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8066A - 안전성과 내구성을 보유한 스크린 장착형 전기 삼륜차 - Google Patents

안전성과 내구성을 보유한 스크린 장착형 전기 삼륜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8066A
KR20180088066A KR1020170012642A KR20170012642A KR20180088066A KR 20180088066 A KR20180088066 A KR 20180088066A KR 1020170012642 A KR1020170012642 A KR 1020170012642A KR 20170012642 A KR20170012642 A KR 20170012642A KR 20180088066 A KR20180088066 A KR 20180088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unit
steering
presen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5811B1 (ko
Inventor
김경호
Original Assignee
김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호 filed Critical 김경호
Priority to KR1020170012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811B1/ko
Publication of KR20180088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2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hielding only the rider's front
    • B62J17/04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27Motorcycles with thre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B60Y2200/122Tri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삼륜 형태에 적재부 승강이 구현될 뿐 아니라 주행 시 공기 저항으로부터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스크린과 해당 스크린 외주연으로 커버링을 더 체결함으로써 파손 방지 및 미관의 외려함이 극대화 유도될 수 있는 안전성과 내구성을 보유한 스크린 장착형 전기 삼륜차에 관한 것으로, 전자의 탑승을 유도하는 좌석부(10)와, 좌석부 선단에서 핸들 조작에 기인하여 진행 방향을 결정하는 조향부(20)와, 좌석부 후단에 결부되고 격자 형상의 지지프레임(31)을 횡단 배치하는 이동부(30)와, 물품 탑재를 허용하고 충전부(41)가 위치되며 지지프레임에 결부된 승강 유도체(42)의 위치 결정으로 상하 움직임이 실시되는 적재부(40)를 포함하고, 위 조향부(20)는 양측 핸들 사이 공간으로 투명 소재의 스크린(50)을 더 체결하고, 위 스크린(50)은 양쪽 측면이 대향(對向)하도록 절곡 형성한 라운드 형상이되 외주연으로 고무 소재의 커버링(60)이 더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성과 내구성을 보유한 스크린 장착형 전기 삼륜차{ELECTRIC THREE-WHEELER}
본 발명은 물품의 적재 및 안전 기능이 부가된 전기 삼륜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가능한 삼륜 형태에 적재부 승강이 구현될 뿐 아니라 주행 시 공기 저항으로부터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스크린과 해당 스크린 외주연으로 커버링을 더 체결함으로써 파손 방지 및 미관의 외려함이 극대화 유도될 수 있는 안전성과 내구성을 보유한 스크린 장착형 전기 삼륜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 자전거는 이륜차의 형태로서 짐을 적재하는데 구조적인 한계가 초래되고 있으며, 결국 이러한 전기 자전거는 단순히 이동수단에 국한하여 사용되고 있다.
또한, 통상의 경운기는 보행용 트랙터의 하나로 석유기관 등을 동력원으로 하여 농경작업을 하는 기기 장치이며, 동력경운기라고도 한다.
이러한 경운기는 작업기의 장착(裝着) 및 이용법 등에 따라 단순히 작업기를 뒤쪽에 달고 견인하는 견인형(牽引形)과 작업기가 경운기 기관의 동력으로 작동하는 구동형(驅動形)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는 견인작업과 구동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견인·구동 겸용형이 대부분이다.
이중 견인형은 각종 작업기를 견인하여 여러 가지 작업을 하는 것으로, 경운·정지·비배관리(肥培管理) ·수확작업 및 정치(定置)해서 사용하는 양수기·분무기 등의 동력원으로 사용되며, 또한 트레일러를 견인하여 운반 작업에도 사용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기 자전거나 오토바이는 그 형태에 따라 이륜 및 삼륜차로도 운용되고 있는데, 지금까지의 전기 자전거나 오토바이의 경우 그 형태가 천편일률적이어서 활용 형태 또한 다양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차체 프레임의 전방측에 부착된 프런트 포크로 전륜을 지지함과 더불어 차체 프레임의 후방측에 차체 프레임에 대해 상하 요동 가능하게 또한 좌우 경동(傾動) 가능하게 구성된 후부 차체를 부착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좌우 한 쌍의 후륜을 이 후부 차체에 지지하도록 한 안승형(鞍乘型) 전동 삼륜차가 알려져 있다.
참고로, 특허 문헌 1에는 차체 프레임에 대해 상하 요동 또는 좌우 경동 가능한 후부 차체에 모터,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후륜에 전달하는 구동계 외에 배터리, PDU 등의 각종 전장 부품을 부착하도록 한 전동 삼륜차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술한 전동 삼륜차 및 종래 모든 기술사상에서는 물품 탑재시 크나큰 어려움이 초래될 뿐 아니라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바람막이가 제반 기능을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없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존재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0004] 공개 평 5-161221호 공보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가정용 220V로 충전 가능하여 활용성을 극대화하면서 이동 가능한 삼륜 형태에 승강식 적재부가 부가 채용됨에 따라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전기 삼륜차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 시 공기 저항으로부터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스크린 및 이러한 스크린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커버링이 더 체결되는 전기 삼륜차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안전성과 내구성을 보유한 스크린 장착형 전기 삼륜차(1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위 스크린 장착형 전기 삼륜차(100)는 운전자의 탑승을 유도하는 좌석부(10); 좌석부 선단에서 핸들 조작에 기인하여 진행 방향을 결정하는 조향부(20); 좌석부 후단에 결부되고 격자 형상의 지지프레임(31)을 횡단 배치하는 이동부(30); 물품 탑재를 허용하고 충전부(41)가 위치되며 지지프레임에 결부된 승강 유도체(42)의 위치 결정으로 상하 움직임이 실시되는 적재부(40);를 포함한다.
또한, 위 조향부(20)는 양측 핸들 사이 공간으로 투명 소재의 스크린(50)을 더 체결하고, 위 스크린(50)은 양쪽 측면이 대향(對向)하도록 절곡 형성한 라운드 형상이되 외주연으로 고무 소재의 커버링(60)이 더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위 스크린(50)은 반구 형상의 투시창(51)과, 투시창 내면에서 입설 배치되는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입설대(52)와, 입설대를 수단으로 횡단 거치되고 투시창의 내면과 접촉되면서 지지력을 발휘하는 지지횡바(53)와, 각 입설대 하방에 결부되어 양측 핸들에 위치한 지지대(21)와 각각 고정 결합되는 절곡브래킷(54)과, 투시창 외주연에 끼움 체결되어 투시창 외주연이 외부로부터 은폐되게 하면서 파손 방지를 유도하는 커버링(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위 입설대(52)는 지지횡바(53)의 인입을 허용하기 위한 만곡부(52-1)를 더 포함하고, 위 지지횡바(53)는 양측 만곡부 내부에서 구속될 수 있게 거치면(53-1)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가정용 220V로 충전 가능하여 활용성이 극대화될 뿐 아니라 이동 가능한 삼륜 형태에 승강식 적재부가 부가 채용됨으로써 물품 적재 및 하차 시 보다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효과적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스크린 장착형 전기 삼륜차는 소정의 기능성 스크린을 더 채용하는바, 이러한 스크린에 의해 주행 시 공기 저항으로부터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함은 물론 스크린 외주연에 장착되는 고무 소재의 커버링으로 하여금 스크린의 파손 내지 훼손으로부터 적극 방지되어 운전자의 부상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으며 또 스크린 외주연을 커버함에 따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면서 보다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스크린 장착형 전기 삼륜차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조향부 및 스크린 구성을 상세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스크린 구성을 상세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스크린 구성을 상세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스크린 장착형 전기 삼륜차의 실시 양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물품의 적재 및 안전 기능이 부가된 전기 삼륜차(100)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삼륜 형태에 적재부 승강이 구현될 뿐 아니라 주행 시 공기 저항으로부터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스크린(50)과 해당 스크린 외주연으로 커버링(60)을 더 체결함으로써 파손 방지 및 미관의 외려함이 극대화 유도될 수 있는 안전성과 내구성을 보유한 스크린 장착형 전기 삼륜차(100)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스크린 장착형 전기 삼륜차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조향부 및 스크린 구성을 상세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스크린 구성을 상세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스크린 구성을 상세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스크린 장착형 전기 삼륜차의 실시 양태도이다.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전기 삼륜차(100)는 삼륜 구동식 구조에 전기 충전 타입을 병합하고 또 상하 승강식 적재공간이 부여되는 구조를 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전기 삼륜차(100)는 기능성 스크린(50)을 소정의 형상 및 결합수단으로 안정감 있게 일체화하는바, 이와 관련한 구성은 하기에서 관련 도면과 함께 상세 기술하기로 한다.
위 스크린 장착형 전기 삼륜차(100)는 운전자의 탑승을 유도하는 좌석부(10)와, 좌석부 선단에서 핸들 조작에 기인하여 진행 방향을 결정하는 조향부(20)와, 좌석부 후단에 결부되고 격자 형상의 지지프레임(31)을 횡단 배치하는 이동부(30)와, 물품 탑재를 허용하고 충전부(41)가 위치되며 지지프레임에 결부된 승강 유도체(42)의 위치 결정으로 상하 움직임이 실시되는 적재부(40)로 구분 구성될 수 있다.
위 좌석부(10)는 사용자 내지 운전자가 앉아 삼륜차의 운행이나 기타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동부(30) 선단에서 일체형으로 체결되어 조향부(20)와 결부된다.
위 조향부(20)는 본 발명의 삼륜차를 안정적으로 조향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종래와 유사 내지 동일한 기술사상을 내포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조향부(20)에 소정의 스크린(50)을 더 채용함으로써 바람막이의 효율적인 역할은 물론 안정성과 내구성 또한 동시에 충족시켜 보다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위 이동부(30)는 조향부(20)에 의한 조향 시 위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직접적인 이동주체이며, 도면과 같은 격자 형상의 지지프레임(31)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지지프레임(31) 상으로 승강유도체(42)를 더 형성하여 적재부(40)와 상호 결부시킴에 따라 이동부를 기점으로 한 적재부의 승강 움직임이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위 승강유도체(42)는 통상의 실린더 내지 기타 수단으로 적용 가능하다.
위 적재부(40)는 물품의 적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적정 공간으로 제공되고, 도면과 같이 일측으로 또 하나의 좌석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이러한 좌석을 힌지를 수단으로 한 개폐형으로 형성하여 좌석의 내부 공간을 또 다른 수납공간으로 활용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향부(20)의 구성을 취함에 있어 기능성 스크린(50) 및 커버링(60)이 더 부여된다.
즉, 위 조향부(20)는 양측 핸들 사이 공간으로 투명 소재의 스크린(50)을 더 체결하고, 위 스크린(50)은 양쪽 측면이 대향(對向)하도록 절곡 형성한 라운드 형상이되 외주연으로 고무 소재의 커버링(60)이 더 체결되는 것을 주된 요부로 한다.
여기서 위 스크린(50)은 반구 형상의 투시창(51)과, 투시창 내면에서 입설 배치되는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입설대(52)와, 입설대를 수단으로 횡단 거치되고 투시창의 내면과 접촉되면서 지지력을 발휘하는 지지횡바(53)와, 각 입설대 하방에 결부되어 양측 핸들에 위치한 지지대(21)와 각각 고정 결합되는 절곡브래킷(54)과, 투시창 외주연에 끼움 체결되어 투시창 외주연이 외부로부터 은폐되게 하면서 파손 방지를 유도하는 커버링(60)으로 구분 구성된다.
위 투시창(51)은 운전자의 전방을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와 폭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과 같이 만곡형으로 제공하되 입설대(52) 및 지지횡바(53)에 의해 내구성을 극대화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위 입설대(52)는 투시창(51)의 내면 양단에서 서로 대응되게 배치하여 상하 길이 방향에 대한 내구성을 충족시키고, 위 지지횡바(53)는 이러한 양측 입설대와 결부되게 함으로써 좌우 폭에 대한 내구성을 충족시킨다.
아울러 위 지지횡바(53)는 투시창(51)과 동일한 형태의 만곡 형상으로 구비하여 투시창과 지속적으로 밀착 배치되게 구성함으로써 의도치 않은 이격 내지 분리를 방지하는바, 이러한 기술사상은 공기 저항에 대한 투시창의 내구성을 적극 향상되게 하는 결과를 도출한다.
이를 위해 위 입설대(52)는 지지횡바(53)의 인입을 허용하기 위한 만곡부(52-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위 지지횡바(53)는 양측 만곡부 내부에서 구속될 수 있게 거치면(53-1)이 더 구성되어야 한다.
위 만곡부(52-1)는 거치면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이면 충분하고, 위 거치면(53-1)은 만곡부가 제공하는 내부 공간에서 정확히 구속 내지 거치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각으로 절곡시켜 해당 만곡부 내면과의 접촉 면적을 극대화하여야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가정용 220V로 충전 가능하여 활용성이 극대화될 뿐 아니라 이동 가능한 삼륜 형태에 승강식 적재부가 부가 채용됨으로써 물품 적재 및 하차 시 보다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효과적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스크린 장착형 전기 삼륜차는 소정의 기능성 스크린을 더 채용하는바, 이러한 스크린에 의해 주행 시 공기 저항으로부터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함은 물론 스크린 외주연에 장착되는 고무 소재의 커버링으로 하여금 스크린의 파손 내지 훼손으로부터 적극 방지되어 운전자의 부상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으며 또 스크린 외주연을 커버함에 따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면서 보다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
10. 좌석부
20. 조향부
30. 이동부
40. 적재부
50. 스크린
60. 커버링
100. 전기 삼륜차

Claims (3)

  1. 운전자의 탑승을 유도하는 좌석부(10);
    좌석부 선단에서 핸들 조작에 기인하여 진행 방향을 결정하는 조향부(20);
    좌석부 후단에 결부되고 격자 형상의 지지프레임(31)을 횡단 배치하는 이동부(30);
    물품 탑재를 허용하고 충전부(41)가 위치되며 지지프레임에 결부된 승강 유도체(42)의 위치 결정으로 상하 움직임이 실시되는 적재부(40);
    를 포함하고,
    위 조향부(20)는 양측 핸들 사이 공간으로 투명 소재의 스크린(50)을 더 체결하고,
    위 스크린(50)은 양쪽 측면이 대향(對向)하도록 절곡 형성한 라운드 형상이되 외주연으로 고무 소재의 커버링(60)이 더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과 내구성을 보유한 스크린 장착형 전기 삼륜차.
  2. 제1항에 있어서,
    위 스크린(50)은 반구 형상의 투시창(51)과, 투시창 내면에서 입설 배치되는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입설대(52)와, 입설대를 수단으로 횡단 거치되고 투시창의 내면과 접촉되면서 지지력을 발휘하는 지지횡바(53)와, 각 입설대 하방에 결부되어 양측 핸들에 위치한 지지대(21)와 각각 고정 결합되는 절곡브래킷(54)과, 투시창 외주연에 끼움 체결되어 투시창 외주연이 외부로부터 은폐되게 하면서 파손 방지를 유도하는 커버링(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과 내구성을 보유한 스크린 장착형 전기 삼륜차.
  3. 제1항에 있어서,
    위 입설대(52)는 지지횡바(53)의 인입을 허용하기 위한 만곡부(52-1)를 더 포함하고,
    위 지지횡바(53)는 양측 만곡부 내부에서 구속될 수 있게 거치면(53-1)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과 내구성을 보유한 스크린 장착형 전기 삼륜차.
KR1020170012642A 2017-01-26 2017-01-26 안전성과 내구성을 보유한 스크린 장착형 전기 삼륜차 KR101885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642A KR101885811B1 (ko) 2017-01-26 2017-01-26 안전성과 내구성을 보유한 스크린 장착형 전기 삼륜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642A KR101885811B1 (ko) 2017-01-26 2017-01-26 안전성과 내구성을 보유한 스크린 장착형 전기 삼륜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066A true KR20180088066A (ko) 2018-08-03
KR101885811B1 KR101885811B1 (ko) 2018-08-06

Family

ID=63250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642A KR101885811B1 (ko) 2017-01-26 2017-01-26 안전성과 내구성을 보유한 스크린 장착형 전기 삼륜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8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235A (ko)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앨비 전기 삼륜자동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556B1 (ko) 2021-09-27 2023-08-24 윤경선 틸팅이 가능한 전기 삼륜차
KR102438571B1 (ko) 2022-03-30 2022-09-01 이병준 스테인레스 스틸제의 프레임을 가지는 전동 3륜 운반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1221A (ja) 1991-03-05 1993-06-25 Honda Motor Co Ltd 電動車両
JP4447695B2 (ja) * 1999-08-31 2010-04-0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収納装置
JP2012214109A (ja) * 2011-03-31 2012-11-08 Honda Motor Co Ltd 電動三輪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1221A (ja) 1991-03-05 1993-06-25 Honda Motor Co Ltd 電動車両
JP4447695B2 (ja) * 1999-08-31 2010-04-0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収納装置
JP2012214109A (ja) * 2011-03-31 2012-11-08 Honda Motor Co Ltd 電動三輪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235A (ko)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앨비 전기 삼륜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811B1 (ko) 201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7383A (en) Motor vehicle
EP2799320B1 (en) Electric straddled vehicle
KR101885811B1 (ko) 안전성과 내구성을 보유한 스크린 장착형 전기 삼륜차
EP3345815B1 (en) Battery case structure for electric-powered vehicles
US4372602A (en) Small-sized vehicle
JP5614047B2 (ja) 電動式自動二輪車
KR20130029803A (ko) 충전구 구조 및 안장형 차량
TWI471246B (zh) Straddle type electric vehicle
US20080093146A1 (en) Motorcycle
EP2364901B1 (en) Small-Sized Vehicles
CA1134751A (en) Three-wheeled vehicle with a container
JP2003127960A (ja) 鞍乗型車両におけるフロントフォーク構造
CN103303407A (zh) 机动二轮车
JPH08207874A (ja) 電動自転車
CN218703710U (zh) 打猎车
JP2005028991A (ja) 立ち乗り式小型電動車両
DE60105148D1 (de) Kofferraum für zweiradkraftfahrzeuge
CN215436741U (zh) 三轮自行车
CN218967129U (zh) 保护装置
JP3552620B2 (ja) 電動式自転車
JP7225291B2 (ja) 鞍乗型車両
CN103507886B (zh) 摩托车车手把盖
CN220262961U (zh) 一种中置电池铁板后双叉臂减震的代驾车架
US20240140558A1 (en) All-Terrain Vehicle
JP3836220B2 (ja) 電動三輪運搬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