 수위에 맞게 선택 가능한 브루잉 프로그램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음료 제조기(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폐쇄 구성요소(14)가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제공되는 브루잉 과정 중에 폐쇄 위치로부터 이동할 수 있고, 폐쇄 구성요소(14)의 상기 이동이 브루잉 과정을 중지하는 음료 제조기(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브루잉 모듈부(3)와 상기 제1 브루잉 모듈부에 대해 상대 이동이 가능한 제2 브루잉 모듈부(4)를 가진 브루잉 모듈부(6)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브루잉 모듈부에 의해 브루잉 챔버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브루잉 모듈부(3)에 대한 제2 브루잉 모듈부(4)의 이동 및 폐쇄 구성요소(14)의 이동이 서로 기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음료 제조기(10).
제6항에 있어서, 캡슐 인식이 이뤄진 후에 브루잉 챔버의 폐쇄 전에 캡슐 삽입구를 통해 1회분 캡슐을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음료 제조기.
제7항에 있어서, 캡슐 인식 위치에 위치해 있는 1회분 캡슐을 꺼내기 위해 캡슐 삽입구로부터 접근 가능한 그립 리세스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슐 인식 위치와 폐쇄된 브루잉 챔버에서 1회분 캡슐이 위치해 있는 브루잉 위치가 서로 다르고 캡슐 인식 위치로부터 브루잉 위치로 1회분 캡슐의 이송이 사용자에 의한 작동을 필요로 하는 음료 제조기.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인식을 수행하도록 하는 소정의 특징들이 하나 이상의 캡슐 특성에 관한 세부 사항이 포함된 코딩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10).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인식을 수행하도록 하는 소정의 특징들이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특징들이고 상기 캡슐 인식 모듈이 소정의 특징들을 판독하기 위한 광학 센서(51)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1).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폐쇄 구성요소(14)가 회전축(15)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한 조작 레버인 음료 제조기(10).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폐쇄 구성요소(14)가 힘을 가함으로써 이동할 수 있고, 폐쇄 구성요소(1)가 폐쇄 구성요소(14)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저항으로 폐쇄 구성요소(14)의 이동에 대항하는 저항 부재(8)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1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이 마찰 및/또는 탄성 변형을 기반으로 하는 음료 제조기(10).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루잉 모듈(6)이 제1 브루잉 모듈부(3)과 상기 제1 브루잉 모듈부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한 제2 브루잉 모듈부(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제1 브루잉 모듈부에 의해 브루잉 챔버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음료 제조기(10)가 폐쇄 구성요소(14)를 작동시키지 않고 브루잉 모듈(6)로부터 사용한 1회분 캡슐을 토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는 음료 제조기(1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5197380.7 | 2015-12-01 | ||
EP15197380.7A EP3175749A1 (de) | 2015-12-01 | 2015-12-01 |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zum zubereiten eines getränks |
PCT/EP2016/079043 WO2017093202A1 (de) | 2015-12-01 | 2016-11-28 |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zum zubereiten eines getränk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8425A true KR20180088425A (ko) | 2018-08-03 |
Family
ID=54770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18106A KR20180088425A (ko) | 2015-12-01 | 2016-11-28 |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제조기 |
Country Status (14)
Country | Link |
---|---|
US (1) | US20180325305A1 (ko) |
EP (2) | EP3175749A1 (ko) |
JP (1) | JP6883580B2 (ko) |
KR (1) | KR20180088425A (ko) |
CN (1) | CN108366689B (ko) |
AU (1) | AU2016363556B2 (ko) |
BR (1) | BR112018011201B1 (ko) |
CA (1) | CA3004626A1 (ko) |
HU (1) | HUE048819T2 (ko) |
PL (1) | PL3383238T3 (ko) |
PT (1) | PT3383238T (ko) |
RU (1) | RU2727826C2 (ko) |
SG (1) | SG11201804247WA (ko) |
WO (1) | WO201709320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201700084351A1 (it) | 2017-07-24 | 2019-01-24 | Caffitaly System Spa | Apparecchiatur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utilizzando capsule contenenti una sostanza alimentare |
KR20210082442A (ko) * | 2018-11-01 | 2021-07-05 |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 인식 수단 및 적응가능 개방 및 주입 메커니즘을 갖는 캡슐 시스템 |
CN109588968B (zh) * | 2018-12-12 | 2021-08-06 | 华帝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将水箱顶出的凸轮结构 |
CN109602277B (zh) * | 2019-01-15 | 2021-10-26 |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 智能冲泡机的蒸汽冲泡方法及智能冲泡机的蒸汽冲泡装置 |
USD941625S1 (en) * | 2020-05-26 | 2022-01-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ffee machine |
CA3227038A1 (en) * | 2021-07-20 | 2023-01-26 | K-Fee System Gmbh | Beverage preparation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20148858A1 (en) * | 2000-07-31 | 2002-10-17 | Claudio Bertone | Multi-flavoured hot beverage dispenser |
DE102004002004A1 (de) * | 2004-01-14 | 2005-08-11 | Schifferle, René | Kaffeemaschine zum Aufbrühen von in einer Kapsel abgepacktem Pulverkaffee |
US7762181B2 (en) * | 2004-10-01 | 2010-07-27 | Fonterra Co-Operative Group Limited | Customised nutritional food and beverage dispensing system |
DE202007008813U1 (de) * | 2007-06-21 | 2007-11-29 | Mahlich, Gotthard | Getränkezubereitungsgerät |
EP2071986B1 (en) * | 2007-12-18 | 2012-02-29 | Nestec S.A. |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from ingredients supported by an encoded insert |
RU2533004C2 (ru) * | 2008-07-08 | 2014-11-20 | Нестек С.А. | Контролирующая порцию система питания и способ с применением капсул |
CA2781552C (en) * | 2009-12-01 | 2018-11-13 | Nestec S.A. | Cartridge extraction device |
EP2345351A1 (en) * | 2010-01-19 | 2011-07-20 | Nestec S.A. |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comprising an identification code |
EP2345352A1 (en) * | 2010-01-19 | 2011-07-20 | Nestec S.A. |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 user from a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using a code |
ES2464775T3 (es) | 2010-05-21 | 2014-06-04 | Nestec S.A. | Mango ergonómico e interfaz de usuario |
US8960075B2 (en) * | 2010-09-07 | 2015-02-24 | Helmut Traitler |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
JP5911881B2 (ja) * | 2010-11-09 | 2016-04-27 | ラ ヴィット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 飲料を調製して吐出するためのカプセルベースのシステム |
US20150079240A1 (en) * | 2010-11-09 | 2015-03-19 | Gian Matteo Lo Foro | Capsule based system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a beverage |
AU2012204926B2 (en) * | 2011-01-03 | 2016-11-24 | Nestec S.A. | Beverage machine with a cover for an ingredient inlet |
SI2481330T1 (sl) * | 2011-02-01 | 2013-08-30 | Nestec S.A. | ÄŚrtna koda za kapsulo za pripravo napitka |
US10470606B2 (en) * | 2011-03-14 | 2019-11-12 |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 Automatic beverage machine |
BR112013024051A2 (pt) * | 2011-03-23 | 2016-12-13 | Nestec Sa | máquina de bebida com uma tampa para uma entrada de ingrediente |
CH706230A1 (de) * | 2012-03-09 | 2013-09-13 | Schaerer Ag | Getränkeverkaufsautomat sowie Auslaufmodul für einen solchen Getränkeverkaufsautomaten. |
US10034570B2 (en) * | 2011-11-09 | 2018-07-31 | LaVit Technology LLC | Capsule based system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a beverage |
BR112014017900B1 (pt) * | 2012-01-25 | 2021-08-10 | Qbo Coffee Gmbh | Módulo de infusão para um aparelho de extração, aparelho de extração e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e uma bebida de infusão |
CH706133A1 (de) * | 2012-02-21 | 2013-08-30 | Schaerer Ag | Getränke-Zubereitungsmodul mit Zusatzmodulen für Selbstbedienungs-Getränkeautomaten. |
CA2871009A1 (en) * | 2012-04-25 | 2013-10-31 | Christian Jarisch | User-programmable capsule, device for programming capsules and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
ITTO20130567A1 (it) * | 2013-07-08 | 2015-01-09 | Lavazza Luigi Spa | Macchina e sistema per la preparazione di prodotti liquidi tramite capsule |
ITTO20130568A1 (it) * | 2013-07-08 | 2015-01-09 | Lavazza Luigi Spa | Macchina e sistema per la preparazione di prodotti liquidi tramite capsule |
EP2856917A1 (de) * | 2013-10-01 | 2015-04-08 | Luna Technology Systems LTS GmbH | Brühmodul |
CN105813516B (zh) * | 2013-12-20 | 2019-07-09 | 皇家飞利浦有限公司 | 消耗品识别系统和饮料分配器 |
MX2016011523A (es) * | 2014-03-07 | 2016-11-29 | Nestec Sa | Empaques y maquina para preparar bebidas. |
ES2876431T3 (es) * | 2014-05-13 | 2021-11-12 | Nestle Sa | Recipiente y código de sistema para la preparación de una bebida o un producto alimenticio |
AU2015309631B2 (en) * | 2014-08-28 | 2019-09-19 | Tbot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dispensing |
EP3028608A1 (de) * | 2014-12-01 | 2016-06-08 | Qbo Coffee GmbH | Brühmodul, kapselerkennungsmodul und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
CN104799696B (zh) * | 2015-05-26 | 2018-02-02 | 苏州科贝尔实业有限公司 | 一种胶囊饮品冲调机、冲调系统及冲调方法 |
EP3168815A1 (de) * | 2015-11-16 | 2017-05-17 | Qbo Coffee GmbH | System mit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verfahren und computerprogramm zu dessen ansteuerung |
-
2015
- 2015-12-01 EP EP15197380.7A patent/EP3175749A1/de not_active Withdrawn
-
2016
- 2016-11-28 PL PL16801797T patent/PL3383238T3/pl unknown
- 2016-11-28 HU HUE16801797A patent/HUE048819T2/hu unknown
- 2016-11-28 CA CA3004626A patent/CA300462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6-11-28 CN CN201680069690.3A patent/CN108366689B/zh active Active
- 2016-11-28 SG SG11201804247WA patent/SG11201804247WA/en unknown
- 2016-11-28 AU AU2016363556A patent/AU2016363556B2/en active Active
- 2016-11-28 BR BR112018011201-1A patent/BR112018011201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6-11-28 JP JP2018528308A patent/JP6883580B2/ja active Active
- 2016-11-28 US US15/779,266 patent/US2018032530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6-11-28 EP EP16801797.8A patent/EP3383238B1/de active Active
- 2016-11-28 PT PT168017978T patent/PT3383238T/pt unknown
- 2016-11-28 RU RU2018117366A patent/RU2727826C2/ru active
- 2016-11-28 WO PCT/EP2016/079043 patent/WO2017093202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11-28 KR KR1020187018106A patent/KR2018008842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RU2018117366A3 (ko) | 2020-01-09 |
RU2727826C2 (ru) | 2020-07-24 |
BR112018011201B1 (pt) | 2022-07-19 |
EP3175749A1 (de) | 2017-06-07 |
JP2019500934A (ja) | 2019-01-17 |
SG11201804247WA (en) | 2018-06-28 |
BR112018011201A2 (pt) | 2018-11-21 |
HUE048819T2 (hu) | 2020-09-28 |
CA3004626A1 (en) | 2017-06-08 |
US20180325305A1 (en) | 2018-11-15 |
CN108366689A (zh) | 2018-08-03 |
PT3383238T (pt) | 2020-04-01 |
WO2017093202A1 (de) | 2017-06-08 |
CN108366689B (zh) | 2021-12-21 |
EP3383238B1 (de) | 2019-12-25 |
EP3383238A1 (de) | 2018-10-10 |
RU2018117366A (ru) | 2020-01-09 |
JP6883580B2 (ja) | 2021-06-09 |
AU2016363556A1 (en) | 2018-06-07 |
PL3383238T3 (pl) | 2020-06-01 |
AU2016363556B2 (en) | 2019-03-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88426A (ko) | 음료 제조기 | |
KR20180088425A (ko) |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제조기 | |
KR20170104141A (ko) | 브루잉 모듈, 캡슐 인식 모듈, 및 음료 준비 기계 | |
CA3089386A1 (en) |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capsule recognition | |
CN103987302B (zh) | 用于使用如胶囊或囊的料包制作饮料的冲泡装置 | |
CN105555174A (zh) | 用于使用胶囊制备液体产品的机器及系统 | |
MX2007014288A (es) | Dispositivo para operar maquinas automaticas expendedoras de bebidas calientes. | |
WO2013039955A1 (en) | Pouch location device | |
US20230404319A1 (en) | Systems and processes for preparation of edible products with sentient access dispositions | |
CA3166462A1 (en) |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capsule recognition | |
CN116194021A (zh) | 通过循环机构调节将可食用产品分配给容器的系统和方法 | |
US20210393070A1 (en) | Systems of distribution of edible products with enhanced access dispositions and geometries | |
EP3827715A1 (en) | Dispensing unit for an espresso coffee machine | |
RU2812410C1 (ru) |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родуктов питания посредством бесконтактного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 |
RU2812414C1 (ru) |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родуктов питания, предусмотренные с воспринимающими средствами обеспечения доступа | |
JP7573644B2 (ja) | 非接触のやり取りを有する食用製品の調製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 |
US20240130561A1 (en) | System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beverages with enhanced actuation of operation cycles | |
JP2022180262A (ja) | 飲料抽出機 | |
CN113349632A (zh) | 饮品制备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