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2442A - 인식 수단 및 적응가능 개방 및 주입 메커니즘을 갖는 캡슐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식 수단 및 적응가능 개방 및 주입 메커니즘을 갖는 캡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2442A
KR20210082442A KR1020217010386A KR20217010386A KR20210082442A KR 20210082442 A KR20210082442 A KR 20210082442A KR 1020217010386 A KR1020217010386 A KR 1020217010386A KR 20217010386 A KR20217010386 A KR 20217010386A KR 20210082442 A KR20210082442 A KR 20210082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enveloping
injection
designed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0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 파꼴
크리스띠앙 딸롱
크리스토쁘 세바스띠앙 폴 하이델
니꼴라 그레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20210082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24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28Perforat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92Means to read code provided on ingredient pod or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5) 내에 제공된 성분과 그에 공급되는 액체의 상호작용 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제조 장치(100)로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되도록 설계된 제1 포위 부재(1) 및 협동하는 제2 포위 부재(2)를 포함하는 주입 모듈(10)을 포함하고, 제1 포위 부재는, 캡슐(5)의 제1 입구 면(5a)을 개방하고 캡슐 내로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캡슐 개방 및 주입 수단(3)을 구비하며, 제1 및 제2 포위 부재들(1, 2)은, 적어도, 포위 부재들(1, 2) 사이로 캡슐을 삽입하기 위한 제1 캡슐 삽입 위치, 및 개방 및 주입 수단(3)이 캡슐(5)의 액체 입구 면(5a)과 맞물리는 제2 캡슐 포위 위치로 이동되도록 설계되고, 장치(100)는 캡슐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그리고/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캡슐 포위 위치를 설정하도록 설계된 제어 수단(13)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식 수단 및 적응가능 개방 및 주입 메커니즘을 갖는 캡슐 시스템
본 발명은 액체 주입 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성분을 보유하는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 제조 장치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음료 제조 장치 및 캡슐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장치는 장치 내로 삽입된 특정 캡슐에 따라 적응가능한 개방 및 주입 수단을 구비한다.
가압수와 같은 액체를 장치의 수용 챔버 내로 삽입된 캡슐 내로 공급할 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는 시장에서 널리 입수가능하고 잘 알려져 있다. 전용 캡슐은 특정 기계와 함께 사용되도록 설계되며, 통상적으로, 액체에 의한 재구성 시 커피 음료와 같은 1인분 음료 포션(single-serve beverage portion)을 제조하기 위한 사전정의된 양의 영양 성분을 보유한다.
EP 1 767 129호는 캡슐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일반적인 예를 개시한다. 장치는 캡슐이 소비자에 의해 내부에 삽입 또는 배치될 수 있는 캡슐 수용 챔버를 포함한다. 장치는 2개의 포위 부재(enclosing member)를 갖는 음료 브루잉 챔버(beverage brewing chamber)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러한 2개의 포위 부재는 캡슐을 그들 사이에 포위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그에 의해, 상부 포위 부재는, 캡슐의 제1 입구 면을 천공하고 그 내로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 수단을 구비하고, 하부 포위 부재에는, 캡슐 내부로부터 생성된 음료를 배출하기 위해 캡슐 내부에서의 압력 증가 시 캡슐의 제2 출구 면을 개방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공지된 음료 제조 장치는 이동가능한 캡슐 포위 부재들의 폐쇄 위치에서 그들의 상대 위치가 장치의 표준 구성에 따라 사전정의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포위 부재에 의해 캡슐 상에 가해지는 압력뿐만 아니라 입구 면에 대한 주입 수단의 상대 위치는 장치에 의한 모든 단일 음료 제조 공정에서 일정하게 유지될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배열은, 상이한 캡슐 구성에 대한, 특히 상이한 패키징 재료의, 상이한 크기의, 상이한 충전도 및/또는 압밀도의, 그리고/또는 내부에 함유된 커피 분쇄물(coffee grind)과 같은 영양 입자의 다양한 입도(granulometry)의 캡슐에 대한 최적의 주입 및/또는 추출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부 포위 부재가 음료 브루잉 챔버 내에 보유된 캡슐 상에 너무 큰 힘을 가하는 경우, 캡슐의 출구 면은 하부 포위 부재의 개방 수단에 의해 너무 일찍 개방될 수 있으며, 이는 음료 제조 공정 동안의 최적이 아닌 압력 프로파일 및 캡슐 내에 보유된 성분의 과도압밀(overcompaction)을 초래한다. 게다가, 상부 포위 부재가 캡슐의 입구 면과 적절히 접촉하지 않거나 캡슐 상에 너무 적은 힘을 가하는 경우, 캡슐의 입구 면은 단지 부분적으로만 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추출 수율 및 크레마(crema)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는, 특히, 장치에 제공되는 상이한 캡슐 유형에 대한 최적의 주입 및/또는 추출 파라미터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향상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다른 목적,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본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 나타날 다른 문제의 솔루션을 목표로 한다.
제1 태양에서, 본 발명은, 캡슐 내에 제공된 성분과 그에 공급되는 액체의 상호작용 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제조 장치로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되도록 설계된 제1 포위 부재 및 협동하는 제2 포위 부재를 포함하는 주입 모듈을 포함하고, 제1 포위 부재는, 캡슐의 제1 입구 면을 개방하고 캡슐 내로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캡슐 개방 및 주입 수단을 구비하며, 제1 및 제2 포위 부재들은, 적어도, 포위 부재들 사이로 캡슐을 삽입하기 위한 제1 캡슐 삽입 위치, 및 개방 및 주입 수단이 캡슐의 액체 입구 면과 맞물리는 제2 캡슐 포위 위치로 이동되도록 설계되고, 장치는 캡슐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그리고/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캡슐 포위 위치를 적응시키도록 설계된 제어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각각의 제1 포위 부재와 제2 포위 부재 사이의 거리와 같은 각각의 포위 위치는 장치에 삽입된 특정 캡슐에 대해 조정될 수 있다. 이는, 개방 및 후속 음료 주입 공정이, 예를 들어 상이한 패키징 재료, 상이한 캡슐 크기, 상이한 충전도 및/또는 압밀도, 및/또는 상이한 입도의 성분을 포함하는 상이한 캡슐에 대한 최적의 주입 및/또는 추출 파라미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장치에 제공된 캡슐에 기초하여 그리고/또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적응, 즉 결정 및 설정될 수 있는 상이한 포위 위치를 제공하기 위해,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상이한 포위 위치를 취하도록 설계된다. 그에 의해, 상이한 포위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각각의 제1 포위 부재와 제2 포위 부재 사이의 거리에 관하여 가변한다.
제1 및 제2 포위 부재들은, 바람직하게는, 선형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되도록 설계된다.
그에 의해, 제1 포위 부재와 제2 포위 부재 사이의 거리가 바람직하게는 가변된다. 그러나, 제1 및 제2 포위 부재들은, 또한, 예컨대 선형 운동의 일부분 및 각각의 부재들이 서로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되는 일부분을 포함하는 복합 궤적에 따라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캡슐 삽입 위치에서, 제1 포위 부재와 제2 포위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거리만큼 분리된다. 따라서, 음료 제조 장치 내로 삽입되거나 그에 제공된 캡슐은 각각의 제1 포위 부재와 제2 포위 부재 사이의 자유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캡슐 포위 위치에서, 제1 포위 부재와 제2 포위 부재는 제1 캡슐 삽입 위치와 비교하여 서로 더 가까운 거리를 두고 배열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제1 및 제2 포위 부재들은 캡슐과 맞물리는데, 즉 캡슐의 각각의 캡슐 입구 및 출구 면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특히, 캡슐의 입구 면은 제1 포위 부재의 개방 및 주입 수단에 의해 맞물린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포위 부재들을 제2 캡슐 포위 위치로 이동시킬 때, 개방 및 주입 수단은, 예를 들어 천공, 절단, 인열 등에 의해, 캡슐 입구 면을 개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어 수단은, 장치 내의 캡슐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그리고/또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캡슐에 의한 음료 제조 공정 동안 포위 위치를 추가로 적응시키도록 설계된다.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어 수단은, 적어도 캡슐 포위 위치에서, 제1 포위 부재와 제2 포위 부재 사이의 거리, 즉 캡슐 내로의 개방 및 주입 수단의 침투 깊이/힘을 적응시키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포위 위치 및 그에 따른 제1 포위 부재와 제2 포위 부재의 서로에 대한 상대 위치는 실제 음료 제조 공정 동안에, 즉 캡슐 내로의 액체 주입 전에 및/또는 그 동안에 조정될 수 있다. 그에 의해, 그러한 조정은, 바람직하게는, 포위 위치에서의 캡슐의 초기 개방 후에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포위 부재들은 캡슐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따라 그리고/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제3 캡슐 주입 위치로 이동되도록 설계된다. 그러한 위치에서, 제1 캡슐 포위 부재와 제2 캡슐 포위 부재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캡슐 포위 위치에서의 포위 부재들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캡슐 주입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캡슐로의 액체의 주입 동안에만 제1 및 제2 포위 부재들에 의해 취해진다. 그러한 캡슐 주입 위치에서, 개방 및 주입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여전히 캡슐의 입구 면과 맞물려 있다. 이는 개방 및 주입 수단이 측단면도에서 캡슐의 개방된 입구 면 내로 여전히 돌출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장치 내로 삽입된 캡슐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도록 설계되는, 제어 수단에 연결된 인식 수단을 포함한다. 특히, 그러한 정보의 판독은, 또한, 캡슐의 사전정의된 특성의 인식을 포함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인식 수단은 캡슐의 표면으로부터 바코드와 같은 광학 코드를 판독하도록 설계된 광학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또한, 캡슐 상에 제공된 식별 수단과 상호작용하는 데 그리고/또는 캡슐의 또는 그의 구성 부분들 중 하나의 구성 부분의 형상 및/또는 크기와 같은 캡슐의 특성표시를 검출하는 데 적합한 RFID 센서, 자기 센서, 전기 센서, 유도 센서, 기계 센서 및/또는 CCD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포위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개방 및 주입 수단으로서 바늘과 같은 복수의 돌출된 중공형 천공 요소를 포함하는 샤워 플레이트(shower plate)를 포함한다. 각각의 바늘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샤워 플레이트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된다. 각각의 바늘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샤워 플레이트로부터 동일한 정도로 돌출된다. 천공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모두 포위 부재의 조인트 액체 공급 도관에 연결된다.
제2 포위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캡슐 내의 압력 증가 시 캡슐의 출구 면을 개방하도록 설계된 피라미드와 같은 복수의 돌출된 구조물을 갖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가열되고 가압된 액체를 장치의 주입 모듈에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특히,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저장소와 같은 액체 공급원에 연결된 펌프를 포함한다.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캡슐에 제공되기 전에 액체를 가열하기 위한 서모블록(thermoblock)과 같은 가열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캡슐에 제공되는 액체는 바람직하게는 물이다.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장치 내로 삽입된 특정 캡슐 또는 캡슐 유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장치의 제어 수단은, 이어서, 제1 및 제2 포위 부재들의 특정 포위 위치를 삽입된 캡슐에 적응시킬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추가로, 제조될 특정 음료 및/또는 특정 음료의 부피를 선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의 정보는, 또한, 제1 및 제2 포위 부재들의 특정 포위 위치를 적응시키기 위해 제어 수단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제어 수단은, 또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음료 제조 장치의 주입 위치 및/또는 추가의 파라미터를 적응시킬 수 있다.
추가의 태양에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음료 제조 장치, 및 사전정의된 양의 음료 성분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캡슐 내에 제공된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캡슐에 제공된 물과 같은 액체와의 상호작용 시 1인분 음료 포션을 재구성하도록 설계된다.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리스트레또(ristretto), 에스프레소(espresso) 또는 룽고(lungo) 커피 음료와 같은 커피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성분이다.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건조 분말 형태로 존재하는 분쇄된 커피 입자이다. 그러나, 성분은, 또한, 액체 형태와 같은 상이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캡슐은, 또한, 차 음료, 수프 등과 같은 상이한 음료를 재구성하는 데 적합한 성분과 같은 상이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은, 바람직하게는, 내부 성분 챔버를 포위하는 음료 입구 면 및 음료 출구 면을 포함한다. 캡슐의 입구 면 및 출구 면은,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막 또는 포일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입구 면 및 출구 면의 막 또는 포일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캡슐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림 부분에서 함께 밀봉된다. 캡슐 내에 제공되는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압축된 형태로 배열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자유 공간이 캡슐 성분 챔버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즉 챔버 내에서의 성분 입자의 자유 이동이 바람직하게는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캡슐은, 바람직하게는, 음료 제조 장치의 인식 수단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정보 및/또는 특성표시를 포함한다. 캡슐은 장치의 전용 센서에 의해 판독되도록 설계되는, 캡슐의 외부 표면 상의 광학 코드 등과 같은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코드는 음료 제조 공정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 및 특히, 캡슐의 포위 부재에 의해 취해질 포위 위치와 같은 각각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캡슐의 특정 특성표시는 장치의 전용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캡슐의 형상 및/또는 크기에 의해 존재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장치의 전용 인식 및/또는 제어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음료 제조 공정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 및 특히, 장치의 포위 부재에 의해 취해질 포위 위치와 같은 각각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음료 제조 장치 내로 삽입된 캡슐의 형상 및/또는 크기에 연관시키도록 설계된다.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형상 및/또는 크기, 충전도, 성분 압밀도 및/또는 성분 입도가 상이한 여러 유형의 캡슐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상이한 유형의 캡슐은, 바람직하게는, 음료 제조 장치에 의해 판독될 상이한 정보 및/또는 특성을 구비한다. 따라서, 각각의 캡슐 유형은, 음료 제조 장치가 각각의 캡슐로부터 상기 정보를 판독하고 특히 특정 캡슐에 대한 최적의 주입 및/또는 추출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용 정보 및/또는 특성을 포함한다.
추가의 태양에서, 본 발명은, 음료 제조 장치에서 음료 성분을 포함하는 캡슐에 의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방법은,
- 장치 내로 사전정의된 양의 음료 성분을 함유하는 캡슐을 삽입하는 단계;
- 캡슐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캡슐의 특성표시를 인식하는 단계;
- 장치의 주입 모듈의 제1 포위 부재 및 협동하는 제2 포위 부재를, 제1 캡슐 삽입 위치로부터, 제1 포위 부재의 개방 및 주입 수단이 캡슐의 액체 입구 면과 맞물리고 그를 개방하며 캡슐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그리고/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응되는 제2 캡슐 포위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 개방 및 주입 수단에 의해 캡슐 내로 액체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응시키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장치의 제어 수단에 의한 특정 포위 위치의 결정 및 설정을 포함한다. 포위 위치의 결정 및 설정은, 캡슐로부터 각각의 정보를 직접 판독하고 장치의 대응하는 캡슐 포위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캡슐로부터 판독된 정보 및/또는 특성은 장치에 의해 제공된, 예를 들어 전용 메모리 유닛 내의 정보와 비교될 수 있다. 그러한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이어서, 제1 및 제2 포위 부재들의 각각의 위치가 제어 수단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그에 의해, 메모리 유닛은, 예를 들어, 캡슐 정보 및/또는 캡슐의 특성을 포위 부재의 특정 위치와 같은 음료 공정 파라미터와 링크시키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상관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특정 캡슐에 의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추가의 데이터 및/또는 파라미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파라미터는, 예컨대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한 특정 캡슐 유형의 선택과 같은 제공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 및 설정될 수 있다.
본 방법은, 추가적으로, 캡슐의 입구 면의 초기 개방 후에 그리고 캡슐 내로의 액체의 주입 전에 포위 위치를 추가로 적응시키고/시키거나, 캡슐 내로의 액체의 주입 동안 포위 위치를 추가로 적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포위 위치 및 그에 따른 제1 포위 부재와 제2 포위 부재의 서로에 대한 상대 위치는 실제 음료 제조 공정 동안에, 즉 캡슐 내로의 액체 주입 전에 및/또는 그 동안에 조정될 수 있다.
액체의 주입 전에 포위 위치를 적응시킬 때, 제1 및 제2 포위 부재들은 전용 캡슐 주입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캡슐 주입 위치에서, 개방 및 주입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여전히 캡슐의 제1 입구 면과 맞물려 있는데, 즉 측단면도에서 볼 때 캡슐의 입구 면 내로 돌출되어 있다.
캡슐 내로의 액체의 주입 동안의 포위 위치의 적응은 캡슐 내의 주입 및/또는 브루잉 압력과 같은 주입 및/또는 브루잉 파라미터를 추가로 조정 및 최적화하기 위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에 의해, 그러한 적응은, 캡슐이 개방되는 초기 위치와 비교하여 그리고/또는 캡슐 주입 위치와 비교하여, 제1 포위 부재와 제2 포위 부재 사이의 거리를 증가 및/또는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포위 부재와 제2 포위 부재 사이의 상대 위치, 즉 거리는 음료 주입 동안 연속적으로 가변될 수 있고/있거나, 액체 주입 동안 상이한 별개의 위치를 취하도록 가변될 수 있다.
적응시키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캡슐로부터 판독되고/되거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에 따라 장치의 제어 수단에 의해 수행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정보는 특정 캡슐로부터 직접 판독될 수 있고/있거나, 장치의 전용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캡슐의 초기 개방 후에 제1 포위 부재와 제2 포위 부재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그러한 증가된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캡슐 주입 위치에서, 즉 액체가 이어서 캡슐 내로 주입되는 위치에서 제공된다. 제1 포위 부재와 제2 포위 부재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는 양은, 바람직하게는, 전술된 바와 같이, 캡슐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그리고/또는 제공된 사용자 입력에 의해 결정된다. 거리의 증가는, 바람직하게는, 캡슐 내로의 액체의 주입 전에 수행된다.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제1 포위 부재의 개방 및 주입 수단이 캡슐의 제1 입구 면과 여전히 맞물리도록 하는 양만큼만 증가된다. 그러한 배열에 따르면, 캡슐의 입구 면 상으로의 그리고 그에 따라 상기 입구 면에 인접하게 제공된 성분 상으로의 임의의 과도한 압력이 최소 정도로 감소되며, 따라서, 음료 제조 공정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이 회피된다.
첨부 도면과 함께 취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시,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 이점 및 목적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의 주입 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측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2는 폐쇄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주입 모듈을 도시한다.
도 3은 캡슐이 전용 맞물림 수단에 의해 밀봉되는 본 발명에 따른 주입 모듈을 도시한다.
도 4는 캡슐 포위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주입 모듈을 도시한다.
도 5는 캡슐 주입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주입 모듈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상이한 캡슐 유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내용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100)의 주입 모듈(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측단면도로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는, 바람직하게는 가열되고 가압된 액체를, 주입 모듈(10)을 통해, 장치에 삽입된 캡슐(5)에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장치는 펌프, 액체 저장소 및 가열 수단, 예를 들어 알려진 방식으로 주입 모듈(10)에 연결되는 서모블록(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장치 내로의 사용자 입력을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된 터치스크린 및/또는 버튼과 같은 사용자 입력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주입 모듈(10)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되도록 설계된 제1 포위 부재(1) 및 협동하는 제2 포위 부재(2)를 포함한다. 제1 포위 부재(1)는, 바람직하게는, 제1 포위 부재(1)를 제2 포위 부재(2)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된 활성화 또는 구동 수단(4)에 연결된다. 제2 포위 부재(2)는, 바람직하게는, 고정식으로 배열되는데, 즉 주입 모듈(10) 내에서 이동가능하지 않다. 제1 포위 부재(1)는, 바람직하게는, 제2 포위 부재(2)에 대해 복수의 상이한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제1 포위 부재(1)는, 캡슐(5)의 제1 입구 면(5a)을 개방하고 캡슐 내로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캡슐 개방 및 주입 수단(3)을 포함한다. 제1 포위 부재(1)는, 바람직하게는, 개방 및 주입 수단(3)으로서 바늘과 같은 복수의 돌출된 중공형 천공 요소를 갖는 샤워 플레이트(1a)를 포함한다. 샤워 플레이트(1a)는 캡슐(5)의 바람직하게는 순응하게 형상화된 입구 면(5a)을 포위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목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샤워 플레이트는, 대안적으로는, 본질적으로 평면형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포위 부재(2)는, 바람직하게는, 캡슐 내의 압력 증가 시 캡슐(5)의 출구 면(5b)을 개방하도록 설계된 피라미드와 같은 복수의 돌출된 구조물을 갖는 지지 플레이트(2a)를 포함한다.
음료 제조 장치(100)는 캡슐(5)을 수용하도록 그리고 캡슐을, 예컨대 중력에 의해, 제1 포위 부재(1)와 제2 포위 부재(2) 사이에 배열된 수용 챔버(7) 내로 공급하도록 설계된 캡슐 삽입 슬롯(8)을 추가로 포함한다. 삽입 슬롯(8)은 장치의 커버 부재(9)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장치는, 제2 포위 부재(2)에 유체 연결되고, 캡슐로부터 배출된 생성된 음료를 수집하고 그를 소비자의 컵과 같은 음료 리셉터클을 향해 안내하도록 설계되는 음료 유출 수단(11)을 추가로 포함한다.
주입 모듈은 수용 챔버(7) 내에 캡슐(5)을 선택적으로 포위하도록 설계된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밀봉 링(12)과 같은 밀봉 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밀봉 링(12)은, 또한, 제1 포위 부재(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장치는, 캡슐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따라 그리고/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제1 및 제2 포위 부재들(1, 2)의 각각의 캡슐 포위 위치를 적응시키도록, 즉 결정 및 설정하도록 설계된 제어 수단(13)을 추가로 포함한다.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제어 수단(13)에 연결되고, 장치 내로 삽입된 캡슐(5)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도록 설계되는 인식 수단(14)을 추가로 포함한다. 인식 수단(14)은, 캡슐 상에 제공된 식별 수단(5d)과 상호작용하는 데 그리고/또는 캡슐 또는 그의 구성 부분들 중 하나의 구성 부분의 형상 및/또는 크기와 같은 캡슐의 특성표시를 감지하는 데 적합한 광학 센서, RFID 센서, 자기 센서, 전기 센서, 유도 센서, 기계 센서 및/또는 CCD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와 함께 사용될 캡슐(5)(또한 도 7 참조)은, 바람직하게는, 내부 성분 챔버를 포위하는 입구 면(5a) 및 출구 면(5b)을 포함한다. 입구 및 출구 면들(5a, 5b)은,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막 또는 포일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입구 면 및 출구 면의 막 또는 포일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캡슐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플랜지 유사 림(5c)에서 함께 밀봉된다. 캡슐 내에 제공되는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압축된 형태로 배열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자유 공간이 캡슐 성분 챔버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즉 챔버 내에서의 성분 입자의 자유 이동이 바람직하게는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캡슐은, 바람직하게는, 장치의 인식 수단(14)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식별 수단(5d)을 포함한다. 그러한 식별 수단(5d)은, 예컨대 장치의 인식 수단(14)에 의해 판독가능한 광학 코드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식별 수단(5d)은, 또한, 예컨대 장치의 인식 수단(14)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 캡슐의 형태 및/또는 형상과 같은 특정 특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식별 수단(5d)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 수단(14)에 연결된 제어 수단(13)은, 적어도 제1 및 제2 포위 부재들(1, 2)의 특정 캡슐 포위 위치와 같은 음료 공정 파라미터를 결정 및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제1 및 제2 포위 부재들(1, 2)의 서로에 대한 제1 캡슐 삽입 위치에 관한 것이다. 그에 의해, 제1 및 제2 포위 부재들(1, 2)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최대 가능한 거리(d)를 두고 배열된다. 이러한 위치는 포위 부재들(1, 2) 사이에 위치된 수용 챔버(7)에 캡슐을 제공하기 위해 그들 사이에 충분한 자유 공간을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5)은 캡슐을 수용 챔버(7)에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캡슐 삽입 슬롯(8)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캡슐(5)은, 바람직하게는, 전용 캡슐 지지부에 의해 중간 캡슐 인식 위치에 유지되며, 이러한 위치에서, 인식 수단(14)은, 예를 들어 장치 내로 삽입된 특정 캡슐(5)의 인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캡슐의 식별 수단(5d) 및/또는 특성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캡슐의 인식은 수용 챔버(7) 내로의 삽입 동안, 즉 중간 캡슐 인식 위치를 제공하지 않고서, 일어날 수 있다.
전술된 배열에 대안적으로 그리고/또는 그에 더하여, 사용자는 삽입된 캡슐에 관한 정보를 장치의 전용 사용자 입력 수단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이러한 정보는 음료 제조 공정 동안 음료 공정 파라미터 및/또는 제1 및 제2 포위 부재들의 특정 위치를 적응시키기 위해 제어 수단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인식 후, 캡슐(5)은 중간 캡슐 인식 위치로부터 수용 챔버(7) 내로 이동된다. 그에 의해, 캡슐(5)은, 예를 들어, 캡슐(5)이 중력에 의해 수용 챔버(7)로 진행되도록 전용 작동 수단에 의해 이전에 설명된 캡슐 지지부를 넘어 가압될 수 있다. 가능한 대안에서, 캡슐 지지부는, 캡슐(5)이 더 이상 지지부에 의해 유지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중력에 의해 수용 챔버(7)로 진행되도록, 후퇴 위치로 이동될 것이다.
도 2는 제1 포위 부재(1)와 제2 포위 부재(2) 사이의 수용 챔버(7) 내의 캡슐의 위치에 관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음 단계에서, 캡슐(5)은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밀봉 링(12)에 의해 수용 챔버(7) 내에 밀봉식으로 포위된다. 그에 의해, 링(12)의 원형 전방 면(12a)이 캡슐(5)의 플랜지 유사 림(5c)을 캡슐(5)의 각각의 반대편 측부에 배열된 바람직하게는 원형인 지지 면(2b)에 대해 밀봉식으로 가압할 것이다. 밀봉 링(12)에 의해 캡슐(5)의 플랜지 유사 림(5c) 상에 인가되는 밀봉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모든 삽입된 캡슐에 대해 동일하다. 가능한 변형예에서, 밀봉 링(12)에 의해 인가되는 밀봉 압력은, 또한, 삽입된 캡슐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그리고/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수단(13)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포위 부재들(1, 2)은 제1 포위 부재(1)의 개방 및 주입 수단(3)이 캡슐의 액체 입구 면(5a)과 맞물리는 캡슐 포위 위치로 이동된다. 그에 의해, 개방 및 주입 수단(3)은, 바람직하게는 액체 입구 면(5a)을 천공함으로써 그를 개방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출구 면(5b)은 제2 포위 부재(2)에 의해 맞물린다. 그에 의해, 출구 면(5b)은, 바람직하게는, 캡슐 내의 압력 증가 시 캡슐의 출구 면(5b)을 개방하도록 설계된 피라미드와 같은 복수의 돌출된 구조물을 갖는 지지 플레이트(2a)에 바로 인접하게 위치된다.
표시된 캡슐 포위 위치 및 특히 이러한 위치에서의 제1 포위 부재(1)와 제2 포위 부재(2) 사이의 특정 거리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주입 모듈에 삽입된 특정 캡슐(5)에 따라 장치의 제어 수단(13)에 의해 결정 및 설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위치에서 제1 및 제2 포위 부재들(1, 2)에 의해 입구 면(5a) 및 출구 면(5b) 상에 인가되는 압력은 삽입된 특정 캡슐에 적응될 수 있다. 그에 의해, 또한 캡슐 내로의 개방 및 주입 수단(3)의 침투 깊이/힘이 특정 캡슐에 적응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포위 위치에서 캡슐의 입구 면(5a)을 개방한 후에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액체가 캡슐 내로 주입되기 전에, 포위 부재(1, 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주입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제1 포위 부재(1)와 제2 포위 부재(2) 사이의 거리(d)는 바람직하게는 다시 증가된다. 따라서, 캡슐의 입구 면(5a) 및 출구 면(5b)에 인가되는 힘은 최소 정도로 감소된다. 게다가, 액체 주입 동안 캡슐 내부 내의 성분에 대해 충분한 공간이 제공된다. 특히, 이러한 캡슐 주입 위치에서, 개방 및 주입 수단(3)은, 바람직하게는, 캡슐의 입구 면(5a)과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는데, 즉 측단면도에서 볼 때 입구 면(5a) 내로 여전히 돌출되어 있다. 그러나, 개방 및 주입 수단(3)의 침투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최소 정도로 감소된다.
캡슐 주입 위치에서의 제1 및 제2 포위 부재들(1, 2)의 특정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캡슐로부터 판독된 정보 및/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장치의 제어 유닛에 의해 결정 및 설정된다.
개방 및 주입 수단(3)에 의한 후속 액체 주입 동안, 액체는, 예컨대 추출 및/또는 용해에 의해, 음료를 형성하기 위해, 캡슐(5) 내에 제공된 성분과 상호작용할 것이다. 캡슐 내의 증가하는 압력은 지지 플레이트(2a)의 돌출된 구조물에 대한 출구 면(5b)의 가압으로 이어질 것이며, 이는, 결과적으로, 인열 및/또는 천공에 의한 출구 면(5b)의 개방으로 이어진다. 이어서, 생성된 음료는 캡슐(5)로부터 장치의 음료 유출 수단(11)을 통해 배출될 것이고, 컵(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전용 리셉터클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액체 주입 동안, 제1 포위 부재(1)와 제2 포위 부재(2)의 서로에 대한 위치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대 위치는 캡슐(5)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그리고/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수단(13)에 의해 추가로 가변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상대 위치는 음료 주입 동안 연속적으로 가변될 수 있고/있거나, 액체 주입 동안 상이한 별개의 위치를 취하도록 가변될 수 있다.
게다가, 제어 수단(13)은, 캡슐(5)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그리고/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공된 액체의 주입 압력, 액체 온도 및/또는 부피와 같은 추가의 공정 파라미터를 가변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음료 제조 공정 후, 제1 및 제2 포위 부재들(1, 2)은,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캡슐 삽입 위치로 되돌아간다. 그에 의해, 사용된 캡슐은 전용 액추에이터에 의해 그리고/또는 중력에 의해 수용 챔버(7)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어서, 장치는 추가의 캡슐을 장치 내로 삽입될 때 처리할 준비가 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계들을 설명하는 흐름도에 관한 것이다. 그에 의해, 제1 단계(S1)에서, 캡슐(5)이 음료 제조 장치(100) 내로, 즉 장치의 주입 모듈 내로 삽입된다.
제2 단계(S2)에서, 정보가 캡슐로부터 판독된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는, 캡슐의 식별 수단(5d)과 상호작용하고/하거나 특정 크기 및/또는 형상과 같은 캡슐의 특성을 인식하는 장치의 인식 수단(14)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계(S2)에서, 사용자는 장치 내로 삽입된 특정 캡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있거나, 이러한 특정 캡슐에 대해 적용될 특정 공정 파라미터의 선택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의 단계(S3)에서,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그리고/또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적어도 제1 및 제2 포위 부재들(1, 2)의 특정 캡슐 삽입 위치가 결정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장치의 제어 수단(13)에 의해 수행된다. 게다가, 특히 제1 및 제2 포위 부재들(1, 2)의 특정 캡슐 주입 위치, 삽입된 캡슐 내로 주입될 액체에 대한 부피, 온도, 및/또는 압력과 같은, 음료 제조 공정의 추가의 파라미터가 제공된 정보 및/또는 제공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결정하는 단계는 캡슐로부터 판독된 정보 또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제공된 정보에 기초한 직접적인 결정, 또는 판독된 정보 및/또는 사용자 입력과 장치의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정보 또는 데이터의 비교를 통한 결정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단계(S4)에서, 캡슐은 제1 및 제2 포위 부재들(1, 2)의 결정된 포위 위치를 설정하는 제어 수단(13)에 의해 장치 내에서 포위된다. 그에 의해, 캡슐의 입구 면(5a)의 개방이 일어난다.
추가의 선택적인 단계(S5)에서, 제1 및 제2 포위 부재들(1, 2)의 결정된 주입 위치는 제어 수단(13)에 의해 설정된다. 그에 의해, 개방 및 주입 수단(3)이 바람직하게는 여전히 캡슐의 입구 면(5a)과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각각의 포위 부재들(1, 2)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다시 증가된다.
후속하여, 단계(S6)에서 캡슐 내로의 액체의 주입이 일어난다. 이러한 단계에서, 제어 수단(13)은, 선택적으로, 제1 및 제2 포위 부재들(1, 2)의 서로에 대한 특정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고/있거나, 액체 압력, 온도 및/또는 부피와 같은 추가의 파라미터를 설정하거나 가변시킬 수 있다. 액체 주입은 캡슐 성분과 액체의 상호작용 시의 음료의 형성 및 캡슐로부터의 음료의 후속 배출로 이어진다.
액체 주입 후, 제어 수단(13)은 제1 및 제2 포위 부재들(1, 2)을 캡슐 삽입 위치로, 즉 캡슐 방출 위치로 되돌려서, 그에 의해, 사용된 캡슐을 포위 부재들 사이의 수용 챔버(7)로부터 배출한다(단계(S7)).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상이한 캡슐 유형(5, 5', 5")에 관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유형은 형상 및/또는 크기와 같은 상이한 특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음료 제조 장치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캡슐(5, 5', 5")은, 모두, 동일한 직경(d2)의 플랜지 유사 림 부분(5c) 및/또는 동일한 직경(d1)의 중심 캡슐 몸체 부분을 포함하지만, 그들의 높이(h, h', h")는 상이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캡슐은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음료 제조 장치에 의해 인식 및/또는 판독되도록 설계된 식별 수단(5d)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수단(5d)은, 예를 들어, 캡슐의 외부 표면 상에 제공된 코드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이한 캡슐 유형(5, 5', 5")은, 바람직하게는, 그들의 성분 충전도, 성분의 압밀도 및/또는 캡슐 내에 제공된 성분의 입도가 상이하다. 캡슐은, 추가로, 그들의 패키징 재료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음료 공정 파라미터 및 특히 적어도 장치 내의 각각의 캡슐의 포위 위치는 최적의 제조 파라미터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캡슐 유형 및 그의 성분에 특별히 적응될 수 있다.

Claims (15)

  1. 캡슐(5) 내에 제공된 성분과 그에 공급되는 액체의 상호작용 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음료 제조 장치(100)로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되도록 설계된 제1 포위 부재(enclosing member)(1) 및 협동하는 제2 포위 부재(2)를 포함하는 주입 모듈(1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포위 부재는, 캡슐(5)의 제1 입구 면(5a)을 개방하고 상기 캡슐 내로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캡슐 개방 및 주입 수단(3)을 구비하며,
    제1 및 제2 포위 부재들(1, 2)은, 적어도, 상기 포위 부재들(1, 2) 사이로 캡슐을 삽입하기 위한 제1 캡슐 삽입 위치, 및 상기 개방 및 주입 수단(3)이 상기 캡슐(5)의 액체 입구 면(5a)과 맞물리는 제2 캡슐 포위 위치로 이동되도록 설계되고,
    상기 장치(100)는 상기 캡슐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그리고/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캡슐 포위 위치를 적응시키도록 설계된 제어 수단(13)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13)은, 상기 장치(100) 내의 캡슐(5)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그리고/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캡슐에 의한 음료 제조 공정 동안 상기 포위 위치를 적응시키도록 설계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13)은, 적어도 상기 캡슐 포위 위치에서, 상기 제1 포위 부재(1)와 상기 제2 포위 부재(2) 사이의 거리(d), 즉 상기 캡슐(5) 내로의 상기 개방 및 주입 수단(3)의 침투 깊이를 적응시키도록 설계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포위 부재들(1, 2)은 상기 캡슐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따라 그리고/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제3 캡슐 주입 위치로 이동되도록 설계되는, 장치.
  5.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주입 위치에서의 상기 제1 캡슐 포위 부재(1)와 상기 제2 캡슐 포위 부재(2) 사이의 거리는 상기 캡슐 포위 위치에서의 상기 제1 캡슐 포위 부재(1)와 상기 제2 캡슐 포위 부재(2) 사이의 거리(d)보다 큰,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 내로 삽입된 상기 캡슐(5)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도록 설계되는, 상기 제어 수단(13)에 연결된 인식 수단(14)을 포함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수단(14)은, 상기 캡슐(5) 상에 제공된 식별 수단(5d)과 상호작용하는 데 그리고/또는 상기 캡슐(5)의 또는 그의 구성 부분들 중 하나의 구성 부분의 형상 및/또는 크기와 같은 상기 캡슐의 특성표시를 감지하는 데 적합한 광학 센서, RFID 센서, 자기 센서, 전기 센서, 유도 센서, 기계 센서 및/또는 CCD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 내로 삽입된 특정 캡슐 유형(5, 5', 5")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위 부재(1)는 개방 및 주입 수단(3)으로서 바늘과 같은 복수의 돌출된 중공형 천공 요소를 포함하는 샤워 플레이트(shower plate)(1a)를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제2 포위 부재(2)는 상기 캡슐 내의 압력 증가 시 상기 캡슐(5)의 출구 면(5b)을 개방하도록 설계된 피라미드와 같은 복수의 돌출된 구조물을 갖는 지지 플레이트(2a)를 포함하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료 제조 장치(100), 및 사전정의된 양의 음료 성분을 함유하는 캡슐(5)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5)은 상기 장치(100)의 센서(14)에 의해 판독되도록, 즉 인식되도록 설계된 식별 수단(5d) 및/또는 특성을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이한 유형의 캡슐들(5, 5', 5")을 포함하고, 상기 캡슐들은 각각의 형상 및/또는 크기, 충전도, 성분 압밀도 및/또는 성분 입도(granulometry)가 상이하고, 예컨대 전용 식별 수단(5d)에 관한 상이한 정보를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음료 제조 장치(100)에 의해 판독되도록, 즉 인식되도록 설계된 상이한 특성을 포함하는, 시스템.
  13. 음료 제조 장치(100)에서 음료 성분을 포함하는 캡슐(5)에 의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상기 장치(100) 내로 사전정의된 양의 음료 성분을 함유하는 캡슐(5)을 삽입하는 단계;
    - 상기 캡슐(5)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상기 캡슐의 특성을 인식하는 단계;
    - 상기 장치(100)의 주입 모듈(10)의 제1 포위 부재(1) 및 협동하는 제2 포위 부재(2)를, 제1 캡슐 삽입 위치로부터, 상기 제1 포위 부재(1)의 개방 및 주입 수단(3)이 상기 캡슐(5)의 액체 입구 면(5a)과 맞물리고 그를 개방하며 상기 캡슐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그리고/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응되는 제2 캡슐 포위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 상기 개방 및 주입 수단(3)에 의해 상기 캡슐 내로 액체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캡슐(5)의 입구 면(5a)의 초기 개방 후에 그리고 상기 캡슐 내로의 액체의 주입 전에 상기 포위 위치를 추가로 적응시키고/시키거나, 상기 캡슐 내로의 액체의 주입 동안 상기 포위 위치를 추가로 적응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캡슐(5)의 입구 면(5a)의 초기 개방 후에 상기 제1 포위 부재(1)와 상기 제2 포위 부재(2) 사이의 거리(d)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217010386A 2018-11-01 2019-10-31 인식 수단 및 적응가능 개방 및 주입 메커니즘을 갖는 캡슐 시스템 KR202100824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203978.4 2018-11-01
EP18203978 2018-11-01
PCT/EP2019/079857 WO2020089404A1 (en) 2018-11-01 2019-10-31 Capsule system with recognition means and adaptable opening and injection mechanis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442A true KR20210082442A (ko) 2021-07-05

Family

ID=6410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386A KR20210082442A (ko) 2018-11-01 2019-10-31 인식 수단 및 적응가능 개방 및 주입 메커니즘을 갖는 캡슐 시스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220007879A1 (ko)
EP (1) EP3873304A1 (ko)
JP (1) JP7382400B2 (ko)
KR (1) KR20210082442A (ko)
CN (1) CN113316405B (ko)
AU (1) AU2019373665A1 (ko)
BR (1) BR112021004882A2 (ko)
CA (1) CA3118169A1 (ko)
CL (1) CL2021000745A1 (ko)
MX (1) MX2021003569A (ko)
PH (1) PH12021550489A1 (ko)
SG (1) SG11202102389YA (ko)
WO (1) WO20200894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7913A1 (en) 2021-12-21 2023-06-29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Beverage pod system with pod ejector
WO2023117906A1 (en) 2021-12-21 2023-06-29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Beverage pod system with pod catcher
WO2023117918A1 (en) 2021-12-21 2023-06-29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Beverage pod system with improved seal
WO2023194538A1 (en) 2022-04-08 2023-10-12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Beverage pod system
WO2024056537A1 (en) 2022-09-12 2024-03-21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Beverage extraction system
WO2024056506A1 (en) 2022-09-12 2024-03-21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Beverage extraction system
WO2024074509A1 (en) 2022-10-04 2024-04-11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O2024079013A1 (en) 2022-10-14 2024-04-18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Beverage po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5010583D1 (de) 2005-09-27 2008-12-04 Nestec Sa Extraktionsmodul für eine auf Kapseln basierte Getränkemaschine
ES2340083T3 (es) * 2007-01-24 2010-05-28 Nestec S.A. Identificacion de capsulas que contienen ingredientes para bebidas.
DK2071987T3 (da) * 2007-12-18 2010-08-09 Nestec Sa Indretning til fremstilling af en drikkevare omfattende en justerbar lukkemekanisme
IT1396016B1 (it) * 2009-10-15 2012-11-09 Swiss Caffe Asia Ltd Dispositivo di infusione per capsule da infusi e simili, particolarmente per macchine da caffe' espresso e simili.
DE102010044945A1 (de) * 2010-05-28 2011-12-01 Eugster/Frismag Ag Brühvorrichtung zum Extrahieren einer Portionskapsel,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rühvorricht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rühvorrichtung und Verwendung einer Brühvorrichtung
DK3521207T3 (da) * 2010-07-22 2020-04-27 K Fee System Gmbh Portionskapsel med stregkode
JP6058537B2 (ja) * 2010-08-13 2017-01-1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フードを作るための抽出デバイス
US10136754B2 (en) * 2014-01-17 2018-11-27 Keurig Green Mountain, Inc. Beverage machine cartridge holder
US9474406B2 (en) * 2014-01-17 2016-10-25 Keurig Green Mountain, Inc. Apparatus with beverage cartridge holder having movable outlet
US9439532B2 (en) * 2014-03-11 2016-09-13 Starbucks Corporation Beverage production machines with multi-chambered basket units
EP3203885B1 (en) * 2014-10-10 2018-07-11 Koninklijke Philips N.V. Brewing unit
EP3175749A1 (de) * 2015-12-01 2017-06-07 Qbo Coffee GmbH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zum zubereiten eines getränks
ITUB20160477A1 (it) * 2016-02-02 2017-08-02 Caffitaly System Spa Apparecchiatur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utilizzando capsule contenenti una sostanza alimentare
NL2017281B1 (en) *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89404A1 (en) 2020-05-07
CN113316405A (zh) 2021-08-27
US20220007879A1 (en) 2022-01-13
EP3873304A1 (en) 2021-09-08
MX2021003569A (es) 2021-04-28
CA3118169A1 (en) 2020-05-07
CN113316405B (zh) 2023-06-23
AU2019373665A1 (en) 2021-04-01
SG11202102389YA (en) 2021-05-28
BR112021004882A2 (pt) 2021-06-01
PH12021550489A1 (en) 2021-10-18
JP2022505512A (ja) 2022-01-14
CL2021000745A1 (es) 2021-09-10
JP7382400B2 (ja)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82442A (ko) 인식 수단 및 적응가능 개방 및 주입 메커니즘을 갖는 캡슐 시스템
US9981801B2 (en) Programming connector for beverage capsules, beverage capsules and kit of capsules and programming connectors
RU2541273C2 (ru) Капсула для экстрагируемого материала,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варивания кофе
JP5838198B2 (ja) 抽出材料用カプセル、カプセルの生成方法およびコーヒーを抽出するための装置
RU2626940C2 (ru) Адаптер для капсулы и система, в которой используется указанный адаптер для капсулы
JP6306165B2 (ja) 食用組成物調製用カプセル
JP2014527441A (ja) 抽出システムのカートリッジチャンバ
CN103298380A (zh) 萃取设备和密封系统
EP3089635B1 (en) Beverage machine
JP2015516198A (ja) 抽出生成物を作成する方法および作成システム
EP2802520A1 (en) Capsule for beverage
RU2808207C2 (ru) Система капсул со средствами распознавания и адаптируемым механизмом вскрытия и впрыс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